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3533B1 - 통신망에 접속된 단말기 간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망에 접속된 단말기 간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3533B1
KR101063533B1 KR20060094689A KR20060094689A KR101063533B1 KR 101063533 B1 KR101063533 B1 KR 101063533B1 KR 20060094689 A KR20060094689 A KR 20060094689A KR 20060094689 A KR20060094689 A KR 20060094689A KR 101063533 B1 KR101063533 B1 KR 101063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st
update
terminal
updated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94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9110A (ko
Inventor
최원희
이영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60094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3533B1/ko
Publication of KR20080029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9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3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353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망에 접속된 단말기 간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데이터 동기화 방법은, 데이터가 갱신된 경우 갱신내용 및 갱신이 필요한 단말기의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한 리스트에 목록이 포함되어 있는 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 갱신내용 및 리스트를 전달한다. 그리고, 리스트에 목록이 포함된 단말기 간에 갱신내용 및 수신한 리스트에서 자신의 목록을 삭제하여 변경한 리스트가 순차적으로 전달되고, 갱신내용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의 갱신이 수행되어, 갱신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단말기 간에 공유되는 데이터가 갱신되는 경우 용이하게 데이터를 동기화할 수 있다.
Figure R1020060094689
단말기, 자바, 푸시, 갱신

Description

통신망에 접속된 단말기 간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Data synchronization method for terminals connected to communication networ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동기화 방법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환경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동기화 방법의 개략적 설명에 참조되는 메시지 시퀸스 차트,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동기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동기화 방법의 개략적 설명에 참조되는 메시지 시퀸스 차트,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동기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통신망 110 : 제1 단말기
120 : 제2 단말기 130 : 제3 단말기
140 : 제4 단말기 150 : 제5 단말기
170 : 관리 서버
본 발명은 데이터 동기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망에 접속된 단말기 간에 공유되는 데이터가 갱신된 경우 용이하게 동기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이터 동기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나 기타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단말기 등을 이용한 온라인 커뮤니티가 활성화되면서, 개인정보(Personal Information)나 커뮤니티 구성원의 정보 및 일정 등 다른 단말기와 공유되어 동기화가 필요한 데이터도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개인정보나 커뮤니티 정보 등이 변경되거나 새로운 내용이 추가되는 경우, 변경되거나 추가된 내용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갱신한 후, 갱신된 내용을 등록된 친구나 커뮤니티 구성원 등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동기화할 필요가 있다.
이때, 갱신된 내용은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등을 이용하여, 등록된 커뮤니티 구성원 등의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동기화가 필요한 데이터가 갱신된 경우, 등록된 개개의 단말기마다 SMS 메시지 등을 전송해야하며, 이 SMS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에서는 수신된 메시지 내용을 참조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갱신해야 한다. 따라서, 등록된 단말기마다 일일이 SMS 메시지 등을 전송해야 하므로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전송받을 단말기의 수만큼 통신비용도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SMS 메시지 전송 방법 외에, 해당 기지국의 셀(cell) 안에 있는 모든 단말기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CBS(Cell broadcasting) 서비스를 이용하여 동기화가 필요한 데이터를 갱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 등록된 단말기 외에 자신이 위치하는 셀(Cell) 안에 등록된 모든 단말기로 갱신된 내용이 전송되므로, 요금 부담 외에 자신의 커뮤니티 구성원이나 친구로 등록된 단말기가 아닌 단말기에도 변경된 내용이 전송될 수 있으므로 부적당하다. 