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6770B1 - 계층적 다자간 통신 단말기 및 연결 여유값 산출 방법 - Google Patents

계층적 다자간 통신 단말기 및 연결 여유값 산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6770B1
KR101076770B1 KR1020090120388A KR20090120388A KR101076770B1 KR 101076770 B1 KR101076770 B1 KR 101076770B1 KR 1020090120388 A KR1020090120388 A KR 1020090120388A KR 20090120388 A KR20090120388 A KR 20090120388A KR 101076770 B1 KR101076770 B1 KR 101076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terminal
time
terminals
p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0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3986A (ko
Inventor
성동수
이건배
Original Assignee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120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6770B1/ko
Publication of KR20110063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3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6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6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3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with heterogeneous network architecture
    • H04L12/184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with heterogeneous network architecture with heterogeneous receivers, e.g. layered multi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9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in combination with wirel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층적 다자간 통신 단말기 및 연결 여유값 산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단말기는 통신 단말기의 이웃 단말기로부터 미디어를 수신하고, 사용자로부터 미디어를 입력받고, 해당 단말기의 미디어를 제외한 나머지 단말기의 미디어를 혼합하여 해당 단말기로 송신하는 미디어 처리부 및 미디어 처리부의 미디어 처리에 따른 미디어 처리 시간 또는 미디어 처리 전력량을 이용하여 연결 여유값을 산출하는 연결 여유값 산출부를 포함한다.
통신, 다자간, 회의

Description

계층적 다자간 통신 단말기 및 연결 여유값 산출 방법{Terminal for hierarchical multipoint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connection margin}
본 발명은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계층적 다자간 통신 단말기 및 연결 여유값 산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비쿼터스 환경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언제 어떤 곳에서건 자신이 원하는 통신 및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환경 구축을 목표로 한다. 다자간 통신 기술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다양한 서비스를 위한 기본 기술 중의 하나이다.
도 1 및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다자간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운용되는 다자간 통신은 참가자들의 무선 단말기가 무선 네트워크 한두 곳에 집중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다자간 통신을 위하여 통신 서버를 이용하는 경우, 서로 근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통신 참가자의 무선 단말기들이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 한 통신 서버를 이용하게 된다.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다자간 통신을 도 1과 같이 집중식 방법으로 구성할 경우 모든 참가자의 미디어가 원거리에 있는 통신 서버에서 처리되기 때문에 통신의 형태가 비효율적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2와 같이 분산식 방법으로 통신을 구성할 경우 통신 참가자의 단말기들 사이에 미디어를 직접 교환하기 때문에 통신 참가자 무선 단말기들의 전력 과다 소비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통신 서버를 이용한 다자간 통신 보다는 통신 서버를 이용하지 않는 단말혼합 방법이 대안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 혼합 방법을 유비쿼터스 환경에 적용하는데 많은 장점이 있는 반면, 통신 참가자의 단말기의 연결 구성을 위해서 각 단말기는 연결 여유값을 산출해야 한다.
