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4232B1 - 다중식 디스플레이 광고간판 - Google Patents

다중식 디스플레이 광고간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4232B1
KR101934232B1 KR1020180046076A KR20180046076A KR101934232B1 KR 101934232 B1 KR101934232 B1 KR 101934232B1 KR 1020180046076 A KR1020180046076 A KR 1020180046076A KR 20180046076 A KR20180046076 A KR 20180046076A KR 101934232 B1 KR101934232 B1 KR 101934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flow
unit
delete delet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의선
Original Assignee
안의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의선 filed Critical 안의선
Priority to KR1020180046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42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4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4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the light source being enclosed in a box forming the character of the sig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3Frames or casing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45Fr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8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using both translucent and non-translucent layers
    • G09F2013/0445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본 발명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 연결된 화면창;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조명기구; 및 상기 화면창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조명기구의 작동에 따라 다른 광고문안이 표시되는 다중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다중 디스플레이 수단은, 복수개의 광투과홀을 구비하며, 광고문이 그려진 불투명의 광차단막과, 상기 광차단만의 일측면에 위치되는 광투과성의 배경막과, 상기 광차단막과 배경막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광차단막에 그려진 광고문안과는 다른 광고문안이 그려진 광고문안막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오염방지 가공장치를 통해 오염방지 가공 처리된 광고간판을 제공한다.
따라서, 유지 보수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다중식 디스플레이 광고간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식 디스플레이 광고간판{MULTI DISPLAY TYPE SIGNBOARD}
본 발명은 다중식 디스플레이 광고간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화면창을 통해 여러가지 광고문안이 나타나며, 광고문안의 반복교체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고, 특히 유지 보수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다중식 디스플레이 광고간판에 관한 것이다.
광고간판은 구조나 재질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되며, 설치방법에 따라 입간판, 벽간판 등으로 구분된다.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벽에 부착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 연결된 화면창(12)과, 상기 화면창(1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광고문안이 그려진 디스플레이 패널(14)로 이루어져 있는 바, 상기 프레임(10) 내에는 형광등과 같은 조명기구(미도시)가 설치됨이 일반적이고, 조명기구가 갖추어진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4)은 광투과성이 좋은 얇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다. 야간에도 상기 조명기구의 작동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4)에 표기된 광고문안이 선명히 드러남으로써 광고효과가 유지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화면창(12)을 열고 디스플레이 패널(14)을 교체 설치함으로써 여러가지 광고문안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일반적인 광고간판은 광고문안을 바꾸기 위해서 일일이 화면창(12)을 열고 디스플레이 패널(14)을 교체하는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한 점이 많고, 이에 따라 결과적으로 광고효과의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무엇보다 가장큰 문제는 24시간 정도 외부에 노출되어 방치되는 광고간판이 외부의 요인에 의하여 쉽게 오염되기 때문에 유지 보수 관리 등의 비용이 필연적으로 발생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72583호
본 발명은, 하나의 화면창을 통해 여러가지 광고문안이 나타나며, 광고문안의 반복교체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고, 특히 유지 보수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다중식 디스플레이 광고간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 연결된 화면창(12);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된 조명기구(20); 및 상기 화면창(1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조명기구(20)의 작동에 따라 다른 광고문안이 표시되는 다중 디스플레이 수단(30)을 포함하고, 상기 다중 디스플레이 수단(30)은, 복수개의 광투과홀(32a)을 구비하며, 광고문이 그려진 불투명의 광차단막(32)과, 상기 광차단만(32)의 일측면에 위치되는 광투과성의 배경막(34)과, 상기 광차단막(32)과 배경막(34)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광차단막(32)에 그려진 광고문안과는 다른 광고문안이 그려진 광고문안막(36)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10)은 오염방지 가공장치를 통해 오염방지 가공 처리된 광고간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식 디스플레이 광고간판에 의하면, 하나의 화면창을 통해 여러가지 광고문안이 나타나는 작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고문안의 반복교체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광고효과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특히 외부에 오염방지 가공처리가 되어 광고간판의 외부 환경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 시켜 유지 보수 관리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일반적인 광고간판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간판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간판에 적용되는 다중 디스플레이 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다중 디스플레이 수단에 적용된 광차단막의 구조를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5는 도 3의 다중 디스플레이 수단의 적층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a는 외부광원만에 의해 다중 디스플레이 수단에 빛이 주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b는 외부광원 보다 강한 내부광원에 의해 다중 디스플레이 수단에 빛이 주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그리고,
도 7a 및 7b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간판의 다중 디스플레이 수단에 의해 하나의 화면창에서 다른 광고문안이 교대로 나타나는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방지 가공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방지 가공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방지 가공처리 하기 위한 제2 오염방지 가공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염방지 가공처리 하기 위한 제2 오염방지 가공장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제2 오염방지 가공장치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오염방지 가공장치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 내지 도 31은 본 발명의 오염방지 가공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 기술과 그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중식 디스플레이 광고간판은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화면창(12)과,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되는 조명기구(20)와, 상기 화면창(1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조명기구(20)의 작동에 따라 다른 광고문안이 나타나는 다중 디스플레이 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다중 디스플레이 수단(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광투화홀(32a)이 형성되고 광고문안이 그려진광차단막(32)과, 상기 광차단막(32)의 일측에 위치되는 배경막(34)과, 상기 광차단막(32)과 배경막(34) 사이에 위치되는 광고문안막(3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광차단막(32)은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고, 배경막(34)과 광고문안막(36)은 광투과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광고문안막(36)에는 광차단막(32)에 그려진 광고문안과는 다른 광고문안이 그려진다.
한편, 상기 광차단막(32)은, 광고문안이 그려진 일반적인 시트에 천공작업을 통해 광투과홀(32a)을 형성하거나, 광투과홀(32a)을 먼저 형성하고 페인팅 작업 등을 통해 광고문안을 그리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 가능한 바, 어느 경우에나 도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광투과홀(32a)은 막히지 않고 나머지 부분과의 전체적인 면적비율이 비슷하게 구성되어야 하며, 그 간격이 조밀하고 일정하게 배열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광차단막(32)과 배경막(34)의 외측면에는 각각 투명재질의 코팅막(38)이 접합됨으로써 다중 디스플레이 수단(30)은 도 5에 나타난 것과 같이, 서로 접합된 광차단막(32)과 배경막(34) 및 광고문안막(36)을 한 쌍의 코팅막(38)이 감싸는 적층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명기구(20)는 프레임(10)의 내부에 장착되는 조명등(22)과 상기 조명등(22)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온/오프스위치(24)와, 필요에 따라 조명등(22)의 작동을 자동반복하여 온/오프시키는 자동제어 스위치(26)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각 스위치(24, 26)는 사용편의상 프레임(10)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중 디스플레이 수단(30)은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광차단막(32)이 프레임(10)의 외측을 향하고 배경막(34)이 프레임(10)의 내측을 향하도록 화면창(12)에 장착됨으로써 화면창(12)을 닫을 경우 광차단막(32)이 외부에 드러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간판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에 나타난 것과 같이, 태양광 등의 외부광원에 의한 빛(화살표)은 그 일부가 광차단막(32)의 외면에 의해 반사되며, 나머지 일부가 광투과홀(32a)을 통해 광고문안막(36) 및 배경막(34) 측으로 유입되는 바, 광투과홀(32a)을 통해 유입된 빛은 반사되지 않고 광투과성이 좋은 배경막(34)과 광고문안막(36)을 통과하여 프레임(10)의 내부로 흡수되기 때문에, 조명등(22)이 꺼진 상태에서는 빛을 반사하는 광차단막(32)에 그려진 광고문안만이 화면창(12)을 통해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조명기구(20)가 작동하여 외부광원보다 강한 내부광원이 조명등(22)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에는 내부광원에서 발한 빛의 일부가 도 6b에 나타난 것과 같이, 배경막(34)과 광고문안막(36)을 통과한 다음 광투과홀(32a)을 통해 외부로 주사됨으로써 광고문안막(36)의 광고문안이 상기 광차단막(32)의 광투과홀(32a)을 통해 나타나게 된다.
