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5088B1 - 대기전력 차단용 분전반 - Google Patents

대기전력 차단용 분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5088B1
KR102115088B1 KR1020180113688A KR20180113688A KR102115088B1 KR 102115088 B1 KR102115088 B1 KR 102115088B1 KR 1020180113688 A KR1020180113688 A KR 1020180113688A KR 20180113688 A KR20180113688 A KR 20180113688A KR 102115088 B1 KR102115088 B1 KR 102115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witch
lamp
blocking
distribution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4208A (ko
Inventor
전재환
Original Assignee
전재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재환 filed Critical 전재환
Priority to KR1020180113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5088B1/ko
Publication of KR20200034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4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기전력 차단용 분전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 공급을 편리하게 제어함으로써 대기전력 차단을 쉽게하여 전기절약 및 전기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대기전력 차단용 분전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상용교류전원(AC)를 입력하며, 메인 전원을 일괄적으로 차단시키는 메인 차단 스위치(10); 상기 메인 차단 스위치(10)를 거쳐 입력된 전원을 각각의 비상시 전원용 부하기기(30)에 전달하고, 각 비상시 전원용 부하기기(30)의 전원을 차단시키는 서브 차단 스위치(20); 상기 메인 차단 스위치(10)와 서브 차단 스위치(20) 사이에 설치되어 원격제어를 통하여 상기 비상시 전원용 부하기기(30)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되, 수동스위치 또는 원격에서 리모컨이나 스마트폰 앱으로 제어되는 전자개폐기(40); 및 상기 메인 차단 스위치(10)의 뒷단에 설치되고, 상시전원을 필요로 하는 상시전원용 부하기기(60)의 전원을 개별적으로 차단하는 개별 차단 스위치(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용 분전반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대기전력 차단용 분전반{Standby power distribution panel}
본 발명은 대기전력 차단용 분전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 공급을 편리하게 제어함으로써 대기전력 차단을 쉽게하여 전기절약 및 전기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대기전력 차단용 분전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옥내 전기배선은, 전주로부터 인입된 인입선이 인입선 연결점으로부터 계량기, 분전반을 거쳐 조명이나 콘센트에 연결된 배선라인을 지칭하는데, 콘센트에는 전기소비특성이 상이한 전기제품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복합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조명과 같이 일괄적인 전원관리가 어려우며, 따라서 주지된 바와 같은 불필요한 대기전력의 낭비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례로서, 호텔 등의 대중 숙박시설에서는 객실 출입구의 키박스에 키홀더를 삽입했을 때 콘센트나 조명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있다.
물론 냉장고와 같은 일부 전기제품에는 상시전원이 공급되도록 배선된다.
그러나 이러한 절전형 배선구조는 에너지절약 측면에서 상당히 바람직한 것이나, 미리 계획된 바에 따른 각종 전기제품의 배치 및 종류가 변경되지 않는다는 조건하에서만 실현 가능한 것일 뿐, 사용자의필요 및 취향이 반영되는 가정, 사무실, 공장 등 대부분의 시설에서는 채택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일반적으로 분전반(分電盤, cabinet panel)은 옥내배선에 있어서, 간선(幹線)으로부터 각 분기회로(分岐回路)로 갈라지는 곳에, 각 분기회로마다의 스위치를 설치해 놓은 것이다.
주택의 분전반은 컷아웃스위치를 배열하여 고정시킨 간단한 것이지만, 빌딩의 경우는 적어도 각 층마다 강철로 만든 분전반이 벽 속에 설치되어 있고 완전한 개폐문이 달려 있다.
어떤 실내의 배선점검이나 수리·개장(改裝) 등을 할 때, 그 방의 분기스위치를 분전반에서 절단하여 정전시킬 수가 있다.
구식으로는 포장퓨즈가 달린 나이프스위치가 각 분기회로마다 설치되며, 좀더 발전된 것으로는 스위치는 텀블러스위치, 퓨즈는 플러그형의 퓨즈가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세대 분전반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세대 분전반은 메인 차단 스위치(10)와, 서브 차단 스위치(20)와, 부하기기(30)로 구성된다.
메인 차단 스위치(10)는 상용교류전원(AC)를 입력하며, 메인 전원을 일괄적으로 차단시킨다.
