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2242B1 - 분체 도장용 건조로 - Google Patents

분체 도장용 건조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2242B1
KR101052242B1 KR1020100125407A KR20100125407A KR101052242B1 KR 101052242 B1 KR101052242 B1 KR 101052242B1 KR 1020100125407 A KR1020100125407 A KR 1020100125407A KR 20100125407 A KR20100125407 A KR 20100125407A KR 101052242 B1 KR101052242 B1 KR 101052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rying space
right moving
circumferential surface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5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식
Original Assignee
(주)태림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림산업 filed Critical (주)태림산업
Priority to KR1020100125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22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2Applications of driving mechanisms, not covered by another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체 도장용 건조로에 관한 것으로써, 본체의 건조공간 상측에 구비되는 건조공간조절부를 통해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피도체가 수용되는 건조공간의 크기를 피도체의 크기에 따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피도체를 열처리하는 과정 중에 필요이상의 열량이 손실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분체 도장용 건조로{A DRY ROOM APPARATUS FOR POWDER COATING}
본 발명은 본체의 건조공간 상측에 구비되는 건조공간조절부를 통해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피도체가 수용되는 건조공간의 크기를 피도체의 크기에 따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피도체를 열처리하는 과정 중에 필요이상의 열량이 손실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분체 도장용 건조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조공정에서 완성된 금속 제품의 표면에 분체도장을 취하는 이유는 제품을 구성하는 재질적 특성이나 용도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기는 하나, 대개 내식성, 내산성, 내약칼리성, 내습성, 내후성 등을 유지시켜 제품의 사용수면을 장구히 유지하고자 하는 목적과, 도막의 두께나 색상에 의해 표출되는 외표면의 품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제품에 대한 상품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분체도장을 전문적으로 행하는 각 업체에서는 도장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일정면적의 작업장 내에 전처리공정과 건조로가 배치되어 있고, 피도체의 크기에 따라 취사선택되는 자동 또는 수동식의 도장공정, 열처리 및 건조공정이 일정거리로 유격된 채 배치 고정되어 있고, 각 공정마다 피도체를 고정한 채 일정속도로 이송시켜 순환하는 행거장치가 일정궤도를 따라 순환하도록 배치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분체 도장 시스템 중 건조공정은 피도체의 표면에 도포된 특정의 분체를 융착, 즉 녹여붙여 마감하는 열처리 공정으로써, 이 건조공정을 반드시 거쳐야만 제품 표면의 도장 상태가 장구히 유지되게 되고, 원하는 색상과 광택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건조로는 그 내부 온도가 피도체의 두께나 분체의 종류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기는 하나, 대게 180℃ ~ 200℃의 고온을 유지하고 있고, 이러한 온도를 유지하고 있는 고온의 건조로를 피도체가 8 ~ 15분 동안 체류이동하는 것이 제품에 가장 이상적이다.
한편, 내부에 자동차 부품 등을 포함한 피도체(5)가 수용되는 상기 건조로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 본체(10)와 열풍공급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의 내부 상측에 구비되는 상부덕트(110)에는 열풍공급구(111)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덕트(110)는 상기 본체(10)의 내부 상측 양모서리 부위에 각각 구비되는 제 1, 2상부덕트(110a, 110b)로 구성된다.
상기 열풍공급구(111)는 상기 제 1상부덕트(110a)의 표면에 형성되는 제 1열풍공급구(111a)와; 상기 제 2상부덕트(110b)의 표면에 형성되는 제 2열풍공급구(111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내부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덕트(130)에는 열풍흡입구(131)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덕트(130)는 상기 본체(10)의 내부 하측 양모서리 부위에 각각 구비되는 제 1, 2하부덕트(130a, 130b)로 구성된다.
상기 열풍흡입구(131)는 상기 제 1하부덕트(130a)의 표면에 형성되는 제 1열풍흡입구(131a)와; 상기 제 2하부덕트(130b)의 표면에 형성되는 제 2열풍흡입구(131b);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열풍공급부(30)는 상기 본체(10)의 외부에 구비된다.
상기 열풍공급부(30)는 상기 본체(10)의 상부덕트(110) 및 하부덕트(130)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상부덕트(110)와 하부덕트(130)를 통해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열풍을 순환공급하게 된다.
상기 열풍공급부(30)는 제 1, 2공급관(301, 302), 송풍히터(303) 및 제 1, 2흡입관(304, 305)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2상부덕트(110a, 110b)는 상기 제 1, 2공급관(301, 302)을 통해 상기 송풍히터(303)의 토출구(미도시)와 연통연결된다.
상기 제 1, 2하부덕트(130a, 130b)는 상기 제 1, 2흡입관(304, 305)을 통해 상기 송풍히터(303)의 흡입구(미도시)와 연통연결된다.
이 상태에서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송풍히터(303)는 상기 제 1, 2공급관(301, 302)과 상기 제 1, 2흡입관(304, 305)을 통해 상기 건조로의 내부로 열풍을 순환공급하게 된다.(도 1의 실선화살표 참조.)
