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6853B1 - 다국어 도메인 네임 변환 서버 및 이를 이용하는 변환 방법 - Google Patents

다국어 도메인 네임 변환 서버 및 이를 이용하는 변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6853B1
KR101006853B1 KR1020100043840A KR20100043840A KR101006853B1 KR 101006853 B1 KR101006853 B1 KR 101006853B1 KR 1020100043840 A KR1020100043840 A KR 1020100043840A KR 20100043840 A KR20100043840 A KR 20100043840A KR 101006853 B1 KR101006853 B1 KR 101006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main name
record
punycode
cache memory
uni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3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용완
김윤정
백형종
정의현
Original Assignee
한국인터넷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인터넷진흥원 filed Critical 한국인터넷진흥원
Priority to KR1020100043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68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51Trans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국어 도메인 네임 변환 서버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퓨니코드(Punycode)로 구성된 도메인 네임에 대한 질의 요청을 수락하는 질의 수락수단;상기 질의 수락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퓨니코드로 구성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를 검색하는 캐시(Cache) 메모리; 상기 캐시 메모리로부터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가 검색되지 않은 도메인 네임의 퓨니코드를 유니코드(Unicode)로 변환하여, 이에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를 검색하는 도메인 네임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캐시 메모리와 도메인 네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된 레코드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반환하도록 하기 위한 반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도메인 네임 변환 서버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국어 도메인 변환 방법에 있어서, 질의 수락수단은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퓨니코드(Punycode)로 구성된 도메인 네임에 대한 질의 요청을 수락하는 단계; 캐시 메모리는 질의 수락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퓨니코드로 구성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를 검색하는 단계; 도메인 네임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캐시 메모리로부터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가 검색되지 않은 도메인 네임의 퓨니코드를 유니코드(Unicode)로 변환하여 이에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를 검색하는 단계; 및 반환수단은 상기 캐시 메모리와 도메인 네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된 레코드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반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도메인 변환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다국어 도메인 네임 변환 서버 및 이를 이용하는 변환 방법 {Internationalized Domain Name Conversion server and convert it to use}
본 발명은 다국어 도메인 네임 변환 서버 및 이를 이용하는 변환 방법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전달받은 퓨니코드로 구성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를 검색하는 캐시(Cache) 메모리 및 캐시 메모리로부터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가 검색되지 않은 도메인 네임의 퓨니코드를 유니코드(Unicode)로 변환하여, 이에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를 검색하는 도메인 네임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다국어 도메인 네임 변환 서버 및 이를 이용하는 변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internet)이란 단순히 몇 개의 컴퓨터가 모여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며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컴퓨터들의 네트워크(network)들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거대한 연결망이며, 이러한 인터넷에 연결된 각 컴퓨터들은 서로를 식별하기 위하여 물리적인 주소 즉, IP(internet protocol) 주소가 할당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물리적인 주소는 255를 넘지 않는 숫자들로 이루어진 4개의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예를 들어,134.78.238.99) 클라이언트의 입장에서는 이러한 숫자열을 기억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인터넷에 연결된 특정 컴퓨터로 접속하고자 할 때마다 클라이언트가 이러한 IP 주소를 일일이 기입한다는 것은 대단히 번거로운 일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물리적인 주소를 직접 이용하여 각 컴퓨터에 접속하는 대신에 IP 주소를 기억하기 쉬운 문자열의 조합과 일대일 대응을 시키고, 클라이언트가 문자열을 입력하면 해당되는 IP 주소를 가지는 컴퓨터에 자동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IP 주소 대신에 사용되는 문자들의 조합을 도메인 네임(domain name)이라고 한다.
