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1482A - 미디어 지연 문제 및 자원 문제가 해결 가능한 다자간계층적 단말혼합 회의시스템 - Google Patents

미디어 지연 문제 및 자원 문제가 해결 가능한 다자간계층적 단말혼합 회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1482A
KR20090051482A KR1020070117896A KR20070117896A KR20090051482A KR 20090051482 A KR20090051482 A KR 20090051482A KR 1020070117896 A KR1020070117896 A KR 1020070117896A KR 20070117896 A KR20070117896 A KR 20070117896A KR 20090051482 A KR20090051482 A KR 20090051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erminals
parent
conference system
con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7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동수
이건배
Original Assignee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117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1482A/ko
Publication of KR20090051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14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 들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단말혼합 회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혼합 회의시스템에 새로이 참가하고자 연결 요청을 하는 단말기가 있는 경우에 최대 이웃 단말기의 설정수보다 작은 이웃단말기를 가지는 단말기 중 가장 트리구조의 깊이가 작은 단말기에 우선 연결시킴으로써 다자간 단말혼합 회의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단말기 간의 미디어 교환의 지연이나 자원 부족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다자간 계층적 단말혼합 회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다수의 단말기 간에 미디어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연결요청에 따라 연결되어 다수의 단말기 간에 연결되는 형태가 트리구조로 연결됨에 따라 상부에 위치하는 단말기가 없는 대표단말기와, 하부에 위치하는 단말기가 없는 종단단말기 및 대표단말기와 종단단말기 사이에 연결된 중간단말기로 구성되어 계층적으로 연결되는 다자간 계층적 단말혼합 회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계층적 단말혼합 회의시스템에 새로운 단말기가 포함될 수 있도록 단말혼합 회의시스템을 구성하는 단말기 중 특정 단말기에 연결요청이 있는 경우에, 각각의 단말기가 서로 연결될 수 있는 최대 이웃단말기의 수가 설정된 다음, 요청받은 단말기가 종단단말기이면, 트리구조 상에서 하부에 위치하는 단말기를 가지는 다수의 부모단말기 중 설정된 최대 이웃단말기의 수보다 작은 부모단말기가 존재하는 경우 요청받은 종단단말기는 연결 요청을 거절하고 설정된 최대 이웃단말기의 수보다 작은 부모단말기를 소개하여 연결하도록 하며, 설정된 최대 이웃단말기의 수보다 작은 부모단말기 가 존재하지 않고 종단단말기 중 요청받은 종단단말기보다 트리구조 상의 깊이가 낮은 종단단말기가 존재하는 경우 요청받은 종단단말기는 연결 요청을 거절하고 트리구조 상의 깊이가 낮은 종단단말기를 소개하여 연결한다.
단말혼합, 다자간 회의, 연결 요청, 자원부족, 미디어 지연

Description

미디어 지연 문제 및 자원 문제가 해결 가능한 다자간 계층적 단말혼합 회의시스템{Multipoint Hierarchical Endpoint Mixing Conference System for Resolving Media Delay and Resource Issue}
본 발명은 다자간 단말기 간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단말혼합 회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혼합 회의시스템에 새로이 참가하고자 연결 요청을 하는 단말기가 있는 경우에 최대 이웃 단말기의 설정수보다 작은 이웃단말기를 가지는 단말기 중 가장 트리구조의 깊이가 작은 단말기를 우선 연결시킴으로써 다자간 단말혼합 회의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단말기 간의 미디어 교환의 지연이나 자원 부족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다자간 계층적 단말혼합 회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집중적 조명을 받고 있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언제 어떤 곳에서건 자신이 원하는 통신 및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환경 구축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컴퓨팅은 새로운 컴퓨터 패러다임으로 사회, 문화, 경제적 파급이 이전의 어떤 기술보다도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다자간 회의 기술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다양한 서비스를 위한 기본 기술 중의 하나이다.
