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7520B1 - C4 분획으로부터 조 1,3-부타디엔의 회수 방법 - Google Patents

C4 분획으로부터 조 1,3-부타디엔의 회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7520B1
KR101067520B1 KR1020057021990A KR20057021990A KR101067520B1 KR 101067520 B1 KR101067520 B1 KR 101067520B1 KR 1020057021990 A KR1020057021990 A KR 1020057021990A KR 20057021990 A KR20057021990 A KR 20057021990A KR 101067520 B1 KR101067520 B1 KR 101067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stream
separation wall
region
wall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1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9363A (ko
Inventor
베른드 헤이다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에스이 filed Critical 바스프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060009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9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7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7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7/00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 C07C7/04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by distillation
    • C07C7/05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by distillation with the aid of auxiliary compounds
    • C07C7/08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by distillation with the aid of auxiliary compounds by extractive distil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1/00Aliphatic unsaturated hydrocarbons
    • C07C11/12Alkadienes
    • C07C11/16Alkadienes with four carbon atoms
    • C07C11/1671, 3-Butadie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3/00Distillation: processes, separatory
    • Y10S203/20Power pla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Mechanical Treatment Of Semiconduc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 벽 (T)이 컬럼의 종 방향으로 배열되어 제1 부분영역 (A), 제2 부분영역 (B) 및 하부 공통 컬럼 영역 (C)을 형성하고 추출성 스크러빙 컬럼 (K)이 상기 분리 벽 컬럼의 상류에 배열된 분리 벽 컬럼 (TK)에서 선택적 용매를 사용한 추출성 증류에 의해 C4 분획으로부터 조 1,3-부타디엔을 회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분리 벽 컬럼 (TK)의 운전은 정제된 용매로 이루어진 저부 스트림 (17)이 분리 벽 컬럼 (TK)으로부터 수득될 수 있도록, 저부 증발기 (V)를 사용하여 분리 벽 컬럼 (TK)으로의 에너지 투입량을 조절하고 하부 공통 컬럼 영역 (C)에서 이론적 플레이트 수를 설정하여 조정된다.
분리 벽 컬럼, C4 분획, 조 1,3-부타디엔, 이론적 플레이트

Description

C4 분획으로부터 조 1,3-부타디엔의 회수 방법 {Method for Obtaining Crude 1,3-Butadiene from a C4 Fraction}
본 발명은 선택적 용매를 사용한 추출성 증류에 의해 C4 분획으로부터 조 1,3-부타디엔을 회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C4 분획으로부터 조 1,3-부타디엔의 회수는 C4 분획의 성분의 상대적 휘발성 차이가 적으므로 복잡한 증류 문제가 있다. 따라서, 추출성 증류, 즉, 분별될 혼합물의 비점보다 더 높은 비점을 가지며 분리될 성분의 상대적 휘발성 차이를 증가시키는 추출제를 첨가한 증류에 의해 분별이 수행된다. 적당한 추출제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C4 분획이 추출성 증류에 의해 분별되어 조 1,3-부타디엔 분획을 수득할 수 있으며, 조 1,3-부타디엔 분획은 후속으로 1,3-부타디엔보다 덜 가용성인 탄화수소, 특히 부탄 및 부텐을 포함하는 스트림, 및 1,3-부타디엔보다 더 쉽게 용해되는 탄화수소, 특히 부틴 및 혹은 1,2-부타디엔을 포함하는 스트림과 함께, 순수한 증류 칼럼에서 추가로 정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조 1,3-부타디엔은 부탄 및 부텐 9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부탄 및 부텐 96 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부탄 및 부텐 99 중량% 이상, 및 동시에 C4-아세틸렌 9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C4-아세틸렌 96 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C4-아세틸렌 99 중량% 이상이 분리되는, C4 분획으로부터 수득된 탄화수소 혼합물이다. 조 1,3-부타디엔은 자주 가치있는 생성물로서 8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95 중량% 비율의 1,3-부타디엔을 포함하며, 나머지는 불순물이다.
다른 한편으로, 용어 순수한 1,3-부타디엔은 가치있는 생성물로서 99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99.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99.7 중량%의 1,3-부타디엔을 포함하며, 나머지는 불순물인 탄화수소 혼합물을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DE 101 05 660.5는 C4 분획의 분별을 분리 벽 컬럼의 상단부까지 연장되는 분리 벽 및 분리 벽 컬럼의 상류에 설치된 추출성 스크러빙 컬럼을 포함하는 분리 벽 컬럼에서 수행하는 구식 방법에 비해서 더욱 단순한 장치의 구조를 사용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언급된 DE 101 05 660.5의 개시는 전문이 본 특허 출원에 인용문헌으로 도입된다.
DE 101 05 660.5의 방법에서, 부분적으로 탈기된 용매 스트림은 추출성 증류에 사용된 분리 벽 컬럼의 저부로부터 취출된다. 용어 "부분적으로 탈기된 용매"는 1,3-부타디엔 단리를 위한 추출성 증류 분야에서 당업자에게 공지된 것이고 분별될 C4 분획의 용해된 성분, 즉 선택적 용매에 대해 가장 큰 친화력을 갖는 성분이 여전히 존재하는 선택적 용매를 나타낸다. 이들 성분은 특히, C4-아세틸렌, 특히 에틸아세틸렌 및 비닐아세틸렌을 포함한다.
