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2621B1 - 세로토닌 6 수용체 리간드의 고효율 검색을 위한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 - Google Patents

세로토닌 6 수용체 리간드의 고효율 검색을 위한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2621B1
KR101052621B1 KR1020080095258A KR20080095258A KR101052621B1 KR 101052621 B1 KR101052621 B1 KR 101052621B1 KR 1020080095258 A KR1020080095258 A KR 1020080095258A KR 20080095258 A KR20080095258 A KR 20080095258A KR 101052621 B1 KR101052621 B1 KR 101052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line
test compound
cell
activity
ex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5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5883A (ko
Inventor
임혜원
최기현
윤형문
문동민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95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2621B1/ko
Priority to CN2008101825453A priority patent/CN101712950B/zh
Priority to JP2008319337A priority patent/JP2010081931A/ja
Publication of KR20100035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5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01N33/5044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involving specific cell typ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10/00Genetically modified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 G01N2333/705Assays involving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G01N2333/70571Assays involving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for neuromediators, e.g. serotonin receptor, dopamine recep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로토닌 6 수용체 리간드의 고효율 검색방법에 관한 것으로,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를 이용한 세로토닌 6 수용체 리간드의 고효율 검색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포주는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함으로써, 5-HT6R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리간드의 검색 효율을 증가시키며, 5-HT6R과 결합하는 단백질 연구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에, 5-HT6R이 관련된 우울증과 알츠하이머 등의 뇌질환 및 정신질환 예방과 진단 및 치료제 개발에 유용할 것이다.
세로토닌 6 수용체, HA, 리간드, 우울증, 알츠하이머

Description

세로토닌 6 수용체 리간드의 고효율 검색을 위한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Cell line which is stably expressing the HA-5-HT6R, for HTS of 5-HT6R's ligands}
본 발명은 세로토닌 6 수용체(5-HT6R) 리간드의 고효율 검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로토닌 수용체(5-HTR)는 5-HT1R부터 5-HT7R까지 각각의 아형을 포함하여 현재까지 총 15 종이 알려져 있고, 우울증, 정신 분열증, 불안증(anxiety), 수면장애 등의 정신질환 및 알츠하이머 질환 등에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artin, Neuropharm., 36(4/5):637-647, 1997). 5-HT1R을 과발현시킨 쥐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항우울제를 복용한 것처럼 활동적으로 행동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Heisler et al., PNAS 95:15049-15054, 1998). 또한, 5-HT1R과 결합하여 우울증 유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p11 단백질이 우울증과 관련된 뇌의 신경전달물질인 5-HT에 대한 세포의 반응을 조절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Svenningsson et al., Science, 311:77-80, 2006).
5-HT6R은 가장 최근에 염기서열이 밝혀진 5-HTR로서 아직까지 정확한 기전이 밝혀지지 않았으나, 퇴행성 뇌질환과 정신질환 등에 관련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5-HT6R의 자극이 생화학적, 행동학적인 측면에서 항우울증제와 같은 효과를 보인다는 연구가 보고되었고, 또한 뇌 발생(brain development), 기억 & 학습(learning and memory) 및 치매(Alzheimer disease)에 이르기까지 뇌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많은 중요한 질병과 밀접하게 연관되어져 있다는 연구보고가 점차적으로 늘고 있다(Grimaldi B et al., Naunyn Schmiedebergs Arch Pharmacol. 357(4):393-400, 1999; Garcia-Alloza M et al., Neuropsychopharmacology 29(2):410-416, 2004; Lorke D et al., BMC Neurosci. 27;7-36, 2006; Greengard et al., J Neurosci. 27(15):4201-4209, 2007). 5-HTR을 작용점으로 하는 약물로는 모든 5-HTR에 비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클로자핀(clozapine)이 알려져 있고, 5-HT6R에 선택적인 약물로는 SB258585가 있으나, 아직까지 질환의 치료제로 사용되지 않고 있다. 우울증이나 알츠하이머 질환 등과 관련하여, 뇌세포에서 5-HT6R의 정확한 기능 및 5-HT6R이 관여된 신호 전달 기전이 거의 알려지지 않은 상황에서, 그 기능 및 기전 연구와 선택적 리간드 개발을 위해서는 5-HT6R을 선택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HA(Hemagglutinin)가 N-말단에 연결된 5-HT6R을 발현하는 세포주를 제작하고, 상기 HA-5-HT6R가 세포 표면 밖에 노출되어 있고, 상기 HA-5-HT6R이 안정적으로 발현되며, 상기 5-HT6R의 활성이 유지되므로, 상기 세포주가 5-HT6R에 선택적인 리간드 개발을 위한 고효율 검색에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세포주를 이용한 5-HT6R 리간드의 고효율 검색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세포주를 포함하는 5-HT6R 리간드의 고효율 검색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N-말단에 HA(Hemagglutinin)가 연결된 5-HT6R 유전자 컨스트럭트를 포함하는 벡터가 숙주세포에 형질도입되어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본 발명의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에 피검화합물을 처리하는 단계;
2) 상기 처리된 세포주의 5-HT6R 활성을 측정하는 단계; 및,
3) 미처리된 세포주와 비교하여, 상기 세포주에서 5-HT6R 활성을 증가 또는 감소시킨 피검화합물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5-HT6R 리간드의 고효율 검색방법 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본 발명의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에 피검화합물을 처리하는 단계;
2) 상기 처리된 세포주의 단백질을 정제하는 단계;
3) 상기 정제된 단백질의 5-HT6R 활성을 측정하는 단계; 및,
4) 미처리된 세포주와 비교하여, 상기 세포주에서 5-HT6R 활성을 증가 또는 감소시킨 피검화합물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5-HT6R 리간드의 고효율 검색방법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본 발명의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를 포함하는 5-HT6R 리간드의 고효율 검색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를 정의한다.
