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5817B1 - 혈압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혈압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5817B1
KR101065817B1 KR1020087023776A KR20087023776A KR101065817B1 KR 101065817 B1 KR101065817 B1 KR 101065817B1 KR 1020087023776 A KR1020087023776 A KR 1020087023776A KR 20087023776 A KR20087023776 A KR 20087023776A KR 101065817 B1 KR101065817 B1 KR 101065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pressure
sleep
level
depth
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3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9339A (ko
Inventor
아키히사 다카하시
유키야 사와노이
오사무 시라사키
가즈오미 가리오
Original Assignee
각코우호우진 지치 이카다이가쿠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각코우호우진 지치 이카다이가쿠,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각코우호우진 지치 이카다이가쿠
Publication of KR20080099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9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2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by applying pressure to close blood vessels, e.g. against the skin; Ophthalmodynam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1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using photoplethysmograph signals, e.g. generated by infrared radiation
    • A61B5/0242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using photoplethysmograph signals, e.g. generated by infrared radiation within occlu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6Sleep evaluation
    • A61B5/4812Detecting sleep stages or cy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Dentist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제어부(10)는 생체 정보 계측부(30)에서 계측된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피험자의 수면 레벨을 결정하고, 결정한 수면 레벨이 소정 조건을 만족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피험자의 혈압 측정을 개시한다. 또한, 제어부(10)는 혈압의 측정 결과를 메모리(11)에 기억한다.

Description

혈압 측정 장치{BLOOD PRESSURE MEASURING INSTRUMENT}
본 발명은 혈압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면시의 혈압을 측정하기 위한 혈압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건강 관리를 행함에 있어서 혈압값이 가장 중요한 지표의 하나로 생각되어, 그 관리가 중요시되어 왔다. 또한, 최근의 연구에 의해, 야간에 측정하는 혈압이 심혈관의 리스크를 관리함에 있어서 중요한 지표로 되는 것이 명확하게 되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야간의 혈압 측정을 행하기 위한 기술이 여러 가지 개시되어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일본 특허 공개 제2001-70260호 공보)에는, 전자 혈압계에 있어서 혈압 측정 시각을 미리 설정해 두고, 설정된 시각에 혈압 측정을 행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히, 피험자가 수면 상태가 된 것을 계기로 해서 혈압 측정을 행하는 기술이 특허문헌 2(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8-131408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특허문헌 2에는, 수면 건강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침구에 부착된 진동 센서로부터 얻어지는 신호에 기초하여 체동의 유무를 판단하여, 체동이 일정 시간 인지되지 않은 경우에 피험자가 수면 상태에 있다고 판단하고, 피험자가 수면 상태 에 있다고 판단된 것을 계기로 해서 혈압 측정을 행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1-70260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8-131408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피험자의 취침 시각에 맞춰 설정하는 시각을 변경해야 하기 때문에, 조작이 번거롭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측정되는 혈압값은, 동일한 피험자라도 도 1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측정시의 육체의 상태 및/또는 정신 상태에 따라 크게 변동된다. 그와 마찬가지로, 혈압 측정시의 해당 피험자의 수면 상태(수면 깊이)에 따라서도 혈압값에 변동이 생기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 도 18에는, 인간의 일반적인 최고 혈압값 및 최저 혈압값의 일간 변동이 도시되어 있다. 도 18 중 빗금으로 나타낸 영역은 수면 중인 시간대를 의미한다.
그리고 이로부터, 피험자의 수면 상태에 기초하여 혈압값을 측정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피험자의 체동이 일정 시간 보이지 않으면 수면 상태에 들어갔다고 인식하여 혈압 측정을 행하기 때문에, 피험자가 수면 시각에 맞춰 설정되는 측정 시각을 변경할 필요는 없지만, 측정시의 피험자의 수면 상태가 일정하지 않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생각된다. 즉,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피험자가 자고 있으면, 그 수면 깊이에 관계없이 혈압값이 측정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피험자의 수면 깊이에 기초하여 혈압값을 측정하는 혈압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혈압 측정 장치는, 피험자의 혈압값을 측정하는 혈압 측정부와, 피험자의 수면 레벨을 각성 이외의 3개 이상의 레벨 중에서 하나의 레벨로 결정하는 레벨 결정부와, 결정된 수면 레벨에 관한 조건을 특정하는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결정된 수면 레벨이 기억부에 기억된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판단부가 결정된 수면 레벨이 조건을 만족하고 있다고 판단하였을 때에 혈압 측정부에 혈압 측정을 개시시키는 혈압 측정 개시부와, 혈압 측정 개시부에 의한 지시에 따라 혈압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피험자의 혈압값을 기억하는 혈압값 기억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혈압 측정 장치는 피험자의 생체 정보를 계측하는 생체 정보 계측부에 접속되고, 레벨 결정부는 생체 정보 계측부의 계측 결과에 기초하여 피험자의 수면 레벨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혈압 측정 장치에서는, 생체 정보 계측부는 피험자의 맥박을 계측하고, 레벨 결정부는 생체 정보 계측부가 계측하는 맥파 주기의 변화에 기초하여 피험자의 수면 레벨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혈압 측정 장치에서는, 생체 정보 계측부는 피험자의 체온을 계측하고, 레벨 결정부는 생체 정보 계측부가 계측하는 체온의 변화에 기초하여 피험자의 수면 레벨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혈압 측정 장치에서는, 판단부는 결정된 수면 레벨의 깊이가 레벨 결정부가 결정할 수 있는 레벨 중 가장 깊은 레벨에 이르렀을 경우에,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혈압 측정 장치에서는, 판단부는 결정된 수면 레벨의 깊이가 레벨 결정부가 결정할 수 있는 레벨 중 두 번째 낮은 레벨로부터 가장 얕은 레벨로 변경된 경우에,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혈압 측정 장치에서는, 레벨 결정부는 일정 시간마다 수면 레벨을 결정하고, 판단부는, 레벨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수면 레벨이 레벨 결정부에 의해 전회(前回) 결정된 수면 레벨에 대하여 특정 변화량보다 크게 변화된 경우에,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험자의 수면 레벨이 각성 이외의 3개 이상의 레벨 중에서 하나의 레벨로 결정되고, 결정된 수면 레벨이 소정 조건을 만족하고 있을 때의 혈압값이 기억된다.
