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3780B1 - 유수분리기 - Google Patents

유수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3780B1
KR101063780B1 KR1020110045750A KR20110045750A KR101063780B1 KR 101063780 B1 KR101063780 B1 KR 101063780B1 KR 1020110045750 A KR1020110045750 A KR 1020110045750A KR 20110045750 A KR20110045750 A KR 20110045750A KR 101063780 B1 KR101063780 B1 KR 101063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ter
pipe
oil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5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은
Original Assignee
안성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성은 filed Critical 안성은
Priority to KR1020110045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37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3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3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8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provided with flocculating compart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유수처리기는 하천, 하수도 등에서 오염수를 집수하며 상기 오염수를 배출하는 배출관이 구성된 집수조; 공급조와 기름추출조와 물회수조가 각각 격벽으로 차단되어 구성되고, 상기 공급조는 상기 집수조에 집수된 오염수를 끌어오도록 구성되는 펌프가 구성되고, 상기 기름추출조는 추출관이 구성되고, 상기 물회수조는 상기 집수조로 연결되는 회수관이 구성되는 응집조; 상기 응집조의 기름추출조에서 배출된 농축된 오염수를 공급받으며, 상부에 구성되어 기름을 추출하는 추출관과, 하부에 구성되어 물을 회수하는 회수관으로 구성되는 농축처리조; 상기 농축처리조에서 배출된 오염수를 최종적으로 집수하여 분리한 후 폐수처리장으로 배출하는 분리조;로 구성되어, 본 발명의 유수분리기 및 이를 이용한 유수분리방법은 세척액, 냉각수, 세차장, 화학공정의 액체분리 뿐만 아니라 하천, 하수도 등에서 발생하는 오염수에 포함되어 있는 오일까지도 단계별 처리조를 거쳐 효율적으로 분리, 제거할 수 있으며, 작고 가벼워 시공이 매우 간편하고, 별도의 소모품이 필요하지 않아 반 영구적인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유수분리기이다.

Description

유수분리기{oil separator}
본 발명은 유수분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척액, 냉각수, 세차장, 화학공정의 액체분리 뿐만 아니라 하천, 하수도 등에서 발생하는 오염수에 포함되어 있는 오일까지도 단계별 처리조를 거쳐 효율적으로 분리, 제거할 수 있는 유수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수를 분리하는 방법은 유성오수를 유수분리기 내에 체류시켜 유수중에 포함되어 있는 유립(油粒)의 비중차를 이용하여 분리시키거나, 유수에 전류를 가하여 기름의 전기적 평형을 깨뜨려 응결을 유도하고,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기포에 의해 응결, 응집된 기름를 부상시키는 방법이 각각 별도로 적용되어 사용된다.
상기 유립의 비중차를 이용하여 유수를 분리하는 방법은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비중차에 의해 기름이 부상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입자가 미세한 것은 장시간 방치하여도 부상하지 않음으로써 물과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비중차를 이용한 분리방법을 적용할 수 없었다.
또, 상기 전해부상을 이용하여 유수를 분리하는 방법은 전기적 평형을 이루고 있는 유화(emulsified)된 기름에 전류를 가하여 응결, 응집시키고, 이때 발생된 기포에 의해 기름을 부상시켜 유수를 분리한다. 이러한 전해부상법은 기름을 응집 및 응결시키는 데는 효과가 있으나 기름을 부상시키는 기포의 부상거리가 상기 비중차 분리방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어 분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세척액, 냉각수, 세차장, 화학공정의 액체분리 뿐만 아니라 하천, 하수도 등에서 발생하는 오염수에 포함되어 있는 오일까지도 단계별 처리조를 거쳐 효율적으로 분리, 제거할 수 있는 유수분리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하천, 하수도 등에서 오염수를 집수하며 상기 오염수를 배출하는 배출관이 구성된 집수조; 공급조와 기름추출조와 물회수조가 각각 격벽으로 차단되어 구성되고, 상기 공급조는 상기 집수조에 집수된 오염수를 끌어오도록 구성되는 펌프가 구성되고, 상기 기름추출조는 추출관이 구성되고, 상기 물회수조는 상기 집수조로 연결되는 회수관이 구성되는 응집조; 상기 응집조의 기름추출조에서 배출된 농축된 오염수를 공급받으며, 상부에 구성되어 기름을 추출하는 추출관과, 하부에 구성되어 물을 회수하는 회수관으로 