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7672B1 - 시스템창호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시스템창호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7672B1
KR101057672B1 KR1020080109070A KR20080109070A KR101057672B1 KR 101057672 B1 KR101057672 B1 KR 101057672B1 KR 1020080109070 A KR1020080109070 A KR 1020080109070A KR 20080109070 A KR20080109070 A KR 20080109070A KR 101057672 B1 KR101057672 B1 KR 101057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plate
shaft portion
fixe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9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9997A (ko
Inventor
원종진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Priority to KR1020080109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7672B1/ko
Publication of KR20100049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9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8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horizontal axis of rotation at the top or bottom of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revolv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2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insulation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스템창호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사각프레임부재와, 상기 사각프레임부재의 외측면 하단에 형성되어 패킹이 고정되는 패킹고정홈과, 상기 패킹고정홈의 상측인 상기 사각프레임부재의 외측면에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형성되고 축공이 구비된 축부가 포함되도록 압출성형된 지지프레임과; 유리부재와, 상기 유리부재의 상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축부에 축고정되는 상부고정판으로 구성된 여닫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창호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사각프레임의 외측에 상기 여닫이부를 축고정시킴으로써, 보다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음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지프레임, 여닫이부

Description

시스템창호의 설치구조{ESTABLISHMENT STRUCTURE OF SYSTEM WINDOW AND DOOR}
본 발명은 지지프레임의 사각프레임의 외측에 여닫이부를 축고정시킴으로써, 보다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음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시스템창호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사각프레임부재와, 상기 사각프레임부재의 외측면 하단에 형성되어 패킹이 고정되는 패킹고정홈과, 상기 패킹고정홈의 상측인 상기 사각프레임부재의 외측면에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형성되고 축공이 구비된 축부가 포함되도록 압출성형된 지지프레임과; 유리부재와, 상기 유리부재의 상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축부에 축고정되는 상부고정판으로 구성된 여닫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창호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이란 외부로부터 내부 공간을 격리보호함과 동시에 내부에 밀폐된 공간에서 오염된 공기를 환기하기 위한 것으로써, 예를 들어, 아파트 등의 건 축물에 설치된다.
한편, 최근에는 건축물의 외벽에 앵커볼트로 고정되는 지지프레임을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설치한 후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지지브래킷의 전방에 페어그라스가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페어그라스 설치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페어그라스 설치방법은 별도의 격자형 지지체를 건축물상에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격자형 지지체의 전방에 고정부재를 설치한 후 상기 페어그라스를 고정해야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고가의 설치비용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외벽 등에 적용되는 페어그라스를 견고하게 고정함과 동시에 창문 또한 설치할 수 있는 페어그라스 및 창문의 고정구조(등록특허 제10-0764145호)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페어그라스 및 창문의 고정구조는 지지프레임의 하단에 페어그라스가 설치된 상태의 창틀프레임을 설치하기 때문에 용이한 시야확보를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방음성 또한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지지프레임의 사각프레임의 외측에 여닫이부의 상단의 일부를 삽입한 상태로 축고정시킴으로써, 보다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음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시스템창호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각프레임부재와, 상기 사각프레임부재의 외측면 하단에 형성되어 패킹이 고정되는 패킹고정홈과, 상기 패킹고정홈의 상측인 상기 사각프레임부재의 외측면에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형성되고 축공이 구비된 축부가 포함되도록 압출성형된 지지프레임과; 유리부재와, 상기 유리부재의 상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축부에 축고정되는 상부고정판으로 구성된 여닫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창호의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지지판에 외측방향으로 개방된 체결홈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측에는 상기 체결홈에 체결결합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빗물유입방지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빗물유입방지부는 중앙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의 바닥면의 일단에는 걸림턱이 상부방향으로 절곡형성된 상태로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의 지지판의 체결홈에 체결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끼움홈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에 분리가능하게 걸림고정될 수 있도록 상단부에 걸림고정편이 하부방향으로 절곡형성된 빗물유입방지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지지판의 하측인 상기 사각프레임부재의 외측면에는 보강리브가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보강리브의 일단부는 상기 지지판의 하부와 맞닿을 수 있도록 상부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지지프레임의 축부의 양단 사이에 축공이 노출되도록 하나 이상의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여닫이부의 상부고정판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축부의 절개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축공이 형성된 축부가 형성되고, 