이에 따라, 측정값으로서 기억되는 혈압값을 피험자의 수면 깊이가 소정 조건을 만족했을 때의 것으로 한다.
이 때문에, 혈압값의 측정에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논렘 수면(non-REM: non Rapid Eye Movement)시나 기상시 등과 같이, 피험자의 수면 깊이에 기초한 혈압값의 측정이 가능해진다. 또, 논렘 수면시에는 피험자가 정신적으로 가장 안정되어 있기 때문에, 피험자의 건강 상태가 뚜렷하게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기상시에는 도 18에도 나타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피험자의 혈압값이 급격히 상승하기 때문에, 건강 관리상의 리스크를 추정하기 위한 혈압값의 측정에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인 혈압 측정 장치의 개관도.
도 2는 도 1의 혈압 측정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혈압 측정 장치의 압력 센서가 출력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계측된 맥박의 시간 변화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혈압 측정 장치에 있어서 피험자의 혈압값을 측정하기 위해 실행되는 처리의 플로우차트.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처리에 있어서 혈압값의 측정 및 기억이 이루어지는 타이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혈압 측정 장치에 있어서 피험자의 혈압값을 측정하기 위해 실행되는 처리의 플로우차트.
도 7은 도 6에 도시하는 처리에 있어서 혈압값의 측정 및 기억이 이루어지는 타이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혈압 측정 장치에 있어서 피험자의 혈압값을 측정하기 위해 실행되는 처리의 플로우차트.
도 9는 도 8에 도시하는 처리에 있어서 혈압값의 측정 및 기억이 이루어지는 타이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혈압 측정 장치에 있어서 피험자의 혈압값을 측정하기 위해 실행되는 처리의 플로우차트.
도 11은 도 10에 도시하는 처리에 있어서 혈압값의 측정 및 기억이 이루어지 는 타이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인 혈압 측정 장치의 개관도.
도 13은 도 12의 혈압 측정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4는 도 12의 혈압 측정 장치에 있어서 측정되는, 수면 시간의 경과에 따른 피험자의 체온의 변화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인 혈압 측정 장치의 개관도.
도 16은 도 15의 아이 마스크의 확대도.
도 17은 도 15의 혈압 측정 장치(1)의 하드웨어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8은 인간의 하루에 있어서 일반적인 최고 혈압값 및 최저 혈압값의 변동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혈압 측정 장치
2: 커프
3: 관
4: 표시기
5: 조작부
6: 타이머
10: CPU
11: 메모리
12: A/D 변환기
13: 증폭기
14: 펌프 구동 회로
15: 밸브 구동 회로
20: 공기 주머니
30: 생체 정보 계측부
31: 압력 센서
32: 펌프
33: 밸브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혈압 측정 장치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인 혈압 측정 장치의 개관도이다.
혈압 측정 장치(1)는 커프(2)를 구비하고, 해당 커프(2)를 피험자의 팔(A)에 권취한 상태에서 피험자의 혈압을 측정한다.
혈압 측정 장치(1)는 그 전면에 표시기(4) 및 복수의 조작 버튼을 포함하는 조작부(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혈압 측정 장치(1)는 내장하는 펌프[후술하는 펌프 32]와 커프(2)를 접속하는 관(3)을 포함한다. 또한, 커프(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공기 주머니를 내포하고 있다.
도 2는 혈압 측정 장치(1)의 하드웨어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혈압 측정 장치(1)는 전술한 표시기(4) 및 조작부(5)에 추가하여, 혈압 측정 장치(1)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0), 여러가지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11), 타이머(6) 및 생체 정보 계측부(30)를 포함한다.
생체 정보 계측부(30)는 전술한 커프(2) 및 관(3)에 추가하여, 공기 주머니(20)의 압력을 계측하는 압력 센서(31), 압력 센서(31)에 접속된 증폭기(13), 증폭기(13)를 통해 입력되는 압력 센서(31)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CPU(10)에 출력하는 A/D(Analog/Digital) 변환기(12), 공기 주머니(20)에 공기를 보내는 펌프(32), 펌프(32)를 구동시키는 펌프 구동 회로(14), 관(3)과 펌프(32)의 접속 부분을 개폐하는 밸브(33) 및 밸브(33)를 구동시키는 밸브 구동 회로(15)를 포함한다.
혈압 측정 장치(1)에서는, A/D 변환기(12)를 통해 압력 센서(31)가 출력하는 데이터가 CPU(10)에 입력되고, 이 CPU는 펌프 구동 회로(14)를 통해 펌프(32)의 동작을 제어하며, 또한, 밸브 구동 회로(15)를 통해 밸브(33)의 개폐를 제어한다.
피험자의 혈압값 측정에 추가하여, 혈압 측정 장치(1)는, 공기 주머니(20)에 예컨대, 20∼30 mmHg 정도의 낮은 압력으로 공기를 충전시킴으로써, 압력 센서(31)가 출력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피험자의 맥박을 측정할 수 있다.