다자간 회의의 기본 모델은 회의서버를 이용하는 방법 및 회의 서버를 이용하지 않는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회의서버를 이용하는 방법은 제어 및 미디어 교환 방법에 따라 집중식 회의와 분산식 회의로 구분된다. 집중식 회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든 회의 참가자들의 호제어 및 미디어 교환이 회의 서버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분산식 회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의 참가자들의 호제어는 집중식 회의와 마찬가지로 회의 서버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회의 참가자들 간의 미디어의 교환은 회의 서버를 통하지 않고 회의 참가자간에 직접 교환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회의 서버는 일반적으로 원거리에 있는 유선망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운용되는 다자간 회의의 경우 서로 근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회의 참가자의 무선 단말기들이 집중식 회의로 구성될 경우, 모든 회의 참가자들의 미디어 교환이 원거리에 있는 회의 서버를 통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회의의 형태가 비효율적이 될 수 있다. 회의 서버를 이용하여 분산식 회의를 구성할 경우 회의 참가자의 단말기들 사이에 미디어를 직접 교환하기 때문에 회의 참가자 무선 단말기들의 전력 과다 소비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회의 서버를 이용한 다자간 회의 보다는 회의 서버를 이용하지 않는 방법이 대안이 될 수 있다.
원거리에 있는 회의서버를 이용하지 않는 방법은 유사 집중식 회의, 유사 분 산식 회의, 단말혼합 회의가 있다. 유사 집중식 회의는 도 3과 같이 모든 회의 참가자들의 호제어 및 미디어 교환이 대표 참가자 단말기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이 경우 대표 단말기로 미디어 정보가 집중되기 때문에 대표 단말기의 자원 부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대표 단말기는 주어진 작업 (예: 미디어압축, 미디어복원, 미디어혼합 등)을 원하는 시간에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 전력 과다 소비 문제가 발생하게 될 수도 있다.
유사 분산식 회의는 도 4와 같이 회의 참가자들의 호제어는 유사 집중식 회의와 마찬가지로 대표 단말기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회의 참가자들 간의 미디어의 교환은 대표 단말기를 통하지 않고 회의 참가자간에 직접 교환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이 경우 회의 참가 단말기들 사이에 미디어를 직접 교환하기 때문에 회의 참가 무선 단말기들의 전력 과다 소비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회의에 참가하는 사용자에 비례하여 대표 단말기의 복잡도가 증가하는 유사 집중식 회의나, 참가 단말기들의 복잡도가 증가하는 유사 분산식 회의보다 단말혼합 회의 방법이 대안이 될 수 있다.
단말혼합 방법은 도 5와 같이 자식 단말기들의 호제어 및 미디어 교환이 부모 단말기를 통하여 이루어진다는 점에서는 유사 집중식 방식과 비슷하지만, 회의를 계층적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대표 단말기가 회의에 참가하는 모든 단말기들의 호제어 및 미디어 처리를 책임지지 않는다. 즉, 부모 단말기는 자식 단말기들의 호제어와 미디어 처리만을 책임진다. 단말 혼합 방법은 계층적 회의를 통하여 미디어 처리 및 통신 처리량이 분산되기 때문에 특정 단말기의 전력 과다 소비 문제를 자 연스럽게 해결할 수 있다.
도 5의 단말혼합에 의한 회의에서 단말기 D의 요청에 의하여 단말기 B로 연결이 되면, 연결을 요청한 단말기 D가 단말기 B의 자식 단말기가 되며, 연결을 허락한 단말기 B가 단말기 D의 부모 단말기가 된다. 단말 혼합 방법에 의하여 도 5와 같이 계층적 회의가 만들어 지면, 단말기 A와 같이 부모 단말기는 없고 자식 단말기만 있는 단말기가 있는데 이를 대표 단말기라고 정의한다. 이와는 반대로 도 5의 D, E, F, G와 같이 자식 단말기가 없는 단말기를 종단 단말기라고 정의한다. 대표 단말기와 종단 단말기 들을 제외한 나머지 단말기들은 부모 단말기와 자식 단말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말 혼합 방법을 유비쿼터스 환경에 적용하는데 장점과 더불어 문제점도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들 중 하나가 계층적 다자간 회의에서 미디어 지연 문제 및 단말기의 자원 부족 문제이다.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계층적 다자간 회의에서 단말기 간의 미디어 교환은 도 6과 같이 계층적 경로를 통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연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 G와 단말기 C의 미디어 교환을 위하여 단말기 D, B, A를 경유해야 한다.
