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6877B1 - 지력증진을 통한 참다래병의 생물학적 방제를 위한 발효퇴비 - Google Patents

지력증진을 통한 참다래병의 생물학적 방제를 위한 발효퇴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6877B1
KR101066877B1 KR20080089592A KR20080089592A KR101066877B1 KR 101066877 B1 KR101066877 B1 KR 101066877B1 KR 20080089592 A KR20080089592 A KR 20080089592A KR 20080089592 A KR20080089592 A KR 20080089592A KR 101066877 B1 KR101066877 B1 KR 101066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
compost
growth
pathogen
ferm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89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9325A (ko
Inventor
조정일
박용서
조자용
Original Assignee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080089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6877B1/ko
Publication of KR20080089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9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6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6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8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added bacterial cultures, mycelia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참다래 꼭지썩음 병원균 및 참다래 잿빛곰팡이 병원균에 대한 길항균인 Bacillus KB 112 (기탁번호: KCTC 8989p)를 콩에 접종 발효시킨 발효콩을 퇴비 조성물 중량대비 0.01∼1 중량% 첨가 혼합 15∼25℃에서 3∼10일간 숙성 발효시켜 제조된 참다래 생장용 퇴비에 관한 것이다.
발효콩, 퇴비, 참다래병, 바실러스, 길항균

Description

지력증진을 통한 참다래병의 생물학적 방제를 위한 발효퇴비{Fermented compost for biological prevention of Kiwi infection through strengthening the soil}
본 발명은 지력증진을 통한 참다래병의 생물학적 방제를 위한 참다래 생장용발효퇴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참다래 꼭지썩음 병원균 및 참다래 잿빛곰팡이 병원균에 대한 길항균인 Bacillus KB 112 (KCTC 8989p)를 콩에 접종 발효시킨 발효콩을 퇴비 조성물 중량대비 0.01∼1 중량% 첨가 혼합 발효시켜 제조된 참다래 생장용 퇴비에 관한 것이다.
참다래나무(악티니디아 델리코스(Actinidia delicos))는 다래과 다래속에 속하는 중국 원산의 덩굴성인 낙엽성 아열대 과수로 국내에서 재배되기 시작한지 십수년이 되었다. 다른 과수에 비해 병충해 발생이 적어 재배가 용이한 편이며, 소비 도 증가해 이제 난지형 과수로 국내에 정착하게 되었는데, 그에 따라 수년전부터 이를 가해하는 병해충의 종류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 중에서 참다래 꼭지썩음병(stem-end rot)은 참다래의 저장, 수송, 유통 및 소비 과정 등에서 발생하는 수확 후 병해(post-harvest disease)로서 과실의 성숙 과정 중에 과병부에서 발병하는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는 2001년 처음으로 보고되었다.
참다래 꼭지썩음 병원균에 감염되어 발병되면 과피가 연모로 덮인 연성의 연한색으로 변하게 된다. 병해가 진전되면 과병부에서 물기가 많은 삼출물이 생기고, 백색의 균사가 알맹이 모양으로 형성되어 물방울처럼 생겨 저장 중인 참다래 과실에 많은 피해를 발생시킨다. 참다래 꼭지썩음병은 이와 같이 식용부위인 과실에 발생하고, 출하 이후의 유통 및 소비과정 등에서도 발생하기 때문에 생산자들이 선별을 잘 하여도 발병시 소비자들이 생산자를 불신하게 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므로 인체에 피해가 없는 미생물 등에 의한 예방법의 개발은 시급한 실정이다.
