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4643B1 - 수증기를 사용하는 환경 친화적 상업용 세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수증기를 사용하는 환경 친화적 상업용 세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4643B1
KR101054643B1 KR1020090083377A KR20090083377A KR101054643B1 KR 101054643 B1 KR101054643 B1 KR 101054643B1 KR 1020090083377 A KR1020090083377 A KR 1020090083377A KR 20090083377 A KR20090083377 A KR 20090083377A KR 101054643 B1 KR101054643 B1 KR 101054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water vapor
commercial laundry
commercial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3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0539A (ko
Inventor
에이치. 킴 데니스
디. 리 케네스
Original Assignee
그린 솔루션,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 솔루션, 인크. filed Critical 그린 솔루션, 인크.
Publication of KR20100130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0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4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4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LDRY-CLEANING, WASHING OR BLEACHING FIBRES, FILAMENT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MADE-UP FIBROUS GOODS; BLEACHING LEATHER OR FURS
    • D06L1/00Dry-cleaning or washing fibres, filament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made-up fibrous goo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LDRY-CLEANING, WASHING OR BLEACHING FIBRES, FILAMENT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MADE-UP FIBROUS GOODS; BLEACHING LEATHER OR FURS
    • D06L1/00Dry-cleaning or washing fibres, filament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made-up fibrous goods
    • D06L1/12Dry-cleaning or washing fibres, filament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made-up fibrous goods using aqueous solv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20Operation modes, e.g. delicate laundry washing programs, service modes or refreshment 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증기를 사용하는 환경 친화적 상업용 세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대량의 세탁감으로 처리해야하는 상업용 세탁소 환경에서 세탁물을 세척하는데 있어 종래의 건식 클리닝 (dry cleaning) 이나 물세탁 (wet cleaning) 대신에 수증기를 사용함으로써 세탁 처리공정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고 의류의 손상을 줄이면서도 환경 친화적인 세탁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세탁, 상업용, 수증기

Description

수증기를 사용하는 환경 친화적 상업용 세탁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Steam in a Commercial Laundry Machine as an Environmentally-Friendly Replacement of Conventional Dry Cleaning or Wet Cleaning Processes}
본 발명은 수증기를 사용하는 상업용 세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세부적으로는, 많은 세탁감을 처리해야하는 상업용 세탁소 환경에서 세탁물을 세척하는데 있어 종래의 건식 클리닝 (dry cleaning) 이나 물세탁 (wet cleaning) 대신에 수증기를 사용하는 방식의 세탁 장치와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세탁 처리공정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고 의류의 손상을 줄이면서도 환경 친화적인 세탁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100 여년을 넘은 시기 동안 상업용 세탁 산업은 많은 기술적 도전에 직면해 왔다. 역사적인 관점에서 볼 때, 대개의 상업용 세탁소는 일반 가정에서 다루기 힘든 직물을 포함한 다양한 옷감이나 의류를 취급할 수 있어야 했다. 19세기 중반에 건식 클리닝(dry cleaning)이란 기술이 고안된 이후에 오랜 시간 동안 건식 클리닝은 상업용 세탁 산업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다. 건식 클리닝(dry cleaning)은 물 대 신 화학제를 사용하며 물로 세탁하기 어려운 옷감들인 모직, 비단, 모피, 또는 다른 형태의 직물들을 효과적으로 세탁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건식 클리닝 (dry cleaning) 방법의 1 세대는 대개 케로신 (kerosene) 또는 가솔린 (gasoline) 같은 석유화학 제제를 사용했었다. 이러한 케로신이나 가솔린은 가연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상업용 세탁소에서 사용하기에는 매우 위험한 물질로 곧 인식되게 되었고, 석유화학 추출물질이긴 하나 가연성이 다소 낮은 파라핀 (paraffin) 성분의 스토다드(Stoddard) 나 그밖의 저가연성의 석유화학 물질들이 1950 년대 까지 널리 사용되었다.
1세대 건식 클리닝에 사용된 석유화학 물질들은 다소 낮은 가연성에도 불구하고 상업용 세탁소를 빈번하게 화재나 폭발 사고의 위험에 노출하였으므로, 이보다 더 안전한 건식 세탁 제제가 상업용 세탁 산업에 필요하게 되었다.1930년대부터 도입된 퍼클로에틸렌 (perchloroethylene) 혹은 약칭으로 "퍼크(perc)" 라고도 알려진 테트라클로로에틸렌 (tetrachloroethylene)은 세탁력이 뛰어나면서도 가연성이 거의 없는 세제로 인식되게 되었다. 또한 퍼크는 민감한 옷감인 비단이나 모직에도 손상을 주지 않기 때문에 20세기 중반까지 건식 세탁 제제로 상업용 세탁소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나 1990년대 들어 테트라클로로에틸렌이 인간을 상대로 발암물질 작용을 하는것이 발견되었고 지구 대기를 오염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도 알려지게 되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하여, 1993년 캘리포니아 에어 리소어스 보드 (California Air Resources Board)는 상업용 세탁소에서의 퍼크 물질의 대기 방출을 제재하기 위하 여 공중 유독물 제어방안을 설정하였다. 현존하는 많은 상업용 세탁소는 이러한 환경표준 규제와 제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퍼크 기반의 건식 세탁기의 점진적인 퇴역으로 인하여 대체 제품군이 시급한 실정이다. 친환경적인 화학 제품군으로 구분될수 있는 글리콜 에테르 (glycol ether)나 "D5"로 불려지기도 하는 디캠에틸시클로펜다실옥산 (decamethylcyclopentasiloxane)이 이러한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개발되었지만, 제도적으로 계속 강화되고 있는 상업용 세탁소의 화학 세탁제제 사용에 관한 대한 환경 규제와, 친환경적인 화학 제품군을 사용하는 세탁기기의 비싼 운용비용과 장비 가격으로 인하여 상업용 세탁 산업은 이러한 친환경 대체 세탁 방식을 빠르게 도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건식 클리닝 (dry cleaning) 대신에 쓰일 수 있는 그다지 환영받지 못하는 대체 방식은 일반 물세탁 또는 "습식 클리닝" (wet cleaning) 이라고 불려지는 공정이다. 상업용 세탁에서의 물세탁은 일반 가정에서의 의류 세탁과 별반 차이 없이 의류를 물에 담근 후 대개 친환경적인 수용성 세제를 써서 세척하게 된다. 그러나 이런 방식의 물세탁은 상업용 세탁소의 운영에 있어서 많은 단점을 지니게 되는데, 그중에 가장 큰 단점은 몇 가지의 특정 옷감류에만 물세탁 공정이 가능하다는데 있다. 또한 물세탁이 가능한 특정 옷감류의 경우에도 상업용 세탁소의 대용량 의류 세탁 처리에는 부적합하게 심한 의류의 수축이나 구겨짐, 또는 손상이 생기게 되므로 큰 단점으로 작용하게 된다. 대용량 의류 세탁 처리가 빈번한 상업용 세탁소의 경우에는 의류의 수축이나 구겨짐이 심할 경우 그러한 의류를 다림질하기 위한 프레스 머신을 쓰기 전에 많은 사전 준비과정이 필요하게 되므로 시간과 비용 면에서 부적합한 방식으로 여겨지고 있다. 게다가 상업용 "습식 클리닝" 물 세탁기의 경우 건식 클리닝 세탁기기 보다 대개 비싸기 때문에 건식 크리닝을 대체 하는데에는 현실적으로 매력이 떨어진다.
