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4487B1 - 대기전력 차단 내선공사 공법 및 그 공법으로 시공된 대기전력 차단 스마트 분전반 - Google Patents

대기전력 차단 내선공사 공법 및 그 공법으로 시공된 대기전력 차단 스마트 분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4487B1
KR101054487B1 KR1020110028356A KR20110028356A KR101054487B1 KR 101054487 B1 KR101054487 B1 KR 101054487B1 KR 1020110028356 A KR1020110028356 A KR 1020110028356A KR 20110028356 A KR20110028356 A KR 20110028356A KR 101054487 B1 KR101054487 B1 KR 101054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by power
switch
outlet
wir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8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철
채현철
차보영
Original Assignee
이승철
차보영
채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철, 차보영, 채현철 filed Critical 이승철
Priority to KR1020110028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44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4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4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switching loads on to, or off from, network, e.g. progressively balanced loa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기전력 차단 내선공사 공법 및 그 공법으로 시공된 대기전력 차단 스마트 분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하여 공공 업무용 건축물, 공동주택(아파트), 단독주택 등 건축물 내부의 옥내 내선공사를 상시전원과 절전전원으로 분리하여 시공하는 공법과 그 공법으로 시공된 대기전력 차단 스마트 분전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대기전력 차단 내선공사 공법 및 그 공법으로 시공된 대기전력 차단 스마트 분전반 {Smart pannel blocking standby electric power}
본 발명은 대기전력 차단 내선공사 공법 및 그 공법으로 시공된 대기전력 차단 스마트 분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하여 공공 업무용 건축물, 공동주택(아파트), 단독주택 등 건축물 내부의 옥내 내선공사 를 상시전원과 절전전원으로 분리하여 시공하는 공법과 그 공법으로 시공된 대기전력 차단 스마트 분전반에 관한 것이다.
대기전력(standby electric power)은 기기(器機)가 외부 전원과 연결된 상태에서 해당 기기의 주기능을 수행하지 않거나 내외부의 켜짐 신호를 기다리는 상태에서 소비되는 전력으로서, 수년 전부터 전력 낭비 주범으로 인식되면서 외국에서는 '전기 흡혈귀(power vampire)'라는 별명으로 부르기도 한다. 에너지관리공단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전자기기(3억대)의 평균 대기전력은 3.6W로 3억대가 아무 일도 하지 않고 총 100만㎾ 전력을 소비한다. 낭비되는 에너지를 줄이기 위해 세계적으로 '대기전력 1W 이하 운동'이 추진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전자제품 대기전력을 1W 이하로 낮추기 위한 국가 로드맵을 확정하기도 했다.
통상적으로 옥내 내선공사는, 전주로부터 인입된 인입선이 인입선 연결점으로부터 계량기, 분전반을 거쳐 조명이나 콘센트에 연결된 전력 배선공사를 지칭하는데, 콘센트에는 전기소비특성이 상이한 전기제품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복합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조명과 같이 일괄적인 전원관리가 어려워 불필요한 대기전력이 낭비되고 있다. 예를 들면, 각 가정이나 사무실은 조명뿐만 아니라 TV, 냉장고, 컴퓨터, 프린터, 복사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전자제품이 사용되고 있는데, TV는 리모콘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대기상태에 있고, 냉장고는 온도유지를 위하여 상시전원이 공급되어야 하고, 프린터나 복사기는 인쇄드럼의 예열을 위하여 상시전원이 필요하다.
종래에는 대기전력을 손쉽게 차단할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되지 못하였기 때문에 사용자가 일일이 다수의 전자제품의 플러그를 뽑아야하는 번거로움으로 대기전력 차단이 널리 실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하나의 콘센트에 여러 종류의 전자제품이 사용되고 있어 구별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일은 매우 번거로운 일이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례로서, 호텔 등의 대중 숙박시설에서는 객실 출입구의 키박스에 키홀더를 삽입했을 때 콘센트나 조명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있다. 물론 냉장고와 같은 일부 전기제품에는 상시전원이 공급되도록 배선된다. 그러나 이러한 절전형 배선구조는 에너지절약 측면에서 상당히 바람직한 것이나, 미리 계획된 바에 따른 각종 전기제품의 배치 및 종류가 변경되지 않는다는 조건하에서만 실현 가능한 것일 뿐, 사용자의 취향과 변동성이 반영되는 가정, 사무실, 공장 등 대부분의 시설에서는 채택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종래의 기술로서 특허문헌1과 특허문헌2에 불필요한 대기전력의 소모 여부를 감지하여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절전형 콘센트가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절전형 콘센트는 별도의 제어회로를 구비하여야 하는바, 콘센트 제조비용이 증가하며 콘센트의 제어부 자체가 대기전력을 소모하는 구조이라는 한계가 있다.
특허문헌3에는 상시전원이 공급되는 메인콘센트와 필요에 따라 간단하게 전원공급을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한 보조콘센트를 함께 구비하는 절전형 콘센트 장치가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절전형 콘센트는 메인콘센트와는 별도로 보조콘센트를 사용하고 있는 구조이어서 확장성과 효율성이 부족하다. 일례로 벽면에 메인콘센트 및 보조콘센트가 1개씩 설치되어 있는 경우 2개의 보조콘센트가 필요한 사용자에게는 보조콘센트를 증설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메인콘센트가 불필요하게 늘어나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2-0015869호 2.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4-0077395호 3.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0-0036907호
앞서 기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자동으로 대기전력이 차단되는 내선공사 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심야 또는 외출시 자동으로 절전모드로 전환되고 정해진 시간 후에 자동으로 정상모드로 복귀되며, 별도의 조작 없이 자동으로 대기전력이 차단되는 스마트 분전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사용자의 설정이나 출입통제시스템(감시카메라, 인체검지센서, 디지털도어록 등) 또는 가스밸브와 연동하여 대기전력을 제어하는 스마트 분전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설정이 입력되는 주제어부의 키패드, 인입전원으로부터 배선차단기를 거쳐 누전을 차단하기 위하여 부하별로 설치된 누전차단기, 부하전류량을 검지하는 변류기, 전원을 ON/OFF하는 대기전력차단스위치 및 상기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제어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는 분전반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외출버튼, 차단버튼, 해제버튼, 세트버튼, 비밀번호 입력버튼 및 급탕버튼으로 구성되고,
외출시 방범과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수단으로서 실내 감시를 위한 동체검지기 및 감시카메라와 상기 감시 카메라를 천장 내부로 은폐하였다가 감시가 필요할 때에 노출시키는 카메라 엘리베이션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누전차단기는 전등1, 전등2, 에어컨, 전열1, 전열2, 전열3으로 총 6개로 구성되고,