도 3에 압력 센서(31)가 출력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측정된 맥박의 일례를 나타낸다. 또, 도 3에 나타내는 데이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 주머니(20)에 적 당한 압력의 공기가 충전된 상태에서 A/D 변환기(12)가 출력하는 데이터에 해당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맥박의 피크가 피크 PA∼PD로 도시되어 있다. 혈압 측정 장치(1)에서, CPU(10)는 어느 정도 계속해서 맥박을 측정함으로써 복수의 피크를 검출하고, 인접하는 피크의 시간 간격에 대한 평균 값을 산출함으로써, 소정 기간(전술한 어느 정도 계속해서 맥박을 측정한 시간)의 맥파 주기를 산출한다. 평균 값의 산출에 이용하는 피크 수는 적절히 설정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혈압 측정 장치(1)에서, 피험자의 취침 중의 맥박이 측정되고, 맥박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맥파 주기가 산출되며, 맥파 주기의 변화(예컨대, 취침 직후의 맥파 주기에 대한 산출된 맥파 주기의 비)가 소정 조건을 만족한 시점에서 피험자의 혈압값이 측정된다.
구체적으로 혈압 측정 장치(1)에서는, 피험자의 취침시에, 피험자의 취침 직후의 맥파 주기가 산출된 후, 피험자의 혈압값을 측정하기 위하여, 도 4에 나타내는 처리가 실행된다. 또, 취침 직후의 맥파 주기란, 예컨대 혈압 측정 장치(1)에 있어서 소정 스위치를 마련해 두고, 피험자가 취침 개시시에 해당 스위치를 누르며, 해당 스위치가 조작되고 나서 소정 시간(예컨대 5∼10분) 경과 후에 산출된 맥파 주기를 말한다. 또한, 산출된 취침 직후의 맥파 주기는 메모리(11)에 기억된다.
도 4를 참조하면, CPU(10)는 우선 단계 SA10에서 피험자의 수면 심도(수면 레벨)를 측정하고, 단계 SA20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또, 단계 SA10에서의 수면 심도의 측정에는, 이하의 처리가 포함된다.
·소정 기간, 피험자의 맥박을 측정함
·해당 소정 기간 중의 피험자의 맥박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맥파 주기를 산출함
·산출된 맥파 주기를 이용한 맥파 주기의 변화에 의해 수면 심도를 결정함
또, 맥파 주기의 변화에 기초하여 수면 심도를 결정할 때는, 이하의 표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맥파 주기와 수면 심도의 대응 관계를 참조한다. 표 1에 있어서, 메모리(11)에 기억된 CA는 취침 직후의 맥파 주기이고, CP는 그 시점에서 산출된 맥파 주기이다.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은 대응 관계는, 예컨대 메모리(11)에 미리 기억되어 있다.
수면 심도 맥파 주기 CP에 대한 조건
CP≤CA×1.05
논렘 Ⅰ CA×1.05≤CP≤CA×1.10
논렘 Ⅱ CA×1.10≤CP≤CA×1.15
논렘 Ⅲ CA×1.15≤CP≤CA×1.20
논렘 Ⅳ CA×1.20≤CP≤CA×1.25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 수면 심도는 CP의 값에 따라 렘(Rapid Eye Movement), 논렘 I, 논렘 II, 논렘 III 및 논렘 IV의 5 단계로 정의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렘보다 논렘 I이, 논렘 I보다 논렘 II가, 논렘 II보다 논렘 III가, 그리고 논렘 III보다 논렘 IV가, 수면 심도가 깊은 것으로 한다.
단계 SA20에서, CPU(10)는 직전에 실행된 단계 SA10에서 측정(결정)된 수면 심도가 수면 심도 IV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그렇다고 판단하면, 단계 SA40으로, 그렇지 않다고 판단하면 단계 SA30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단계 SA30에서, CPU(10)는 1분간 대기시킨 후, 단계 SA10으로 처리를 복귀시킨다.
한편, 단계 SA40에서는, 수면 심도가 수면 심도 IV이기 때문에, CPU(10)는 혈압 측정을 시작하는 루틴으로 이동시켜, 피험자의 혈압값의 측정을 개시하고, 메모리(11)에 측정 결과를 기억시키며, 단계 SA50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혈압값을 측정할 때, 혈압 측정 장치(1)에서는, 공기 주머니(20)에 맥박 측정시보다 높은 압력으로 공기를 충전시켜, 압력 센서(31)에서의 압력 변화를 검출한다. 또, 단계 SA40에서는, 예컨대 측정 결과에 관련시켜 측정시의 수면 심도 및 측정 시각도 메모리(11)에 기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SA50에서, CPU(10)는 30분 대기한 후, 단계 SA10으로 처리를 복귀시킨다. 단계 SA50에서 30분 대기함으로써, 수면 심도의 피크(수면 심도가 가장 깊은 상태)에서 혈압 측정이 행해진 후, 수면 심도의 다음 피크가 올 때까지 혈압 측정이 행해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즉, 동일한 수면 심도의 피크 시에 복수 회 혈압 측정이 행해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험자의 맥파 주기의 변화에 기초하여 수면 심도가 결정되고, 수면 심도가 최고의 심도(가장 잠이 깊은 것, 즉 가장 깊은 피크)가 된 시점에서 해당 피험자의 혈압 측정이 개시되어, 측정된 혈압이 기록된다. 이에 따라, 피험자가 정신적으로 가장 안정되어 있다고 생각될 때의 혈압값을 측정할 수 있다.
