KR20110003225A - 3차원 입체 광고 - Google Patents

3차원 입체 광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3225A
KR20110003225A KR1020090060887A KR20090060887A KR20110003225A KR 20110003225 A KR20110003225 A KR 20110003225A KR 1020090060887 A KR1020090060887 A KR 1020090060887A KR 20090060887 A KR20090060887 A KR 20090060887A KR 20110003225 A KR20110003225 A KR 20110003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translucent
acrylic
glass
intermediate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0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관형
김근섭
Original Assignee
김관형
김근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관형, 김근섭 filed Critical 김관형
Priority to KR1020090060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3225A/ko
Publication of KR20110003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225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09F2013/184Information to display
    • G09F2013/1859Frosted surfa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09F2013/1886Special effects
    • G09F2013/189Three dimension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이 고안의 특징은 반사코팅을 이용하여 반투명 거울 느낌을 살린 반투명유리, 반투명아크릴, 반투명 폴리카바네이트 등과 같은 반투명기능을 가지는 기타 부재를 이용한 전면반투명부재를 전면에 설치하고, 중간부재로 사용하는 투명유리, 투명아크릴, 투명 폴리카바네이트와 같은 투명 기능을 가지는 기타 부재에 문자, 로고, 그림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형상을 음각, 양각과 같은 다양한 기법을 이용하여 중간부재를 가공하고, 아크릴물감, 아크릴 물감+유리알, 기타물감을 혼합한 물질 및 기타 다양한 발광물질을 사용하여 음각, 양각으로 가공된 형상에 물감, 기타방법으로 색칠 도포한 시트지, 각종 필름을 중간부재에 붙이거나, 직접 중간부재에 색칠 혹은 도포 한다.
중간부재의 테두리에는 수개의 발광체(LED)를 부착하여 가공된 중간부재의 내부로 빛을 조사하게 된다. 중간 부재로 조사된 발광체(LED)의 광원은 음각, 양각 또는 기타 기법으로 가공된 형상이 발광체(LED) 빛과 조화되여 시각적 효과와 다양한 연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중간부재로 영상을 표현할 수 있는 투명 전자 디스플레이를 중간부재로 활용한다면 더욱 뛰어난 영상 시각효과를 볼 수 있다.
마무리 부재는 유리, 금속 혹은 아크릴판과 같은 기타 다양한 부재를 활용하여 거울의 기능을 가지도록 제작하여 설치한다.
전면반투명부재, 중간부재, 마무리 부재 사이에는 거울기능을 가지는 부재를 활용하여 측면거울의 기능을 가지는 부재를 부착 사용하여 각 부재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상호작용에 의해 문자, 로고, 그림, 영상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을 시각적인 3차원입체 효과로 보이게 하여 광고 효과를 상승시키고, 수개의 발광체(LED)사용으로 절전 효과와 실용적이고 아름다운 간판을 만들고자 하는 것이 특징이다.
유리, 아크릴, 폴리카바네이트(PC), 투명 전자디스플레이, 금속, 발광체(LED), 입체간판, 거울

Description

3차원 입체 광고 {3D advertisement}
일반적으로 현재 사용하는 간판이나 광고판은 일상적으로 2차원 평면으로보이는 것으로써 전면에 문자, 로고, 그림 등을 인쇄한 전면광고판을 설치하고 뒤편에 다수개의 형광등을 설치하여 야간에는 불빛을 밝혀 광고하는 평판형광고판이 대부분이며, 유리관을 여러 가지 형상으로 만들어 사용하는 네온싸인 광고판, LED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형상을 2차원 적으로 표현하는 광고판이 있다
일반적으로 가장 보편하게 사용하고 있는 평판형광고판은 상기에서 언급한 봐와 같이 야간에는 뒤편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개의 형광등을 설치하여 불빛을 밝혀 광고하는 것이다. 하지만 다수개의 형광등을 사용함으로써 전기소모가 많으면서도 밝기는 네온싸인, LED에 비해서 밝기가 떨어진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 간판이 햇빛과 기후의 영향으로 미관상에 문제가 발생하고 형광등의 수명으로 형광등을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 등 지속적인 추가관리 비용이 발생한다.
