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8091B1 -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에서의 중간집하시스템 - Google Patents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에서의 중간집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8091B1
KR101058091B1 KR1020090040698A KR20090040698A KR101058091B1 KR 101058091 B1 KR101058091 B1 KR 101058091B1 KR 1020090040698 A KR1020090040698 A KR 1020090040698A KR 20090040698 A KR20090040698 A KR 20090040698A KR 101058091 B1 KR101058091 B1 KR 101058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ection
collection
garbage
central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0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1819A (ko
Inventor
이광윤
송택근
Original Assignee
(주)대우건설
주식회사 대우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우건설, 주식회사 대우엔텍 filed Critical (주)대우건설
Priority to KR1020090040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8091B1/ko
Publication of KR20100121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1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65F5/005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by pneumatic means, e.g.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65G53/46Gates or sluices, e.g. rotary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52Adaptations of pipes or tubes
    • B65G53/56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66Use of indicator or control devices, e.g. for controlling gas pressure, for controlling proportions of material and gas, for indicating or preventing jamming of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화된 쓰레기 자동집하처리시설에서 중앙집하장 및 주관로의 고장이나 사고로 인하여 쓰레기 이송이 불가능할 경우, 일정구역의 섹션별로 이동식 차량을 이용하여 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도록 한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에서의 중간집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쓰레기 투입시설과 중앙집하장 사이에 배치되고, 쓰레기 투입시설의 섹션별로 이동식 차량접속이 가능한 중간집하실의 내부에 플랩과 상기 플랩 구동용 모터를 갖는 관로 전환부를 갖추고, 쓰레기를 섹션별 관로로부터 중앙집하장 관로로 이동시키거나, 섹션별 관로로부터 이동 수거관로로 쓰레기를 이동시키도록 유로변경을 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쓰레기 자동집하처리시설에서 주관로 및 중앙집하장의 고장과 같은 비상시에 효율적으로 쓰레기를 수거하고, 해당 섹션 내 쓰레기가 저류되는 투입구의 배출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주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기존 중앙집하장에서 개별 투입구의 쓰레기를 이송하기 위한 송풍기를 가동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쓰레기 자동집하처리시설의 유지관리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가 얻어진다.
Figure R1020090040698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중간집하시스템, 중앙집하장, 플랩, 중간집하실

Description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에서의 중간집하시스템{COMPLEX REFUSE COLLECTION SYSTEM IN AUTOMATIC REFUSE COLLECTION EQUIPMENT}
본 발명은 쓰레기 자동집하처리시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대형화된 쓰레기 자동집하처리시설에서 중앙집하장 및 주관로의 고장이나 사고로 인하여 쓰레기 이송이 불가능할 경우, 일정구역의 섹션별로 이동식 차량을 이용하여 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도록 한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에서의 중간집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처리시설은 투입구와 지하관로를 이용하여 중앙집하장까지 이송하는 고정식 시스템과 투입구와 지하관로만으로 구성된 이동식 시스템이 있다.
이와 같은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에서는 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는 거리가 배관경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1.5 ~ 2 km가 시스템 한계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일정 구역을 섹션으로 구분하는데 운전시 송풍기의 능력을 감안하여 섹션을 정한다. 섹션밸브 이후 관로를 통상 주관로라고 하며, 중앙집하장까지 연결되어 있다. 또한 투입구의 저류용량은 일반쓰레기는 12시간 기준의 저장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주관로 나 중앙집하장에서 12시간 이상이 필요한 전기단전, 시설의 파손 등에 의한 사고발생시에는 쓰레기의 정상적인 수거가 불가능하게 된다.
