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9321B1 - 해면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mmp―9또는 mmp―2의 과다발현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해면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mmp―9또는 mmp―2의 과다발현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9321B1
KR101059321B1 KR1020080110411A KR20080110411A KR101059321B1 KR 101059321 B1 KR101059321 B1 KR 101059321B1 KR 1020080110411 A KR1020080110411 A KR 1020080110411A KR 20080110411 A KR20080110411 A KR 20080110411A KR 101059321 B1 KR101059321 B1 KR 101059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mp
sponge
extract fraction
overexpression
dis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0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1303A (ko
Inventor
장현욱
김철호
손종근
서석종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110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9321B1/ko
Publication of KR20100051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1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9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9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0Fish, e.g. seahorses; Fish eg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면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MMP-9 또는 MMP-2의 과다발현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해면 추출 분획물이 혈관신생에 직접 관여하는 세포외기질분해효소 (matrix metalloproteinase; MMP)-9 및 MMP-2를 억제하고, MMP-9의 발현을 매개하는 p-ERK 시그널을 억제하며, NF-κB 핵 내 이동을 억제하는 바, MMP-9 또는 MMP-2의 과다발현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해면, MMP-9, MMP-2, 종양, 혈관신생, 심혈관, 염증

Description

해면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MMP―9 또는 MMP―2의 과다발현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sponge as an active ingredient for treating and preventing the disease caused by overexpressed MMP-9 or MMP-2 }
본 발명은 해면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MMP-9 또는 MMP-2의 과다발현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tetler-Stevenson et al., Tumor cell interactions with the extracellular matrix during invasion and metastasis. Annu. Rev. Cell. Biol. 9, pp.541-573, 1993
[문헌 2] Matrisian, L. M. Metalloproteinases and their inhibitors in matrix remodeling. Trends. Genet. 6, pp.121-125, 1990
[문헌 3] Beeley N.R.A. et al., Nature, 362, pp.839-841, 1993
[문헌 4] Backstrom J.R et al., J Neurosci, 16(24), pp.7910-9, 1996
[문헌 5] Woessner J.G., Jr. FASEB J, 5, pp.2145-2154, 1991
[문헌 6]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2002-71674호
[문헌 7] Newby A.C. et al., J Pathol, 190, pp.300-9, 2000
[문헌 8] Bendeck M.P. et al., Circ Res, 75, pp.539-45, 1994
[문헌 9] Cho A. et al., Circ Res, 91, pp.845-51, 2002
[문헌 10] Galis Z.S.et al., Circ Res, 1, pp.852-9, 2002
[문헌 11] Senior R.M. et al., J Biol Chem, 266, pp.7870-5, 1991
[문헌 12] Okada Y. et al., J Biol Chem, 267, pp.21712-9, 1992
[문헌 13] Galis Z.S. et al., Circ Res, 75, pp.181-9, 1994
[문헌 14] Fabunmi R.P. et al., Biochem J, 315, pp.335-42, 1996
[문헌 15] Cho A. et al.,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20, pp.2527-32, 2000
[문헌 16] Faisal Khan K.M. et al., J Biol Chem, 277, pp.2353-9, 2002
[문헌 17] Moon S.K. et al., Biochem Biophys Res Commun, 301, pp.1069-78, 2003
[문헌 18] Moon S.K. et al., J Cell Physiol, 198, pp.417-27, 2004
[문헌 19] Bond M. et al., FEBS Lett, 435, pp.29-34, 1998
[문헌 20] Menno P. J. et al., 25, pp.904-914, 2005
[문헌 21] Sennett S.H. In: Marine Chemical Ecology, McClintock JB, Baker BJ, eds. (Boca Raton, FL: CRC Press), pp.523-542, 2001
[문헌 22] Page M.J. et al., Aquaculture, 250, pp.256-269, 2005
[문헌 23] Ettinger-Epstein P. et al., J Nat Prod, 70, pp.648-651, 2007
[문헌 24] Gunasekera S.P. et al., J Nat Prod, 65, pp.1643-8 2002
[문헌 25] Suh, U.H. et al., Ochnaflavone inhibits TNF-alpha-induced human VSMC proliferation via regulation of cell cycle, ERK1/2, and MMP-9. J Cell Biochem, 99, pp.1298-1307, 2006
[문헌 26] U.H. Jin et al., Inhibitory effect of Salvia miltiorrhia BGE on matrix metalloproteinase-9 activity and migration of TNF-alpha-induced human aortic smooth muscle cells. Vascular Pharmacol, 44, pp.345-53, 2006
[문헌 27] S.J. Suh et al., Raphanus sativus and its isothiocyanatesinhibit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proliferation and induce G(1) cell cycle arrest. Int Immunopharmacol, 6, pp.854-61, 2006
세포외기질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 MMP)류는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의 여러 가지 성분을 분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MMP류에 의하여 매개되는 질환으로는 동맥경화증, 재협착증, MMP-매개 골감소증, 중추신경계의 염증질환, 피부노화, 류마티스성 관절염, 폐혈증성 관절염, 각막궤양, 이상 창상 유합, 골질환, 단백뇨증, 복대동맥류 질환, 외상성 관절 손상에 따른 퇴행성 연골손실, 신경계의 수초탈락 질환, 간경변, 신사구체 질환, 배태막의 미성숙 파열, 염증성 장질환, 치근막 질환, 노화와 관련된 황반 변성, 당뇨성 망막변성, 증식성 유리체 망막병증, 미성숙 망막병증, 안과 염증, 원추 각막, 쇼그렌 증후군, 근시, 안과 종양, 염증, 안구건조증, 각막이식 거부, 혈관신생, 암의 침윤과 전이 등이 있다(tetler-Stevenson et al., Tumor cell interactions with the extracellular matrix during invasion and metastasis. Annu. Rev. Cell. Biol. 9, pp.541-573, 1993).