서브 차단 스위치(20)는 상기 메인 차단 스위치(10)를 거쳐 입력된 전원을 각각의 부하기기(30)에 전달하고, 각 부하기기(30)의 전원을 차단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세대 분전반은 수동 조작으로 개폐를 하여야 하므로 사용자가 전원을 차단하고 외출할 경우 분전반의 위치까지 이동하여야 하므로 그 조작이 불편하고, 전원차단시 상시전원을 공급하여야 하는 부하기기(예로서 냉장고)도 함께 전원이 차단되어 특정 부하기기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온/오프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57982호(2011. 08. 12)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28050호(2007.06.13)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원 공급을 편리하게 제어함으로써 대기전력 차단을 쉽게하여 전기절약 및 전기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대기전력 차단용 분전반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용교류전원(AC)를 입력하며, 메인 전원을 일괄적으로 차단시키는 메인 차단 스위치(10); 상기 메인 차단 스위치(10)를 거쳐 입력된 전원을 각각의 비상시 전원용 부하기기(30)에 전달하고, 각 비상시 전원용 부하기기(30)의 전원을 차단시키는 서브 차단 스위치(20); 상기 메인 차단 스위치(10)와 서브 차단 스위치(20) 사이에 설치되어 원격제어를 통하여 상기 비상시 전원용 부하기기(30)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되, 수동스위치 또는 원격에서 리모컨이나 스마트폰 앱으로 제어되고, 타이머 기능이 추가되어 제어되는 전자개폐기(40); 및 상기 메인 차단 스위치(10)의 뒷단에 설치되고, 상시전원을 필요로 하는 상시전원용 부하기기(60)의 전원을 개별적으로 차단하는 개별 차단 스위치(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용 분전반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용교류전원(AC)를 입력하며, 메인 전원을 일괄적으로 차단시키는 메인 차단 스위치(10); 상기 메인 차단 스위치(10)를 거쳐 입력된 전원을 각각의 비상시 전원용 부하기기(30)에 전달하고, 각 비상시 전원용 부하기기(30)의 전원을 차단시키는 서브 차단 스위치(20); 상기 메인 차단 스위치(10)와 서브 차단 스위치(20) 사이의 각각에 설치되어 원격제어를 통하여 상기 비상시 전원용 부하기기(30)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되, 수동스위치 또는 원격에서 리모컨이나 스마트폰 앱으로 제어되고, 타이머 기능이 추가되어 제어되는 복수의 전자개폐기(40); 및 상기 메인 차단 스위치(10)의 뒷단에 설치되고, 상시전원을 필요로 하는 상시전원용 부하기기(60)의 전원을 개별적으로 차단하는 개별 차단 스위치(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용 분전반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전자개폐기(40)는 입력전원의 수동 또는 자동 온/오프 상태를 절환하는 수동/자동 절환 스위치(41)와, 상기 수동/자동 절환 스위치(41)가 자동으로 절환된 경우 외부 원격 리모콘이나 스마트폰 앱의 제어를 통하여 상기 부하기기(30)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리모콘 스위치(4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대기전력 차단용 분전반은의 외부 노출면에는 상기 분전반의 동작이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파워콘트롤러(70)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용 분전반.
또한 상기 파워콘트롤러(70)는, 자동으로 ON(전원투입) 및 OFF(차단)가 용이 하도록 하여 사람이 없을때 발생되는 전기적 안전사고로 인한 화재를 사전에 예방 하고 전원을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 ON(전원투입)되어 발생하는 대기전력을 차단하며, 누전 차단기가 OFF(차단)되면 쉽게확인 할 수있도록 RELAY BOARD를 통해 상기 파워콘트롤러(70)에 누전 램프(LAMP)가 켜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전력사용을 자유롭게 제어 할 수 있으며 사용시간의 제한을 두어 전력을 사용하지 않는 시간과 구분하여 자동으로 제어되므로 대기전력에 따른 소비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둘째, 아파트 등 주택 같은 곳은 분전반 위치도 잘 확인이 되지않아 제어가 불가피 하며, 확인이 가능하여도 전기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여 제어하기 힘든경우에도 본 발명을 통해 리모콘이나 스마트폰으로 제어가 가능하여 누구나 쉽게 전자제품에서 발생되는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전기절약을 할 수 있다.
셋째, 대기전력 차단을 통해 전기로 인한 화재나 전기적 안전 사고를 예방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세대 분전반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용 분전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용 분전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제1 및 제2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용 분전반에서 전자개폐기(MG) 및 부하기기의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용 분전반의 외형을 나타낸 정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나타낸 분전반 외형의 파워콘트롤러의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2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용 분전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용 분전반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차단 스위치(10), 복수의 서브 차단 스위치(20), 복수의 비상시 전원용 부하기기(30), 전자개폐기(MG)(40), 개별 차단 스위치(50) 및 상시전원용 부하기기(60)로 구성된다.
