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202Y1 - 원터치방식의 모드 조작기능을 구비한 룸콘트롤러 - Google Patents

원터치방식의 모드 조작기능을 구비한 룸콘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202Y1
KR200428202Y1 KR2020060019924U KR20060019924U KR200428202Y1 KR 200428202 Y1 KR200428202 Y1 KR 200428202Y1 KR 2020060019924 U KR2020060019924 U KR 2020060019924U KR 20060019924 U KR20060019924 U KR 20060019924U KR 200428202 Y1 KR200428202 Y1 KR 2004282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room controller
time
touch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99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제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네트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네트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네트웍
Priority to KR20200600199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2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2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2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Abstract

원터치방식의 모드 조작기능을 구비한 룸콘트롤러는 외출, 여행, 취침, 기상에 관한 모드를 미리 설정하여 원터치로 간단하게 조작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룸콘트롤러는 온도, 동작시간, 조명의 "온(ON)/오프(OFF)", 센서의 동작, 가스차단제어, 도어잠금제어에 관한 사항을 외출모드, 취침모드, 여행모드, 기상모드 별로 미리 프로그램해놓고, 조작판넬상에 모드스위치를 원터치 조작하여 모드 선택하면 LCD 화면에 선택된 모드를 아이콘 표시하여 알리고, 프로그램해놓은 대로 전력선 통신 연결된 보일러, 조명기기, 침입감지센서, 가스차단제어기, 도어록 등의 동작을 제어하여 선택된 모드가 실행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사용자가 복잡한 별도의 조작없이 원하는 기능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한다.
Figure 112006052663619-utm00001
룸콘트롤러, 외출모드, 취침모드, 여행모드, 기상모드

Description

원터치방식의 모드 조작기능을 구비한 룸콘트롤러{Room-Controller having an mode operation function of one-touch form}
도 1은 룸콘트롤러와 기기들 간의 연결 구성도,
도 2a-2b는 본 고안에 따른 룸콘트롤러의 조작판넬로, 조작부와 LCD 화면을 각각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원터치방식의 모드 조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룸콘트롤러 11 : 조작부
15 : LCD표시부 111 : 모드스위치
본 고안은 보일러의 룸콘트롤러(room controller)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룸콘트롤러에 모드를 설정하여 사용자가 복잡한 별도의 조작없이 간단하게 원터치 조작만으로 원하는 모드를 선택하여 동작할 수 있게 한 원터치방식의 모드 조작기능을 구비한 룸콘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보일러나 각방 온도 조절기, 그 밖의 방범·방재, 조명 등의 홈오토메이션을 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는 실내에서 해당 기능을 조작 및 제어할 수 있도록 룸콘트롤러(Room Controller)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최근에는 기존 전력선(power line)을 통신선으로 사용하여 보일러, 각방 온도 조절기 및 홈네트워크 시스템과 룸콘트롤러 간에 별도 배선을 설치하지 않고도 전력선 통신 연결되어, 룸콘트롤러에서 각 기기들을 제어하거나 기기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 일예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은 룸콘트롤러와 각종 기기(device)들 간의 전력선 통신 연결을 보여준다.
도 1을 보면, 룸콘트롤러(10)는 보일러(20), 조명기기(30), 침입감지센서(40), 가스차단제어기(50), 도어록(60) 등의 기기들이 설치된 위치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하여 전력선 통신을 통해 원격제어한다. 여기서, 룸콘트롤러(10)와 도어록(60) 사이에는 전력선 및 적외선 통신을 이용하기 위한 적외선중계기(65)가 연결된다.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난방조절하거나 조명제어, 비상통보하는 등의 구체적인 제어방식은 이미 다수의 선행기술들이 제시되어 있다. 그 일예로, 본 고안의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실용신안등록 제 338288호의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조명제어기능을 갖는 룸콘트롤시스템" 및 실용신안등록 제 385831호의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난방조절장치" 등이 있다.
