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7054B1 - 화장용 퍼프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화장용 퍼프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7054B1
KR101057054B1 KR1020080132316A KR20080132316A KR101057054B1 KR 101057054 B1 KR101057054 B1 KR 101057054B1 KR 1020080132316 A KR1020080132316 A KR 1020080132316A KR 20080132316 A KR20080132316 A KR 20080132316A KR 101057054 B1 KR101057054 B1 KR 101057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bon
puff
bonding
cutting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2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3600A (ko
Inventor
임성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현공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현공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현공예
Priority to KR1020080132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7054B1/ko
Publication of KR20100073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3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Landscapes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각종 화장용 퍼프(puff) 제조시 퍼프용 리본과 퍼프 본체를 초음파 융착 방식으로 간편하게 접합할 수 있는 화장용 퍼프 제조장치를 개시한다.
그러한 화장용 퍼프 제조장치는,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 일측에서 타측으로 퍼프용 리본을 공급하는 리본 공급부와, 상기 리본 공급부에서 퍼프용 리본을 공급받아서 일정 길이로 컷팅하는 리본 컷팅부와, 퍼프 본체를 로딩하는 접합용 스테이지를 구비하고 상기 퍼프 본체와 퍼프용 리본을 초음파 융착으로 접합하는 리본 접합부와, 상기 리본 컷팅부의 퍼프용 리본을 상기 복수 개의 리본 접합부로 분배 공급하는 리본 이송부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80132316
화장용 퍼프, 퍼프 본체, 퍼프용 리본, 초음파 융착, 작업성과 생산성 향상

Description

화장용 퍼프 제조장치{cosmetic puff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각종 화장용 퍼프(puff)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며, 특히 퍼프용 리본을 초음파 융착 으로 퍼프 본체 측에 간편하게 접합할 수 있는 화장용 퍼프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용 퍼프(또는 분첩)는 분말 또는 케익 상의 파우더나 트윈 케익 등의 화장품을 묻혀서 인체의 얼굴 부위에 바르면서 메이크업(makeup) 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화장용 퍼프는 라텍스나 우레탄, 후로킹(flocking), PVA(Poly Vinyl Alcohol), 고무 등의 소재로 된 스폰지(sponge) 형태의 퍼프가 주로 사용되며, 이외에도 표면에 보풀이 있는 벨벳 형태의 퍼프가 있다.
이러한 화장용 퍼프는 스폰지 형태(또는 패드 형태)의 퍼프 본체와, 일종의 손잡이 역할을 하는 퍼프용 리본을 각각 일정 크기로 재단한 다음, 상기 퍼프 본체 일면에 상기 퍼프용 리본의 양단부를 각각 붙여서 고정하는 방식으로 제조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화장용 퍼프를 만들 때 상기 퍼프 본체 일면에 상기 퍼프용 리본을 고정하는 작업이 매우 중요하며, 대부분 작업자가 재봉틀을 이용하여 퍼 프 본체 일면에 퍼프용 리본의 양쪽 단부를 실로 꿰메서 재봉(裁縫)으로 접합하는 방식(수작업)으로 진행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수작업에 의한 접합 방식은 화장용 퍼프 제조시 여러 가지의 단점이 있다.
즉, 과다한 작업 인원과 작업 시간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작업 공정이 복잡하며 특히 모든 공정이 비 연속으로 진행되므로 만족할 만한 작업성과 생산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더욱이, 수작업 방식은 작업자 또는 작업 환경에 따라 접합 품질의 편차가 쉽게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퍼프용 리본의 접합 위치가 서로 불일치하거나, 퍼프용 리본이 어느 한쪽으로 비틀어진 비정상인 상태로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재봉틀을 이용하여 접합 부위를 실로 꿰메서 재봉하는 방식은 퍼프 본체와 퍼프용 리본의 접합 부위를 균일하게 마감 처리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퍼프 본체와 퍼프용 리본을 접합하는 작업이 재봉에 의한 수작업으로 진행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퍼프(puff) 본체와 퍼프용 리본을 초음파 융착에 의해 자동으로 간편하게 접합할 수 있는 화장용 퍼프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작업대;
상기 작업대 일측에서 타측으로 퍼프용 리본을 공급하는 리본 공급부;
상기 리본 공급부에서 퍼프용 리본을 공급받아서 일정 길이로 컷팅하는 리본 컷팅부;
퍼프 본체를 로딩하는 접합용 스테이지를 구비하고 상기 리본 컷팅부에서 일정 길이로 컷팅된 퍼프용 리본을 상기 퍼프 본체와 초음파 융착으로 접합하는 복수 개의 리본 접합부;
상기 리본 컷팅부의 퍼프용 리본을 상기 퍼프 본체와 접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리본 접합부로 분배 공급하는 리본 이송부;
를 포함하는 화장용 퍼프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작업대 상에서 퍼프용 리본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 시키면서 일정 길이로 컷팅하고, 컷팅한 퍼프용 리본을 퍼프 본체와 접합하는 일련의 공정을 자동으로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다.
