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8268B1 - 우주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식물 배양용기 키트 - Google Patents

우주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식물 배양용기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8268B1
KR101068268B1 KR1020080118126A KR20080118126A KR101068268B1 KR 101068268 B1 KR101068268 B1 KR 101068268B1 KR 1020080118126 A KR1020080118126 A KR 1020080118126A KR 20080118126 A KR20080118126 A KR 20080118126A KR 101068268 B1 KR101068268 B1 KR 101068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culture
kit
container
plant
low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8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9376A (ko
Inventor
강시용
이긍주
김동섭
김진백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18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268B1/ko
Publication of KR20100059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9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008년도 한국인 최초의 우주인이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콩 및 무의 종자를 발아시켜 우주환경에서 생장을 관찰하는 과학실험 임무 중에 지상에서도 동시에 많은 어린 학생들이 실험에 참가하여 우주와 지상의 서로 다른 환경조건에서의 식물생장을 비교하는 실험을 수행할 목적으로 발명된 식물 배양용기 키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식물 배양용기 키트는, 발아생장용 배지 또는 받참대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식물 배양용기와 상기 다수개의 식물 배양용기 중 일부 식물 배양용기의 전체 외면을 감싸는 제1 단위상자와, 상기 다수개의 식물 배양용기 중 나머지 식물 배양용기의 전체 외면을 감싸되 그 상면의 일부에 창이 형성된 제2 단위상자 및 상기 제1 단위상자와 상기 제2 단위상자에 포장된 각각의 식물 배양용기를 수용하는 키트상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식물 배양용기 키트는 지상과는 전혀 다른 우주환경에서는 물론 지상의 어린이들도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식물 종자를 생육시키고 복수의 배양용기로 다양한 실험군을 구성할 수 있다.
배양용기, 키트, 식물, 종자, 우주환경, 발아생장용 배지, 받침대

Description

우주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식물 배양용기 키트{Seed sprouting vessel kit for using in space environment}
본 발명은 우주환경에서 식물의 생장을 관찰하는 과학실험 임무 중에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 어린이들과 청소년들도 손쉽게 종자의 발아 및 생장을 관찰할 수 있는 식물 배양용기 키트에 관한 것이다.
20세기 중반 이후 강대국을 중심으로 한 경쟁적인 우주개발 노력에 따라 우주선 및 우주정거장에서 인간이 체류하는 빈도와 기간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머지않은 장래에는 달과 화성 등에 장기간 인류가 거주하는 우주기지 건설의 계획도 추진되고 있다.
우주에서 인류가 장기간 체류하기 위해서는 우주선 및 우주기지 등의 폐쇄공간 내에 자급가능한 식물재배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성이 있다. 우주에서의 식물재배 필요성은 자체 식량공급 차원뿐만 아니라 장기간 저장한 가공식품이 아닌 미각 을 만족시킬 수 있는 신선식품을 제공함으로써 우주생활의 질적 향상을 도모한다.
그리고 폐쇄공간에서 발생하기 쉬운 우주인의 정서불안을 해소하고, 폐쇄공간 내의 물, 영양물질 및 가스 등을 포함하는 지속가능한 생명-환경 순환생태계의 구축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우주환경에서의 우주선은 미소중력, 우주방사선, 진공 및 약한 지구자기장 등 지구상과는 다른 환경에 노출되어 있어, 이러한 우주환경에 적합한 식물재배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지구환경에서 수억년 동안 적응 진화해 온 생명체가 이러한 우주환경에 노출될 경우 생리적 및/또는 유전적 변화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이에 따라 미국, 러시아, 유럽국가 및 일본에서는 유·무인 우주선을 이용하여 우주환경에서의 식물체의 생장특성 규명과 함께 우주공간에서의 생활을 위한 생물-생태계 유지시스템, 우주에서의 식량 및 생물자원 생산시스템 개발에 관련된 연구 등도 진행해 오고 있다. 중국 연구진은 육종연구용 우주선을 활용한 식물체의 우주환경 노출 실험을 통하여 다양한 식물의 돌연변이 품종개발을 추진 중에 있다.