그러나, 상기 건조로는 상기 건조로 내부에 형성되는 건조공간(120)의 크기를 피도체(5)의 크기에 따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특히, 상기 건조공간(120)에 크기가 작은 피도체(5)가 수용될 경우 크기가 작은 피도체(5)를 열처리하는 과정 중에 필요이상의 열량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본체의 건조공간 상측에 구비되는 건조공간조절부를 통해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피도체가 수용되는 건조공간의 크기를 피도체의 크기에 따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피도체를 열처리하는 과정 중에 필요이상의 열량이 손실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분체 도장용 건조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 상측에 구비되는 상부덕트에 열풍공급구가 형성되고, 내부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덕트에 열풍흡입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덕트 및 하부덕트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상부덕트와 하부덕트를 통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열풍을 순환공급하는 열풍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분체 도장용 건조로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피도체가 수용되는 건조공간의 크기를 조절하는 건조공간조절부가 구비되고, 상기 건조공간조절부는 상기 본체의 건조공간 상측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과 상기 본체의 상측 내주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판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판의 상부면 각 테두리에 하측이 각각 연결되고, 상측이 상기 본체의 상측 내주면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차단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도장용 건조로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의 건조공간의 양측에 상기 건조공간의 크기를 조절하는 건조공간조절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건조공간조절부는 상기 본체의 건조공간의 일측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일측 좌우이동판과, 상기 본체의 건조공간의 타측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타측 좌우이동판으로 구성되는 좌우이동판과; 상기 일측 좌우이동판과 상기 본체의 건조공간의 일측 내주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일측 좌우이동판을 좌우이동시키는 일측 좌우이동부재와, 상기 타측 좌우이동판과 상기 본체의 건조공간의 타측 내주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타측 좌우이동판을 좌우이동시키는 타측 좌우이동부재로 구성되는 좌우이동부재와; 상기 일측 좌우이동판의 외주면 각 테두리에 타측이 각각 연결되고 일측이 상기 본체의 일측 내주면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일측 차단부재와, 상기 타측 좌우이동판의 외주면 각 테두리에 일측이 각각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의 타측 내주면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타측 차단부재로 구성되는 복수의 차단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건조공간조절부의 승강부재는 상기 본체의 상측 내주면에 구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축결합되는 리드스크류와; 상단부 일측과 하단부 일측이 각각 상기 본체의 상측 내주면과 상기 승강판의 상부면 일측에 축결합되고, 상단부 타측과 하단부 타측이 각각 상기 리드스크류에 나사결합 및 상기 승강판의 상부면 타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몸체내에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는 가이드슬릿내에 축결합되는 'X'형상의 중심부가 축결합된 상태인 접철식 링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건조공간조절부의 승강부재는 상기 본체의 상측 내주면에 구비되는 실린더와; 상단부 일측과 하단부 일측이 각각 상기 본체의 상측 내주면과 상기 승강판의 상부면 일측에 축결합되고, 상단부 타측과 하단부 타측이 각각 상기 실린더의 로드에 축결합 및 상기 승강판의 상부면 타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몸체내에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는 가이드슬릿내에 축결합되는 'X'형상의 중심부가 축결합된 상태인 접철식 링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건조공간조절부의 복수의 상기 차단부재는 주름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건조공간조절부의 복수의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본체의 상측 내주면에 고정되고, 내부에 태엽스프링을 포함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이 축결합된 상태로 구비되는 복수의 고정바와; 복수의 상기 고정바의 회전축에 상단부가 각각 연결고정되고, 하단부가 상기 승강판의 상부면 각 테두리에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태엽스프링을 포함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에 권취되는 복수의 차단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건조공간조절부의 복수의 상기 차단부재는 상단부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복수의 상기 차단부재의 내측방향으로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건조공간조절부의 좌우이동부재의 일측 좌우이동부재와 타측 좌우이동부재는 상기 본체의 양측 내주면에 각각 구비되는 일측 구동모터 및 타측 구동모터와; 상기 일측 구동모터 및 타측 구동모터와 축결합되는 일측 리드스크류 및 타측 리드스크류와; 상단부 일측과 상단부 타측이 각각 상기 일측 리드스크류와 나사결합 및 상기 일측 좌우이동판의 외주면 상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몸체내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는 가이드슬릿내에 축결합되고 하단부 일측과 하단부 타측이 각각 상기 본체의 일측 내주면과 상기 일측 좌우이동판의 외주면 하측에 축결합되는 'X'형상의 중심부가 축결합된 상태인 일측 접철식링크와; 상단부 일측과 상단부 타측이 각각 상기 타측 좌우이동판의 외주면 상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몸체내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는 가이드슬릿내에 축결합 및 상기 타측 리드스크류와 나사결합되고 하단부 일측과 하단부 타측이 각각 상기 타측 좌우이동판의 외주면 하측과 상기 본체의 타측 내주면에 축결합되는 'X'형상의 중심부가 축결합된 상태인 타측 접철식링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건조공간조절부의 좌우이동부재의 일측 좌우이동부재와 타측 좌우이동부재는 상기 본체의 양측 내주면에 각각 구비되는 일측 실린더 및 타측 실린더와; 상단부 일측과 상단부 타측이 각각 상기 일측 실린더의 로드에 축결합 및 상기 일측 좌우이동판의 외주면 상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몸체내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는 가이드슬릿내에 축결합되고 하단부 일측과 하단부 타측이 각각 상기 본체의 일측 내주면과 상기 일측 좌우이동판의 외주면 하측에 축결합되는 'X'형상의 중심부가 축결합된 상태인 일측 접철식링크와; 상단부 일측과 상단부 타측이 각각 상기 타측 좌우이동판의 외주면 상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몸체내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는 가이드슬릿내에 축결합 및 상기 타측 실린더의 로드에 축결합되고 하단부 일측과 하단부 타측이 각각 상기 타측 좌우이동판의 외주면 하측과 상기 본체의 타측 내주면에 축결합되는 'X'형상의 중심부가 축결합된 상태인 타측 접철식링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건조공간조절부의 복수의 차단부재는 주름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건조공간조절부의 복수의 차단부재의 일측 차단부재와 타측 차단부재는 상기 본체의 양측 내주면에 각각 고정되고, 내부에 태엽스프링을 포함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이 축결합된 상태로 구비되는 복수의 일측 고정바 및 복수의 타측 고정바와; 복수의 상기 일측 고정바의 회전축에 일단부가 각각 연결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일측 좌우이동판의 외주면 각 테두리에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태엽스프링을 포함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에 권취되는 복수의 일측 차단막과; 복수의 상기 타측 고정바의 회전축에 타단부가 각각 연결고정되고, 일단부가 상기 타측 좌우이동판의 외주면 각 테두리에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태엽스프링을 포함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에 권취되는 복수의 타측 차단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건조공간조절부의 복수의 상기 일측 차단부재는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복수의 상기 일측 차단부재의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고, 상기 건조공간조절부의 복수의 상기 타측 차단부재는 타단부에서 일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복수의 상기 타측 차단부재의 내측방향으로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본체의 건조공간 상측에 구비되는 건조공간조절부를 통해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피도체가 수용되는 건조공간의 크기를 피도체의 크기에 따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피도체를 열처리하는 과정 중에 필요이상의 열량이 손실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건조공간 