이 때 실제적으로는 광차단막(32)과 광고문안막(36)에 그려진 광고문안이 비슷한 면적비율로 나타난 상태이지만 사람은 상대적으로 밝은 빛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광차단막(32)의 광고문안보다 밝게 보이는 광고문안막(32)의 광고문안만을 화면창(12)을 통해 보게 된다. 광차단막(32)의 광고문안이 사라지고 광고문안막(36)에 그려진 다른 광고문안이 화면창(12)에 나타나는 결과가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광투과홀(32a)은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분리된 형태로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해 나타나는 광고문안막(36)의 광고문안 역시 각 부분이 점점이 분리된 형태이지만, 외부광원 보다 강한 내부광원에 의한 빛이 광투과홀(32a)을 통과하여 확산되므로 화면창(12)과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진 위치에서는 이해능소실(理解能消失) 현상에 의해 비교적 온전한 형태의 광고문안을 보게 된다. 이러한 이해능소실 현상은 광고문안막(36)의 광고문안 뿐만 아니라 광차단막(32)의 광고문안을 보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되는 현상이다.
그리고, 배경막(34)은 조명등(22)에서 발한 빛이 고르게 퍼지도록 함으로써 광고문안막(36)의 광고문안이 전체적으로 일정한 밝기로 나타나도록 하며, 코팅막(38)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광차단막(32) 및 배경막(34)을 보호함과 동시에 이물질이 점착되어 광고문안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어 광차단막(32)의 광고문안이 업소명을 나타내는 문자이고, 광고문안막(36)의 광고문안이 업소의 특성을 나타내는 그림인 경우, 조명등(22)이 꺼진 상태에서는 도 7a에 나타난 것과 같이, 업소명이 화면창(12)에 나타나고, 조명등(22)이 켜진 상태에서는 도 7b에 나타난 것과 같이, 그림이 화면창(12)에 나타나게 된다. 또한, 자동제어 스위치(26)의 작동에 의하여 조명등(22)이 간헐적으로 반복하여 온/오프되면 화면창(12)에 표시되는 광고문안이 자동적으로 반복 교체되는 작용이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광고간판의 사용자는 온/오프 스위치(24)를 통해 조명등(20)을 켜거나 끄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두개의 광고문안 중 원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나타나게 할 수 있으며, 자동제어 스위치(26)를 이용하여 두 광고문안이 교대로 반복하여 나타나게 하는 등 하나의 화면창(12)을 통해 여러가지 광고문안이 나타나는 효과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방지 가공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오염방지 가공장치은, 가공대상물(즉, 전술한 구성들 중 적어도 프레임(10), 화면창(12), 디프슬레이 패널(14)등에 해당함.)에 인접하게 설치된 하나 이상의 분사유닛(110)과, 분사유닛(110)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유닛(121, 122)과, 상기 지지유닛(121, 122)을 가공대상물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유닛(130)을 포함한다. 분사유닛(110)은 경사지게 설치된 가공대상물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분사유닛(110)에는 오염방지 코팅물질이 저장된 저장탱크(113)가 연결되며, 저장탱크(113)의 오염방지 코팅물질이 공급펌프(114)의 펌핑에 의해 분사유닛(110)으로 공급된다. 이에, 분사유닛(110)은 저장탱크(113)로부터 공급된 오염방지 코팅물질을 가공대상물의 표면에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분사유닛(110)의 일측에는 간격감지센서(115)가 설치되어 분사유닛(110)과 가공대상물 사이의 간격을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함으로써 분사유닛(110)과 가공대상물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지지유닛(121, 122)은 분사유닛(110)을 지지함과 더불어, 분사유닛(110)을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하도록 구성된다. 지지유닛(121, 122)은 가공대상물의 표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가이드부(125)와, 가이드부(125)의 하단에 형성된 피벗부(126)와, 이 피벗부(126)에서 외측방향으로 가이드부(125)에 대해 일정각도로 교차되게 연장된 연장부(127)를 가진다. 가이드부(125)의 일면(즉, 가공대상물의 표면과 마주보는 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125a)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레일(125a)에는 가이드블록(111)이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되도록 설치되며, 가이드블록(111)에는 분사유닛(110)이 장착됨에 따라 분사유닛(110)은 가이드부(125)를 따라 가공대상물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피벗부(126)는 후술하는 가이드유닛(130)의 수직폴대(131)의 상단에 피벗가능하게 설치되고, 이에 가이드부(125)는 가공대상물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용이하게 그 경사각이 조절될 수 있다. 연장부(127)는 피벗부(126)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고, 연장부(127)는 가이드부(125)에 대해 일정각도로 교차하게 연장된다.
그리고, 연장부(127)의 단부에는 중심추(128, weight)가 설치되고, 이러한 중심추(128)에 의해 지지유닛(121, 122)은 그 무게 중심이 균형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125)에는 하나 이상의 처짐방지용 와이어(123)가 연결되고, 이러한 처짐방지용 와이어(123)에 의해 가이드부(125)가 가공대상물의 표면을 향해 처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처짐방지용 와이어(123)의 일단부는 가이드부(125)에 고정되고, 처짐방지용 와이어(123)의 타단부는 지지체(124)의 지지롤러(124a)에 조절가능하게 설치된다. 지지체(124)는 연장부(127)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지지롤러(124a)는 지지체(124)의 도중에 설치된다.지지유닛(121, 122)은 가공대상물의 중심선(CL)을 기준으로 상부공간(TA) 및 하부공간(LA)으로 구획하여 각 분사유닛(110)이 오염방지 코팅물질을 독립적으로 분사하도록 2개의 지지유닛(121, 122)으로 구성된다. 제1지지유닛(121)은 가공대상물의 상부공간(TA)에만 오염방지 코팅물질을 분사하도록 분사유닛(110)이 가이드부(125)의 상부 일정구간에서만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제2지지유닛(122)은 가공대상물의 하부공간(LA)에만 오염방지 코팅물질을 분사하도록 분사유닛(110)이 가이드부(125)의 하부 일정구간에서만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지지유닛(121, 122)이 가공대상물의 표면에 대해 상부공간(TA)과 하부공간(LA)으로 구획하여 독립적으로 오염방지 코팅물질을 분사함으로써 가공대상물의 표면에 대한 코팅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염방지 코팅물질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가이드유닛(130)은 지지유닛(121, 122)의 피벗부(126)가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수직폴대(131)와, 수직폴대(131)가 높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홀더(132)와, 홀더(132)를 가공대상물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133)를 포함한다. 수직폴대(131)의 상단에는 피벗연결부(134)가 형성되고, 이 피벗연결부(134)에는 지지유닛(120)의 피벗부(126)가 피벗축(135)을 매개로 피벗가능하게 설치되며, 수직폴대(131)는 홀더(132)에 높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된다. 지지유닛(121, 122)의 피벗부(126)와 수직폴대(131)의 피벗연결부(134)에는 복수의 통공(126a, 634a)들이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고, 피벗축(135)을 중심으로 피벗부(126)가 일정 각도로 피벗팅한 이후에 다울핀(16)이 피벗부(126) 및 피벗연결부(134)의 서로 맞춰진 통공(126a, 634a)들에 끼워짐으로써 지지유닛(121, 122)의 회전된 위치가 고정되고, 이에 지지유닛(121, 122)의 가이드부(125)는 가공대상물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그 경사각이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홀더(132)는 상단이 개방된 중공부를 가진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고, 홀더(132)의 중공부에는 수직폴대(131)가 높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며, 홀더(132)의 하단에는 가이드블럭(132b)이 마련된다. 