또한, 시장에 현존하는 대부분의 "습식 클리닝" 상업용 물 세탁기는 세탁물을 냉각 및 건조하기 위한 냉동기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상업용 세탁기 소유자에게 보다 비싼 제조 비용과 물품 비용을 전가하게 된다는 단점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상대적으로 저렴하면서 친환경적이며 여러 옷감을 세탁하는데 있어 손쉬운 새로운 세탁 장치 및 방법이 상업용 세탁소에서는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배경 기술란에 기재한 바와 같이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주요 세척물질로써 수증기를 사용하며, 세탁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물질에 관한 배출물 여과 장치를 구비하여 세탁 공정시 공기와 수증기를 오염물질로 부터 여과 및 분리시켜 친환경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업용 세탁 산업에 친환경적인 새로운 방법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오염 관련 규제 공정들을 최소화하여 상업용 세탁 장치의 운영 비용을 절감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습식 클리닝" 이라 불리우는 물세탁 장비에 비해 물 사용량이 적도록 함으로써 물 절약은 물론 비교적 적은 수자원을 가진 미국의 캘리포니아, 아리조나, 뉴 멕시코 및 네바다와 같은 건조 지역에서의 환경 보호에 기여할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을 사용할 경우 의류의 수축이나 구겨짐이 "습식 클리닝" 보다 훨씬 적으므로, 상업용 세탁 공정에서 많은 시간을 요구하는 프레스 머신을 사용하는 다림질을 위한 시간과 노력을 최소화하는데에도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의 상업용 세탁소 전용 별도 보일러 시스템으로부터 상업용 세탁 장치 내부로 수증기를 공급받게 되므로, 세탁 장치 내부에 내장형 수증기 발생 장치 (가스 또는 전기 보일러) 를 구비하지 않는 방식으로 설계되어, 상업용 세탁소의 운영에 우수한 공정 효율과 경비 절감을 이룩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고안된 본 발명인 수증기를 주요 세탁 물질로 사용하는 상업용 세탁 장치는, 한 실시예의 경우, 드럼모터에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세탁시 회전하게 설계되어있는 드럼과; 마이크로 콘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며 수증기를 상기 드럼 내부 안으로 분사시킬수 있는 수증기 분사 수단과; 상기 수증기 분사 수단과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의 상업용 세탁 장치 외부의 상업용 세탁소 전용 별도 보일러 시스템으로부터 상업용 세탁 장치 내부로 수증기를 공급하는 수증기 공급 덕트와;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특정 의류 세탁 프로그램을 작동시키게 하는 제어 패널과, 상기의 드럼과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의 공기를 주기적으로나 연속적으로 공급하게 설계된 공기 공급 덕트와; 상기 드럼의 배출 포트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오염물질 분리 및/또는 여과 체임버와; 상기 오염물질 분리 및/또는 여과 체임버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여과된 공기 배출 덕트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를 사용하는 상업용 세탁 장치이다.
본 발명의 장치에는 세제나 직물 컨디셔너를 공급할수 있는 세제 및/또는 직물 컨디셔너 투입구를 더 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오염물질 분리 및/또는 여과 체임버와 기능적으로 연결되며, 분리된 오염물을 수집하기 위한 분리 용기를 더 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오염물질 분리 및/또는 여과 체임버와 기능적으로 연결되며, 오 염물을 정화된 수분과 분리하기 위해 수분을 가열하여 증발시키는 증류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업용 세탁소 전용 별도 보일러 시스템으로부터 수증기를 공급받아 수증기 분사 수단으로부터 분사될 수증기는 압력 제어기에 의해 그 압력을 조절받을수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팀 분사 수단은 복수의 갯수로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을 상업용 세탁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방법의 한 실시예는,
먼지 여과 및 의류들을 부드럽게 하기 위한 상업용 세탁장치의 드럼을 회전시키는 단계와; 상업용 세탁 장치 외부의 상업용 세탁소 전용 별도 보일러 시스템으로부터 상업용 세탁 장치 내부로 수증기 공급 덕트를 통해 수증기를 공급받는 단계와; 상기 의류들을 수용한 상기의 드럼이 계속 회전하는 동안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의류 세탁 프로그램에 의하여 산출된 일정한 양의 수증기를 상기 드럼 내로 분사하는 단계와; 상기 드럼에 세제나 직물 콘디셔너를 첨가하는 단계와; 각각의 세탁 단계 동안 상기 드럼으로부터의 수분, 화합물, 및/또는 찌꺼기의 배출을 보조하기 위한 주기적 또는 연속적 공기 순환 단계와; 상기 상업용 세탁소에서 다림질을 쉽게 하기 위하여 상기 드럼의 내부 온도를 증가시키는 예비 건조 단계와; 마지막 공기 순환 단계까지 상기 드럼을 계속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 기술한 것과 같이 기존의 상업용 건식 클리닝이나 습식 클리닝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주요 세척물질로 수증기를 사용하며 세탁으로 인하여 배출되는 오염물질 분리 및/또는 여과 장치를 구비하여 세탁 과정 중이나 완료후 공기 및 수증기를 오염물질로부터 여과시키며, 정화된 공기 및 수증기를 친환경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상업용 세탁 산업에 친환경적인 방안을 제공한다. 또한 오염 관련 환경 규제 공정들을 최소화함으로써 상업용 세탁 장치의 운영 비용을 절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상업용 세탁소 운영에 있어서 본 발명을 사용할 경우 세탁된 의류의 구겨짐이나 수축이 적으므로 다림질 시간이나 다림질 전의 준비과정을 간편화시킴으로써 세탁소의 운영 효율과 이윤을 증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수증기를 상업용 세탁소에 위치한 별도의 외부 보일러로부터 공급받아 사용함으로써 세탁 장치 내부에 별도의 보일러를 쓰지 않음으로써 대용량의 세탁공정에 매우 효율적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중의 실시예들 중 몇가지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대조하여 기술하도록 한다. 도면에 명시된 레이블은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같은 레이블로 인용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세탁 장치와 관련이 있다. 더 세부적으로는, 본 발명은 수증기를 주요 세척물질로 사용하는 상업용 세탁 장치와 방법에 관련되어 있으며, 기존의 건식 클리닝(dry cleaning) 이나 “습식 클리닝” 이라고 불리우는 상업용도의 물세탁 공정보다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이며 의류의 손상, 구겨짐, 또는 수축을 최소화시키는 발명이기도 하다.
도 1은 수증기를 주요 세척물질로 사용하는 상업용 세탁 장치(101)의 한 실시예의 전면부(100)를 도시한 것이다. 발명자가 선호하는 특정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업용 세탁 장치(101)는 “마이크로 홀” 이라 불려 지기도 하는 미세 구멍들을 가진 드럼(105)과 단수나 복수의 수증기 분사 수단(121)을 포함하고 있다. 한 특정 실시예의 경우에는 단수나 복수의 수증기 분사 수단(121)은 드럼(105) 내부 벽에 노출되어 있을 수도 있고, 또 다른 실시예의 경우에는 단수나 복수의 수증기 분사 수단이(121) 드럼 뒷부분에 위치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수증기 분사 수단(121)은 드럼(105)에 기능적으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외부에서 가져온 수증기를 드럼(105) 내부에 주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한 실시예의 경우에는 마이크로 홀은 많은 공기방울들과 수증기 또는 수분의 순환과 움직임을 도와줌으로써 드럼 안의 세탁물들을 더욱 효과적으로 세탁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수증기 분사 수단(121)은 특정 세탁 프로그램이 관장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의 제어를 통하여 상업용 세탁 장치(101)의 드럼(105) 내부로 수증기 주입을 할 수 있게 설계되었다.
발명자가 선호하는 특정 실시예의 경우, 단수나 복수의 수증기 분사 수단(121)은 수증기 공급 덕트(111)에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수증기 공급 덕트(111)는 신선한 수증기를 외부의 상업용 세탁소 전용 별도 보일러 시스템으로부터 상업용 세탁 장치(101) 내부의 단수나 복수의 수증기 분사 수단(121)에 공급하여 줄 수 있다. 한 실시예의 경우에는, 신선한 수증기는 수증기 공급 덕트(111)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압력 밸브로써 수증기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단수나 복수의 수증기 분사 수단(121) 및/또는 압력 밸브는 상업용 세탁 장치(101)의 마이크로 콘트롤러가 실행하는 특정 세탁 프로그램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한 실시예의 경우, 상기의 특정 세탁 프로그램은 의류의 색깔(흰색, 밝은색 등등) 또는 종류(비단, 모직 등등)에 따라 실행될 수 있게 설계되었다. 또한 상기의 특정 세탁 프로그램은 상업용 세탁 장치(101)의 마이크로 콘트롤러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제어 패널(115)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직접 제어될 수도 있다. 제어 패널(115)의 하나의 실시예는 터치 스크린 기능이 있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고,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는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조작 버튼과 스크린이 조화된 유저 인터페이스일수도 있다. 대개의 경우, 복수의 의류 세탁 프로그램이 상기의 상업용 세탁 장치(101)에 여러 가지의 세탁과 행굼 지속 및/또는 반복 시간과 수증기의 드럼(105) 안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게 입력되어 있으며, 의류의 색상(흰색, 밝은색 등등) 이나 종류(비단, 모직 등등)에 따라 세탁 프로그램이 구분되어 있는 경우가 발명자가 선호하는 실시예이다. 또한 대개의 경우, 밝은 색상의 의류일수록 세 탁 또는 행굼 지속 및/또는 반복 시간을 늘리는 것이 세탁에 더욱 효과적일 수도 있고, 밝은 색상의 의류는 어두운 색상의 의류보다 더 많은 수증기의 드럼(105) 안 주입량을 필요로 할 수도 있다.
