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5068B1 - 양 방향 회전 운동을 형성하기 위한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양 방향 회전 운동을 형성하기 위한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5068B1
KR101065068B1 KR1020067005012A KR20067005012A KR101065068B1 KR 101065068 B1 KR101065068 B1 KR 101065068B1 KR 1020067005012 A KR1020067005012 A KR 1020067005012A KR 20067005012 A KR20067005012 A KR 20067005012A KR 101065068 B1 KR101065068 B1 KR 101065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spring
reinforcement
loop spring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5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6934A (ko
Inventor
마르쿠스 클로프
슈테파니 앙게르뮬러
마티아스 바이스
게오르그 셰크
프리이더 크뤼거
Original Assignee
브로제 파르쪼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코부르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0361148A external-priority patent/DE10361148A1/de
Application filed by 브로제 파르쪼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코부르크 filed Critical 브로제 파르쪼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코부르크
Publication of KR20060126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6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2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expandable or contractable clamping ring or b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 B60N2/225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 B60N2/225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with coiled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50Crank gear with clutches or retaining brakes, for operating window mechanisms
    • E05F11/505Crank gear with clutches or retaining brakes, for operating window mechanisms for vehicle 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9Wrap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8Interior li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자동차에서 윈도우 리프터 및 시트 조절기를 위한 양 방향 회전 운동을 형성하기 위한 조절 장치는, 구동 부재(1); 구동 부재(1)의 작동에 의해 구동되는 중공 원통형 베어링면을 구비한 각도 이동 부재; 피동 부재; 구동 부재(1)와 피동 부재(11) 사이에서 힘을 전달하도록 배치되어 구동 부재(1)가 중립의 초기 위치로부터 한쪽 또는 다른 한쪽으로 움직이면 구동 부재(1)의 조절 운동을 피동 부재(11)로만 전달하고, 또한 피동 부재(11)와 출력 부재 사이에 배치된 브레이크 로크는 출력 측에 가해지는 토크를 차단하고, 또한 리셋 장치는 구동 부재(1)가 중립의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한다. 커플링에는, 구동 부재(1)와 활성 연결되는 보강 레버(5), 및 피동 부재(11)의 중공 원통형 베어링면(110)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탄지되는 루프 스프링 밴드(31, 32)가 제공되어, 스프링의 단부(310, 311; 321-324)가 보강 레버(5)와 활성 연결된다.
조절 장치, 회전 운동, 양 방향, 베어링, 루프 스프링 밴드, 토크, 차단

Description

양 방향 회전 운동을 형성하기 위한 조절 장치 {ADJUSTMENT DEVICE FOR PRODUCING A TWO-SIDED ROTATIONAL MOVEMENT}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양 방향 회전 운동을 형성하기 위한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 199 07 483에는 회전 운동을 형성하기 위해 양 방향으로 작용하는 조절 장치가 기재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 장치는 구동 부재, 및 이 구동 부재의 작용에 의해 각도가 조절될 수 있는 출력 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하우징을 갖는다. 상기 하우징에는 또한 하우징의 측벽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되는 루프 스프링이 장착되어 출력 측에 가해지는 토크를 차단하고 구동 측에 토크가 가해지는 경우에는 수축되어 구동 부재로부터 출력 부재로의 토크 전달을 허용한다. 루프 스프링의 단부는 구동 부재와 출력 부재 사이에 장착되는 전달 부재와 연결되며 출력 부재의 축 둘레에 베이스 본체가 장착된 원형 세그먼트를 갖는다. 구동 부재로부터 출력 부재로 토크가 전달되는 동안에 유격을 감소시키기 위해, 하우징은 출력 부재의 축을 향해 테이퍼를 이루며 전달 부재 또는 루프 스프링은 하우징의 직경이 감소되는 쪽 축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다.
공지된 조절 장치의 경우에 상기 구동 부재는, 반경방향 또는 원주방향으로 가이드되며 전달 부재의 정지면에 대하여 유격 없이 지지되고 원주방향으로 서로 반대로 변위될 수 있는 2개의 가위식 레버(scissor lever) 및 이들 가위식 레버 사이에 배치되고 구동 부재의 가이드에 장착되며 반경방향으로 탄지된 쐐기형 슬라이더로 이루어지는 보상 부재를 추가로 구비한다. 쐐기형 슬라이더는 구동 부재의 가이드에서 가이드되는 중앙의 탄지식 쐐기형 가이드를 구비하여 구동 레버의 가이드에서의 반경방향 변위가 가위식 레버 상에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가함으로써 충분한 유격의 자유를 보장한다.
이러한 종류의 조절 장치는 구동 부재로부터 피동 부재로의 구동 측에 토크를 전달하는 것에는 물론, 조정 장치의 출력 측으로부터 가해지는 토크를 차단하기 위한 브레이크 로크(brake lock)로서도 적절하다. 루프 스프링을, 구동 부재의 조절 운동을 피동 부재에 전달하기 위한 힘 전달 부재로서, 또는 루프 스프링을 확장시킴으로써 출력 측 토크를 차단하고 국부적으로 고정된 조절 하우징에 대하여 지지되는 루프 스프링의 원통형 접촉면을 통해 블록을 형성하는 제동 부재로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한편으로 구동 부재로부터 피동 부재로 유격 없이 힘을 최대로 전달할 수 있고 출력 측에 가해지는 토크의 크기가 구동 측에 가해지는 토크의 크기 이상일 때 확실하게 차단하도록 힘 전달 부재의 정확한 매칭이 필요하다.
또 다른 문제점은, 조절 운동이 이루어져서 조절 장치와 연결되는 자동차의 조절 메커니즘의 어떠한 의도하지 않은 조절도 일어나지 않은 채로 조절 시스템이 놓여 있을 때 구동 부재가 중립의 출발 위치로 확실하게 되돌아간다는 것이다.
현재 이러한 종류의 조절 장치가 상당히 많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제조비 용 및 설치비용을 낮추면서 자동차에 장착하기 위한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것과 동일한 기능을 가지면서 구동 및 제동 로크 모두에 적절하며, 스프링 부재를 간단히 장착할 수 있고 구동 부재와 피동 부재 사이에서 양호하게 힘을 전달할 수 있거나 출력 측에 가해지는 토크를 확실하게 차단하고 스프링 부재의 탄성력과 무관하게 조절 장치의 기능성 부재를 중립의 출발 위치로 확실하게 리셋시킬 수 있는 유형의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구동 부재로부터 피동 부재로 힘을 전달하는 구동부에 의해 달성되며, 커플링 또는 브레이크 로크가, 360°미만의 외주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루프 스프링 밴드, 및 구동 부재로부터 피동 부재로 또는 피동 부재로부터 출력 부재로 또는 출력 부재로부터 조절 하우징으로 힘을 전달하기 위한 베어링면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방안은, 스프링 부재로서 사용되는 루프 스프링 밴드의 지지를 간단하고 보다 특별하게 부유시키며 스프링 단부에 작용하는 보강 레버를 통해 구동 부재와 피동 부재 사이의 힘 전달을 양호하게 하여 출력 측에 가해지는 토크를 확실하게 차단하고 조절 장치의 기능성 부재를 스프링 부재의 탄성력과 무관하게 중립의 출발 위치로 확실하게 리셋시킬 수 있도록 한다.
커플링은 바람직하게, 구동 부재와 활성 연결되어 있는 보강 레버, 및 피동 부재의 중공 원통형 베어링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지되는 루프 스프링 밴드를 가지며, 스프링의 단부는 보강 레버와 활성 연결되어 있다.
보강 레버는, 조절 축을 중심으로 유격을 가지고 회전 가능하며, 루프 스프링 밴드의 스프링 단부 사이에 위치되고 루프 스프링 밴드를 확장하여 중립의 출발 위치로부터 구동 부재의 선회 운동을 통해 구동 부재로부터 발생되는 구동 토크를 전달하여 구동부 상부의 중공 원통형 베어링면과 마찰 결합하여 지지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캠을 갖는다. 상기 캠은 또한 전달 레버와 활성 연결되어서 구동 부재가 편향된 위치로부터 중립의 출발 위치로 리셋되는 동안에 루프 스프링 밴드와 각도를 이룬 지지 암에 작용하여 루프 스프링 밴드가 함께 회수되고 구동부 상부의 중공 원통형 접촉 베어링면에 대한 마찰 접촉이 해제된다.
부유 장착된 루프 스프링 밴드 외에,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커플링은 구동 부재 및 피동 부재의 구동 축에 부착되는 2개의 전달 레버를 가지며, 각각은 반경방향 레버 암을 구비하고 루프 스프링 밴드와 각도를 이룬 지지 암에 의해 서로 대면하여 내측으로 향하는 단부에서 루프 스프링 밴드의 스프링 단부 중 하나를 형성하고, 제2 레버 암은 하우징에 고정된 정지부 및 구동 부재와 함께 보강 레버의 연결 볼트에 대하여 지지함으로써 전달 레버 사이에 장착된 스프링을 리셋시켜서, 리셋 방향과 무관하게 루프 스프링 밴드의 각도를 이룬 지지 암 중 하나에 대하여 전달 레버 중 하나의 반경방향 레버 암을 각각 누르는 루프 스프링 밴드 및 구동 부재를 리셋시키도록 하며, 리셋 운동의 방향과 무관하게 구동 부재와 연결되어 있는 연결 부재에 대하여 제2 레버 암을 누르는 구동 부재를 리셋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루프 스프링 밴드의 탄성력과 무관하게 하나의 스프링에 의해, 중립의 출발 위치로 구동 부재 및 루프 스프링 밴드를 모두 확실하게 리셋시키는 것이 보장된다.
조절 축에 부착되는 2개의 전달 레버는 바람직하게, 조절 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루프 스프링 밴드의 경사진 지지부와 연관되어 하우징에 고정된 정지부에 대하여 지지되고 보강 레버와 활성 연결되는 레버 암을 구비한다. 또한, 전달 레버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리셋 스프링이 장착되어 루프 스프링 밴드를 리셋시키고, 보강 레버에 연결되는 구동 부재는 전달 레버의 반경방향 레버 암을 각각 상기 리셋 작용의 방향과 무관하게 루프 스프링 밴드의 각도를 이룬 지지 암 중 하나에 대하여 그리고 보강 레버의 정지부에 대하여 가압한다.