최근 아파트나 주상복합건물이 단지화 되고 규모가 커지면서, 이러한 보다 넓은 대형 시스템에 쓰레기 자동집하처리시설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가운데 지역에 중앙집하장을 건설하여 관로의 길이를 감소시키고, 1일 2회 이송에 적절한 투입구의 저류용량을 산정하는 것이 요구된다. 광역의 쓰레기 자동집하처리 시스템 내 쓰레기 수거에 있어서, 하나의 중앙집하장 시설을 적용하고, 혐오시설 회피현상, 소위 님비(Not In My Back Yard)현상에 의해 중앙집하장수를 줄이고, 외곽지역으로 이동함에 따라 관로길이가 길어지며, 투입구수가 늘어나고, 이에 따른 가동시간이 길어지는등 지역 내 발생되는 모든 쓰레기를 이송하고 수거하는 것이 어렵게 되고 있다.
도 1은 쓰레기 자동집하시설(1)에서 섹션(A,A')의 투입시설로부터 중앙집하장(B)으로의 쓰레기 수송관로 공정 계통도이다. 즉 상기 섹션(A, A')내의 쓰레기 투입구(10)에 배출된 쓰레기는 일정 기간 후에 주관로(20)를 통하여 중앙집하장(B)으로 집하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각각의 섹션(A, A')내 투입구(10)에 적치된 쓰레기들이 중앙집하장(B)으로 이송되는 순서는 아래와 같다. 먼저 각각의 섹션(A, A')으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 및 일반쓰레기는 중앙집하장(B) 내에서 관로전환밸브(30)를 통해 해당 쓰레기 컨테이너(40, 50)로 각각 이송되며, 이때 상기 쓰레기의 이송은 상기 중앙집하장(B)내에 마련된 송풍기(60)를 이용한 공기 흡입으로 이 루어진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집하장(B) 내 컨테이너(40, 50)의 수는 배출되는 쓰레기 용량에 따라 결정되며, 쓰레기 용량이 많을 경우에 그 대수는 증가한다. 상기 컨테이너(40, 50) 내로 적치되는 쓰레기는 적절한 컨테이너 리프트 장치(65)와 적절한 운송 수단(70)을 이용하여 최종 처리장으로 이송된다.
또한 상기 송풍기(60)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송풍기(60)의 후단에 제공되는 필터장치(80) 및 악취제거장치(90)를 통과하면서 쓰레기 이송시 비산되는 먼지, 쓰레기 파편, 악취 등이 제거된 후에 대기로 방출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쓰레기 자동집하시설(1)에서 쓰레기 투입구(10)의 저류용량은 모든 주민들의 쓰레기 배출특성을 반영하기에는 어려운 경우가 많아 저류용량이 한계에 달해 쓰레기를 투입구(10)에 제때 투입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쓰레기를 적절하게 이송하기 위해서는 수시로 송풍기(60)를 수시로 가동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되는데 이런 경우는 송풍기의 용량(60)이 큰 관계로 유지관리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쓰레기가 집하되는 장소가 하나의 중앙집하장(B)으로 이송되므로 중앙집하장(B)의 기계 고장이나 주관로(20)의 사고발생시는 집하장으로 이송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즉 섹션(A,A')의 투입시설 후단의 주관로(20) 및 중앙집하장(B)의 고장시에는 수거가 불가능하게 되어 섹션(A,A')의 투입구(10)에 쓰레기를 투입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대형화된 시스템에서 중앙집하장이나 주관로의 비상시에 대비하고, 중앙집하장으로 원거리 이송되는 쓰레기의 중간 섹션지역에 설치되어 부분적인 투입구내 쓰레기를 이동식 차량을 이용하여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수거할 수 이도록 개선된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에서의 중간집하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앙집하장의 송풍기 가동 횟수를 줄여서 전체적으로 가동비용을 낮추고, 경제적인 운영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에서의 중간집하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에서의 중간집하 시스템은 쓰레기 투입시설과 중앙집하장 사이에 배치되고, 쓰레기 투입시설의 섹션별로 이동식 차량접속이 가능한 중간집하실; 상기 중간 집하실의 내부에서 각각의 섹션별 관로에 장착되고, 각각의 상기 섹션별 관로를 중앙집하장 관로와 이동 수거관로로 나누며, 상기 중앙집하장 관로와 이동 수거관로의 사이에 배치되어 쓰레기를 중앙집하장 관로 또는 이동 수거관로로 방향전환시키는 플랩과 상기 플랩 구동용 모터를 갖는 관로 전환부; 및 상기 섹션별 관로, 중앙집하장 관로 및 이동수거관로의 각각을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밸브들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들과 관로 전환부의 모터를 제어하여 쓰 레기가 상기 섹션별 관로로부터 중앙집하장 관로로 이동하거나, 섹션별 관로로부터 