그러나, 단지 부분적으로 탈기된 용매 스트림은 추출성 증류 공정으로 거의 재순환될 수 없는데, 왜냐하면 재순환될 경우 아세틸렌이 축적되어 기준에서 벗어난 생성물이 생성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분리 벽 컬럼으로부터 취출된 저부 스트림은 일차로 예를 들어 DE-A 27 24 365로부터 공지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탈기된 스트림이 취출되는 컬럼의 저부보다 더 낮은 압력에서 운전되는 탈기 컬럼에 공급되어야 하고, 이후에 저부 스트림이 추출성 증류 공정으로 재순환된다. 탈기 컬럼에서, 부분적으로 탈기된 용매 스트림이 후처리되어 저부에서는 정제된, 즉 완전히 탈기된, 용매 및 탈기 컬럼의 상부에서는 기체 히드로카르보네이트 스트림이 생성되고, 후자의 스트림은 콤프레서를 통해 추출성 증류 컬럼의 하부 영역으로 재순환된다.
본원에서, 용어 정제된 용매 또는 완전히 탈기된 용매는 조 1,3-부타디엔 및 라피네이트 1에 대한 규정된 기준에 부합하기 위해, C4 분획의 추출성 증류에서 선택적 용매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할 정도로 C4 분획으로부터의 성분들이 고갈된 용매를 나타낸다. 핵심 성분은 C4-아세틸렌, 특히 에틸아세틸렌 및 비닐아세틸렌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추출성 증류에 의해 C4 분획으로부터 조 1,3-부타디엔을 회수하고 추출성 증류 컬럼의 저부로부터 직접 정제된 용매를 수득하는 더욱 경제적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분리 벽 (T)이 컬럼의 종 방향으로 배열되어 제1 부분영역 (A), 제2 부분영역 (B) 및 하부 공통 컬럼 영역 (C)을 형성하고 추출성 스크러빙 컬럼 (K)이 앞에 있는 분리 벽 컬럼 (TK)에서 선택적 용매를 사용한 추출성 증류에 의해 C4 분획으로부터 조 1,3-부타디엔을 회수하는 방법으로부터 시작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분리 벽 컬럼 (TK)의 운전은 정제된 용매로 이루어진 저부 스트림 (17)이 분리 벽 컬럼 (TK)으로부터 수득되도록 저부 증발기 (V)를 통해 분리 벽 컬럼 (TK)으로의 에너지 투입량을 조절하고 하부 공통 컬럼 영역 (C)의 이론적 플레이트의 수를 설정함으로써 조정된다.
놀랍게도 추출성 증류 공정으로 재순환될 수 있는 정제된 용매를 상기 목적을 위해 필요했던 추가 탈기 컬럼이 없어도 추출성 증류 컬럼의 저부로부터 직접 취출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 저부 증발기를 통해 추출성 증류 컬럼으로의 에너지 투입량 및 분리 벽 컬럼으로서 형성된 추출성 증류 컬럼의 하부 공통 컬럼 영역의 이론적 플레이트의 수를 설정함으로써 추출성 증류 컬럼의 저부로부터 정제된 용매의 취출을 허용하는 운전 조건을 얻는 것이 가능하며 충분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출발 혼합물로서 사용될 C4 분획은 주로 분자당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탄화수소의 혼합물이다. C4 분획은 예를 들어, 석유 분획 예컨대 액화석유가스, 경질 나프타 또는 가스 오일의 열 크래킹에 의한 에틸렌 및(또는) 프로필렌의 제조시 수득된다. 또한, C4 분획은 n-부탄 및(또는) n-부텐의 촉매적 탈수소화에서 수득된다. C4 분획은 일반적으로 부탄, n-부텐, 이소부텐, 1,3-부 타디엔 및 소량의 C3- 및 C5-탄화수소, 및 또한 부틴, 특히 1-부틴(에틸 아세틸렌) 및 부테닌(비닐아세틸렌)을 포함한다. 1,3-부타디엔 함량은 일반적으로 10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 중량%, 특히 30 내지 60 중량%이고, 반면에 비닐아세틸렌 및 에틸아세틸렌의 함량은 일반적으로 5 중량%를 초과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분리 문제, 다시 말하면 C4 분획으로부터 1,3-부타디엔의 회수를 위해서, 가능한 추출제, 즉 서두에 정의된 추출성 증류용 선택적 용매는 일반적으로 분별될 혼합물의 비점보다 더 높은 비점을 가지며 단순한 이중 결합 또는 단일 결합보다 공액 이중 결합 및 삼중 결합에 대해 더 큰 친화력을 갖는 물질 또는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2극성 용매, 특히 바람직하게는 2극성 비양성자성 용매이다. 장치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서 비부식성이거나 거의 부식성을 갖지 않는 물질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 적합한 선택적 용매는 예를 들어, 부티로락톤, 니트릴, 예컨대 아세토니트릴, 프로피오니트릴, 메톡시프로피오니트릴, 케톤, 예컨대 아세톤, 푸르푸랄, N-알킬-치환된 저급 지방산 아미드, 예컨대 디메틸포름아미드, 디에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에틸아세트아미드, N-포르밀모르폴린, N-알킬-치환된 시클릭 산 아민 (락탐), 예컨대 N-알킬피롤리돈, 특히 N-메틸피롤리돈이다. 일반적으로, N-알킬-치환된 저급 지방산 아미드 또는 N-알킬-치환된 시클릭 산 아미드가 사용된다. 특히 유리한 추출제는 디메틸포름아미드, 아세토니트릴, 푸르푸랄 및, 특히 N-메틸피롤리돈이다.