한편, 최근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웹 호스팅 서비스(webhosting service) 즉, 도메인 네임에 대응하는 실질적인 호스트 컴퓨터를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도메인 네임을 등록 받고자 하는 자에게 자신의 호스트 컴퓨터를 사용하여 등록 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를 이용하여 도메인 네임을 등록한 경우에는, IP 주소에 대하여 도메인 네임이 하나 이상 대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메인 네임이란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의 인터넷 상에서의 주소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그 컴퓨터의 특성 또는 지리적 위치 등을 표시하는 식별자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전자 메일(e-mail)의 주소인 "james@ABC.co.kr" 중에서 " ABC.co.kr" 이 실질적인 도메인 네임이 되며, IP 주소 체계인 URL(uniform resource location)인 " http://www.ABC.co.kr" 중에서 " ABC.co.kr" 이 실질적인 도메인 네임이 된다. 그리고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에 제공되는 다양한 정보의 주소를 나타내는 URL 예를 들어, " " http//www.internic.net/index.html" 에서는 " internic.net" 이 도메인 네임이 되고, " index.html" 은 해당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디렉토리를 포함하는 파일 네임이 된다.
따라서, 각 컴퓨터의 IP 주소 대신에 도메인 네임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각 컴퓨터의 IP 주소와 도메인 네임을 대응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별도의 장치가 요구되며, 이러한 요구에 따라 인터넷에 연결된 각 컴퓨터는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 즉, 도메인 네임 서버(domain name server, 일명 " DNS" )와 연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가 인터넷의 특정 컴퓨터로 접속하기 위하여 해당 컴퓨터의 도메인 네임 예를 들어 " def.co.kr"에 대한 IP 주소 확인을 설정된 도메인 네임 서버로 요청하면, 도메인 네임 서버는 IP 주소를 관장하는 등록 기관의 서버로 입력되는 도메인 네임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문의하고, 등록 기관의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IP 주소를 클라이언트로 리턴시키며,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는 해당 IP 주소를 가지는 컴퓨터로 접속된다.
위에 기술한 바와 같이, 인터넷 상의 특정 컴퓨터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해당 도메인 네임을 알아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도메인 네임은 일정한 규칙에 따라 만들어진 영문 문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한국 또는 일본, 중국 등 비영어권 국가의 국민들은 영어권 국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도메인 네임을 외우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비영어권 국가의 국민들도 편리하게 인터넷을 이용하기 위하여, 자국의 언어로 이루어진 도메인 네임을 사용하여 웹 페이지를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으나, 비영어권 언어들을 구별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제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전달받은 퓨니코드로 구성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를 캐시 메모리 또는 도메인 네임 데이터베이스로 검색함으로써, 기존의 영문으로 이루어진 도메인 네임 등의 URL 이외에 다른 언어로 이루어진 도메인 네임을 이용하여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으므로, 각국의 사용자들이 특정 웹 페이지의 영문 도메인 네임을 일일이 기억할 필요가 없는 다국어 도메인 네임 변환 서버 및 이를 이용하는 변환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어가 아닌 다른 언어로 이루어진 도메인 네임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해당 언어가 어느 나라 언어인지를 판별할 수 있으므로, 각 언어별로 해당 도메인 네임을 처리하도록 하여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클라이언트를 접속하고자 하는 웹 페이지로 연결시킬 수 있는 다국어 도메인 네임 변환 서버 및 이를 이용하는 변환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퓨니코드와 유니코드 변환이 도메인 네임 서버 내에서 수행됨으로써, 별도로 서버 관리자가 퓨니코드를 다룰 필요가 없어 관리자가 용이하게 서버를 관리할 수 있는 다국어 도메인 네임 변환 서버 및 이를 이용하는 변환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메인 네임에 대한 질의 요청 시, 도메인 네임 데이터베이스 검색 전에 캐시 메모리에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 유무를 미리 검색함으로써,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는 다국어 도메인 네임 변환 서버 및 이를 이용하는 변환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국어 도메인 네임 변환 서버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퓨니코드(Punycode)로 구성된 도메인 네임에 대한 질의 요청을 수락하는 질의 수락수단; 상기 질의 수락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퓨니코드로 