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0499B1 - VoIP를 이용한 계층적 다자간 통신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VoIP를 이용한 계층적 다자간 통신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0499B1
KR101050499B1 KR1020090047723A KR20090047723A KR101050499B1 KR 101050499 B1 KR101050499 B1 KR 101050499B1 KR 1020090047723 A KR1020090047723 A KR 1020090047723A KR 20090047723 A KR20090047723 A KR 20090047723A KR 101050499 B1 KR101050499 B1 KR 101050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ion
candidate
value
connection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7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9003A (ko
Inventor
성동수
이건배
이성민
Original Assignee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47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0499B1/ko
Publication of KR20100129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3Arrangements for multi-party communication, e.g. for con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44Group management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층적 다자간 통신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계층적 다자간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계층적 다자간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연결된 임의의 단말기로 연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임의의 단말기로부터 연결 가능 단말기를 소개받는 연결 요청 단말기 및 상기 연결 요청 단말기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연결된 각각의 단말기에 상응하는 연결 여유값 및 평균 미디어 지연값을 이용하여 연결 가능 단말기를 선정하고, 상기 연결 요청 단말기로 상기 연결 가능 단말기를 소개하는 연결 응답 단말기-상기 연결 응답 단말기는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임의의 단말기임-를 포함하는 계층적 다자간 통신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통신, 다자간, 회의

Description

VoIP를 이용한 계층적 다자간 통신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HIERARCHICAL MULTIPOINT COMMUNICATION USING VoIP}
본 발명은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새로운 단말기가 계층적 다자간 통신(회의)에 연결되는경우 최소 회의 시간을 유지하면서 회의 평균 미디어 지연이 최소화되도록 다자간 회의를 구성할 수 있는계층적 다자간 통신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유비쿼터스 환경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언제 어떤 곳에서건 자신이 원하는 통신 및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환경 구축을 목표로 한다. 다자간 통신 기술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다양한 서비스를 위한 기본 기술 중의 하나이다.
도 1 및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다자간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운용되는 다자간 통신은 참가자들의 무선 단말기가 무선 네트워크 한두 곳에 집중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다자간 통신을 위하여 통신 서버를 이용하는 경우, 서로 근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통신 참가자의 무선 단말기들이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한 통신 서버를 이용하게 된다.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다자간 통신을 도 1과 같이집중식 방법으로 구성할 경우 모든 참가자의 미디어가 원거리에 있는 통신 서버에서 처리되기 때문에 통신의 형태가 비효율적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2와 같이 분산식 방법으로 통신을 구성할 경우 통신 참가자의 단말기들 사이에 미디어를 직접 교환하기 때문에 통신 참가자 무선 단말기들의 전력 과다 소비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통신 서버를 이용한 다자간 통신 보다는 통신 서버를 이용하지 않는 단말혼합 방법이 대안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 혼합 방법을 유비쿼터스 환경에 적용하는데 많은 장점이 있는 반면, 통신 참가자의 단말기의 연결 구성에 따라 미디어 지연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새로운 단말기가 참가하는 경우, 최소 회의시간을 유지하면서 평균 미디어 지연 시간을 최소화하도록 연결 구성을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평균 미디어 지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단말기를 