화장실, 방 및 거실에 배선된 보일러 온수배관과 가스밸브를 ON/OFF하는 전자밸브가 설치되고,
감시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저장하고 소유주 휴대폰으로 영상을 전송하는 제어서버를 구비하여,
인입전원은 배선차단기를 거쳐 6분기하여 전등1, 전등2, 에어컨, 전열1, 전열2, 전열3 누전차단기로 배선되며, 전등1 누전차단기의 출력배선은 분기되어 한 회로는 취침등에 배선되며, 나머지 한 회로는 변류기를 통과 후 다시 분기되어 한 회로는 현관센서등에 배선되며, 나머지 한 회로는 변류기를 통과한 전등2, 에어컨, 전열1 누전차단기의 출력배선과 같이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거쳐 전등, 에어컨에 배선 및 절전콘센트에 배선되며, 전열2 누전차단기의 출력배선은 상시콘센트에 배선되며, 전열3 누전차단기의 출력배선은 보일러 및 보일러 온수펌프, 전자밸브, 감시카메라, 제어서버, 엘리베이션, 상시콘센트에 배선 및 화장실스위치에 배선되며, 화장실스위치는 인입배선을 분기하여 한 회로는 스위치를 거쳐 전등, 절전콘센트에 배선하고 나머지 한 회로는 상시콘센트에 배선하여 스위치 ON일 경우 전등, 절전콘센트에 전원을 공급하지만, OFF일 경우 상시콘센트에만 전원을 공급하고,
주제어부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되어 키패드에서 외출버튼이 작동되면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FF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며, 가스밸브의 전자밸브를 OFF하여 차단하며, 감시카메라 녹화시작 멘트를 방송 후 엘리베이션을 구동하여 감시카메라를 천장에서 외부로 노출시키며, 동체감지기를 작동시키며, 제어서버를 구동하며, 키패드에서 외출버튼 작동중 동체검지기에서 동체를 검지하면, 비밀번호 입력 안내방송이 방송된 후 해당 비밀번호가 키패드의 비밀번호 입력버튼을 통해 입력되지 않으면 침입자 경보사이렌을 구동하고, 제어서버는 감시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지정된 휴대폰으로 전송하고,
주제어부는 키패드에서 차단버튼이 작동되면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FF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고, 해제버튼이 작동되면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N하여 대기전력을 공급하고, 급탕버튼이 작동되면 보일러를 점화기동하고 관리자 입력시간 동안 온수배관 중 화장실 온수배관 전자밸브를 개방하며 나머지 보일러 온수배관은 차단하고 온수펌프를 가동 후 관리자 입력시간 경과 후 다시 전자밸브를 원래 상태로 복귀하고, 세트버튼이 작동되면 야간모드 시작시간 및 종료시간을 입력하며, 야간모드 시작시간 및 종료시간 사이에 변류기로부터 통전전류량이 검지되지 않으면 전열 누전차단기에 배선된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FF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며, 변류기로부터 통전전류량이 검지되면 전열 누전차단기에 배선된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N하여 대기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동조작에 의해 대기전력을 차단하던 것과는 달리 세대 내 전등, 센서등, 화장실전원, 외출버튼, 취침/외출 모드의 자동전환등에 따라 세대내 대기전력을 자동으로 및 더욱 효과적으로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실내 출입통제 및 디지탈도어락 등과 연동할 수 있다. 가정주택(아파트)의 경우 인체감지센서, 감시카메라의 모션디텍션 오작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등과, 현관센서 등의 부하를 검지하며, 공공 업무용 건축물의 경우 빌딩자동제어에 따라 대기전력이 일괄적으로 차단될 경우 컴퓨터의 본체와 모니터를 상시콘센트에 배선할 경우 대기전력 차단이 안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대기전력 차단에 놓을 경우 빌딩 자동제어에 의한 대기전력 일괄 차단시 전원이 끊겨 작업 중인 컴퓨터의 데이터가 삭제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이중 배선 없이 화장실 내부에 대기전력을 차단하며, 특히 비데의 상시 가열로 인한 에너지 손실과 과열에 의한 화재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6개의 누전차단기로 구성된 스마트 분전반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5개의 누전차단기로 구성된 스마트 분전반
도 3은 서로 다른 누전차단기로부터 출력된 배선이 1개 콘센트 플레이트 내부 콘센트 수구에 배선되는 간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한 간단한 블럭도 일실시 예
도 5는 상시/차단을 선택할 수 있는 콘센트 간략도
도 6은 상시/차단을 선택할 수 있는 콘센트를 이용한 본 발명의 간략도
도 7은 서로 다른 누전차단기로부터 출력된 배선이 1개 콘센트 플레이트 내부 콘센트 수구에 배선되는 간략도 일실시 예
도 8은 본 발명의 간략한 배선 계통도
도 9는 상시/절전/대기전력차단 모드를 갖는 업무용 건축물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
도 10은 상시/절전/대기전력차단 모드를 갖는 업무용 건축물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
도 11은 상시/대기전력차단 모드를 갖는 업무용 건축물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내선공사 공법 및 그 공법으로 시공된 대기전력 차단 스마트 분전반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최초의 프로그램 설정 후에 사용자의 설정을 최소화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 없이도 자동적으로 대기전력이 차단되게 하고, 자동으로 대기전력차단 모드로 전환 및 복구를 하며, 사생활 침해나 감시받는 느낌을 주지 않도록 실내 감시카메라를 구동하고, 출입통제 시스템과 연동을 하고, 별도의 이중배선 없이 화장실내 대기전력차단 기능을 갖는 상시/절전 콘센트를 구현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분전반의 구성은,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설정이 입력되는 주제어부의 키패드, 인입전원으로부터 배선차단기를 거쳐 누전을 차단하기 위하여 부하별로 설치된 누전차단기, 부하전류량을 검지하는 변류기, 전원을 ON/OFF하는 대기전력차단스위치 및 상기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제어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한다.
키패드는 사용자의 설정이 제어부로 입력되는 조작부로서 LCD 화면창과 외출버튼, 차단버튼, 해제버튼, 세트버튼, 비밀번호 입력버튼 및 급탕버튼을 포함한다.
키패드의 외출버튼이 작동하면 대기전력차단스위치와 가스밸브의 전자밸브를 OFF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며, 감시카메라를 노출시키며 동체감지기 및 제어서버를 구동한다. 비밀번호 입력버튼은 동체감지기가 동체를 검지할 때 주인인지 침입자인지 구분하기 위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버튼이다. 차단버튼이 작동되면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FF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고, 해제버튼이 작동되면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N하여 대기전력을 공급하고, 급탕버튼이 작동되면 보일러를 점화기동하고 관리자 입력시간 동안 온수배관 중 화장실 온수배관 전자밸브를 개방하며 나머지 보일러 온수배관은 차단하고 온수펌프를 가동 후 관리자 입력시간 경과 후 다시 전자밸브를 원래 상태로 복귀하고, 세트버튼이 작동되면 야간모드 시작시간 및 종료시간을 입력하며, 야간모드 시작시간 및 종료시간 사이에 변류기로부터 통전전류량이 검지되지 않으면 전열 누전차단기에 배선된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FF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며, 변류기로부터 통전전류량이 검지되면 전열 누전차단기에 배선된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N하여 대기전력을 공급한다.
상기 키패드는 사용자의 선택사양에 따라 조합변경하거나 제거하여 시공할 수 있다.
외출시 방범과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수단으로서 실내 감시를 위한 동체검지기 및 감시카메라와 상기 감시 카메라를 천장 내부로 은폐하였다가 감시가 필요할 때에 노출시키는 카메라 엘리베이션 수단이 구비된다.
대기전력차단스위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주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대기전력차단스위치 이후의 전원을 ON/OFF하는 무접점계전기 또는 릴레이와 같은 스위치이다.
