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4436B1 - 블록 건조를 위한 공기순환장치 - Google Patents

블록 건조를 위한 공기순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4436B1
KR102124436B1 KR1020130141172A KR20130141172A KR102124436B1 KR 102124436 B1 KR102124436 B1 KR 102124436B1 KR 1020130141172 A KR1020130141172 A KR 1020130141172A KR 20130141172 A KR20130141172 A KR 20130141172A KR 102124436 B1 KR102124436 B1 KR 102124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tent
permanent magnet
factory
air circ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1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7611A (ko
Inventor
김성락
김상준
오형순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1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436B1/ko
Publication of KR20150057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7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21/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19/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및 해양구조물의 블록 건조를 위한 공기순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장공장 내의 공기순환을 위한 최적화된 공간을 만들어서 블록 전처리, 도장에 대한 선행조건 유지와 도장된 블록의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공기순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장 내에 주입된 공기의 순환이 최적화되도록 상기 공장 내의 벽면과 블록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천막; 상기 공장 내의 벽면에 고정 설치되며, 다양한 형태의 상기 블록에 대응하여 상기 천막을 감고 풀기 위한 천막 롤; 및 상기 블록의 도장보류부와 각각 연결되는 상기 천막의 끝 단부에 영구자석이 삽입되어 상기 블록을 고정시키기 위한 영구자석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건조를 위한 공기순환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블록 건조를 위한 공기순환장치{Apparatus of air circulation of block dry}
본 발명은 선박 및 해양구조물의 블록 건조를 위한 공기순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장공장 내의 공기순환을 위한 최적화된 공간을 만들어서 블록 전처리, 도장에 대한 선행조건 유지와 도장된 블록의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공기순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선박 및 해양구조물의 블록단위의 도장 작업은 환경오염 방지 및 품질 유지를 위해서 도장공장 내부에서 선행도장 작업이 이루어진다. 습기가 많은 날이나 추운 날씨에는 도장대상 블록에 제습 및 히팅 작업이 요구된다. 이는 도장 품질을 만족시키기 위해 도장작업 전(前), 중(中), 후(後) 에너지의 소비량이 큰 제습기와 히터기를 이용하여 운용된다.
또한, 도장 작업을 위해서나 도장 작업 이후에 트랜스포터를 이용하여 대상 블록 이동하기 위해서는 도장공장의 출입문을 개폐하게 된다. 이때 도장공장 안의 제습, 히팅되었던 공기들이 밖으로 배출되어, 다시 도장작업 조건을 맞추기 위해서는 소비되는 에너지량이 매우 크다.
도 1은 종래의 도장공장 내에 블록이 적치되지 않은 텅빈 공장 내의 공기순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도장공장 내에 블록이 적치되었을 경우 공기순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종래 도장공장의 블록건조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도장공장 내에 블록이 적치되지 않았을 경우 공기순환 상태는 히터(10)로부터 주입된 공기의 순환이 화살표의 진행방향으로 일정하게 순환됨을 알 수 있으며, 도 2에서와 같이 도장공장 내에 블록(20)이 적치되었을 경우 공기순환 상태는 히터(또는 제습기)(12)로부터 주입된 공기의 순환이 적치된 블록(20) 공간만큼을 제외한 화살표의 진행방향으로 순환됨을 알 수 있다. 이때, 대부분의 블록(20) 높이 대비 도장공장 높이가 높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도장공장 내의 블록건조 과정은 히터(또는 제습기)(12)로부터 여러 개의 주입통로를 통해 주입되어 순환된 공기에 의해 블록을 건조시키게 된다. 이때, 블록 전체의 외각 테두리에는 블록(20)의 도장보류부(22)가 형성되는데, 이는 블록(20)간 용접결합을 위해서 블록(20) 가장자리 부분은 도장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도장이 이루어지지 않게끔 테이핑 처리를 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도장공장 높이 대비 공장 내부에 놓여지는 블록은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의 블록이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블록에 대한 도장작업 준비를 위해서 블록이 놓여진 도장공장 내부를 동절기에는 히터로 온도를 높여주고, 하절기에는 제습기를 통하여서 습도를 낮춰주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도장 작업 이후의 블록에 대한 도장 건조 또한 마찬가지이다.
하지만, 이러한 상태에서는 도장공장의 높은 높이로 굴뚝효과현상이 발생하여 블록이 놓여지더라고 상층부에 따뜻한(제습된) 공기가 블록 아래까지 내려오지 않게 된다. 