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1059B1 - 지능형 교통정보시스템 및 이에 있어서 경고 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지능형 교통정보시스템 및 이에 있어서 경고 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1059B1
KR101061059B1 KR1020090057645A KR20090057645A KR101061059B1 KR 101061059 B1 KR101061059 B1 KR 101061059B1 KR 1020090057645 A KR1020090057645 A KR 1020090057645A KR 20090057645 A KR20090057645 A KR 20090057645A KR 101061059 B1 KR101061059 B1 KR 101061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ning information
risk
vehicle
index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7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0238A (ko
Inventor
오철
오주택
박재홍
송태진
김태진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57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1059B1/ko
Publication of KR20110000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1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1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25Traffic data processing
    • G08G1/0133Traffic data processing for classifying traffic situ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4Centralised systems, e.g. external to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행하고 있는 차량들에 대한 영상 분석을 통하여 위험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위험도에 기초하여 경고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교통정보시스템 및 이에 있어서 경고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경고 정보 제공 방법은 영상 검지 구간의 차량을 검지하는 단계, 상기 검지 결과를 통하여 선행 차량과 후행 차량의 정지 거리들 또는 선행 차량 및 후행 차량의 속도에 따른 충돌 예상 시간을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정지 거리들의 비교 또는 상기 검출된 충돌 예상 시간이 기설정된 제 2 임계값 이상인 지의 여부를 통하여 교통 사고 발생 가능성 판단의 지표인 안전성 평가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정지 거리들의 비교에 따른 안전성 평가 지표 및 상기 충돌 예상 시간과 상기 제 2 임계값의 비교에 따른 안전성 평가 지표 중 적어도 하나와 제 1 임계값의 비교를 통하여 상기 후행 차량의 위험도 지표인 상충 위험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상충 위험도 판단의 기준이 된 안전성 평가 지표가 상기 제 1 임계값 이하인 경우 제 1 경고 정보를 긴급 영향권에 존재하는 차량들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긴급 영향권은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영상 검지 구간 이후의 영역이다.
안전성 평가 지표, SSM, SDI, TTC, RSI, RSTI, 경고 정보, VMS

Description

지능형 교통정보시스템 및 이에 있어서 경고 정보 제공 방법{INTELLIGENT TRAFFIC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WARNING INFORMATION IN THE SAME}
본 발명은 지능형 교통정보시스템 및 이에 있어서 경고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행하고 있는 차량들에 대한 영상 검지를 통하여 상충 위험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상충 위험도를 기초로 하여 경고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지능형 교통정보시스템 및 이에 있어서 경고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교통 사고는 도로 구간을 주행하는 운전자가 차량의 내적 또는 외적 영향 요인에 적절히 반응하지 못할 때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임의의 사건으로, 일반적으로 전방에 차량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선행 차량이 갑자기 고장나는 경우, 시야에 보이지 않던 차량이 갑자기 나타나는 경우 등에 주로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교통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교통정보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었으며,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현재, 교통정보시스템은 주로 특정 구간(딜레마죤, 공사 구간, 교차로 등)에 경고 정보를 제공하여 교통 사고를 예방하거나 가변전광표지(Variable Message Signs, VMS)를 통하여 교통 혼잡도 정도의 정보만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교통정보시스템은 교통 정체로 인한 혼잡 정보와 이미 발생한 교통 사고에 대한 정보만을 제공해준다. 실제로 효과적인 교통 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개별 차량간의 주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교통 사고 발생의 위험성이 높은 교통 상황을 추출하여 운전자에게 경고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현재까지 이러한 기술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특히, 교통 사고를 효율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 개별 차량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교통정보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교통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개별 차량들에 경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특히 차선별로 교통 위험도를 제공할 수 있는 지능형 교통정보시스템 및 이에 있어서 경고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교통정보시스템에서 경고 정보 제공 방법은 영상 검지 구간의 차량을 검지하는 단계; 상기 검지 결과를 통하여 선행 차량과 후행 차량의 정지 거리들 또는 선행 차량 및 후행 차량의 속도에 따른 충돌 예상 시간을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정지 거리들의 비교 또는 상기 검출된 충돌 예상 시간이 기설정된 제 2 임계값 이상인 지의 여부를 통하여 교통 사고 발생 가능성 판단의 지표인 안전성 평가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정지 거리들의 비교에 따른 안전성 평가 지표 및 상기 충돌 예상 시간과 상기 제 2 임계값의 비교에 따른 안전성 평가 지표 중 적어도 하나와 제 1 임계값의 비교를 통하여 상기 후행 차량의 위험도 지표인 상충 위험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상충 위험도 판단의 기준이 된 안전성 평가 지표가 상기 제 1 임계값 이하인 경우 제 1 경고 정보를 긴급 영향권에 존재하는 차량들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긴급 영향권은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영상 검지 구간 이후의 영역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교통정보시스템에 있어서 지역 제어기는 영상 검지 구간의 차량 검지 결과를 통하여 선행 차량과 후행 차량의 정지 거리들 또는 선행 차량 및 후행 차량의 속도에 따른 충돌 예상 시간을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정지 거리들의 비교 또는 상기 검출된 충돌 예상 시간이 기설정된 제 2 임계값 이상인 지의 여부를 통하여 교통 사고 발생 가능성 판단의 지표인 안전성 평가 지표를 산출하는 안정성 평가 지표부; 상기 정지 거리들의 비교에 따른 안전성 평가 지표 및 상기 충돌 예상 시간과 상기 제 2 임계값의 비교에 따른 안전성 평가 지표 중 적어도 하나와 제 1 임계값의 비교를 통하여 상기 후행 차량의 위험도 지표인 상충 위험도를 결정하는 상충 위험도 결정부; 및 상기 상충 위험도에 따른 경고 정보를 긴급 영향권의 차량으로 제공하는 경고 정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긴급 영향권은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영상 검지 구간 이후의 영역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교통정보시스템 및 이에 있어서 경고 정보 제공 방법은 도로에서 주행하는 차량들에 대한 검지된 영상을 통하여 상충 위험도를 판단하고 상기 상충 위험도가 임계값을 초과하면 경고 정보를 개별 차량들에게 제공하므로, 개별 운전자들이 전방의 교통 상황에 신속하고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후행 차량이 위험 구간에 진입할 때에는 위험 상황이 종료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교통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교통 사고 요인을 계량화하여 교통 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는 상황을 검지하므로, 교통 사고 위험이 있는 대다수의 상황을 예측할 수 있어서 교통 사고 예방 효과가 상승하고 상기 교통정보시스템이 효율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통정보시스템은 경고 정보 지수(WII)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최적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 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교통정보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고 정보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지능형 교통정보시스템은 위험도에 따라 경고 정보를 제공하여 교통 사고를 예방하는 시스템으로서, 영상 검지 장치(100), 지역 제어기(102), 교통정보센터(104) 및 디스플레이 장치들(120 및 132)을 포함한다.
