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1729B1 -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용 진단 장치 - Google Patents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용 진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1729B1
KR101061729B1 KR1020067012240A KR20067012240A KR101061729B1 KR 101061729 B1 KR101061729 B1 KR 101061729B1 KR 1020067012240 A KR1020067012240 A KR 1020067012240A KR 20067012240 A KR20067012240 A KR 20067012240A KR 101061729 B1 KR101061729 B1 KR 101061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gnostic device
retainer
inner tube
outer tub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2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4553A (ko
Inventor
제세 쿤
미첼레 다칸젤로
페데리코 빌로티
안토니오 론고
Original Assignee
에디컨 엔도-서저리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디컨 엔도-서저리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에디컨 엔도-서저리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04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4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1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1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085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087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1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rectum, e.g. proctoscopes, sigmoidoscopes, colon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2Devices for opening or enlarging the visual field, e.g. of a tube of the body

Abstract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病狀)을 위한 진단 장치(10)로서,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 전개되고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 내로 도입되도록 되어 있는 관형의 세장형 구조체(12, 28)와, 상기 세장형 구조체의 원위 단부와 연관된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벽을 국부적으로 팽창시키는 수단으로서, 진단 장치의 도입을 위한 폐쇄 위치와 병상의 관찰 및 평가를 위한 하나 이상의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는 국부적 팽창 수단과, 상기 세장형 구조체의 근위 단부에 연관된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국부적 팽창 수단에 작동식으로 연결되어 국부적 팽창 수단을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그리고 그 반대로 이동시키는 것인 진단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Figure R1020067012240
진단 장치, 관형의 세장형 구조체, 팽창 수단, 제어 수단

Description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용 진단 장치{A DIAGNOSTIC DEVICE FOR TUBULAR ANATOMICAL STRUCTURES}
본 발명은 예컨대 장관(intestinal tract)과 같은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病狀,pathologies)을 위한 진단 장치이다. 특히, 본 발명은, 예컨대 장 중첩증(intussusception), 협착증, 탈출증 및 직장 탈장과 같은 직장 또는 결장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될 수 있고, 병원이나 클리닉 건물 외에서도 이용될 수 있으며 환자에게 불쾌감을 최소로 하고, 예컨대 진정제의 투여를 피하는, 상술한 병상용 진단 장치의 유효성에 대한 요구는 특히 이 분야에서 절실하다. 또한,점막 탈출증의 존재및 본질의 확인을 허용하게 하는 진단 장치의 유효성에 대한 요구가 특히 절실하다.
가요성 결장경 및 S자 결장경 같은 진단 장치는 상당한 단점을 갖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결장경은 분석을 받는 장관의 벽을 팽창시키기 위하여 공기의 주입에 의해 작업이 행하여 진다. 공기 주입은 환자에게 상당한 불편을 발생시켜 진정제 투여를 호소하는 경우가 흔하다. 또한, 공기 주입은 임의의 가능한 점막 탈출증이 사라져 관찰할수 결과로 인해 직장의 팽창을 유발 하게 된다.
관련 영역을 직접 관찰할 수 있고 또한 큰 치수, 예컨대 2 cm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는 항문경이 또한 알려져 있는데, 도입 중에 고통을 유발하고 괄약근의 이완을 필요로 한다.
환자에게 유발되는 큰 불편 외에, 필요한 장비의 복잡성 및 비용으로 인해, 그러한 장비를 갖춘 건물은 오직 병원이나 클리닉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진단 절차는 그러한 환경에서 수행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핵심 과제는 장관, 특히 결장 또는 직장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 진단 장치는 상술한 요구를 만족시키고 기존 기술을 참조하여 개시된 상술한 단점을 극복하는 등의 구조적 및 작동적 특징을 갖는다.
그러한 과제는 청구항 1의 진단장치에 따라서 해결된다. 종속항들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추가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진단 장치의 추가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으로 나타내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음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비롯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단 장치의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진단 장치의 부분적인 측단면도.
도 3은 도 1의 진단 장치의 다른 작동 위치에서의 측면도.
도 4는 도 1의 진단 장치의 분해 측면도.
도 4a는 도 1의 진단 장치의 상세부의 부분적인 사시도로서, 다른 부분을 강조하기 위해 다수 상세부를 생략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단 장치의 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진단 장치의 종방향 측단면도.
도 7은 도 5의 진단 장치의 부분적인 분해 사시도로서, 다른 부분을 강조하기 위해 다수 상세부를 생략한 사시도.
도 8은 도 5의 진단 장치의 부분적인 측단면도.
도 9는 도5의 진단장치의 부분 측단면을 나타내고, 도 8의 작동위치 와는 다른 작동 위치의 진단 장치의 부분적인 측단면도.
도 10은 도 5의 진단 장치의 상세부의 확대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단 장치의 실시예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진단 장치의 측단면도.
도 13은 도 11의 진단 장치의 상세부의 확대 측단면도.
도 14는 도13의 진단장치의 상세를 도13과는 다른 작동 위치에서의 단면도.
도 15는 다수 상세부를 일점쇄선 으로 나타낸 도 11의 진단 장치의 상세부의 확대 측면도.
도 16은 도 11의 진단 장치의 상세부의 확대 측면도.
도 17은 도 11의 진단 장치의 상세부의 부분적인 확대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진단 장치의 가능한 실시예의 상세부의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상세부의 부분적인 단면 사시도.
도 20은 제1 작동 위치에서 도 18의 상세도의 종방향 측단면도.
도 21은 제2 작동 위치에서 도 18의 상세부의 종방향 측단면도.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예컨대 직장 및 결장의 장관과 같은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단 장치는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전개하고 검사될 해부학적 구조체 내로 도입되기에 적합한 세장형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세장형 구조체의 원위 단부와 관련된 관형 구조체의 벽을 국부적으로 팽창시키는 수단이 제공된다. 팽창 수단은 장치의 도입을 위한 폐쇄 위치와 병상 관찰 및 평가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국부적 팽창 수단은 세장형 구조체의 근위 단부와 관련된 제어 수단에 작동식으로 연결된다. 이들 제어 수단은 팽창 수단을 개폐시키도록 작업자에 의해 작동된다.
또한, 세장형 구조체와 관련되고 팽창 수단에 의해 팽창된 장관에 도달하기에 적합한 가시화(可視化) 수단(visualising means)이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어떠한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듯이, 통상 근위(proximal) 단부란 사용 중에 장치를 유지하고 검사를 수행하는 작업자에 가까운 장치의 부분 또는 단부를 의미하고, 원위(distal) 단부란 사용 중에 검사를 수행하는 작업자에 대해 멀리 떨어진 장치의 부분 또는 단부를 의미한다. 또한, 전진(advancement)이란 용어는 근위 단부에서 원위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예컨대, 도 2의 화살표 F를 따라) 행해지는 이동, 바람직하게는 병진운동을 의미하고, 후퇴(withdrawal)란 용어는 원위 단부에서 근위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예컨대, 도 3의 화살표 F'를 따라) 행해지는 이동, 바람직하게는 병진운동을 의미한다.
이하, 그러한 장치의 몇몇 실시예를, 예컨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a를 참조하면, 참조 번호 10은 가능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항문 관장(trans-anal) 진단 장치를 지시한다.
참조 번호 12는 바람직하게는 형태가 원통형이고 내부가 중공인 내측 관을 지시한다. 내측 관(12)은, 예컨대 반강성 또는 가요성 재료, 예컨대 플라스틱 재료로 될 수 있다.
내측 관(12)은 근위 단부(12a)와 원위 단부(12b) 사이에서 연장된다. 근위 단부(12a)는 예컨대 핸들 형태인 유지체(14)와 작동식으로 관련된다.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근위 단부(12a)에는 유지체(14)의 시트(18) 내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는 고정 페룰(ferrule;16)이 도입된다. 내측 관(12)의 근위 단부에, 고정 페룰(16)에 그리고 유지체(14)에 가능한 관통 구멍(20)이 형성되어 3개의 요소들을 도시되지 않은 적합한 고정 수단에 의해 함께 결합시킬 수 있다.
내측 관의 원위 단부(12b)는 탄성 또는 어떠한 경우에는 내측 관(12)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확장 가능한 아암(22)과 작동식으로 관련된다.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내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22)은 제1 단부가 내측 관(12)의 외벽에 고정되고 제2 단부가 내측 관(12)의 원위 단부(12b)에 대해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내측 관(12)의 외표면은 내측 관(12)의 원위 단부(12b)에서 출발하여, 바람직하게는 종방향의 홈(24)을 갖는다. 각 홈은 아암(22)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아암(22)이 장방형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경우에, 홈(24)은 상술한 아암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수용하도록 유사한 형태 및 크기의 단면을 갖는다.
아암(22)은 폐쇄된 형태(도 3)와 완전하게 개방된 형태(도 2)에 대응하는 적어도 2개의 극단적인 형태를 취하는 것이 적합하다.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아암(22)의 개방 형태에서, 각 아암은 직선 길이(22a)와 곡선 길이(22b)를 갖는다. 직선 길이는, 예컨대 내측 관(12)의 외벽에 고정되기에 적합하다.
