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2153B1 -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2153B1
KR101052153B1 KR1020090110250A KR20090110250A KR101052153B1 KR 101052153 B1 KR101052153 B1 KR 101052153B1 KR 1020090110250 A KR1020090110250 A KR 1020090110250A KR 20090110250 A KR20090110250 A KR 20090110250A KR 101052153 B1 KR101052153 B1 KR 101052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input button
button
operation signal
butt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0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3637A (ko
Inventor
임재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0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2153B1/ko
Publication of KR20110053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3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2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 F24C15/106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electric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4Control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35Aspects relating to the user interface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가열원 및 상기 가열원의 가열 동작을 제어함에 있어서 상위 조작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상위 입력버튼과, 하위 조작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하위 입력 버튼으로 구분되는 다수의 입력버튼을 포함하는 컨트롤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 패널에는, 전원 공급 시 조작 가능한 상위 입력 버튼이 제 1 형태로 지시되고, 상기 상위 입력 버튼 중 어느 하나에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선택된 상위 입력 버튼에 대응되는 하위 입력 버튼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지 확인하며, 대응되는 하위 입력 버튼이 구비될 경우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다음 단계의 하위 입력 버튼이 상기 상위 입력 버튼의 지시형태와 다른 제 2 형태로 지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입력부에 사용자가 조작 신호를 입력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조작 신호 및 상기 조작 신호에 대응되는 하위 조작 신호의 입력이 입력 버튼의 휘도 또는 색상 변화에 의하여 유도됨에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 신호의 단계를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조리기기, 컨트롤 패널

Description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제어방법{Cook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가열원을 이용하여 음식물의 가열 조리를 수행하는 기구이다.
상기 조리기기는 일반적으로 전기 또는 가스를 이용하여 가열 동작을 수행하는 상기 가열원과, 음식물이 수용되며, 상기 가열원에 의하여 가열되는 조리실 도는 상기 음식물이 담겨진 조리 용기가 안착되어 가열되는 탑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목적은 사용자로부터 조작 신호가 용이하게 입력되는 조리기기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상기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실시예의 조리 기기는 가열원 및 상기 가열원의 가열 동작을 제어함에 있어서 상위 조작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상위 입력버튼과, 하위 조작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하위 입력 버튼으로 구분되는 다수의 입력버튼을 포함하는 컨트롤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 패널에는 전원 공급 시 조작 가능한 상위 입력 버튼이 제 1 형태로 지시되고, 상기 상위 입력 버튼 중 어느 하나에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선택된 상위 입력 버튼에 대응되는 하위 입력 버튼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지 확인하며, 대응되는 하위 입력 버튼이 구비될 경우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다음 단계의 하위 입력 버튼이 상기 상위 입력 버튼의 지시형태와 다른 제 2 형태로 지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은 가열 동작을 제어함에 있어서 상위 조작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상위 입력버튼과, 하위 조작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하위 입력 버튼으로 구분되는 다수의 입력버튼을 포함하는 컨트롤 패널을 포함하는 조리기기에 있어서,
상기 상위 입력 버튼 중 하나 이상이 제 1 단계의 휘도 또는 제 1 색상으로 점등되는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휘도 또는 제 1 색상으로 점등된 상위 입력 버튼에 조작 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상위 입력 버튼에 입력되는 조작 신호가 하위 조작 신호를 요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하위 입력 버튼들 중, 상기 하위 조작 신호에 대응되는 하위 입력 버튼이 나머지 버튼과 구분되는 제2단계의 휘도 또는 제2색상으로 점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입력부에 사용자가 조작 신호를 입력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조작 신호 및 상기 조작 신호에 대응되는 하위 조작 신호의 입력이 입력 버튼의 휘도 또는 색상 변화에 의하여 유도됨에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 신호의 단계를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전기 조리기기 및 전기 조리기기의 제어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기기기(1)는 외형을 이루는 외부 케이스(10)와, 외부 케이스(10) 내부에 수용되며,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11)와, 상기 조리실을 개폐시키는 도어(20)와, 조리기기(1)의 상태를 표시하고, 작동 조건이 입력되기 위한 컨트롤 패널(30)과, 상기 조리실에 수용된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원(20)이 포함된다.
