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5176B1 - 언어구사원리에 기초한 언어학습장치 및 언어학습방법 - Google Patents

언어구사원리에 기초한 언어학습장치 및 언어학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5176B1
KR101065176B1 KR1020090021460A KR20090021460A KR101065176B1 KR 101065176 B1 KR101065176 B1 KR 101065176B1 KR 1020090021460 A KR1020090021460 A KR 1020090021460A KR 20090021460 A KR20090021460 A KR 20090021460A KR 101065176 B1 KR101065176 B1 KR 101065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language
card
code
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1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3052A (ko
Inventor
정관선
Original Assignee
정관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관선 filed Critical 정관선
Priority to KR1020090021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5176B1/ko
Publication of KR20100103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3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에는 학습하고자 하는 국가의 언어로 기재된 단어가 표시되고 배면에는 인식코드(83)가 형성된 학습카드(80)와, 상기 학습카드(80)를 나열하기 위한 카드나열부(10)와, 상기 카드나열부(10)에 나열된 학습카드의 인식코드(83)를 읽어들이기 위한 코드리더(11)와, 상기 학습카드에 기재된 단어에 해당하는 이미지와 동영상 및 뜻과 발음 등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70)와, 상기 이미지와 동영상 및 뜻과 발음 등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50)와, 상기 코드리더(11)로 부터 읽어들인 코드와 매칭되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 뜻과 발음 등을 저장부(70)로부터 독출하여 출력부(50)로 출력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0)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구사원리에 기초한 언어학습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단어가 어순대로 제대로 나열되어 문장을 형성한 경우에는 주어가 동작하고 그 동작이 목적어에 영향을 미치는 단계가 동영상으로 출력부에 표현됨으로써 초보학습자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고, 이미지와 동영상을 보면서 공부하는 연상학습방식이어서 타국의 언어를 매우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언어, 구사, 원리, 언어, 학습, 문장, 동영상, 구현

Description

언어구사원리에 기초한 언어학습장치 및 언어학습방법{Apparatus for studing language based speaking language principle and method for studing language}
본 발명은 언어를 학습시키기 위한 장치 및 언어학습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인식코드를 구비하는 학습카드를 이용하여 단어를 공부함과 동시에 문장을 공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언어의 가장 기본적인 구사원리와 연상방식을 이용하여 각국의 언어, 특히 영어를 손쉽게 공부할 수 있도록 하는 언어학습장치 및 언어학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세계의 글로벌화로 인한 영어교육의 중요성은 누차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그러나 열악한 교육환경과 교육자재로 인해 많은 영어학습을 필요로 하는 학생들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충분하고 완벽한 영어합습방법은 현재 제안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언어 구사의 기본 원리에 기반한 영어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솔루션을 제공하 기 위한 것으로, 언어 구사의 기본원리는 일단 머릿속에서 하고자 하는 말의 영상을 그려본 다음 그 영상을 어순에 맞춰 말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언어 구사의 기본원리는 세상의 모든 언어가 동일하나 다만 어순, 즉 단어의 나열순서만 다른 것이다.
예를 들면 우리말은 목적어를 중요시 하는 언어여서 주어가 나온 다음 목적어가 나오고, 그 다음에 목적어에 가해지는 동작(동사)이 표현되는 반면, 영어는 동작을 중요시하는 언어이므로 주어 다음에 동작(동사)이 나오고 다음 그 동작에 가해지는 대상, 즉 목적어가 나오는 구조이다.
따라서 다른 나라의 언어를 배우기 시작하는 초보학습자들은 무엇보다 단어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하기도 하지만, 자국의 언어와 다른 어순을 갖는 나라의 언어를 자연스럽게 쉽게 배우기란 매우 힘든 일이다.