도 1을 계속해서 설명하기로 하겠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경우, 세탁 또는 행굼 주기 매번마다 연속적이거나 주기적인 공기 순환을 통하여 드럼(105) 내부 세탁물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찌꺼기, 오염물질, 및/또는 냄새들을 드럼(105) 외부로 축출해 줄 수 있다. 발명자가 선호하는 한 실시예의 경우, 공기 공급 덕트(107)를 통하여 신선한 공기를 세탁 장치(101) 내부의 드럼(105)으로 주입하여 줄 수 있고, 또한 공기 배출 덕트(109)를 통하여 공기, 수증기, 또는 수분의 혼합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설계되었다. 한 선택 사양의 실시예의 경우, 찌꺼기, 화합물, 더러워진 수증기, 또는 더러워진 수분은 여과와 정화 과정을 거쳐서 깨끗해진 후에 상기의 공기 배출 덕트(109)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발명자가 선호하는 한 실시예의 경우, 드럼(105)은 창문이 있으며 전면에서 개폐가 가능한 문(103)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의 창문은 상기 드럼(105) 안의 세탁물을 육안으로 살펴볼 수 있게 설계 되었다. 대개의 경우 상기의 문(103)은 금속과 유리의 재질로 만들어지며, 세탁 장치(101) 가동중 어느 정도의 열이나 기계적 스트레스를 견딜 수 있게 설계되었다. 또한 도 1 이 표현하는 실시예의 경우, 세탁 장치 가동 여부 표시등(117)은 사용자가 제어 패널(115)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도, 세탁 장치(101)의 작동 상황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 1에 나타난 주 전원 온 및/또는 오프 스위치(113)는 비상 스위치로 작동할 수도 있고 일반 주 전원 스위치로써 작동할 수 있으며, 비상 스위치로 작동할 경우 사용자가 급히 전원을 차단해야 할 경우 제어 페널(115)을 통하지 않고도 즉시 전원 차단을 가능하게 하므로 세탁 장치(101)의 안전 작동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한 실시예의 경우, 물을 저장할수 있는 리저브 탱크(119)가 드럼(105), 수증기 공급 덕트(111), 공기 공급 덕트(107), 및/또는 공기 배출 덕트(109)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세탁 장치(101)의 세탁이나 헹굼시 도움을 줄 수 있게 설계되어 있다.
도 2 는 수증기를 주요 세척물질로 사용하는 상업용 세탁 장치(200)의 한 실시예의 측면과 뒷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발명자가 선호하는 한 실시예의 경우, 상업용 세탁 장치(200)는 세제 및/또는 직물 컨디셔너 투입구(201), 드럼(105)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드럼 모터를 탑재하고 있는 드럼 모터 케이스(203), 그리고 수증기 공급 덕트(20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증기 공급 덕트(205)는 외부의 상업용 세탁소 전용 별도 보일러 시스템과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업용 세탁 장치(200) 내부의 수증기 분사 수단과도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발명자가 선호하는 한 실시예의 경우, 오염물질 분리 및/또는 여과 체임버(215)가 드럼의 배출 포트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드럼에서 배출된 오염물질, 찌꺼기, 화학물질, 더러워진 수증기, 더러운 물기, 및/또는 더러운 공기를 정화, 분리,또는 여과시킬수 있게 설계되었다.
발명자가 선호하는 한 실시예의 경우, 오염물질 분리 및/또는 여과 체임버(215)는 찌꺼기 수거 파이프(213), 찌꺼기 펌프 모터(211), 찌꺼기 용기 파 이프(207), 그리고 찌꺼기 수거함(209)에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한 실시예의 경우, 오염물질 분리 및/또는 여과 체임버(215) 안에 내장되어 있는 필터는 드럼에서 배출된 찌꺼기나 오염물질을 체임버 내에서 분리시킨 이후에 찌꺼기 수거 파이프(213) 쪽으로 떨어트릴수 있게 설계되었다. 또한 떨어트려진 찌꺼기나 오염물질은 최종적으로 찌꺼기 수거함(209) 까지 운반되도록 설계되었으며, 한 특정 실시예의 경우 찌꺼기 펌프 모터(211)가 찌꺼기 수거 파이프(213)와 찌꺼기 용기 파이프(207) 사이에 위치하여 파이프 관 내에 압력을 주는 역할을 하여 찌꺼기와 오염물질들을 찌꺼기 수거함(209) 까지 운반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발명자가 선호하는 한 실시예의 경우, 오염물질 분리 및/또는 여과 실린더(225)가 상기의 오염물질 분리 및/또는 여과 체임버(215)와 같이 연결되고 사용되어 찌꺼기와 오염물질을 수증기나 공기로부터 여과, 분리, 및/또는 정화시키는데 더 도움을 줄 수 있게 설계되었다.
또한 한 대체 실시예의 경우에는, 이미 오염물질 분리 및/또는 여과 체임버(215)로 인하여 떨구어진 찌꺼기나 더러운 물기, 및/또는 다른 오염물질들이 상기에 기재한 찌꺼기 수거함(209)으로 보내지는 대신 디스크 필터 및/또는 증류 탱크(227)로 운반되어, 정화되어졌거나 친환경적인 수분만 대기중으로 증발시킬 수 있게 고안되었다. 이 한 대체 실시예의 경우, 찌꺼기 수거 파이프(213) 및/또는 찌꺼기 펌프 모터(211)가 상기 디스크 필터 및/또는 증류 탱크(227)에 기능적으로 연결될수 있으며, 디스크 필터 및/또는 증류 탱크(227)는 모아진 찌꺼기나 수분을 증류하여 정화되어졌거나 친환경적인 수분만 “수증기 배출” 덕트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이 “수증기 배출” 덕트는 도 2 에 도시된 공기 배출 덕트(217) 와 같은 덕트일 수도 있고 따로 구분된 덕트일 수도 있다. 정화되어졌거나 친환경적인 수분을 디스크 필터 및/또는 증류 탱크(227)로부터 증발시키는데 있어서 수증기를 포함한 가열 코일을 써서 수분을 “수증기 배출” 덕트로 증발시키는 방법이 발명자가 선호하는 방식이다. 상기의 디스크 필터 및/또는 증류 탱크(227)를 쓰는 실시예의 장점은 찌꺼기 수거함(209)을 쓰는 방식에 비하여 필요한 별도의 하수 처리 시설이 필요 없어지게 된다는 것이다. 미국의 상업용 세탁소의 경우 오염물질이 섞여 있는 물기있는 세탁 찌꺼기물은 별도의 환경규제가 있는 관계로 세탁소의 하수 처리가 까다로운 경우가 많다. 그런데 상기의 방식처럼 정화, 분리, 및/또는 여과 작업 이후에 깨끗해진 물기를 외부로 증발시키고 말려서 건조된 찌꺼기나 오염 물질만 디스크 필터 및/또는 증류 탱크(227)에서 빼서 휴지통에 버릴 경우에는 별도의 하수 처리에 관한 시설이나 비용이 필요 없어지게 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발명자는 상기의 대체 실시예를 고안하게 되었다. 또한 상기의 대체 실시예의 경우, 하수구로 찌꺼기가 있는 수분을 버리지 않게 되므로 환경 오염을 최소화시킬 수도 있고, 증발시키는 수분은 이미 정화 작업 이후의 일이므로 대기 오염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면 2 에 나타난 세탁 장치(200)의 경우에는 드럼 내부로부터 공기 순환을 주기적으로나 정기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공기 공급 덕트(221)와 공기 배출 덕트(217)가 구비되어 있다. 발명자가 선호하는 실시예의 경우, 정화된 공기와 수분을 공기 배출 덕트(217)로 방출시키게 바람을 일으키는 수증기 및/또는 공기 환 풍기(223)가 오염물질 분리 및/또는 여과 실린더(225)와 공기 배출 덕트(217)에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수증기 및/또는 공기 환풍기(223)는 공기 배출 덕트(217)로 정화된 수증기와 공기를 끌어올릴 수 있도록 환풍작용을 일으키게 설계되었다.