또한, 밀폐된 공간을 가지는 블록 내부에는 상대적으로 조건 유지를 위한 공기 흐름이 제약적이기 때문에 블록 내부의 조건 형성 및 도장 건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서, 다음 작업 블록의 입고가 지연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1-011922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은 도장공장 측면부에 롤 형태의 천막을 설치하고 블록 입고 시에 블록 가장자리의 도장보류부에 천막을 펼치고 끝단부의 자석으로 고정시켜 내부 공기순환을 최적화하여 에너지 절감을 물론 전처리, 도장 작업을 위한 선행조건 형성 및 도장 작업의 많은 시간적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도장건조 시간을 최대한 단축시켜 도장 작업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공장 내에 주입된 공기의 순환이 최적화되도록 상기 공장 내의 벽면과 블록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천막; 상기 공장 내의 벽면에 고정 설치되며, 다양한 형태의 상기 블록에 대응하여 상기 천막을 감고 풀기 위한 천막 롤; 및 상기 블록의 도장 보류부와 각각 연결되는 상기 천막의 끝 단부에 영구자석이 삽입되어 상기 블록을 고정시키기 위한 영구자석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건조를 위한 공기순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영구자석밴드부의 하부에 텔레스코프 형태로 길이가 가변되는 폴 구조로 형성되어 고소차 또는 테이블 리프트의 도움 없이도 상기 블록 가장자리의 도장보류부에 천막이 탈/부착되도록 하는 영구자석밴드 탈부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천막은 가벼우면서 단열 기능이 있는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천막을 감고 풀기 위한 천막 롤은 작업자가 직접 구동하는 수동방식과, 에어 또는 전기 모터를 이용하여 구동하는 자동방식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구자석밴드부는 곡면을 가지는 상기 블록에 대응하여 상기 영구자석밴드를 다수 개로 분리시켜 다양한 형태의 블록에도 탈/부착이 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천막, 천막 롤, 영구자석밴드부, 영구자석밴드 탈부착부로 구성되는 공기순환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동절기, 하절기의 극한 계절과 눈 또는 비로 인한 전처리, 도장작업 이전의 블록의 도장 조건 및 블록의 도장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장공장 내의 블록에 최적화된 공기순환을 제공하여 블록 외부뿐만 아니라 밀폐된 블록 내부까지도 골고루 조건 형성을 위한 공기순환을 유도하여 도장공장의 작업 회전율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려서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장공장 내에 블록이 적치되지 않은 텅빈 공장 내의 공기순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도장공장 내에 블록이 적치되었을 경우 공기순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 도장공장의 블록건조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 건조를 위한 공기순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장공장 내에 블록이 적치되었을 경우 공기순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도장공장 측면부에 롤 형태의 천막을 설치하고, 도장공장 내에 블록 입고 시 블록 가장자리의 도장보류부에 천막을 펼치고, 그 끝단부에 영구자석으로 고정시켜 도장공장 내부의 공기순환을 원활히 하여 최적화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 건조를 위한 공기순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장공장 내에 블록이 적치되었을 경우 공기순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순환장치는 천막(110), 천막 롤(120), 영구자석밴드부(130) 및 영구자석밴드 탈부착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천막(110)은 히터(또는 제습기)(102)로부터 도장공장(100) 내에 주입된 공기가 순환되어서 최적화되도록 도장공장(100) 내의 벽면과 블록(104) 사이에 다수 개가 설치된다.
즉, 천막(100)의 블록의 도장 선행조건 형성과 도장 건조시간의 최소화를 위해 도장공장(100) 내의 벽면과 블록(104)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천막(100)은 가벼우면서 우수한 단열 기능이 있는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천막(100)은 본 발명에서는 정사각형 형상으로 예시하였으나, 블록(104)의 형상에 따라 그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의 천막(100)이 가능하다.
천막 롤(120)은 도장공장(100) 내의 벽면에 고정 설치되며, 다양한 형태의 블록(104)에 대응하여 천막(110)을 감고 풀기 위해 설치된다. 즉, 도장공장(100) 벽면에 설치되어 공기순환을 최적화하기 위해 천막(110)을 풀고 감는 롤 형태로써 다양한 블록(104)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다수 개의 천막 롤(120)이 설치된다.
이때, 천막(110)을 감고 풀기 위한 천막 롤(120)은 작업자가 직접 구동할 수 있는 수동방식과, 에어 또는 전기 모터를 이용하여 구동하는 자동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즉, 도장공장(100) 내의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블록고정용 영구자석밴드부(130)는 블록의 도장보류부(132)와 각각 연결되는 천막(110) 끝 단부에 삽입되어 블록(104)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도장공장(100) 벽면에 설치된 천막(110)의 끝 단부에 영구자석(도시 안됨)을 삽입하여 블록(104)의 가장자리에 부착되어서 최적화된 공기순환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게끔 한다.
또한, 곡면을 가지는 블록(104)에 대응이 가능하도록 영구자석밴드부(130)를 다수 개로 분리시켜서 다양한 형상에도 잘 부착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한다.
영구자석 밴드 탈부착부(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구자석밴드부(130)의 하부에 텔레스코프 형태로 길이가 가변 되는 폴 구조로 형성되어, 고소차 또는 테이블 리프트의 도움 없이도 블록(104) 가장자리의 도장보류부(132)에 천막(110)이 탈/부착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기순환장치는 도장공장(100) 측면부에 롤 형태의 천막(110)을 설치하고, 블록(104) 입고 시에 블록(104) 가장자리의 도장보류부(132)에 천막(104)을 펼치고, 그 끝단부의 영구자석으로 고정시켜 내부 공기순환을 최적화함으로써 에너지 절감을 물론 전처리, 도장 작업을 위한 선행조건 형성 및 도장 작업의 많은 시간적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도장건조 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도장공장(100) 내의 블록(104)에 최적화된 공기순환을 제공하여 블록(104) 외부뿐만 아니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된 블록(104) 내부까지도 골고루 조건 형성을 위한 공기순환을 유도하여 도장공장(100)의 작업 회전율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려서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00: 도장공장 10, 12, 102: 히터(또는 제습기)
20, 104: 블록 110: 천막
120: 천막 롤 130: 영구자석밴드부
22, 132: 도장보류부 140: 영구자석밴드 탈부착부

