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8194B1 - 발신자정보 송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발신자정보 송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8194B1
KR101068194B1 KR1020090053415A KR20090053415A KR101068194B1 KR 101068194 B1 KR101068194 B1 KR 101068194B1 KR 1020090053415 A KR1020090053415 A KR 1020090053415A KR 20090053415 A KR20090053415 A KR 20090053415A KR 101068194 B1 KR101068194 B1 KR 101068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unique
exchang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3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5006A (ko
Inventor
박형록
박명용
Original Assignee
유빈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빈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빈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3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194B1/ko
Publication of KR20100135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5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34Calling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42Notifying the called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36Arrangements for screening incoming calls, i.e.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all before deciding whether to answer 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신자정보 송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정보, 사용자 고유발신정보 및 사용자 고유발신정보 표시 서비스 가입정보를 입력받아 발신정보관리DB에 저장ㆍ관리하고, 발신교환기로 기 설정된 제1 음성정보를 전송하여 착신교환기 연결요청정보 및 사용자 고유발신정보를 전송받으며, 사용자 고유발신정보와 발신정보관리DB로부터 색인한 사용자 고유발신정보 양자가 일치하는 경우, 발신교환기로 기 설정된 제2 음성정보를 전송하는 발신자정보 처리장치;제1 음성정보를 발신단말기로 전송하고, 사용자 고유발신정보를 발신자정보 처리장치로 전송하여 제2 음성정보를 전송받은 경우, 발신단말기로 제2 음성정보를 전송하여 발신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착신단말기 고유번호 및 사용자 고유발신정보를 착신교환기로 전송하고, 착신교환기로부터 통화개시정보를 전송받아 발신단말기와 착신단말기간의 통화접속을 허여하는 발신교환기;및 착신단말기 고유번호 및 사용자 고유발신정보를 전송받아 착신단말기 고유번호와 부합하는 착신단말기로 사용자 고유발신정보를 전송하고, 착신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통화개시정보를 발신교환기로 전송하여 착신단말기와 발신단말기간의 통화접속을 허여하는 착신교환기;를 포함한다.
발신자정보, 송출, 발신교환기, 착신교환기, 발신단말기, 착신단말기

Description

발신자정보 송출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TRANSFERRING ADDRESSER DATA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발신자정보 송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화통화시 안내되는 발신자표시 부가서비스 정보 이전에, 발신자의 고유정보를 착신단말기로 송출함으로써, 착신자가 실제 통화 발신자의 고유정보를 통해 발신자를 확인토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달과 이동통신 단말기 보급이 일반화 되면서, 국민의 대다수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보유하게 되었고, 언제 어디서나 통화가 가능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통신기반을 악용하여 착신자의 의도와는 관계없이 각종 스팸전화, 영리목적의 광고전화 및 보이스 피싱(Voice Phishing) 등을 무작위로 발신하는 폐단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폐단을 예방하기 위해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수신자에게 알려 주는 서비스, 즉 번호 송신용 교환기와 수신 전화번호를 표시할 수 있는 장치를 통해 통화가 이루어지기 전에 수신자가 상대 전화번호와 상호를 인지하여 원하지 않는 전화 를 사전에 차단토록 하는 발신자번호표시서비스(caller identification presentation supplementary service)를 도입ㆍ시행하고 있다.
전술한바와 같이, 발신자번호표시서비스를 통해 전화가 걸려온 경우, 발신자의 전화번호 또는 이름을 착신자 전화기의 액정화면(LCD)에 표시됨에 따라, 착신자가 각종 장난전화, 음란전화, 폭력전화 및 광고전화의 착신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부재중에 걸려온 전화라도 추후 확인하여 재발신할 수 있다.
그러나, 발신자가 본인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아닌 타인명의의 단말기를 통해 전화하거나,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배터리소진에 따라 공중전화를 통해 전화하거나, 사무실에서 개인별 내선 직통전화가 아닌 대표전화를 통해 전화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모든 발신전화에 있어서, 착신자가 100% 발신자의 신원을 인지한 뒤 통화를 이행하기란 어렵다.