구성되는 농축처리조; 상기 농축처리조에서 배출된 오염수를 최종적으로 집수하여 분리한 후 폐수처리장으로 배출하는 분리조;로 구성되고, 상기 배출관과 연결되어 상기 응집조의 공급조에 오염수를 공급하는 공급관과, 상기 기름추출조의 추출관과 연결되어 상기 농축처리조로 오염수를 공급하는 공급관과, 상기 농축처리조에서 오염수를 공급받아 분리조로 공급하는 공급관과, 상기 물회수조의 회수관과 연결되어 물회수조에 저장된 물을 상기 집수조로 다시 공급하는 물회수관과, 상기 농축처리조에서 분리된 물을 회수관으로 공급받아 상기 집수조로 공급하는 물회수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집수조는 상기 배출관의 단부가 상기 오염수의 수면과 동일 또는 다소 높게 구성하고, 상기 배출관의 단부에 상기 배출관을 축으로 회전가능한 부상장치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응집조의 공급조에는 오염수의 수면에 잠기도록 기포발생기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농축처리조는 상기 추출관의 단부가 상기 농축처리조에 저장된 오염수의 수면과 동일 또는 다소 높게 구성하고, 상기 추출관의 단부에 상기 추출관을 축으로 회전가능한 부상장치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유수분리기 및 이를 이용한 유수분리방법은 세척액, 냉각수, 세차장, 화학공정의 액체분리 뿐만 아니라 하천, 하수도 등에서 발생하는 오염수에 포함되어 있는 오일까지도 단계별 처리조를 거쳐 효율적으로 분리, 제거할 수 있으며, 작고 가벼워 시공이 매우 간편하고, 별도의 소모품이 필요하지 않아 반 영구적인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수처리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2a는 본 발명의 부상장치(120)가 구성된 집수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b는 상기 도 2a의 측단면도,
도 2c는 본 발명의 부상장치(120)가 구성된 집수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응집조(200)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b는 상기 도 3a의 측단면도,
도 3c는 본 발명의 응집조(2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농축처리조(300)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분리조(400)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수처리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부상장치(120)가 구성된 집수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2b는 상기 도 2a의 측단면도이고, 도 2c는 본 발명의 부상장치(120)가 구성된 집수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3a는 본 발명의 응집조(200)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b는 상기 도 3a의 측단면도이고, 도 3c는 본 발명의 응집조(2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농축처리조(300)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분리조(400)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유수분리기는 하천, 하수도 등에서 오염수를 집수하며 상기 오염수를 배출하는 배출관(110)이 구성된 집수조(100); 공급조(210)와 기름추출조(220)와 물회수조(230)가 순서를 이루며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부에 유통구(21a)가 구성되며, 공급조와 기름추출조를 분리한 칸막이 형태의 격벽(21)과 하부에 유통구(22a)가 구성되고, 공간을 이르는 기름추출조(220)와 물회수조(230)가 두 공간으로 분리된 칸막이형 격벽(22)으로 차단되어 구성되고, 상기 공급조(210)는 상기 집수조(100)에 집수된 오염수를 끌어오도록 구성되는 펌프(211)가 구성되고, 상기 기름추출조(220)는 추출관(221)이 구성되고, 상기 물회수조(230)는 상기 집수조로 연결되는 회수관(231)이 구성되는 응집조(200); 상기 응집조(200)의 기름추출조(220)에서 배출된 농축된 오염수를 공급받으며, 상부에 구성되어 기름을 추출하는 추출관(310)과, 하부에 구성되어 물을 회수하는 회수관(320)으로 구성되는 농축처리조(300); 상기 농축처리조(300)에서 배출된 오염수를 최종적으로 집수하여 분리한 후 폐수처리장으로 배출하는 분리조(400);로 구성되고, 상기 배출관(110)과 연결되어 상기 응집조(200)의 공급조(210)에 오염수를 공급하는 공급관(S1)과, 상기 기름추출조(220)의 추출관(221)과 연결되어 상기 농축처리조(300)로 오염수를 공급하는 공급관(S2)과, 상기 농축처리조(300)에서 오염수를 공급받아 분리조(400)로 공급하는 공급관(S3)과, 상기 물회수조(230)의 회수관(231)과 연결되어 물회수조(230)에 저장된 물을 상기 집수조(100)로 다시 공급하는 물회수관(W1)과, 상기 농축처리조(300)에서 분리된 물을 회수관(320)으로 공급받아 상기 집수조(100)로 공급하는 물회수관(W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집수조(100)는 하천, 하수도 등에서 오염수를 집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오염수를 후처리 공정으로 이송하도록 배출관(110)이 구성된다.
