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6043B1 - 전기히터용 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기히터용 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6043B1
KR101056043B1 KR1020100042648A KR20100042648A KR101056043B1 KR 101056043 B1 KR101056043 B1 KR 101056043B1 KR 1020100042648 A KR1020100042648 A KR 1020100042648A KR 20100042648 A KR20100042648 A KR 20100042648A KR 101056043 B1 KR101056043 B1 KR 101056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tube
heating element
opening
electric heater
l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광석
Original Assignee
정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광석 filed Critical 정광석
Priority to KR1020100042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60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7Manufacturing methods or apparatus for heaters

Abstract

본 발명은 세라믹바디(90)의 외주연에 본 발명의 전기히터용 발열체를 합체시키고 전원을 공급할 경우 텅스텐코일과 할로겐물질의 즉각적인 반응으로 또는 카본섬유에 의한 즉각적인 반응으로 고열을 신속하게 발산할 수 있게 되고, 이때 나선형 본체(13a)에 의한 고열의 집적화로서 열효율의 극대화를 통해 세라믹바디(90)로부터 원적외선을 즉각적으로 발산하여 주변을 빠르게 따뜻하게 할 수 있어(카본섬유 역시 신속한 열에너지를 발산함은 물론임) 니크롬선에 비해 훨씬 더 전기에너지를 절약하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기히터용 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히터용 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HEATING ELEMENT FOR ELECTRIC HEATER AND THEREOF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전기히터용 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 전기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전기히터용 발열체와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히터는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켜 주변을 따뜻하게 해주는 것으로 주로 니크롬선을 발열체로서 활용하고 있다.
니크롬선은 니켈과 카드뮴을 기초로 한 전기저항이 큰 합금 저항선으로서 저항률이 높고 고온에서도 잘 산화되지 않으며, 부식에 강하고 가공성이 좋은 특성이 있다.
그런데, 니크롬선은 전원스위치를 온시킨 후 10 내지 20분이 지나서야 열에너지를 발산하기 때문에 효율이 좋지 않고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는 단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이 목적은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 전기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전기히터용 발열체와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관에 나선형 본체를 부여하여 집약된 밀집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하여 점유공간의 최소화를 기할 수 있으면서 발열체가 끼워질 경우 열효율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전기히터용 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관(석영관) 속에 할로겐물질 등을 텅스텐코일과 함께 봉입하여 할로겐 사이클을 응용하는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니크롬선에 비해 훨씬 빠르게 열에너지를 발산하여 전기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전기히터용 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관을 가열하면서 휘감을 때 통상의 금속보다 잘 부착되지 않는 흑연으로 된 기둥형 금형을 적용하여 더욱 빠르고 편리하게 전기히터용 발열체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한 전기히터용 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둥형 금형이 상협하광의 직경으로 이루어져 유리관의 나선형 본체 역시 상협하광의 직경으로 휘감길 수 있도록 하여 세라믹바디에 용이하게 조립(위에서 아래로 간단히 끼워 넣는 조립)될 수 있도록 한 전기히터용 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히터용 발열체 제조방법은,
제 1 개구부가 부여된 일단 및 제 2 개구부가 부여된 타단 사이에 본체가 마련된 유리관을 준비하는 스텝과,
기둥형 금형을 준비하는 스텝과,
상기 일단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타단을 잡고 상기 본체를 가열하면서 상기 금형의 외주연에 휘감아 나선형 본체를 완성시키는 스텝과,
상기 기둥형 금형으로부터 상기 유리관을 탈거시키는 스텝과,