이러한 MMP류 중에서 특히 MMP-2와 MMP-9는 타입 IV 콜라겐에 특이적으로 작용하여 동맥경화증, 재협착증, 류마티스성 관절염, 폐혈증성 관절염, 각막궤양, 이상 창상 유합, 복대동맥류 질환, 외상성 관절 손상에 따른 퇴행성 연골손실, 신경계의 수초탈락 질환, 간경변, 배태막의 미성숙 파열, 염증성 장질환, 치근막 질환, 노화와 관련된 황반 변성, 당뇨성 망막변성, 증식성 유리체 망막병증, 미성숙 망막병증, 안과 염증, 원추 각막, 쇼그렌 증후군, 근시, 안과 종양, 염증, 안구건조증, 각막이식 거부, 혈관신생, 비만, 암의 침윤과 전이, 뇌졸증, 종양생장 질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atrisian, L. M. Metalloproteinases and their inhibitors in matrix remodeling. Trends. Genet. 6, pp.121-125, 1990).
또한 척수액에서 MMP-9의 수준은 다발성 경화증 및 기타 신경성 질환과 관련되어 있으며(Beeley N.R.A. et al., Nature, 362, pp.839-841, 1993), 또한 아밀로이드 베타단백질을 분해하여 축적시키는데도 기여한다고 알려져 있다(Backstrom J.R et al., J Neurosci, 16(24), pp.7910-9, 1996).
뿐만 아니라, MMP-9은 인체종양, 혈관신생관련 질환(비만, 안구건조증, 백내장), 심혈관질환 및 염증, 암 침윤과 전이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암의 전이와 침윤은 악성암세포의 기본적인 특성이다. 암은 초기에 전이뿐만 아니라 혈관으로 침윤을 일으킨다. 암세포는 침윤과 전이 과정에서 몇 가지 중요한 단계를 거친다. 이들 과정 중에서 암조직을 둘러싸는 세포외기질과 기저막은 암의 침윤에 있어서 벽으로 간주되므로 기저막(basement membrane)을 구성하는 세포외기질의 분해가 본질적인 초기 단계이다. 여러 가지 단백질 분해효소가 이 과정에 관여하여 외부환경 장벽인 세포외기질(ECM)과 기저막의 분해를 통하여 최종단계에 이른다 (Woessner J.G., Jr. FASEB J, 5, pp.2145-2154, 1991). 그러나 세포에서 분비되는 것은 비활성형의 프로 MMP-9로써 이것은 우로키나제-타입 프라즈미노겐 활성자(urokinase-type plasminogen activator, uPA)에 의한 프라즈미노겐(plasminogen)의 활성형의 생성(plasmin)을 포함한 일련의 효소 활성화를 통해서 활성화된다. 활성화된 MMP-9은 암세포의 침윤 능을 증진시킨다(대한민국 특허공보 제2002-71674호).
한편 MMP-2와 MMP-9의 발현이 동맥경화에도 관련이 있음이 알려져 있으며 MMP 단백질의 발현과 혈관평활근세포의 증식과 혈관내막으로의 이동과의 관련성이 연구 되어져 있다. 혈관 벽의 손상에 의해 증가된 단백질분해활성은 혈관평활근세포를 둘러싸고 있는 세포외기질(ECM)의 분해를 촉매하며, 또한 이것은 혈관평활근세포가 혈관내막으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과정이다(Newby A.C. et al., J Pathol, 190, pp.300-9, 2000). 혈관손상에 반응하여 이러한 장해부위의 발달의 매개자로서 MMP-2(72 kDa)와 MMP-9(92 kDa) gelatinases가 연관된다. 랫트의 혈관손상 모델에서 MMP-9은 랫트(Rat)의 경동맥 손상 후 6시간 내에 발현되었고 6일 동안 발현이 지속되었다. 한편 MMP-2의 활성은 손상 4일 후 증가하였다(Bendeck M.P. et al., Circ Res, 75, pp.539-45, 1994). 최근의 유전자의 녹아웃 (Knockout)연구로부터 나타난 사실은 MMP-9이 혈관평활근세포의 증식과 이동을 조절하는 능력으로 인해 혈관벽 손상의 발달에 결정적인 것으로 보고되었다(Cho A. et al., Circ Res, 91, pp.845-51, 2002; Galis Z.S.et al., Circ Res, 1, pp.852-9, 2002). 또한 MMP-2와 MMP-9이 비슷한 기질 특이성이 있지만 그들의 발현에서 차이점이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Senior R.M. et al., J Biol Chem, 266, pp.7870-5, 1991; Okada Y. et al., J Biol Chem, 267, pp.21712-9, 1992). MMP-2는 평활근세포를 포함하여 여러 세포타입에서 구성적으로 발현되며 그것의 발현은 사이토카인이나 성장인자에 의해 유도되지 않는다 (Galis Z.S. et al., Circ Res, 75, pp.181-9, 1994; Fabunmi R.P. et al., Biochem J, 315, pp.335-42, 1996). MMP-9의 발현은 이와 반대로 서 로 다른 수 개의 실험실에서 이루어진 결과에 의하면 MMP-9의 발현은 기본적으로 낮으며, TNF-α의 처리에 의해 유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Cho A. et al.,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20, pp.252732, 2000). 