특히, 퍼프용 리본을 비(非) 재봉(裁縫) 방식 즉, 초음파 융착으로 퍼프 본체와 접합이 가능하므로 작업 시간과 공정을 대폭 줄일 수 있고, 한층 향상된 작업성과 생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 제조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정면도 및 평면도)으로서, 도면 부호 2는 작업대를 지칭한다.
상기 작업대(2)는 화장용 퍼프(P)를 구성하는 퍼프 본체(P1)와, 퍼프용 리본(P2)을 접합하기 위한 작업 영역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에서와 같이 일정 크기의 작업면(W)을 구비한 테이블(table)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 제조장치는, 리본 공급부(4)를 포함한다.
상기 리본 공급부(4)는 퍼프용 리본(P2)을 릴(reel) 방식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작업대(2) 상에 제공된다.
즉, 상기 리본 공급부(4)는 공급용 릴(R1)과, 이 공급용 릴(R)에 감겨진 퍼프용 리본(P2)을 일측으로 잡아당기는 공급용 구동원(R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공급용 릴(R1)은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은 별도의 브라켓트(R3) 측에 고정되어 통상의 릴 형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작업면(W)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용 구동원(R2)은 모터(R4)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공급용 로울러(R5)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용 로울러(R5)는 도 1에서와 같이 외부면 일측이 서로 접촉하도록 상/하로 이격 배치되고, 어느 하나의 공급용 로울러(R5)가 모터(R4)로부터 통상의 방법으로 동력을 전달받아서 회전하도록 셋팅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두 개의 공급용 로울러(R5)들이 도 3에서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퍼프용 리본(P2)을 일측으로 잡아당기면서 상기 공급용 릴(R1)로부터 풀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공급용 릴(R1) 측에 감겨진 퍼프용 리본(P2)을 상기 작업대(2)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릴 방식으로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용 릴(R1)과 상기 공급용 구동원(2) 사이에 도 1에서와 같이 가이드 로울러(R6)와 가이드판(R7)을 설치하면 상기 퍼프용 리본(P2)의 이동을 더욱 적절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 제조장치는, 리본 컷팅부(6)를 포함한다.
상기 리본 컷팅부(6)는 상기 리본 공급부(4)에서 일측으로 당겨지는 퍼프용 리본(P2)을 핫 프레스(hot press) 방식에 의해 일정 길이로 컷팅할 수 있도록 상기 작업대(2) 상에 제공된다.
즉, 상기 리본 컷팅부(6)는 도 4에서와 같이 컷팅용 블레이드(Q1)와, 이 컷팅용 블레이드(Q1)를 업/다운시키는 컷팅용 구동원(Q2)을 포함하며, 상기 리본 공급부(4)의 공급용 구동원(R2)과 약간 떨어져서 배치될 수 있다.(도 1참조)
상기 컷팅용 블레이드(Q1)는 내부에 열선과 같은 발열부재(미도시)를 구비하고,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리본 공급부(4)의 가이드판(R7) 일측에서 별도의 브라켓트(Q3)에 고정되어 상기 퍼프용 리본(P2)의 진행 방향을 가로지르는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컷팅용 구동원(Q2)은 예를 들어, 실린더(Q4)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브라켓트(Q3) 측에서 피스톤 로드로 상기 컷팅용 블레이드(Q1)를 아래로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셋팅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실린더(Q4)로 상기 컷팅용 블레이드(Q1)를 도 4에서와 같은 방향으로 업/다운시키면서 퍼프용 리본(P2)의 일면(윗면)을 핫 프레스 방식으로 눌러서 간편하게 컷팅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열을 이용한 핫 프레스 방식의 리본 컷팅부(6) 구조에 의 하면, 예를 들어 컷터날로 직접 컷팅하는 방식과 비교할 때 퍼프용 리본(P2)의 컷팅 지점에 보풀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본 공급부(4)의 공급용 구동원(R2)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리본 컷팅부(6)의 컷팅용 블레이드(Q1)를 사이에 두고 좌/우측 지점에 설치하면 좋다.
즉, 일측 공급용 구동원(R2)은 상기 공급용 릴(R1)로부터 퍼프용 리본(P2)을 잡아 당겨서 상기 리본 컷팅부(6) 측에서 컷팅이 가능하게 공급하고, 타측 공급용 구동원(R2)은 일정 길이로 컷팅된 퍼프용 리본(P2)을 컷팅 지점에서 외측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셋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컷팅용 블레이드(Q1)는 예를 들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리본 컷팅부(6)와 대응하는 지점에 센서(예: 반사형 포토센서)를 접합하여 퍼프용 리본(P2)의 위치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태에서만 상기 컷팅용 구동원(Q2)에 의해 컷팅 동작되도록 셋팅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 제조장치는, 도 1에서와 같이 비젼수단(8)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비젼수단(8)은, 상기 리본 공급부(4)에서 상기 리본 컷팅부(6) 측으로 공급되는 퍼프용 리본(P2)의 외관 상태(예: 장식 인쇄면)를 간편하게 검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비젼수단(8)은, 도 5에서와 같이 퍼프용 리본(P2)의 외관을 촬영하는 비젼부(V1)와, 이 비젼부(V1)의 디스플레이 신호를 화상으로 구현하는 표시부(V2) 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비젼부(V1)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리본 공급부(4)와 리본 컷팅부(6) 사이에서 퍼프용 리본(P2)의 일면(윗면)에 형성된 인쇄면(P3)을 촬영할 수 있도록 셋팅된다.