여기서 메인 차단 스위치(10)는 상용교류전원(AC)를 분전반으로 입력하며, 메인 전원을 일괄적으로 차단시킨다.
복수의 서브 차단 스위치(20)는 메인 차단 스위치(10)를 거쳐 입력된 전원을 각각의 비상시 전원용 부하기기(30)에 전달하거나 차단시킨다.
여기서, 비상시 전원용 부하기기(30)는 일반적인 가전기구, 전열기구가 해당되며, 냉장고, 보일러등 상시 전원을 공급받는 전기기기는 해당되지 않는다.
전자개폐기(40)는 메인 차단 스위치(10)와 복수의 서브 차단 스위치(20) 사이에 설치되어 원격제어를 통하여 복수의 비상시 전원용 부하기기(30)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 또는 차단한다.
개별 차단 스위치(50)는 메인 차단 스위치(10)의 뒷단에 설치되고, 상시전원을 필요로 하는 상시전원용 부하기기(60)의 전원을 개별적으로 차단한다.
그리고 상시전원용 부하기기(60)는 냉장고, 보일러 등과 같이 상시 전원을 공급받는 전기기기들이 해당된다.
도 3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용 분전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용 분전반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용 분전반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차단 스위치(10), 복수의 서브 차단 스위치(20), 복수의 비상시 전원용 부하기기(30), 복수의 전자개폐기(MG)(40), 개별 차단 스위치(50) 및 상시전원용 부하기기(60)로 구성된다.
여기서 메인 차단 스위치(10)는 상용교류전원(AC)를 분전반으로 입력하며, 메인 전원을 일괄적으로 차단시킨다.
복수의 서브 차단 스위치(20)는 메인 차단 스위치(10)를 거쳐 입력된 전원을 각각의 비상시 전원용 부하기기(30)에 전달하거나 차단시킨다.
여기서, 비상시 전원용 부하기기(30)는 일반적인 가전기구, 전열기구가 해당되며, 냉장고, 보일러등 상시 전원을 공급받는 전기기기는 해당되지 않는다.
복수의 전자개폐기(40)는 메인 차단 스위치(10)와 복수의 서브 차단 스위치(20)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원격제어를 통하여 복수의 비상시 전원용 부하기기(30)의 전원 각각을 선택적으로 공급하거나 차단한다.
개별 차단 스위치(50)는 메인 차단 스위치(10)의 뒷단에 설치되고, 상시전원을 필요로 하는 상시전원용 부하기기(60)의 전원을 개별적으로 차단한다.
그리고 상시전원용 부하기기(60)는 냉장고, 보일러 등과 같이 상시 전원을 공급받는 전기기기들이 해당된다.
도 4는 본 발명 제1 및 제2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용 분전반에서 전자개폐기(MG) 및 복수의 부하기기의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본 발명 제1 및 제2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용 분전반에서 전자개폐기(MG)(40)는 수동/자동 절환 스위치(41)와 원격 제어(리모콘/스마트폰) 스위치(42)를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비상시 전원용 부하기기(30)는 부하(31)와 부하(31)의 온상태를 나타내는 온램프(32), 부하(32)의 오프상태를 나타내는 오프램프(32)로 구성된다.
수동/자동 절환 스위치(41)는 입력전원의 수동 또는 자동 온/오프 상태를 절환하고, 원겨제어 스위치(42)는 수동/자동절환 스위치(41)가 자동으로 절환된 경우 리모콘이나 스마트폰의 앱(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제어를 통하여 각각의 비상시 전원용 부하기기(30)의 전원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것으로, 불필요한 전원은 리모콘을 통해 실내에서 원격으로 언제든지 제어하여 사용자의 편리성과 전기절감 및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으며, 외출한 상태에서는 외부에서 스마트 폰으로도 제어가능하다.
또한 스마트폰의 앱을 통해 타이머기능을 추가하여 제어되어 있는 전원을 알람시간 맞추듯 설정(SETTING)하면 그시간에 해지하므로 아침에 기상하여 불편하게 제어하지 않아도 된다.
이러한 방식은 최근 무선청소로봇이나 공기청정기 등에 대하여 스마트폰 앱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
리모콘은 통상의 유무선 기능이 모두 가능하며, 사용하기 편리한 장소 예로서, 출입문, 현관 근처에 설치/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와 같은 경우 외출을 위하여 출입문이나 현관에 있는 상태에서 다시 실내 곳곳으로 이동할 필요없이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용 분전반의 외형을 나타낸 정면도 및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에 나타낸 분전반 외형의 파워콘트롤러의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5의 분전반 외형의 파워콘트롤러는 제어하여 학교등하교 시간에 맞추어 자동으로 ON(전원투입) 및 OFF(차단)가 용이 하도록 하여 사람이 없을 때 발생되는 전기적 안전사고 특히 누전으로 인한 화재 등을 사전에 예방 하고 전원을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 ON(전원투입)되어 발생하는 대기전력을 차단하며 누전 차단기가 OFF(차단)되면 쉽게확인 할 수있도록 RELAY BOARD를 통해 파워콘트롤러에 누전 램프(LAMP)가 켜지도록 하였다.
