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9534B1 - 자국어 인터넷주소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국어 인터넷주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9534B1
KR101049534B1 KR1020070009089A KR20070009089A KR101049534B1 KR 101049534 B1 KR101049534 B1 KR 101049534B1 KR 1020070009089 A KR1020070009089 A KR 1020070009089A KR 20070009089 A KR20070009089 A KR 20070009089A KR 101049534 B1 KR101049534 B1 KR 101049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net address
server
language internet
language
native langu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9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6712A (ko
Inventor
이판정
배진현
이석문
원종호
Original Assignee
(주)넷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넷피아 filed Critical (주)넷피아
Publication of KR20070026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6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9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9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06F16/9566URL specific, e.g. using aliases, detecting broken or misspelled li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52Lookup mechanisms between a plurality of directories; Synchronisation of directories, e.g. metadirect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30Managing network names, e.g. use of aliases or nickn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30Types of network names
    • H04L2101/32Types of network names containing non-Latin characters, e.g. Chinese domain n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국어 인터넷주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LDH(Letter, Digit, Hyphen)로 구성된 계층적 구조의 도메인과 달리, 다양한 언어 및 지역의 데이터를 수용이 가능하고, Unicode로 표현이 가능하며 전 세계의 다양한 문자를 모두 처리 가능한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을 제공하는 한편, 하나의 시스템으로 전 세계의 자국어인터넷주소를 통합해 서비스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자국어, 인터넷, 주소, 도메인

Description

자국어 인터넷주소 시스템{Native Language Internet Address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자국어 인터넷주소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자국어인터넷시스템 일부의 상세한 구성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자국어인터넷시스템들의 연동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언어와 지역 정보인 language-tag를 브라우저에서 추가와 선택을 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13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자국어인터넷서비스시스템들의 연동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자국어인터넷주소시스템의 블럭도이고, 도 8은 도 7의 자국어인터넷서비스시스템들의 연동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5에 따른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국어인터넷주소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이 다.
도 11는 본 발명의 실시예6에 따른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12은 본 발명의 실시예6에 따른 자국어인터넷시스템들의 연동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연동처리 시스템의 다른 구현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8에 따른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63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9에 따른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들의 연동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10에 따른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들의 연동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가능한 분산형 중앙 DB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가능한 등록용 중계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가능한 중계서버와 중앙DB서버 구성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가능한 임시저장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가능한 클라이언트 모듈방식과 서버기반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국어인터넷주소 서비스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자국어 인터넷주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각 지역의 언어로 표현이 가능한 키워드 형태의 자국어를 이용하여 특정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를 알려 줄 수 있는 자국어 인터넷주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이란 단순히 몇 개의 컴퓨터가 모여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며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컴퓨터들의 네트워크 들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거대한 연결망이며, 이러한 인터넷에 연결된 각 컴퓨터들은 서로를 식별하기 위하여 물리적인 주소 즉, IP(Internet Protocol) 주소가 할당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물리적인 주소는 255를 넘지 않는 숫자들로 이루어진 4개의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예, 134.78.238.99)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이러한 숫자열을 기억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인터넷에 연결된 특정 컴퓨터로 접속하고자 할 때마다 사용자가 이러한 IP 주소를 일일이 기입한다는 것은 대단히 번거로운 일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물리적인 주소를 직접 이용하여 각 컴퓨터에 접속하는 대신에, IP 주소를 기억하기 쉬운 문자열의 조합과 일대일 대응을 시키고, 사용자가 문자열을 입력하면 해당되는 IP 주소를 가지는 컴퓨터에 자동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방식이 이용된다. 이와 같이 숫자로 구성된 IP 주소 대신 사용되는 문자들의 조합을 도메인 네임이라고 한다.
한편, 최근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웹 호스팅 서비스(webhosting service) 즉, 도메인 네임에 대응하는 실질적인 호스트 컴퓨터를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도메인 네임을 등록 받고자 하는 자에게 자신의 호스트 컴퓨터를 사용하여 등록 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를 이용하여 도메인 네임을 등록한 경우에는 IP 주소에 대하여 도메인 네임이 하나 이상 대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메인 네임이란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의 인터넷 상에서의 주소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그 컴퓨터의 특성 또는 지리적 위치 등을 표시하는 식별자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전자 메일(e-mail)의 주소인 "james@ABC.co.kr" 중에서 "ABC.co.kr"이 실질적인 도메인 네임이 되며, IP 주소 체계인 URL(uniform resource location)인 "http://www.ABC.co.kr" 중에서 "ABC.co.kr"이 실질적인 도메인 네임이 된다. 그리고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에 제공되는 다양한 정보의 주소를 나타내는 URL 예를 들어, ""http//www.internic.net/index.html"에서는 "internic.net"이 도메인 네임이 되고, "index.html"은 해당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디렉토리를 포함하는 파일 네임이 된다.
따라서, 각 컴퓨터의 IP 주소 대신에 도메인 네임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각 컴퓨터의 IP 주소와 도메인 네임을 대응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별도의 장치가 요구되며, 이러한 요구에 따라 인터넷에 연결된 각 컴퓨터는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 즉, 도메인 네임 서버(domain name server, 일명 "DNS")와 연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가 인터넷의 특정 컴퓨터로 접속하기 위하여 해당 컴퓨터의 도메인 네임 예를 들어 "def.co.kr"에 대한 IP 주소 확인을 설정된 도메인 네임 서버로 요청하면, 도메인 네임 서버는 IP 주소를 관장하는 등록 기관의 서버로 입력되는 도메인 네임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문의하고, 등록 기관의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IP 주소를 클라이언트로 리턴시키며,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는 해당 IP 주소를 가지는 컴퓨터로 접속된다.
위에 기술한 바와 같이, 인터넷 상의 특정 컴퓨터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해당 도메인 네임을 알아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도메인 네임은 일정한 규칙에 따라 만들어진 영문 문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한국 또는 일본, 중국 등 비영어권 국가의 국민들은 영어권 국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도메인 네임을 외우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비영어권 국가의 국민들도 편리하게 인터넷을 이용하기 위하여, 자국의 언어로 이루어진 도메인 네임을 사용하여 웹 페이지를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으나, 비영어권 언어들을 구별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보다 상세하게 말하자면, 각 언어들은 각국의 규격에 따라 코드화 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각 규격별로 동일한 코드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기존의 도메인 네임 서버는 비영어권 언어들이 어떠한 규격을 토대로 코드화 된 언어인지 즉, 어느 나라 언어인지를 판별할 수가 없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시도가 있었다. 그 일예로 동출원인에 의해 출원되고 공개된 한국특허공개공보 제2001-44033호, "다국어를 이용한 웹페이지 접속시스템 및 방법"이 있다. 이 방식에 의하면,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는 접속어가 영어를 제외한 다른 언어로 이루어진 자국어인 경우에 자국어 서버는 언어판별 동작을 수행하는 판별서버의 IP 주소를 제공한다. 판별서버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는 접속어의 패턴을 분석하거나 클라이언트로부터 제공되는 정보 내에 포함되어 있는 접속어 코드 규격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접속어가 어느 나라 언어인가를 판별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접속어를 해당 언어를 처리하는 연결서버로 제공하여 클라이언트가 접속어에 해당하는 웹 페이지로 접속되도록 하는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하나의 국가에서 부분적으로 다른 언어들의 접속어를 처리하기 위한 방식으로 전 세계의 자국어인터넷주소 서비스 주체별 시스템들이 연동하는 구조에서는 실제적으로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동일한 사업자가 다른 언어에 의한 시스템을 모두 구축하여야 하기 때문에 다른 사업주체에 의해서 각 나라의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들을 통합하여 연동하는 시스템이 여전히 필요하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해서는 다언어국가, 다국가 언어 등에 관해서 효율적으로 서비스할 수 없어 여전히 새로운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LDH(Ascii, digit, hyphen)로 구성된 계층적 구조의 도메인과 달리, 각 국의 언어로 표현이 가능한 키워드 형태를 이용하여 특정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를 알려주는 자국어 인터넷주소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언어 및 지역의 데이터를 수용이 가능하며, Unicode(Unicode)로 표현이 가능한 전 세계의 다양한 문자를 모두 처리 가능한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을 제공하고, 하나의 시스템으로 전 세계의 자국어인터넷주소를 통합해 서비스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 세계의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들이 연동하여 전 세계의 시스템이 클러스터링 함으로써 세계 어느 시스템에 자국어를 입력하여도 자국어 인터넷주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1측면은 자국어인터넷주소 데이터를 등록받아 저장하는 자국어인터넷주소 DB 서버; 상기 자국어인터넷주소 DB 서버에 접속되어 상기 자국어 인터넷주소 데이터를 등록하는 자국 어인터넷주소 등록모듈; 및 상기 자국어인터넷주소 DB 서버에 접속되어, 클라이언트에 의해 입력된 질의의 언어를 판별하는 자국어인터넷주소 처리서버를 구비하되,