수직폴대(131)와 홀더(132)에는 복수의 통공(131a, 632a)이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고, 수직폴대(131)가 홀더(132)의 중공부에 높이가 적절히 조절되어 삽입된 이후에 다월핀(1dowel pin, 38)이 수직폴대(131) 및 홀더(132)의 서로 맞춰진 통공(131a, 632a)들에 끼워짐으로써 수직폴대(131)는 홀더(132)에 높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이드레일(133)은 가공대상물이 설치된 바닥에 설치되고, 가공대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된다. 가이드레일(133)에는 홀더(132)의 가이드돌기(132b)가 가이드됨에 따라 수직폴대(131), 홀더(132) 및 지지유닛(121, 122)은 가공대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특히, 회전스크류(미도시)가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가이드블럭(132b)이 가이드레일(133)을 따라 이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홀더(132), 수직폴대(131), 지지유닛(121, 122)은 길이방향 이송속도가 매우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가이드유닛(130)의 수직폴대(131) 및 홀더(132)가 가이드레일(133)을 통해 가공대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됨에 따라 지지유닛(121, 122)들을 개별적으로 가공대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지지유닛(121, 122)에서 각 분사유닛(110)을 개별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각 분사유닛(110)은 가공대상물의 표면에 오염방지 코팅물질을 길이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매우 신속하고 균일하게 분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성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전술한 오염방지 가공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오염방지 가공장치은, 분사유닛(110)과, 상기 분사유닛(110)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유닛(121, 122)과, 상기 지지유닛(121, 122)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유닛(13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121, 122)은 소정의 가이드부(125)와, 상기 가이드부(125)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유닛(130)에 대해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피벗부(126)와, 상기 피벗부(126)에서 외측방향으로 가이드부(125)에 대해 일정각도로 교차되게 연장된 연장부(127)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유닛(130)은 상기 지지유닛(121, 122)의 피벗부(126)가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수직폴대(131)와, 상기 수직폴대(131)가 높이조절가능 하게 설치되는 홀더(132)와, 상기 홀더(132)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133)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폴대(131)의 상단에는 피벗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피벗연결부에는 상기 지지유닛(121, 122)의 피벗부(126)가 피벗축을 매개로 피벗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홀더(132)의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33)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블럭(132b)이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부(125)는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가이드부(125a)와, 상기 하부가이드부(125a)으로 부터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식의 동작 및 진퇴 동작을 수행하는 상부가이드부(125b)로 구비된다. 상기 분사유닛(110)은 상기 하부가이드부(125a) 상에 구비되는 하부분사유닛(110a)과, 상기 상부가이드부(125b) 상에 구비되는 상부분사유닛(110b)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가이드부(125)는 상호 간에 틸팅 가능한 복수의 마디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가이드부(125b) 상의 상기 상부분사유닛(110b) 둘레부 적어도 일부 상에는 분사제어모듈(140)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분사유닛(110b)의 코팅물질 분사범위 및 분사 용량을 제어한다.
상기 분사제어모듈은(140), 상기 하부가이드부(125a)의 길이방향 상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 분사제어모듈(141)과, 상기 하부가이드부(125a)의 길이방향 단부 상에서 틸트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 분사제어모듈(142) 구비되며, 상기 제1 분사제어모듈(141)은 내측면 상에 진퇴형 제1 실린더모듈(S1), 상기 제1 실린더모듈(S1)과 이웃하는 진퇴형 제2 실린더모듈(S2), 상기 제1 실린더모듈(S1)로부터 출몰되는 제1 피스톤모듈(P1), 상기 제2 실린더모듈(S2)로부터 출몰되는 제2 피스톤모듈(P2)이 구비된다. 상기 제2 분사제어모듈(142)은 내측면 상에 진퇴형 제3 실린더모듈(S3), 상기 제3 실린더모듈(S3)과 이웃하는 진퇴형 제4 실린더모듈(S4), 상기 제3 실린더모듈(S3)로부터 출몰되는 제3 피스톤모듈(P3), 상기 제4 실린더모듈(S4)로부터 출몰되는 제4 피스톤모듈(P4)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실린더모듈(S1)은 상기 제3 실린더모듈(S3)은 상호간에 대향하며, 상기 제2 실린더모듈(S2)과 상기 제4 실린더모듈(S4)은 상호간에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피스톤모듈(P1) 내지 상기 제4 피스톤모듈(P4)은 상호간에 출몰 거리 설정을 통해 상기 상부분사유닛(110b)의 코팅물질 분사범위 및 분사용량을 제어한다. 상기 제1, 2 실린더모듈(S1, S2)은 상기 제1 분사제어모듈(141)의 단부 길이방향 상에서 소정 범위로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 4 실린더모듈(S3, S4)은 상기 제2 분사제어모듈(142)의 단부 길이방향 상에서 소정 범위로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분사제어모듈(141)의 단부 상에는 제1 집게형 파지부(CL1)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분사제어모듈(142)의 단부 상에는 제2 집게형 파지부(CL2)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125)는 상기 제1 집게형 파지부(CL1)와 상기 제2 집게형 파지부(CL2)를 통해 오염방지 처리를 위한 상기 대상물을 파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오염방지 가공장치은 소정의 제1 유동모듈(150a) 상에 위치되고, 가공 대상물인 상기 대상물은 소정의 제2 유동모듈(1250b)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1 유동모듈(150a)은, 최하단 제1-1 유동부(150a1)와, 상기 제1-1 유동부(150a1)의 상단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1-2 유동부(150a2)와, 상기 제1-2 유동부(150a2)의 상단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1-3 유동부(150a3)가 구비되며, 상기 제1-1 유동부(150a1)는 하방에 소정의 제1 마감패널(150a11)이 구비되며, 상기 제1-3 유동부(150a3)는 상방에 상기 오염방지 가공장치가 거치되는 제1 거치패널(150a31)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유동모듈(1250b)은, 최하단 제2-1 유동부(150b1)와, 상기 제2-1 유동부(150b1)의 상단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2-2 유동부(150b2)와, 상기 제2-2 유동부(150b2)의 상단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2-3 유동부(150b3)가 구비되며, 상기 제2-1 유동부(150b1)는 하방에 소정의 제2 마감패널(150b11)이 구비되며, 상기 제2-3 유동부(150b3)는 상방에 상기 가공 대상물이 거치되는 제2 거치패널(150b31)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유동모듈(150a)과 상기 제2 유동모듈(1250b) 사이에는 완충모듈(160)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유동모듈(150a)과 상기 제2 유동모듈(1250b)은 상호 간에 이격 방향 또는 충돌 방향을 향해 유동됨에 있어, 상기 완충모듈(160)과의 접촉을 매개로 상호 가속유동되거나 완충 유동된다. 상기 제1, 2 실린더모듈(S1, S2)은 상기 제1 분사제어모듈(141)의 단부 길이방향 상에서 소정 범위로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 4 실린더모듈(S3, S4)은 상기 제2 분사제어모듈(142)의 단부 길이방향 상에서 소정 범위로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분사제어모듈(141)과 상기 제2 분사제어모듈(142)은, 상기 상부분사유닛(110b)을 사이에 두고 개별적으로으로 각각 유동되거나, 동시적으로 함께 유동되어 동작된다.