즉, 착신자가 발신자번호표시서비스를 통해 발신자 정보를 확인한다손 치더라도 확인한 발신자 정보와 발신자가 반드시 동일인이라는 보장이 없다. 따라서,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불법적으로 또는 합법적으로 취득한 제3자에 의한 전화발신이거나, 유선전화를 통한 전화발신인 경우, 착신자가 실제 발신자의 정보를 확인하지 못한 상태에서 발신자 단말기정보에만 의지하여 발신자를 추측한 뒤에 전화통화를 수행함으로써, 착신자의 안전한 전화통화를 보장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신단말기와 착신단말기간의 통화접속에 앞서, 착신단말기로의 발신자표시 부가서비스 정보 이전에, 발신단말기가 전송한 사용자 고유발신정보를 착신단말기를 통해 착신자가 확인한 이후, 전화접속을 허여함으로써, 착신자가 발신단말기 고유번호에 종속됨 없이 실제 통화 발신자의 고유정보를 전송받아 정확한 발신자를 확인토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발신단말기의 기종 즉, 휴대 단말기, 유선전화기, 자동식 구내 교환기, 인터넷전화기 및 공중전화기에 종속됨 없이 사용자 고유발신정보를 착신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착신자가 실제 통화 발신자의 고유정보를 전송받아 정확한 발신자를 확인토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발신자정보 송출 시스템은, 사용자 식별번호, 발신단말기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 사용자 고유발신정보 및 사용자 고유발신정보 표시 서비스 가입정보를 입력받아 발신정보관리DB에 저장ㆍ관리하고, 접속된 발신교환기로 기 설정된 제1 음성정보를 전송하여 착신교환기 연결요청정보 및 사용자 고유발신정보를 전송받으며, 전송받은 사용자 고유발신정보와 발신정보관리DB로부터 색인한 사용자 고유발신정보 양자가 일치하는 경우, 발신교환기로 기 설정된 제2 음성정보를 전송하는 발신자정보 처리장치; 제1 음성 정보를 접속된 발신단말기로 전송하고, 발신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고유발신정보를 발신자정보 처리장치로 전송하여 제2 음성정보를 전송받은 경우, 발신단말기로 제2 음성정보를 전송하여 발신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착신단말기 고유번호 및 사용자 고유발신정보를 착신교환기로 전송하고, 착신교환기로부터 통화개시정보를 전송받아 발신단말기와 착신단말기간의 통화접속을 허여하는 발신교환기; 및 착신단말기 고유번호 및 사용자 고유발신정보를 전송받아 착신단말기 고유번호와 부합하는 착신단말기로 사용자 고유발신정보를 전송하고, 착신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통화개시정보를 발신교환기로 전송하여 착신단말기와 발신단말기간의 통화접속을 허여하는 착신교환기; 를 포함한다.
이하, 상술한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본 발명의 발신자정보 송출 방법은, 발신자정보 처리장치가 사용자 고유발신정보 및 사용자 고유발신정보 표시 서비스 가입정보를 입력받음과 아울러 접속된 발신교환기로 기 설정된 제1 음성정보를 전송하는 (a) 단계와, 발신교환기가 제1 음성정보를 발신단말기로 전송하여 회신한 사용자 고유발신자정보를 발신자정보 처리장치로 전송하는 (b) 단계와, 발신자정보 처리장치가 발신교환기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고유발신자정보와 기 입력받은 사용자 고유발신자정보가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c) 단계와, (c) 단계의 판단결과, 기 입력받은 사용자 고유발신자정보와 발신교환기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고유발신자정보 양자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 발신자정보 처리장치가 기 설정된 제2 음성정보를 발신교환기로 전송하는 (d) 단계와, 발신교환기가 발신단말기로 제2 음 성정보를 전송하여 전송받은 착신단말기 고유번호 및 사용자 고유발신정보를 착신교환기로 전송하는 (e) 단계와, 착신교환기가 전송받은 착신단말기 고유번호와 대응하는 착신단말기로 사용자 고유발신정보를 전송하는 (f) 단계와, 착신교환기가 착신단말기로부터 통화개시정보를 전송받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g) 단계와, (g) 단계의 판단결과, 착신교환기가 착신단말기로부터 통화개시정보를 전송받는 경우, 착신교환기가 통화개시정보를 발신교환기로 전송함과 아울러 착신단말기와 발신단말기간의 통화접속을 허여하는 (h) 단계, 및 발신교환기가 통화개시정보를 전송받아 발신단말기와 착신단말기간의 통화접속을 허여하는 (i)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발신단말기와 착신단말기간의 통화접속에 앞서, 착신단말기로의 발신자표시 부가서비스 정보 이전에, 발신단말기가 전송한 사용자 고유발신정보를 착신단말기를 통해 착신자가 확인한 이후, 전화접속을 허여함으로써, 착신자가 발신단말기 고유번호에 종속됨 없이 실제 통화 발신자의 고유정보를 전송받아 정확한 발신자를 확인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신단말기의 