전용 멀티탭은 2개의 콘센트 플러그로 상시콘센트와 절전콘센트에 각각 꽂아 이중 배선된 것으로 상시콘센트와 절전콘센트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분전반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6개의 누전차단기(전등1, 전등2, 에어컨, 전열1, 전열2, 전열3)로 구성된다. 인입전원은 배선차단기를 거쳐 6개의 누전차단기로 6분기하여 배선된다. 전등1, 전등2, 에어컨 및 전열1 누전차단기의 출력배선은 대기전력차단스위치 거치도록 하고, 전열2와 전열3의 누전차단기 출력배선은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거치지 않고 상시전원으로 공급된다. 전열1과 전열2는 상시전원과 절전전원으로 이중배선한다.
전등1 누전차단기의 출력배선은 2분기되어 한 회로는 취침등에 배선되며, 나머지 한 회로는 변류기를 통과 후 다시 분기되어 한 회로는 현관 센서등에 배선되며, 나머지 한 회로는 변류기를 통과한 전등2, 에어컨, 전열1 누전차단기의 출력배선과 같이 모두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거쳐 전등, 에어컨에 배선 및 절전콘센트에 배선된다. 상기 변류기는 부하전류량을 검지한다.
내선공사의 일실시 예로서 도 1과 같이, 취침등은 전등1 누전차단기에서 바로 배선되며, 현관센서등은 변류기를 통과 후 배선되며, 센서등 방1 방2 방3의 전등은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거쳐 배선되며, 전등2 누전차단기의 출력배선은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거쳐 거실 주방 기타 전등에 배선되며, 에어컨 누전차단기의 배선은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거쳐 에어컨 콘센트에 배선할 수 있다.
키패드는 외출버튼, 차단버튼, 해제버튼, 세트버튼, 비밀번호 입력버튼 및 급탕버튼으로 구성한다.
전열1 누전차단기의 출력배선은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통하지만, 전열2 누전차단기의 출력배선은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통하지 않고 상시콘센트에 배선되며, 전열3 누전차단기의 출력배선은 보일러 및 보일러 온수펌프, 전자밸브, 감시카메라, 제어서버, 엘리베이션, 상시콘센트에 배선 및 화장실스위치에 배선되며, 화장실스위치는 인입배선을 분기하여 한 회로는 스위치를 거쳐 전등, 절전콘센트에 배선 및 나머지 한 회로는 상시콘센트에 배선되어 스위치 ON일 경우 전등, 절전콘센트에 전원을 공급하지만, OFF일 경우 상시콘센트에만 전원을 공급한다.
주제어부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되어 키패드에서 외출버튼이 작동되면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FF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며, 가스밸브의 전자밸브를 OFF하여 차단하며, 감시카메라 녹화시작 멘트를 방송 후 엘리베이션을 구동하여 감시카메라를 천장에서 외부로 노출시키며, 동체감지기를 작동시키며, 제어서버를 구동하며, 키패드에서 외출버튼 작동중 동체검지기에서 동체를 검지하면, 비밀번호 입력 안내방송이 방송된 후 해당 비밀번호가 키패드의 비밀번호 입력버튼을 통해 입력되지 않으면 침입자 경보사이렌을 구동하고, 제어서버는 감시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지정된 휴대폰으로 전송한다.
주제어부는 키패드에서 차단버튼이 작동되면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FF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고, 해제버튼이 작동되면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N하여 대기전력을 공급하고, 급탕버튼이 작동되면 보일러를 점화기동하고, 관리자 입력시간 동안 온수배관 중 화장실 온수배관 전자밸브를 개방하며 나머지 보일러 온수배관은 차단 및 온수펌프를 가동 후 관리자 입력시간 경과 후 다시 전자밸브를 원래 상태로 복귀하고, 세트버튼이 작동되면 야간모드 시작시간 및 종료시간을 입력하며, 야간모드 시작시간 및 종료시간 사이에 변류기로부터 통전전류량이 검지되지 않으면 전열1 누전차단기에 배선된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FF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며, 변류기로부터 통전전류량이 검지되면 전열1 누전차단기에 배선된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N하여 대기전력을 공급하는 스마트 분전반이다.
도 2는 변류기가 없고 5개의 누전차단기로 구성된 일실시 예를 간략하게 보인 예이다. 전열1은 상시전원으로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거치지 않고 출력배선되며 전열2는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거쳐 절전전원으로 출력배선되어 멀티콘센트에 공급된다.
도 3은 도 2의 전열1과 전열2 전원을 상세하게 도시한 것으로서, 대기전력 차단스위치를 거쳐 배선된 전열2의 누전차단기가 2구 콘센트 중 차단콘센트에 배선되고,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거치지 않은 전열1은 누전차단기에서 바로 2구 콘센트 중 상시콘센트에 배선된다. 대기전략차단스위치가 OFF될 경우 차단콘센트는 전원이 차단며, 상시콘센트는 대기전력차단스위치가 OFF되어도 상시전력이 공급된다.
도 4는 변류기를 사용하지 않고 6개의 누전차단기 및 2구 콘센트 4구 콘센트에 배선되는 예를 보인 것이다.
도 5는 상시전력과 대기전력을 1개의 상시/차단 콘센트(7)로 인입받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선택스위치에 의하여 상시전력과 대기전력 차단을 선택한다.
도 6은 상시전력과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제어부의 동작을 도시한 것으로서, 콘센트에 부하가 있으면 선택스위치를 상시전력으로 연결하고, 부하가 없으면 대기전력차단스위치로 연결하여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FF시켜 대기전력을 차단하고, 외출해제와 같이 실내에 사용자가 있어 변류기가 설치된 전등부하 등에서 통전전류가 검지되면, 주제어부는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N시킨다.
도 7은 2구 콘센트를 직렬 및 병렬로 배열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병렬일 경우에는 선택스위치를 사용하여 상시전력이 공급되는 회로와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통하여 대기전력을 ON/OFF하는 회로로 구성할 수 있다.
도 8은 또 다른 변형된 내선 시공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전등부하는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통하고, 전열부하 배선은 상시전원과 절전전원의 서로 다른 누전차단기로부터 1 개의 콘센트 플레이트로 배선되는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9 및 도 10은 업무용 건축물에 있어서 1 개의 콘센트에 상시, 절전 및 차단 모드로 배선되는 것을 보여주고, 도 11은 상시/대기전력차단 모드를 를 제어하는 업무용 건축물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누전차단기의 출력배선은 분기되어 한 회로는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거쳐 분기된 제1회로(21)는 변류기, 대기전력차단모드 선택스위치접점을 통해 콘센트에 배선되며, 제2회로(22)는 변류기 및 무접점계전기를 거쳐 절전모드 선택스위치접점을 통해 콘센트에 배선된다.
누전차단기의 출력배선에서 분기된 제3회로(23)는 무접점계전기를 거쳐 절전모드 선택스위치접점을 통해 콘센트에 배선되며, 누전차단기의 출력배선에서 분기된 제4회로(24)는 상시모드 선택스위치접점을 통해 콘센트에 배선된다.
상시, 절전, 대기전력차단모드 선택스위치접점과 콘센트는 선택스위치를 통해 3개의 접점 중 하나의 접점과 콘센트 사이를 배선 연결한다.