본 발명은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새로운 단말기가 참가하는 경우, 기존 단말기들이 수행하는 연결 여유값 산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새로운 참가자의 단말기 가 연결 요청을 하는 경우, 통신 연결을 재구성하기 위한 통신 단말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단말기는 상기 통신 단말기의 이웃 단말기로부터 미디어를 수신하고, 사용자로부터 미디어를 입력받고, 해당 단말기의 미디어를 제외한 나머지 단말기의 미디어를 혼합하여 해당 단말기로 송신하는 미디어 처리부 및 상기 미디어 처리부의 미디어 처리에 따른 미디어 처리 시간 또는 미디어 처리 전력량을 이용하여 연결 여유값을 산출하는 연결 여유값 산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새로운 참가자의 단말기가 연결 요청을 하는 경우, 통신 연결을 재구성하기 위한 통신 단말기가 수행하는 연결 여유값 산출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여유값 산출 방법은 상기 통신 단말기의 미디어 처리 시간을 이용하여 제1 최대 이웃 단말기의 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통신 단말기의 소정의 최소 회의 유지 시간 동안의 미디어 처리 전력량을 이용하여 제2 최대 이웃 단말기의 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최대 이웃 단말기의 수 중 적은 것을 상기 통신 단말기의 최대 이웃 단말기의수로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최대 이웃 단말기의 수에서 현재 이웃 단말기의 수를 차감하여 연결 여유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새로운 단말기가 참가하는 경우, 기존 단말 기들이 수행하는 연결 여유값 산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다자간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로 구성된 계층적 다자간 통신 시스템의 통신 연결을 예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도 3은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대한 논리적 연결이 그래프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계층적 다자간 통신 시스템은 단말혼합 방법이 적용된 것으로, 단말기들의 호 제어 및 미디어 교환이 이웃 단말기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즉, 계층적 다자간 통신 시스템 내의 각 단말기는 이웃 단말기들의 호 제어와 미디어 처리만을 책임진다. 이와 같은 단말혼합 방법이 적용된 계층적 다자간 통신 시스템은 계층적 통신을 통하여 미디어 처리 및 통신 처리량이 분산되어 특정 단말기의 전력 과다 소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층적 다자간 통신이 구성되는 경우, 이웃 단말기가 하나인 단말기(B 단말기(20), C 단말기(30), D 단말기(40))는 종단 단말기로 정의하고, 이웃 단말기가 복수개인 단말기(A 단말기(10))는 비종단 단말기로 정의할 수 있다.
계층적 다자간 통신으로 통신 연결을 희망하는 단말기는 계층적 다자간 통신 중인 임의의 단말기로 통신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 단말기(40)가 통신 연결을 희망하는 단말기라고 가정하면, D 단말기(40)는 A 단말기(10)로 연결 요청을 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때, D 단말 기(40)는 A 단말기(10)의 이웃 단말기가 되며, 동시에 A 단말기(10)는 D 단말기(40)의 이웃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다자간 통신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으나, 종단 단말기(B 단말기(20), C 단말기(30), D 단말기(40))는 하위에 연결을 희망하는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새로운 통신 연결을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도모하고자 도 3을 참조하여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새로운 참가자의 단말기가 연결 요청을 하여 통신 연결을 재구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연결된 임의의 단말기로 연결을 요청하는 단말기를 연결 요청 단말기로 정의하고, 연결 요청 단말기로부터 연결 요청을 받는 단말기를 연결 응답 단말기로 정의하기로 한다. 여기서, 연결 요청 단말기는 D 단말기(40)로 가정하면, 연결 응답 단말기는 A 단말기(10), B 단말기(20), C 단말기(30)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D 단말기(40)는 A 단말기(10)로 연결 요청을 한다. 연결 요청을 받은 A 단말기(10)는 이웃 단말기(B 단말기(20), C 단말기(30))로 새로운 연결에 대한 처리 가능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때, B 단말기(20), C 단말기(30)는 A 단말기(10) 외에 다른 이웃 단말기가 존재할 경우, 해당 이웃 단말기로 A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연결된 각각의 단말기는 새로운 연결에 대한 처리 가능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B 단말기(20), C 단말기(30))는 자신의 컴퓨팅 자원과 잔여 전력량을 이용하여 연결 여유값을 산출하고, 이를 연결 응답 단말 기(A 단말기(10))로 송신한다. 연결 여유값 산출 방법에 대해서는 이후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따라서, 연결 응답 단말기(A 단말기(10))는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참가중인 자신을 제외한 모든 단말기(B 단말기(20), C 단말기(30))의 연결 여유값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연결 응답 단말기(A 단말기(10))는 연결 여유값을 산출한다.
이후에, 연결 응답 단말기(A 단말기(10))는 연결 여유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갑(예를 들어, 0)이상인 후보 단말기를 선정한다. 그리고, 연결 응답 단말기(A 단말기(10))는 후보 단말기의 평균 미디어 지연값을 산출하고, 평균 미디어 지연값이 최소인 후보 단말기를 연결 가능 단말기로 선정할 수 있다. 여기서, 평균 미디어 지연값은 후보 단말기에 연결 요청 단말기를 연결하여 논리적 연결을 구성한 경우 각 단말기들간의 미디어 지연에 대한 평균값을 나타낸다. 여기서, 미디어 지연은 단말기간의 홉(hop) 수를 나타낸다.