또한, MMP-9을 조절하는 신호 전달경로의 연구는 몇가지 다른 유도 물질을 처리했을때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인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1/2 (ERK1/2), p38 그리고 PI-3 kinase 등의 경로가 MMP-9 의 발현에 중요하다는 것이 증명되었으며, 특히 혈관평활근세포(VSMC)에서 TNF-α와 Nerve growth factor(NGF)가 ERK1/2의 경로를 통해서 MMP-9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이 밝혀졌다(Cho A. et al.,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20, pp.2527-32, 2000; Faisal Khan K.M. et al., J Biol Chem, 277, pp.2353-9, 2002). 한편 이전의 연구들에서 나타나듯이 혈관평활근세포에서 TNF-α에 의해 유도된 MMP-9의 프로모터 활성은 AP-1과 NF-κB에 의해서 매개된다(Moon S.K. et al., Biochem Biophys Res Commun, 301, pp.1069-78, 2003; Moon S.K. et al., J Cell Physiol, 198, pp.417-27, 2004; Bond M. et al., FEBS Lett, 435, pp.29-34, 1998). 게다가 NF-κB는 TNF-α나 IL-1β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 유전자들의 활성화에 관여하는 핵심전사인자이다. 그래서 NF-κB 활성화에 관련되는 신호전달 경로 및 NF-κB의 활성에 의존하는 다양한 단백질들의 거동연구를 통해 동맥경화를 억제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Menno P. J. et al., 25, pp.904-914, 2005).
해면은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이 필요한 수산원료로서, 다양하고 강력한 생리활성 성분을 다량함유하고 있어 이들 유효성분의 개발로 부가가치 창출이 기대 된 다. 해면의 고부가가치 활용을 위해 질병예방치료에 도움이 되는 새로운 기능성 식품 소재화 기술 개발, 관련 산업을 육성 발전이 필요하다.
해면(marine sponge, porifera)은 동물분류상 가장 하위에 있으며 후생동물중 가장 체재가 간단하며 감각세포나 신경세포를 가지고 있지 않다. 특히 지중해의 해면이 잘 알려져 있으며 Euspongia officinalis 는 욕실에서 사용되는 해면이다. 해면으로부터 상당수의 해양 천연물질들이 분리되었으며 또한 다양한 대사과정으로부터 풍부한 구조적인 다양성을 가진 생물 활성 화합물들을 제공한다. 스폰지로부터 천연물의 동정은 의료 및 산업의 선도적인 역할을 하는 중요 자원의 하나가 되나, 이들 물질들은 극소량으로 존재하는 물질이 많기 때문에 연구 및 산업화가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Sennett S.H. In: Marine Chemical Ecology, McClintock JB, Baker BJ, eds. (Boca Raton, FL: CRC Press), pp.523-542, 2001; Page M.J. et al., Aquaculture, 250, pp.256-269, 2005). 따라서 해면 천연물질의 종 사이의 변화(interspecific variation)에 대한 연구와 그들의 생성 기작(mechanism)에 대한 이해가 원하는 해면의 seeding 및 배양의 최적화를 위한 선결 조건이 될 수 있다. 그중의 하나로 Luffariella variabilis라는 해면동물은 강력한 항염증작용을 가진 물질인 마노아라이드(manoalide)계열의 물질을 생산하나 이들의 공급은 채집에 의해 이루어진다 (Ettinger-Epstein P. et al., J Nat Prod, 70, pp.648-651, 2007). 따라서 이들 물질의 화학적인 다양성과 생육환경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1990년대 바하마 해변에서 수집된 Discoderma species에서 동정된 (+)디스코덜모라이드(discodermolide)는 면역억제와 세포분열억제제로서 작용한다는 것이 알려졌으며 더하여 시험관 내 실험에서 파시텍솔(Pacitaxol)에 저항성인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한다는 것이 밝혀져 있다(Gunasekera S.P. et al., J Nat Prod, 65, pp.1643-8 2002).