기종 즉, 휴대 단말기, 유선전화기, 자동식 구내 교환기, 인터넷전화기 및 공중전화기에 종속됨 없이 사용자 고유발신정보를 착신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착신자가 실제 통화 발신자의 고유정보를 전송받아 정확한 발신자를 확인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 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발신자정보 송출 시스템(S)을 나타낸 구성도인바,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자정보 처리장치(100), 발신교환기(200) 및 착신교환기(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그 언급을 생략하겠으나, 본 발명에 따른 발신자정보 처리장치(100), 발신교환기(200) 및 착신교환기(300)간의 정보 전송은 유ㆍ무선을 포함하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정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자정보 처리장치(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키 입력신호에 따라 사용자 식별번호, 발신단말기 고유번호(유ㆍ무선 단말기 포함)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 사용자 고유발신정보 및 사용자 고유발신정보 표시 서비스 가입정보를 입력받아 발신정보관리DB(120)에 저장ㆍ관리하고, 접속된 발신교환기(200)로 기 설정된 제1 음성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발신자정보 처리장치(100)는 발신교환기(200)로부터 착신교환기 연결 요청정보 및 사용자 고유발신정보를 전송받으며, 발신교환기(200)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교유발신정보와 발신정보관리DB(120)로부터 색인한 사용자 고유발신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발신교환기(200)로 기 설정된 제2 음성정보를 전송한다.
반면에, 발신자정보 처리장치(100)는 발신교환기(200)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교유발신정보와 발신정보관리DB(120)로부터 색인한 사용자 고유발신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발신교환기(200)로 기 설정된 제3 음성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사용자 고유발신정보는 발신자의 사원번호, ID카드번호 또는 주민번호 중에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발신자의 조작에 의한 키 입력신호에 따라 설정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기 설정된 제1 음성정보는, 사용자 고유발신정보의 입력을 요청하는 음성정보로서, 예를 들어 "사용자 고유발신정보를 입력하시고 '#'버튼을 입력하세요."와 같은 음성이 기 녹취된 정보이다.
또한, 기 설정된 제2 음성정보는, 착신단말기 고유번호의 입력을 요청하는 음성정보로서, 예를 들어 "착신단말기 고유번호를 입력하시고 '#'버튼을 입력하세요."와 같은 음성이 기 녹취된 정보이다.
그리고, 기 설정된 제3 음성정보는, 사용자 고유발신정보가 일치하지 않음에 따라 사용자 고유발신정보 표시 서비스의 등록 또는 사용자 고유발신정보의 재입력을 요청하는 음성정보로서, 예를 들어 "입력하신 사용자 고유발신정보는 등록되지 않은 정보입니다. 등록 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용자 고유발신정보의 재입력을 원하시며 '1'버튼을 입력하세요."와 같은 음성이 기 녹취된 정보이다.
상기 제1 음성정보 내지 제3 음성정보에 포함된 녹취정보들은 전술한 예시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관리자의 설정에 따라 각각 기 녹취된 정보의 변경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발신교환기(200)는 발신자정보 처리장치(100)로부터 전송받은 제1 음성정보를 접속된 발신단말기(10)로 전송하고, 발신단말기(10)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고유발신정보를 발신자정보 처리장치(100)로 전송하여 발신자정보 처리장치(100)로부터 제2 음성정보를 전송받은 경우, 발신단말기(10)로 제2 음성정보를 전송하여 발신단말기(10)로부터 전송받은 착신단말기 고유번호 및 상기 사용자 고유발신정보를 착신교환기(300)로 전송한다.
이때, 발신교환기(200)가 발신단말기(10)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고유발신정보를 발신자정보 처리장치(100)로 전송하여 발신자정보 처리장치(100)로부터 제3 음성정보를 전송받은 경우, 정보통신망을 통해 발신단말기(10)로 제3 음성정보를 전송하고, 발신단말기(10)로부터 재차 사용자 고유발신정보를 전송받아 발신자정보 처리장치(100)로 전송한다.
또한, 발신교환기(200)는 착신교환기(300)로부터 통화개시정보를 전송받은 경우, 발신단말기(10)와 착신단말기(20)간의 정보통신망을 연결시켜 통화접속을 허여한다.