새로운 단말기에게 소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계층적 다자간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계층적 다자간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연결된 임의의 단말기로 연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임의의 단말기로부터 연결 가능 단말기를 소개받는 연결 요청 단말기 및 상기 연결 요청 단말기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연결된 각각의 단말기에 상응하는 연결 여유값 및 평균 미디어 지연값을 이용하여 연결 가능 단말기를 선정하고, 상기 연결 요청 단말기로 상기 연결 가능 단말기를 소개하는 연결 응답 단말기-상기 연결 응답 단말기는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임의의 단말기임-를 포함하는 계층적 다자간 통신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응답 단말기는 상기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연결된 각각의 단말기로 연결 여유값을 요청하여 각각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 상기 연결 여유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후보 단말기에 상응하는 평균 미디어 지연값을 산출하는 산출부 및 상기 연결 여유값을 이용하여 상기 후보 단말기를 선정하고, 상기 평균 미디어 지연값이 최소인 후보 단말기를 연결 가능 단말기로 선정하고, 상기 연결 가능 단말기를 상기 연결 요청 단말기로 소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출부는 상기 후보 단말기와 상기 연결 요청 단말기의 논리적 연결을 구성하고, 구성된 논리적 연결에서 각 단말기들간의 홉 수의 평균을 산출하여 평균 미디어 지연값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산출부는 하기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상기 후보 단말기에 상응하는 평균 미디어 지연값을 각각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09032695884-pat00001
여기서, i 및 j는 각각 단말기를 나타내며, G는 연결 요청 단말기와 상기 후보 단말기를 연결하여 구성한 논리적 연결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Figure 112009032695884-pat00002
는 상기 G에 포함된 단말기의 전체 개수를 나타내고, D(i,j)는 단말기 i와 단말기 j간의 홉수를 나타낸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평균 미디어 지연값이 최소인 후보 단말기가 복수인 경우, 연결 여유값이 큰 후보 단말기를 연결 가능 단말기로 선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 여유값이 기준값 이상인 후보 단말기가 하나인 경우 상기 산출부가 비구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후보 단말기를 연결 가능 단말기로 선정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요청 단말기는 상기 연결 응답 단말기로부터 소개받은 상기 연결 가능 단말기로 연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연결 허락 메시지를 수신하여 연결 가능 단말기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여유값 요청 메시지를 수신받은 단말기는 단말기의 성능값 또는 단말기의 잔여 전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연결 여유값을 산출하고, 상기 단말기의 성능값은 CPU 성능 또는 메모리 용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산출한 값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연결된 연결 응답 단말기가 수행하는 계층적 다자간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연결된 연결 응답 단말기가 수행하는 계층적 다자간 통신 방법에 있어서, a) 연결 요청 단말기로부터 연결 요청을 받는 단계, b) 상기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연결된 각각의 단말기로 연결 여유값을 각각 요청하여 획득하는 단계, c) 획득된 상기 연결 여유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단말기들을 후보 단말기로 선정하는 단계, d) 상기 후보 단말기에 상응하는 평균 미디어 지연값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 e) 상기 평균 미디어 지연값이 최소인 후보 단말기를 연결 가능 단말기로 선정하는 단계 및 f) 상기 연결 가능 단말기를 상기 연결 요청 단말기로 소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계층적 다자간 통신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d) 단계는, 상기 후보 단말기와 상기 연결 요청 단말기의 논리적 연결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된 논리적 연결에서 각 단말기들간의 홉 수의 평균을 산출하여 평균 미디어 지연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e) 단계는, 상기 평균 미디어 지연값이 최소인 후보 단말기가 복수인 경우, 연결 여유값이 큰 후보 단말기를 연결 가능 단말기로 선정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후보 단말기가 하나인 경우 상기 d) 단계 및 e)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상기 후보 단말기를 연결 가능 단말기로 선정할 수 있다.