우리나라에서도 다양한 자원의 보고인 해양 생물로부터 생물학적 활성을 가지는 물질들을 스크리닝하고 기능과 구조를 밝히는 연구가 시급히 필요하며 특히 연근해의 해면을 해양자원의 하나로서 개발하고 활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동맥경화와 암의 전이 과정에서 중요한 병리학적 타겟의 하나로 알려져 있는 MMP-9과 MMP-2에 대한 길항작용을 가지는 생리활성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수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해양 폐자원의 활용 및 생리활성물질의 새로운 재료를 개발하고 연구하기 위해, 인체종양, 혈관신생관련 질환 (비만, 안구건조증, 백내장), 심혈관질환 및 염증, 동맥경화와 암 발생기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알려져 있는 matrix metalloproteinase-9 (MMP-9)과 MMP-2를 타겟으로 하여, 이의 길항작용을 가지는 해면 추출 분획물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아직 해면 추출 분획물의 인체종양, 혈관신생관련 질환 (비만, 안구건조증, 백내장), 심혈관질환, 염증 및 동맥경화(artherosclerosis)예방 치료 활성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가 없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해면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MMP-9 또는 MMP-2에 대한 억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해면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MMP-9 또는 MMP-2의 과다발현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해면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MMP-9 또는 MMP-2의 과다발현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해면은 호박해면(Cliona celata), 예쁜이 해면(Callyspongia elegans), 석회해면류(Calcarea), 육방해면류(Glass sponge), 보통해면류(Demospongiae), 목욕해면류(Euspongia officinalis), 각질해면류(Keratosa), 주황해변해면(Halichondria japonica) 또는 회색해변해면(H. panicea), 바람직하게는 호박해면(Cliona celata)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추출 분획물은 해면의 극성용매 가용 추출 분획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 분획물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상기 극성용매 가용 추출 분획물은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되어진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메탄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가용한 추출 분획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부탄올 가용 추출 분획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상기 비극성 용매 가용 추출 분획물은 헥산,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바람직하게는 헥산 또는 에틸아세테이트에 가용한 추출 분획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MMP-9 또는 MMP-2의 과다발현에 기인한 질환은 급.만성 염증성 질환, 심혈관질환, 동맥경화증, 재협착증, 류마티스성 관절염, 폐혈증성 관절염, 각막궤양, 이상 창상 유합, 복대동맥류 질환, 외상성 관절 손상에 따른 퇴행 성 연골손실, 신경계의 수초탈락 질환, 간경변, 배태막의 미성숙 파열, 치근막 질환, 노화와 관련된 황반 변성, 기도염증, 망막변성, 증식성 유리체 망막병증, 미성숙 망막병증, 원추 각막, 쇼그렌 증후군, 근시, 안과 종양, 안구건조증, 각막이식 거부, 혈관신생, 비만, 암의 침윤과 전이, 뇌졸중 또는 종양생장 질환 등이며, 바람직하게는 급.만성 염증성 질환, 심혈관질환, 동맥경화증, 류마티스성 관절염, 복대동맥류 질환, 기도염증, 망막변성, 증식성 유리체 망막병증, 미성숙 망막병증, 암의 침윤과 전이, 뇌졸중 또는 종양생장 질환, 보다 바람직하게는 급.만성 염증성 질환, 심혈관질환, 동맥경화증, 류마티스성 관절염, 기도염증, 망막변성 또는 암의 침윤과 전이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추출 분획물을 수득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추출 분획물은 해면을 세척 및 세절한 후, 추출용매로서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메탄올을 건조된 해면 중량의 약 1 내지 5배(w/v),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배를 가하여, 5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90℃에서, 더 바람직하게는 60℃에서 20시간 내지 30시간, 바람직하게는 24시간 동안 냉침추출,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냉각 추출, 가열추출 등, 바람직하게는 냉침 추출 또는 열수추출법으로 추출한 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본 발명의 해면 조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얻은 해면 조추출물, 바람직하게는 해면 메탄올 조추출물을 중량의 30 내지 50배,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45배 부피(w/v)의 물에 현탁시킨 후,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을 순차적으로 물과 동량 부피를 가하여 1 내지 5회,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회 분획하여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비극성 용매에 가용한 비극성 용매 가용 추출 분획물; 및 부탄올, 물 등의 극성용매에 가용한 극성 용매 가용 추출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해면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MMP-9 또는 MMP-2에 대한 억제제를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상기 억제제는 MMP-9 또는 MMP-2의 효소 활성 또는 효소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상기 억제제는 MMP-9 또는 MMP-2 발현을 위한 전사 또는 프로모터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해면 추출 분획물의 MMP-9 또는 MMP-2에 대한 억제제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해면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MMP-9 또는 MMP-2의 과다발현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출 분획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 분획물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상태 및 질환의 종류 및 진행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 분획물 자체는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 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추출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 분획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 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1일 0.5 g/kg 내지 5 g/kg으로, 바람직하게는 1 g/kg 내지 3 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해면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MMP-9 또는 MMP-2의 과다발현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출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MMP-9 또는 MMP-2의 과다발현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약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 분획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 분획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1 내지 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해면 추출 분획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해면 추출 분획물이 혈관신생에 직접 관여하는 세포외기질분해효소 (matrix metalloproteinase; MMP)-9 및 MMP-2를 억제하고, MMP-9의 발현을 매개하는 p-ERK 시그널을 억제하며, NF-κB 핵내 이동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MMP-9 또는 MMP-2의 과다발현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참고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참고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참고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해면 메탄올 조추출물의 제조
동해안에서 채취한 신선한 호박해면(Cliona celata) 260g을 물로 세척하여 100% 메탄올 1ℓ를 넣고 60℃에서 24시간 침지시키고, 실온에서 2시간동안 3회 추출한 후, 감압, 농축 및 건조하여 해면 메탄올 조추출물 13g(수율 : 5%, 이하, "P-M"이라 함).
