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6261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6261B1
KR101056261B1 KR1020100046010A KR20100046010A KR101056261B1 KR 101056261 B1 KR101056261 B1 KR 101056261B1 KR 1020100046010 A KR1020100046010 A KR 1020100046010A KR 20100046010 A KR20100046010 A KR 20100046010A KR 101056261 B1 KR101056261 B1 KR 101056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display device
display panel
pattern
supply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6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철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6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6261B1/ko
Priority to US13/108,360 priority patent/US876087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15Grounding of printed circuits by connection to external ground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형화가 가능하고 휘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며 상측 주변 영역과 하측 주변 영역을 갖는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위치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구동 및 전원을 제어하는 PCB 및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부착되는 열전도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열전도 시트는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부착되며 절연 물질로 형성되는 베이스 필름과,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형성되어 상기 표시 패널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공급 패턴과, 상기 전원 공급 패턴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접지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박형화가 가능하고 휘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정보화 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표시 장치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요구가 증대되면서,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 방출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전기 영동 표시 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EP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 등 표시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표시 장치는 수동 매트릭스(passive matrix) 방식과 능동 매트릭스(active matrix) 방식으로 구분된다. 능동 매트릭스 방식의 표시 장치는 서브 화소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것으로 수동 매트릭스 방식에 비해 해상도 및 동영상 구현 능력이 우수하여 주로 사용되고 있다.
표시 장치는 다수의 서브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부와, 표시부로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구동부와, 표시부로 화소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한다. 서브 화소들 각각은 주사 신호가 공급될 때, 주사 신호와 동기되어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휘도의 빛을 방출한다. 이에 의해, 표시 패널은 소정의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 장치의 화소 전원은 데이터 신호와 더불어 서브 화소들의 발광 휘도를 결정한다. 따라서, 균일한 화질의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서브 화소들로 동일한 전압을 갖는 화소 전원이 공급되어야 한다. 그러나, 화소 전원은 소정의 전압 레벨을 갖는 직류 전원으로써, 전원선을 경유하는 동안 전압 강하(IR Drop)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이 대형화될수록 전원선의 길이가 길어져, 화소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패드와의 거리에 따라 화소들 간의 휘도 편차가 심화될 수 있다. 최근에는 휘도 편차를 줄이고자 별도의 전원 공급용 FPCB를 마련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이는 FPCB와 연결되는 별도의 커넥터를 필요로 하므로 표시 장치의 두께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제조 단가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박형화가 가능하고 휘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며 상측 주변 영역과 하측 주변 영역을 갖는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위치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구동 및 전원을 제어하는 PCB 및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부착되는 열전도 시트를 포함한다. 상기 열전도 시트는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부착되며 절연 물질로 형성되는 베이스 필름과,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형성되어 상기 표시 패널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공급 패턴과, 상기 전원 공급 패턴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접지 패턴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 공급 패턴은 상기 하측 주변 영역의 상기 전원 공급 패턴의 단변 측면에 형성되는 제 1 접속 패드를 통해 상기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상측 주변 영역의 상기 전원 공급 패턴의 단변 측면에 형성되는 제 2 접속 패드를 통해 상기 표시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전원 공급 패턴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상측 주변 영역을 통해 상기 표시 패널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접지 패턴은 제 3 접속 패드를 통해 상기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3 접속 패드는 상기 하측 주변 영역 상의 상기 접지 패턴 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접속 패드와 동일층에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 3 접속 패드는 상기 접지 패턴과 동일층에 형성된다.
상기 제 1 접속 패드와 상기 제 2 접속 패드는 상기 전원 공급 패턴과 동일층에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필름은 플렉서블한 절연 물질로 형성된다.
상기 전원 공급 패턴은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이격되어 평행하게 다수개가 형성된다.
이웃하는 전원 공급 패턴들 사이에는 상기 접지 패턴이 형성된다.
상기 전원 공급 패턴과 상기 접지 패턴 사이에는 상기 베이스 필름이 노출되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는 트렌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의 너비는 상기 전원 공급 패턴의 너비보다 넓다.
상기 전원 공급 패턴과 상기 접지 패턴은 상기 베이스 필름 상의 동일층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전원 공급 패턴은 저항이 낮은 도전 물질로 형성된다.