제어부는 선택스위치가 절전모드 선택스위치접점과 콘센트 사이를 배선 연결하면, 변류기를 통해 통전전류량이 검지되지 않으면 무접점계전기를 통해 접점을 제2회로(22)에 배선 연결하며, 변류기를 통해 통전전류량이 검지되면, 무접점계전기를 통해 접점을 제3회로(23)에 배선 연결하는 내선공사 공법 및 그 공법으로 시공된 대기전력 차단 스마트 분전반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업무용 건축물의 사무실 내에서 최종 퇴실자 또는 빌딩 자동제어에 의해 대기전력차단스위치가 OFF될 경우 작업자가 잠시 자리를 비운 상태이거나, 퇴실자가 작업자가 있는 것을 모르고 외출 또는 차단 버튼을 누를 경우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에 컴퓨터를 배선하여 사용할 경우 작업중이던 컴퓨터의 데이터가 삭제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렇다고 컴퓨터를 상시 콘센트에 배선할 경우 대기전력 차단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기전력차단스위치가 ON되어 대기전력을 공급하면 무접점계전기 또는 릴레이가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거치지 않은 배선으로 배선한 후 컴퓨터 전원이 꺼지면(부하가 검지되지 않으면)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통과한 배선으로 배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실시 예로, 누전차단기의 출력배선은 분기되어 한 회로는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거쳐 분기된 제1회로(21)는 대기전력차단모드 선택스위치접점을 통해 콘센트에 배선되며, 나머지 제2회로(22)는 2선로 3접점 릴레이(25)의 주접점에 배선되어 출력이 절전모드 선택스위치접점을 통해 콘센트에 배선되고, 누전차단기의 출력배선에서 분기된 제3회로(23)는 2선로 3접점 릴레이(25)의 부접점에 배선되어 출력이 절전모드 선택스위치접점을 통해 콘센트에 배선되며, 누전차단기의 출력배선에서 분기된 제4회로(24)는 상시모드 선택스위치접점을 통해 콘센트에 배선되고, 상시, 절전, 대기전력차단모드 선택스위치접점과 콘센트는 선택스위치를 통해 3개의 접점 중 하나의 접점과 콘센트 사이를 배선 연결하고, 주제어부는 선택스위치가 절전모드 선택스위치접점과 콘센트 사이를 배선 연결할 때, 콘센트에 부하가 있으면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N하여 2선로 3접점 릴레이(25)에 전원을 공급하여 솔레노이드에 자장을 발생시켜 선택접점이 주접점에서 부접점으로 이동하여 제3회로(23)에 배선 연결하며, 제3회로에 부하가 없으면 솔레노이드에 자장이 소멸되어 선택접점이 주접점으로 복귀하여 제2회로(22)에 연결하는 대기전력 차단 내선공사 공법 및 그 공법으로 시공된 대기전력 차단 스마트 분전반이다.
업무용 공공 건축물 내 사무실에 있어서, 키패드, 누전차단기, 대기전력차단스위치, 변류기, 콘센트, 주제어부, 빌딩자동제어서버로 구성되어, 빌딩자동제어서버는 인텔리젼트빌딩의 전등, 엘리베이터, 냉난방, 출입통제와 같은 각종 시설물을 자동제어하는 제어서버이고, 키패드는 외출버튼, 차단버튼, 해제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이고, 대기전력차단스위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주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대기전력차단스위치 이후의 전원을 ON/OFF하는 스위치로 구성된 대기전력차단스위치이고, 빌딩내 실별로 인입되는 인입전원은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거쳐 전등부하 및 절전콘센트에 배선되며, 상시콘센트는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거치지 않고 실별 인입전원을 바로 배선하고, 주제어부는 키패드에 차단버튼이 입력되면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FF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며, 키패드에 외출버튼이 입력되면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FF하여 대기전력을 차단 및 해제버튼이 입력되면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N하여 대기전력을 공급하고, 빌딩자동제어서버에서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N/OFF하여 대기전력을 ON/OFF한다.
또 다른 일 실시예로, 키패드, 누전차단기, 대기전력차단스위치, 변류기, 콘센트, 주제어부, 빌딩자동제어서버로 구성되어, 빌딩자동제어서버는 인텔리젼트빌딩내 시설물을 자동제어하는 제어서버이고, 키패드는 외출버튼, 차단버튼, 해제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이고, 대기전력차단스위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주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대기전력차단스위치 이후의 전원을 ON/OFF하는 스위치로 구성된 대기전력차단스위치이고, 빌딩내 실별로 인입되는 인입전원은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거쳐 전등부하 및 콘센트의 차단접점에 배선 및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거치지 않고 바로 콘센트의 상시접점에 배선하고, 콘센트는 상시접점과 차단접점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스위치를 포함하는 콘센트이고, 주제어부는 키패드에 차단버튼이 입력되면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FF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며, 키패드에 외출버튼이 입력되면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FF하여 대기전력을 차단 및 해제버튼이 입력되면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N하여 대기전력을 공급하고, 빌딩자동제어서버에서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N/OFF하여 대기전력을 ON/OFF한다.
또 다른 일 실시예로, 키패드, 누전차단기, 대기전력차단스위치, 변류기, 콘센트, 주제어부, 빌딩자동제어서버로 구성되어, 빌딩자동제어서버는 인텔리젼트빌딩내 시설물을 자동제어하는 제어서버이고, 키패드는 외출버튼, 차단버튼, 해제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이고, 대기전력차단스위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주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대기전력차단스위치 이후의 전원을 ON/OFF하는 스위치로 구성된 대기전력차단스위치이고, 빌딩내 실별로 인입되는 인입전원의 한 회로는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거쳐 분기된 제1회로(21)는 변류기, 대기전력차단모드 선택스위치접점을 통해 콘센트에 배선되며, 나머지 제2회로(22)는 변류기, 무접점계전기를 거쳐 절전모드 선택스위치접점을 통해 콘센트에 배선되고, 누전차단기의 출력배선에서 분기된 제3회로(23)는 무접점계전기를 거쳐 절전모드 선택스위치접점을 통해 콘센트에 배선되며, 누전차단기의 출력배선에서 분기된 제4회로(24)는 상시모드 선택스위치접점을 통해 콘센트에 배선되고, 상시, 절전, 대기전력차단모드 선택스위치접점과 콘센트는 선택스위치를 통해 3개의 접점 중 하나의 접점과 콘센트 사이를 배선 연결하고, 제어부는 선택스위치가 절전모드 선택스위치접점과 콘센트 사이를 배선 연결하면, 변류기를 통해 통전전류량이 검지되지 않으면 무접점계전기를 통해 접점을 제2회로(22)에 배선 연결하며, 변류기를 통해 통전전류량이 검지되면, 무접점계전기를 통해 접점을 제3회로(23)에 배선 연결하고, 주제어부는 키패드에 차단버튼이 입력되면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FF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며, 키패드에 외출버튼이 입력되면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FF하여 대기전력을 차단 및 해제버튼이 입력되면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N하여 대기전력을 공급하고, 빌딩자동제어서버에서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N/OFF하여 대기전력을 ON/OFF한다.