상기 표시부(V2)는 예를 들어, LCD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비젼부(V1)의 영상 신호를 전송 받아서 화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셋팅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리본 공급부(4)에서 공급되는 퍼프용 리본(P2)을 상기 리본 컷팅부(6)로 컷팅하기 전에 특히, 상기 퍼프용 리본(P2)의 인쇄면(P3) 상태를 상기 표시부(V2)를 통해 작업자가 확인하면서 불량 여부를 간편하게 판별할 수 있다.
그러므로, 외관이 불량 상태인 퍼프용 리본(P2)이 후술하는 리본 접합부(10) 측에서 퍼프 본체(P1)와 접합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젼수단(8)은, 도 5에서와 같이 보조 비젼부(V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보조 비젼부(V3)는, 줌(zoom) 기능을 갖는 비젼용 판넬(V4)과, 비젼용 램프(V5)를 구비한 박스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조 비젼부(V3)는 상기 비젼부(V1) 아래 쪽에 배치되어 상기 비젼용 판넬(V4)을 통해 퍼프용 리본(P2)의 인쇄면(P3)을 촬영할 수 있도록 셋팅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비젼용 램프(V5)로 비젼 지점의 조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젼 지점에 위치된 퍼프용 리본(P2)의 인쇄면((P3)이 상기 비젼용 판넬(V4)을 통해 확대된 상태로 표시되므로 비젼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퍼프용 리본(P2)은 상기 비젼수단(8) 측에서는 인쇄면(P3)이 위쪽을 향하는 상태로 공급되고, 비젼 작업 후에는 상기 인쇄면(P3)이 아래를 향하도록 도 6에서와 같이 비틀려진 상태로 상기 리본 컷팅부(6) 측에 공급되도록 셋팅된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 제조장치는, 리본 접합부(10)를 포함한다.
상기 리본 접합부(10)는 일정 길이로 컷팅된 퍼프용 리본(P2)을 퍼프 본체(P1)와 초음파(supersonic) 융착으로 접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작업대(2) 상에 한 개 또는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리본 접합부(10)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리본 컷팅부(6)와 떨어져서 두 군데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리본 접합부(10)는, 초음파 혼(M, 또는 공구 혼)을 구비하고 퍼프 본체(P1)를 로딩하는 접합용 스테이지(B1)와, 이 접합용 스테이지(B1)에 로딩된 퍼프 본체(P1)와 접합 가능한 상태로 퍼프용 리본(P2)을 고정하는 접합용 홀더(B2)와, 이 접합용 홀더(B2)를 이동 가능하게 구동하는 접합용 구동원(B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접합용 스테이지(B1)는 내열성이 우수한 금속판을 사용할 수 있으며, 퍼프 본체(P1)를 로딩하는 면이 위쪽을 향하는 상태로 상기 작업대(2) 상에 배치된 다.
상기 초음파 혼(M)은 대략 직사각형의 금속 판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접합용 스테이지(B1)의 윗면(로딩면)에서 퍼프 본체(P1)의 저면과 대응하도록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혼(M)은 상기 작업대(2) 내측에 설치된 초음파 발생기(M1)와 연결되어 통상의 방법으로 초음파를 발생하면서 초음파 융착이 가능하게 셋팅된다.
이러한 초음파 융착 방식은,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전기적인 에너지를 기계적인 진동 에너지로 변환한 후 초음파 혼을 통해 진동 에너지를 가공물에 전달시켜 순간적으로 강력한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열을 이용하여 접합(융착)하는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퍼프 본체(P1)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상기 접합용 스테이지(B1) 측에 직접 로딩/언로딩하거나, 이외에도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흡착 이송기를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로딩/언로딩할 수 있다.
상기 접합용 홀더(B2)는 퍼프 본체(P1)와 접합 가능한 상태로 퍼프용 리본(P2)을 잡아주기 위한 것으로서, 도 7에서와 같이 두 개의 흡착구(B4)와, 두 개의 가압구(B5)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접합용 스테이지(B1)의 퍼프 본체(P1)를 사이에 두고 상기 초음파 혼(M)과 마주하는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두 개의 흡착구(B4)는 일정 길이로 컷팅된 퍼프용 리본(P2)의 양단 지점을 흡착 고정할 수 있는 범위로 상기 접합용 홀더(B2) 하부에 이격 배치된다.