구성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를 검색하는 캐시(Cache) 메모리; 상기 캐시 메모리로부터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가 검색되지 않은 도메인 네임의 퓨니코드를 유니코드(Unicode)로 변환하여, 이에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를 검색하는 도메인 네임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캐시 메모리와 도메인 네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된 레코드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반환하도록 하기 위한 반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도메인 네임 변환 서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때, 상기 캐시 메모리는,
상기 질의 수락수단으로부터 도메인 네임을 전달받는 제 1 수신부; 퓨니코드로 구성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도메인 관련 레코드가 미리 저장된 제 1 레코드 저장부; 및 상기 제 1 수신부에 의해 전달받은 도메인 네임과 상기 제 1 레코드 저장부에 저장된 도메인 관련 레코드를 비교 검색하는 제 1 레코드 검색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시 메모리는, 상기 제 1 레코드 검색부로부터 검색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를 상기 반환수단으로 전달하는 제 1 송신부; 및 상기 제 1 레코드 검색부로부터 검색되지 않은 도메인 네임의 퓨니코드를 도메인 네임 데이터베이스로 전달하는 제 2 송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메인 네임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캐시 메모리로부터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가 검색되지 않은 도메인 네임의 퓨니코드를 전달받는 제 2 수신부; 상기 제 2 수신부에 의해 전달받은 상기 도메인 네임의 퓨니코드를 유니코드로 변환하는 코드 변환부; 상기 유니코드로 구성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가 미리 저장된 제 2 레코드 저장부; 및 상기 코드 변환부로부터 유니코드로 변환된 도메인 네임과 상기 제 2 레코드 저장부에 저장된 관련 레코드를 비교 검색하는 제 2 레코드 검색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메인 네임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제 2 레코드 검색부로부터 검색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를 상기 반환수단으로 전달하는 제 3 송신부; 및 상기 도메인 네임 데이터베이스는 유니코드로 검색이 성공한 도메인 네임을 다시 퓨니코드로 재변환하여 이를 상기 캐시 메모리로 전달하는 제 4 송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국어 도메인 네임 서버를 이용하여 도메인 네임 변환 방법에 있어서, 질의 수락수단은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퓨니코드(Punycode)로 구성된 도메인 네임에 대한 질의 요청을 수락하는 단계; 캐시 메모리는 질의 수락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퓨니코드로 구성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를 검색하는 단계; 도메인 네임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캐시 메모리로부터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가 검색되지 않은 도메인 네임의 퓨니코드를 유니코드(Unicode)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도메인 네임 데이터 베이스는 유니코드로 변환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를 검색하는 단계; 및 반환수단은 상기 캐시 메모리와 도메인 네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된 레코드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반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도메인 네임 변환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퓨니코드로 구성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를 검색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캐시 메모리는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어 검색된 관련 레코드는 상기 반환수단으로 전달하고, 검색되지 않은 도메인 네임은 상기 도메인 네임 데이터 베이스로 전달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니코드로 변환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를 검색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도메인 네임 데이터베이스는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어 검색된 관련 레코드는 상기 반환수단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니코드로 변환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를 검색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도메인 네임 데이터베이스는 유니코드로 검색이 성공한 도메인 네임을 다시 퓨니코드로 재변환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니코드로 검색이 성공한 도메인 네임을 다시 퓨니코드로 재변환하는 단계 이후에,상기 도메인 네임 데이터베이스는 재변환된 퓨니코드를 상기 캐시 메모리로 전달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국어 도메인 네임 변환 서버 및 이를 이용하는 변환 방법은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전달받은 퓨니코드로 