실시예 2. 해면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 분획물의 제조
2-1. 해면 헥산 추출 분획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P-M 중 12g을 500mL의 증류수에 현탁시킨 후, 2000mL의 분획깔대기에 부은 다음, 동량의 헥산을 넣어 잘 섞이도록 흔들어 물층과 헥산층으로 분리하였으며, 이 과정을 3회 반복하였다. 감압, 농축 및 건조하여 해면의 헥산 추출 분획물 1.2g(수율 : 10% 이하, "P-H"라 함) 및 수가용성 분획물을 수득하였고, 하기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2-2. 해면 에틸아세테이트 추출 분획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2-1의 수가용성 분획물에 에틸아세테이트 500 mL를 넣어 3회 반복 추출하는 점만 제외하고, 실시예 2-1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해면 에틸아세테이트 추출 분획물 0.25g(수율 : 2.31% 이하, "P-E"라 함)와 수가용성 분획물을 수득하였고, 하기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3. 해면 극성용매 가용 추출 분획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2-2의 수가용성 분획물에 부탄올 500 mL를 넣어 3회 반복 추출 하는 점만 제외하고, 실시예 2-1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해면 부탄올 추출 분획물 2.0g(수율 : 18.96% 이하, "P-B"라 함)와 수가용성 분획물 7.4g(수율 : 86.55% 이하, "P-W"라 함)을 수득하였고, 하기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추출 분획물들을 DMSO(dimetylsulfoxide)에 녹여서 활성검정에 사용하였다.
참고예 1. 실험용 세포 배양
인간 간암세포(2.4×103 cells,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MD, USA)와 HASMC(2.2×103 cells, Human Aortic Smooth Muscle Cells; Bio-Whittaker Co., San Diego, CA, USA)를 10% 열처리된 소태아혈청(FBS; Gibco-BRL, USA), 페니실린(100units/㎖), 스트렙토마이신(100μg/㎖) 및 중탄산나트륨(sodium bicarbonate, 2.2g/ℓ)이 함유된 DMEM 배지(Gibco-BRL, USA)에서 37℃, 5% CO2 배양기(CO2 incubator-2, Astec Co., Japan)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실험예 1. 해면 추출 분획물 내의 글라이코리피드 유사물질 확인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해면 추출 분획물의 유효성분을 확인하기 위해 하기와 같이 박층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TLC)를 수행하였다. Whatman 사의 HP-K 실리카겔(silica gel: size 10 cm x 10 cm: thickness 200μ)을 사용하였으며, 해면 추출 분획물을 전개용매(클로로포름(30):메탄올(60):물(8))에 녹여 점적하였고, 전개가 끝난 후 황산 희석액으로 발색하였다.
실험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추출 분획물을 클로로포름(30):메탄올(60):물(8)의 용매에서 전개하여 표준 강글리오사이드 당지질(GM3, GM1, GM2, GD3, 락토실세라미드(LC))과 비교해본 결과, 비슷한 위치로 전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표준물질로 사용한 글라이코리피드 GM1, GM2, GM3 및 LC등의 물질 혹은 유사물질이 존재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해면 추출 분획물의 세포 독성 시험
해면 추출 분획물이 인간 간암세포와 HASMC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XTT법((Boehringer Mannheim, Mannheim, Germany)(Suh, U.H. et al., Ochnaflavone inhibits TNF-alpha-induced human VSMC proliferation via regulation of cell cycle, ERK1/2, and MMP-9. J Cell Biochem, 99, pp.1298-1307, 2006))으로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세포증식검정은 시판중인 증식검정 킷트-II(XTT, Boehringer Mannhein, Germany)를 구입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참고예 1에서 배양된 인간 간암세포와 HASMC 세포를 96웰 배양플레이트(T-2, NUNC CO., Sweden)에서 100㎕의 DMEM 배지 당 103개의 세포를 접종하여 24시간동안 배양한 뒤, 플레이트상의 배지를 버리고 여러 가지 농도(0, 125, 250, 500 및 1000μg/ml)의 해면 추출 분획물이 첨가된 100㎕ 용량의 새로운 배지를 대체하였다. 플레이트를 5% CO2로 유지하고 24시간동안 37 ℃에서 습도유지 배양기(CO2 incubator-2, Astec Co., Japan)에서 보온 배양하였다. 배양 후에 배지를 버리고 세포를 PBS 생리식염수로 세척하여 5㎖의 XTT-표식시약((Boehringer Mannheim, Mannheim, Germany)(sodium 3′-[1-(phenyl-aminocarbonyl)-3,4-tetrazolium]-bis(4-methoxy-6-nitro) benzenesulfonic acid hydrate 및 N-methyl dibenzopyrazine methyl sulfate, 50:1혼합))과 100㎕의 전자결합(electron coupling)시약을 혼합하여 조제한 XTT시약 50㎕를 각각의 웰에 첨가하였다. 