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2248B1 - 농업용 부직포 - Google Patents

농업용 부직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2248B1
KR101052248B1 KR1020080135923A KR20080135923A KR101052248B1 KR 101052248 B1 KR101052248 B1 KR 101052248B1 KR 1020080135923 A KR1020080135923 A KR 1020080135923A KR 20080135923 A KR20080135923 A KR 20080135923A KR 101052248 B1 KR101052248 B1 KR 101052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reflective film
agricultural
sheet
fabric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5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7857A (ko
Inventor
최민석
Original Assignee
최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민석 filed Critical 최민석
Priority to KR1020080135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2248B1/ko
Publication of KR20100077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7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2Mulches, i.e. covering material not-pre-formed in mat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10Device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animals, birds or other pes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업용 부직포에 반사필름을 부착한 것으로서, 잡초성장 억제용으로 사용되는 부직포시트(4)상에 다수의 반사필름(6)들을 일정간격으로 부착하되 반사필름(6)의 중앙부는 부직포시트(4)상에 결합되고 그 양측부는 부직포시트(4)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그 사이에 공간부(10)가 형성되게 하므로서, 부직포시트(4)에 의한 토양산성화 방지 및 잡초성장 억제와 함께 반사필름(6)에 의한 빛의 난반사로 농작물의 해충 발생 억제와 농작물의 고른 성장을 도모하며 과일 등 열매의 착색과 당도가 좋도록 하며 해로운 조수의 접근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Figure R1020080135923
농업용 부직포, 부직포시트, 반사필름, 재봉선

Description

농업용 부직포{NON-WOVEN FABRIC FOR AGRICULTURE}
본 발명은 농업용 부직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토양산성화 방지 및 잡초성장 억제와 아울러 농작물의 해충 발생 억제 및 농작물의 고른 성장을 도모하며 과일 등 열매의 착색과 당도를 양호케 하고 해로운 조수의 접근도 막을 수 있는 농업용 부직포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농작물을 재배할 때 경지 토양의 표면을 덮어주는 일을 멀칭(mulching)이라 하는데, 멀칭을 하게 되면 토양침식방지, 토양수분유지, 저온조절, 잡초억제, 토양 전염성 병균방지, 토양오염방지 등이 이루어진다. 멀칭시 덮어주는 자재, 즉 멀치(mulch)로는 볏짚, 보릿짚, 목초,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염화비닐 필름, 부직포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중 부직포는 각종 농작물이 식재된 토양 상부에 깔기도 쉽고 이를 다시 걷어내기도 용이하며, 제초제 없이도 잡초의 성장을 억제케 하고 식재된 농작물의 성장은 촉진케 하는 등 여러가지의 좋은 기능성을 갖음으로 인해 요즈음에 점차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부직포는 제조방법이나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그중 용도별로는 자수용, 의류용, 토목용, 공업용, 의료용, 가정용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부직포를 덮어주는 자재인 멀치로 사용함과 아울러 농작물 성장촉진, 토양산성화 방지, 잡초성장 억제를 동시에 만족하도록 구현하는 것은 결코 용이하지 않다.
예컨대, 부직포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원활한 공기유통이 곤란하고 수분함량도 과다하기 때문에 잡초가 녹아 내릴 뿐아니라 농작물의 성장에도 장애가 된다. 또 공기유통에 곤란이 있으면 각종 미생물의 생장번식이 억제되면서 토양 산성화 방지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게 된다. 심지어는 부직포가 너무 두꺼우면 농작물의 뿌리가 토양 위로 돌출하여 토양을 덮고 있는 부직포로 향하게 되므로 그 뿌리가 마르기도 한다. 한편 부직포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그 형태유지가 어렵고 강도가 약해 잘 찢어지게 되므로 취급에 어려움이 있고, 또 차광능력이 낮아지고 과다한 공기유통이 이루어지므로 잡초의 성장억제 기능이 떨어지게 된다.