상기 f) 단계 이후에, 상기 연결 요청 단말기가 상기 연결 응답 단말기로부터 소개받은 상기 연결 가능 단말기로 연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요청 단말기가 연결 허락 메시지를 수신하여 연결 가능 단말기에 연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여유값은 단말기의 성능값 또는 단말기의 잔여 전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산출되고, 상기 단말기의 성능값은 CPU 성능 또는 메모리 용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산출한 값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계층적 다자간 통신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전자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새로운 단말기가 참가하는 경우, 평균 미디어 지연 시간을 최소화하도록 연결 구성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평균 미디어 지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단말기를 새로운 단말기에게 소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새로운 단말기가 연결되어도 미디어 의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고, 최소 회의 유지 시간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다자간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연결된 단말기이거나,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연결되기 위하여 연결을 요청하는 단말기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연결된 임의의 단말기로 연결을 요청하는 단말기를 연결 요청 단말기로 정의하고, 연결 요청 단말기로부터 연결 요청을 받는 단말기를 연결 응답 단말기로 정의하기로 한다. 연결 요청 단말기가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연결된 임의의 단말기로 연결 요청을 하는 경우, 연결 요청을 받은 임의의 단말기는 연결 요청 단말기가 소개를 받아 연결을 시도한 경우, 연결을 허락하고, 소개를 받지 않고 연결을 시도한 경우, 연결 응답 단말기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통신부(310), 입력부(320), 정보 획득부(330), 산출부(340), 저장부(350) 및 제어부(36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통신부(310)는 통신망을 통해 다른 단말기들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담당한다. 즉, 통신부(310)는 논리적으로 연결된 다른 단말기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310)는 연결 여유값 요청 메시지(예를 들어, send INFO) 를 인접한 이웃 단말기들로 송신하고, 연결 여유값 메시지(Receive INFO)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0)는 제어부(360)의 제어에 따라 연결 가능 단말기 소개 메시지(send REFFER)를 연결 요청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요청 단말기는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연결되기 위하여 연결을 요청하는 단말기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가 연결 요청 단말기일 경우, 통신부(310)는 제어부(360)의 제어에 따라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연결된 임의의 단말기 또는 연결 가능 단말기로 연결 요청 메시지(send INVITE)를 송신할 수 있다.
입력부(320)는 사용자로부터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제어 명령들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입력부(320)는 복수의 키버튼(예를 들어, 숫자/문자 키, * 또는 # 기호키, 하나 이상의 기능키(예를 들어, 메뉴키, 통화키, 확인키 등)으로 구현되거나 터치스크린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가 연결 요청 단말기일 경우, 입력부(320)는 사용자로부터 연결 요청 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360)로 출력할 수 있다.
정보 획득부(520)는 통신부(310)에 의해 연결 요청 단말기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연결된 각각의 단말기(연결 응답 단말기를 제외한 모든 단말기)로 연결 여유값을 요청하여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정보 획득부(330)는 연결 요청 단말기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연결 여유값 요청 메시지(send INFO)를 생성하여 이웃 단말기 및 종단 단말기로 송신하고, 각 이웃 단말기 및 종단 단말기로부터 연결 여유값을 각각 획득(receive INFO)한다. 여기서, 이웃 단말기는 연결 여유값 요청 메시지(send INFO)를 수신하면, 자신의 이웃 단말기로 수신한 연결 여유값 요청 메시지(send INFO)를 송신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연결 여유값 요청 메시지(send INFO)는 종단 단말기까지 전달될 수 있다.
산출부(340)는 정보 획득부(330)를 통해획득된 연결 여유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예를 들어, 0) 이상인 단말기에 상응하는 평균 미디어 지연값을 각각 산출한다. 이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연결 여유값이 기준값 이상인 단말기를 후보 단말기라 칭하기로 한다.
평균 미디어 지연값은 후보 단말기에 연결 요청 단말기를 연결하여 논리적 연결을 구성한 경우 각 단말기들간의 미디어 지연에 대한 평균값을 나타낸다. 여기서, 미디어 지연은 단말기간의 홉(hop) 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산출부(340)는 하기수학식1을 이용하여 평균 미디어 지연값을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1]
Figure 112009032695884-pat00003
여기서, i 및 j는 각각 단말기를 나타내며, G는 연결 요청 단말기와 상기 후보 단말기를 연결하여 구성한 논리적 연결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Figure 112009032695884-pat00004
는 상기 G에 포함된 단말기의 전체 개수를 나타내고, D(i,j)는 단말기 i와 단말기 j간의 홉수를 나타낸다.
저장부(35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운용하기 위해 필요한 알고리즘, 연결 그래프 정보 등이 저장된다. 여기서, 연결 그래프 정보는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대한 논리적 구성 정보로써, 임의의 단말기가 통신 해제하거나 신규 통신 참여시마다 갱신되어 저장된다.