또 다른 일실시 예로, 키패드, 누전차단기, 대기전력차단스위치, 변류기, 콘센트, 주제어부, 빌딩자동제어서버로 구성되어, 빌딩자동제어서버는 인텔리젼트빌딩내 시설물을 자동제어하는 제어서버이고, 키패드는 외출버튼, 차단버튼, 해제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이고, 대기전력차단스위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주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대기전력차단스위치 이후의 전원을 ON/OFF하는 스위치로 구성된 대기전력차단스위치이고, 빌딩내 실별로 인입되는 인입전원의 한 회로는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거쳐 분기된 제1회로(21)는 대기전력차단모드 선택스위치접점을 통해 콘센트에 배선되며, 나머지 제2회로(22)는 2선로 3접점 릴레이(25)의 주접점에 배선되어 출력이 절전모드 선택스위치접점을 통해 콘센트에 배선되고, 누전차단기의 출력배선에서 분기된 제3회로(23)는 2선로 3접점 릴레이(25)의 부접점에 배선되어 출력이 절전모드 선택스위치접점을 통해 콘센트에 배선되며, 누전차단기의 출력배선에서 분기된 제4회로(24)는 상시모드 선택스위치접점을 통해 콘센트에 배선되고,상시, 절전, 대기전력차단모드 선택스위치접점과 콘센트는 선택스위치를 통해 3개의 접점 중 하나의 접점과 콘센트 사이를 배선 연결하고, 선택스위치가 절전모드 선택스위치접점과 콘센트 사이를 배선 연결 및 대기전력차단스위치가 ON되어 2선로 3접점 릴레이(25)에 전원이 공급되어 솔레노이드에 자장이 발생하여 선택접점이 주접점에서 부접점으로 이동하여 제3회로(23)에 배선 연결하며, 제3회로(23)에 부하가 없으면 솔레노이드에 자장이 소멸되어 선택접점이 주접점으로 복귀되고, 주제어부는 키패드에 차단버튼이 입력되면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FF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며, 키패드에 외출버튼이 입력되면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FF하여 대기전력을 차단 및 해제버튼이 입력되면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N하여 대기전력을 공급하고, 빌딩자동제어서버에서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N/OFF하여 대기전력을 ON/OFF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내선공사 공법 및 그 공법으로 시공된 대기전력 차단 스마트 분전반이다.
또 다른 일실시 예로, 주제어부는 변류기를 통해 검지된 통전전류량이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주제어부에 프로그램 입력된 관리자 입력값 이하일 경우 전력부하가 없는 통전전류량이 검지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 다른 일실시 예로, 주제어부는 변류기를 통해 검지된 통전전류량이 100mA 이하일 경우 전력부하가 없는 통전전류량이 검지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 다른 일실시 예로, 콘센트는 상시누전차단기 출력배선 및 절전누전차단기 출력배선을 입력받아 선택스위치의 접점 이동에 따라 콘센트 수구의 전원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실시 예로, 전등부하 누전차단기의 출력배선은 전등에 배선 및 화장실스위치에 배선되어, 화장실스위치는 분기되어 한 회로는 스위치를 거쳐 화장실전등, 배기팬, 절전콘센트에 배선되며, 나머지 한 회로는 상시콘센트에 배선 연결하며 절전콘센트를 통해 비데에 전원 공급한다.
또 다른 일실시 예로, 화장실 스위치를 ON접점으로 스위치를 켤 경우 화장실전등, 배기팬 및 비데에 전원 공급된다. 이때, 비데 좌석의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며, 화장실 스위치를 OFF접점으로 스위치를 끌 경우 화장실전등, 배기팬, 비데에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비데 좌석 열선의 과열로 인한 화재 및 전력 낭비를 초래하지 않으며, 상시콘센트는 화장실 스위치의 ON/OFF와 관계없이 항상 전원을 공급한다.
1,3,4,9,10 : 누전차단기
2 : 대기전력차단스위치
5 : 대기전력차단 콘센트 수구
6 : 상시전력 콘센트 수구
7 : 상시/차단 선택 콘센트
8 : 변류기
21 : 제1회로
22 : 제2회로
23 : 제3회로
24 : 제4회로
25 : 2선로 3접점 릴레이

Claims (21)

  1.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설정이 입력되는 주제어부의 키패드, 인입전원으로부터 배선차단기를 거쳐 누전을 차단하기 위하여 부하별로 설치된 누전차단기, 부하전류량을 검지하는 변류기, 전원을 ON/OFF하는 대기전력차단스위치 및 상기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제어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는 분전반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외출버튼, 차단버튼, 해제버튼, 세트버튼, 비밀번호 입력버튼 및 급탕버튼으로 구성되고,
    외출시 방범과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수단으로서 실내 감시를 위한 동체검지기 및 감시카메라와 상기 감시 카메라를 천장 내부로 은폐하였다가 감시가 필요할 때에 노출시키는 카메라 엘리베이션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누전차단기는 전등1, 전등2, 에어컨, 전열1, 전열2, 전열3으로 총 6개로 구성되고,
    화장실, 방 및 거실에 배선된 보일러 온수배관과 가스밸브를 ON/OFF하는 전자밸브가 설치되고,
    감시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저장하고 소유주 휴대폰으로 영상을 전송하는 제어서버를 구비하여,
    인입전원은 배선차단기를 거쳐 6분기하여 전등1, 전등2, 에어컨, 전열1, 전열2, 전열3 누전차단기로 배선되며, 전등1 누전차단기의 출력배선은 분기되어 한 회로는 취침등에 배선되며, 나머지 한 회로는 변류기를 통과 후 다시 분기되어 한 회로는 현관 센서등에 배선되고, 전등2 및 에어컨 누전차단기의 출력배선은 변류기를 통과한 후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거쳐 전등 및 에어컨에 배선되고, 전열1 누전차단기의 출력배선은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거쳐 절전콘센트에 배선되며, 전열2 누전차단기의 출력배선은 상시콘센트에 배선되며, 전열3 누전차단기의 출력배선은 보일러 및 보일러 온수펌프, 전자밸브, 감시카메라, 제어서버, 엘리베이션, 상시콘센트 및 화장실스위치에 배선되며, 화장실스위치는 인입배선을 분기하여 한 회로는 스위치를 거쳐 전등 및 절전콘센트에 배선하고, 나머지 한 회로는 상시콘센트에 배선하여 스위치 ON일 경우 전등 및 절전콘센트에 전원을 공급하지만, OFF일 경우 상시콘센트에만 전원을 공급하고,
    주제어부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되어 키패드에서 외출버튼이 작동되면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FF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며, 가스밸브의 전자밸브를 OFF하여 차단하며, 감시카메라 녹화시작 멘트를 방송 후 엘리베이션을 구동하여 감시카메라를 천장에서 외부로 노출시키며, 동체감지기를 작동시키며, 제어서버를 구동하며, 키패드에서 외출버튼 작동중 동체검지기에서 동체를 검지하면, 비밀번호 입력 안내방송이 방송된 후 해당 비밀번호가 키패드의 비밀번호 입력버튼을 통해 입력되지 않으면 침입자 경보사이렌을 구동하고, 제어서버는 감시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지정된 휴대폰으로 전송하고,
    주제어부는 키패드에서 차단버튼이 작동되면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FF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고, 해제버튼이 작동되면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N하여 대기전력을 공급하고, 급탕버튼이 작동되면 보일러를 점화기동하고 관리자 입력시간 동안 온수배관 중 화장실 온수배관 전자밸브를 개방하며 나머지 보일러 온수배관은 차단 하고 온수펌프를 가동 후 관리자 입력시간 경과 후 다시 전자밸브를 원래 상태로 복귀하고, 세트버튼이 작동되면 야간모드 시작시간 및 종료시간을 입력하며, 야간모드 시작시간 및 종료시간 사이에 변류기로부터 통전전류량이 검지되지 않으면 전열 누전차단기에 배선된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FF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며, 변류기로부터 통전전류량이 검지되면 전열 누전차단기에 배선된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N하여 대기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스마트 분전반.