상기 제1-1 유동부(1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150a3)의 상기 완충모듈(160)을 향하는 내측 단부 상에는 제1 자성수단(M1)이 구비되고, 상기 제2-1 유동부(1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150b3)의 상기 완충모듈(160)을 향하는 내측 단부 상에는 제2 자성수단(M2)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자성수단(M1)과 대향하는 상기 완충모듈(160)의 일측에는 제3 자성수단(M3)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자성수단(M2)과 대향하는 상기 완충모듈(160)의 타측에는 제4 자성수단(M4)이 구비되며, 상기 제1-1 유동부(1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150a3)가 상기 완충모듈(160)을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제1 자성수단(M1)과 상기 제3 자성수단(M3)은 상호 간에 상이한 극성을 띠도록 설정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시키고, 상기 제1-1 유동부(1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150a3)가 상기 완충모듈(160)의 반대측을 향하는 제2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제1 자성수단(M1)과 상기 제3 자성수단(M3)은 상호 간에 동일한 극성을 띠도록 설정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시킨다.
상기 제2-1 유동부(1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150b3)가 상기 완충모듈(160)을 향하는 제3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제2 자성수단(M2)과 상기 제4 자성수단(M4)은 상호 간에 상이한 극성을 띠도록 설정되어,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시키고, 상기 제2-1 유동부(1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150b3)가 상기 완충모듈(160)의 반대측을 향하는 제4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제2 자성수단(M2)과 상기 제4 자성수단(M4)은 상호 간에 동일한 극성을 띠도록 설정되어, 상기 제4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시킨다. 상기 완충모듈(160)은 상기 제3 자성수단(M3)과 상기 제4 자성수단(M4) 사이에 탄성수단(1C)이 구비되어, 상기 제3 자성수단(M3)과 상기 제4 자성수단(M4)을 통해 가해지는 외력에 대응하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며, 상기 완충모듈(160)은, 상기 제1-1 유동부(1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150a3)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3 자성수단(M3)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과, 상기 제2-1 유동부(1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150b3)의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4 자성수단(M4)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며, 상기 제1-1 유동부(1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150a3)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화시키며, 상기 제3 자성수단(M3)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과, 상기 제2-1 유동부(1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150b3)의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4 자성수단(M4)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킨다. 상기 제1-1 유동부(1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150a3)의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3 자성수단(M3)에 대하여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제2-1 유동부(1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150b3)의 상기 제4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4 자성수단(M4)에 대하여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완충모듈(160)을 향하는 상기 제1 거치패널(150a31)의 단부에는 제1-1 돌기부(150a31T)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모듈(160)을 향하는 상기 제1 마감패널(150a11)의 단부에는 제1-2 돌기부(150a11T)가 구비되며, 상기 완충모듈(160)을 향하는 상기 제2 거치패널(150b31)의 단부에는 제2-1 돌기부(150b31T)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모듈(160)을 향하는 상기 제2 마감패널(150b11)의 단부에는 제2-2 돌기부(150b11T)가 구비되며, 상기 완충모듈(160)은, 상기 제3 자성수단(M3) 및 상기 제4 자성수단(M4)의 상방에는 일측으로 상기 제1-1 돌기부(150a31T)를 가고정 시키고, 타측으로 상기 제1-2 돌기부(150a11T)를 가고정 시키기 위한 제1 고정수단(161)이 구비되고, 상기 제3 자성수단(M3) 및 상기 제4 자성수단(M4)의 하방에는 일측으로 상기 제2-1 돌기부(150b31T)를 가고정 시키고, 타측으로 상기 제2-2 돌기부(150b11T)를 가고정 시키기 위한 제2 고정수단(162)이 구비된다.
상기 제1 고정수단(161)은 상기 제1-3 유동부(150a3)가 상기 제1 방향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1-1 돌기부(150a31T)를 가고정하고, 상기 제1 고정수단(161)은 상기 제2-3 유동부(150b3)가 상기 제3 방향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2-1 돌기부(150b31T)를 가고정하며, 상기 제2 고정수단(162)은 상기 제1-1 유동부(150a1)가 상기 제1 방향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1-2 돌기부(150a11T)를 가고정하고, 상기 제2 고정수단(162)은 상기 제2-1 유동부(150b1)가 상기 제3 방향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2-2 돌기부(150b11T)를 가고정하며, 상기 제1 고정수단(161)은 상기 제1-1 유동부(150a1)를 상기 제2 방향 유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1 돌기부(150a31T)의 가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제1 고정수단(161)은 상기 제2-1 유동부(150b1)의 상기 제4 방향 유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1 돌기부(150b31T)의 가고정을 해제하며, 상기 제2 고정수단(162)은 상기 제1-2 유동부(150a2)의 상기 제2 방향 유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2 돌기부(150a11T)의 가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제2 고정수단(162)은 상기 제2-2 유동부(150b2)의 상기 제4 방향 유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2 돌기부(150b11T)의 가고정을 해제하면, 상기 제1-3 유동부(150a3) 및 상기 제1-1 유동부(150a1)는 상기 완충모듈(160)의 탄성복원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 가속화되어 유동된다. 상기 제2-3 유동부(150b3) 및 상기 제2-1 유동부(150b1)는 상기 완충모듈(160)의 탄성복원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4 방향으로 가속화되어 유동되며, 상기 가고정은 강제끼움, 자성결합, 공압식 가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에 기반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유동모듈(150a)의 하부에는 제1 운송모듈(170)이 구비되어, 상기 제1 유동모듈(150a)을 일정범위 내에서 유동시키고, 상기 제2 유동모듈(1250b)의 하부에는 제2 운송모듈(180)이 구비되어, 상기 제2 유동모듈(1250a)을 일정범위 내에서 유동시키며, 상기 제1 운송모듈(170)은, 제1-1 베이스부(171)와, 상기 제1-1 베이스부(171)상에서 일정하게 유동되는 제1-2 베이스부(172)와, 상기 제1-2 베이스부(172)와 상기 제1 유동모듈(150a)의 상기 제1-1 유동부(150a1)를 결속시켜 상기 제1 유동모듈(150a)과 상기 제1 운송모듈(170)을 상호 연동시키기 위한 제1 연동부(173)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운송모듈(180)은, 제2-1 베이스부(181)와, 상기 제2-1 베이스부(181)상에서 일정하게 유동되는 제2-2 베이스부(182)와, 상기 제2-2 베이스부(182)와 상기 제2 유동모듈(1250b)의 상기 제2-1 유동부(150b1)를 결속시켜 상기 제2 유동모듈(1250b)과 상기 제2 운송모듈(180)을 상호 연동시키기 위한 제2 연동부(183)가 구비된다. 상기 제1-1 베이스부(171)는 상기 제2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을 향할수록 점차 저감되는 경사각을 가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2 베이스부(172)는 상기 제1-1 베이스부(171)와 대응하여 형합되는 형상으로서, 상기 제1-1 베이스부(171)로부터 상기 제2 방향 과 상기 제1 방향 간에 진퇴 유동되며, 상기 제2-1 베이스부(181)는 상기 제4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3 방향을 향할수록 점차 저감되는 경사각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2 베이스부(182)는 상기 제2-1 베이스부(181)와 대응하여 형합되는 형상으로서, 상기 제2-1 베이스부(181)로부터 상기 제4 방향 과 상기 제3 방향 간에 진퇴 유동된다. 상기 제2 거치패널(150b31) 상에는 상기 가공 대상물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모듈(190)이 구비되며 상기 가공 대상물은 상기 거치모듈(190) 상에 거치되며, 상기 거치모듈(190)은, 상기 제2 거치패널(150b31) 상에 구비되는 패널부(191)와, 상기 패널부(191) 상에 연직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2 거치패널(150b31)의 길이방향 및 높이 방항으로 각기 유동 가능한 적어도 한 쌍의 기둥부(192)가 구비되며, 상기 기둥부(192)의 내측면 높이방향 상에는 고정돌기(192a)가 다수로 형성되어 상기 가공 대상물을 가고정 시킨다.