또, 어떤 수면 심도에서 혈압 측정을 개시할 것인지에 대한 조건은, 메모리(11)에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메모리(11)의 소정 영역에, 「수면 심도 IV」라고 하는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실제로, CPU(10)는 상기 단계 SA20에서 그 시점에서의 수면 심도가 메모리(11)의 해당 영역에 기억되어 있던 조건에 적합한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적합하다고 판단하면 단계 SA40으로 처리를 진행하고,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하면 단계 SA30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도 5에 수면 심도 변화의 일반적인 형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처리 중에서 단계 SA40에서의 혈압값의 측정 및 기억이 이루어지는 타이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5에서는, 종축이 수면 심도(논렘이 「N」으로 약칭됨)이고, 횡축이 수면 개시로부터의 경과 시간이다. 또한, 도 5에 있어서, 종축의 수면 심도는 각성으로부터 N-Ⅳ까지 6단계로 표시되고, 측정된 수면 심도는 굵은 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수면 심도는, 렘으로부터 논렘 IV까지 깊어진 후에 렘으로 되돌아가도록 변화되고, 이러한 변화는 거의 주기적으로 보인다. 또, 수면 심도의 주기는 일반적으로 60분 내지 90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처리에서는, 수면 심도가 논렘 IV가 된 것을 조건으로 해서 혈압 측정이 개시되어, 혈압값이 기록된다. 이것은, 도 5에 나타나는 수면 심도의 측정값(굵은 선)이 원 P1 및 원 P2 내에 들어가 있는 타이밍에서 혈압값이 측정된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처리에서는, 수면 심도가 극대값(수면 깊이의 극대, 즉 국부적으로 수면이 가장 깊은 피크)을 취했을 때에 혈압값을 측정하기 때문에, 수면 심도가 논렘 IV가 된 것을 조건으로 해서 혈압값이 측정된다. 즉, 수면 심도가 논렘 IV에 이른 시점이 수면 심도가 가장 깊은 피크가 된 시점으로 간주되어, 혈압값의 측정이 행해진다.
[제2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혈압 측정 장치(1)는 제1 실시 형태의 혈압 측정 장치(1)와 동일한 하드웨어 구성을 갖는다.
또, 본 실시 형태의 혈압 측정 장치(1)는, 피험자의 혈압 측정을 위해 실행하는 처리의 내용이 제1 실시 형태의 혈압 측정 장치(1)와 상이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형태의 혈압 측정 장치(1)로 혈압값을 측정하기 위해 실행하는 처리에 대해, 해당 처리의 플로우차트인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CPU(10)는 우선, 단계 SB10에서 전술한 단계 SA10과 동일하게 피험자의 수면 심도를 측정하고, 단계 SB20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단계 SB20에서, CPU(10)는 직전의 단계 SB10에서 측정(결정)된 수면 심도의, 그 하나 전회에 실행된 단계 SB10에서 측정(결정)된 수면 심도에 대한 변화율(α)이 플러스 값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 α는, 직전의 단계 SB10의 측정 결과인 수면 심도가 그 하나 전회에서의 수면 심도보다 잠이 얕은 쪽으로 변화된 경우에, 플러스의 값이 된다. 그리고 CPU(10)는 α가 플러스라고 판단하면 단계 SB40으로, 그렇지 않다고 판단하면 단계 SB30으로, 각각 처리를 진행한다.
단계 SB30에서, CPU(10)는 1분간 대기한 후, 단계 SB10으로 처리를 복귀시킨다.
한편, 단계 SB40에서, CPU(10)는 피험자의 혈압값을 측정하고, 메모리(11)에 측정 결과를 기억시키고, 단계 SB50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이때, 예컨대 측정 결과에 관련시켜, 측정시의 수면 심도 및 측정 시각도 기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SB50에서, CPU(10)는 30분 대기한 후, 단계 SB10으로 처리를 복귀시킨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험자의 맥파 주기의 변화에 기초하여 수면 심도가 결정되고, 결정된 수면 심도가 전회 결정된 수면 심도보다 잠이 얕은 쪽으로 변화되었을 때에, 피험자의 혈압이 측정된다.
또, 어떤 수면 심도에서 혈압 측정을 개시할 것인지에 대한 조건은, 메모리(11)에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컨대 메모리(11)의 소정 영역에 「0」이라고 하는 값이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실제로, CPU(10)는 상기 단계 SB20에서, 그 시점에서의 변화율(α)과 해당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값을 비교하여, 그 시점에서의 변화율(α) 쪽이 크다고 판단하면 단계 SB40으로 처리를 진행하고, 그 시점에서의 변화율(α)이 해당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값 이하라고 판단하면 단계 SB30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하는 처리 중에서 단계 SB40에서의 혈압값의 측정 및 기억이 이루어지는 타이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7에서는 도 5와 마찬가지로, 종축이 수면 심도이고, 횡축이 수면 개시로부터의 경과 시간이며, 또한 측정된 수면 심도는 굵은 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수면 심도는 렘으로부터 논렘 IV까지 깊어진 후 렘으로 되돌아가도록 변화되고, 이러한 변화는 거의 주기적으로 보인다. 또, 수면 심도의 주기는 일반적으로는 60분 내지 90분이다.
도 6에 도시하는 처리에서는, 수면 심도가 결정된 때에, 그 결정된 수면 심도가 전회 결정된 수면 심도보다 잠이 얕은 쪽으로 변화될 때에, 즉 도 7에 도시하는 수면 심도의 측정값(굵은 선)이 원 P3 및 원 P4 내에 들어가 있는 타이밍에서 혈압값이 측정된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처리에서는, 수면 심도가 극대값(깊이에 대한 극대, 즉, 국부적으로 수면이 가장 깊은 피크)을 취했을 때에 혈압값을 측정하기 때문에, 결정된 수면 심도가 전회 결정된 수면 심도보다 잠이 얕은 쪽으로 변화된 것을 조건으로 해서 혈압값이 측정된다. 즉, 수면 심도가 전회 결정된 수면 심도보다 잠이 얕은 쪽으로 변화된 시점이 수면 심도가 극대값을 취한 시점으로 간주되어 혈압값의 측정을 개시하고, 측정된 혈압값이 기록된다.
[제3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혈압 측정 장치(1)는, 제1 실시 형태의 혈압 측정 장치(1)와 동일한 하드웨어 구성을 갖는다.
또, 본 실시 형태의 혈압 측정 장치(1)는, 피험자의 혈압 측정을 위해 실행하는 처리의 내용이 제1 실시 형태의 혈압 측정 장치(1)와 다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형태의 혈압 측정 장치(1)로 혈압값을 측정하기 위해 실행하는 처리에 대하여, 해당 처리의 플로우차트인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CPU(10)는 우선, 단계 SC10에서 상기 단계 SA10과 마찬가지로 피험자의 수면 심도를 측정하고, 단계 SC20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단계 SC20에서, CPU(10)는 직전의 단계 SC10에서 측정(결정)된 수면 심도가 렘이고, 또한 그 하나 전회에 실행된 단계 SC10에서 측정(결정)된 수면 심도가 논렘 I이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CPU(10)는 그렇다고 판단하면 단계 SC40으로, 그렇지 않다고 판단하면 단계 SC30으로, 각각 처리를 진행한다.