상기 접지 패턴은 상기 전원 공급 패턴보다 저항이 높거나 같은 도전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 패턴은 상기 표시 패널 배면의 상기 하측 주변 영역에서 상기 상측 주변 영역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며, 이격되어 평행한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접지 패턴은 상기 표시 패널 배면의 상기 하측 주변 영역에서는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측 주변 영역에서는 이격되어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전원 공급 패턴은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서 상기 상측 주변 영역의 상기 표시 패널의 전면까지 형성된다.
본 발명은 표시 패널의 배면에 부착되는 열전도 시트를 이용하여 전원 공급 라인을 확보함으로써 별도의 전원 공급용 FPCB 및 커넥터를 추가하지 않게 되어 제조 단가가 절감되고, 공정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시 패널의 배면에 부착되는 열전도 시트에 직접 전원 공급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표시 장치의 박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표시 패널의 배면에 낮은 저항을 갖는 도전 물질을 갖는 전원 공급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전압 강하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휘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의 배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패널을 Ⅰ-Ⅰ'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패널을 Ⅱ-Ⅱ'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배면에 부착되는 열전도 시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i)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개략적인 것으로 다소 변경될 수 있다. ii) 도면은 관찰자의 시선으로 도시되기 때문에 도면을 설명하는 방향이나 위치는 관찰자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iii) 도면 번호가 다르더라도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iv)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v) 단수로 설명되는 경우 다수로도 해석될 수 있다. vi) 형상, 크기의 비교, 위치 관계 등이 '약', '실질적' 등으로 설명되지 않아도 통상의 오차 범위가 포함되도록 해석된다.
vii) '~후', '~전', '이어서', '그리고', '여기서', '후속하여', '이 때' 등의 용어가 사용되더라도 시간적 위치를 한정하는 의미로 사용되지는 않는다. viii) '제 1', '제 2', '제 3' 등의 용어는 단순히 구분의 편의를 위해 선택적, 교환적 또는 반복적으로 사용되며 한정적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ix)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가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x)부분들이 '~또는'으로 연결되는 경우 부분들 단독뿐만 아니라 조합도 포함되게 해석되나 '~또는 ~중 하나'로 연결되는 경우 부분들 단독으로만 해석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패널을 Ⅰ-Ⅰ'로 자른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패널을 Ⅱ-Ⅱ'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배면에 부착되는 열전도 시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170)과, 표시 패널(170)의 구동을 제어하고 전원을 공급하는 인쇄 회로 기판(PCB; 182) 및 표시 패널(170)의 배면에 부착되는 열전도 시트(190)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170)은 화상을 나타내는 전면 기판(172)과 후면 기판(171)으로 구성되어 그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 다수의 서브 화소들을 포함한다. 전면 기판(172)과 후면 기판(171)은 서로 대향하는 장변들 및 서로 대향하는 단변들을 포함한다. 전면 기판(172)과 후면 기판(171)은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유리 기판일 수 있다.
표시 패널(170)은 표시 영역 및 주변 영역으로 정의되며, 주변 영역은 표시 영역의 테두리에 대응된다. 장변들에 대응하는 주변 영역들을 각각 상측 주변 영역 및 하측 주변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단변들에 대응하는 주변 영역들을 각각 좌측 주변 영역 및 우측 주변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표시 패널(170)의 표시 영역에는 다수의 서브 화소들이 형성되어 있고, 주변 영역에는 구동 신호선(미도시) 및 구동 소자(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PCB(182)는 표시 패널(170)의 배면에 위치하여 표시 패널(17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원(Vdd) 및 공통 전원(Vcom)을 외부로부터 공급받아 표시 패널(170)에 인가한다. 이를 위해, PCB(182) 상에 시스템 회로부를 실장한다.
시스템 회로부에는 표시 패널(170)에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공급부, 게이트 신호 및 데이터 신호 공급을 위한 게이트 구동부 및 데이터 구동부 및 게이트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가 포함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 게이트 구동부, 데이터 구동부 및 구동 제어부는 하나의 PCB에 함께 실장될 수 있지만, 별개의 PCB에 각각 분리되어 실장될 수 있다. PCB(182)는 표시 패널(170)의 하측 주변 영역에 대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열전도 시트(190)는 표시 패널(170)의 배면에 부착되어 표시 패널(17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거나, 표시 패널(170)의 온도 분포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열방출 및 확산용 시트로 사용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 시트(190)는 표시 패널(170)에 전원 신호를 공급하고 접지 경로로 이용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열전도 시트(190)는 베이스 필름(191)과, 베이스 필름(191) 상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전원 공급 패턴(192)과 접지 패턴(194) 및 접속 패드들(197, 198, 199)을 포함한다.