상측에 구비되는 상기 건조공간조절부와 더불어 상기 본체의 건조공간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건조공간조절부를 통해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피도체가 수용되는 건조공간의 크기를 피도체의 크기에 따라 보다 더욱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피도체를 열처리하는 과정 중에 필요이상의 열량이 손실되는 것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건조공간 상측에 구비되는 상기 건조공간조절부의 승강부재가 구동모터, 리드스크류 및 접철식링크 또는 실린더와 접철식 링크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본체의 건조공간의 크기조절을 위해 상기 본체의 건조공간 상측에 구비되는 상기 건조공간조절부의 승강판을 보다 용이하게 승강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본체의 건조공간 상측에 구비되는 상기 건조공간조절부의 복수의 차단부재가 주름판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승강판의 승강에 따라 복수의 상기 차단부재의 상하길이가 보다 용이하게 신축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기 본체의 건조공간 상측에 구비되는 상기 건조공간조절부의 복수의 상기 차단부재가 복수의 고정바와, 복수의 상기 고정바의 회전축에 권취되는 복수의 차단막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승강판의 승강에 따라 복수의 상기 차단막의 상하길이 또한 보다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주름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본체의 건조공간 상측에 구비되는 상기 건조공간조절부의 복수의 상기 차단부재 및 복수의 상기 차단부재 중 복수의 상기 차단막이 각각 주름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차단부재의 내측방향 및 복수의 상기 차단부재 중 상기 차단막의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기 때문에 열풍공급부를 통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순환공급되는 열풍이 피도체로 보다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피도체의 열처리효율이 보다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건조공간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건조공간조절부의 좌우이동부재의 일측 좌우이동부재와 타측 좌우이동부재가 일측 구동모터 및 타측 구동모터와, 일측 리드스크류 및 타측 리드스크류와, 일측 접철식링크 및 타측 접철식 링크 또는 일측 실린더 및 타측 실린더와 일측 접철식링크와 타측 접철식링크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본체의 건조공간의 크기조절을 위해 상기 본체의 건조공간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건조공간조절부의 일측 좌우이동판과 타측 좌우이동판을 보다 용이하게 좌우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본체의 건조공간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건조공간조절부의 복수의 차단부재가 주름판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일측 좌우이동판과 타측 좌우이동판의 좌우이동에 따라 복수의 상기 차단부재의 좌우길이가 보다 용이하게 신축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기 본체의 건조공간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건조공간조절부의 복수의 상기 차단부재가 복수의 일측 고정바 및 타측 고정바와, 복수의 일측 고정바의 회전축 및 복수의 타측 고정바의 회전축에 각각 권취되는 복수의 일측 차단막 및 복수의 타측 차단막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일측 좌우이동판과 타측 좌우이동판의 좌우이동에 따라 복수의 상기 일측 차단막 및 복수의 타측 차단막의 좌우길이 또한 보다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주름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본체의 건조공간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건조공간조절부의 복수의 상기 차단부재 및 복수의 상기 차단부재 중 복수의 상기 일측 차단막과 복수의 상기 타측 차단막이 각각 주름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차단부재의 내측방향 및 복수의 상기 차단부재 중 상기 일측 차단막의 내측방향, 상기 타측 차단막의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기 때문에 열풍공급부를 통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순환공급되는 열풍이 피도체로 보다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피도체의 열처리효율이 보다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건조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분체 도장용 건조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 A선에 따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C - C선에 따른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D - D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인 분체 도장용 건조로는 크게, 내부 상측에 구비되는 상부덕트(도 1의 110)에 열풍공급구(도 1의 111)가 형성되고, 내부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덕트(도 1의 130)에 열풍흡입구(도 1의 131)가 형성되는 본체(도 1의 10)와; 상기 본체(10)의 상부덕트(110) 및 하부덕트(130)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상부덕트(110)와 하부덕트(130)를 통해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열풍을 순환공급하는 열풍공급부(도 1의 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와 상기 열풍공급부(30)는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분체 도장용 건조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도 3은 도 2의 A - A선에 따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한편,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자동차 부품 등을 포함한 피도체(5)가 수용되는 건조공간(120)에는 상기 건조공간(120)의 크기를 조절하는 건조공간조절부(50)가 구비된다.
상기 건조공간조절부(50)는 승강판(510), 승강부재(530) 및 복수의 차단부재(5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판(510)은 상기 본체(10)의 건조공간(120) 상측에 승강가능하게 수평구비된다.
상기 승강부재(530)는 복수의 상기 차단부재(550)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승강판(510)과 상기 본체(10)의 상측 내주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판(510)을 승강시키게 된다.
복수의 상기 차단부재(550)의 하측은 상기 승강판(510)의 상부면 각 테두리에 각각 연결된다.
복수의 상기 차단부재(550)의 상측은 상기 본체(10)의 상측 내주면에 각각 연결된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차단부재(550)는 역사다리꼴형상의 제 1, 2, 3, 4차단부재(550a, 550b, 550c, 550d)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차단부재(550a)의 하측은 상기 승강판(510)의 상부면 전측 테두리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형으로 연결고정되거나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차단부재(550a)의 상측은 상기 본체(10)의 상측 내주면 전측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형으로 연결고정되거나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차단부재(550b)의 하측은 상기 승강판(510)의 상부면 후측 테두리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형으로 연결고정되거나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차단부재(550b)의 상측은 상기 본체(10)의 상측 내주면 후측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형으로 연결고정되거나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3차단부재(550c)의 하측은 상기 승강판(510)의 상부면 일측 테두리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형으로 연결고정되거나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3차단부재(550c)의 상측은 상기 본체(10)의 상측 내주면 일측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형으로 연결고정되거나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4차단부재(550d)의 하측은 상기 승강판(510)의 상부면 타측 테두리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형으로 연결고정되거나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4차단부재(550d)의 상측은 상기 본체(10)의 상측 내주면 타측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형으로 연결고정되거나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건조공간(120)의 양측에는 상기 건조공간(120)의 크기를 조절하는 건조공간조절부(7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건조공간조절부(70)는 좌우이동판(710), 좌우이동부재(730) 및 복수의 차단부재(7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판(710)은 일측 좌우이동판(711)과 타측 좌우이동판(71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좌우이동판(711)은 상기 본체(10)의 건조공간(120)의 일측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좌우이동판(713)은 상기 본체(10)의 건조공간(120)의 