  2.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설정이 입력되는 주제어부의 키패드, 인입전원으로부터 배선차단기를 거쳐 누전을 차단하기 위하여 부하별로 설치된 누전차단기, 부하전류량을 검지하는 변류기, 전원을 ON/OFF하는 대기전력차단스위치 및 상기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제어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는 분전반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외출버튼, 차단버튼, 해제버튼, 세트버튼 및 비밀번호 입력버튼으로 구성되고,
    외출시 방범과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수단으로서 실내 감시를 위한 동체검지기 및 감시카메라와 상기 감시 카메라를 천장 내부로 은폐하였다가 감시가 필요할 때에 노출시키는 카메라 엘리베이션 수단이 구비되고,
    감시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저장하고 소유주 휴대폰으로 영상을 전송하는 제어서버를 구비하여,
    전등부하에 배선된 누전차단기의 출력은 변류기와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거쳐 전등부하에 배선되고, 취침등은 누전차단기 출력배선을 변류기와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거치지 않고 바로 배선되며, 현관센서등은 변류기를 통과하고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거치지 않고 현관센서등에 배선되고,
    전열부하에 배선된 누전차단기는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거치지 않아 항상 전원을 공급하는 상시누전차단기와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거쳐 전열콘센트에 배선된 절전누전차단기로 구분되고, 상시누전차단기 출력배선은 상시콘센트 및 화장실스위치에 배선되고, 화장실 스위치는 분기되어 한 회로는 스위치를 거쳐 화장실전등 및 절전콘센트에 배선되고 나머지 한 회로는 상시콘센트에 배선되며, 절전누전차단기 출력배선은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거쳐 절전콘센트에 배선되고,
    주제어부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되어 키패드에서 외출버튼이 작동되면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FF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며, 가스밸브의 전자밸브를 OFF하여 차단하며, 감시카메라 녹화시작 멘트를 방송 후 엘리베이션을 구동하여 감시카메라를 천장에서 외부로 노출시키며, 동체감지기를 작동시키며, 제어서버를 구동하며, 키패드에서 외출버튼 작동중 동체검지기에서 동체를 검지하면, 비밀번호 입력 안내방송이 방송된 후 해당 비밀번호가 키패드의 비밀번호 입력버튼을 통해 입력되지 않으면 침입자 경보사이렌을 구동하고, 제어서버는 감시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지정된 휴대폰으로 전송하고,
    주제어부는 키패드에서 차단버튼이 작동되면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FF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고, 해제버튼이 작동되면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N하여 대기전력을 공급하고, 세트버튼이 작동되면 야간모드 시작시간 및 종료시간을 입력하며, 야간모드 시작시간 및 종료시간 사이에 변류기로부터 통전전류량이 검지되지 않으면 전열 누전차단기에 배선된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FF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며, 변류기로부터 통전전류량이 검지되면 전열 누전차단기에 배선된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N하여 대기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스마트 분전반.
  3. 삭제
  4. 삭제
  5. 인입전원으로부터 배선차단기를 거쳐 누전을 차단하기 위하여 부하별로 설치된 누전차단기, 부하전류량을 검지하는 변류기, 전원을 ON/OFF하는 대기전력차단스위치 및 상기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제어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는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분전반에 있어서,
    누전차단기의 출력배선이 분기되어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거쳐 분기된 제1회로(21)는 변류기와 대기전력차단모드 선택스위치접점을 통해 콘센트에 배선되고, 제2회로(22)는 변류기와 무접점계전기를 거쳐 절전모드 선택스위치접점을 통해 콘센트에 배선되고,
    누전차단기의 출력배선에서 분기되어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거치지 않고 분기된 제3회로(23)는 변류기, 무접점계전기를 거쳐 절전모드 선택스위치접점을 통해 콘센트에 배선되고, 제4회로(24)는 상시모드 선택스위치접점을 통해 콘센트에 배선되고,
    상시, 절전 및 대기전력차단모드 선택스위치접점과 콘센트는 선택스위치를 통해 3개의 접점 중 하나의 접점과 콘센트 사이를 배선 연결하고,
    주제어부는 선택스위치가 절전모드 선택스위치접점과 콘센트 사이를 배선 연결할 때, 변류기를 통해 통전전류량이 검지되지 않으면 무접점계전기를 통해 접점을 제2회로에 배선 연결하며, 변류기를 통해 통전전류량이 검지되면, 무접점계전기를 통해 접점을 제3회로에 배선 연결하는 대기전력 차단 스마트 분전반.
  6. 인입전원으로부터 배선차단기를 거쳐 누전을 차단하기 위하여 부하별로 설치된 누전차단기, 부하전류량을 검지하는 변류기, 전원을 ON/OFF하는 대기전력차단스위치 및 상기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제어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는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분전반에 있어서,
    누전차단기의 출력배선이 분기되어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거쳐 분기된 제1회로는 대기전력차단모드 선택스위치접점을 통해 콘센트에 배선되며, 제2회로는 2선로 3접점 릴레이(25)의 주접점에 배선되어 출력이 절전모드 선택스위치접점을 통해 콘센트에 배선되고,
    누전차단기의 출력배선에서 분기되어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거치지 않은 제3회로(23)는 2선로 3접점 릴레이(25)의 부접점에 배선되어 출력이 절전모드 선택스위치접점을 통해 콘센트에 배선되며, 제4회로(24)는 상시모드 선택스위치접점을 통해 콘센트에 배선되고,
    상시, 절전 및 대기전력차단모드 선택스위치접점과 콘센트는 선택스위치를 통해 3개의 접점 중 하나의 접점과 콘센트 사이를 배선 연결하고,
    주제어부는 선택스위치가 절전모드 선택스위치접점과 콘센트 사이를 배선 연결할 때, 콘센트에 부하가 있으면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N하여 2선로 3접점 릴레이(25)에 전원을 공급하여 솔레노이드에 자장을 발생시켜 선택접점이 주접점에서 부접점으로 이동하여 제3회로(23)에 배선 연결하며, 제3회로에 부하가 없으면 솔레노이드에 자장이 소멸되어 선택접점이 주접점으로 복귀하여 제2회로(22)에 연결하는 대기전력 차단 스마트 분전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설정이 입력되는 주제어부의 키패드, 인입전원으로부터 배선차단기를 거쳐 누전을 차단하기 위하여 부하별로 설치된 누전차단기, 부하전류량을 검지하는 변류기, 전원을 ON/OFF하는 대기전력차단스위치 및 상기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제어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는 분전반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외출버튼, 차단버튼 및 해제버튼으로 구성되고,
    빌딩내 실별로 인입되는 인입전원이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거쳐 분기된 제1회로는 변류기와 대기전력차단모드 선택스위치접점을 통해 콘센트에 배선되며, 나머지 제2회로는 변류기와 무접점계전기를 거쳐 절전모드 선택스위치접점을 통해 콘센트에 배선되고,
    누전차단기의 출력배선에서 분기된 제3회로는 무접점계전기를 거쳐 절전모드 선택스위치접점을 통해 콘센트에 배선되며, 누전차단기의 출력배선에서 분기된 제4회로는 상시모드 선택스위치접점을 통해 콘센트에 배선되고,
    상시, 절전 및 대기전력차단모드 선택스위치접점과 콘센트는 선택스위치를 통해 3개의 접점 중 하나의 접점과 콘센트 사이를 배선 연결하고,
    주제어부는 선택스위치가 절전모드 선택스위치접점과 콘센트 사이를 배선 연결하면, 변류기를 통해 통전전류량이 검지되지 않으면 무접점계전기를 통해 접점을 제2회로(22)에 배선 연결하며, 변류기를 통해 통전전류량이 검지되면, 무접점계전기를 통해 접점을 제3회로(23)에 배선 연결하고,
    주제어부는 키패드에 차단버튼이 입력되면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FF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며, 키패드에 외출버튼이 입력되면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FF하여 대기전력을 차단 및 해제버튼이 입력되면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N하여 대기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스마트 분전반.