또한, FOTA(Firmware Over The Air)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 내장된 펌웨어(firmware)를 원격지에서 무선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으나, 개인정보나 일정 등에 관련된 데이터 만을 별도로 갱신하기는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망에 접속된 단말기 간에 공유되는 데이터가 갱신된 경우 용이하게 데이터 동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데이터 동기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동기화 방법은, 데이터가 갱신된 경우, 갱신내용 및 갱신이 필요한 단말기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리스트에 목록이 포함되어 있는 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 상기 갱신내용 및 상기 리스트를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리스트에 목록이 포함된 단말기 간에 상기 갱신내용 및 수신한 리스트에서 자신의 목록을 삭제하여 변경한 리스트가 순차적으로 전달되고, 상기 갱신내용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의 갱신이 수행되어, 갱신 완료를 나 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티 동기화 시스템은, 제1 단말기에서 데이터가 갱신된 경우, 갱신내용 및 갱신이 필요한 단말기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리스트에 목록이 포함되어 있는 제2 단말기로 상기 갱신내용 및 상기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기에서 수신한 갱신내용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갱신하고, 상기 리스트에서 자신의 목록을 삭제하여 변경한 후, 상기 리스트에 목록이 포함되는 있는 제3 단말기로 상기 갱신내용 및 변경한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가 갱신된 경우, 갱신내용 및 갱신이 필요한 단말기 그룹 정보를 포함하는 갱신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에서 상기 갱신정보를 참조하여, 갱신내용 및 갱신이 필요한 단말기의 리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리스트에 목록이 포함된 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 상기 갱신내용 및 상기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리스트에 목록이 포함된 단말기 간에 상기 갱신내용 및 수신한 리스트에서 자신의 목록을 삭제하여 변경한 리스트가 순차적으로 전달되고, 상기 갱신내용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의 갱신이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동기화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동기화 방법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환경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내지 제5 단말기(110, 120, 130, 140, 150)가 통신망(100)을 통해 통신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통신망(100)은 이 동통신망이나 인터넷 혹은 이들을 결합한 망 등을 포함하며, 관리 서버(170)가 통신망(100)을 통해 제1 내지 제5 단말기(110, 120, 130, 140, 150)와 통신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단말기(110, 120, 130, 140, 150)는 휴대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나 기타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단말기 등을 포함하며, JSR75를 지원하며, 푸시(push)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달하거나 전송받을 수 있다.
관리 서버(170)는 친구, 친지, 동호회 등의 커뮤니티 구성원 목록을 저장 및 관리하며, 커뮤니티 구성원 목록 등이 인증된 정보인지 확인할 수 있다. 즉, 관리 서버(170)는 커뮤니티 구성원 목록이나 일정 등의 변경 사항을 인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170)도 푸시 방식으로 제1 내지 제5 단말기(110, 120, 130, 140, 150)에 정보를 전달하거나 전송받을 수 있다.
한편, 도 1에는 설명의 편의상 5개의 단말기(110, 120, 130, 140, 150) 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동기화 방법은 이보다 많거나 혹은 적은 개수의 단말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동기화 방법의 개략적 설명에 참조되는 메시지 시퀸스 차트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단말기(110)에서 일정, 할일, 메모, 주소록 관리 등과 같은 개인정보나, 커뮤니티 구성원, 연락처, 커뮤니티 일정 등과 같은 커뮤니티 정보와 같이 다른 단말기와 동기화가 필요한 데이터가 갱신된 경우, 변경 내용과 변경된 내용이 적용되는 커뮤니티 정보를 포함하는 갱신정보를 관리 서버(170)에 통보한다(S200).
관리 서버(170)는 갱신정보를 참조하여, 데이터 갱신이 필요한 단말기들에 대한 리스트를 작성하고, 작성된 리스트에 포함된 단말기 중 하나인 제2 단말기(120)로 갱신내용 및 리스트를 자바 푸쉬(java push) 등을 이용한 푸시 방식으로 전달한다(S205).
제2 단말기(120)는 관리 서버(170)로부터 갱신내용 및 리스트를 전달받아, 전달받은 리스트에서 자신의 목록을 삭제하고, 갱신내용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갱신한 후, 리스트에 포함된 제3 단말기(130)로 갱신정보 및 변경된 리스트를 푸시방식으로 전달한다(S210). 제3 단말기(130)는 전달받은 갱신정보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갱신한 후, 데이터 갱신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음을 나타내는 응답신호를 제2 단말기(120)로 전송한다(S215). 제3 단말기(130)는 리스트에 포함된 제4 단말기(140)로 갱신정보와 리스트를 푸시방식으로 전달한다(S220).