국제우주정거장(ISS)의 러시아 모듈(즈베즈다)에는 라다온실이라는 소형 식물생장챔버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챔버에는 챔버 내의 온도, 습도 및 광도를 자동 조절할 수 있고 뿌리 배지 내의 수분센서로 수분상태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급수하는 수경재배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일본의 JAXA에서도 이와 같은 환경자동조절장치 및 CCD 카메라를 부착한 생장챔버를 개발하여 우주실험에 활용한 바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식물생장챔버는 무게가 많이 나가고 개발비가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ISS 내에 전용모듈을 가지고 있지 않은 나라의 우주인이 단기간 체류하면서 실험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 쓰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다. 현재까지 37개국이 우주인을 배출하였는데, 최근 과학실험 임무 우주인이 우주에서 실시하는 단기간의 종자 발아 실험의 경우 간단한 발아 키트를 만들어 사용한 사례가 있었다.
2004년도 Delta Mission으로 수행된 네덜란드 우주인 실험에서는 로케트 모양의 용기 챔버 안에 구획을 나누어 빛 조건과 암 조건을 각각 주고 종자 발아실험을 수행한 경우가 있었으며, 2006년도 브라질 최초 우주인 Marcos C. Pontes는 ISS 러시아 모듈에서 브라질 콩과식물(Astronium fraxinifolium) 씨앗의 발아실험을 실시하였는데, 각 5개의 씨앗을 사각의 펼쳐진 필터페이퍼 위 중간에 1열로 배치하고, 비닐 팩으로 밀봉한 평면상의 키트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현재 우리나라 우주개발사에 한 획을 긋고, 국민의 과학마인드 확산을 목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한국인 최초 우주인 배출사업"에 따라 최종 선발된 한국 우주인이 2008년도에 러시아의 유인우주선 소유즈에 탑승하여 ISS로 가서 1주일간 과학실험을 수행한 후 귀환할 예정이다. 따라서 한국인 최초의 우주인이 ISS에서 수행할 종자 발아실험을 위한 키트의 개발이 요구된다. 특히 청소년들에게 과학의 꿈을 심어 줄 수 있도록 우주환경에서의 종자 발아실험과 동시에 지구에서도 동일한 종자 발아실험을 진행할 예정인데, 고도로 훈련된 우주인은 물론 일반 청소년들도 쉽 게 종자 발아실험을 할 수 있는 개량된 식물 배양용기 키트를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국인 최초 우주인 배출사업"에 따라 최종 선발된 한국 우주인이 2008년도에 ISS에서 체류하며 수행할 과학실험 중에 지상의 학생들도 동시에 이와 동일한 식물종자 발아 및 생장실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식물 배양용기 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상기 식물 배양용기 키트는 청소년들도 쉽게 식물종자 발아 및 생장실험을 할 수 있도록 발명되어야 하고, 이에 따라 우주실험의 종료 후에는 일반적인 학습용의 식물 배양용기로도 활용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다수개의 식물 배양용기를 실험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실험군을 구성할 수 있도록 크기, 무게 및 기능적 특성 등을 고려하고, 청소년들도 쉽게 실험할 수 있도록 편리하게 제작되어야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 배양용기 키트는,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하부 컨테이너와, 상기 하부 컨테이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그 상면에 형성된 홀과 상기 홀을 개폐할 수 있는 마개를 포함하는 상부 덮개와, 그리고 상기 하부 컨테이너의 저장공간에 배치되는 발아생장용 배지 또는 그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받침대를 포함하는 식물 배양용기;와, 상기 다수개의 식물 배양용기 중 일부 식물 배양용기에 대하여, 상기 식물 배양용기의 전체 외면을 감싸는 제1 단위상자;와, 상기 다수개의 식물 배양용기 중 나머지 식물 배양용기에 대하여, 상기 식물 배양용기의 전체 외면을 감싸되 그 상면의 일부에 창이 형성된 제2 단위상자; 및 상기 제1 단위상자에 포장된 식물 배양용기와 상기 제2 단위상자에 포장된 식물 배양용기를 수용하는 키트상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 배양용기 키트는,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하부 컨테이너와, 상기 하부 컨테이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그 상면에 형성된 홀과 상기 홀을 개폐할 수 있는 마개를 포함하는 상부 덮개와, 그리고 상기 하부 컨테이너의 저장공간에 배치되는 발아생장용 배지 또는 그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받침대를 포함하는 식물 배양용기;와, 상기 다수개의 식물 배양용기를 그 내부에 배치된 격벽으로 분할된 공간에 각각 수용하되, 개방된 상면의 세 개의 연속된 모서리 각각에 제1 덮개와 제3 덮개 및 제2 덮개가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덮개에는 상기 다수개의 식물 배양용기 중 일부 식물 배양용기의 상면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창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식물 배양용기 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식물 배양용기는 상기 하부 컨테이너 및 상부 덮개의 단면 형상이 정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부 컨테이너와 상부 덮개의 결합은 상기 상부 덮개의 개방된 하부의 측면에 형성된 확장개구부가 상기 하 부 컨테이너에 끼워짐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하부 컨테이너 및 상부 덮개는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 