상기 배출관(110)은 상기 집수조(100)에 집수된 오염수를 상기 응집조(200)로 이송한다.
상기 응집조(200)는 공급조(210)와 기름추출조(220)와 물회수조(230)가 순서를 이루며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부에 유통구(21a)가 구성되며, 공급조와 기름추출조를 분리한 칸막이 형태의 격벽(21)과 하부에 유통구(22a)가 구성되고, 공간을 이르는 기름추출조(220)와 물회수조(230)가 두 공간으로 분리된 칸막이형 격벽(22)으로 차단되어 구성되고, 상기 공급조(210)는 상기 집수조(100)에 집수된 오염수를 끌어오도록 구성되는 펌프(211)가 구성되고, 상기 기름추출조(220)는 추출관(221)이 구성되고, 상기 물회수조(230)는 상기 집수조로 연결되는 회수관(231)이 구성된다.
상기 응집조(200)는 공급조(210)와 기름추출조(220)와 물회수조(230)가 순서를 이루며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부에 유통구(21a)가 구성되며, 공급조와 기름추출조를 분리한 칸막이 형태의 격벽(21)과 하부에 유통구(22a)가 구성되고, 공간을 이르는 기름추출조(220)와 물회수조(230)가 두 공간으로 분리된 칸막이형 격벽(22)으로 차단되어 구성되는데, 즉 응집조(200)는 상기 공급조(210)에서 상기 집수조(100)의 배출관(110)을 통하여 공급받은 오염수를 상기 기름추출조(220)와 물회수조(230)에 공급하는데, 상기 공급조(210)에서 기름추출조(220)로의 오염수의 이동은 상기 격벽(21)의 상부에 뚫린 유통구(21a)를 통하여 이동한다. 상기 격벽(21)의 상부에 유통구(21a)가 구성되는 것은 기름과 물 다른 이물질이 혼합된 오염수는 기름의 비중이 물보다 낮기 때문에 물의 수면위로 뜨는 성향을 이용하여 기름부분만을 추출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공급조(210)의 오염수의 기름이 많이 함유된 상부측 오염수를 공급받은 상기 기름추출조(220)에 저장된 오염수는 다시 기름이 많이 함유된 부분과 물이 많이 함유된 부분을 나누어 회수 또는 후처리로 이송하게 된다.
상기 기름추출조(220)에서 물회수조(230)로의 오염수의 이동은 상기 격벽(22)의 하부에 뚫린 유통구(22a)를 통하여 이동한다.
상기 기름추출조(220)의 상부에는 추출관(221)이 구성되어, 상부에 뜬 기름을 농축처리조(300)로 보내게 되고, 하부에 뚫린 유통구(22a)를 통하여 물이 많이 함유된 하부의 오염수는 상기 물회수조(230)로 이동시킨 후 다시 이를 회수관(231)에 연결된 물회수관(W1)을 통하여 집수조(100)로 보내게 된다.
상기 농축처리조(300)는 상기 응집조(200)의 기름추출조(220)에서 배출된 농축된 오염수를 공급받으며, 상부에 구성되어 기름을 추출하는 추출관(310)과, 하부에 구성되어 물을 회수하는 회수관(3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분리조(400)는 상기 농축처리조(300)에서 배출된 오염수를 최종적으로 집수하여 분리한 후 폐수처리장으로 배출하게된다.
본 발명에서 유입되는 오염수의 처리과정을 살펴보자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관(110)과 연결되어 상기 응집조(200)의 공급조(210)에 오염수를 공급하는 공급관(S1)과, 상기 기름추출조(220)의 추출관(221)과 연결되어 상기 농축처리조(300)로 오염수를 공급하는 공급관(S2)과, 상기 농축처리조(300)에서 오염수를 공급받아 분리조(400)로 공급하는 공급관(S3)과, 상기 물회수조(230)의 회수관(231)과 연결되어 물회수조(230)에 저장된 물을 상기 집수조(100)로 다시 공급하는 물회수관(W1)과, 상기 농축처리조(300)에서 분리된 물을 회수관(320)으로 공급받아 상기 집수조(100)로 공급하는 물회수관(W2)으로 구성된다.