상기 자국어인터넷주소 처리서버는 입력된 질의어가 자국어인 경우는 상기 자국어인터넷주소 DB 서버로부터 상기 자국어에 대응되는 URI 또는 URL 형태의 주소를 가져오고, 다른 지역의 언어인 경우는 그 지역의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과 연동하여 해당 언어에 대응되는 URI 또는 URL 형태의 주소를 가져오는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측면은 언어별로 분리되어 구성된 자국어인터넷주소 데이터를 등록받아 저장하는 자국어인터넷주소 DB 서버; 상기 자국어인터넷주소 DB 서버에 접속되어 상기 자국어 인터넷주소 데이터를 등록하는 자국어인터넷주소 등록모듈; 및 상기 자국어인터넷주소 DB 서버에 접속되어, 클라이언트에 의해 입력된 질의어의 언어를 판별하는 자국어인터넷주소 처리서버를 구비하되, 상기 자국어인터넷주소 처리서버는 입력된 질의어의 언어 종류를 판별하고 그 언어에 해당하는 자국어인터넷주소 DB 서버로부터 대응되는 URI 또는 URL 형태의 주소를 가져오며, 상기 자국어인터넷주소 DB 서버는 각 지역의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의 자국어인터넷주소 DB서버와 연동되어 업데이트 되는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측면은 언어별로 분리되어 구성되며 각 지역의 자국어인터넷주소 DB서버를 구비하는 자국어인터넷주소 중앙 DB 서버와 접속되는 자국어인터넷주 소시스템으로서, 상기 중앙 자국어인터넷주소 DB 서버에 접속되어 자기 지역의 자국어 인터넷주소 데이터를 등록하는 자국어인터넷주소 등록모듈; 및 상기 중앙 자국어인터넷주소 DB 서버에 접속되어, 클라이언트에 의해 입력된 질의어를 전달하고, 이에 대응되는 URI 또는 URL 형태의 주소를 전달받는 자국어인터넷주소 처리서버를 구비하되, 상기 자국어인터넷주소 중앙 DB 서버는 입력된 질의의 언어 종류를 판별하고 그 언어에 해당하는 대응되는 URI 또는 URL 형태의 주소를 검색하는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4측면은 언어별로 분리되어 구성되며 각 지역의 자국어인터넷주소 DB서버를 구비하는 자국어인터넷주소 중앙 DB 서버와 접속되는 자국어인터넷주소시스템으로서, 상기 자국어인터넷주소 중앙 DB 서버에 구비된 자기 지역의 자국어인터넷주소 DB서버; 상기 자기 지역의 자국어 인터넷주소 데이터를 등록하는 자국어인터넷주소 등록모듈; 상기 중앙 자국어인터넷주소 DB 서버에 접속되어, 클라이언트에 의해 입력된 질의어의 언어유형을 판별하고 자기 지역의 질의어인 경우는 상기 지역의 자국어인터넷주소 DB서버에 전달하고, 자기 지역의 질의어가 아닌 경우는 상기 자국인터넷주소 중앙DB에 해당 질의어를 전달하여, 이에 대응되는 URI 또는 URL 형태의 주소를 가져오는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5측면은 자국어 인터넷주소 데이터를 등록하는 자국어인터넷주소 등록모듈; 및 클라이언트에 의해 입력된 질의어를 자국어인터넷주소 중앙 DB 서 버에 전달하고 이에 대응되는 URI 또는 URL 형태의 주소를 전달받는 자국어인터넷주소 처리서버를 구비하는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에 이용되는 자국어인터넷주소 중앙 DB 서버로서, 상기 자국어인터넷주소 중앙 DB 서버는 언어별로 분리되어 구성된 자국어인터넷주소 데이터를 등록받아 저장하고, 클라이언트에 의해 입력된 질의어의 언어 종류를 판별하고 그 언어에 대응되는 URI 또는 URL 형태의 주소를 상기 자국어인터넷주소 처리서버에 전달하는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에 이용되는 자국어인터넷주소 중앙 DB 서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6측면은 자국어인터넷주소 데이터를 등록하여 자국어인터넷주소 DB를 구축하는 단계; 클라이언트를 통해 질의어가 입력되면, 상기 질의어가 자국어인지 다른 지역의 언어 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입력된 질의어가 자국어인 경우는 상기 자국어인터넷주소 DB 서버로부터 상기 자국어에 대응되는 URI 또는 URL 형태의 주소를 가져오고, 다른 지역의 언어인 경우는 그 지역의 자국어인터넷주소 서비스 시스템에 연동하여 그 질의어에 대응되는 URI 또는 URL 형태의 주소를 가져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국어인터넷주소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7측면은 해당 지역의 언어들로 구성된 자국어인터넷주소 데이터를 등록받아 저장하는 자국어인터넷주소 DB 서버; 상기 자국어인터넷주소 DB 서버에 접속되어 상기 자국어 인터넷주소 데이터를 등록하는 자국어인터넷주소 등록모듈; 및 상기 자국어인터넷주소 DB 서버에 접속되어, 클라이언트에 의해 입력된 질 의어를 자국어인터넷주소 DB 서버에 전달하고 이에 대응되는 URI 또는 URL 형태의 주소를 전달받는 자국어인터넷주소 처리서버를 구비하되, 다른 지역의 언어들로 구성된 다른 지역의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과 서로 연동되어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의해 다른 지역의 자국어 인터넷주소 시스템과 통신하는 자국어 인터넷주소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8측면은 지역별로 분리되어 구성된 자국어인터넷주소 데이터를 등록받아 저장하는 자국어인터넷주소 중앙 DB 서버와 접속되는 자국어인터넷주소시스템으로서, 상기 중앙 자국어인터넷주소 DB 서버에 접속되어 상기 자국어 인터넷주소 데이터를 등록하는 자국어인터넷주소 등록모듈; 및 상기 중앙 자국어인터넷주소 DB 서버에 접속되어, 클라이언트에 의해 입력된 질의어를 전달하고, 이에 대응되는 URI 또는 URL 형태의 주소를 전달받는 자국어인터넷주소 처리서버를 구비하되, 상기 자국어인터넷주소 중앙 DB 서버는 입력된 질의어에 부가된 지역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지역의 자국어인터넷 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질의어에 대응되는 URI 또는 URL 형태의 주소를 상기 자국어인터넷주소 처리서버에 전달하는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9측면은 지역별로 분리되어 구성된 각 지역의 자국어인터넷주소 DB서버를 구비하는 자국어인터넷주소 중앙 DB 서버와 접속되는 자국어인터넷주소시스템으로서, 상기 중앙 자국어인터넷주소 DB 서버에 접속되어 자기 지역의 자국어 인터넷주소 데이터를 등록하는 자국어인터넷주소 등록모듈; 및 상기 중앙 자국어인터넷주소 DB 서버에 접속되어, 클라이언트에 의해 입력된 질의어를 전달하고, 이에 대응되는 URI 또는 URL 형태의 주소를 전달받는 자국어인터넷주소 처리서버를 구비하되, 상기 자국어인터넷주소 중앙 DB 서버는 입력된 질의어에 부가된 지역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지역의 자국어인터넷 시스템과 연동하여 그 질의어에 대응되는 URI 또는 URL 형태의 주소를 검색하는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0측면은 지역별로 분리되어 구성되며 각 지역의 자국어인터넷주소 DB서버를 구비하는 자국어인터넷주소 중앙 DB 서버와 접속되는 자국어인터넷주소시스템으로서, 상기 자국어인터넷주소 중앙 DB 서버에 구비된 자기 지역의 자국어인터넷주소 DB; 상기 자기 지역의 자국어 인터넷주소 데이터를 등록하는 자국어인터넷주소 등록모듈; 상기 중앙 자국어인터넷주소 DB 서버에 접속되어, 클라이언트에 의해 입력된 질의어가 자기 지역의 질의어인 경우는 상기 지역의 자국어인터넷주소 DB에 전달하고, 자기 지역의 질의어가 아닌 경우는 상기 자국인터넷주소 중앙DB에 해당 질의어를 전달하여, 이에 대응되는 URI 또는 URL 형태의 주소를 가져오는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1측면은 지역별 자국어 인터넷주소 데이터를 등록하는 자국어인터넷주소 등록모듈; 및 클라이언트에 의해 입력된 질의를 자국어인터넷주소 중앙 DB 서버에 전달하고 이에 대응되는 URI 또는 URL 형태의 주소를 전달받는 자국어인 터넷주소 처리서버를 구비하는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에 이용되는 자국어인터넷주소 중앙 DB 서버로서, 상기 자국어인터넷주소 중앙 DB 서버는 입력된 질의에 부가된 지역 정보에 대응되는 URI 또는 URL 형태의 주소를 검색하여 그 결과를 상기 자국어인터넷주소 처리서버에 전달하는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에 이용되는 자국어인터넷주소 중앙 DB 서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2측면은 자기 지역 자국어인터넷주소 데이터를 등록하여 자국어인터넷주소 DB를 구축하는 단계; 클라이언트를 통해 질의어가 입력되면, 상기 질의어가 자기 지역인지 타 지역 언어 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입력된 질의어가 자기 지역의 언어인 경우는 상기 자국어인터넷주소 DB로부터 상기 자국어에 대응되는 URI 또는 URL 형태의 주소를 가져오고, 다른 지역의 언어인 경우는 그 지역의 자국어인터넷주소 서비스 시스템에 연동하여 그 질의어에 대응되는 URI 또는 URL 형태의 주소를 가져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국어인터넷주소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3측면은 다수의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으로서,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 각각은 지역정보와 언어정보에 의해 분리된 자국어인터넷주소 데이터를 등록받아 저장하는 자국어인터넷주소 DB 서버와, 상기 자국어인터넷주소 DB 서버에 접속되어, 클라이언트에 의해 입력된 질의어의 언어를 판별하는 자국어인터넷주소 처리서버를 구비하며, 특정 자국어인터넷주소 처리서버에 입력된 질의어가 자기 지역의 언어정보인 경우는 상기 자국어인터넷주소 DB 서버로부터 상기 질의어에 대응되는 URI 또는 URL 형태의 주소를 가져오고, 다른 지역의 언어인 경우는 그 지역의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과 연동하여 해당 언어에 대응되는 URI 또는 URL 형태의 주소를 가져오는 자국어인터넷주소 연동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4측면은 다수의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으로서,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 각각은 그 지역의 언어정보인 자국어인터넷주소 데이터를 등록받아 저장하는 자국어인터넷주소 DB 서버와, 상기 자국어인터넷주소 DB 서버에 접속되어, 클라이언트에 의해 입력된 질의어에 대해 응답하는 자국어인터넷주소 처리서버를 구비하며, 특정 자국어인터넷주소 처리서버에 입력된 질의어가 자기 지역의 언어정보인 경우는 상기 자국어인터넷주소 DB 서버로부터 상기 질의어에 대응되는 URI 또는 URL 형태의 주소를 가져오고, 다른 지역의 언어인 경우는 그 지역의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과 연동하여 해당 질의어에 대응되는 URI 또는 URL 형태의 주소를 가져오는 자국어인터넷주소 연동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몇가지 용어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존에 도메인 네임으로 사용하였던 LDH(Ascii, digit, hyphen)로 구성된 계층적 구조의 영문 URL은 "(영문)도메인 네임" 으로 칭하고, 영문 또는 그 이외의 언어로 기존의 영문 URL을 의미하지 않는 키워드 형태의 총칭으로 "자국어"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한편, "질의어"는 사용자가 특정 웹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해 입력하는 문자열을 의미하는 것으로 "(영문)도메인 네임"과 "자국어" 모두에 해당할 수 있다.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은 DNS를 대체하는 시스템은 아니며, 자국어로 구성된 키워드형태를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주소체계(Naming System)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은 자국어로 구성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웹, 메일, 전화, 팩스와 같은 다양한 자원에 대해서 접근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다양한 언어 및 지역(예를 들어, 국가)의 데이터를 수용가능하며, 해당하는 처리서버들은 도메인의 계층적인 방식으로 루트(Root)에서 분배된 방식이 아닌, 서로 동등한 입장에서 데이터를 서로 주고 받는다. 또한 내부적으로 UTF(UCS Transformation Format)등 Unicode 형식의 문자언어를 사용함으로써, Unicode로 표현이 가능한 전세계의 다양한 문자를 모두 처리 가능한 시스템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격적인 설명에 앞서서 참고로 미리 몇 가지를 언급하면, 이하에 기재된 내용 중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사상과 무관한 공지기술 및 구성으로서 그 상세한 설명이 오히려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면 편의상 설명을 생략하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이므로 사용자 및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능히 달라질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따라서 이하의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언어별 DB 방식의 자국어 인터넷주소 시스템)
(실시예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 일부의 상세한 구성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자국어인터넷시스템들의 연동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연동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국어인터넷주소시스템(Native Language Internet Address; 'NLIA 시스템'; 300)은 자국어인터넷주소의 등록을 처리하는 등록모듈(320), 등록모듈(320)로부터 등록된 자국어 언어를 수집하는 NLIA DB서버(380), 클라이언트(390)에 의해 입력된 질의어(query)의 언어를 판별하고 판별한 언어를 레졸루션하는 NLIA 처리서버(340)를 구비한다.