상기 나선형 본체의 어느 한 지점에 통공을 뚫고 유도관을 부착하는 스텝과,
제 1 리드 및 제 2 리드를 구비한 발열선을 상기 유리관의 제 1 개구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 2 개구부로 끼워 넣는 스텝과,
상기 유도관을 통해 상기 유리관에 불활성가스를 주입하는 스텝과,
상기 제 1 리드 및 제 2 리드가 고정되도록 상기 제 1 개구부 및 제 2 개구부를 압착시키는 스텝과,
상기 유도관을 통해 상기 유리관 내부의 공기를 흡착시켜 진공상태로 한 다음 상기 유도관을 제거하면서 상기 통공을 봉입하는 스텝과,
상기 제 1 리드 및 제 2 리드에 제 1 전원케이블 및 제 2 전원케이블을 각각 접속시키는 스텝과,
상기 제 1 전원케이블 및 일단 그리고 상기 제 2 전원케이블 및 타단을 제 1 캡 및 제 2 캡으로 각각 합체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방법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히터용 발열체는,
제 1 개구부가 부여된 일단 및 제 2 개구부가 부여된 타단 사이에 본체를 구비한 유리관과, 상기 유리관의 제 1 개구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 2 개구부로 끼워짐과 동시에 제 1 전원케이블 및 제 2 전원케이블에 각각 접속되면서 상기 제 1 개구부 및 제 2 개구부의 압착에 의해 그 내부로 고정되는 제 1 리드 및 제 2 리드를 각각 구비한 발열선을 포함하는 전기히터용 발열체에 있어서,
상기 유리관의 본체는 나선형으로 휘감겨진 나선형 본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리관이 나선형 본체를 구비하여 집약된 밀집상태를 취할 수 있게 되어 점유공간의 최소화를 기할 수 있으면서 발열체가 끼워질 경우 열효율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유리관(석영관) 속에 할로겐물질 등을 텅스텐코일과 함께 봉입하여 할로겐 사이클을 응용하는 열에너지를 이용토록 하여 니크롬선에 비해 훨씬 빠르게 열에너지를 발산하여 전기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둥형 금형에 미리 나선형 홈을 형성시켜 나선형 본체가 완성될 때 보다 균일한 간격과 보다 신속한 작업으로 완성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유리관을 가열하면서 휘감을 때 통상의 금속보다 잘 부착되지 않는 흑연으로 된 기둥형 금형을 적용하여 더욱 빠르고 편리하게 전기히터용 발열체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둥형 금형이 상협하광의 직경으로 이루어져 유리관의 나선형 본체 역시 상협하광의 직경으로 휘감길 수 있게 되어 세라믹바디에 더욱 용이하게 조립(위에서 아래로 간단히 끼워 넣는 조립)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유도관을 통해 유리관에 불활성가스를 주입하여 발열선의 산화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유리관의 일단 및 타단이 다양한 방향으로 펼쳐져 전기히터에 적용될 때 그 환경에 따라 보다 자유롭게 조립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히터용 발열체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히터용 발열체를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히터용 발열체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세라믹바디를 포함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전기히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전기히터용 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라믹바디(90)에 전기히터용 발열체가 합체된 후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켜 주기 위한 전기히터(100)로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전기히터용 발열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 1 개구부(11)가 부여된 일단(10a) 및 제 2 개구부(12)가 부여된 타단(10b) 사이에 본체(13)가 마련된 유리관(10)을 준비한다(S1).
유리관(10)은 열에 강한 석영관으로 제작될 수 있고 초기 직관(직선형 관)의 형태로 마련된다.
그리고, 기둥형 금형(70)을 준비한다(S2). 기둥형 금형(70)은 열에 강하고 성형하기가 용이하며 수정과 같은 결정구조를 가지는 육방정계에 속하는 광물로서 흑연으로 제작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상협하광(上狹下廣)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유리관(10)을 가열하면서 휘감을 때 유리관(10)이 통상의 금속으로 된 금형보다 흑연으로 된 기둥형 금형(70)에 잘 부착되지 않는 성질이 있어 더욱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기둥형 금형(70)이 상협하광의 직경을 가질 경우 유리관(10)의 나선형 본체(13a) 역시 상협하광의 직경으로 휘감길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유리관(10)은 도 13의 세라믹바디(90)에 더욱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고(위에서 아래로 간단히 끼워 넣는 조립),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둥형 금형(70)에 나선형 홈(71)이 부여된 경우 유리관(10)을 휘감은 후 역으로 돌려서 탈거시키고자 할 때 보다 쉽게 빼낼 수 있어 용이하게 된다.