단계 SC30에서, CPU(10)는 1분간 대기한 후, 단계 SC10으로 처리를 복귀시킨다.
한편, 단계 SC40에서, CPU(10)는 피험자의 혈압값을 측정하고, 메모리(11)에 측정 결과를 기억시키며, 단계 SC50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이 때, 예컨대 측정 결과에 관련시켜, 측정시의 수면 심도 및 측정 시각도 기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SC50에서, CPU(10)는 30분 대기한 후, 단계 SC10으로 처리를 복귀시킨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험자의 맥파 주기의 변화에 기초하여 수면 심도가 결정되고, 결정된 수면 심도가 논렘 I로부터 변화된 렘일 때에, 피험자의 혈압이 측정된다.
또, 어떤 수면 심도에서 혈압 측정을 개시할 것인지에 대한 조건은, 메모리(11)에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컨대 메모리(11)의 소정 영역에, 수면 심도의 변화 패턴을 나타내는 정보, 구체적으로 논렘 I로부터 렘으로 변화되는 수면 심도의 패턴에 대한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실제로 CPU(10)는 전술한 단계 SC20에서, 그 시점에서의 수면 심도의 변화 패턴(직전에 실행된 단계 SC10에서 결정된 수면 심도와, 그 하나 전회의 단계 SC10에서 결정된 수면 심도의 패턴)과 해당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패턴을 비교하여, 일치한다고 판단하면 단계 SC40으로 처리를 진행하고, 다르다고 판단하면 단계 SC30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처리 중에서 단계 SC40에서의 혈압값의 측정 및 기억이 이루어지는 타이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9에서는 도 5와 마찬가지로 종축이 수면 심도이고, 횡축이 수면 개시로부터의 경과 시간이며, 또한 측정된 수면 심도는 굵은 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9에서, 수면 심도는 렘으로부터 논렘 IV까지 깊어진 후 렘으로 되돌아가도록 변화되고, 이러한 변화는 거의 주기적으로 보인다. 또, 수면 심도의 주기는 일반적으로 60분 내지 90분이다.
도 8에 도시하는 처리에서는, 전회 결정된 수면 심도가 논렘 I이고, 금회 결정된 수면 심도가 렘일 때에, 즉 도 9에 나타나는 수면 심도의 측정값(굵은 선)이 원 P5 내에 들어가 있는 타이밍에서 혈압값이 측정된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처리에서는, 수면 심도가 극소값(수면 깊이의 극소, 즉 국부적으로 수면이 가장 얕은 피크)을 취했을 때에 혈압값을 측정하기 때문에, 수면 심도가 논렘 I로부터 렘으로 변화된 것을 조건으로 해서 혈압 측정이 개시되고, 측정된 혈압값이 기록된다. 즉, 수면 심도가 논렘 I로부터 렘으로 변화된 시점이 수면 심도가 극소값을 취한 시점으로 간주되어, 혈압값의 측정이 행해진다.
[제4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혈압 측정 장치(1)는 제1 실시 형태의 혈압 측정 장치(1)와 동일한 하드웨어 구성을 갖는다.
또, 본 실시 형태의 혈압 측정 장치(1)는 피험자의 혈압 측정을 위해 실행하는 처리의 내용이 제1 실시 형태의 혈압 측정 장치(1)와 상이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형태의 혈압 측정 장치(1)로 혈압값을 측정하기 위해 실행하는 처리에 대해, 해당 처리의 플로우차트인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CPU(10)는 우선, 단계 SD10에서 전술한 단계 SA10과 마찬가지로 피험자의 수면 심도를 측정하고, 단계 SD20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단계 SD20에서, CPU(10)는 직전의 단계 SD10에 있어서 측정(결정)된 수면 심도가 논렘 IV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CPU(10)는, 그렇다고 판단하면 단계 SD30으로, 그렇지 않다고 판단하면 단계 SD50으로, 각각 처리를 진행한다.
단계 SD30에서, CPU(10)는 단계 SA40과 마찬가지로 피험자의 혈압값을 측정하고, 그것을 메모리(11)에 기억시키며, 단계 SD40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단계 SD40에서, CPU(10)는 30분간 대기한 후, 단계 SD10으로 처리를 복귀시킨다.
한편, 단계 SD50에서, CPU(10)는, 직전의 단계 SD10에서 측정된 수면 심도가 그 전회에 측정된 수면 심도에 대하여 2 단계 이상 얕은 쪽으로, 즉 예컨대 논렘 II로부터 렘으로 또는 논렘 III으로부터 논렘 I로 변화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그렇다고 판단하면 단계 SD30으로, 그렇지 않다고 판단하면 단계 SD60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단계 SD60에서, CPU(10)는 1분 대기한 후, 단계 SD10으로 처리를 복귀시킨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험자의 맥파 주기의 변화에 기초하여 수면 심도가 결정되고, 결정된 수면 심도가 논렘 IV인 경우, 또는 급격히 얕은 쪽으로(전회 측정시로부터 2 단계 이상 얕은 쪽으로) 변화된 경우에, 피험자의 혈압 측정이 개시되고, 측정된 혈압값이 기록된다.