이동 수거관로로 이동하도록 유로변경을 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중간집하실에서 이동 수거관로를 통하여 차량으로 쓰레기를 수거하고, 중앙집하장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주관로 및 중앙집하장의 고장과 같은 비상시에 효율적으로 쓰레기를 수거하고, 해당 섹션 내 쓰레기가 저류되는 투입구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며 유지관리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장치는 중간집하실의 내부에 배치되고, 작업자가 상기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밸브들과 관로 전환부의 모터를 조작하여 쓰레기가 상기 섹션별 관로로부터 중앙집하장 관로로 이동하거나, 섹션별 관로로부터 이동 수거관로로 이동하도록 유로변경하고 차량으로 쓰레기를 수거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작업자는 차량을 이용하여 섹션별로 쓰레기를 수거하고, 해당 섹션 내 쓰레기가 저류되는 투입구의 배출을 원활하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로 전환부는 상기 섹션별 관로에 Y형의 케이싱을 장착하여 중앙집하장 관로와 이동 수거관로를 구분하고,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중앙집하장 관로와 이동 수거관로의 사이에 플랩을 배치하며, 상기 케이싱과 각각의 섹션별 관로, 중앙집하장 관로와 이동 수거관로의 사이에는 단면이 점차 축소되는 테이퍼부를 구비하여 쓰레기의 이동중에 케이싱과 관로에 가하는 충격을 감소시킨 것이다. 따라서 관로 전환부의 파손이 방지되고 지지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로 전환부는 이동 수거관로의 내부에서 슬라이딩이동하는 이중 구조의 내부관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관을 동작시키는 전기 솔레노이드 실린더를 포함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관은 이동 수거관로의 일측에 형성된 긴 구멍을 통하여 연결 브라켓이 돌출하여 상기 전기 솔레노이드 실린더의 로드에 연결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내부관이 관로 전환시 방향전환용 플랩을 쓰레기의 충격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로 전환부는 내부관이 구동수단에 의해서 하강작동시, 플랩이 중앙집하장 관로측으로 닫친 다음 내부관의 하단이 케이싱의 내측 바닥면까지 하강하여 상기 섹션별 관로를 이동 수거관로에 연결하고, 구동수단에 의해서 상승작동시 내부관이 이동 수거관로의 내부로 삽입된 다음, 플랩이 이동 수거관로측으로 닫쳐서 상기 섹션별 관로를 중앙집하장 관로에 연결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관로 전환시 방향전환용 플랩을 쓰레기의 충격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로 전환부는 Y형의 케이싱이 상하로 세워져서 하부측에 섹션별 관로와 중앙집하장 관로가 배치되고, 그 상부측에 섹션별 관로와 이동 수거관로가 배치되거나, 상기 Y형의 케이싱이 수평으로 눕혀져서 일측에 섹션별 관로와 중앙집하장 관로가 배치되고, 그에 나란하게 섹션별 관로와 이동 수거관로가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다양한 관로에 적용가능하고, 다양한 구조의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에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간집하시스템에 의하면 기존의 고정식 집하시스템에 이동 식 집하시스템을 제공함에 따라 주관로 및 중앙집하장의 고장과 같은 비상시에 효율적으로 쓰레기를 수거하고, 해당 섹션 내 쓰레기가 저류되는 투입구의 배출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주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기존 중앙집하장에서 개별 투입구의 쓰레기를 이송하기 위한 송풍기를 가동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유지관리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간집하시스템에 의하면 중앙집하장의 가동과는 무관하게 해당 섹션별로 쓰레기를 수거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섹션 내 쓰레기의 이송을 원활하게 하여 고효율적인 쓰레기 이송 처리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에서의 중간집하 시스템(100)은 기존의 고정식 시스템의 중앙집하장(B) 및 주관로(20)에서 이상 발생시, 쓰레기 투입시설의 일정구역에 이동식 시스템을 적용하여 비상시에 이동식 차량으로 수거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에서의 