도 15 내지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방지 가공처리 하기 위한 제2 오염방지 가공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오염방지 가공처리 하기 위한오염방지 가공장치은 컨베이어(200)상에서 이송되는 전술한 대상물피코팅물의 일정높이에 고정된 고정부(215)에 축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215)에배치되는 회전수단(220)에 의해 회전되는 센터 사프트(225)와, 상기 센터 사프트(225)의 상부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상방 수평보(230)와, 상기 상방 수평보(230)의 양측에 교차하게 수직으로 배치되는 사이드 수직바(240)와, 상기 상방 수평보(230)에 미끄럼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240)가 수직으로 미끄럼 결합되며, 상기 상방 수평보(230)에 고정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240)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 고정수단(242)을 구비한 이동블럭(245)과, 상기 상방 수평보(230)의 양측하부에서상기 사이드 수직바(240)에 미끄럼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240)에 고정되기 위한 제2 고정수단(247)을 구비하며, 상기 대상물에 도포되는 도포액를 공급받아 분사부(252)에 의해 대상물에 분사하는 스프레이건(250) 및 상기 스프레이건(250)에 가압된 공기를 제공하여 도포액를 상기 대상물에 분사시키는 공압펌프(2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센터 사프트(225)가 회전수단(220)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센터 사프트(225)에 고정된 상방 수평보(230)가 회전되고, 상방 수평보(230)의 양측에서 사이드 수직바(240)의 하부에 결합된 스프레이건(250)도 회전되는데, 스프레이건(250)의 회전에 의해 스프레이건(250)의 하방에서 연속적으로 이동되는 상기 대상물의 모든 면에 코팅재가 분사부(252)에서 미세하게 분사되어 고른 두께로 도포되고, 코팅재의 도포시간도 단축된다. 그리고, 상방 수평보(230)와 상기 사이드 수직바(240)에는 상기 스프레이건(250)의 수평위치 및 수직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눈금이 형성되는데, 작업자가 각 도포물에 따라 얻어진 도포액의 분사거리를 테이블화 하고, 이에 맞게 스프레이건(250)의 수평위치를 상방 수평보(230)에서 조절하고, 사이드 수직바(240)에서 수직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도포물에 맞게 미세하게 도포액을 분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고정수단(242)은 이동블럭(245)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상방 수평부에 이동블럭(245)을 고정시키는 수직나사 및 이동블럭(245)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사이드 수직바(240)를 이동블럭(245)에 고정시키는 수평나사이다.
제2 고정수단(247)은 스프레이건(250)을 사이드 수직바(240)의 하부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스프레이건(250)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회전을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어야 하는데, 사이드 수직바(240)에 스프레이건(250)을 축 결합하여 연결하는 축바가 형성되고 외주부에 원주방향으로 홀이 형성된 연결판과 연결판의 홀을 통해 스프레이건(250)에 끼워짐으로써, 스프레이건(250)의 분사각을 고정하는 핀 등으로 구성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215)의 일측에는 도포액를 공급하는 도포액 공급부(265) 및 상기 공압탱크(260)가 고정되고, 상기 센터 사프트(225)의 하부에는 상기 도포액 공급부(265)와 관(267)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스프레이건(250)에 관(267)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프레이건(250)으로 도포액의 공급을 차단하는 도포액 개폐밸브(270)를 구비한 도포액 연결부(275)가 구비되고, 상기 도포액 연결부(275)의 하부에는 상기 공압탱크(260)와 상기 스프레이건(250)에 관(267)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스프레이건으로 가압공기의 공급을 차단하는 가압공기 차단밸브(276)를 구비한 공압 연결부(277)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센터 사프트(225)에는 모터(286)나 실린더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블럭(245)을 수평으로 이동시킬 수있는 수평이동수단(280)이 구비되는데, 모터(286)에 의해 이동블럭(245)을 이동시키는경우, 모터(286)는 센터 사프트(225)에 상방 수평보(230)를 고정시키는 센터블럭(226)의 일면에 한 쌍이 고정되고, 모터(286)에는 스크류 환봉(287)에 연결되며, 스크류 환봉(287)은 이동블럭(245)의 저면부에 결합되는 암스크류(288)에 연결되고, 모터(286)의 구동에 의해 이동블럭(245)은 상방 수평보(230)에서 미끄럼이동된다. 이때, 이동블럭(245)의 이동거리는 모터(286)에 결합된 엔코더에 의해 모터(286)의 축 회전수와 모터(286)의 일회전에 의해 스크류 환봉(287)에서 이동되는 암스크류(288)의 이동거리에 의해 계산할 수 있다. 한편, 모터(286)는 제어부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 일정각도로 회전되고, 모터(286) 축의 브레이크 기능이 있는 스텝모터(286)를 사용함으로써, 제어부의 의한 모터제어가 간단해질 수 있으며, 브레이크 기능에 모터(286)축을 홀딩하여 이동블럭(245)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동블럭(245)은 모터(286)를 제어하는 제어부에 이동블럭(245)의 이동거리를 설정하고, 제어부에 의해 이동거리에 맞는 회전수로 모터(286)가 회전됨으로써 상방 수평보(230)에서 이동되는데, 이동블럭(245)의 이동 거리는 대상물에 대응하스프레이건(250)의 위치에 맞게 제어부에서 미리 설정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이동블럭(245)에는 사이드 수직바(240)를 수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290)이 구비되는데, 높이조절수단(290)도 수평이동수단(280)과 마찬가지로 모터(286)와 스크류 조합, 또는 공압 실린더의 사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는, 높이조절수단(290)은 모터(296)가 이동블럭(245)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스크류 환봉(297)이 이동블럭(245)에 축 결합되며, 모터(286)와 스크류 환봉(297)이 피니언 기어(299)로 연결되고, 스크류 환봉(297)이 스프레이건(250)에 고정된 암스크류(298)로 연결되며, 이동블럭(245)에 미끄럼 결합된 사이드 수직바(240)가 모터(296)의 구동에 의해 이동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는데, 이동블럭(245)의 이동방식과 같은 방식으로 이동거리가 계산되고, 제어부에 의해 모터(296)의 회전수가 제어됨으로써 사이드 수직바(240)는 대상물에 맞는 스프레이건(250)의 위치에 맞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레이건(250)의 분사부(252)은 스프레이건(250)의 단부에서 상기 대상물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센터사프트(225)의 회전에 의해 스프레이건(250)이 회전되는 경우, 코팅재가 상기 대상물을 향해 하방으로 고르게 분사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염방지 가공처리 하기 위한 제2 오염방지 가공장치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컨베이어(200)는 하부에 소정의 지지체(210a)가 다수 구비되며, 상기 지지체(210a)는 하단부가 소정의 체결모듈(1000)에 수용되어 결합된다. 상기 지지체(210a)는, 하방을 향하는 기둥부(210a1)와, 상기 기둥부(210a1)의 상방 제1 영역(L1)과 하방 제2 영역(L2) 사이의 측면부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연장부(210a2)가 구비된다. 도 20 내지 도 21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제2 오염방지 가공장치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스프레이건(250)의 전단부 상에는 소정의 분사부(252)와, 상기 분사부(252)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며 일정범위로 틸트 유동되는 벽체 또는 바 형상인 하나 이상의 가변부(291)가 구비되어 상기 분사부(252)로부터 분사되는 도포액의 분사범위를 조절한다. 상기 가변부(291)의 내측면 상에는 다수의 석션부(SH)구비되어 상기 분사부(252)로부터 분사되는 도포액적어도 일부를 흡입하며, 상기 가변부(291)의 외측면 상에는 에어 분사를 위한 다수의 에어 분사부(252)가 구비된다. 상기 스프레이건(250)의 상기 가변부(291)는 전체적 또는 개별적으로 정회전 동작 하거나 역회전 동작된다. 상기 스프레이건(250)의 후단부 상에는 상기 분사부(252)의 토출에 기반하는 반동을 상쇄시키기 위한 에어를 분사하는 역분사부(292)가 구비되며, 상기 스프레이건(250)의 하단부 상에는 상기 분사부(252) 및 상기 역분사부(292)의 동작에 기반하는 반동을 상쇄시키기 위한 제2 역분사부(293)가 구비된다. 상기 역분사부(292)는 틸팅구조부(PT1)를 통해 틸팅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 역분사부(293)은 좌우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코팅장치는 일정 범위로 유동 가능한 소정의 가이드 수단(GM)과, 상기 가이드 수단(GM)에 의하여 가이드되는 차단부(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차단부는, 소정 면적을 가지는 차단몸체(294)와, 상기 차단몸체(294)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 출몰부(295)와, 상기 차단몸체(294)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 출몰부(296)와, 상기 차단몸체(294)로부터 좌측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3 출몰부(297)와, 상기 차단몸체(294)로부터 우측방향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4 출몰부(미도시)가 구비된다.