그러나, 기존의 룸콘트롤러에서는 별도의 모드 제어없이 외출, 취침, 여행, 기상 시에 설정온도, 동작시간, 조명의 "온(ON)/오프(OFF)", 센서의 동작, 가스차단기 제어, 도어잠금제어 등을 사용자가 직접 그때마다 조절해야 했다. 이로 인하 여, 사용자가 룸콘트롤러를 사용하는 데 있어 많은 여러가지 조작을 해야 하므로 불편함을 초래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목적은 전술한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설정온도, 동작시간, 조명의 "온(ON)/오프(OFF)", 센서의 동작, 가스차단제어, 도어잠금제어에 관한 사항을 모드별로 미리 룸콘트롤러에 설정시켜 놓고 사용자가 간단하게 원터치 조작만으로 원하는 모드를 선택하면 해당 모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원터치방식의 모드 조작기능을 구비한 룸콘트롤러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방식의 모드 조작기능을 구비한 룸콘트롤러는, 보일러, 각방 온도 조절기 및 홈네트워크 시스템과 전력선 통신 연결되어 각 기기들을 제어하는 룸콘트롤러에 있어서, 모드 선택, 비밀번호 입력, 온도 및 시간 지정을 하기 위한 스위치가 장착되는 조작부, 및 현재 모드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CD표시부를 포함하며, 외출, 취침, 여행, 기상 모드별로 동작 프로그램을 미리 설정해놓고,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의 스위치를 원터치 조작하여 원하는 모드를 선택하면 선택된 모드의 설정해놓은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연결된 각 기기들의 동작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2a-2b는 본 고안에 따른 룸콘트롤러(10)의 조작판넬로, 도 2a는 조작 부(11)를, 도 2b는 LCD 표시부(15)를 각각 보여준다.
도 2a에 보여진 바와 같이, 조작부(11)에는 외출/기상/여행/취침 모드중 원하는 모드 설정을 위한 모드스위치(111)를 구비한다. 여기서, 모드스위치(111)는 조그셔틀스위치로, 조그셔틀의 누르는 위치에 따라 원하는 모드를 원터치로 선택할 수 있으며, 조그셔틀의 좌우 회전에 따라 시간이나 비밀번호 입력 등을 할 수 있다.
한편, 도 2b에 보여진 바와 같이, LCD 표시부(15)에는 각 모드의 그림을 아이콘형태로 나타내는 아이콘표시부분(A)과, 온도나 시간 등의 숫자를 나타내는 숫자표시부분(B)이 있다. LCD 표시부(15)상의 아이콘표시부분(A) 및 숫자표시부분(B)중 현재 설정사항에 해당하는 부분이 "온(ON)"되고 나머지 부분은 "오프(OFF)"된다. 즉, "온(ON)"된 부분만 표시되고 나머지는 다 꺼진다.
먼저, 룸콘트롤러(10) 제조단계에서 모드별로 해당하는 동작을 셋팅시켜 놓는다. 즉, 외출, 취침, 여행, 기상 모드 각각에 대해 다음의 표 1과 같이 동작이 디폴트로 셋팅(setting)된다.
모드 동 작
외출 가스차단, 난방정지, 연결된 조명 모두 "오프(OFF)", 침입감지센서 동작
취침 가스차단, 조명타이머 작동, 도어잠금 설정
여행 도어잠금, 가스차단, 난방정지, 조명지정시간 "온(ON)/오프(OFF)", 침입감지센서 동작
기상 지정된 시각에 난방은 온수모드로 전환, 알람 시각에 정해진 조명 "온(ON)", 알람 시각에 기상 알람 멜로디 발생
이렇게 셋팅된 각 모드별 동작 내용들은 룸콘트롤러(10)내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모드를 선택할 때마다 해당 모드의 설정 동작내용을 실행시켜 모드 수행한다. 사용자는 도 2a의 조작부(11) 상에 모드스위치(111)를 조작하여 원하는 모드를 설정하고, 룸콘트롤러(1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모드에 대응하여 기 셋팅된 모드 동작을 실행한다. 이에 대해, 도 3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원터치방식의 모드 조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서, 룸콘트롤러(10)는 모드설정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300). 사용자가 조작부(11)의 모드스위치(111) 즉, 조그셔틀의 외출 위치를 누르면 룸콘트롤러(10)는 외출모드 설정으로 인식한다. 외출모드를 선택한 사용자는 다시 조작부(11)상의 모드스위치(111)를 조작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한다(단계 310). 