내측 관(12)에 대한 아암(22)의 고정은 임의의 수단, 예컨대 접착 또는 용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아암의 곡선 길이는 개방 형태의 아암 자체가 실질적으로 "컵형" 구조체(도 2)의 골격을 규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암(22)의 곡선 길이는 폐쇄 형태의 아암 자체가 만곡된 팁을 갖는 "올리브형(olive-shaped)" 또는 원뿔형 구조체(도 3)의 골격을 규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아암(22)은, 바람직하게는 그 내부에 검출 요소 또는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25)를 갖는다. 예컨대, 모든 아암(22) 또는 몇개의 아암은 직면한 병상의 본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아암 자체의 길이를 따라 분포되는 하나 이상의 마커(25)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서, 도 4a에서 마커(25)는 모든 아암에 제공될 수 있지만 단하나의 아암에만 도시되어 있고, 도시된 것과 다른 개수 및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또는 절곡 가능한 재료로 제조되는 막(26)이 내측 관(12)의 원위 단부(12b) 상에 아암(22)의 외쪽으로 놓여 있다.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막은 투명한 재료로 제조된다.
참조 번호 28은 전반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제1 부분(30)과 제2 부분(32)을 포함하는 외측 관을 지시한다. 장치(10)의 조립된 형태에서, 외측 관(28)은 그 내부에 내측 관(12)을 수용한다. 외측 관(28)을 참조하면, 28a로 지시되는 근위 단부와 28b로 지시되는 원위 단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가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 관(28)은 반강성 또는 가요성 재료, 예컨대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 관(28)은 항문 내측에서 장치의 침투 길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예컨대 외측 관 자체의 길이를 따라 분포되는 하나 이상의 검출 요소 또는 마커(33)를 가질 수 있다.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마커(33)는 관을 횡단하여 배치되고 외측 관 자체의 길이를 따라 분포되는 원형 링의 형태를 갖는다. 도 4에는, 일례로서 몇개의 마커(33)가 도시되어 있지만 도시된 것과 다른 개수 및 형태가 제공될 수 있다.
추가 유지체(34)는 외측 관(28)의 근위 단부(28a)와 작동식으로 관련된다.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 관(28)의 근위 단부(28a) 상에는 추가 유지체(34)의 시트(38) 내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는 고정 페룰(36)이 도입된다. 외측 관(28)의 근위 단부(28a)에, 고정 페룰(36)에 그리고 추가 유지체(34)에 관통 구멍(40)이 형성되어 도시되지 않은 적합한 고정 수단에 의해 3개의 요소들을 함께 결합시킬 수 있다.
유지체(14) 또는 핸들은 추가 유지체(34) 내에 수용되어 장치(10)가 조립될 때에 추가 유지체에 대해 종방향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는 형태를 갖는다.
추가 유지체(34)는, 예컨대 장치(10)의 폐쇄, 개방 및 가능한 중간 위치에 대응하는 유지체(14) 또는 핸들의 2개 이상의 별개의 위치를 식별하는 구조를 갖는다. 예컨대, 도 1 내지 4a에 도시된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추가 유지체(34)는 곡선벽(44)이 내측 관 및 외측 관에 대해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세팅 링(42)을 구비한다.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벽(44)에는 핸들(14)의 슬라이딩을 수용하고 허용 하는 방식으로 불완전한 원주 영역을 형성하도록 연장되는 3개의 원형 리브(46a 46b, 46c)가 형성되어 있다. 일례로서, 개수, 형태 또는 구성이 다른 리브를 갖는 추가 유지체가 형성될 수 있더라도, 참조 번호 46a는 근위 리브를, 46b는 중간 리브를 그리고 46c는 원위 리브를 지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정의를 참조하면, 내측 관과 외측 관은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전개되는 세장형 구조체를 형성한다. 세장형 구조체의 길이는 변할 수 있다. 내측 관과 외측 관을 제조하는 재료의 작용으로서, 세장형 구조체는 반강성 또는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장치(10)의 아암(22)은 세장형 구조체의 원위 단부와 관련된 해부학적 구조체의 벽을 국부적으로 팽창시키는 수단을 규정한다. 제어 수단은 내측 관과 외측 관을 포함하는데, 하나의 관은 다른 관에 대해 내측에서 슬라이드될 수 있고, 제어 수단은 이러한 병진운동을 일으킨다.
이하, 상술한 진단 장치의 실시예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진단 장치(10)는 초기에 폐쇄 위치(도 3)에 있고, 예컨대 핸들(14)이 만일 존재한다면 근위 리브(46a)와 중간 리브(46b)에 배치된다. 외측 관(28)의 원위 단부는 내측 관(12)의 원위 단부와 중첩된다. 따라서, 아암(22)은 대응하는 막(26)과 실질적으로 "올리브형" 형태를 형성하는 밀폐된 또는 변형된 원위 단부를 갖는다.
폐쇄 위치에 있는 장치(10)는 검사를 수행하는 의사 또는 작업자에 의해 환자의 직장/결장, S자 결장/결장으로 항문을 경유하여 도입된다. 장치(10)의 도입 정도는 존재한다면 외측 관(28)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33)를 이용하여 확인될 수 있다. 장치(10)의 도입은 장치 자체, 즉 아암(22)의 원위 팁의 "올리브형" 형태에 의해 도움을 받는다.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장치의 원위 단부는 본 실시예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대상 영역을 점차 확장시키도록 "꽃 모양"으로 개방된다.
핸들(14)은, 예컨대 중간 리브(46b)와 원위 리브(46c) 사이에 놓이도록 장치의 원위 단부를 향해 압박된다. 한편, 추가 유지체(34)는 핸들(14)에 대해 정지 위치로 유지된다. 따라서, 내측 관(12)은 외측 관(28)에 대해 전진시킴으로써 병진 운동하고 그 원위 단부(12a)는 외측 관(28)에 대해 나오기 시작한다. 아암(22)과 대응하는 막(26)의 원위 단부가 외측 관(28)으로부터 나와서 적어도 장치(10)의 중간 개방 위치까지 탄성적으로 자유롭게 확장된다. 바꿔 말하면, 초기에 외측 관(28)에 의해 압축된 위치가 유지되는 아암(22)은 적어도 외측 관의 외부에 있는 부분에 따라 자유롭게 확장하여 막(26)을 확장시킨다. 이 작용에 의해, 결장 및 직장의 벽들의 신장 및 팽창이 얻어진다.
핸들(14)은 중간 개방 위치로 장치 자체를 차단하여 대상 영역의 검사를 허용하도록 장치(10)의 종축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예컨대, 핸들(14)을 회전시킴으로써, 핸들(14)과 내측 관(12)이 추가 유지체(34)와 외측 관(28)에 대해 슬라이드하지 못하는 방식으로 중간 리브(46b)와 원위 리브(46c)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핸들은 핸들 자체를 도입한다.
장치를 완전 개방 위치까지 추가로 개방시키기 위하여, 핸들(14)은 추가 유지체(34)와 외측 관(28)에 대해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재배치된다. 핸들(14)은 예컨대 원위 리브(46c)와 세팅 링(42; 도 2) 사이의 위치, 즉 완전 개방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장치(10)의 원위 단부를 향해 압박된다. 내측 관(12)의 원위 단부(12a)는 외측 관의 원위 단부(28a)로부터 더 멀리 나와서 아암(22)의 원위 단부가 더 많이 자유롭게 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컵형" 형태에 도달할 때까지 아암은 대응하는 막과 함께 외측을 향해 더 멀리 확장할 수 있다. 내측 관의 원위 단부(12a)가 외측 관(28)의 원위 단부(28a)로부터 특정 길이 만큼 나오는 경우에, 내측 관의 자유 길이는 아암(22)의 반응 표면을 형성하지만, 아암은 그 자체를 외측을 향해 연장시킨다.
이 위치에서도, 예컨대 상술한 바와 같이 핸들을 회전시킴으로써 대상 영역의 검사를 가능하게 하도록 핸들(14)을 차단할 수 있다.
장치(10)의 원위 단부를 개방 하기 위해 핸들(14)을 밀고 이에 따라 추가 유지체(34)와 외측 관(28)에 대해 내측 관(12)을 압박하는, 상술한 동작은 추가 유지체(34)를 당기고 이에 따라 외측 관(28)을 작업자를 향해 당김으로써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장치(10)는 내측 관(12) 내로 도입되어 아암(22)의 개방으로 인해 적절하게 확장된 대상 영역을 향할 수 있어, 작업자(의사)가 다양한 병상의 존재 및 범위를 검사할 수 있게 하는 관찰 장비(예컨대, 복강경)와 연동하여 사용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내측 관(12)은 대상 영역을 관찰하기 위한 조명 및 광학 요소를 통과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장치(10)는 전문 의료 종사자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결장경 및 주입 장치가 제공된 장치와 연동될 수 있다.
장치(10)의 원위 단부를 점진적으로 선택 확장시킴으로써, 예컨대 환자가 배변 과정을 흉내내는 동안 점막에 의한 반응을 검사할 수 있다.