용어 "5-HT6R 리간드"는 5-HT6R에 결합하여 활성을 조절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N-말단에 HA(Hemagglutinin)가 연결된 5-HT6R 유전자 컨스트럭트 를 포함하는 벡터가 숙주세포에 형질도입되어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HA 유전자와 인간 융모막암종 세포주로부터 수득한 5-HT6R 유전자가 연결된 HA-5-HT6R 컨스트럭트를 포함하는 벡터(도 1 참조)를 인간 신장 배아세포주(human embryonic kidney cell line; HEK293 세포주)에 형질도입하였다. HA-5-HT6R 유전자를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를 PCR 방법으로 스크리닝 한 후(도 2a 참조), 상기 선별된 형질전환 세포주를 1 내지 6세대까지 배양하였다. 각 세대별 HA-5-HT6R 유전자가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지 PCR 방법으로 검증하였다(도 2b 참조). 이로써, 본 발명의 세포주는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상기 검증된 세포주를 서울대 의대 세포주 은행에 2008년 09월 12일자로 기탁하였다(기탁번호: KCLRF-BP-00187).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에 세로토닌(5-HT)을 시간별로 처리한 후, ERK의 인산화가 증가한 것을 확인함으로써(도 3a 참조), 상기 형질전환 세포주가 발현한 HA-5-HT6R이 세포내에서 정상적인 기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형질전환 세포주에서 5-HT와 EMD386088 자극에 의해 ERK의 인산화가 증가하였으며, SB258585에 의해 그 효과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b 참조). 또한,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 현하는 세포주의 세포내 칼슘 유입을 5-HT6R을 발현하는 세포주와 비교함으로써, HA-연결이 5-HT6R의 기능을 바꾸지 않은 것과(도 5a 및 도 5b 참조), 상기 활성이 5-HT 농도 의존적임을 확인하였다(도 5c 참조).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HA에 특이적인 항체 및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 2008-0004994호에서 5-HT6R의 결합 단백질인 것이 확인된 Fyn에 특이적인 항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에서 세포막 내부에 위치하는 5-HT6R의 N-말단에 연결된 HA가 세포 표면 밖에 위치하여(도 4a 참조), HA-5-HT6R이 세포막에서 관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b 및 도 4c 참조).
아울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와 HA-5-HT6R을 일시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의 세포 내 칼슘 유입을 비교한 결과, 본 발명의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가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함으로써, 일시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보다 실험의 재현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6 참조).
본 발명의 세포주는 기탁번호 KCLRF-BP-00187로 기탁 된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HA는 세포주에서 5-HT6R과 연결된 형태로 발현하여 세포 표면 밖에 위 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HA를 이용하여 세표 표면에 발현한 5-HT6R을 선택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형질도입은 리포펙타민(Lipofectamine), Dojindo사의 Hilymax, Fugene, jetPEI, Effectene 및 DreamFect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상용화된 형질도입용 시약; 칼슘-인산(calcium-phosphate), 양전하성 고분자, 리포좀, 나노입자, 뉴클레오펙션(nucleofection), 전기천공법(electroporation), 열충격(heat shock), 마그네토펙션(magnetofection)을 이용하는 방법; 및, 레트로 바이러스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1) 본 발명의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에 피검화합물을 처리하는 단계;
2) 상기 처리된 세포주의 5-HT6R 활성을 측정하는 단계; 및,
3) 미처리된 세포주와 비교하여, 상기 세포주에서 5-HT6R 활성을 증가 또는 감소시킨 피검화합물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5-HT6R 리간드의 고효율 검색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에서 세포막 내부에 위치하는 5-HT6R의 N-말단에 연결된 HA가 세포 표면 밖에 위치하여(도 4a 참조), HA-5-HT6R이 세포막에서 관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b 및 도 4c 참조).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를 키메라 Gα15 단백질을 발현시킬 수 있는 벡터와 리포펙타민으로 형질 감염시킨 후, 5-HT으로 자극한 결과, 5-HT6R을 발현하는 세포주의 세포내 칼슘 유입과 비교하여 HA-연결이 5-HT6R의 기능을 바꾸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고(도 5a 및 도 5b 참조), 또한 상기 활성이 5-HT 농도 의존적임을 확인하였다(도 5c 참조).
아울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와 HA-5-HT6R을 일시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의 세포 내 칼슘 유입을 비교한 결과, 본 발명의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가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함으로써, 일시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보다 실험의 재현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6 참조).