  12.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설정이 입력되는 주제어부의 키패드, 인입전원으로부터 배선차단기를 거쳐 누전을 차단하기 위하여 부하별로 설치된 누전차단기, 부하전류량을 검지하는 변류기, 전원을 ON/OFF하는 대기전력차단스위치 및 상기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제어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는 분전반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외출버튼, 차단버튼 및 해제버튼으로 구성되고,
    빌딩내 실별로 인입되는 누전차단기의 출력배선이 분기되어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거쳐 분기된 제1회로는 대기전력차단모드 선택스위치접점을 통해 콘센트에 배선되며, 제2회로는 2선로 3접점 릴레이(25)의 주접점에 배선되어 출력이 절전모드 선택스위치접점을 통해 콘센트에 배선되고,
    누전차단기의 출력배선에서 분기되어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거치지 않은 제3회로(23)는 2선로 3접점 릴레이(25)의 부접점에 배선되어 출력이 절전모드 선택스위치접점을 통해 콘센트에 배선되며, 제4회로(24)는 상시모드 선택스위치접점을 통해 콘센트에 배선되고,
    상시, 절전 및 대기전력차단모드 선택스위치접점과 콘센트는 선택스위치를 통해 3개의 접점 중 하나의 접점과 콘센트 사이를 배선 연결하고,
    주제어부는 선택스위치가 절전모드 선택스위치접점과 콘센트 사이를 배선 연결할 때, 콘센트에 부하가 있으면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N하여 2선로 3접점 릴레이(25)에 전원을 공급하여 솔레노이드에 자장을 발생시켜 선택접점이 주접점에서 부접점으로 이동하여 제3회로(23)에 배선 연결하며, 제3회로에 부하가 없으면 솔레노이드에 자장이 소멸되어 선택접점이 주접점으로 복귀하여 제2회로(22)에 연결하고,
    주제어부는 키패드에 차단버튼이 입력되면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FF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며, 키패드에 외출버튼이 입력되면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FF하여 대기전력을 차단 및 해제버튼이 입력되면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N하여 대기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스마트 분전반.
  13. 제1항, 제2항, 제5항, 제6항, 제11항,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제어부는 변류기를 통해 검지된 통전전류량이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주제어부에 프로그램 입력된 관리자 입력값 이하일 경우 전력부하가 없는 통전전류량이 검지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대기전력 차단 스마트 분전반.
  14. 제1항, 제2항, 제5항, 제6항, 제11항,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제어부는 변류기를 통해 검지된 통전전류량이 100mA 이하일 경우 전력부하가 없는 통전전류량이 검지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대기전력 차단 스마트 분전반.
  15. 제1항, 제2항, 제5항, 제6항, 제11항,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콘센트는 상시누전차단기 출력배선 및 절전누전차단기 출력배선을 입력받아 선택스위치의 접점 이동에 따라 콘센트 수구의 전원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스마트 분전반.
  16. 인입전원은 배선차단기를 거쳐 분기하여 적어도 2개의 전열부하 및 전등부하에 배선된 누전차단기로 입력되고,
    누전차단기는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거치지 않아 항상 전원을 공급하는 상시누전차단기와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거쳐 전열콘센트에 배선된 절전누전차단기로 구분되어, 상시누전차단기 출력배선은 전등, 상시콘센트 및 화장실스위치에 배선되고,
    화장실 스위치는 분기되어 한 회로는 스위치를 거쳐 화장실전등 및 절전콘센트에 배선되며, 나머지 한 회로는 상시콘센트에 배선되고,
    절전누전차단기 출력배선은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거쳐 절전콘센트에 배선되고,
    키패드는 차단버튼, 해제버튼으로 구성되어 키패드에 차단버튼이 입력되면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FF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며, 해제버튼이 입력되면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N하여 대기전력을 공급하는 대기전력 차단 내선공사 공법.
  17. 인입전원은 배선차단기를 거쳐 분기하여 적어도 2개의 전열부하 및 전등부하에 배선된 누전차단기로 배선되고,
    전등부하에 배선된 누전차단기의 출력은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거쳐 전등부하에 배선되고,
    전열부하에 배선된 누전차단기의 출력배선은 분기되어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거쳐 분기된 제1회로(21)는 변류기를 통과 후 대기전력차단모드 선택스위치접점을 통해 콘센트에 배선되며, 나머지 제2회로(22)는 변류기, 무접점계전기를 거쳐 절전모드 선택스위치접점을 통해 콘센트에 배선되고,
    누전차단기의 출력배선에서 분기된 제3회로(23)는 무접점계전기를 거쳐 절전모드 선택스위치접점을 통해 콘센트에 배선되며, 누전차단기의 출력배선에서 분기된 제4회로(24)는 상시모드 선택스위치접점을 통해 콘센트에 배선되고,
    상시, 절전, 대기전력차단모드 선택스위치접점과 콘센트는 선택스위치를 통해 3개의 접점 중 하나의 접점과 콘센트 사이를 배선 연결하고,
    주제어부는 선택스위치가 절전모드 선택스위치접점과 콘센트 사이를 배선 연결하면, 변류기를 통해 통전전류량이 검지되지 않으면 무접점계전기를 통해 접점을 제2회로(22)에 배선 연결하며, 변류기를 통해 통전전류량이 검지되면, 무접점계전기를 통해 접점을 제3회로(23)에 배선 연결하는 대기전력 차단 내선공사 공법.