도 22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차단부는 상기 차단몸체(294)로 부터 돌출된 상기 제2 출몰부(296)를 통해 상기 컨베이어(200) 상의 가공 대상물들을 상호 일정하게 이격 시킨다. 상기 스프레이건(250)은 상기 스프레이건(250)의 전단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소정의 암모듈(RB)이 구비되며, 상기 암모듈 둘레부 적어도 일부영역 상에 소정의 제1 함입홈(RH1)이 형성된다. 상기 암모듈(RB)은 소정의 관절형 가이드부(GM1)와 상기 가이드부(GM1)로부터 연장되는 본체모듈(BM)이 구비된다. 상기 암모듈(RB)은 상기 제1 함입홈(RH1) 상에 삽입되어 거치된다. 상기 제1 함입홈(RH1)의 내부에는 상기 제1 함입홈 깊이 이상으로 소정의 제2 함입홈(RH2)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암모듈(RB)의 상기 가이드부(GM)는 상기 제2 함입홈(RH2) 상에 삽입되어 거치되며, 상기 암모듈(RB)의 상기 본체모듈(BM)은 상기 제1 함입홈(RH1) 상에 삽입되어 거치된다. 상기 본체모듈(BM)은 상기 가이드부(GM)의 단부에 위치되는 히팅부(HM)와 상기 히팅부(HM)의 상방을 개폐시키는 계폐형 촬영부로 구비되며, 상기 촬영부는 제1 촬영부(CM1) 및 제2 촬영부(CM2)로 구비되어 회동을 통해 상기 히팅부(HM)의 상면을 폐쇄 또는 노출시키며, 상기 히팅부(HM)과 마주하는 상기 제1 촬영부(CM1)의 저면부 상에는 제1 단열패널(CH1)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촬영부(CM2)의 저면부 상에는 제2 단열패널(CH2)이 구비된다. 상기 히팅부(HM)의 둘레부 제1 영역에는 제5 단열패널(CH5)이 구비되며, 회동 시 상기 히팅부(HM)의 상기 제5 단열패널(CH5)과 마주접하게 되는 상기 제1 촬영부(CM1)의 둘레부 상에는 제3 단열패널(CH3)이 구비된다. 상기 히팅부(HM)의 둘레부 제2 영역에는 제6 단열패널(CH6)이 구비되며회동 시 상기 히팅부(HM)의 상기 제6 단열패널(CH6)과 마주접하게 되는 상기 제2 촬영부(CM2)의 둘레부 상에는 제3 단열패널(CH3)이 구비된다.
도 24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오염방지 가공장치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스프레이건(250)은 상기 스프레이건(250)의 전단부를 향하여 유동되는 소정의 제2 암모듈(RB2)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암모듈(RB2) 둘레부 적어도 일부영역 상에 소정의 제3 함입홈(RH3)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암모듈(RB2)은 소정의 관절형 제2 가이드부(GM2)와 상기 제2 가이드부(GM2)로부터 연장되는 제2 본체모듈(BM2)이 구비된다. 상기 제2 암모듈(RB2)은 상기 제3 함입홈(RH3) 상에 삽입되어 거치된다. 상기 제3 함입홈(RH3)의 내부에는 상기 제3 함입홈(RH3) 깊이 이상으로 소정의 제4 함입홈(RH4)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2 암모듈(RB2)의 상기 제2 가이드부(GM2)는 상기 제4 함입홈(RH4) 상에 삽입되며, 상기 제2 암모듈(RB2)의 상기 제2 본체모듈(BM2)은 상기 제3 함입홈(RH3) 상에 삽입되어 거치된다. 상기 본체모듈(BM)은 상기 제1 함입홈(RH1)에 대응하여 커브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암모듈(RB2)은 상기 제3 함입홈(RH3)에 대응하여 커브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암모듈(RB2)은, 상기 제2 가이드부(GM2) 단부상에 구비되는 제2-1 암모듈(UM)과, 상기 제2-1 암모듈(UM)로부터 왕복 유동되는 제2-2 암모듈(DM)이 구비되며, 상기 제2-1 암모듈(UM)의 저면부 상에는 출몰식 제1브러쉬(BR1)가 구비되고, 상기 제2-2 암모듈(DM)의 상면부 상에는 출몰식 제2 브러쉬(BR2)가 구비된다. 상기 제2-1 암모듈(UM)과 상기 제2-2 암모듈(DM)이 이격된상태에서, 상기 제1 브러쉬(BR1)는 상기 제2-1 암모듈(UM)로부터 돌출되어 회전하며 상기 제2 브러쉬(BR2)는 상기 제2-2 암모듈(DM)로부터 돌출되어 회전하는 브러시 회전모드로 동작되며, 상기 제2 암모듈(RB2)은 상기 브러시 회전모드 동작 상태에서 상기 제1 브러쉬(BR1)와 상기 제2 브러쉬(BR2) 사이로 상기 가변부(291) 및 상기 분사부(252) 각각을 위치되도록 하여 세척한다. 상기 제1 브러쉬(BR1) 및 상기 제2 브러쉬(BR2)는 수평방향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1 회전모드 및 수직방향 수직 방향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모드로 동작한다. 한편, 본체모듈(BM)의 상기 촬영부는 상기 가변부(291) 및 상기 분사부(252) 주변 상태를 모니터링한 이후 상기 본체모듈(BM)의 상기 히팅부(HM)는 상기 가변부(291) 및 상기 분사부(252) 주변에 열을 가하며, 상기 가변부(291) 및 상기 분사부(252) 주변에 열을 가한 이후 상기 제2 본체모듈(BM2)이 상기 가변부(291) 및 상기 분사부(252)를 세척하며, 상기 세척 이후에 상기 본체모듈(BM)의 상기 촬영부가 세척 상태를 모니터링 한다.