특히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홀의 직경은 주사기 주입구 직경과 같거나 크도록 형성되며, 특히 상기 홀을 상기 상부 덮개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시키고 상기 마개를 상기 돌출 형성된 홀과 스트랩으로 상호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아생장용 배지는 암면이나 스펀지 또는 플로랄 폼(floral foam)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발아생장용 배지의 상면에는 식물의 씨앗이 안치될 수 있는 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하부 컨테이너의 내측면 중 대향하는 두 면의 표면에 각각 돌출 형성된 걸림턱에, 또는 상기 하부 컨테이너 내측면의 네 개의 모서리를 따라 각각 돌출 형성된 걸림살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받침대 상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구멍은 격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트상자는, 그 전면이 노출되도록 양 측면에 사선으로 절취선이 형성되고, 상기 양 측면의 절취선을 잇는 절취선이 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키트상자의 양 측면 상단으로부터 연장된 날개부에는 절취가능한 눈금자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배양용기는 "한국인 최초 우주인 배출사업"에 따라 최종 선발된 한국 우주인이 2008년도에 ISS에서 체류하며 수행할 과학실험 중에 사용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식물 배양용기는 우주선 및 우주기지 등의 폐쇄공간 내에 자급가능한 식물재배 시스템의 구축에 유용할 뿐만 아니라, 우주에서 직접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각을 만족시킬 수 있는 신선식품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폐쇄공간에서 발생하기 쉬운 우주인의 정서불안을 식물 재배과정을 통하여 해소하도록 함으로써 우주생활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게 되며, 폐쇄공간에서도 자급가능한 식물재배 시스템의 구축은 폐쇄공간 내의 물, 영양물질 및 가스 등을 포함하는 지속가능한 생명 환경 순환생태계의 구축에 이용된다.
그리고 상기 식물 배양용기는 어린이들이나 청소년들도 쉽게 식물종자 발아 및 생장실험을 할 수 있도록 발명됨에 따라 우주실험과 동시에 이와 동일한 식물종자 발아 및 생장실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우주실험의 종료 후에는 일반적인 학습용의 식물 배양용기로도 활용될 수 있으며, 다수개의 식물 배양용기를 키트로 구성하여 실험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실험군을 구성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물 배양용기에 대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에서 상기 실시예들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요소에 사용된 도면번호는, 실시예가 다른 경우에도,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했음을 주의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 배양용기 키트(100)에 사용되는 식물 배양용기(1)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식물 배양용기(1)는 그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하부 컨테이너(20)와, 상기 하부 컨테이너(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그 상면에 형성된 홀(12)과 상기 홀(12)을 개폐할 수 있는 마개(14)를 포함하는 상부 덮개(10)와, 그리고 상기 하부 컨테이너(20)의 저장공간에 배치되는 발아생장용 배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식물 배양용기(1)는 하부 컨테이너(20)와 상부 덮개(10)가 결합되어 그 내부에서 배양될 식물 종자를 보호할 수 있는 케이스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 컨테이너(20)와 상부 덮개(1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언제든지 필요에 따라 그 내부에서 발아, 성장하는 종자를 보다 자세히 관찰하거나 또는 발아생장용 배지(30)를 새로이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하부 컨테이너(20)와 상부 덮개(10)의 결합이 상부 덮개(10)의 개방된 하부의 측면을 따라 확장개구부(11)를 형성하고 여기에 하부 컨테이너(20)를 끼워넣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식물 배양용기(1) 내부의 수분이 빠져나갈 수 있는 하부 컨테이너(20)와 상부 덮개(10)의 결합부위에 존재하는 미세한 틈이 지면을 향하도록 하는 것이 수분의 유지 측면에서 보다 유리하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상기 하부 컨테이너(20)와 상부 덮개(10)의 단면 형상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그 단면의 형상을 정사각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다수개의 식물 배양용기(1)를 실험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실험군을 구성할 경우 제한된 공간 내에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하부 컨테이너(20) 및 상부 덮개(10)는, 외부에서 종자의 발아 및 성장 과정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은 폴리카보네이트인 것이 좋은데, 이는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의 투명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충격성이 매우 뛰어나 그 내부에 있는 암면 배지(30)나 종자 등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하부 컨테이너(20) 안의 저장공간에 넣어지는 발아생장용 배지(30)는 종자가 발아 및 생장할 수 있는 토양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암면(岩綿, rock wool)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암면은 암석섬유라고도 하며, 안산암·현무암 등의 암석이나 니켈·망간의 광재(鑛滓, 슬래그) 등의 혼합물에 석회석을 섞은 것을 원료로 하여 전기로에서 1,500∼1,600℃의 고열로 용융하여 노(爐) 하부의 노즐에서 흘러나온 것을 압축공기로 세게 불어서 만든 섬유이다. 