구성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를 캐시 메모리 또는 도메인 네임 데이터베이스로 검색함으로써, 기존의 영문으로 이루어진 도메인 네임 등의 URL 이외에 다른 언어로 이루어진 도메인 네임을 이용하여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으므로, 각국의 사용자들이 특정 웹 페이지의 영문 도메인 네임을 일일이 기억할 필요가 없으며,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클라이언트를 접속하고자 하는 웹 페이지로 연결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퓨니코드와 유니코드 변환이 도메인 네임 변환 서버 내에서 수행됨으로써, 별도로 서버 관리자가 퓨니코드를 다룰 필요가 없어 관리자가 용이하게 서버를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메인 네임에 대한 질의 요청 시, 도메인 네임 데이터베이스 검색 전에 캐시 메모리에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 유무를 미리 검색함으로써,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국어 도메인 네임 변환 서버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국어 도메인 네임 변환 서버에 채용되는 캐시 메모리 및 도메인 네임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개략적인 세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국어 도메인 변환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국어 도메인 변환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국어 도메인 네임 변환 서버 및 이를 이용하는 변환 방법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다국어 도메인 네임 변환 서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국어 도메인 네임 변환 서버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국어 도메인 네임 변환 서버에 채용되는 캐시 메모리 및 도메인 네임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개략적인 세부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국어 도메인 네임 변환 서버(100)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5)로부터 퓨니코드(Punycode)로 구성된 도메인 네임에 대한 질의 요청을 수락하는 질의 수락수단(110), 상기 질의 수락수단(110)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퓨니코드로 구성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를 검색하는 캐시(Cache) 메모리(120), 상기 캐시 메모리(120)로부터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가 검색되지 않은 도메인 네임의 퓨니코드를 유니코드(Unicode)로 변환하여, 이에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를 검색하는 도메인 네임 데이터베이스(130), 및 상기 캐시 메모리(120)와 도메인 네임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검색된 레코드를 상기클라이언트 단말(105)로 반환하도록 하기 위한 반환수단(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5)은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접속하고자 하는 웹 페이지에 해당하는 접속어를 제공한다. 즉, 상기 클라이언트는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브라우저를 구동하기 이전에 인터넷 접속 환경 설정 프로그램 등을 실행시켜 IP 주소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 상기 다국어 도메인 네임 변환 서버(100)를 설정한다.
그리고 여기서는 상기 클라이언트로서 컴퓨터가 이용되었으나, 이외에도 인터넷과 연결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인터넷 접속 기능을 갖는 TV 등의 다른 통신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국어 도메인 네임 변환 서버(1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질의 수락수단(110)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5)로부터 퓨니코드로 구성된 도메인 네임에 대한 질의 요청을 수락한다. 이때, 상기 퓨니코드는 유니코드로 표현된 다국어 언어코드를 아스키(ASCII) 문자열로 변환하는데 사용되는 표준 부호화 방식을 말한다.
이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퓨니코드는 기존의 도메인 네임 서비스 체계를 변경시키지 않고 다국어 도메인 네임을 지원하기 위하여 생성된 것으로, 유니코드로 이루어진 한글 도메인 및 한글 키워드를 아스키 문자열로 변환하는 부호화 방식을 말한다. 즉, 상기 퓨니코드는 유니코드 문자열을 호스트 이름에서 허용된 문자만으로 인코딩하는 방식이다.
상기 퓨니코드로 변환된 다국어 도메인 네임의 레이블은 "xn--"으로 시작되는데 예를 들면 한글 키워드 "한글"은 "xn--bj0bj06e"로 변환되고, 한글 도메인 "한글.kr"은 "xn--bj0bj06e.kr"로 각각 변환된다.
즉, 한글 도메인인 경우에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5)의 웹 브라우저를 통해 "한글.kr"을 입력하더라도 네트워크 주소의 검색을 위해 다국어 도메인 네임 변환 서버(100)의 상기 질의 수락수단(110)으로 전달되는 질의 요청에는 그에 대한 퓨니코드 "xn--bj0bj06e.kr"이 포함된다.
상기 캐시 메모리(120)는 상기 질의 수락수단(110)으로부터 상기 퓨니코드로 구성된 도메인 네임을 전달받는다. 그리고 상기 캐시 메모리(120)는 상기 퓨니코드로 구성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를 검색한다. 이때, 상기 캐시 메모리(120)는 속도가 빠른 처리 장치와 속도가 느린 기억장치 사이에서 속도의 차이를 보완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고속 메모리(120) 장치이다.