연결 응답 단말기(A 단말기(10))는 연결 가능 단말기를 연결 요청 단말기(D 단말기(40))로 소개하여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연결시킬 수 있다. 연결 가능 단말기가 A 단말기(10)인 것으로 가정하면, A 단말기(10)는 D 단말기(40)로 연결 가능 단말기를 소개하는 메시지를 송신하고, D 단말기(40)는 A 단말기(10)로 연결 요청을 하여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연결된 단말기 중 비종단 단말기(A 단말기(10))는 이웃 단말기(B 단말기(20), C 단말기(30), D 단말기(40))로 미디어 송신 시 해당 단말기의 미디어를 제외하여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A 단말기(10)는 이웃 단말기(B 단말기(20), C 단말기(30), D 단말기(40))로부터 각각 미디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A 단말기(10)는 B 단말기(20)로 A, C, D 단말기의 미디어를 혼합하여 송신하고, C 단말기(30)로 A, B, D 단말기의 미디어를 혼합하여 송신하고, D 단말기(40)로 A, B, C 단말기의 디어를 혼합하여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다자간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의 미디어 처리부의 구성을 예시한 구성도이다. 보다 상세하게, 도 4는 계층적 다자간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의 이웃 단말기가 3개인 경우에 구성되는 미디어 처리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도모하고자, 계층적 다자간 통신 시스템의 통신 연결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것으로 가정하며, 도 4에 도시된 미디어 처리부는 도 3에 나타낸 A 단말기(10)의 미디어 처리부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미디어 처리부는 이웃 단말기(B 단말기(20), C 단말기(30), D 단말기(40))로부터 미디어를 수신하고, 사용자로부터 미디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미디어 처리부는 미디어를 처리하여 이웃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미디어는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 또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미디어 처리부는 RTP(Real Time Protocol) 수신부(410), 데이터 입력부(420), 미디어 복원부(430), 믹서(440), 데이터 출력부(450), 미디어 압축부(460) 및 RTP 전송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
RTP 수신부(410)는 압축된 미디어를 이웃 단말기로부터 각각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RTP 수신부(410)는 이웃 단말기(B 단말기(20), C 단말기(30), D 단말기(40))에 대응되는 3개의 RTP 수신부(411, 412, 4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웃 단말기(B 단말기(20), C 단말기(30), D 단말기(40))는 미디어를 압축하여 A 단말기(10)로 송신할 수 있다.
데이터 입력부(420)는 사용자로부터 미디어를입력받는다.
미디어 복원부(430)는 RTP 수신부(410)로부터 압축된 미디어를 전달받아 이를 복원한다. 미디어 복원부(430)는 3개의 RTP 수신부(411, 412, 413)에 대응되는 3개의 미디어 복원부(431, 432, 433)를 포함할 수 있다.
믹서(440)는 데이터 입력부(420) 또는 3개의 미디어 복원부(431, 432, 433)로부터 미디어를 전달받아 선택적으로 미디어를 혼합할 수 있다. 즉, 믹서(440)는 단말기 별로 4개의 믹서(441, 442, 443, 444)를 포함하고, 각각의 믹서는 해당 단말기의 미디어를 제외한 나머지 단말기의 미디어 혼합할 수 있다.
데이터 출력부(450)는 믹서(441)로부터 B, C, D 단말기의 미디어를 전달받아 출력할 수 있다.
미디어 압축부(460)는 믹서(440)로부터 선택적으로 혼합된 미디어를 전달받아 압축하고, RTP 전송부(470)는 압축된 미디어를 이웃 단말기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412번의 믹서는 A, C, D 단말기의 미디어를 전달받아 혼합하고, 이를 461번의 미디어 압축부가 압축하고, 이를 471번의 RTP 전송부가 B 단말기(20) 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미디어 처리부가 해당 단말기의 미디어를 제외하여 송신함으로써, 계층적 다자간 통신을 수행하는 각 단말기는 이웃 단말기로부터 미디어 수신 시, 자신의 미디어는 중복하여 수신하지 않는다.