이러한 발아생장용 배지(30)는 그 내부에 충분한 공극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종자가 발아하고 생장하는데 필요한 수분을 오랜 시간 동안 보유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구비되는 발아생장용 배지(30)는 반드시 암면 재질로 이루어질 필요는 없으며, 수분을 보유할 수 있는 충분한 공극을 가지는 재료, 예를 들면 스펀지나 꽃꽂이용 받침대로 널리 쓰이는 플로랄 폼(floral foam, 상표명은 오아시스임)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발아생장용 배지(30)의 상면에는 식물의 종자가 안치될 수 있는 오목한 홈(32)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특히 상기 다수개의 홈들(32)이 바둑판 모양으로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것이 종자의 생육 밀도를 균일하게 유지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상기 상부 덮개(10)의 상면에는 물을 주입하거나 또는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홀(12)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홀(12)을 개폐할 수 있는 마개(14)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식물 배양용기(1)는 상기 홀(12)을 통하여 물을 주입하게 되는데, 물을 주입할 경우 주로 주사기를 이용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홀(12)의 직경은 주사기 단부의 주입구 직경과 같거나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홀(12)을 개폐하는 마개(14)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홀(12)을 상부 덮개(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시키고 상기 마개(14)를 상기 돌출 형성된 홀(12)과 유연성이 있는 스트랩(16)으로 상호 연결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 컨테이너(20)와 상기 상부 덮개(10)의 일측면에는 눈금(18,18')이 각각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는 하부 컨테이너(20)와 상부 덮개(10)를 서로 분리하지 않고도 외부에서 쉽게 육안으로 종자가 생장한 길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특히 복수개의 식물 배양용기(1)를 사용하여 비교 실험하는 경우 비교군 사이의 성장량 차이를 확인하는 데에 매우 효과적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식물 배양용기(1')는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하부 컨테이너(20)와, 상기 하부 컨테이너(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그 상면에 형성된 홀(12)과 상기 홀(12)을 개폐할 수 있는 마개(14)를 포함하는 상부 덮개(10)와, 그리고 상기 하부 컨테이너(20)의 저장공간에 배치되되 그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42)이 형성된 받침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 배양용기(1')는, 다른 모든 구성은 앞서 설명된 일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며, 다만 상기 일실시예에 사용된 발 아생장용 배지(30) 대신에 그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42)이 형성된 받침대(40)를 사용한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상기 받침대(40)는 하부 컨테이너(20)의 내측면 중 대향하는 두 면의 표면에 각각 돌출 형성된 걸림턱(44)에 의해 지지되며, 그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멍(42)은 발아된 종자의 뿌리가 뻗어나갈 수 있는 공간으로 사용된다. 특히 상기 관통구멍(42)은 다수개가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받침대(40) 위에서 자라나는 종자의 생육 밀도를 균일하게 유지시키는데 도움을 준다는 점에서 발아생장용 배지(30) 위에 바둑판 형상으로 형성된 오목한 홈(32)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상기 받침대(40)와 걸림턱(44)에 관한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앞서 설명된 일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식물 배양용기(1')는 걸림턱(44)의 구성을 다르게 구성한 변형된 식물 배양용기(1")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변형된 식물 배양용기(1")는 상기 걸림턱(44)의 구성 대신에, 상기 하부 컨테이너(20) 내측면의 네 개의 모서리를 따라 각각 돌출 형성된 걸림살(4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살(46)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컨테이너(20) 내측면의 네 개의 모서리를 따라 상기 걸림턱(44)이 형성된 높이 정도에 이르는 길이로 미소하게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받침대(40)는 상기 걸림살(46)의 상단부에 걸쳐져서 지지 된다.