이에, 본 발명의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는 세포 표면 밖에 위치하는 HA(HA)를 이용하여 세포 표면에 발현한 5-HT6R을 선택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5-HT6R 리간드의 고효율 검색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단계 1)의 피검화합물은 천연화합물, 합성화합물, RNA, DNA, 폴리펩티드, 효소, 단백질, 리간드, 항체, 항원, 박테리아의 대사산물 및 진균의 대사산물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2)의 5-HT6R 활성의 측정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5-HT6R에 의한 세포내 칼슘 농도 유입을 측정하는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이때 세포내 칼슘 농도 유입이 측정될 대상 세포주는 피검화합물 처리 전에 키메라 Gα15 단백질을 발현시킬 수 있는 벡터와 리포펙타민으로 형질 감염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1) 본 발명의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에 피검화합물을 처리하는 단계;
2) 상기 처리된 세포주의 단백질을 정제하는 단계;
3) 상기 정제된 단백질의 5-HT6R 활성을 측정하는 단계; 및,
4) 미처리된 세포주와 비교하여, 상기 세포주에서 5-HT6R 활성을 증가 또는 감소시킨 피검화합물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5-HT6R 리간드의 고효율 검색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를 5-HT, EMD386088 및 SB258585로 자극한 결과, 상기 형질전환 세포주가 발현한 HA-5-HT6R이 세포내에서 정상적인 기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3a 및 도 3b 참조).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에서 세포막 내부에 위치하는 5-HT6R의 N-말단에 연결된 HA가 세포 표면 밖에 위치하여(도 4a 참조), HA-5-HT6R이 세포막에서 관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b 및 도 4c 참조).
이에, 본 발명의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는 세포 표면 밖에 위치하는 HA(HA)를 이용하여 세포 표면에 발현한 5-HT6R을 선택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5-HT6R 리간드의 고효율 검색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단계 1)의 피검화합물은 천연화합물, 합성화합물, RNA, DNA, 폴리펩티드, 효소, 단백질, 리간드, 항체, 항원, 박테리아의 대사산물 및 진균의 대사산물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2)의 5-HT6R 활성의 측정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5-HT6R에 의해 인산화된 ERK를 측정하는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본 발명의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를 포함하는 5-HT6R 리간드의 고효율 검색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 는 세포주에서 세포막 내부에 위치하는 5-HT6R의 N-말단에 연결된 HA가 세포 표면 밖에 위치하여(도 4a 참조), HA-5-HT6R이 세포막에서 관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b 및 도 4c 참조).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를 Gα15 단백질을 발현시킬 수 있는 벡터와 리포펙타민으로 형질 감염시킨 후, 5-HT으로 자극한 결과 5-HT6R을 발현하는 세포주의 세포내 칼슘 유입과 비교하여 HA-연결이 5-HT6R의 기능을 바꾸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고(도 5a 및 도 5b 참조), 또한 상기 활성이 5-HT 농도 의존적임을 확인하였다(도 5c 참조).
아울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와 HA-5-HT6R을 일시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의 세포 내 칼슘 유입을 비교한 결과, 본 발명의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가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함으로써, 일시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보다 실험의 재현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6 참조).
이에, 본 발명의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는 세포 표면 밖에 위치하는 HA(HA)를 이용하여 세포 표면에 발현한 5-HT6R을 선택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5-HT6R 리간드의 고효율 검색용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포주는 기탁번호 KCLRF-BP-00187로 기탁 된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성물은 추가로 Gα15 유전자, 리포펙타민, 형광성 칼슘 표지물 및 세척 완충용액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형광성 칼슘 표지물에는 칼슘 농도에 민감한 플루오-4/AM과 플루로닉 F-127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포주는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함으로써, 5-HT6R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리간드의 검색 효율을 증가시키며, 5-HT6R과 결합하는 단백질 연구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에, 5-HT6R이 관련된 우울증과 알츠하이머 등의 뇌질환 및 정신질환 예방과 진단 및 치료제 개발에 유용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형질전환 세포주 제작