본 장치는 다양한 병상, 특히 장 중첩증, 협착증, 탈출증, 직장 탈장의 진단을 가능하게 한다. 결함의 위치 및 치수를 장치(10)와 그 아암(22) 상에 배치된 마커를 이용하여 정량화할 수 있다.
장치(10)는 이 장치의 개폐 중에 전후로 추가 이동될 수 있어 조직의 다양한 섹션을 분석할 수 있고 탈출증의 위치를 진단할 수 있다.
장치(10)의 원위 단부의 폐쇄는 상술한 것과 유사하게 발생하고, 장치의 개방 중에 수행되는 것과 대조적인 작업이라는 것이 명백하다. 외측 관(28)에 대한 내측 관(12)의 후퇴(도 3의 화살표 F') 중에, 외측 관은 폐쇄된 형태에 도달할 때까지 아암(22)을 다시 접어 점차 밀폐시킨다.
상술로 부터, 본 발명에 따른 진단 장치의 관찰이 어떻게 결장-직장관 등의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 진단에 유용한 저가의 장치를 이용할 수 있는 지를 알 수 있다. 예컨대, 창자 폐쇄증, 장 중첩증, 협착증, 탈출증 및 직장 탈장 등의 병상을 식별하고 평가할 수 있다.
직장 탈출증의 진단 및 정량화를 수행하는 능력은 특히 공지의 장치, 특히 결장경이 그러한 병상 진단을 할 수 없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사실상, 결장경은 직장 팽창을 유발하여 점막 탈출증을 사라지게 하는 공기의 주입을 필요로 한다.
상술한 것 외에, 본 발명에 따른 진단 장치는 환자의 불편을 저감시키고 진정제의 투여 없이도 이용될 수 있어, 공지의 장치에 비해 도입이 훨씬 더 쉽고 공기의 주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진단 장치의 추가 이점은 자체 수용 크기와 관련이 있어, 자체수용 크기보다 비교적 큰 치수를 갖는 점에서 고통 스럽고 괄약근의 이완을 필요로 하는 직접 관찰 항문경의 단점을 제거한다.
상술한 바 외에, 본 발명에 따른 진단 장치는 외래 환자 거처에서 또는 어떤 경우에는 환자 또는 클리닉 환경 외에서도 사용될 수 있어, 간단할 구조로서 사용이 쉽고 저렴하며 진정제의 투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특히, 폐쇄 위치에서의 삽입 및 개방 위치에서의 이용 중에 외상성이 아닌 팁 또는 헤드 또는 원위 단부의 제공이 특히 유리하다.
또한, 조직이 늘어나거나 장치의 조오(jaw)에서 붙잡힐 수 있는 위험이 저감되거나 심지어는 제거된다.
내측 관과 외측 관을 제조할 수 있는 다양한 재료는 또한 특히 구불창자 결장까지 쉽게 도입되도록 되어 있는 비교적 가요성의 세장형 구조체를 달성하게 한다.
외측 관 및 아암 상에서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의 사용은 각각 장치의 도입 깊이를 정량화하고 탈출증을 정량화한다.
장치의 폐쇄 위치에서의 형태는 장치 자체의 내부로 이질적인 요소가 도입될 수 있는 우려를 제한한다.
완전 개방 위치에 도달한 형태는 특히 조임근으로부터의 반응을 개시하는 데에 유리하다. 또한, 아암(22)의 형태는 장치의 원위 단부에서 최대 반경 방향 개구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명 및 예시한 것에 변경 및/또는 추가를 고려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상술한 실시예를 참조하면, 어떻게 도면에 나타내는지에 대한 대안으로서, 추가 유지체(34)가 장치의 개방 정도의 규정에 대응하는 영역을 형성하지 않고 세팅 링(42)에 의해서만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예시된 것과 개수가 다른 리브가 하나 이상의 예정된 위치를 규정하도록 고려될 수도 있다.
장치가 폐쇄된 위치에 있거나 예시된 것과 다른 방식으로 돌출될 때에, 아암(22)은 외측 관(28) 내에 완벽하게 배치될 수 있다. 더욱이, 내측 관(12)은 장치가 완전히 개방된 위치에서도 외측 관(28) 내에 유지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내측 관(12)에 대한 아암(22) 또는 막(26)의 고정은 본질이 다양할 수 있고, 예컨대 홈(24)을 고려하지 않거나, 홈을 예시된 것과 다른 형태로 고려할 수 있다.
외측 관은 예시된 것과 같은 2 부품이 아니라 단일 부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측 관(12)과 핸들(14)[그리고 가능하게는 고정 페룰(16)] 사이의 고정 또는 외측 관(28)과 추가 유지체(34)[그리고 가능하게는 고정 페룰(36)] 사이의 고정은 본질이 다양하고 심지어는 예시된 것과 다를 수 있다.
내측 관 및 외측 관 양자의 형태는 설명 및 예시된 것에 대해 변경될 수 있다.
제조되는 재료의 고유 특성으로 인해 탄성 또는 어떠한 경우에는 확장 가능한 아암(22)은 또한 외측 관(28)에 대해 내측 관(12)의 다른 타입의 병진운동 제어와 관련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진단 장치의 추가 실시예를 참조하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것과 유사한 회전 제어 또는 기어식 제어를 이용할 수 있다.
유사하게, 외측 관(28)에 대한 내측 관(12)의 병진운동을 위한 핸들에 의한 제어는 여러 실시예,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진단 장치의 추가 실시예를 참조하는 하기에서 설명되는 것과 유사한 강성 또는 탄성 화형부(花形部)를 갖는 원위단부의 실시예에 이용될 수도 있다.
도 5 내지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진단 장치의 가능한 추가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시를 간소화하기 위하여, 도 5 내지 10에 도시된 진단 장치는 전체적으로 참조 번호 100으로 지시된다.
참조 번호 102는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형태이고 내측이 중공인 내측 관을 지시한다. 내측 관(102)은 예컨대 반강성 또는 가요성 재료, 예컨대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다.
내측 관(102)은 근위 단부(102a)와 원위 단부(102b) 사이에서 연장된다.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내측 관(102)의 외표면의 일부는 근위 단부(102a)에 가까운 나사식 길이부(104)를 갖는다.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내측 관(102)의 외표면의 일부는 원위 단부(102b)에 가까운 원형 홈(106)을 갖는다.
내측 관(102)을 규정하는 벽은 또한 내측 관 자체의 종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108)을 갖는다. 도시된 예에서는, 내측 관(102)의 종축에 평행한 긴 측면에 2개의 직경 방향 대향 장방형 구멍(108)이 형성된다. 구멍(108)은 나사식 길이부(104)와 원위 단부(102b) 사이에 구성되는 내측 관(102)의 근위 섹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 관(102)의 근위 섹션은 예컨대 노브 형태인 유지체(110)와 작동식으로 연관된다.
노브(110)는 서로 연관되는 제1 부분(112)과 제2 부분(114)을 구비하는데, 제2 부분(114)은 제1 부분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도 6, 8, 9의 화살표 F'').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부분(114)은 제1 부분(112)의 원형 시트(118) 내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는 플랜지(116)를 구비한다.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부분(112)은 내측 관(102)에서 서로 고정되도록 되어 있는 2개의 반외피로 이루어진다.
참조 번호 120은 제1 부분(112)의 내벽에 형성되어 유지체(110)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핀(fin)을 지시한다. 핀(120)은 내측의 길이부에 대해 종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하도록 유지하는 내측 관(102)의 대응 구멍(108) 내에 도입되도록 되어 있다. 2개의 구멍(108)이 형성되는 경우에, 유사하게 각 구멍 내로 각각 도입되도록 되어 있는 2개의 핀(120)이 형성된다. 유지체(110)의 제1 부분(112)이 2개의 반외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각 반외피는 핀(120)을 구비하는 것이 유리하다.
제2 부분(114)은 내측관(102) 및 유지체(110)의 종방향 전개에 대해 횡방향으로 제2 부분 자체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피봇(122)을 구비한다. 제2 부분(114)의 직경 방향 대향 영역에 배치되는 2개의 피봇(12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피봇(122)은 제2 부분 자체의 내측에서 돌출하도록 제2 부분(114) 상의 시트(124) 내로 도입된다. 제2 부분(114)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피봇(122)의 단부는 내측 관(102)의 나사식 길이부(104)와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참조 번호 126은 내측 관 자체의 원위 단부의 레벨에서 내측 관(102) 위에 그 자체를 위치 결정하도록 되어 있는 외측 관을 지시한다. 또한, 외측 관(126)을 참조하면, 126a에 의해 지시된 근위 단부와 126b에 의해 지시된 원위 단부를 식별할 수 있다.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 관(126)은, 예컨대 반강성 또는 가요성 재료, 예컨대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다.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 관(126)은, 예컨대 항문 내측에 기구 의 침투 길이를 정량화하도록 외측 관 자체의 길이를 따라 분포되는 하나 이상의 검출 요소 또는 마커(128)를 가질 수 있다.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마커(128)는 외측 관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그 길이를 따라 분포되는 링 형태이다. 일례로서, 도 6 및 7에는 몇개의 마커가 도시되어 있지만, 마커는 예시된 것과 다른 형태, 개수 및 배치로 제공될 수 있다.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 관(126)의 근위 단부(126a)는 유지체(110) 내에, 특히 제1 부분(112) 내에 형성된 원형 시트(132) 내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는 플랜지(130)를 갖는다.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 관(126)은 외측 관 자체의 원위 단부(126b)에 근접하게 배치된 한 원주를 따라 분포되는 구멍(134)을 갖는다. 각 구멍(134)은, 예컨대 구멍(134)의 근위 에지로부터 그 원위 에지를 향해 연장되는 하나의 노치(136)를 갖는다.