지금까지 A 단말기(10)의 이웃 단말기가 3개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다. 이를 일반화시키면, 본 발명에 따른 계층적 다자간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의 미디어 처리부는 이웃 단말기의 수가 N개인 경우, RTP 수신부, 미디어 복원부, 미디어 압축부 및 RTP 전송부는 N개이고, N개의 미디어를 혼합하는 믹서는 N+1개가 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다자간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연결된 단말기이거나,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연결되기 위하여 연결을 요청하는 단말기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미디어 처리부(510), 연결 여유값 산출부(520), 저장부(530) 및 제어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처리부(510)는 이웃 단말기(B 단말기(20), C 단말기(30), D 단말기(40))로부터 미디어를 수신하고, 사용자로부터 미디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미디어 처리부는 미디어를 선택적으로 혼합하여 이웃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즉, 미디어 처리부는 해당 단말기의 미디어를 제외한 나머지 단말기의 미디어 를 혼합하여 해당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미디어 처리부(510)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하였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연결 여유값 산출부(520)는 단말기의 연결 여유값을 산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따른 연결 여유값 산출부(520)는 미디어 처리부(510)의 미디어 처리에 따른 미디어 처리 시간 또는 미디어 처리 전력량(미디어 처리부의 소모 전력량)을 이용하여 연결 여유값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연결 여유값 산출부(520)는 미디어 처리부(510)의 각 구성부(도 4 참조)의 미디어 처리 시간 또는 미디어 처리 전력량을 이용하여 연결 여유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기는 미디어를 실시간으로 처리하기 위해서 미디어 처리 시간이 미디어 생성 시간 이하이어야 한다. 그래서, 이를 다음의 수학식1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09075325791-pat00001
여기서, nimax1는 단말기 i의 최대 이웃 단말기의 수(정수)이고, tprp는 패킷의 전송 지연 시간으로 각 미디어 패킷의 크기(bit/packet)를 망의 대역폭(bit/second)로 나누어 산출할 수 있다. tdecoding는 압축된 미디어 패킷을 복원하는 미디어 복원 시간이고, tmixing는 복수의 미디어 패킷을 혼합하는 미디어 혼합 시간이고, tencoding는 미디어 패킷을 압축하는 미디어 압축 시간이고, Tpacket은 미디어 패킷의 생성 주기(미디어 생성 시간)로 단위는 sec/packet이다.
수학식1의 각 항은 미디어 처리부(510)의 각 구성부에서 미디어를 처리하는 소요시간에 대응될 수 있다. 즉, nimax1tprp는 복수의 RTP 수신부(410) 및 RTP 전송부(470)에 대응되고, nimax1tdecoding는 복수의 미디어 복원부(430)에 대응되고, (nimax1+1) tmixing는 복수의 믹서(440)에 대응되고, nimax1tencoding는 복수의 미디어 압축부(460)에 대응될 수 있다.
수학식1을 정리하면, 단말기 i의 최대 이웃 단말기의 수(nimax1)는 다음의 수학식 2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09075325791-pat00002
그래서, 수학식 2에 따라 연결 여유값 산출부(520)는 미디어 처리부의 미디어 처리 시간을 이용하여 제1 최대 이웃 단말기의 수(nimax1)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미디어 처리 시간은 미디어 생성 시간(Tpacket), 전송 지연 시간(tprp), 미디어 복원 시간(tdecoding), 미디어 혼합 시간(tmixing), 미디어 압축 시간(tencoding)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의 CPU의 자원(예를 들어, CPU 속도, 메모리 용량, 통신 속도 등)이 많을수록 미디어 처리 시간은 짧아지므로, 제1 최대 이웃 단말기의 수(nimax1)는 증 가한다.
미디어 처리부(510)에서 미디어 패킷을 처리하기 위하여 소모되는 미디어 처리 전력량(Ppacket)은 다음의 수학식 3으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112009075325791-pat00003
여기서, Pprp는 패킷의 전송 또는 수신에 소모되는 전송 전력량이고, Pdecoding은 미디어 패킷의 복원에 소모되는 미디어 복원 전력량이고, Pmixing은 미디어 패킷들의 혼합에 소모되는 미디어 혼합 전력량이고, Pencoding은 미디어 패킷의 압축에 소모되는 미디어 압축 전력량이고, ni는 이웃 단말기의 수이다.