또한 상기 용매의 혼합물, 예를 들어 아세토니트릴과 N-메틸피롤리돈의 혼합물, 및 상기 용매와 공용매, 예컨대 물 및(또는) tert-부틸 에테르, 예를 들어 메틸 tert-부틸 에테르, 에틸 tert-부틸 에테르, 프로필 tert-부틸 에테르, n-부틸 tert-부틸 에테르 또는 이소부틸 tert-부틸 에테르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유용한 추출제는 본문에서 간략히 NMP로 나타낸, N-메틸피롤리돈이며, 바람직하게는 수용액, 특히 7 내지 10 중량%의 물, 특히 바람직하게는 8.3 중량%의 물을 함유하는 수용액 중의 N-메틸피롤리돈이다.
추출성 증류는 분리 벽이 컬럼의 종 방향으로 배열되어 제1 부분영역, 제2 부분영역 및 하부 공통 컬럼 영역이 형성되고 상류 추출성 스크러빙 컬럼에 연결된 분리 벽 컬럼에서 수행된다.
공지된 바와 같이 분리 벽 컬럼은 비교적 복잡한 분리 과제, 일반적으로 각각 순수한 형태로 수득되어야 하는 3종 이상의 성분의 혼합물의 분리에 사용된다. 이들은 컬럼의 부분영역에서 액체와 증기 스트림의 교차(transverse) 혼합을 방지하는 분리 벽, 즉 일반적으로 컬럼의 종 방향으로 정렬된 편평한 금속 시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분리 벽이 컬럼의 최고 지점까지 연장되어 오직 하부 공통 컬럼 영역에서만 액체와 증기 스트림의 혼합을 허용하는, 특별한 구조를 갖는 분리 벽 컬럼이 사용된다. 제1 및 제2 부분영역은 분리 벽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추출성 스크러빙 컬럼은 향류식 스크러빙 컬럼이다.
본 발명의 공정을 수행하는 바람직한 방식에 있어서,
- C4 분획이 분리 벽 컬럼의 제1 부분영역, 바람직하게는 제1 부분영역의 중간 영역에 공급되고,
- 분리 벽 컬럼의 제1 부분영역의 상부로부터 취출된 스트림이 추출성 스크러빙 컬럼의 상부 영역에 공급되고,
- 추출성 스크러빙 컬럼의 상부 영역에서 선택적 용매의 제1 부분스트림으로 처리함으로써 추출성 스크러빙 컬럼에서 향류식 추출이 수행되고,
- 선택적 용매 중에서 1,3-부타디엔보다 덜 가용성인 C4 분획의 성분이 추출성 스크러빙 컬럼의 상부에서 취출되고,
- 추출성 스크러빙 컬럼으로부터 저부 스트림이 분리 벽 컬럼의 제1 부분영역의 상부 영역으로 재순환되고,
- 선택적 용매의 제2 부분스트림이 분리 벽 칼럼의 제2 부분영역의 상부 영역에 공급되고,
- 분리 벽 컬럼의 제2 부분영역 (B)으로부터 상부 생성물이 조 1,3-부타디엔으로 취출되며,
- 정제된 용매로 이루어진 저부 스트림이 분리 벽 컬럼의 하부 공통 컬럼 영역으로부터 취출되고 공정으로 재순환된다.
따라서 분별될 C4 분획이 분리 벽 컬럼의 제1 부분영역, 특히 바람직하게 는 중간 영역에 공급되고; 분리 벽 컬럼의 제1 부분영역의 상부로부터의 스트림은 상류 추출성 스크러빙 컬럼의 하부 영역으로 재순환되고, 추출성 스크러빙 컬럼의 상부 영역에서 선택적 용매의 제1 부분스트림으로 처리함으로써 추출성 스크러빙 컬럼에서 향류식 추출이 수행되고, 선택적 용매 중에서 1,3-부타디엔보다 덜 가용성인 C4 분획의 성분이 추출성 스크러빙 컬럼의 상부에서 취출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추출성 스크러빙 컬럼의 상부에 있는 응축기에서 응축되어 런백(runback)으로 부분적으로 추출성 스크러빙 컬럼으로 복귀되고 나머지는 종종 라피네이트 1로서 칭하는, 주로 부탄- 및 부텐-함유 부산물로 취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성 스크러빙 컬럼의 저부로부터 스트림, 즉 선택적 용매, 1,3-부타디엔, 부탄, 부텐 및 선택적 용매 중에서 1,3-부타디엔보다 더욱 가용성인 C4 분획의 성분을 포함하는 스트림의, 분리 벽 컬럼의 제1 부분영역의 상부 영역으로의 재순환 및 상기 스트림과 분리 벽 컬럼의 제1 부분영역의 상부 영역에 증기 형태로 도입된 C4 분획 사이의 물질 전달의 결과로서, 분리 벽 컬럼의 제1 부분영역의 상부에서 선택적 용매 중에서 1,3-부타디엔보다 덜 가용성인 성분의 방출과 함께 향류식 추출이 일어날 수 있다.