단말기가 이웃 단말기들을 많이 가지고 있으면 단말기가 처리해야할 미디어 처리가 많아지기 때문에 자원 부족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전력 과다 소비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도 6의 경우에서 단말기 B는 이웃 단말기의 수가 가장 많으며 이 경우 소비전력은 다른 단말기에 비하여 많이 소비하게 된다.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단말기는 무선 환경에서 사용되며, 소비전력이 많아지게 되면 사 용시간이 적어지게 된다.
계층적 경로를 통하여 미디어가 전달되기 때문에 미디어 교환 시 지연문제가 발생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달 경로의 수를 최소화 하도록 계층적 회의를 구성해야 한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기 위하여 부모 단말기 아래에 가능한 많은 자식 단말기들을 수용하여 트리의 깊이가 최소화 되게 계층적 회의를 구성해야 한다.
반면에, 단말기가 이웃 단말기(부모 단말기, 자식 단말기)들을 많이 가지고 있으면 단말기가 처리해야할 미디어 처리가 많아지기 때문에 자원 부족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주어진 작업 (예: 미디어압축, 미디어복원, 미디어혼합 등)을 원하는 시간에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 전력 과다 소비 문제가 발생하게 될 수도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부모 단말기의 자원(CPU의 속도, 메모리 용량, 잔여 전력용량)의 현재 상태에 따라서 단말기가 가질 수 있는 자식 단말기의 수를 제한해야 한다. 부모 단말기는 자신의 능력에 따라 연결을 요청하는 단말기를 허락 또는 거절해야 한다.
미디어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부모 단말기 아래에 가능한 많은 자식 단말기를 수용하여 도 7과 같이 트리의 깊이를 적게 해야 하며, 단말기의 자원 부족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도 8과 같이 가능한 자식 단말기들의 수를 줄여서 이웃 단말기들의 수를 적게 가지도록 해야 한다.
미디어 지연을 최소화 방안과 단말기의 자원 부족 최소화 방안은 서로 상충됨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트리의 깊이를 최소화하면서 부모 단말 기는 가능한 자식 단말기들의 수를 최소화해야 한다.
따라서 미디어 지연을 최소화하고, 단말기의 자원 부족을 동시에 최소화할 수 있는 다자간 단말혼합 회의 시스템의 단말기 연결 방안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인출된 것으로서 단말혼합 회의시스템에 새로이 참가하고자 연결 요청을 하는 단말기가 있는 경우에 최대 이웃 단말기의 설정수보다 작은 이웃단말기를 가지는 단말기 중 가장 트리구조의 깊이가 작은 단말기를 우선 연결시킴으로써 다자간 단말혼합 회의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단말기 간의 미디어 교환의 지연이나 자원 부족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다자간 계층적 단말혼합 회의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다수의 단말기 간에 미디어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연결요청에 따라 연결되어 다수의 단말기 간에 연결되는 형태가 트리구조가 됨에 따라 상부에 위치하는 단말기가 없는 대표단말기와, 하부에 위치하는 단말기가 없는 종단단말기 및 대표단말기와 종단단말기 사이에 연결된 중간단말기로 구성되어 계층적으로 연결되는 다자간 계층적 단말혼합 회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계층적 단말혼합 회의시스템에 새로운 단말기가 포함될 수 있도록 단말혼합 회의시스템을 구성하는 단말기 중 특정 단말기에 연결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단말기가 서로 연결될 수 있는 최대 이웃단말기의 수가 설정된 다음, 요청받은 단말기가 종단단말기이면, 트리구조 상에서 하부에 위치하는 단말기를 가지는 다수의 부모단말기 중 설정된 최대 이웃단말기의 수보다 작은 부모단말기가 존재하는 경우 요청받은 종단단말기는 연 결 요청을 거절하고 설정된 최대 이웃단말기의 수보다 작은 부모단말기를 소개하여 연결하도록 하며, 설정된 최대 이웃단말기의 수보다 작은 부모단말기가 존재하지 않고 종단단말기 중 요청받은 종단단말기보다 트리구조 상의 깊이가 낮은 종단단말기가 존재하는 경우 요청받은 종단단말기는 연결 요청을 거절하고 트리구조 상의 깊이가 낮은 종단단말기를 소개하여 연결한다.