수학식3의 각 항은 미디어 처리부(510)의 각 구성부에서 미디어를 처리하는 전력량에 대응될 수 있다.
단위 시간당 미디어 처리 전력량은 다음의 수학식 4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4]
Figure 112009075325791-pat00004
즉, 단위 시간당 미디어 처리 전력량은 패킷을 처리하기 위하여 소모되는 미디어 처리 전력량을 미디어 패킷의 생성 주기로 나누어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4를 이용하여, 회의 유지 시간(Ti)동안의 미디어 처리 전력량(Pi)은 다음의 수학식 5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5]
Figure 112009075325791-pat00005
여기서, 수학식 3을 수학식 5에 대입하면, 회의 유지 시간(Ti)동안의 미디어 처리 전력량(Pi)는 다음의 수학식 6으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6]
Figure 112009075325791-pat00006
여기서, 현재 단말기의 미디어 처리 전력량은 Pi이고, 최소 회의 유지 시간은 T라고 가정하면, 최대 이웃 단말기의 수(nimax2)는 다음의 수학식 7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7]
Figure 112009075325791-pat00007
그래서, 수학식 7에 따라 연결 여유값 산출부(520)는 미디어 처리부의 미디 어 처리 전력량을 이용하여 제2 최대 이웃 단말기의 수(nimax2)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미디어 처리 전력량은 현재 단말기의 미디어 처리 전력량(Pi), 전송 전력량(Pprp), 미디어 복원 전력량(Pdecoding), 미디어 혼합 전력량(Pmixing), 미디어 압축 전력량 (Pencoding)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여유값 산출부(520)는 제1 및 제2 최대 이웃 단말기의 수 중 적은 것을단말기의 최대 이웃 단말기의 수(nimax)로 선택한다. 이것은 다음의 수학식 8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8]
Figure 112009075325791-pat00008
연결 여유값 산출부(520)는 최대 이웃 단말기의 수(nimax)에서 현재 이웃 단말기의 수(ni)를 차감하여 연결 여유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것은 다음의 수학식 9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9]
Figure 112009075325791-pat00009
단말기는 현재 이웃 단말기의 수가 최대 이웃 단말기의 수(nimax)이하이면 새로운 단말기의 연결을 허가할 수 있고, 그 외에는 연결을 거절해야 한다.
저장부(5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운용하기 위해 필요한 알 고리즘, 연결 그래프 정보 등이 저장된다. 여기서, 연결 그래프 정보는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대한 논리적 구성 정보로써, 임의의 단말기가 통신 해제하거나 신규 통신 참여시마다 갱신되어 저장된다.
제어부(54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내부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미디어 처리부(510), 연결 여유값 산출부(520), 저장부(530) 등)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다자간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의 연결 여유값 산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기는 미디어 처리 시간을 이용하여 제1 최대 이웃 단말기의 수를 산출한다(S610). 단말기는 미디어 처리부의 미디어 처리 시간을 이용하여 제1 최대 이웃 단말기의 수(nimax1)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미디어 처리 시간은 미디어 생성 시간(Tpacket), 전송 지연 시간(tprp), 미디어 복원 시간(tdecoding), 미디어 혼합 시간(tmixing), 미디어 압축 시간(tencoding)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최대 이웃 단말기의 수를 산출하는 방법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단말기는 소정의 최소 회의 유지 시간 동안의 미디어 처리 전력량을 이용하여 제2 최대 이웃 단말기의 수를 산출한다(S620). 단말기는 미디어 처리부의 미디어 처리 전력량을 이용하여 제2 최대 이웃 단말기의 수(nimax2)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미디어 처리 전력량은 현재 단말기의 미디어 처리 전력량(Pi), 전송 전력량(Pprp), 미디어 복원 전력량 (Pdecoding), 미디어 혼합 전력량 (Pmixing), 미디어 압축 전력량 (Pencoding)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최대 이웃 단말기의 수를 산출하는 방법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단말기는 제1 및 제2 최대 이웃 단말기의 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S630). 즉, 단말기는 제1 및 제2 최대 이웃 단말기의 수 중 작은 것을 단말기의 최대 이웃 단말기의 수로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기는 선택된 최대 이웃 단말기의 수에서 현재 이웃 단말기의 수를 차감하여 연결 여유값을 산출한다(S64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여유값 산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다자간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다자간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로 구성된 계층적 다자간 통신 시스템의 통신 연결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다자간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의 미디어 처리부의 구성을 예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다자간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다자간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의 연결 여유값 산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Claims (12)