중간집하 시스템(10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형의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에서 쓰레기 수거 섹션(A, A')별로 여러 개의 중간집하실(120)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섹션(A, A')별로 마련된 각각의 중간집하실(120)에서 쓰레기의 이동식 간이 수거가 가능하고, 평상시에는 중앙집하장(B)으로의 쓰레기 수거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중간집하실(120)은 쓰레기 투입시설의 각각의 섹션(A, A')과 중앙집하장(B)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에는 이동식 차량접속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중간집하실(120)의 내부에는 각각의 섹션별 관로(152)에 관로 전환부(150)가 장착되는데, 이와 같은 관로 전환부(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상기 섹션별 관로(152)를 중앙집하장 관로(154)와 이동 수거관로(156)로 나누며, 상기 중앙집하장 관로(154)와 이동 수거관로(156)의 사이에는 관로 내부에서 쓰레기를 중앙집하장 관로(154) 또는 이동 수거관로(156)로 방향전환시키는 플랩(160)이 구비되고, 상기 플랩(160)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17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상기 관로 전환부(1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섹션별 관로(152)에 각각 Y형의 케이싱(158)을 장착하여 그 후방으로 중앙집하장 관로(154)와 이동 수거관로(156)를 구분하고, 상기 케이싱(158)의 내부에서 중앙집하장 관로(154)와 이동 수거관로(156)의 사이에 플랩(160)을 배치하며, 상기 플랩(160)을 모터(170)에 의해서 동작시켜 케이싱(158)의 내부에서 정역방향의 회전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관로 전환부(150)는 케이싱(158)과 각각의 섹션별 관로(152), 중앙집하장 관로(154)와 이동 수거관로(156)의 사이에 단면이 점차 축소되는 테이퍼부(158a)를 구비하는데, 이와 같은 테이퍼부(158a)는 각각 쓰레기의 이동중에 케이싱(158)과 관로에 가하는 충격을 감소시키게 된다. 즉 쓰레기는 30-40m/sec의 속 도로 관로를 이동하는데 곡관 및 Y자관 등에서는 쓰레기의 이송시 강한 충격을 받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테이퍼부(158a)는 쓰레기의 이송시 강한 충격이 케이싱(158)에 가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서 기기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에서의 중간집하 시스템(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섹션별 관로(152), 중앙집하장 관로(154) 및 이동수거관로의 각각을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밸브(180a)(180b)(180c)들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180a)(180b)(180c)들과 관로 전환부(150)의 모터(170)를 제어하여 쓰레기가 상기 섹션별 관로(152)로부터 중앙집하장 관로(154)로 이동하거나, 섹션별 관로(152)로부터 이동 수거관로(156)로 이동하도록 유로변경을 하는 제어장치(20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어장치(200)는 각각의 중간집하실(120)의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제어장치(200)를 통해 상기 밸브(180a)(180b)(180c)들과 관로 전환부(150)의 모터(170)를 조작할 수 있는데, 작업자는 밸브(180a)(180b)(180c)들의 조작과 플랩(160)의 방향전환을 통하여 쓰레기가 상기 섹션별 관로(152)로부터 중앙집하장 관로(154)로 이동하거나, 섹션별 관로(152)로부터 이동 수거관로(156)로 이동하도록 유로변경하고, 차량으로 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에서의 중간집하 시스템(10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집하장(B)으로부터 일정 구역의 섹션(A, A')별로 연차적으로 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고, 이와 같은 과정에서 주관로(20) 및 중앙집하장(B)의 기기고장과 같은 비상시, 또는 일부 섹션(A, A')의 쓰레기 투입구(10)에서 부분적으로 쓰레기 저류용량이 과도한 경우에는 해당 섹션(A, A')에서 배출되는 쓰레기를 중앙집하장(B)으로 곧바로 집하하지 않고, 중간집하실(120)에서 이동식 차량을 이용하여 쓰레기를 집하하게 된다.