상세히, 캐비티(11)는 전면이 개구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캐비티(11)에는 조리물을 지지하기 위한 랙(14)이 선택적으로 수용된다. 캐비티(11) 내면에는 랙(14)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서포터(12)가 형성된다. 다수의 서포터(12)는 상기 캐비티(11)의 내부 양측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서포터(12)는 캐비티(11)의 각 측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가열원(60)에는, 상부 히터(61)와 하부 히터(62)가 포함될 수 있다. 각 히터(61,62)는 캐비티(11)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각 히터(61,62)로는 일 례로 시즈 히터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사상에 있어서, 상기 히터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할로겐 히터, 탄소 히 터 등이 사용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가열원(60)에는, 추가적으로 마그네트론 또는 컨벡션 히터, 가스 버너 등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컨트롤 패널(30)은 조리기기(1)의 구동 상태 및 조작 신호를 입력받기 위하여 구비되며, 조리기기(1)의 구동 상태 또는 현재 시각과 같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40) 및 상기 조작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50)를 포함한다.
표시부(30)는 현재 조리기기(1)의 구동 상태 또는 현재 시각과 같은 다수의 정보를 표시하며, 일례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iquid display device, LCD) 또는 진공 형광 표시장치(Vacuum Fluorescent Display, VFD)와 같은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50)는 외부로부터 사용자에 의한 가압 또는 접촉에 의하여 조작 신호가 입력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수의 입력 버튼들을 포함한다.
상기 입력 버튼들은 일례로 버튼 어셈블리 및 상기 버튼 어셈블리의 배면에 위치되는 PCB에 의하여 상기 버튼 어셈블리가 가압 됨에 따라서 상기 조작 신호가 입력되는 기계식 버튼 입력 방식 또는 투명 패널에 다수의 투명 전극이 인쇄되어 상기 투명 전극에 대하여 가압력 또는 접촉에 따른 정전 용량 변화에 의하여 상기 조작 신호가 입력되는 터치식 버튼 입력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50)의 각각의 입력 버튼들에는 상기 입력 버튼들이 입력받는 기능을 지시하는 문자, 표장 또는 기호가 인쇄될 수 있으며, 입력부(50)의 배면에는 다수의 광원들(LA~LI)(도7참조)을 포함하는 발광부(60)가 구비되어, 입력부(50) 에 대하여 광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입력부(50)의 배면에 구비되는 발광부(60)의 구성 및 입력부(50)의 제어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입력부의 제어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발광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30)는 상위 입력 버튼부(51)와, 하위 입력 버튼부(52)와, 시작 버튼부(53)와, 종료 버튼부(54)를 포함한다.
상위 입력 버튼부(51)와, 하위 입력 버튼부(52)와, 시작 버튼부(53)와, 종료 버튼부(54)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입력 버튼에는 상기 입력 버튼이 동작하는 기능에 대한 문구가 형성된다. 일례로 어느 하나의 상위 입력 버튼(511)에는 굽기 구동을 의미하는 "BAKE"의 문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위 입력 버튼부(51)에는 상위 조작 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상위 조작 신호에 대응되는 하위 조작 신호가 요구되는 경우, 상기 하위 조작 신호는 하위 입력 버튼부(52)에 입력된다. 그리고, 시작 버튼부(53) 및 종료 버튼부(54)에는 각각 조리기기(1)의 구동 시작 및 종료에 관한 조작 신호가 입력된다.
일례로 상기 상위 조작 신호가 굽기 구동을 의미하는 "BAKE"의 상위 조작 버튼에 입력되는 신호일 경우, 상기 BAKE의 상위 조작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굽기 구동을 수행하는 시간에 관한 조작 신호인 상기 하위 조작 신호가 요구된다.
한편, 상위 입력 버튼부(51)의 상위 입력 버튼(511), 하위 입력 버튼부(52)의 하위 입력 버튼(521) 및 시작 버튼부(53)와 종료 버튼부(54)의 버튼의 후방에는 발광부(60)의 광원들(LA~LI)(도7참조)이 제공되어, 상기 버튼들에 대하여 광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60)의 광원들(LA~LI)은 상기 상위 조작 신호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상기 하위 조작 신호가 입력되는 하위 조작 버튼(521)을 안내한다.
이하에서는 발광부(6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발광부(60)의 간략한 구성이 도시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발광부(60)는 다수의 광원들(LA~LI)과, 전원 공급단(Vcc)으로부터 입력 라인을 통하여 광원들(LA~LI)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스위칭부(S1~S3)와, 접지된 출력 라인측에 위치되며 서로 병렬 연결되는 제1구동 스위칭부(SQ)와 제2구동 스위칭부(SA~SC)와, 제1구동 스위칭부(SQ) 및 제2구동 스위칭부(SA~SC) 각각 위치되는 제1저항부(RA~RC) 및 제2저항부(R1~R3)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광원들(LA~LI)은 각각 대응되는 상기 입력 버튼들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입력 버튼들에 대하여 광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 라인 및 출력 라인은 각각 3개씩 구비되며, 상기 입력 라인 및 출력 라인이 서로 중첩된 9개의 지점에 광원들(LA~LI)이 배치되어, 광원 매트릭스를 형성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광원들(LA~LI)은 일례로 9개로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상기 입력 버튼들의 숫자에 따라서, 광원들(LA~LI)의 숫자 및 입력 및 출력 라인의 갯수 또한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출력 라인은 제1출력라인 및 제2출력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1출력 라인 및 제2출력라인은 상호 간에 병렬로 접지된다.