한편 참다래의 잿빛곰팡이병은 보트리티스(Botrytis)속의 진균에 의해서 발생한다. 잿빛곰팡이 병원균에 감염되어 발병되면 잎에는 처음 수침상의 작은 반점이 형성되고 점차 진전되면서 갈색의 대형 병반으로 확대된다. 주로 잎 끝부분에서부터 발병되는 일이 많으며, 습하면 병반상에 잿빛의 분생포자가 밀생한다. 과실에는 주로 저장 중에 나타나며, 처음에는 과육이 변색되고, 심하면 과실전체가 부패한다. 특히, 과실에 피해가 많아 재배 농가에서 문제가 심각한 실정이며, 이에 대 한 친환경적 방제 체계 확립이 절실한 실정이다.
이런 측면에서 본 발명은 참다래의 잎, 꽃 및 과실(열매) 등에서 자주 발생하는 식물병원성 곰팡이 병원균인 꼭지썩음 병원균(디아포르테 악티니디에(Diaporthe actinidiae))과 잿빛곰팡이 병원균(보트리티스 시네레아(Botrytis cinerea))에 대하여 항균작용이 우수한 길항성 미생물을 선별하고 이를 콩 배지를 사용하여 배양한 후 발효퇴비를 생산함으로써 참다래병의 친환경적 생물학적 방제와 지력증진을 위한 발효퇴비를 개발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참다래의 잎, 꽃 및 과실(열매) 등에서 발생하는 식물병원성 곰팡이 병원균인 꼭지썩음 병원균(디아포르테 악티니디에(Diaporthe actinidiae))과 잿빛곰팡이 병원균(보트리티스 시네레아(Botrytis cinerea))에 대해 항균작용이 우수한 길항성 미생물을 선별하고 이를 콩 배지를 사용하여 배양함으로써 참다래병의 친환경적 생물학적 방제와 지력증진을 위한 발효퇴비를 개발코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참다래 꼭지썩음 병원균 및 참다래 잿빛곰팡이 병원균에 대한 길항균인 Bacillus KB 112 (기탁번호: KCTC 8989p)를 콩에 접종 발효시킨 발효콩을 퇴비 조성물 중량대비 0.01∼1 중량% 첨가 혼합 15∼25℃에서 3∼10일간 숙성 발효시켜 제조된 참다래 생장용 퇴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참다래 생장용 퇴비는 참다래 꼭지썩음병을 발병시키는 디아포르테 악티니디에(Diaporthe actinidiae)와 참다래 잿빛곰팡이병을 발병시키는 보트리티스 시네레아(Botrytis cinerea)에 길항하여 상기 병원균의 생장을 억제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참다래 생장용 퇴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참다래의 잎, 꽃 및 과실(열매) 등에서 발생하는 식물병원성 곰팡이 병원균인 꼭지썩음 병원균(디아포르테 악티니디에(Diaporthe actinidiae))과 잿빛곰팡이 병원균(보트리티스 시네레아(Botrytis cinerea))에 대해 항균작용이 우수한 길항성 미생물을 선별하고 이를 콩 배지를 사용하여 배양함으로써 참다래병의 친환경적 생물학적 방제와 지력증진을 위한 발효퇴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1. 꼭지썩음 병원균과 잿빛곰팡이 병원균의 분리
전남 남부지역의 참다래 주생산지 과수원에서 발생하는 꼭지썩음 병원균과 잿빛곰팡이 병원균을 분리하기 위하여 전남 완도군, 해남군 및 장흥군 등의 참다래 과수원을 현지 답사하면서 병징과 표징별로 병반을 채집하여 참다래에서 꼭지썩음 병을 발병시키는 디아포르테 악티니디에(Diaporthe actinidiae)와 잿빛곰팡이병을 발병시키는 병원균인 보트리티스 시네레아(Botrytis cinerea)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꼭지썩음 병원균과 잿빛곰팡이 병원균을 참다래에 재접종한 결과 참다래 꼭지썩음병 및 잿빛곰팡이병과 동일한 병징을 보여 본 실험의 공시 병원균으로 사용하였다.