또, 어떤 수면 심도에서 혈압 측정을 개시할 것인지에 대한 조건은, 메모리(11)에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컨대 메모리(11)의 소정 영역에, 결정된 수면 심도가 논렘 IV라는 것 또는 결정된 수면 심도가 전회 측정시로부터 2 단계 이상 얕은 쪽으로 변화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실제로, CPU(10)는 전술한 단계 SD20 및 단계 SD30에서, 그 시점에서의 수면 심도에 관한 상태가 해당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에 의해 정의되는 조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판단하면 단계 SD40으로 처리를 진행하고,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단계 SD60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하는 처리 중에서 단계 SD30에서의 혈압값의 측정 및 기억이 이루어지는 타이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11에서는 도 5와 마찬가지로 종축이 수면 심도이고, 횡축이 수면 개시로부터의 경과 시간이며, 또한, 측정된 수면 심도는 굵은 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 있어서, 수면 심도는 렘에서부터 논렘 IV까지 깊어진 후 렘으로 되돌아가도록 변화되고, 이러한 변화는 거의 주기적으로 보인다. 또, 수면 심도의 주기는 일반적으로 60분 내지 90분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처리에서는, 수면 심도가 논렘 IV일 때 및 금회 결정된 수면 심도가 전회 결정된 수면 심도로부터 2 단계 이상 얕은 쪽으로 변화되었을 때에, 즉 도 11에 나타나는 수면 심도의 측정값(굵은 선)이 원 P6P9 내에 들어가 있는 타이밍에서 혈압값이 측정되는 것으로 말할 수 있다.
또, 도 10에 도시하는 처리에서는, 단계 SD40에서 처리가 30분 대기되기 때문에, 단계 SD50에서 수면 심도가 전회 결정된 수면 심도로부터 2 단계 이상 얕은 쪽으로 변화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는, 수면 심도가 30분 내에 2 단계 이상 얕은 쪽으로 변화된 경우로 고려된다. 수면 심도가 얕은 쪽으로 급격히 변화되는 경우의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피험자가 무호흡 상태에 있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하는 처리는, 수면 심도가 소정 단계 이상 깊은 쪽으로 변화된 경우에 혈압값을 검출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제5 실시 형태]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인 혈압 측정 장치의 개관도이다.
본 실시 형태는, 제1∼제4 실시 형태에 대하여 수면 심도를 결정하기 위해 측정하는 피험자의 생체 정보가 변경된 것이다. 이하, 이들 실시 형태에 대한 변경점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 형태의 혈압 측정 장치(1)는 제1∼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혈압 측정 장치(1)에 대하여, 피험자의 생체 정보인 체온을 계측하기 위한 체온 센서(6)를 더 구비하고 있다. 체온 센서(6)는 커프(2)에 있어서 피험자의 팔(A)에 접촉되는 쪽에 마련되어 있다. 또, 체온 센서(6)는 커프(2)와 별개의 부재로 구성되어도 좋다.
도 13은 도 12의 혈압 측정 장치(1)의 하드웨어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의 혈압 측정 장치(1)는, 제1∼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혈압 측정 장치(1)에 대하여, 체온 센서(6)와, 체온 센서(6)가 검출하는 피험자의 체온에 대한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CPU(10)에 보내는 A/D 변환기(61)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컨대 표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피험자의 체온 값의 변화와 수면 심도를 관련시킨 정보(예컨대 테이블)가 메모리(11)에 기억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해당 정보에서는, 측정되는 체온값 T의 범위가 렘∼논렘 IV의 5 단계에 대하여 규정되어 있다.
수면 심도 체온 T에 대한 조건
취침 직후의 체온-0.3℃≤T
논렘 Ⅰ 취침 직후의 체온-0.6℃<T≤취침 직후의 체온-0.3℃
논렘 Ⅱ 취침 직후의 체온-0.9℃<T≤취침 직후의 체온-0.6℃
논렘 Ⅲ 취침 직후의 체온-1.2℃<T≤취침 직후의 체온-0.9℃
논렘 Ⅳ 취침 직후의 체온-1.5℃<T≤취침 직후의 체온-1.2℃
도 14는 본 실시 형태의 혈압 측정 장치(1)에서 측정되는, 수면 시간의 경과에 따른 피험자의 체온의 변화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체온은 수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전체적으로는 낮아지고 있지만, 국부적으로는 소정 주기로 상하를 반복하고 있다. 도 14에서는, 수면 심도가 논렘 IV가 되는 체온의 영역이 해칭 영역으로 표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는, 제1∼제4 실시 형태에 대하여, 수면 심도를 결정하기 위해 측정되는 생체 정보가 변경되었을 뿐이다. 즉, 결정된 수면 심도를 이용한 제어 내용에 대해서는 제1∼제4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제6 실시 형태]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인 혈압 측정 장치의 개관도이다.
제1∼제4 실시 형태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는 수면 심도를 결정하기 위해 측정하는 피험자의 생체 정보가 변경된 것이다. 이하, 이들 실시 형태에 대한 변경점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 형태의 혈압 측정 장치(1)는, 제1∼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혈압 측정 장치(1)에 비하여, 피험자의 생체 정보인 안구의 운동을 계측하기 위한 아이 마스크(8)를 더 구비하고 있다. 아이 마스크(8)는 피험자의 머리 부분(H)에 장착된다.
도 16에 아이 마스크(8)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아이 마스크(8)는 피험자의 머리 부분(H)에 고정하기 위한 벨트(80)와, 판형부(81)를 구비하고 있다. 판형부(81)에는, 피험자의 오른쪽 눈 및 왼쪽 눈에 각각 대응하는 적외선 센서인 우안용 적외선 센서(80A) 및 좌안용 적외선 센서(80B)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아이 마스크(8)와 혈압 측정 장치(1)의 본체 사이에는, 이들 적외선 센서의 출력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기(82)가 포함된다.
도 17은 도 15의 혈압 측정 장치(1)의 하드웨어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제1∼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혈압 측정 장치(1)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의 혈압 측정 장치(1)는 전술한 우안용 적외선 센서(80A) 및 좌안용 적외선 센서(80B)와 함께, 이들의 출력을 디지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801, 802)를 포함하고 있다. A/D 변환기(801, 802)는 변환기(82)에 포함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안구의 운동 양태를 우안용 적외선 센서(80A) 및 좌안용 적외선 센서(80B)로 검출하고, 검출된 운동 양태에 기초하여 피험자의 수면 심도가 결정된다.
