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0958B1 - 통신 장치, 통신 장치에 의한 무선 통신 장치의 접속처 절환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통신 장치에 의한 무선 통신 장치의 접속처 절환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0958B1
KR101050958B1 KR1020087032022A KR20087032022A KR101050958B1 KR 101050958 B1 KR101050958 B1 KR 101050958B1 KR 1020087032022 A KR1020087032022 A KR 1020087032022A KR 20087032022 A KR20087032022 A KR 20087032022A KR 101050958 B1 KR101050958 B1 KR 101050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access point
client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32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8676A (ko
Inventor
기후미 고가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18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8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장치가 통신 장치를 절환할 때에 생기는 통신 품질의 저하나 통신의 도중 끊김의 발생을 경감한다. 통신 장치는,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접속 요구를 받았을 때에 소정의 인증 조건을 충족시켰는지의 여부에 의해 무선 통신 장치를 인증하고, 무선 통신 장치의 인증이 되었을 때에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한 통신을 중계하고,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한 통신의 중계를 행하는 통신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를 수신하고,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한 통신의 중계를 행하는 통신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식별 정보가,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접속 정보에 포함되어 있을 때에,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한 통신의 중계를 허가한다.
Figure R1020087032022
중앙 처리 장치, 전원부, 무선 통신 장치, 제어부, 수신부, 송신부

Description

통신 장치, 통신 장치에 의한 무선 통신 장치의 접속처 절환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CONTROLLING SWITCHING OF CONNECTION DESTINATIONS OF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BY USE OF COMMUNIC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통신 장치, 통신 장치에 의한 무선 통신 장치의 접속처 절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무선 LAN(Local Area Network)은, 그 방식의 범용성, 저코스트성 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무선 LAN은,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이하, 간단히 「액세스 포인트」라고 함)라고 불리는 단말기의 설치 위치가 유연하기 때문에, 이동체 단말기의 통신 방식으로서 보급이 진행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어느 정도의 넓이를 갖는 에리어에서, 이동체 단말기를 무선 LAN 클라이언트(이하, 간단히 「클라이언트」라고 함)로 하여 무선 LAN을 운용하는 경우, 복수대의 액세스 포인트를 설치한다. 또한, 각 액세스 포인트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동일하게 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가 물리적으로 이동한 경우, 클라이언트의 접속처를 가장 접속에 적합한 액세스 포인트로 적절히 절환하여, 통신 품질을 유지한다. 이와 같은 동작은 로밍이라고 불리고 있다.
클라이언트가 로밍을 행하는 경우, 클라이언트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송신되는 패킷에 포함되는 SSID 및 BSSID(Basic Service Set ID)에 기초하여,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의 일람을 작성한다.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송신되는 패킷에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정기적으로 송출되고 있는 비컨 패킷」 또는 「클라이언트가 송출한 프로브 요구(Probe Request) 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인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송출된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 패킷」이 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는,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 중으로부터 가장 접속에 적합하다고 판단한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한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평11-317747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종래에서는, 클라이언트가 접속처의 액세스 포인트를 절환하는 경우, 접속원의 액세스 포인트의 BSSID와 접속처의 액세스 포인트의 BSSID가 상이하므로, 절환처의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규격에 의해 정해져 있는 접속 처리를 행한다. 이 경우, 접속 처리가 완료되지 않으면, 절환처의 액세스 포인트와 클라이언트는 데이터 통신을 행할 수 없다. 스트리밍이나 IP 전화 등 통신의 리얼타임성이 요구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콘텐츠의 품질 저하나 통신의 도중 끊김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클라이언트가 액세스 포인트를 절환할 때에 생기는 통신 품질의 저하나 통신의 도중 끊김의 발생을 경감하는 데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석하기 위해서, 이하의 수단을 채용하였다. 즉, 본 발명의 통신 장치는,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접속 요구를 받았을 때에 소정의 인증 조건을 충족시켰는지의 여부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인증하는 인증 수단과, 상기 인증 수단에 의해 무선 통신 장치의 인증이 되었을 때에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한 통신을 중계하는 수단을 구비한 통신 장치로서,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한 통신의 중계를 행하는 통신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그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한 통신의 중계를 행하는 통신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식별 정보가, 상기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접속 정보에 포함되어 있을 때에,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한 통신의 중계를 허가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통신 장치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접속 요구를 받아,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한 통신의 중계를 행하는 통신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가, 다른 통신 장치가 제공하는 접속 정보에 포함되어 있을 때, 소정의 인증 조건을 충족시켰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생략한다. 그 때문에,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접속 요구를 받았을 때,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한 통신의 중계를 고속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 장치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한 통신의 중계를 행하는 통신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가, 통신의 중계가 행해지고 있는 무 선 통신 장치마다 상이한 값이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통신 장치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접속 요구를 받았을 때,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한 통신을 허가하는 것을, 특정한 무선 통신 장치로 한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신 장치는, 다른 통신 장치에서의 상태의 문의를 다른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수단과, 상기 문의에 따른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그 다른 통신 장치에서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회신을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회신에 포함되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한 통신의 중계를 행하는 다른 통신 장치를 결정하는 결정 수단과, 상기 접속 정보를 상기 결정한 다른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통신 장치에 따르면, 다른 통신 장치에서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한 통신의 중계를 행하는 다른 통신 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신 장치는, 상기 상태 정보가, 다른 통신 장치에서의 상기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의 수신 신호 강도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 수단은, 수신 신호 강도가 가장 양호한 다른 통신 장치를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한 통신의 중계를 행하는 다른 통신 장치로서 결정하는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통신 장치에 따르면, 다른 통신 장치에서의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의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한 통신의 중계를 행하는 다른 통신 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 그 밖의 장치, 기계 등이 상기 어느 하나의 처리를 실행하는 방법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 그 밖의 장치, 기계 등에, 이상의 어느 하나의 기능을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그와 같은 프로그램을 컴퓨터 등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한 것이어도 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클라이언트가 액세스 포인트를 절환할 때에 생기는 통신 품질의 저하나 통신의 도중 끊김의 발생을 경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액세스 포인트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액세스 포인트의 기능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패킷의 구성도.