<1-1> 야생형 세포주 배양
HEK293 세포주(ATCC CRL 1573)를 10% 태아 소 혈청 및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v/v)이 포함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서 37℃, 5% CO2의 가습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액은 3-4일에 한 번씩 교환하였고, 세포는 매 주일마다 아배양(sub-culture)하였다. 상기 HEK293 세포주를 10 ㎝ 배양 접시에 5.0 × 106 정도로 도포하여 37℃, 5% CO2의 가습 조건에서 1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1-2> HA-5-HT 6 R 세포주 제작
HA-5-HT6R-pcDNA3.1(+) 플라스미드(도 1; Missouri S&T cDNA Resource Center, USA)를 BglII 제한효소로 처리하여 선형화한 후, Lipofectamine 2000(Invitrogen, USA)과 1:3의 비율(선형화 HA-5-HT6R-pcDNA3.1(+) 12 ㎍, Lipofectamine 36 ㎕)로 Opti-MEM(Invitrogen, USA) 배지에 넣어 5분 동안 혼합하였고, 30분 후 배양 접시에 상기 혼합액을 넣어 세포주를 형질 감염시켰다. 6시간 후에 배지를 DMEM 배지로 교환하였고, 추가로 24시간 동안 세포를 배양한 후 800 ㎍/㎖의 G418(Invitrogen, USA)을 첨가하여 형질전환된 세포를 선별하였다. 14일간 선택배양한 후 콜로니를 형성한 세포군을 각각 24 웰 플레이트에서 아배양(subculture)하여 성장 시키고 가장 빠른 성장을 보인 세포군을 선별한 결과,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를 수득하였다. 안정적인 세포주를 얻은 후 점차적으로 G418 농도를 낮춰 400 ㎍/㎖ 첨가된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1-3> 5-HT 6 R 세포주 제작
5-HT6R-pcDNA3.1(+) 플라스미드(Missouri S&T cDNA Resource Center, USA)를 이용하여, 실시예 1-2의 방법으로 형질전환된 세포주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 형질전환 세포주 확인
<2-1> 형질전환 세포주 선별
실시예 1-2에서 수득한 형질전환 세포주 콜로니 별로 DMEM 배지에서 37℃, 5% CO2 세포배양기에서 배양한 후, 트리졸 시약을 사용하여 RNA를 분리하였다. AMV 역전사 효소를 이용하여 cDNA를 만들고, 서열번호 1로 기재되는 정방향 프라이머(5'-CCACTCTTCATGCGGGACTTC-3) 및 서열번호 2로 기재되는 역방향 프라이머(5'-TCAGTTCGTGGGGATGCCAAG-3')를 사용하여 HA-5-HT6R 유전자를 증폭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서열번호 3으로 기재되는 정방향 프라이머(5'-GTCACCAACTGGGACGACATG-3') 및 서열번호 4로 기재되는 역방향 프라이머(5'-GCCGTCAGGCAGCTCGTAGC-3')를 사용하여 β-액틴 유전자를 증폭하였다. PCR 조건은 95℃에서 4분 동안 예비변성시킨 후, 95℃에서 1분, 60℃에서 30초, 72℃에서 30초 동안 30회 반복 수행하고 마지막으로 72℃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4℃로 식혀주었다.
그 결과, 도 2a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HA-5-HT6R 유전자(363 bp)를 특이적으 로 증폭하는 세포주(레인 1)를 수득하였다.
<2-2> HA-5-HT 6 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형질전환 세포주 검정
실시예 2-1에서 수득한 형질전환 세포주를 실시예 2-1의 방법으로 배양한 후, 배양액은 3-4일에 한 번씩 교환하였고, 세포는 매 주일마다 아배양하여 총 42일 동안 1 내지 6 세대를 수득하였고, 사용 전까지 -70℃에 보관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야생형 세포주의 1 내지 6 세대를 이용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수득한 세포주로부터,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RNA를 수득, cDNA 형성, 및 HA-5-HT6R 유전자를 증폭하였다. 대조군으로 β-액틴 유전자를 증폭하였다.
그 결과, 도 2b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P1에서 P6까지 HA-5-HT6R 유전자를 특이적으로 증폭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상기 검증된 세포주를 서울대 의대 세포주 은행에 2008년 09월 12일자로 기탁하였다(기탁번호: KCLRF-BP-00187).
<2-3> HA-5-HT 6 R을 일시적으로 발현하는 형질전환 세포주 제작
HA-5-HT6R-pcDNA3.1(+) 플라스미드를 Lipofectamine 2000과 1:3의 비율로 Opti-MEM 배지에 넣어 5분 동안 혼합하였고, 30분 후 배양 접시에 상기 혼합액을 넣어 세포주를 형질 감염시켰다. 6시간 후에 배지를 DMEM 배지로 교환하였고, 추 가로 24시간 동안 세포를 배양하여 HA-5-HT6R을 일시적으로 발현하는 형실전환 세포주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 HA-5-HT 6 R의 세포신호전달 과정 분석
<3-1> 5-HT 6 R의 활성제인 세로토닌(5-HT)에 대한 반응성 확인
<3-1-1> 세로토닌(5-HT) 처리
무혈청 DMEM 배지가 포함된 6-웰 배양 접시에,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선별한,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형질전환 세포주를 1 × 106 세포/웰로 분주한 후, 37℃, 5% CO2의 가습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3시간 후, 20 μM 5-HT(Sigma, USA)를 0 ~ 60분 동안 정해진 간격(0, 1, 5, 15, 30 및 60분)으로 처리하였다.