영상 검지 장치(100)는 영상 검지 구간(110)에서 주행하고 있는 차량(120, 이하 "제 1 차량"이라 함)을 영상으로 검지하는 장치로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장치이면 특별한 제한이 없다. 여기서, 영상 검지 구간(110)은 도로의 전차선 영역, 예를 들어 4차선 도로인 경우 영상 검지 구간(110)은 4차선을 모두 포함할 수 있는 영역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검지 장치(100)는 특정 주기로, 예를 들어 0.1초 단위로 계속하여 영상 검지 구간(110)을 통과하는 제 1 차량들(120)에 대한 영상을 검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영상 검지 장치(100)는 개별 제 1 차량(120)에 대한 영상들을 다수, 예를 들어 20 프레임만큼 획득할 수 있다.
영상 검지 장치(100)는 상기 검지된 영상을 적절하게 처리하여 해당 지역 제어기(102)로 전송한다. 여기서, 영상 검지 장치(100)는 지역 제어기(102)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고 무선으로 교신할 수도 있다.
지역 제어기(102)는 영상 검지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검지 결과를 분석하여 안전성 평가 지표(Surrogate Safety Measure, SSM)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안전성 평가 지표(SSM)를 이용하여 상충 위험도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상충 위험도의 레벨에 따라 제 1 경고 정보를 긴급 영향권(112)의 차량(122, 이하 "제 2 차량"이라 함)으로 제공한다. 여기서, 긴급 영향권(11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영상 검지 구간(110) 이후의 영역, 즉 영상 검지 구간(110)의 상류부로서, 영상 검지 구간(110)으로 진입할 차량들이 존재하는 영역이다. 따라서, 영상 검지 구간(110)에 문제가 발생하면, 긴급 영향권(112) 내의 제 2 차량들(122)은 교통 사고에 직접적으로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역 제어기(102)는 해당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30)에 제 1 경고 정보를 디스플레이시키거나 긴급 영향권(112) 내의 제 2 차량들(122)로 직접 제공하는 방법을 통하여 운전자에게 상기 제 1 경고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경고 정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선별 위험도를 개별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그 결과 교통 사고 예방에 효율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역 제어기(102)가 상기 제 1 경고 정보를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30)로 전송하고,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30)가 상기 제 1 경고 정보를 제 2 차량들(122)로 제공할 수도 있다. 물론,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30)가 상기 제 1 경고 정보 제공과 동시에 상기 제 1 경고 정보를 디스플레이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지역 제어기(102)는 안전성 평가 지표(SSM)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안전성 통계 지표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안전성 통계 지표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를 교통정보센터(104)로 전송할 수 있다.
교통정보센터(104)는 상기 전송된 교통 정보 및 다른 다양한 정보들을 종합하여 안전성을 검출하고, 불안전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 2 경고 정보를 제 2 디스플레이 장치(132)를 통하여 일반 영향권(114)에 존재하는 차량(124, 이하 "제 3 차량"이라 함)으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디스플레이 장치(132)에 "전방 500m 사고 위험 구간, 안전 거리 확보" 등과 같은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제 3 차량(124)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132)에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통하여 경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반 영향권(114)은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긴급 영향권(112) 이후의 영역, 즉 긴급 영향권(112)의 상류부로서, 영상 검지 구간(110)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운전자가 충분히 반응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요컨대, 본 실시예의 교통정보시스템은 주행하고 있는 제 1 차량들(120)에 대한 영상을 통하여 상충 위험도를 산출하고, 상기 상충 위험도가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차선별 위험도를 표시한 제 1 경고 정보를 긴급 영향권(112)의 제 2 차량들(122)로 제공한다. 또한, 교통정보센터(104)가 제 2 경고 정보를 제 2 디스플레이 장치(132)를 통하여 일반 영향권(114) 내의 제 3 차량들(124)로 제공한다. 따라서, 긴급 영향권(112) 내의 제 2 차량들(122)은 위험 상황에 즉시 대처할 수 있어서 교통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일반 영향권(114) 내의 제 3 차량들(124)은 운전에 좀 더 주의를 기울일 수 있다.
위와 같은 교통정보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영상 검지 장치(100), 지역 제어기(102),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30)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132)를 하나의 세트로 하여 다수의 세트들이 도로 곳곳에 설치될 것이다. 다만, 디스플레이 장치들(130 및 132)은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가변전광표지(Variable Message Signs, VMS)를 활용할 수도 있다.
위에서는, 영상 검지 구간(110)의 범위에 대하여 언급하지는 않았으나, 영상 검지 구간(110)의 범위는 항상 일정할 수도 있고 동적으로 가변될 수도 있다. 또한, 영상 검지 구간(110)의 범위는 그의 설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이하, 각종 지표들의 산출 방법 및 경고 정보 제공 방법 등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경고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충 위험도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경고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영상 검지 장치(100)는 영상 검지 구간(110) 내의 제 1 차량들(120)에 대한 영상을 기설정된 시간 주기(예를 들어, 0.1초 주기)로 검지하며, 상기 검지 결과를 지역 제어기(102)로 전송한다(S300). 여기서, 특정 제 1 차량(120)이 영상 검지 구간(110)을 통과하는 데 2초가 소요된다고 하면 제 1 차량(120)에 대한 영상이 20 프레임 확보될 것이다.
이어서, 지역 제어기(102)는 상기 전송된 검지 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프레임들을 분석하여 제 1 차량들(102)에 대한 속도 및 정지 거리를 개별적으로 산출한다(S302). 여기서, 상기 정지 거리는 상기 속도를 이용함에 의해 산출된다.