본 발명의 큰 장점 중 하나는, 수증기를 주요 세척물질로 사용하면서 배출물 관련 찌꺼기와 오염물질 또는 수분을 세탁 장치 자체에 장착된 여러 기구들(예: 오염물질 분리 및/또는 여과 체임버(215), 찌꺼기 수거함(209), 등등)을 활용하여 분리 및 정화시키고 깨끗해진 수분이나 공기만 세탁소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히 환경 친화적인 세탁 장비 솔루션을 제공하는데 국한되지 않고, 환경 관련 규제의 제한을 상업용 세탁소를 운영하는데 있어 최소화시킴으로써 세탁소의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는 상반되게도, 기존의 건식 “드라이 클리닝” 세탁 장비의 경우 점진적으로 강화되는 여러 환경 규제와, 검사, 그리고 장비의 고가 비용문제로 상업용 세탁소의 수익율에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수증기를 주요 세척물질로 사용하는 상업용 세탁 장치(예: 101, 200)의 경우 대체적으로 물 사용량이 일반 물세탁기를 사용하는 “습식 클리닝” 보다 현저하게 적으므로, 물 자원이 갈수록 귀중해지는 미국 서부의 건조지역인 캘리포니아, 아리조나, 뉴 멕시코, 또는 네바다 같은 지역에서 환경 보호와 정부 차원의 절수 전략에 매우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다. 또한 수증기를 주요 세척 물질로 사용하는 본 발명의 경우, 세탁과 헹굼후에 세탁물의 구김과 수축이 거의 없으므로, 일반 “습식 클리닝” 상업용 세탁 방법보다 프레스 머신을 사용하는 다림질 과정 전에 준비과정이 최소화되므로, 세탁 공정의 효율과 세탁소의 수익율을 높이는데 크게 이바지 할 수 있다.
게다가 기존의 상업용 “습식 클리닝” 세탁 장비들은 본 발명과는 다르게 세탁물들을 건조시키거나 열을 식히기 위해 냉동 유닛을 별도로 장착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여서, 세탁 장비의 생산 원가가 높으므로 상대적으로 소비자인 세탁소 운영자 입장에서 상대적으로 비싼 가격에 구매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수증기를 주요 세척물질로 사용하는 본 발명의 경우 냉동 유닛을 부착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상업용 세탁소에 프레스 머신을 위해 이미 존재하는 외부의 보일러 시스템으로부터 수증기를 공급받게 되므로, 세탁 장치 내부에 보일러를 장착할 필요가 없어 생산 단가를 저렴하게 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만약 본 세탁 장치가 내부 보일러를 장착한다면 전기나 가스를 이용해 물을 증류하기 위해 많은 에너지 소모가 요구되므로 세탁 장비 운영 및/또는 유지비가 높을 것이기 때문에 이미 세탁소에 존재하는 외부 보일러 시스템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은 수증기를 주요 세척물질로 사용하는 상업용 세탁 장치(300)의 한 실시예의 뒷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발명자가 선호하는 한 실시예의 경우, 상업용 세탁 장치(300)는 세제 및/또는 직물 컨디셔너 투입구(301), 드럼(105)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드럼 모터를 탑재하고 있는 드럼 모터 케이스(303), 그리고 수증기 공급 덕트(305, 319)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증기 공급 덕트(305, 319)는 외부의 상업용 세탁소 전용 별도 보일러 시스템과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업용 세탁 장치(300) 내부의 수증기 분사 수단과도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발명자가 선호하는 한 실시예의 경우, 오염물질 분리 및/또는 여과 체임버(315)가 드럼의 배출 포트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드럼에서 배출된 오염물질, 찌꺼기, 화학물질, 더러워진 수증기, 더러운 물기, 및/또는 더러운 공기를 정화, 분리,또는 여과시킬수 있게 설계되었다.
발명자가 선호하는 한 실시예의 경우, 오염물질 분리 및/또는 여과 체임버(315)는 찌꺼기 수거 파이프(313), 찌꺼기 펌프 모터(311), 찌꺼기 용기 파이프(327, 307), 그리고 찌꺼기 수거함(309)에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한 실시예의 경우, 오염물질 분리 및/또는 여과 체임버(315) 안에 내장되어 있는 필터는 드럼에서 배출된 찌꺼기나 오염물질을 체임버 내에서 분리시킨 이후에 찌꺼기 수거 파이프(313) 쪽으로 떨어트릴수 있게 설계되었다. 또한 떨어 트려진 찌꺼기나 오염물질은 최종적으로 찌꺼기 수거함(309)까지 운반되도록 설계되었으며, 한 특정 실시예의 경우 찌꺼기 펌프 모터(311)가 찌꺼기 수거 파이프(313)와 찌꺼기 용기 파이프(327, 307) 사이에 위치하여 파이프 관 내에 압력을 주는 역할을 하여 찌꺼기와 오염물질들을 찌꺼기 수거함(309)까지 운반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발명자가 선호하는 한 실시예의 경우, 오염물질 분리 및/또는 여과 실린더(325)가 상기의 오염물질 분리 및/또는 여과 체임버(315)와 같이 연결되고 사용되어 찌꺼기와 오염물질을 수증기나 공기로부터 여과, 분리, 및/또는 정화시키는데 더 도움을 줄 수 있게 설계되었다.
또한 한 대체 실시예의 경우에는, 이미 오염물질 분리 및/또는 여과 체임버(315)로 인하여 떨구어진 찌꺼기나 더러운 물기, 및/또는 다른 오염물질들이 상기에 기재한 찌꺼기 수거함(309)으로 보내지는 대신 디스크 필터 및/또는 증류 탱크(329)로 운반되어, 정화되어졌거나 친환경적인 수분만 대기중으로 증발시킬 수 있게 고안되었다. 이 한 대체 실시예의 경우, 찌꺼기 수거 파이프(313) 및/또는 찌꺼기 펌프 모터(311)가 상기 디스크 필터 및/또는 증류 탱크(329)에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디스크 필터 및/또는 증류 탱크(329)는 모아진 찌꺼기나 수분을 증류하여 정화되어졌거나 친환경적인 수분만 “수증기 배출” 덕트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이 “수증기 배출” 덕트는 도 3 에 도시된 공기 배출 덕트(317)와 같은 덕트일 수도 있고 따로 구분된 덕트일 수도 있다. 정화되어졌거나 친환경적인 수분을 디스크 필터 및/또는 증류 탱크(329)로부터 증발시키는데 있어서 수증기를 포함한 가열 코일을 써서 수분을 “수증기 배출” 덕트로 증발시키는 방법이 발명자가 선호하는 방식이다. 상기의 디스크 필터 및/또는 증류 탱크(329)를 쓰는 실시예의 장점은 찌꺼기 수거함(309)을 쓰는 방식에 비하여 필요한 별도의 하수 처리 시설이 필요 없어지게 된다는 것이다. 미국의 상업용 세탁소의 경우 오염물질이 섞여 있는 물기 있는 세탁 찌꺼기물은 별도의 환경규제가 있는 관계로 세탁소의 하수 처리가 까다로운 경우가 많다. 그런데 상기의 방식처럼 정화, 분리, 및/또는 여과 작업 이후에 깨끗해진 물기를 외부로 증발시키고 말려서 건조된 찌꺼기나 오염 물질만 디스크 필터 및/또는 증류 탱크(329)에서 빼서 휴지통에 버릴 경우에는 별도의 하수 처리에 관한 시설이나 비용이 필요 없어지게 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발명 자는 상기의 대체 실시예를 고안하게 되었다. 또한 상기의 대체 실시예의 경우, 하수구로 찌꺼기가 있는 수분을 버리지 않게 되므로 환경 오염을 최소화시킬 수도 있고, 증발시키는 수분은 이미 정화 작업 이후의 일이므로 대기 오염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면 3 에 나타난 세탁 장치(300)의 경우에는 드럼 내부로부터 공기 순환을 주기적으로나 정기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공기 공급 덕트(321)와 공기 배출 덕트(317)가 구비되어 있다. 발명자가 선호하는 실시예의 경우, 정화된 공기와 수분을 공기 배출 덕트(317)로 방출시키게 바람을 일으키는 수증기 및/또는 공기 환풍기(323)가 오염물질 분리 및/또는 여과 실린더(325)와 공기 배출 덕트(317)에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수증기 및/또는 공기 환풍기(323)는 공기 배출 덕트(317)로 정화된 수증기와 공기를 끌어올릴 수 있도록 환풍작용을 일으키게 설계되었다.