제1 실시예에서, 리셋 스프링은 2개의 레버 돌기에 장착되며, 상기 레버 돌기들은 전달 레버의 반경방향 레버 암으로부터 연장되고 원주 방향으로 굴곡되며, 각각이 하나의 전달 레버의 반경방향 레버 암으로부터 다른 하나의 전달 레버의 반경방향 레버 암으로 조절 축과 동심으로 연장되며, 서로에 대하여 정렬되고 서로를 지나 이동 가능하며, 상기 리셋 스프링은 전달 레버의 반경방향 레버 암에 지지된다.
제2 실시예에서, 전달 레버는, 하우징에 고정된 정지부, 및 구동 부재와 함께 보강 레버의 연결 볼트에 대하여 지지되는 제2 레버 암을 갖는다. 리셋 운동의 방향과 무관하게 구동 부재를 리셋시키기 위해서, 전달 레버의 제2 레버 암 각각은 관절 운동을 하도록 구동 부재에 연결되는 연결 볼트에 대하여 가압된다.
본 제2 실시예에서, 2개의 리셋 스프링은 전달 레버의 굴곡진 레버 돌기 상에서 가이드되며 전달 레버의 제2 레버 암에서 반경방향으로 지지된다. 루프 스프링 밴드의 각도를 이룬 지지 암에 대하여 지지되고 구동 부재의 중립의 출발 위치에서 상기 각도를 이룬 지지 암과의 사이에서 지지되는 전달 레버의 반경방향 레버 암 상의 접촉 노즈(nose)를 통해, 약간의 유격이 생기고 이를 리셋시키기 위해 루프 스프링 밴드 및 구동 부재가 루프 스프링 밴드의 각도를 이룬 지지 암에 대하여 가압되어, 루프 스프링 밴드 및 구동 부재를 리셋시키기 위한 최적의 원주방향 힘 결합이 보장된다.
또한, 본 제2 실시예에서, 하나의 스프링 단부 및 루프 스프링 밴드의 각도를 이룬 지지 암의 단부는 웨브(web)를 통해 서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루프 스프링 밴드의 각도를 이룬 지지 암이 크랙(crack) 연결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제조비용을 낮추기 위해, 루프 스프링 밴드의 스프링 단부는 크랙되지 않고 두껍게 된다.
작동 레버로부터 피동 부재 또는 구동부 상부로 힘을 전달하는 경우에 반경방향 이동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보강 레버는 장공을 통해 조절 축과 연결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스프링을 리셋시키는 접촉 노즈가 전달 레버의 반경방향 레버 암의 단부에 장착되어, 접촉 노즈로부터 축방향으로 정지 캠(stop cam)이 돌출되어 하우징에 고정된 정지부에 대하여 지지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보강 레버는 2개의 부분으로 형성되고, 보강 레버의 제1 부분에 형성되며 루프 스프링 밴드의 스프링 단부 사이에 장착되는 캠을 갖는다. 또한, 보강 레버는 조절 축을 중심으로 하여 장공에 의해 장착되며 보강 레버의 제2 부분의 제2 연결 부재와 연결되며 대각선 방향으로 대면하는 제1 연결 부재를 갖는다. 보강 레버의 제2 부분은 조절 축을 중심으로 하여 배치되는 보어 및 전달 부재의 정지 캠에 대하여 지지되는 2개의 정지부를 가져서 보강 레버의 2개의 부분이 축방향으로 서로 포개어져 장착된다. 보강 부재의 제1 부분에서 보강 부재의 제1 부분과 멀리 떨어진 표면에는 웨브가 돌출되고 이들 웨브는 슬릿을 관통 돌출하여 하우징 커버의 외주 방향으로 연장된다. 하우징 커버는 조절 하우징과 연결되어 작동 레버 또는 작동 휠과 연결 가능한 레버 스크루-온 플레이트(lever screw-on plate)의 수용 슬롯에 끼워진다.
제3 실시예에서, 보강 레버는, 구동 축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되며 루프 스프링 밴드의 스프링 단부에 대한 보강 레버의 연결로부터 구동 부재에 의한 보강 부재의 활성화 연결까지 연장되는 대칭축에 대하여 대각선으로 연장되는 2개의 베어링면을 가지며, 이로 인해 이들 베어링면은 루프 스프링 밴드의 2개의 각도를 이룬 지지 암의 대응 단부면과 대면하여, 구동 축과 동심으로 장착되어 센터링하고 리셋하는 스프링의 스프링 단부가 보강 레버와 구동 부재와 루프 스프링 밴드의 돌기 사이의 활성 연결부에서 국부적으로 고정된 정지부에 대하여 지지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해결방안이, 스프링 부재로서 이용되고 작동 레버로부터 피동 부재로 힘을 양호하게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루프 스프링 밴드의 지지를 간단하고 보다 특별하게 부유시키는 것을 보장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출력 측 토크를 차단하고 예를 들어 전술한 조절 구동부 중 하나에 의해 가해지는 구동 측 토크를 전달하기 위한 브레이크 로크로서, 출력 측 토크를 차단하기 위해 조절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루프 스프링 밴드를 가지며 조절 하우징에 지지되고, 보강 레버는 루프 스프링 밴드의 스프링 단부와 구동 부재 사이에 장착되며 출력 측 토크는 구동 측 토크보다 커서 루프 스프링 밴드를 확장시켜 조절 하우징과 접촉시킨다. 보강 레버는 또한 루프 스프링 밴드의 각도를 이룬 지지 암에 대하여 지지되는 구동부 상부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제어 부재를 가져서, 구동 측 토크가 출력 측 토크보다 큰 경우에 조절 하우징에 대한 루프 스프링 밴드의 마찰 베어링 접촉을 해제시켜서, 구동부 상부의 제2 제어 부재가 추가로 출력 부재와 활성 연결되도록 하며, 보강 레버의 중간 베어링면이 루프 스프링 밴드의 각도를 이룬 지지 암에 대하여 지지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브레이크 로크로서 제어 부재가 출력 측의 토크를 차단하고 구동 측의 토크를 구동 부재 또는 피동 부재로부터 출력 부재로 방면한다.
출력 부재는 보강 레버 사이에 장착되는 출력 레버를 가질 수 있으며, 조절 축과 동축으로 장착되는 출력 피니언과 연결되어, 구동 부재 또는 피동 부재로부터 출력 부재로의 최적의 힘 전달이 보장된다.
보강 레버는, 루프 스프링 밴드의 스프링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외측 베어링면을 가지며, 또한 상기 외측 베어링면과 대면하며 출력 부재에 대하여 지지되는 정지 노즈를 가지는 한편, 피동 부재 또는 조절 하우징으로 돌출되는 구동부 상부의 제어 부재는 전달 부재의 정지부 및 루프 스프링 밴드의 각도를 이룬 지지 암에 지지된다.
전달 레버로부터 루프 스프링 밴드로의 힘 전달은 바람직하게, 루프 스프링 밴드를 차단하기 위한 루프 스프링 밴드의 각도를 이룬 지지 암이 보강 레버의 중간 접촉 베어링면에 대하여 지지되는 한편, 루프 스프링 밴드의 스프링 단부가 보강 레버의 외측 베어링면에 지지되어 루프 스프링 밴드의 회전운동을 보조하도록 제어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브레이크 로크는 출력 측의 토크를 차단하고 루프 스프링 밴드가 중공 원통형의 조절 하우징에 대하여 베어링 접촉하도록 왕복동 텐셔닝(reciprocal tensioning)을 하도록 조절 하우징에 지지되며 축방향으로 오프셋된 2개의 루프 스프링 밴드를 갖는다. 루프 스프링 밴드의 각도를 이룬 지지 암은 상기 각도를 이룬 지지 암을 서로 연결하여 외주 방향 반대쪽으로 서로 인장시키는 판스프링용 소켓을 포함하여, 외측 스프링 단부가 보강 레버의 외측 베어링면을 가압하고 보강 레버가 중앙 영역에서 그 베어링면에 의해 각도를 이룬 스프링 단부에 대하여 지지됨으로써 다른 쪽 단부에 제공되는 베어링면을 출력 레버에 대하여 가압하여, 출력은 유격 없이 설정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브레이크 로크는 대면하여 이동 가능한 2개의 보강 레버를 가지며, 이들 보강 레버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부재를 통해 탄지됨으로써 루프 스프링 밴드의 외측 스프링 단부가 상기 보강 레버의 일 단부의 외측 베어링면에 대하여 가압되고, 상기 보강 레버는 중앙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반경방향으로 정렬된 중앙 지지 암의 정지면 상에 지지되며, 보강 부재의 타 단부에 배치되는 베어링면은 출력 부재에 대하여 지지된다.
루프 스프링 밴드의 각도를 이룬 지지 암은, 상기 루프 스프링 밴드의 각도를 이룬 지지 암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굴곡되고 바람직하게는 중앙에 지지되는 판스프링용 소켓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스프링 부재는, 루프 스프링 밴드의 외측 스프링 단부에 대하여 지지되거나 루프 스프링 밴드의 양쪽 접촉 쇼울더에 대하여 지지되는 보강 레버의 외측 베어링면 사이에 장착되는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보강 레버의 적어도 한 쌍의 접촉 베어링면은 조절 축 및 출력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대칭축의 양측에 상기 대칭축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는 경로를 가져서, 출력의 유격이 없고 루프 스프링 밴드가 조절 하우징에 탄지된다.
구동 클로(claw)로부터 루프 스프링 밴드에 힘을 신속하게 전달하기 위해, 루프 스프링 밴드 및 구동 클로의 양쪽 정지부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엔트레인먼트(entrainment) 스프링이 장착된다.