네온싸인 광고판은 밝기는 평판형광고판에 비해서 밝지만 제작비용이 많이 들어가고 고전압을 사용함으로써 전기 사용량이 과도하게 들어가 화재의 위험이 있으며, 제작비가 많이 들어가고 변압기의 노출로 안전과 미관상 문제점이 있다.
LED 이용한 광고판, 전광판은 여러 가지 형상을 자유자재로 표현 할 수 있고, 밝기가 뛰어나고, 전기절감 효과도 뛰어나다. 하지만 단순한 2차원 형상을 만들어 내기 위해서도 많은 수의 LED를 사용해야 하므로 제작 단가가 비싸며, LED 전구가 몇 개가 고장 났을 때 교체의 어려움으로 원래의 형상이 나오지 않는 단점이 있어 시각 및 광고 효과가 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에 언급한 각 간판들의 단점들을 보완하고 해소하기 위해서 도출 한 것으로 발광체(LED)를 이용한 절전효과와 밝기를 동시에 개선하고, 반투명유리, 반투명아크릴, 수개의 발광체(LED)가 부착된 투명아크릴, 투명 폴리카바네이트(PC), 투명 전자디스플레이, 거울 등을 조합하여 3차원 입체 디스플레이 효과를 보이게 하여 시각적 효과를 향상시키는 간판을 실현하고, 절전과 도시미관에 어울리는 아름다운 간판 및 유도 등을 만들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광고 간판은 반투명거울 느낌을 살리는 반투명코팅으로 마무리된 반투명유리판, 반투명아크릴판, 반투명 폴리카바네이트와 같은 반투명 기능을 가지는 기타 부재를 이용한다.(이하“전면반투명부재”). 전면반투명부재와 중간 사이에는 거울기능 있는 유리, 금속 혹은 아크릴과 같은 기타 부재를 이용하여 측면거울로 활용하며, 전면반투명부재와 중간 사이에 일정 공간을 만들어낸다. 중간에 사용하는 투명유리, 투명아크릴, 투명 폴리카바네이트와 같은 투명 기능을 가지는 기타 부재에 문자, 로고, 그림과 같은 다양한 형상을 음각, 양각 또는 다양한 기법으로 가공한 후 아크릴물감, 아크릴 물감+유리알, 기타물감을 혼합한 물질이나 기타 다양한 발광물질을 사용하여 음각, 양각으로 가공된 형상에 색칠 도포한 시트지, 각종필름을 붙이거나, 투명아크릴판, 투명 폴리카바네이트(이하 “투명PC")과 같은 중간재에 직접 색칠 혹은 도포한다. 그 중간재의 테두리에는 발광 체(LED)를 부착한 투명아크릴, 투명PC 내부로 투과하도록 하며, 다른 중간 재료로 영상을 보여주는 투명 전자디스플레이를 설치한다.(이하“중간부재”) 중간부재와 마지막 마무리재 사이에도 유리, 금속 혹은 아크릴 및 다양한 부재를 활용하여 거울기능을 가지는 측면거울을 사용하여 테두리를 만들어 일정공간을 유지하도록 한다. 마지막 마무리 부재는 유리, 금속 혹은 아크릴판과 같은 다양한 부재를 활용하여 거울의 기능을 가지도록 거울을 제작하여 설치한다(이하 “마무리 부재”). 발광체(LED)와 PCB, 영상을 띄우는 투명 전자디스플레이 기판을 연결 작동시키는 전기배선과 동작 제어부회로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효과로써는 본체 틀 전면에 고정 부착된 전면반투명부재가 중간부재를 밀폐행태로 막고 있기 때문에 햇빛과 기후의 변화로 생길 수 있는 광고판의 수명 단축과 비로 인한 누전을 막을 수 있다, 중간부재인 투명유리, 투명아크릴, 투명PC 테두리에 설치된 발광체(LED) 빛으로 판에 새겨진 형상들이 발광체(LED)불빛과 전면반투명부재, 측면거울, 마무리부재 반사에 의해 시각적인 3차원 형상은 만들어 준다. 중간부재에 영상을 띄워주는 투명전자 디스플레이를 설치하면 영상이 전면반투명부재, 측면거울, 마무리부재의 반사효과에 의해서 시각적인 3차원 영상효과를 만들어준다. 상기의 전면반투명부재와, 측면거울, 중간부재, 마무리부재 상호작용은 전면반투명부재와 측면거울이 일정공간을 유지하도록 하여 광고판의 3차원 입체형상을 만들 수 있는 반사 역할을 하며, 마무리부재 거울은 측면거울이 중 간부재와 일정공간을 유지하도록 하여 중간부재의 형상, 영상을 뒤에서 반사하여 시각적인 3차원 입체감 형태를 살린다. 발광체(LED)불빛과 투명 전자디스플레이등을 사용하지 않을 시 전원을 차단하면 중간부재 형상, 즉 광고내용이 안보이게 되어 전면반투명부재가 거울효과 나타냄으로써 미관상의 효과도 볼 수 있다.