상기 캐시 메모리(120)는 제 1 수신부(121), 제 1 레코드 저장부(123), 제 1 레코드 검색부(125), 제 1 송신부(127a), 제 2 송신부(127b)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수신부(121)는 상기 질의 수락수단(110)으로부터 도메인 네임을 전달받을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수신부(121)는 상기 질의 수락수단(110)과 상기 캐시 메모리(120) 사이에서 연결자의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 레코드 저장부(123)는 상기 퓨니코드로 구성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도메인 관련 레코드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이때, 상기 레코드는 리소스 레코드로 도메인 네임 서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정보의 최소 단위이다.
상기 제 1 레코드 검색부(125)는 상기 제 1 수신부(121)에 의해 전달받은 도메인 네임과 상기 제 1 레코드 저장부(123)에 저장된 도메인 관련 레코드를 비교 검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레코드 검색부(125)는 상기 퓨니코드로 구성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를 검색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송신부(127a)는 상기 제 1 레코드 검색부(125)로부터 검색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를 상기 반환수단(140)으로 전달한다. 상기 제 2 송신부(127b)는 상기 제 1 레코드 검색부(125)로부터 검색되지 않은 도메인 네임의 퓨니코드를 도메인 네임 데이터베이스(130)로 전달한다.
상기 도메인 네임 데이터베이스(130)는 상기 캐시 메모리(120)로부터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가 검색되지 않은 도메인 네임의 퓨니코드를 전달받는다. 그리고 상기 도메인 네임 데이터베이스(130)는 상기 퓨니코드를 유니코드로 변환하여, 이에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를 검색한다. 즉, 상기 도메인 네임 데이터베이스(130)는 상기 캐시 메모리(120)에서 검색되지 않은 도메인 네임을 2차적으로 검색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유니코드는 컴퓨터에서 세계 각국의 언어를 통일된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게 제안된 국제적인 문자 코드 방식을 말한다. 상기 유니코드는 데이터의 교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문자 1개에 부여되는 값을 16비트로 통일하였다. 코드의 1문자당 영어는 7비트, 비영어는 8비트, 한글이나 일본어는 16비트의 값을 지니는데, 이를 모두 16비트로 통일하였다.
상기 도메인 네임 데이터베이스(130)는 제 2 수신부(131), 코드 변환부(132), 제 2 레코드 저장부(133), 제 2 레코드 검색부(135), 제 3 송신부(137a), 제 4 송신부(137b)로 구성된다.
상기 제 2 수신부(131)는 상기 캐시 메모리(120)로부터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가 검색되지 않은 도메인 네임의 퓨니코드를 전달받는다. 즉, 상기 제 2 수신부(131)는 상기 캐시 메모리(120)와 상기 도메인 네임 데이터 베이스 사이에서 연결자의 역할을 한다. 상기 코드 변환부(132)는 상기 제 2 수신부(131)에 의해 전달받은 상기 도메인 네임의 퓨니코드를 유니코드로 변환한다. 상기 제 2 레코드 저장부(133)는 상기 유니코드로 구성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상기 제 2 레코드 검색부(135)는 상기 코드 변환부(132)로부터 유니코드로 변환된 도메인 네임과 상기 제 2 레코드 저장부(133)에 저장된 관련 레코드를 비교 검색한다. 즉, 상기 제 2 레코드 검색부(135)는 상기 유니코드로 구성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를 검색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 3 송신부(137a)는 상기 제 2 레코드 검색부(135)로부터 검색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를 상기 반환수단(140)으로 전달한다. 상기 제 4 송신부(137b)는 유니코드로 검색이 성공한 도메인 네임을 다시 퓨니코드로 재변환하여 이를 상기 캐시 메모리(120)로 전달한다. 즉, 상기 제 4 송신부(137b)는 퓨니코드로 재변환된 도메인 네임을 상기 캐시 메모리(120)의 제 1 레코드 저장부(125)에 전달하여 저장되도록 한다.