그리고, 발신교환기(200)는 착신교환기(300)로부터 통화불가정보를 전송받아 기 설정된 제4 음성정보를 발신단말기(10)로 전송하는바, 상기 제4 음성정보는 예를 들어 "착신단말기와의 통화가 불가능합니다."와 같은 음성이 기 녹취된 정보이다.
여기서, 발신단말기(10)는 휴대 가능한 통신장치로서, 정보통신망을 통해 데 이터 전송이 가능한 스마트폰(smart phone), 터치폰(touch phone), PDA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hone), 와이브로폰(wireless broadband internet phone), 및 DMB폰(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hone) 중에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아울러, 발신단말기(10)는 정보통신망과 접속된 유선전화기, 자동식 구내 교환기(PABX: Private Automatic Branch eXchange), IP를 갖는 인터넷전화기 및 공중전화기 중에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또한, 발신단말기(10)가 자동식 구내 교환기이고, 일반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특정 키 버튼(예를 들어 '9번 키 버튼')을 입력받은 뒤, 착신단말기 고유번호를 입력받아 착신단말기(20)와 통화접속을 수행한다.
또한, 발신단말기(10)가 자동식 구내 교환기이고, 개인정보 송출을 위한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특정 키 버튼(예를 들어 '8번 키 버튼')을 입력받은 뒤, 전술한 바와 같이 발신자의 사원번호, ID카드번호 또는 주민번호 중에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고유발신정보'를 입력받아 착신단말기(20)와 통화접속을 수행한다.
또한, 발신단말기(10)가 수신자부담 서비스에 따라 일반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특정 키 버튼(예를 들어 공중전화의 긴급버튼)을 입력받은 뒤, 입력받은 착신단말기 고유번호와의 접속을 3초간 연결하여 발신자의 음성을 착신자가 확인토록 하고, 착신단말기(20)로부터 특정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신호를 전송받아 착신단말기(20)와의 통화접속을 수행한다.
그리고, 발신단말기(10)가 수신자부담 서비스를 이용함과 아울러 개인정보 송출을 위한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특정 키 버튼(예를 들어 공중전화의 긴급버튼) 을 입력받은 뒤, 전술한 바와 같이 발신자의 사원번호, ID카드번호 또는 주민번호 중에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고유발신정보'를 입력받아 착신단말기(20)로 전송하고, 착신단말기(20)로부터 특정 DTMF신호를 전송받아 착신단말기(20)와의 통화접속을 수행한다.
한편, 착신교환기(300)는 발신교환기(200)로부터 착신단말기 고유번호 및 상기 사용자 고유발신정보를 전송받아 사용자 고유발신정보를 접속된 착신단말기(20)로 전송하고, 착신단말기(20)로부터 통화개시정보를 전송받은 경우, 전송받은 통화개시정보를 발신교환기(300)로 전송하여 착신단말기(20)와 발신단말기(10)간의 정보통신망을 연결시켜 통화접속을 허여한다.
이때, 착신교환기(300)가 착신단말기(20)로부터 통화불가정보를 전송받은 경우, 통화불가정보를 발신교환기(200)로 전송함과 아울러 발신교환기(200)와의 접속을 단절시킨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발신자정보 송출 시스템(S)의 발신자정보 처리장치(100)에 관한 세부 구성도이다.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신자정보 송출 시스템(S)의 기술적 사상은, 발신교환기(200)가 발신단말기(10)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고유발신정보를 착신교환기(300)를 경유하여 착신단말기(20)로 전송하고, 발신단말기(10)와의 종속됨 없는 실제 통화 발신자의 사용자 고유발신정보를 확인한 착신단말기(20)가 발신단말기(10)와의 전화통화를 수행 하는 것인 바, 발신단말기(10), 착신단말 기(20), 발신교환기(200) 및 착신교환기(300)의 일반적인 기타 구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고,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주요 부분만을 도식화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발신자정보 처리장치(100)의 입력모듈(11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키 입력신호에 따라 사용자 식별번호, 발신단말기 고유번호(유ㆍ무선 단말기 포함)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 사용자 고유발신정보 및 사용자 고유발신정보 표시 서비스 가입정보를 입력받는다.
발신자정보 처리장치(100)의 발신정보관리DB(120)는 입력모듈(110)로부터 인가받은 사용자정보, 사용자 고유발신정보 및 사용자 고유발신정보 표시 서비스 가입정보를 저장하며, 기 설정된 제1 음성정보 내지 제4 음성정보를 저장ㆍ관리한다.