상기와 같은 걸림살(46)의 구성을 채택하는 식물 배양용기(1")의 장점은 받침대(40) 대신에 이를 발아생장용 배지(30)로 대체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걸림살(46)이 형성된 하부 컨테이너(20)는 발아생장용 배지(30)와 받침대(40)를 사용하는 경우 모두에 대하여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위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식물 배양용기(1, 1', 1")를 여러 개, 특히 네 개로 조합함으로써 하나의 식물 배양용기 키트(100)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 배양용기 키트(100)는, 각각의 식물 배양용기(1, 1', 1")의 전체 외면을 감싸는 단위상자(110', 110")와, 상기 단위상자(110', 110")로 포장된 네 개의 식물 배양용기(1, 1', 1")를 수용하는 키트상자(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위상자(110', 110")는 보편적인 상자의 형태를 가지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마분지 재질의 종이상자로 만들어진다. 상기 단위상자(110', 110")는 두 종류로 이루어지는데, 제1 단위상자(110')는 육면이 모두 폐쇄된 형태의 상자이고, 제2 단위상자(110")는 상면의 일부에 창(112)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의 상자이다. 이와 같이 단위상자를 두 종류의 단위상자(110', 110")로 구성하는 이유는, 제1 단위상자(110')는 암구(no-light) 실험을 위해서, 그리고 제2 단위상자(110")는 광구(light) 실험을 위해서이다. 본 발명의 식물 배양용기 키트(100)에는 기본적으로 두 개의 제1 단위상자(110')와 두 개의 제2 단위상자(110")가 포함되기 때문에, 두 종류의 식물 종자에 대해서 암구 및 광구 실험을 동시에 진행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네 개의 단위상자(110',110")를 수용하는 키트상자(120)도 일반적인 상자 형상을 가지며, 본 실시예에서는 단위상자(110', 110")와 마찬가지로 마분지 재질의 종이상자로 만들어진다. 상기 키트상자(120)는 하나의 실험군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른 실험군과의 구별을 쉽게 하는 동시에 보관과 관리를 편리하게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키트상자(120)가 식물 배양 실험에 보다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편의적인 구성이 추가되어 있다.