도 4는 수증기를 주요 세척물질로 사용하는 상업용 세탁 장치(400)의 한 실시예의 뒷부분 일부를 오염물질 분리 및/또는 여과 체임버(401)가 여러 개의 부품으로(405, 407, 409) 분해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4 는 상업용 세탁 장치(400)의 뒷부분 일부 중 드럼 모터 케이스(415)를 도시하기도 한다. 위의 다른 도면에서 기술했던 봐와 같이, 오염물질 분리 및/또는 여과 체임버(401)는 드럼에서 배출되는 찌꺼기, 오염물질, 수분, 화학물질, 및/또는 공기의 혼합물들을 분리, 여과, 또는 정화시킬 수 있다. 발명자가 선호하는 실시예의 경우, 오염물질 분리 및/또는 여과 체임버(401)는 단수나 복수의 필터(405, 407)를 장착하고 있고 필터는 여러 찌꺼기, 오염물질, 수분, 화학물질, 및/또는 공기의 혼합물들을 효과적으로 분리, 여과, 또는 정화시키는 주 역할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한 실시예의 경우, 첫번째 필터(405)는 고효율 파티클 필터, 혹은 “HEPA” 라고 불리는 필터로써, 촘촘한 그물망 형식을 갖추고 있고, 공기 배출 덕트로 원하지 않는 오염물질이나 찌꺼기가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찌꺼기 수거 파이프(403)와 찌꺼기 용기 파이프(413)가 큰 찌꺼기로 인해 막히는 것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한 실시예의 경우, 두번째 필터(407)는 카본 필터로써 더러워진 공기, 습기, 화학물질, 및/또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이렇게 첫번째 필터(405)와 두번째 필터(407)를 거친 여과되고 정화된 공기와 수증기, 또는 습기는 공기 배출 덕트나 다른 통로를 사용해 대기중으로 방출될 수 있다.
도 4의 상업용 세탁 장치(400) 실시예의 경우, 첫번째 필터(405)나 두번째 필터(407)에 걸려지지 않은 찌꺼기들은 찌꺼기 수거 파이프(403)와 찌꺼기 용기 파이프(413)를 통하여 찌꺼기 수거함(411)에 모여지게 된다. 또한 한 대체 실시예의 경우에는, 이미 오염물질 분리 및/또는 여과 체임버(401)로 인하여 떨구어진 찌꺼기나 더러운 물기, 및/또는 다른 오염물질들이 상기에 기재한 찌꺼기 수거함(411)으로 보내지는 대신 디스크 필터 및/또는 증류 탱크(417)로 운반되어, 정화되어졌거나 친환경적인 수분만 대기중으로 증발시킬수 있게 고안되었다. 이 한 대체 실시예의 경우, 찌꺼기 수거 파이프(403) 및/또는 찌꺼기 펌프 모터가 상기 디스크 필터 및/또는 증류 탱크(417)에 기능적으로 연결될수 있으며, 디스크 필터 및/또는 증류 탱크(417)는 모아진 찌꺼기나 수분을 증류하여 정화되어졌거나 친환경적인 수분만 “수증기 배출” 덕트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이 “수증기 배출” 덕트는 다른 도면에서 이미 설명한 공기 배출 덕트와 같은 덕트일수도 있고 따로 구분된 덕트일 수도 있다. 정화되어졌거나 친환경적인 수분을 디스크 필터 및/또는 증류 탱크(417)로부터 증발시키는데 있어서 수증기를 포함한 가열 코일을 써서 수분을 “수증기 배출” 덕트로 증발시키는 방법이 발명자가 선호하는 방식이다. 상기의 디스크 필터 및/또는 증류 탱크(417)를 쓰는 실시예의 장점은 찌꺼기 수거함(411)을 쓰는 방식에 비하여 필요한 별도의 하수 처리 시설이 필요 없어지게 된다는 것이다. 미국의 상업용 세탁소의 경우 오염물질이 섞여 있는 물기있는 세탁 찌꺼기물은 별도의 환경규제가 있는 관계로 세탁소의 하수 처리가 까다로운 경우가 많다. 그런데 상기의 방식처럼 정화, 분리, 및/또는 여과 작업 이후에 깨끗해진 물기를 외부로 증발시키고 말려서 건조된 찌꺼기나 오염 물질만 디스크 필터 및/또는 증류 탱크(417)에서 빼서 휴지통에 버릴 경우에는 별도의 하수 처리에 관한 시설이나 비용이 필요없어지게 될수도 있다는 점에서 발명자는 상기의 대체 실시예를 고안하게 되었다. 또한 상기의 대체 실시예의 경우, 하수구로 찌꺼기가 있는 수분을 버리지 않게 되므로 환경 오염을 최소화 시킬수도 있고, 증발시키는 수분은 이미 정화 작업 이후의 일이므로 대기 오염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 실시예의 경우, 체임버 필터를 담는 용기(409)는 오염물질 분리 및/또는 여과 체임버(401) 안에 도킹될 수 있으며, 또한 여러 파트들이 조립된 상태일 경우 단수나 복수의 필터들을(예: 405, 407) 담을 수 있게 설계되었다.
도 5 는 수증기를 주요 세척물질로 사용하는 상업용 세탁 장치(501)의 한 실시예의 앞 부분(500)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발명자가 선호하는 한 실시예의 경우, 세탁 장치 가동 여부 표시등(503)이 세탁 장치(501)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제어 패널(507)을 읽을 수 없을 정도로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세탁 장치의 가동 여부를 한눈에 알 수 있게 한다. 또한 제어 패널(507)은 사용자가 특정 의류 세탁 프로그램을 시작하거나, 선택, 및/또는 정지시키는데 쓰일 수 있다. 제어 패널(507)의 한가지 예는 터치 스크린 패널이며, 또 다른 예는 버튼과 디스플레이가 혼합된 제어 인터페이스이다. 대개의 경우, 상업용 세탁 장치(501)는 여러 가지의 의류 세탁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세탁과 헹굼 주기의 길이나 반복 횟수가 프로그램마다 다르게 설정될 수 있고, 수증기의 양이 얼마나 드럼(509) 안으로 분사되느냐도 프로그램마다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발명자가 선호하는 실시예의 경우, 의류 세탁 프로그램들은 의류의 색상별로(밝은 색의 의류, 흰 의류, 어두운 색의 의류, 등등) 구분되어 있거나 옷감의 종류별로(모직, 비단, 등등) 구분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대개의 경우, 밝은 색의 의류는 세탁과 헹굼 주기의 길이가 어두은 색의 의류보다 전반적으로 길게 설정되며 드럼(509) 내부로의 수증기의 분사량도 더 많은 편이다.