또한 요청받은 단말기가 종단단말기가 아닌 경우에는, 요청받은 단말기의 이웃단말기 수가 설정된 최대 이웃단말기의 수보다 작은 경우에는 연결 요청을 허락하여 연결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트리구조 상에서 하부에 위치하는 단말기를 가지는 다수의 부모단말기 중 설정된 최대 이웃단말기의 수보다 작은 부모단말기가 있으면 요청받은 단말기는 연결 요청을 거절하고 설정된 최대 이웃단말기의 수보다 작은 부모단말기를 소개하여 연결한다.
아울러 상기 요청받은 단말기가 종단단말기가 아니면서 요청받은 단말기의 이웃단말기 수가 설정된 최대 이웃단말기의 수와 같으며, 트리구조 상에서 하부에 위치하는 단말기를 가지는 다수의 부모단말기 중 설정된 최대 이웃단말기의 수보다 작은 부모단말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수의 종단 단말기들 중 깊이가 가장 낮은 단말기의 소개하여 연결한다.
일반적으로 설정된 최대 이웃단말기의 수는 3개 ~ 4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혼합 회의시스템에 새로이 참가하고자 연결 요청을 하 는 단말기가 있는 경우에 최대 이웃 단말기의 설정수보다 작은 이웃단말기를 가지는 단말기 중 가장 트리구조의 깊이가 작은 단말기를 우선 연결시킴으로써 다자간 단말혼합 회의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단말기 간의 미디어 교환의 지연이나 자원 부족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단말혼합 방식의 다자간 회의에서 회의의 최대거리 및 참가 단말기의 최대거리의 평균을 줄어들게 하며, 이는 참가 단말기들 간의 최대 지연시간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계층적 단말혼합 회의시스템에 관해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미디어 지연 문제를 해결하도록 연결 요청시 연결 거절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미디어 지연 문제를 해결하도록 연결 요청시 연결 거절하는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단말기 자원 부족 문제를 해결하도록 연결 요청시 연결을 거절하는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은 본 발명에 따라 단말기 자원 부족 문제를 해결하도록 연결 요청시 연결을 거절하는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13a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요청시 연결하는 알고리즘에 따라 구성된 회의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3b 내지 13c, 13d는 기존의 연결 요청시 연결하는 알고리즘에 따라 구성될 수 있는 회의 시스템의 예들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회의 내 참가 단말기 수에 따른 회의 내 최대거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5는 회의 내 참가 단말기 수에 따른 참가 단말기 최대거리의 평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혼합 회의시스템은 다수의 단말기 간에 미디어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연결요청에 따라 연결되어 다수의 단말기 간에 연결되는 형태가 트리구조가 됨에 따라 상부에 위치하는 단말기가 없는 대표단말기와, 하부에 위치하는 단말기가 없는 종단단말기 및 대표단말기와 종단단말기 사이에 연결되는 중간단말기로 구성되어 계층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혼합 회의시스템에 새로이 참가하고자 연결 요청을 하는 단말기가 있는 경우에는 미디어 지연 및 자원 부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최대 이웃 단말기의 설정수보다 작은 이웃단말기를 가지는 단말기 중 트리구조의 계층적 구조를 가지는 본 단말혼합 회의시스템의 특징상 가장 트리구조의 깊이가 작은 단말기를 우선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 방법을 제안한다.