제1∼제4 실시 형태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면 심도를 결정하기 위해 측정하는 생체 정보가 변경되었을 뿐이다. 즉, 결정된 수면 심도를 이용한 제어 내용에 대해서는, 제1∼제4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그 밖의 변형예 등]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서는, 수면 심도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이 몇 가지 기술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은 전술한 방법과는 다른 방법으로 수면 심도를 결정하여도 좋다.
그 밖의 방법으로는, 예컨대 피험자의 생체 정보로서 뇌파, 심전, 근전, 체동, 호흡 주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수면 심도가 소정 조건을 만족한 경우에 피험자의 혈압값을 측정하고 있지만, 이 외에, 혈압 측정 장치(1)에 소정 스위치를 마련하고, 피험자로 하여금 취침 직전에 해당 스위치를 조작시키며, 혈압 측정 장치(1)에서는 해당 스위치가 조작되고 나서 소정 시간(예컨대, 1시간, 1시간 30분, 2시간 등)이 경과한 것을 조건으로 하여 혈압 측정을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혈압 측정을 행함으로써도, 매일 피험자가 동일한 수면 상태에 있을 때에 혈압을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개시된 각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적인 것으로서 한정의 의도는 없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닌 청구의 범위에 의해 개시되고,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 형태는 가능한 한 조합되어 실현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험자의 수면 레벨이 결정되고, 결정된 수면 레벨이 소정 조건을 만족하고 있을 때의 혈압값이 기억됨으로써, 측정값으로서 기억되는 혈압값이 피험자의 수면 깊이가 소정 조건을 만족했을 때의 것으로 된다. 이 때문에, 혈압값의 측정에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논렘 수면시나 기상시 등과 같이, 피험자의 수면 깊이에 기초한 혈압값의 측정이 가능해진다.

Claims (7)

  1. 피험자의 혈압값을 측정하는 혈압 측정부와,
    상기 피험자의 수면 레벨을 결정하는 레벨 결정부와,
    상기 결정된 수면 레벨에 관한 조건을 특정하는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결정된 수면 레벨이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에 의해 상기 결정된 수면 레벨이 상기 조건을 만족하고 있다고 판단되었을 때에 상기 혈압 측정부에 혈압 측정을 개시시키는 혈압 측정 개시부와,
    상기 혈압 측정 개시부에 의한 지시에 따라 상기 혈압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피험자의 혈압값을 기억하는 혈압값 기억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결정된 수면 레벨의 깊이가 상기 레벨 결정부가 결정할 수 있는 수면 레벨 중 피크에 이른 경우에, 상기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인 혈압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험자의 생체 정보를 계측하는 생체 정보 계측부에 접속되고,
    상기 레벨 결정부는 상기 생체 정보 계측부의 계측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피험자의 수면 레벨을 결정하는 것인 혈압 측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 계측부는 상기 피험자의 맥박을 계측하고,
    상기 레벨 결정부는 상기 생체 정보 계측부가 계측하는 맥파 주기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피험자의 수면 레벨을 결정하는 것인 혈압 측정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 계측부는 상기 피험자의 체온을 계측하고,
    상기 레벨 결정부는 상기 생체 정보 계측부가 계측하는 체온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피험자의 수면 레벨을 결정하는 것인 혈압 측정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수면 레벨의 깊이가 상기 레벨 결정부가 결정할 수 있는 수면 레벨 중 피크에 이른 경우는, 상기 결정된 수면 레벨의 깊이가 상기 레벨 결정부가 결정할 수 있는 수면 레벨 중 가장 깊은 레벨에 이른 경우인 것인 혈압 측정 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수면 레벨의 깊이가 상기 레벨 결정부가 결정할 수 있는 수면 레벨 중 피크에 이른 경우는, 상기 결정된 수면 레벨의 깊이가 상기 레벨 결정부가 결정할 수 있는 수면 레벨 중 두 번째로 얕은 레벨로부터 가장 얕은 레벨로 변경된 경우인 것인 혈압 측정 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결정부는 일정 시간마다 수면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레벨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수면 레벨이 상기 레벨 결정부에 의해 전회(前回)에 결정된 수면 레벨에 대하여, 특정 변화량보다 크게 변화된 경우에, 상기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인 혈압 측정 장치.