다음으로, 유리관(10)의 일단(10a)을 파지한 상태에서 타단(10b)을 잡고 본체(13)를 토치램프 등으로 가열(석영관임을 고려하여 1600∼1700℃)하면서 기둥형 금형(70)의 외주연에 휘감아 나선형 본체(13a)를 완성시킨다(S3).
유리관(10)이 나선형 본체(13a)를 지니므로써 집약된 밀집상태를 취할 수 있게 되어 점유공간의 최소화를 기할 수 있으면서도 후술되는 발열체가 끼워질 경우 열효율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후, 기둥형 금형(70)으로부터 유리관(10)을 탈거시킨다(S4). 이때, 상하 직경이 동일한 경우의 기둥형 금형(70)일 경우 나선형 본체(13a) 역시 상하 직경이 동일하게 휘감길 것이고, 상하 직경이 상협하광일 경우 유리관(10)을 역으로 몇 바퀴 돌린 후 자연스럽게 상측방향으로 들어올리듯 탈거시킬 수 있으며, 그 직경의 휘감긴 형태 역시 상협하광의 형태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나선형 본체(13a)의 어느 한 지점에 통공(14)을 뚫고 유도관(20)을 부착한다(S5).
더욱 구체적으로, 미 도시되었지만 유리관(10)의 제 1 개구부(11) 및 제 2 개구부(12)를 탄성재질의 콕(Cock)으로 막은 상태에서 토치램프로 나선형 본체(13a)의 어느 한 지점을 가열할 경우 그 한 지점이 열을 받으면서 내부의 압력에 의해 볼록하게 튀어나옴과 동시에 통공(14)이 형성되고, 이 통공(14)에 유도관(20)을 접촉시키면서 토치램프로 가해주어 서로 고착될 수 있도록 한다(그 후 콕을 제거한다).
그리고, 제 1 리드(31) 및 제 2 리드(32)를 구비한 발열선(30)을 유리관(10)의 제 1 개구부(11)를 경유하여 제 2 개구부(12)로 끼워 넣고(S6), 유도관(20)을 통해 유리관(10)에 불활성가스를 주입한다(S7).
불활성가스는 질소 또는 아르곤을 활용할 수 있고, 이러한 불활성가스의 주입은 열에 의해 발열선(30)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제 1 리드(31) 및 제 2 리드(32)가 고정되도록 제 1 개구부(11) 및 제 2 개구부(12)를 압착시키고(S8), 유도관(20)을 통해 유리관(10) 내부의 공기를 흡착시켜 진공상태로 한 다음 유도관(20)을 제거하면서 통공(14)을 봉입한다(S9; 도 9a 참조).
제 1 개구부(11) 및 제 2 개구부(12)를 압착시킬 때 매우 높은 열(1600℃ 이상)이 가해져 발열선(30)이 산화될 수 있으므로 S7 스텝에서 유도관(20)을 통해 유리관(10)에 불활성가스 즉, 질소 또는 아르곤을 주입하는 것이다.
이 후, 제 1 리드(31) 및 제 2 리드(32)에 제 1 전원케이블(41) 및 제 2 전원케이블(42)을 각각 접속(용접)시키고(S10), 제 1 전원케이블(41) 및 일단(10a) 그리고 제 2 전원케이블(42) 및 타단(10b)을 제 1 캡(51) 및 제 2 캡(52)으로 각각 합체(S11)시킨다.
바람직하게, 제 1 캡(51) 및 제 2 캡(52)은 열에 강한 세라믹으로 이루어지면서 그 안쪽에 세라믹 접착제(53)가 채워져 제 1 전원케이블(41) 및 일단(10a) 그리고 제 2 전원케이블(42) 및 타단(10b)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S2 스텝에서 기둥형 금형(70)은 그 외주연에 나선형 홈(71)이 형성되고, 상기 S3 스텝에서 본체(13)는 나선형 홈(71)에 끼워지도록 휘감겨져 나선형 본체(13a)로서 완성된다.
기둥형 금형(70)에 미리 나선형 홈(71)을 형성시킬 경우 나선형 본체(13a)가 완성될 때 보다 균일한 간격과 보다 신속한 작업으로 완성될 수 있어 바람직하게 된다.