계속하여, 지역 제어기(102)는 상기 산출된 속도 및 정지 거리를 이용하여 안전성 평가 지표(SSM)를 산출한다(S304). 여기서, 안전성 평가 지표(SSM)는 교통 사교 발생을 암시하거나 유도하는 교통류 상태를 나타내는 변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전성 평가 지표(SSM)로는 정지 거리를 이용하여 안전도를 평가하는 SDI(Stopping Distance Index) 및 충돌 시점과 관련된 TTC(Time to Collision)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SDI는 아래의 수학식 1을 통하여 산출될 수 있다.
Figure 112009038990811-pat00001
Figure 112009038990811-pat00002
dL : 선행차량의 정지 거리(m) dF : 후행차량의 정지 거리(m)
VL : 선행차량의 속도(kph) VF : 후행차량의 속도(kph)
F : 타이어-노면의 마찰 계수 G : 종단 경사
tR : 운전자 반응시간(0.82초) h : 차두시간 (차량 간격 시간)
위 수학식 1에서 선행차량의 정지 거리(dL)가 후행차량의 정지 거리(dF)보다 크면, 상기 SDI는 상기 후행차량이 안전(safe)하다고 판단한다. 반면에, 선행차량의 정지 거리(dL)가 후행차량의 정지 거리(dF) 이하이면, 상기 SDI는 상기 후행차량이 불안전(unsafe)하다고 판단한다.
다른 안전성 평가 지표인 TTC는 아래의 수학식 2를 통하여 산출된다. 여기서, 상기 TTC는 현재시점(t)과 충돌 시점(t+a) 사이의 시간 차이 a를 의미한다.
Figure 112009038990811-pat00003
Figure 112009038990811-pat00004
△d(t) : PL-PF(m), PL : 선행차량의 위치, PF : 후행차량의 위치
Vi(t) : 후행차량의 t시간일 때의 속도, Vi-1(t) : 선행차량의 t시간일 때의 속도
위 수학식 2에서 상기 TTC가 임계값(K)보다 크면, TTCI는 상기 후행차량이 안전(safe)하다고 판단하며, 상기 TTC가 K 이하이면 상기 후행차량이 불안전(unsafe)하다고 판단한다.
즉, 지역 제어기(102)는 위의 SDI 및 TTC를 통하여 제 1 차량들(120)에 대한 안전 여부를 개별적으로 판단한다.
이러한 안전성 평가 지표(SSM)를 산출한 후, 지역 제어기(102)는 상기 산출된 안전성 평가 지표(SSM)를 이용하여 상충 위험도(Lv)를 결정한다(S306).
이어서, 지역 제어기(102)는 상충 위험도(Lv)가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08).
상충 위험도(Lv)가 기설정된 임계값 이하이면, 지역 제어기(102)는 교통 사고 위험이 없다고 판단하여 제 1 경고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반면에, 상충 위험도(Lv)가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크면, 지역 제어기(102)는 교통 사고 위험이 있다고 판단하여 긴급 영향권(112) 내의 제 1 차량들(122)에 제 1 경고 정보를 제공한다(S310). 여기서, 지역 제어기(102)는 상기 제 1 경고 정보를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30)에 디스플레이시키거나 제 1 차량들(122)에 직접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제 1 차량(122)으로 상기 제 1 경고 정보가 제공된 경우, 제 1 차량(122) 내의 단말기,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장치 등을 통하여 상기 제 1 경고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물론, 음성 안내도 가능하다.
요컨대, 본 발명의 경고 정보 제공 방법은 안전성 평가 지표(SSM)를 통하여 상충 위험도(Lv)를 결정하고, 상충 위험도(Lv)에 따라 상기 제 1 경고 정보를 긴급 영향권(112) 내의 제 1 차량들(122)로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제 1 차량들(122)은 속도를 감속하거나 다른 차선으로 변경하여 주행할 수 있다.
평상시에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차선들에 대한 속도, 예를 들어 90㎞/h를 제 2 영역(502)에 디스플레이시킨다. 그런 후, 지역 제어기(102)로부터 상기 제 1 경고 정보가 제공되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영역(500)에 "1차로 사고 위험 높음, 안전 거리 확보"와 같은 문구를 표시하고 제 2 영역(502)에서 위험 차로인 제 1 차선에 대하여 "위험"으로 표시를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상충 위험도(Lv)의 수준에 따라 "위험"을 적색으로 표시하거나 깜박이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긴급 영향권(112) 내의 운전자는 상기 제 1 경고 정보를 즉각적으로 인지하여 반응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경고 정보의 표시 방법 등은 위에 언급된 형태 외에도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하, 상충 위험도(Lv)를 결정하는 과정을 예를 들어 상술하겠다.
도 4를 참조하면, 영상 검지 장치(100)는 영상 검지 구간(110) 내의 제 1 차량들(120)에 대한 개별 주행 궤적을 검지하고, 검지 결과를 지역 제어기(102)로 전송한다(S400).
이어서, 지역 제어기(102)는 상기 검지 결과를 통하여 영상 검지 구간(110) 내에서 선행 차량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02).
선행 차량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즉 자신만이 주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충돌 위험이 없으므로, 가장 안전한 상태이며, 따라서 상충 위험도를 Lv.0으로 결정한다(S412).
반면에, 선행 차량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즉 영상 검지 구간(110) 내에 선행의 제 1 차량(선행 차량) 및 후행의 제 1 차량(후행 차량)이 존재하는 경우, 지역 제어기(102)는 복수의 영상 프레임들을 통하여 선행 차량 및 후행 차량 각각의 속도(VL, VF)를 산출한다(S404).
계속하여, 지역 제어기(102)는 상기 산출된 속도들(VL, VF)을 이용하여 상기 선행 차량 및 상기 후행 차량 각각에 대한 정지 거리(dL, dF)를 산출한다(S406).
이어서, 지역 제어기(102)는 상기 선행 차량의 정지 거리(dL)와 상기 후행 차량의 정지 거리(dF)를 비교한다(S408).