발신자정보 처리장치(100)의 교환기 연결모듈(130)은 발신교환기(200)로부터 착신교환기 연결요청정보를 전송받아 기 설정된 제1 음성정보를 전송하여, 발신교환기(200)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고유발신정보와 발신정보관리DB(120)로부터 색인한 사용자 고유발신정보 양자가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양자의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 발신교환기(200)로 기 설정된 제2 음성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발신자정보 처리장치(100)의 교환기 연결모듈(130)은 발신교환기(200)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고유발신정보와 발신정보관리DB(120)로부터 색인한 사용자 고유발신정보 양자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발신교환기(200)로 기 설정된 제3 음성정보를 전송한다.
한편, 발신교환기(200)의 호 연결모듈(210)은 접속된 발신자정보 처리장 치(100)로부터 전송받은 제1 음성정보를 발신단말기(10)로 전송하고, 발신단말기(10)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고유발신정보를 발신자정보 처리장치(100)로 전송하여 제2 음성정보를 전송받은 경우, 제2 음성정보를 발신단말기(10)로 전송함과 아울러 발신단말기(10)로부터 전송받은 착신단말기 고유번호 및 사용자 고유발신정보를 착신교환기(300)로 전송한다.
여기서, 발신교환기(200)는 기 설정된 프리픽스(prefix) 정보에 따라 라우팅(최적경로: routing)을 진행하여 상기 발신자정보 처리장치(100)와 접속되고, 프리픽스 정보는 서비스 제공자의 조작에 따라 설정변경이 가능한데,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기(10)가 특번 즉, '16xx + 통화키' 또는 '0x0 + 통화키'를 통해 발신교환기(200)와 접속이 가능하다.
또한, 발신교환기(200)의 호 연결모듈(210)은 착신교환기(300)로부터 통화개시정보를 전송받아 발신단말기(10)와 착신단말기(20)간의 정보통신망을 연결시켜 통화접속을 허여하고, 착신교환기(300)로부터 통화불가정보를 전송받아 기 설정된 제4 음성정보를 발신단말기(10)로 전송한다.
반면에, 발신교환기(200)의 호 연결모듈(210)이 발신단말기(10)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고유발신정보를 발신자정보 처리장치(100)로 전송하여 제3 음성정보를 전송받은 경우, 제3 음성정보를 발신단말기(10)로 전송하여 발신단말기(10)와의 접속이 단절되기 이전까지 재차 사용자 공유발신정보의 수신을 대기한다.
그리고, 착신교환기(300)의 호 연결모듈(310)은 발신교환기(200)로부터 착신단말기 고유번호 및 상기 사용자 고유발신정보를 전송받아 사용자 고유발신정보를 접속된 착신단말기(20)로 전송하고, 착신단말기(20)로부터 기 설정된 통화개시정보를 전송받은 경우, 전송받은 통화개시정보를 발신교환기(300)로 전송하여 착신단말기(20)와 발신단말기(10)간의 정보통신망을 연결시켜 통화접속을 허여한다.
반면에, 착신교환기(300)의 호 연결모듈(310)이 착신단말기(20)로부터 기 설정된 통화불가정보를 전송받은 경우, 통화불가정보를 발신교환기(200)로 전송함과 아울러 발신교환기(200)와의 접속을 단절시킨다.
상술한 시스템(S)을 이용한 발신자정보 송출 방법에 관하여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는 본 발명에 따른 발신자정보 송출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자정보 처리장치(100)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키 입력신호에 따라 사용자정보, 사용자 고유발신정보 및 사용자 고유발신정보 표시 서비스 가입정보를 입력받음과 아울러 접속된 발신교환기(200)로 기 설정된 제1 음성정보를 전송한다(S10).
이어서, 발신교환기(200)가 발신자정보 처리장치(100)로부터 전송받은 제1 음성정보를 발신단말기(10)로 전송하여 회신한 사용자 고유발신자정보를 발신자정보 처리장치(100)로 전송한다(S20).
뒤이어, 발신자정보 처리장치(100)가 발신교환기(200)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고유발신자정보와 기 입력받은 사용자 고유발신자정보가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
상기 제S30단계의 판단결과, 기 입력받은 사용자 고유발신자정보와 발신교환기(200)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고유발신자정보 양자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 발신자정보 처리장치(100)가 기 설정된 제2 음성정보를 발신교환기(200)로 전송한다(S40).