KR1020087023776A 2006-03-01 2007-02-15 혈압 측정 장치 KR1010658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54916 2006-03-01
JP2006054916A JP4659646B2 (ja) 2006-03-01 2006-03-01 血圧測定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339A KR20080099339A (ko) 2008-11-12
KR101065817B1 true KR101065817B1 (ko) 2011-09-20

Family

ID=38458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3776A KR101065817B1 (ko) 2006-03-01 2007-02-15 혈압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251913B2 (ko)
EP (1) EP1992280B1 (ko)
JP (1) JP4659646B2 (ko)
KR (1) KR101065817B1 (ko)
CN (2) CN102151129B (ko)
RU (1) RU2395230C2 (ko)
TW (1) TWI425932B (ko)
WO (1) WO20070997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59646B2 (ja) * 2006-03-01 2011-03-30 学校法人自治医科大学 血圧測定装置
JP4952688B2 (ja) * 2008-09-01 2012-06-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睡眠判定装置及び睡眠判定方法
JP2012139286A (ja) * 2010-12-28 2012-07-26 Omron Healthcare Co Ltd 血圧測定装置
US20130194066A1 (en) * 2011-06-10 2013-08-01 Aliphcom Motion profile templates and movement languages for wearable devices
JP5613922B2 (ja) * 2012-02-23 2014-10-29 株式会社タニタ 血圧測定装置および血圧測定方法
JP5991100B2 (ja) * 2012-09-13 2016-09-14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脈拍測定装置、脈拍測定方法、および脈拍測定プログラム
JP6202485B2 (ja) * 2013-01-11 2017-09-27 株式会社タニタ 生体情報管理モジュール、睡眠計、およびシステム
RS20140390A1 (en) * 2014-07-24 2016-04-28 Fiorenzo Tassotti A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PRIMARY WITH A UNCONSCIOUS SUBJECT WITH THE CREATION OF PULSUUDITIVE SYNESESIA
US10255790B2 (en) 2015-04-14 2019-04-09 Huawei Technologies Co., Ltd. User remin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device
TWI670046B (zh) * 2016-03-29 2019-09-01 豪展醫療科技股份有限公司 兼具情緒壓力指數檢測與血壓檢測之量測裝置與方法
JP6800759B2 (ja) * 2017-01-04 2020-12-16 オムロン株式会社 ユーザ端末
US11687800B2 (en) * 2017-08-30 2023-06-27 P Tech, Llc Artificial intelligence and/or virtual reality for activity optimization/personalization
WO2019151195A1 (ja) * 2018-01-30 2019-08-08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推定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7293758B2 (ja) * 2019-03-15 2023-06-20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測定装置及び血圧測定方法
KR20220080972A (ko) * 2020-12-08 2022-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수면 무호흡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84611A (ja) * 1987-05-15 1988-11-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環境温度制御装置
JP2005237472A (ja) * 2004-02-24 2005-09-08 七臣 ▲苅▼尾 血圧測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2382A (en) * 1987-06-26 1996-06-04 Rescare Limited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obstructed breathing having a delay/ramp feature
JP3453877B2 (ja) * 1994-11-11 2003-10-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睡眠健康管理システム
JP2000000215A (ja) * 1998-06-15 2000-01-07 Arata Nemoto 睡眠深さ判定方法および判定装置
JP3733797B2 (ja) 1999-09-08 2006-01-11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電子血圧計
AU2836401A (en) * 1999-11-20 2001-06-04 Hans-Jurgen Urbscheit Device for waking a sleeping person
ATE397888T1 (de) * 2000-03-02 2008-07-15 Itamar Medical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nicht-invasiven bestimmung von schlafzuständen mittels überwachung des peripheren vaskularsystems
US20040049132A1 (en) * 2000-06-15 2004-03-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vice for body activity detection and processing
US20050054940A1 (en) * 2003-04-23 2005-03-10 Almen Adam J.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heart rate variability
US20040230398A1 (en) 2003-05-15 2004-11-18 Sanyo Electric Co., Ltd. Sleep analyzer and program product for giving sleep analysis function to computer
EP1656181B1 (en) 2003-08-18 2008-06-04 Cardiac Pacemakers, Inc. Disordered breathing management system
US20060293608A1 (en) 2004-02-27 2006-12-28 Axon Sleep Research Laboratories, Inc. Device for and method of predicting a user's sleep state
JP3987053B2 (ja) * 2004-03-30 2007-10-03 株式会社東芝 睡眠状態判定装置および睡眠状態判定方法
JP2006102260A (ja) * 2004-10-06 2006-04-2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耳式血圧計
JP4659646B2 (ja) * 2006-03-01 2011-03-30 学校法人自治医科大学 血圧測定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84611A (ja) * 1987-05-15 1988-11-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環境温度制御装置
JP2005237472A (ja) * 2004-02-24 2005-09-08 七臣 ▲苅▼尾 血圧測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229238A (ja) 2007-09-13
CN101394784A (zh) 2009-03-25
KR20080099339A (ko) 2008-11-12
EP1992280A4 (en) 2010-12-29
US20090234199A1 (en) 2009-09-17
US8251913B2 (en) 2012-08-28
RU2395230C2 (ru) 2010-07-27
RU2008138861A (ru) 2010-04-10
CN102151129B (zh) 2015-01-07
CN102151129A (zh) 2011-08-17
CN101394784B (zh) 2011-09-14
WO2007099775A1 (ja) 2007-09-07
EP1992280A1 (en) 2008-11-19
TWI425932B (zh) 2014-02-11
EP1992280B1 (en) 2014-12-10
JP4659646B2 (ja) 2011-03-30
TW200744530A (en) 2007-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5817B1 (ko) 혈압 측정 장치
JP5613922B2 (ja) 血圧測定装置および血圧測定方法
CN106793964B (zh) 无创血压监测器、操作无创血压监测器的方法和计算机程序产品
US9289139B2 (en) Blood pressure monitor
US6592528B2 (en) Biological information evaluation apparatus
JP2007130181A (ja) 睡眠状態計測装置、睡眠状態計測方法及び睡眠状態計測システム
KR20030088853A (ko) 혈관내피세포 기능평가장치
JP2006289088A (ja) 脈拍検出装置および方法
JP6202485B2 (ja) 生体情報管理モジュール、睡眠計、およびシステム
KR100861337B1 (ko) 혈압 조절기능 측정 장치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2010099383A (ja) 電子血圧計
WO2016185931A1 (ja) 生体情報測定装置
JP5073411B2 (ja) 目覚まし装置
JP2009082175A (ja) 呼吸訓練器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736521B2 (en)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diagnosing the autoregular mechanism of the blood pressure of a living being
US6730039B2 (en) Arteriosclerosis-degree evaluating apparatus
JP2010194202A (ja) 自動血圧計のデータ処理装置
JP2012110463A (ja) 低呼吸検出装置
AYLETT Ambulatory or self blood pressure measurement? Improving the diagnosis of hypertension
WO2015008427A1 (ja) 循環器機能判定装置
WO2015198494A1 (ja) 無呼吸及び/又は低呼吸診断装置並びに無呼吸及び/又は低呼吸診断方法
WO2020026647A1 (ja) 自動血圧測定装置
KR20220106606A (ko) 연속적으로 혈압측정이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JP2015154878A (ja) 血圧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