이를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램프 및 스위치 등은 파워콘트롤러(POWER CONTROLLER)에 내장되어 있는데, G1 램프(LAMP)는 파워콘트롤러 전원상태 램프이다.
선택스위치(S/SW-1)를 자동으로 선택했을때 우선 R1 램프(LAMP)가 켜지고 자동으로 되었을때 파워콘트롤러에 내장되어 있는 타이머(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설정한 시간범위에서 전자개폐기(MG)가 동작하며 투입상태를 나타내는 동작상태 ON 램프인 R2가 켜지고 차단시간이 되면 차단상태를 나타내는 동작상태 OFF 램프인(LAMP) G3가 켜진다.
선택스위치를 수동으로 선택했을 때는 TIMER는 동작을 하지만 시간제어는 할 수없으며 G2 LAMP가 켜지고 버튼 스위치를 투입(ON)하면 전자개폐기(MG)가 투입되고(R2LAMP 동작)전자개폐기를 차단(OFF)하려면 차단 버튼 스위치를 누르면(G3 LAMP동작)된다.
회로내에 누전차단기(ELB)가 전원이 투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누전이나 과전류 등으로 트립이되면 RELAY BOARD 신호로 누전 램프 Y가 동작되어 회로이상 유,무를 점검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메인 차단 스위치 20 : 서브 차단 스위치
30 : 비상시 전원용 부하기기 40 : 제어부
41 : 수동/자동 절환 스위치 42 : 원격제어 스위치
50 : 개별 차단 스위치 60 : 상시전원용 부하기기

Claims (5)

  1. 삭제
  2. 상용교류전원(AC)를 입력하며, 메인 전원을 일괄적으로 차단시키는 메인 차단 스위치(10);
    상기 메인 차단 스위치(10)를 거쳐 입력된 전원을 비상시전원용 부하기기(30)에 전달하고, 각 비상시전원용 부하기기(30)의 전원을 차단시키는 서브 차단 스위치(20);
    입력전원의 수동 또는 자동 온/오프 상태를 절환하는 수동/자동 절환 스위치(41)와, 상기 수동/자동 절환 스위치(41)가 자동으로 절환된 경우 외부 원격 리모콘이나 스마트폰 앱의 제어를 통하여 상기 부하기기(30)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리모콘 스위치(42);를 포함하여, 상기 메인 차단 스위치(10)와 서브 차단 스위치(20) 사이의 각각에 설치되어 원격제어를 통하여 상기 비상시전원용 부하기기(30)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되, 수동스위치 또는 원격에서 리모컨이나 스마트폰 앱으로 제어되는 복수의 전자개폐기(40);
    상기 메인 차단 스위치(10)의 뒷단에 설치되고, 상시전원을 필요로 하는 상시전원용 부하기기(60)의 전원을 개별적으로 차단하는 개별 차단 스위치(50);를 포함하고,
    자동으로 ON(전원투입) 및 OFF(차단)가 용이 하도록 하여 사람이 없을 때 발생되는 전기적 안전사고로 인한 화재를 사전에 예방 하고 전원을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 ON(전원투입)되어 발생하는 대기전력을 차단하며, 누전 차단기(ELB)가 OFF(차단)되면 쉽게 확인 할 수 있도록 릴레이 보드(RELAY BOARD)를 통해 누전 램프(LAMP)가 켜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대기전력 차단용 분전반의 외부 노출면에 상기 분전반의 동작이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파워콘트롤러(70)가 구성되되,
    상기 대기전력 차단용 분전반의 동작이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상기 파워콘트롤러(70)는 상기 파워콘트롤러(70)의 전원상태 램프인 G1 램프(LAMP)와, 입력전원의 수동 또는 자동 온/오프 상태를 절환하는 수동/자동 절환 스위치(41)인 선택스위치(S/SW-1)를 자동으로 선택했을 때 켜지는 R1 램프(LAMP);와
    상기 선택스위치(S/SW-1)를 자동으로 선택했을 때 상기 파워콘트롤러(70)에 내장되어 있는 타이머에 의해 설정한 시간범위에서 상기 전자개폐기(40)가 동작되어 상기 입력전원의 투입상태를 나타내도록 켜지는 동작상태 ON 램프인 R2 램프;와
    상기 타이머에 의해 차단시간이 되면 상기 입력전원의 차단상태를 나타내도록 켜지는 동작상태 OFF 램프인 G3 램프와, 입력전원의 수동 또는 자동 온/오프 상태를 절환하는 상기 수동/자동 절환 스위치(41)인 상기 선택스위치(S/SW-1)가 수동으로 선택 시 켜지는 G2 램프;와
    상기 누전 차단기(ELB)가 전원이 투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누전이나 과전류에 의해 트립되면 쉽게 확인 할 수 있도록 상기 릴레이 보드(RELAY BOARD)를 통해 켜지는 누전 램프(LAMP)인 Y 램프로 구성되어,