도 5는 클라이언트와 액세스 포인트가 접속을 확립할 때까지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6은 클라이언트와 다른 액세스 포인트 사이에서 접속이 확립될 때까지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7은 이동원의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8은 이동처인 다른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부호의 설명>
A, B, D : 액세스 포인트
a, b, e : 클라이언트
1 :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2 : 중앙 처리 장치(CPU)
3 : 플래시 롬(Flash ROM)
4 : 유선 LAN 인터페이스부
5 : 무선 LAN 인터페이스부
6 : 전원부
7 :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
8 : 트랜스시버
9 : 전력 증폭기
10 : 안테나
11 : 제어부
12 : 수신부
13 : 송신부
14 : 인증부
15 : 중계부
16 : 측정부
17 : 등록부
18 : 판정부
19 : 결정부
101 : 이더넷(Ethernet)(등록 상표) 헤더
102 : IP(Internet Protocol) 헤더
103 : UDP(User Datagram Protocl) 헤더
104 : 데이터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이하, 실시 형태라고 함)에 따른 무선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형태의 구성은 예시이며, 본 발명은 실시 형태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을 도 1 내지 도 8의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시스템의 원리》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본 발명의 「통신 장치」에 상당)와 복수의 클라이언트(본 발명의 「무선 통신 장치」에 상당)로 구성된다. 각 액세스 포인트는, 유선 LAN에서 이용되는 고유의 MAC 어드레스(Media Access Control address)(이하, 「유선 MAC 어드레스」라고 함)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각 액세스 포인트에는, SSID 및 BSSID를 각각 설정할 수 있다. SSID는, 액세스 포인트에 클라이언트를 접속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BSSID는, 클라이언트의 통신의 중계를 행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BSSID가,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한 통신의 중계를 행하는 통신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에 상당한다.
액세스 포인트간은, LAN 케이블로 접속되어 있다. 액세스 포인트간의 통신 은, LAN 케이블을 통해서 행해진다. 액세스 포인트간을 연결하는 통신 네트워크에는, 예를 들면 인터넷이나 이더넷(등록 상표)을 이용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간을 연결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서브 네트워크」라고 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서는, 통신 시스템은, LAN 케이블을 통해서 서로 접속된 액세스 포인트 A, C, 및 D와, 클라이언트 a, b, 및 e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에서는, 클라이언트 a, b, 및 e가 액세스 포인트 A에 접속하고 있다. 즉, 액세스 포인트 A는, 클라이언트 a, b, 및 e의 통신의 중계를 행하고 있다.
본 통신 시스템은, 액세스 포인트측의 판단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되어 있는 클라이언트를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절환한다. 도 1의 예에서는, 액세스 포인트 A에 접속하고 있는 클라이언트 b를 액세스 포인트 C로 절환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는, 무선 LAN에서 이용되는 고유의 MAC 어드레스(이하, 「무선 MAC 어드레스」라고 함)를 구비하고 있다. 이 무선 MAC 어드레스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는 각 클라이언트를 식별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는, 무선 LAN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을 행하는 경우, SSID 및 클라이언트의 무선 MAC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프로브 요구 패킷을 송신한다. 이 경우, 클라이언트는, 자클라이언트가 구비하는 도시하지 않은 타이머에 의해,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프로브 요구 패킷을 액세스 포인트에 송신한다. 또한, 클라이언 트가 구비하는 기억 장치 등에는, 기억 매체로부터의 인스톨이나 유저의 입력 등에 의해, 미리 액세스 포인트에 설정되어 있는 SSID가 등록되어 있다.
클라이언트는, 무선 LAN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정기적으로 송신되는 비컨 패킷을 수신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는, 프로브 요구 패킷을 수신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송신되는 프로브 응답 패킷을 수신한다. 비컨 패킷 및 프로브 응답 패킷은, SSID 및 BSSID를 포함하고 있다.
클라이언트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비컨 패킷이나 프로브 응답 패킷을 수신한 경우, 각 비컨 패킷이나 각 프로브 응답 패킷의 신호 강도를 기초로, 클라이언트에 대해 가장 강한 신호를 송출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특정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는, 특정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한 비컨 패킷 또는 프로브 응답 패킷에 포함되는 SSID 및 BSSID를 이용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접속 처리를 개시한다.
클라이언트는, 이하와 같이 접속 처리를 실행한다. 우선, 클라이언트는, 액세스 포인트에 인증 요구(Authentication Request) 패킷을 송신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는, 인증 요구 패킷을 수신한 액세스 포인트가 송신하는 인증 응답(Authentication Response) 패킷을 수신한다.
다음으로, 클라이언트는, 인증 응답 패킷을 송신한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어소시에이션 요구(Association Request) 패킷을 송신한다. 또한, 클라이언트는, 어소시에이션 요구 패킷을 수신한 액세스 포인트가 송신하는 어소시에이션 응답(Association Response) 패킷을 수신한다.
이와 같이 하여, 클라이언트는, 액세스 포인트와의 접속 처리를 완료시킨다. 클라이언트는, 액세스 포인트와의 접속 처리를 완료시킨 후,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한 비컨 패킷 또는 프로브 응답 패킷에 포함되는 BSSID를 이용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한 비컨 패킷 또는 프로브 응답 패킷에 포함되는 BSSID를 송신 데이터 패킷에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데이터 통신은 행해진다.
이상과 같이 하여, 클라이언트는, 데이터 통신의 중계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접속 처리를 완료시킬 수 있다. 클라이언트측에서는, 물리적인 접속처인 액세스 포인트가 절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접속에 사용하는 BSSID에 변경이 없다. 그 결과, 클라이언트측에서는, 액세스 포인트의 절환 시에서, 통상의 접속 처리를 생략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
액세스 포인트에는 무선 LAN 통신용으로 복수의 BSSID를 설정해 둔다. 통상적으로,BSSID에는, 액세스 포인트의 무선 인터페이스의 무선 MAC 어드레스를 이용하지만, 그것과는 상이한 어드레스를 복수개 이용한다.
액세스 포인트는, 자신의 존재를 클라이언트에 알려 주기 위해서, 정기적으로 비컨 패킷을 송신한다. 이 경우, 액세스 포인트에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BSSID의 각각을 비컨 패킷에 넣는다. 즉, 액세스 포인트에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BSSID의 하나를 넣은 비컨 패킷을 액세스 포인트에 설정되어 있는 BSSID의 수만큼 준비한다. 이와 같이 하여, 액세스 포인트에 설정되어 있는 BSSID의 전부를 클라이언 트로부터 인식되도록 해 둔다.
액세스 포인트는, 액세스 포인트의 존재를 문의하기 위한 프로브 요구 패킷을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한다. 그리고, 액세스 포인트는, 프로브 응답 패킷을 클라이언트에 송신함으로써,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액세스 포인트의 존재의 문의에 대해 응답한다. 이 경우, 프로브 응답 패킷에 포함되는 BSSID의 값은, 액세스 포인트에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BSSID 중의 하나를 이용한다.