내측관(102)과 외측 관(126)의 원위 단부는 장치(100)에 대해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한 화형부(138)와 작동식으로 연관된다.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화형부(138)는 제1단부가 내측관과 외측관의 원위 단부와 연관되고 제2 단부가 제1 단부에 대해 돌출 하도록 배치된다.
화형부(138)는 폐쇄 형태와 완전 개방 형태에 대응하는 적어도 2개의 극단적인 형태를 취하도록 되어 있다.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화형부(138)는 곡선 표면(142)으로 넓어지는 아암(140)을 구비한다. 아암(140)은 아암의 전개에 대해 거의 90°만큼 접히고 구멍(146)이 형성되는 단부(144)를 갖는다.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곡선 표면(142)은 아암(140)에 대해 비대칭 형태를 가지며, 장치(100)의 종방향 전개에 대해 횡방향으로 측면 연장부(148)를 갖는다.
아암(140)의 단부(144)는 내측 관(102)의 원형 홈(106) 내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아암(140)은 외측 관(126)의 구멍(134) 중 하나 내로 도입되도록 되어 있고, 노치(136)는 아암(140)의 구멍(146) 내로 도입된다.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화형부(138)는 바람직하게는 그 내부에 검출 요소 또는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150)를 갖는다. 예컨대, 모든 화형부(138) 또는 화형부 중 몇개는 직면하는 병상의 본질을 측정하도록 화형부 자체의 길이를 따라 분포되는 하나 이상의 마커(150)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마커(150)는 화형부 중 하나에 도시되어 있지만, 모든 화형부 또는 몇개의 화형부에만 제공될 수도 있다. 더욱이, 일례로서, 마커는 화형부의 전개에 대해 횡단하는 라인으로서 도시되고 화형부 자체의 길이를 따라 분포되어 있지만, 일례로서 도시된 것과 다른 개수, 형태 및 배치로 제공될 수도 있다.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 또는 절곡 가능한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한 막(152)은 외측 관(126)의 원위 단부(126b) 위에 화형부(138)의 외측에 위치된다.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막은 투명한 재료로 제조된다.
장치(100)의 조립 및 폐쇄된 형태에 있어서, 화형부(138)는 서로 겹치고, 특히 화형부의 연장부(148)는 바로 인접한 화형부의 곡선 표면(142)에 대해 외측에 위치된다.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의 원위 단부에서 약간 돌출할 때까지 내측 관(102) 내로 도입 요소(154)가 도입될 수 있다. 도입 요소(154)의 원위 단부는 원뿔 형태를 갖거나 어떠한 경우에는 환자의 불편을 제한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정의를 참조하면, 내측 관과 외측 관은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전개하는 세장형 구조체를 규정한다. 세장형 구조체의 길이는 변할 수 있다. 내측 관과 외측 관을 제조하는 재료의 함수로서, 세장형 구조체는 반강성 또는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화형부(138)는 세장형 구조체의 원위 단부와 연관된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벽을 국부적으로 팽창시키는 수단을 규정한다. 제어 수단은 서로 슬라이드될 수 있고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측에 있는 내측 관과 외측 관, 및 이 병진운동을 유발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상술한 진단 장치의 실시예의 사용 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상술한 실시예와 유사하다. 바꿔 말하면, 내측 관과 외측 관의 상대 병진운동은 장치의 원위 단부의 형태를 폐쇄 형태(도 8)에서 완전 개방 형태(도 9)로 및 그 반대로 점차 변화시킨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내측 관과 외측 관 사이의 상대 병진운동은 작업자가 제1 부분(112)을 견고하게 유지하면서 유지체(110)의 제2 부분(114)을 제1 부분(112)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제2 부분(114)의 회전 중에, 내측 관의 나사식 길이부(104) 내에 맞물리는 피봇(122)은 제1 부분(114)의 회전 방향(도 6, 8, 9의 화살표 F'')의 함수로서 전진 또는 후퇴(도 6, 8, 9의 화살표 F 및 F')로 외측 관에 대한 내측 관을 병진운동 시킨다. 내측 관(102)의 회전은 유지체(110)의 핀(120)과 내측 관(102)의 구멍(108) 사이의 결합에 의해 방해된다. 대신에, 핀(120)에 비해 구멍(108)의 종방향 연장이 더 크면 유지체(110)와 외측 관(126)에 대해 내측 관(102)의 병진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외측 관(126)과 내측 관(102) 사이의 상대적인 병진운동은 노치(136)에 의해 구성되는 지점 둘레에서 화형부(138)의 회전을 유발한다. 바꿔 말하면, 화형부를 개방하기 위하여 내측 관을 전진시키면, 화형부(138)의 단부(144)는 내측 관(102)의 원형 홈(106)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전방으로 취출되고, 그 결과 화형부는 각 노치(136) 둘레에서 회전한다(도 9의 화살표 F''').
유사하게, 외측 관(126)에 대한 내측 관(102)의 후퇴는 화형부(138)의 단부 섹션(144)을 취출하여 각 노치(136) 둘레에서 그 회전을 유발한다(도 8의 화살표 F'''').
검출 요소(156)는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형태를 규정하도록 제1 부분(112)과 제2 부분(114)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적용 형태와 도입 및 관찰 방법론은 예시된 제1 실시예(도 1 내지 4a)에 설명된 것과 유사하다. 도입 요소(154)의 용도가 고려되는 경우에, 도입 요소는 위치 결정 뒤에 진단 장치(100)로부터 취출되어 관찰 수단의 통과를 가능하게 한다.
상술한 이점은 또한 상술한 추가 실시예에도 또한 유효하다. 더욱이, 결장/직장의 벽을 신장시켜 넓히기 위하여 회전되도록 되어 있는 강성 화형부의 존재는 장치의 작동성이 아암(22)에 사용된 재료의 탄성과 무관하게 해준다.
상기 설명 및 도시된 것에 변경 및/또는 추가를 고려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내측 관(102)의 구멍(108) 또는 화형부(138)의 구멍(146)은 또한 예시된 바와 같이 재료의 전체 두께를 통과하지 않을 수도 있다.
나사식 길이부(104)와 제2 부분(114) 사이의 결합은 예시된 피봇(122) 이외의 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화형부(138) 및 내측 관과 외측 관의 원위 단부에 대한 그 결합은 또한 내측 관과 외측 관 사이의 상대적인 병진운동을 위한 제어 수단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예컨대, 예시된 제1 실시예(도 1 내지 4)와 유사한 수단 또는 이어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유사한 수단이 고려될 수 있다.
유사하게, 상술한 바와 같이 내측 관과 외측 관 사이의 상대적인 병진운동을 제어하는 수단은 장치의 원위 단부를 확대시키는 다른 수단과 연동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실시예(도 1 내지 4)에 설명된 것과 유사한 아암 또는 진단 장치의 추가 실시예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되는 것과 유사한 화형부가 고려될 수 있다.
도 11 내지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단 장치의 가능한 추가 실시예가 예시되어 있다. 도시를 간소화하기 위하여, 도 11 내지 17에 예시된 진단 장치는 전체적으로 참조 번호 200에 의해 지시되어 있다.
참조 번호 202는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형태이고 내부가 중공인 내측 관을 지시한다. 내측 관(202)은, 예컨대 반강성 또는 가요성 재료, 예컨대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다.
내측 관(202)은 근위 단부(202a)와 원위 단부(202b) 사이에서 연장된다. 한 가지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내측 관(102)의 외표면의 일부는 근위 단부(202a)에 근접한 홈형 근위 길이부(204) 또는 나사식 길이부를 갖는다.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내측 관(202)의 외표면의 일부는 원위 단부(202b)에 근접한 홈형 원위 길이부(206) 또는 나사식 길이부를 갖는다.
내측 관(202)의 근위 부분은, 예컨대 피스톨 형태인 유지체(208)와 작동식으로 연관된다.
피스톨(208)은 트리거(212)를 수용하는, 예컨대 2개의 반외피로 형성되는 지지 구조체(210)를 구비한다. 트리거는 지지 구조체(210)에 리벳 결합되어 스프링 수단(214), 예컨대 나선형 스프링에 의해 장치(200)의 폐쇄 위치에 대응하는 휴지 위치로 유지된다. 트리거(212)는 내측 관(202)의 홈형 길이부(204)에 결합하도록 되어 있는 치형 영역(216)을 구비한다.