베이스 필름(191)은 표시 패널(170)의 배면에 직접 부착되는 것으로, 표시 패널(170)의 후면 기판(171) 전면에 위치한다. 베이스 필름(191)은 베이스 필름(191) 상에 형성되는 전원 공급 패턴(192)이 표시 패널(170)의 전면에 용이하게 접속되도록 후면 기판(171)의 일측 장변 측면까지 연장되어 위치할 수 있다. 또는 베이스 필름(191)은 표시 패널(170)의 상측 주변 영역을 감싸도록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 필름(191)은 베이스 필름(191) 상에 위치하는 전원 공급 패턴(192)과 접지 패턴(194)이 서로 절연될 수 있도록 플렉서블한 절연 물질로 형성된다.
한편, 베이스 필름(191)은 접지 패턴(194)과 동일한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필름(191)이 접지 패턴(194)과 동일한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여 형성된 경우 전원 공급 패턴(192)과 접지 패턴(194)을 서로 절연시키기 위해 전원 공급 패턴(192)과 접지 패턴(194) 사이 및 전원 공급 패턴(192)과 베이스 필름(191) 사이에 별도의 절연성 물질이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베이스 필름(191) 상의 전원 공급 패턴(192)과 접지 패턴(194)이 절연되도록 베이스 필름(191)을 절연 물질로 형성할 경우 공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어 더 바람직하다.
전원 공급 패턴(192)은 베이스 필름(191) 상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PCB(182)를 통해 인가된 전원 신호인 구동 전원(Vdd)을 표시 패널(170)에 인가한다. 전원 공급 패턴(192)은 표시 패널(170)의 배면에 부착되는 베이스 필름(191)상에 다수개가 이격되어 평행하게 형성된다.
전원 공급 패턴(192)은 후면 기판(171)의 하측 주변 영역의 배면으로부터 후면 기판(171) 전면의 상측 주변 영역을 감싸도록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 때, 전원 공급 패턴(192)은 베이스 필름(191)보다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원 공급 패턴(192)은 표시 패널(170)의 하측 주변 영역 상에 형성되는 제 1 접속 패드(198)를 통해 PCB(18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받는다. 또한, 전원 공급 패턴(192)은 표시 패널(170)의 상측 주변 영역 상에 형성되는 제 2 접속 패드(199)를 통해 표시 패널(17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표시 패널(170)에 전원 신호를 공급한다.
전원 공급 패턴(192)이 표시 패널(170)의 배면에서 표시 패널(17)의 상측 주변 영역까지 형성됨으로써, 표시 패널(170)의 상측 주변 영역으로도 전원 신호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전압 강하 현상을 감소시켜 휘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제 1 접속 패드(198)는 하측 주변 영역의 전원 공급 패턴(192)의 단변 측면에 형성되고, 제 2 접속 패드(199)는 상측 주변 영역의 전원 공급 패턴(92)의 단변 측면에 형성된다. 이 때, 제 2 접속 패드(199)는 제 1 접속 패드(198)가 형성된 전원 공급 패턴(192)의 다른 면에 형성된다. 이렇듯,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접속 패드(198) 및 제 2 접속 패드(199)는 전원 공급 패턴(192)과 동일층에 형성되어 표시 장치가 박형화될 수 있다.
전원 공급 패턴(192)은 저항이 낮은 도전 물질로 형성된다. 이 때, 전원 공급 패턴(192)을 형성하는 물질의 저항은 접지 패턴(194)을 형성하는 물질의 저항보다 낮거나 같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패턴(192)은 저항이 낮은 도전 물질로 형성됨으로써, 전압 강하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공급 패턴(192)을 플렉서블한 베이스 필름(191) 상에 직접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연성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film;FPCB) 및 연성 회로 기판과 PCB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공급 패턴(192)을 열전도 시트(190)를 구성하는 베이스 필름(191) 상에 직접 형성함으로써, 제조 단가가 절감되고, 공정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공급 패턴(192)을 표시 패널(170)의 배면에 부착되는 열전도 시트(190)를 구성하도록 형성함으로써 표시 장치의 박형화가 가능하다.