《접속 처리》
액세스 포인트는, 비컨 패킷 또는 프로브 응답 패킷을 수신한 클라이언트가 송신하는 인증 요구 패킷을 수신한다. 그리고, 액세스 포인트는, 인증 요구 패킷을 송신한 클라이언트에 대해, 인증 응답 패킷을 송신한다.
다음으로, 액세스 포인트는, 인증 응답 패킷을 수신한 클라이언트가 송신하는 어소시에이션 요구 패킷을 수신한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는, 어소시에이션 요구 패킷을 송신한 클라이언트에 대해, 어소시에이션 응답 패킷을 송신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액세스 포인트는 클라이언트와의 접속 처리를 완료시킨다.
《측정 처리》
액세스 포인트는, 자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되어 있는 클라이언트의 각각이, 전파적으로 어떠한 위치에 있는지를 측정한다. 이 측정에는, 자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되어 있는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전파의 수신 신호 강도를 이용한다. 이 경우, 액세스 포인트는,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전파의 수신 신호 강도가 높으면 전파적으로 가깝다고 판정하고,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전파의 수신 신호 강도가 낮으면 전파적으 로 멀다고 판정한다.
액세스 포인트는, 자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되어 있는 클라이언트가,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파적으로 어떠한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를 일정 시간마다 측정한다. 액세스 포인트가 행하는 상기 측정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액세스 포인트는, 자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되어 있는 클라이언트의 무선 MAC 어드레스를 포함한 문의 패킷을 서브 네트워크 내에 브로드캐스트한다. 이 경우, 자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되어 있는 클라이언트가 복수 있으면, 그 중의 하나의 클라이언트의 무선 MAC 어드레스를 문의 패킷에 포함시킨다. 여기서, 문의 패킷에 포함되는 무선 MAC 어드레스로 특정되는 클라이언트를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라고 한다. 예를 들면, 도 1의 경우, 액세스 포인트 A는, 클라이언트 b의 무선 MAC 어드레스를 넣은 문의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한다.
그리고, 다른 액세스 포인트는 문의 패킷을 수신한다. 문의 패킷을 수신한 다른 액세스 포인트는, 문의 패킷에 포함되는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전파의 수신 신호 강도를 측정한다. 예를 들면, 도 1의 경우, 액세스 포인트 C는, 클라이언트 b로부터의 전파의 수신 신호 강도를 측정한다.
다른 액세스 포인트는, 자기가 측정한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수신 신호 강도를 회신 패킷에 넣는다. 다른 액세스 포인트는, 문의 패킷을 송신한 액세스 포인트에 회신 패킷을 송신한다. 액세스 포인트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회신 패킷을 수신한다.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회신 패킷을 수신한 액세스 포인트는, 회신 패킷 에 포함되는 수신 신호 강도를 취출한다. 그리고, 액세스 포인트는, 취출한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가,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파적으로 어떠한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를 측정한다.
이상과 같이, 액세스 포인트는, 자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는 클라이언트와 다른 액세스 포인트의 전파적인 위치 관계를 측정한다. 자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는 클라이언트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 각 클라이언트와 다른 액세스 포인트의 전파적인 위치 관계를 측정한다.
《다른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접속 처리》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를 다른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시키는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를 다른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시키는 처리는,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보다도, 전파적으로 가까운 다른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는 경우에 실행된다.
우선, 액세스 포인트는,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전파의 수신 신호 강도와 수신한 회신 패킷에 들어 있는 수신 신호 강도를 비교한다.
수신한 회신 패킷에 들어 있는 수신 신호 강도가,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전파의 수신 신호 강도보다도 높은 경우, 액세스 포인트는, 그 높은 수신 신호 강도가 들어 있는 회신 패킷을 송신한 다른 액세스 포인트를 결정한다.
그리고, 액세스 포인트는, 그 결정한 다른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의 무선 MAC 어드레스,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와의 접속에 사용하고 있는 BSSID,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와의 접속에 사용하고 있는 SSID를 포함하는 이동 요 구 패킷을 송신한다. 이동 요구 패킷이,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한 통신의 중계를 행하는 통신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에 상당한다.
상기 결정된 다른 액세스 포인트는, 이동 요구 패킷을 수신한다. 그리고, 이동 요구 패킷을 수신한 다른 액세스 포인트는,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를 받아들이는 것이 가능한지의 여부의 판정을 한다.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를 받아들이는 것이 가능한지의 여부의 판정은, 예를 들면 다른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되어 있는 클라이언트의 수나 다른 액세스 포인트의 부하(CPU 부하, 메모리 부하 등)의 크기에 기초하여도 된다.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를 받아들이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정한 경우, 다른 액세스 포인트는, 이동 요구 패킷을 송신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응낙 패킷을 송신한다.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를 받아들이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정한 경우, 다른 액세스 포인트는, 이동 요구 패킷을 송신한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거부 패킷을 송신한다.
액세스 포인트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거부 패킷을 수신한다.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거부 패킷을 수신한 경우, 액세스 포인트는,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를 다른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시키는 처리를 중지한다.
액세스 포인트는, 이동 요구 패킷을 송신한 후, 일정 시간 내에,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응낙 패킷을 수신하지 않는 경우,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를 다른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시키는 처리를 중지한다.
액세스 포인트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응낙 패킷을 수신한다.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응낙 패킷을 수신한 경우, 액세스 포인트는,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와의 접속에 사용하고 있는 BSSID의 사용을 정지한다. 구체적으로는,이하의 (1) 내지 (3)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액세스 포인트는,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와의 접속에 사용하고 있는 BSSID의 사용을 정지한다.
(1) 액세스 포인트는,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와의 접속에 사용하고 있는 BSSID가 수신처로 되어 있는 패킷에는 응답하지 않는다. (2) 액세스 포인트는,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와의 접속에 사용하고 있는 BSSID를 넣은 비컨 패킷의 송신을 정지한다. (3) 액세스 포인트는,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와의 접속에 사용하고 있는 BSSID를 넣은 프로브 응답 패킷의 송신을 정지한다.