피동 부재로부터 출력 부재로의 유격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보강 레버는 구동 축과 보강 레버의 내측 정지부 사이에 장착된 스프링 부재를 통해 출력 부재 쪽으로 탄지된다.
출력 부재는, 루프 스프링 밴드의 외측 스프링 단부 상에 지지되는 접촉 베어링면의 반대쪽에 놓이는 브레이크 보강 레버의 베어링면의 형상을 이루는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리세스를 가질 수 있으며, 피동 부재 또는 구동부 상부의 제2 제어 부재가 지지되는 출력 캠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루프 스프링 밴드의 제1 실시예에서 작동레버와 상기 작동레버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 상부 사이의 커플링을 구비한 조절 구동부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루프 스프링 밴드의 제2 실시예에서 작동레버와 상기 작동레버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 상부 사이의 커플링을 구비한 조절 구동부의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3e는 조절 구동부 어셈블리의 개별 위상에서 전달 레버 사이에 단일 리셋 스프링을 구비한 조절 구동부의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4h는 도 3에 따른 조절 구동부 어셈블리의 개별 위상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제3 실시예에서 작동레버와 상기 작동레버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 상부 사이의 커플링을 구비한 조절 구동부의 단면도로서 구동 부재가 잼-프리(jam-free) 리셋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2개의 축방향으로 오프셋된 루프 스프링 밴드, 2개의 전달 레버, 및 상기 루프 스프링 밴드를 탄지하는 하나의 판스프링을 구비한, 브레이크 로크로서 설계된 조절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브레이크 로크로서 형성되고, 전달 레버의 접촉 베어링면 사이에 장착된 압축스프링을 가지는 조절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축방향으로 오프셋된 2개의 루프 스프링 밴드, 2개의 전달 레버, 상기 루프 스프링 밴드를 탄지하는 오메가형 스프링, 및 출력 부재와 직접 맞물리는 구동부 상부의 조절 부재를 구비한, 브레이크 로크로서 설계된 조절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9f는 도 8에 따른 브레이크 상부로서 설계된 조절 장치 어셈블리의 개별 위상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따른 브레이크 로크에 대응되는 브레이크 로크로서 설계되었으며, 루프 스프링 밴드의 베어링 쇼울더 사이에 압축스프링이 구비된 조절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하나의 루프 스프링 밴드 및 2개의 보강 레버 베어링을 구비하며 출력 부재 상에 유격이 없는 브레이크 로크의 단면도이다.
도 1은 조절 장치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로서, 조절 축(10) 주위로 회전 구동되는 부재(11)를 도시하며, 부재(11)는 그 구조상 이하에서 중공 원통형 베어링면(110)을 가진 "구동부 상부"라고 칭한다. 구동부 상부(11)는, 조절 축(10) 주위로 회전할 수 있는 구동 부재로서 작용하는 작동 레버(1)에 의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되는 조절 구동부를 개재하여 조절 축(10) 주위로, 작동 레버(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일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된다.
부유(floating) 지지부를 가진 루프 스프링 밴드(31)는 구동부 상부(11)의 중공 원통형 내부 공간 내로 사전 인장된 상태로 삽입되어, 루프 스프링 밴드(31)는 구동부 상부(11)의 중공 원통형 내부 공간으로부터 제거되면 위로 튀어오를 것이다. 루프 스프링 밴드(31)는 여러 개의 스프링 단부(310 내지 313)를 가지며, 외부 스프링 단부(310 ,311)는 루프 스프링 밴드(31)의 단부에 형성되고, 제2 스프링 단부(312, 313)는 루프 스프링 밴드(31)의 각도를 이루는 지지 암(314, 315)의 단부에 형성된다. 스프링 단부(310 내지 313)는 각각 웨브(318, 319)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보강 레버(5)의 캠(51, 52)이 루프 스프링 밴드(31)의 스프링 단부(310 내지 313) 사이에 위치되고, 보강 레버(5)는 장공(50)을 통해 조절 축(10)에 장착되며, 조절 축(10)과 관련하여 캠(51, 52)의 반대쪽에, 보강 레버(5)를 작동 레버(1)에 연결하는 연결 볼트(53)를 구비한다.
루프 스프링 밴드(31)의 각도를 이루는 지지 암(314, 315)은 크랙 연결부(316, 317)를 가지며, 크랙 연결부(316, 317)는 예를 들면 루프 스프링 밴드(31)를 파괴하고 피벗을 삽입함으로써 형성되어, 루프 스프링 밴드(31)의 외부 스프링 단부(310, 311)는 각도를 이루는 지지 암(314, 315)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정밀한 끼워맞춤 지지된다. 루프 스프링 밴드(31)의 스프링 단부(310, 311)의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루프 스프링 밴드(31) 상에 보강 레버(5)의 캠(51, 52)에 의해 작용되는 힘은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흡수되어, 루프 스프링 밴드(31)에 탄력적인 힘이 작용하는 것을 확실하게 한다.
2개의 전달 레버(71, 72)는 조절 축(10)에 장착되고, 2개의 반경방향 레버 암(710, 720)의 단부들에 형성되는 접촉 노즈(714, 715)를 거쳐 루프 스프링 밴드(31)의 각도를 이루는 지지 암(314, 315)과 유격(play, 여유 공간)을 두고서 대면하며, 리셋하는 동안에만 루프 스프링 밴드(31)의 각도를 이루는 지지 암(314, 315)에만 지지된다. 전달 레버(71, 72)는 보강 레버(5)의 연결 볼트(53)에 지지되고, 제2 레버 암(711, 721)을 통해 하우징에 고정된 정지부(40)에 지지되며, 제2 레버 암(711, 721)은, 조절 축(10)에 대한 부착과 관련하여 볼 때, 서로 반대이다.
한 전달 레버(71, 72)의 반경방향 레버 암(710, 720)으로부터 다른 전달 레 버(71, 72)의 제2 레버 암(711, 721)으로 연장되고, 서로 정렬되며, 서로를 지나 이동될 수 있는 전달 레버(71, 72)의 레버 돌출부(712, 713, , 722, 723) 상에, 리셋 스프링(91, 92)이 장착된다. 리셋 스프링(91, 92)은 반경방향 레버 암 또는 제2 레버 암(710, 711, 720, 721)에 지지되고, 작동 레버(1)를 복귀시키거나 센터링하고 루프 스프링 밴드(31)를 중립 초기 위치로 리셋하는 작용을 한다.
도 1에 나타낸 조절 구동부의 작용을 아래에서 설명한다.
작동 레버(1)가 조절 축(10) 주위로 일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피벗되면, 연결 볼트(53)도 마찬가지로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 회전 방향의 경우에 제2 레버 암(711, 721)에 의해 연결 볼트(53)에 기대는 전달 레버(71, 72)도 회전되어, 2개의 리셋 스프링(91, 92)이 압축된다. 연결 볼트(53)에 대한 작동 레버(1)의 연결을 통해, 보강 레버(5)도, 캠(51, 52)이 짧은 아이들 경로 뒤에 루프 스프링 밴드(31)의 스프링 단부(310 내지 313)에 지지되고, 루프 스프링 밴드(31)를 작동 레버(1)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조절 축(10) 주위로의 회전 방향으로 가둘 때까지, 함께 회전한다. 예를 들면, 조절 축 주위로의 작동 레버(1)의 시계방향 회전 이동에 의해, 캠(51)은 스프링 단부(311)에 지지되고, 캠(52)은 스프링 단부(312)에 지지되며, 조절 축 주위로의 작동 레버(1)의 반시계방향 회전 이동에 의해, 캠(51)은 스프링 단부(310)에 지지되고, 캠(52)은 스프링 단부(313)에 지지되어, 그때마다 캠(51, 52)은 스프링 단부(310 내지 313)에 교차 지지 접촉된다.
따라서, 리셋 스프링(91, 92)은 작동 레버(1)의 회전 행정의 끝까지 더욱 인장되고, 전달 레버(71, 72)의 제1 레버 암(710, 720)에 있는 접촉 노즈(714, 724) 는, 보강 레버(5)가 중립 초기 위치의 밖에 위치될 때, 루프 스프링 밴드(31)의 각도를 이루는 지지 암(314, 315)으로부터 거리를 유지한다.
조절 행정의 끝에서 작동 레버(1)에 힘이 더 이상 작용하지 않으면, 리셋 스프링(91, 92)은 작동 레버(1)를 리셋하기 위해 전달 레버(71, 72)를 중립 초기 위치로 향해 누른다. 연결 볼트(53)에 대한 전달 레버(71, 72)의 제2 레버 암(711, 721)의 베어링 접촉을 통해, 마찬가지로 연결 볼트(53)에 부착된 작동 레버(1)도, 보강 레버(5)가 중립 초기 위치에 위치되고, 전달 레버(71, 72)의 반경방향 레버 암(710, 720)의 접촉 노즈(714, 725)가 루프 스프링 밴드(31)의 각도를 이루는 지지 암(314, 315)에 지지될 때까지, 포착된다. 이러한 인장 없는 중립 초기 위치에서, 조절 장치의 작용 부재는 용이하고 유연하게, 즉, 실질적으로 마찰 없이 중립 초기 위치로 역이동한다.
도 2에 단면도로서 나타낸 조절 구동부의 제2 실시예는, 조절 구동부의 제조를 단순화하기 위해, 루프 스프링 밴드(32)의 스프링 단부에 크랙 연결부가 필요하지 않지만, 루프 스프링 밴드(32)의 외부 스프링 단부(321, 322)가 두껍게 되고, 보강 레버(5)의 제1 캠(51)에 대하여 반대쪽에 있으며, 루프 스프링 밴드(32)의 각도를 이루는 지지 암(325, 326)에 보강 레버(5)의 제2 캠(52)의 양쪽에 있으며 필요시에는 두껍게 할 수 있는 제2 스프링 단부(323, 324)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도 1에 단면도로 나타낸 제1 실시예와 상이하다.