제어부(36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내부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통신부(310), 입력부(320), 정보 획득부(330), 산출부(340), 저장부(350) 등)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360)는 통신부(310)를 통해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정보 획득부(330)에 의해 획득된 연결 여유값을 이용하여 후보 단말기를 선정하고, 산출부(340)에 의해 산출된 평균 미디어 지연값을 이용하여 연결 가능 단말기를 선정한다. 제어부(360)는 연결 가능 단말기를 연결 요청 단말기에 소개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한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하여 통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가 연결 요청 단말기일 경우, 제어부(360)는 입력부(3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연결 요청 명령이 입력되면,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연결된 임의의 단말기 또는 연결 가능 단말기로 연결을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한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하여 통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응답 단말기가 연결 요청 단말기에게 연결 가능 단말기를 소개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각의 단계는 연결 응답 단말기의 각각의 내부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어지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연결 응답 단말기를 주체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S410에서, 연결 응답 단말기는 연결 요청 단말기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여기서, 연결 응답 단말기는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연결된 단말기 중 임의의 단말기일 수 있다. 연결 요청 단말기는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연결되고자 하는 단말기이다.
단계 S420에서, 연결 응답 단말기는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연결된 각각의 단말기로부터 연결 여유값을 요청하고, 이를 각각 획득한다. 또한, 연결 응답 단말기는 자신의 연결 여유값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응답 단말기는 연결 여유값 요청 메시지(send INFO)를 생성하고, 이를 이웃 단말기로 송신한다. 연결 여유값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이웃 단말기는 자신의 이웃 단말기로 연결 여유값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그래서, 연결 여유값 요청 메시지는 종단 단말기까지 전달되어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연결된 각각의 단말기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응답 단말기는 각각의 단말기로부터연결 여유값을 각각 획득한다. 예를 들어, 연결 응답 단말기는 각각의 단말기로부터 receive INFO 메시지를 이용하여 연결 여유값을 각각 획득할 수 있다.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연결 여유값 요청 메시지를 수신받은 단말기에서 연결 여유값을 산출하여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 우선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계층적 다자간 통신을 전제로 한다. 이에 따라, 연결 여유값 요청 메시지를 수신받은 단말기는 당해 단말기의 성능값(예를 들어, CPU 성능, 메모리 용량 등)과 당해단말기의 잔여 전력 등을 이용하여 연결 여유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여유 값은 최소 회의 유지 시간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최소 회의 유지 시간은 회의의 진행에 필요한 최소한의 시간으로 단말기의 잔여전력과 연관이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에 신규 단말기가 연결되는 경우 해당 단말기에서 신규 단말기의 요청에 따른 오디오 또는/및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실시간 처리가 가능한지를 고려하여 연결 여유값이 산출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에 신규 단말기가 연결되는 경우 단말기가 소비하는 소비전력이 증가하며, 단말기의 잔여 전력에 따라 단말기의 사용 시간이 상이해지므로 단말기의 잔여 전력으로 계산되는 다자간 통신을 위한 최소 회의 시간을 유지할 수 있는지를 고려하여 연결 여유값이 산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무선 환경인 것을 가정하므로 연결 여유값 산출시에 단말기의 잔여 전력을 고려하나 단말기의 환경이 유선 환경인 경우 전력은 고려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연결 여유값 요청 메시지를 수신받은 단말기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연결 여유값을 산출하여 요청한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430에서, 연결 응답 단말기는 연결 여유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예를 들어, 0) 이상인 후보 단말기를 선정한다. 후보 단말기는 연결 요청 단말기가 연결될 수 있는 단말기의 후보이다.
단계 S440에서, 연결 응답 단말기는 연결 요청 단말기가 연결되는 후보 단말기에 상응하는 평균 미디어 지연값을 각각 산출한다. 즉, 연결 응답 단말기는 각 후보 단말기에 연결 요청 단말기가 연결되었을 경우를 가정하여 평균 미디어 지연값을 산출한다. 각 후보 단말기에 대한 평균 미디어 지연값을 산출하는 방법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연결 응답 단말기는 획득된 연결 여유값이 기준값 이상인 후보 단말기가 하나인 경우 평균 미디어 지연값을 산출하는 과정을 생략하고, 해당 후보 단말기를 연결 가능 단말기로 선정할 수 있다.