NLIA 처리서버(340)는 입력된 질의어가 자국어인 경우, NLIA DB 서버(380)로부터 이 자국어가 그 지역에서 사용하는 경우는 이에 대응되는 URI 또는 URL 형태의 주소를 가져오고, 다른 지역의 언어인 경우는 그 지역의 NLIA 서비스 시스템(예를 들어, 도 3의 100,200,400)으로부터 그 지역의 언어에 대응되는 URI 또는 URL 형태의 주소를 가져온다(도 1의 경로 A 참조).
'지역'이라 함은 바람직하게는 국가를 의미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국가에서도 여러개의 지역이 있을 수 있고 여러개의 국가가 하나의 지역일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지역에서는 언어별 DB가 2개 이상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캐나다를 지역으로 택하는 경우, 캐나다는 영어와 불어를 함께 사용하므로 언어별 DB를 2개 가지고 있다.
한편, 언어별로 구분되어 있는 시스템 구성에서는 해당 언어의 검색결과가 2개 이상일 경우 결과들을 나열하여 그 중에서 선택하는 방식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자원의 이름, 언어, 지역, 데이터 유형이 NLIA 처리서버(340)로 전달되면 그 원하는 자원의 접근이 가능한 주소를 가져온다. NLIA 처리서버(340)는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서 해당하는 DB(NLIA DB 또는 NLEA(Native Language Email Address) DB)에 질의하여 정보에 접근이 가능한 URI 혹은 URL형태의 주소를 반환받는다. 도 1에서는 도면부호 380을 NLIA DB서버로 도시하고 있지만, 여기에 NLEA DB서버가 추가될 수 있음을 밝혀두고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등록모듈(320)은 자국어인터넷주소를 등록 처리하는 부분으로, 예를 들어 웹 페이지로 구성된 기존의 도메인 Registrar 시스템과 동일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자국어인터넷주소를 처리하기 때문에 모든 데이터의 형태는 UTF-8 혹은 UCS(Universal Character Set) 등의 Unicode로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ASCII 형태로 변환하여 저장될 수도 있다. 등록모듈(320)에 자국어인터넷 주소를 등록하는 방식은 일반적인 사용자들이 클라이언트를 통해서 직접 등록하는 방식을 취할 수도 있고 NLIA 시스템 제공자가 등록할 수도 있으며 이들 방식을 혼합한 형태일 수도 있다.
NLIA 처리서버(340)는 입력된 질의어가 다른 지역의 언어인 경우 그 지역의 NLIA 시스템(예를 들어, 도 3의 100,200,400)으로부터 그 지역의 언어에 대응되는 URI 또는 URL 형태의 주소를 가져오는데 이 방식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NLIA DB서버(380)는 질의된 데이터에 대해서 검색하는 기능을 하며, 자신이 처리하지 못하는 데이터는 다른 지역의 NLIA 시스템(예를 들어, 도 3의 100,200,400)의 NLIA DB서버와 연동(B경로 참조)이 되어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지역의 NLIA DB서버와 연동되어 불러온 외부의 데이터들은 일정시간 동안 캐시(Cache)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성능을 높일 수 있고, 불필요한 트래픽을 자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LIA DB서버(380)는 각 지역 및 언어별 NLIA 시스템을 구별하여 서로 연동한다. 그리고 등록모듈(320)을 통해서 등록된 데이터는 NLIA DB서버(380)로 전달되고, 바람직하게는, 등록모듈(320)과 NLIA DB서버(380) 사이에는 중계모듈(도시되지 않음)이 부가될 수 있다. 중계모듈(도시되지 않음)에는 NLIA 등록모듈(220)에서 등록된 데이터가 전달되며, NLIA 중계모듈(도시되지 않음)은 현재 서비스중인 NLIA DB서버(380)의 정보를 가지고 있어서 실시간으로 적용을 한다. 또한, NLIA DB서버(380)와는 데이터를 전달할 때 데이터의 시간정보를 공유하여, 중간에 전달하지 못한 데이터를 동기화 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필요에 따라, NLIA 시스템(300)에는 NLIA 네임서버(360)가 포함될 수 있다. NLIA 네임서버(360)는 DNS 기능에 자국어인터넷주소를 처리하기 위한 기능이 추가된 것이다. NLIA 네임서버(360)는 클라이언트(390)에서 입력된 질의어가 영문도메인 네임인지 자국어 인지를 판단한다. NLIA 네임서버(360)는 질의어가 영문 도메인네임인 경우는 일반적인 DNS서버(도시하지 않음)에 접속하여 그 접속어에 대응되는 URL 또는 IP주소를 가져오고, 접속어가 자국어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는 NLIA 처리서버(340)로 접속어를 전달한다.
도 2는 도 1의 자국어인터넷시스템 일부의 상세한 구성 블럭도이다. NLIA 네임서버(360)는 자국어스캔모듈(362)을 구비하고, NLIA 처리서버(340)는 다국어스캔모듈(342)과 자원전환모듈(364)을 구비하며, NLIA DB서버(380)는 DB서버테이블(382)과 NLIA DB엔진&글로벌 아키텍쳐모듈(384)을 구비한다. DB서버테이블(382)은 필요에 따라 NLIA 처리서버(340)에 위치할 수도 있다. 모듈들(362,342,344, 382,384)은 자국어인터넷주소를 다양한 형식의 클라이언트가 사용가능하도록 확장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다양한 기기와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에서 활용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에 의한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은 HTTP 이외에도 여러 프로그램과 플랫폼에서 사용 역시 가능하다.
즉, NLIA 네임서버(360)에 포함된 자국어스캔모듈(362)은 일반적인 도메인과 자국어 인터넷 주소를 구별하여 처리하며, NLIA 처리서버(340)에 포함된 다국어 스캔모듈(342)은 사용자로부터 받은 각종 정보를 수집하여 처리 가능한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요청자의 특성을 파악하고, 자원 전환 모듈(344)은 자국어인터넷주소 DB서버(380)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실제로 클라이언트(390)에게 전달하기 전에 해당하는 클라이언트(390)가 처리 가능한 형태로 변환해준다. 다국어 스캔모듈(342)은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로 접속한 사용자나 NLIA 네임서버(360)를 이용하여 접속된 사용자들을 모두 이 모듈을 통해서 추출 가능한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할 데이터의 특성을 파악한다.
NLIA DB서버(380)에 포함된 DB 서버 테이블(382)은 다국어 스캔모듈(342)에 의해서 추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을 할 NLIA 시스템를 결정하며, NLIA 글로벌 아키텍처 모듈(384)은 전 세계적으로 위치하고 있는 NLIA시스템에 연동되어, 다른 지역의 자국어인터넷주소를 검색하고, 캐쉬(Cache)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문자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가장 근접한 데이터를 추출해서 적용한다. DB서버테이블(382)은 필요에 따라 NLIA 처리서버(340)에 위치할 수도 있다.
NLIA 처리서버(340)의 다국어 스캔모듈(342)은 사용자에게서부터 오는 각종 정보(운영체제, 응용프로그램, 언어코드, 문자코드, IP Address)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주소체계를 판별한다. NLIA DB서버(360)는 전달 받은 데이터를 기초로 해당하는 주소체계를 알아낸다. 이렇게 하여 얻은 주소체계를 자원전환모듈(344)에 의해서 클라이언트(390)에서 수용 가능한 형태로 변화하여 제공하고 있다.
클라이언트(390)는 컴퓨터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외에도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전화, 팩스 등의 다른 통신장치 일수도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자국어인터넷 시스템들의 연동을 포함한 전체적인 실제 구현을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자국어인터넷서비스시스템들의 연동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 에서는 한국 NLIA 시스템(300)과 동일한 시스템들인 불가리아 NLIA시스템(100), 중국 NLIA시스템(200), 일본 NLIA시스템(400)이 상호 접속되어 있다.