참조 번호 218은 내측 관 자체의 원위 단부의 레벨에서 내측 관(202) 위에 위치시키도록 되어 있는 외측 관을 지시한다. 또한, 외측 관(218)을 참조하면, 참조 번호 218a에 의해 지시되는 하나의 근위 단부와 참조 번호 218b에 의해 지시되는 하나의 원위 단부를 식별할 수 있다.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 관(218)은 반강성 또는 가요성 재료, 예컨대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다.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 관(218)은, 예컨대 외측 관 자체의 길이를 따라 분포되어 항문 내측에서 장치의 침투 길이를 정량화하는 하나 이상의 검출 요소 또는 마커(220)를 가질 수 있다. 도면에는, 일례로서 관의 종방향 전개에 대해 횡단하는 링 형태를 갖고 그 길이를 따라 분포되는 마커가 도시되어 있지만, 마커는 예시된 것과 다른 개수, 형태 및 배치로 제공될 수 있다.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 관(218)의 근위 단부(218a)는 유지체(208), 특히 지지 구조체(210) 내에 형성된 원형 시트(224) 내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는 플랜지(222)를 갖는다.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 관(218)은, 예컨대 원위 단부(218b)의 주변을 따라 종방향으로 분포된 구멍(226; 도16)을 갖는다.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구멍(226)에 관련되는 외측 관(218)의 원위 단부는 절두 원뿔형이고, 큰 직경이 외측 관(218)의 원위 단부(218b)에 배치된다.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구멍(226)에 대향하는 에지의 레벨에 형성되는 시트(228; 도 16)가 고려된다.
내측 관(202)과 외측 관(218)의 원위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장치(200)에 대해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화형부(230)와 작동식으로 연관된다.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화형부(230)는 제1 단부가 내측 관 및 외측 관의 원위 단부와 연관되고 제2 단부가 제1 단부에 대해 돌출 되도록 배치된다.
화형부(230)는 폐쇄 형태(도 13)와 개방 형태(도 14)에 대응하는 적어도 2개의 극단적인 형태를 취하도록 되어 있다.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화형부(230)는 곡선 표면(234)으로 넓어지는 아암(232)을 구비한다.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화형부의 곡선 표면은 장치 자체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 서로 상호 겹치지 않도록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아암(232)은 치형 영역(238; 도 15)을 구비하는 단부 위치(236)를 갖는다.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화형부(230)의 단부(236) 레벨에서, 화형부 자체의 양 측면에서 아암(232)을 향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피봇(240)이 고려된다.
아암(232)의 단부(236)는 바람직하게는 피봇(240)이 각 시트(228) 내에 수용되도록 외측 관(218)의 구멍(226) 내에 수용되게 되어 있다. 또한, 치형 영역(238)이 내측 관(202)의 홈형 원위 길이부(204)와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화형부(230)는 바람직하게는 그 내부에 식별 요소 또는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244)를 갖는다. 예컨대, 모든 화형부(230) 또는 몇개의 화형부가 직면하는 병상의 본질을 측정하도록 화형부 자체의 길이를 따라 분포되는 하나 이상의 마커(244)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마커(244)는 화형부에 단지 하나가 도시되어 있고 화형부의 전개에 대해 횡단하는 라인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화형부 자체의 길이를 따라 분포되어 있다. 모든 화형부 또는 몇개의 화형부에 배치된 마커 또는 도시된 것과 다른 형태, 개수 또는 배치로 이루어진 마커가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탄성 또는 절곡 가능한 재료로 제조된 막(246)은 외측 관(218)의 원위 단부(218b) 위에서 화형부(230)의 외측에 위치되어, 원위 단부를 "컵" 형태로 하고 개방 형태로 할수 있다.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막은 투명한 재료로 제조된다.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의 원위 단부로부터 약간 돌출할 때까지 도입 요소(도시 생략)가 내측 관(202) 내로 도입될 수 있다. 도입 요소의 원위 단부는 원뿔 형태이지만 환자의 불편을 제한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정의를 참조하면, 내측 관과 외측 관은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전개하는 세장형 구조체를 규정한다. 세장형 구조체의 길이는 변할 수 있다. 내측 관과 외측 관을 제조하는 재료의 함수로서, 세장형 구조체는 반강성 또는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화형부(230)는 세장형 구조체의 원위 단부와 연관된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벽을 국부적으로 팽창시키는 수단을 규정한다. 제어 수단은 서로 슬라이드될 수 있고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측에 있는 내측 관과 외측 관, 및 병진운동을 유발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상술한 진단 장치의 실시예의 사용 형태를 이하에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상술한 실시예와 유사하다. 바꿔 말하면, 내측 관과 외측 관의 상대적인 병진운동은 장치의 원위 단부의 형태를 폐쇄 형태(도 13)에서 완전 개방 형태(도 14)로 및 그 반대로 점차 변화시킨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내측 관과 외측 관 사이의 상대적인 병진운동은 내측 관(202)의 홈형 길이부(204)와 결합하는 트리거(212)를 회전시킴으로써 달성된다. 트리거의 회전 방향의 함수로서, 외측 관에 대한 내측 관의 전진 또는 후퇴(화살표 F 또는 F') 및 화형부(230)의 개폐가 각각 달성된다.
외측 관과 내측 관 사이의 상대적인 병진운동은 화형부(230)의 치형 영역(238)과 홈형 원위 길이부(206) 사이의 결합에 의해 야기되는, 피봇(240) 둘레의 화형부(230) 회전을 유발한다. 바꿔 말하면, 화형부를 개방시키도록 내측 관을 전 진시킴으로써, 화형부(230)의 단부 섹션(236), 특히 치형 영역(238)이 내측 관(202)의 추가 홈형 길이부(206)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그 결과 화형부가 각 피봇(240) 둘레에서 회전된다(F''').
유사하게, 트리거(212)를 해제시킴으로써, 트리거는 외측 관(218)에 대해 내측 관(202)의 후퇴를 유발하는 스프링 수단(214)에 의해 귀환된다. 그러한 상대적인 병진운동은 각 피봇(240) 둘레에서의 회전을 유발하는 화형부(230)의 치형 영역(238)의 회전을 유발한다(F'''').
적용형태와 도입 및 관찰 방법론은 이미 예시 및 설명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설명된 것과 유사하다. 도입 요소의 용도가 고려된 경우에, 도입 요소는 위치 결정 뒤에 진단 장치(200)로부터 취출되어 관찰 수단의 통과를 가능하게 한다.
상술한 이점은 또한 상술한 추가 실시예에도 또한 유효하다. 더욱이, 결장/직장의 벽을 신장시켜 넓히기 위하여 회전되도록 되어 있는 강성 화형부의 존재는 장치의 작동성이 아암(22)을 위해 사용된 재료의 탄성과 무관하게 해준다.
상기 설명 및 도시된 것에 변경 및/또는 추가를 고려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화형부(230)는, 예컨대 제2 실시예(도 5 내지 11)의 화형부(138)와 유사할 수 있다. 특히, 곡선 표면(234)은 아암(232)으로 부터 연장하고, 아암 자체에 대해 비대칭 형태를 가져서, 장치(200)의 종방향 전개에 대해 횡방향으로 측면 연장부(242)를 갖는다. 장치(200)의 조립 및 폐쇄 형태에서, 화형부(230)는 서로 겹치고, 특히 각 화형부의 연장부(242)는 바로 인접한 화형부의 곡선 표면(234)의 외측에 배치된다. 그 결과, 장치의 조립 및 개방 형태에서, 화형부 자체는 원위 단부의 "컵형" 형태를 규정한다.
상술한 화형부(230) 및 내측 관과 외측 관의 원위 단부에 대한 그 결합은 또한 내측 관과 외측 관 사이의 상대적인 병진운동을 위한 다른 제어 수단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예컨대, 예시된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와 유사한 수단이 고려될 수 있다.
유사하게, 상술한 바와 같이 내측 관과 외측 관 사이의 상대적인 병진운동을 제어하는 수단은 장치의 원위 단부를 확대시키는 다른 수단과 연동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실시예(도 1 내지 4a)에 설명된 것과 유사한 아암 또는 제2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한 화형부가 고려될 수 있다.
도 18 내지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단 장치의 원위단부의 가능한 추가 실시예가 예시되어 있다. 도시를 간소화하기 위하여, 도 18 내지 21에 예시된 진단 장치는 전체적으로 참조 번호 300으로 지시되어 있다.
참조 번호 302는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형태이고 내부가 중공인 내측 관을 지시한다. 내측 관(202)은, 예컨대 반강성 또는 가요성 재료, 예컨대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내측 관(302)은 근위 단부(도시 생략)와 원위 단부(302b) 사이에서 연장된다.
참조 번호 304는 내측 관의 적어도 하나의 원위 단부에서 내측 관(302) 상에 배치되기에 적절한 외측 관을 지시한다. 또한, 외측 관(304)을 참조하면, 참조 번호가 지시되지 않은 근위 단부와 304b에 의해 지시되는 원위 단부를 식별할 수 있다.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 관(304)은 반강성 또는 가요성 재료, 예컨대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다.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 관(304)은, 예컨대 외측 관 자체의 길이를 따라 분포되어 항문 내측에서 장치의 침투 길이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검출 요소 또는 마커(306)를 가질 수 있다.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마커(306)는 외측 관에 횡단 배치되고 그 길이을 따라 분포되는 원형 링의 형태를 갖는다. 그러나, 마커(306)는 예시된 것과 다른 형태, 개수 및 배치로 제공될 수 있다.