이어서, 발신교환기(200)가 발신단말기(10)로 제2 음성정보를 전송하여 전송받은 착신단말기 고유번호 및 사용자 고유발신정보를 착신교환기(300)로 전송한다(S50).
뒤이어, 착신교환기(300)가 전송받은 착신단말기 고유번호와 대응하는 착신단말기(20)로 사용자 고유발신정보를 전송한다(S60).
뒤미처, 착신교환기(300)가 착신단말기(20)로부터 통화개시정보를 전송받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0).
제S70단계의 판단결과, 착신교환기(300)가 착신단말기(20)로부터 통화개시정보를 전송받는 경우, 착신교환기(300)가 통화개시정보를 발신교환기(300)로 전송함과 아울러 착신단말기(20)와 발신단말기(10)간의 통화접속을 허여한다(S80).
그리고, 발신교환기(200)가 착신교환기(300)로부터 통화개시정보를 전송받아 발신단말기(10)와 착신단말기(20)간의 통화접속을 허여한다(S90).
한편, 상기 제S30단계의 판단결과, 기 입력받은 사용자 고유발신자정보와 발신교환기(200)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고유발신자정보 양자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발신자정보 처리장치(100)가 기 설정된 제3 음성정보를 발신교환기(200)로 전송한다(S100).
그리고, 발신자정보 처리장치(100)가 기 설정된 제1 음성정보를 발신교환기(200)로 전송한 뒤, 상기 제S20단계로 절차를 이행한다(S110).
한편, 제S70단계의 판단결과, 착신교환기(300)가 착신단말기(20)로부터 통화불가정보를 전송받는 경우, 착신교환기(300)가 통화불가정보를 발신교환기(300)로 전송함과 아울러 발신교환기(300)와의 접속을 단절시킨다(S120).
그리고, 발신교환기(200)가 착신교환기(300)로부터 통화불가정보를 전송받아 기 설정된 제4 음성정보를 발신단말기(10)로 전송한다(S130).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발신자정보 송출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발신자정보 송출 시스템의 발신자정보 처리장치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발신자정보 송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S: 발신자정보 송출 시스템 100: 발신자정보 처리장치
110: 입력모듈 120: 발신정보관리DB
130: 교환기 연결모듈 200: 발신교환기
210: 호 연결모듈 300: 착신교환기
310: 호 연결모듈

Claims (14)

  1. 발신자정보 송출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식별번호, 발신단말기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 사용자 고유발신정보 및 사용자 고유발신정보 표시 서비스 가입정보를 입력받아 발신정보관리DB에 저장ㆍ관리하고, 접속된 발신교환기로 기 설정된 제1 음성정보를 전송하여 착신교환기 연결요청정보 및 사용자 고유발신정보를 전송받으며, 전송받은 사용자 고유발신정보와 발신정보관리DB로부터 색인한 사용자 고유발신정보 양자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발신교환기로 기 설정된 제2 음성정보를 전송하는 발신자정보 처리장치;
    상기 제1 음성정보를 접속된 발신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발신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고유발신정보를 상기 발신자정보 처리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제2 음성정보를 전송받은 경우, 상기 발신단말기로 제2 음성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발신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착신단말기 고유번호 및 상기 사용자 고유발신정보를 착신교환기로 전송하고, 상기 착신교환기로부터 통화개시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발신단말기와 착신단말기간의 통화접속을 허여하는 발신교환기; 및
    상기 착신단말기 고유번호 및 사용자 고유발신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착신단말기 고유번호와 부합하는 착신단말기로 상기 사용자 고유발신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착신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통화개시정보를 상기 발신교환기로 전송하여 상기 착신단말기와 발신단말기간의 통화접속을 허여하는 착신교환기; 를 포함하되,
    상기 발신자정보 처리장치는, 상기 발신교환기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고유발신정보와 상기 발신정보관리DB로부터 색인한 사용자 고유발신정보 양자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발신교환기로 기 설정된 제3 음성정보를 전송하되, 상기 제3 음성정보는, 상기 사용자 고유발신정보 표시 서비스의 등록 또는 사용자 고유발신정보의 재입력을 요청하는 음성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정보 송출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정보 처리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키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사용자 식별번호, 발신단말기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 사용자 고유발신정보 및 사용자 고유발신정보 표시 서비스 가입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모듈;
    상기 사용자정보, 사용자 고유발신정보 및 사용자 고유발신정보 표시 서비스 가입정보를 저장하며, 기 설정된 제1 음성정보 내지 제4 음성정보를 저장ㆍ관리하는 발신정보관리DB; 및