(1) 언어와 지역 판별방법
실시예1의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NLIAS)는 언어와 지역정보(예를 들어 국가 정보)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분리하는 기준으로 한다. 그 이유는 하나의 지역(국 가)에서 2개 이상의 언어를 공용으로 사용하기도 하고, 한 개의 언어가 여러 지역에서 사용되어지기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시예1의 NLIA 시스템(NLIAS)에서는 예를 들어 RFC 1766 (Tags for the Identification of Languages)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분리하여 운영한다. RFC 1766의 기준에 따라서 ISO 639(Code for the representation of names of language)와 ISO 3166(Code for the representation of names of countries)에 표현된 언어와 국가코드의 조합으로 시스템을 분리 운영한다.
이러한 'Language-Tags(RFC 1766)'를 기준으로 분리 운영되는 시스템을 하나의 레지스트리(Registry)로 인정하며, 하나의 지역에도 사용언어가 여러 개인 경우 다수의 레지스트리 시스템이 존재 할 수 있다.
(2) 지역과 언어에 따라 분리되어 운영되는 각 레지스트리 시스템의 연동방법
분리 운영되는 레지스트리(Registry) 시스템들은 사용자의 질의어에 따라 NLIA 처리서버(340)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NLIA DB서버(380)로 전달하게 되며, 이렇게 전달된 데이터에는 'Language-Tags'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서 자신에게 해당되지 않는 'Language-Tags'에 대한 요청자료가 오는 경우 자국어인터넷주소 통신 채널(NLIA Communication Channel)을 통해서 처리 가능한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전달하여 그 결과를 받아서 NLIA 처리서버(340)로 전달하여 처리한다.
즉, 한국어 language-tag 사용자가 중국에서 중국 NLIA 시스템(200)의 NLIA 처리서버에 한국어 키워드를 요청할 경우 중국 NLIA 시스템(300)은 NLIA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한국어 서비스를 지원하는 한국 NLIA 시스템(300)에 요청받은 키워드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요청하고, 이에 따라 전달받은 외부 데이터는 NLIA DB서버에 자동으로 캐시가 되며, 데이터에 포함된 저장시간(TTL, Time-To-Live)동안 저장이 되어서 시스템 성능의 저하 없이 외부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세계 어느 언어로 키워드 서비스를 요청하여도 자국어 키워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4a 및 도 4b는 언어와 지역 정보인 language-tag를 브라우저에서 추가와 선택을 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연동 서비스는 다른 방식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프랑스의 NLIA 시스템에 사용자가 중국어 키워드를 입력하면 중국어 문자의 코드값에 의해 그 문자를 사용하는 언어권을 판별하여 NLIA 통신채널을 이용하여 해당하는 NLIA 시스템에 데이터를 요청한다. 프랑스 NLIA 시스템에 한자가 입력되면 한자의 코드값에 의해 프랑스 NLIA 시스템은 한자를 사용하는 중국 NLIA 시스템과 일본 NLIA 시스템에 데이터를 요청하여 해당하는 데이터를 전달받아 서비스하게 되는 것이다.
(3) 자국어인터넷주소에 대한 지능형 검색 방법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은 자국어인터넷주소가 내부적으로 UTF-8 등의 Unicode로 표현되어 있다. UTF(UCS transformation formats)는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Unicode로 1:1 대응이 되며, Unicode로 표현이 된 문자는 그 문자의 코드값에 의해서 그 문자를 사용하는 언어권이 판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가'(U+0xAC00) 문자를 사용하는 언어는 한국어이며, 'ぁ'(U+0x3041) 문자를 사용하는 언어는 일본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문자적인 특징을 이용하여, NLIA 처리서버(340)에서는 'Language-Tags'별로 구성된 NLIA DB서버(380)들이 처리하고 있는 문자의 범위를 미리 저장해 두었다가 사용자가 요청시 입력된 문자의 범위를 검색하여 처리가 가능한 NLIA DB 서버들의 목록을 결정하고 그 목록에 해당하는 시스템에 검색을 하여, 사용자가 'Language-Tags'를 설정하지 않거나, 잘못 설정된 경우에도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자국어인터넷주소는 다양한 인터넷 주소에 활용이 가능하며, 구조적으로 확장 가능한 형태로 구성(자국어e메일주소 처리 적용)된다. 따라서,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은 자국어를 기준으로 다양한 인터넷주소(Naming Space)에 대한 접근 방법으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설계가 되어 있다. 이미 서비스 되고 있는 WWW(World Wide Web) 뿐만 아니라, FTP, TELNET과 같은 인터넷기반의 서비스와 전화(Telephone), 팩스(Fax), 개인정보 등과 같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국어아이디@자국어인터넷주소'로 구성된 '@'를 기준으로 오른쪽 부분이 이전의 영문 도메인(정확히 DNS의 MX(Mail eXchange) RR(Resource Record)의 값을 이용하는 부분을 자국어인터넷주소를 사용하는 처리하는 방식이며, 오른쪽 뿐만 아니라 왼쪽편의 아이디도 자국어로 표현을 하는 서비스도 제공 할 수 있다. 이 서비스는 기존의 영문주소를 보다 쉽게 인식을 하고, 검색을 용이하게 한다.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에서는 NLIA 처리서버를 통해서 자국어인터넷주소와 자국어e메일주소가 같이 처리가 가능하다. 자국어e메일주소 DB 서버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하는 것도 가능하고, 다른 방식에 의하면, MAIL을 위한 LDAP(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을 이용하여도 사용이 가능하다. 뿐 만 아니라 '@자국어인터넷주소'를 기준으로 분산된 형태의 자국어e메일주소 처리도 가능하다. 이 기능은 다른 자국어인터넷주소 처리 서버를 사용하도록 하여, 분산된 형태의 자국어e메일주소 처리가 가능하다.
(4) 데이터 동기화 방법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을 처리하는 서버는 하나의 서버로 구성된 것이 아니며, 분산이 가능한 구조로 설계가 되어 있고, 지역적으로도 분산된 형태를 지원하도록 개발이 되어 있다. 즉 'Language-Tags'가 "ko"인 서버를 한국에만 두는 것이 아니라 다른 나라에도 설치하여 서비스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시스템들이 분산되어 있는 경우, 새로운 자국어인터넷주소가 등록되는 경우 등록된 데이터는 빠른 시간 내에 전체의 시스템에 적용이 되어야 하는데, 자국어인터넷주소 중계 서버(NLIA Transaction Server)가 이를 실시간으로 등록을 시켜주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시스템은 신규로 등록되는 자국어인터넷주소를 서비스중인 NLIA DB서버(380)로 전송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NLIA DB서버(380)는 자국어인터넷주소 중 계서버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적용이 가능한 기능이 추가가 되어 있으며, 추가된 데이터는 메모리 상에서 이진검색(Binary Search)가 가능한 형태로 변경이 되어서 서비스를 제공해 준다.
또한 서비스중인 NLIA DB서버(380)는 재시작을 하거나 데이터를 신규로 받을 때마다 중간에 손실되는 경우를 대비해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자료의 정보를 자국어인터넷주소 중계 서버로 전달하여 항상 동기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데이터를 동기화 하는 방법은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시스템의 가장 마지막 데이터의 시간을 서로 전달하며, 이 마지막 데이터의 시간이 잘못 된 경우, 서로의 마지막 데이터를 전달하여 항상 최신의 정보로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5) 클라이언트(브라우저, 자국어인터넷주소 클라이언트 모듈, 메일에이전트)와 자국어인터넷주소 처리 서버(NLIA Resolution Server) 통신 방법
클라이언트(390)와 NLIA 처리서버(340)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웹브라우저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 뿐만 아니라, 클라이언트의 어플리케이션(Web Browser, 메일에이전트(Mail User Agent), 인터넷응용프로그램)도 HTTP를 이용하여 Socket통신을 하여 그 결과를 이용한다.
많이 사용되어지고 알려져 있는 HTTP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이유는 HTTP 통신 방법은 많은 시스템에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안정성과 보안에 필터링이 되는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른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도 무방하며, 그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6) 자국어인터넷주소 처리 서버와 자국어인터넷주소 DB서버(NLIA DB Server)의 통신 방법
데이터는 모두 UTF-8 등의 Unicode 형식의 문자로 표현이 되며, 데이터는 모두 문자의 길이를 포함하고 있어서, 다양한 형태의 문자와 언어를 모두 처리가 가능하다. 기본 형태는 "길이\r\n데이타\r\n" 의 RFC 2616(Hypertext Transfer protocol-HTTP/1.1)에 포함이 되어 있는 "Chunked Transfer Coding" 방법을 참고하여 만들어 졌으며, 차이점은 Chunk-Size를 16진수(Hexadecimal)를 사용하지 않고 10진수(Decimal)를 사용하는 점이다.
Chunked-Body = *chunk
last-chunk

chunk = chunk-size [ chunk-extension ] CRLF
chunk-data CRLF
chunk-size = 1*Decimal(0-9)
last-chunk = 1*("0") [ chunk-extension ] CRLF
데이터 순서 : Language-Tags, type, data
예: 2\r\ko\r\n4\r\nhttp\r\n14\r\nwww.netpia.com\r\n0\r\n
자국어인터넷주소 처리 서버(340)는 사용자가 요청한 'Language-Tags'값으로 데이터를 질의하여 결과가 없는 경우에, 'Language-Tags'를 'auto' 값으로 전달하여 자국어인터넷주소 지능형 검색이 가능하도록 구현가능하다.
(7) 자국어인터넷주소 DB서버(NLIA DB Server)의 통신 방법
'Language-Tags'로 구별되는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들은 자국어인터넷주소 처리 서버와 자국어인터넷주소 DB서버의 통신 방법과 동일하게 데이터 통신을 하 며, 통신 시에는 'Language-Tags'정보를 이용하여 정보를 구별하여 처리한다
자국어인터넷주소 DB서버는 자국어인터넷주소 통신 채널(NLIA Communication Channlel)을 통해서 처리를 하며, 이 채널의 정보 테이블은 DST(DB Server Table)이라고 불리는 자국어인터넷주소 DB서버들의 리스트의 목록을 이용하여 처리한다. 이러한 테이블의 정보는 자국어인터넷주소 DB서버들이 실시간으로 상호적으로 업데이트하여 최신정보를 유지한다.