상기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전면반투명부재(60), 중간부재(70,70-1), 중간부재(70)테두리에 설치할 발광체(LED)(90), PCB(90-1), 전선(90-2), 제어부회로(100)와, 마무리부재(80), 측면거울(50)를 결합시킬 본체 틀(10), 본체 커버(30) 등을 준비한다.
먼저 본체 틀(10)에 있는 전면반투명부재 고정판(20)에 양면테이프나 실리콘 및 기타 고정 지지물을 이용하여 전면반투명부재(60)를 고정하여 장착시킨다. 다음으로 일정한 폭을 가진 측면거울(50)을 전면반투명부재(60)와 중간부재(70,70-1) 사이 측면에 상,하,좌,우 부착, 양면테이프, 실리콘 및 기타 고정지지물을 이용하여 장착시킨다. 이 작업이 끝나면 여러 가지 형상과 발광체(LED)(90)가 부착된 투명아크릴과 투명PC(70), 영상을 띄워주는 투명디스플레이(70-1)등 중간부재(70,70-1)를 먼저 측면거울(50)에 올려놓고 양면테이프, 실리콘 및 기타 고정 지지물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발광체(LED)(90)를 설치할 수 있게 가공한 중간부재 테두리에 발광체(LED)(90)와 PCB(90-1), 혹은 투명 전자디스플레이(70-1)를 전선(90-2)을 이용하여 제어부회로(100)에 연결시킨다. 이렇게 중간부재(70,70-1) 작업이 끝나면 일정 크기로 폭과 길이로 재단한 측면거울(50)을 상, 하, 좌 ,우에 각 한 개씩 양면테이프와 실리콘 및 기타 고정 지지물을 사용하여 고정시키고 장착한다. 이 작업이 끝나면 마무리부재(80) 거울이 본체 틀(10) 안쪽으로 향하게 한 다음 마무리부재(80)를 덮고, 그 위에 파손 방지와 내부가 완전히 고정 밀착 될 수 있게 마지막 작업으로 본체 커버(30)를 덮어씌우고 고정나사구멍(40)에 나사를 이용하여 본체 틀(10)과 결합하면 작업이 끝난다. 이렇게 작업이 끝나면 완성품을 원하는 곳에 설치하고 전기 연결하면 중간부재(70,70-1)테두리에 장착된 발광체(LED)(90)불빛이나 투명 전자디스플레이(70-1) 영상이 들어오고 전면반투명부재(60), 측면거울(50), 중간부재(70,70-1), 측면거울(50), 마무리부재(80)등이 발광체(LED)(90)불빛이나 투명전자디스플레이(70-1) 영상을 서로 반사하여 발광체(LED)(90)불빛과 영상이 다수로 보이게 하는 효과와 함께, 중간부재(70,70-1)의 여러 형상이나 영상이 앞, 뒤로 거울에 서로 반사되면서 발광체(LED)(90)불빛과 영상 등 이 시각적으로 3차원 입체효과를 연출한다. 중간부재(70-,70-1)의 발광체(LED)(90)불빛과 영상을 차단 시에는 중간부재(70,70-1)형상, 영상 사라지면서 전면반투명부재(60)가 거울 역할을 하게 된다.