여기서 상기 최대 이웃단말기의 설정수는 무선 단말기의 잔여 전력량 및 처리속도에 따라 이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현재 단말기에 연결되는 단말기의 수가 4개 이상일 때 혼합된 음성의 품질 및 전력소모에서 무리가 있으면, 단말기의 이웃 단말기의 수를 최대 3개로 설정한다. 이러한 경우, 부모 단말기가 없는 대표 단말기는 최대 3개의 자식 단말기를 가질 수 있으며, 대표 단말기가 아닌 단말기는 최대 2개의 자식 단말기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하였듯이 단말혼합 방법에서 기존의 방법은 연결요청이 오면 자동으로 연결을 허락하거나, 단말기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서 연결을 결정하거나 자원부족문제만을 고려하여 연결을 허락하거나 거절한다.
따라서 기존의 방법들은 회의의 형태가 미디어 지연 문제를 고려하지 않고 자유롭게 구성되며 이로 인하여 지연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연결 요청에 따른 연결 방법은 자원 부족 문제와 미디어 지연 문제를 동시에 고려하게 된다.
이러한 연결 요청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알고리즘은 먼저 연결 요청을 받은 단말기 Ni가 회의 내 종단단말기인가, 부모단말기(중간단말기)인가를 검사한다.
첫 번째로, Ni가 자식단말기를 가지지 않는 종단단말기라면 회의 내 부모단말기들의 이웃 단말기의 수를 검사한다. 만일, 회의 내 부모단말기들 중 하나라도 이웃 단말기의 수가 설정된 최대 이웃 단말기 수보다 작은 부모단말기 Pi가 있다면 연결요청을 거절하고 부모단말기 Pi를 소개한다.(여기서 설정된 최대 이웃 단말기 수는 3개 또는 4개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하에서는 3개로 설정하여 이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회의 내 부모단말기들 모두가 이웃 단말기를 3개 이상 가지고 있다면 회의 내 모든 종단단말기들에 대하여 대표단말기로부터의 거리인 깊이를 검사한다.
회의 내 종단단말기들 중 하나라도 요청받은 단말기 Ni보다 깊이가 적은 종단단말기 Ti가 있다면 연결을 거절하고 종단단말기 Ti를 소개한다. 만일 Ni가 종단단말기이면서 위의 두 경우에 해당되지 않는다면 즉, 회의 내 부모단말기들 모두가 이웃 단말기를 3개 이상 가지고 있고 회의 내 종단단말기들이 단말기 Ni보다 깊이가 높거나 같다면 연결요청을 허락한다.
두 번째로, Ni가 자식단말기를 가지고 있는 부모단말기라면 자신의 단말기에 연결된 이웃 단말기의 수를 검사한다. 이웃 단말기의 수가 3개 미만이면 연결요청을 허락하고, 이웃 단말기의 수가 3개 이상이면 연결요청을 거절하고 연결이 가능한 단말기를 소개한다.
가능한 단말기를 소개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단말기 Ni를 제외한 회의 내 부모단말기들의 이웃 단말기의 수를 검사한다. 회의 내 부모단말기들 중 하나라도 이웃 단말기의 수가 3개 미만인 부모단말기 Pi가 있다면 부모단말기 Pi를 소개한다. 이웃 단말기의 수가 3개 미만인 부모단말기가 없다면 계층적 회의 내 모든 종단단말기들 중 깊이가 가장 낮은 단말기의 소개한다.