도 2에 단면도로서 나타낸 조절 구동부의 제2 실시예의 추가적 구조 및 작용은 도 1에 단면도로서 나타낸 제1 실시예의 구조 및 작용에 대응하므로, 도 1에 관 한 상기 설명을 참조한다.
도 3a 내지 도 3e에 평면도로 또한 도 4a 내지 도 4h에 사시도로 연속 조립 단계로 나타낸 조절 구동부에서, 보강 레버(6, 6')는 2개의 부품으로 설계되고, 제1면에서 제1 보강 레버(6)가 있으며, 제1 보강 레버(6)는, 도 3b에 따라, 루프 스프링 밴드(32)의 외부 두꺼운 스프링 단부(321, 322)들 사이에 장착된 캠(61), 조절 축(10)을 둘러싸는 장공(60), 및 장공(60)과 관련하여 캠(61)에 대해 반대쪽에 있는 제1 연결부(62)를 가진다.
도 3a에 따르면, 서로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장착된 2개의 전달 레버(73, 74)는 2개의 반경방향 레버 암(730, 740)을 가지며, 2개의 반경방향 레버 암(730, 740)은 축방향으로 중첩 장착되고, 보어(bore)를 거쳐 조절 축(10)에 부착되어, 조절 축(10)의 양쪽에 있는 레버 암의 단부는 접촉 노즈(732, 742)를 가지며, 접촉 노즈(732, 742)는 루프 스프링 밴드(32)의 각도를 이루는 지지 암(325, 326)과 대면하여 틈새를 두고 위치되어, 조절 구동부가 리셋될 때 루프 스프링 밴드(32)의 각도를 이루는 지지 암(325, 326)에만 지지된다. 더욱이, 전달 레버(73, 74)의 접촉 노즈(732, 742)는, 접촉 노즈(732, 742)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되고 제2 평면에서 하우징에 고정된 정지부에 지지된다.
도 1 및 도 2에 따른 조절 구동부의 구성과 유사하게, 전달 레버(73, 74)는 레버 돌출부(731, 741)를 가지며, 레버 돌출부(731, 741)는 조절 축(10)과 동심으로 구부러지고, 각각 일전달 레버(73, 74)의 반경방향 레버 암(730, 740)으로부터 다른 전달 레버(73, 74)의 구부러진 레버 돌출부(731, 741)까지 연장되며, 서로 정 렬된다. 리셋 스프링(93)은 레버 돌출부(731, 741)에 장착되고 전달 레버(73, 74)의 접촉 노즈(732, 742)에 지지되어, 작동 레버를 복귀시키고 센터링하며, 루프 스프링 밴드(32)를 중립 초기 위치로 리셋시키는 작용을 한다.
도 4a는, 조절 장치에 있어서, 서로 이동될 수 있는 2개의 조절 부재 중 하나에 조절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횡방향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를 가진 중공 원통형 조절 하우징(4)을 사시도로 나타낸다. 조절 하우징(4)은 조절 축(10)에 대해 동심으로 장착되며, 구동부 상부(11)를 둘러싸고, 구동부 상부(11)는 조절 하우징(4)과 동심으로 장착되며, 작동 레버에 의해 조절 축(10) 주위로 일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된다.
도 4b는 외부 스프링 단부(321, 322)와 각도를 이루는 지지 암(325, 326)을 가진 루프 스프링 밴드(32)를 삽입한 후의 조절 구동부를 나타낸다.
도 4c는 제1 전달 레버(73)를 삽입한 후의 조절 구동부를 나타낸다. 제1 전달 레버(73, 74)의 반경방향 레버 암(730)은 일측에서는 플랜지에 의해 조절 축(10)에 장착되고, 타측에서는 반대 단부에 접촉 노즈(732)를 형성하며, 접촉 노즈(732)로부터 레버 돌출부(731)가 조절 축(10)과 동심으로 연장된다. 접촉 노즈(732)는 루프 스프링 밴드(32)의 각도를 이루는 지지 암(325)용 정지부를 형성하고, 캠(733)을 가지며, 캠(733)은 접촉 노즈(732)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도 4g에 따라 하우징에 고정된 정지부와 상호작용한다.
도 4d는, 도 3a에 대응하여, 제1 전달 레버(73)의 반경방향 레버 암(730)에 형성된 플랜지에 의해 조절 축(10)에 장착된 제2 전달 레버(74)의 삽입 후의 조절 구동부를 나타낸다. 플랜지에 대해 반대쪽 단부에서, 제2 전달 레버(74)의 레버 암(740)은 마찬가지로 접촉 노즈(742)를 가지며, 접촉 노즈(742)로부터 레버 돌출부(741)가 조절 축(10)과 동심으로 연장되고 제1 전달 레버(73)의 레버 돌출부(731)와 정렬된다. 제2 전달 레버(74)의 접촉 노즈(742)로부터, 도 4g에 따라 제1 전달 레버(73)의 캠(733)과 유사하게 하우징에 고정된 정지부와 상호작용하는 캠(743)이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4e는, 도 3b에 대응하여, 루프 스프링 밴드(32)의 스프링 단부(321, 322) 사이에서 캠(61)이 장착되고, 조절 축(10)에 장공(60)에 의해 장착된 제1 보강 레버(6)가 삽입된 후의 조절 구동부를 나타낸다. 조절 축(10)에 대해 캠(61)과 반대되는 단부에서, 제1 보강 레버(6)는 제1 연결 부재(62)를 가지며, 제1 연결 부재(62)는 도 3c의 평면도와 도 4f의 사시도에 대응하여 제2 보강 레버(6')의 제2 연결 부재(66)에 연결되고, 제2 연결 부재(66)는 보어에 의해 조절 축(10)에 장착되며 제1 보강 레버(6)에 연결된다.
제2 보강 레버(6')는 전달 레버(73, 74)의 정지 캠(733, 743)과 3개의 웨브(63, 64, 65)에 기대는 2개의 정지부(67, 68)를 가지며, 3개의 웨브(63, 64, 65)는 바람직하게는 자신의 표면으로부터 각도를 이루어 돌출되고, 도 3d 및 도 4g에 따라 조절 축(10)과 동심인 원주 방향으로 하우징 커버(41) 내에서 연장되는 슬롯(42, 43, 44)을 통해 돌출되며, 도 3e 및 도 4h에 따라 작동 레버 스크루-온 플레이트(15)의 슬롯(18) 내로 눌려지며, 작동 레버 스크루-온 플레이트(15)에서, 3개의 웨브(63, 64, 65)는 2개의 부품으로 되어 있는 보강 레버(6, 6')와 작동 레버 스크루-온 플레이트(15) 사이를 연결시킨다. 이것은 조절 축(10)과 동심으로 연장되는 슬롯(17)을 더 구비하는데, 하우징 커버(41)로부터 돌출하는 웨브(45)가 도 4g에 따라 슬롯(17) 내에 장착되며, 웨브(45)의 길이는 3개의 스크루-온 포인트(16)를 통해 작동 레버 스크루-온 플레이트(15)에 연결되는 작동 레버의 조절 행정을 결정한다.
도 5에 나타낸 양 방향 회전 이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조절 구동부의 추가적 실시예를 통한 단면은, 중공 원통형 베어링면(110)을 가진 피동 부재로서의 조절 축(10) 주위로 회전 가능한 구동부 상부(11), 및 구동 부재로서 조절 축(10) 주위로 한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피벗 가능한 작동 레버(1)를 나타낸다. 루프 스프링 밴드(32)는 부유하는 상태에서 사전 인장되어 구동부 상부(11)의 중공 원통형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어, 이 사전 인장 하에 구동부 상부(11)의 중공 원통형 베어링면(110)에 지지된다.
보강 레버(5')의 캠(54)은 2개의 외부 스프링 단부(330, 331) 중 하나에 대해 약간의 틈새를 가지고 루프 스프링 밴드(33)의 외부 두꺼운 스프링 단부(330, 331) 사이에 장착된다. 보강 레버(5')는 조절 구동부의 대칭축에 대해 대칭으로 형성되고, 조절 축(10) 주위로 안내된 2개의 레그(58, 59)를 가지며, 레그(58, 59)상에는 베어링면(56, 57)이 형성되고, 베어링면(56, 57)은 조절 구동부의 대칭축에 대해 대각선으로 연장되고 루프 스프링 밴드(33)의 2개의 각도를 이루는 지지 암(332, 333)의 대응하는 단부면과 대면한다. 작은 틈새(b)는 마찬가지로 보강 레버(5')의 2개의 베어링면(56, 57) 중 각각과 루프 스프링 밴드(33)의 대응하는 단부면(332, 333) 사이에 형성된다.
센터링 및 리셋 스프링(94)은, 조절 축(10)과 동심으로 장착된 센터링 슬리브(14) 주위에서 2개의 레그(58, 59) 사이에 위치된다. 센터링 및 리셋 스프링(94)의 스프링 단부(941, 942)는 조절 장치의 중립 초기 위치에서 하우징에 고정된 정지부(40), 피벗 가능한 작동 레버(1), 및 루프 스프링 밴드(33)의 돌출부(334)에 지지된다.
작동 레버(1)가 조절 축(10) 주위로 일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피벗되면, 작동 레버(1) 내의 개구를 거쳐 작동 레버(1)와 캠(55)의 능동적 연결을 통하여, 보강 레버(5')의 노즈(54)가 틈새(a)를 지난 후 루프 스프링 밴드(33)의 관련 스프링 단부(330, 331)에 지지되고, 보강 레버(5')의 관련 베어링면(56, 57)이 틈새(b)를 지난 후 루프 스프링 밴드(33)의 대응하는 단부면(332, 333)에 지지되며, 루프 스프링 밴드(33)를 넓히고, 루프 스프링 밴드(33)의 외측이 구동부 상부(11)의 중공 원통형 베어링면(110)에 접촉하는 것을 통하여 루프 스프링 밴드(33)를 작동 레버(1)의 피벗 방향으로 포착할 때까지, 보강 레버(5')가 작동 레버(1)의 회전 방향으로 함께 회전된다. 보강 레버(5')의 캠(55)과 루프 스프링 밴드(33)의 돌출부(334)도 작동 레버(1)의 피벗 방향으로 포착되기 때문에, 센터링 및 리셋 스프링(94)은 넓혀지고 2개의 외부 스프링 단부(330, 331) 중에서 하나의 베어링 접촉에 의해 인장된다.