농작물 성장촉진, 토양산성화 방지, 잡초성장 억제를 동시에 만족하는 양호한 농업용 부직포의 일 예로는 특허 제248939호나 특허 제358560호 등이 있다.
또한 토양산성화 방지 및 잡초성장 억제를 위한 농업용 부직포 기능에다가, 식재된 농작물에 빛을 난반사해 주어 농작물의 병 및 충해를 방지하며, 농작물의 성장, 숙기 및 당도를 향상시키도록 하는 반사필름과 같은 기능이 추가된 일 예의 농업용 부직포가 본원 출원인 최민석에 의해서 출원되어 특허등록된 특허 제562856호 "농업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이 있다.
특허 제562856호의 농업용 부직포는 상층부와 하층부의 복층구조로 일체 구성하되, 상층부는 빛을 난반사하는 기능을 가지도록 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토양상부에 덮어씌워 토양산성화 방지와 잡초성장을 억제케 하는 농업용 부직포를 m2당 45∼100g의 밀도를 가지게 함과 동시에 상층부와 하층부의 복층구조로 구성하되, 상기 상층부의 부직포 필라멘트사 단면이 각형을 이루며 상기 상층부의 부직포 밀도가 m2당 30∼40g이 되게하여 농작물이 식재된 토양상부에 덮어씌워진 상기 농업용 부직포의 상층부가 빛을 난반사하여 농작물의 음지부분을 비춰주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특허 제562856호의 농업용 부직포는 농작물의 성장, 숙기 및 당도를 향상시키는 좋은 장점이 있으나, 제조 비용이 너무 많고 반사율이 충분치 않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 단가가 저렴하고 반사율이 양호하면서도 토양산성화 방지 및 잡초성장 억제와 아울러 농작물의 해충 발생 억제, 농작물의 고른 성장, 열매의 착색과 당도 향상, 유해 조수의 접근 방지를 가능케 하는 농업용 부직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농업용 부직포에 있어서, 잡초성장 억제와 토양산성화 방지가 가능한 부직포시트상에 반사필름들을 일정간격으로 부착하되, 상기 부직포시트에 각 반사필름의 일부가 부착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농업용 부직포에 있어서, 잡초성장억제용으로 사용되는 부직포시트(4)상에 다수의 반사필름(6)들을 일정간격으로 부착하되 반사필름(6)의 중앙부는 부직포시트(4)상에 재봉으로 결합되고 그 양측부는 부직포시트(4)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그 사이에 공간부(10)가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반사필름이 재봉된 부직포시트를 농업용 부직포로 구현하여서 부직포시트에 의한 토양산성화 방지 및 잡초성장 억제와 함께 반사필름에 의한 빛의 난반사로 농작물의 해충 발생 억제와 농작물의 고른 성장을 도모하며 과일 등 열매 의 착색과 당도가 좋도록 해주며, 해로운 조수의 접근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사용 부직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부직포(2)는 토양산성화 방지 및 잡초성장 억제를 할 수 있는 부직포시트(4)상에 난반사용 반사필름(6)을 부분적으로 부착하여 난반사기능을 부여하여 줌으로써 잡초성장 억제는 물론이고 햇빛 난반사로 인해 농작물의 과일 등 열매들의 착색이 잘되고 당도도 좋아지며 농작물에 해충 발생이 억제되고 까치나 멧돼지와 같은 조수의 접근이 방지되도록 해준다.
본 발명에서 토양산성화 방지 및 잡초성장 억제를 위해 사용하는 부직포시트(4)는 2~3데니어의 합성섬유 필라멘트사들 수천가닥을 고른 분포로 평활하게 깔고 55~65g/m2의 밀도를 유지시킴과 동시에 열압착하여서 엠보싱이 형성되게 구성한 흑색의 부직포이다.
