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1774B1 - 엠보싱 방법 및 엠보싱 장치 - Google Patents

엠보싱 방법 및 엠보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1774B1
KR101061774B1 KR1020080062883A KR20080062883A KR101061774B1 KR 101061774 B1 KR101061774 B1 KR 101061774B1 KR 1020080062883 A KR1020080062883 A KR 1020080062883A KR 20080062883 A KR20080062883 A KR 20080062883A KR 101061774 B1 KR101061774 B1 KR 101061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bossing
weight
roller
urea
embo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2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2840A (ko
Inventor
윤민선
김용재
이근명
Original Assignee
윤민선
이근명
김용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민선, 이근명, 김용재 filed Critical 윤민선
Priority to KR1020080062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1774B1/ko
Publication of KR20100002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1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1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4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hrinking, embossing, moiréing, or crêp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5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525Embossing; Calendering; Press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4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7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705Embossing; Calendering; Pr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단에 엠보싱과 인쇄공정을 동시에 수행하고 원적외선에 의하여 고착시킴으로써 엠보싱 무늬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피처리물을 혼합액에 함침하는 함침단계; 엠보 롤러에 의하여 엠보싱 무늬를 상기 피처리물에 형성하는 엠보싱 단계; 원적외선으로 상기 피처리물을 가열하여 고착화시키는 고착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원적외선, 엠보싱, 고착화, 함침, 천연섬유