상기 선행 차량의 정지 거리(dL)가 상기 후행 차량의 정지 거리(dF)보다 큰 경우, 지역 제어기(102)는 상기 선행 차량과 상기 후행 차량이 충돌할 가능성이 작으므로 안전(safe)으로 판단하고(S410), 상충 위험도를 Lv.0으로 결정한다(S412).
반면에, 상기 선행 차량의 정지 거리(dL)가 상기 후행 차량의 정지 거리(dF) 이하인 경우, 지역 제어기(102)는 상기 선행 차량과 상기 후행 차량이 충돌 위험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불안전(unsafe)으로 결정하고(S414), 충돌 지점 및 TTC를 산출한다(S416).
계속하여, 지역 제어기(102)는 상기 TTC가 제 1 임계값(K2 CS)보다 큰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18).
상기 TTC가 제 1 임계값(K2 CS) 이상인 경우, 지역 제어기(102)는 약간의 충돌 가능성은 있으나 특별한 위험성은 없다고 판단하고(S420), 상충 위험도를 Lv.1으로 결정한다(S422).
반면에, 상기 TTC가 제 1 임계값(K2 CS)보다 작은 경우, 지역 제어기(102)는 위험한 상태로 판단하고(S424), 상기 TTC가 제 2 임계값(K3 CS)보다 큰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24).
상기 TTC가 제 2 임계값(K3 CS) 이상이면, 지역 제어기(102)는 충돌 위험성이 있으나 상기 TTC가 운전자 반응 시간(0.82초)보다 긴 상태로 판단하고, 상충 위험도를 Lv.2로 결정한다(S428).
반면에, 상기 TTC가 제 2 임계값(K3 CS)보다 작으면, 지역 제어기(102)는 충돌 위험성이 상당히 있고 상기 TTC가 운전자 반응 시간(0.82초)보다 짧다고 판단하고, 상충 위험도를 Lv.3으로 결정한다(S430).
즉, 지역 제어기(102)는 상기 상충 위험도를 위험도 정도에 따라 복수의 레벨들로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지역 제어기(102)는 상기 상충 위험도가 Lv.0 또는 Lv.1으로 결정된 경우 안전하다고 판단하여 제 1 경고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상기 상충 위험도가 Lv.2 또는 Lv.3으로 결정된 경우 불안전하다고 판단하여 제 1 경고 정보를 긴급 영향권(112) 내의 제 1 차량들(120)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상충 위험도가 Lv.3으로 결정되면, 사고 위험 확률이 높으므로 운전자가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빨간색이 계속적으로 깜박이게 하거나 큰 사운드로 위험 가능성을 알리도록 제어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위에서는, 지역 제어기(102)가 상기 SDI와 상기 TTC를 동시에 사용하였으나, 하나만 사용하여 상충 위험도를 결정할 수도 있고 SDI 및 TTC 외의 다른 지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만, 긴급 영향권(112)으로의 제 1 경고 정보 제공이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하므로, 복잡한 안전성 평가 지표보다는 단순한 안전성 평가 지표가 바 람직하다.
이하, 일반 영향권(114)으로 제 2 경고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상술하겠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반 영향권으로 제 2 경고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영상 검지 장치(100)는 영상 검지 구간(110) 내의 제 1 차량들(120)을 트랙킹하여 영상을 획득하며, 지역 제어기(102)는 상기 획득된 영상의 분석을 통하여 안전성 평가 지표(SSM)을 산출한다(S600).
이어서, 지역 제어기(102)는 상기 산출된 안전성 평가 지표(SSM)을 통하여 안전성 통계 지표, 예를 들어 아래의 수학식 3에 표시된 바와 같은 RSI(Real-time Safety Index) 및 RSTI를 산출한다(S602). 여기서, 상기 안전성 통계 지표는 불안전한 교통 이벤트를 집계한 지표로서, 영상 검지 구간(110) 내의 교통류의 안전도를 계량화해주는 척도이다. 즉, 상기 안전성 통계 지표는 도로 구간의 교통안전성능을 평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Figure 112009038990811-pat00005
Figure 112009038990811-pat00006
위 수학식 3을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RSI는 특정 제 1 차량이 영상 검지 구 간(110)에 진입한 후 통과할 때까지의 시간, 즉 영상 검지 구간(110)을 주행하는 데 소요된 총시간과 상기 SDI를 기준으로 불안전(unsafe)하다고 판단된 총 시간의 비율을 의미하며, 상기 RSTI는 특정 제 1 차량이 영상 검지 구간(110)을 주행하는 데 소요된 총시간과 상기 TTCI를 기준으로 불안전(unsafe)하다고 판단된 총 시간의 비율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역 제어기(102)는 상기 안전성 통계 지표를 소정 집계 주기(T1)로 산출한다.
계속하여, 지역 제어기(102)는 상기 산출된 안전성 통계 지표(RSI(T1) 및 RSTI(T1))를 교통정보센터(104)로 전송한다(S604). 결과적으로, 교통정보센터(104)는 개별 제 1 차량들(120)에 대한 안전성 통계 지표들을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교통정보센터(104)는 지역 제어기(102)로부터 제공된 안전성 통계 지표를 추가적으로 집계 및 가공하여 새로운 RSI 및 RSTI를 산출하고, 위험도 수준을 결정한다(S606).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교통정보센터(104)는 실시간으로 경고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분석 주기(T2) 및 갱신 주기(T3)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분석 주기(T2)는 상기 안전성 평가 지표(SSM)의 분석 간격을 의미하며, 갱신 주기(T3)는 새로운 안전성 평가 지표(SSM)를 산출하는 시간 간격을 나타낸다.
계속하여, 교통정보센터(104)는 새롭게 산출된 RSI(T2, T3) 및 RSTI(T2, T3)가 각기 기설정된 임계값들(KRSI, KRSTI) 이상인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608). 여기 서, 상기 임계값들(KRSI, KRSTI)은 제 2 경고 정보 제공의 기준이 되는 값으로서, 교통정보센터(104)에 기저장되어 있다.
RSI(T2, T3) 및 RSTI(T2, T3)가 해당 임계값(KRSI, KRSTI)보다 작으면, 교통정보센터(104)는 교통류가 안전하다고 판단하여 제 2 경고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지 않는다.