2. 참다래병 길항성 세균의 선별
본 연구실 보유 유효 미생물 중 참다래 꼭지썩음 병원균과 잿빛곰팡이 병원균에 대하여 항균작용이 우수한 균주를 선별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감자한천평판배지에서 참다래 과실에서 발병하는 꼭지썩음 병원균 및 잿빛곰팡이 병원균과 3일내지 5일간 대치배양하면서 길항균을 선발한 결과 길항성 세균인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CHO104 (KCTC 18060p)가 꼭지썩음 병원균에 대해 81% 정도로서 가장 높은 길항작용을 나타냈고, 길항균 CHO159 및 CHO117은 80% 정도의 길항작용을 나타내었다. 또한 잿빛곰팡이 병원균과의 대치배양 결과에도 Bacillus subtilis KB 112 (KCTC 8989p)가 병원균 생장억제력이 88.9% 정도로 가장 우수하였다. Bacillus subtilis KB 112는 본 발명자에 의해 2000년 2월 2일자로 생명공학연구원에 기탁되어 현재 제3자에게 공지된 균주이다. 그 다음으로는 CHO110 (78.3%)의 억제력이 우수하였다 (Table 1).
Figure 112008064384119-pat00002
3. 길항균 배양액이 포함된 배지에서 꼭지썩음병과 잿빛곰팡이병 병원균의 생장억제 작용
참다래 꼭지썩음병원균과 잿빛곰팡이병에 대하여 항균작용이 우수하게 나타난 Bacillus subtilis KB 112 (KCTC 8989p) 배양액을 121℃에서 15분간 멸균하여 조제된 배양액을 플레이트에 부어 굳힌 다음 꼭지썩음병원균(디아포르테 악티니디에)과 잿빛곰팡이병원균(보트리티스 시네레아)을 접종하여 항균작용을 조사한 결과 참다래 꼭지썩음병원균과 잿빛곰팡이병원균에 대한 길항균 Bacillus subtilis KB 112 (KCTC 8989p)의 생장억제 작용은 100%로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표 2). 따라서 균주의 배양물질 내 항균물질은 가열로 인한 변성이 없는 비-단백질 성분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Figure 112008064384119-pat00003
4. 참다래 꼭지썩음병과 잿빛곰팡이병 병원균에 대한 길항균 배양액의 생장억제 및 방제효과
참다래 과실에 꼭지썩음 병원균과 잿빛곰팡이 병원균을 살포한 다음 길항균 종류별 배양액을 5.0×107 c.f.u./㎖의 농도로 희석하여 살포 후 생장상에서 보관하면서 처리 30일 후에 조사를 실시한 결과 대조구의 경우 참다래의 꼭지썩음병 및 잿빛곰팡이병의 발생이 매우 심하였다(Table 3). 따라서 Bacillus subtilis KB 112 (KCTC 8989p)는 생물농약의 개발 가능성이 높은 세균성 균주인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112008064384119-pat00004
5. 길항균 제제의 현장적용 결과
표 4는 참다래에서 발생하는 잿빛곰팡이병과 꼭지썩음병에 대하여 항균작용이 우수한 Bacillus subtilis KB 112 (KCTC 8989p)를 처리하여 초장, 경경, 엽수, 엽면적, 최대근장 및 엽록소 함량 등 참다래 유묘의 초기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이다. 초장을 보면 길항균 Bacillus subtilis KB 112 (KCTC 8989p)의 상토내 혼입 처리시에 초장, 경경, 엽수, 엽면적, 최대근장과 엽내 엽록소함량 등 생장반응이 대조구에 비해 많았다(표 4 및 도 3). 길항성이 뛰어난 균주가 참다래 식물생장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ure 112008064384119-pat00005