Description

엠보싱 방법 및 엠보싱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embossing}
본 발명은 합성섬유 및 천연섬유 원단에 엠보싱(embossing)을 수행하고, 엠보싱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원단의 엠보싱 방법 및 엠보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단에 엠보 롤러로 엠보싱 무늬를 형성하는 엠보싱 처리방법이 등록 특허 제10 - 0769817호(발명의 명칭: 직물의 포일 및 엠보싱 처리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엠보싱 처리방법은 단순히 가열, 가압에 의하여 원단 표면에 요철무늬를 형성하는 것으로, 세탁 후에는 엠보싱 무늬에 변형이 오게 되거나 평탄면으로 복원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 된다. 특히 면, 실크류의 천연섬유에 엠보싱 무늬를 형성하는 경우에 형성된 골을 따라서 강도가 떨어지는 취화현상이 발생되어 엠보싱 부분이 결국 끊어지는 단점이 있어 천연섬유에 대하여 기존의 방법으로는 엠보싱 무늬를 형성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원단에 엠보싱과 인쇄공정을 동시에 수행하고 원적외선에 의하여 건조시킴으로써 엠보싱 무늬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세탁 후에도 항상 엠보싱 무늬가 발현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 과제는 천연섬유를 엠보싱하고 엠보싱된 무늬가 항상 유지, 발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해결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해결 수단은 피처리물을 변성 디하이드로에르고타민 요소(DihydroErogotamine Urea)가 혼합된 혼합액에 함침하는 함침단계; 엠보 롤러에 의하여 엠보싱 무늬를 상기 피처리물에 형성하는 엠보싱 단계; 원적외선으로 상기 피처리물을 가열하여 고착화시키는 고착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수단은 피처리물이 변성 디하이드로에르고타민 요소(DihydroErogotamine Urea)가 혼합된 혼합액에 함침되는 함침조; 상기 함침조에서 함침된 피처리물의 수분량 중 일부를 건조시키는 반 건조로; 상기 반 건조로에서 건조된 피처리물을 엠보싱시키는 롤러타입의 엠보싱 수단; 상기 엠보싱 수단에서 엠보싱된 피처리물을 원적외선으로 고착화시키는 원적외선 고착로를 포함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상기 해결 과제와 해결 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1) 합성섬유 또는 실크류, 천연섬유에 엠보싱 무늬가 항상 발현될 수 있도록 한다.
(2) 또한, 실크류, 천연섬유에서 엠보싱 무늬를 형성하여도 실이 끊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엠보싱 무늬가 항상 발현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합성섬유 및 면, 실크류 천연섬유의 원단(이하, 피처리물이라 한다)을 인쇄 및 엠보싱 처리를 하기 위해서는 함침액에 함침시킨 후 반건조 시킨다(S1), (S2).
이때 함침액은 변성 디하이드로에르고타민 요소(DihydroErogotamine Urea) 3~25중량%와 물 75~97중량%로 이루어진다. 변성 디하이드로에르고타민 요소가 3 중량% 미만이면 엠보싱 유지가 미흡하게 되고, 25중량%를 초과하면 엠보싱 선에 번짐 현상이 발생 된다.
또한, 피처리물의 표면질감을 높이기 위하여 제1첨가물인 폴리 아미노 변성 실리콘이 첨가될 수 있다. 제1첨가물이 첨가되는 경우에 함침액의 혼합비는 변성 디하이드로에르고타민 요소는 3~25중량%, 폴리 아미노 변성 실리콘 2~5중량%, 물70~95중량%가 바람직하다. 이때 폴리 아미노 변성 실리콘이 2 중량% 미만이면 원단 표면 질감이 떨어지게 되고, 5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피처리물의 특성이 약화 된다.
또한, 피처리물의 질감 특성을 높이기 위하여 제2첨가물이 첨가될 수 있다. 제2첨가물은 글리옥살 레진(Glyoxal Resin), 폴리에틸렌 에멀젼(PolyEthylene Emulsion), 폴리 아미도 실리콘(Poly Amido Silicon), 폴리우레탄 수지(PolyUretan Resin), 유기 금속계 가교제,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수지, 아미도계 수지 중 피처리물 종류에 따라서 하나 또는 두 종류 이상이 선택적으로 혼합된다. 제1첨가물과 제2첨가물이 혼합되는 경우에 변성 디하이드로에르고타민 요소는 3~25중량%, 폴리 아미노 변성 실리콘 2~5중량%, 물60~94.7중량%, 첨가물 0.3 ~ 10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침액이 피처리물에 스프레이로 직접 분사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침액이 들어 있는 함침조(11)에 원단이 통과된 후 압착롤러(12)를 통과하여 함침액이 원단에 골고루 함습되도록 한다(S1).
함침단계(S1) 후에 반건조 단계를 수행한다(S2). 반건조 단계(S2)는 함침액의 수분량 중 85 ~ 95 중량%를 건조시킨다. 85 중량% 미만을 건조시키면 조제 번짐 현상이 발생하고, 95 중량% 이상 건조시키면 경화현상이 발생된다. 반건조 단계(S2)는 피처리물이 복수의 가이드 롤러(14)를 자연풍이 피처리물(1)을 건조시키도록 설계된 반건조 실린더로(13)를 통과하면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반건조된 피처리물(1)은 동판이 부착된 엠보 롤러(15), (16)와 탄성 롤러(17)를 사이를 통과하면서 프린팅 공정과 엠보싱 공정이 함께 이루어진다(S3). 엠보 롤러(15), (16)는 음, 양각 무늬가 형성된 동판이 엠보 롤러(15), (16)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엠보 롤러(15), (16)의 동판에는 잉크가 공급되어 엠보 롤러(15), (16)와 탄성 롤러(17) 사이를 통과하는 피처리물(1)에 엠보싱 무늬를 형성함과 동시에 프린팅을 수행하게 된다. 단색 프린팅일 때에는 하나의 엠보 롤러(15)만 사용되고, 다색 프린팅일 때는 엠보 롤러(16)가 동시에 사용된다.
이때 엠보 롤러(15), (16)는 95~185℃로 가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95℃ 이하로 가열되면 엠보싱 무늬 형상이 미미하게 발현되게 되고, 185℃ 이상이면 탄화현상이 발생되게 된다.
프린팅, 엠보싱 단계 후에 피처리물(1)은 원적외선 고착로(18)에서 건조된 후 자연냉각된다(S4), (S5).
원적외선 고착로(18)는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히터가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히터에 인접되게 피처리물이 통과됨으로써 엠보싱 형상과 프린팅 무늬가 고착화된다.
이때, 원적외선 고착로(18)에 설치되는 히터의 표면온도는 120℃~ 210℃가 바람직하다. 120℃ 미만이면 함침액 조제와 피처리물의 유기적 분자활동이 미약하여 엠보싱 무늬의 발현이 불량하고, 프린팅된 무늬가 고착화되지 않는다. 210℃를 초과하면 조제와 피처리물의 유기적 분자활동이 과다하여 유리현상이 발생하고, 피처리물이 손상된다.
또한, 히터로부터 피처리물은 70 ~ 250mm 범위에서 이격되게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50mm를 초과하면 함침액 조제와 피처리물의 유기적 분자활동이 미약하여 엠보싱 무늬의 발현이 불량하고, 프린팅된 무늬가 고착화되지 않는다. 70mm 미만이면 조제와 피처리물의 유기적 분자활동이 과다하여 유리현상이 발생하고, 피처리물이 손상된다.
또한, 피처리물의 종류에 따라서 피처리물이 원적외선 고착로(18)에서 가열되는 온도범위는 다르게 설정된다. 다음의 표 1은 피처리물의 종류와 적정온도를 나타내는 표이다.