타측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부재(730)는 복수의 상기 차단부재(75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부재(730)는 일측 좌우이동부재(731)와 타측 좌우이동부재(73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좌우이동부재(731)는 상기 일측 좌우이동판(711)과 상기 본체(10)의 건조공간(120)의 일측 내주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일측 좌우이동판(711)을 좌우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타측 좌우이동부재(733)는 상기 타측 좌우이동판(713)과 상기 본체(10)의 건조공간(120)의 타측 내주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타측 좌우이동판(713)을 좌우이동시킬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차단부재(750)는 복수의 일측 차단부재(751)와 복수의 타측 차단부재(753)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일측 차단부재(751)의 타측은 상기 일측 좌우이동판(711)의 외주면 각 테두리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일측 차단부재(751)의 일측은 상기 본체(10)의 일측 내주면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타측 차단부재(753)의 일측은 상기 타측 좌우이동판(713)의 외주면 각 테두리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타측 차단부재(753)의 타측은 상기 본체(10)의 타측 내주면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일측 차단부재(751)는 역사다리꼴 형상의 제 1, 2, 3, 4일측 차단부재(751c, 751d, 751e, 751f)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일측 차단부재(751c)의 타측은 상기 일측 좌우이동판(711)의 외주면 전측 테두리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형으로 연결고정되거나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일측 차단부재(751c)의 일측은 상기 본체(10)의 일측 내주면 전측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형으로 연결고정되거나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일측 차단부재(751d)의 타측은 상기 일측 좌우이동판(711)의 외주면 후측 테두리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형으로 연결고정되거나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일측 차단부재(751d)의 일측은 상기 본체(10)의 일측 내주면 후측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형으로 연결고정되거나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3일측 차단부재(751e)의 타측은 상기 일측 좌우이동판(711)의 외주면 상측 테두리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형으로 연결고정되거나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3일측 차단부재(751e)의 일측은 상기 본체(10)의 일측 내주면 상측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형으로 연결고정되거나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4일측 차단부재(751f)의 타측은 상기 일측 좌우이동판(711)의 외주면 하측 테두리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형으로 연결고정되거나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4일측 차단부재(751f)의 일측은 상기 본체(10)의 일측 내주면 하측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형으로 연결고정되거나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타측 차단부재(753)는 역사다리꼴 형상의 제 1, 2, 3, 4타측 차단부재(753c, 753d, 753e, 753f)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타측 차단부재(753c)의 일측은 상기 타측 좌우이동판(713)의 외주면 전측 테두리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형으로 연결고정되거나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타측 차단부재(753c)의 타측은 상기 본체(10)의 타측 내주면 전측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형으로 연결고정되거나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타측 차단부재(753d)의 일측은 상기 타측 좌우이동판(713)의 외주면 후측 테두리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형으로 연결고정되거나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타측 차단부재(753d)의 타측은 상기 본체(10)의 타측 내주면 후측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형으로 연결고정되거나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3타측 차단부재(753e)의 일측은 상기 타측 좌우이동판(713)의 외주면 상측 테두리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형으로 연결고정되거나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3타측 차단부재(753e)의 타측은 상기 본체(10)의 타측 내주면 상측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형으로 연결고정되거나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4타측 차단부재(753f)의 일측은 상기 타측 좌우이동판(713)의 외주면 하측 테두리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형으로 연결고정되거나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4타측 차단부재(753f)의 타측은 상기 본체(10)의 타측 내주면 하측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형으로 연결고정되거나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건조공간(120) 상측에 구비되는 상기 건조공간조절부(50)와 더불어 상기 본체(10)의 건조공간(120)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건조공간조절부(70)를 통해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피도체(5)가 수용되는 상기 건조공간(120)의 크기를 피도체(5)의 크기에 따라 보다 더욱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피도체(5)를 열처리하는 과정 중에 필요이상의 열량이 손실되는 것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건조공간조절부(50)의 승강부재(530)는 구동모터(531), 리드스크류(533) 및 접철식 링크(5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531)는 상기 본체(10)의 상측 내주면 타측에 수평으로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533)는 상기 구동모터(531)와 수평으로 축결합될 수 있다.
'X'형상의 중심부가 축결합된 상태인 상기 접철식 링크(535)의 상단부 일측은 상기 본체(10)의 상측 내주면 일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철식 링크(535)의 하단부 일측은 상기 승강판(510)의 상부면 일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철식 링크(535)의 상단부 타측에 이동몸체(535a)의 하측이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철식 링크(535)의 상단부 타측에 하측이 축결합된 상기 이동몸체(535a)는 상기 리드스크류(533)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철식 링크(535)의 하단부 타측은 상기 승강판(510)의 상부면 타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몸체(511)내에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는 가이드슬릿(513)내에 축결합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531)가 상기 리드스크류(533)를 정역회전시킬 시 상기 이동몸체(535a)는 좌우이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접철식 링크(535)는 상하방향으로 접철되어 상기 승강판(510)을 승강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건조공간조절부(50)의 승강부재(530)는 실린더(532)와 접철식 링크(534)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실린더(532)는 상기 본체(10)의 상측 내주면 타측에 수평으로 볼트고정될 수 있다.