6. 참다래 길항균 접종 발효콩 퇴비의 제조
전라남도 농업 기술원에 의뢰하여 Bacillus KB 112 (KCTC 8989p)를 접종 발효시킨 발효콩 퇴비를 제조하였다. 퇴비의 성분 규격이 공정 규격에 비해 매우 우수하고 참다래 성장을 촉진하는 우수한 친환경 제제임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미생물 발효콩 퇴비는 참다래 꼭지썩음 병원균 및 참다래 잿빛곰팡이 병원균에 대한 길항균인 Bacillus KB 112 (기탁번호: KCTC 8989p)를 콩에 접종 발효시킨 발효콩을 퇴비 조성물 중량대비 0.01∼1 중량% 첨가 혼합 15∼25℃에서 3∼10일간 숙성 발효시켜 제조된 참다래 생장용 퇴비인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꼭지썩음 병원균과 잿빛곰팡이 병원균의 분리
저장중인 참다래(악티니디아 델리시오사(Actinidia deliciosa))에서 발생하는 곰팡이성 병원균인 꼭지썩음 병원균(디아포르테 악티니디에)을 분리하기 위하여 전남 보성, 완도, 장흥 및 해남 등 전남 서남부 지역의 참다래 재배 농가와 저장고에서 병징 및 표징별로 꼭지썩음 병원균에 감염된 병반을 채집하여 병환부로부터 병원균의 포자를 분리하였다. 또한 잿빛곰팡이병을 유발시키는 병원균을 분리하기 위하여 참다래의 잿빛곰팡이 병환부에서 채집된 병반을 온도 25℃와 상대습도 90% 이상의 항온항습실에서 3일간 습실 처리하였으며, 형성된 병조직은 70% 에탄올 및 5% 차아염소산 나트륨(NaOCl)으로 표면을 살균하였다. 표면살균 한 병반과 병조직은 병원균 선별용 배지 [감자 덱스트로스 한천(PDA) 배지 + 스트렙토마이신 200 ㎕/㎖, pH 3.0]에 올려놓고, 25℃ 항온 배양기에서 4∼5일간 배양하여 형성된 균총(colony)에서 잿빛곰팡이 병원균을 분리하였다(도 1).
(실시예 2) 병원균 및 근권 세균의 대치배양과 길항균의 선별
꼭지썩음병과 잿빛곰팡이병에 대한 길항성 세균의 분리 방법은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Fig.2). 감자한천배지[감자 덱스트로스 한천(PDA) 배지] 플레이트 중앙에 꼭지썩음병을 유발하는 병원균(디아포르테 악티니디에)과 잿빛곰팡이 병원균(보트리티스 시네레아)을 각각 먼저 접종한 후 병원균의 활착 후 단일 세균을 접종하였으며, PDA 배지 상에서 5∼7일 정도 대치배양 후 길항성을 조사하였다. 대치 배양 후 저지대(inhibition zone)를 높은 비율로 형성하는 근권 세균을 길항균으로 선발하였다. 길항균의 병원균에 대한 생장 저지율은 PDA 배지에서 7일간 대치배양하면서 형성된 콜로니(colony)들의 크기를 측정하여 무처리구와 비교한 후 백분율로 계산하여 선별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길항 미생물은 본 연구실에서 기 보유중인 유용한 미생물 중 이미 기탁된 Bacillus subtilis KB 112(KCTC 8989p)를 선별하였다.