또한, 제 1 리드(31)는 발열선(30)에 접속되는 제 1 몰리브덴 판(31a)과, 제 1 몰리브덴 판(31a)에 고정된 후 제 1 개구부(11)의 외부로 노출되어 제 1 전원케이블(41)에 접속되는 제 1 연결선(31b)을 구비하고, 제 2 리드(32)는 발열선(30)에 접속되는 제 2 몰리브덴 판(32a)과, 제 2 몰리브덴 판(32a)에 고정된 후 제 2 개구부(12)의 외부로 노출되어 제 2 전원케이블(42)에 접속되는 제 2 연결선(32b)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S3 스텝에서 유리관(10)의 일단(10a) 및 타단(10b)은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동일한 방향의 수평상태로 펼쳐지거나,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방향의 수평상태로 펼쳐지거나,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방향의 수직상태로 펼쳐질 수 있다[또한, 일단(10a)은 수평상태로 타단(10b)은 수직상태로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유리관(10)의 일단(10a) 및 타단(10b)이 다양한 방향으로 펼쳐짐으로써 도 14의 전기히터(100)에 적용될 때 그 환경에 따라 보다 자유롭게 조립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S6 스텝에서 발열선(30)은 텅스텐코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S9 스텝은 유도관(20)을 통해 유리관(10) 내부의 공기를 흡착시켜 진공상태로 한 다음 할로겐 물질을 주입한 후 유도관(20)을 제거하면서 통공(14)을 봉입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9b) 참조).
즉, 유리관(10)(석영관) 속에 할로겐물질 등을 텅스텐코일과 함께 봉입하여 할로겐 사이클을 응용하는 열에너지를 이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텅스텐코일의 고온의 열에 의하여 증발된 텅스텐이 할로겐원자 또는 분자와 결합하여 할로겐화텅스텐으로 변화되고, 이후 확산 또는 대류작용에 의하여 고온의 텅스텐코일 부근에 이르러 텅스텐과 할로겐으로 다시 해리된 다음 텅스텐이 코일로 되돌아가는 할로겐사이클의 순환작용을 통하여 열에너지를 발산하는 것을 활용코자 하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S6 스텝에서 발열선(30)은 카본섬유일 수 있고, 이러한 카본섬유는 유기섬유를 비활성 기체 속에서 가열 및 탄화하여 만든 섬유로서 발열효율이 뛰어나 본 발명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S1 스텝에서 유리관(10)은 색상원료를 함유하여 적색, 파랑 또는 우유빛 새깔을 연출토록 함으로써 주변을 칼라풀하게 비추어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공정을 통해 제작된 본 발명에 다른 전기히터용 발열체는 제 1 개구부(11)가 부여된 일단(10a) 및 제 2 개구부(12)가 부여된 타단(10b) 사이에 본체(13)를 구비한 유리관(10)과, 이 유리관(10)의 제 1 개구부(11)를 경유하여 제 2 개구부(12)로 끼워짐과 동시에 제 1 전원케이블(41) 및 제 2 전원케이블(42)에 각각 접속되면서 제 1 개구부(11) 및 제 2 개구부(12)의 압착에 의해 그 내부로 고정되는 제 1 리드(31) 및 제 2 리드(32)를 각각 구비한 발열선(30)을 포함하고, 특히 유리관(10)의 본체(13)는 나선형으로 휘감겨진 나선형 본체(13a)로 이루어지며, 나선형 본체(13a)는 상협하광(上狹下廣)의 직경으로 휘감겨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 1 리드(31)는 상기 발열선(30)에 접속되는 제 1 몰리브덴 판(31a)과, 제 1 몰리브덴 판(31a)에 고정된 후 제 1 개구부(11)의 외부로 노출되어 제 1 전원케이블(41)에 접속되는 제 1 연결선(31b)을 구비하고, 제 2 리드(32)는 발열선(30)에 접속되는 제 2 몰리브덴 판(32a)과, 제 2 몰리브덴 판(32a)에 고정된 후 제 2 개구부(12)의 외부로 노출되어 제 2 전원케이블(42)에 접속되는 제 2 연결선(32b)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유리관(10)의 일단(10a) 및 타단(10b)은, 서로 동일한 방향의 수평상태로 펼쳐지거나, 서로 다른 방향의 수평상태로 펼쳐지거나, 서로 다른 방향의 수직상태로 펼쳐질 수 있으며, 또한 일단(10a)은 수평상태로 타단(10b)은 수직상태로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발열선(30)은 텅스텐코일로 이루어지고, 유리관(10)은 할로겐물질을 내장한다. 나아가 발열선(30)은 카본섬유일 수 있다.