다시 설명하자면, 상기 집수조(100)에 공급된 오염수는 상기 공급관(S1)을 통하여 상기 응집조(200)의 공급조(210)로 이송되고, 상기 응집조(200)에서 기름과 물을 분리하여 분리된 기름은 상기 기름추출조(220)의 추출관(221)을 통하여 공급관(S2)을 거쳐 상기 농축처리조(300)로 이동하게 되며, 분리된 물은 상기 물회수조(230)의 회수관(231)을 통하여 물회수관(W1)을 거쳐 상기 집수조(100)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공급관(S2)를 통하여 상기 응집조(200)의 상기 기름추출조(220)의 추출관(221)에서 오염수를 공급받은 농축처리조(300)는 다시 상부측 기름은 추출관(310)을 거쳐 공급관(S3)을 통하여 분리조(400)로 보내고, 하부측 물이 많이 함유된 부분은 상기 회수관(320)에 연결된 물회수관(W2)를 통하여 상기 집수조(100)로 보내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응집조(200)와 농축처리조(300)에서 집수조(100)로 이동된 물은 다시 동일한 과정을 거쳐 응집조(200)와 농축처리조(300)로 이동하게 되고 동일한 처리과정을 여러 번 거쳐서 오염수의 기름을 최대한 많이 수집하여 분리조(400)로 보내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집수조(100)는 상기 배출관(110)의 단부가 상기 오염수의 수면보다 다소 아래에 위치하도록, 상기 배출관(110)의 단부에 수면에 떠있는 플로트(121)가 1개 이상 형성된 부상장치(12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상장치(120)는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관(110)의 단부가 저장된 오염수의 높낮이에 상관없이 항상 수면보다 다소 낮게 위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배출관(110)의 단부측 측면에 상기 플로트(121)를 연결하고, 상기 플로트(121)는 내부에 공기가 차 있기 때문에 수면에 항상 떠있기 때문에, 상기 배출관(110)의 단부가 항상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배출관(110)의 단부를 상기 집수조(100)에 집수된 오염수 보다 다소 낮게 구성하는 이유는, 상기 오염수보다 높으며, 상기 배출관(110)을 통하여 오염수가 유입되지 않기 때문에 후처리를 할 수 없으며, 상기 오염수보다 많이 낮게 구성이 된다면, 기름의 특성상 물보다 비중이 낮기 때문에 물의 표면에 뜨게 되는데, 표면에 있는 기름을 처리하지 못하고 물이 포함된 오염수의 내부만 후처리로 넘겨지기 때문이다.
상기의 부상장치(120)는 플로트(121)와 상기 플로트(121)를 상기 배출관(110)에 연결하는 지지대(122)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배출관(110)의 단부가 상기 집수조(100)에 집수된 오염수의 수면과 인접하는 바로 하부에 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지지대의 각도를 맞추어 조절하면 된다.
또한, 상기 배출관(110)은 ㄷ 자로 굴절된 이음관(111)을 커플러(112)로 연결하여, 상기 이음관(111)의 단부가 상기 오염수의 내부로 인입되어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관(111)을 연결하여 상기 오염수의 내부로 상기 배출관(110)을 연장하는 것은 상기 오염수 내부의 오염물질도 빨아들여 처리할 필요가 있을 경우를 대비하여서 있다,
일반적으로 기름은 물위로 뜨기 마련이지만, 다른 오염물질과 섞여 오염수의 중간에 위치하는 경우도 종종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응집조(200)의 공급조(210)에는 오염수의 수면에 잠기도록 기포발생기(212)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집수조(100)에서 공급관(S1)을 통하여 공급받은 오염수를 상기 공급조(210)에서 공급받아서 상기 기름추출조(220)와 물회수조(230)로 나누어 분리공급하게 되는데, 상기 공급조(210)에서 상기 기포발생기(212)로 기포를 발생시켜 오염수 내부의 기름과 물과 외부의 공기와 섞이도록 하여 활성화 현상을 촉진시킨다.
상기 기포발생기(212)는 상기 공급조(210)에 저장된 오염수의 내부에 잠기도록 하여, 상기 오염수의 내부에서 기포가 생기도록 한다.