반면에, RSI(T2, T3) 및 RSTI(T2, T3)가 해당 임계값(KRSI, KRSTI) 이상이면, 교통정보센터(104)는 교통류가 불안전하다고 판단하여 제 2 경고 정보를 생성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생성된 제 2 경고 정보를 제 2 디스플레이 장치(132)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방법을 통하여 일반 영향권(114) 내의 제 3 차량들(124)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반 영향권(114)은 운전자가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진 구간이므로, 각 차로별 위험 상황을 표시하여야 했던 제 1 경고 정보와 달리 상기 제 2 경고 정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차로에 대하여 운전자가 각성할 정도의 정보이면 충분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교통정보센터(104)는 일반 영향권(114)에 해당하는 지역 제어기를 통하여 제 3 차량들(124) 각각에 제 2 경고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교통정보센터(104)는 상기 제 2 경고 정보를 제 2 디스플레이 장치(132)에 제공하고 제 2 디스플레이 장치(132)가 일반 영향권(114) 내의 제 3 차량들(124)에 상기 제 2 경고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의 경고 정보 제공 방법은 각 제 1 차량들(120)에 대한 안전 성 통계 지표들을 수집하고, 위험도가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 2 경고 정보를 일반 영향권(114)의 제 3 차량들(124)에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교통정보시스템은 긴급 영향권(112)에는 차로별로 위험 상황을 표시한 제 1 경고 정보를 제공하고, 일반 영향권(114)에는 전체 차로에 대한 각성 수준의 위험 정보를 표시한 제 2 경고 정보를 제공한다.
위에서는 설명하지 않았으나, 상기 교통정보시스템은 각종 지표들 및 경고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추후 이력 정보로서 활용할 수도 있고, 제 2 경고 정보 제공시 안전성 통계 지표 뿐만 아니라 도로 교통 상황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들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실시예의 교통정보시스템은 아래의 수학식 4와 같은 경고 정보 지수(Warning Information Index, WII)를 더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09038990811-pat00007
위 수학식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경고 정보 지수(WII)는 경고 정보 시스템의 운영 시간 중 경고 정보가 제공되는 시간의 비율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SSM을 위한 임계값을 높게 설정하면 교통 사고 발생의 개연성이 매우 높은 교통상황에서만 운전자에게 경고 정보가 제공되므로, 경고 정보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교통 사고를 유발하는 교통 상황을 모두 검지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상기 SSM을 위한 임계값을 낮게 설정하면 모든 위험 상황을 검지할 수 있으나, 경고 정보의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경고 정보는 도로 환경에 맞도록 적절한 시간 동안 제공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실제 실험을 통하여 획득될 수 있다. 즉, 실제 실험을 통하여 경고 정보 제공 시간을 적절하게 설정하여 교통정보시스템을 최적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경고 정보 지수(WII)는 상기 교통정보시스템의 최적화를 하는 데 있어서 기준 지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고 정보 지수(WII)는 도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하게 설정될 수도 있지만, 도로 환경에 따라 도로 구간 별로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고 정보(메시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지능형 교통정보시스템은 영상 검지 장치(100) 및 지역 제어기(102)를 포함한다.
영상 검지 장치(100)는 영상 검지 구간(110) 내의 제 1 차량들(120)에 대한 영상을 검지한다.
지역 제어기(102)는 상기 검지된 영상을 이용하여 제 1 경고 정보 및 제 2 경고 정보를 생성한다. 즉, 제 2 경고 정보를 교통정보센터(104)에서 생성하였던 제 1 실시예에서와 달리, 본 실시예의 교통정보시스템에서는 지역 제어기(102)가 제 2 경고 정보 또한 생성한다.
이어서, 지역 제어기(102)는 상기 제 1 경고 정보 및 상기 제 2 경고 정보를 포함하는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경고 메시지를 긴급 영향권(112) 내의 제 2 차량들(122)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경고 메시지는 지역 제어기(102)의 위치 정보, 긴급 영향권(112)의 영역 설정 정보 및 일반 영향권(114)의 영역 설정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차량들(122)은 상기 경고 메시지의 영역 설정 정보 등을 통하여 자신이 긴급 영향권(112)에 위치함을 파악하고, 상기 경고 정보들 중 제 1 경고 정보(예를 들어, 도 8(A)에 도시된 정보)만을 내부 단말기,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장치 등을 통하여 디스플레이시킨다. 결과적으로, 제 2 차량들(122)은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계속하여, 제 2 차량들(122)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경고 메시지를 일반 영향권(114) 내의 제 3 차량들(124)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제 2 차량들(122)은 수신된 경고 메시지를 가공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긴급 영향권(112) 내의 제 2 차량들(122) 중 원거리에 있는 제 2 차량(122b)만이 상기 경고 메시지를 제 3 차량들(124)로 전송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교통정보시스템의 전력 소모가 감소되고 통신 장애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제 3 차량들(124)은 상기 경고 메시지의 영역 설정 정보 등을 통하여 자신이 일반 영향권(114)에 위치함을 파악하고, 상기 경고 정보들 중 제 2 경고 정보(예를 들어, 도 8(B)에 도시된 정보)만을 내부 단말기,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장치 등을 통하여 디스플레이시킨다. 결과적으로, 제 3 차량들(124)은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요컨대, 본 실시예의 교통정보시스템은 상기 경고 정보들을 차량간 정보 전달 방식, 예를 들어 애드혹(ad-hoc) 전달 방식을 통하여 긴급 영향권(112) 및 일반 영향권(114)에 존재하는 운전자들에 제공할 수 있다.
위에서는, 상기 경고 정보들을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통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설명하지 않았으나, 상기 경고 정보들은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서도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역 제어기(102)가 아닌 교통정보센터가 상기 경고 메시지를 긴급 영향권(112) 내의 제 2 차량들(122)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다만, 신속한 정보 전달을 고려할 때 상기 교통정보센터보다는 지역 제어기(102)가 상기 경고 메시지를 제 2 차량들(122)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 제어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지역 제어기(102)는 제어부(900), 통신부(902), 분석부(904), 안전성 평가 지표부(906), 상충 위험도 결정부(908), 경고 정보부(910) 및 교통 정보부(912)를 포함한다.