조절 행정의 끝에서 작동 레버(1)에 힘이 더 이상 작용하지 않으면, 센터링 및 리셋 스프링(94)은 보강 레버(5')와 루프 스프링 밴드(33)를 중립 초기 위치로 향해 누른다. 보강 레버(5')가 루프 스프링 밴드(33)의 외부 스프링 단부(330, 331) 또는 각도를 이루는 지지 암(332, 333)에 힘을 작용시키지 않아, 루프 스프링 밴드(33)가 구동부 상부(11)의 중공 원통형 베어링면(110)에 대한 심각한 마찰 없이 중립 초기 위치로 역이동하기 때문에, 리셋 동작은 실질적으로 인장력 없이 일어난다.
도 6은 출력 측에 입력된 토크가 구동 측에 입력된 토크보다 크게 되면 토크를 바로 차단시키는 브레이크 로크로서 형성된 조절 장치를 단면도로 나타낸다. 브레이크 로크로서의 이 실시예에서, 루프 스프링 밴드(33, 34)는 보강 레버(81, 82)와 관련하여 힘 전달 부재로서 이용된다.
2개의 루프 스프링 밴드(34, 35)는 조절 하우징(4) 내에서 서로 이격되고, 조절 하우징(4)의 원통형 내벽에 지지된다. 루프 스프링 밴드(34, 35)의 각도를 이루는 지지 암(341, 351)이, 시컨트 모양(secant-shaped)의 하우징(4) 내에서 조절 하우징(4)의 양쪽에 배치된 2개의 보강 레버(81, 82)의 중간 베어링면(810, 820)에 지지된다. 루프 스프링 밴드(34, 35)의 외부 스프링 단부(342, 352)는 보강 레버(81, 82)의 외부 베어링면(811, 812)에 지지되며, 보강 레버(81, 82)는 구동축(10)에 대해 서로 대향하는 베어링 노즈(812, 822)에 의해 출력 부재(2)의 출력 레버(20)에 지지된다.
루프 스프링 밴드(34, 35)의 각도를 이루는 지지 암(341, 351)은 소켓(343, 353)을 가지며, 소켓(343, 353) 내에서, 판스프링으로서 설계된 리셋 스프링)95)이 현수되고, 루프 스프링 밴드(34, 35)가 도 6에서 표시된 화살표의 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인장된다. 따라서, 루프 스프링 밴드(34, 35)의 2개의 외부 스프링 단부 (342, 352)는 보강 레버(81, 82)의 외부 베어링면(811, 821)을 눌러, 중간 베어링면(811, 821)이 각도를 이루는 지지 암(341, 351)에 대해 눌려지고, 보강 레버(81, 82)의 베어링 노즈(812, 822)는 출력 레버(20)에 대해 눌려진다. 따라서, 이것은 유격이 없는(play-free)(덜거덕거림이 없는) 출력, 및 조절 하우징(4)의 중공 원통형 내면에 대한 루프 스프링 밴드(34, 35)의 접촉 누름을 보장한다.
구동부 부재,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 1 및 도 2에 따른 구동부 상부(11)에 연결된 원호형 구동 클로(12, 13)는 조절 하우징(4) 내로 돌출하여, 그 단부 에지가 루프 스프링 밴드(34, 35)의 각도를 이루는 지지 암(341, 351)의 정지부(344, 354)와 보강 레버(81, 82)의 정지부(813, 823) 사이에 놓인다.
출력 측의 시계방향 카운터 토크의 작용에 의해, 출력 부재(2)의 출력 레버(20)는 한 보강 레버(81)의 베어링 노즈(812)를 눌러, 이 보강 레버(81)가 시계방향으로 강제 회전된다. 따라서, 이 보강 레버(81)의 외부 및 중간 베어링면(810, 811)은 한 루프 스프링 밴드(34)의 스프링 단부(341, 342)를 누른다. 보강 레버(81)의 외부 베어링면(811)이 루프 스프링 밴드(34)의 외부 스프링 단부(342)에 작용시키는 힘은 루프 스프링 밴드(3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조절 하우징(4)의 중공 원통형 내면에 대해 루프 스프링 밴드(34)의 베어링에 의해 발생된 마찰력과 관련하여 루프 스프링 밴드(34, 35)의 각도를 이루는 지지 암(341)에 중간 베어링면(810)에 의해 작용되는 힘은 자기-로킹 효과를 발생하여, 브레이크 로크가 이 위치에 고정되어, 출력 측에 입력된 카운터 토크를 반대 방향 구동 토크 없이 차단시킨다.
도 6에 따른 구동부 상부(1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브레이크 로크에서 구동 클로(12, 13)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구동 클로(13)의 단부 에지는 무부하 루프 스프링 밴드(35)의 각도를 이루는 지지 암(351)의 정지부(354)를 누르고, 구동 클로(12)가 보강 레버(81)의 정지부(813)를 누르고 베어링 노즈(812)를 통해 정지부(813)를 출력 레버(20)에 대해 누르기 전에, 정지부(354)를 약간 상승시켜, 입력된 출력 토크는 구동 토크를 통해 직접 보상될 수 있다. 보강 레버(81)의 하부 부분을 통하는 대신에, 힘은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되는 실시예에 따라 구동 클로(12, 13)의 연장에 의해 출력 레버(20)로 직접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 로크는 반시계방향으로 작용하는 구동 토크에 의해 회전될 수 있어, 구동 클로(12)를 통해 전달된 구동 측의 토크를 출력 부재(2)로 전달할 수 있다.
구동 부재, 따라서 구동 클로(12, 13)가 출력 측의 카운터 토크의 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구동 클로(12)의 단부는 출력 측의 카운터 토크의 결과로 인장되는 루프 스프링 밴드(34)의 정지부(344)를 누른다. 루프 스프링 밴드(34)의 자기 로킹 효과가 제거되고, 예를 들면 시트 조절기와 같이 일측에서는 출력 레버(20)에 연결되고 타측에서는 조절 기구에 연결된 출력 부재(2), 즉 출력 피니언(21)은 마찬가지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7은, 구부러진 판 스프링 대신에 보강 레버(81, 82)의 외부 베어링면(811, 812) 사이에 장착된 압축 스프링(96)이 리셋 스프링으로서 이용되는 브레이 크 로크를 통해 절단한 도 6에 따른 브레이크 로크에 대응하는 단면을 나타낸다. 루프 스프링 밴드(34, 35)의 각도를 이루는 지지 암(341, 351)은, 이 실시예에서 구부러진 판 스프링이 없기 때문에, 도 6에 따른 배치에 대응하는 리세스를 가지지 않고, 구동 클로(12, 13)를 위한 대응 정지부 또는 보강 레버(81, 82)의 중간 베어링면(810, 820)을 위한 베어링면을 형성한다.
도 8에서 평면으로 나타낸, 브레이크 로크로서 형성된 조절 장치의 실시예는 마찬가지로, 구동 측에 입력된 토크보다 큰 출력 측에 입력된 토크는 차단시키지만, 출력 측의 토크보다 큰 구동 측의 토크는 출력 측에 전달하도 로크 작용한다.
더욱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도 8에서 완전히 조립된 브레이크 로크를 평면도로서 나타내고, 도 9a 내지 도 9f는 브레이크 로크의 개별 부재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브레이크 로크의 개별 조립 단계를 나타낸다.
도 9a는 중공 원통형 조절 하우징(4)을 나타내며, 하우징(4)의 베이스에는 출력 부재(2)의 출력 레버(20)가 삽입된다. 출력 레버(20)는 일측에는 리셋 가이드(23), 타측에는 출력 캠(22), 출력 캠(22)의 양쪽에 리세스(24, 25), 및 도 9b에 따라 조절 축(10)을 수납하기 위한 중앙 보어(26)를 가진다.
도 9c는 조절 하우징(4)의 원통형 내벽에 기대는 제1 루프 스프링 밴드(36)를 삽입한 후의 브레이크 로크를 나타낸다. 루프 스프링 밴드(36)는 일단에 외부 두꺼운 스프링 단부(362), 및 타단에 베어링 플레이트(360)를 가지며, 베어링 플레이트(360)로부터 베어링 핀(361)이 축방향으로 돌출되고, 베어링 플레이트(360)는 원주 방향으로 접촉 베어링면(363)을 형성하며, 접촉 베어링면(363)은 도 6 및 도 7에 따른 실시예에서 루프 스프링 밴드(34, 35)의 각도를 이루는 지지 암(341, 351)의 베어링면에 대응한다.
도 9d는 외부 베어링면(841)에 의해 루프 스프링 밴드(36)의 외부 스프링 단부(362)에 기대는 제1 보강 레버(84)를 삽입한 후의 브레이크 로크를 나타낸다. 보강 레버(84)의 중간 베어링면(840)은 루프 스프링 밴드(36)의 베어링 플레이트(360)에 지지되고, 보강 레버(84)의 다른 단부는 출력 부재(2)의 리세스(25)와 결 합되는 정지 노즈(842)를 형성한다.
도 9e는 브레이크 로크의 중공 원통형 조절 하우징(4) 내에 제2 보강 레버(83)를 삽입한 후의 브레이크 로크를 나타낸다. 제2 보강 레버(83)도 마찬가지로 일단에 외부 베어링면(831), 및 타단에 출력 부재(2)의 리세스(24)와 결합되는 정지 노즈(832)를 구비한다. 캠으로서 형성된 중간 베어링면(830)은 제2 보강 레버(83)의 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어, 출력 측에 토크가 작용하는 동안에 인장시키는 작용을 한다. 제2 루프 스프링 밴드(37)는 도 9f를 따라 중공 원통형 조절 하우징(4) 내로 삽입되어, 그 외부 스프링 단부(372)가 제2 보강 레버(83)의 외부 베어링면(831)에 기대게 된다.