분리 벽의 하단부에서, 선택적 용매 중에서 1,3-부타디엔보다 더욱 가용성인 C4 분획의 성분, 특히 C4-아세틸렌과 함께 1,3-부타디엔을 포함하는 기체 스트림이 수득된다. 이들은 분리 벽 컬럼의 제2 부분영역의 상부 영역으로 도입된 선택적 용매의 제2 부분스트림에 의해 상승하는 기체 스트림으로부터 향류식으로 스 크러빙된다. 분리 벽 컬럼의 제2 부분영역의 상부로부터의 기체 생성물은 취출되고 바람직하게는 컬럼의 상부에 있는 응축기에서 응축되고, 응축된 상부 스트림의 부분스트림은 런백으로 분리 벽 컬럼의 부분영역 (B)으로 복귀되며, 응축된 상부 스트림의 나머지는 조 1,3-부타디엔으로 취출된다.
하부 공통 컬럼 영역에서, 용매의 완전한 탈기가 일어나고, 정제된 용매가 추출성 증류 컬럼의 저부에서 수득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필요한 추출성 증류 컬럼의 저부 증발기를 통한 에너지 투입량 결정에 있어서, 공정 엔지니어는 이러한 특수한 경우에 선택적 용매로서 사용되는 물질 또는 물질 혼합물의 내열성(thermal stressability)를 고려할 것이다.
선택적 용매의 내열성이 허용된다면, 추출성 증류 컬럼의 저부의 온도는 유리하게 추출성 증류 컬럼의 상부에서 여전히 강물이 응축에 사용되도록 충분히 높게 설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특수한 경우에 사용된 선택적 용매의 내열성이 저부에서 정제된 용매를 수득하는데 필요한 온도에서 충분하지 않는 경우에, 컬럼은 선택적 용매에 대해 여전히 허용되는 컬럼의 저부의 온도로 운전되어야하므로, 강물보다 더욱 비싼 냉각제가 컬럼의 상부에서 냉각을 위해 사용되어야 한다.
상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히 바람직한 선택적 용매는 NMP, 바람직하게는 수용액, 특히 7 내지 10 중량%의 물, 특히 바람직하게는 8.3 중량%의 물을 함유하는 수용액 중의 NMP이다.
NMP가 선택적 용매로 사용되는 경우에, 추출성 증류 컬럼의 저부에서 온 도는 바람직하게는 170 내지 190℃, 특히 바람직하게는 180℃의 값으로 설정된다. 분리 벽 컬럼으로 형성된 추출성 증류 컬럼의 제2 부분영역의 상부에서 압력은 상응하게 1 내지 10 bar (절대압력),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 bar (절대압력), 특히 바람직하게는 3.5 bar (절대압력)의 값으로 설정된다.
원칙적으로 추출성 증류 컬럼의 상류에 별도로 설치된 추출성 스크러빙 컬럼에서, 부탄 및 부텐을 포함하는 부산물, 다시 말하면 라피네이트 1을 회수할 필요는 없다. 또한, 분리 벽 컬럼의 제1 부분영역에서 이론적 플레이트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기술적으로 실행가능하며 경제적으로 실행가능하여 공정을 위한 특정 경계 조건, 특히 분별될 C4 분획의 조성 및 라피네이트 1에 대한 기준이 주어진다면, 추출성 증류 컬럼으로서 사용된 분리 벽 컬럼의 제1 부분영역 중에 추출성 스크러빙 컬럼의 집적이 가능하다.
하기에 기재된 DE-A 101 05 660.5의 방법의 바람직한 변법이 본 발명의 방법에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변법에서, 분리 벽 컬럼의 분리 벽의 하단부에서 증기 스트림은 적합한 수단에 의해 분리 벽 컬럼의 제1 부분영역에 전달된 부분스트림이 분리 벽 컬럼의 제2 부분영역에 전달된 부분스트림보다 양이 많도록 분리된다. 분리 벽의 하단부에서 증기 스트림의 분리의 조절은 분리 벽 컬럼의 제2 부분영역의 상부에서 취출된 조 1,3-부타디엔 스트림의 필요한 생성물 기준이 간단하고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분리 벽의 하단부에서 증기 스트림의 불균등한 분리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제2 부분영역이 분리 벽 컬럼의 제1 부분영역보다 더 작도록 분리 벽을 비중심적으로 배열함으로써 달성된다.
분리 벽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제1 부분영역 대 제2 부분영역의 단면적 비율이 8:1 내지 1.5:1, 특히 2.3:1이도록 비중심적으로 배열된다.
분리 벽의 비중심적인 배열에 대한 별법 또는 추가로, 분리 벽의 하단부에서 증기의 스트림은 추가 수단, 예를 들어 플랩 또는 가이드 플레이트에 의해, 분리 벽 컬럼의 2개의 부분영역 사이에 목적하는 비율로 분리될 수 있다 .