피처리물종류
(두께)
원적외선 고착로내 피처리물 온도
비고
100 ~125℃ 125~165℃ 165~210℃
박직물/편물]
(0.2~1.0mm)
양호 소재별 온도 편차 ± 5℃

중직물/편물
(1.0~1.8mm)
양호
후직물/편물
(1.8mm 이상)
양호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Claims (13)

  1. 피처리물을 변성 디하이드로에르고타민 요소(DihydroErogotamine Urea)가 혼합된 혼합액에 함침하는 함침단계;
    엠보 롤러에 의하여 엠보싱 무늬를 상기 피처리물에 형성하는 엠보싱 단계; 원적외선으로 상기 피처리물을 가열하여 고착화시키는 고착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싱 방법.
  2. 청구항 1에서 상기 엠보싱 단계에서 상기 엠보 롤러에는 잉크가 공급되어 프린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싱 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서, 상기 함침단계와 상기 엠보싱 단계 사이에 상기 피처리물을 반건조시키는 반건조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싱 방법.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서, 상기 혼합액은 변성 디하이드로에르고타민 요소 3~25중량%와 물 75~97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싱 방법.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서, 상기 혼합액은 변성 디하이드로에르고타민 요소는 3~25중량%, 폴리 아미노 변성 실리콘 2~5중량%, 물70~95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싱 방법.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서, 상기 혼합액은 변성 디하이드로에르고타민 요소는 3~25중량%, 폴리 아미노 변성 실리콘 2~5중량%, 물60~94.7중량%, 글리옥살 레진(Glyoxal Resin), 폴리에틸렌 에멀젼(PolyEthylene Emulsion), 폴리 아미도 실리콘(Poly Amido Silicon), 폴리우레탄 수지(PolyUretan Resin), 유기 금속계 가교제,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수지, 아미도계 수지 중 피처리물 종류에 따라서 하나 또는 두 종류 이상이 선택적으로 혼합되는 첨가물 0.3 ~ 10 중량%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싱 방법.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서, 상기 고착화 단계에서 상기 피처리물의 온도는 100 ℃ ~ 2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싱 방법.
  8. 청구항 3에서, 상기 반건조 단계는 피처리물의 수분량 중 85 ~ 95 중량% 수분을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싱 방법.
  9. 피처리물이 변성 디하이드로에르고타민 요소(DihydroErogotamine Urea)가 혼합된 혼합액에 함침되는 함침조;
    상기 함침조에서 함침된 피처리물의 수분량 중 일부를 건조시키는 반 건조로;
    상기 반 건조로에서 건조된 피처리물을 엠보싱시키는 롤러타입의 엠보싱 수단;
    상기 엠보싱 수단에서 엠보싱된 피처리물을 원적외선으로 고착화시키는 원적외선 고착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싱 장치.
  10. 청구항 9에서, 상기 엠보싱 수단은 음 양각 무늬가 형성된 판이 외주면에 설치된 엠보 롤러와 상기 엠보 롤러와 대접되는 탄성롤러로 이루어지며, 상기 엠보 롤러와 상기 탄성롤러 사이를 피처리물이 통과하며 엠보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싱 장치.
  11. 청구항 10에서, 상기 엠보 롤러에 잉크가 공급되어 엠보싱과 프린팅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싱 장치.
  12. 청구항 9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고착로에서 상기 피처리물의 온도는 100 ℃ ~ 2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싱 장치.
  13. 청구항 9에서, 상기 반 건조로에서 피처리물의 수분량 중 85 ~ 95 중량% 가 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싱 장치.
KR1020080062883A 2008-06-30 2008-06-30 엠보싱 방법 및 엠보싱 장치 KR101061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883A KR101061774B1 (ko) 2008-06-30 2008-06-30 엠보싱 방법 및 엠보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883A KR101061774B1 (ko) 2008-06-30 2008-06-30 엠보싱 방법 및 엠보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840A KR20100002840A (ko) 2010-01-07
KR101061774B1 true KR101061774B1 (ko) 2011-09-05