'X'형상의 중심부가 축결합된 상태인 상기 접철식 링크(534)의 상단부 일측은 상기 본체(10)의 상측 내주면 일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철식 링크(534)의 하단부 일측은 상기 승강판(510)의 상부면 일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철식 링크(534)의 상단부 타측은 상기 실린더(532)의 로드(532a)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철식 링크(534)의 하단부 타측은 상기 승강판(510)의 상부면 타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몸체(511)내에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는 가이드슬릿(513)내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실린더(532)의 로드(532a)의 길이가 좌우방향으로 신축될 시 상기 접철식 링크(534)는 상하방향으로 접철되어 상기 승강판(510)을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건조공간(120) 상측에 구비되는 상기 건조공간조절부(50)의 승강부재(530)가 구동모터(531), 리드스크류(533) 및 접철식링크(535) 또는 실린더(532)와 접철식 링크(534)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본체(10)의 건조공간(120)의 크기조절을 위해 상기 본체(10)의 건조공간(120) 상측에 구비되는 상기 건조공간조절부(50)의 승강판(510)을 보다 용이하게 승강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건조공간조절부(50)의 복수의 상기 차단부재(550)는 주름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건조공간(120) 상측에 구비되는 상기 건조공간조절부(50)의 복수의 상기 차단부재(550)가 주름판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승강판(510)의 승강에 따라 복수의 상기 차단부재(550)의 상하길이가 보다 용이하게 신축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C - C선에 따른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D - 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건조공간조절부(50)의 복수의 상기 차단부재(550)는 복수의 고정바(551)와 복수의 차단막(55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상기 고정바(551)는 제 1, 2, 3, 4고정바(551b, 551c, 551d, 551e)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10)의 상측 내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고정바(551b)는 상기 본체(10)의 상측 내주면 전측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고정바(551c)는 상기 본체(10)의 상측 내주면 후측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3고정바(551d)는 상기 본체(10)의 상측 내주면 일측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4고정바(551e)는 상기 본체(10)의 상측 내주면 타측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고정바(551)의 내부에는 공지된 태엽스프링을 포함한 탄성부재(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회전축(551a)의 양단부가 축결합된 상태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551a)은 상기 제 1, 2, 3, 4고정바(551b, 551c, 551d, 551e)의 내부에 각각 축결합된 상태로 수평구비되어 공지된 태엽스프링을 포함한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제 1, 2, 3, 4회전축(551a1, 551a2, 551a3, 551a4)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차단막(553)의 상단부는 복수의 상기 고정바(551)의 회전축(551a)에 각각 연결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차단막(553)의 하단부는 상기 승강판(510)의 상부면 각 테두리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차단막(553)은 공지된 태엽스프링을 포함한 탄성부재(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상기 회전축(551a)에 권취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차단막(553)은 역사다리꼴 형상의 얇은 두께의 알루미늄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제 1, 2, 3, 4차단막(553a, 553b, 553c, 553d)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차단막(553a)의 상단부는 상기 제 1회전축(551a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차단막(553a)의 하단부는 상기 승강판(510)의 상부면 전측 테두리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형으로 연결고정되거나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차단막(553b)의 상단부는 상기 제 2회전축(551a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차단막(553b)의 하단부는 상기 승강판(510)의 상부면 후측 테두리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형으로 연결고정되거나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3차단막(553c)의 상단부는 상기 제 3회전축(551a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3차단막(553c)의 하단부는 상기 승강판(510)의 상부면 일측 테두리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형으로 연결고정되거나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4차단막(553d)의 상단부는 상기 제 4회전축(551a4)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4차단막(553d)의 하단부는 상기 승강판(510)의 상부면 타측 테두리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형으로 연결고정되거나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건조공간(120) 상측에 구비되는 상기 건조공간조절부(50)의 복수의 상기 차단부재(550)가 복수의 고정바(551)와, 복수의 상기 고정바(551)의 회전축(551a)에 권취되는 복수의 차단막(553)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승강판(510)의 승강에 따라 복수의 상기 차단막(553)의 상하길이 또한 보다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2,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건조공간조절부(50)의 복수의 상기 차단부재(550)는 상단부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복수의 상기 차단부재(550)의 내측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차단부재(550)를 이루는 상기 주름판은 상단부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주름판 내측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차단부재(550) 중 복수의 상기 차단막(553)은 상단부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차단막(553)의 내측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주름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본체(10)의 건조공간(120) 상측에 구비되는 상기 건조공간조절부(50)의 복수의 상기 차단부재(550) 및 복수의 상기 차단부재(550) 중 복수의 상기 차단막(553)이 각각 주름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차단부재(550)의 내측방향 및 복수의 상기 차단부재(550) 중 상기 차단막(553)의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기 때문에 상기 열풍공급부(30)를 통해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순환공급되는 열풍이 피도체(5)로 보다 용이하게 전달(도 2의 실선화살표 참조.)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피도체(5)의 열처리효율이 보다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건조공간조절부(70)의 좌우이동부재(730)와 타측 좌우이동부재(733)는 일측 구동모터(731a) 및 타측 구동모터(733a)와, 일측 리드스크류(731b) 및 타측 리드스크류(733b)와, 일측 접철식링크(731c) 및 타측 접철식링크(733c)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일측 구동모터(731a) 및 타측 구동모터(733a)는 상기 본체(10)의 양측 내주면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 리드스크류(731b) 및 타측 리드스크류(733b)는 상기 일측 구동모터(731a) 및 타측 구동모터(733a)와 각각 수직으로 축결합될 수 있다.
'X'형상의 중심부가 축결합된 상태인 상기 일측 접철식링크(731c)의 상단부 일측에 이동몸체(731c1)의 타측이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접철식링크(731c)의 상단부 일측에 타측이 축결합된 상기 이동몸체(731c1)는 상기 일측 리드스크류(731b)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접철식링크(731c)의 상단부 타측은 상기 일측 좌우이동판(711)의 외주면 상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몸체(712)내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는 가이드슬릿(712a)내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접철식링크(731c)의 하단부 일측은 상기 본체(10)의 일측 내주면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접철식링크(731c)의 하단부 타측은 상기 일측 좌우이동판(711)의 외주면 하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X'형상의 중심부가 축결합된 상태인 타측 접철식링크(733c)의 상단부 일측은 상기 타측 좌우이동판(713)의 외주면 상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몸체(714)내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는 가이드슬릿(714a)내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접철식링크(733c)의 상단부 타측에 이동몸체(733c1)의 일측이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접철식링크(733c)의 상단부 타측에 일측이 축결합된 상기 이동몸체(733c1)는 상기 타측 리드스크류(733b)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접철식링크(733c)의 하단부 일측은 상기 타측 좌우이동판(713)의 외주면 하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접철식링크(733c)의 하단부 타측은 상기 본체(10)의 타측 내주면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일측 구동모터(731a) 및 타측 구동모터(733a)가 상기 일측 리드스크류(731b) 및 타측 리드스크류(733b)를 정역회전시킬 시 상기 이동몸체(731c1, 733c1)은 상하이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일측 접철식링크(731c) 및 타측 접철식링크(733c)는 좌우방향으로 접철되어 상기 일측 좌우이동판(711) 및 타측 좌우이동판(713)을 좌우이동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건조공간조절부(70)의 좌우이동부재(730)의 일측 좌우이동부재(731)와 타측 좌우이동부재(733)는 일측 실린더(731d) 및 타측 실린더(733d)와, 일측 접철식링크(731e) 