도1은 조립하는 본체틀(10)과 본체커버(30)를 예시한 분해도
도2은 전면반투명부재(60), 중간부재(70,70-1). 마무리부재(80)를 예시한 단면도
도3은 측면거울(50), 발광체(LED)(90), 제어부회로(100) 예시한 단면도
도4은 중간부재(70,70-1), 발광체(LED)(90),PCB(90-1)기판, 전선(90-2), 제어부회로(100) 결합도
도5은 본체틀과 커버, 전면반투명부재, 중간부재, 마무리부재, 발광체(LED)와 제어부회로 결합한 완성도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부호 설명
10. 본체틀
20. 전면반투명부재 고정판
30. 본체커버
40. 고정나사 구멍
50. 측면거울 고정부분(상,하,좌,우 )
60. 전면반투명부재
70,70-1.중간부재(투명유리,투명아크릴,투명PC(70)),투명전자디스플레이(70-1))
80. 마무리 부재
90. 발광체(LED)
90-1. PCB기판
90-2. 발광체(LED) 전선줄
100. 제어부

Claims (7)

  1. - 반사코팅으로 반투명 거울효과를 내는 반투명유리, 반투명아크릴, 반투명PC, 반투명기능을 가지는 부재를 활용하여 전면반투명부재 사용하며
    - 여러 가지 형상을 음각, 양각 및 기타 가공기법으로 가공된 투명유리, 투명아크릴, 투명PC, 투명기능을 가지는 기타 부재를 활용하여 가공된 중간부재에 아크릴물감, 아크릴물감+유리구슬, 기타물감을 혼합하거나 기타 다양한 발광물질을 사용하여 가공된 중간부재의 형상에 색칠 도포한 시트지, 각종 필름을 부착하거나, 투명아크릴, 투명PC나 다른 중간부재에 직접 색칠을 도포하거나 만든 중간부재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투명 전자디스플레이 중간부재를 사용하며
    - 유리, 금속, 아크릴, 다른 기타 부재를 활용하여 거울기능을 가지는 모듈을 측면거울로 부착하여 일정 공간을 띄워 3차원의 입체효과를 살리는 기법을 사용하고
    - 중간부재의 테두리에 발광체(LED)를 심거나 붙여서 중간부재 내부를 조사하는 정적인 방식과 투명전자 디스플레이와 같은 동적인 영상을 제공하는 중간부재 내부를 조사하여 형상물의 윤곽이나 기타형상의 특징과 영상을 보다 선명하고 다양하게 연출하고.
    - 시각적인 3차원 입체감 효과를 살리기 위해서 마무리부재를 유리, 금속, 아크릴, 거울기능을 가지는 기타 부재를 활용하여 거울기능을 가지는 모듈을 마무리 부재로 활용해서 중간부재의 형상을 반사하여 3차원 입체 효과를 살리는 기술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간판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반투명 거울효과를 내는 반사코팅으로 만들어진 반투명유리, 반투명아크릴, 반투명 PC, 반투명기능을 가지는 부재를 활용한 전면반투명부재로 사용하는 입체간판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여러 가지 형상을 음각, 양각 또는 기타 다른 기법으로 가공된 투명유리, 투명아크릴, 투명PC, 투명기능을 가지는 기타 부재를 활용하여 가공된 중간부재에 아크릴물감, 아크릴물감+유리구슬, 기타물감을 혼합하거나 기타 다양한 발광물질을 판에 음각, 양각 새겨진 형상에 색칠 도포한 시트지, 각종필름을 부착하거나, 가공된 중간 부재에 직접 색칠을 도포한 중간부재와 동적인 정보 표현을 위한 영상을 띄우는 투명 전자디스플레이와 같은 중간부재를 사용하여 만든 입체 간판
  4.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유리, 금속, 아크릴 아니면 다른 기타 부재를 활용하여 거울기능을 가지는 모듈을 측면거울로 부착하여 전면반투명부재, 중간부재, 마무리부재 사이를 일정공간을 띄워 3차원의 입체효과를 살리는 기법을 사용하여 만든 입체간판
  5.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중간부재 테두리에 발광체(LED)를 심거나 붙여서 불빛으로 형상을 뚜렷하게 보이게 하는 기법과, 투명전자 디스플레이 사용하여 여러 가지 영상을 전면반투명부재와 마무리부재 반사효과를 이용하여 만든 입체간판
  6.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시각적인 3차원 입체감 효과를 살리기 위해서 마무리부재를 유리, 금속, 아크릴 , 기타 부재를 활용하여 거울기능을 가지는 모듈을 사용하여 중간부재의 형상이나 영상을 반사하여 3차원 입체감 있게 살리는 기술을 특징으로 하는 마무리 부재 사용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간판
  7.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전면반투명부재, 중간부재, 측면거울, 마무리부재가 서로 유기적인 역할로 여러 가지 형상이나, 영상을 시각적인 입체감을 표현 할 수 있는 기법을 사용하는 입체간판
KR1020090060887A 2009-07-03 2009-07-03 3차원 입체 광고 Ceased KR201100032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887A KR20110003225A (ko) 2009-07-03 2009-07-03 3차원 입체 광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887A KR20110003225A (ko) 2009-07-03 2009-07-03 3차원 입체 광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225A true KR20110003225A (ko) 2011-01-11