이를 다시 37℃, 5% CO2 배양기에서 4시간동안 보온하여 ELISA 측정기(Molecular Devices, USA)로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래프는 해면 추출 분획물을 첨가하지 않은 군을 대조군으로 하여 세포증식을 백분율로 나타내었고, 각 데이터는 3번의 독립적인 실험을 실시하여 평균치 ±SD로 나타내었다. 따라서 상기의 해면 추출 분획물은 인간 간암세포와 HASMC에 대해 별다른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해면 추출 분획물의 인간간암세포와 인간평활근세포(HASMC)에서의 MMP-9 및 MMP-2 억제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해면 추출 분획물이 MMP-9과 MMP-2의 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TNF-α로 유도한 인간 간암세포와 HASMC의 조건배지에 다양한 농도의 해면 추출 분획물을 처리하여 젤라틴 자이모그래피 방법(U.H. Jin et al., Inhibitory effect of Salvia miltiorrhia BGE on matrix metalloproteinase-9 activity and migration of TNF-alpha-induced human aortic smooth muscle cells. Vascular Pharmacol, 44, pp.345-53, 2006)으로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상기 참고예 1에서 배양된 인간 간암세포(1×105cells/well)와 HASMC 세포(1×105cells/well)를 PBS 생리식염수(NaCl 137mM, KCl 27mM, Na2HPO4 10mM, KH2PO4 2mM; Sigma, St. Louis, USA)로 세척한 후, 100 ng/㎖ TNF-α 존재 하에서 해면 추출 분획물 (500, 1000 μg/ml)을 처리하여 24시간동안 무혈청 DMEM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그 후 각각의 인간 간암세포와 HASMC 세포배양액으로부터 얻은 조건배지 (상기 DMEM배지) 20 μl를 62.5mM Tris-HCl(pH 6.8), 10% 글리세롤, 2% SDS 및 0.00625%(w/v) 브로모페놀블루(bromophenol blue)가 함유된 완충액 5 μl에 재희석하였다. 그리고 이 용액 25 μl을 0.1%(w/v) 젤라틴이 함유된 10% 폴리아크릴아미드 젤에 가열하지 않고 2시간동안 전기영동(Amersham Bioscience Co., NJ, USA, Might Small II)하였다. 그 후에 젤을 실온에서 2.5% Triton X-100(2 X 30min)에 담근 후, NanoPure 증류수로 세척하고 젤을 반응용 완충액(50mM Tris-HCl(pH 7.5), 200mM NaCl, 2.5mM CaCl2)에 침지시켜 37℃에서 24시간동안 보온하고 쿠마시 브릴리언트 블루(coomassie brilliant blue; Sigma, St. Louis, USA)R-250로 염색하여 효소활성에 해당하는 흰 밴드를 확인하였다. 활성부분에 해당하는 흰색 밴드의 밝기로 MMP-9과 MMP-2의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분자량은 예비 염색한 SDS-PAGE 마커와 비교하여 추정하였다(도 5 참조).
실험결과, 도 5에서와 같이 젤라틴 자이모그래피에서 얻은 밴드의 강도가 해면 추출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세포에 P-H를 직접 처리하였을 때는 MMP-9에 대한 IC50은 375 ㎍/㎖ 로 나타났으며 MMP-2에 대한 IC50은 652 ㎍/㎖로 나타났다. 또한 P-E를 직접 처리하였을 때는 MMP-9에 대한 IC50은 232 ㎍/㎖, MMP-2에 대한 IC50은 615 ㎍/㎖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해면 추출 분획물의 MMP-9 및 MMP-2 효소활성에 미치는 효과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해면 추출 분획물의 MMP-9과 MMP-2의 젤라틴 분해활성에 대한 억제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TNF-α를 처리한 인간 간암세포와 HASMC 세포배양액으로부터 얻은 상기 실험예 3의 조건배지 (DMEM 배지)를 62.5mM Tris-HCl(pH 6.8), 10% 글리세롤(glycerol), 2% SDS 및 0.00625%(w/v) 브로모페놀블루가 함유된 같은 완충액에 재희석하였다. 그리고 이 용액을 0.1%(w/v) 젤라틴이 함유된 10% 폴리아크릴아미드 젤에 가열하지 않고 전기영동 하였다. 전기영동 후에 젤을 실온에서 2.5% Triton X-100(2 X 30min)에 담근 후, NanoPure 증류수로 세척하고 젤을 슬라이스 조각으로 세절하여 다양한 농도(0, 500 및 1000 μg/ml)의 해면 추출 분획물을 함유한 반응용 완충액(50mM Tris-HCl(pH 7.5), 200mM NaCl, 2.5mM CaCl2)에 침지시켜 37℃에서 24시간동안 보온하였다. 