본 발명은 대형의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에서 고정식 수거 및 이동식 수거 모두 주어진 상황에 따라서 가능하게 되며, 쓰레기의 집하 장소가 섹션(A, A')별로 분산수거가 가능해 쓰레기 수거 비상관리 및 처리가 용이해지는 이점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에서의 중간집하 시스템(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로 전환부(150)는 이동 수거관로(156)의 내부에서 슬라이딩이동하는 이중 구조의 내부관(210)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관(210)을 동작시키는 전기 솔레노이드 실린더(222a)를 포함하는 구동수단(220)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내부관(210)은 이동 수거관로(156)의 일측에 형성된 긴 구멍(212)을 통하여 연결 브라켓(214)이 돌출하여 상기 전기 솔레노이드 실린더(222a)의 로드(222b)에 연결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220)은 전기 솔레노이드 실린더(222a) 뿐만 아니라 공압식 또는 유압식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임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내부관(210)을 구비한 이중관 형태의 상기 관로 전환부(1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관(210)이 구동수단(220)에 의해서 하강작동시, 플랩(160)이 중앙집하장 관로(154)측으로 닫친 다음, 내부관(210)의 하단이 케이싱(158)의 내측 바닥면까지 하강하여 상기 섹션별 관로(152)를 이동 수거관로(156)에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220)에 의해서 상승작동시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관(210)이 이동 수거관로(156)의 내부로 삽입된 다음, 플랩(160)이 이동 수거관로(156) 측으로 닫쳐서 상기 섹션별 관로(152)를 중앙집하장 관로(154)에 연결하게 된다.
이와 같은 관로 전환부(150)는 수직형이나 수평형으로 각각 중간집하실(120)에 배치될 수 있는데, 수직형의 경우는 Y형의 케이싱(158)이 상하로 세워져서 하부측에 섹션별 관로(152)와 중앙집하장 관로(154)가 배치되고, 그 상부측에 섹션별 관로(152)와 이동 수거관로(156)가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수평형의 경우는 Y형의 케이싱(158)이 수평으로 눕혀져서 일측에 섹션별 관로(152)와 중앙집하장 관로(154)가 배치되고, 그에 나란하게 섹션별 관로(152)와 이동 수거관로(156)가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내부관(210)은 쓰레기가 30-40m/sec의 속도로 관로를 이동하게 되므로 플랩(160)에서 강한 충격을 받게 되지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관(210)이 하강하면 쓰레기의 이송충격으로부터 플랩(160)을 효과적으로 보호하여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에서의 중간집하 시스템(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섹션(A, A')내의 쓰레기 투입구(10)에 적치된 쓰레기들이 중앙집하장(B)으로 이송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중앙집하장(B)에서의 제어하에 정해진 섹션(A, A')별 소정의 순서대로 쓰레기 수집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경우, 각각의 섹션(A, A')별 중간집하실(120)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섹션별 관로(152)와 중앙집하장 관로(154)가 서로 연결되고, 도 3에서 섹션별 관로(152)와 중앙집하장 관로(154)의 밸브(180a)(180b)들은 열리고, 이동 수거관로(156)의 밸브(180c)는 닫쳐서 각각의 섹션(A, A')내의 쓰레기 투입구(10)에 적치된 쓰레기들이 중앙집하장(B)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이송과정에서 각각의 섹션(A, A')으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 및 일반쓰레기는 중앙집하장(B) 내에서 관로전환밸브(30)를 통해 해당 쓰레기 컨테이너(40, 50)로 각각 분리 이송되며, 상기 쓰레기의 이송은 상기 중앙집하장(B) 내의 송풍기(60)를 이용한 공기 흡입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중앙집하장(B) 내의 컨테이너(40, 50)의 수는 배출되는 쓰레기 용량에 따라 결정되며, 쓰레기 용량이 많을 경우에 그 대수는 증가한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40, 50) 내로 적치되는 쓰레기는 적절한 컨테이너 리프트 장치(65)와 적절한 운송 수단(70)을 이용하여 최종 처리장으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송풍기(60)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송풍기(60)의 후단에 제공되는 필터장치(80) 및 악취제거장치(90)를 통과하면서 쓰레기 이송시 비산되는 먼지, 쓰레기 파편, 악취 등이 제거된 후에 대기로 방출된다.