이웃하는 전원 공급 패턴(192)들 사이에는 접지 패턴(194)이 형성된다.
접지 패턴(194)은 전원 공급 패턴(192)과 절연되도록 베이스 필름(191) 상에 형성된다. 접지 패턴(194)은 전원 공급 패턴(192)과 서로 이격되어 베이스 필름(191)의 동일층에 형성된다.
접지 패턴(194)과 전원 공급 패턴(192)은 베이스 필름(191)이 노출되는 트렌치 형태의 개구부(191a)에 의해 서로 절연된다. 개구부(191a)의 너비는 전원 공급 패턴(192)의 너비보다 넓게 형성되며, 상측 주변영역으로부터 PCB(182)가 위치하는 영역까지 형성될 수 있다.
접지 패턴(194)은 상측 주변 영역에서는 전원 공급 패턴(192)과 개구부(191a)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형성되고 하측 주변 영역에서는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접지 패턴(194)은 전원 공급 패턴(192)을 구성하는 물질보다 저항이 높거나 같은 도전 물질로 형성되어 접지 역할을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70)의 배면의 하측 주변 영역에 형성되는 접지 패턴(194) 내에는 제 3 접속 패드(197)가 형성된다. 제 3 접속 패드(197)를 통해 접지 패턴(194)과 PCB(182)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3 접속 패드(197)는 다수개가 병렬로 형성되어 PCB(182)와 연결됨으로써 저항이 낮아질 수 있다. 이 때, 제 3 접속 패드(197)의 개수는 도 3에 도시된 개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3 접속 패드(197)는 제 1 접속 패드(198)와 이격되어 평행하게 형성된다. 제 3 접속 패드(197)는 접지 패턴(194) 내에 포함되도록 접지 패턴(194)과 동일층에 형성된다.
한편, 제 1 접속 패드(198), 제 2 접속 패드(199) 및 제 3 접속 패드(197)는 전원 공급 패턴(192)과 동일층에 형성된다. 제 1 접속 패드(198), 제 2 접속 패드(199) 및 제 3 접속 패드(197)가 전원 공급 패턴(192)과 동일층에 형성됨으로써, 표시 장치가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열전도 시트(190)가 그라운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전원 공급부 역할을 함으로써, 휘도를 균일하게 함과 동시에 별도의 제조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제조 단가를 줄일 수 있으며 표시 장치를 박형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세한 설명과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개시하였다. 용어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70: 표시 패널 171: 후면 기판
172: 전면 기판 182: PCB
190: 열전도 시트 191: 베이스 필름
192: 전원 공급 패턴 194: 접지 패턴
197: 제 3 접속 패드 198: 제 1 접속 패드
199: 제 2 접속 패드

Claims (19)

  1. 화상을 표시하며 상측 주변 영역과 하측 주변 영역을 갖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위치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구동 및 전원을 제어하는 PCB; 및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부착되는 열전도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열전도 시트는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부착되며 절연 물질로 형성되는 베이스 필름과,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형성되어 상기 표시 패널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공급 패턴과,
    상기 전원 공급 패턴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접지 패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패턴은 상기 하측 주변 영역의 상기 전원 공급 패턴의 단변 측면에 형성되는 제 1 접속 패드를 통해 상기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상측 주변 영역의 상기 전원 공급 패턴의 단변 측면에 형성되는 제 2 접속 패드를 통해 상기 표시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패턴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상측 주변 영역을 통해 상기 표시 패널로 전원을 공급하는 표시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패턴은 제 3 접속 패드를 통해 상기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접속 패드는 상기 하측 주변 영역 상의 상기 접지 패턴 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접속 패드와 동일층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표시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접속 패드는 상기 접지 패턴과 동일층에 형성되는 표시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 패드와 상기 제 2 접속 패드는 상기 전원 공급 패턴과 동일층에 형성되는 표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은 플렉서블한 절연 물질로 형성되는 표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패턴은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이격되어 평행하게 다수개가 형성되는 표시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이웃하는 전원 공급 패턴들 사이에는 상기 접지 패턴이 형성되는 표시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패턴과 상기 접지 패턴 사이에는 상기 베이스 필름이 노출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표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트렌치 형태로 형성되는 표시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너비는 상기 전원 공급 패턴의 너비보다 넓은 표시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패턴과 상기 접지 패턴은 상기 베이스 필름 상의 동일층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표시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패턴은 저항이 낮은 도전 물질로 형성되는 표시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패턴은 상기 전원 공급 패턴보다 저항이 높거나 같은 도전 물질로 형성되는 표시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패턴은 상기 표시 패널 배면의 상기 하측 주변 영역에서 상기 상측 주변 영역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며, 이격되어 평행한 다수개가 형성되는 표시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패턴은 상기 표시 패널 배면의 상기 하측 주변 영역에서는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측 주변 영역에서는 이격되어 평행하게 형성되는 표시 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패턴은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서 상기 상측 주변 영역의 상기 표시 패널의 전면까지 형성되는 표시 장치.