(실시예2)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1300)을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시예1과의 차이점을 위주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13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1300)은 언어별로 분리되어 구성된 자국어인터넷주소 데이터를 등록받아 저장하는 자국어인터넷주소 DB 서버(1380)와, 자국어인터넷주소 DB 서버(1380)에 접속되어 상기 자국어 인터넷주소 데이터를 등록하는 자국어인터넷주소 등록모듈(1320)과, NLIA DB 서버(1380)에 접속되어, 클라이언트(1390)에 의해 입력된 질의어의 언어를 판별하는 NLIA 처리서버(1340)를 구비한다.
NLIA 처리서버(1340)는 입력된 질의어의 언어 종류를 판별하고 그 언어에 해당하는 자국어인터넷주소 DB 서버로부터 대응되는 URI 또는 URL 형태의 주소를 가져오고, 자국어인터넷주소 DB 서버(1380)는 각 나라의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의 NLIA DB서버와 연동되어 업데이트된다.
실시예1과의 주된 차이점을 설명하면, 실시예1에서는 NLIA 처리서버(도 1의 340)가 입력된 질의어가 자국어인 경우는 NLIA DB 서버(도 1의 380)로부터 이 자국어에 대응되는 URI 또는 URL 형태의 주소를 가져오고, 다른 지역의 언어인 경우는 그 지역의 NLIA 시스템으로부터 그 나라의 언어에 대응되는 URI 또는 URL 형태의 주소를 가져오는 반면, 실시예2에서는 NLIA DB 서버(1380)는 각 나라의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의 NLIA DB서버와 연동되어 업데이트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1390)에 의해 입력된 질의어가 자국어 이든지 다른 나라 언어이든지 관계없이 NLIA DB 서버(1380)에서 처리된다(도 5의 경로 C 참조). 각 언어별 DB의 연동은 실시간 또는 특정시간에 이루어진다.
(실시예3)
이하 첨부된 도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들의 연동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6는 도 3의 연동처리 시스템의 다른 구현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에서는 한국 NLIA 시스템(300)과 동일한 시스템들인 불가리아 NLIA시스템(100), 중국 NLIA시스템(200), 일본 NLIA시스템(400)이 상호 접속되어 있는 반면, 도 6에서는 중계서버(500)를 통해서 상호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중계서버 방식은 전술한 실시예1과 실시예2에 모두 적용가능하다. 중계서버(500)는 언어별 DB를 찾아 검색하도 록 하거나(실시예1), 언어별 DB들을 서로 연동시켜 동기화한다(실시예2).
(실시예4)
이하 첨부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따른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자국어인터넷주소시스템의 블럭도이고, 도 8은 자국어인터넷 시스템들의 연동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들은 중앙 DB 서버(2600)와 연동된다.
중앙 DB 서버(2600)는 언어별로 분리되어 구성된 자국어인터넷주소 데이터를 등록받아 저장하고, 클라이언트(2390)에 의해 입력된 질의어의 언어 종류를 판별하고 그 언어에 해당하는 대응되는 URI 또는 URL 형태의 주소를 NLIA 처리서버(2340)에 전달한다.
실시예2의 NLIA DB 서버(1380)가 각 나라의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의 NLIA DB서버와 연동되어 업데이트되는 반면, 실시예4의 중앙 DB 서버(2600)는 클라이언트(2390)에 의해 입력된 질의어의 언어 종류를 판별하고 그 언어에 해당하는 대응되는 URI 또는 URL 형태의 주소를 내부에 구축된 언어별 DB들을 통해서 검색하여 이 결과를 자국어인터넷주소 처리서버(2340)에 전달한다. 중앙 DB 서버(2600)에 접속된 자국어인터넷서비스 시스템들은 이 결과를 클라이언트(2390)에 응답한다.
중앙 DB 서버(2600)는 나라별로 속도면에서 차이가 있어 이들 나라들에 구축된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으로 질의어에 대한 응답을 받을 경우 경우에 따라 처 리속도가 일정하지 못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어 안정적인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되는 장점도 가진다.
(실시예5)
이하 첨부된 도 9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5에 따른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5에 따른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중앙 DB 서버(2600)는 언어별로 분리되어 구성된 자국어인터넷주소 데이터를 등록받아 저장하고, 각 자국어인터넷시스템들도 자기 지역의 NLIA DB의 복사본을 가지고 있다.
실시예4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면, 실시예5에는 각 자국어인터넷서비스시스템들에 각 언어별DB를 별도로 보유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각 자국어인터넷시스템은 질의어의 언어유형을 판별하고, 자기 지역의 자국어인터넷주소 DB에서 검색하지 못하는 질의어만을 중앙 DB 서버(2600)에 전달한다. 따라서, 각 NLIA 시스템이 각각 통신할 필요 없이 중앙의 서버와 만 통신하면 되므로 처리 속도의 향상 및 관리의 간편화 등을 기대할 수 있다.
(언어별 DB 방식을 이용한 자국어인터넷주소 서비스방법)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국어인터넷주소 서비스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국어인터넷주소 서 비스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자국어인터넷주소 데이터를 등록하여 자국어인터넷주소 DB를 구축한다(S101).
다음으로, 클라이언트를 통해 질의어가 입력되면, 질의어가 영문도메인 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103). 이 단계에서는 질의어는 언어와 지역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언어와 지역정보가 브라우저에서 선택하게 되어 있는 language tag에 의해서 선택될 수 있다(도 4a 및 도 4b 관련 설명 참조). 질의어가 영문도메인인 경우는 DNS 서버에 질의어를 전달하고(S201), DNS서버에서는 클라이언트로 이에 응답하여 IP 주소를 전달한다(S203). 한편, 도메인이 아닌 경우는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에 해당 질의어를 전달한다. 이와 같은 기능은 도 1의 NLIA 네임서버(도1의 360)에서 수행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도 1의 NLIA 클라이언트모듈(도 1의 370)에서 수행하는 것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질의어가 일반적인 도메인이 아닌 경우,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은 자국어인지 다른 지역의 언어 인지를 판단한다(S301). 자국어 인터넷주소 시스템은 예를 들어 한국의 경우 한국어가 자국어 인터넷주소 DB서버에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해당 질의어가 한국어인 경우 자국어로 판단하여 한국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에 질의를 하고 한국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은 이에 응답한다(S401). 한국어가 아닌 일어, 중국어 등의 경우는 다른 지역의 자국어 인터넷주소 시스템에 질의를 한다(S501). 한편, 영어의 경우는 각 지역의 공용어에 해당하므로 자국어 로 간주하여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하나의 언어가 여러개의 지역에서 사용되는 경우의 처리가 문제된다. 즉, 예를 들어 스페인어의 경우, 여러 지역에서 사용된다. 따라서, 검색결과가 여러개인 경우 바로 연결되지 않고 결과들을 나열해서 그 중에서 선택하는 방식을 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4a 및 도 4b에서 도시한 language-tag를 이용하면 편리하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질의어와 함께 지역구분을 의미하는 식별자를 삽입하여 이 식별자를 통해서 해당 지역을 미리 선택할 수도 있다.
한편, 다른 지역의 자국어 인터넷주소 시스템에도 등록되어 있지 않은 질의어에 대한 처리가 문제된다. 이러한 미등록 질의어에 대해서는 i) 미리 지정된 지역의 NLIA DB서버(즉, 자국어인터넷주소시스템)로 질의어를 전달하여 응답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ii) 검색사이트와 연계하여 검색결과를 전송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iii) 각 지역 전체 NLIA DB서버로 부터 유사한 값을 검색하여 알려주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지역별 DB 방식의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
(실시예6)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6에 따른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6에 따른 자국어인터넷시스템들의 연동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자국어인터넷주소 서비스시스템(5300)은 해당지역의 언어 들로 구성된 자국어인터넷주소 데이터의 등록을 처리하는 등록모듈(5320), 등록모듈(5320)로부터 등록된 자국어 언어를 수집하는 NLIA DB서버(5380), 클라이언트(5375)에 의해 입력된 질의어(query)를 레졸루션하는 NLIA 처리서버(5340)를 구비한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1 내지5의 언어별 DB방식의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과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면, 실시예6의 자국어인터넷시스템은 지역별 다수의 언어들로 구성된 DB를 구비한다. 즉, 한국어라고 할지라도 한국지역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 이외의 지역 시스템에도 등록할 수 있게 되고, 각 지역 자국어인터넷주소시스템은 언어의 구별 없이 모든 언어를 등록 받는다.
따라서, 어느 지역의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은 다른 지역의 언어들로 구성된 다른 지역의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과 서로 연동되어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의해 다른 지역의 자국어 인터넷주소 시스템과 통신한다. 다른 지역의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과의 통신은 NLIA 처리서버(5340)를 통하거나(도 11의 경로 A), NLIA DB서버(5380)간의 통신(도 11의 경로 B)을 이용할 수 있다.
지역별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에서는 언어의 구분 없이 서비스 지역을 기준으로 시스템을 분리한다. 그 이유는 하나의 국가에서 2개 이상의 언어를 공용으로 사용하기도 하고, 한 개의 언어가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어지기도 하기 때문이다. 지역별로 분리 운영되는 시스템을 하나의 레지스트리(Registry)로 인정하며, 하나의 지역에 하나의 레지스트리 시스템이 존재 할 수 있으나, 지역이 국가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지역에 따라 분리되어 운영되는 각 레지스트리 시스템의 연동방법은 다음과 같다.
분리 운영되는 레지스트리(Registry) 시스템들은 사용자의 질의어에 따라 NLIA 처리 서버(5340)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NLIA DB서버(5380)로 전달하여 처리하게 되며, 예를 들어 사용자의 질의어에 지정된 구분자와 코드 등을 포함하는 방법으로 특정 지역을 선택한 경우는 자국어인터넷주소 통신 채널(NLIA Communication Channel)을 통해서 처리가 가능한 시스템 및 DB로 데이터를 전달하여 그 결과를 받아서 NLIA 처리서버(5340)로 전달하여 처리한다.