Claims (5)

  1. 공장 내에 주입된 공기의 순환이 최적화되도록 상기 공장 내의 벽면과 블록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천막;
    상기 공장 내의 벽면에 고정 설치되며, 다양한 형태의 상기 블록에 대응하여 상기 천막을 감고 풀기 위한 천막 롤;
    상기 블록의 도장보류부와 각각 연결되는 상기 천막의 끝 단부에 영구자석이 삽입되어 상기 블록을 고정시키기 위한 영구자석밴드부; 및
    상기 영구자석밴드부의 하부에 텔레스코프 형태로 길이가 가변되는 폴 구조로 형성되어, 고소차 또는 테이블 리프트의 도움 없이도 상기 블록 가장자리의 도장보류부에 천막이 탈/부착되도록 하는 영구자석밴드 탈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건조를 위한 공기순환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막은 가벼우면서 단열 기능이 있는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건조를 위한 공기순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막을 감고 풀기 위한 천막 롤은 작업자가 직접 구동하는 수동방식과, 에어 또는 전기 모터를 이용하여 구동하는 자동방식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건조를 위한 공기순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밴드부는 곡면을 가지는 상기 블록에 대응하여 상기 영구자석밴드를 다수 개로 분리시켜 다양한 형태의 블록에도 탈/부착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건조를 위한 공기순환장치.
KR1020130141172A 2013-11-20 2013-11-20 블록 건조를 위한 공기순환장치 KR102124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172A KR102124436B1 (ko) 2013-11-20 2013-11-20 블록 건조를 위한 공기순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172A KR102124436B1 (ko) 2013-11-20 2013-11-20 블록 건조를 위한 공기순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611A KR20150057611A (ko) 2015-05-28
KR102124436B1 true KR102124436B1 (ko) 2020-06-18

Family

ID=53392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1172A KR102124436B1 (ko) 2013-11-20 2013-11-20 블록 건조를 위한 공기순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44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556Y1 (ko) 2017-03-10 2017-09-21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차단막 구조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242B1 (ko) * 2010-12-09 2011-07-27 (주)태림산업 분체 도장용 건조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1125A (en) * 1991-10-24 1993-05-18 Metro Machine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external surface work on ships' hulls
KR20110119220A (ko) 2010-04-27 2011-11-0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선체블록 도장건조 예측 시스템
KR101497731B1 (ko) * 2010-05-06 2015-03-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도장체 건조시스템
KR20130005827U (ko) * 2012-03-28 2013-10-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건조용 도장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242B1 (ko) * 2010-12-09 2011-07-27 (주)태림산업 분체 도장용 건조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611A (ko) 2015-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52919A (zh) 一种彩钢瓦面喷漆装置
CN204850504U (zh) 一种混凝土养护装置
CN203951978U (zh) 一种自动控温除湿的可拆装式干热风模拟棚
CN108017007A (zh) 一种建筑室内装潢用房顶板材吊运装置
KR102124436B1 (ko) 블록 건조를 위한 공기순환장치
EP3020881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trofitted insulation
CN211488215U (zh) 一种防流挂现象的地坪防护涂层喷涂设备
CN206189615U (zh) 卫生间防霉、防潮墙体
EP2136016A1 (en) Bower
CN204283099U (zh) 多功能组合窗
CN105714520A (zh) 一种洗衣机
CN108360391B (zh) 一种混凝土桥墩养生设备
CN210321001U (zh) 一种线缆烘干装置
CN207351077U (zh) 一种木材均匀干燥装置
CN110802927A (zh) 一种墙壁装潢印刷设备
CN207815852U (zh) 一种建筑材料除湿装置
CN110694854A (zh) 一种玻璃纤维网格布自动化生产系统
JP7186073B2 (ja) 日射遮蔽装置および日射遮蔽構造の組立解体方法
CN219999296U (zh) 一种用于光伏板的可调节遮盖装置
CN215683677U (zh) 一种可调通风装置的新型蔬菜大棚
CN115041355B (zh) 一种弹力布涂层用的凝固浸渍料槽装置
CN218868756U (zh) 种子晾晒棚
CN217309092U (zh) 移动式葡萄晾干房
DE102013009150A1 (de) Trocknungsvorrichtung bzw. Trocknungsverfahren, insbesondere zum Trocknen von Estrichböden
CN215412991U (zh) 一种卷材烘干装置和卷材生产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