한편, 제 1 전원케이블(41) 및 일단(10a) 그리고 제 2 전원케이블(42) 및 타단(10b)은 세라믹 접착제(53)를 매개로 세라믹 재질의 제 1 캡(51) 및 제 2 캡(52)에 의해 각각 합체된다.
그리고, 유리관(10)은 색상원료를 함유하여 적색, 파랑 또는 우유빛 새깔을 연출토록 함으로써 주변을 칼라풀하게 비추어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은 방법과 구조로 된 본 발명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라믹바디(90)의 외주연에 본 발명의 전기히터용 발열체를 합체시키고 전원을 공급할 경우 텅스텐코일과 할로겐물질의 즉각적인 반응으로 또는 카본섬유에 의한 즉각적인 반응으로 고열을 신속하게 발산할 수 있게 되고, 이때 나선형 본체(13a)에 의한 고열의 집적화로서 열효율의 극대화를 통해 세라믹바디(90)로부터 원적외선이 즉각적으로 발산되어 주변을 빠르게 따뜻하게 할 수 있어(카본섬유 역시 신속한 열에너지를 발산함은 물론임) 니크롬선에 비해 훨씬 더 전기에너지를 절약하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주변에 따뜻한 열기를 제공하는 전기히터 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10 : 유리관 11 : 제 1 개구부
10a : 일단 12 : 제 2 개구부
10b : 타단 13 : 본체
13a : 나선형 본체 14 : 통공
20 : 유도관 30 : 발열선
31 : 제 1 리드 31a : 제 1 몰리브덴 판
31b : 제 1 연결선 32 : 제 2 리드
32a : 제 2 몰리브덴 판 32b : 제 2 연결선
41 : 제 1 전원케이블 42 : 제 2 전원케이블
51 : 제 1 캡 52 : 제 2 캡
53 : 세라믹 접착제 70 : 기둥형 금형
71 : 나선형 홈 90 : 세라믹바디
100 : 전기히터

Claims (19)

  1. 제 1 개구부(11)가 부여된 일단(10a) 및 제 2 개구부(12)가 부여된 타단(10b) 사이에 본체(13)가 마련된 유리관(10)을 준비하는 스텝(S1)과,
    기둥형 금형(70)을 준비하는 스텝(S2)과,
    상기 일단(10a)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타단(10b)을 잡고 상기 본체(13)를 가열하면서 상기 금형의 외주연에 휘감아 나선형 본체(13a)를 완성시키는 스텝(S3)과,
    상기 기둥형 금형(70)으로부터 상기 유리관(10)을 탈거시키는 스텝(S4)과,
    상기 나선형 본체(13a)의 어느 한 지점에 통공(14)을 뚫고 유도관(20)을 부착하는 스텝(S5)과,
    제 1 리드(31) 및 제 2 리드(32)를 구비한 발열선(30)을 상기 유리관(10)의 제 1 개구부(11)를 경유하여 상기 제 2 개구부(12)로 끼워 넣는 스텝(S6)과,
    상기 유도관(20)을 통해 상기 유리관(10)에 불활성가스를 주입하는 스텝(S7)과,
    상기 제 1 리드(31) 및 제 2 리드(32)가 고정되도록 상기 제 1 개구부(11) 및 제 2 개구부(12)를 압착시키는 스텝(S8)과,
    상기 유도관(20)을 통해 상기 유리관(10) 내부의 공기를 흡착시켜 진공상태로 한 다음 상기 유도관(20)을 제거하면서 상기 통공(14)을 봉입하는 스텝(S9)과,
    상기 제 1 리드(31) 및 제 2 리드(32)에 제 1 전원케이블(41) 및 제 2 전원케이블(42)을 각각 접속시키는 스텝(S10)과,
    상기 제 1 전원케이블(41) 및 일단(10a) 그리고 상기 제 2 전원케이블(42) 및 타단(10b)을 제 1 캡(51) 및 제 2 캡(52)으로 각각 합체시키는 스텝(S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히터용 발열체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2 스텝에서 상기 기둥형 금형(70)은 그 외주연에 나선형 홈(71)이 형성되고,
    상기 S3 스텝에서 상기 본체(13)는 상기 나선형 홈(71)에 끼워지도록 휘감겨져 상기 나선형 본체(13a)를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히터용 발열체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S2 스텝에서 상기 기둥형 금형(70)은 상협하광(上狹下廣)의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히터용 발열체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7 스텝에서 상기 불활성가스는 질소 또는 아르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히터용 발열체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2 스텝에서 상기 기둥형 금형(70)은 흑연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히터용 발열체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드(31)는 상기 발열선(30)에 접속되는 제 1 몰리브덴 판(31a)과, 상기 