그리고, 상기 제1출력 라인에는 제1저항부(RA~RC) 및 제1구동 스위칭부(SQ)가 구비되며, 상기 제2출력 라인에는 제2저항부(R1~R3) 및 제2구동 스위칭부(SA~SC)가 구비된다. 이 때, 제1저항부(RA~RC)에 구비되는 각각의 저항의 크기는 제2저항부(R1~R3)에 구비되는 각각의 저항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발광부(60)의 광원들(LA~LI)이 구동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내지 제3전원 공급 스위칭부(S1~S3)는 일례로 일정 주기로 상기 입력 라인을 개방 또는 연결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전원 공급 스위칭부(S1~S3)는 서로 일정 크기의 시간차를 두고 상기 입력 라인의 개방 또는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미도시)로부터 상기 입력 버튼에 대한 별도의 점등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는, 제1구동 스위칭부(SQ) 및 제2구동 스위칭부(SA~SC)는 각각 상기 제1출력 라인 및 제2출력 라인을 개방한 상태로 설정된다.
그 다음,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입력 버튼에 대한 제1단계 휘도 점등 신호가 입력되면, 제1구동 스위칭부(SQ)는 온 상태로 작동하며, 상기 제1출력 라인을 연결한다. 상기 제1출력 라인이 연결되면, 상기 광원들(LA~LI)에는 일정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어, 상기 광원들(LA~LI)는 제1단계 휘도로 점등된다.
그 다음,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광원들(LA~LI)들 중 어느 하나의 입력 버 튼에 대응되는 광원(LA~LI)에 대하여 제2단계 휘도 점등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광원(LA~LI)에 대응되는 상기 제2출력 라인 중 어느 하나의 라인에 구비되는 제2구동 스위칭부(SA~SC)를 상기 입력 라인에 공급되는 전원의 주기에 따라서, 온 시킨다.
즉, 일례로, 제2광원(LB)에 대하여 제2단계 휘도 점등 신호가 입력되면, 제2공급 스위칭부(S2)가 온 되는 시점에, 상기 제2구동 스위칭부(SA~SC)의 제2스위치(SB)를 온 시키게 되면, 상기 제1 및 제2출력 회로의 저항값은 상기 제1단계 휘도 점등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보다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광원(LB)에는 제1단계 휘도로 점등되는 경우보다 높은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서, 상기 제2광원(LB)은 제1단계 휘도보다 밝은 제2단계 휘도로 점등된다.
이하에서는 제1단계 및 제2단계의 휘도로 점등되는 입력 버튼을 포함하는 입력부(50)의 제어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조리기기(1)가 온 상태가 아닌 경우, 입력부(50)에 대하여 발광부(60)로부터 광이 제공되지 아니하여, 입력부(50)는 외부로 보여지지 않는다.
그 다음, 도 3을 참조하면, 조리기기(1)가 온 상태로 구동되면, 상기 제어부는 입력부(50)의 배면에 위치되는 발광부(60)에 대하여 상기 제1단계 휘도 점등 신호를 입력하면, 입력부(50)의 상기 입력 버튼들은 제1단계 휘도로 점등된다.
그 다음,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상위 입력 버튼(511)을 통하여 조작 신호를 입력한 상태에서, 상위 입력 버튼(511)을 통하여 입력된 상위 조작 신호가 상기 하위 조작 신호를 요구하는 경우, 상기 하위 조작 신호에 대응되는 하위 조작 버튼(521)은 제2단계 휘도로 점등된다. 동시에, 상위 조작 버튼(511)들 중 상기 상위 조작 신호가 입력된 상위 조작 버튼(511) 또한 제2단계 휘도로 점등된다.
상기 하위 조작 신호의 입력이 완료되면, 시작 버튼부(53)의 버튼이 점멸되어, 사용자에게 다음 단계의 입력 순서를 알리게 된다. 그리고, 시작 버튼부(53)에 시작 명령의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 조리기기(1)는 설정된 기능을 구동한다.