한편 이와 같은 과정에서 주관로(20) 상의 사고나 중앙집하장(B)의 기기 고장과 같은 비상시에는 중앙집하장(B)까지 쓰레기 이송이 불가능하며, 이때 본 발명의 중간집하 시스템(100)을 적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각각의 섹션(A, A')별 중간집하실(120)에서는 도 6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섹션별 관로(152)와 이동 수거관로(156)가 서로 연결되고, 도 3에서 섹션별 관로(152)와 이동 수거관로(156)의 밸브(180a)(180c)들은 열리고, 중앙집하장 관로(154)의 밸브(180b)는 닫쳐서 각각의 섹션(A, A')내의 쓰레기 투입구(10)에 적치된 쓰레기들이 이동 수거관로(156)로 이송된다.
이때에는 이동식 차량(300)의 흡입관(310)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수거관로(156)에 연결한 후, 이동식 차량(300)의 송풍기(미 도시)를 가동하여 공기흡입이 시작되면서 음압이 형성되고, 해당 섹션(A, A')의 쓰레기를 이동시키는 공기 유량이 창출된다.
따라서 이로 인해 생성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해당 섹션(A, A')의 쓰레기가 이동 수거관로(156)를 통해 이송되며 이동식 차량(300)으로 흡입된다.
그리고 주관로(20) 상의 사고나 중앙집하장(B)의 기기 고장과 같은 비상 사태가 해소되면 다시 관로를 전환하여 중앙집하장(B)에서 쓰레기를 집하 처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고정식 집하시스템에 이동식 집하시스템을 제공함에 따라 주관로(20) 및 중앙집하장(B)의 고장과 같은 비상시에 효율적으로 쓰레기를 수거하고, 해당 섹션 내 쓰레기가 저류되는 투입구(10)의 배출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주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기존 중앙집하장(B)에서 개별 투입구(10)의 쓰레기를 이송하기 위한 송풍기(60)를 가동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유지관리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앙집하장(B)의 가동과는 무관하게 해당 섹션(A, A')별로 쓰레기를 수거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섹션 내 쓰레기의 이송을 원활하게 하여 고효율적인 쓰레기 이송 처리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전체의 쓰레기 수송관로 공정 계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간집하 시스템이 구비된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전체의 쓰레기 수송관로 공정 계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간집하 시스템에 구비된 관로 전환부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관로 전환부의 상세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간집하 시스템의 관로 전환부에 이중관 구조의 내부관이 구비되고, 구동수단이 갖춰진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중간집하 시스템의 관로 전환부에서 섹션별 관로를 이동 수거관로에 연결한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중간집하 시스템의 관로 전환부에서 섹션별 관로를 중앙집하장 관로에 연결한 구조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10..... 쓰레기 투입구
20.... 주관로 30..... 관로전환밸브
40,50..... 쓰레기 컨테이너 60..... 송풍기
65.... 컨테이너 리프트 장치 70..... 운송 수단
80.... 필터장치 90..... 악취제거장치
100....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에서의 중간집하 시스템
120.... 중간집하실 150..... 관로 전환부
152.... 섹션별 관로 154..... 중앙집하장 관로
156.... 이동 수거관로 158..... 케이싱
158a.... 테이퍼부 160..... 플랩
170.... 모터 180a,180b,180c.... 밸브
200.... 제어장치 210.... 내부관
212.... 긴 구멍 214.... 연결 브라켓
220.... 구동수단 222a.... 전기 솔레노이드 실린더
222b... 로드 300..... 이동식 차량
310.... 흡입관 A, A'.... 쓰레기 섹션
B..... 중앙집하장

Claims (6)