알고리즘은 이웃 단말기의 수를 최대 3개로 한정하고 회의 내 단말기사이의 최대 지연시간을 최소로 하기 위하여 트리의 모든 부모단말기들에 연결된 자식단말기들의 수가 2개가 되면 트리의 깊이를 하나 증가 시킨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J가 단말기 F로 연결을 요청한 경우 단말기 F는 연결을 거절하고 이웃 단말기의 수가 3개 이하인 단말기 C를 소개한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J가 단말기 F로 연결을 요청한 경우 단말기 F는 연결을 거절하고 깊이가 F보다 낮은 종단단말기 C를 소개한다. 자원 부족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부모단말기들에 연결된 자식단말기의 수가 최대이면 새 로운 연결을 거절한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J가 단말기 B로 연결을 요청한 경우 단말기 B는 연결을 거절하고 이웃 단말기의 수가 3개 이하인 단말기 C를 소개한다. 또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J가 단말기 B로 연결을 요청한 경우 단말기 B는 연결을 거절하고 깊이가 가장 낮은 종단 단말기 C를 소개한다.
이와 같이 제안된 알고리즘은 회의 내 단말기 사이의 최대 지연시간이 적게 되도록 제안되었으며, 다양한 실험결과 기존의 단말혼합 방법과 비교하여 최대 지연시간이 최소화됨을 알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참가자가 10명인 경우 가능한 다자간 회의들을 도 13a에 도시 하였으며, 제안된 알고리즘은 항상 도 13a의 형태로 회의를 구성한다. 반면에 기존의 방법은 다양하게 회의가 구성되며 그 일예로 도 13b 내지 도 13c, 13d를 들 수 있다.
[표 1]은 도 13a에 대한 각 참가 단말기의 최대거리이며 [표 2]는 도 13의 각 회의에 대한 최대거리를 계산한 예이며, [표 3]은 도 13의 각 회의에 대한 참가 단말기의 최대거리의 평균을 계산한 예이다. .
[표 1] 도 13a에 대한 각 참가 단말기의 최대거리
A B C D E F G H I J
최대거리(개) 2 3 3 3 4 4 4 4 4 4
[표 2] 도 13의 각 회의에 대한 최대거리
도 13a 도 13b 도 13c 도 13d
최대거리(개) 4 5 6 5
[표 3] 도 13의 각 회의에 대한 참가 단말기의 최대거리의 평균
도 13a 도 13b 도 13c 도 13d
최대거리(개) 3.5 4.2 4.9 4.2
여기서 참가 단말기의 최대거리는 참가 단말기로부터 회의 내 임의의 참가 단말기 간의 거리들 중 최대값이며, 참가 단말기 최대 거리의 평균은 회의에 참가한 모든 참가 단말기의 최대거리를 평균한 값이다.
[표 1]로부터 도 13a와 같은 회의 내에서의 최대 거리는 4이며, 참가 단말기 최대 거리의 평균은 3.5가 됨을 알 수 있다. 회의의 최대 거리는 회의에 참가한 모든 참가 단말기의 최대거리들 중 최대값이다.
[표 2] 또는 [표 3]의 결과를 살펴보면 제안된 알고리즘이 최소가 됨을 알 수 있다.
제안한 선택 알고리즘이 기존의 알고리즘에 비하여 최대 지연이 적음을 충분히 실험하기 위하여 모의실험을 하였다. 회의의 구성은 참가 단말기 1부터 30까지 30개의 회의 모델로 하였다. 다양한 회의를 구성하기 위하여 각 회의 모델 당 50000개의 회의를 구성하였다. 각 회의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단말기는 회의 내 기존의 단말기들 중 하나에게 랜덤하게 연결요청을 하고 연결요청을 받은 단말기는 기존의 선택알고리즘 또는 제안한 선택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회의를 확장하게 된다.
기존의 선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1500000개의 회의들을 구성하고 제안한 선 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1500000개의 회의들을 구성하고 이들을 비교하였다.