통신부(902)는 영상 검지 장치(100), 교통정보센터(104) 및 차량들(122 또는 124)과의 연결 통로이며, 유선 방식 또는 무선 방식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분석부(904)는 영상 검지 장치(100)에 의해 검지된 영상을 분석하여 영상 검 지 구간(110) 내의 제 1 차량들(120) 각각에 대한 속도 및 정지 거리 등을 검출한다.
안전성 평가 지표부(906)는 분석부(904)에 의한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안전성 평가 지표(SSM), 예를 들어 SDI, TTC 등을 산출한다.
상충 위험도 결정부(908)는 상기 산출된 안전성 평가 지표(SSM)를 이용하여 상충 위험도의 레벨을 결정한다.
경고 정보부(910)는 상기 상충 위험도가 일정 레벨 이상되면 제 1 경고 정보를 통신부(902)를 통하여 긴급 영향권(112)의 제 2 차량들(122)에 제공한다.
교통 정보부(912)는 상기 안전성 평가 지표(SSM)를 이용하여 안전성 통계 지표, 예를 들어 RSI, RSTI 등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안전성 통계 지표를 통신부(902)를 통하여 교통정보센터(104)로 전송한다.
제어부(900)는 지역 제어기(102)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교통정보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교통정보시스템은 지역 제어기(1000), 교통정보센터(1002) 및 디스플레이 장치들(1020 및 1022)을 포함한다.
제 1 실시예에서는 영상 검지 장치(100)와 지역 제어기(102)가 별도로 존재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영상 검지 기능과 경고 정보 제공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통합형 지역 제어기(1000)가 제공된다.
즉, 지역 제어기(1000)는 영상 검지 구간(1010) 내의 제 1 차량들에 대한 영 상을 검지하고, 상기 검지 영상을 이용하여 제 1 경고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제 1 경고 정보를 긴급 영향권(1012) 내의 제 2 차량들에 제공한다.
또한, 지역 제어기(102)는 안전성 통계 지표, 예를 들어 RSI, RSTI 등을 교통정보센터(1002)로 전송한다.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의 평가 지표 산출 방법, 경고 정보 제공 방법 등은 본 실시예의 교통정보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서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0의 지역 제어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지역 제어기(1000)는 제어부(1100), 통신부(1102), 영상 검지부(1104), 분석부(1106), 안전성 평가 지표부(1108), 상충 위험도 결정부(1110), 경고 정보부(1112) 및 교통 정보부(1114)를 포함한다.
통신부(1102)는 교통정보센터(1102) 및 차량들과의 연결 통로이며, 유선 방식 또는 무선 방식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영상 검지부(1104)는 영상 검지 구간(1010) 내의 제 1 차량들에 대한 영상을 특정 주기로 검지한다.
분석부(1106)는 영상 검지부(1104)에 의해 검지된 영상을 분석하여 영상 검지 구간(1010) 내의 제 1 차량들 각각에 대한 속도 및 정지 거리 등을 검출한다.
안전성 평가 지표부(1108)는 분석부(1106)에 의한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안전성 평가 지표(SSM), 예를 들어 SDI, TTC 등을 산출한다.
상충 위험도 결정부(1110)는 상기 산출된 안전성 평가 지표(SSM)를 이용하여 상충 위험도의 레벨을 결정한다.
경고 정보부(1112)는 상기 상충 위험도가 일정 레벨 이상되면 제 1 경고 정보를 통신부(1102)를 통하여 긴급 영향권(1012)의 제 2 차량들에 제공한다.
교통 정보부(1114)는 상기 안전성 평가 지표(SSM)를 이용하여 안전성 통계 지표, 예를 들어 RSI, RSTI 등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안전성 통계 지표를 통신부(1102)를 통하여 교통정보센터(1002)로 전송한다.
제어부(1100)는 지역 제어기(1000)의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교통정보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고 정보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경고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충 위험도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경고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반 영향권으로 제 2 경고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고 정보(메시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 제어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교통정보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0의 지역 제어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Claims (14)

  1. 영상 검지 구간의 차량을 검지하는 단계;
    상기 검지 결과를 통하여 선행 차량과 후행 차량의 정지 거리들 또는 선행 차량 및 후행 차량의 속도에 따른 충돌 예상 시간을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정지 거리들의 비교 또는 상기 검출된 충돌 예상 시간이 기설정된 제 2 임계값 이상인 지의 여부를 통하여 교통 사고 발생 가능성 판단의 지표인 안전성 평가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정지 거리들의 비교에 따른 안전성 평가 지표 및 상기 충돌 예상 시간과 상기 제 2 임계값의 비교에 따른 안전성 평가 지표 중 적어도 하나와 제 1 임계값의 비교를 통하여 상기 후행 차량의 위험도 지표인 상충 위험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상충 위험도 판단의 기준이 된 안전성 평가 지표가 상기 제 1 임계값 이하인 경우 제 1 경고 정보를 긴급 영향권에 존재하는 차량들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긴급 영향권은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영상 검지 구간 이후의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교통정보시스템에서 경고 정보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검지는 영상 검지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안전성 평가 지표의 산출, 상기 상충 위험도의 획득 및 상기 제 1 경고 정보의 제공은 지역 제어기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제 1 경고 정보는 차선별로 위험도를 별도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교통정보시스템에서 경고 정보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모든 단계들은 지역 제어기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제 1 경고 정보는 차선별로 위험도를 별도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교통정보시스템에서 경고 정보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성 평가 지표의 산출은 지역 제어기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경고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지역 제어기가 상기 산출된 안전성 평가 지표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1 안전성 통계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지역 제어기가 상기 산출된 제 1 안전성 통계 지표를 교통정보센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교통정보센터는 상기 전송된 제 1 안전성 통계 지표를 집계 및 가공하여 제 2 안전성 통계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교통정보센터는 상기 산출된 제 2 안전성 통계 지표가 기설정된 제 3 임계값 이상인 경우 제 2 경고 정보를 일반 영향권의 차량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일반 영향권은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긴급 영향권 이후의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교통정보시스템에서 경고 정보 제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성 평가 지표는 안전 거리를 이용하는 정지 거리 지표(Stopping Distance Index, SDI) 또는 충돌 시점을 이용하는 충돌 시점 지표(Time to Collision, TTC)이고, 상기 제 1 안전성 통계 지표로서 실시간 안전 지표(Real-time Safety Index, RSI)는 개별 차량이 상기 영상 검지 구간을 주행하는 데 소요되는 총시간 대비 상기 정지 거리 지표(SDI)에 따라 불안전(Unsafe) 구간으로 지정된 총시간의 비율을 의미하고 RSTI는 개별 차량이 상기 영상 검지 구간을 주행하는 데 소요되는 총시간 대비 상기 충돌 시점 지표(TTC)에 따라 불안전 구간으로 지정된 총시간의 비율을 의미하되,