즉, 조그셔틀을 회전시키면 LCD 표시부(15)상의 LCD 화면에 번호가 표시되고, 회전에 따라 표시된 번호가 바뀌게 되어 원하는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사용자가 외출모드 설정시 입력한 비밀번호는 외출에서 돌아온 다음 외출모드 해제시 본인 인증에 사용되며, 만약 외출모드를 해제하지 않거나 본인 인증에 실패할 경우 외부 침입자로 인식하게 된다. 그런 다음, 룸콘트롤러(10)는 외출모드를 실행한다(단계 311). 외출모드실행에서(단계 311), 룸콘트롤러(10)는 LCD 표시부(15)에 온도와 시간 아이콘만 남겨두고 모두 "오프(OFF)"시켜 외출모드 상태임을 알려준다(단계 312). 그런 다음, 룸콘트롤러(10)는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미리 셋팅시켜놓은 외출모드 동작에 따라 기기들의 동작을 제어한다(단계 313). 룸콘트롤러(10)는 표 1에 정의한 바와 같이, 가스차단제어기(50)와의 전력선 통신을 통해 가스차단기(미도시)를 차단시키고, 보일러(20)와의 전력선 통신을 통해 난방정지시키며, 연결된 조명기기(30)를 모두 "오프(OFF)"시키고, 침입감지센서(40)를 동작시키고, 적외선 중계기(65)를 경유한 도어록(60)과의 전력선 및 적외선 통신을 통해 도어를 잠그는 외출모드 셋팅 동작을 실행한다. 여기서, 일정시간 경과 후부터 모드 실행을 하는 이유는 모드 작동 후 사용자가 방범설정된 지역을 빠져나가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이다. 외출모드 실행은 사용자가 이를 해제할 때까지 유지된다.
룸콘트롤러(10)는 단계 300에서 사용자가 조작부(11)의 모드스위치(111)인 조그셔틀의 취침 위치를 누르면 취침모드 설정으로 인식한다. 취침모드 설정으로 인식한 룸콘트롤러(10)는 조명꺼짐 시간 입력 대기상태가 되고, 이때 사용자는 조그셔틀을 좌우로 회전시켜 시간을 설정함으로 취침모드가 동작하게 된다(단계 320). 그런 다음, 룸콘트롤러(10)는 취침모드를 실행한다(단계 321). 취침모드실행에서(단계 321), 룸콘트롤러(10)는 LCD표시부(15)에 취침모드 그림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점등시켜 취침모드 상태임을 알려준다(단계 322). 그런 다음, 룸콘트롤러(10)는 일정시간 경과하면 미리 설정해놓은 취침모드 동작에 따라 기기들의 동작을 제어한다(단계 323). 룸콘트롤러(10)는 표 1에 정의된 바와 같이, 가스차단제어기(50)와의 전력선 통신을 통해 가스차단기(미도시)를 차단시키고, 적외선 중계기(65)를 경유한 도어록(60)과의 전력선 및 적외선 통신을 통해 도어를 잠그는 취침모드 셋팅 동작을 실행한다. 룸콘트롤러(10)는 또한, 취침모드 설정시 입력된 대기시간이 지나면 연결된 조명기기(30)를 모두 "오프(OFF)"시키고, LCD 표시부(15) 상의 아이콘 점등도 꺼지게 하여 취침에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룸콘트롤러(10)는 단계 300에서 사용자가 조작부(11)의 모드스위치(111)인 조그셔틀의 여행 위치를 누르면 여행모드 설정으로 인식한다. 여행모드를 선택한 사용자는 다시 조작부(11)의 모드스위치(111)인 조그셔틀을 조작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한다(단계 330). 사용자가 여행모드 설정시 입력한 비밀번호는 외출모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여행모드 해제시 본인 인증에 사용된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조작부(11)의 모드스위치(111)인 조그셔틀을 조작하여 조명 "온(ON)/오프(OFF)" 시간을 지정한다(단계 331). 여기서, 조명 "온(ON)/오프(OFF)" 시간지정이란, 집을 장기간 비우게 됨으로 특정 조명에 "온(ON)/오프(OFF)" 시간을 지정해 그 시간이 되면 꺼지고 켜지는 것이 반복되도록 하여 외부에서 사람이 집에 있는 것처럼 보여지게 하는 기능이다. 그런 다음, 룸콘트롤러(10)는 여행모드를 실행한다(단계 332). 여행모드실행에서(단계 332), 룸콘트롤러(10)는 LCD표시부(15)에 온도와 시간 아이콘만 남겨 두고 모두 "오프(OFF)"시켜 여행모드 상태임을 알려준다(단계 333). 그런 다음, 룸콘트롤러(10)는 일정시간 경과하면 미리 설정해놓은 여행모드 동작에 따라 기기들의 동작을 제어한다(단계 334). 즉, 룸콘트롤러(10)는 표 1에 정의된 바와 같이, 도어잠금, 가스차단, 난방정지, 조명지정시간 "온(ON)/오프(OFF)", 침입감지센서 동작 등의 여행모드 셋팅 동작을 실행한다.
