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9191B1 - 후시공이 가능한 인서트 - Google Patents

후시공이 가능한 인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9191B1
KR101049191B1 KR1020100108820A KR20100108820A KR101049191B1 KR 101049191 B1 KR101049191 B1 KR 101049191B1 KR 1020100108820 A KR1020100108820 A KR 1020100108820A KR 20100108820 A KR20100108820 A KR 20100108820A KR 101049191 B1 KR101049191 B1 KR 101049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groove
coupled
formwork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8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동석
Original Assignee
허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동석 filed Critical 허동석
Priority to KR1020100108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9191B1/ko
Priority to PCT/KR2011/005044 priority patent/WO201206053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9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9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14Elements with sockets
    • E04B1/4121Elements with sockets with internal threads or non-adjustable captive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시공이 가능한 인서트에 관한 것으로, 외측으로 걸림턱과 수나사형태의 제1돌기가 형성되고 내측으로 암나사형태의 제1홈이 형성된 커플링과, 상기 커플링의 내측으로 결합되며 외측으로 제1홈과 대응되는 제2돌기와 수밀홈과 상기 수밀홈에 결합되는 수밀부재를 형성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일측으로 결합축이 형성되고 타측으로 밀착부와 손잡이가 형성된 볼트손잡이와, 내측으로 상기 볼트손잡이의 결합축이 결합되는 삽입홈과 나사홈이 형성되며, 외측으로 쐐기와 회전방지부가 형성된 앵커고정부와, 상기 커플링에 결합되되 내측으로 제1돌기와 대응되는 암나사형태의 제2홈이 형성되고 외측으로 손잡이턱을 형성한 보조고정장치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앵커볼트를 건축구조물에 설치하기 위해 거푸집을 설치한 후에도 거푸집에 인서트 등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거푸집에 결합되는 커플링에 보조고정장치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보조고정장치에 의해 커플링이 거푸집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커플링이 거푸집에서 헛돌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후시공이 가능한 인서트{A insert for after the construction possible}
본 발명은 후시공이 가능한 인서트에 관한 것으로, 건축구조물에 앵커볼트를 고정하기 위해 거푸집 등에 설치하는 인서트를 거푸집을 설치한 후에도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인서트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거푸집의 내측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인서트를 통해 외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한 후시공이 가능한 인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구조물에 앵커볼트 등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거푸집에 앵커볼트가 결합되는 인서트볼트와 상기 인서트볼트가 거푸집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장치를 거푸집이 설치되기 전에 못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킨 후, 상기 고정장치에 인서트볼트를 결합하여 사용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거푸집을 설치하기 전에 거푸집에 인서트볼트가 설치되는 지점을 계산하여 작업자가 일일이 거푸집에 설치해야 했으며, 거푸집을 설치한 후에는 인서트볼트 등을 설치하지 못하여 인서트볼트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거푸집을 다시 철거하거나 콘크리트 구조물에 인서트볼트가 삽입되도록 임의의 위치에 홈을 타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출원인의 특허출원번호 제10-2010-0082658호와 같이 거푸집을 설치한 후에도 인서트볼트를 결합할 수 있도록 사용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거푸집을 설치한 후에도 인서트볼트를 삽입할 수 있었지만, 거푸집과 인서트볼트의 사이로 콘크리트가 흘러나왔으며 거푸집에 커플링이 제대로 고정되지 않아 커플링이나 볼트결합부가 헛돌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후시공이 가능한 인서트는 외측으로 걸림턱과 수나사형태의 제1돌기가 형성되고 내측으로 암나사형태의 제1홈이 형성된 커플링과, 상기 커플링의 내측으로 결합되며 외측으로 제1홈과 대응되는 제2돌기와 수밀홈과 상기 수밀홈에 결합되는 수밀부재를 형성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일측으로 결합축이 형성되고 타측으로 밀착부와 손잡이가 형성된 볼트손잡이와, 내측으로 상기 볼트손잡이의 결합축이 결합되는 삽입홈과 나사홈이 형성되며, 외측으로 쐐기와 회전방지부가 형성된 앵커고정부와, 상기 커플링에 결합되되 내측으로 제1돌기와 대응되는 암나사형태의 제2홈이 형성되고 외측으로 손잡이턱을 형성한 보조고정장치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앵커볼트를 건축구조물에 설치하기 위해 거푸집을 설치한 후에도 거푸집에 인서트 등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거푸집에 결합되는 커플링에 보조고정장치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보조고정장치에 의해 커플링이 거푸집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커플링이 거푸집에서 헛돌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커플링에 결합되는 볼트손잡이에 수밀홈과 수밀부재를 결합하여 커플링으로 콘크리트가 누수되지 않도록 하고, 콘크리트에 타설되는 앵커고정부가 콘크리트에 견고히 고정되어 콘크리트의 내측에서 앵커고정부가 헛돌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후시공이 가능한 인서트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후시공이 가능한 인서트의 결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인 후시공이 가능한 인서트의 단면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후시공이 가능한 인서트(50)는 도 1 내지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10), 볼트손잡이(20), 앵커고정부(30), 보조고정장치(4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커플링(10)은 외측으로 걸림턱(11)과 수나사형태의 제1돌기(12)가 형성되고 내측으로 암나사형태의 제1홈(1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턱(11)에는 고정홈(14)이 형성된 고정돌기(15)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볼트손잡이(20)는 상기 커플링(10)의 내측으로 결합되며 외측으로 제1홈(13)과 대응되는 제2돌기(21)와 수밀홈(22)과 상기 수밀홈(22)에 결합되는 수밀부재(23)를 형성한 결합부(24)와 상기 결합부(24)의 일측으로 결합축(25)이 형성되고 타측으로 밀착부(26)와 손잡이(27)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앵커고정부(30)는 내측으로 상기 볼트손잡이(20)의 결합축(25)이 결합되는 삽입홈(31)과 나사홈(32)이 형성되며, 외측으로 쐐기(33)와 회전방지부(34)가 형성된다.