  1.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새로운 참가자의 단말기가 연결 요청을 하는 경우, 통신 연결을 재구성하기 위한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의 이웃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미디어와 상기 통신 단말기에 입력된 미디어를 혼합하여 상기 이웃 단말기 각각에 송신하되, 상기 이웃 단말기 각각이 수신하는 혼합된 미디어에는 수신하는 이웃 단말기가 상기 통신 단말기로 송신한 미디어는 포함되지 않는 미디어 처리부; 및
    상기 미디어 처리부의 미디어 처리에 따른 미디어 처리 시간 또는 미디어 처리 전력량을 이용하여 연결 여유값을 산출하는 연결 여유값 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 여유값 산출부는 상기 미디어 처리 시간을 이용하여 제1 최대 이웃 단말기의 수를 산출하고, 상기 미디어 처리 전력량을 이용하여 제2 최대 이웃 단말기의 수를 산출하고, 상기 제1 및 제2 최대 이웃 단말기의 수 중 적은 것을 상기 통신 단말기의 최대 이웃 단말기의 수로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최대 이웃 단말기의 수에서 현재 이웃 단말기의 수를 차감하여 연결 여유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처리 시간은 미디어 생성 시간, 전송 지연 시간, 미디어 복원 시간, 미디어 혼합 시간, 미디어 압축 시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처리 전력량은 상기 통신 단말기의 미디어 처리 전력량, 전송 전력량, 미디어 복원 전력량, 미디어 혼합 전력량, 미디어 압축 전력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여유값 산출부는 하기의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최대 이웃 단말기의 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수학식 2]
    Figure 112011041670879-pat00020
    여기서, nimax1는 단말기 i의 제1 최대 이웃 단말기의 수(정수)이고, tprp는 패킷의 전송 지연 시간이고, tdecoding는 압축된 미디어 패킷을 복원하는 미디어 복원 시간이고, tmixing는 복수의 미디어 패킷을 혼합하는 미디어 혼합 시간이고, tencoding는 미디어 패킷을 압축하는 미디어 압축 시간이고, Tpacket은 미디어 패킷의 생성 주기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여유값 산출부는 하기의 수학식 7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최대 이웃 단말기의 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수학식 7]
    Figure 112011041670879-pat00021
    여기서, nimax2는 단말기 i의 제2 최대 이웃 단말기의 수(정수)이고, Pi는 상기 통신 단말기의 미디어 처리 전력량이고, Tpacket은 미디어 패킷의 생성 주기이고, T는 최소 회의 유지 시간이고, Pprp는 패킷의 전송 또는 수신에 소모되는 전송 전력량이고, Pdecoding은 미디어 패킷의 복원에 소모되는 미디어 복원 전력량이고, Pmixing은 미디어 패킷들의 혼합에 소모되는 미디어 혼합 전력량이고, Pencoding은 미디어 패킷의 압축에 소모되는 미디어 압축 전력량임
  7. 계층적 다자간 통신에 새로운 참가자의 단말기가 연결 요청을 하는 경우, 통신 연결을 재구성하기 위한 통신 단말기가 수행하는 연결 여유값 산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의 미디어 처리 시간을 이용하여 제1 최대 이웃 단말기의 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통신 단말기의 소정의 최소 회의 유지 시간 동안의 미디어 처리 전력량을 이용하여 제2 최대 이웃 단말기의 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최대 이웃 단말기의 수 중 적은 것을 상기 통신 단말기의 최대 이웃 단말기의수로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최대 이웃 단말기의수에서 현재 이웃 단말기의 수를 차감하여 연결 여유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결 여유값 산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처리 시간은 미디어 생성 시간, 전송 지연 시간, 미디어 복원 시간, 미디어 혼합 시간, 미디어 압축 시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여유값 산출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처리 전력량은 상기 통신 단말기의 미디어 처리 전력량, 전송 전력량, 미디어 복원 전력량, 미디어 혼합 전력량, 미디어 압축 전력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여유값 산출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최대 이웃 단말기의 수는 하기의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여유값 산출 방법.