이와 같은 방법으로, 리스트의 마지막에 해당하는 제5 단말기(150)에 갱신 내용 및 리스트가 전달되면, 제5 단말기(150)는 응답신호를 푸시 근원지인 제4 단말기(140)로 전송하고(S235), 갱신내용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갱신한 후, 갱신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음을 관리 서버(170)에 통보한다(S240). 관리 서버(170)는 이를 제1 단말기(110)로 전송한다(S245).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제1 단말기(110)는 관리 서버(170)에만 갱신정보를 통보함으로써, 등록된 모든 단말기에 대하여 데이터가 갱신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동기화 방법의 보다 상세한 설명에 제공되는 순서도이다. 먼저, 도 3은 갱신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개인정보, 커뮤니티 정보 등 다른 단말기와 동기화가 필요한 데이터가 변경되거나 추가되어 갱신할 내용이 발생하면(S300), 갱신된 내용이 적용되는 커뮤니티 등의 갱신대상을 선택하고(S302), 갱신내용 및 갱신대상 정보를 포함하는 갱신정보를 관리 서버(170)에 전송한다(S304).
갱신정보의 전송 후, 갱신 처리 결과의 수신을 대기한 후(S306), 관리 서버(170)로부터 갱신 처리 결과가 수신되면, 수신한 갱신처리 결과를 표시하고 종료한다(S306, S308).
도 4는 관리 서버의 동작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기로부터 갱신 정보가 수신되면(S320), 갱신 대상이 등록된 커뮤니티인지 판단하여, 갱신 대상이 등록되지 않은 커뮤니티인 경우 이를 나타내는 처리 결과를 전송하고(S334), 등록된 커뮤니티인 경우 갱신 대상 리스트를 작성하고(S322). 이때, 관리 서버(170)는 원본 정보의 소유자 인증 여부를 확인한 후 데이터 동기화 과정을 시작할 수 있다.
갱신 대상 리스트가 작성되면, 작성된 리스트에서 어느 한 단말기를 선택하고(S326), 선택한 단말기로 변경 내용 및 리스트를 푸시 방식으로 전달한다(S328).
변경내용 및 리스트의 전송 후, 응답 수신을 대기한 후, 수신한 응답이 갱신 성공을 나타내는 응답이면, 갱신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음을 나타내는 처리 결과를 단말기로 전송한다(S334). 그러나, 수신한 응답이 갱신 실패를 나타내는 경우나 소정 시간 내에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리스트에 선택하지 않은 리스트의 단말기가 존재하면 다음 리스트에 단말기를 선택하여(S336, S338), 선택한 단말 기로 다시 갱신내용 및 리스트를 전달한다(S328). 이러한 과정은 갱신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음을 나타내는 응답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리스트에 선택하지 않은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최초로 갱신내용 및 리스트를 전달한 관리 서버(170)는 모든 단말기의 동기화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동기화의 성공 여부를 갱신 정보를 전송한 단말기로 통보할 수 있다.
도 5는 갱신내용 및 리스트를 전달받는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갱신 내용 및 리스트를 전달받는 단말기는, 갱신내용 및 리스트를 수신하게 되면(S350), 가입된 커뮤니티 혹은 인증된 커뮤니티에서 전달한 푸시(push)인지 확인하는 절차를 거쳐 저장된 데이터를 갱신한다(S352). 즉, 단말기는 가입되거나 혹은 인증된 커뮤니티에서 갱신내용 및 리스트를 푸시방식으로 전달받으며, 가입된 커뮤니티에서 탈퇴하거나 필요한 데이터의 수정 및 변경도 할 수 있다.
저장된 데이터를 갱신한 후, 자신이 목록만이 수신된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여(S354), 다른 단말기의 목록이 포함되어 있으며 리스트에서 자신의 목록을 삭제한 후(S356), 리스트의 다음 단말기로 갱신내용 및 변경된 리스트를 푸시 방식으로 전달한다(S358). 만일, 리스트에 자신이 목록만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마지막 단말기에 해당하므로 관리서버(170)로 갱신완료를 통보한다(S340).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복수의 단말기 간에 저장된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갱신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의 동기화 방법의 설명에 참조 되는 메시지 시퀸스 차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동기화 방법은, 등록된 커뮤니티 구성원의 목록이나 정보 등을 관리 서버가 아니라 단말기 자체에서 직접 관리한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단말기(110)에서 동기화가 필요한 데이터가 갱신되면, 갱신 대상 단말기의 리스트를 작성하여, 리스트에 포함된 제2 단말기(120)로 갱신내용 및 리스트를 푸쉬 방식으로 전달한다(S400).