분리 벽의 하단부에서 증기 스트림의 분리를 위한 추가 또는 별법의 수단은 분리 벽 컬럼의 제2 부분영역의 상부에 열제거 응축기를 설치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별법에서, 분리 벽 컬럼의 2개의 부분영역의 상단부에서 압력은 각각 별도로 조절될 수 있다. 이로써, 조 1,3-부타디엔의 필요한 생성물 기준을 보장할 수 있다.
분리 벽 컬럼의 2개의 부분영역의 상부에서 압력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분할된-범위 (split-range) 조절부에 의해 설정된다. 용어 분할된-범위 조절부는 공지 방법에서 압력 조절기의 출구가 불활성 가스 라인 및 통기 라인에 동시에 연결되는 배열을 나타낸다. 압력 조절기의 밸브 설치 구역은 한번에 하나의 밸브만이 작동하도록, 즉 불활성 가스가 흐르거나 또는 통기가 이루어지도록 분리된다. 이로써, 불활성 가스의 양 및 폐 공기 스트림과 관련된 생성물 유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분할된-범위 조절부에 대한 별법으로 또는 추가로, 분리 벽 컬럼의 2개의 부분영역의 상부에서 각각의 압력을 분리 벽 컬럼의 제2 부분영역의 상부 및 추출성 스크러빙 컬럼의 상부에서 응축기의 열제거력에 의해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한 변법에서, 분리 벽 컬럼의 제2 부분영역의 상부에서 압력은 분리 벽 컬럼의 제1 영역에서의 압력보다, 특히 1 내지 100 mbar, 특히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mbar만큼 더 크도록 설정된다. 이는 고정된, 용접된(welded-in) 또는 비싸게 밀봉된 분리 벽을 필요로 하지 않고 더욱 싼 제거가능한 분리 벽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분리 벽 컬럼의 제2 부분영역에서 분리 벽 컬럼의 제1 부분영역까지의 압력 강하는 액체 또는 기체 누출 흐름이 오직 이 방향으로만 발생하게 하므로, 이들은 제2 부분영역의 상부에서 취출된 목적하는 조 1,3-부타디엔의 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정제된 용매의 저부 스트림의 열함량은 유리하게 공정 자체에서 열 집적, 특히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 분리 벽 컬럼의 하부 공통 컬럼 영역으로부터 액체 또는 액체의 부분스트림을 취출하고, 추출성 증류 컬럼으로부터 뜨거운 저부 스트림과 간접적인 열 교환에 의해 상기 액체를 가열하고(하거나) 증발시키고 이를 하부 공통 컬럼 영역으로 복귀시킴으로써 이용될 수 있다.
액체 또는 액체 부분스트림이 취출되는 이론적 플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추출성 증류 컬럼에 대한 총 에너지 요건이 최소화되도록 선택된다.
추가 또는 별법으로서, 정제된 용매의 저부 스트림의 열함량은 또한 추출성 증류 컬럼으로 공급될 C4 분획과 간접적인 열 교환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공정으로부터 C4-아세틸렌, 특히 에틸아세틸렌 및 비닐아세틸렌을 제거하기 위해서, 분리 벽 컬럼의 하부 공통 컬럼 영역으로부터 측류를 취출하고, 측류가 물로 스크러빙되는 스크러빙 컬럼을 통과하고, 스크러빙 컬럼으로부터 상부 스트림을 취출하고 이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바람직하게는 부분적으로 응축하고, 응축물의 일부를 방출하고 나머지를 런백으로 스크러빙 컬럼으로 복귀시키고 스크러빙 컬럼으로부터 저부 스트림을 취출하고 이를 하부 공통 컬럼 영역으로 재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지 방법과 비교시, 바람직하게는 공정으로 재순환되는, 정제된 용매를 추출성 증류 컬럼의 저부로부터 직접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추출성 증류에 의해 C4 분획으로부터 조 1,3-부타디엔을 회수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과거에 상기 목적을 위해 필요하였던 탈기 컬럼 및 관련된 장치, 특히 열 교환기 및 펌프, 특히 추출성 증류 컬럼으로 재순환될 탄화수소 스트림을 압축시키는 콤프레서의 절감 결과로서, 투자 비용은 공지 방법보다 더 적다. 공지 공정에서 가장 큰 전력 소모재인 콤프레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콤프레서가 불필요하게 된 결과로서, 본 발명의 방법에서 전기 에너지의 소비는 공지 방법과 비교시 거의 절반 수준이다.