    [수학식 2]
    Figure 112009075325791-pat00012
    여기서, nimax1는 단말기 i의 제1 최대 이웃 단말기의 수(정수)이고, tprp는 패킷의 전송 지연 시간이고, tdecoding는 압축된 미디어 패킷을 복원하는 미디어 복원 시간이고, tmixing는 복수의 미디어 패킷을 혼합하는 미디어 혼합 시간이고, tencoding는 미디어 패킷을 압축하는 미디어 압축 시간이고, Tpacket은 미디어 패킷의 생성 주기임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최대 이웃 단말기의 수는 하기의 수학식 7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여유값 산출 방법.
    [수학식 7]
    Figure 112011041670879-pat00022
    여기서, nimax2는 단말기 i의 제2 최대 이웃 단말기의 수(정수)이고, Pi는 상기 통신 단말기의 미디어 처리 전력량이고, Tpacket은 미디어 패킷의 생성 주기이고, T는 최소 회의 유지 시간이고, Pprp는 패킷의 전송 또는 수신에 소모되는 전송 전력량이고, Pdecoding은 미디어 패킷의 복원에 소모되는 미디어 복원 전력량이고, Pmixing은 미디어 패킷들의 혼합에 소모되는 미디어 혼합 전력량이고, Pencoding은 미디어 패킷의 압축에 소모되는 미디어 압축 전력량임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연결 여유값 산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전자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090120388A 2009-12-07 2009-12-07 계층적 다자간 통신 단말기 및 연결 여유값 산출 방법 KR101076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388A KR101076770B1 (ko) 2009-12-07 2009-12-07 계층적 다자간 통신 단말기 및 연결 여유값 산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388A KR101076770B1 (ko) 2009-12-07 2009-12-07 계층적 다자간 통신 단말기 및 연결 여유값 산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986A KR20110063986A (ko) 2011-06-15
KR101076770B1 true KR101076770B1 (ko) 2011-10-26

Family

ID=44397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0388A KR101076770B1 (ko) 2009-12-07 2009-12-07 계층적 다자간 통신 단말기 및 연결 여유값 산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677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986A (ko)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437122B (zh) 通信方法、装置、计算机可读介质及电子设备
RU2374771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обеспечения услуг группового интерактивного общения (чата)
US9693080B2 (en) Distribution control system, distribu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02457492B (zh) 流媒体文件的协同传输方法、系统以及设备
US20120163427A1 (en)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ous transmission of content
US20160044079A1 (en) Distribution control system, distribu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13489805B (zh) 一种云桌面系统的对接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0943977B (zh) 多媒体业务数据传输方法、服务端、设备及存储介质
CN103561281A (zh) 一种多媒体数据共享的方法及装置
CN111954028A (zh) 音频数据的投屏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2022515637A (ja) データの再送復号方法、装置、システム及び通信装置
CN109889922A (zh) 流媒体数据的转发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US20110113099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buffer map and network thereof
KR101076770B1 (ko) 계층적 다자간 통신 단말기 및 연결 여유값 산출 방법
CN102802197A (zh) 应用数据的传输方法及装置
WO2022062426A1 (zh) 中继基站的多播调度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US7554989B2 (en) Real time optimization over a shared communication channel
US99007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KR101013944B1 (ko) 계층적 다자간 통신 방법 및 시스템
CN114143616A (zh) 目标视频的处理方法和系统、存储介质及电子装置
KR101050499B1 (ko) VoIP를 이용한 계층적 다자간 통신 방법 및 시스템
CN113727183B (zh) 直播推流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及计算机程序产品
US20220394212A1 (en) Optimizing media experience in conferencing with diverse participants
KR101219689B1 (ko) 계층적 다자간 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101049959B1 (ko) 계층적 다자간 통신 방법 및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