<3-1-2> 웨스턴 블랏
5-HT 처리 시간별로 시료를 모아, 상기 세포를 -20℃에 보관하였다가 단백질 분해효소 억제제(protease inhibitor, Complete Mini, Roche Diagnostics GmbH, Germany)를 포함한 차가운 RIPA 용해 완충용액(upstate biotechnology, USA)과 함께 균질기에서 분쇄하여 균질화 시켰다. 균질화 된 시료를 13,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한 뒤 상등액과 불용성 응집체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상등액의 단백질 농도는 바이오-라드 단백질 분석 키트(Bio-Rad protein assay kit, Bio-Rad,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상등액을 5×SDS(0.156M Tris-HCl, pH 6.8, 2.5% SDS, 37.5% 글리세롤, 37.5 mM DTT)와 1:4로 섞어 100℃에서 10분간 끓였다. 끓인 시료를 10% SDS-PAGE겔의 웰에 로딩하고 125 V에서 2시간 동안 전기영동 하여 분자량에 따라 분리하였고, 상기 단백질을 20V, 400A이하의 조건으로 1시간 동안 전기영동 하여 PVDF 막으로 옮겼다. 단백질이 옮겨진 막을 12시간 동안 5%의 탈지 우유로 차단하고, 1차 항체(항-ERK/p-ERK 항체; Cell signaling, USA)로 4시간 처리한 후, TBST(Tris Buffered Saline + 0.1% tween)로 10분간 3회 씻어주고, 2차 항체(항토끼-IgG-HRP; Amersham Bioscience, UK)를 1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다시 TBST로 10분간 4회 씻어준 후, ECL 검출 키트(Amersham Biosciences, UK)로 발광반응을 유발하였고 Hyperfilm-MP(Amersham Biosciences, UK)에 노출시켜 결합 반응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3a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세로토닌(5-HT) 자극에 의해 ERK의 인산화를 증가시켰으며, 그 영향이 5분에서 최댓값을 보이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3-2> 5-HT 6 R의 활성제인 EMD386088와 길항제인 SB258585에 대한 반응성 확인
무혈청 DMEM 배지가 포함된 세포주를 6-웰 배양 접시에,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선별한,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형질전환 세포주를 1 × 106 세포/웰로 분주한 후, 37℃, 5% CO2의 가습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3시간 후, 20 μM 5-HT, 1 μM EMD386088(Tocris, USA) 및 10 μM SB258585(Tocris, USA)를 5분 동안 정해 진 간격으로 각각 처리하였다. EMD386088/SB258585의 경우, SB258585를 30분 동안 선처리 한 후 EMD386088을 처리하였다. 상기 화학물질 처리에 의한 ERK 인산화를 실시예 3-1-2의 웨스턴 블랏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3b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5-HT와 EMD386088 자극에 의해 ERK의 인산화를 증가시켰으며, SB258585는 그 효과를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HA-5-HT 6 R의 세포 표면 발현 분석
<4-1> Fyn 과발현 전 분석
본 발명의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에서 세포막 외부에 위치하는 5-HT6R의 N-말단에 연결된 HA가 세포 표면 밖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하고자(도 4a),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 2008-0004994호에서 5-HT6R의 결합 단백질인 것이 확인된 Fyn을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세포 전체 또는 표면 단백질 분석은 면역형광세포화학법 (immunofluorescence)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코팅된 커버 글라스에서 키운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선별한,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형질전환 세포주를 차가운 PBS로 3회 세척하였고, PBS에 녹인 4% 파라포름알데히드를 이용하여 4℃에서 30분 동안 세포를 고정한 후 차가운 PBS로 3회 세척하였다. 이후 세포전체로 항체를 투입시켜서 세포전체를 관찰하기 위해 20분 동안 PBST(PBS + 0.2% Triton X-100)를 첨가하거나, 상기 단계를 생략함으로써 항체가 세포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세포표면을 분석하였다. 이후 1시간 동안 5%의 BSA로 차단하였고 1차 항체, anti-HA(1:500; Cell Signaling, USA)와 anti-Fyn(1:500; Cell Signaling, USA)으로 6시간 반응한 후, PBS로 10분간 3회 세척하였고 2차 항체를 1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PBS로 3회 씻어 준 후 CRYSTAL/MOUNT(Biomeda Corp., USA)로 슬라이드 상에 커버 글라스를 고정시켰다. 항체로 표지된 두 가지 특정 단백질의 세포내 위치를 관찰하기 위하여 confocal LSM 510 laser scanning microscope(Zeiss, Gottingen, Germany)로 영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4b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형질전환 세포주에서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HA-5-HT6R의 숙주세포인 HEK293 세포주에서 자체적으로 발현하는 Fyn 단백질의 분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HA 항체가 세포표면 막을 투과하지 못하도록 처리하여 이용하였을 때, HA-5-HT6R이 세포막에서 관찰되었다.
<4-2> Fyn 과발현 후 분석
무혈청 DMEM 배지가 포함된 100 ㎜ 플레이트에,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선별한,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형질전환 세포주를 1 × 106 세포/웰로 분주한 후, 37℃, 5% CO2의 가습 조건에서 배양한 후, Fyn-pcDNA3.1(+)과 Lipofectamine 2000을 1:3의 비율로 Opti-MEM 배지에 넣어 5분 동안 혼합하였고, 30분 후 배양 접시에 상기 혼합액을 넣어 세포주를 형질 감염시켰다. 6시간 후에 배지를 DMEM 배 지로 교환하였고, 추가로 24시간 동안 세포를 배양하여 Fyn을 과발현 시켰다.