상기 여닫이부의 상부고정판의 축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축부의 절개부에 삽입된 상태로 축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지지프레임의 사각프레임의 외측에 여닫이부의 상단의 일부를 삽 입한 상태로 축고정시킴으로써, 보다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음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측에 빗물유입방지부가 설치됨으로써, 우천시 상기 여닫이부의 유리부재를 개방시키더라도 건축물의 내부로 빗물이 유입될 우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기 빗물유입방지부는 중앙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의 바닥면의 일단에는 걸림턱이 상부방향으로 절곡형성된 상태로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의 지지판의 체결홈에 체결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끼움홈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에 분리가능하게 걸림고정될 수 있도록 상단부에 걸림고정편이 하부방향으로 절곡형성된 빗물유입방지판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빗물유입방지판을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의 지지판의 하측인 상기 사각프레임부재의 외측면에는 일단부가 상기 지지판의 하부와 맞닿을 수 있도록 상부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된 보강리브가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지지판이 상기 여닫이부의 하중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여닫이부의 상부고정판의 축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축부의 절개부에 삽입된 상태로 축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지지프레임에 상기 여닫이부를 보다 쉽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시스템창호의 설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시스템창호의 설치구조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지지프레임(10) 및 여닫이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예를 들어, 건축물의 커튼월 및 창호 등에 설치될 수 있도록 압출성형된 것으로써,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각프레임부재(110)와, 상기 사각프레임부재(110)의 외측면 하단에 형성되어 패킹(132)이 고정되는 패킹고정홈(130)과, 상기 패킹고정홈(130)의 상측인 상기 사각프레임부재(110)의 외측면에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지지판(150)과, 상기 지지판(150)의 하부에 형성되고 축공(172)이 구비된 축부(170)가 포함되도록 압출성형된다.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10)으로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패킹고정홈(130)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패킹(132) 이 고정되는데, 이때 상기 패킹(132)이 건축물의 외부에서 발생한 소음이 건축물의 내부로 투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때문에 방음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패킹고정홈(130)의 상부 일단 및 하부 일단에는 상기 패킹고정홈(130)에 고정되는 상기 패킹(132)이 상기 패킹고정홈(13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탈방지편(134)이 절곡형성되는 것이 더욱 좋다.
한편, 상기 패킹(132)으로는 고무재질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건축물의 커튼월 및 창호 등에 설치될 수 있도록 압출성형된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여닫이부(30)는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설치되어 개폐되는 것으로써,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리부재(310)와, 상기 유리부재(310)의 상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축부(170)에 축고정되는 상부고정판(33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리부재(310)로는 페어그라스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지지프레임(10)의 절개부(174)에 여닫이부(30)의 상부고정판(330)의 축부(170)가 삽입된 상태로 축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축부(170)의 양단 사이에 축공((172)이 노출되도록 하나 이상의 절개부(174)가 형성되고, 상기 여닫이부(30)의 상부고정판(330)에는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축부(170)의 절개부(174)에 삽입될 수 있도록 축공(332a)이 형성된 축부(332)가 형성되고, 상기 여닫이부(30)의 상부고정판(330)의 축부(332)는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축부(170)의 절개부(174)에 삽입된 상태로 축고정되는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사각프레임부재(110), 패킹고정홈(130), 지지판(150) 및 축부(170)는 1회의 압출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축부(170)의 양단 사이를 예를 들어, 그라인더 등을 사용하여 절개함으로써, 상기 축공(172)이 노출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절개부(174)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여닫이부(30)의 상부고정판(330)에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축부(170)의 양단 사이에 형성된 상기 하나 이상의 절개부(174)와 대응됨과 동시에 상기 하나 이상의 절개부(174)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의 축부(332)가 축공(332a)이 형성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여닫이부(30)의 상부고정판(330)의 축부(332)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축부(170)의 절개부(174)에 삽입된 상태로 축(C)에 의해 축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여닫이부(30)의 상부고정판(330)의 축부(332)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축부(170)의 절개부(174)에 삽입된 상태로 축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지 지프레임(10)에 상기 여닫이부(30)를 보다 쉽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은 여닫이부(30)의 유리부재(310)가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지지판(150)에 외측방향으로 개방된 체결홈(152)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외측에는 상기 체결홈(152)에 체결결합되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154)에 의해 빗물유입방지부(190)가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외측에 빗물유입방지부(190)가 설치됨으로써, 우천시 상기 여닫이부(30)의 유리부재(310)를 개방시키더라도 건축물의 내부로 빗물이 유입될 우려가 없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빗물유입방지부(19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에 끼움홈(192a)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192a)의 바닥면(192b)의 일단에는 걸림턱(192c)이 상부방향으로 절곡형성된 상태로 상기 체결부재(154)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지지판(150)의 