다른 액세스 포인트는, 이동 요구 패킷을 송신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응낙 패킷을 송신한 후, 이동 요구 패킷에 포함되는 SSID 및 BSSID를 자기에게 설정한다. 그리고, 다른 액세스 포인트는,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와의 접속 처리가 완료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와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액세스 포인트는,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를 다른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시킬 수 있다. 즉, 이동처인 다른 액세스 포인트는, 이동원인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이동 요구 패킷을 수신한다. 다른 액세스 포인트가, 이동 요구 패킷에 포함되는 SSID 및 BSSID를 자기에게 설정한다. 이 경우, 다른 액세스 포인트는, 이동원의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되어 있었던 클라이언트와는, 접속 처리가 완료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그 결과, 다른 액세스 포인트는,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와의 접속 처리를 생략하고,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을 중계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클라이언트가 액세스 포인트를 절환할 때에 생기는 통신 품질의 저하나 통신의 도중 끊김의 발생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액세스 포인트의 구성〉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액세스 포인트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 중앙 처리 장치(CPU)(2), 플래시 롬(Flash ROM)(3), 유선 LAN 인터페이스부(4), 무선 LAN 인터페이스부(5) 및 전원부(6)를 구비하고 있다. 무선 LAN 인터페이스부(5)는,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7), 트랜스시버(8), 전력 증폭기(9) 및 안테나(10)를 구비하고 있다.
랜덤 액세스 메모리(1)는, 중앙 처리 장치(2)가 무선 LAN의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에 작업 영역으로서 이용하는 기억 매체이다.
중앙 처리 장치(2)는, 플래시 롬(3)에 기록된 무선 LAN의 제어의 프로그램(예를 들면, 펌웨어, 드라이버 등)을 실행한다. 중앙 처리 장치(2)는, 프로그램의 실행 시, 랜덤 액세스 메모리(1)를 일시적인 기억 매체로서 사용한다. 중앙 처리 장치(2)는, 일정 시간을 계측하기 위한 타이머를 구비하고 있다.
유선 LAN 인터페이스부(4)는, 네트워크 케이블을 통해서 다른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되어 있다. 유선 LAN 인터페이스부(4)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에 네트워크 케이브를 통해서 패킷을 송신한다. 또한, 유선 LAN 인터페이스부(4)는, 다른 액세 스 포인트가 송신하는 패킷을 수신한다.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7)는, 트랜스시버(8)로부터의 신호를 1과 0으로 표현되는 비트열로 변환하고, 그 비트열을 중앙 처리 장치(2)에 송출한다. 또한,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7)는, 중앙 처리 장치(2)로부터 받는 비트열을 무선 신호로 변환하고, 그 무선 신호를 트랜스시버(8)에 송출한다.
트랜스시버(8)는, 안테나(1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다운 컨버트하여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7)에 송출한다. 또한, 트랜스시버(8)는,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7)로부터의 신호를 반송파 주파수로 업 컨버트하여 안테나(10)에 송출한다.
전력 증폭기(9)는, 클라이언트에 송출하는 신호의 전력을 올린다. 안테나(10)는, 클라이언트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안테나(10)는, 무선 신호를 클라이언트에 송출한다.
도 3은 액세스 포인트의 기능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제어부(11)를 갖고 있다. 제어부(11)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1)나 중앙 처리 장치(2) 등으로 이루어지고, 수신부(12), 송신부(13), 인증부(14), 중계부(15), 측정부(16), 등록부(17), 판정부(18) 및 결정부(19)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이들의 기능은, 예를 들면 중앙 처리 장치(2)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실현할 수 있다.
수신부(12)는, 무선 LAN 인터페이스부(5)를 통해서, 프로브 요구 패킷, 인증 요구 패킷, 어소시에이션 요구 패킷 및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다. 수신부(12)는, 유선 LAN 인터페이스부(4)를 통해서, 문의 패킷, 회신 패킷, 이동 요구 패킷, 응낙 패킷 및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다.
송신부(13)는, 무선 LAN 인터페이스부(5)를 통해서, 프로브 응답 패킷, 인증 응답 패킷, 어소시에이션 응답 패킷 및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다.
송신부(13)는, 유선 LAN 인터페이스부(4)를 통해서, 문의 패킷을 서브 네트워크 내에 브로드캐스트한다. 송신부(13)는, 유선 LAN 인터페이스부(4)를 통해서, 회신 패킷, 이동 요구 패킷, 응낙 패킷 및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다.
송신부(13)는, 수신부(12)가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응낙 패킷을 수신한 경우, 이동 요구 패킷과 접속에 사용하고 있는 BSSID가 수신처로 되는 패킷에 대한 응답을 정지한다.
송신부(13)는, 수신부(12)가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응낙 패킷을 수신한 경우,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와의 접속에 사용하고 있는 BSSID를 포함시킨 비컨 패킷의 송신을 정지한다.
송신부(13)는, 수신부(12)가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응낙 패킷을 수신한 경우,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와의 접속에 사용하고 있는 BSSID를 포함시킨 프로브 응답 패킷의 송신을 정지한다.
인증부(14)는, 수신부(12)가 수신한 프로브 요구 패킷, 인증 요구 패킷 및 어소시에이션 요구 패킷이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는지를 결정한다. 소정의 조건으로서는, 예를 들면 무선 LAN의 암호화 방식의 규격인 WEP(Wired equivalent privacy)나 WPA(Wi-Fi Protected Access) 등의 시큐러티 설정이 있다.
중계부(15)는, 인증부(14)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다고 결정한 경우, 무선 LAN 인터페이스부(5)를 통해서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패킷을, 유선 LAN 인터페이스부(4)를 통해서 LAN 케이블에 송신한다.
중계부(15)는, 인증부(14)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다고 결정한 경우, 유선 LAN 인터페이스부(4)를 통해서 수신한 데이터 패킷을, 무선 LAN 인터페이스부(5)를 통해서 클라이언트에 송신한다.
측정부(16)는, 무선 LAN 인터페이스부(5)를 통해서,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전파의 수신 신호 강도를 측정한다.
등록부(17)는, 측정부(16)가 측정한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전파의 수신 신호 강도를 랜덤 액세스 메모리(1)에 등록한다. 등록부(17)는, 수신부(12)가 수신한 이동 요구 패킷에 포함되는 SSID 및 BSSID를 랜덤 액세스 메모리(1)에 등록한다.
판정부(18)는, 일정 시간 내에 유선 LAN 인터페이스부(4)가 문의 패킷을 수신하였는지를 판정한다. 판정부(18)는, 일정 시간 내에 유선 LAN 인터페이스부(4)가 회신 패킷을 수신하였는지를 판정한다. 판정부(18)는, 일정 시간 내에 유선 LAN 인터페이스부(4)가 이동 요구 패킷을 수신하였는지를 판정한다. 판정부(18)는, 일정 시간 내에 유선 LAN 인터페이스부(4)가 응낙 패킷을 수신하였는지를 판정한다.