도 5는 또한 “마이크로 홀” 이라고 불리기도 하는 미세 구멍(511)을 상업용 세탁기(501) 드럼(509) 내부에 도시하고 있다. 한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의 미세 구멍(511)들은 많은 공기방울들과 수증기 또는 수분의 순환과 움직임을 도와줌으로써, 드럼(509)의 회전시 드럼안의 세탁물들을 더욱 효과적으로 세탁할 수 있 게 한다. 한편, 도 5에서 표현된 주 전원 온 및/또는 오프 스위치(505)는 비상 스위치로 작동할 수도 있고 일반 주 전원 스위치로써 작동할 수 있으며, 비상 스위치로 작동할 경우 사용자가 급히 전원을 차단해야 할 경우 제어 페널(507)을 통하지 않고도 즉시 전원 차단을 가능하게 하므로 세탁 장치(501)의 안전 작동에 기여할 수 있다.
도 6 은 수증기를 주요 세척물질로 사용하는 상업용 세탁 장치(601)의 한 실시예의 앞 부분 일부(600)를 드럼(603) 안으로 수증기를 주입할 수 있는 수증기 분사수단의 한 실시예와 함께 나타낸 도면이다. 발명자가 선호하는 한 실시예의 경우, 두개의 수증기 분사 수단(613, 615)이 180도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형식을 취할수 있다. 또한 한 다른 실시예의 경우, 단수나 복수의 수증기 분사 수단(613, 615)은 드럼(603) 안 뒷면(617)에 위치해 있거나 드럼(603)에 직접적으로나 간접적으로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수증기를 드럼 내부로 주입할 수 있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발명자가 선호하는 한 실시예의 경우, 드럼(603)은 도어 핸들(609)과 안의 내용물을 관찰할 수 있는 유리창을 포함한 드럼형 앞문(611)을 장착하고 있으며, 상기의 드럼형 앞문(611)은 대개 금속제나 유리관련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드럼형 앞문은 세탁 장치(601)의 작동 수명 동안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기계적 스트레스나 열을 견딜 수 있게 설계되었다. 또한, 세탁 장치 가동 여부 표시등(605)이 세탁 장치(601)에 부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제어 패널(607)을 읽을 수 없을 정도로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세탁 장치(601)의 가동 여부를 한눈에 알 수 있게 한다.
도 7 은 수증기를 주요 세척물질로 사용하는 상업용 세탁 장치의 수증기 공급 덕트(701)와 세제 및/또는 직물 컨디셔너 투입구(709)의 한 실시예(700)를 자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발명자가 선호하는 실시예의 경우, 상기 수증기 공급 덕트(701)는 수증기 콘트롤 밸브(705)와 기능적으로 연결(703) 되어 있으며, 수증기 콘트롤 밸브(705)는 드럼 안으로 주입되는 수증기의 입출력을 제어하거나, 또는 수증기 압력 자체의 값을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수증기 콘트롤 밸브(705)는 대개의 경우 상업용 세탁 장치의 마이크로 콘트롤러에 기능적으로 연결(707) 되어 있으며, 마이크로 콘트롤러는 수증기 콘트롤 밸브(705)가 실행할 수 있는 일들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세제 및/또는 직물 컨디셔너 투입구(709)는 드럼에 기능적으로 연결(711) 되어 있으며, 한 실시예의 경우 수증기 콘트롤 밸브(705)가 제어하는 수증기 주입 덕트와 같은 관을 사용할 수도 있고, 또 다른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의 수증기 주입 덕트와 다른 별도의 주입 덕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8 은 “습식 클리닝” 이라 불리우는 종래의 물세탁 방식의 공정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의 스텝 801 에서 보여주듯이, 습식 클리닝 장비는 의류를 먼저 드럼 안의 물에 적신 다음, 스텝 802 에서 상당한 양의 물세탁 세제와 드럼 안에서 혼합되게 된다. 대개의 경우에는 상기의 물세탁 세제는 “바이오 디그레이더블” 이라고 하는 환경 친화계통의 화학 세제를 사용하게 된다. 스텝 803에서 보여주듯이, 세제와 드럼 안에서 혼합된 의류는 드럼이 회전하면서 물에 흠뻑 젖거나 잠긴 상태로 세탁되게 되고, 세탁 주기가 끝난 다음에는 스텝 80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탈수 과정에서 세제와 물의 혼합물들이 드럼 밖으로 배출된 뒤에 헹굼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직물 컨디셔너가 추가될 수도 있으며, 대개의 경우 헹굼 주기는 여러 번 반복될 수도 있다.
스텝 805 에서는 습식 클리닝 장비는 헹굼 주기를 종료한 후에 대개 공기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 장비가 따로 사용해야 하지만, 습식 클리닝 장비중 일부는 자체 세탁물 건조 기능을 갖춘 모델들도 있다. 마지막 단계인 스텝 806 에서는 “스트레치 머신” 이라 불리우는 기계를 사용하거나 아니면 손으로 습식 클리닝으로 인한 의류의 수축이나 구겨짐을 펴주어야 하는데, 이 과정이 없이 바로 다림질을 위한 프레스 머신을 사용하기에는 의류의 변형이 너무 많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습식 클리닝의 경우, 세탁 공정 후의 의류의 수축이나 구겨짐을 펴기 위한 준비작업이 많은 시간과 비용을 요구하므로 상업용 세탁소에서 쓰여지기에는 수익률에 결정적인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또한 습식 클리닝으로 인한 의류의 손상 역시 고객이 받아들일 수 있는 한계선을 초과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고 볼수 있다.
이와는 상반 되게도, 본 발명의 실시예 단계를 나타낸 도 9를 보게 되면, 수증기를 주요 세척물질로 사용하는 상업용 세탁 공정으로써 기존의 세탁 방식보다 혁신적인 장점들을 목격할 수 있다. 스텝 901 에서는 수증기를 주요 세척물질로 사용하는 상업용 세탁 장치는 일단 세탁물을 집어넣은 후 드럼을 회전시켜 먼지를 털고 의류를 부드럽게 하는 역할을 한다. 발명자가 선호하는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스텝 901에 나타난 드럼 회전은 3분간 계속된다. 그 이후에 스텝 902 에서는 세탁 장치 외부의 상업용 세탁소 전용 별도 보일러 시스템으로부터 상업용 세탁 장치 내부로 수증기 공급 덕트를 통해 신선한 수증기를 공급받게 된다. 발명자가 선호하는 한 실시예의 경우, 공급되는 신선한 수증기의 압력은 외부의 상업용 세탁소 전용 별도 보일러 시스템의 수증기 제공 압력인 120 psi 에서 약 40 psi로 조정되어 본 발명의 상업용 세탁 장치 내부로 주입되게 설계되었다. 다음 단계인 스텝 903 에서는, 의류의 색상이나 종류로 구분된 특정 의류 세탁 프로그램이 마이크로 콘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의 특정 의류 세탁 프로그램에 의해 산출된 일정량의 수증기를 드럼 안으로 주입하게 된다. 이때 세탁 장치의 드럼은 상기의 특정 의류 세탁 프로그램이 설정한 일정 주기와 시간 동안 회전하게 설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의 경우에는, 수증기의 드럼 내부 주입은 주기적으로 이루어지거나, 또 다른 실시예의 경우에는, 수증기의 드럼 내부 주입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스텝 904 에서는, 수증기를 주요 세척물질로 사용하는 상업용 세탁 장치는 세제나 직물 컨디셔너를 드럼 내부로 주입시키게 된다. 그다음 단계인 스텝 905 에서는 상기의 상업용 세탁 장치는 공기를 드럼 내외부로 순환시키게 되며, 이 공기의 순환은 세탁 주기 및/또는 헹굼 주기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공기의 순환은 주기적으로 이루어지거나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개의 경우, 응축된 수분이나, 찌꺼기, 먼지, 그리고 다른 물질들도 상기 드럼 내외부의 공기 순환 작업의 일환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스텝 906 에서 보여주듯이, 스텝 905은 특정 의류 세탁 프로그램의 설정 여부에 따라, 여러 번 반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자면, 세탁 및/또는 헹굼 주기가 세번 반복되어 실행될 수 있고, 각 실행마다 5분씩 지속하여 실행될 수 있다. 일단 응축된 수분이나, 찌꺼기, 먼지 또는 다른 물질들을 배출시킨 이후, 다음 단계인 스텝 907 에서는, 드럼의 내부 온도를 올리면서 드럼을 계속 반복하여 회전시켜 세탁물의 건조와 프레스 머신 사용전에 다림질 하기 편하도록 하는 준비 작업을 본 발명의 상업용 세탁기 안에서 해결 할 수도 있다. 발명자가 선호하는 한 실시예의 경우, 이런 세탁물의 건조와 다림질 하기 편하도록 하는 드럼의 회전은 약 7 분간 지속되도록 설계되었다. 대개의 경우, 스텝 907은 특정 의류 세탁 프로그램이 설정한 주기와 시간동안 실행되게 된다. 마지막 단계인 스텝 908 에서는, 드럼 내외부의 공기 순환이 종료될 때까지 상업용 세탁 장비의 드럼은 계속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한된 수의 실시예와 특정예들을 중심으로 명세서에서 설명되었다. 세탁 장치나 세탁 방법에 관련이 있는 일을 하는 종사자들은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몇 가지에 불과한 실시예와 특정예들 이외에도 청구항이 기재하는 발명의 범위(scope) 내에서 다른 예제의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수증기를 주요 세척물질로 사용하는 상업용 세탁 장치의 한 실시예의 전면부를 나타낸 도.