첫째는, 키트상자(120)의 전면 및 측면의 일부를 절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위상자(110', 110")를 보다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트상자(120)의 양 측면을 전면이 노출되도록 사선으로 절취하고 상기 양 측면의 절취된 끝단에 이어서 전면을 절취함으로써, 상기 키트상자(120)의 거의 절반 정도를 노출시킨다. 따라서 키트상자(120) 안에 수용된 단위상자(110', 110")의 취급과 관찰이 용이해진다. 이때 키트상자(120)의 절취가 용이하도록 절취선(122)이 미리 만들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키트상자(120)의 상면, 즉 단위상자(110', 110")를 키트상자(120)에 투입하는 덮개면은, 위와 같은 절취에 의하여 같이 떨어지지 않도록 키 트상자(120)의 후면에 붙어 있다. 상기 키트상자(120)의 상면을 절반으로 접어 후면에 끼워 넣으면 상면의 절반이 위쪽으로 솟아있게 되는데, 여기에 필요한 정보를 기입함으로써 다른 실험군과의 혼동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둘째는, 키트상자(120)의 양 측면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된 날개부(124)를 활용하여, 상기 날개부(124)에 절취가능한 눈금자(126)를 만들어 놓는 것이다. 상기 눈금자(126)는, 위에서 설명한 식물 배양용기(1, 1', 1")에 형성된 눈금(18,18')과 마찬가지로, 식물의 생장 정도를 쉽게 측정할 수 있는 보조도구로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위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식물 배양용기(1, 1', 1")를 여러 개, 특히 네 개로 조합하고 식물 배양용기 백(200)에 수용시킴으로써 하나의 식물 배양용기 키트(10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 배양용기 키트(100')의 특징은, 위에서 설명한 식물 배양용기 키트(100)와 같이 단위상자(110', 110")와 키트상자(120)를 각각 만들지 않고, 하나의 식물 배양용기 백(200)이 다수개의 식물 배양용기(1, 1', 1")를 직접 수용한다는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물 배양용기 백(200)은 상기 다수개의 식물 배양용기(1, 1', 1")를 그 내부에 배치된 십자 형상의 격벽(210)으로 분할된 공간에 각각 수용하며, 그 개방된 상면의 세 개의 연속된 모서리 각각에 제1 덮 개(220)와 제3 덮개(240) 및 제2 덮개(230)가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 덮개(220)에는 상기 다수개의 식물 배양용기(1, 1', 1") 중 일부 식물 배양용기(1, 1', 1")의 상면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창(222)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덮개(230)에는 아무런 창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상기 제1 덮개(220)에 형성된 창(222)에 의하여 외부에 노출된 일부 식물 배양용기(1, 1', 1")는 광구 실험의 대상이 되며, 그 나머지 식물 배양용기(1, 1', 1")는 암구 실험의 대상이 된다.
상기 제3 덮개(240)는 상기 제1/제2 덮개(220, 230)를 덮는 것으로서, 실험을 수행하지 않고 식물 배양용기 키트(100')를 보관할 때에 식물 배양용기 백(200)의 상면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제1/제2 덮개(220, 230)의 일부에 구비된 벨크로(250)들은 상기 덮개들(220, 230) 상호간을 탈착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고, 제3 덮개(240)와 식물 배양용기 백(200)의 일부에 구비된 벨크로(250)들은 제3 덮개(240)를 식물 배양용기 백(200)에 탈착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변경,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 배양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식물 배양용기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 배양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식물 배양용기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식물 배양용기를 다수개 수용하는 키트상자를 포함하는 식물 배양용기 키트에 대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키트상자에 형성된 절취선을 따라 전면과 양 측면의 일부를 절취한 상태에 대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식물 배양용기를 다수개 수용하는 식물 배양용기 백을 포함하는 식물 배양용기 키트에 대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식물 배양용기 10: 상부 덮개
11: 확장개구부 12: 홀
14: 마개 16: 스트랩
18,18': 눈금 20: 하부 컨테이너
30: 발아생장용 배지 32: 홈
40: 받침대 42: 관통구멍
44: 걸림턱 46: 걸림살
100, 100': 식물 배양용기 키트 110': 제1 단위상자
110": 제2 단위상자 112: 창
120: 키트상자 122: 절취선
124: 날개부 126: 눈금자
200: 식물 배양용기 백 210: 격벽
220: 제1 덮개 222: 창
230: 제2 덮개 240: 제3 덮개
250: 벨크로

Claims (17)

  1.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하부 컨테이너와, 상기 하부 컨테이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상면에 형성된 홀과 상기 홀을 개폐할 수 있는 마개를 포함하는 상부 덮개 및 상기 하부 컨테이너의 저장공간에 배치되는 발아생장용 배지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식물 배양용기;
    상기 다수개의 식물 배양용기 중 일부 식물 배양용기에 대하여, 상기 식물 배양용기의 전체 외면을 감싸는 제1 단위상자;
    상기 다수개의 식물 배양용기 중 나머지 식물 배양용기에 대하여, 상기 식물 배양용기의 전체 외면을 감싸되 그 상면의 일부에 창이 형성된 제2 단위상자; 및
    상기 제1 단위상자에 포장된 식물 배양용기와 상기 제2 단위상자에 포장된 식물 배양용기를 수용하는 키트상자;
    를 포함하는 식물 배양용기 키트.