    상기 착신교환기 연결요청정보를 전송받아 기 설정된 제1 음성정보를 상기 발신교환기로 전송하여 전송받은 사용자 고유발신정보와 상기 발신정보관리DB로부 터 색인한 사용자 고유발신정보 양자가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양자의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 상기 발신교환기로 제2 음성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판단결과 양자의 정보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발신교환기로 기 설정된 제3 음성정보를 전송하는 교환기 연결모듈;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정보 송출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고유발신정보는,
    발신자의 사원번호, ID카드번호 또는 주민번호 중에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발신자의 조작에 의한 키 입력신호에 따라 설정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정보 송출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성정보는, 상기 사용자 고유발신정보의 입력을 요청하는 음성정보이고, 상기 제2 음성정보는, 상기 착신단말기 고유번호의 입력을 요청하는 음성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정보 송출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교환기는,
    상기 발신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고유발신정보를 상기 발신자정보 처 리장치로 전송하되, 상기 발신자정보 처리장치로부터 제3 음성정보를 전송받은 경우, 상기 발신단말기로 상기 제3 음성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제3 음성정보는, 상기사용자 고유발신정보 표시 서비스의 등록 또는 사용자 고유발신정보의 재입력을 요청하는 음성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정보 송출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교환기는,
    상기 착신교환기로부터 통화불가정보를 전송받아 기 설정된 제4 음성정보를 상기 발신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제4 음성정보는 상기 착신단말기와의 통화불가를 안내하는 음성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정보 송출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교환기는,
    상기 발신자정보 처리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제1 음성정보를 상기 발신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발신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고유발신정보를 상기 발신자정보 처리장치로 전송하여 제2 음성정보 또는 제3 음성정보를 상기 발신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제2 음성정보를 상기 발신단말기로 전송하여 전송받은 착신단말기 고유번호 및 사용자 고유발신정보를 상기 착신교환기로 전송하되,
    상기 착신교환기로부터 통화개시정보를 전송받은 경우, 상기 발신단말기와 착신단말기간의 정보통신망을 연결시켜 통화접속을 허여하고, 상기 착신교환기로부 터 통화불가정보를 전송받은 경우 기 설정된 제4 음성정보를 상기 발신단말기로 전송하는 호 연결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정보 송출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교환기는,
    상기 발신교환기로부터 착신단말기 고유번호 및 상기 사용자 고유발신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사용자 고유발신정보를 상기 착신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착신단말기로부터 기 설정된 통화개시정보를 전송받은 경우, 상기 통화개시정보를 상기 발신교환기로 전송하여 상기 착신단말기와 발신단말기간의 정보통신망을 연결시켜 통화접속을 허여하되,
    상기 착신단말기로부터 통화불가정보를 전송받은 경우, 상기 통화불가정보를 상기 발신교환기로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발신교환기와의 접속을 단절시키는 호 연결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정보 송출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단말기 및 착신단말기는,
    휴대 가능한 통신장치로서, 정보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스마트폰(smart phone), 터치폰(touch phone), PDA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hone), 와이브로폰(wireless broadband internet phone), 및 DMB폰(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hone) 중에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정보 송출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단말기 및 착신단말기는,
    정보통신망과 접속된 유선전화기, 자동식 구내 교환기(PABX: Private Automatic Branch eXchange), IP를 갖는 인터넷전화기 및 공중전화기 중에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정보 송출 시스템.