도 27 내지 도 31은 본 발명의 오염방지 가공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7 내지 도 31을 참조하면, 전술한 상기 제1 운송모듈(170) 및 상기 제2 운송모듈(180)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L)에 결속되어, 상기 오염방지 가공장치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시키고 진동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멀티 범퍼모듈을 개시한다. 상기 멀티 범퍼모듈은 상기 지지대(L)를 거치하기 위한 제1 범퍼모듈(10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범퍼모듈(100')은, 상기 지지대(L)의 단부 일영역이 안착되는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1 안착부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1 가압부(1112')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1 가압부(1112')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1 회전부(1113')가 구비되는 제1-1 범퍼모듈(1110')과, 상기 지지대(L)의 단부 타영역이 안착되는 제2 안착부(2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2 가압부(2112')와, 상기 제2 안착부(2111')와, 상기 제2 가압부(2112')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2 회전부(2113')가 구비되는 제1-2 범퍼모듈(211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압부(1112')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1 안착부(1111')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1 가압부(1112')의 상기 제1 안착부(1111') 대향면 상에는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S11')와,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S2')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가압부(2112')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2 가압부(2112')의 상기 제2 안착부(2111') 대향면 상에는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S21')와,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S22')가 구비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S11')의 제1-1 정보값 및 상기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S2')의 제1-2 정보값을, 상기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S21')의 제2-1 정보값과 상기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S22')의 제2-2 정보값과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S11')의 제1-1 정보값과 상기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S2')의 제1-2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S21')의 제2-1 정보값과 상기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S22')의 제2-2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상기 지지대(L)는 바(bar) 형상체이며, 상기 지지대(L)의 하단부에는 각각 상방에서 하방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며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유동 가능한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구비되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호 간에 탄성수단(CM)으로 연동되어 수평방향 간에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정합을 이루며,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기 제2 안착부(2111')와 정합을 이루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 사이에서 내부로 가압되어 안착되며,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는 각각 내부로부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을 향하는 경사면의 외부로 출몰되는 돌기(O)가 구비된다. 상기 돌기(O)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다수로 구비되고,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O)에 의하여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 상에 고정되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적어도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 접하는 접촉부가 엘라스토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기(O)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O)가 삽입된다. 상기 지지대(L)의 양측면 상에는 각각 높이방향 상으로 유동되는 승하강 수단(UP)이 구비되며, 상기 제1-1 범퍼모듈(1110')의 상기 제1 회전부(1113')와 상기 제1-2 범퍼모듈(2110')의 상기 제2 회전부(2113')의 상면부 제1 수평영역 상에는 상기 지지대(L)를 향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 유동 가능한 고정수단(HM)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고정수단(HM)은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상기 제1 안착부(1111 및 상기 제2 안착부(2111') 상에 안착된 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의 상방 노출면인 제2 수평영역 적어도 일부 가압하도록 유동되며, 상기 승하강 수단(UP)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수평영역 상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수단(HM)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하방으로 가압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수단(HM)은 상기 제2 수평영역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빗변이 상기 지지대(L) 반대편을 향하도록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직삼각형상체이며, 상기 승하강 수단(UP)은 바) 또는 플레이트 형상체로서, 챔퍼가 형성된 하단부로 둘레방향으로 회전된 상기 고정수단(HM)의 상방을 가압하되, 상기 승하강 수단(UP)은 하단부가 상기 고정수단(HM)의 빗변 적어도 일부와 형합하도록 접촉하여 가압한다. 상기 멀티 범퍼모듈은 상기 제1 범퍼모듈(110')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2 범퍼모듈(2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범퍼모듈(200')은, 상기 제1-1 범퍼모듈(1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3 안착부(3111')와, 상기 제3 안착부(3111')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3 회전부(3113')가 구비되는 제2-1 범퍼모듈(3110')과, 상기 제1-2 범퍼모듈(2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4 안착부(4111')와, 상기 제4 안착부(4111')를 수평방향 상에서 일정영역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4 회전부(4113')가 구비되는 제2-2 범퍼모듈(4110')을 포함한다. 상기 제3 안착부(3111')는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4 안착부(4111')는 상기 제2 안착부(21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3 안착부(3111')와 상기 제4 안착부(4111')는 적어도 경사면 일부가 엘라스토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안착부(3111'),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기 제3 회전부(3113') 및 상기 제4 회전부(4113')의 하방에는 상방과 하방간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펌핑모듈(PM)이 구비되며, 상기 펌핑모듈(PM)은, 하판부(BL')와, 상기 제3 안착부(3111'),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기 제3 회전부(3113') 및 상기 제4 회전부(4113')가 거치되며, 상기 하판부(BL')로부터 탄성수단 및 폄핑수단을 매개로 상방과 하방 간에 유동 가능한 상판부(UL')를 포함한다.
상기 펌핑모듈은 유체의 내장 및 토출을 위하여 유체가 내장되는 내장체(I')와, 외부 가압힘 또는 진동에 기반하여 상기 내장체(I') 상에서 일정하게 유동되어, 상기 내장체(I')의 상기 유체가 분사되도록 하기 위한 가압체(P)가 구비된다. 상기 상판부(UL')와 상기 하판부(BL')는 상호간에 인력 또는 척력을 발생시키도도록 각각 자성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내장체(I')는 수평방향 단부 상으로 분사노즐(N')이 형성되어 상기 상판부(UL')와 상기 하판부(BL')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유체를 분사하되,상기 유체는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및 폴리스티렌 중 어느 하나인 열가소성 수지이거나, 유색을 띠는 기체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L)는, 외부 하중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을 매개로 상기 제1 범퍼모듈(110') 상에 1차 안착되되, 상기 제1 회전부(1113') 및 상기 제2 회전부(2113')의 선택적인 회전동작 제어에 기반하여 상기 지지대(L)의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상기 제2 범퍼모듈(200') 상에 2차 안착되거나, 기 설정값 이상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강제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제2 범퍼모듈(200') 상에 2차 안착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0: 프레임 12: 화면창
20: 조명기구 22: 조명등
24: 온/오프 스위치 26: 자동제어 스위치
30: 다중 디스플레이 수단 32: 광차단막
PSM : 피스톤 모듈 SIM : 실린더 모듈
L(L') : 지지대

Claims (17)

  1. 오염방지 가공장치를 이용한 광고간판 가공 시스템으로서,
    광고간판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 연결된 화면창;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조명기구; 및 상기 화면창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조명기구의 작동에 따라 다른 광고문안이 표시되는 다중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오염방지 가공장치를 통해 오염방지 가공 처리되는 것이며,