제2 단말기(120)는 제1 단말기(110)로부터 갱신내용 및 리스트를 전달받아, 전달받은 커뮤니티 구성원 목록인 리스트 항목에서 자신의 목록을 삭제하고, 갱신내용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갱신한 후, 리스트에 목록이 포함된 제3 단말기(130)로 갱신정보 및 변경된 리스트를 푸시 방식으로 전달한다(S405). 제3 단말기(130)수신한 갱신정보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갱신한 후 제2 단말기(120)로 응답신호를 전송한다(S410). 그리고, 다음번 단말기인 제4 단말기(140)로 갱신정보와 변경한 리스트를 푸시방식으로 전달한다(S415). 이와 같이, 갱신내용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 갱신이 이루어지면, 푸시 방식으로 전달된 구성원 리스트에서 자신의 목록을 제외하고, 푸시가 전달된 단말기로 성공적으로 데이터가 갱신되었음을 알린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되어, 최종적으로 자신의 목록만 적힌 리스트를 전달받은 제5 단말기(150)는, 갱신내용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갱신한 후, 모든 동기화가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음을 제1 단말기(110)에 통보한다(S435). 이와 같은 과정의 의해, 등록된 커뮤니티 구성원들의 단말기 전체에 저장된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동기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로서, 데이터가 갱신되어 갱신내용 및 리스트를 최초로 전달하는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동기화가 필요한 데이터가 변경되거나 추가되어 갱신할 내용이 발생한 경우(S500), 동기화가 필요한 대상을 체크하여 갱신할 커뮤니티 구성원 목록에 해당하는 리스트를 작성하고(S502). 작성된 리스트에서 어느 하나의 단말기를 선택한 후(S540), 선택된 단말기로 변경 내용 및 리스트를 전달한다(S506).
그리고, 응답신호가 전송되기를 대기한 후, 수신한 응답신호가 갱신 성공을 나타내는 응답이면, 처리 결과를 표시하고 종료한다. 그러나, 수신한 응답이 갱신 실패를 나타내는 경우나 소정 시간 내에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리스트에 선택하지 않은 리스트의 단말기가 존재하면 다음 리스트에 단말기를 선택하여(S514, S516), 선택한 단말기로 다시 갱신내용 및 리스트를 전달한다(S506). 이러한 과정은 갱신 성공을 나타내는 응답을 수신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그리고, 갱신내용 및 리스트를 전달받은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며,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개인별 목록에 근거하여 전체 커뮤니티 구성원의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갱신의 감지는 원본 데이터의 소유자만이 할 수 있으므로, 해당 데이터의 갱신은 원본 정보의 소유자의 인증 과정을 거쳐 명확한 경우 다른 단말기와 동기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인증되지 않은 경우에는 갱신된 데이터는 폐기하도록 한다. 만일, MSN이나 ICQ 등 IM(Instant Messaging)를 활용하면, 관리 서버에서 개인의 신상정보를 갖고, 이 신상정보의 변경은 오직 인증된 원본 정보의 소유자만이 할 수 있다. 그리고, 커뮤니티의 일정 변경 등의 경우 원본 정보의 소유자는 일정을 최종 확정은 커뮤니티의 운영자가 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른 단말기와 동기화나 공유가 필요한 데이터가 갱신된 경우, 갱신대상 리스트를 작성하여, 리스트에 목록이 포함된 단말기 중 어느 하나에 푸시 방식으로 갱신내용을 전달하여, 리스트에 포함된 단말기 간에 순차적으로 데이터 갱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갱신절차가 용이하게 되며, 갱신내용 등을 하나의 단말기에만 전송하면 되므로, 등록된 모든 단말기에 갱신내용을 전송하는데 경우보다 통화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15)

  1. 데이터가 갱신된 경우, 갱신내용 및 갱신이 필요한 단말기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리스트에 목록이 포함되어 있는 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 상기 갱신내용 및 상기 리스트를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리스트에 목록이 포함된 단말기들 간에 상기 갱신내용 및 수신한 리스트에서 자신의 목록을 삭제하여 변경한 리스트가 순차적으로 전달되고, 상기 갱신내용에 따라 데이터의 갱신이 수행되어, 갱신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동기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내용 및 상기 리스트는 푸시(push) 방식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동기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는, 자신의 목록만이 포함된 리스트를 수신한 단말기, 및 상기 갱신내용 및 상기 변경한 리스트를 전달하고 소정 시간내 응답신호를 받지 못한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동기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되는 데이터는, 커뮤니티 정보 및 개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동기화 방법.
