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1907B1 - 통화중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화중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1907B1
KR100681907B1 KR20050042946A KR20050042946A KR100681907B1 KR 100681907 B1 KR100681907 B1 KR 100681907B1 KR 20050042946 A KR20050042946 A KR 20050042946A KR 20050042946 A KR20050042946 A KR 20050042946A KR 100681907 B1 KR100681907 B1 KR 100681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message
communication terminal
terminal
bus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42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0784A (ko
Inventor
양병우
김후종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50042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1907B1/ko
Publication of KR20060120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0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1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190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 간의 통화 상태 중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화중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통화중 메시지 전송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기 설정된 메시지 식별코드를 수신하면, 이후에 전송되는 적어도 한자리 이상의 번호를 수신하여 이동통신 단말의 식별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고, 적어도 한자리 이상의 번호를 이용하여 통화중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 메시지 생성부에서 생성하는 통화중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과 통화 연결 중인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기 위해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 번호를 조회하고,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로 통화중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하여, 이동통신 단말간의 통화 수행 중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로 전화번호, 계좌번호, 주민등록 번호 등을 비롯한 번호를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통화중, 메시지

Description

통화중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of Message while Calling over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통화중 메시지 전송 시스템과 통신망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통화중 메시지 전송 서버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통화중 메시지 전송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통화중 메시지 전송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 이동통신 단말 110, 410 : 제어부
120 : 입력부 130 : 메모리
140 : 무선 통신부 150 : 표시부
160, 420 : 메시지 생성부 170, 430 : 메시지 전송부
180 : 출력부 300 : 이동 통신망
400 : 통화중 메시지 전송 서버 440 : 데이터베이스
본 발명은 통화중 메시지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 간의 통화 상태 중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화중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화중에 상대방에게 전화번호나 계좌번호 등을 알려주어야 하는 경우, 사용자는 통화하는 상대방이 필기 준비가 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전달하고자 하는 번호를 알려준다.
반대로, 이동중이거나 또는 필기도구를 찾기 곤란한 상황일 때 상대방으로부터 전화번호나 계좌번호 등을 받아 적어야 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대방이 전달하는 번호를 암기하고 통화가 종료한 이후에 이동통신 단말에 등록하거나 또는 필기도구를 찾아 암기했던 번호를 기록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사용자는 암기하였던 번호를 잊어버리거나 또는 잘못된 번호를 암기하여 상대방에게 재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 간의 호 연결 중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로 적어도 한자리 이상의 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화중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과 연결되고, 이동통신 단말 간의 통화 연결 중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화중 메시지 전송 시스템으로서,
통화중 메시지 전송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기 설정된 메시지 식별코드를 수신하면, 이후에 전송되는 적어도 한자리 이상의 번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식별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고, 상기 적어도 한자리 이상의 번호를 이용하여 통화중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 상기 메시지 생성부에서 생성하는 통화중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통화 연결 중인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 번호를 조회하고, 상기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로 상기 통화중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한다.
다른 본 발명은 제어부, 이동통신 단말의 입력 제어를 위한 입력부,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이동통신 단말의 현재 상태나 사용자가 요청한 이벤트 처리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부, 음성 통화 서비스나 데이터 서비스 이용시 필요한 데이터를 청각으로 제공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하고, 이동 통신망과 연결되어, 착신측과 발신측 간의 통화 연결 중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로서,
타 이동통신 단말과 통화 연결 중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기 설정된 메시지 식별코드 및 적어도 한자리 이상의 번호를 수신하면, 상기 적어도 한자리 이상의 번호를 이용하여 통화중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 상기 메시지 생성부에서 생성하는 통화중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통화 연결 중인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이동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과 연결되고, 이동통신 단말 간의 통화 연결 중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화중 메시지 전송 시스템을 이용한 통화중 메시지 전송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기 설정된 메시지 식별코드를 수신하면, 이후에 전송되는 적어도 한자리 이상의 번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식별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수신하는 상기 적어도 한자리 이상의 번호를 이용하여 통화중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생성하는 통화중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통화 연결 중인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 번호를 확인하고, 상기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로 상기 통화중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과 연결되어, 착신측과 발신측 간의 통화 연결 중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통화중 메시지 전송 방법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기 설정된 메시지 식별코드 및 적어도 한자리 이상 의 번호를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수신하는 상기 적어도 한자리 이상의 번호를 이용하여 통화중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생성하는 통화중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통화 연결 중인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이동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통화중 메시지 전송 시스템과 통신망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통화중 메시지 전송 방법은 크게 두 가지 경우로 구분하는데, 첫 번째는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번호를 이용하여 독립된 서버에서 통화중 메시지를 생성하는 경우이고, 두 번째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번호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에서 통화중 메시지를 생성하는 경우이다.