  12. 발신자정보 송출 방법에 있어서,
    (a) 발신자정보 처리장치가 사용자 고유발신정보 및 사용자 고유발신정보 표시 서비스 가입정보를 입력받음과 아울러 접속된 발신교환기로 기 설정된 제1 음성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발신교환기가 상기 제1 음성정보를 발신단말기로 전송하여 회신한 사용자 고유발신자정보를 상기 발신자정보 처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발신자정보 처리장치가 상기 발신교환기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고유발신자정보와 기 입력받은 사용자 고유발신자정보가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의 판단결과, 기 입력받은 사용자 고유발신자정보와 상기 발신교환기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고유발신자정보 양자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 상기 발신자정보 처리장치가 기 설정된 제2 음성정보를 상기 발신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발신교환기가 상기 발신단말기로 상기 제2 음성정보를 전송하여 전송받은 착신단말기 고유번호 및 사용자 고유발신정보를 착신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착신교환기가 전송받은 착신단말기 고유번호와 대응하는 착신단말기로 상기 사용자 고유발신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g) 상기 착신교환기가 상기 착신단말기로부터 통화개시정보를 전송받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h) 상기 (g)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착신교환기가 상기 착신단말기로부터 통화개시정보를 전송받는 경우, 상기 착신교환기가 상기 통화개시정보를 상기 발신교환기로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착신단말기와 발신단말기간의 통화접속을 허여하는 단계; 및
    (i) 상기 발신교환기가 상기 통화개시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발신단말기와 착신단말기간의 통화접속을 허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c) 단계의 판단결과, 기 입력받은 사용자 고유발신자정보와 상기 발신교환기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고유발신자정보 양자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발신자정보 처리장치가 기 설정된 제3 음성정보를 상기 발신교환기로 전송하는 (j) 단계; 및 상기 발신자정보 처리장치가 기 설정된 제1 음성정보를 상기 발신교환기로 전송한 뒤, 상기 (b) 단계로 절차를 이행하는 (k)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정보 송출 방법.
  13. 삭제
  14. 제 12 항에 있어서,
    (l) 상기 (g)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착신교환기가 상기 착신단말기로부터 통화불가정보를 전송받는 경우, 상기 착신교환기가 상기 통화불가정보를 상기 발신교환기로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발신교환기와의 접속을 단절시키는 단계; 및
    (m) 상기 발신교환기가 상기 착신교환기로부터 상기 통화불가정보를 전송받아 기 설정된 제4 음성정보를 상기 발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정보 송출 방법.
KR1020090053415A 2009-06-16 2009-06-16 발신자정보 송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68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415A KR101068194B1 (ko) 2009-06-16 2009-06-16 발신자정보 송출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415A KR101068194B1 (ko) 2009-06-16 2009-06-16 발신자정보 송출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5006A KR20100135006A (ko) 2010-12-24
KR101068194B1 true KR101068194B1 (ko) 2011-09-28

Family

ID=43509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3415A KR101068194B1 (ko) 2009-06-16 2009-06-16 발신자정보 송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819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3628A (ko) * 2004-07-07 2006-01-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발신자 등록을 이용한 실질적인 발신정보 제공 시스템 및이의 운용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3628A (ko) * 2004-07-07 2006-01-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발신자 등록을 이용한 실질적인 발신정보 제공 시스템 및이의 운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5006A (ko) 2010-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5247B2 (en) Method of providing message information, including call subject information, to a recipient of a telephone call
KR101022190B1 (ko) 휴대 전화 단말 및 서버
GB2466333A (en) Method for authenticating a user to a computer server and the server to the user, thus enabling an authenticated conversation or message session.
US8170542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notifying subscriber identity identity code notification apparatus
JP5353110B2 (ja) 発信元情報通知システム及び通信網内サーバ
JP2010246054A (ja) 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データ転送サーバ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100979393B1 (ko) 발/착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068194B1 (ko) 발신자정보 송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94998B1 (ko) 모바일단말기간의 피싱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EP2224712B1 (en) Method of providing message information, including call subject information, to a recipient of a telephone call
KR101936596B1 (ko) 데이터 망을 이용한 ars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6627263B2 (ja) 電話システム、発信者確認システム及び発信者確認装置
CN107172619B (zh) 基于isim的通信方法、智能终端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RU2453065C2 (ru) Способ персонального вызова пользователя телефонной сети связи
CN105681302A (zh) 一种客服交换系统
KR10060553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사업자정보표시 서비스 방법 및시스템
KR20200019908A (ko) 인증 콘텐츠 기반의 수신자 인증이 가능한 인증 시스템
JP2011135144A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KR101547994B1 (ko) 인증 콘텐츠 기반의 발신자 인증이 가능한 인증 시스템
KR20200020740A (ko) 인증 콘텐츠 기반의 발신자 및 수신자 인증이 가능한 인증 시스템
KR20200019909A (ko) 인증 콘텐츠 기반의 발신자 및 수신자 인증이 가능한 인증 시스템
KR20160031342A (ko) 인증 콘텐츠 기반의 발신자 및 수신자 인증이 가능한 인증 시스템
US20080125100A1 (en) Mobile device outbound personality portability
JP5682658B2 (ja) 通信装置及び通信端末
JP2007053595A (ja) 電話端末における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