  1. 쓰레기 투입시설로부터 주관로(20)를 통하여 중앙집하장(B)으로 이송하고 수집하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에 있어서,
    쓰레기 투입시설과 중앙집하장(B) 사이에 배치되고, 쓰레기 투입시설의 섹션(A, A')별로 이동식 차량접속이 가능한 중간집하실(120);
    상기 중간집하실(120)의 내부에서 각각의 섹션별 관로(152)에 장착되고, 각각의 상기 섹션별 관로(152)를 중앙집하장 관로(154)와 이동 수거관로(156)로 나누며, 상기 중앙집하장 관로(154)와 이동 수거관로(156)의 사이에 배치되어 쓰레기를 중앙집하장 관로(154) 또는 이동 수거관로(156)로 방향전환시키는 플랩(160)과 상기 플랩(160) 구동용 모터(170)를 갖는 관로 전환부(150); 및
    상기 섹션별 관로(152), 중앙집하장 관로(154) 및 이동수거관로의 각각을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밸브(180a)(180b)(180c)들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180a)(180b)(180c)들과 관로 전환부(150)의 모터(170)를 제어하여 쓰레기가 상기 섹션별 관로(152)로부터 중앙집하장 관로(154)로 이동하거나, 섹션별 관로(152)로부터 이동 수거관로(156)로 이동하도록 유로변경을 하는 제어장치(200);을 포함하여 상기 중간집하실(120)에서 이동 수거관로(156)를 통하여 차량(300)으로 쓰레기를 수거하고, 중앙집하장(B)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관로 전환부(150)는 이동 수거관로(156)의 내부에서 슬라이딩이동하는 이중 구조의 내부관(210)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관(210)을 동작시키는 전기 솔레노이드 실린더(222a)를 포함하는 구동수단(220)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관(210)은 이동 수거관로(156)의 일측에 형성된 긴 구멍(212)을 통하여 연결 브라켓(214)이 돌출하여 상기 전기 솔레노이드 실린더(222a)의 로드(222b)에 연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에서의 중간집하 시스템(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200)는 중간집하실(120)의 내부에 배치되고, 작업자가 상기 제어장치(200)를 통해 상기 밸브(180a)(180b)(180c)들과 관로 전환부(150)의 모터(170)를 조작하여 쓰레기가 상기 섹션별 관로(152)로부터 중앙집하장 관로(154)로 이동하거나, 섹션별 관로(152)로부터 이동 수거관로(156)로 이동하도록 유로변경하고 차량으로 쓰레기를 수거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에서의 중간집하 시스템(10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 전환부(150)는 상기 섹션별 관로(152)에 Y형의 케이싱(158)을 장착하여 중앙집하장 관로(154)와 이동 수거관로(156)를 구분하고, 상기 케이싱(158)의 내부에서 중앙집하장 관로(154)와 이동 수거관로(156)의 사이에 플랩(160)을 배치하며, 상기 케이싱(158)과 각각의 섹션별 관로(152), 중앙집하장 관로(154)와 이동 수거관로(156)의 사이에는 단면이 점차 축소되는 테이퍼부(158a)를 구비하여 쓰레기의 이동중에 케이싱(158)과 관로에 가하는 충격을 감소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에서의 중간집하 시스템(100).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 전환부(150)는 내부관(210)이 구동수단(220)에 의해서 하강작동시, 플랩(160)이 중앙집하장 관로(154)측으로 닫친 다음 내부관(210)의 하단이 케이싱(158)의 내측 바닥면까지 하강하여 상기 섹션별 관로(152)를 이동 수거관로(156)에 연결하고, 구동수단(220)에 의해서 상승작동시 내부관(210)이 이동 수거관로(156)의 내부로 삽입된 다음, 플랩(160)이 이동 수거관로(156)측으로 닫쳐서 상기 섹션별 관로(152)를 중앙집하장 관로(154)에 연결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에서의 중간집하 시스템(10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 전환부(150)는 Y형의 케이싱(158)이 상하로 세워져서 하부측에 섹션별 관로(152)와 중앙집하장 관로(154)가 배치되고, 그 상부측에 섹션별 관로(152)와 이동 수거관로(156)가 배치되거나, 상기 Y형의 케이싱(158)이 수평으로 눕혀져서 일측에 섹션별 관로(152)와 중앙집하장 관로(154)가 배치되고, 그에 나란하게 섹션별 관로(152)와 이동 수거관로(156)가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에서의 중간집하 시스템(100).