덧붙여, 상기 보조고정장치(40)는 상기 커플링(10)에 결합되되 내측으로 제1돌기(12)와 대응되는 암나사형태의 제2홈(41)이 형성되고 외측으로 손잡이턱(42)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거푸집(도면에 미도시)에 임의의 홈(h)을 형성한 후, 상기 커플링(10)을 결합하도록 하는데 상기 커플링(10)에 형성된 걸림턱(11)이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한다.
그런 후, 커플링(10)이 결합된 거푸집을 사용자가 건축구조물의 형상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자 하는 만큼 설치하도록 한다.
덧붙여, 상기 거푸집에 커플링(10)을 결합시킬 때, 상기 커플링(10)의 결합턱(11)에 고정홈(14)이 형성된 고정돌기(15)를 더 포함하여 제작한 후, 상기 고정홈(14)에 못(도면에 미도시)과 같은 결합부재(도면에 미도시)를 삽입하여 거푸집에 커플링(10)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거푸집에 결합된 커플링(10)에 보조고정장치(40)를 결합하도록 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거푸집의 내측으로 걸림턱(11)이 위치되어 있어, 거푸집의 외측으로 걸림턱(11)의 반대방향의 커플링(10)이 돌출되게 되면, 상기 커플링(10)의 제1돌기(12)와 보조고정장치(40)의 제2홈(41)을 대응시키면서 커플링(10)과 보조고정장치(40)를 결합하도록 하는 것이다.
덧붙여, 상기 보조고정장치(40)의 외측에 형성된 손잡이턱(42)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커플링(10)에서 보조고정장치(40)를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볼트손잡이(20)에 형성된 결합축(25)을 앵커고정부(30)에 형성된 삽입홈(31)에 삽입하여 볼트손잡이(20)와 앵커고정부(30)를 결합하도록 한다.
그런 후, 상기 볼트손잡이(20)와 앵커고정부(30)가 결합되면 사용자가 볼트손잡이(20)의 손잡이(27)를 파지하고 앵커고정부(30)부터 커플링(10)의 제1홈(13)으로 삽입하여, 볼트손잡이(20)의 결합부(24)가 커플링(10)의 제1홈(13)에 결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커플링(10)에 볼트손잡이(20)와 앵커고정부(30)를 결합할 때,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인 거푸집의 외측방향부터 결합하도록 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거푸집의 내측방향으로 커플링(10)의 걸림턱(11)이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턱(11)이 형성된 커플링(10)의 반대방향으로부터 볼트손잡이(20)와 앵커고정부(30)를 삽입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볼트손잡이(20)에 형성된 제2돌기(21)가 커플링(10)의 제1홈(13)과 대응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홈(13)은 암나사형태로 형성되어 있는데, 제1홈(13)과 제2돌기(21)를 2줄 나사형태로 형성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커플링(10)과 볼트손잡이(20)를 결합하도록 한다.
덧붙여, 상기 커플링(10)에 볼트손잡이(20)를 결합시킬 때, 상기 볼트손잡이(20)에 형성된 결합부(24)의 수밀홈(22)에 링과 같은 수밀부재(23)를 결합하여 결합시키고 밀착부(26)가 커플링(10)에 밀착되도록 하여, 볼트손잡이(20)가 커플링(10)의 내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거푸집에 커플링(10)이 결합되고, 상기 커플링(10)의 내측으로 볼트손잡이(20)와 앵커고정부(30)가 결합되며, 커플링(10)의 외측으로 보조고정장치(40)가 결합되게 되면, 사용자가 보조고정장치(40)를 회전시켜 보조고정장치(40)가 거푸집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거푸집에 커플링(10)과 보조고정장치(40)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면서, 거푸집에서 커플링(10)과 보조고정장치(40)가 헛돌지 않도록 한다.