먼저, 독립된 서버에서 통화중 메시지를 생성하는 경우, 통화중 메시지 전송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100, 200) 간의 호 연결 중 이동 통신망(300)을 경유하여 이동통신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기 설정된 메시지 식별코드를 수신하면, 이후에 전송되는 적어도 한자리 이상의 번호를 이동통신 단말(100)의 식별정보(예를 들어, MIN ;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ESN ; Eletronic Serial Number 등)와 함께 저장하고, 적어도 한자리 이상의 번호를 이용하여 통화중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100)과 통화를 수행하는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200)로 전 송하는 통화중 메시지 전송 서버(40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통화중 메시지 전송 서버(400)는 적어도 한자리 이상의 번호가 전송된 이후, 기 설정된 메시지 식별코드가 입력되면 번호 전송이 종료하였음으로 인지하고, 다음 과정(통화중 메시지 생성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이동 통신망(300)은 기 설정된 메시지 식별코드를 수신하면, 이를 통화중 메시지 전송을 위한 식별코드로 인식하고, 메시지 식별코드 및 이후 전송되는 번호를 통화중 메시지 전송 서버(400)로 전송한다.
두 번째로, 이동통신 단말(100)에서 통화중 메시지를 생성하는 경우, 통화중 메시지 전송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기 설정된 메시지 식별코드를 수신하면, 이후에 입력되는 적어도 한자리 이상의 번호를 이용하여 통화중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200)로 전송한다.
도 1에서 개시하는 통화중 메시지 전송 서버(400)는 운용자의 필요에 따라 이동 통신망(300) 내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도시하지 않음)에서 함께 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통화중 메시지 전송 서버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통화중 메시지 전송 서버(400)는 서버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10), 통화중 메시지 전송 서비스와 관련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440), 이동통신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번호를 이용하여 통화중 메시 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420) 및 통화중 메시지를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200)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43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메시지 생성부(420)는 이동통신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 식별코드를 수신하면, 제어부(410)의 제어에 따라 이후에 전송되는 적어도 한자리 이상의 번호를 이동통신 단말(100)의 식별정보(예를 들어, MIN, ESN 등)와 함께 저장하고, 상기 적어도 한자리 이상의 번호를 이용하여 통화중 메시지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메시지 식별코드는 문자, 숫자, 피쳐코드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서, 이동통신 단말(100)에 구비되는 별도의 메시지 전송 버튼을 선택함에 따라 입력되는 코드이거나 또는 이동통신 단말(100)의 복수의 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에 따라 입력되는 코드이다.
또한, 메시지 생성부(420)는 이동통신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적어도 한자리 이상의 번호가 호 연결이 가능한 단말의 번호 형식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번호가 단말의 번호 형식과 일치하는 경우, 단말 번호를 회신 번호로 지정하여 통화중 메시지를 생성한다.
메시지 전송부(430)는 메시지 생성부(420)에서 생성하는 통화중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100)과 통화 연결 중인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200)로 전송하기 위해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200) 번호를 조회하고, 조회하는 이동통신 단말 번호를 이용하여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200)로 통화중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에서, 메시지 전송부(430)는 이동통신 단말(100, 200) 간의 호 연결을 제어하는 이동 통신망(300)내의 해당 구성으로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200) 번호를 요청하고 수신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이동통신 단말(100)은 제어부(110), 입력부(120), 메모리(130), 무선 통신부(140), 표시부(150), 메시지 생성부(160), 메시지 전송부(170) 및 출력부(180)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10), 이동통신 단말(100)의 입력 제어를 위한 입력부(120),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30),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140), 이동통신 단말의 현재 상태나 사용자가 요청한 이벤트 처리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부(150) 및 음성 통화 서비스나 데이터 서비스 이용시 필요한 데이터를 청각으로 제공하기 위한 출력부(180)는 이동통신 단말의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메시지 생성부(16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기 설정된 메시지 식별코드 및 적어도 한자리 이상의 번호를 수신하면, 적어도 한자리 이상의 번호를 이용하여 통화중 메시지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메시지 식별코드는 문자, 숫자, 피쳐코드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서, 이동통신 단말(100)에 구비되는 별도의 메시지 전송 버튼을 선택함에 따라 입력되는 코드이거나 또는 이동통신 단말(100)의 복수의 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에 따라 입력되는 코드이다.