종래에 이 같은 초보학습자들의 언어 학습을 위해 학습카드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상기 학습카드의 경우 종이나 나무, 플라스틱 등을 재질로 하는 판지(板紙) 표면에 특정 대상물에 대한 이미지가 인쇄되고, 측면 또는 하측에는 상기 특정 대상물에 해당하는 단어가 각 나라 언어로 기재된 구성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학습카드는 집중력이 약한 초보학습자, 특히 영아나 유아들에게 그다지 큰 관심을 끌지 못하며, 또한 학습자들이 학습카드에 대해 설명해 주기 전에는 피 학습자들이 카드에 쓰여있는 단어의 발음, 의미 등을 이해할 수 없는 것이다.
더구나 동사와 같이 동적(動的)인 이미지에 의해 학습 되어야 하는 단어마저도 종래의 학습카드는 사진이나 그림 같은 정적(靜的)인 이미지로 표현되어 피 학습자들이 재미를 느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단어의 의미조차 파악하기 어려운 것이다.
또 종래의 학습카드는 피 학습자들이 이를 어순대로 나열하는 문장만들기 연습을 하고자 하더라도 어순이 옳고 그름을 스스로 판단할 수 없어 결국 다른 사람에게 물어봐야 하는 번거로움을 갖는다.
본 발명은 표면에는 학습하고자 하는 국가의 언어로 기재된 단어가 표시되고 배면에는 인식코드가 형성된 학습카드와, 상기 학습카드를 나열하기 위한 카드나열부와, 상기 카드나열부에 나열된 학습카드의 인식코드를 읽어들이기 위한 코드리더와, 상기 학습카드에 기재된 단어에 해당하는 이미지와 동영상 및 뜻과 발음 등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와, 상기 이미지와 동영상 및 뜻과 발음 등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와, 상기 코드리더로부터 읽어들인 코드와 매칭되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 뜻과 발음 등을 저장부로부터 독출하여 출력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 구성된 언어구사원리에 기초한 언어학습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학습카드를 나열하여 형성되는 구와 절, 또는 문장과 상기 구와 절, 문장이 만들어질 때 형성되는 코드순서와 상기 문장 및 코드순서와 각각 매칭되는 이미지 및 동영상을 저장하는 단계와, 학습카드의 코드를 순서대로 스캔하는 단계와, 스캔된 코드 순서와 매칭된 이미지 및 동영상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스캔된 코드 순서와 매칭된 이미지 및 동영상이 존재하면 상기 이미지 및 동영상을 실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구사원리에 기초한 언어학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학습카드에 기재된 단어에 해당하는 이미지와 동영상 및 뜻과 발음이 출력부에 표현되도록 함으로써 초보학습자들이 배우고자 하는 나라의 언어에 대한 단어의 발음과 의미를 혼자서도 학습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학습카드의 나열하는 순서에 따라 어순의 옳고 그름을 스스로 배울 수 있으며, 특히 단어가 어순대로 나열되어 문장을 형성한 경우에는 주어가 동작하고 그 동작이 목적어에 영향을 미치는 단계가 동영상으로 출력부에 표현됨으로써 흥미를 유발할 수 있고, 이미지와 동영상을 보면서 공부하는 연상학습방식이어서 타국의 언어를 매우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머릿속으로 영상을 그리고 상기 영상에 해당되는 단어를 어순대로 나열함으로써 의사표현이 가능한 가장 기본적인 언어구사원리에 기초한 언어학습, 특히 동작(동사)을 중요시하는 언어인 영어를 손쉽게 공부할 수 있는 매우 획기적인 언어학습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 언어학습장치(100)는 표면에는 학습하고자 하는 국가의 언어로 기재된 단어가 표시되고 배면에는 인식코드(83)가 형성된 학습카드(80)와, 상기 학습카드(80)를 나열하기 위한 카드나열부(10)와, 상기 카드나열부(10)에 나열된 학습카드(80)의 인식코드(83)를 읽어들이기 위한 코드리더(11)와, 상기 학습카드(80)에 기재된 단어에 해당하는 이미지와 동영상 및 뜻과 발음 등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70)와, 상기 이미지와 동영상 및 뜻과 발음 등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50)와, 상기 코드리더(11)로부터 읽어들인 코드와 매칭되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 뜻과 발음 등을 저장부(70)로부터 독출하여 출력부(50)로 출력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0)로 구성되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어구사원리에 기초한 언어학습장치(1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 언어학습장치(100)는 학습카드(80), 카드나열부(10), 코드리더(11), 저장부(70), 출력부(50), 제어부(30), 입력부(60)를 포함한다.