체결홈(152)에 체결고정되는 고정판(192)과; 상기 고정판(192)의 끼움홈(192a)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192c)에 분리가능하게 걸림고정될 수 있도록 상단부에 걸림고정편(194a)이 하부방향으로 절곡형성된 빗물유입방지판(194);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우천시 상기 여닫이부(30)의 유리부재(310)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빗물유입방지판(194)의 걸림고정편(194a)을 상기 고정판(192)의 끼움홈(192a)에 삽입함과 동시에 상기 걸림턱(192c)에 걸림고정시킬 경우 상기 빗물유입방지판(194)에 의해 빗물이 건축물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빗물유입방지부(190)는 중앙에 끼움홈(192a)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192a)의 바닥면(192b)의 일단에는 걸림턱(192c)이 상부방향으로 절곡형성된 상태로 상기 체결부재(154)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지지판(150)의 체결홈(152)에 체결고정되는 고정판(192)과, 상기 고정판(192)의 끼움홈(192a)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192c)에 분리가능하게 걸림고정될 수 있도록 상단부에 걸림고정편(194a)이 하부방향으로 절곡형성된 빗물유입방지판(194)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빗물유입방지판(194)을 상기 고정판(192)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지지판(150)의 하측인 상기 사각프레임부재(110)의 외측면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강리브(112)가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보강리브(112)의 일단부는 상기 지지판(150)의 하부와 맞닿을 수 있도록 상부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여닫이부(30)의 유리부재(310)의 하단에 구비된 손잡이(도 4의 H)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여닫이부(3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유리부재(310)를 개폐시킬 경우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지지판(150)에는 상기 여닫이부(30)의 하중과 더불어, 상기 유리부재(310)를 개폐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힘이 가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보강리브(112)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지지판(150)의 하측인 상기 사각프레임부재(110)의 외측면에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일단부는 상기 지지판(150)의 하부와 맞닿을 수 있도록 상부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지지판(150)에 가해지는 상기 여닫이부(30)의 하중 및 상기 유리부재(310)를 개폐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힘을 분산 시킴과 동시에 상기 지지판(150)을 지지해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지지판(150)의 하측인 상기 사각프레임부재(110)의 외측면에는 일단부가 상기 지지판(150)의 하부와 맞닿을 수 있도록 상부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된 보강리브(112)가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지지판(150)이 상기 여닫이부(30)의 하중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여닫이부(3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 내지 도 3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설치되어 개폐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사각프레임의 외측에 상기 여닫이부(30)의 상단의 일부를 삽입한 상태로 축고정시킴으로써, 보다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음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도 4 참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시스템창호의 설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2는 지지프레임의 절개부에 여닫이부의 상부고정판의 축부가 삽입된 상태로 축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횡단면도이고,
도 3은 여닫이부의 유리부재가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4는 지지프레임에 유리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개랴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지지프레임, 110; 사각프레임부재,
112; 보강리브, 130; 패킹고정홈,
132; 패킹, 134; 이탈방지편,
150; 지지판, 152; 체결홈,
154; 체결부재, 170,332; 축부,
172,332a; 축공, 174; 절개부,
190; 빗물유입방지부, 192; 고정판,
192a; 끼움홈, 192b; 바닥면,
192c; 걸림턱, 194; 빗물유입방지판,
194a; 걸림고정편, 30; 여닫이부,
310; 유리부재, 330; 상부고정판,
C; 축, H; 손잡이

Claims (5)

  1. 사각프레임부재와, 상기 사각프레임부재의 외측면 하단에 형성되어 패킹이 고정되는 패킹고정홈과, 상기 패킹고정홈의 상측인 상기 사각프레임부재의 외측면에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형성되고 축공이 구비된 축부가 포함되도록 압출성형된 지지프레임과;
    유리부재와, 상기 유리부재의 상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축부에 축고정되는 상부고정판으로 구성된 여닫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지지판의 하측인 상기 사각프레임부재의 외측면에는 보강리브가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보강리브의 일단부는 상기 지지판의 하부와 맞닿을 수 있도록 상부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창호의 설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지지판에 외측방향으로 개방된 체결홈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측에는 상기 체결홈에 체결결합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빗물유입방지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창호의 설치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유입방지부는 중앙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의 바닥면의 일단에는 걸림턱이 상부방향으로 절곡형성된 상태로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지 지프레임의 지지판의 체결홈에 체결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끼움홈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에 분리가능하게 걸림고정될 수 있도록 상단부에 걸림고정편이 하부방향으로 절곡형성된 빗물유입방지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창호의 설치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축부의 양단 사이에 축공이 노출되도록 하나 이상의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여닫이부의 상부고정판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축부의 절개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축공이 형성된 축부가 형성되고,
    상기 여닫이부의 상부고정판의 축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축부의 절개부에 삽입된 상태로 축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창호의 설치구조.