도 6 내지 도 7에 따른 실시예에서 루프 스프링 밴드의 각도를 이루는 스프링 단부에 대응하는 베어링면(370)은, 한편으로는, 중간 베어링면을 위한 베어링면 또는 제2 보강 레버(83)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하는 베어링 캠(830)을 형성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구동부 상부의 도 8에 나타낸 제어 부재(111)용 베어링면(373) 또는 오메가 스프링으로서 형성된 리셋 스프링(97)용 베어링면을 형성한다. 오메가 스프링의 다른 단부는 제1 루프 스프링 밴드(36)의 베어링 핀(361)에 지지되어, 원주 방향으로 루프 스프링 밴드(36, 37)를 사전 인장시킨다. 따라서, 오메가 스프링(97)은 조절 하우징(4)에 삽입되어, 그 횡방향으로 돌출하는 레그는 출력 레버의 표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하는 리셋 스프링 가이드(23)에 지지된다.
도 8은 구동부 상부 또는 피동 부재를 삽입한 후의 완전히 조립된 블레이크 로크의 평면도이며, 브레이크 로크로부터 돌출하는 제어 부재(111 내지 114)는 도 8에서 단면도로 나타내었다. 제어 부재(111 내지 114)는 한편으로는 루프 스프링 밴드(36, 37)의 베어링면(363, 373)과 회전 방향의 틈새를 가지고 대면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출력 부재(2)의 출력 캠(22)과 대면한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브레이크 로크의 실시예와 다른 점은, 제어 부재(113, 114)가 보강 레버(83, 84)의 정지부(813, 823)에 기대지 않고 출력 부재(2)의 출력 캠(22)에 지지된다는 것이다.
출력 측에서의 시계방향 카운터 토크의 작용에 의해, 출력 부재(2)의 출력 레버(20)는 한 보강 레버(83)의 정지 노즈(832)를 눌러, 이 보강 레버(83)는 마찬가지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보강 레버(83)의 베어링 캠(830)과 외부 베어링면(831)은 루프 스프링 밴드(37)의 접촉 베어링 플레이트(370)와 외부 스프링 단부(372)를 누른다. 루프 스프링 밴드(37)의 외부 스프링 단부(372)에 보강 레버(83)의 외부 베어링면(831)으로부터 작용하는 힘이 루프 스프링 밴드(37)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조절 하우징(4)의 중공 원통형 내면에 대해 루프 스프링 밴드(37)의 베어링을 통해 발생된 마찰력과 관련하여 루프 스프링 밴드(37)의 베어링 플레이트(370)에 베어링 캠(830)에 의해 작용된 힘은 자기-로킹 효과를 일으켜, 브레이크 로크가 이 위치에 고정되어, 출력 측에 입력된 카운터 토크를 카운터 구동 토크 없이 차단시킬 수 있다.
구동부 상부(1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브레이크 로크가 제어 부재(111 내지 114)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제어 부재(112)는 무부하 루프 스프링 밴드(36)의 베어링 플레이트(360)의 정지부(363)를 누르고, 제어 부재(113)가 출력 레버(20)의 출력 캠(22)을 누르기 전에 정지부(363)를 약간 들어올려, 출력 토크가 구동 토크를 통해 직접 보상될 수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 로크는 반시계방향으로 작용하는 구동 토크에 의해 회전할 수 있어, 구동 측의 토크를 출력 부재(2)로 전달한다.
구동 부재, 따라서 제어 부재(111 내지 114)가 출력 측의 카운터 토크의 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제어 부재(111)는 출력 측의 카운터 토크에 의해 인장되는 루프 스프링 밴드(37)의 정지부(37)을 누른다. 루프 스프링 밴드(37)의 자기 로킹 효과는 제거되고, 제어 부재(114)는 출력 레버(20), 따라서 출력 부재(2)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0에서 단면도로서 나타낸 블레이크 로크는, 리셋 스프링으로서 오메가 스프링 대신에 루프 스프링 밴드(36, 37)의 베어링 노즈(364, 374) 사이에 장착된 압축 스프링(98)이 이용된다는 점에서, 도 8 및 도 9에 따른 실시예와 상이하다.
도 11은 블레이크 로크로서 형성된 조절 장치를 통한 단면도를 나타내며, 브레이크 로크는 출력 측에 입력된 토크가 구동 측에 입력된 토크보다 크게 되면 바로 출력 측에 입력된 토크를 차단시켜, 도 6 내지 도 10에 따른 브레이크 로크와는 다르게, 하나의 루프 스프링 밴드(38)만 힘 전달 부재로서 이용된다.
2개의 보강 레버(85, 86)의 일단에 형성되는 외부 베어링면(851, 861)은 루프 스프링 밴드(37)의 두꺼운 스프링 단부(380, 381) 사이에 장착된다. 2개의 보강 레버(85, 86)는 브레이크 로크의 대칭축에 대해 대칭으로 조절 축(10)의 양쪽에서 루프 스프링 밴드(38) 내로 삽입되어, 보강 레버(85, 86)의 외부 베어링면(851, 861)은 틈새를 두고서 루프 스프링 밴드(38)의 두꺼운 외부 스프링 단부(380, 381)에 지지된다.
출력 캠으로서 형성된 출력 부재(2)에 대향하는 보강 레버(85, 86)의 단부는 원추형 베어링면(855, 865)을 거쳐 출력 부재(2)에 지지된다. 한쪽에서는 조절 축(10)에 지지되고 다른 쪽에서는 보강 레버(85, 86)의 지지면(856, 866)에 지지되는 스프링 부재(990)를 통해, 브레이크 로크의 틈새의 자유도가 보장되어, 보강 레버(85, 86)는 루프 스프링 밴드(38)의 각도를 이루는 지지 암(382, 383)의 외부 스프링 단부(380, 381)와 정지면(384, 385)에 지지되고, 원추형 베어링면(855, 865)을 거쳐 출력 부재(2)에 지지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따른 구동 부재, 더욱 구체적으로는 구동부 상부(11)에 연결된 원호형 구동 클로(12, 13)는 조절 하우징(4) 내로 돌출하고, 원호형 구동 클로(12, 13)의 단부 에지는 보강 레버(85, 86)의 각각의 정지부(853, 863)와 외부 베어링면(854, 864) 사이에 놓인다. 구동 클로(12, 13)와 루프 스프링 밴드(38) 사이에, 원주 방향으로 구동 클로(12, 13)의 정지부9121, 131)와, 루프 스프링 밴드(38)의 양쪽의 정지부(386, 387)에 기대는 포착 스프링(991, 992)이 설치된다.
출력 측의 카운터 토크가 브레이크 로크에 시계방향, 즉, 출력 부재(2)에 표시된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작용하면, 구동 클로(12, 13)로부터 발생되는 구동 토크는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고, 구동 클로(13)는 작은 틈새를 지난 후 베어링면(863)에 접촉하여, 보강 레버(86)를 루프 스프링 밴드(38)의 각도를 이루는 지지 암(383)의 방향으로 당긴다. 출력 부재(2)의 원추형으로 정렬되어 경사진 면과 보강 레버(86)의 외부 베어링면(864)의 결과로서, 보강 레버(86)는 이 경사를 따라 이동되어, 인장 스프링(990)에 의해 발생되는 루프 스프링 밴드(38)의 인장은 이완된다.
구동 클로(12, 13)가 작은 각도로 더 회전한 후, 구동 클로(12)는 보강 레버(85)의 외부 베어링면(854)에 접촉하여, 이 외부 베어링면(854)을 통해 출력 부재(2)를 눌러, 출력 부재(2)가 구동 방향, 따라서 출력 측의 토크의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구동 클로(12, 13)와 루프 스프링 밴드(38) 사이에 장착된 포착 스프링(991, 992)은 루프 스프링 밴드(38)에 포착력을 작용하여, 구동 클로(12, 13)의 이동 동안에 루프 스프링 밴드(38)도 이동되거, 루프 스프링 밴드(38)와 조절 하우징(4) 사이의 마찰은 용이하게 극복된다.