및 타측 접철식링크(733e)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일측 실린더(731d) 및 타측 실린더(733d)는 상기 본체(10)의 양측 내주면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X'형상의 중심부가 축결합된 상태인 상기 일측 접철식링크(731e)의 상단부 일측은 상기 일측 실린더(731d)의 로드(731d1)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접철식링크(731e)의 상단부 타측은 상기 일측 좌우이동판(711)의 외주면 상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몸체(712)내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는 가이드슬릿(712a)내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접철식링크(731e)의 하단부 일측은 상기 본체(10)의 일측 내주면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접철식링크(731e)의 하단부 타측은 상기 일측 좌우이동판(711)의 외주면 하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X'형상의 중심부가 축결합된 상태인 상기 타측 접철식링크(733e)의 상단부 일측은 상기 타측 좌우이동판(713)의 외주면 상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몸체(714)내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는 가이드슬릿(714a)내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접철식링크(733e)의 상단부 타측은 상기 타측 실린더(733d)의 로드(733d1)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접철식링크(733e)의 하단부 일측은 상기 타측 좌우이동판(713)의 외주면 하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접철식링크(733e)의 하단부 타측은 상기 본체(10)의 타측 내주면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일측 실린더(731d)의 로드(731d1)의 길이 및 상기 타측 실린더(733d)의 로드(733d1)의 길이가 상하방향으로 신축될 시 상기 일측 접철식링크(731e) 및 타측 접철식링크(733e)는 좌우방향으로 접철되어 상기 일측 좌우이동판(711) 및 타측 좌우이동판(713)을 좌우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건조공간(120)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건조공간조절부(70)의 좌우이동부재(730)의 일측 좌우이동부재(731)와 타측 좌우이동부재(733)가 일측 구동모터(931a) 및 타측 구동모터(733a)와, 일측 리드스크류(731b) 및 타측 리드스크류(733b)와, 일측 접철식링크(731c) 및 타측 접철식 링크(733c) 또는 일측 실린더(731d) 및 타측 실린더(733d)와 일측 접철식링크(731e)와 타측 접철식링크(733e)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본체(10)의 건조공간(120)의 크기조절을 위해 상기 본체(10)의 건조공간(120)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건조공간조절부(70)의 일측 좌우이동판(711)과 타측 좌우이동판(713)을 보다 용이하게 좌우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2,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건조공간조절부(70)의 복수의 차단부재(750)는 주름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건조공간(120)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건조공간조절부(70)의 복수의 상기 차단부재(750)가 주름판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일측 좌우이동판(711)과 타측 좌우이동판(713)의 좌우이동에 따라 복수의 상기 차단부재(750)의 좌우길이가 보다 용이하게 신축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건조공간조절부(70)의 복수의 차단부재(750)의 일측 차단부재(751)와 타측 차단부재(753)는 복수의 일측 고정바(751a) 및 복수의 타측 고정바(753a)와, 복수의 일측 차단막(751b) 및 복수의 타측 차단막(753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일측 고정바(751a)는 제 1, 2, 3, 4일측 고정바(751a2, 751a3, 751a4, 751a5)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10)의 일측 내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일측 고정바(751a2)는 상기 본체(10)의 일측 내주면 전측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일측 고정바(751a3)는 상기 본체(10)의 일측 내주면 후측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3일측 고정바(751a4)는 상기 본체(10)의 일측 내주면 상측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4일측 고정바(751a5)는 상기 본체(10)의 일측 내주면 하측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일측 고정바(751a)의 내부에는 공지된 태엽스프링을 포함한 탄성부재(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회전축(751a1)의 양단부가 축결합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751a1)은,
상기 제 1, 2, 3, 4일측 고정바(751a2, 751a3, 751a4, 751a5)의 내부에 각각 축결합된 상태로 구비되어 공지된 태엽스프링을 포함한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제 1, 2, 3, 4회전축(751a11, 751a12, 751a13 ,751a14)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타측 고정바(753a)는 제 1, 2, 3, 4타측 고정바(753a2, 753a3, 753a4, 753a5)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10)의 타측 내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타측 고정바(753a2)는 상기 본체(10)의 타측 내주면 전측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타측 고정바(753a3)는 상기 본체(10)의 타측 내주면 후측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3타측 고정바(753a4)는 상기 본체(10)의 타측 내주면 상측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4타측 고정바(753a5)는 상기 본체(10)의 타측 내주면 하측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타측 고정바(753a)의 내부에는 공지된 태엽스프링을 포함한 탄성부재(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회전축(753a1)의 양단부가 축결합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753a1)은,
상기 제 1, 2, 3, 4타측 고정바(753a2, 753a3, 753a4, 753a5)의 내부에 각각 축결합된 상태로 구비되어 공지된 태엽스프링을 포함한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제 1, 2, 3, 4회전축(753a11 ,753a12 ,753a13 ,753a14)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일측 차단막(751b)의 일단부는 복수의 상기 일측 고정바(751a)의 회전축(751a1)에 각각 연결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일측 차단막(751b)의 타단부는 상기 일측 좌우이동판(711)의 외주면 각 테두리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일측 차단막(751b)은 공지된 태엽스프링을 포함한 탄성부재(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751a1)에 권취될 수 있다.
도 6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일측 차단막(751b)은 역사다리꼴 형상의 얇은 두께의 알루미늄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제 1, 2, 3, 4일측 차단막(751b1, 751b2, 751b3, 751b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일측 차단막(751b1)의 일단부는 상기 제 1회전축(751a1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일측 차단막(751b1)의 타단부는 상기 일측 좌우이동판(711)의 외주면 전측 테두리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형으로 연결고정되거나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일측 차단막(751b2)의 일단부는 상기 제 2회전축(751a1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일측 차단막(751b2)의 타단부는 상기 일측 좌우이동판(711)의 외주면 후측 테두리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형으로 연결고정되거나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3일측 차단막(751b3)의 일단부는 상기 제 3회전축(751a1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3일측 차단막(751b3)의 타단부는 상기 일측 좌우이동판(711)의 외주면 상측 테두리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형으로 연결고정되거나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4일측 차단막(751b4)의 일단부는 상기 제 4회전축(751a14)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4일측 차단막(751b4)의 타단부는 상기 일측 좌우이동판(711)의 외주면 하측 테두리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형으로 연결고정되거나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타측 차단막(753b)의 타단부는 상기 회전축(753a1)에 각각 연결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타측 차단막(753b)의 일단부는 상기 타측 좌우이동판(713)의 외주면 각 테두리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타측 차단막(753b)은 공지된 태엽스프링을 포함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753a1)에 권취될 수 있다.