상기 부직포시트(4)는 자체적으로는 토양산성화 방지 및 잡초성장 억제가 가능하지만 난반사기능이 포함하도록 반사필름 등을 합접하게되면 제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본원 발명자는 상기 부직포시트(4)상에 난반사기능을 하는 반사필름(6)을 부착하여도, 부직포시트(4)는 여전히 토양산성화 방지 및 잡초성장 억제를 해줄 수 있도록 반사필름(6)의 차지면적율, 반사필름(6)의 재질, 배치양태, 부착형태 등을 구현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난반사기능을 하는 반사필름(6)은 바탕지인 부직포시트(4) 전체 면적의 일부분만을 차지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그 다수는 서로 이격되게 형성하고 바탕지인 부직포시트(4)상에 그 일부만 결합되게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반사필름(6)이 차지하는 면적율은 부직포시트(4) 면적의 50~70%이 바람직하며, 배치양태는 예컨대 다수의 띠형 반사필름(6)들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반사필름(6)은 은박재질로서 반사율이 좋은 알루미늄박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율이 좋은 알루미늄박판을 단독으로 사용하게되면 쉽게 찢어질 수 있으므로 얇은 지지시트상에 알루미늄박을 입혀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얇은 지지시트로는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린 등의 수지박막, 부직포나 종이류 등이 있으며, 얇은 지지시트상에 알루미늄박을 입히는 방식의 일 예로는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 열융착 또는 알루미늄 진공증착 등이 있다.
반사필름(6)을 구성하는 가장 바람직한 일 예로는 엠보싱된 부직포에 얇은 알루미늄박을 라미네이팅으로 입혀 형성하는 것이다. 지지시트를 구성하는 엠보싱된 부직포에 얇은 알루미늄박을 입혀서 반사필름(6)을 형성하게 되면 반사필름(6)의 상면이 부직포의 엠보싱 요홈들에 의해서 울퉁 불퉁해져서 난반사하는데에 매우 유리하다. 상기 지지시트의 부직포는 부직포시트(4)에 비해서 훨씬 얇은 박막형 부직포이다.
또 반사필름(6)을 구성하는 알루미늄박 밑에 부착된 얇은 부직포는 엠보싱 요철이 형성되므로 반사필름(6)이 부직포시트(4)와 설사 밀착된다하더라도 엠보싱 요철에 의해서 공극이 발생되게 해준다.
반사필름(6)의 알루미늄박은 대체로 매우 얇게 형성되므로 거울 등에 비해서는 반사효율이 떨어질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반사필름(6)의 반사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알류미늄박과 지지시트 사이에 안료층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하는 안료로는 빛반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질 수 있는 녹색(green)안료가 이상적이다.
본 발명에서 반사필름(6)은 알루미늄박판 단독이나 조류 퇴치를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농업용 반사필름도 사용 가능하지만, 잘 찢어질 수 있고 반사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의 반사필름(6)의 형상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폭을 갖는 띠형이나 그외 스팡글과 같은 원형, 다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재봉이 수월한 띠형태의 반사필름 형상이 좋다.
상기 반사필름(6)를 띠모양으로 하는 것과 그 반사필름(6)을 재봉하는 결합 작업은 난반사기능의 반사필름(6)을 갖는 본 발명의 농업용 부직포(2)의 생산성을 보다 양호하게 해준다.
띠형태의 반사필름(6)의 배열형태로는 도 1에서와 같이 좌우 한폭으로 된 부 직포시트(4)상에 종방향으로 띠형 반사필름(6)을 길게 형성할 수 있고, 다른 배열형태로는 좌우 한폭방향으로나 사선방향으로 띠형 반사필름(6)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반시필름(6)들 각각은 부착형태가 전면(全面)이 아닌 일부 예컨대 중앙부만이 부직포시트(4)상에 부착되도록 한다. 반사필름(6)이 일부만이 부직포시트(4)에 부착됨에 따라 반사필름(6)내 비부착된 타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직포시트(4)의 표면과 틈이 벌어져 공간부(10)를 형성하는 구성적 특징을 포함한다.