구동 클로(12, 13)의 이동 동안에 루프 스프링 밴드(38)의 포착에 대한 변경예로서, 2개의 구동 클로(12, 13)와 루프 스프링 밴드(38) 사이에 단일 포착 스프링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부호의 설명]
1 구동 부재(작동 레버) 2 출력 부재
4 조절 하우징(브레이크 하우징) 5,5' 조절 구동부의 보강 레버
6,6' 조절 구동부의 2부분의 보강 레버 10 조절 축
11 피동 부재(구동부 상부) 12,13 구동 클로
14 센터링 슬리브
15 작동레버 스크루-온 플레이트 16 스크루-온 포인트
17,18 슬롯 20 출력 레버
21 출력 피니언 22 출력 캠
23 리셋 스프링 24,25 리세스
26 보어 31-38 루프 스프링 밴드
40 하우징에 고정된 정지부 41 하우징 커버
42-44 슬롯 45 웨브
50 장공 51,52,54,55 보강 레버의 캠
53 연결 볼트 56,57 베어링면
58,59 레그 60 장공
61 캠 62 제1 연결부
63-65 웨브 66 제2 연결부
67,68 정지부 71-74 전달 레버
81-86 브레이크 로크의 보강 레버 91-98 리셋 스프링
110 구동부 상부의 베어링면
111-114 구동부 상부의 조절 부재
310,311,321,322,330,331,342,252,362,372,380,381 외측(두꺼운) 스프링 단 부
312,313,323,324 제2 스프링 단부
314,315,325,326,332,333,341,344,351,354,362,363,382,383 각도를 이룬 지지 암
316,317 크랙 연결부 318,319 웨브
334 돌기 343,353 소켓
344,354,386,387 정지부 360,370 베어링 플레이트
361 베어링 핀 363,371,373 베어링면
364,374 베어링 노즈 366,367 정지부
384,385 정지면
710,720,730,740 반경방향 레버 암 711,721 제2 레버 암
712,713,722,723,731,741 레버 돌기 714,724,732,742 접촉 노즈
733,743 캠
810,820,830,840,842 중간 베어링면
811,821,831,841,851,861 외측 베어링면
812,822,834,835,844,845 베어링 노즈
813,823,833,843,853,863 정지부 832,842 정지 노즈
836,846,856,866 지지면 854,864 베어링면
855,865 원뿔형 베어링면 990 스프링 부재
991,992 엔트레인먼트 스프링 941,942 스프링 단부

Claims (31)

  1. 조절 하우징; 조절 축을 중심으로 피벗 가능한 구동 부재; 중공 원통형 베어링을 구비한 구동 부재의 작동에 의해 각도를 변경시키도록 구동되는 피동 부재; 출력 부재; 상기 구동 부재와 상기 피동 부재 사이에서 힘을 전달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구동 부재가 중립의 초기 위치로부터 한쪽 또는 다른 쪽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구동 부재의 조절 운동을 피동 부재로만 전달하는 조절 구동부; 및 상기 피동 부재와 출력 부재 사이에 장착되며 출력 측에 블록 토크가 가해지는 브레이크 로크(brake lock)를 구비하는, 양 방향 회전 운동 형성용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절 구동부 및 브레이크 로크 중 적어도 하나는 하나 이상의 루프 스프링 밴드(31-38)를 포함하고,
    상기 루프 스프링 밴드는, 360°미만의 원주를 가지며,
    상기 루프 스프링 밴드는, 상기 구동 부재(1)로부터 상기 피동 부재(11)로, 또는 상기 피동 부재(11)로부터 상기 출력 부재(2)로, 또는 상기 출력 부재(2)로부터 상기 조절 하우징(4)으로 힘을 전달하기 위한 베어링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구동부 및 브레이크 로크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구동 부재(1)와 활성 연결되어 있는 보강 레버(5, 5'); 및
    상기 피동 부재(11)와 상기 조절 하우징(4)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중공 원통형 베어링면(110)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지되어(pretensioned) 지지되는 루프 스프링 밴드(31-38)를 가짐으로써,
    상기 스프링 단부(310-313; 321-324; 330, 331, 342, 352, 362, 372, 380, 381)가 상기 보강 레버(5,5'; 6,6'; 81-86)와 활성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보강 레버(5,5'; 6,6'; 81-86)는,
    상기 조절 축(10)을 중심으로 하여 유격을 가지고 회전 가능하고,
    상기 루프 스프링 밴드(31-33)의 상기 스프링 단부((310-313; 321-324; 330, 331)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구동 부재(1, 1')가 상기 중립의 초기 위치로부터 피벗되어 상기 루프 스프링 밴드(31-33)를 확장시킴으로써 상기 피동 부재(11)의 중공 원통형 베어링면(110)에 대하여 마찰결합으로 지지됨에 따라 상기 구동 부재(1,1')로부터 발생되는 구동 토크를 전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캠(51, 52; 54, 61)을 가지고,
    상기 구동 부재(1, 1')를 변형된 위치로부터 초기의 중립 위치로 리셋시키는 동안에 상기 루프 스프링 밴드(31-33)와 각도를 이룬 지지 암(314, 315; 325, 326; 332, 333) 상에 작용하는 전달 레버(71-74)와 활성 연결됨으로써, 상기 루프 스프링 밴드(31-33)가 수축되어 상기 피동 부재(11)의 상기 중공 원통형 베어링면(110)에 대한 마찰 로킹 접촉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축(10)에 부착되는 2개의 전달 레버(71-74)는, 상기 조절 축(10)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루프 스프링 밴드(31-33)의 각도를 이룬 지지부(314, 315, 325, 326, 332, 333)와 연관되며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정지부에 대하여 지지되고 상기 보강 레버(5, 6, 6')와 활성 연결되어 있는 반경 방향 레버 암(710, 720, 730, 740)을 가지고,
    상기 전달 레버(71-74)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리셋 스프링(91-93)이 장착되어 상기 루프 스프링 밴드(31-33)를 리셋시키고, 상기 보강 레버(5, 6, 6')와 연결되는 구동 부재(1, 1')는 상기 리셋 동작의 방향에 따라 상기 전달 레버의 반경 방향 레버 암(710, 720, 730, 740)을 상기 루프 스프링 밴드(31-33)의 각도를 이룬 지지 암(314, 315; 325, 326; 332, 333) 중 하나에 대하여, 그리고 상기 보강 레버(5, 6, 6')의 정지부에 대하여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레버(71-74)의 반경 방향 레버 암(710, 720, 730, 740)으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레버 돌기(712, 713; 722, 723, 731, 741) 상에는, 하나 이상의 리셋 스프링(91-93)이 장착되고 상기 원주 방향으로 둥글게 굴곡되며 상기 조절 축 (10)과 동심으로 하나의 상기 전달 레버(71-74)의 상기 반경 방향 레버 암(710, 720, 730, 740)으로부터 다른 하나의 상기 전달 레버(71-74)의 상기 반경 방향 레버 암(710, 720, 730, 740)으로 연장되고 서로에 대하여 정렬되며, 상기 리셋 스프링(91-93)은 상기 전달 레버(71-74)의 상기 반경 방향 레버 암(710, 720, 730, 740) 상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레버(5)는 상기 조절 축(10)을 중심으로 하는 장공(oblong hole)(50)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레버(71, 72)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정지부(40), 및 상기 구동 부재(1)와 함께 상기 보강 레버(5)의 연결 볼트(53)에 대하여 지지되는 제2 레버 암(711, 721)을 가지고,
    상기 구동 부재(1)를 상기 리셋 운동의 방향에 따라 리셋시키기 위해, 상기 전달 레버(71, 72)의 상기 제2 레버 암(711, 721)이, 관절 운동을 위해 상기 구동 부재(1)와 연결되어 있는 상기 연결 볼트(53)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레버(71, 72)의 레버 돌기(712, 713; 722, 723) 상에는 2개의 리셋 스프링(91, 92)이 가이드되며 상기 전달 레버(71, 72)의 반경 방향 제2 레버 암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 레버 암(710, 720)의 단부에는, 상기 루프 스프링 밴드(31, 32)를 리셋시키기 위해 상기 루프 스프링 밴드(31, 32)의 각도를 이룬 지지 암(314, 315; 325, 326)에 대하여 가압되는 접촉 노즈(nose)(714, 72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스프링 단부(310, 311) 및 상기 루프 스프링 밴드(31)의 각도를 이룬 지지 암(314, 315)의 단부는 웨브(318, 319)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스프링 밴드(31)의 각도를 이룬 지지 암(314, 315)은 크랙 연결(crack connection)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레버(73, 74)의 반경 방향 레버 암(730, 740)의 단부에는 접촉 노즈(732, 74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촉 노즈(732, 742)로부터 정지 캠(733, 743)이 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정지부에 대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 레버 부분(6) 상에 형성되며 상기 루프 스프링 밴드(32)의 스프링 단부(321, 322) 사이에 장착되는 캠(61)을 구비한 2부분 보강 레버(6, 6'), 상기 조절 축(10)을 지지하는 장공(60), 및 대각선 반대쪽의 제1 연결 부재(6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제2 보강 레버 부분(6')의 제2 연결 부재(66)와 연결되고,
    상기 제2 보강 레버 부분(6')은 상기 조절 축(10)을 중심으로 하여 배치되는 보어, 및 상기 전달 레버(73, 74)의 정지 캠(733, 743)에 대하여 지지되는 2개의 정지부(67, 68)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보강 레버 부분(6, 6')은 상기 축 방향으로 서로 겹쳐져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강 레버 부분(6')의 표면으로부터 돌출 웨브(63, 64)가 상기 조절 하우징(4)과 연결되어 있는 하우징 커버의 원주 방향으로 정렬된 슬롯(42, 43, 44)을 통해 돌출되어, 작동 레버(1) 또는 작동 휠과 연결될 수 있는 레버 스크루-온 플레이트(lever screw-on plate)(15)의 소켓 슬롯(18)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레버(5')는, 상기 조절 축(10)과 대칭으로 배치되며 대칭 축과 대각선으로 연장되어 상기 보강 레버(5')와 상기 루프 스프링 밴드(33)의 스프링 단부(330, 331)의 연결을 상기 보강 레버(5')와 상기 구동 부재(1)의 활성 연결로 유도하는 2개의 베어링면(56, 57)을 가짐으로써, 상기 2개의 베어링면이 상기 루프 스프링 밴드(33)의 2개의 각도를 이룬 지지 암(332, 333)의 대면하는 단부면과 대응되고,
    센터링 및 리셋 스프링(83)의 스프링 단부(830, 831)가 국부적으로 고정된 정지부(40)에 대하여, 상기 보강 레버(5')와 상기 구동 부재(1) 사이의 활성 연결에 대하여, 그리고 상기 루프 스프링 밴드(33)의 돌기(334)에 대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 및 리셋 스프링(83)은 상기 조절 축(10)과 동심으로 장착되는 센터링 슬리브(91)를 중심으로 하여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1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로크는,
    상기 출력 측에 대한 토크를 차단하기 위해 상기 조절 하우징(4)에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루프 스프링 밴드(34-48)를 가지고,