  2.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하부 컨테이너와, 상기 하부 컨테이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상면에 형성된 홀과 상기 홀을 개폐할 수 있는 마개를 포함하는 상부 덮개 및 상기 하부 컨테이너의 저장공간에 배치되되 그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받침대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식물 배양용기;
    상기 다수개의 식물 배양용기 중 일부 식물 배양용기에 대하여, 상기 식물 배양용기의 전체 외면을 감싸는 제1 단위상자;
    상기 다수개의 식물 배양용기 중 나머지 식물 배양용기에 대하여, 상기 식물 배양용기의 전체 외면을 감싸되 그 상면의 일부에 창이 형성된 제2 단위상자; 및
    상기 제1 단위상자에 포장된 식물 배양용기와 상기 제2 단위상자에 포장된 식물 배양용기를 수용하는 키트상자;
    를 포함하는 식물 배양용기 키트.
  3.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하부 컨테이너와, 상기 하부 컨테이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상면에 형성된 홀과 상기 홀을 개폐할 수 있는 마개를 포함하는 상부 덮개 및 상기 하부 컨테이너의 저장공간에 배치되는 발아생장용 배지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식물 배양용기; 및
    상기 다수개의 식물 배양용기를 그 내부에 배치된 격벽으로 분할된 공간에 각각 수용하되, 개방된 상면의 세 개의 연속된 측면의 상단인 모서리 각각에 제1 덮개와 제3 덮개 및 제2 덮개가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덮개에는 상기 다수개의 식물 배양용기 중 일부 식물 배양용기의 상면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창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식물 배양용기 백;
    을 포함하는 식물 배양용기 키트.
  4.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하부 컨테이너와, 상기 하부 컨테이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상면에 형성된 홀과 상기 홀을 개폐할 수 있는 마개를 포함하는 상부 덮개 및 상기 하부 컨테이너의 저장공간에 배치되되 그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받침대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식물 배양용기; 및
    상기 다수개의 식물 배양용기를 그 내부에 배치된 격벽으로 분할된 공간에 각각 수용하되, 개방된 상면의 세 개의 연속된 측면의 상단인 모서리 각각에 제1 덮개와 제3 덮개 및 제2 덮개가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덮개에는 상기 다수개의 식물 배양용기 중 일부 식물 배양용기의 상면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창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식물 배양용기 백;
    을 포함하는 식물 배양용기 키트.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컨테이너 및 상부 덮개의 단면 형상이 정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배양용기 키트.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컨테이너 및 상부 덮개는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배양용기 키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은 폴리카보네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배양용기 키트.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덮개의 개방된 하부의 측면을 따라 확장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확장개구부가 상기 하부 컨테이너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상부 덮개와 상기 하부 컨테이너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배양용기 키트.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발아생장용 배지는 암면이나 스펀지 또는 플로랄 폼(floral foam)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배양용기 키트.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발아생장용 배지의 상면에는 식물의 씨앗이 안치될 수 있는 오목한 홈 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배양용기 키트.
  11.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상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구멍이 격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배양용기 키트.
  12.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컨테이너의 내측면 중 대향하는 두 면의 표면에 각각 돌출 형성된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배양용기 키트.
  13.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컨테이너 내측면의 네 개의 모서리를 따라 각각 돌출 형성된 걸림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배양용기 키트.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상부 덮개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마개는 상기 돌출 형성된 홀과 스트랩으로 상호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배양용기 키트.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컨테이너와 상기 상부 덮개의 일측면에 눈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배양용기 키트.
  1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키트상자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양 측면에 사선으로 절취선이 형성되고, 상기 양 측면의 절취선을 잇는 절취선이 전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배양용기 키트.