상기 반환수단(140)은 상기 캐시 메모리(120)와 도메인 네임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검색된 레코드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5)로 반환시킨다. 즉, 상기 반환수단(140)은 상기 레코드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5)로 반환하여, 클라이언트가 접속하고자 하는 웹 페이지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다국어 도메인 네임 변환 서버를 이용하는 변환 방법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국어 도메인 변환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국어 도메인 변환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국어 도메인 변환 방법은 앞서 설명한 도 1 및 2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다국어 도메인 네임 변환 서버(100) 즉, 클라이언트 단말(105)로부터 퓨니코드로 구성된 도메인 네임에 대한 질의 요청을 수락하는 질의 수락수단(110), 상기 질의 수락수단(110)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퓨니코드로 구성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를 검색하는 캐시(Cache) 메모리(120), 상기 캐시 메모리(120)로부터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가 검색되지 않은 도메인 네임의 퓨니코드를 유니코드로 변환하여, 이에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를 검색하는 도메인 네임 데이터베이스(130) 및 상기 캐시 메모리(120)와 도메인 네임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검색된 레코드를 상기클라이언트 단말(105)로 반환하도록 하기 위한 반환수단(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국어 도메인 네임 변환 서버(100)를 이용하여 변환하는 방법으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5)로부터 퓨니코드로 구성된 도메인 네임에 대한 질의 요청을 수락한다.(S100) 이는 상기 질의 수락수단(11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5)로부터 "한글.kr"에 대한 퓨니코드 "xn--bj0bj06e.kr"에 대한 질의가 요청된다고 가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퓨니코드로 구성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를 검색한다.(S110) 이는 상기 캐시 메모리(12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캐시 메모리(120)는 상기 질의 수락수단(110)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퓨니코드로 구성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를 검색한다.
그 다음으로, 상기 캐시 메모리(120)는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어 검색된 관련 레코드는 상기 반환수단(140)으로 전달(S115)하고, 검색되지 않은 도메인 네임은 상기 도메인 네임 데이터 베이스(S113)로 전달한다.
다음으로 관련 레코드가 검색되지 않은 도메인 네임의 퓨니코드를 유니코드로 변환하여 이에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를 검색한다.(S120) 이는 도메인 네임 데이터베이스(13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도메인 네임 데이터베이스(130)는 상기 캐시 메모리(120)로부터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가 검색되지 않은 도메인 네임의 퓨니코드를 유니코드로 변환하여, 이에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를 검색한다.
그 다음으로, 상기 도메인 네임 데이터베이스(130)는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어 검색된 관련 레코드는 상기 반환수단(140)으로 전달한다,(S123) 그리고 상기 도메인 네임 데이터베이스(130)는 유니코드로 검색이 성공한 도메인 네임을 다시 퓨니코드로 재변환하고 이를 상기 캐시 메모리(120)로 전달한다.(S125)
마지막으로 검색된 레코드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5)로 반환한다.(S130) 이는 상기 반환수단(14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반환수단(140)은 상기 캐시 메모리(120)와 도메인 네임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검색된 레코드를 상기클라이언트 단말(105)로 반환시킨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다국어 도메인 네임 변환 서버(100) 및 이를 이용하는 변환 방법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5)로부터 전달받은 퓨니코드로 구성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를 상기 캐시 메모리(120) 또는 도메인 네임 데이터베이스(130)로 검색함으로써, 기존의 영문으로 이루어진 도메인 네임 등의 URL 이외에 다른 언어로 이루어진 도메인 네임을 이용하여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으므로, 각국의 사용자들이 특정 웹 페이지의 영문 도메인 네임을 일일이 기억할 필요가 없으며,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클라이언트를 접속하고자 하는 웹 페이지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퓨니코드와 유니코드 변환이 도메인 네임 변환 서버(100) 내에서 수행됨으로써, 별도로 서버 관리자가 퓨니코드를 다룰 필요가 없어 관리자가 용이하게 서버를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메인 네임 데이터베이스(130) 검색 전에 상기 캐시 메모리(120)에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 유무를 미리 검색함으로써,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경 및 개량 형태 또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도메인 네임 변환 서버
105 : 클라이언트 단말 110 : 캐시 메모리
120 : 도메인 네임 데이터베이스 140 : 반환수단

Claims (10)

  1. 다국어 도메인 네임 변환 서버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퓨니코드(Punycode)로 구성된 도메인 네임에 대한 질의 요청을 수락하는 질의 수락수단;