내측 관(302)과 외측 관(304)의 원위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장치(300)에 대해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화형부(308)와 작동식으로 연관된다.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화형부(308)는 제1 단부가 내측 관 및 외측 관의 원위 단부와 연관되고 제2 단부가 제1 단부에 대해 돌출 되도록 배치된다. 특히, 화형부(308)는 외측 관(304)과 단일 부품으로 형성 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외측 관(304)은 화형부(308)를 형성하도록 연장된다.
화형부(230)는 폐쇄 형태와 완전 개방 형태에 대응하는 적어도 2개의 극단적인 형태를 취하도록 되어 있다.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 화형부(308)는 외측 관과 화형부에 대한 내측 관의 병진운동에 이어서 화형부를 개폐하도록 되어 있는 단향성 가이드를 형성하는 내측 관(302)의 일부와 결합한다.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 화형부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리브(310)를 구비하고, 내측 관(302)은 화형부의 각 리브(310)와 결합하도록 되어 있는 개구(314)가 마련된 원위 플랜지(312)를 구비한다. 바꿔 말하면, 화형부(308)와 내측 관(302)은 내측 관과 화형부 사이의 상대적인 병진운동에 대응하는 자유도만을 남겨두도록 되어 있는 제약을 규정하는 형상 결합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브(310)는 T형 단면을 갖고, 개구(314)는 각 리브(310)의 단면과 결합하기에 적합한 C형 단면을 갖는다.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화형부(308)는 바람직하게는 그 내부에 검출 요소 또는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316)를 갖는다. 예컨대, 모든 화형부(308) 또는 몇개의 화형부는 직면하는 병상의 본질을 측정하도록 화형부 자체의 길이를 따라 분포되는 하나 이상의 마커(316)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서, 도 18에는 단하나의 화형부(308)에 여러 개의 마커(316)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마커(316)는 모든 화형부에 또는 단 몇개의 화형부에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마커(316)는 화형부의 전개에 대해 횡단하는 라인으로서 도시되고 화형부의 길이를 따라 분포되어 있지만, 화형부는 도시된 것과 다른 개수 및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 또는 절곡 가능한 재료로 제조된 막(도시 생략)은 외측 관(304)의 원위 단부 위에서 화형부(308)의 외측에 위치되어, 원위 단부를 "컵" 형태로 하고 개방 형태로 할수있다.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막은 투명한 재료로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규정을 참조하면, 내측 관과 외측 관은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전개되는 세장형 구조체를 규정한다. 세장형 구조체의 길이는 변할 수 있다. 내측 관과 외측 관을 제조하는 재료의 함수로서, 세장형 구조체는 반강성 또는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화형부(308)는 세장형 구조체의 원위 단부와 연관된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벽을 국부적으로 팽창시키는 수단을 규정한다. 제어 수단은 서로 슬라이드될 수 있고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측에 있는 내측 관과 외측 관, 및 이 상대적인 병진운동을 유발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상술한 진단 장치의 실시예를 이용하는 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이 방법은 상술한 실시예와 유사하다. 바꿔 말하면, 내측 관과 외측 관의 상대적인 병진운동은 장치의 원위 단부의 형태를 폐쇄 형태에서 완전 개방 형태로 및 그 반대로 점차 변화시킨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내측 관과 외측 관 사이의 상대적인 병진운동은 임의의 수단에 의해, 예컨대 상술한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된 수단을 이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외측 관과 내측 관 사이의 상대적인 병진운동은 원위 플랜지(312)가 리브(310)를 따라 화형부에 대해 슬라이드되게 한다. 화형부는 내측 관의 운동을 추종하도록 탄성 재료 등으로 제조된다. 특히, 내측 관과 화형부 사이의 제약은 내측 관이 외측 관 또는 화형부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하는 동안 화형부들이 서로 접근하여 폐쇄되게 하고, 유사하게 내측 관이 외측 관 또는 화형부에 대해 후방으로 이동하는 동안 화형부들이 떨어져 이동하여 개방되게 한다.
도입 및 시각화를 위한 적용형태 및 방법은 이전 실시예들의 상술된 것과 유사하다. 상술한 이점은 또한 상술한 추가 실시예에서 발견된다.
설명 및 예시된 것에 변경 및/또는 추가가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화형부의 형태는 다를수 있으며, 예컨대 제2 실시예(도 5 내지 11)의 화형부(138)와 유사 할수도 있다. 더욱이, 화형부와 내측 관 사이의 결합은 다른 형태, 예컨대 제비 꼬리 모양으로 될 수 있거나, 다른 형태 결합이 내측 관과 화형부가 서로에 대해 병진운동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화형부는 외측 관과 단일 부품으로서 형성되지 않고, 내측 관이 전후로 이동되는 동안에 개폐되도록 외측 관의 원위 단부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상술한 화형부(308)와, 내측 관 및 외측 관의 원위 단부와의 결합에는 또한 내측 관과 외측 관 사이의 상대적인 병진운동을 위한 다른 명령 또는 제어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된 다른 실시예들과 유사한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도시 및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관형 구조체의 벽을 국부적으로 팽창시키는 수단의 형태를 변화시키도록 되어 있는 다른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관형 구조체의 벽을 국부적으로 팽창시키는 수단의 형태를 변화시키도록 내측 관 및 외측 관과는 다른 수단이 상대적으로 병진운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진단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불확정및 특정 요건을 만족시키려고 하는 당업자라면,이하의 청구범위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수의 수정, 변경 및 기능이 등가인 것과의 대체를 수행할 수 있다.

Claims (58)

  1.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病狀)을 위한 진단 장치(10, 100, 200, 300)로서,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 전개되고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 내로 도입되도록 되어 있는 관형의 세장형 구조체(12, 28; 102, 126; 202, 218; 302, 304)와;
    상기 세장형 구조체의 원위 단부와 연관된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벽을 국부적으로 팽창시키는 수단과;
    상기 세장형 구조체의 근위 단부에 연관된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국부적 팽창수단은 진단 장치의 도입을 위한 폐쇄 위치와 병상의 관찰 및 평가를 위한 하나 이상의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국부적 팽창 수단에 작동식으로 연결되어 국부적 팽창 수단을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그리고 그 반대로 이동시키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의 세장형 구조체와 연관되어 상기 팽창 수단에 의해 팽창된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관(tract)에 도달하도록 되어 있는 관찰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의 세장형 구조체는 관찰 수단을 수용하도록 내부가 중공인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적 팽창 수단은 제1 단부가 관형의 세장형 구조체의 원위 단부에 연관되도록 배치된 화형부(花形部)(petals)들을 구비하고, 상기 화형부는 하나 이상의 폐쇄 형태와 하나의 개방 형태를 취하도록 되어 있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진단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형부는 곡선 표면(142; 234)으로 넓어지는 아암(140; 232)을 구비하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 표면(142; 234)은 각각의 아암(140; 232)에 대해 비대칭 형태를 갖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 표면(142; 234)은 적어도 화형부의 폐쇄 형태에서 인접한 화형부와 겹치기 위한 측면 연장부(148; 242)를 구비하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형부는 하나 이상의 검출 요소 또는 마커(150; 244; 316)를 구비하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형부 상의 외부에 배치되는 막(152; 246)을 더 구비하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막(152; 246)은 탄성 재료로 형성 되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막(152; 246)은 투명한 재료로 형성 되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구조체는 내측 관(12; 102; 202; 302)과, 상기 내측 관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외측 관(28; 126; 218; 304)을 구비하고, 상기 내측 관과 외측 관은 상기 화형부를 개폐시키도록 서로 상대적으로 병진운동하기 위한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관(28; 126; 218; 304)의 외표면은 하나 이상의 검출 요소 또는 마커(33; 128; 220; 306)를 구비하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관(102)은 상기 화형부의 단부를 수용하고 취출하도록 되어 있는 환형 홈(106)을 갖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관(126)은 상기 화형부를 수용하는 개구(134)를 갖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관(126)은 개구(134)에서 각 화형부의 구멍(146) 내에 도입되기 위한 노치(136)를 구비하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관(102)은 치형 영역(238)을 구비하는 화형부의 단부를 수용하고 취출하도록 되어 있는 홈형 원위 길이부(206) 또는 나사식 길이부를 갖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관(218)은 상기 화형부를 수용하는 개구(226)를 갖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관(218)은 구멍(226)에서 대응하는 화형부의 피봇(240)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시트(228)를 구비하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화형부는 상기 외측 관(304)과 함께 단일 부품(piece)으로서 형성되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21. 