    상기 오염방지 가공장치는,
    분사유닛과, 상기 분사유닛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유닛과, 상기 지지유닛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은 소정의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유닛에 대해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피벗부와, 상기 피벗부에서 외측방향으로 가이드부에 대해 일정각도로 교차되게 연장된 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지지유닛의 피벗부가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수직폴대와, 상기 수직폴대가 높이조절가능 하게 설치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폴대의 상단에는 피벗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피벗연결부에는 상기 지지유닛의 피벗부가 피벗축을 매개로 피벗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홀더의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블럭이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가이드부와, 상기 하부가이드부로부터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식의 동작 및 진퇴 동작을 수행하는 상부가이드부로 구비되며,
    상기 분사유닛은 상기 하부가이드부 상에 구비되는 하부분사유닛과, 상기 상부가이드부 상에 구비되는 상부분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가이드부는 상호 간에 틸팅 가능한 복수의 마디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가이드부 상의 상기 상부분사유닛 둘레부 적어도 일부 상에는 분사제어모듈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분사유닛의 코팅물질 분사범위 및 분사 용량을 제어하며,
    상기 분사제어모듈은,
    상기 하부가이드부의 길이방향 상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 분사제어모듈과, 상기 하부가이드부의 길이방향 단부 상에서 틸트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 분사제어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분사제어모듈은 내측면 상에 진퇴형 제1 실린더모듈, 상기 제1 실린더모듈과 이웃하는 진퇴형 제2 실린더모듈,
    상기 제1 실린더모듈로부터 출몰되는 제1 피스톤모듈, 상기 제2 실린더모듈로부터 출몰되는 제2 피스톤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2 분사제어모듈은 내측면 상에 진퇴형 제3 실린더모듈, 상기 제3 실린더모듈과 이웃하는 진퇴형 제4 실린더모듈, 상기 제3 실린더모듈로부터 출몰되는 제3 피스톤모듈, 상기 제4 실린더모듈로부터 출몰되는 제4 피스톤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실린더모듈은 상기 제3 실린더모듈은 상호간에 대향하며, 상기 제2 실린더모듈과 상기 제4 실린더모듈은 상호간에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피스톤모듈 내지 상기 제4 피스톤모듈은 상호간에 출몰 거리 설정을 통해 상기 상부분사유닛의 코팅물질 분사범위 및 분사용량을 제어하되,
    상기 제1, 2 실린더모듈은 상기 제1 분사제어모듈의 단부 길이방향 상에서 소정 범위로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 4 실린더모듈은 상기 제2 분사제어모듈의 단부 길이방향 상에서 소정 범위로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분사제어모듈의 단부 상에는 제1 집게형 파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분사제어모듈의 단부 상에는 제2 집게형 파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집게형 파지부와 상기 제2 집게형 파지부를 통해 오염방지 처리를 위한 파지를 위한 것이며, 상기 오염방지 가공장치는 소정의 제1 유동모듈 상에 위치되고, 가공 대상물은 소정의 제2 유동모듈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1 유동모듈은 ,
    최하단 제1-1 유동부와, 상기 제1-1 유동부의 상단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1-2 유동부와, 상기 제1-2 유동부의 상단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1-3 유동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1 유동부는 하방에 소정의 제1 마감패널이 구비되며, 상기 제1-3 유동부는 상방에 상기 오염방지 가공장치가 거치되는 제1 거치패널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유동모듈은,
    최하단 제2-1 유동부와, 상기 제2-1 유동부의 상단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2-2 유동부와, 상기 제2-2 유동부의 상단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2-3 유동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1 유동부는 하방에 소정의 제2 마감패널이 구비되며, 상기 제2-3 유동부는 상방에 상기 가공 대상물이 거치되는 제2 거치패널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유동모듈과 상기 제2 유동모듈 사이에는 완충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유동모듈과 상기 제2 유동모듈은 상호 간에 이격 방향 또는 충돌 방향을 향해 유동됨에 있어,
    상기 완충모듈과의 접촉을 매개로 상호 가속유동되거나 완충유동되는 것인 오염방지 가공장치를 이용한 광고간판 가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80046076A 2018-04-20 2018-04-20 다중식 디스플레이 광고간판 KR101934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076A KR101934232B1 (ko) 2018-04-20 2018-04-20 다중식 디스플레이 광고간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076A KR101934232B1 (ko) 2018-04-20 2018-04-20 다중식 디스플레이 광고간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4232B1 true KR101934232B1 (ko) 2019-04-05

Family

ID=66103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076A KR101934232B1 (ko) 2018-04-20 2018-04-20 다중식 디스플레이 광고간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42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04148A (zh) * 2023-06-29 2023-07-28 深圳市美亚迪光电有限公司 一种组合型led显示大屏的组合结构
KR102577413B1 (ko) 2023-05-17 2023-09-13 넥스트원 주식회사 안내간판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7676U (ko) * 1999-02-18 1999-05-25 안의선 외부조명등이구비된다중디스플레이식광고간판
KR19990037901A (ko) * 1999-02-18 1999-05-25 안의선 다중디스플레이식광고간판
KR200247262Y1 (ko) * 2001-06-21 2001-10-17 안의선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간판
KR200357004Y1 (ko) * 2004-04-30 2004-07-21 안의선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 간판
KR20040075790A (ko) * 2004-02-27 2004-08-30 조정웅 광고간판
KR20060116478A (ko) * 2005-05-10 2006-11-15 안의선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 간판
KR101372583B1 (ko) 2013-06-18 2014-03-13 한국산업은행 간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7676U (ko) * 1999-02-18 1999-05-25 안의선 외부조명등이구비된다중디스플레이식광고간판
KR19990037901A (ko) * 1999-02-18 1999-05-25 안의선 다중디스플레이식광고간판
KR200247262Y1 (ko) * 2001-06-21 2001-10-17 안의선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간판
KR20040075790A (ko) * 2004-02-27 2004-08-30 조정웅 광고간판
KR200357004Y1 (ko) * 2004-04-30 2004-07-21 안의선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 간판
KR20060116478A (ko) * 2005-05-10 2006-11-15 안의선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 간판
KR101372583B1 (ko) 2013-06-18 2014-03-13 한국산업은행 간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413B1 (ko) 2023-05-17 2023-09-13 넥스트원 주식회사 안내간판
CN116504148A (zh) * 2023-06-29 2023-07-28 深圳市美亚迪光电有限公司 一种组合型led显示大屏的组合结构
CN116504148B (zh) * 2023-06-29 2023-09-01 深圳市美亚迪光电有限公司 一种组合型led显示大屏的组合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4232B1 (ko) 다중식 디스플레이 광고간판
US8622750B2 (en) Whiteboard
HK1062320A1 (en) Surface light source for emitting light from two surfaces and double-side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DE69621724T2 (de) Plasmaanzeigetafel mit Oberflächenentladung
DE69637793D1 (de) Plasmaanzeigetafel mit Oberflächenentladung
DE202007013393U1 (de) Vorrichtung zur Präsentation eines Gegenstandes
CN112345541B (zh) 一种物料双面自动检测装置
US6731429B2 (en) Projection system employing a screen with moving water
CN107787451B (zh) 光致变色眼科镜片的检查单元
KR20190001331A (ko) 엘이디 광고벽체 지지장치
CN101086172A (zh) 淋浴喷头支架
EP1035369B1 (de) Beleuchtungsanordung
US6150949A (en) Optical display device
US20060107568A1 (en) Display device, particularly for traffic signs
DE69829626T2 (de) Optische punktbildanzeigevorrichtung
CN110884895B (zh) 一种入料装置
DE4305208A1 (de) Beleuchtbare Vitrine
DE69811322D1 (de) Apparat zum maschinellen bearbeiten von vertikalen tafeln
KR200243452Y1 (ko) 난반사를 이용한 광고판
CN211548316U (zh) 鳞镜pc板
EP1364847B1 (de) Behandlungsstation für Fahrzeugbehandlungsanlagen
CA1309074C (en) Assemblies and apparatus for lighting especially spotlighting
DE3404895C2 (ko)
CN206630370U (zh) 模块化临时展台的照明装置
DE19905483C2 (de) Ausstellungsgest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