반사필름(6)을 부직포시트(4)에 일부 부착되게 하는 바람직한 방법은 재봉하는 것이고, 그중에서도 반사필름(6)의 중앙부를 따라가며 재봉하여 재봉선(8)이 형성되게 하는 것이다. 재봉선(8)은 한줄이나 두줄 또는 그 이상의 줄 수로 형성할 수 있고 지그재그 형태의 오버로크 재봉도 할 수 있으며, 재봉라인 형태는 직선형태나 웨이브(wave)형태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반사필름(6)들은 50~70%의 차지면적율로 부직포시트(4)상에 서로 이격되면서 재봉을 통해 중앙부만이 부착되어지면, 부직포시트(4)는 공기유통에 있어 반사필름(6)의 방해를 최소한으로 받게 된다. 각 반사필름(6)이 비록 부직포시트(4) 면적의 반이나 그 이상을 덮고 있으나 중앙부가 재봉선(8)으로 결합된 반사필름(6)의 양측으로는 부직포시트(4)의 표면 상부로 들떠있는 공간부(10)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인접한 반사필름(6)들간의 이격구간(y)에 위치한 부직 포시트(4)를 통해서는 공기 유통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고 아울러 반사필름(6)으로 덮힌 폭구간(x)에서도 중앙부 재봉선(8)의 양측방으로 떠들린 반사필름(6) 하부의 부직포시트(4)로도 공간부(10)를 통한 공기유통이 어느 정도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실제로 본 발명의 농업용 부직포(2)를 재배지에 깔게되면 재배지의 지면은 요철이 당연히 있으므로 반사필름(6)의 재봉선(8)을 중심으로 하는 좌우 날개는 불규칙하게 들뜨거나 뒤뜨게 되고, 바람과 같은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서 좌우날개를 쳐들고 일어서는 형태를 취하게 되므로 반사필름(6) 밑에 있는 부직포시트(4)를 통한 공기 유통은 훨씬 수월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농업용 부직포(2)는 반사필름(6)들이 부직포시트(4)에 덮혀져 있음에도 공기유통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므로, 농업용 부직포(2)의 수분함유가 과도하게 되거나 농작물의 뿌리가 농업용 부직포(2)를 땅으로 인식하여 토양을 덮고 있는 부직포시트(4)로 향하여 올라오는 일도 거의 없게 해준다.
본 발명에서 다수 반사필름(6)들을 이격 배열하고 재봉하여서 부직포시트(4)내의 50~70%를 차지하도록 바람직하게 구현하는데, 만일 반사필름(6)의 차지 면적율이 부직포시트(4) 면적의 70%를 넘게되면 부직포시트(4)를 통한 공기유통이 원활하지 않게 된다. 또 그 반대로 반사필름(6)의 차지 면적율이 부직포시트(4)의 50%를 미달하게 되면, 반사필름(6)을 이용한 난반사 기능이 저조해진다.
그리고 부직포시트(4)내 반사필름(6)의 차지면적율 50~70% 범위내에서도 농작물 재배되는 토양의 성질(사질토, 점질토 등)이나 재배 농작물의 종류에 따라서 그 차지면적율이 조절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농업용 부직포(2)는 띠형 반사필름(6)의 폭사이즈(도 3의 x값임)를 6~10cm, 인접 반사필름(6)간 이격거리(도 3의 y값임)를 6~10cm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제조 일예로서, 반사필름(6)을 띠형 반사필름으로 하고 부직포시트(4)의 좌우 한폭이 1미터(m)이며 종방으로 길게 연장된 롤형 부직포시트인 경우에는 띠형 반사필름(6)의 폭(도 3의 x값임)을 8cm로 하고, 그 반사필름(6) 5개를 11cm간격(도 3의 y값임)으로 떨어뜨려 세로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각 반사필름(6)의 중앙부에 세로 재봉선(8)을 형성하므로써 농업용 부직포(2)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롤형 부직포시트(4)의 좌우연 측에 위치한 반사필름(6)은 8c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농업용 부직포(2)는 재배지에 깔게 되면 반사필름(6)은 중앙부 만이 부착되므로 인해 불규칙하게 들뜬 공간부(10)가 형성되고 되고, 재배지에 요철이 있으므로 그에 인해 공간부(10)가 더 많이 형성되며 또 바람과 같은 외부요인으로 공간부(10)가 더욱 많이 확보되게 해주며, 아울러 찌그러지고 뒤틀리고 편평하고 하는 등의 자유 분방한 반사필름(6)의 표면형태는 빛의 난반사를 촉진시켜준다.