학습카드(80)는 표면에는 학습하고자 하는 국가의 언어로 기재된 단어(81)가 표시되고 배면에는 인식코드(83)가 형성되어 지는데, 이때 표면에는 단어와 함께 단어의 품사 및 뜻이 기재될 수도 있고, 상기 단어가 문장 중에서 쓰이는 기능, 예를 들면 주어, 동사, 목적어 중 어느 하나의 내용으로 기재될 수 있다.
상기 학습카드(80)에 기재되는 단어는 상기 단어에 해당하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 뜻, 발음 등과 함께 매칭되어 저장부(70)에 저장되어 진다.
따라서 상기 학습카드(80)에 기재된 단어의 품사가 명사인 경우는 출력부(50)에 사진이나 그림과 같은 정적(靜的)인 이미지로 표현될 것이며, 동사의 경우는 연속적인 이미지나 플래쉬, 애니메이션 등과 같은 동영상으로 표현되며, 형용사의 경우는 명사를 품사로 하는 학습카드와 함께 쓰여 명사를 품사로 하는 학습카드의 이미지에 형용사를 품사로 하는 학습카드에 기재된 이미지가 조합된 이미지로 표현될 것이다.
즉 만일 본 발명에서 제공된 학습카드(80)가 모두 5개라고 하고, 상기 학습카드(80)에 기재된 단어가 모두 I, hit, lion, kiss, monkey 라고 한다면 상기 제공된 학습카드를 사용하여 영어 어순, 즉 주어 동사 목적어 순서대로 나열하여 얻 어질 수 있는 모든 문장은 I hit (a) lion, I hit (a) monkey, I kiss (a) lion, I kiss (a) monkey, (a) lion hit (a) monkey, (a) lion kiss (a) monkey, (a) monkey hit (a) lion, (a) monkey kiss (a) lion 와 같이 8개가 만들어질 것이다.
따라서 상기 8개의 문장에 매칭되어 저장부(70)에 저장되는 동영상 역시 8개가 되어야 하며, 이때 각각의 동영상은 상기 각 문장이 갖는 의미와 동일하다.
상기 인식코드(83)는 다른 카드와 구별하도록 하는 식별수단으로, 가장 일반적으로는 바코드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기타 다른 카드와 식별가능하고 또 코드리더(11)에 의해 인식코드를 읽어들여서 판단할 수만 있다면 자기(磁氣) 및 홀로그램 등 어떠한 코드수단 이라도 사용가능하다.
카드나열부(10)는 학습카드(80)를 올려놓기 위한 부분으로, 상기 카드나열부(10) 아래에 위치한 코드리더(11)에 의해 학습카드(80)의 인식코드(83)가 읽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카드나열부(10)는 유리와 같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코드리더(11)는 학습카드(80)의 인식코드(83)를 읽어들이기 위한 구성으로, 학습카드(80)의 인식코드(83)가 바코드일 경우에는 상기 코드리더(11)는 광학식 마크판독장치가 사용된다. 상기 광학식 마크판독장치는 최근 레이저 식이 주류를 이루며 상기 카드나열부(10) 위에 학습카드(80)를 올려놓고 입력부(60)를 눌러 코드리더(11)를 작동시키면 상기 코드리더(11)는 순서대로 학습카드(80)의 인식코드(83)를 읽어들이게 된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카드나열부(10)에 나열된 학습카드의 인식코드를 코드리더가 읽어들이면 상기 나열된 학습카드의 순서가 어순에 맞춰 나열된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어순판단모듈(31)과, 어순이 맞다고 판단되면 저장부(70)로부터 상기 어순에 해당하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독출하여 출력부로 출력하기 위한 문장매칭모듈(33)을 포함할 수 있다.