판정부(18)는,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를 받아들이는 것이 가능한지를 판정한다. 판정부(18)가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를 받아들이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정한 경우, 송신부(13)는, 유선 LAN 인터페이스부(4)를 통해서 응낙 패킷을 송신한다.
결정부(19)는,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전파의 수신 신호 강도와 수신 한 회신 패킷에 들어 있는 수신 신호 강도를 비교한다. 결정부(19)는, 회신 패킷에 들어 있는 수신 신호 강도가,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전파의 수신 신호 강도보다도 높은 경우, 그 높은 수신 신호 강도가 들어 있는 회신 패킷을 송신한 다른 액세스 포인트를 결정한다.
〈패킷〉
본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문의 패킷, 회신 패킷, 이동 요구 패킷 및 응낙 패킷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문의 패킷, 회신 패킷, 이동 요구 패킷 및 응낙 패킷으로서 적용되는 패킷의 프레임 포맷을 도시하고 있다. 문의 패킷, 회신 패킷, 이동 요구 패킷 및 응낙 패킷은, 각각 이더넷(Ethernet)(등록 상표) 헤더(101)(이하, 「LAN 헤더(101)」라고 표기함), IP(Internet Protocol) 헤더(102), UDP(User Datagram Protocol) 헤더(103), 데이터부(104)를 구비하고 있다.
LAN 헤더(101), IP 헤더(102) 및 데이터부(104)는 문의 패킷, 회신 패킷, 이동 요구 패킷 및 응낙 패킷, 각각에 의존하는 정보를 갖고 있다. UDP 헤더(103)는, 패킷의 종류나 액세스 포인트의 차이에 의존하지 않는 공통의 정보를 갖고 있다.
UDP 헤더(103)는, 송신원의 포트 번호와 송신처의 포트 번호를 포함하고 있다. 포트 번호는, 액세스 포인트가 구비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송신원의 포트 번호 및 송신처의 포트 번호는, 모두 임의의 결정된 값(예를 들면, 6350 등)이며, 패킷의 종류나 액세스 포인트에 의존하지 않는다. 또한, 송신원의 포트 번호와 송신처의 포트 번호는, 상이한 값이어도 된다.
〈문의 패킷〉
문의 패킷은, 서브 네트워크 내에 클라이언트의 무선 MAC 어드레스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한 패킷이다.
LAN 헤더(101)는, 송신원의 액세스 포인트의 유선 MAC 어드레스 및 브로드 캐스트용의 유선 MAC 어드레스를 포함하고 있다. IP 헤더(102)는, 송신원의 액세스 포인트의 IP 어드레스 및 네트워크 어드레스에 의존하는 브로드 캐스트용의 IP어드레스를 포함하고 있다.
데이터부(104)는, 문의 패킷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자와,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의 무선 MAC 어드레스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식별자를 Request라고 하는 문자열로 정한 경우, 데이터부(104)는, "52 65 71 75 65 73 74" 및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의 무선 MAC 어드레스("Request"+무선 MAC 어드레스)라고 하는 16진수의 데이터열로 된다.
〈회신 패킷〉
회신 패킷은, 액세스 포인트가 문의 패킷을 수신한 후에, 문의 패킷을 송신한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송신하는 패킷이다.
LAN 헤더(101)는, 송신원의 액세스 포인트의 유선 MAC 어드레스 및 송신처의 액세스 포인트(문의 패킷에 포함되어 있던 문의원의 액세스 포인트)의 유선 MAC 어드레스를 포함하고 있다. IP 헤더(102)는, 송신원의 액세스 포인트의 IP 어드레스 및 송신처의 액세스 포인트(문의 패킷에 포함되어 있던 문의원의 액세스 포인트)의 IP 어드레스를 포함하고 있다.
데이터부(104)는, 회신 패킷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자와,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전파의 수신 신호 강도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식별자를 Response라고 하는 문자열로 정한 경우, 데이터부(104)는, "52 65 73 70 6f 6e 73 65" 및 수신 신호 강도의 수치의 16진수 표기("Response"+수신 신호 강도의 수치의 16진수 표기)라고 하는 16진수의 데이터열로 된다.
〈이동 요구 패킷〉
이동 요구 패킷은,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보다도, 전파적으로 가까운 다른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는 경우, 송신하는 패킷이다.
LAN 헤더(101)는, 송신원의 액세스 포인트의 유선 MAC 어드레스 및 송신처의 유선 MAC 어드레스를 포함하고 있다. IP 헤더(102)는, 송신원의 액세스 포인트의 IP 어드레스 및 송신처의 액세스 포인트의 IP 어드레스를 포함하고 있다.
데이터부(104)는, 이동 요구 패킷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자, 이동 대상의 클라이언트의 무선 MAC 어드레스, 이동 대상의 클라이언트와의 접속에 사용하고 있는 BSSID, 및 이동 대상의 클라이언트와의 접속에 사용하고 있는 SSID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식별자를 Move라고 하는 문자열로 정한 경우, 데이터부(104)는, "4D 6F 76 65"+이동 대상의 클라이언트의 무선 MAC 어드레스+BSSID+SSID("Move"+무선 MAC 어드레스+BSSID+SSID)라고 하는 16진수의 데이터열로 된다.
〈응낙 패킷〉
응낙 패킷은, 다른 액세스 포인트가,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를 받아들이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정한 경우, 이동 요구 패킷을 송신한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송신하는 패킷이다.
LAN 헤더(101)는, 송신원의 액세스 포인트의 유선 MAC 어드레스 및 송신처의 액세스 포인트(이동 요구 패킷에 포함되어 있던 이동 요구원의 액세스 포인트)의 유선 MAC 어드레스를 포함하고 있다. IP 헤더(102)는, 송신원의 액세스 포인트의 IP 어드레스 및 송신처의 액세스 포인트(이동 요구 패킷에 포함되어 있던 이동 요구원의 액세스 포인트)의 IP 어드레스를 포함하고 있다.
데이터부(104)는, 응낙 패킷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자와, 이동 대상의 클라이언트의 무선 MAC 어드레스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식별자를 Accept라고 하는 문자열로 정한 경우, 데이터부(104)는, "41 63 63 65 70 74"+이동 대상의 클라이언트의 무선 MAC 어드레스("Accept"+무선 MAC 어드레스)라고 하는 16진수의 데이터열로 된다.
〈동작예〉
이하,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동작예를 설명한다. 우선, 클라이언트가 행하는 동작예를 설명한다. 다음으로, 액세스 포인트가 행하는 동작예를 설명한다.