도 2 는 수증기를 주요 세척물질로 사용하는 상업용 세탁 장치의 한 실시예의 측면과 뒷부분을 나타낸 도.
도 3 은 수증기를 주요 세척물질로 사용하는 상업용 세탁 장치의 한 실시예의 뒷부분을 나타낸 도.
도 4는 수증기를 주요 세척물질로 사용하는 상업용 세탁 장치의 한 실시예의 뒷부분 일부를 오염물질 분리 및/또는 여과 체임버가 분해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나타낸 도.
도 5 는 수증기를 주요 세척물질로 사용하는 상업용 세탁 장치의 한 실시예의 앞부분 일부를 나타낸 도
도 6 은 수증기를 주요 세척물질로 사용하는 상업용 세탁 장치의 한 실시예의 앞부분 일부를 수증기 분사수단의 한 실시예와 함께 나타낸 도.
도 7 은 수증기를 주요 세척물질로 사용하는 상업용 세탁 장치의 수증기 공급 덕트와 세제 및/또는 직물 컨디셔너 투입구의 한 실시예를 자세하게 나타낸 도.
도 8 은 종래의 "습식 클리닝" 이라 불리우는 물세탁 방식의 공정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
도 9 는 본 발명의 수증기를 주요 세척물질로 사용하는 상업용 세탁 공정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

Claims (14)

  1. 수증기를 주요 세척 물질로 사용하는 상업용 세탁 장치로써,
    드럼모터에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세탁시 회전하게 설계되어있는 드럼과;
    마이크로 콘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며 수증기를 상기 드럼 내부 안으로 분사 시킬수 있는 수증기 분사 수단과;
    상기 수증기 분사 수단과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의 상업용 세탁 장치 외부의 상업용 세탁소 전용 별도 보일러 시스템으로부터 상업용 세탁 장치 내부로 수증기를 공급하는 수증기 공급 덕트와;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특정 의류 세탁 프로그램을 작동시키게 하는 제어 패널과;
    상기의 드럼과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의 공기를 주기적으로나 연속적으로 공급하게 설계된 공기 공급 덕트와;
    상기 드럼의 배출 포트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오염물질 분리 및/또는 여과 체임버와;
    상기 오염물질 분리 및/또는 여과 체임버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여과된 공기 배출 덕트를 구비한, 상업용 세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세제 및/또는 직물 컨디셔너 투입구가 추가로 포함된, 상 업용 세탁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오염물질 분리 및/또는 여과 실린더가 추가로 상기 오염물질 분리 및/또는 여과 체임버와 상기 공기 배출 덕트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드럼 밖으로 배출되는 찌꺼기, 수증기, 수분, 화학물질, 및/또는 공기를 여과, 정화, 및/또는 분리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상업용 세탁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찌꺼기 수거 파이프, 찌꺼기 용기 파이프, 그리고 찌꺼기 수거함 이 추가로 상기 오염물질 분리 및/또는 여과 체임버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환경적으로 유해한 찌꺼기, 더러워진 수증기, 수분, 화학물질, 및/또는 공기를 수거할수 있는, 상업용 세탁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찌꺼기 수거 파이프와 디스크 필터 및/또는 증류 탱크가 추가로 상기 오염물질 분리 및/또는 여과 체임버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크 필터 및/또는 증류 탱크가 상기 오염물질 분리 및/또는 여과 체임버로부터 배출되는 수분을 가열 코일을 써서 외부로 증발시킬 수 있는, 상업용 세탁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오염물질 분리 및/또는 여과 체임버 안에 필터를 담는 용기가 추가되며, 단수나 복수의 여러 정화 필터들이 상기의 필터를 담는 용 기 안에 삽입된, 상업용 세탁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제어 패널은 터치 스크린 패널이나 그래핑에 기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써, 사용자가 상기의 특정 의류 세탁 프로그램을 선택, 시작, 또는 중지시킬 수 있는 기능이 있는, 상업용 세탁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특정 의류 세탁 프로그램은 세탁, 헹굼, 및/또는 건조 주기가 있는 프로그램으로써, 드럼 안으로 주입되는 수증기의 양이나, 주기의 반복 횟수, 그리고 주기의 기간이 의류의 색상이나 종류에 의해 구분되는, 상업용 세탁 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의 수증기 분사 수단과 및/또는 상기의 세제 및/또는 직물 컨디셔너 투입구가 상기의 마이크로 콘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가동, 정지, 및/또는 압력 제어가 가능한, 상업용 세탁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수증기 콘트롤 밸브가 추가로 장착되어 상기의 수증기 공급 덕트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업용 세탁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수증기 분사 수단은 복수의 개체로써 상기의 드럼과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상기의 드럼 안에서 서로 마주보며 수증기를 분사할 수 있 게 하는, 상업용 세탁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수증기 분사 수단이 드럼 뒷부분에 위치하여 상기의 드럼과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상기의 드럼 안으로 수증기를 분사할 수 있게 하는, 상업용 세탁 장치.
  13. 수증기를 주요 세척물질로 사용하는 상업용 세탁 방법으로써:
    먼지 여과 및 의류들을 부드럽게 하기 위한 상업용 세탁장치의 드럼을 회전시키는 단계와;
    상업용 세탁 장치 외부의 상업용 세탁소 전용 별도 보일러 시스템으로부터 상업용 세탁 장치 내부로 수증기 공급 덕트를 통해 수증기를 공급받는 단계와;
    상기 의류들을 수용한 상기의 드럼이 계속 회전하는 동안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의류 세탁 프로그램에 의하여 산출된 일정한 양의 수증기를 상기 드럼 내로 분사하는 단계와;
    상기 드럼에 세제나 직물 콘디셔너를 첨가하는 단계와;
    각각의 세탁 단계 동안 상기 드럼으로부터의 수분, 화합물, 및/또는 찌꺼기의 배출을 보조하기 위한 주기적 또는 연속적 공기 순환 단계와;
    상기 상업용 세탁소에서 다림질을 쉽게 하기 위하여 상기 드럼의 내부 온도를 증가시키는 예비 건조 단계와;
    마지막 공기 순환 단계까지 상기 드럼을 계속 회전시키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를 사용하는 상업용 세탁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의 특정 의류 세탁 프로그램은 의류의 색상이나 종류에 따라 세탁 및/또는 행굼 주기의 횟수와 기간, 또한 상기 드럼안으로 주입되는 수증기의 양이 결정되는, 상업용 세탁 방법.