쿠마시 브릴리언트 블루 R-250로 염색하여 효소활성에 해 당하는 흰 밴드를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도 6과 도 7에서 알 수 있듯이 젤라틴 자이모그래피에서 얻은 밴드의 강도가 해면 추출 분획물의 첨가에 따라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P-H의 MMP-9에 대한 IC50은 276 ㎍/㎖으로 나타났으며 MMP-2에 대한 IC50은 889 ㎍/㎖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P-E의 MMP-9에 대한 IC50은 198 ㎍/㎖로 나타났고, MMP-2에 대한 IC50은 412 ㎍/㎖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해면 추출 분획물로부터 TNF-α로 유도한 MMP-9의 발현을 매개하는 p-ERK 시그널의 억제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해면 추출 분획물이 인간 간암세포와 HASMC의 MMP-9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주요 신호전달물질(Signal molecule)인 ERK 단백질의 인산화 억제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문헌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웨스튼 블랏(S.K. Moon et al., ERK1/2 mediates TNF-induced matrix metalloproteinase-9 expression in human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via the regulation of NF-B and AP-1: Involvement of the ras dependent pathway. J Cell Physiol, 198, pp.417-27, 2004)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상기 참고예 1에서 배양된 인간 간암세포(1×105cells/well)와 HASMC(1×105cells/well)를 PBS 생리식염수로 세척하여 상기 실험예 3의 무혈청 조건배지 (DMEM 배지)에 100 ng/㎖ TNF-α 존재하에서, 해면 추출 분획물 1000 ㎍/㎖을 5분, 15분, 30분의 시간 간격으로 처리하였다. 시료가 처리된 세포를 PBS 생리식염수로 2회 세척하고 단백질 추출을 위하여 Lipa 버퍼(Tris-HCl: 50 mM, pH 7.4; NP-40: 1%; 데옥시콜린산 나트륨(Na-deoxycholate): 0.25%; NaCl: 150 mM; EDTA: 1 mM; PMSF: 1 mM; 아프로티닌(Aprotinin), 류펩틴(leupeptin), 펩스타틴(pepstatin): 1 ㎍/㎖ each; Na3VO4: 1 mM; NaF: 1 mM , 5mM)를 사용하여 용해(lysis)한 후, Dc protein assay kit(Bio-rad, CA)를 사용하여, 시약(reagent) A 30 μl와 2 μl의 상기 용해물을 혼합하여 96well Elisa 마이크로플레이트에 넣은 후, 다시 200 μl의 시약 B를 투여하여 섞어준 뒤, 15분을 방치하고 OD 7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표준단백질인 BSA(bovine serum albumin)의 흡광도와 비교하여 단백질의 량을 측정하였다. 정량된 샘플을 나이트로셀룰로오스막(Nitrocellulose membrane; Amersham co.)에 블랏하고 p-ERK와 ERK 항체를 사용하여 웨스턴 블랏으로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1000 ㎍/㎖의 해면 에틸아세테이트 추출 분획물은 TNF-α 처리 후 5분과 15분에 유도되는 ERK의 인산화를 거의 완전히 저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6. 해면 추출 분획물의 NF-κB 핵 내 이동 억제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해면 추출 분획물이 NF-κB의 큰 소단위체(large subunit)인 p65의 핵 내 이동 억제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Schreiber 등(1989)이 소개한 방법(S.J. Suh et al., Raphanus sativus and its isothiocyanatesinhibit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proliferation and induce G(1) cell cycle arrest. Int Immunopharmacol, 6, pp.854-61, 2006)으로 핵단백질을 분리하여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상기 참고예 1에서 배양된 세포(1×105cells/well)는 PBS 생리 식염수로 세척하여 상기 실험예 3의 무혈청 조건배지에 100 ng/㎖ TNF-α 존재하에서, 300, 700, 1000 μg/ml 농도의 해면 추출 분획물을 6시간 전처리하고, TNF-α100 ng/㎖를 30분간 처리한 후, 충분히 자란 세포를 1ml의 PBS 완충액으로 2번 세척한 후, 0.5ml의 PBS를 처리하고 스크레이퍼(scraper)로 긁어 EP tube로 옮긴다. 용액A (HEPES: 10mM, pH7.9; KCl: 10mM; EDTA: 0.1 mM; EGTA: 0.1mM) 400 μl에, 사용직전 디티오트레이톨(DTT; dithiotreitol) 1mM, PMSF(phenylmethylsulfonyl fluoride) 0.5mM, protease cocktail(apropriate concentration)을 첨가하여 사용하였으며, 0.5% Nonidet NP40(Sigma)와 혼합하여 세포막을 용해시킨 후, 15분동안 6,000rpm으로 원심분리하여 핵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핵에서 단백질을 녹이기 위하여 용액C(HEPES: 20mM, pH7.9; NaCl: 0.4M; EDTA: 1mM; EGTA:1mM ) 50 μl을 사용하였으며, 사용직전 DTT 1mM, PMSF 1mM, protease inhibitor cocktail(apropriate concentration)을 첨가하여 핵단백질을 추출한 후, -70 ℃에 보관하였다.