〈클라이언트의 동작예〉
도 5는 클라이언트와 액세스 포인트가 비접속인 상태로부터, 클라이언트와 액세스 포인트가 접속을 확립할 때까지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에 도시한 처리의 개시 시점에서는, 클라이언트는 비접속 상태에 있다(S501). 다음으로, 클라이언트는, 접속처의 SSID를 포함하는 프로브 요구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한다(S502).
클라이언트는, 일정 시간,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응답을 접수한다(S503). 클라이언트는, 그 일정 시간 내에, 최저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프로브 요구 패킷에 대한 프로브 응답 패킷을 수신하였는지를 판정한다(S504).
일정 시간 내에, 최저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프로브 요구 패킷에 대한 프로브 응답 패킷을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경우, 클라이언트는 무선 채널을 변경한다(S505). 그리고, 클라이언트는 처리를 S502로 되돌린다.
한편, 일정 시간 내에, 최저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프로브 요구 패킷에 대한 프로브 응답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클라이언트는, 프로브 응답 패킷을 회신하는 액세스 포인트 중으로부터, 접속처로 되는 액세스 포인트를 선정한다(S506).
클라이언트는, 선정한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접속 처리를 개시한다(S507). 그리고, 클라이언트는, 클라이언트와 액세스 포인트의 접속이 성공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508).
클라이언트와 액세스 포인트의 접속이 성공하지 않았던 경우, 클라이언트는, 처리를 S502로 되돌린다. 한편, 클라이언트와 액세스 포인트의 접속이 성공한 경우, 클라이언트와 액세스 포인트 사이에서 접속이 확립된다. 즉, 클라이언트는,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 상태로 된다(S509).
접속이 확립된 경우, 클라이언트는, 접속이 확립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한 프로브 응답 패킷에 포함되는 BSSID를 자기가 구비하는 기억 장치 등에 등록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클라이언트는, 프로브 응답 패킷을 회신하는 액세스 포인트 중으로부터, 접속처로 되는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여 접속할 수 있다.
도 6은 클라이언트와 액세스 포인트 사이에서 접속이 확립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클라이언트와 다른 액세스 포인트 사이에서 접속이 확립될 때까지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에 도시한 처리의 개시 시점에서는, 클라이언트는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을 행하고 있는 상태에 있다(S601). 예를 들면, 도 1의 클라이언트 b이면, 클라이언트 b는 액세스 포인트 A와 통신을 행하고 있는 상태에 있다.
다음으로, 클라이언트는, 클라이언트가 구비하는 기억 장치 등에 등록되어 있는 BSSID로 특정되는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통신을 행한다(S602). 예를 들면, 도 1의 클라이언트 b이면, 클라이언트 b는 액세스 포인트 A에 대해 통신을 행한다.
그리고, 액세스 포인트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와의 사이에서, BSSID의 이동 처리를 행한다(S603). BSSID의 이동 처리가 행해진 경우,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이동한 BSSID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설정된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액세스 포인트 A이면, 액세스 포인트 A는 액세스 포인트 C와의 사이에서 BSSID의 이동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액세스 포인트 C로 이동한 BSSID는, 액세스 포인트 C로 설정된다.
다음으로, 클라이언트는, 클라이언트가 구비하는 기억 장치 등에 등록되어 있는 BSSID로 특정되는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통신을 행한다(S604). BSSID의 이동 처리가 행해진 경우, BSSID로 특정되는 액세스 포인트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된다. 예를 들면, 도 1의 클라이언트 b이면, 클라이언트 b는, BSSID의 이동처의 액세스 포인트 C에 대해 통신을 행한다.
클라이언트는, 자기가 구비하는 기억 장치 등에 등록되어 있는 BSSID를 이용하여 통신을 행한 경우, 다른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고 있는 상태로 된다(S605). 예를 들면, 도 1의 클라이언트 b이면, 클라이언트 b는 액세스 포인트 C와 통신하고 있는 상태로 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클라이언트측에서는, 접속 처리를 생략하고 액세스 포인트의 절환이 가능하게 된다. 즉, 클라이언트측에서는, 접속 처리를 생략하고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절환이 가능하게 된다.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예〉
도 7은 이동원의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액세스 포인트는, 자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되어 있는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전파의 수신 신호 강도를 조사한다(S701). 다음으로, 액세스 포인트는,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의 유선 MAC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문의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한다(S702).
그리고, 액세스 포인트는, 일정 시간 내에 회신 패킷을 수신하였는지를 판정한다(S703). 일정 시간 내에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회신 패킷을 액세스 포인트가 수신한 경우, 액세스 포인트는, 자액세스 포인트보다도 전파적 으로 가까운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는지를 판정한다(S704).
한편, 일정 시간 내에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회신 패킷을 액세스 포인트가 수신하지 않은 경우(S703의 처리에서 부정으로 판정된 경우), 액세스 포인트는, 처리를 S701로 되돌린다.
다음으로, 자액세스 포인트보다도 전파적으로 가까운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는 경우(S704의 처리에서 긍정으로 판정된 경우), 액세스 포인트는, 자액세스 포인트보다도 전파적으로 가까운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이동 요구 패킷을 송신한다(S705).
한편, 자액세스 포인트보다도 전파적으로 가까운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S704의 처리에서 부정으로 판정된 경우), 액세스 포인트는, 처리를 S701로 되돌린다.
그리고, 액세스 포인트는, 일정 시간 내에 응낙 패킷을 수신하였는지를 판정한다(S706). 일정 시간 내에 응낙 패킷을 수신한 경우, 액세스 포인트는,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가 사용하고 있는 BSSID의 사용을 멈춘다(S707). 한편, 일정 시간 내에 응낙 패킷을 액세스 포인트가 수신하지 않은 경우, 액세스 포인트는, 처리를 S701로 되돌린다.
액세스 포인트가,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가 사용하고 있던 BSSID의 사용을 멈춤으로써, 액세스 포인트와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의 접속이 절단된다(S708).
이상의 처리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는,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와의 접속을 절단할 수 있다. 그리고, 액세스 포인트는,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의 존재를 다른 액 세스 포인트에 알릴 수 있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는,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가 데이터 통신에 사용하는 BSSID를 다른 액세스 포인트에 알릴 수 있다.
도 8은 이동처인 다른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다른 액세스 포인트는, 일정 시간 내에 문의 패킷을 수신하였는지를 판정한다(S801).
일정 시간 내에 문의 패킷을 수신한 경우, 다른 액세스 포인트는,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전파의 수신 신호 강도를 측정한다(S802). 한편, 문의 패킷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 다른 액세스 포인트는, 처리를 S801로 되돌린다.