도 14는 회의 내 참가 단말기 수에 따른 회의의 최대거리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5는 회의 내 참가 단말기 수에 따른 참가 단말기 최대거리의 평균을 도시하고 있다. 모의 실험결과 참가 단말기가 4명 이상부터 회의 내 최대 거리 및 참가 단말기 최대거리의 평균의 감소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제안 방법이 평균 27%의 참가 단말기 최대거리의 평균의 감소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안 알고리즘이 단말혼합 방식의 다자간 회의에서 회의의 최대거리 및 참가 단말기의 최대거리의 평균을 줄어들게 하며, 이는 참가 단말기들 간의 최대 지연시간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은 종래 집중식 회의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 분산식 회의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종래 유사 집중식 회의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종래 유사 분산식 회의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종래 단말혼합에 의한 회의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미디어 지연 및 자원 문제를 가지는 회의 시스템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미디어 지연 최소를 위한 최적 구성을 가지는 회의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단말기 자원 절약을 위한 최적 구성을 가지는 회의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미디어 지연 문제를 해결하도록 연결 요청시 연결 거절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미디어 지연 문제를 해결하도록 연결 요청시 연결 거절하는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단말기 자원 부족 문제를 해결하도록 연결 요청시 연걸 거절하는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12은 본 발명에 따라 단말기 자원 부족 문제를 해결하도록 연결 요청시 연결을 거절하는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3a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요청시 연결하는 알고리즘에 따라 구성된 회의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13b 내지 13d는 기존의 연결 요청시 연결하는 알고리즘에 따라 구성될 수 있는 회의 시스템의 예들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회의 내 참가 단말기 수에 따른 회의 내 최대거리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회의 내 참가 단말기 수에 따른 참가 단말기 최대거리의 평균을 나타내는 도면.

Claims (4)

  1. 다수의 단말기 간에 미디어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연결요청에 따라 연결되어 다수의 단말기 간에 연결되는 형태가 트리구조로 연결됨에 따라 상부에 위치하는 단말기가 없는 대표단말기와, 하부에 위치하는 단말기가 없는 종단단말기 및 대표단말기와 종단단말기 사이에 연결된 중간단말기로 구성되어 계층적으로 연결되는 다자간 계층적 단말혼합 회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계층적 단말혼합 회의시스템에 새로운 단말기가 포함될 수 있도록 단말혼합 회의시스템을 구성하는 단말기 중 특정 단말기에 연결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단말기가 서로 연결될 수 있는 최대 이웃단말기의 수가 설정된 다음,
    요청받은 단말기가 종단단말기이면,
    트리구조 상에서 하부에 위치하는 단말기를 가지는 다수의 부모단말기 중 설정된 최대 이웃단말기의 수보다 작은 부모단말기가 존재하는 경우 요청받은 종단단말기는 연결 요청을 거절하고 설정된 최대 이웃단말기의 수보다 작은 부모단말기를 소개하여 연결하도록 하며,
    설정된 최대 이웃단말기의 수보다 작은 부모단말기가 존재하지 않고 종단단말기 중 요청받은 종단단말기보다 트리구조 상의 깊이가 낮은 종단단말기가 존재하는 경우 요청받은 종단단말기는 연결 요청을 거절하고 트리구조 상의 깊이가 낮은 종단단말기를 소개하여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지연 문제 및 자원 문제가 해결 가능한 다자간 계층적 단말혼합 회의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요청받은 단말기가 종단단말기가 아닌 경우에는
    요청받은 단말기의 이웃단말기 수가 설정된 최대 이웃단말기의 수보다 작은 경우에는 연결 요청을 허락하여 연결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트리구조 상에서 하부에 위치하는 단말기를 가지는 다수의 부모단말기 중 설정된 최대 이웃단말기의 수보다 작은 부모단말기가 있으면 요청받은 단말기는 연결 요청을 거절하고 설정된 최대 이웃단말기의 수보다 작은 부모단말기를 소개하여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지연 문제 및 자원 문제가 해결 가능한 다자간 계층적 단말혼합 회의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받은 단말기가 종단단말기가 아니면서 요청받은 단말기의 이웃단말기 수가 설정된 최대 이웃단말기의 수와 같으며, 트리구조 상에서 하부에 위치하는 단말기를 가지는 다수의 부모단말기 중 설정된 최대 이웃단말기의 수보다 작은 부모단말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수의 종단 단말기들 중 깊이가 가장 낮은 단말기의 소개하여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지연 문제 및 자원 문제가 해결 가능한 다자간 계층적 단말혼합 회의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설정된 최대 이웃단말기의 수는 3개 ~ 4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지연 문제 및 자원 문제가 해결 가능한 다자간 계층적 단말혼합 회의시스템.