룸콘트롤러(10)는 단계 300에서 사용자가 조작부(11)의 모드스위치(111)인 조그셔틀의 기상 위치를 누르면 기상모드 설정으로 인식한다. 기상모드를 선택한 사용자는 다시 조작부(11)의 모드스위치(111)인 조그셔틀을 조작하여 알람시간을 설정한다(단계 340). 그런 다음, 룸콘트롤러(10)는 기상모드를 실행한다(단계 341). 기상모드실행에서(단계 341), 룸콘트롤러(10)는 LCD표시부(15)에 기상모드 그림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점등시켜 기상모드 상태임을 알려준다(단계 342). 그런 다음, 룸콘트롤러(10)는 알람 지정시간이 되면 미리 설정해놓은 기상모드 동작에 따라 기기들의 동작을 제어한다(단계 343). 즉, 룸콘트롤러(10)는 표 1에 정의된 바와 같이, 지정된 시각에 난방을 온수모드로 전환시키고, 알람 시각에 정해진 조명을 "온(ON)"시키며, 알람시각에 기상알람멜로디를 발생시키는 기상모드 셋팅 동작을 실행한다.
각 모드에 따라 동작 후 설정된 모드를 종료, 해제해야 하는데 외출모드와 여행모드는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해제가 되며, 취침모드는 모드 동작시 자동으로 종료되고, 기상모드는 알람시간이 되면 모드 동작시 자동 종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방식의 모드 조작기능을 구비한 룸콘트롤러는, 원터치로 외출, 여행, 취침, 기상의 기능을 선택하게 되면 룸콘트롤러에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 그 상황에 맞게 연결된 각 기기들이 동작하게 되어 같은 상황이 반복될 때 일일이 그 조작을 하지 않더라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편리함을 주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6)

  1. 보일러, 각방 온도 조절기 및 홈네트워크 시스템과 전력선 통신 연결되어 각 기기들을 제어하는 룸콘트롤러에 있어서,
    모드 선택, 비밀번호 입력, 온도 및 시간 지정을 하기 위한 스위치가 장착되는 조작부; 및
    현재 모드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CD표시부를 포함하며,
    외출, 취침, 여행, 기상 모드별로 동작 프로그램을 미리 설정해놓고,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의 스위치를 원터치 조작하여 원하는 모드를 선택하면 선택된 모드의 설정해놓은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연결된 각 기기들의 동작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방식의 모드 조작기능을 구비한 룸콘트롤러.
  2. 제 1항에 있어서, 조작부의 상기 스위치는 조그셔틀로, 조그셔틀의 누름 위치에 따라 외출, 취침, 여행, 기상 모드중 하나를 선택하며, 조그셔틀의 좌우 회전에 따라 비밀번호, 온도, 시간 입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방식의 모드 조작기능을 구비한 룸콘트롤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룸콘트롤러는 상기 조작부의 스위치 조작에 따라 모드설정 여부를 체크하며, 체크결과 외출모드 설정이면 비밀번호를 입력받고, 상기 LCD 표시부에 온도와 시간에 해당하는 아이콘만 남기고 모두 "오프(OFF)"시켜 외출 모드 상태임을 알리고, 가스차단, 난방정지, 연결된 모든 조명 모두 "오프(OFF)", 침입감지센서 동작, 도어잠금 동작으로 하는 기 설정된 외출모드동작을 실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방식의 모드 조작기능을 구비한 룸콘트롤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룸콘트롤러는 상기 조작부의 스위치 조작에 따라 모드설정 여부를 체크하며, 체크결과 취침모드 설정이면 대기시간을 입력받고, 상기 LCD 표시부에 취침모드 그림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점등시켜 취침모드 상태임을 알리고, 가스차단, 조명타이머 작동, 도어잠금 동작으로 하는 기 설정된 취침모드동작을 실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방식의 모드 조작기능을 구비한 룸콘트롤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룸콘트롤러는 상기 조작부의 스위치 조작에 따라 모드설정 여부를 체크하며, 체크결과 여행모드 설정이면 비밀번호를 입력받고, 조명 "온(ON)/오프(OFF)" 시간을 지정하고, 상기 LCD 표시부에 온도와 시간에 해당하는 아이콘만 남기고 모두 "오프(OFF)"시켜 여행모드 상태임을 알리고, 도어잠금, 가스차단, 난방정지, 조명지정시간 "온(ON)/오프(OFF)", 침입감지센서 동작으로 하는 기 설정된 여행모드동작을 실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방식의 모드 조작기능을 구비한 룸콘트롤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룸콘트롤러는 상기 조작부의 스위치 조작에 따라 모드설정 여부를 체크하며, 체크결과 기상모드 설정이면 알람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LCD 표시부에 기상모드 그림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점등시켜 기상모드 상태임을 알리고, 지정된 시각에 난방을 온수모드로 전환하고 알람시각에 정해진 조명이 "온(ON)"되며 알람시각에 기상알람 멜로디가 발생하는 기 설정된 기상모드동작을 실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방식의 모드 조작기능을 구비한 룸콘트롤러.