다음으로, 다른 액세스 포인트는, 측정한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전파의 수신 신호 강도를 포함시킨 회신 패킷을 액세스 포인트에 회신한다(S803). 그리고, 다른 액세스 포인트는, 일정 시간 내에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에 관한 이동 요구 패킷을 수신하였는지를 판정한다(S804).
일정 시간 내에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에 관한 이동 요구 패킷을 수신한 경우, 다른 액세스 포인트는,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를 받아들이는 것이 가능한지를 판정한다(S805).
한편, 일정 시간 내에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에 관한 이동 요구 패킷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S804의 처리에서 부정으로 판정된 경우), 다른 액세스 포인트는, 처리를 S801로 되돌린다.
다음으로, 다른 액세스 포인트가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를 받아들이는 것이 가능한 경우(S805의 처리에서 긍정으로 판정된 경우), 다른 액세스 포인트는, 액세 스 포인트에 응낙 패킷을 송신한다(S806).
한편, 다른 액세스 포인트가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를 받아들이는 것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S805의 처리에서 부정으로 판정된 경우), 다른 액세스 포인트는, 처리를 S801로 되돌린다.
그리고, 다른 액세스 포인트는, 이동 요구 패킷에 포함되는 SSID 및 BSSID를 자기에게 설정한다(S807).
다른 액세스 포인트는,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와의 접속 처리는 완료된 것으로 하여,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와의 데이터 통신을 개시한다(S808).
이상의 처리에 의해, 다른 액세스 포인트는,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와의 접속 처리를 생략하고, 이동 대상 클라이언트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을 중계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클라이언트가 액세스 포인트를 절환할 때에 생기는 통신 품질의 저하나 통신의 도중 끊김의 발생을 경감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컴퓨터에 상기 어느 하나의 기능을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터에, 이 기록 매체의 프로그램을 읽어들여 실행시킴으로써, 그 기능을 제공시킬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데이터나 프로그램 등의 정보를 전기적, 자기적, 광학적, 기계적, 또는 화학적 작용에 의해 축적하고, 컴퓨터로부터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를 말한다. 이와 같은 기록 매체 중 컴퓨터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으로서는, 예를 들 면 플렉시블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CD-ROM, CD-R/W, DVD, DAT, 8㎜ 테이프,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에 고정된 기록 매체로서 하드디스크나 ROM 등이 있다.

Claims (12)

  1.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접속 요구를 받았을 때에 소정의 인증 조건을 충족시켰는지의 여부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인증하는 인증 수단과, 상기 인증 수단에 의해 무선 통신 장치의 인증이 되었을 때에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한 통신을 중계하는 수단을 구비한 통신 장치로서,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한 통신의 중계를 행하는 통신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접속 정보를 송신한 다른 통신 장치에 응낙 정보를 송신하는 수단과,
    다른 통신 장치가 상기 응낙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의해 다른 통신 장치가 사용을 정지한 식별 정보를, 자기 장치에 설정하는 수단과,
    상기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그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한 통신의 중계를 행하는 통신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한 통신의 중계를 허가하는 수단
    을 구비하는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한 통신의 중계를 행하는 통신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는, 통신의 중계가 행해지고 있는 무선 통신 장치마다 상이한 값이 설정되어 있는 통신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다른 통신 장치에서의 상태의 문의를 다른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수단과,
    상기 문의에 따른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그 다른 통신 장치에서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회신을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회신에 포함되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한 통신의 중계를 행하는 다른 통신 장치를 결정하는 결정 수단과,
    상기 접속 정보를 상기 결정한 다른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수단
    을 더 구비하는 통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다른 통신 장치에서의 상기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의 수신 신호 강도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 수단은, 수신 신호 강도가 가장 양호한 다른 통신 장치를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한 통신의 중계를 행하는 다른 통신 장치로서 결정하는 통신 장치.
  5.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접속 요구를 받았을 때에 소정의 인증 조건을 충족시켰는지의 여부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인증하는 인증 스텝과,
    상기 인증 스텝에 의해 무선 통신 장치의 인증이 되었을 때에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한 통신을 중계하는 스텝과,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한 통신의 중계를 행하는 통신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접속 정보를 송신한 다른 통신 장치에 응낙 정보를 송신하는 스텝과,
    다른 통신 장치가 상기 응낙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의해 다른 통신 장치가 사용을 정지한 식별 정보를, 자기 장치에 설정하는 스텝과,
    상기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그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한 통신의 중계를 행하는 통신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한 통신의 중계를 허가하는 스텝
    을 구비하는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한 통신의 중계를 행하는 통신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는, 통신의 중계가 행해지고 있는 무선 통신 장치마다 상이한 값이 설정되어 있는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다른 통신 장치에서의 상태의 문의를 다른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문의에 따른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그 다른 통신 장치에서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회신을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회신에 포함되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한 통신의 중계를 행하는 다른 통신 장치를 결정하는 결정 스텝과,
    상기 접속 정보를 상기 결정한 다른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스텝
    을 더 구비하는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다른 통신 장치에서의 상기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의 수신 신호 강도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 스텝은, 수신 신호 강도가 가장 양호한 다른 통신 장치를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한 통신의 중계를 행하는 다른 통신 장치로서 결정하는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9.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통신 장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통신 장치 제어 프로그램은,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접속 요구를 받았을 때에 소정의 인증 조건을 충족시켰는지의 여부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인증하는 인증 스텝과,
    상기 인증 스텝에 의해 무선 통신 장치의 인증이 되었을 때에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한 통신을 중계하는 스텝과,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한 통신의 중계를 행하는 통신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접속 정보를 송신한 다른 통신 장치에 응낙 정보를 송신하는 스텝과,
    다른 통신 장치가 상기 응낙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의해 다른 통신 장치가 사용을 정지한 식별 정보를, 자기 장치에 설정하는 스텝과,
    상기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그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한 통신의 중계를 행하는 통신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한 통신의 중계를 허가하는 스텝
    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한 통신의 중계를 행하는 통신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는, 통신의 중계가 행해지고 있는 무선 통신 장치마다 상이한 값이 설정되어 있는 통신 장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다른 통신 장치에서의 상태의 문의를 다른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문의에 따른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그 다른 통신 장치에서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회신을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회신에 포함되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한 통신의 중계를 행하는 다른 통신 장치를 결정하는 결정 스텝과,
    상기 접속 정보를 상기 결정한 다른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스텝