Family

ID=43611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0887A Ceased KR20110003225A (ko) 2009-07-03 2009-07-03 3차원 입체 광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3225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583B1 (ko) * 2013-06-18 2014-03-13 한국산업은행 간판
KR101453257B1 (ko) * 2012-12-31 2014-10-21 정운학 Led를 이용한 감성 조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성적인 시각 효과의 구현 방법
US9383589B2 (en) 2014-02-04 2016-07-0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O2021137614A1 (ko) * 2019-12-30 2021-07-08 이재진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36717A (ko) * 2022-03-19 2023-09-26 배태식 광고용 입체문자 구조
KR102792791B1 (ko) * 2024-07-18 2025-04-08 (주)주연테크 미러 기능을 갖는 발광식 광고 간판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257B1 (ko) * 2012-12-31 2014-10-21 정운학 Led를 이용한 감성 조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성적인 시각 효과의 구현 방법
KR101372583B1 (ko) * 2013-06-18 2014-03-13 한국산업은행 간판
US9383589B2 (en) 2014-02-04 2016-07-0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O2021137614A1 (ko) * 2019-12-30 2021-07-08 이재진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85482A (ko) * 2019-12-30 2021-07-08 이재진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36717A (ko) * 2022-03-19 2023-09-26 배태식 광고용 입체문자 구조
KR102792791B1 (ko) * 2024-07-18 2025-04-08 (주)주연테크 미러 기능을 갖는 발광식 광고 간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85274A1 (en) Panel light source for back-lit signs
KR20110003225A (ko) 3차원 입체 광고
KR101626724B1 (ko) 입체형 엘이디 간판용 조명수단
KR101867372B1 (ko) 입체형 엘이디 간판
CN201892756U (zh) 采用柯式印刷方法制作的导光板
KR101039205B1 (ko) 광고용 led 간판
KR101077237B1 (ko) 입체 간판용 구조체
WO2009093131A1 (en) Illuminated signage and advertising display device
KR200449250Y1 (ko) 후면 장식조명을 구비한 간판
RU162287U1 (ru) Информационное табло
KR20150085403A (ko) 슬림형 광고용 간판
KR101026412B1 (ko) 후면 장식조명을 구비한 간판
KR102141402B1 (ko) 아크릴 광고판 엘이디 조명장치
KR200299714Y1 (ko) 광고간판
KR20100010427U (ko) 3차원 입체광고
JP2009036953A (ja) 看板用照明装置
KR20060011300A (ko) 광고장치
KR20150106182A (ko) Led 사인보드
KR200264961Y1 (ko) 형광 수지를 이용한 조명 간판
KR200312959Y1 (ko) 광투과부가 형성된 광확산필름과 이를 이용한 광고간판
KR20040099511A (ko) 음영효과를 발생시키는 풀 컬러 사인보드
KR100772065B1 (ko) 광투과성 다층 플라스틱판을 이용한 사인 및 조명장치
KR200394336Y1 (ko) Led 램프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0403706B1 (ko) 광고 간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112028A (ko) 이미지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3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09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3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