실험결과,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분리된 핵단백질을 웨스턴 블랏으로 분석해본 결과, p65는 TNF-α를 처리함에 따라 핵 내로의 이동도가 증가하였고, 해면 에틸아세테이트 추출 분획물을 처리한 샘플에서는 처리량에 따라 p65의 핵 내 이동이 저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기에 본 발명의 해면 추출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P-M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P-H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P-E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P-B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P-M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P-H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P-E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이 발명을 지원한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고유번호]
20070008
[부처명]
한국해양수산기술진흥원
[연구사업명]
수산특정개발사업
[연구과제명]
해면 및 극피동물로부터 만성질환 치료제 산업화 기술개발
[주관기관]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기간]
2007년 09월 20일 ~ 2010년 09월 19일
도 1은 다양한 용매를 사용하여 해면 추출물을 분획하는 과정을 설명한 도이며,
도 2는 해면 추출 분획물을 TLC(thin layer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분획한 결과 도이고,
도 3은 해면 헥산 추출 분획물의 인간 간암세포 및 동맥평활근세포에서의 세포증식억제 효과를 XTT 어세이로 측정한 도이며,
도 4는 해면 에틸아세테이트 추출 분획물의 인간 간암세포 및 동맥평활근 세포에서의 세포증식억제 효과를 XTT 어세이로 측정한 도이고,
도 5는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α, TNF-α)로 유발된 간암세포 및 동맥평활근세포의 metalloproteinase-9(MMP-9) 생산을 해면 추출 분획물로 억제한 것을 보여주는 자이모그래프 결과 도이며,
도 6은 자이모 그래피를 이용하여 해면 헥산 추출 분획물의 인간 간암세포 및 동맥평활근 세포에서의 MMP-9과 MMP-2에 대한 효소저해 활성을 측정한 도이고,
도 7은 자이모 그래피를 이용하여 해면 에틸아세테이트 추출 분획물의 인간 간암세포 및 동맥평활근 세포에서의 MMP-9과 MMP-2에 대한 효소저해 활성을 측정한 도이며,
도 8은 해면 추출 분획물이 TNF-α로 유발된 인간 간암세포 및 동맥평활근세포의 p-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p-ERK)를 억제한 것을 보여주는 웨스튼 블랏(Western Blot) 결과 도이고,
도 9는 MMP-9 유전자의 promoter 위치의 모식도(A)와 해면 추출 분획물이 NF-κB의 핵 내 이동을 저해하는 것을 보여주는 웨스튼 블랏 결과 도(B)이다.

Claims (9)

  1. 삭제
  2. 동해안에서 채취한 호박해면(Cliona celata)의 헥산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MMP-9 또는 MMP-2의 과다발현에 기인한 급·만성 염증성 질환, 심혈관질환, 동맥경화증, 류마티스성 관절염, 기도염증, 망막변성암의 침윤과 전이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동해안에서 채취한 호박해면(Cliona celata)의 헥산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MMP-9 또는 MMP-2의 과다발현에 기인한 급·만성 염증성 질환, 심혈관질환, 동맥경화증, 류마티스성 관절염, 기도염증, 망막변성암의 침윤과 전이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80110411A 2008-11-07 2008-11-07 해면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mmp―9또는 mmp―2의 과다발현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1059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411A KR101059321B1 (ko) 2008-11-07 2008-11-07 해면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mmp―9또는 mmp―2의 과다발현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411A KR101059321B1 (ko) 2008-11-07 2008-11-07 해면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mmp―9또는 mmp―2의 과다발현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1303A KR20100051303A (ko) 2010-05-17
KR101059321B1 true KR101059321B1 (ko) 2011-08-24

Family

ID=42277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0411A KR101059321B1 (ko) 2008-11-07 2008-11-07 해면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mmp―9또는 mmp―2의 과다발현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93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18625B2 (en) 2016-07-07 2021-02-16 Kookmin University Industry Academy Cooperation Foundation Use of sesquiterpene derivativ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J Am Chem Soc*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18625B2 (en) 2016-07-07 2021-02-16 Kookmin University Industry Academy Cooperation Foundation Use of sesquiterpene deriva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1303A (ko) 2010-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45423A1 (en) Compounds for the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osteoarthrosis
JP2014094917A (ja) インフラマソーム活性制御剤
KR101561552B1 (ko) 리그난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70035B1 (ko) 상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IL-1β에 의한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959731B1 (ko)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73265B1 (ko) 개머루덩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il-6 매개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059321B1 (ko) 해면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mmp―9또는 mmp―2의 과다발현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20190070844A (ko) 마늘 추출 분획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관련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579820B1 (ko) 퀘시아 운둘라타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또는 암 전이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KR20140142580A (ko) 질려자로부터 분리한 엔-트랜스-로우-카페오일 티라민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62135B1 (ko) 신규한 디노익산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841541B1 (ko) 황기 추출물 및 지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60056415A (ko)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676761B1 (ko) 신남알데히드 유도체 화합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539978B1 (ko) 크로멘-4-온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형성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KR101470613B1 (ko) 라티폴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37344B1 (ko) 삼채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20130059860A (ko) 육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형성 증가 효과를 가지는 식품첨가물
KR20170092490A (ko) 4-하이드록시-2,3-디메틸-2-노넨-4-올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996184B1 (ko) 마늘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보조 치료제
KR102141426B1 (ko) 플로레틴-4-o-글로코시드를 포함하는 골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65699B1 (ko) 마늘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28977B1 (ko) 모노올레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777497B1 (ko) 4-하이드록시-2,3-디메틸-2-노넨-4-올라이드 또는 3-하이드록시-4,7-메가스티그마디엔-9-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852054B1 (ko) 시스-3-헥센알을 포함하는, 암 줄기세포 성장 억제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