  18. 인입전원은 배선차단기를 거쳐 분기하여 적어도 2개의 전열부하 및 전등부하에 배선된 누전차단기로 배선되고,
    전등부하에 배선된 누전차단기의 출력은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거쳐 전등부하에 배선되고,
    전열부하에 배선된 누전차단기의 출력배선이 분기되어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거쳐 분기된 제1회로는 대기전력차단모드 선택스위치접점을 통해 콘센트에 배선되며, 제2회로는 2선로 3접점 릴레이(25)의 주접점에 배선되어 출력이 절전모드 선택스위치접점을 통해 콘센트에 배선되고,
    누전차단기의 출력배선에서 분기되어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거치지 않은 제3회로(23)는 2선로 3접점 릴레이(25)의 부접점에 배선되어 출력이 절전모드 선택스위치접점을 통해 콘센트에 배선되며, 제4회로(24)는 상시모드 선택스위치접점을 통해 콘센트에 배선되고,
    상시, 절전 및 대기전력차단모드 선택스위치접점과 콘센트는 선택스위치를 통해 3개의 접점 중 하나의 접점과 콘센트 사이를 배선 연결하고,
    주제어부는 선택스위치가 절전모드 선택스위치접점과 콘센트 사이를 배선 연결할 때, 콘센트에 부하가 있으면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N하여 2선로 3접점 릴레이(25)에 전원을 공급하여 솔레노이드에 자장을 발생시켜 선택접점이 주접점에서 부접점으로 이동하여 제3회로(23)에 배선 연결하며, 제3회로에 부하가 없으면 솔레노이드에 자장이 소멸되어 선택접점이 주접점으로 복귀하여 제2회로(22)에 연결하는 대기전력 차단 내선공사 공법.
  19. 제 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빌딩자동제어서버를 추가로 구성하여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ON/OFF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내선공사 공법.
  20. 인입전원은 배선차단기를 거쳐 분기하여 적어도 2개의 전열부하 및 전등부하에 배선된 누전차단기로 배선되고,
    전등부하에 배선된 누전차단기의 출력배선은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거쳐 전등부하 및 화장실스위치에 배선되고,
    상기 화장실스위치는 분기되어 한 회로는 스위치를 거쳐 화장실전등, 배기팬 및 절전콘센트에 배선되며, 나머지 한 회로는 상시콘센트에 배선 연결하는 대기전력 차단 내선공사 공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콘센트를 통하여 비데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내선공사 공법.
KR1020110028356A 2011-03-29 2011-03-29 대기전력 차단 내선공사 공법 및 그 공법으로 시공된 대기전력 차단 스마트 분전반 KR101054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356A KR101054487B1 (ko) 2011-03-29 2011-03-29 대기전력 차단 내선공사 공법 및 그 공법으로 시공된 대기전력 차단 스마트 분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356A KR101054487B1 (ko) 2011-03-29 2011-03-29 대기전력 차단 내선공사 공법 및 그 공법으로 시공된 대기전력 차단 스마트 분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4487B1 true KR101054487B1 (ko) 2011-08-04

Family

ID=44932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8356A KR101054487B1 (ko) 2011-03-29 2011-03-29 대기전력 차단 내선공사 공법 및 그 공법으로 시공된 대기전력 차단 스마트 분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448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48762B2 (en) 2017-09-15 2019-10-22 Kohler Co. Mirror
US10663938B2 (en) 2017-09-15 2020-05-26 Kohler Co. Power operation of intelligent devices
US10887125B2 (en) 2017-09-15 2021-01-05 Kohler Co. Bathroom speaker
US11093554B2 (en) 2017-09-15 2021-08-17 Kohler Co. Feedback for water consuming appliance
US11099540B2 (en) 2017-09-15 2021-08-24 Kohler Co. User identity in household appliances
KR102489754B1 (ko) * 2022-01-06 2023-01-18 이신복 전기적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는 직접전원 연결라인을 포함하는 전등시공구조
KR102671747B1 (ko) 2021-11-25 2024-06-03 이신복 개별 누전차단기가 설치된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등 전기배선 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770B1 (ko) * 2008-08-25 2009-04-24 주식회사 유코스텍 주거 멀티 편의기능을 제공하는 세대 설치기기들 및 그들을포함하는 세대편의 통합관리 시스템
KR101002396B1 (ko) * 2010-06-08 2010-12-17 중앙제어 주식회사 스마트 미터 제어기 및 이를 구비한 지능형 전자식 세대 분전반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770B1 (ko) * 2008-08-25 2009-04-24 주식회사 유코스텍 주거 멀티 편의기능을 제공하는 세대 설치기기들 및 그들을포함하는 세대편의 통합관리 시스템
KR101002396B1 (ko) * 2010-06-08 2010-12-17 중앙제어 주식회사 스마트 미터 제어기 및 이를 구비한 지능형 전자식 세대 분전반 시스템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48762B2 (en) 2017-09-15 2019-10-22 Kohler Co. Mirror
US10663938B2 (en) 2017-09-15 2020-05-26 Kohler Co. Power operation of intelligent devices
US10887125B2 (en) 2017-09-15 2021-01-05 Kohler Co. Bathroom speaker
US11093554B2 (en) 2017-09-15 2021-08-17 Kohler Co. Feedback for water consuming appliance
US11099540B2 (en) 2017-09-15 2021-08-24 Kohler Co. User identity in household appliances
US11314215B2 (en) 2017-09-15 2022-04-26 Kohler Co. Apparatus controlling bathroom appliance lighting based on user identity
US11314214B2 (en) 2017-09-15 2022-04-26 Kohler Co. Geographic analysis of water conditions
US11892811B2 (en) 2017-09-15 2024-02-06 Kohler Co. Geographic analysis of water conditions
US11921794B2 (en) 2017-09-15 2024-03-05 Kohler Co. Feedback for water consuming appliance
US11949533B2 (en) 2017-09-15 2024-04-02 Kohler Co. Sink device
KR102671747B1 (ko) 2021-11-25 2024-06-03 이신복 개별 누전차단기가 설치된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등 전기배선 구조
KR102489754B1 (ko) * 2022-01-06 2023-01-18 이신복 전기적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는 직접전원 연결라인을 포함하는 전등시공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4487B1 (ko) 대기전력 차단 내선공사 공법 및 그 공법으로 시공된 대기전력 차단 스마트 분전반
US20210167598A1 (en) Controllable Electrical Outlet with a Controlled Wired Output
GB2458158A (en) Monitoring and automatically switching off electrical appliances when no one is present
US20090312883A1 (en) System for controlling a power, water or gas supply
JP2011066975A (ja) 屋内配線用の負荷制御装置と、それを使用する屋内配線システム
KR101057982B1 (ko) 대기전력 차단 분전반
KR100709005B1 (ko) 비상전원 자동 절체 장치
RU2281614C1 (ru) Интегрированная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ая система контроля и управления
GB2464293A (en) An automatic switching apparatus
WO2015044799A2 (zh) 水浸监控保护装置
US20160103441A1 (en) Monitoring system for multiple utilities
AU2012216717B2 (en) Electrical supply system
KR200428202Y1 (ko) 원터치방식의 모드 조작기능을 구비한 룸콘트롤러
KR20040083642A (ko) 단위세대 상용/비상 전원 분전반
CN204883250U (zh) 一种具有自动管理功能的室内智能电源控制管理系统
JP2004170276A (ja) 電流表示装置
JP2012016249A (ja) 通電制御システム
KR102115088B1 (ko) 대기전력 차단용 분전반
KR101048904B1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콘센트 및 전기기기의 전원제어장치
JP5151494B2 (ja) 供給電力制御システムおよび供給電力制御方法
KR200318821Y1 (ko) 단위세대 상용/비상 전원 분전반 및 그 단위세대상용/비상 전원 공급회로
AU2008101289A4 (en) Remote energy switching device
US8063787B2 (en) Point-of-use status indicator
JP7333970B2 (ja) 多用途スマート分電盤装置及びシステムと、その運用方法
JP2009048666A (ja) 電源中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