어순판단모듈(31)은 카드나열부(10)에 나열된 학습카드(80)의 순서가 어순에 맞춰 나열된 것인지를 판단하게 되는데, 상기 카드나열부(10)에 나열된 학습카드(80)의 순서가 저장부(70)에 저장된 문장과 일치하면 상기 나열된 학습카드(80) 순서는 옳은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때 제공된 학습카드(80)로 인해 옳은 문장을 만들 수 있는 학습카드(80) 순서들은 이미 입력되어 저장부(70)에 저장된 상태이다.
문장매칭모듈(33)은 카드나열부(10)에 나열된 학습카드(80)의 순서가 옳다고, 즉 어순이 맞다고 판단되면 저장부(70)로부터 상기 학습카드(80) 순서에 해당하는 동영상을 독출하여 출력부(50)로 출력하게 된다.
또 상기 제어부(30)는 입력부(60)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대해 출력부(50)로 출력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이때 입력명령들은 학습카드(80) 하나하나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 뜻과 발음 등을 저장부(70)로부터 독출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명령이 될 수도 있고, 학습카드(80)의 나열순서가 옳은 것인지 그른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명령 들이 될 것이다. 즉 이를 버튼으로 표현한다면 이미지(동영상)보기 버튼, 발음듣기 버튼, 뜻알기 버튼, 오류확인 버튼 등이 될 것이다.
출력부(50)는 화면출력수단(51)과 음성출력수단(53)을 포함한다. 화면출력수 단(51)은 LCD, PDP, CRT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미지 및 동영상에 대한 화상데이터를 표현한다. 음성출력수단(53)는 동영상에 포함된 음성데이터를 표현한다.
저장부(70)는 학습단어(80)와 학습단어(80)를 카드나열부(10)에 어순대로 나열하였을 때 표현될 수 있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 뜻과 발음 등을 저장하게 될 것이다. 이때 특히 명사에 해당하는 단어가 기재된 학습카드(80)의 경우는 이미지로, 동사의 경우는 주어의 행동이 동적으로 표현되는 동영상으로, 형용사는 명사를 형용한 상태의 이미지로 표현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언어학습장치에 의한 언어학습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학습카드(80)를 나열하여 형성되는 구와 절, 또는 문장과 상기 구와 절, 문장이 만들어질 때 형성되는 코드순서와 상기 문장 및 코드순서와 각각 매칭되는 이미지 및 동영상을 저장하는 단계(S10)와, 학습카드의 코드를 순서대로 스캔하는 단계(S20)와, 스캔된 코드 순서와 매칭된 이미지 및 동영상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와, 스캔된 코드 순서와 매칭된 이미지 및 동영상이 존재하면 상기 이미지 및 동영상을 실행하는 단계(S40)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공된 학습카드를 학습하고자 하는 국가의 어순대로 나열하여 얻어질 수 있는 모든 문장을 저장부(70)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모든 문장들의 각각의 의미를 동적(動的) 영상으로 표현하는 동영상파일을 저장부(70)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제공된 학습카드를 학습하고자 하는 국가의 어순대로 나열하여 얻어질 수 있는 모든 코드순서를 저장부(70)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언어구사원리에 기초한 언어학습장치 및 그에 의한 언어학습방법 중 출력부(50)로 출력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때 출력부(50)는 스캔된 코드에 따라 매칭된 이미지 및 동영상, 뜻과 발음 등을 저장부(70)로부터 독출하여 출력한다.
[도 5]는 주어에 해당하는 단어, 즉 "I"가 기재된 학습카드를 카드나열부(10)에 올려놓은 경우이고, 이 경우 "I"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출력부(50)를 통해 출력된다. 이때 "I"의 이미지는 미리 선택하여 저장된 이미지 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여러 개의 이미지 중에서 선택한 아바타 이미지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주어와 동사, "I"와 "run"이 기재된 학습카드를 카드나열부(10)에 어순대로 올려놓은 경우이고, 이 경우 "I"와 "run"에 해당하는 동영상이 출력부(50)를 통해 출력된다.