  1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키트상자의 양 측면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된 날개부에 절취가능한 눈금자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배양용기 키트.
KR1020080118126A 2008-11-26 2008-11-26 우주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식물 배양용기 키트 KR101068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126A KR101068268B1 (ko) 2008-11-26 2008-11-26 우주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식물 배양용기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126A KR101068268B1 (ko) 2008-11-26 2008-11-26 우주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식물 배양용기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9376A KR20100059376A (ko) 2010-06-04
KR101068268B1 true KR101068268B1 (ko) 2011-09-28

Family

ID=42360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8126A KR101068268B1 (ko) 2008-11-26 2008-11-26 우주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식물 배양용기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82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321B1 (ko) * 2017-12-29 2019-05-29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아칭 실험장치
WO2021001759A1 (en) * 2019-07-01 2021-01-07 Borroughs, LLC Integrated horticultural grow rack ki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03692A2 (ko) * 2017-05-04 2018-11-08 주식회사 메이플테크 IoT 기반 LED와 센서를 사용한 배양 용기
CN107545820B (zh) * 2017-09-22 2024-02-02 天津航天机电设备研究所 一种基于usb的便携式太空教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5331A (en) 1977-03-22 1979-01-23 Stewart Lamlee Seedling sprouter
KR19990013664U (ko) * 1997-09-27 1999-04-15 김광출 식물재배용 배양상자구조
JPH11155381A (ja) 1997-11-26 1999-06-15 Seiwa:Kk 子株栽培用トレー
JP2000209950A (ja) 1999-01-22 2000-08-02 Kobayashi Hardware Kk 室内用植物栽培キ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5331A (en) 1977-03-22 1979-01-23 Stewart Lamlee Seedling sprouter
KR19990013664U (ko) * 1997-09-27 1999-04-15 김광출 식물재배용 배양상자구조
JPH11155381A (ja) 1997-11-26 1999-06-15 Seiwa:Kk 子株栽培用トレー
JP2000209950A (ja) 1999-01-22 2000-08-02 Kobayashi Hardware Kk 室内用植物栽培キッ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321B1 (ko) * 2017-12-29 2019-05-29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아칭 실험장치
WO2021001759A1 (en) * 2019-07-01 2021-01-07 Borroughs, LLC Integrated horticultural grow rack kit
US11304384B2 (en) 2019-07-01 2022-04-19 Borroughs, LLC Integrated horticultural grow rack k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9376A (ko) 201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04682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 plant
CA2473590A1 (en) Seed germination and plant supporting utility
KR101079849B1 (ko)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
KR20150130898A (ko) 화분식 묘목 생산용 기구
KR101068268B1 (ko) 우주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식물 배양용기 키트
KR102080750B1 (ko) 인삼재배용 수경재배 화분
JP3192278U (ja) 植物栽培器具
CA2835468C (en) Container and method for raising a plant
WO2018062987A1 (en) Method and system for cultivating plant material
CN206043034U (zh) 一种植物单株幼苗水培移栽装置
JP2010029115A (ja) 植物栽培容器及び植物栽培方法
WO2017104703A1 (ja) 露地水耕栽培キット、露地水耕栽培システム、及び植物体の製造方法
US3331154A (en) Plant cultivating device
JPH01231826A (ja) 水耕栽培方法及び装置
Kahn et al. No evidence of adverse effects on germination, emergence, and fruit yield due to space exposure of tomato seeds
JPS63287478A (ja) 生物組織培養ボックス
KR20160056026A (ko) 식물 재배키트
KR102262002B1 (ko) 수경재배용 식물 고정구
JP3055811U (ja) 室内用植物栽培キット
KR20170004111U (ko) 화분형 씨앗 식재 도구
JP2009017826A (ja) 植物栽培装置、該植物栽培装置を用いた観賞用植物および植物の栽培方法
KR20170029796A (ko) 광합성 작용과 호흡작용을 동시에 관찰하고 체험할 수 있는 콩나물 재배기
KR200450756Y1 (ko) 수경 재배용 용기
JP2000209950A (ja) 室内用植物栽培キット
JP2001008549A (ja) 植物栽培用集光装置及び植物栽培キ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