상기 흡착구(B4)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에어 펌프와 연 결되어 이 펌프의 구동에 의해 흡착력(suction)이 발생하는 통상의 흡착기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두 개의 가압구(B5)는 상기 접합용 홀더(B2) 하부에서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흡착구(B4)들과 약간 떨어져서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가압구(B5)는 하부가 쐐기 모양으로 형성되어 퍼프용 리본(P2)의 양단 윗면을 각각 누룰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접합용 홀더(B2) 측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한 흡착구(B4)는 상기 접합용 홀더(B2) 측에서 탄력적으로 업/다운 이동이 가능하게 고정 설치하면 좋다.
예를 들어, 상기 접합용 홀더(B2) 측에 도 7에서와 같이 두 개의 가이드 로드(B6)를 세운 상태로 배치하고, 이 가이드 로드(B6)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도록 상기 흡착구(B4)들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로드(B6)에는 상기 흡착구(B4)를 아래쪽으로 누를 수 있도록 탄성부재(B7, 예: 압축코일스프링)을 설치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접합용 홀더(B2)가 상기 접합용 스테이지(B1)를 향하여 아래로 이동하면서 퍼프 본체(P1) 위에 퍼프용 리본(P2)을 초음파 융착이 가능하게 공급할 때 접촉에 의한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도 8참조)
그리고, 상기 접합용 구동원(B3)은, 도 7에서와 같이 수직 이송기(B8)와, 수평 이송기(B9)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 이송기(B8)와 수평 이송기(B9)는 레일 구조를 갖는 통상의 공압 이송유니트(또는 LM가이드와 볼스크류)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공압 이송유니 트는 에어 압력에 의해 레일을 따라 이송용 블록이 이동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접합용 홀더(B2)는 상기 작업대(2) 상에서 세워진 상태로 배치되는 수직 이송기(B8) 측에 통상의 방법으로 고정되고, 이 수직 이송기(B8)는 상기 작업대(2) 상에 수평하게 배치된 수평 이송기(B9) 측에 통상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 이송기(B9)는 도 7에서와 같은 브라켓트(B10)에 의해 상기 작업대(2) 상에서 수평한 상태로 고정 설치된다.
상기한 접합용 구동원(B3)은 상기 접합용 홀더(B2)를 상기 작업대(2) 상에서 상기 접합용 스테이지(B1)와 대응하여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동할 수 있다.
즉, 상기 퍼프용 리본(P2)을 융착하기 전에 상기 접합용 스테이지(B1)에 로딩된 퍼프 본체(P1) 위치와 대응하도록 도 7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접합용 홀더(B2)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퍼프용 리본(P2)이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접합용 스테이지(B1)에 로딩된 퍼프 본체(P1) 일면(윗면)과 융착이 가능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접합용 홀더(B2)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접합용 홀더(B2)로 상기 퍼프 본체(P1) 윗면에 퍼프용 리본(P2)을 공급하면, 이들의 양단 지점이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가압구(B5)와 초음파 혼(M)에 의해 각각 눌려진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가압 상태에서 상기 초음파 혼(M)으로부터 초음파를 발생 하면서 상기 퍼프 본체(P1)와 퍼프용 리본(P2)의 양단 지점을 각각 초음파 융착으로 접합할 수 있다.
상기한 접합용 구동원(B3)은 간격조절기(B11)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기(B11)는 상기 접합용 홀더(B2) 상에서 상기 흡착구(B4) 또는 가압구(B5)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간격조절기(B11)는 예를 들어, 레일 구조를 갖는 통상의 공압 이송유니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도 9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접합용 홀더(B2) 하부에서 우측편에 각각 위치된 흡착구(B4)와 가압구(B5)가 반대편(좌측)을 향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셋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예를 들어, 상기 두 개의 흡착구(B4)로 퍼프용 리본(P2)을 흡착한 상태에서 상기 접합용 스테이지(B1)의 퍼프 본체(P1)와 접합하기 전에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일측 흡착구(B4)와 일측 가압구(B5)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퍼프용 리본(P2)의 가운데 부분이 위쪽으로 휘어진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처럼 퍼프용 리본(P2)이 휘어진 상태로 상기 퍼프 본체(P1) 측에 접합하면, 이들 사이로 사용자의 손을 쉽게 끼울 수 있는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메이크업을 할 때 퍼프 본체(2)를 사용자 손에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접합용 구동원(B3)은 에어분사기(B1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 다.
상기 에어분사기(B12)는 통상의 에어 분사노즐을 사용할 수 있으며,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별도의 에어발생장치와 연결되어 일정 압력으로 에어를 분사할 수 있도록 셋팅된다.