    상기 질의 수락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퓨니코드로 구성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를 검색하는 캐시(Cache) 메모리;
    상기 캐시 메모리로부터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가 검색되지 않은 도메인 네임의 퓨니코드를 유니코드(Unicode)로 변환하여, 이에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를 검색하는 도메인 네임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캐시 메모리와 도메인 네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된 레코드를 상기클라이언트 단말로 반환하도록 하기 위한 반환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도메인 네임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캐시 메모리로부터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가 검색되지 않은 도메인 네임의 퓨니코드를 전달받는 제 2 수신부;
    상기 제 2 수신부에 의해 전달받은 상기 도메인 네임의 퓨니코드를 유니코드로 변환하는 코드 변환부;
    유니코드로 구성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가 미리 저장된 제 2 레코드 저장부; 및
    상기 코드 변환부로부터 유니코드로 변환된 도메인 네임과 상기 제 2 레코드 저장부에 저장된 관련 레코드를 비교 검색하는 제 2 레코드 검색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도메인 네임 변환 서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시 메모리는,
    상기 질의 수락수단으로부터 도메인 네임을 전달받는 제 1 수신부;
    퓨니코드로 구성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도메인 관련 레코드가 미리 저장된 제 1 레코드 저장부; 및
    상기 제 1 수신부에 의해 전달받은 도메인 네임과 상기 제 1 레코드 저장부에 저장된 도메인 관련 레코드를 비교 검색하는 제 1 레코드 검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도메인 네임 변환 서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캐시 메모리는,
    상기 제 1 레코드 검색부로부터 검색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를 상기 반환수단으로 전달하는 제 1 송신부; 및
    상기 제 1 레코드 검색부로부터 검색되지 않은 도메인 네임의 퓨니코드를 도메인 네임 데이터베이스로 전달하는 제 2 송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도메인 네임 변환 서버.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메인 네임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제 2 레코드 검색부로부터 검색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를 상기 반환수단으로 전달하는 제 3 송신부; 및
    상기 도메인 네임 데이터베이스는 유니코드로 검색이 성공한 도메인 네임을 다시 퓨니코드로 재변환하여 이를 상기 캐시 메모리로 전달하는 제 4 송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도메인 네임 변환 서버.
  6. 다국어 도메인 네임 서버를 이용하여 도메인 네임 변환 방법에 있어서,
    질의 수락수단은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퓨니코드(Punycode)로 구성된 도메인 네임에 대한 질의 요청을 수락하는 단계;
    캐시 메모리는 질의 수락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퓨니코드로 구성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를 검색하는 단계;
    도메인 네임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캐시 메모리로부터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가 검색되지 않은 도메인 네임의 퓨니코드를 유니코드(Unicode)로 변환하여 이에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를 검색하는 단계; 및
    반환수단은 상기 캐시 메모리와 도메인 네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된 레코드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반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도메인 네임 변환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퓨니코드로 구성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를 검색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캐시 메모리는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어 검색된 관련 레코드는 상기 반환수단으로 전달하고, 검색되지 않은 도메인 네임은 상기 도메인 네임 데이터 베이스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도메인 네임 변환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코드로 변환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를 검색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도메인 네임 데이터베이스는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어 검색된 관련 레코드는 상기 반환수단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도메인 네임 변환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코드로 변환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관련 레코드를 검색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도메인 네임 데이터베이스는 유니코드로 검색이 성공한 도메인 네임을 다시 퓨니코드로 재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도메인 네임 변환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코드로 검색이 성공한 도메인 네임을 다시 퓨니코드로 재변환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도메인 네임 데이터베이스는 재변환된 퓨니코드를 상기 캐시 메모리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도메인 네임 변환 방법.