제12항에 있어서, 각 화형부는 외측 관과 화형부에 대한 내측 관의 병진운동에 이어서 화형부를 개폐하도록 되어 있는 단향 가이드를 형성하는 내측 관(302)의 부분과 결합되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각 화형부는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리브(310)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 관은 상기 화형부의 각 리브(310)와 결합하도록 되어 있는 개구(314)가 마련된 원위 플랜지(312)를 구비하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310)는 T형 단면을 갖고, 상기 개구(314)는 각 리브의 단면과 결합하기 위한 C형 단면을 갖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2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관(12)은 내측 관의 근위 단부에 배치되는 유지체(14)를 구비하고, 상기 외측 관(28)은 외측 관의 근위 단부에 배치되는 추가 유지체(34)를 구비하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체(14)는 핸들 형태로 형성되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유지체(34)는 장치의 개방 형태에 대응하는 유지체(14)의 위치를 규정하는 세팅 링(42)을 구비하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유지체(34)는 장치의 중간 개방 형태에 대응하는 유지체(14)의 하나 이상의 위치를 규정하는 하나 이상의 리브(46a 46b, 46c)를 구비하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2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관(126)은 관의 근위 단부에 배치되는 유지체(110)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체(110)는 제1 부분(112)과, 이 제1 부분에 대해 회전하기 위한 제2 부분(114)을 구비하며, 제1 부분의 회전 운동을 내측 관(102)의 병진 운동으로 전환하는 수단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2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관(218)은 유지체에 대해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트리거(212)가 마련되어 있는 유지체(208)를 구비하고, 트리거의 회전 운동을 내측 관(202)의 병진 운동으로 전환하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212)는 내측 관(202)의 홈형 근위 길이부(204) 또는 치형 길이부와 결합하기 위한 치형 영역(216)을 구비하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를 휴지 위치에서 취출하도록 유지체(208)와 트리거(212)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 수단(214)을 더 구비하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3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수단은 제1 단부가 관형의 세장형 구조체의 원위 단부에 연관되도록 배치되는 아암(22)을 구비하고, 상기 아암은 하나 이상의 폐쇄 형태와 하나의 개방 형태를 취하기 위한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아암(22)은 상기 세장형 구조체에 고정되기 위한 직선형 길이부(22a)와 곡선형 길이부(22b)를 구비하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아암(22)은 하나 이상의 검출 요소 또는 마커(25)를 구비하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22) 상에 외부로 배치되는 막(26)을 더 구비하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막(26)은 탄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막(26)은 투명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38.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구조체는 내측 관(12; 102; 202)과, 이 내측 관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외측 관(28; 126; 218)을 구비하고, 상기 내측 관과 외측 관은 상기 아암(22)을 개폐시키도록 서로에 대해 병진운동하도록 되어 있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관(28; 126; 218)의 외표면은 하나 이상의 검출 요소 또는 마커(33; 128; 220)를 구비하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관(12)의 외표면은 아암(22)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각각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홈(24)을 갖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41.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관(12)은 이 내측 관의 근위 단부에 배치되는 유지체(14)를 구비하고, 상기 외측 관(28)은 이 외측 관의 근위 단부에 배치되는 추가 유지체(34)를 구비하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체(14)는 핸들 형태로 형성되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4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유지체(34)는 장치의 개방 형태에 대응하는 유지체(14)의 위치를 규정하는 세팅 링(42)을 구비하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44.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유지체(34)는 장치의 중간 개방 형태에 대응하는 유지체(14)의 하나 이상의 위치를 규정하는 하나 이상의 리브(46a, 46b, 46c)를 구비하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45.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관(126)은 이 외측 관의 근위 단부에 배치되는 유지체(110)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체(110)는 제1 부분(112)과, 이 제1 부분에 대해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제2 부분(114)을 구비하고, 제1 부분의 회전 운동을 내측 관(102)의 병진 운동으로 전환하는 수단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는 것인 진단 장치.
  46.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관(218)은 유지체에 대해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트리거(212)가 마련된 유지체(208)를 구비하고, 트리거의 회전 운동을 내측 관(202)의 병진 운동으로 전환하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212)는 내측 관(202)의 홈형 근위 길이부(204) 또는 치형 길이부와 결합하도록 되어 있는 치형 영역(216)을 구비하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48. 제46항에 있어서, 트리거를 휴지 위치에서 취출하도록 유지체(208)와 트리거(212)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 수단(214)을 더 구비하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4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구조체는 내측 관(12; 102; 202; 302)과, 이 내측 관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외측 관(28; 126; 218; 304)을 구비하고, 상기 내측 관과 외측 관은 상기 벽을 국부적으로 팽창시키는 수단을 개폐시키도록 서로에 대해 병진운동하도록 되어 있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관(28; 126; 218; 304)의 외표면은 하나 이상의 검출 요소 또는 마커(33; 128; 220; 306)를 구비하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51.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관(12)은 이 내측 관의 근위 단부에 배치되는 유지체(14)를 구비하고, 상기 외측 관(28)은 이 외측 관의 근위 단부에 배치되는 추가 유지체(34)를 구비하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체(14)는 핸들 형태로 형성되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53.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유지체(34)는 장치의 개방 형태에 대응하는 유지체(14)의 위치를 규정하는 세팅 링(42)을 구비하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54.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유지체(34)는 장치의 중간 개방 형태에 대응하는 유지체(14)의 하나 이상의 위치를 규정하는 하나 이상의 리브(46a, 46b, 46c)를 구비하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55.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관(126)은 이 외측 관의 근위 단부에 배치되는 유지체(110)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체(110)는 제1 부분(112)과, 이 제1 부분에 대해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제2 부분(114)을 구비하고, 제1 부분의 회전 운동을 내측 관(102)의 병진 운동으로 전환하는 수단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56.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관(218)은 유지체에 대해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트리거(212)가 마련된 유지체(208)를 구비하고, 트리거의 회전 운동을 내측 관(202)의 병진 운동으로 전환하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인 진단 장치.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212)는 내측 관(202)의 홈형 근위 길이부(204) 또는 치형 길이부와 결합하기 위한 치형 영역(216)을 구비하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58. 제56항에 있어서, 트리거를 휴지 위치에서 취출하도록 유지체(208)와 트리거(212)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 수단(214)을 더 구비하는 것인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의 병상을 위한 진단 장치.
KR1020067012240A 2003-11-21 2004-11-16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용 진단 장치 KR1010617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002278A ITMI20032278A1 (it) 2003-11-21 2003-11-21 Dispositivo di diagnosi
ITMI2003A002278 2003-11-21
PCT/IT2004/000629 WO2005048828A1 (en) 2003-11-21 2004-11-16 A diagnostic device for tubular anatomical structur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4553A KR20070004553A (ko) 2007-01-09
KR101061729B1 true KR101061729B1 (ko) 2011-09-05

Family

ID=34611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2240A KR101061729B1 (ko) 2003-11-21 2004-11-16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용 진단 장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9173546B2 (ko)
EP (1) EP1684627B1 (ko)
JP (2) JP4805161B2 (ko)
KR (1) KR101061729B1 (ko)
CN (1) CN100462044C (ko)
AT (1) ATE455496T1 (ko)
AU (2) AU2004290997B2 (ko)
BR (1) BRPI0416815A (ko)
CA (1) CA2547872C (ko)
DE (1) DE602004025270D1 (ko)
IL (1) IL175767A0 (ko)
IT (1) ITMI20032278A1 (ko)
MX (1) MXPA06005780A (ko)
RU (1) RU2372017C2 (ko)
WO (1) WO20050488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032278A1 (it) 2003-11-21 2005-05-22 Ethicon Endo Surgery Inc Dispositivo di diagnosi
US8100822B2 (en) 2004-03-16 2012-01-24 Macroplata Systems, Llc Anoscope for treating hemorrhoids without the trauma of cutting or the use of an endoscope
ITMI20042079A1 (it) 2004-10-29 2005-01-29 Ethicon Endo Surgery Inc Dispositivo di diagnosi
US20060287584A1 (en) * 2005-06-16 2006-12-21 Javier Garcia-Bengochia Surgical retractor extensions
CN101528110A (zh) * 2006-03-10 2009-09-09 利兰斯坦福青年大学托管委员会 脊柱的经皮进入和观察
WO2008028022A2 (en) 2006-09-01 2008-03-06 Nidus Medical, Llc Tissue visualization device having multi-segmented frame
UA101006C2 (ru) 2007-12-31 2013-02-25 Косс Корпорейшн Наушник регулируемой формы
EP2318085B1 (en) * 2008-07-30 2020-03-11 Cornell University Apparatus for straightening and flattening the side wall of a body lumen or body cavity so as to provide three dimensional exposure of a lesion or abnormality within the body lumen or body cavity, and/or for stabilizing an instrument relative to the same
ES2874194T3 (es) 2009-12-16 2021-11-04 Boston Scient Scimed Inc Disposiciones para realizar una estructura anatómica endoluminal
US10595711B2 (en) 2009-12-16 2020-03-24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System for a minimally-invasive, operative gastrointestinal treatment