단계 S450에서, 연결 응답 단말기는 산출된 평균 미디어 지연값이 최소인 후보 단말기를 연결 가능 단말기로 선정하고, 연결 가능 단말기를 연결 요청 단말기로 소개한다.
예를 들어, 평균 미디어 지연값이 최소인 후보 단말기가 복수인 경우, 연결 응답 단말기는 연결 여유값이 큰 단말기를 연결 가능 단말기로써 선정한다. 평균 미디어 지연값이 최소인 후보 단말기가 복수이고, 해당 후보 단말기들의 연결 여유값이 동일한 경우, 연결 응답 단말기는 복수의 후보 단말기 중 어느 하나를 연결 가능 단말기로써 임의적으로 선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응답 단말기는 미리 설정된 소개 메시지(send REFER)를 이용하여 연결 가능 단말기를 연결 요청 단말기로 소개한다. 이에 따라 연결 요청 단 말기는 연결 가능 단말기로 연결 요청 메시지(send INVITE)를 송신한다. 그리고, 연결 가능 단말기는 연결 요청 단말기로 연결 허락 메시지(send OK)를 송신한다. 그래서, 연결 요청 단말기는 연결 가능 단말기에 연결됨으로써, 새로 가입한 단말기로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연결된다. 만일, 연결 가능 단말기가 연결 응답 단말기 인 경우, 소개 메시지 대신에 연결 허락 메시지를 연결 요청 단말기로 전송한다.
도 5a 내지 도 5l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다자간 통신 시스템의 통신 연결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도면이다.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도 5a와 같이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대한 논리적 연결이 그래프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하며, 통신 연결을 희망하는 단말기가 J 단말기(555)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J 단말기(555)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단말기(510)로 연결 요청을 한다.
A 단말기(510)는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연결된 각각의 단말기(B 단말기(515), C 단말기(520), D 단말기(525), E 단말기(530), F 단말기(535), G 단말기(540), H 단말기(545), I 단말기(550))로 연결 여유값을 요청하여 각각 획득한다.
그리고, A 단말기(510)는 획득된 연결 여유값이 기준값 이상인 단말기들을 후보 단말기로 선정한다.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보 단말기가 D 단말기(525), E 단말기(530), F 단말기(535) 및 I 단 말기(550)인 것을 가정하여 이후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A 단말기(510)는 후보 단말기(D 단말기(525), E 단말기(530), F 단말기(535), I 단말기(550))와 연결 요청 단말기(J 단말기(555))의 논리적 연결을 구성하고 이에 대한 평균 미디어 지연값을 각각 산출한다.
도 5e 내지 도 5h에 후보 단말기(D 단말기(525), E 단말기(530), F 단말기(535), I 단말기(550))와 연결 요청 단말기(J 단말기(555))의 논리적 연결을 구성한 예가 예시되어 있다. 즉, 도 5e를 참조하면, D 단말기(525)와 J 단말기(555)의 논리적 연결을 구성하고, 각 단말기들간의 평균 미디어 지연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도 5f 내지 도 5h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머지 후보단말기(E 단말기(530), F 단말기(535), I 단말기(550))에 대해서도 각 단말기들간의 평균 미디어 지연값을 산출한다.
도 5i를 참조하면, 후보 단말기(D 단말기(525), E 단말기(530), F 단말기(535), I 단말기(550))에 대한 각각의 평균 미디어 지연값은 2.59, 2.71. 2.71, 2.74로 산출된다. 평균 미디어 지연값을 산출하는 방법은 이미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A 단말기(510)는 D 단말기(525), E 단말기(530), F 단말기(535) 및 I 단말기(550)에 상응하는 평균 미디어 지연값 중에서 D 단말기(525)에 상응하는 평균 미디어 지연값이 작으므로 D 단말기(525)를 연결 가능 단말기로 선정한다.