재배지에 깔린 농업용 부직포(2)는 봄부터 여름을 지나 가을까지 반사필름(6)의 난반사를 통해서 햇빛이 비치지 않는 농작물의 줄기, 잎과 열매의 밑부분에도 햇빛을 충분히 공급해 주어 사과, 포도, 고추, 대추와 같은 열매의 색상과 당 도, 과육성장을 향상시키며, 진딧물 등과 같은 해충 발생을 억제해 주고, 재배지의 지면 전부가 난반사로 번쩍이게 되므로 조수들의 접근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재배지에 깔린 농업용 부직포(2)의 반사필름(6)이 전체가 아닌 일정 간격으로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있음에도 각 반사필름(6)들의 난반사 효과로 난반사된 햇빛이 농작물의 음지부분을 골고루 비춰줄 수 있게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농업용 부직포(2)는 반사필름(6)이 결합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부직포시트(4)에 공기 및 수분유통을 원활하게 해주어 토양산성화 방지 및 잡초성장 억제의 제기능도 여전히 발휘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농업용 부직포(2)는 그 제조단가가 기존 농업용 부직포에 비해서는 다소 높아지나, 농업용 부직포와 반사필름을 별도로 구입할 때의 합산 비용보다는 훨씬 저렴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농업용 부직포(2)는 깔았다가 다시 걷어 놓을 수 있고, 그 후 부직포시트(4)는 물론이고 반사필름(6)까지도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기존 일회 용도로만 사용하는 반사필름에 비해서는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본 발명은 농작물이 식재된 재배지에 깔려서 토양산성화 방지와 잡초성장 억제뿐 아니라 농작물의 음지부분에 잎과 열매에 햇빛 양이 충분히 공급되도록 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사용 부직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농업용 부직포 (4)-- 부직포시트
(6)-- 반사필름 (8)-- 재봉선
(10)-- 공간부

Claims (11)

  1. 농업용 부직포에 있어서,
    잡초성장 억제와 토양산성화 방지가 가능하도록 2~3데니어의 합성섬유필라멘트사들을 평활하게 깔고 55~65g/m2의 밀도를 유지시킴과 동시에 열압착하여서 엠보싱이 형성된 흑색 부직포시트 상에 띠모양의 반사필름을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열하여서 재봉으로 부착하되, 상기 부직포시트에 각 반사필름이 길이방향으로 재봉되어서 일부가 부착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부직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필름이 차지하는 면적율은 상기 부직포시트 면적의 50~70%임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부직포.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필름은 알루미늄박판임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부직포.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필름은 얇은 지지시트상에 알루미늄박을 입혀서 형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부직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얇은 지지시트는 수지박막, 부직포, 종이 중의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부직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얇은 지지시트의 부직포는 엠보싱된 부직포임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부직포.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필름은 상기 지지시트와 알루미늄박 사이에 안료층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부직포.
  10. 농업용 부직포에 있어서,
    잡초성장 억제와 토양산성화 방지용으로 사용되는 55~65g/m2 밀도의 흑색 부직포시트(4)상에 다수의 띠형 반사필름(6)들을 일정간격으로 부착하되 반사필름(6)의 중앙부를 따라가며 부직포시트(4)상에 재봉으로 결합하고 반사필름(6)의 양측부가 부직포시트(4)의 표면으로부터 들떠서 반사필름(6)의 양측부와 부직포시트(4) 사이에 공간부(10)가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부직포.