그 다음, 도 5를 참조하면, 조리기기(1)가 설정된 기능을 구동하는 동작 과정에서, 입력부(50)는 동작되는 기능의 상기 상위 조작 신호가 입력된 상위 조작 버튼(511) 및 종료 버튼부(53)를 제2단계의 휘도로 점등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조리기기(1)가 구동되는 동작 상태 및 동작을 종료 시키기 위하여 조작하여야하는 버튼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그 다음, 도 6을 참조하면, 조리기기(1)의 구동이 종료된 상태에서, 종료 버튼부(54)를 제외한 다른 버튼부(51~53)은 제1단계의 휘도로 점등하고, 상기 종료 버튼부(54)는 제2단계의 휘도로 점멸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조리기기(1)의 구동이 종료되었음을 알리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의 제어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조리기기(1)가 온 상태 인지 여부를 판단(S110)하여, 조리기기(1)가 온 상태이면 컨트롤 패널(30)의 상기 입력 버튼들을 제1단계의 휘도로 점등한다(S120).
그 다음, 입력부(50)에 조작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30), 입력된 경우 상기 조작 신호가 상기 하위 조작 신호를 요구하는지 여부(S140)를 판단한다.
상기 조작 신호가 상기 하위 조작 신호를 요구하는 경우, 요구되는 하위 조작 신호에 대응되는 하위 조작 버튼(521)을 제2단계의 휘도로 점등한다(S150).
그 다음, 상기 하위 조작 버튼(521)에 상기 하위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 제2단계의 휘도로 점등된 하위 입력 버튼(521)을 제1단계의 휘도로 점등한다(S160).
그리고, 상기 하위 조작 신호가 또 다른 하위 조작 신호를 요구하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170), 요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조작 신호가 입력된 상위 조작 버튼(511)을 제2단계의 휘도로 점등하고, 시작 버튼부(53)를 점멸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190).
그 다음, 시작 버튼부(53)에 구동 시작의 조작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200), 상기 구동 시작의 조작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설정된 조리기기(1)의 구동을 시작하고, 조작 신호가 입력된 상위 입력 버튼(511) 및 종료 버튼부(54)를 제2단계의 휘도로 점등한다(S210).
그 다음, 조리기기(1)의 구동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220), 구동이 종료된 경우, 종료 버튼부(54)를 점멸하는 동작을 수행하고(S230), 제어를 종료하게 된다.
이 때, 입력부(50)에 조작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20), 하위 입력 버튼부(52)에 상기 하위 조작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60) 및 시작 버튼부(54)에 시작 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10)에서, 상기 조작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기설정된 시간 만큼 대기하는 단계(S131,S161,S201)를 수행한 다음, 다시 조작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132,S162,S202), 상기 조작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다음 단계(S140,S170,S210)를 수행하고, 입력되지 않는 경우 제어를 종료한다.
그리고, 입력된 상기 조작 신호가 하위 조작 신호를 요구하지 않는 경우(S140), 상기 상위 조작 버튼(511)을 제2단계의 휘도로 점등하고 시작 버튼부(53)를 점멸하는 단계(S190)를 수행한다.
그리고, 입력된 상기 하위 조작 신호가 또 다른 하위 조작 신호를 요구하는 경우(S180), 상기 요구되는 하위 입력 버튼을 제2단계의 휘도로 점등하는 단계(S150)를 수행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입력부에 사용자가 조작 신호를 입력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조작 신호 및 상기 조작 신호에 대응되는 하위 조작 신호의 입력이 입력 버튼의 휘도 변화에 따라서 지시됨에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 신호의 단계를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발광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발광부(60)에 제공되는 광원들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 로 다른 색상의 광원으로 구비되는 구성에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60)는 메인 광원부(L1~L9) 및 서브 광원부(LA~LI)를 포함한다. 메인 광원부(L1~L9) 및 서브 광원부(LA~LI)에 포함되는 각각의 광원들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그리고, 메인 광원부(L1~L9)의 광원들은 제1구동 스위칭부(SQ)에 연결되며, 서브 광원부(LA~LI)의 광원들은 제2구동 스위칭부(SA~SC)에 연결된다.