도 6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타측 차단막(753b)은 역사다리꼴 형상의 얇은 두께의 알루미늄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제 1, 2, 3, 4타측 차단막(753b1, 753b2, 753b3, 753b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타측 차단막(753b1)의 타단부는 상기 제 1회전축(753a1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타측 차단막(753b1)의 일단부는 상기 타측 좌우이동판(713)의 외주면 전측 테두리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형으로 연결고정되거나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타측 차단막(753b2)의 타단부는 상기 제 2회전축(753a1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타측 차단막(753b2)의 일단부는 상기 타측 좌우이동판(713)의 외주면 후측 테두리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형으로 연결고정되거나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3타측 차단막(753b3)의 타단부는 상기 제 3회전축(753a1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3타측 차단막(753b3)의 일단부는 상기 타측 좌우이동판(713)의 외주면 상측 테두리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형으로 연결고정되거나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4타측 차단막(753b4)의 타단부는 상기 제 4회전축(753a14)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4타측 차단막(753b4)의 일단부는 상기 타측 좌우이동판(713)의 외주면 하측 테두리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형으로 연결고정되거나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건조공간(120)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건조공간조절부(70)의 복수의 상기 차단부재(750)가 복수의 일측 고정바(751a) 및 타측 고정바(753a)와, 복수의 일측 고정바(751a)의 회전축(751a1) 및 복수의 타측 고정바(753a)의 회전축(753a1)에 각각 권취되는 복수의 일측 차단막(751b) 및 복수의 타측 차단막(753b)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일측 좌우이동판(711)과 타측 좌우이동판(713)의 좌우이동에 따라 복수의 상기 일측 차단막(751b) 및 복수의 타측 차단막(753b)의 좌우길이 또한 보다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2, 도 4, 도 5, 도 6, 도 8,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건조공간조절부(70)의 복수의 상기 일측 차단부재(751)는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복수의 상기 일측 차단부재(751)의 내측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건조공간조절부(70)의 복수의 상기 타측 차단부재(753)는 타단부에서 일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복수의 상기 타측 차단부재(753)의 내측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일측 차단부재(751)를 이루는 상기 주름판은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주름판 내측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고,
복수의 상기 타측 차단부재(753)를 이루는 상기 주름판은 타단부에서 일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주름판 내측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일측 차단부재(751) 중 복수의 상기 일측 차단막(751b)은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일측 차단막(751b)의 내측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고,
복수의 상기 타측 차단부재(753) 중 복수의 상기 타측 차단막(753b)은 타단부에서 일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타측 차단막(753b)의 내측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주름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본체(10)의 건조공간(120)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건조공간조절부(70)의 복수의 상기 차단부재(750) 및 복수의 상기 차단부재(750) 중 복수의 상기 일측 차단막(751b)과 복수의 상기 타측 차단막(753b)이 각각 주름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차단부재(750)의 내측방향 및 복수의 상기 차단부재(750) 중 상기 일측 차단막(751b)의 내측방향, 상기 타측 차단막(753b)의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기 때문에 상기 열풍공급부(30)를 통해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순환공급되는 열풍이 피도체(5)로 보다 용이하게 전달(도 2의 실선화살표 참조.)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피도체(5)의 열처리효율이 보다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본체(10)의 건조공간(120) 상측에 구비되는 상기 건조공간조절부(50)를 통해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피도체(5)가 수용되는 건조공간(120)의 크기를 피도체(5)의 크기에 따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피도체(5)를 열처리하는 과정 중에 필요이상의 열량이 손실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본체, 30; 열풍공급부,
50, 70; 건조공간조절부.

Claims (12)

  1. 내부 상측에 구비되는 상부덕트(110)에 열풍공급구(111)가 형성되고, 내부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덕트(130)에 열풍흡입구(131)가 형성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부덕트(110) 및 하부덕트(130)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상부덕트(110)와 하부덕트(130)를 통해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열풍을 순환공급하는 열풍공급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분체 도장용 건조로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피도체(5)가 수용되는 건조공간(120)의 크기를 조절하는 건조공간조절부(50)가 구비되고,
    상기 건조공간조절부(50)는 상기 본체(10)의 건조공간(120) 상측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판(510)과;
    상기 승강판(510)과 상기 본체(10)의 상측 내주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판(510)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재(530)와;
    상기 승강판(510)의 상부면 각 테두리에 하측이 각각 연결되고, 상측이 상기 본체(10)의 상측 내주면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차단부재(5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도장용 건조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건조공간(120)의 양측에 상기 건조공간(120)의 크기를 조절하는 건조공간조절부(70)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건조공간조절부(70)는 상기 본체(10)의 건조공간(120)의 일측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일측 좌우이동판(711)과, 상기 본체(10)의 건조공간(120)의 타측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타측 좌우이동판(713)으로 구성되는 좌우이동판(710)과;
    상기 일측 좌우이동판(711)과 상기 본체(10)의 건조공간(120)의 일측 내주면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일측 좌우이동판(711)을 좌우이동시키는 일측 좌우이동부재(731)와, 상기 타측 좌우이동판(713)과 상기 본체(10)의 건조공간(120)의 타측 내주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타측 좌우이동판(713)을 좌우이동시키는 타측 좌우이동부재(733)로 구성되는 좌우이동부재(730)와;
    상기 일측 좌우이동판(711)의 외주면 각 테두리에 타측이 각각 연결되고 일측이 상기 본체(10)의 일측 내주면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일측 차단부재(751)와, 상기 타측 좌우이동판(713)의 외주면 각 테두리에 일측이 각각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10)의 타측 내주면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타측 차단부재(753)로 구성되는 복수의 차단부재(7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도장용 건조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공간조절부(50)의 승강부재(530)는 상기 본체(10)의 상측 내주면에 구비되는 구동모터(531)와;
    상기 구동모터(531)와 축결합되는 리드스크류(533)와;