본 발명은 하기에 도면을 참조로 설명된다:
컬럼의 종 방향으로 배열되며 분리 벽 컬럼을 제1 부분영역 (A), 제2 부분영 역 (B) 및 하부 공통 컬럼 영역 (C)로 분리하는 분리 벽 (T)을 갖는 분리 벽 컬럼 (TK)에서, C4 분획 (1)은 제1 부분영역 (A)에 공급된다. 예를 들어, 제2 부분영역 (B)은 40개의 이론적 플레이트를 가지며 하부 공통 컬럼 영역 (C)은 10개의 이론적 플레이트를 갖는다. 부분영역 (A)의 상부로부터 스트림 (2)은 예를 들어, 19개의 이론적 플레이트를 갖는 상류 추출성 스크러빙 컬럼 (K)의 하부 영역에 전달된다. 제1 용매 부분스트림 (3)은 추출성 스크러빙 컬럼 (K)의 상부 영역에 도입되어, 향류식 추출이 이루어지고 분리 벽 컬럼 (TK)의 부분영역 (A)의 상부 영역으로 복귀되는 저부 스트림 (7) 및 추출성 스크러빙 컬럼 (K)의 상부에 있는 응축기에서 응축되는 상부 스트림 (4)을 생성하고, 응축물의 부분스트림은 스트림 (5)으로 추출성 스크러빙 컬럼 (K)으로 복귀되고 응축물의 나머지는 스트림 (6)으로 취출된다.
제2 용매 부분스트림 (13)은 분리 벽 컬럼 (TK)의 제2 부분영역 (B)으로 도입된다. 상부 스트림 (14)은 제2 부분영역 (B)으로부터 취출되고 응축되며, 응축된 상부 스트림 (14)의 부분스트림 (15)은 런백으로 분리 벽 컬럼의 제2 부분영역 (B)으로 복귀되고 응축된 상부 스트림 (14)의 나머지는 조 1,3-부타디엔 (스트림 (16))으로 취출된다.
도면에서 나타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측류 (8)가 하부 공통 컬럼 영역 (C)으로부터 취출되어, 스크러빙 컬럼 (S)에 공급되고 스크러빙 컬럼 (S)에서 물 (스트림 HOH)로 스크러빙된다. 상부 스트림 (24)은 스크러빙 컬럼 (S)로부터 취출되고, 응축기에서 응축되고, 응축물 (스트림 (25))의 일부는 런백으로 스크러빙 컬 럼 (S)으로 복귀되며 나머지는 C4-아세틸렌을 포함하는 스트림 (26)으로 방출된다. 스트림 (27)은 스크러빙 컬럼 (S)의 저부로부터 취출되며 분리 벽 (TK)의 하부 공통 컬럼 영역 (C)으로 재공급된다. 분리 벽 컬럼 (TK)의 저부 증발기는 (V)로 나타낸다. 정제된 용매, 예를 들어 물 함량이 8.3 중량%인 NMP로 이루어지는, 분리 벽 컬럼 (TK)으로부터의 저부 스트림 (17)은 분리 벽 컬럼 (TK)의 하부 공통 컬럼 영역 (C)으로부터 취출된 액체 스트림과 함께 열 집적에 이용되며, 이를 스트림 (17)으로 가열한 이후에, 하부 공통 컬럼 영역으로 재공급된다. 또한, 도면에서 예로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저부 스트림 (17)의 열함량은 분리 벽 컬럼 (TK)에 공급된 C4 분획 (스트림 (1))을 예열하는데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 및 공정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Claims (9)

  1. 선택적 용매를 사용한 추출성 증류에 의해 C4 분획으로부터 조 1,3-부타디엔을 회수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분리 벽 (T)이 컬럼의 종 방향으로 배열되어 제1 부분영역 (A), 제2 부분영역 (B) 및 하부 공통 컬럼 영역 (C)을 형성하고 추출성 스크러빙 컬럼 (K)이 상류에 배열된 분리 벽 컬럼 (TK)에서 이루어지고,
    정제된 용매로 이루어진 저부 스트림 (17)이 분리 벽 컬럼 (TK)으로부터 수득되도록, 저부 증발기 (V)를 통한 분리 벽 컬럼 (TK)으로의 에너지 투입량을 조절하고 하부 공통 컬럼 영역 (C)에서 이론적 플레이트 수를 설정함으로써 분리 벽 컬럼 (TK)의 운전이 조정되는,
    C4 분획으로부터 조 1,3-부타디엔을 회수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액체 또는 액체의 부분스트림을 하부 공통 컬럼 영역 (C)으로부터 취출하고, 분리 벽 컬럼 (TK)으로부터의 저부 스트림 (17)과 간접적인 열 교환에 의해 가열하거나 증발시키며 분리 벽 컬럼 (TK)의 하부 공통 컬럼 영역 (C)으로 재공급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액체 또는 액체의 부분스트림을 분리 벽 컬럼 (TK)에 대한 에너지 요구량이 최소화되도록 선택된 이론적 플레이트에서 분리 벽 컬럼 (TK)의 하부 공통 컬럼 영역 (C)으로부터 취출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리 벽 컬럼 (TK)으로부터 저부 스트림 (17)의 에너지 일부를 분리 벽 컬럼 (TK)에 공급되는 분별될 C4 분획 (19)과의 간접적인 열 교환에 이용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리 벽 컬럼 (TK)의 제1 부분영역 (A)에서 이론적 플레이트의 수를 상응하게 더 증가시킴으로써 추출성 스크러빙 컬럼 (K)을 분리 벽 컬럼 (TK)의 제1 부분영역 (A) 중에 구조적으로 통합시키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측류 (8)를 분리 벽 컬럼 (TK)의 하부 공통 컬럼 영역 (C)으로부터 취출하고, 측류 (8)를 물 스크러빙이 수행되는 스크러빙 컬럼 (S)에 공급하고, 상부 스트림 (24)을 스크러빙 컬럼 (S)으로부터 취출하고, 컬럼의 상부에 있는 응축기에서 완전하게 또는 부분적으로 응축시키고, 응축물의 일부를 런백 (25)으로 스크러빙 컬럼 (S)으로 복귀시키고 나머지를 스트림 (26)으로 방출하며 스크러빙 컬럼 (S)으로부터의 저부 스트림 (27)을 분리 벽 컬럼 (TK)의 하부 공통 컬럼 영역 (C)으로 재순환시키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C4 분획 (1)이 분리 벽 컬럼 (TK)의 제1 부분영역 (A)에 공급되고,
    - 분리 벽 컬럼 (TK)의 제1 부분영역 (A)의 상부로부터 취출된 스트림 (2)이 추출성 스크러빙 컬럼 (K)의 상부 영역에 공급되고,
    - 추출성 스크러빙 컬럼 (K)의 상부 영역에서 선택적 용매의 제1 부분스트림 (3)으로 처리함으로써 추출성 스크러빙 컬럼 (K)에서 향류식 추출이 수행되고,
    - 선택적 용매 중에서 1,3-부타디엔보다 덜 가용성인 C4 분획의 성분 (4)이 추출성 스크러빙 컬럼 (K)의 상부에서 취출되고,
    - 추출성 스크러빙 컬럼 (K)으로부터 저부 스트림 (7)이 분리 벽 컬럼 (TK)의 제1 부분영역 (A)의 상부 영역으로 재순환되고,
    - 선택적 용매의 제2 부분스트림 (13)이 분리 벽 컬럼 (TK)의 제2 부분영역 (B)의 상부 영역으로 공급되고,
    - 분리 벽 컬럼 (TK)의 제2 부분영역 (B)으로부터 상부 생성물 (14)이 조 1,3-부타디엔 (16)으로 취출되며,