이후, 실시예 4-1의 방법으로 세포전체를 관찰하기 위해 20 분 동안 PBST(PBS + 0.2 % Triton X-100)를 첨가하여 세포전체를 관찰하였고 또는 이 단계를 생략함으로써 세포표면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4c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HA 항체가 세포표면 막을 투과하지 못하도록 처리하였을 때, Fyn 과발현 시에도 세포막에서 Fyn은 관찰되지 않고, HA-5-HT6R만이 관찰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HA-5-HT 6 R의 활성측정
<5-1> 세포 처리 조건
무혈청 DMEM 배지가 포함된 100 ㎜ 플레이트에,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선별한,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와 HA-5-HT6R을 일시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 야생형 HEK293 세포주 및 5-HT6R을 발현하는 세포주를 5 × 106 세포/웰로 96-웰 플레이트 하나를 3구역으로 나누어 분주한 후, 37℃, 5% CO2의 가습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Gα15 단백질을 발현시킬 수 있는 벡터(Evi Kostenis, Institute for Pharmaceutical Biology, Nussallee 6, 53115 Bonn, Germany)와 Lipofectamine 2000과 1:3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상기 세포주에 형질 감염시킨 후, 1% FBS가 포함된 DMEM에서 16시간 이상 배양하였다. 활성 검색 하루 전 폴리-L-라 이신(0.05 ㎎/㎖)으로 처리한 96-웰 플레이트에 상기 형질 감염시킨 세포를 한 웰 당 5 × 104의 밀도로 분주하였다. 수용체 내재화(internalization)를 억제하기 위해 혈청 고갈(serum starvation) 조건을 이용하였다. 상기 수용체 내재화가 세포질 내로 내재화(internalization)하면 분해되거나 불활성화되어 수용체를 하향조절하기도 한다.
<5-2> FDSS6000 이용한 형광 칼슘 측정
세포 기반 HTS 기기 FDSS6000(Hamamatsu Photonics, JP)을 이용하여 형광 칼슘을 측정하였다. 이때, 칼슘 농도에 민감한 플루오-4/AM과 0.001% 플루로닉 F-127(Sigma, USA)을 형광성 칼슘 표지물로 사용하였다. 세포를 480 ㎚에 선택적으로 노출시켰고 515 ㎚를 통과하는 방출 형광을 CCD 카메라로 찍어서 데이터를 얻었다.
구체적으로, 실험 당일 96-웰 플레이트에 부착된 세포를 HEPES 완충용액(150 mM NaCl, 5 mM KCl, 1 mM MgCl2, 2 mM CaCl2, 10 mM HEPES, 10 mM Glucose, pH 7.4)으로 3회 세척하였고, HEPES 완충용액에 녹인 4 μM 플루오-4/AM과 0.001% 플루로닉 F-127로 배양기에서 1시간 반응시킨 다음, HEPES 완충용액으로 다시 2회 세척 한 후, 세포를 480 ㎚에 선택적으로 노출시켰고 515 ㎚를 통과하는 방출 형광을 CCD 카메라로 찍어서 데이터를 얻었다.
<5-3> HA-연결의 영향 조사
실시예 5-1에서 Gα15 단백질을 발현시킬 수 있는 벡터로 형질 감염시킨,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와 5-HT6R을 발현하는 세포주에, 10 μM 5-HT를 각각 처리한 후, 실시예 4-2의 방법으로 활성을 측정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는 HA-태그만 들어있는 공벡터로 형질전환된 세포주를 이용하였다. F는 480 ㎚에서의 형광 세기이고, F0는 초깃값을 나타낸다.
그 결과, 도 5a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N-말단에 위치한 HA-연결이 5-HT6R의 기능을 바꾸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형광 세기의 변화(F/F0)를 평균값으로 나타낸 결과, 도 5b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는 0.111 ± 0.003, 5-HT6R을 발현하는 세포주는 0.105 ± 0.003, 및 HA-태그만 들어있는 공벡터로 형질전환된 세포주는 0.014 ± 0.007 (n = 4) 이었다.
<5-4> 5-HT 농도-의존성 활성
실시예 5-1에서 Gα15 단백질을 발현시킬 수 있는 벡터로 형질 감염시킨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에, 96-웰 플레이트와는 별도로 5-HT6 수용체를 활성화시킬 상이한 농도(10-11~ 10-5 M)의 5-HT6 수용체 활성제를 포함한 1 개의 96-웰 약물 플레이트를 준비하였다. 대부분의 세포 기반 HTS 기기의 경우 약물 주 입에 필요한 액체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은 있지만 액체 흡입 시스템은 없기 때문에 검색하고자 하는 5-HT 및 다른 활성제 약물을 5 배의 고농도로 HEPES 완충용액에 20 ㎕씩 준비하여 최종 부피인 100 ㎕(부착 상태 배양세포 80 + 5X 5-HT 및 다른 활성제 약물)에서 1/5 희석되어 측정하였다. 최종적으로 25초 기준 측정, 90초간 약물 처리 조건 하에서 5-HT6 수용체 활성제인 5-HT를 10-10~ 10-5 M 농도 범위에서 형광표지 염료인 플루오-4를 이용하여 5-HT6 수용체 활성에 대한 Ca2+ 시그널을 %로 구하였다. 480 nm에서 최고 비율값의 면적을 100%로 잡고 5-HT의 활성 효과를 구한 후 세포에 대한 농도-의존성 그래프와 이로부터 EC50 값을 구하였다(도 5c). 이때, 5-HT에 대한 EC50 값은 y/ymax = 1/(1+(K1/2/[5-HT]nH) 식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ymax는 최대 반응, K1/2는 EC50 값, nH는 Hill 상수).