    상기 루프 스프링 밴드(34-48)의 스프링 단부(342, 352, 362, 372, 380, 381)와 피동 부재(11) 사이에는 보강 레버(81-86)가 장착되어, 상기 출력 측의 토크가 구동 측의 토크보다 큰 경우에는 조절 하우징(4) 및 적어도 상기 루프 스프링 밴드(34-38)의 각도를 이룬 지지 암(341, 344; 351, 354, 362, 363, 382, 383) 또는 상기 피동 부재(11)의 제1 제어 부재(111, 112) 상에 지지되는 구동 클로(12, 13)에 대한 마찰 접촉을 위해 상기 루프 스프링 밴드(34-38)를 확장시키고, 상기 구동 측의 토크가 상기 피동 측의 토크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조절 하우징(4)에 대한 상기 루프 스프링 밴드(34-38)의 마찰 접촉을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 부재(11)의 제2 제어 부재(113, 114)는 추가적으로 상기 출력 부 재(2)와 활성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보강 레버(83, 84)의 중앙 베어링면(830, 840)은 상기 루프 스프링 밴드(36, 37)의 베어링 플레이트(360, 370)에 대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부재(2)는, 상기 보강 레버(81-84)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조절 축(10)과 동심으로 장착되는 출력 피니언(21)과 연결되는 출력 레버(2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21.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레버(81-86)는, 상기 루프 스프링 밴드(34-38)의 외측 스프링 단부(342, 352, 362, 372, 380, 381) 사이에 장착되는 외측 베어링면(811, 821, 831, 841, 851, 861)을 가지며, 상기 출력 부재(2)에 대하여 지지되는, 대면하는 외측 베어링면(811, 821; 831, 841, 851, 861), 베어링 노즈(812, 822, 834, 844) 또는 원뿔형 베어링면(855, 865)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22.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하우징 또는 상기 피동 부재(11)의 제어 부재(111-114) 쪽으로 돌출되는 구동 클로(claw)(12, 13)는 상기 보강 레버(81, 82, 85, 86)의 정지부(813, 823, 854, 864)에 대하여, 그리고 상기 루프 스프링 밴드(34, 35, 38)의 각도를 이룬 지지 암(341, 351, 382, 383)의 베어링면에 대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23.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로크는, 서로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상기 피동 부재(11)에 부유(floating) 장착되며 상기 출력 측에 대한 토크를 차단하기 위해 상기 조절 하우징(4)에 지지되는 2개의 루프 스프링 밴드(34-37)를 가지며, 상기 루프 스프링 밴드는 외측 스프링 단부(32, 352, 362, 372)가 상기 보강 레버(81-84)의 외측 베어링면(811, 821, 831, 841)에 대하여 가압됨으로써 원주 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인장되고, 상기 보강 레버(81-84)는 중앙 영역에서 베어링면(810, 820, 830, 840)이 상기 각도를 이룬 스프링 단부(341, 351) 또는 상기 루프 스프링 밴드(34-37)의 베어링 플레이트(360, 370)에 대하여 지지되고, 이로 인해 상기 조절 축(10)에 대하여 대면하는 베어링면(812, 822, 832, 842)이 상기 출력 레버(20)에 대하여 가압되어 상기 출력에 유격이 없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로크는 상호 변위 가능하며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95-98)를 통해 탄지되는 2개의 보강 레버(81-8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스프링 밴드(34, 35)의 각도를 이룬 지지 암(341, 351, 344, 354)은, 중앙에 지지되며 상기 루프 스프링 밴드(34, 35)의 각도를 이룬 지지 암(341, 351; 344, 354)들을 연결하는 구부러진 판스프링(95)용 소켓(343, 353)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는 상기 루프 스프링 밴드(34, 35)의 외측 스프링 단부(342, 352)에 대하여 지지되는 상기 보강 레버(81, 82)의 외측 베어링면(811, 821) 사이에 장착되는 압축스프링(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는, 상기 조절 축(10)을 중심으로 하여 위치되며 상기 스프링 부재의 스프링 단부가 상기 루프 스프링 밴드의 베어링면(361, 371)에 대하여 지지되는 오메가(omega)형 스프링으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는 압축스프링(98)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루프 스프링 밴드(36, 37)의 대면하는 정지 쇼울더(364, 374)에 대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29.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부재는,
    상기 루프 스프링 밴드(365, 37)의 외측 스프링 단부(362, 372)에 대하여 지지되는 외측 베어링면(831, 841)과 대면하는 상기 보강 레버(83, 84)의 정지 노즈(832, 842)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23, 24)를 가지고,
    상기 피동 부재(11)의 제2 제어 부재(113, 114)가 지지되는 출력 캠(2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3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하나의 루프 스프링 밴드(38) 및 2개의 보강 레버(85, 86)를 구비하고,
    상기 조절 축(10)에 의해 형성되는 대칭축의 양측에 보강 레버(85, 86)의 적어도 한 쌍의 베어링면(851, 861, 852, 862, 855, 865)이 제공되며,
    상기 출력 부재(2)는 상기 대칭축에 대하여 각도를 이룬 경로를 가져서 상기 출력이 유격이 없게 되며 상기 루프 스프링 밴드(38)가 상기 조절 하우징(4)에 탄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스프링 밴드(38)의 양측 정지부와 상기 피동 부재(11)의 구동 클로(12, 13)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엔트레인먼트(entrainment) 스프링(991, 992)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KR1020067005012A 2003-09-10 2004-09-09 양 방향 회전 운동을 형성하기 위한 조절 장치 KR1010650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42491 2003-09-10
DE10342491.1 2003-09-10
DE10361148A DE10361148A1 (de) 2003-09-10 2003-12-16 Verstellvorrichtung zur Erzeugung einer beidseitigen Drehbewegung
DE10361148.7 2003-1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6934A KR20060126934A (ko) 2006-12-11
KR101065068B1 true KR101065068B1 (ko) 2011-09-16

Family

ID=34276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5012A KR101065068B1 (ko) 2003-09-10 2004-09-09 양 방향 회전 운동을 형성하기 위한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24940B2 (ko)
EP (1) EP1664569B1 (ko)
KR (1) KR101065068B1 (ko)
DE (1) DE502004007076D1 (ko)
WO (1) WO20050242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24264A1 (de) * 2003-09-10 2005-03-17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Verstellvorrichtung zur erzeugung einer beidseitigen drehbewegung
DE102006010374A1 (de) * 2006-03-03 2007-09-06 Mann + Hummel Gmbh Anordnung eines Luftmassenmessers an einem Strömungskanal
DE102006056531A1 (de) * 2006-11-27 2008-05-29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Beidseitig wirkender Antrieb für Verstelleinrichtungen in Kraftfahrzeugen
DE102008034800B4 (de) * 2008-07-24 2016-02-11 Johnson Controls Gmbh Verstell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en Fahrzeugsitz
DE102014115661B4 (de) 2013-11-04 2022-11-03 Southco, Inc. Scharnier mit variabler Reibung
US10787101B2 (en) 2018-06-25 2020-09-29 Faurecia Automotive Seating, Llc Adjustment mechanism for a vehicle
CN116748836B (zh) * 2023-08-22 2024-01-02 江苏天策机器人科技有限公司 抓取机构、光伏组件安装装置及工作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07483A1 (de) 1999-02-12 2000-08-24 Brose Fahrzeugteile Beidseitig wirkende Verstellvorrichtung
DE10146771A1 (de) 2001-09-22 2003-04-10 Valeo Auto Electric Gmbh Antriebseinheit mit Schlingfederbremse
US7424940B2 (en) * 2003-09-10 2008-09-16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Adjustment device for producing a two-sided rotational movement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23447A1 (de) 1979-06-09 1980-12-11 Fichtel & Sachs Ag Antrieb fuer eine schliess- und/oder verriegelungseinrichtung an einer fahrzeugtuere
DE3105044A1 (de) * 1980-04-21 1982-02-25 Tecumseh Products Co., 49286 Tecumseh, Mich. Sicherheitsvorrichtung fuer eine kupplungsbremse
JPS60245841A (ja) * 1984-05-16 1985-12-05 Nippon Denso Co Ltd 逆転防止装置
US5681005A (en) * 1995-08-11 1997-10-28 Ligon Brothers Manufacturing Company Lever actuator
DE10013262A1 (de) * 2000-03-17 2001-09-20 Sram De Gmbh Einwegkraftübertragung
US6688443B2 (en) * 2001-11-07 2004-02-10 L & 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double clutch actuator
KR100490313B1 (ko) * 2003-07-12 2005-05-18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쿠션 펌핑디바이스
US7311190B2 (en) * 2005-04-27 2007-12-25 Dura Global Technologies, Inc. Motor clutch for window regulator mo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07483A1 (de) 1999-02-12 2000-08-24 Brose Fahrzeugteile Beidseitig wirkende Verstellvorrichtung
DE10146771A1 (de) 2001-09-22 2003-04-10 Valeo Auto Electric Gmbh Antriebseinheit mit Schlingfederbremse
US7424940B2 (en) * 2003-09-10 2008-09-16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Adjustment device for producing a two-sided rotational mov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64569A1 (de) 2006-06-07
WO2005024264A1 (de) 2005-03-17
US20070068760A1 (en) 2007-03-29
EP1664569B1 (de) 2008-05-07
US7424940B2 (en) 2008-09-16
DE502004007076D1 (de) 2008-06-19
KR20060126934A (ko) 2006-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8371B1 (ko) 회전 리클라이너 장치
CN107531269B (zh) 用于机动车辆的转向柱
JP3960396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KR101065068B1 (ko) 양 방향 회전 운동을 형성하기 위한 조절 장치
EP0520525A1 (en) Electrically actuated vehicle brake
EP1598527A2 (en) Rotational phase adjuster
US6557841B2 (en) Over-center power clamp toggle mechanism
US7114778B2 (en) Drive having a sliding element for a vehicle seat adjuster
EP1269039A1 (en) Brake mechanism
CN1239920A (zh) 调节装置
CN110410439B (zh) 致动机构
KR20000077021A (ko) 자동차 시트용 연결장치
GB2030241A (en) Clutch for valve actuator
WO2021164950A1 (en) Rocker arm assembly, compliance capsules, actuators, and support structures
US4887698A (en) Brake actuator
JP4713479B2 (ja) 二側回転運動を生じさせるための調節装置
JPH0126402B2 (ko)
EP2078658A1 (en) Disc brake
CN112204274B (zh) 驻车锁装置
JP2007505271A5 (ko)
CN114340943A (zh) 座椅高度调节致动器
US6604619B1 (en) Two-directional manual drive
KR101058466B1 (ko) 양방향 구동기
CN109937311B (zh) 补偿联轴器
EP1348880B1 (en) Motorised actu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