    - 정제된 용매로 이루어진 저부 스트림 (17)이 분리 벽 컬럼 (TK)의 하부 공통 컬럼 영역 (C)으로부터 취출되고 공정으로 재순환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된 선택적 용매가 N-메틸피롤리돈인 것인 방법.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리 벽 컬럼 (TK)의 저부에서 온도는 170 내지 190℃로 조절되며, 분리 벽 컬럼 (TK)의 제2 부분영역 (B)의 상부에서 압력은 1 내지 10 bar 절대압력으로 조절되는 것인 방법.
KR1020057021990A 2003-05-20 2004-05-19 C4 분획으로부터 조 1,3-부타디엔의 회수 방법 KR1010675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22655A DE10322655A1 (de) 2003-05-20 2003-05-20 Verfahren zur Gewinnung von Roh-1,3-Butadien aus einem C4-Schnitt
DE10322655.9 2003-05-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9363A KR20060009363A (ko) 2006-01-31
KR101067520B1 true KR101067520B1 (ko) 2011-09-27

Family

ID=33441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1990A KR101067520B1 (ko) 2003-05-20 2004-05-19 C4 분획으로부터 조 1,3-부타디엔의 회수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7619126B2 (ko)
EP (1) EP1628940B1 (ko)
JP (1) JP4681557B2 (ko)
KR (1) KR101067520B1 (ko)
CN (1) CN100357238C (ko)
AT (1) ATE393134T1 (ko)
AU (1) AU2004240749A1 (ko)
CA (1) CA2526011C (ko)
DE (2) DE10322655A1 (ko)
ES (1) ES2301994T3 (ko)
MX (1) MXPA05012516A (ko)
PL (1) PL1628940T3 (ko)
RU (1) RU2310640C2 (ko)
WO (1) WO20041039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58160A1 (de) * 2002-12-12 2004-06-24 Basf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xtraktivdestillation
DE102004005930A1 (de) 2004-02-06 2005-08-25 Basf Ag Verfahren zur Gewinnung von Roh-1,3-Butadien
US7404834B2 (en) * 2005-02-11 2008-07-29 Sd Lizenzverwertungsgesellschaft Mbh & Co. Kg Lenbachplatz 6 Ethylene oxide plant operation
CN1907543B (zh) * 2005-07-13 2010-05-12 中国石油兰州石油化工公司 气体脱杂质塔及气体脱杂质的方法
DE102005042505A1 (de) * 2005-09-07 2007-03-08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ioxolan
US8323457B2 (en) * 2008-10-30 2012-12-04 Kellogg Brown & Root Llc Dividing wall column with a heat pump
EP2266674A1 (de) * 2009-06-22 2010-12-29 Basf Se Verfahren zur destillativen Stofftrennung eines oder mehrerer Einsatzgemische in einer Kolonne mit einer oder mehreren durchgehend angeordneten Trennwänden
US8460517B2 (en) * 2009-09-02 2013-06-11 Gtc Technolog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team addition to a reboiler coupled to an extractive distillation column for improved extractive distillation
DE102010011014A1 (de) 2010-03-11 2011-09-15 Basf S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estillativen Gewinnung von Rein-1,3-Butadien aus Roh-1,3-Butadien
EP2502655B1 (en) 2011-03-25 2014-05-14 Sulzer Chemtech AG Reactive distillation process and plant for obtaining acetic acid and alcohol from the hydrolysis of methyl acetate
CN102850158B (zh) * 2011-06-29 2014-12-31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碳五分离用混合溶剂
TWI564288B (zh) * 2012-01-03 2017-01-01 巴地斯顏料化工廠 從1,3-丁二烯之處理設備純化循環流的方法
PL2906519T3 (pl) 2012-10-09 2021-07-12 Lummus Technology Llc Elastyczny sposób ekstrakcji butadienu
EP3390330B1 (en) 2015-12-18 2023-07-19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Methods for producing 1,3-butadiene
CN110198923B (zh) * 2017-01-25 2022-07-22 巴斯夫欧洲公司 获得纯1,3-丁二烯的方法
US10968152B2 (en) * 2017-03-13 2021-04-06 Basf Se Simplified process for isolating pure 1,3-butadiene
FR3064630B1 (fr) * 2017-04-04 2019-09-13 Arkema France Procede de purification d'acide (meth)acrylique incluant une colonne de distillation a paroi separatrice
SG11201913269XA (en) * 2017-09-28 2020-04-29 Exxonmobil Res & Eng Co Dual-dividing wall column with multiple products
CN112221181A (zh) * 2019-07-15 2021-01-15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有机溶剂回收处理装置与处理方法