KR1020100046010A 2010-05-17 2010-05-17 표시 장치 KR101056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6010A KR101056261B1 (ko) 2010-05-17 2010-05-17 표시 장치
US13/108,360 US8760871B2 (en) 2010-05-17 2011-05-16 Display device including a thermal conductive she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6010A KR101056261B1 (ko) 2010-05-17 2010-05-17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6261B1 true KR101056261B1 (ko) 2011-08-11

Family

ID=44911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6010A KR101056261B1 (ko) 2010-05-17 2010-05-17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760871B2 (ko)
KR (1) KR1010562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8831A (ja) * 2012-05-17 2013-11-28 Toshiba Corp ディスプレイ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KR20140042183A (ko) * 2012-09-28 2014-04-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1268A (ko) * 1999-12-28 2001-07-07 윤종용 액정 표시 장치 패널 구조
JP2001244070A (ja) 2000-02-29 2001-09-07 Optrex Corp Elパネル
JP2005258395A (ja) 2004-03-09 2005-09-22 Samsung Sdi Co Ltd 電界発光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696832B1 (ko) 2005-08-30 2007-03-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5474B2 (ko) * 1972-12-21 1978-07-27
JP3205373B2 (ja) 1992-03-12 2001-09-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US7053874B2 (en) * 2000-09-08 2006-05-3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4650822B2 (ja) * 2001-05-24 2011-03-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フラットパネル型表示装置
KR100635060B1 (ko) 2004-03-09 2006-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동장치
JP4893035B2 (ja) * 2006-03-17 2012-03-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平面型表示装置
KR20080010874A (ko) 2006-07-28 2008-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0929206B1 (ko) 2006-12-22 2009-12-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모듈
KR20090060042A (ko) 2007-12-07 2009-06-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932981B1 (ko) * 2008-04-11 2009-12-2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모듈
US20100014256A1 (en) * 2008-07-21 2010-01-21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panel
JP4816985B2 (ja) * 2009-06-16 2011-11-16 Tdk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
JP5576945B2 (ja) * 2010-11-17 2014-08-20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1268A (ko) * 1999-12-28 2001-07-07 윤종용 액정 표시 장치 패널 구조
JP2001244070A (ja) 2000-02-29 2001-09-07 Optrex Corp Elパネル
JP2005258395A (ja) 2004-03-09 2005-09-22 Samsung Sdi Co Ltd 電界発光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696832B1 (ko) 2005-08-30 2007-03-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60871B2 (en) 2014-06-24
US20110279982A1 (en) 201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07949B1 (en) Display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656742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535148B1 (ko)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EP3009884B1 (en) Flat panel display with narrow bezel area
KR100720143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20080017773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연성부재
KR20070056346A (ko) 액정표시장치모듈
US11036086B2 (en) Display device
US9431471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050022993A (ko) 전압강하가 보상된 평판표시장치
KR101887533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JP2007011265A (ja) 液晶表示装置
KR20160127276A (ko) 표시 장치
US20110084956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056261B1 (ko) 표시 장치
KR102262773B1 (ko) 가변형 표시장치
KR102258714B1 (ko) 표시 장치
KR20110017683A (ko) 표시 장치
US9036357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100234B1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23456B1 (ko) 액정표시장치
US20240074257A1 (en)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device
KR20210085801A (ko) 표시장치
KR20110045536A (ko) 액정표시장치
KR102067965B1 (ko) 연성인쇄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