[도 7]은 영어 문장, 즉 주어와 동사, 목적어 "I" 와 "run" ,"to", "you"가 기재된 학습카드를 카드나열부(10)에 올려놓은 경우이고, 이 경우 이미 선택한 "I" 이미지가 "run"동영상 이미지가 합쳐친 다음 목적어 "you"를 향해 달려가는 동영상이 출력부(50)를 통해 출력된다. 이때 목적어인 "you"의 이미지는 미리 선택하여 저장된 이미지 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여러 개의 이미지 중에서 선택한 아바타 이미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주어 또는 목적어, 동사에 해당하는 학습카드(70)를 각각 다른 것으로 바꾸어 볼 수도 있는데, 이를 다시 카드나열부(10)에 올려놓고 스캔하게 되면 주어 또는 목적어, 동사가 바뀐 상태에 따라 동영상도 바뀌게 됨은 당연하다.
예를 들어, 주어 자리의 학습카드를 "(a) lion"으로 바꾸고 목적어 자리의 학습카드(70)를 "(a) monkey"로 바꾸면 사자가 원숭이에게 달려가는 동영상이 표현될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사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언어구사원리에 기초한 언어학습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 - 본 발명 학습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 - 본 발명 언어학습장치의 사시도.
도 4 - 본 발명 언어학습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 ~ 도 7 - 본 발명에 의해 동영상이 구현되는 방법이 출력부로 출력된 화면을 보이기 위한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 발명 언어학습장치
10: 카드나열부 11: 코드리더(code reader)
30: 제어부 31: 어순판단모듈
33: 문장매칭모듈 50: 출력부
51: 화면출력수단 53: 음성출력수단
60: 입력부 70: 저장부
80: 학습카드 81: 단어
83: 인식코드

Claims (6)

  1. 표면에는 학습하고자 하는 국가의 언어로 기재된 단어(81)가 표시되고 배면에는 인식코드(83)가 형성된 학습카드(80)와, 상기 학습카드(80)를 나열하기 위한 카드나열부(10)와, 상기 카드나열부(10)에 나열된 학습카드(80)의 인식코드(83)를 읽어들이기 위한 코드리더(11)와, 상기 학습카드(80)에 기재된 단어(81)에 해당하는 이미지와 동영상 및 뜻과 발음 등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70)와, 상기 이미지와 동영상 및 뜻과 발음 등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50)와, 상기 코드리더(11)로부터 읽어들인 코드와 매칭되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 뜻과 발음 등을 저장부(70)로부터 독출하여 출력부(50)로 출력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0)로 이루어지는 언어학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카드나열부(10)에 나열된 학습카드의 인식코드를 코드리더가 읽어들이면 상기 나열된 학습카드의 순서가 어순에 맞춰 나열된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어순판단모듈(31)과, 어순이 맞다고 판단되면 저장부로 부터 상기 어순에 해당하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독출하여 출력부로 출력하기 위한 문장매칭모듈(33)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구사원리에 기초한 언어학습장치.