  5. 제1 단말기에서 데이터가 갱신된 경우, 갱신내용 및 갱신이 필요한 단말기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리스트에 목록이 포함되어 있는 제2 단말기로 상기 갱신내용 및 상기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기에서 수신한 갱신내용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갱신하고, 상기 리스트에서 자신의 목록을 삭제하여 변경한 후, 상기 리스트에 목록이 포함되는 있는 제3 단말기로 상기 갱신내용 및 변경한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동기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수신한 리스트에 자신의 목록만이 있는 경우, 수신한 갱신내용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갱신하고, 갱신완료 신호를 상기 제1 단말기에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동기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가 소정 시간 내에 상기 갱신완료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리스트 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다른 단말기로 상기 갱신내용 및 상기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동기화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내용 및 상기 리스트는, 푸시(push) 방식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동기화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되는 데이터는, 커뮤니티 정보 및 개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동기화 방법.
  10. 데이터가 갱신된 경우, 갱신내용 및 갱신이 필요한 단말기 그룹 정보를 포함하는 갱신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수신한 갱신정보를 참조하여, 갱신내용 및 갱신이 필요한 단말기의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리스트에 목록이 포함되는 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 상기 갱신내용 및 상기 생성한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한 리스트에 목록이 포함된 단말기 간에 상기 갱신내용 및 수신한 리스트에서 자신의 목록을 삭제하여 변경한 리스트가 순차적으로 전달되고, 상기 갱신내용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의 갱신이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동기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한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는, 통신망을 통해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관리 서버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동기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리스트에 자신의 목록만이 있는 경우, 수신한 갱신내용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갱신하고, 갱신 완료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관리 서버로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동기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갱신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동기화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되는 데이터는 커뮤니티 정보 및 개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동기화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내용 및 상기 변경한 리스트는, 푸시 방식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동기화 방법.
KR20060094689A 2006-09-28 2006-09-28 통신망에 접속된 단말기 간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KR101063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94689A KR101063533B1 (ko) 2006-09-28 2006-09-28 통신망에 접속된 단말기 간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94689A KR101063533B1 (ko) 2006-09-28 2006-09-28 통신망에 접속된 단말기 간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9110A KR20080029110A (ko) 2008-04-03
KR101063533B1 true KR101063533B1 (ko) 2011-09-08

Family

ID=39531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94689A KR101063533B1 (ko) 2006-09-28 2006-09-28 통신망에 접속된 단말기 간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35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50851B2 (en) 2009-03-29 2014-06-1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nhanced address book with automatic contact mana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9110A (ko) 2008-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684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phone number-based SNS account
CN106101982B (zh) 一种应用程序下载方法及系统
EP2333486A1 (en) Communication device, information present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EP1982450A2 (en) Communications network system and methods for using same
CN1708975B (zh) 无线设备交互式屏幕的服务器处理
KR101063533B1 (ko) 통신망에 접속된 단말기 간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JP3874415B2 (ja) メール交換システム及び方法、メール交換用端末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KR20140061943A (ko)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9788017B (zh) 跨品牌儿童手表信息同步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101013015B1 (ko) 이동기, 패턴 파일 갱신 방법 및 통신 시스템
JP2008129768A (ja) データ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468081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情報処理端末、情報処理端末の制御方法、情報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CN105099854A (zh) 用于消息传递的方法和系统
JP4810895B2 (ja) 電子機器、絵文字メールサーバ、絵文字メール送信方法および絵文字メール送信プログラム
JP2008060740A (ja) 管理装置、管理システム、通信端末、ウェブサーバ、管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916069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mplementing response to editing message
KR100820794B1 (ko)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KR10180224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61307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그룹 메시지 수신 확인 장치 및방법
JP6336637B2 (ja) グループ作成システム、管理サーバ及びグループ作成プログラム
JP2008171339A (ja) 移動体端末装置、サーバ装置及び移動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08217175A (ja) 住所管理システム、該住所管理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住所管理方法及び住所管理制御プログラム
KR20100001606A (ko) 전화번호 변경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100681907B1 (ko) 통화중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JP2007233435A (ja) 電子メール読み上げシステム、サーバ、携帯機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電子メール読み上げ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