또한, 메시지 생성부(160)는 적어도 한자리 이상의 번호가 호 연결이 가능한 단말의 번호 형식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입력되는 번호가 단말의 번호 형식과 일치하는 경우, 입력되는 단말 번호를 회신 번호로 지정하여 통화중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에 더하여, 메시지 생성부(160)는 기 설정된 메시지 삭제 코드가 입력되면, 이전에 입력된 코드/번호 전체를 삭제하거나 또는 가장 마지막에 입력된 코드/번호를 삭제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한다.
메시지 전송부(170)는 메시지 생성부(160)에서 생성하는 통화중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100)과 통화 연결 중인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200)로 전송하기 위해 이동 통신망(300)으로 전송한다.
또한, 메시지 전송부(170)는 이동 통신망(300)이 부하 상태일 경우, 통화중 메시지를 메모리(130)에 임시 저장하고, 이동 통신망(300)의 부하 상태가 해제되면, 통화중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200)로 재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통화중 메시지 전송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통화중 메시지 전송 서버(400)에서 통화중 메시지를 생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메시지 생성부(420)는 이동통신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기 설정된 메시지 식별코드를 수신하면, 제어부(410)의 제어에 따라 이후에 전송되는 적어도 한자리 이상의 번호를 이동통신 단말의 식별정보(예를 들어, MIN ;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ESN ; Eletronic Serial Number 등)와 매칭하여 저장한다(S101).
여기에서, 메시지 식별코드는 문자, 숫자, 피쳐코드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서, 이동통신 단말(100)에 구비되는 별도의 메시지 전송 버튼을 선택함에 따라 입력되는 코드이거나 또는 이동통신 단말(100)의 복수의 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에 따라 입력되는 코드이다.
이어서, 메시지 생성부(420)는 제어부(410)의 제어에 따라 단계 S101에서 수신하는 적어도 한자리 이상의 번호를 이용하여 통화중 메시지를 생성한다(S103).
여기에서, 메시지 생성부(420)는 이동통신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적어도 한자리 이상의 번호가 호 연결이 가능한 단말의 번호 형식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번호가 단말의 번호 형식과 일치하는 경우, 수신하는 단말 번호를 회신 번호로 지정하여 통화중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후, 메시지 전송부(430)는 단계 S103에서 생성하는 통화중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100)과 통화 연결 중인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200)로 전송하기 위해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200) 번호를 확인하고, 확인된 번호를 이용하여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200)로 통화중 메시지를 전송한다(S105). 여기에서, 메시지 전송부(430)는 이동통신 단말(100, 200) 간의 호 연결을 제어하는 이동 통신망(300)내의 해당 구성으로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200) 번호를 요청하고 수신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통화중 메시지 전송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이동통신 단말(100)에서 통화중 메시지를 생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동통신 단말(100)의 메시지 생성부(16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기 설정된 메시지 식별코드 및 적어도 한자리 이상의 번호를 수신한다(S201).
여기에서, 메시지 식별코드는 문자, 숫자, 피쳐코드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서, 이동통신 단말(100)에 구비되는 별도의 메시지 전송 버튼을 선택함에 따라 입력되는 코드이거나 또는 이동통신 단말(100)의 복수의 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에 따라 입력되는 코드이다.
메시지 생성부(160)는 메시지 식별코드 및 번호를 수신하는 중에 기 설정된 메시지 삭제 코드를 수신하면, 이전에 입력된 코드/번호 전체를 삭제하거나 또는 가장 마지막에 입력된 코드/번호를 삭제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한다.