<5-5> HA-5-HT 6 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의 확인
실시예 5-1에서 Gα15 단백질을 발현시킬 수 있는 벡터로 형질 감염시킨,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S1~S3)와 HA-5-HT6R을 일시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T1~T3)에, 10 μM 5-HT를 각각 처리한 후, 실시예 4-2의 방법으로 활성을 측정하였고, Integration Ratio Max(Hamamatsu Photonics program, JAPAN)로 세포 내 칼슘 유입 수치(Integrate ratio max values)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도 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가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함으로써, 일시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보다 실험의 재현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도 1은 N-말단 HA-연결된 인간 5-HT6R의 유전자를 포함하는 플라스미드의 개열지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RT-PCR 방법으로 HA-5-HT6R이 형질도입된 세포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a: HA-5-HT6R이 형질도입된 세포주 선별; 및,
b: P1에서 P6까지 안정적인 HA-5-HT6R 발현 검정.
도 3은 본 발명의 HA-5-HT6R이 형질도입된 HEK293 세포주의 HA-5-HT6R의 기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a: 세로토닌(5-HT)의 자극에 의한 ERK의 인산화; 및,
b: 5-HT6R의 활성제인 5-HT 및 EMD386088, 및 길항제인 SB258585의 효과 확인.
도 4는 본 발명의 HA-5-HT6R이 형질도입된 HEK293 세포주의 세포 표면에서 HA-5-HT6R의 발현양상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Total: 세포 내부 및 표면에서 발현 양상을 확인):
a: 5-HT6R의 N-말단에 연결된, 세포 표면 밖으로 위치한 HA를 나타내는 모식도;
b: Fyn 과발현전의 Fyn 및 HA-5-HT6R의 분포; 및,
c: Fyn을 과발현시킨 경우, Fyn 및 HA-5-HT6R의 분포.
도 5는 본 발명의 세포주가 발현한 HA-5-HT6R의 기능이 HA-연결에 의해 변하지 않은 것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a: 세포내 칼슘 양의 변화;
b: 세포내 칼슘 양의 평균; 및,
c: HA-5-HT6R의 농도-의존적 활성.
도 6은 일시적으로 또는 안정적으로 HA-5-HT6R을 발현하는 세포주의 재현성의 차이를 나타낸 도이다.
<110> Korea Instititue of Science and Technology <120> Cell line which is stably expressing the HA-5-HT6R, for HTS of 5-HT6R's ligands <130> 8P-08-04 <160> 4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A-5-HT6R forward primer <400> 1 ccactcttca tgcgggactt c 21 <210> 2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A-5-HT6R reverse primer <400> 2 tcagttcgtg gggatgccaa g 21 <210> 3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eta actin forward primer <400> 3 gtcaccaact gggacgacat g 21 <210> 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eta actin reverse primer <400> 4 gccgtcaggc agctcgtagc 20

Claims (14)

  1. N-말단에 HA(Hemagglutinin)가 연결된 5-HT6R 유전자 컨스트럭트를 포함하는 벡터가 숙주세포에 형질도입되어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
  2. 제 1항에 있어서, 기탁번호 KCLRF-BP-00187로 기탁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주.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숙주세포는 HEK293, COS7, CHO-K1 및 CHO-G5A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주.
  5. 1) 제 1항의 세포주에 피검화합물을 처리하는 단계;
    2) 상기 처리된 세포주의 5-HT6R 활성을 측정하는 단계; 및,
    3) 미처리된 세포주와 비교하여, 상기 세포주에서 5-HT6R 활성을 증가 또는 감소시킨 피검화합물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5-HT6R 리간드의 고효율 검색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단계 1)의 피검화합물은 천연화합물, 합성화합물, RNA, DNA, 폴리펩티드, 효소, 단백질, 리간드, 항체, 항원, 박테리아의 대사산물 및 진균의 대사산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검색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5-HT6R 활성의 측정은 상기 5-HT6R에 의한 세포내 칼슘 농 도 유입을 측정하는 방법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세포내 칼슘 농도 유입이 측정될 대상 세포주는 피검화합물을 처리 전에 Gα15 단백질을 발현시킬 수 있는 벡터와 리포펙타민으로 형질 감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1) 제 1항의 세포주에 피검화합물을 처리하는 단계;
    2) 상기 처리된 세포주의 단백질을 정제하는 단계;
    3) 상기 정제된 단백질의 5-HT6R 활성을 측정하는 단계; 및,
    4) 미처리된 세포주와 비교하여, 상기 세포주에서 5-HT6R 활성을 증가 또는 감소시킨 피검화합물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5-HT6R 리간드의 고효율 검색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단계 1)의 피검화합물은 천연화합물, 합성화합물, RNA, DNA, 폴리펩티드, 효소, 단백질, 리간드, 항체, 항원, 박테리아의 대사산물 및 진균의 대사산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검색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5-HT6R 활성의 측정은 상기 5-HT6R에 의해 인산화된 ERK를 측정하는 방법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항의 세포주를 포함하는 5-HT6R 리간드의 고효율 검색용 조성물.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주는 기탁번호 KCLRF-BP-00187로 기탁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검색용 조성물.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추가로 Gα15 단백질을 발현시킬 수 있는 벡터, 리포펙타민, 형광성 칼슘 표지물 및 세척 완충용액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검색용 조성물.