A 단말기(510)는 도 5j에 도시된 바와 같이, J 단말기(555)로 연결 가능 단말기(D 단말기(525))를 소개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J 단말기(555)는 도 5k에 도시된 바와 같이, D 단말기(525)로 연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D 단말기(525)로부터 연결 허락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래서, 연결 요청 단말기(J 단말기(555))는 연결 가능 단말기(D 단말기(525))에 연결되어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연결된다. 도 5l에 A 단말기(510)가 D 단말기(525)를 연결 가능 단말기로 선정하여 J 단말기(555)가 연결되어 구성된 그래프가 예시되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것이다.
도 1 및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다자간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다자간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응답 단말기가 연결 요청 단말기에게 연결 가능 단말기를 소개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a 내지 도 5l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다자간 통신 시스템의 통신 연결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도면.

Claims (15)

  1. 계층적 다자간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연결된 임의의 단말기로 연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임의의 단말기로부터 연결 가능 단말기를 소개받는 연결 요청 단말기; 및
    상기 연결 요청 단말기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연결된 각각의 단말기에 상응하는 연결 여유값 및 평균 미디어 지연값을 이용하여 연결 가능 단말기를 선정하고, 상기 연결 요청 단말기로 상기 연결 가능 단말기를 소개하는 연결 응답 단말기-상기 연결 응답 단말기는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임의의 단말기임-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 응답 단말기는
    상기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연결된 각각의 단말기로 연결 여유값을 요청하여 각각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
    상기 연결 여유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후보 단말기에 상응하는 평균 미디어 지연값을 산출하는 산출부; 및
    상기 연결 여유값을 이용하여 상기 후보 단말기를 선정하고, 상기 평균 미디어 지연값이 최소인 후보 단말기를 연결 가능 단말기로 선정하고, 상기 연결 가능 단말기를 상기 연결 요청 단말기로 소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산출부는 상기 후보 단말기와 상기 연결 요청 단말기의 논리적 연결을 구성하고, 구성된 논리적 연결에서 각 단말기들간의 홉 수의 평균을 산출하여 평균 미디어 지연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적 다자간 통신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하기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상기 후보 단말기에 상응하는 평균 미디어 지연값을 각각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적 다자간 통신 시스템.
    Figure 112011001906754-pat00005
    여기서, i 및 j는 각각 단말기를 나타내며, G는 연결 요청 단말기와 상기 후보 단말기를 연결하여 구성한 논리적 연결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Figure 112011001906754-pat00006
    는 상기 G에 포함된 단말기의 전체 개수를 나타내고, D(i,j)는 단말기 i와 단말기 j간의 홉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적 다자간 통신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평균 미디어 지연값이 최소인 후보 단말기가 복수인 경우, 연결 여유값이 큰 후보 단말기를 연결 가능 단말기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적 다자간 통신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 여유값이 기준값 이상인 후보 단말기가 하나인 경우 상기 산출부가 비구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후보 단말기를 연결 가능 단말기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적 다자간 통신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청 단말기는 상기 연결 응답 단말기로부터 소개받은 상기 연결 가능 단말기로 연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연결 허락 메시지를 수신하여 연결 가능 단말기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적 다자간 통신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여유값을 요청받은 단말기는 단말기의 성능값 또는 단말기의 잔여 전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연결 여유값을 산출하고, 상기 단말기의 성능값은 CPU 성능 또는 메모리 용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산출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적 다자간 통신 시스템.