또한, 상기 농축처리조(300)는 상기 추출관(310)의 단부가 상기 농축처리조(300)에 저장된 오염수의 수면보다 다소 아래에 위치하도록, 상기 추출관(310)의 단부에 수면에 떠있는 플로트(312)가 1개 이상 형성된 부상장치(311)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상장치(3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추출관(310)의 단부가 상기 농축처리조(300)에 저장된 오염수의 높낮이에 상관없이 항상 수면보다 다소 낮게 위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추출관(310)의 단부측 측면에 상기 플로트(312)를 연결하고, 상기 플로트(312)는 내부에 공기가 차 있기 때문에 수면에 항상 떠있기 때문에, 상기 추출관(310)의 단부가 항상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추출관(310)의 단부를 상기 농축처리조(300)에 집수된 오염수 보다 다소 낮게 구성하는 이유는, 상기 오염수보다 높으며, 상기 추출관(310)을 통하여 오염수가 유입되지 않기 때문에 후처리를 할 수 없으며, 상기 오염수보다 많이 낮게 구성이 된다면, 기름의 특성상 물보다 비중이 낮기 때문에 물의 표면에 뜨게 되는데, 표면에 있는 기름을 처리하지 못하고 물이 포함된 오염수의 내부만 후처리로 넘겨지기 때문이다.
상기의 부상장치(311)는 플로트(312)와 상기 플로트(312)를 상기 추출관(310)에 연결하는 지지대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추출관(310)의 단부가 상기 농축처리조(300)에 집수된 오염수의 수면과 인접하는 바로 하부에 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지지대의 각도를 맞추어 조절하면 된다.
또한, 상기 응집조(200)의 추출관(221)과 회수관(231)은 ㄷ 자로 굴절된 이음관(215)을 커플러(216)로 연결하여, 상기 추출관(221)과 회수관(231)의 단부가 상기 오염수의 내부로 인입되어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관(215)을 연결하여 상기 오염수의 내부로 상기 추출관(221)과 회수관(231)을 연장하는 것은 상기 오염수 내부의 오염물질도 빨아들여 처리할 필요가 있을 경우를 대비하여서 있다,
일반적으로 기름은 물위로 뜨기 마련이지만, 다른 오염물질과 섞여 오염수의 중간에 위치하는 경우도 종종 있기 때문이다.
21, 22 : 격벽 21a, 22a : 유통구
100 : 집수조 110 : 배출관
111 : 이음관 112 : 커플러
120 : 부상장치 200 : 응집조
210 : 공급조 211 : 펌프
212 : 기포발생기 215 : 이음관
216 : 커플러 220 : 기름추출조
221 : 추출관 230 : 물회수조
231 : 회수관 300 : 농축처리조
310 : 추출관 311 : 부상장치
320 : 회수관 400 : 분리조
S1, S2, S3 : 공급관 W1, W2 : 물회수관

Claims (7)

  1. 하천, 하수도 등에서 오염수를 집수하며 상기 오염수를 배출하는 배출관(110)이 구성된 집수조(100);
    공급조(210)와 기름추출조(220)와 물회수조(230)가 순서를 이루며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부에 유통구(21a)가 구성되며, 공급조와 기름추출조를 분리한 칸막이 형태의 격벽(21)과 하부에 유통구(22a)가 구성되고, 공간을 이르는 기름추출조(220)와 물회수조(230)가 두 공간으로 분리된 칸막이형 격벽(22)으로 차단되어 구성되고, 상기 공급조(210)는 상기 집수조(100)에 집수된 오염수를 끌어오도록 구성되는 펌프(211)가 구성되고, 상기 기름추출조(220)는 추출관(221)이 구성되고, 상기 물회수조(230)는 상기 집수조로 연결되는 회수관(231)이 구성되는 응집조(200);
    상기 응집조(200)의 기름추출조(220)에서 배출된 농축된 오염수를 공급받으며, 상부에 구성되어 기름을 추출하는 추출관(310)과, 하부에 구성되어 물을 회수하는 회수관(320)으로 구성되는 농축처리조(300);
    상기 농축처리조(300)에서 배출된 오염수를 최종적으로 집수하여 분리한 후 폐수처리장으로 배출하는 분리조(400);로 구성되고,
    상기 배출관(110)과 연결되어 상기 응집조(200)의 공급조(210)에 오염수를 공급하는 공급관(S1)과, 상기 기름추출조(220)의 추출관(221)과 연결되어 상기 농축처리조(300)로 오염수를 공급하는 공급관(S2)과, 상기 농축처리조(300)에서 오염수를 공급받아 분리조(400)로 공급하는 공급관(S3)과, 상기 물회수조(230)의 회수관(231)과 연결되어 물회수조(230)에 저장된 물을 상기 집수조(100)로 다시 공급하는 물회수관(W1)과, 상기 농축처리조(300)에서 분리된 물을 회수관(320)으로 공급받아 상기 집수조(100)로 공급하는 물회수관(W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조(100)는 상기 배출관(110)의 단부가 상기 오염수의 수면보다 다소 아래에 위치하도록, 상기 배출관(110)의 단부에 수면에 떠있는 플로트(121)가 1개 이상 