상기 에어분사기(B12)는 예를 들어,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접합용 홀더(B2)와 대응하여 퍼프용 리본(P2)의 저면을 향하여 에어(A)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작업대(2) 상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접합용 홀더(B2) 측에 흡착된 퍼프용 리본(P2)을 상기 간격조절기(B11)를 이용하여 위쪽으로 휘어지도록 할 때 상기 퍼프용 리본(P2)의 가운데 부분을 향하여 위쪽으로 에어(A)를 분사할 수 있으므로 상기 퍼프용 리본(P2)의 가운데 부분이 항상 위쪽을 향하여 휘어진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 제조장치는, 리본 이송부(1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리본 이송부(12)는 상기 리본 컷팅부(6)에서 일정 길이로 컷팅된 퍼프용 리본(P2)을 벨트 컨베이어 방식에 의해 상기 두 개의 리본 접합기(10)와 대응하는 지점을 향하여 자동으로 분배 공급(이송)할 수 있도록 상기 작업대(2) 상에 제공된다.
예를 들어, 상기 리본 이송부(12)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리본 컷팅부(6)와 대응하는 제1 컨베이어(C1)와, 상기 두 개의 리본 접합부(10)와 대응하는 두 개 의 제2 컨베이어(C2)와, 상기 제1 컨베이어(C1)의 퍼프용 리본(P2)을 상기 두 개의 제2 컨베이어(C2) 측에 분배하는 분배기(C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C1, C2)는 예를 들어, 일정 길이를 갖는 이송용 벨트(K1)가 두 개의 로울러(K2) 사이에 연결되고, 이 로울러(K2)는 모터(K3)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서 회전하는 통상의 벨트 컨베이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컨베이어(C1)의 이송용 벨트(K1) 일단은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리본 컷팅부(6)와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타단은 반대편(리본 접합부)을 향하여 연장된 상태로 상기 작업대(2) 상에 배치된다.
상기 두 개의 제2 컨베이어(C2)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제1 컨베이어(C1)의 끝단부를 사이에 두고 평행한 상태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두 개의 리본 접합부(10)의 접합용 스테이지(B1)와 대응하도록 연장된 상태로 상기 작업대(2) 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각 컨베이어(C1, C2)들은 퍼프용 리본(P2)의 이송 중에 이송 구간 내에서 유동하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하면 좋다.
예를 들어, 도 11에서와 같이 윗면이 개방된 흡입용 챔버(K4)를 상기 각 컨베이어(C1, C2)의 이송 구간을 따라 내부에 형성하고, 상기 흡입용 챔버(K4)의 개방된 윗면이 상기 이송용 벨트(K1)로 덮혀지도록 셋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송용 벨트(K1)에는 복수 개의 에어 홀(K5)들이 일정 간격을 띄우고 관통 형성되고, 상기 흡입용 챔버(K4)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통상의 에어 펌프와 관체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흡입용 챔버(K4) 내부에 작용하는 흡입력에 의해 상기 이송용 벨트(K1)의 에어 홀(K5)들을 통해 퍼프용 리본(P2)의 저면을 흡착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C1, C2)로 퍼프용 리본(P2)을 이송할 때 한층 향상된 이송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배기(C3)는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제1 컨베이어(C1)와 상기 제2 컨베이어(C2) 사이에서 분배 동작이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분배기(C3)는 상기 제1 컨베이어(C1) 끝단에 위치된 퍼프용 리본(P2)을 상기 두 개의 제2 컨베이어(C2) 측에 순차적으로 분배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분배기(C3)는 예를 들어, 도 12에서와 같이 제1 분배용 홀더(K6) 및 제2 분배용 홀더(K7)를 구비하고, 이 두 개의 분배용 홀더(K6, K7)는 분배용 구동원(K8)을 따라 퍼프용 리본(P2)의 진행 방향을 가로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 분배용 홀더(K6, K7)은 두 개의 흡착구(K9)를 각각 구비하고, 이 흡착구(K9)들은 흡착력으로 퍼프용 리본(P2)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통상의 흡착기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분배용 홀더(K6, K7)는 도 12에서와 같이 제1 분배용 홀더(K6)가 상기 제1 컨베이어(C1)와 대응하도록 위치할 때, 제2 분배용 홀더(K7)는 상기 두 개의 제2 컨베이어(C2) 중에서 어느 하나(우측 제2 컨베이어)와 대응하는 지점에 위치할 수 있는 간격을 갖는다.
상기 분배용 구동원(K8)은 레일 구조를 갖는 공압 이송유니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분배용 홀더(K6, K7)를 상/하 이동은 물론이거니와, 상기 퍼프용 리본(P2)의 진행 방향을 가로지르면서 상기 두 개의 제2 컨베이어(C1, C2) 단부와 대응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분배용 구동원(K8)은 도 12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1 분배용 홀더(K6)를 상기 제1 컨베이어(C1)와 좌측의 제2 컨베이어(C2) 사이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고, 도 13을 기준으로 할 때 제2 분배용 홀더(K7)를 상기 제1 컨베이어(C1)와 우측의 제2 컨베이어(C2) 사이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예를 들어, 상기 제1 컨베이어(C1) 측에 로딩된 퍼프용 리본(P2)을 상기 제1 분배용 홀더(K6)를 이용하여 좌측의 제2 컨베이어(C2) 측에 간편하게 로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상기 제2 분배용 홀더(K7)는 상기 제1 컨베이어(C1)에 로딩된 다른 퍼프용 리본(P2)을 흡착할 수 있는 지점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1 분배용 홀더(K6)가 상기 제1 컨베이어(C1) 측으로 리턴할 때 상기 제2 분배용 홀더(K7)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우측의 제2 컨베이어(C2) 측에 퍼프용 리본(P2)을 로딩할 수 있다.