Family

ID=41812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2883A KR101061774B1 (ko) 2008-06-30 2008-06-30 엠보싱 방법 및 엠보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177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929B1 (ko) 2011-07-18 2013-05-29 김선휘 현무암 섬유사를 이용한 현무암 요철직물원단의 제조방법 및 고강도 패널
KR101288847B1 (ko) * 2012-01-02 2013-07-23 (주)하나실업 핸드백지의 표면무늬 형성방법
KR101663142B1 (ko) 2015-04-30 2016-10-07 주식회사 에스컴텍 Z핀을 이용한 적층판재의 체결방법
KR101768023B1 (ko) * 2016-02-25 2017-08-30 최남숙 컬러 엠보 원단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929B1 (ko) 2011-07-18 2013-05-29 김선휘 현무암 섬유사를 이용한 현무암 요철직물원단의 제조방법 및 고강도 패널
KR101288847B1 (ko) * 2012-01-02 2013-07-23 (주)하나실업 핸드백지의 표면무늬 형성방법
KR101663142B1 (ko) 2015-04-30 2016-10-07 주식회사 에스컴텍 Z핀을 이용한 적층판재의 체결방법
KR101768023B1 (ko) * 2016-02-25 2017-08-30 최남숙 컬러 엠보 원단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840A (ko) 201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1774B1 (ko) 엠보싱 방법 및 엠보싱 장치
ES2196146T3 (es) Metodo y aparato para imprimir en relieve selectivamente telas.
CN107574697B (zh) 一种纺织面料打印方法
US20210285154A1 (en) Method facilitating textile preparation for direct-to-garment printing
BR9406831A (pt) Processos para produzir um tecido de lyocell para reduzir a tendência à fibrilação e para reduzir o grau de fibrilação do mesmo
US10214854B2 (en) Method of dyeing knitted fabrics, and fabric and vamp fabric with predetermined color using the same
KR100623071B1 (ko) 원단의 발수가공 방법
CN102285210A (zh) 一种免汽蒸、水洗的活性染料印染转移装置及方法
KR101501941B1 (ko) 속건성 원단가공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속건성 원단
CN202163100U (zh) 一种免汽蒸、水洗的活性染料印染转移装置
WO2015071862A1 (en) Method for treating textile material and corresponding treatment apparatus
CN105332300A (zh) 一种涤纶面料的印花工艺
DE60102952D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handlung von Geweben oder Strickwaren mit Ammoniak
KR102020948B1 (ko) 실크 원단의 형태안정성 향상 가공방법
KR20120088095A (ko) 범포 제조용 수지 코팅방법
KR101144304B1 (ko) 비타민을 함유한 기능성 담요 제조방법
KR20120059282A (ko) 서로 다른 깊이를 갖는 다단 엠보 방오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44300B1 (ko) 온감(溫感)성을 가지는 기능성 담요 제조방법
CN106676905A (zh) 热升华布料转印方法
CN111298284A (zh) 一种印花无纺布电极片的制作方法
KR100655758B1 (ko) 원단의 요철처리 방법 및 그에 의해 요철처리된 원단
KR101112523B1 (ko) 원적외선 염착기
KR102458960B1 (ko) 기능성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CN211256345U (zh) 一种布料拉幅干湿处理一体机
JP6560892B2 (ja) 衣類用布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