KR1020080095258A 2008-09-29 2008-09-29 세로토닌 6 수용체 리간드의 고효율 검색을 위한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 KR101052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258A KR101052621B1 (ko) 2008-09-29 2008-09-29 세로토닌 6 수용체 리간드의 고효율 검색을 위한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
CN2008101825453A CN101712950B (zh) 2008-09-29 2008-12-08 可以高效率地检索5-羟色胺6受体配体的可稳定表达ha-5-ht6r的细胞系
JP2008319337A JP2010081931A (ja) 2008-09-29 2008-12-16 セロトニン6受容体リガンドの高効率検出のための、ha−5−ht6rを安定的に発現する細胞株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258A KR101052621B1 (ko) 2008-09-29 2008-09-29 세로토닌 6 수용체 리간드의 고효율 검색을 위한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883A KR20100035883A (ko) 2010-04-07
KR101052621B1 true KR101052621B1 (ko) 2011-07-29

Family

ID=42213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5258A KR101052621B1 (ko) 2008-09-29 2008-09-29 세로토닌 6 수용체 리간드의 고효율 검색을 위한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0081931A (ko)
KR (1) KR101052621B1 (ko)
CN (1) CN101712950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284B1 (ko) * 2006-07-07 2008-08-1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형광 이미징법을 이용한 5-ht6 수용체 리간드 고효율검색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9849A (en) * 1994-03-11 1997-03-11 The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Serotonin (5-HT1A) receptor ligands and imaging agents
WO2003065046A2 (en) * 2002-02-01 2003-08-07 Bayer Healthcare Ag Diagnostics and therapeutics for diseases associated with a new human 5-ht6 receptor
CN1920032A (zh) * 2006-03-29 2007-02-28 山东中医药大学 猕猴5羟色胺1a受体的部分基因及其应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284B1 (ko) * 2006-07-07 2008-08-1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형광 이미징법을 이용한 5-ht6 수용체 리간드 고효율검색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omb. Chem. High Throughput Screen, Vol. 11, No. 4, pp. 316~324 (2008. 5)
J. Biol. Chem., Vol. 282, No. 8, pp. 5496~5505 (200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12950B (zh) 2013-04-03
KR20100035883A (ko) 2010-04-07
JP2010081931A (ja) 2010-04-15
CN101712950A (zh) 201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odin et al. p27Kip1 is a microtubule-associated protein that promotes microtubule polymerization during neuron migration
Grosheva et al. p120 catenin affects cell motility via modulation of activity of Rho-family GTPases: a link between cell-cell contact formation and regulation of cell locomotion
Magg et al. Subcellular localization of FOXP 3 in human regulatory and nonregulatory T cells
Shibata et al. A new role for annexin A11 in the early secretory pathway via stabilizing Sec31A protein at the endoplasmic reticulum exit sites (ERES)
Simiczyjew et al. Effect of overexpression of β-and γ-actin isoforms on actin cytoskeleton organization and migration of human colon cancer cells
Dráberová et al. Differential expression of human γ‐tubulin isotypes during neuronal development and oxidative stress points to a γ‐tubulin‐2 prosurvival function
Tsapara et al. The heat-shock protein Apg-2 binds to the tight junction protein ZO-1 and regulates transcriptional activity of ZONAB
Fong et al. Interaction of CDK5RAP2 with EB1 to track growing microtubule tips and to regulate microtubule dynamics
Higham et al. Preferred formation of heteromeric channels between coexpressed SK1 and IKCa channel subunits provides a unique pharmacological profile of Ca2+-activated potassium channels
CN101443022A (zh) 生长刺激蛋白质的用途
Stackpole et al. N-myristoylation regulates the axonal distribution of the Fragile X-related protein FXR2P
Phuyal et al. Mechanical strain stimulates COPII‐dependent secretory trafficking via Rac1
Maier et al. GTRAP3‐18 serves as a negative regulator of Rab1 in protein transport and neuronal differentiation
Reibring et al. Distinct and overlapping expression patterns of the homer family of scaffolding proteins and their encoding genes in developing murine cephalic tissues
Tang et al. LAMMER kinase Kic1 is involved in pre-mRNA processing
Masuho et al. Dynamic expression patterns of G protein‐regulated inducer of neurite outgrowth 1 (GRIN1) and its colocalization with Gαo implicate significant roles of Gαo‐GRIN1 signaling in nervous system
KR101052621B1 (ko) 세로토닌 6 수용체 리간드의 고효율 검색을 위한 ha-5-ht6r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
CN101405392A (zh) 一种新型的doublecortin样激酶基因mRNA剪接异构体及其在神经外胚层起源癌症的诊断和治疗中的应用
US20090111098A1 (en) Reporter gene assay
CN104797717B (zh) 用于检测或测定病毒载体组合物对真核细胞及其所用生物标记的影响的方法
Hotta et al. Mechanistic analysis of CCP1 in generating ΔC2 α-tubulin in mammalian cells and photoreceptor neurons
Miao et al. Two cytokine signaling molecules co-operate to promote axonal transport and growth
KR101226234B1 (ko) 세로토닌 6 수용체와 G―protein α15가 동시에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HELA 세포주 및 상기 세포주와 칼슘 영상화를 이용하여 세라토닌 6 수용체의 선택적 리간드의 고효율 스크리닝 방법
Ahmadian Elmi et al. Proteomic Analyses of the G Protein-Coupled Estrogen Receptor GPER1 Reveal Constitutive Links to Endoplasmic Reticulum, Glycosylation, Trafficking, and Calcium Signaling
TWI491730B (zh) 穩定表現類大麻素受體cb2之細胞株及其應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