이어서, 메시지 생성부(160)는 단계 S201에서 수신하는 적어도 한자리 이상의 번호를 이용하여 통화중 메시지를 생성한다(S203).
여기에서, 메시지 생성부(160)는 적어도 한자리 이상의 번호가 호 연결이 가능한 단말의 번호 형식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번호가 단말의 번호 형식과 일치하는 경우, 단말 번호를 회신 번호로 지정하여 통화중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후, 메시지 전송부(170)는 단계 S203에서 생성하는 통화중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100)과 통화 연결 중인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200)로 전송하기 위해 이동 통신망(300)으로 전송한다(S205).
여기에서, 메시지 전송부(170)는 이동 통신망(300)이 부하 상태일 경우, 통화중 메시지를 메모리(130)에 임시 저장하고, 이동 통신망(300)의 부하 상태가 해 제되면, 통화중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200)로 재전송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화중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간의 통화 수행 중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로 전화번호, 계좌번호, 주민등록 번호 등을 비롯한 번호를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화 수행 중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메시지 전송에 따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2)

  1. 이동 통신망과 연결되고, 이동통신 단말 간의 통화 연결 중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화중 메시지 전송 시스템으로서,
    통화중 메시지 전송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기 설정된 메시지 식별코드를 수신하면, 이후에 전송되는 적어도 한자리 이상의 번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식별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고, 상기 적어도 한자리 이상의 번호를 이용하여 통화중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 및
    상기 메시지 생성부에서 생성하는 통화중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통화 연결 중인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 번호를 조회하고, 상기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로 상기 통화중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메시지 전송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생성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적어도 한자리 이상의 번호가 호 연결이 가능한 단말의 번호 형식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번호가 단말의 번호 형식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 번호를 회신 번호로 지정하여 통화중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메시지 전송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식별코드는 문자, 숫자, 피쳐코드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구비되는 별도의 메시지 전송 버튼을 선택함에 따라 입력되는 코드이거나 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복수의 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에 따라 입력되는 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메시지 전송 시스템.
  4. 제어부, 이동통신 단말의 입력 제어를 위한 입력부,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이동통신 단말의 현재 상태나 사용자가 요청한 이벤트 처리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부, 음성 통화 서비스나 데이터 서비스 이용시 필요한 데이터를 청각으로 제공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하고, 이동 통신망과 연결되어, 착신측과 발신측 간의 통화 연결 중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로서,
    타 이동통신 단말과 통화 연결 중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기 설정된 메시지 식별코드 및 적어도 한자리 이상의 번호를 수신하면,
    타 이동통신 단말과 통화 연결 중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기 설정된 메시지 식별코드 및 적어도 한자리 이상의 번호를 수신하면, 상기 적어도 한자리 이상의 번호를 이용하여 통화중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한자리 이상의 번호가 호 연결이 가능한 단말의 번호 형식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한자리 이상의 번호인 단말 번호를 회신 번호로 지정하는 메시지 생성부; 및
    상기 메시지 생성부에서 생성하는 통화중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통화 연결 중인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이동 통신망으로 전송하며, 상기 이동 통신망이 부하 상태일 경우, 상기 통화중 메시지를 상기 메모리에 임시 저장하고, 상기 이동 통신망의 부하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통화중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식별코드는 문자, 숫자, 피쳐코드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구비되는 별도의 메시지 전송 버튼을 선택함에 따라 입력되는 코드이거나 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복수의 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에 따라 입력되는 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생성부는,
    기 설정된 메시지 삭제 코드가 입력되면,
    이전에 입력된 코드/번호 전체를 삭제하거나 또는 가장 마지막에 입력된 코드/번호를 삭제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8. 삭제
  9. 이동 통신망과 연결되고, 이동통신 단말 간의 통화 연결 중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화중 메시지 전송 시스템을 이용한 통화중 메시지 전송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기 설정된 메시지 식별코드를 수신하면, 이후에 전송되는 적어도 한자리 이상의 번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식별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수신하는 상기 적어도 한자리 이상의 번호를 이용하여 통화중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에서 생성하는 통화중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통화 연결 중인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 번호를 확인하고, 상기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로 상기 통화중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메시지 전송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적어도 한자리 이상의 번호가 호 연결이 가능한 단말의 번호 형식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번호가 단말의 번호 형식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 번호를 회신 번호로 지정하여 통화중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메시지 전송 방법.