상기한 리본 이송부(12)는, 상기 리본 컷팅부(6)에서 일정 길이로 컷팅된 퍼프용 리본(P2)을 상기 제1 컨베이어(C1)와, 분배기(C3) 그리고, 두 개의 제2 컨베이어(C2)를 이용하여 상기 두 개의 리본 접합부(10) 측에 연속으로 자동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분배 이송 방식은, 상기 두 개의 리본 접합부(10) 측에 퍼프용 리본(P2)을 공급할 때 홀딩 시간의 발생을 대폭 줄일 수 있으므로 작업 능률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공정의 자동화를 더욱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작업대(2) 상에 두 개 이상의 리본 접합부(10)를 설치하여 상기와 같은 분배 이송 방식으로 퍼프용 리본(P2)을 순차적으로 분배 공급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조가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제1 컨베이어(C1) 및 제2 컨베이어(C2) 이송 구간 상에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퍼프용 리본(P2)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예: 반사형 포토센서)를 더 설치하면 좋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컨베이어(C1) 및 제2 컨베이어(C2) 일측 단부(배출측)에 퍼프용 리본(P2)을 감지할 수 있도록 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이 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분배기(C3)와 상기 리본 접합부(10)의 작동이 연동 제어되도록 셋팅하면, 공정의 택 타임을 더욱 줄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작동 실시 예를 설명한다.
즉, 상기 리본 공급부(4) 측에 롤 형태로 감겨진 퍼프용 리본(P2)을 도 3에서와 같이 공급용 구동원(R2)을 이용하여 일측으로 잡아당긴다.
그러면, 퍼프용 리본(P2)이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리본 컷팅부(6) 측에 공급 되어 핫 프레스 방식으로 컷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본 공급부(4)와 리본 컷팅부(6) 사이에는 비젼수단(8)이 배치되어, 컷팅 작업 전에 퍼프용 리본(P2)의 외관 상태(예: 인쇄면)를 미리 확인할 수 있으므로, 퍼프용 리본(P2)의 인쇄면(P3) 상태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본 컷팅부(6)에서 일정 길이로 컷팅된 퍼프용 리본(P2)은 상기 리본 이송부(12)의 제1 컨베이어(C1) 측에 공급된 후, 상기 분배기(C3)의 제1 및 제2 분배용 홀더(K6, K7)에 의해 상기 두 개의 제2 컨베이어(C2) 측에 순차적으로 옮겨지면서 연속으로 분배 공급된다.(도 12 및 도 13참조)
상기 제2 컨베이어(C2) 측에 공급된 퍼프용 리본(P2)은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리본 접합부(10)의 접합용 홀더(B2)에 의해 접합용 스테이지(B1)의 퍼프 본체(P1)와 대응하는 지점으로 옮겨진다.(도 7 및 도 8참조)
즉, 상기 퍼프용 리본(P2)은 상기 접합용 스테이지(B1)에 로딩된 퍼프 본체(P1) 윗면과 초음파 접합이 가능하도록 도 8에서와 같은 상태로 배치된다.
그러면, 상기 퍼프용 리본(P2)의 양단은 상기 접합용 홀더(B2)의 가압구(B5)에 의해 눌려지면서 퍼프 본체(P1) 윗면과 밀착된 접촉 상태가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초음파 혼(M)으로 초음파를 전달하면 상기 퍼프용 리본(P2)의 양단이 상기 퍼프 본체(P1) 윗면에 초음파 융착으로 접합된다.
이때, 상기 퍼프용 리본(P2)은 인쇄면(P3)이 아래를 향하도록 뒤집어진 상태로 도 14에서와 같이 상기 퍼프 본체(P1)와 접합된다.
그러므로, 접합 작업 후에 상기 퍼프용 리본(P2)과 퍼프 본체(P2)를 손으로 뒤집어서 도 15에서와 같이 상기 퍼프용 리본(P2)의 인쇄면(P3)이 위쪽을 향하도록 하면 된다.