KR1020090083377A 2009-06-03 2009-09-04 수증기를 사용하는 환경 친화적 상업용 세탁 장치 및 방법 KR1010546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477,149 US8302431B2 (en) 2009-06-03 2009-06-03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steam in a commercial laundry machine as an environmentally-friendly replacement of conventional dry cleaning or wet cleaning processes
US12/477,149 2009-06-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539A KR20100130539A (ko) 2010-12-13
KR101054643B1 true KR101054643B1 (ko) 2011-08-08

Family

ID=43299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3377A KR101054643B1 (ko) 2009-06-03 2009-09-04 수증기를 사용하는 환경 친화적 상업용 세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8302431B2 (ko)
KR (1) KR1010546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150B1 (ko) * 2006-04-17 201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80415A (ko) 2008-12-30 2010-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KR101663610B1 (ko) * 2009-05-28 2016-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US9828715B2 (en) 2009-05-28 2017-11-28 Lg Electronics Inc. Laundry maching having a drying function
KR101644884B1 (ko) 2009-05-28 2016-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CN212611479U (zh) * 2019-11-02 2021-02-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多桶洗衣机
US11851798B1 (en) 2022-11-02 2023-12-26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Methods for implementing cleaning cycles in commercial washing machine applianc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4107A (ko) * 2004-05-31 2005-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탈취필터가 구비된 세탁기 및 그 탈취방법
KR20070096667A (ko) 2006-03-27 2007-10-02 김천근 자동식 증기 다리미용 보일러에서의 폐증기 재활용처리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14776A (en) * 1934-05-02 1938-04-19 Prosperity Co Inc Dry cleaning machine
US2397268A (en) * 1944-01-06 1946-03-26 Kling Bros Engineering Works Washing machine
US2527392A (en) * 1946-02-18 1950-10-24 Bradshaw & Company Steam, gas, and air separator
US2573966A (en) * 1947-02-19 1951-11-06 Us Hoffman Machinery Corp Method of dry cleaning
US2958954A (en) * 1958-04-25 1960-11-08 Gen Motors Corp Laundry drier with sprinkling device
US3049903A (en) * 1961-02-07 1962-08-21 Automatic Steam Products Corp Apparatus for steaming and drying articles
US3583180A (en) * 1969-12-29 1971-06-08 Alva G Arbogast Solution injection means for drycleaning and laundry tumble drying and deodorizing machines
DE2538694C2 (de) * 1975-08-30 1985-10-24 Maschinenfabrik Ad. Schulthess & Co. AG, Zürich Vorrichtung zum Zu- und/oder Abführen von flüssigen oder gasförmigen Medien in einen rotierenden Hohlzylinder
DE3230764C2 (de) * 1982-08-16 1985-04-04 Jörg 8500 Nürnberg Danneberg Verfahren zum Finishen und/oder Trocknen von Textilstücken
IT1174953B (it) * 1983-12-06 1987-07-01 Zanussi A Spa Industrie Macchina lavabiancheria
US4654980A (en) * 1985-04-11 1987-04-07 James Rivers Corporation Solvent removal using a condensable heat transfer vapor
US4919692A (en) * 1988-12-19 1990-04-24 Vara International, Inc. Process for removing solvents and other contaminants from an inlet solvent laden air path
JPH0673591B2 (ja) * 1989-03-13 1994-09-21 東静電気株式会社 布団類の再生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5219371A (en) * 1992-03-27 1993-06-15 Shim Kyong S Dry cleaning system and method having steam injection
US5461742A (en) * 1994-02-16 1995-10-31 Levi Strauss & Co. Mist treatment of garments
FR2723970B1 (fr) * 1994-08-09 1996-09-20 Ilsa Spa Procede de nettoyage en milieu liquide de pieces d'etoffes ou de vetements et l'application de sa mise en oeuvre
DE69521267T2 (de) * 1994-11-08 2002-03-07 Raytheon Co Trockenreinigung von Kleidungstücken unter Verwendung von Gasstrahlverwirbelung
JP3907770B2 (ja) * 1997-02-25 2007-04-18 東静電気株式会社 布団類の再生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11226290A (ja) * 1998-02-16 1999-08-24 Takeshi Murakami 洗濯機に於ける真空殺菌及び洗浄方法
US6569210B1 (en) * 1999-07-14 2003-05-27 Raytheon Company Gas jet removal of particulated soil from fabric
US6691536B2 (en) * 2000-06-05 2004-02-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ashing apparatus
US7021087B2 (en) * 2000-06-05 2006-04-04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for applying a treatment fluid to fabrics
US6564591B2 (en) * 2000-07-21 2003-05-20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for particulate removal from fabrics
MXPA03000608A (es) * 2000-07-25 2004-07-30 Steiner Atlantic Corp Procedimientos y aparatos de limpieza de textiles.
KR100436144B1 (ko) * 2001-09-28 2004-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KR100510680B1 (ko) * 2003-03-31 2005-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
KR100504501B1 (ko) 2003-04-14 2005-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의 세탁방법
KR20050017490A (ko) 2003-08-13 2005-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용 증기 세탁 방법
DE602004029123D1 (de) * 2003-08-13 2010-10-28 Lg Electronics Inc Waschmaschine mit Dampferzeuger und Wasserzirkulation
KR100531379B1 (ko) 2003-08-13 2005-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세탁물 구김 제거 방법
JP2005118611A (ja) * 2003-09-22 2005-05-12 Kubota Corp 廃棄物ガス化処理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6311883A (ja) * 2005-05-06 2006-11-16 Asahi Seisakusho:Kk 業務用乾燥機および殺菌乾燥方法
KR100672438B1 (ko) * 2005-08-19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발생기를 구비한 건조기
KR100672439B1 (ko) * 2005-10-07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발생기를 구비한 건조기
JP2007117377A (ja) * 2005-10-27 2007-05-17 Sanyo Electric Co Ltd ドラム式洗濯機およびドラム式洗濯機による洗濯方法
ES2371505T3 (es) * 2006-05-02 2012-01-03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Secadora con secuencia de secado en la que se utiliza un aditivo.
KR20090030269A (ko) * 2006-06-01 2009-03-24 일렉트로룩스 홈 프로덕츠 코오포레이션 엔.브이. 스팀 공급 방법 및 처리 장치
US8567219B2 (en) * 2007-11-01 2013-10-29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KR20100009043A (ko) * 2008-07-17 2010-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향체 모듈을 구비한 의류 건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4107A (ko) * 2004-05-31 2005-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탈취필터가 구비된 세탁기 및 그 탈취방법
KR20070096667A (ko) 2006-03-27 2007-10-02 김천근 자동식 증기 다리미용 보일러에서의 폐증기 재활용처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02431B2 (en) 2012-11-06
US20130019412A1 (en) 2013-01-24
US8800083B2 (en) 2014-08-12
US20100306928A1 (en) 2010-12-09
KR20100130539A (ko) 2010-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4643B1 (ko) 수증기를 사용하는 환경 친화적 상업용 세탁 장치 및 방법
US594098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y cleaning
KR100630023B1 (ko) 드럼식 세탁 건조기
US20050262645A1 (en) Washing machine and deodorizing method thereof
KR20030020940A (ko) 직물 세탁 방법 및 장치
US20050265890A1 (en) Washing machine having deodorizing filter and deodorizing method thereof
EA018352B1 (ru) Бытовой прибор для обработки предметов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озона и способ удаления озона из него
WO2016045556A1 (zh) 洗衣机的过滤组件的自清洁方法
US20090235553A1 (en) Laundry Dryer
JP3979600B2 (ja) 布類の洗浄方法、およびそれに利用する洗浄装置
CN101377047A (zh) 衣物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495174B1 (ko) 향 공급유닛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운전방법
US3801274A (en) Method for cleaning fabrics and clothes
JP2007098033A (ja) 洗濯機
CN102057099B (zh) 用于清洁烘干机的热交换器的方法
JP2005192901A (ja) 洗濯機
CA2545347A1 (en) Dry cleaning solvent filter
JP5087663B2 (ja) 洗濯機
CN103572559A (zh) 一种干洗方法和干洗装置
KR101567245B1 (ko) 드라이클리닝 및 물세탁 겸용 세탁기계
CN212247530U (zh) 一种干洗和水洗独立分开的一体式双筒洗衣机
CN202559148U (zh) 一种用于奢侈品的多功能清洗养护机
CN101481861B (zh) 衣物处理装置的控制方法
CN105088606A (zh) 旋转活塞式洗衣机
CN110541276A (zh) 一种干洗和水洗独立分开的一体式双筒洗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