  5. 삭제
KR1020080109070A 2008-11-04 2008-11-04 시스템창호의 설치구조 KR101057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070A KR101057672B1 (ko) 2008-11-04 2008-11-04 시스템창호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070A KR101057672B1 (ko) 2008-11-04 2008-11-04 시스템창호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9997A KR20100049997A (ko) 2010-05-13
KR101057672B1 true KR101057672B1 (ko) 2011-08-18

Family

ID=42276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9070A KR101057672B1 (ko) 2008-11-04 2008-11-04 시스템창호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76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7393A (ko) 2015-08-06 2017-02-15 윈-도어 (WIN-door) 주식회사 창문과 창문 틀 프레임 호환이 가능한 커튼 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295B1 (ko) * 2012-03-30 2012-08-20 송원기공(주) 상부 고정식 창문 회전 장치
CN102704797B (zh) * 2012-05-24 2015-03-18 浙江中南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外开上悬窗防脱落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5468U (ja) * 1981-12-21 1983-06-28 日本軽金属株式会社 開閉窓等の回動装置
JPS58128291U (ja) * 1982-02-25 1983-08-31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ヒンジ取着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5468U (ja) * 1981-12-21 1983-06-28 日本軽金属株式会社 開閉窓等の回動装置
JPS58128291U (ja) * 1982-02-25 1983-08-31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ヒンジ取着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7393A (ko) 2015-08-06 2017-02-15 윈-도어 (WIN-door) 주식회사 창문과 창문 틀 프레임 호환이 가능한 커튼 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9997A (ko) 201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0165B1 (ko) 유리난간대 및 이를 구비한 창호
KR101057672B1 (ko) 시스템창호의 설치구조
EP2431560A1 (en) Sill with a drain
US6173541B1 (en) Window assembly
DK2357307T3 (en) section Sport
KR101631224B1 (ko) 건축용 내외벽의 표면 마감 외장재를 지지하는 외장재 지지구 및 이를 이용한 내외벽 표면 마감 외장재 설치 구조
KR101354665B1 (ko) 방충 및 방범 기능이 동시에 부여되고, 물성성능이 강화된 창호 시스템
US6260305B1 (en) Gasket system for a horizontal door
JP4822808B2 (ja) 改装サッシ
KR101294903B1 (ko) 고기능 창유리 적용 창호
US20060236622A1 (en) Storm panel assembly
WO2011044907A1 (en) Window construction for an inclined roof
JP4526039B2 (ja) 建具
KR200394726Y1 (ko) 폐 합성수지 폼을 이용한 루버창
US8250815B2 (en) Window well cover
WO1996034168A2 (en) Frame for a closure member and method of mounting a frame
KR20080003281U (ko) 통풍부재를 구비한 egi 휀스
JP3951268B2 (ja) 建具
KR100893786B1 (ko) 창틀용 빗물 차단창 및 차단창 조립체
KR101172413B1 (ko) 창호
JP2010174612A (ja) 換気機能を備えた窓用雨除け具
KR200379140Y1 (ko) 창문의 내풍압 강화 보조유닛
JP5411007B2 (ja) 後付けサッシ
JP4041097B2 (ja) シャッター
JP5710201B2 (ja) 玄関戸及び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