    을 더 구비하는 통신 장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다른 통신 장치에서의 상기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의 수신 신호 강도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 스텝은, 수신 신호 강도가 가장 양호한 다른 통신 장치를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한 통신의 중계를 행하는 다른 통신 장치로서 결정하는 통신 장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87032022A 2006-07-04 2006-07-04 통신 장치, 통신 장치에 의한 무선 통신 장치의 접속처 절환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0509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6/313317 WO2008004279A1 (fr) 2006-07-04 2006-07-04 Appareil de communication, et procédé et programme pour commander la commutation de destinations de connexion d'un appareil de communication sans fil en utilisant l'appareil de commun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8676A KR20090018676A (ko) 2009-02-20
KR101050958B1 true KR101050958B1 (ko) 2011-07-20

Family

ID=38894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2022A KR101050958B1 (ko) 2006-07-04 2006-07-04 통신 장치, 통신 장치에 의한 무선 통신 장치의 접속처 절환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119751A1 (ko)
EP (1) EP2037629A4 (ko)
JP (1) JP5012799B2 (ko)
KR (1) KR101050958B1 (ko)
CN (1) CN101473596A (ko)
WO (1) WO20080042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98277B1 (en) 2010-06-16 2012-12-26 Alcatel Lucent Self-configuration of donor/relay eNode B interface
US8351354B2 (en) 2010-09-30 2013-01-08 Intel Corporation Privacy control for wireless devices
JP5882760B2 (ja) * 2011-03-10 2016-03-0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716586B2 (ja) * 2011-07-15 2015-05-13 株式会社バッファロー 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無線ネットワーク中継装置
JP2014064199A (ja) * 2012-09-21 2014-04-10 Ricoh Co Ltd 通信端末、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066153B2 (en) 2013-03-15 2015-06-23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multicast delivery of content in a content delivery network
US10368255B2 (en) 2017-07-25 2019-07-30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client-based dynamic control of connections to co-existing radio access networks
US9313568B2 (en) 2013-07-23 2016-04-12 Chicago Custom Acoustics, Inc. Custom earphone with dome in the canal
JP2016163186A (ja) 2015-03-02 2016-09-05 富士通株式会社 移動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US9986578B2 (en) 2015-12-04 2018-05-29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selective data network access
US10327187B2 (en) 2015-12-04 2019-06-18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network extensibility and enhancement
US9918345B2 (en) 2016-01-20 2018-03-13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network services in moving vehicles
US10492034B2 (en) 2016-03-07 2019-11-26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dynamic open-access networks
US10164858B2 (en) * 2016-06-15 2018-12-25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diagnosing a wireless network
JP6436176B2 (ja) * 2017-02-10 2018-12-12 株式会社リコー 位置管理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645547B2 (en) 2017-06-02 2020-05-05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wireless service in a venue
US10638361B2 (en) 2017-06-06 2020-04-28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dynamic control of connections to co-existing radio access networks
JP7110705B2 (ja) * 2018-04-27 2022-08-02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7674A (ko) * 2004-04-02 2005-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노드의 인터넷 접속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27761A (ko) * 2004-09-23 2006-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비스 품질 지원을 고려한 이기종 네트워크 간의핸드오프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6253B2 (ja) * 1997-10-16 2006-12-13 ソニー株式会社 セルラー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基地局
JPH11317747A (ja) 1998-05-01 1999-11-16 Kokusai Electric Co Ltd 無線lanシステム
JP2004514383A (ja) * 2000-10-23 2004-05-13 ブルーソケット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無線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の中央制御を可能に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7042988B2 (en) * 2001-09-28 2006-05-09 Bluesocket,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ata traffic in wireless networks
JP4000933B2 (ja) * 2002-07-19 2007-10-31 ソニー株式会社 無線情報伝送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無線端末装置
JP3845347B2 (ja) * 2002-08-28 2006-11-15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高速ローミング方式
KR100448318B1 (ko) * 2002-11-08 2004-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망에서의 핸드오프방법
JP2004304240A (ja) * 2003-03-28 2004-10-28 Japan Telecom Co Ltd 無線lan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移動通信端末の認証方法及びその通信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US7308458B2 (en) * 2003-06-11 2007-12-11 Wtviii, Inc. System for normalizing and archiving schemas
US20050138178A1 (en) * 2003-12-19 2005-06-23 Shaun Astarabadi Wireless mobility manag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7674A (ko) * 2004-04-02 2005-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노드의 인터넷 접속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27761A (ko) * 2004-09-23 2006-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비스 품질 지원을 고려한 이기종 네트워크 간의핸드오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73596A (zh) 2009-07-01
KR20090018676A (ko) 2009-02-20
US20090119751A1 (en) 2009-05-07
JP5012799B2 (ja) 2012-08-29
EP2037629A4 (en) 2011-06-08
JPWO2008004279A1 (ja) 2009-12-03
WO2008004279A1 (fr) 2008-01-10
EP2037629A1 (en) 200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0958B1 (ko) 통신 장치, 통신 장치에 의한 무선 통신 장치의 접속처 절환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US8203996B2 (en)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JP4477882B2 (ja) 無線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中の隠れノードの検出
US7953052B2 (en) Inter-technology handoff method in an IP-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630706B2 (ja) サービス装置、サービス装置によるクライアント装置の接続先切替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025356B2 (ja) 通信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ならびに通信制御方法
US20090196258A1 (en) Switching of an infrastructure-less network to a fixed-infrastructure network
US20070002811A1 (en) Mechanism to enable optimized provision of beacon information in WLAN networks
US20070140191A1 (en) Wireless LAN device and communication mode switching method
US20070147299A1 (en)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WO2007082132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ng a handoff in a mobile internet protocol communication system
JP2009500969A5 (ko)
US20060264212A1 (en) Method and system for a roam-less mobile unit
US20030119486A1 (en) Mobile wireless apparatus, base station wireless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JP2009218929A (ja) 基地局、移動端末および通信プログラム
TW201019655A (en) Methods for detecting routing loops between home agents
JP4891106B2 (ja) 無線lanシステムおよびハンドオーバ方法
JP2004229225A (ja) 無線lanシステムおよびステーションならびにネットワーク切替方法
JPH10243023A (ja) 通信制御方式
JP4279046B2 (ja) 無線lanの高速ローミング処理手段を備えた無線端末装置
US20180337903A1 (en) Wireless lan access point and encryption key sharing method
JP6729688B2 (ja) 無線中継装置、無線制御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20090054145A (ko) 네트워크 기반의 고속 핸드오버 수행 방법
JP6539891B2 (ja) 基地局システム、通信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システムの制御方法、通信端末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148579A (ja) 通信方法およ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