US9565998B2 (en) 2009-12-16 2017-02-14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ulti-lumen-catheter retractor system for a minimally-invasive, operative gastrointestinal treatment
US10966701B2 (en) 2009-12-16 2021-04-06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Tissue retractor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US10531869B2 (en) 2009-12-16 2020-01-14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Tissue retractor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US8932211B2 (en) 2012-06-22 2015-01-13 Macroplata, Inc. Floating, multi-lumen-catheter retractor system for a minimally-invasive, operative gastrointestinal treatment
USRE48850E1 (en) 2009-12-16 2021-12-14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ulti-lumen-catheter retractor system for a minimally-invasive, operative gastrointestinal treatment
SI2575590T2 (sl) 2010-05-25 2019-02-28 Arc Medical Design Limited Pokrov za medicinsko preiskovalno napravo
US20130197536A1 (en) * 2011-04-07 2013-08-01 Jai Singh General uterine manipulator and system
US9987042B2 (en) 2011-04-07 2018-06-05 Jai Singh General uterine manipulator and system
US9451985B2 (en) 2011-04-07 2016-09-27 Jiwan Steven Singh General uterine manipulator and system
US20130190565A1 (en) * 2012-01-20 2013-07-25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cal imaging of luminal organs, and for centering within and contacting a luminal organ
US9532837B2 (en) 2012-04-20 2017-01-03 Jiwan Steven Singh Repositionable medical instrument support systems, devices, and methods
CN102805607A (zh) * 2012-08-13 2012-12-05 东南大学 一种机械扩宫装置
US20140275768A1 (en) * 2013-03-13 2014-09-18 Covidien Lp Thoracic Scope With Skirt And Gap
DE102015012964B4 (de) * 2015-10-08 2018-12-27 Karl Storz Se & Co. Kg Zugangssystem für endoskopische Operationen
DE102017002527A1 (de) * 2017-03-16 2018-09-20 Joimax Gmbh Vorrichtung zum Zugang in das Innere eines Körpers
CN108261174A (zh) * 2018-03-13 2018-07-10 南京微创医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内窥镜端帽
CN108514401B (zh) * 2018-04-04 2020-12-15 温州市人民医院 阴道缝合辅助镜
CN109288559B (zh) * 2018-09-05 2020-05-05 河南科技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用于消化系统疾病所致大便干硬的枪式通便器
CN109223103B (zh) * 2018-10-18 2020-04-14 河南科技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用于消化系统的带给药功能医用取便器
CN109875665A (zh) * 2018-12-14 2019-06-14 杨清 用于腹腔内微创手术的收纳取出通道装置
CN109998611B (zh) * 2019-04-02 2024-02-27 北京大学口腔医学院 微创手术的中空式矢量支撑多功能保护装置
US11832789B2 (en) 2019-12-13 2023-12-05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in a body lumen
CN111991682B (zh) * 2020-07-21 2022-07-12 哈尔滨医科大学 医疗临床持续扩肛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1932A (ja) 1996-12-23 2000-09-12 エラン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シクロアルキル、ラクタム、ラクトンおよびその関連化合物およびその医薬組成物、並びに該化合物を用いたβ−アミロイドペプチドの放出および/またはその合成を阻害する方法
JP2003019111A (ja) 2001-05-20 2003-01-21 Given Imaging Ltd 生体内信号源の位置を探知するアレーシステム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50788A (en) * 1930-10-10 1934-03-13 Gen Electric X Ray Corp Therapeutic electrode
US2621651A (en) * 1949-06-02 1952-12-16 American Cystoscope Makers Inc Instrument for dilating and examining the esophagus
US3044461A (en) * 1960-01-21 1962-07-17 Murdock Barbara Procto-sigmoidoscope
DE1466889B1 (de) * 1965-07-28 1970-04-23 Eberhard Dr Regenbogen Rektoskop zur Endoskopie des als Sigma bezeichneten Bereichs des menschlichen Darmes
US3495566A (en) * 1967-03-13 1970-02-17 Pall Corp Pressure-responsive devices having controlled response to flow surges
US3667474A (en) * 1970-01-05 1972-06-06 Konstantin Vasilievich Lapkin Dilator for performing mitral and tricuspidal commissurotomy per atrium cordis
US3882852A (en) * 1974-01-11 1975-05-13 Manfred Sinnreich Surgical dilators having insufflating means
SU791375A1 (ru) * 1979-06-05 1980-12-30 Ленинградский Ветеринарный Институт Прибор дл вз ти препуциальной и вагинальной слизи у животных
SU1266671A1 (ru) * 1985-05-15 1986-10-30 Киевский Ордена Ленина Политехн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Им.50-Летия Великой Октябрьской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ой Революции Цанговый патрон
US4865030A (en) * 1987-01-21 1989-09-12 American Medical Systems, Inc. Apparatus for removal of objects from body passages
US5556376A (en) * 1988-07-22 1996-09-17 Yoon; Inbae Multifunctional devices having loop configured portions and collection systems for endoscopic surgical procedures and methods thereof
US6120437A (en) * 1988-07-22 2000-09-19 Inbae Yoon Methods for creating spaces at obstructed sites endoscopically and methods therefor
US5178133A (en) * 1991-03-26 1993-01-12 Pena Louis T Laparoscopic retractor and sheath
JPH065601U (ja) * 1992-06-30 1994-01-25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内視鏡用導入補助具
JPH06133917A (ja) * 1992-10-29 1994-05-17 Olympus Optical Co Ltd レーザプローブ
US5377667A (en) * 1992-12-03 1995-01-03 Michael T. Patton Speculum for dilating a body cavity
US5353784A (en) * 1993-04-02 1994-10-11 The Research Foundation Of Suny Endoscopic device and method of use
JP3310068B2 (ja) * 1993-09-20 2002-07-29 テルモ株式会社 内視鏡挿入用ガイド
JP3444966B2 (ja) * 1994-04-27 2003-09-08 テルモ株式会社 長尺物挿入用ガイド
US5972004A (en) * 1996-02-23 1999-10-26 Cardiovascular Technologies, Llc. Wire fastener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and apparatus and methods for handling those fasteners
US6508825B1 (en) * 1997-02-28 2003-01-21 Lumend, Inc. Apparatus for treating vascular occlusions
IL122111A (en) * 1997-11-04 2004-06-01 Sightline Techn Ltd Rectoscope video
DE19828099A1 (de) * 1998-06-24 1999-12-30 Rudolf Gmbh Medizintechnik Chirurgisches Instrument, insbesondere Rektuskop oder Trokar
US20030032975A1 (en) * 1999-01-06 2003-02-13 Bonutti Peter M. Arthroscopic retractors
CN2468431Y (zh) * 2001-03-21 2002-01-02 蚌埠铁路分局阜阳铁路医院 肛门、阴道扩张器
JP2004105670A (ja) * 2002-09-18 2004-04-08 Risshin Riku 膣、肛門検査ビデオシステム
US7056329B2 (en) * 2002-10-23 2006-06-06 Intellimed Surgical Solutions, Llc Laparoscopic direct vision dissecting port
US20050159645A1 (en) * 2003-11-12 2005-07-21 Bertolero Arthur A. Balloon catheter sheath
ITMI20032278A1 (it) 2003-11-21 2005-05-22 Ethicon Endo Surgery Inc Dispositivo di diagnosi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1932A (ja) 1996-12-23 2000-09-12 エラン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シクロアルキル、ラクタム、ラクトンおよびその関連化合物およびその医薬組成物、並びに該化合物を用いたβ−アミロイドペプチドの放出および/またはその合成を阻害する方法
JP2003019111A (ja) 2001-05-20 2003-01-21 Given Imaging Ltd 生体内信号源の位置を探知するアレーシステム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4290997A1 (en) 2005-06-02
EP1684627A1 (en) 2006-08-02
WO2005048828A1 (en) 2005-06-02
RU2372017C2 (ru) 2009-11-10
IL175767A0 (en) 2006-09-05
JP2011104399A (ja) 2011-06-02
RU2006117354A (ru) 2007-12-10
ITMI20032278A1 (it) 2005-05-22
JP5290334B2 (ja) 2013-09-18
CN100462044C (zh) 2009-02-18
KR20070004553A (ko) 2007-01-09
CA2547872C (en) 2013-07-09
MXPA06005780A (es) 2006-08-11
CA2547872A1 (en) 2005-06-02
DE602004025270D1 (de) 2010-03-11
US9173546B2 (en) 2015-11-03
EP1684627B1 (en) 2010-01-20
AU2010235851B2 (en) 2011-08-25
JP2007512078A (ja) 2007-05-17
AU2010235851A1 (en) 2010-11-04
ATE455496T1 (de) 2010-02-15
CN1897868A (zh) 2007-01-17
BRPI0416815A (pt) 2007-02-27
US20070149845A1 (en) 2007-06-28
JP4805161B2 (ja) 2011-11-02
AU2004290997B2 (en) 2010-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1729B1 (ko) 관형 해부학적 구조체용 진단 장치
JP4874256B2 (ja) 管状解剖学的構造のための診断デバイス
US7396329B2 (en) Endoscopic retractor instrument and associated method
US5464415A (en) Sutureless intestinal anastomosis gun
EP1635695B1 (en) Rectal expander
US20160174829A1 (en) Balloon access device for endoscope
US11779196B2 (en) Gastrointestinal endoscopy with attachable intestine pleating structures
JPS6125377B2 (ko)
JP2009509669A (ja) 胃横断手術デバイス及び処置
WO2019174091A1 (zh) 一种内窥镜端帽
JP5249231B2 (ja) 拡張カニューレ
JP5975257B2 (ja) 領域確保用器具および領域確保用器具を備えた内視鏡
EP3079558A1 (en) Balloon access device with features for engaging an endoscope
EP4192322A1 (en) Expandable guide devices, system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