  11. 이동 통신망과 연결되어, 착신측과 발신측 간의 통화 연결 중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통화중 메시지 전송 방법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기 설정된 메시지 식별코드 및 적어도 한자리 이상의 번호를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수신하는 상기 적어도 한자리 이상의 번호를 이용하여 통화중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한자리 이상의 번호가 호 연결이 가능한 단말의 번호 형식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번호가 단말의 번호 형식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한자리 이상의 번호인 단말 번호를 회신 번호로 지정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에서 생성하는 통화중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통화 연결 중인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이동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메시지 전송 방법.
  12. 삭제
KR20050042946A 2005-05-23 2005-05-23 통화중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0681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42946A KR100681907B1 (ko) 2005-05-23 2005-05-23 통화중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42946A KR100681907B1 (ko) 2005-05-23 2005-05-23 통화중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0784A KR20060120784A (ko) 2006-11-28
KR100681907B1 true KR100681907B1 (ko) 2007-02-15

Family

ID=37706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42946A KR100681907B1 (ko) 2005-05-23 2005-05-23 통화중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19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5207B1 (ko) 2014-05-31 2020-06-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4530A (ko) * 1999-12-07 2001-07-02 윤종용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폰북내용을 단문서비스로 송수신하기위한 방법
KR20020016334A (ko) * 2000-08-25 2002-03-04 정장호 이동 단말기간 통화 중 문자메시지 전송 방법
KR20040012284A (ko) * 2002-08-02 2004-02-1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통화 중전화부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4530A (ko) * 1999-12-07 2001-07-02 윤종용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폰북내용을 단문서비스로 송수신하기위한 방법
KR20020016334A (ko) * 2000-08-25 2002-03-04 정장호 이동 단말기간 통화 중 문자메시지 전송 방법
KR20040012284A (ko) * 2002-08-02 2004-02-1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통화 중전화부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0784A (ko) 2006-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74540B (zh) 用于消除移动装置上实施的联系人列表数据库中的条目的歧义的系统和方法
JP5215888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方法
JP3749284B2 (ja) 音声およびデータ処理通信ネットワークのメッセージ転送装置
CN100515073C (zh) 用于给网络提供移动台到移动视台的视频能力的方法和装置
CN100479558C (zh) 移动终端呼叫转移方法和装置
JP2002335336A (ja) 携帯電話機および基地局
CN1909454B (zh) 用于在装置间提供安全访问的系统、方法及计算机可读介质
JP5661107B2 (ja) 複数の受信機に電子ショートメッセージを送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05328313A (ja) 電話番号変更通知方法および電話番号変更通知システム
JP4499166B2 (ja) 加入者識別符号通知装置
CN101316300A (zh) 用于识别用户终端的存储器中存储的呼叫号码的运营商的系统和方法
CN101263664A (zh) 用于增加无线终端的蓝牙型能力的方法和装置
KR100681907B1 (ko) 통화중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US8406387B2 (en) Method for the remote request of information which is stored in a telecommunication entity and a telecommunication entity having remote request functionality for stored information
US20060166661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telephone number-limited back calling function
CN100433853C (zh) 一种远程查询信息的方法及通信终端
KR20030079161A (ko) 단문 메세지 서비스를 이용한 전화번호부 전송 방법
JP6320718B2 (ja) 携帯端末装置、発番サーバ、及び携帯端末プログラム
JP3282667B2 (ja) 移動体通信端末およびこの自局番号検出方法
JP4499702B2 (ja) メール作成サーバおよびメール送信方法
JP4289315B2 (ja) 通信端末間のプロファイル情報交換システム
CN101945183A (zh) 呼叫接续过程中传送文字信息的方法及其系统
KR100442357B1 (ko) 휴대폰에서 주소록 코드를 이용한 주소록 전송 방법
KR100585725B1 (ko) 휴대단말기의 착신정보 인터넷 확인장치 및 방법
KR20010094643A (ko) 전화번호 형태의 메일 계정을 이용한 인터넷 메시지 전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