    상기 선택스위치를 수동으로 선택했을 때는 상기 타이머(TIMER)는 동작을 하지만 시간제어는 할 수 없으며, 상기 G2 LAMP는 켜지고 버튼스위치를 투입(ON)하면 상기 전자개폐기(MG)가 투입되어 R2 LAMP가 동작되고, 상기 전자개폐기를 차단(OFF)하기 위해 차단 버튼 스위치를 누르면 G3 LAMP가 동작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누전차단기(ELB)가 전원이 투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누전이나 과전류에 의해 트립되면 상기 릴레이 보드(RELAY BOARD) 신호로 상기 누전 램프인 Y 램프가 동작되어 회로이상 유·무를 점검 할 수 있도록 된 대기전력 차단용 분전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113688A 2018-09-21 2018-09-21 대기전력 차단용 분전반 KR102115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688A KR102115088B1 (ko) 2018-09-21 2018-09-21 대기전력 차단용 분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688A KR102115088B1 (ko) 2018-09-21 2018-09-21 대기전력 차단용 분전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208A KR20200034208A (ko) 2020-03-31
KR102115088B1 true KR102115088B1 (ko) 2020-05-25

Family

ID=70002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688A KR102115088B1 (ko) 2018-09-21 2018-09-21 대기전력 차단용 분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5088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377B1 (ko) * 2005-08-05 2007-03-30 협성기전 (주) 원격 제어용 세대 분전반
KR100728050B1 (ko) 2005-12-16 2007-06-13 (재)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 자동차 내부의 질식 및 동상사고 방지 장치
KR101263714B1 (ko) * 2008-09-30 2013-05-13 주식회사 오리온 대기전력 차단장치
KR101057982B1 (ko) 2010-05-17 2011-08-19 차보영 대기전력 차단 분전반
KR101425211B1 (ko) * 2012-11-15 2014-08-01 김문일 무선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KR20140118250A (ko) * 2013-03-28 2014-10-08 류병길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기전력 및 전력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208A (ko) 202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19825A1 (en) Service panel with microprocessor
JP2011066975A (ja) 屋内配線用の負荷制御装置と、それを使用する屋内配線システム
NO341256B1 (no) System for å kontrollere en kraft-, vann- eller gassforsyning
KR101057982B1 (ko) 대기전력 차단 분전반
KR100613205B1 (ko) 외부 신호에 의해 대기전력 차단 및 일괄소등이 가능한제어 장치
KR102115088B1 (ko) 대기전력 차단용 분전반
JP6317158B2 (ja) 分電盤
KR100700377B1 (ko) 원격 제어용 세대 분전반
KR100955244B1 (ko) 조명기능을 갖는 분전반 커버
KR100431429B1 (ko) 주택의 전원 관리시스템
KR20170136816A (ko) 중앙 집중식 전원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040104282A (ko) 대기전력 제어용 절전스위치가 연결된 콘센트
KR101364565B1 (ko) 분전반 자동 차단 시스템
KR100977039B1 (ko) 상용전원 우선절체 동작 시 노 딜레이를 갖는 전원자동절체장치
JP6455771B2 (ja) 一括開閉装置および分電盤装置
KR200401105Y1 (ko) 원격 제어용 세대 분전반
GB2103843A (en) Energy conservation arrangements
CN203722008U (zh) 一种具有安全保护装置的家用电器定时开关器
JP3222629U (ja) 配線用遮断器(2)
JP6694251B2 (ja) 住宅用分電盤
AU2008101289A4 (en) Remote energy switching device
KR200340271Y1 (ko) 가스차단과 소등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외출제어기
KR20100079009A (ko) 자동차단장치
JP3172172U (ja) 遠隔操作式電気開閉配線装置
KR200393554Y1 (ko) 배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