따라서, 이러한 작업 공정에 의하면, 상기 작업대(2) 상에서 상기 퍼프 본체(P1) 측에 초음파 융착으로 퍼프용 리본(P2)을 자동으로 접합하면서 화장용 퍼프(P)를 간편하게 만들 수 있다.(도 15참조)
특히, 이러한 초음파 융착 방식은 예를들어, 종래와 같이 수작업(예: 재봉)으로 접합하는 방식과 비교할 때 한층 향상된 작업 능률과 생산성을 확보할 수 있고, 공정의 자동화를 실현하여 작업 시간과 인건비 등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 제조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 제조장치의 리본 공급부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 제조장치의 리본 컷팅부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 제조장치의 비젼수단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Y"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 제조장치의 리본 접합부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 제조장치의 리본 접합부의 간격조절기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 제조장치의 리본 이송부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1의 리본 이송부의 분배기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 제조장치에 의해 퍼프 본체와 퍼프용 리본이 접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작업대 4: 리본 공급부 6: 리본 컷팅부
8: 비젼수단 10: 리본 접합부 12: 리본 이송부
P: 화장용 퍼프 P1: 퍼프 본체 P2: 퍼프용 리본

Claims (12)

  1. 작업대;
    퍼프용 리본을 구비하고 상기 작업대 일측에서 타측으로 상기 퍼프용 리본을 공급하는 리본 공급부;
    상기 리본 공급부에서 퍼프용 리본을 공급받아서 일정 길이로 컷팅하는 리본 컷팅부;
    퍼프 본체를 로딩하는 접합용 스테이지를 구비하고 상기 리본 컷팅부에서 일정 길이로 컷팅된 퍼프용 리본을 상기 퍼프 본체와 초음파 융착으로 접합하는 복수 개의 리본 접합부;
    상기 리본 컷팅부의 퍼프용 리본을 상기 퍼프 본체와 접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리본 접합부로 분배 공급하는 리본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리본 접합부는,
    퍼프 본체 측에 초음파를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접합용 스테이지 상에 설치되는 초음파 혼;
    상기 퍼프 본체와 접합 가능한 상태로 퍼프용 리본을 잡아주는 접합용 홀더;
    상기 접합용 스테이지와 대응하도록 상기 접합용 홀더를 이동 가능하게 구동하는 접합용 구동원;을 포함하며,
    상기 작업대 상에서 상기 리본 컷팅부와 대응하도록 복수 개의 지점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접합용 홀더는,
    퍼프용 리본의 양쪽 단부를 흡착력으로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두 개의 흡착구;
    상기 각 흡착구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접합용 스테이지의 퍼프 본체를 향하여 퍼프용 리본의 양쪽 단부를 누를 수 있도록 제공되는 두 개의 가압구;를 포함하는 화장용 퍼프 제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본 공급부는,
    퍼프용 리본이 롤 상태로 감겨진 공급용 릴;
    상기 공급용 릴의 퍼프용 리본을 로울러의 외부면 접촉력에 의해 상기 작업대 일측에서 타측으로 잡아당기는 공급용 구동원;
    을 포함하는 화장용 퍼프 제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본 컷팅부는,
    열선을 구비하고 퍼프용 리본의 진행 방향 일측에 배치되는 컷팅용 블레이드;
    상기 퍼프용 리본을 컷팅 방향으로 누를 수 있도록 상기 컷팅용 블레이드를 구동하는 컷팅용 구동원;
    을 포함하는 화장용 퍼프 제조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혼은,
    초음파 발생기와 연결되며 퍼프 본체 일면(저면)을 향하여 초음파를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접합용 스테이지 측에 설치되는 화장용 퍼프 제조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리본 접합부는,
    간격조절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간격조절기는,
    상기 두 개의 흡착구 또는 두 개의 가압구를 이동시키면서 이들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화장용 퍼프 제조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리본 접합부는,
    에어분사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에어분사기는,
    상기 접합용 홀더의 흡착구 측에 흡착된 퍼프용 리본의 가운데 부분을 향하여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에어를 분사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화장용 퍼프 제조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장용 퍼프 제조장치는,
    비젼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비젼수단은,
    CCD 카메라로 구성되어 퍼프용 리본의 외관을 촬영하는 비젼부;
    상기 비젼부의 디스플레이 신호를 화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로 구성되는 표시부;
    를 포함하며,
    상기 퍼프용 리본을 상기 리본 컷팅부로 컷팅하기 전에 외관(인쇄면)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작업대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제조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본 이송부는,
    상기 리본 컷팅부와 대응하는 제1 컨베이어;
    상기 복수 개의 리본 접합부와 대응하는 복수 개의 제2 컨베이어;
    상기 제1 컨베이어의 퍼프용 리본을 상기 복수 개의 제2 컨베이어 측에 분배 공급하는 분배기;
    를 포함하는 화장용 퍼프 제조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컨베이어 및 제2 컨베이어는,
    두 개의 로울러 사이에 이송용 벨트가 연결된 벨트컨베이어로 각각 이루어지며,
    이송 구간을 따라 형성된 흡입용 챔버를 구비하여 상기 이송용 벨트에 놓여진 퍼프용 리본의 일면(저면)을 흡착력으로 잡아줄 수 있도록 셋팅되는 화장용 퍼프 제조장치.