  9.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연결된 연결 응답 단말기가 수행하는 계층적 다자간 통신 방법에 있어서,
    a) 연결 요청 단말기로부터 연결 요청을 받는 단계;
    b) 상기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연결된 각각의 단말기로 연결 여유값을 각각 요청하여 획득하는 단계;
    c) 획득된 상기 연결 여유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단말기들을 후보 단말기로 선정하는 단계;
    d) 상기 후보 단말기에 상응하는 평균 미디어 지연값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
    e) 상기 평균 미디어 지연값이 최소인 후보 단말기를 연결 가능 단말기로 선정하는 단계; 및
    f) 상기 연결 가능 단말기를 상기 연결 요청 단말기로 소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d) 단계는,
    상기 후보 단말기와 상기 연결 요청 단말기의 논리적 연결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된 논리적 연결에서 각 단말기들간의 홉 수의 평균을 산출하여 평균 미디어 지연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적 다자간 통신 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평균 미디어 지연값이 최소인 후보 단말기가 복수인 경우, 연결 여유값이 큰 후보 단말기를 연결 가능 단말기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적 다자간 통신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후보 단말기가 하나인 경우 상기 d) 단계 및 e)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상기 후보 단말기를 연결 가능 단말기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적 다자간 통신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 이후에,
    상기 연결 요청 단말기가 상기 연결 응답 단말기로부터 소개받은 상기 연결 가능 단말기로 연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요청 단말기가 연결 허락 메시지를 수신하여 연결 가능 단말기에 연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계층적 다자간 통신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여유값은 단말기의 성능값 또는 단말기의 잔여 전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산출되고, 상기 단말기의 성능값은 CPU 성능 또는 메모리 용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산출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적 다자간 통신 방법.
  15. 제9항,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계층적 다자간 통신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전자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090047723A 2009-05-29 2009-05-29 VoIP를 이용한 계층적 다자간 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101050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723A KR101050499B1 (ko) 2009-05-29 2009-05-29 VoIP를 이용한 계층적 다자간 통신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723A KR101050499B1 (ko) 2009-05-29 2009-05-29 VoIP를 이용한 계층적 다자간 통신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003A KR20100129003A (ko) 2010-12-08
KR101050499B1 true KR101050499B1 (ko) 2011-07-20

Family

ID=43505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7723A KR101050499B1 (ko) 2009-05-29 2009-05-29 VoIP를 이용한 계층적 다자간 통신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04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785B1 (ko) * 2011-12-14 2014-03-14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자간 회의 구성 방법 및 단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689B1 (ko) * 2011-04-28 2013-01-09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계층적 다자간 통신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1482A (ko) * 2007-11-19 2009-05-22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디어 지연 문제 및 자원 문제가 해결 가능한 다자간계층적 단말혼합 회의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1482A (ko) * 2007-11-19 2009-05-22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디어 지연 문제 및 자원 문제가 해결 가능한 다자간계층적 단말혼합 회의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785B1 (ko) * 2011-12-14 2014-03-14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자간 회의 구성 방법 및 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003A (ko) 201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74290B1 (en) Smart device pairing and configuration for meeting spaces
CN102859981B (zh) 电视机
WO2019090902A1 (zh) 屏幕共享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8068866B2 (en) Group communication server
US8363661B2 (en) Method and system for data transmission
US9184926B2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remote control of a video conferencing device
US20150312361A1 (en) Method Of Establishing Communication Session Using Active Connection Of Mobile Terminal To Relay Server
CN105592042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系统以及信息处理方法
CN103873426A (zh) 一种加入社交群组的方法、服务器、终端以及系统
JP6583543B2 (ja) 情報送信システム、情報送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9079971A1 (zh) 群组的通信方法及装置、计算机存储介质、计算机设备
US8779888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KR101050499B1 (ko) VoIP를 이용한 계층적 다자간 통신 방법 및 시스템
CN113794996B (zh) 设备通信、设备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101013944B1 (ko) 계층적 다자간 통신 방법 및 시스템
US7945686B2 (en)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JP7010522B2 (ja) プロトコル互換性が向上したptt通信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ptt通信方法
JP2008048183A (ja) グループ通信におけるサービス切替方法、サーバ、端末及びプログラム
KR101049956B1 (ko) 에드혹 망에서 계층적 다자간 통신 방법 및 단말기
KR101049959B1 (ko) 계층적 다자간 통신 방법 및 단말기
KR101219689B1 (ko) 계층적 다자간 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101076770B1 (ko) 계층적 다자간 통신 단말기 및 연결 여유값 산출 방법
CN114866520B (zh) 通信的处理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212238B1 (ko) 계층적 다자간 통신 방법 및 시스템
NO342196B1 (no) Fremgangsmåte for øket transmisjonskapasitet ved deling av transmisjonskapasitet i primærforbindel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