(실시예 3) 길항균인 Bacillus subtilis KB 112(KCTC 8989p)의 꼭지썩음병과 잿빛곰팡이병에 대한 생장억제
길항균인 Bacillus subtilis KB 112(KCTC 8989p) 배양액이 꼭지썩음병과 잿빛곰팡이 병원균의 생장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우선 길항균을 3일 동안 SD + B + P 배지(당 5%, 대두 소스 3%, 우육 추출물 0.2%, 펩톤 0.2%)에서 배양한 다음 배양액을 10,000 rpm에서 8분간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제거하고, 배양액에 맞는 PDA와 혼합하여 121℃에서 15분간 멸균하였다. 또한, 길항균 배양액을 여과 처리하여 조제한 배지는 전체 배양액에 맞는 PDA(4배 농축)와 1/4의 배양상징액을 멸균한 후 0.45 ㎛ 멤프레인 필터로 여과한 3/4의 배양상징액을 혼합하여 조제하였다. 조제된 배양액 배지를 플레이트에 부어 굳힌 다음 참다래 과실의 꼭지썩음병원균과 잿빛곰팡이 병원균을 각각 접종하여 25℃ 인큐베이터 내에서 7일간 배양시켜 실험한 결과를 PDA에 접종한 대조구와 비교하는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4) 길항균인 Bacillus subtilis KB 112(KCTC 8989p)의 처리에 따른 참다래 꼭지썩음병과 참다래 잿빛곰팡이병 방제 효과
길항균인 Bacillus subtilis KB 112(KCTC 8989p) 배양액처리가 참다래 꼭지썩음병과 참다래 잿빛곰팡이병 방제에 미치는 영향은 참다래 과실에 꼭지썩음 병원균과 잿빛곰팡이 병원균을 각각 살포한 다음 길항균 종류별 배양액을 5.0×107 c.f.u./㎖의 농도로 희석하여 살포 후 생장상에서 참다래 과실을 보관하면서 처리 30일 후에 조사를 실시하였다. 길항균 처리에 따른 꼭지썩음병 방제 효과는 매우 심함(+++), 심함(++), 약간 발생(+) 및 비 감염 및 병해발생 전무(-) 등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실시예 5) 길항균인 Bacillus subtilis KB 112(KCTC 8989p) 접종 발효콩 퇴비의 제조
길항균인 Bacillus KB 112 (KCTC 8989p)를 접종 발효시킨 발효콩을 통상의 퇴비에 0.01∼1 중량% 혼합시킨 후 발효시켜 참다래 생장용 퇴비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5에서 제조된 콩발효 참다래 생장용 퇴비는 토양의 지력을 증진시킬 뿐 아니라 퇴비내의 생장하는 길항균 Bacillus KB 112 (KCTC 8989p)의 참다래 꼭지썩음 병원균 및 참다래 잿빛곰팡이 병원균에 대한 항균작용으로 인해 참다래 생장시 참다래 병충해를 방제할 수 있는 기능을 지닌 우수한 친환경 퇴비인 것이다.
도 1은 감염 참다래 과실 유래의 꼭지썩음병원균 및 잿빛곰팡이병원균의 분리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이중 배양을 이용한 디아포르테 악티니디에 및 보트리티스 시네레아 병원균에 대한 항균 박테리아 균주의 선별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항균 박테리아 처리 효과를 나타내는 참다래 유묘의 사진이다.

Claims (2)

  1. 참다래 꼭지썩음 병원균 및 참다래 잿빛곰팡이 병원균에 대한 길항균인 Bacillus KB 112 (기탁번호: KCTC 8989p)를 콩에 접종 발효시킨 발효콩을 퇴비 조성물 중량대비 0.01∼1 중량% 첨가 혼합 15∼25℃에서 3∼10일간 숙성 발효시켜 제조된 참다래 생장용 퇴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참다래 생장용 퇴비는 참다래 꼭지썩음병을 발병시키는 디아포르테 악티니디에(Diaporthe actinidiae)와 참다래 잿빛곰팡이병을 발병시키는 보트리티스 시네레아(Botrytis cinerea)에 길항하여 상기 병원균의 생장을 억제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참다래 생장용 퇴비
KR20080089592A 2008-09-11 2008-09-11 지력증진을 통한 참다래병의 생물학적 방제를 위한 발효퇴비 KR101066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89592A KR101066877B1 (ko) 2008-09-11 2008-09-11 지력증진을 통한 참다래병의 생물학적 방제를 위한 발효퇴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89592A KR101066877B1 (ko) 2008-09-11 2008-09-11 지력증진을 통한 참다래병의 생물학적 방제를 위한 발효퇴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9325A KR20080089325A (ko) 2008-10-06
KR101066877B1 true KR101066877B1 (ko) 2011-09-26

Family

ID=40151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89592A KR101066877B1 (ko) 2008-09-11 2008-09-11 지력증진을 통한 참다래병의 생물학적 방제를 위한 발효퇴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687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121B1 (ko) 2000-12-23 2004-03-18 조정일 길항미생물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파시엔스 조104 및 이균주가 생산하는 항균물질