형성된 부상장치(12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110)은 ㄷ 자로 굴절된 이음관(111)을 커플러(112)로 연결하여, 상기 이음관(111)의 단부가 상기 오염수의 내부로 인입되어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조(200)의 공급조(210)에는 오염수의 수면에 잠기도록 기포발생기(212)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처리조(300)는 상기 추출관(310)의 단부가 상기 농축처리조(300)에 저장된 오염수의 수면보다 다소 아래에 위치하도록, 상기 추출관(310)의 단부에 수면에 떠있는 플로트(312)가 1개 이상 형성된 부상장치(311)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조(200)의 추출관(221)과 회수관(231)은 ㄷ 자로 굴절된 이음관(215)을 커플러(216)로 연결하여, 상기 추출관(221)과 회수관(231)의 단부가 상기 오염수의 내부로 인입되어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
KR1020110045750A 2011-05-16 2011-05-16 유수분리기 KR101063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750A KR101063780B1 (ko) 2011-05-16 2011-05-16 유수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750A KR101063780B1 (ko) 2011-05-16 2011-05-16 유수분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3780B1 true KR101063780B1 (ko) 2011-09-15

Family

ID=44957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5750A KR101063780B1 (ko) 2011-05-16 2011-05-16 유수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37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668A (ko) * 1999-12-17 2000-03-06 이상진 폐수처리시스템
KR20010097084A (ko) * 2000-04-20 2001-11-08 김무영 슬러지와 유류를 분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320288Y1 (ko) 2003-04-24 2003-07-22 이경수 유수 분리기
KR200359162Y1 (ko) 2004-05-06 2004-08-21 (주)디스바이오텍 오존을 이용한 폐수 여과 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668A (ko) * 1999-12-17 2000-03-06 이상진 폐수처리시스템
KR20010097084A (ko) * 2000-04-20 2001-11-08 김무영 슬러지와 유류를 분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320288Y1 (ko) 2003-04-24 2003-07-22 이경수 유수 분리기
KR200359162Y1 (ko) 2004-05-06 2004-08-21 (주)디스바이오텍 오존을 이용한 폐수 여과 처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131516A (ja) 油水分離装置
JP2010527787A (ja) ヒドロサイクロン方式の浮上分離装置及びそれを含む水質汚染防止システム
KR101297293B1 (ko) 스컴 농축 기능을 구비한 부상 분리 장치
JP3938913B2 (ja) 油水分離除去装置
CN205709989U (zh) 一种油田污水除油除砂沉降系统
CN204661357U (zh) 污水的浮杂去除装置
CN103224299A (zh) 含油污水撇油除渣系统
KR100797564B1 (ko) 진공흡입식 스컴제거장치
KR101053995B1 (ko) 유수분리기
KR100886621B1 (ko) 흐름형 유수분리장치
KR101063780B1 (ko) 유수분리기
KR200384037Y1 (ko) 오폐수처리시스템의 집수분리장치
RU2717786C1 (ru) Флотационная установка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KR101590142B1 (ko) 수처리장치
KR101431325B1 (ko) 폐수 정화처리장치
CN207418535U (zh) 一种高效节能一体化含油污水处理装置
CN207391052U (zh) 一种泡沫分离装置
CN105330068A (zh) 气浮和过滤一体化装置
KR200436921Y1 (ko) 가압부상식 농축기
KR200162834Y1 (ko) 폐수처리장치
KR20020068311A (ko) 수처리 및 폐수처리용 고액분리기
KR100344495B1 (ko) 유수분리처리장치
CN205275280U (zh) 火炬单元污水处理系统
CN211813847U (zh) 一种油气田废水处理装置
CN2510483Y (zh) 一种废水净化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