    상기 상충 위험도의 레벨은 상기 정지 거리 지표(SDI) 및 상기 충돌 시점 지표(TTC)를 모두 고려함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교통정보시스템에서 경고 정보 제공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 제어기는 상기 제 1 경고 정보를 제 1 가변 전광 장치(variable messasge signs, VMS)를 통하여 상기 긴급 영향권 내의 차량들로 제공하며, 상기 교통정보센터는 상기 제 2 경고 정보를 제 2 가변 전광 장치를 통하여 일반 영향권 내의 차량들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교통정보시스템에서 경고 정보 제공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교통정보센터가 경고정보지수(Warning Information Index, WII)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경고정보지수(WII)는 상기 교통정보시스템의 운영시간 대비 경고 정보 제공 시간의 비율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교통정보시스템에서 경고 정보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고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지역 제어기가 상기 산출된 상충 위험도의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지역 제어기가 상기 결정된 레벨에 따라 다른 내용의 제 1 경고 정보를 상기 긴급 영향권의 차량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상충 위험도의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안전성 평가 지표인 정지 거리 지표(SDI)에 따라 안전(Safe)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상충 위험도를 제 1 위험도(Lv.0)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정지 거리 지표(SDI)에 따라 불안전(Unsafe)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TTC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충돌 시점 지표(TTC)가 안전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상충 위험도를 제 2 위험도(Lv.1)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충돌 시점 지표(TTC)가 불안전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충돌 시점 지표(TTC)를 해당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충돌 시점 지표(TTC)가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상충 위험도를 제 3 위험도(Lv.2)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충돌 시점 지표(TTC)가 상기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상충 위험도를 제 4 위험도(Lv.3)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지역 제어기는 상기 상충 위험도가 제 1 위험도(Lv.0) 또는 제 2 위험도(Lv.1)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 1 경고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며 상기 상충 위험도가 제 3 위험도(Lv.2) 또는 제 4 위험도(Lv.3)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 1 경고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교통정보시스템에서 경고 정보 제공 방법.
  9. 제 1 항에서, 상기 경고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긴급 영향권의 차량은 상기 제 1 경고 정보에 해당하는 제 3 경고 정보를 일반 영향권의 차량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일반 영향권은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긴급 영향권 이후의 영역이고, 상기 긴급 영향권의 차량에는 차선별로 위험도가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일반 영향권의 차량에는 통합적인 위험도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교통정보시스템에서 경고 정보 제공 방법.
  10. 영상 검지 구간의 차량 검지 결과를 통하여 선행 차량과 후행 차량의 정지 거리들 또는 선행 차량 및 후행 차량의 속도에 따른 충돌 예상 시간을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정지 거리들의 비교 또는 상기 검출된 충돌 예상 시간이 기설정된 제 2 임계값 이상인 지의 여부를 통하여 교통 사고 발생 가능성 판단의 지표인 안전성 평가 지표를 산출하는 안정성 평가 지표부;
    상기 정지 거리들의 비교에 따른 안전성 평가 지표 및 상기 충돌 예상 시간과 상기 제 2 임계값의 비교에 따른 안전성 평가 지표 중 적어도 하나와 제 1 임계값의 비교를 통하여 상기 후행 차량의 위험도 지표인 상충 위험도를 결정하는 상충 위험도 결정부; 및
    상기 상충 위험도에 따른 경고 정보를 긴급 영향권의 차량으로 제공하는 경고 정보부를 포함하되,
    상기 긴급 영향권은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영상 검지 구간 이후의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교통정보시스템에 있어서 지역 제어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성 평가 지표는 안전 거리에 따른 정지 거리 지표(Stopping Distance Index, SDI) 및 충돌 시점에 따른 충돌 시점 지표(Time to Collision, TTC)를 포함하며,
    상기 상충 위험도 결정부는 상기 정지 거리 지표(SDI)에 따라 안전(Safe)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상충 위험도를 제 1 위험도(Lv.0)로 결정하고, 상기 정지 거리 지표(SDI)에 따라 불안전(Unsafe)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충돌 시점 지표(TTC)를 판단하여 상기 충돌 시점 지표(TTC)가 안전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상충 위험도를 제 2 위험도(Lv.1)로 결정하며, 상기 충돌 시점 지표(TTC)가 불안전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충돌 시점 지표(TTC)를 해당 임계값과 비교하여 상기 충돌 시점 지표(TTC)가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상충 위험도를 제 3 위험도(Lv.2)로 결정하고, 상기 충돌 시점 지표(TTC)가 상기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상충 위험도를 제 4 위험도(Lv.3)로 결정하되,
    상기 경고 정보부는 상기 상충 위험도가 제 1 위험도(Lv.0) 또는 제 2 위험도(Lv.1)로 결정된 경우 상기 경고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며 상기 상충 위험도가 제 3 위험도(Lv.2) 또는 제 4 위험도(Lv.3)로 결정된 경우 상기 경고 정보를 상기 긴급 영향권의 차량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교통정보시스템에 있어서 지역 제어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 제어기는,
    상기 정지 거리 지표(SDI) 및 상기 충돌 시점 지표(TTC)를 통하여 실시간 안전 지표(Real-time Safety Index, RSI) 및 RSTI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실시간 안전 지표(RSI) 및 RSTI를 가지는 교통 정보를 교통정보센터로 전송하는 교통 정보부를 포함하되,
    상기 실시간 안전 지표(RSI)는 개별 차량이 상기 영상 검지 구간을 주행하는 데 소요되는 총시간 대비 상기 정지 거리 지표(SDI)에 따라 불안전(Unsafe) 구간으로 지정된 총시간의 비율을 의미하고, 상기 RSTI는 개별 차량이 상기 영상 검지 구간을 주행하는 데 소요되는 총시간 대비 상기 충돌 시점 지표(TTC)에 따라 불안전 구간으로 지정된 총시간의 비율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교통정보시스템에 있어서 지역 제어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정보는 상기 긴급 영향권에 제공될 위험도 정보 뿐만 아니라 일반 영향권에 제공될 위험도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일반 영향권은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긴급 영향권 이후의 영역이며, 상기 긴급 영향권의 차량은 상기 제공된 경고 정보에 해당하는 경고 정보를 상기 일반 영향권의 차량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교통정보시스템에 있어서 지역 제어기.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 제어기는,
    상기 영상 검지 구간에 존재하는 차량들을 검지하는 영상 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교통정보시스템에 있어서 지역 제어기.