제 1 몰리브덴 판(31a)에 고정된 후 상기 제 1 개구부(11)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제 1 전원케이블(41)에 접속되는 제 1 연결선(31b)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리드(32)는 상기 발열선(30)에 접속되는 제 2 몰리브덴 판(32a)과, 상기 제 2 몰리브덴 판(32a)에 고정된 후 상기 제 2 개구부(12)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제 2 전원케이블(42)에 접속되는 제 2 연결선(32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히터용 발열체 제조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S3 스텝에서 상기 유리관(10)의 일단(10a) 및 타단(10b)은 서로 동일한 방향의 수평상태로 펼쳐지거나, 서로 다른 방향의 수평상태로 펼쳐지거나, 서로 다른 방향의 수직상태로 펼쳐지거나, 상기 일단(10a)은 수평상태로 상기 타단(10b)은 수직상태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히터용 발열체 제조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S6 스텝에서 상기 발열선(30)은 텅스텐코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S9 스텝은 상기 유도관(20)을 통해 상기 유리관(10) 내부의 공기를 흡착시켜 진공상태로 한 다음 할로겐물질을 주입하고 상기 유도관(20)을 제거하면서 상기 통공(14)을 봉입하는 스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히터용 발열체 제조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S6 스텝에서 상기 발열선(30)은 카본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히터용 발열체 제조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S11 스텝에서 상기 제 1 캡(51) 및 제 2 캡(52)은 세라믹으로 이루어지면서 그 안쪽에 세라믹 접착제(53)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히터용 발열체 제조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S1 스텝에서 상기 유리관(10)은 색상원료를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히터용 발열체 제조방법.
  12. 제 1 개구부(11)가 부여된 일단(10a) 및 제 2 개구부(12)가 부여된 타단(10b) 사이에 본체(13)를 구비한 유리관(10)과, 상기 유리관(10)의 제 1 개구부(11)를 경유하여 상기 제 2 개구부(12)로 끼워짐과 동시에 제 1 전원케이블(41) 및 제 2 전원케이블(42)에 각각 접속되면서 상기 제 1 개구부(11) 및 제 2 개구부(12)의 압착에 의해 그 내부로 고정되는 제 1 리드(31) 및 제 2 리드(32)를 각각 구비한 발열선(30)을 포함하는 전기히터용 발열체에 있어서,
    상기 유리관(10)의 본체(13)는 나선형으로 휘감겨진 나선형 본체(13a)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히터용 발열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본체(13a)는 상협하광(上狹下廣)의 직경으로 휘감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히터용 발열체.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드(31)는 상기 발열선(30)에 접속되는 제 1 몰리브덴 판(31a)과, 상기 제 1 몰리브덴 판(31a)에 고정된 후 상기 제 1 개구부(11)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제 1 전원케이블(41)에 접속되는 제 1 연결선(31b)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리드(32)는 상기 발열선(30)에 접속되는 제 2 몰리브덴 판(32a)과, 상기 제 2 몰리브덴 판(32a)에 고정된 후 상기 제 2 개구부(12)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제 2 전원케이블(42)에 접속되는 제 2 연결선(32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히터용 발열체.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관(10)의 일단(10a) 및 타단(10b)은, 서로 동일한 방향의 수평상태로 펼쳐지거나, 서로 다른 방향의 수평상태로 펼쳐지거나, 서로 다른 방향의 수직상태로 펼쳐지거나, 상기 일단(10a)은 수평상태로 상기 타단(10b)은 수직상태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히터용 발열체.