즉, 특정 지역의 선택 없이 일반적인 형식으로 자국어 질의를 할 경우는 지역 레지스트리의 DB서버에서 결과를 찾아 응답하며, 한국에서 중국과 같은 특정 지역을 선택하여 질의할 경우는 한국의 NLIA 시스템이 NLIA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지정된 지역인 중국의 NLIA 시스템으로 요청받은 키워드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요청하고 그 결과를 받아 응답한다. 이 때, 특정 지역의 NLIA 시스템으로부터 전달받은 외부 데이터는 자국어인터넷주소 DB서버에 자동으로 캐시가 되며, 데이터에 포함된 저장시간(TTL, Time-To-Live)동안 저장이 되어서 시스템의 성능의 저하 없이 외부 데이터를 이용하여 타 지역의 서비스를 요청하여도 자국어 키워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자국어인터넷주소는 다양한 인터넷 주소에 활용이 가능하며, 구조적으로 확장 가능한 형태로 구성(자국어e메일주소 처리 적용) 된다. 따라서, 자국어인터넷주 소 시스템은 자국어를 기준으로 다양한 인터넷주소(Naming Space)에 대한 접근 방법으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설계가 되어 있다. 이미 서비스 되고 있는 WWW(World Wide Web) 뿐만 아니라, FTP, TELNET과 같은 인터넷 기반의 서비스와 Telephone, Fax, 개인정보 등과 같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국어아이디@자국어인터넷주소'로 구성된 '@'를 기준으로 오른쪽 부분이 이전의 영문 도메인(정확히 DNS의 MX(Mail eXchange) RR(Resource Record)의 값을 이용하는 부분을 자국어인터넷주소를 사용하는 처리하는 방식이며, 오른쪽 뿐 만 아니라 왼쪽편의 아이디도 자국어로 표현을 하는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다. 이 서비스는 기존의 영문주소를 보다 쉽게 인식을 하고, 검색을 용이하게 한다.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에서는 자국어인터넷주소 처리 서버(3300)를 통해서 자국어인터넷주소와 자국어e메일주소가 같이 처리가 가능하다. 현재는 자국어e메일주소 DB Server를 통해서 서비스를 하고 있으나, MAIL을 위한 LDAP(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을 이용하여도 사용이 가능하다.
데이터를 동기화 하는 방법은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시스템의 가장 마지막 데이터의 시간을 서로 전달하며, 이 마지막 데이터의 시간이 잘못 된 경우, 서로의 마지막 데이터를 전달하여 항상 최신의 정보로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클라이언트(브라우저, 자국어인터넷주소 클라이언트 모듈, MUA) 와 자국어인터넷주소 처리 서버(NLIA Resolution Server)와의 통신 방법은 다음과 같다.
클라이언트로부터 질의어가 입력되면, 질의어는 일반적인 주소 처리 절차에 따라 네임서버로 전달된다. 그러면 네임서버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된 질의어가 도메인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게 되며, 도메인이 아니라 판단하면 지역의 NLIA 시스템으로 질의어를 전달하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NLIA 시스템의 주소를 응답하여 NLIA 시스템으로 질의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클라이언트에 설치된 자국어인터넷주소 클라이언트 모듈이 주소창 등으로부터 입력된 질의어의 형태를 판단하고, 도메인이 아닌 경우 지역의 NLIA 시스템으로 질의어를 전달하여 처리되도록 한다.
만약 자신이 위치한 지역이 아닌 타 지역의 서비스를 원할 경우는 사전에 정의된 특정 구분자와 지역을 나타내는 문자를 함께 입력하는 방법으로 지역을 선택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에 설치된 프로그램에서 지역을 선택하여 처리되도록 할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5390)와 NLIA 처리 서버(5340)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웹브라우저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 뿐만 아니라, 클라이언트의 어플리케이션(Web Browser, 메일클라이언트(Mail User Agent), 인터넷응용프로그램)도 HTTP를 이용하여 Socket통신을 하여 그 결과를 이용한다. 많이 사용되어지고 알려져 있는 HTTP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이유는 HTTP 통신 방법은 많은 시스템에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안정성과 보안 등을 위한 필터링에 걸리는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통신에 사용되는 프로토콜과 방식은 여러 가지가 이용 가능하며,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7)
도 13은 도 12의 연동처리 시스템의 다른 구현을 도시하고 있다. 도 12에서는 불가리아 NLIA 시스템(5300)과 동일한 시스템들인 한국 NLIA시스템(5100), 중국 NLIA시스템(5200), 일본 NLIA시스템(5400)이 상호 접속되어 있는 반면, 도 13에서는 중계서버(5500)를 통해서 상호 접속되어 있다. 각 지역 NLIA시스템들(5100, 5200, 5300, 5400)은 중계서버(500)와 각각 통신한다.
복수의 지역 NLIA 시스템 간에는 서로 연동하여 로밍 서비스를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먼저 지역 시스템의 DB로부터 요청받은 키워드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게 되며, DB로부터 찾지 못한 경우, 지정된 타 지역 시스템의 DB로 검색을 요청하여 해당하는 데이터를 전달받아 서비스한다.
그리고 NLIA 시스템의 DB로부터 해당되는 데이터를 찾지 못한 경우는 제휴된 검색사의 검색결과를 제공하거나 NLIA 시스템의 DB로부터, 유사한 값을 찾아 응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결과를 보다 신속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줄 수 있다.
한국 NLIA시스템(5100), 중국NLIA시스템(5200), 불가리아 NLIA시스템(5300) 및 일본 NLIA시스템(5400) 등 복수의 지역 NLIA 시스템들로 구성된 시스템에서, 타 지역의 시스템에 등록을 원할 경우는 각 지역 시스템을 통해 등록을 행할 수도 있으나, 속한 지역의 시스템에서 타 지역 시스템으로의 등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지역 NLIA 시스템의 등록 시스템은 사용자가 지정한 지역 시스템에 등록 가능 여부를 물어보고 결과를 알려주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지역 시스템에 등록을 요청, 처리하게 된다.
(실시예8)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8에 따른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6300)을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시예6과의 차이점을 위주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면서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8에 따른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63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6300)은 지역별로 분리되어 구성된 자국어인터넷주소 데이터를 등록받아 저장하는 NLIA DB 서버(6380)와, NLIA DB 서버(6380)에 접속되어 상기 자국어 인터넷주소 데이터를 등록하는 등록모듈(6320)와, NLIA DB 서버(6380)에 접속되어, 클라이언트(6390)에 의해 입력된 질의어를 레졸루션하는 NLIA 처리서버(6340)를 구비한다.
실시예6과의 주된 차이점을 설명하면, 실시예6에서는 NLIA 처리서버가 입력된 질의어가 자기 지역인 경우는 NLIA DB 서버로부터 이 자국어에 대응되는 URI 또는 URL 형태의 주소를 가져오고, 다른 지역의 언어인 경우는 그 지역의 NLIA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이에 대응되는 URI 또는 URL 형태의 주소를 가져오는 반면, 실시예7에서는 NLIA DB 서버(6380)는 각 지역의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의 NLIA DB서버와 연동되어 업데이트 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6390)에 의해 입력된 질의어가 어느 지역이든지 관계없이 NLIA DB 서버(6380)에서 처리된다. 각 지역별 DB의 연동은 실시간 또는 특정시간에 이루어진다.
(실시예9)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9에 따른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들의 연동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자국어인터넷주소시스템들(6200,6400,6600)들은 중앙DB서버(6000)와 연동된다.
중앙DB서버(6000)는 지역별로 분리되어 구성된 자국어인터넷주소 데이터를 등록받아 저장하고, 클라이언트에 의해 입력된 질의어가 타 지역의 서비스를 원할 경우 이에 대응되는 URI 또는 URL 형태의 주소를 해당 지역서비스DB에서 검색한 후 질의어가 전달되어 온 지역의 NLIA 시스템으로 이 정보를 전달한다.
자국어인터넷주소 중앙 DB 서버(6000)는 각 지역 NLIA 시스템 DB와 동일한 복사본을 가지고 있으며, 각 지역의 NLIA 시스템이 각각 통신할 필요 없이 중앙의 서버와만 통신하면 되므로 처리 속도의 향상 및 관리의 간편화 등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변형으로서는 각 지역 NLIA 시스템 DB가 중앙 DB(6000)에만 집중되는 방식을 취할 수도 있다(도 16참조).
(실시예10)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10에 따른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들의 연동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지역별 자국어인터넷주소시스템들(6200, 6300, 6400)은 중앙 DB 서버(2600)와 연동된다.
중앙 DB 서버(2600)는 지역별로 분리되어 구성된 자국어인터넷주소 데이터를 등록받아 저장하고, 클라이언트에 의해 입력된 질의어에 대해 그 언어에 해당하는 대응되는 URI 또는 URL 형태의 주소를 자국어인터넷주소 처리서버에 전달한다.
실시예8과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면, 실시예9에서는 중앙 DB 서버(6000)에만 지역별 DB를 보유하고 지역별 자국어인터넷주소시스템들(6200, 6300, 6400)에는 지역별 DB가 구비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술한 각 실시예1 내지 10에 추가로 구비가능하거나 변형 가능한 구성요소들을 차례로 언급한다.
(분산형 중앙DB서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가능한 분산형 중앙 DB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분산형 중앙DB서버는 중앙DB서버가 구비되는 시스템에서는 모두 구현가능하며, 실시예4, 5, 9, 10에 적용가능하다.
도 17을 참조하면,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들(6200,6400,6600)은 다수의 중앙DB서버(6010,6020,6030)와 연동된다. 다수의 자국어인터넷주소 중앙DB서버(6010,6020,6030)는 서로 다른 지역에 위치한 둘이상의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정보 요청 위치로부터 가장 빠른 응답이 빠른 시스템에서 응답 처리되도록 구현된다.