    상단부 일측과 하단부 일측이 각각 상기 본체(10)의 상측 내주면과 상기 승강판(510)의 상부면 일측에 축결합되고, 상단부 타측과 하단부 타측이 각각 상기 리드스크류(533)에 나사결합 및 상기 승강판(510)의 상부면 타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몸체(511)내에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는 가이드슬릿(513)내에 축결합되는 'X'형상의 중심부가 축결합된 상태인 접철식 링크(5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도장용 건조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공간조절부(50)의 승강부재(530)는 상기 본체(10)의 상측 내주면에 구비되는 실린더(532)와;
    상단부 일측과 하단부 일측이 각각 상기 본체(10)의 상측 내주면과 상기 승강판(510)의 상부면 일측에 축결합되고, 상단부 타측과 하단부 타측이 각각 상기 실린더(532)의 로드(532a)에 축결합 및 상기 승강판(510)의 상부면 타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몸체(511)내에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는 가이드슬릿(513)내에 축결합되는 'X'형상의 중심부가 축결합된 상태인 접철식 링크(5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도장용 건조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공간조절부(50)의 복수의 상기 차단부재(550)는 주름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도장용 건조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공간조절부(50)의 복수의 상기 차단부재(550)는 상단부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복수의 상기 차단부재(550)의 내측방향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도장용 건조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공간조절부(70)의 좌우이동부재(730)의 일측 좌우이동부재(731)와 타측 좌우이동부재(733)는 상기 본체(10)의 양측 내주면에 각각 구비되는 일측 구동모터(731a) 및 타측 구동모터(733a)와;
    상기 일측 구동모터(731a) 및 타측 구동모터(733a)와 축결합되는 일측 리드스크류(731b) 및 타측 리드스크류(733b)와;
    상단부 일측과 상단부 타측이 각각 상기 일측 리드스크류(731b)와 나사결합 및 상기 일측 좌우이동판(711)의 외주면 상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몸체(712)내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는 가이드슬릿(712a)내에 축결합되고 하단부 일측과 하단부 타측이 각각 상기 본체(10)의 일측 내주면과 상기 일측 좌우이동판(711)의 외주면 하측에 축결합되는 'X'형상의 중심부가 축결합된 상태인 일측 접철식링크(731c)와;
    상단부 일측과 상단부 타측이 각각 상기 타측 좌우이동판(713)의 외주면 상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몸체(714)내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는 가이드슬릿(714a)내에 축결합 및 상기 타측 리드스크류(733b)와 나사결합되고 하단부 일측과 하단부 타측이 각각 상기 타측 좌우이동판(713)의 외주면 하측과 상기 본체(10)의 타측 내주면에 축결합되는 'X'형상의 중심부가 축결합된 상태인 타측 접철식링크(733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도장용 건조로.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공간조절부(70)의 좌우이동부재(730)의 일측 좌우이동부재(731)와 타측 좌우이동부재(733)는 상기 본체(10)의 양측 내주면에 각각 구비되는 일측 실린더(731d) 및 타측 실린더(733d)와;
    상단부 일측과 상단부 타측이 각각 상기 일측 실린더(731d)의 로드(731d1)에 축결합 및 상기 일측 좌우이동판(711)의 외주면 상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몸체(712)내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는 가이드슬릿(712a)내에 축결합되고 하단부 일측과 하단부 타측이 각각 상기 본체(10)의 일측 내주면과 상기 일측 좌우이동판(711)의 외주면 하측에 축결합되는 'X'형상의 중심부가 축결합된 상태인 일측 접철식링크(731e)와;
    상단부 일측과 상단부 타측이 각각 상기 타측 좌우이동판(713)의 외주면 상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몸체(714)내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는 가이드슬릿(714a)내에 축결합 및 상기 타측 실린더(733d)의 로드(733d1)에 축결합되고 하단부 일측과 하단부 타측이 각각 상기 타측 좌우이동판(713)의 외주면 하측과 상기 본체(10)의 타측 내주면에 축결합되는 'X'형상의 중심부가 축결합된 상태인 타측 접철식링크(733e);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도장용 건조로.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공간조절부(70)의 복수의 차단부재(750)는 주름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도장용 건조로.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공간조절부(70)의 복수의 상기 일측 차단부재(751)는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복수의 상기 일측 차단부재(751)의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고,
    상기 건조공간조절부(70)의 복수의 상기 타측 차단부재(753)는 타단부에서 일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복수의 상기 타측 차단부재(753)의 내측방향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도장용 건조로.
  11. 삭제
  12. 삭제
KR1020100125407A 2010-12-09 2010-12-09 분체 도장용 건조로 KR101052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407A KR101052242B1 (ko) 2010-12-09 2010-12-09 분체 도장용 건조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407A KR101052242B1 (ko) 2010-12-09 2010-12-09 분체 도장용 건조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2242B1 true KR101052242B1 (ko) 2011-07-27

Family

ID=44924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5407A KR101052242B1 (ko) 2010-12-09 2010-12-09 분체 도장용 건조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22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7611A (ko) * 2013-11-20 2015-05-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블록 건조를 위한 공기순환장치
CN104807293A (zh) * 2015-05-19 2015-07-29 长沙市跃奇节能电气设备贸易有限公司 一种烟火药干燥系统
KR101743491B1 (ko) * 2016-11-14 2017-06-05 한인찬 열효율이 우수한 분체도장 가변 건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2296A (ko) * 2003-04-26 2004-11-03 조상현 접철식 세탁물 건조기
KR100980357B1 (ko) 2009-11-17 2010-09-06 김동규 쓰레기 정량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2296A (ko) * 2003-04-26 2004-11-03 조상현 접철식 세탁물 건조기
KR100980357B1 (ko) 2009-11-17 2010-09-06 김동규 쓰레기 정량 공급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7611A (ko) * 2013-11-20 2015-05-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블록 건조를 위한 공기순환장치
KR102124436B1 (ko) * 2013-11-20 2020-06-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블록 건조를 위한 공기순환장치
CN104807293A (zh) * 2015-05-19 2015-07-29 长沙市跃奇节能电气设备贸易有限公司 一种烟火药干燥系统
KR101743491B1 (ko) * 2016-11-14 2017-06-05 한인찬 열효율이 우수한 분체도장 가변 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2242B1 (ko) 분체 도장용 건조로
EP0706021B1 (de) Trockner für eine Lackieranlage
KR10223576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05736421A (zh) 一种能够调节风向的负压风机
CN105546784B (zh) 空调器及其室内机
CN105562262A (zh) 一种金属管加热喷涂装置及其使用方法
EP3726960A1 (en) Greenhouse
CN104457065A (zh) 除霜清灰装置、具有其的换热器及除霜清灰方法
US11084616B2 (en) Shrink wrap tunnel
CA2776685A1 (en) Air curtain device and method for realizing a horizontal air curtain with additional airflow
KR100232674B1 (ko) 열교환기의 자동용접장치
MX2008013593A (es) Instalacion para tratamiento termico de productos colocados sobre una tarima o similares.
CN107328072A (zh) 室内机出风组件、室内机及其控制方法
GB2524887A (en) Flow regulating device for a vehicle, in particular a motor vehicle
CN111549572A (zh) 一种化工生产有机材料装置
CN215393372U (zh) 一种多向焊接保护棚
CN206392369U (zh) 一种蜂窝板涂层双面烘干装置
CN101849705B (zh) 滚筒烘丝机的烟丝烘干控制系统
CN105066253B (zh) 风管机
CN212720662U (zh) 一种可调式服装加工用限位组件
CN205821410U (zh) 一种用于弹簧加工的转动式回火炉
CN211217260U (zh) 智能喷涂生产系统
CN103643205B (zh) 一种真空镀膜机
CN209968838U (zh) 一种喷漆件烘干装置
CN208108320U (zh) 空调柜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