KR1020090040698A 2009-05-11 2009-05-11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에서의 중간집하시스템 KR101058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698A KR101058091B1 (ko) 2009-05-11 2009-05-11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에서의 중간집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698A KR101058091B1 (ko) 2009-05-11 2009-05-11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에서의 중간집하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819A KR20100121819A (ko) 2010-11-19
KR101058091B1 true KR101058091B1 (ko) 2011-08-24

Family

ID=43406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0698A KR101058091B1 (ko) 2009-05-11 2009-05-11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에서의 중간집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809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103Y1 (ko) * 2005-03-28 2005-08-01 주식회사 엔백센트랄석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에서의 투입구의 음식물 쓰레기용배출 밸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103Y1 (ko) * 2005-03-28 2005-08-01 주식회사 엔백센트랄석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에서의 투입구의 음식물 쓰레기용배출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819A (ko) 2010-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1175B1 (ko) 쓰레기 반송 방법
EP2367993B2 (en) Method and system for pushing and moving solid waste
FI124175B (fi) Menetelmä materiaalin käsittelemiseksi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 j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n erotinlaite
KR20100070347A (ko) 쓰레기 수거 및 처리
CN105416937A (zh) 厨余垃圾真空收集处理系统
CN211077591U (zh) 一种垃圾自动收集系统
WO2005084509A1 (en) Refuse collection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of collecting refuse
KR101721761B1 (ko) 쓰레기 수거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쓰레기 수거방법
CN103380067A (zh) 用于在垃圾滑道中实现空气流动的方法和设备
CN113184421B (zh) 真空管道式餐厨垃圾收运装置
FI125446B (fi) Menetelmä materiaalin käsittelemiseksi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n syöttöpiste j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
KR101058091B1 (ko)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에서의 중간집하시스템
KR20100055075A (ko)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안정적 운전을 위한 보호 시스템
KR100884812B1 (ko)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음식물 쓰레기 수거 시스템
KR20090000523A (ko) 진공이송방식과 송풍기이송방식을 혼합한 쓰레기 수거시스템
KR100916990B1 (ko)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에서의 중계소 시스템
FI20197011A1 (fi) Menetelmä ja laitteisto materiaalin syöttämiseksi ja siirtämiseksi
CN212984494U (zh) 一种垂直管道式垃圾分类收集装置
CN106697690A (zh) 环保型小型化垃圾自动收集系统
CN207645379U (zh) 垃圾自动卸料收集设备
KR101014648B1 (ko) 기능성 이중 저류밸브
CN206298003U (zh) 环保型小型化垃圾自动收集系统
KR200447762Y1 (ko)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용 쓰레기투입구와 섹션밸브의 공동맨홀
JPH07116824B2 (ja) ダストシュート
KR101320446B1 (ko) 쓰레기 자동 집하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