  11. 제10항에 있어서, 반사필름(6)의 폭은 6~10cm이고 인접 반사필름(6)간 이격거리는 9~13cm임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부직포.
KR1020080135923A 2008-12-29 2008-12-29 농업용 부직포 KR101052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923A KR101052248B1 (ko) 2008-12-29 2008-12-29 농업용 부직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923A KR101052248B1 (ko) 2008-12-29 2008-12-29 농업용 부직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7857A KR20100077857A (ko) 2010-07-08
KR101052248B1 true KR101052248B1 (ko) 2011-07-27

Family

ID=42639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5923A KR101052248B1 (ko) 2008-12-29 2008-12-29 농업용 부직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22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550Y1 (ko) * 2013-03-19 2013-08-22 이분금 과수용 햇빛 반사시트
KR101429546B1 (ko) * 2013-12-23 2014-08-12 삼창산업 주식회사 농업용 부분 반사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7852B1 (ko) * 2021-03-24 2024-02-20 (주)더블비큐코리아 알루미늄 증착필름을 이용한 반사방초시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2836Y1 (ko) * 2001-08-25 2002-04-20 정규록 농업용 통기성 부직포반사필름
KR200390971Y1 (ko) * 2005-05-11 2005-07-28 유피씨(주) 농업용 반사합지
KR100562856B1 (ko) * 2004-05-04 2006-03-24 최민석 농업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0602510B1 (ko) * 2003-06-28 2006-07-19 최민석 농작물 재배를 위한 막덮기 부직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2836Y1 (ko) * 2001-08-25 2002-04-20 정규록 농업용 통기성 부직포반사필름
KR100602510B1 (ko) * 2003-06-28 2006-07-19 최민석 농작물 재배를 위한 막덮기 부직포
KR100562856B1 (ko) * 2004-05-04 2006-03-24 최민석 농업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200390971Y1 (ko) * 2005-05-11 2005-07-28 유피씨(주) 농업용 반사합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550Y1 (ko) * 2013-03-19 2013-08-22 이분금 과수용 햇빛 반사시트
KR101429546B1 (ko) * 2013-12-23 2014-08-12 삼창산업 주식회사 농업용 부분 반사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7857A (ko)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2248B1 (ko) 농업용 부직포
AU2016277669A1 (en) Reflective ground cover material
KR20120102405A (ko) 무농약 농작물 재배를 위한 소터널형 막덮기 부직포
JP3842266B2 (ja) 農作物の成育保護シートおよび栽培方法
JP2762825B2 (ja) 植物保育シートおよび植物の栽培方法
KR101005548B1 (ko) 멀칭용 부직포
JP2002119151A (ja) 農業用マルチシート
KR100602510B1 (ko) 농작물 재배를 위한 막덮기 부직포
KR100562856B1 (ko) 농업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GB2025194A (en) Mulching sheets
KR101522248B1 (ko) 농업용 펼침 날개형 멀칭시트
KR101287381B1 (ko) 서리피해 경감 및 성장 촉진이 가능한 고추 재배방법
KR101168837B1 (ko) 농작물 순잡이용 베일 네트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CN208850309U (zh) 一种透明银黑三色多功能复合地膜
JP2789359B2 (ja) 果菜類の保護シート
CN108849148A (zh) 一种透明银黑三色多功能复合地膜及其制造方法
KR100358560B1 (ko) 농업용 부직포
CN218278031U (zh) 一种粮食种植培育地膜
CN208798440U (zh) 一种多功能地膜
CN207772561U (zh) 一种接驳结构农用超宽无纺布
KR200404518Y1 (ko) 흑백 포지가 겹으로 된 과수용 피복시트
JPS5913808Y2 (ja) 樹木・苗木・野菜等の覆いに用いられる農業・林業用シ−ト材
KR20170046984A (ko) 친환경 농작물 재배를 위한 잡초성장억제용 햇빛차단덮개
JP3109946U (ja) リバ−シブル農業マルチシ−ト敷設ハウス
JP2001086882A (ja) 農業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