KR2020060019924U 2006-07-24 2006-07-24 원터치방식의 모드 조작기능을 구비한 룸콘트롤러 KR2004282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924U KR200428202Y1 (ko) 2006-07-24 2006-07-24 원터치방식의 모드 조작기능을 구비한 룸콘트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924U KR200428202Y1 (ko) 2006-07-24 2006-07-24 원터치방식의 모드 조작기능을 구비한 룸콘트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202Y1 true KR200428202Y1 (ko) 2006-10-09

Family

ID=49297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9924U KR200428202Y1 (ko) 2006-07-24 2006-07-24 원터치방식의 모드 조작기능을 구비한 룸콘트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20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887B1 (ko) * 2007-04-27 2009-02-27 삼성물산 주식회사 원터치 방식을 통한 전등 및 가스의 일괄 제어 홈네트워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530312B1 (ko) * 2014-01-07 2015-06-22 (주)루빛 실내 조명 제어 시스템
KR20180072451A (ko) 2016-12-21 2018-06-29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보일러의 룸콘 화면 제어장치
KR20180072452A (ko) 2016-12-21 2018-06-29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보일러의 룸콘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887B1 (ko) * 2007-04-27 2009-02-27 삼성물산 주식회사 원터치 방식을 통한 전등 및 가스의 일괄 제어 홈네트워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530312B1 (ko) * 2014-01-07 2015-06-22 (주)루빛 실내 조명 제어 시스템
KR20180072451A (ko) 2016-12-21 2018-06-29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보일러의 룸콘 화면 제어장치
KR20180072452A (ko) 2016-12-21 2018-06-29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보일러의 룸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0780B2 (en) Thermostatic control system having a configurable lock
US8167216B2 (en) User setup for an HVAC remote control unit
US200602080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ppliances and thermostat for use therewith
JPH08506228A (ja) 制御システム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
KR200428202Y1 (ko) 원터치방식의 모드 조작기능을 구비한 룸콘트롤러
JP6340912B2 (ja) 電気機器制御システム
JP2007334582A (ja) 住宅内監視システム及び住宅
KR20050094247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JP6394072B2 (ja) 設備機器及び設備機器管理システム
JP6597329B2 (ja) 給湯システム
JP2005258713A (ja) ホーム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2014236282A (ja) 設備機器及び設備機器管理システム
KR20150043702A (ko) Hvac 컨트롤러
KR100786528B1 (ko) 홈 네트워크 환경의 다중 디바이스 게이트웨이용 통합형리모트 컨트롤러 시스템
JP2006125691A (ja) 空気調和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WO2020084838A1 (ja) 情報端末、及び、情報端末の操作プログラム
WO2020084834A1 (ja) 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システム
WO2020235100A1 (ja) 端末装置および温度制御システム
JP2006350786A (ja) 監視システム
KR101918599B1 (ko) 보일러의 룸콘 제어방법
JP6910232B2 (ja) 住宅設備システム
JP7259277B2 (ja) 給湯装置
JP2019203615A (ja) 空調操作装置
JP2006060471A (ja) 住宅用rfidシステム
JP7315830B2 (ja) 給湯装置、給湯システム、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