KR1020070117896A 2007-11-19 2007-11-19 미디어 지연 문제 및 자원 문제가 해결 가능한 다자간계층적 단말혼합 회의시스템 KR200900514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896A KR20090051482A (ko) 2007-11-19 2007-11-19 미디어 지연 문제 및 자원 문제가 해결 가능한 다자간계층적 단말혼합 회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896A KR20090051482A (ko) 2007-11-19 2007-11-19 미디어 지연 문제 및 자원 문제가 해결 가능한 다자간계층적 단말혼합 회의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1482A true KR20090051482A (ko) 2009-05-22

Family

ID=40859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7896A KR20090051482A (ko) 2007-11-19 2007-11-19 미디어 지연 문제 및 자원 문제가 해결 가능한 다자간계층적 단말혼합 회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5148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944B1 (ko) * 2009-05-29 2011-02-14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계층적 다자간 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101049956B1 (ko) * 2009-05-26 2011-07-15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에드혹 망에서 계층적 다자간 통신 방법 및 단말기
KR101050499B1 (ko) * 2009-05-29 2011-07-20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VoIP를 이용한 계층적 다자간 통신 방법 및 시스템
WO2014003510A1 (ko) * 2012-06-29 2014-01-03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토폴로지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공유하는 장치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956B1 (ko) * 2009-05-26 2011-07-15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에드혹 망에서 계층적 다자간 통신 방법 및 단말기
KR101013944B1 (ko) * 2009-05-29 2011-02-14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계층적 다자간 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101050499B1 (ko) * 2009-05-29 2011-07-20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VoIP를 이용한 계층적 다자간 통신 방법 및 시스템
WO2014003510A1 (ko) * 2012-06-29 2014-01-03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토폴로지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공유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426994B1 (ko) * 2012-06-29 2014-08-05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토폴로지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공유하는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59942C (zh) 视讯会议系统及其管理方法
US9425972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establishing cascade of multipoint control servers
US7085244B2 (en) Floor control language
US6509925B1 (en) Conferencing system
EP1627315B1 (en) Ims conferencing policy logic
CN100499792C (zh) 分布式mcu
CN101005600B (zh) 使用白板的视频会议
CN110213526B (zh) 视频会议创建方法、视频会议系统、存储介质及电子装置
CN102655503A (zh) 使用共享资源池的资源分配
CN102469409A (zh) 一种多媒体会议实现方法和装置
CN106303360A (zh) 终端会议负载均衡方法、装置及系统
KR20090051482A (ko) 미디어 지연 문제 및 자원 문제가 해결 가능한 다자간계층적 단말혼합 회의시스템
TWI386027B (zh) 低頻寬高容量電話會議系統
DE60210133T2 (de) Global eindeutige identifikation von benutzergruppen in einem kommunikationssystem
CN106714000A (zh) 会议终端权限的控制方法、系统及装置
US9473316B2 (en) Resource consumption reduction via meeting affinity
CN106341646A (zh) 会议级联方法及装置
EP1109352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telecommunication conference
Wu et al. Towards multi-site collaboration in tele-immersive environments
US9350948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ideo service
CN100493123C (zh) 电话会议系统和控制方法
CN110727877B (zh) 适用于社交软件的群组运行方法及系统
CN1870746A (zh) 一种实时召开视讯会议的方法和系统
CN102316048A (zh) 一种多主讲身份切换的实现方法
CN108243320A (zh) 会议控制方法、装置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