KR1020100043840A 2010-05-11 2010-05-11 다국어 도메인 네임 변환 서버 및 이를 이용하는 변환 방법 KR101006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840A KR101006853B1 (ko) 2010-05-11 2010-05-11 다국어 도메인 네임 변환 서버 및 이를 이용하는 변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840A KR101006853B1 (ko) 2010-05-11 2010-05-11 다국어 도메인 네임 변환 서버 및 이를 이용하는 변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6853B1 true KR101006853B1 (ko) 2011-01-07

Family

ID=43615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3840A KR101006853B1 (ko) 2010-05-11 2010-05-11 다국어 도메인 네임 변환 서버 및 이를 이용하는 변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68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42838A1 (en) * 2015-05-21 2016-11-24 Umm Al-Qura University Method and system for converting punycode text to ascii/unicode tex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44791A1 (en) 2001-05-22 2004-03-04 Pouzzner Daniel G. Internationalized domain name system with iterative conversion
KR20080025273A (ko) * 2006-09-15 2008-03-20 조관현 도메인 네임서버(dns)를 기반으로 한 키워드 인터넷접속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44791A1 (en) 2001-05-22 2004-03-04 Pouzzner Daniel G. Internationalized domain name system with iterative conversion
KR20080025273A (ko) * 2006-09-15 2008-03-20 조관현 도메인 네임서버(dns)를 기반으로 한 키워드 인터넷접속 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42838A1 (en) * 2015-05-21 2016-11-24 Umm Al-Qura University Method and system for converting punycode text to ascii/unicode text
US9779066B2 (en) * 2015-05-21 2017-10-03 Umm Al-Qura University Method and system for converting punycode text to ASCII/unicode tex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45578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обеспечения доступа к информации в сет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функций псевдонима сообщения, имеющей теневые функции обратного вызова
US964610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content provider-specified URL keyword navigation
CA2319750C (en) Www addressing
US567804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script access to entries in a directory
JP5236662B2 (ja) ウェブサイト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ウェブサイトナビゲーション方法
KR101049534B1 (ko) 자국어 인터넷주소 시스템
JP2002082856A (ja) ネットワーク上の情報へのアクセス方法及びシステム
KR100463208B1 (ko) 로컬 네임 서버 중심의 내부 도메인 시스템 구현 방법
KR100385083B1 (ko) 리얼네임에 의한 인터넷상 컴퓨터 네트워크 접속방법 및 그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
JP2004110080A (ja) リアルネームによるインターネット上コンピューターネットワーク接続方法及びそのコンピューター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1006853B1 (ko) 다국어 도메인 네임 변환 서버 및 이를 이용하는 변환 방법
KR100338666B1 (ko) 다국어를 이용한 웹 페이지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36115B1 (ko) 하부 도메인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464583B1 (ko) 키워드 네임을 이용한 유알엘 매핑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16302B1 (ko) 인터넷 주소의 오타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10075446A (ko) 대안의 인터넷 리소스 식별자 및 주소를 위한 방법 및시스템
KR100464582B1 (ko) 자국어 키워드 네임을 이용한 웹 페이지 접속 시스템 및그 방법
KR20050099943A (ko) 웹 페이지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32972B1 (ko) 웹 페이지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68338B1 (ko) 이메일 주소를 이용한 타겟 웹페이지 접속방법
KR100732975B1 (ko) 웹 페이지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24294A (ko) 다국어를 이용한 웹 페이지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1095144A1 (en) A method of resolving a non-latin character url
JP2002163177A (ja) Url検索システムおよびurl検索装置ならびにurl検索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