KR1020090057645A 2009-06-26 2009-06-26 지능형 교통정보시스템 및 이에 있어서 경고 정보 제공 방법 KR101061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645A KR101061059B1 (ko) 2009-06-26 2009-06-26 지능형 교통정보시스템 및 이에 있어서 경고 정보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645A KR101061059B1 (ko) 2009-06-26 2009-06-26 지능형 교통정보시스템 및 이에 있어서 경고 정보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238A KR20110000238A (ko) 2011-01-03
KR101061059B1 true KR101061059B1 (ko) 2011-09-01

Family

ID=43609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7645A KR101061059B1 (ko) 2009-06-26 2009-06-26 지능형 교통정보시스템 및 이에 있어서 경고 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10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8775A (ko) * 2017-12-27 2019-07-05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에서의 충돌 위험 알림 장치 및 방법
US10350998B2 (en) 2015-11-23 2019-07-16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interface for vehicle safety function control
KR102244143B1 (ko) * 2020-12-17 2021-04-2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기계학습한 엣지 서버환경에서 블랙아이스, 포트홀, 안개 등을 포함하는 도로 상태를 파악하여 사고발생을 예측함으로써 교통사고를 예방하는 사고발생 예측 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19670B2 (en) * 2014-08-29 2016-12-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road risk indices generation
KR102587119B1 (ko) * 2016-08-16 2023-10-10 한국과학기술원 차량 주행관리 시스템, 차량 주행관리를 위한 클라이언트 장치, 서버 장치 및 방법
KR101987184B1 (ko) * 2018-11-09 2019-06-11 유수정보통신 주식회사 Vms 및 cctv를 이용하여 위험상황을 관리하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
KR102016537B1 (ko) * 2019-05-09 2019-08-30 주식회사 맥서브 도로 및 터널에 설치되어 cctv 영상을 기반으로 교통을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
KR102095884B1 (ko) * 2019-10-31 2020-04-0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차량의 거동 정보 기반 도로위험지표 산출 방법 및 그 장치
KR102530654B1 (ko) * 2021-01-12 2023-05-10 주식회사 노타 Cctv카메라를 이용한 음주운전 차량 인식 방법 및 대응 시스템
KR102426233B1 (ko) * 2022-03-03 2022-07-29 주식회사 제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사용자 단말 기반의 지능형 도로 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
KR102504048B1 (ko) * 2022-08-22 2023-02-28 마스코리아 주식회사 실시간 도로 상황 사고 위험도 판단에 따른 사고 위험도 알림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9169A (ja) * 2001-09-26 2003-04-11 Mitsubishi Heavy Ind Ltd 道路情報提供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9169A (ja) * 2001-09-26 2003-04-11 Mitsubishi Heavy Ind Ltd 道路情報提供システ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50998B2 (en) 2015-11-23 2019-07-16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interface for vehicle safety function control
KR20190078775A (ko) * 2017-12-27 2019-07-05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에서의 충돌 위험 알림 장치 및 방법
KR102008398B1 (ko) * 2017-12-27 2019-08-0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에서의 충돌 위험 알림 장치 및 방법
KR102244143B1 (ko) * 2020-12-17 2021-04-2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기계학습한 엣지 서버환경에서 블랙아이스, 포트홀, 안개 등을 포함하는 도로 상태를 파악하여 사고발생을 예측함으로써 교통사고를 예방하는 사고발생 예측 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2131439A1 (ko) * 2020-12-17 2022-06-2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기계학습한 엣지 서버환경에서 블랙아이스, 포트홀, 안개 등을 포함하는 도로 상태를 파악하여 사고발생을 예측함으로써 교통사고를 예방하는 사고발생 예측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238A (ko) 2011-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1059B1 (ko) 지능형 교통정보시스템 및 이에 있어서 경고 정보 제공 방법
EP3745378B1 (en) Automatic driving safety assessment method, device and system
JP6112054B2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及び電子機器の制御プログラム
CN108986546B (zh) 一种车辆事故预警方法及其服务器
CN105848981B (zh) 用于车辆的驾驶员辅助方法和系统
KR101399026B1 (ko) 차선 변경 시 위험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951569B (zh) 一种绿波通行方法和装置
EP3416147B1 (en) Method for providing drowsiness alerts in vehicles
KR101362706B1 (ko) 차량의 직진 주행성 확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54797A (ko) 추월 차선에서의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101956B1 (ko) 보행자 검지를 이용한 어린이보호구역 단속시스템
JP2010086070A (ja) 道路交通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
JP3882541B2 (ja) 運転者将来状況予測装置
JP2009003766A (ja) 車両用交差点警報出力装置及び交差点警報出力システム
KR20180073211A (ko) 트램 우선신호를 위한 신호시간 산정방법
JPH1153696A (ja) カーブ路警報装置
JP2009048564A (ja) 車両位置予測装置
JP3854881B2 (ja) 渋滞回避支援装置
JP6860757B2 (ja) 交差点通過制御システム
KR20090040636A (ko) 역주행방지시스템
JP6040761B2 (ja) 速度規制支援システム及び速度規制支援方法
JP2019079150A (ja) 危険予兆判定装置、危険予兆判定システム、車両、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087249A (ja) 車載用渋滞警報装置
JP2006323876A (ja) 運転者将来状況予測装置
JP5471836B2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