  12. 삭제
KR1020080132316A 2008-12-23 2008-12-23 화장용 퍼프 제조장치 KR101057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2316A KR101057054B1 (ko) 2008-12-23 2008-12-23 화장용 퍼프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2316A KR101057054B1 (ko) 2008-12-23 2008-12-23 화장용 퍼프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3600A KR20100073600A (ko) 2010-07-01
KR101057054B1 true KR101057054B1 (ko) 2011-08-16

Family

ID=42636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2316A KR101057054B1 (ko) 2008-12-23 2008-12-23 화장용 퍼프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705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775B1 (ko) 2012-04-25 2012-07-12 주식회사 대현공예 화장용 퍼프 제조장치
KR101385654B1 (ko) 2013-12-31 2014-04-15 이지파우더 주식회사 화장용 퍼프 제조장치용 노즐 클리닝 장치
KR101405677B1 (ko) 2013-12-31 2014-06-27 이지파우더 주식회사 화장용 퍼프 제조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012Y1 (ko) * 2011-06-30 2013-03-25 (주)아모레퍼시픽 퍼프컷팅장치
KR101335301B1 (ko) * 2012-06-22 2013-12-02 김봉수 자동 화장솜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690609B1 (ko) * 2015-12-24 2016-12-28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브러시 결합 장치
KR102051955B1 (ko) * 2018-01-23 2019-12-04 이지파우더 주식회사 손잡이 리본이 접합된 화장용 퍼프 제조방법 및 제조 금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용 퍼프
KR102575633B1 (ko) * 2023-03-31 2023-09-11 주식회사 비엘비 화장용 퍼프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0303B1 (ko) 1999-06-26 2001-09-22 (주)제스폰 화장용 퍼프의 제조방법
JP2005102710A (ja) 2003-09-26 2005-04-21 Kenji Nakamura 化粧用パフ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175518A (ja) 2007-02-22 2007-07-12 Kenji Nakamura 化粧用パフの製造方法
KR100781746B1 (ko) * 2006-05-03 2007-12-06 주식회사 생 코레 인터내셔날 화장용 퍼프 및 그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0303B1 (ko) 1999-06-26 2001-09-22 (주)제스폰 화장용 퍼프의 제조방법
JP2005102710A (ja) 2003-09-26 2005-04-21 Kenji Nakamura 化粧用パフ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81746B1 (ko) * 2006-05-03 2007-12-06 주식회사 생 코레 인터내셔날 화장용 퍼프 및 그 제조장치
JP2007175518A (ja) 2007-02-22 2007-07-12 Kenji Nakamura 化粧用パフの製造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775B1 (ko) 2012-04-25 2012-07-12 주식회사 대현공예 화장용 퍼프 제조장치
KR101385654B1 (ko) 2013-12-31 2014-04-15 이지파우더 주식회사 화장용 퍼프 제조장치용 노즐 클리닝 장치
KR101405677B1 (ko) 2013-12-31 2014-06-27 이지파우더 주식회사 화장용 퍼프 제조장치 및 방법
WO2015102244A1 (ko) * 2013-12-31 2015-07-09 이지파우더 주식회사 화장용 퍼프 제조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3600A (ko) 201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7054B1 (ko) 화장용 퍼프 제조장치
KR100867739B1 (ko) 장식구 부착기
JP6875869B2 (ja) 被縫製物搬送装置
KR20130003317A (ko) 액세서리 부착기 자동정렬공급장치
KR101160889B1 (ko) 의류용 액세서리 부착장치 및 그 액세서리 부착방법
CN106006535A (zh) 一种袋装弹簧胶机
CN109703804A (zh) 一种海绵床垫卷装用覆膜机
CN106043774B (zh) 用于化纤丝饼包装的超声波封膜装置
CN209382331U (zh) 一种海绵床垫卷装用覆膜机
CN209157383U (zh) 一种电源适配器自动上料高频焊接一体机
CN2472747Y (zh) 改良的口罩耳带机
CN107098188B (zh) 一种放料自动接头机
CN105382510B (zh) 卷发器的自动组装机
CN219407243U (zh) 一种蓬松物品打包机
CN215285593U (zh) 一种医用灭菌包的多功能包装工作台
CN115522322B (zh) 一种床垫里料缝合设备及应用该设备的弹簧床垫加工工艺
JP2705976B2 (ja) 一つの加工物に多数の縫目群を連続して形成するための縫製装置
US5388750A (en) Soldering machine for rope chain
CN219342505U (zh) 一种生产手术衣的可调式双针机
CN210506736U (zh) 单层及多层单针绗缝机
CN215164093U (zh) 一种纺织带状物定量熔断装置
CN207510808U (zh) 一种全自动机器人整理装盒机
CN211056185U (zh) 镜框拼料机
CN218291290U (zh) 一种成品封边机
JP4474380B2 (ja) ゴムシート接合装置および接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