따라서, 입력부(50)의 입력버튼에서 제1색상의 점등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제1구동 스위칭부(SQ)를 온 상태로 구동시키며, 제2색상의 점등이 요구되는 경우, 요구되는 입력버튼에 해당되는 제2구동 스위칭부(SA~SC)를 온 상태로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입력 버튼에 상기 조작 신호가 입력되는 과정에서, 상기 입력 버튼들이 서로 다른 색상으로 점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입력부의 제어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발광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발광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Claims (15)

  1. 가열원; 및
    상기 가열원의 가열 동작을 제어함에 있어서 상위 조작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상위 입력버튼과, 하위 조작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하위 입력 버튼으로 구분되는 다수의 입력버튼을 포함하는 컨트롤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 패널에는,
    전원 공급 시 조작 가능한 상위 입력 버튼이 제 1 형태로 지시되고, 상기 상위 입력 버튼 중 어느 하나에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선택된 상위 입력 버튼에 대응되는 하위 입력 버튼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지 확인하며, 대응되는 하위 입력 버튼이 구비될 경우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다음 단계의 하위 입력 버튼이 상기 상위 입력 버튼의 지시형태와 다른 제 2 형태로 지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입력 버튼과 하위 입력 버튼은 서로 다른 휘도를 가지도록 발광하여 지시되고, 상기 하위 입력 버튼의 휘도가 상기 상위 입력 버튼의 휘도 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입력 버튼은 제 1 색상으로 점등되어 지시되고, 상기 하위 입력 버튼은 제 2 색상으로 점등되어 지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가열 동작을 제어함에 있어서 상위 조작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상위 입력버튼과, 하위 조작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하위 입력 버튼으로 구분되는 다수의 입력버튼을 포함하는 컨트롤 패널을 포함하는 조리기기에 있어서,
    상기 상위 입력 버튼 중 하나 이상이 제 1 단계의 휘도 또는 제 1 색상으로 점등되는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휘도 또는 제 1 색상으로 점등된 상위 입력 버튼에 조작 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상위 입력 버튼에 입력되는 조작 신호가 하위 조작 신호를 요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하위 입력 버튼들 중, 상기 하위 조작 신호에 대응되는 하위 입력 버튼이 나머지 버튼과 구분되는 제2단계의 휘도 또는 제2색상으로 점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 입력 버튼에 조작 신호의 입력이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입력 버튼을 구성하는 시작 버튼이 제 2 단계의 휘도 또는 제 2 색상으로 점등 또는 점멸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 입력 버튼에 조작 신호의 입력이 완료되어 조리기기의 구동이 진행되는 과정 동안에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신호가 입력된 버튼이 제 2 단계의 휘도 또는 제 2 색상으로 점등된 상태가 유지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의 제어방법.
  14. 삭제
  15. 삭제
KR1020090110250A 2009-11-16 2009-11-16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KR101052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250A KR101052153B1 (ko) 2009-11-16 2009-11-16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250A KR101052153B1 (ko) 2009-11-16 2009-11-16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637A KR20110053637A (ko) 2011-05-24
KR101052153B1 true KR101052153B1 (ko) 2011-07-26

Family

ID=44363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0250A KR101052153B1 (ko) 2009-11-16 2009-11-16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215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3356B1 (ko) * 1999-06-29 2002-09-18 엘지전자주식회사 조리기의 표시장치
KR20030068295A (ko) * 2002-02-14 2003-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의 메뉴선택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3356B1 (ko) * 1999-06-29 2002-09-18 엘지전자주식회사 조리기의 표시장치
KR20030068295A (ko) * 2002-02-14 2003-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의 메뉴선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637A (ko) 2011-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2949B2 (en) Electric cooking range having multiple-zone power control system and wipe resistant control panel
US20090040090A1 (en) Control panel for controlling a domestic appliance
JP4660327B2 (ja) 加熱調理器
JP5511957B2 (ja) 加熱調理器
CN111543121B (zh) 电磁加热炉及其控制显示的方法
KR101052153B1 (ko)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JP5109914B2 (ja) 加熱調理器
JP4646841B2 (ja) 加熱調理器
US6946630B2 (en) Combined toaster and microwave oven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2038458A (ja) 加熱調理器
JP5661109B2 (ja) 加熱調理器
WO2015190130A1 (ja) 加熱調理器
KR101063073B1 (ko)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JP3830735B2 (ja) 加熱調理器
JP5872079B2 (ja) 加熱調理器
CN100398913C (zh) 视障群体专用数码温控语音微波炉及其控制方法
JP7306873B2 (ja) 加熱調理器
JP5693913B2 (ja) 加熱調理器
JP2014235841A (ja) 誘導加熱調理器
WO2012023222A1 (ja) 加熱調理器
JPH10220777A (ja) 加熱調理器
JP2002228159A (ja) 加熱調理器
JP6370424B2 (ja) 加熱調理器
JPH07269875A (ja) 加熱調理器
JPH024396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