EP4108306A1 (de) 2021-06-25 2022-12-28 Evonik Operations GmbH Extraktionsdestillationskolonnensystem und dessen einsatz bei der trennung von butenen aus c4-kohlenwasserstoffström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2823A (ja) * 1982-03-08 1983-09-10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抽出蒸留方法
WO2002062733A1 (de) * 2001-02-08 2002-08-15 Basf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gewinnung von roh-1,3-butadien durch extraktivdestillation aus einem c4-schnitt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20930A (en) * 1969-10-10 1971-11-16 Petro Tex Chem Corp Removal of methyl acetylene from butadiene
US4038156A (en) * 1976-09-21 1977-07-26 Shell Oil Company Butadiene recovery process
DE2724365C3 (de) * 1977-05-28 1979-09-06 Basf Ag, 6700 Ludwigshafen Verfahren zum Trennen eines C4 -Kohlenwasserstoffgemisches durch extraktive Destillation
US4134795A (en) * 1978-04-05 1979-01-16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Acetylenes removal from diolefin streams by extractive distillation
JPS5754129A (ja) * 1980-09-18 1982-03-31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Butajenmatahaisopurennoseiseihoho
DE10056841A1 (de) * 2000-11-16 2002-05-23 Basf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estillativen Gewinnung von 1,3-Reinbutadien aus 1,3-Rohbutadien
DE10102168A1 (de) 2000-12-08 2002-06-20 Linde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uftrennung eines Stoffgemisches in seine Bestandteile durch Extraktivdestillation in einer Trennwandkolonne
US6846966B2 (en) * 2002-11-26 2005-01-25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oxygenate-containing feeds and their use in conversion of oxygenates to olefi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2823A (ja) * 1982-03-08 1983-09-10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抽出蒸留方法
WO2002062733A1 (de) * 2001-02-08 2002-08-15 Basf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gewinnung von roh-1,3-butadien durch extraktivdestillation aus einem c4-schnit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393134T1 (de) 2008-05-15
CA2526011A1 (en) 2004-12-02
AU2004240749A1 (en) 2004-12-02
ES2301994T3 (es) 2008-07-01
RU2310640C2 (ru) 2007-11-20
KR20060009363A (ko) 2006-01-31
MXPA05012516A (es) 2006-04-18
RU2005139562A (ru) 2006-07-27
DE10322655A1 (de) 2004-12-09
CA2526011C (en) 2012-07-24
CN1809520A (zh) 2006-07-26
PL1628940T3 (pl) 2008-09-30
US7619126B2 (en) 2009-11-17
EP1628940B1 (de) 2008-04-23
US20070039813A1 (en) 2007-02-22
CN100357238C (zh) 2007-12-26
WO2004103937A1 (de) 2004-12-02
DE502004006921D1 (de) 2008-06-05
JP4681557B2 (ja) 2011-05-11
EP1628940A1 (de) 2006-03-01
JP2007525481A (ja) 200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8775B1 (ko) 조-1,3-부타디엔의 회수 방법
KR101067520B1 (ko) C4 분획으로부터 조 1,3-부타디엔의 회수 방법
KR20060136419A (ko) 조-1,3-부타디엔의 회수 방법
US7226527B2 (en) Method for recovering crude 1,3-butadiene by extractive distillation from a C4 cut
US20030181772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eating a c4 fraction
JP2006502122A (ja) C4フラクションの連続的分別
US7557257B2 (en) Method for the separation of a crude C4 cut
KR20090038844A (ko) 선택 용매를 사용하는 추출 증류에 의한 c4 유분의 분리 방법
US20050240071A1 (en) Method for working up crude 1,3-butadiene
JPH0413330B2 (ko)
CN110198923B (zh) 获得纯1,3-丁二烯的方法
Heida et al. Process for obtaining crude 1, 3-butadiene from a C 4 cut
Heida et al. Method for the separation of a crude C 4 cut
MXPA06007363A (en) Method for obtaining raw-1,3-butadie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