KR100769360B1 (ko) 2006-12-22 2007-10-31 대한민국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에스37-2 균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생물비료
US20080152684A1 (en) 2006-12-20 2008-06-26 Dean Der-Syh Tzeng Method for preparing a composition containing Bacillus subtilis WG6-14 and related us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121B1 (ko) 2000-12-23 2004-03-18 조정일 길항미생물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파시엔스 조104 및 이균주가 생산하는 항균물질
US20080152684A1 (en) 2006-12-20 2008-06-26 Dean Der-Syh Tzeng Method for preparing a composition containing Bacillus subtilis WG6-14 and related use
KR100769360B1 (ko) 2006-12-22 2007-10-31 대한민국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에스37-2 균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생물비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9325A (ko) 2008-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ou et al. Multiple criteria-based screening of Trichoderma isolates for biological control of Botrytis cinerea on tomato
KR101199931B1 (ko)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krict934 균주를 이용한 유기질 비료의 질소무기화 촉진 및 식물병 방제방법
KR101408683B1 (ko) 항진균성 미생물 배양체를 포함하는 유기질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215210B (zh) 一种西姆芽孢杆菌及其在制备微生物海藻肥料中的应用
CN102428966A (zh) 一种作物病害防治复合生物制剂及其应用
CN103865843A (zh) 一种微生物复合菌及其在防治蔬菜真菌病害中的应用
CN104630071A (zh) 一株多孢木霉及其应用
KR20140127670A (ko) 식물 내생세균 바실러스 메칠로트로피쿠스 yc7007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다기능 생물농약 및 미생물비료 개발
CN112322560B (zh) 一株贝莱斯芽孢杆菌及其在香梨病害防治中的应用
MX2007008234A (es) Una nueva cepa de trichoderma atroviride, un medio de cultivo conteniendola, asi como la utilizacion de dicha cepa en particular como estimulante de la germinacion y/o del crecimiento de las plantas.
CN110157638A (zh) 一种克里布所类芽孢杆菌yy-1及其应用
Chen et al. Efficacy of spent blewit mushroom compost and Bacillus aryabhattai combination on control of Pythium damping-off in cucumber
KR102124060B1 (ko) 신규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mws28와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 방제제 및 이를 생산하는 방법
Abada et al. Management of pepper Verticillium wilt by combinations of inducer chemicals for plant resistance, bacterial bioagents and compost
KR20080089324A (ko) 토양 방선균 배양액을 이용한 참다래 재배방법
CN109628341A (zh) 深红紫链霉菌及其生物防治菌剂和制备方法
KR100294023B1 (ko) 작물의병해방제용균주,이를함유하는미생물제제및그용도
CN102524303A (zh) 防治棉花枯黄萎病的合剂
CN106906171A (zh) 一种苹果树腐烂病生防菌剂的制备方法
KR20110120748A (ko) 신규한 미생물 바실러스 아밀로리큐파션스 씨피 1 및 이를 이용한 딸기 탄저병균의 방제방법
JP2003531603A (ja) 新規のトリコデルマ属微生物菌株を利用した生物学的防除用微生物製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2978128B (zh) 一种与amf协同抗病促生的拮抗菌及其应用
Abada et al. Effect of the combination among compost, bioagents andsoilsolarization on management of strawberry Verticillium wilt
KR101759521B1 (ko) 식물저장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저장병 방제방법
KR101066877B1 (ko) 지력증진을 통한 참다래병의 생물학적 방제를 위한 발효퇴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