분산된 중앙 DB 서버들(6010,6020,6030)간의 동기화를 위해서는 기준이 되는 서버를 지정할 수 있으며, 기준 서버의 값을 기준으로 다른 복사본 서버에 특정시간 또는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고 동기화 시키게 된다. 또한 데이터의 동기화를 위해, 모든 데이터는 기준 서버로부터 인증을 받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를 위해 각 지역 시스템의 등록 시스템은, 데이터의 추가, 변경시 그 내용을 기준 서 버로 전달한다.
또한 서비스중인 NLIA DB서버(NLIA DB Server)는 재시작을 하거나 데이터를 신규로 받을 때마다 중간에 손실되는 경우를 대비해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자료의 정보를 기준 서버로 전달하여 항상 동기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등록용 중계서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 가능한 등록용 중계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등록용 중계서버는 등록모듈이 구비되는 시스템에서는 모두 구현가능하며, 실시예1 내지 10 모두에 적용가능하다.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에는 등록용 중계 서버(6322)가 추가될 수 있다. 등록용 중계서버(6322)는 언어별 또는 지역별 자국어주소 시스템의 등록모듈이 등록내용을 임시로 저장하였다가 DB에 반영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등록용 중계서버(6322)는 등록 요청사항이 바로 자국어인터넷주소 DB에 전달될 경우 질의어가 폭주하거나, 자국어 DB에 문제가 발생하는 등의 장애시 일정 시간 분리하여 안정 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다. 실시간 또는 특정시간에 일괄적으로 DB에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등록용 중계 서버(6322)가 각 NLIA 시스템과 통신하며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관리를 기대할 수 있다.
등록용 중계서버(6322)는 예를 들어 하나의 NLIA 시스템에서 다른 NLIA 시스템으로 등록하기 위해 다른 NLIA 시스템의 등록모듈에 질의하여 등록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받아 등록의뢰자에게 통보하며 의뢰자의 등록요청이 있을 시 다른 NLIA 서비스 등록시스템으로 요청하여 등록을 수행한다.
(중계서버와 중앙DB서버 구성)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가능한 중계서버와 중앙DB서버 구성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분산형 중앙DB서버는 중앙DB가 구비되는 시스템에서는 모두 구현가능하며, 실시예4, 5, 9, 10에 적용가능하다.
도 19를 참조하면, 각 NLIA 시스템(7200,7400,7600)은, 중앙 DB 서버(7000)와 중계 서버(7100)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중앙 DB서버(7000)은 언어별 또는 지역별 NLIA DB가 모두 저장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지역별 NLIA DB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지역별 NLIA DB인 경우 각 지역별 NLIA 시스템은 타지역 또는 자기 지역의 NLIA DB가 필요한 경우 중앙 DB서버(7000)와의 통신을 통해 검색한 후 그 결과를 전달받는다. 중계서버(7100)는 등록 기능을 수행한다. 등록 이외의 질의어에 대한 검색시는 각 지역 NLIA 시스템은 중계서버(7100)를 거치지 않고 바로 중앙 DB서버(7000)로 접속된다. 예를 들어, 한국NLIA 시스템이 한국지역에서 "삼성"이라는 질의어에 대한 응답을 요청한 경우, 중계서버(7100)를 거치지 않고 바로 중앙 DB서버(7000)에 요청이 이루어지고, 중앙DB서버(7000)는 한국 지역 DB에서 이를 검색하여 한국NLIA시스템으로 그 결과를 전달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하면, 중계서버(7100)는 자국어 등록시 각 지역 자국어 시스템과 연결하여 그에 따른 비용을 산출 과금할 수 있고, 등록업무와 다른 업무 를 분리하여 진행할 수 있게 되어 보다 효율적인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한편, 중앙 DB 서버 및 중계서버 각각은 동일한 내용의 복사본 서버를 여러 지역에 가지는 분산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등록용 중계서버를 이용하여 전체 시스템을 구현할 수도 있다. 분산형 서버에서는 가장 응답이 빠른 지역의 서버로 질의 응답하는 방식으로 동작하게 된다. 한편, 각 지역 시스템은 분산된 중앙 DB 서버, 중계서버, 등록용 중계 서버와의 연결에 애니캐스트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임시저장소)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가능한 임시저장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임시저장소는 중앙DB서버(8600)가 구비되는 시스템에서는 모두 구현가능하며, 실시예4, 5, 9, 10에 적용가능하다.
임시저장소는 일종의 캐쉬메모리로, 중앙 DB 서버(8600)로부터 전달받은 값을 일정기간 임시로 저장하고 있으면서 동일한 요청이 자국어인터넷주소 처리서버(8340)로부터 이루어지면 이 요청에 바로 응답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클라이언트 모듈방식과 서버기반 방식)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 가능한 클라이언트 모듈방식과 서버기반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클라이언트 모듈방식과 서버기반 방식은 실시예1 내지 10 모두에 적용가능하다.
도 21을 참조하면, NLIA 시스템과 접속되는 클라이언트는 서버기반 솔루션 방식으로 동작할 수도 있고, 시스템의 확장과 타 프로토콜의 지원을 위해서 자국어인터넷주소 사용자소프트웨어가 클라이언트에 모듈 형식으로 설치되는 NLIA 클라이언트 모듈(9370)로 동작할 수도 있다.
NLIA 클라이언트 모듈(9370)은 사용자로부터 요청받은 데이터를 영문도메인 네임인지 자국어 네임인지를 판단하여 자국어인 경우 NLIA 처리서버(9340)에 전달하여 그에 대응하는 결과 값을 받아서 클라이언트(9390)에 전달해 준다. NLIA 클라이언트모듈(3370)은 HTTP 형식으로 TCP/IP Socket 통신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버기반 솔루션으로 동작하는 클라이언트(9390)는 사용자로부터 요청받은 질의어를 NLIA 네임서버(9360)에 전달하고, NLIA 네임서버(9360)가 이 질의어가 영문도메인 네임인지 자국어 네임인지를 판단하여 자국어인 경우 NLIA 처리서버(9340)에 전달하는 방식이다.
(지역별 DB 방식을 이용한 자국어인터넷주소 서비스방법)
이하, 도 2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국어인터넷주소 서비스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국어인터넷주소 서비스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자국어인터넷주소 데이터를 등록하여 지역별 자국어인터넷주소 DB를 구축한다(S101).
다음으로, 클라이언트를 통해 질의어가 입력되면, 질의어가 영문 도메인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103). 이 경우, 질의어에는 지역을 나타내는 식별자가 같이 부가될 수 있다. 구체적인 구현방식으로는 예를 들어 "질의어"와 같이 "#82"라는 식별자가 첨부되면 '#'다음의 기호 또는 문자 등은 지역을 의미하는 식별자로 인식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지역, 예를 들어 국가별로 숫자를 부여하고 이 숫자를 질의어 다음에 병기하는 방식으로 지역을 선택하도록 구성한다. 실제 구현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질의어와 식별자를 같이 입력할 수도 있고, 스크롤 형태로 지역 식별자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지역을 선택하고 질의어를 입력하게 하고 프로그램이 이 지역에 해당하는 식별자를 생성하도록(예를 들어 전술한 #82와 같은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삼성#82라는 질의어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경우, #82가 한국이라는 지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미리 지정되어 있다면 어느 지역의 자국어인터넷주소시스템에서도 바로 한국인터넷주소시스템에 접속하여 "삼성"이라는 질의어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질의어가 도메인인 경우는 DNS서버에 질의어를 전달하고(S701), DNS서버에서는 클라이언트로 이에 응답하여 IP 주소를 전달한다(S703). 한편, 도메인이 아닌 경우는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에 해당 질의어를 전달한다.
다음으로, 질의어가 일반적인 도메인이 아닌 경우,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은 자기 지역의 서비스에 대한 요청인지 다른 지역의 서비스에 대한 요청인지를 판단한다(S801). 자국어 인터넷주소 시스템은 예를 들어 한국의 경우 한국어, 영어 등 모든 언어가 자국어 인터넷주소 DB서버에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해당 질의어 가 자기지역의 서비스에 대한 요청으로 판단하는 경우 한국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에 질의를 하고 한국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은 이에 응답한다(S901). 그러나, 입력된 질의어가 다른 지역의 서비스에 대한 요청인 경우 다른 지역의 자국어 인터넷주소 시스템에 질의를 한다(S1001). 자기 지역인지 아닌지의 판단은 자국어에 부가된 지역정보를 이용하는 것이 바림직하다.
한편, 다른 지역의 자국어 인터넷주소 시스템에도 등록되어 있지 않은 질의어에 대한 처리가 문제된다. 이러한 미등록 질의어에 대해서는 i) 미리 지정된 지역의 NLIA DB서버(즉, 자국어인터넷주소시스템)로 질의어를 전달하여 응답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ii) 검색사이트와 연계하여 검색결과를 전송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iii) 각 지역 전체 NLIA DB서버로부터 유사한 값을 검색하여 알려주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은 기존의 LDH(Letter, Digit, Hyphen)로 구성된 계층적 구조의 도메인과 달리, 각 국의 언어로 표현이 가능한 키워드 형태를 이용하여 특정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를 알려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웹, 메일, 전화, 팩스와 같은 정보에 접근 시 자국어를 통해 접근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 시스템은 다양한 언어 및 국가의 데이터를 수용이 가능하며, 해당하는 처리서버들은 도메인의 계층적인 방식으로 Root에서 분배된 방식이 아닌, 서로 동등한 입장에서 데이터를 서로 주고받을 수 있고, 내부적으로 UTF(UCS Transformation Format) 등 Unicode 형식의 문자언어를 사용함으로써, Unicode로 표현이 가능한 전세계의 다양한 문자를 모두 처리 가능한 시스템이다.
또한, 자국어인터넷주소는 다양한 국가 및 언어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나라별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들의 통신을 통해서 해당하는 값을 찾아주는 지능형 검색이 가능한 자국어인터넷주소 서비스를 할 수 있다.