  2. 학습카드(80)를 나열하여 형성되는 구와 절, 또는 문장과 상기 구와 절, 문장이 만들어질 때 형성되는 코드순서와 상기 문장 및 코드순서와 각각 매칭되는 이미지 및 동영상을 저장하는 단계와, 학습카드(80)의 코드를 순서대로 스캔하는 단계와, 스캔된 코드 순서와 매칭된 이미지 및 동영상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스캔된 코드 순서와 매칭된 이미지 및 동영상이 존재하면 상기 이미지 및 동영상을 실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언어학습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공된 학습카드를 학습하고자 하는 국가의 어순대로 나열하여 얻어질 수 있는 모든 문장을 저장부(70)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모든 문장들의 각각의 의미를 동적(動的) 영상으로 표현하는 동영상파일을 저장부(70)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제공된 학습카드를 학습하고자 하는 국가의 어순대로 나열하여 얻어질 수 있는 모든 코드순서를 저장부(70)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구사원리에 기초한 언어학습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90021460A 2009-03-13 2009-03-13 언어구사원리에 기초한 언어학습장치 및 언어학습방법 KR101065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460A KR101065176B1 (ko) 2009-03-13 2009-03-13 언어구사원리에 기초한 언어학습장치 및 언어학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460A KR101065176B1 (ko) 2009-03-13 2009-03-13 언어구사원리에 기초한 언어학습장치 및 언어학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052A KR20100103052A (ko) 2010-09-27
KR101065176B1 true KR101065176B1 (ko) 2011-09-21

Family

ID=43007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1460A KR101065176B1 (ko) 2009-03-13 2009-03-13 언어구사원리에 기초한 언어학습장치 및 언어학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51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6523A (ko) * 2014-09-01 2016-03-0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조립 유닛 및 조립 유닛 세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3014B1 (ko) * 2016-09-21 2024-02-02 강거웅 문자 카드 세트를 이용한 언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102166033B1 (ko) * 2018-02-21 2020-10-15 정관선 학습용 이미지 카드를 이용한 교육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682B1 (ko) * 2006-10-13 2008-02-26 김달호 알파벳 블록을 이용한 파닉스 학습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04580A (ko) * 2009-07-08 2011-01-14 양종해 비접촉식 알에프 아이씨 스마트 태그가 내장된 교육용 카드와 컴퓨터를 이용한 통합 교육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682B1 (ko) * 2006-10-13 2008-02-26 김달호 알파벳 블록을 이용한 파닉스 학습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04580A (ko) * 2009-07-08 2011-01-14 양종해 비접촉식 알에프 아이씨 스마트 태그가 내장된 교육용 카드와 컴퓨터를 이용한 통합 교육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6523A (ko) * 2014-09-01 2016-03-0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조립 유닛 및 조립 유닛 세트
KR101639711B1 (ko) 2014-09-01 2016-07-1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조립 유닛 및 조립 유닛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052A (ko) 2010-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avies et al. Success in English Teaching: A Complete Introduction to Teaching English at Secondary School Level and Above.
Liberman et al. Whole language vs. code emphasis: Underlying assumptions and their implications for reading instruction
Parrott Grammar for English Language Teachers: with exercises and a key
Edge et al. From Experience to Knowledge in ELT-Oxford Handbooks for Language Teachers
Ehri What teachers need to know and do to teach letter–sounds, phonemic awareness, word reading, and phonics
US20120115112A1 (en) Language training system
US200600402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teaching reading and writing
US20060166173A1 (en) Educational method and device
Watkins Teaching and Developing Reading Skills Google EBook: Cambridge Handbooks for Language Teachers
JP2004046274A (ja) アルファベットのイメージ音読システム
US20080206724A1 (en) Vowel based method of teaching the reading of English
Peck Developing children’s listening and speaking in ESL
Rawlins et al. Reconceptualizing sight words: Building an early reading vocabulary
Mauranen Speech corpora in the classroom
Zhang CALL for Chinese-Issues and practice
KR20150126176A (ko) 단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101065176B1 (ko) 언어구사원리에 기초한 언어학습장치 및 언어학습방법
KR20090038335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학습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2064997A2 (en) Language training system
EP3811354A1 (en) Symbol manipulation educational system and method
Sukristiningsih et al. EFL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for Junior High Schools in Arfak Mountains Regency, West Papua
US20060110713A1 (en) Initial teaching alphabet for teaching phonetics
Mathur et al. Language-focused instruction for literacy acquisition in Akshara-based languages: Pedagogical considerations and challenges
KR102166033B1 (ko) 학습용 이미지 카드를 이용한 교육장치
KR101206306B1 (ko) 언어구사원리에 기초한 언어학습시스템 및 언어학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