  16.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선(30)은 텅스텐코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리관(10)은 할로겐물질을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히터용 발열체.
  17.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선(30)은 카본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히터용 발열체.
  18.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원케이블(41) 및 일단(10a) 그리고 상기 제 2 전원케이블(42) 및 타단(10b)은 세라믹 접착제(53)를 매개로 세라믹 재질의 제 1 캡(51) 및 제 2 캡(52)에 의해 각각 합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히터용 발열체.
  19.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관(10)은 색상원료를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히터용 발열체.
KR1020100042648A 2010-05-06 2010-05-06 전기히터용 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056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648A KR101056043B1 (ko) 2010-05-06 2010-05-06 전기히터용 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648A KR101056043B1 (ko) 2010-05-06 2010-05-06 전기히터용 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6043B1 true KR101056043B1 (ko) 2011-08-10

Family

ID=44933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648A KR101056043B1 (ko) 2010-05-06 2010-05-06 전기히터용 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60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35260A (zh) * 2015-06-26 2018-06-08 日本烟草产业株式会社 雾化单元的制造方法及雾化单元
KR102555660B1 (ko) * 2022-10-31 2023-07-14 (주)범용테크놀러지 반도체용 원통형 히팅블록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6577A (ja) 2007-12-11 2009-07-02 Toyonaka Hot Kenkyusho:Kk 電気ヒータ
JP2010078314A (ja) 2008-09-23 2010-04-08 John White 電気式発熱体変換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6577A (ja) 2007-12-11 2009-07-02 Toyonaka Hot Kenkyusho:Kk 電気ヒータ
JP2010078314A (ja) 2008-09-23 2010-04-08 John White 電気式発熱体変換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35260A (zh) * 2015-06-26 2018-06-08 日本烟草产业株式会社 雾化单元的制造方法及雾化单元
CN108135260B (zh) * 2015-06-26 2021-06-29 日本烟草产业株式会社 雾化单元的制造方法及雾化单元
KR102555660B1 (ko) * 2022-10-31 2023-07-14 (주)범용테크놀러지 반도체용 원통형 히팅블록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6043B1 (ko) 전기히터용 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
CN101661802A (zh) 用于制造电的引线装置的方法和按照该方法制造的电的引线装置
TW200845105A (en) Lamp for rapid thermal processing chamber
CN101778500A (zh) 自控温加热一体化铠装电加热器
CN102361522A (zh) 一种变截面端头不发热铠装加热器及其制备方法
CN205648031U (zh) 不锈钢复合石英管加热棒
CN206164866U (zh) 加热灯泡
US3524693A (en) Method for assembling a carbide filament incandescent lamp
CN201369839Y (zh) 自控温加热一体化铠装电加热器
JP6271059B1 (ja) Ledガラス管ランプ
CN108105994B (zh) 循环加热单端电极加热管及其加工工艺
CN206100501U (zh) 铁氟龙绝缘碳纤维加热线
JP3835961B2 (ja) 赤外線電球
KR101058425B1 (ko) 카본섬유 발열램프
JP2010530604A (ja) 炭化タンタルフィラメント電球及びその製造方法
CN104995991A (zh) 简化的灯具设计
CN206100485U (zh) 硅胶碳纤维发热线
JP3914031B2 (ja) マイクロヒータ
KR200471224Y1 (ko) 탄소히터
CN201528441U (zh) 一种电热管
CN2508511Y (zh) 封闭式塔形陶瓷电热组件
JP2006302522A (ja) 電球型ヒータ、点灯装置
CN204795656U (zh) 柱形ptc电加热器
CN106455158A (zh) 铁氟龙绝缘碳纤维加热线及其制造工艺方法
JP2000123960A (ja) 炭素系発熱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