그리고 각 국의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이 자국어 인터넷 주소 통신채널을 이용하여 연동됨으로써 다른 나라에서도 자기나라 자국어 인터넷 주소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8)

  1. 언어 또는 지역별로 자국어인터넷주소에 대하여 URI 또는 URL 형태의 주소를 저장하고 있는 자국어인터넷주소 DB 서버;
    클라이언트로부터 전달된 질의어에 포함된 언어 또는 지역 정보를 확인하는 자국어인터넷주소 처리서버;
    상기 언어 또는 지역별 자국어인터넷주소 DB 서버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DB 서버 테이블; 및
    상기 자국어인터넷주소 DB 서버에 접속되어 상기 자국어인터넷주소 데이터를 등록하는 자국어인터넷주소 등록모듈을 구비하되,
    상기 자국어인터넷주소 처리서버는 질의어로부터 확인한 언어 또는 지역 정보에 따라 해당하는 언어 또는 지역의 상기 자국어인터넷주소 DB 서버로 질의어를 전달하고,
    상기 자국어인터넷주소 DB 서버로부터 질의어에 대응하는 URI 또는 URL 형태의 주소를 수신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로 응답하는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국어인터넷주소 처리서버는 상기 자국어인터넷주소 DB 서버로부터 URI 또는 URL 형태의 주소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가 검색서버로 접속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국어인터넷주소 처리서버와 상기 자국어인터넷주소 DB 서버의 통신을 중간에서 중계하는 기능을 하는 중계서버를 더 포함하는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언어 또는 지역별로 자국어인터넷주소에 대하여 URI 또는 URL 형태의 주소를 저장하고 있는 복수의 상기 자국어인터넷주소 DB 서버들로 구성되는 중앙 DB 서버를 더 포함하는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국어인터넷주소 처리서버는 상기 자국어인터넷주소 DB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로 응답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임시저장소를 더 포함하는 자국어인터넷주소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KR1020070009089A 2004-06-04 2007-01-29 자국어 인터넷주소 시스템 KR1010495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923 2004-06-04
KR20040040923 2004-06-04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47937A Division KR100708813B1 (ko) 2004-06-04 2005-06-03 자국어 인터넷주소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6712A KR20070026712A (ko) 2007-03-08
KR101049534B1 true KR101049534B1 (ko) 2011-07-15

Family

ID=3546306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47937A KR100708813B1 (ko) 2004-06-04 2005-06-03 자국어 인터넷주소 시스템
KR1020070009089A KR101049534B1 (ko) 2004-06-04 2007-01-29 자국어 인터넷주소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47937A KR100708813B1 (ko) 2004-06-04 2005-06-03 자국어 인터넷주소 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80294796A1 (ko)
EP (1) EP1756727A4 (ko)
JP (1) JP4657295B2 (ko)
KR (2) KR100708813B1 (ko)
CN (1) CN1965310A (ko)
BR (1) BRPI0510660A2 (ko)
EA (1) EA011266B1 (ko)
MX (1) MXPA06014130A (ko)
WO (1) WO2005119499A1 (ko)
ZA (1) ZA20061007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46901B2 (en) 2009-01-26 2013-01-01 Apple Inc. Selection of an appropriate online content source based on program information
JP2011123620A (ja) * 2009-12-09 2011-06-23 Canon Inc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1957846B (zh) * 2010-09-19 2012-07-04 优视科技有限公司 移动终端浏览器自动设置页面语言的方法及系统
RU2500024C2 (ru) * 2011-12-27 2013-11-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Центр Инноваций Натальи Касперской"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го определения языка и (или) кодировки текстового документа
KR102017526B1 (ko) * 2012-09-25 2019-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Url 리스트에서 url 주소 검색 방법 및 장치
JP5708608B2 (ja) * 2012-10-04 2015-04-3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ブラウザプログラム
CN103077159B (zh) * 2012-12-31 2016-03-16 广州市动景计算机科技有限公司 网页文本压缩方法和装置
CN106131236A (zh) * 2016-06-29 2016-11-16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数据的获取方法、服务器、客户端及系统
CN106777231B (zh) * 2016-12-26 2020-06-02 北京恒华伟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互联网页面文本配置方法和系统
CN108899016B (zh) * 2018-08-02 2020-09-11 科大讯飞股份有限公司 一种语音文本规整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US10715484B1 (en) * 2019-12-11 2020-07-14 CallFire, Inc. Domain management and synchronization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5390A (ko) * 2001-02-09 2001-05-07 장충엽 인터넷 자연어 주소입력 접속 시스템 및 그것의 방법
KR20030000692A (ko) * 2001-06-26 2003-01-06 (주)넷피아닷컴 키워드 네임을 이용한 유알엘 매핑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4790A (en) * 1996-07-19 1999-08-31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web site having a home page that automatically adapts to user language and customs
IL123129A (en) * 1998-01-30 2010-12-30 Aviv Refuah Www addressing
US6314469B1 (en) * 1999-02-26 2001-11-06 I-Dns.Net International Pte Ltd Multi-language domain name service
US6182148B1 (en) * 1999-03-18 2001-01-30 Walid, Inc. Method and system for internationalizing domain names
AU6646200A (en) * 1999-08-30 2001-03-26 Ying Tuo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non-english characters in domain names and e-mailaddresses
US6298341B1 (en) * 1999-09-22 2001-10-02 Raredomains.Com, Llc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domain names and for facilitating registration and transfer of the same
US6125395A (en) * 1999-10-04 2000-09-26 Piiq.Com, Inc. Method for identifying collections of internet web sites with domain names
KR20010066754A (ko) * 1999-12-30 2001-07-11 전원호 인터넷상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언어로 도메인 이름들을사용하기 위한 시스템
KR100383861B1 (ko) * 2000-01-28 2003-05-12 주식회사 한닉 2바이트 한글 도메인 네임 서버 시스템
JP2001256159A (ja) * 2000-03-08 2001-09-21 Hiroyuki Miyashita フレキシビルdns
KR100338666B1 (ko) 2000-03-31 2002-05-30 이판정 다국어를 이용한 웹 페이지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1095144A1 (en) * 2000-06-07 2001-12-13 Spiral Communications Pte Ltd A method of resolving a non-latin character url
US20020152258A1 (en) * 2000-06-28 2002-10-17 Hongyi Zhou Method and system of intelligent information processing in a network
JP2002063201A (ja) * 2000-08-17 2002-02-28 Nova Asia:Kk コンピュータネットワークを用いた多言語対応情報検索方法及び検索兼翻訳ツールバー
US7020602B1 (en) * 2000-08-21 2006-03-28 Kim Ki S Native language domain name registration and usage
JP2002082854A (ja) * 2000-09-06 2002-03-22 Quick Pack:Kk 非英数字アドレスの使用法
US20020040293A1 (en) * 2000-09-30 2002-04-04 Lee Soo Sung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a web site having an English-based domain name mapped to another language-based domain name by employing a web browser
AU2001296774A1 (en) * 2000-10-09 2002-04-22 Enic Corporation Registering and using multilingual domain names
US20020083029A1 (en) * 2000-10-23 2002-06-27 Chun Won Ho Virtual domain name system using the user's preferred language for the internet
US7113960B2 (en) * 2002-08-22 2006-09-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arch on and search for functions in applications with varying data types
US7451129B2 (en) * 2003-03-31 2008-11-11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referred language ordering of search results
US7451130B2 (en) * 2003-06-16 2008-11-11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referred country biasing of search resul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5390A (ko) * 2001-02-09 2001-05-07 장충엽 인터넷 자연어 주소입력 접속 시스템 및 그것의 방법
KR20030000692A (ko) * 2001-06-26 2003-01-06 (주)넷피아닷컴 키워드 네임을 이용한 유알엘 매핑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56727A4 (en) 2008-04-23
BRPI0510660A2 (pt) 2009-01-27
EA200602184A1 (ru) 2007-04-27
ZA200610072B (en) 2008-06-25
KR100708813B1 (ko) 2007-04-18
CN1965310A (zh) 2007-05-16
KR20070026712A (ko) 2007-03-08
JP2008502202A (ja) 2008-01-24
WO2005119499A1 (en) 2005-12-15
EA011266B1 (ru) 2009-02-27
US20080294796A1 (en) 2008-11-27
JP4657295B2 (ja) 2011-03-23
KR20060048195A (ko) 2006-05-18
EP1756727A1 (en) 2007-02-28
MXPA06014130A (es) 2007-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9534B1 (ko) 자국어 인터넷주소 시스템
JP2002502073A (ja) Wwwアドレス指定
JP2002082856A (ja) ネットワーク上の情報へのアクセス方法及びシステム
CN100473072C (zh) 网络地址服务器
KR100433982B1 (ko) 리얼 네임을 이용한 웹 페이지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06702B1 (ko) 도메인네임서버를 이용한 한글 인터넷컨텐츠주소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24295A (ko) 리얼 네임을 이용한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4110080A (ja) リアルネームによるインターネット上コンピューターネットワーク接続方法及びそのコンピューター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0338666B1 (ko) 다국어를 이용한 웹 페이지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64583B1 (ko) 키워드 네임을 이용한 유알엘 매핑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24296A (ko) 리얼 네임을 이용한 웹 페이지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3521844A (ja) 単一のアドレスストリングを用いてさまざまな通信アプリケーションを横断して通信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RU2002111687A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исполнения услуг для регистрации доменных имен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национальных языков в неанглоязычных странах
KR100464582B1 (ko) 자국어 키워드 네임을 이용한 웹 페이지 접속 시스템 및그 방법
KR20050099943A (ko) 웹 페이지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06853B1 (ko) 다국어 도메인 네임 변환 서버 및 이를 이용하는 변환 방법
KR100732975B1 (ko) 웹 페이지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31003B1 (ko) 리얼 네임을 이용한 웹 페이지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87007B1 (ko) 리얼 네임을 이용한 웹 페이지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95068B1 (ko) 리얼 네임을 이용한 지역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32972B1 (ko) 웹 페이지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24294A (ko) 다국어를 이용한 웹 페이지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45981A (ko) 리얼 네임을 이용한 웹 페이지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75314A (ko) 리얼 네임을 이용한 웹 페이지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24293A (ko) 리얼 네임을 이용한 웹 페이지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