그런 후, 거푸집의 내측으로 사용자가 콘크리트를 타설하도록 한다.
덧붙여,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양생되게 되면, 사용자는 거푸집을 철거하기 전에 커플링(10)에서 볼트손잡이(20)를 분리하도록 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볼트손잡이(20)의 손잡이(27)를 파지하면서 볼트손잡이(20)를 회전시키면서 거푸집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커플링(10)에서 볼트손잡이(20)를 분리시키면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커플링(10)에서 볼트손잡이(20)를 분리시킬 때, 상기 볼트손잡이(20)를 회전시키면서 분리하도록 하는데 거푸집이 금속재의 재질로 제작되어 커플링(10)에 형성된 고정돌기(15)에 못과 같은 결합부재를 결합하지 못하고 상기 볼트손잡이(20)를 회전시키는 경우나, 상기 커플링(10)의 걸림턱(11)이 콘크리트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볼트손잡이(20)를 회전시키게 되면 볼트손잡이(20)와 함께 커플링(10)이 같이 회전되면서 커플링(10)에서 볼트손잡이(20)가 분리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래서, 상기 커플링(10)의 외측에서 보조고정장치(40)를 결합하여 상기 보조고정장치(40)를 거푸집방향으로 회전시켜 커플링(10)과 보조고정장치(40)를 고정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커플링(10)이 거푸집과 보조고정장치(40)에 견고하게 고정결합되게 되어 사용자가 볼트손잡이(20)를 회전시키더라도 거푸집에서 커플링(10)이 헛돌지 않아, 사용자가 커플링(10)에서 볼트손잡이(20)를 편리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플링(10)과 볼트손잡이(20)를 결합시킬 때, 상기 볼트손잡이(20)의 수밀홈(22)에 링과 같은 수밀부재(23)를 결합하여, 커플링(10)과 볼트손잡이(20)가 견고하게 밀착되게 되면서 커플링(10)과 볼트손잡이(20)의 사이로 공간이 발생하기 않게 되어 커플링(10)과 볼트손잡이(20)의 사이로 콘크리트가 누수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앵커고정부(30)의 외측으로 쐐기(33)와 회전방지부(34)가 형성되어 있어, 볼트손잡이(20)를 커플링(10)에서 회전시켜 분리시킬 때, 앵커고정부(30)가 볼트손잡이(20)와 함께 이동되지 않고, 회전방지부(34)에 의해 앵커고정부(30)가 헛돌지 않게 된다.
그런 후, 상기 커플링(10)이 결합된 거푸집에서 볼트손잡이(20)를 분리하고 커플링(10)에 결합된 보조고정장치(40)를 분리하면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거푸집을 철거하기 전에 커플링(10)에서 볼트손잡이(20)와 보조고정장치(40)를 먼저 분리하고 거푸집을 철거할 수도 있으며, 커플링(10), 볼트손잡이(20), 보조고정장치(40)가 결합된 상태에서 거푸집을 철거한 후 분리할 수도 있는 것과 같이 사용자에 따라 거푸집에서 커플링(10), 볼트결합부(20), 보조고정장치(40)를 다양한 순서로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의 내측에 위치된 앵커고정부(30)의 삽입홈(31)과 나사홈(32)으로 사용자가 설치하고자 하는 앵커볼트(도면에 미도시) 등을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10 : 커플링 11 : 걸림턱
12 : 제1돌기 13 : 제1홈
20 : 볼트손잡이 21 : 제2돌기
22 : 수밀홈 23 : 수밀부재
24 : 결합부 25 : 결합축
26 : 밀착부 27 : 손잡이
30 : 앵커고정부 31 : 삽입홈
32 : 나사홈 33 : 쐐기
34 : 회전방지부 40 : 보조고정장치
41 : 제2홈 42 : 손잡이턱

Claims (2)

  1. 외측으로 걸림턱(11)과 수나사형태의 제1돌기(12)가 형성되고 내측으로 암나사형태의 제1홈(13)이 형성된 커플링(10);
    상기 커플링(10)의 내측으로 결합되며 외측으로 제1홈(13)과 대응되는 제2돌기(21)와 수밀홈(22)과 상기 수밀홈(22)에 결합되는 수밀부재(23)를 형성한 결합부(24)와 상기 결합부(24)의 일측으로 결합축(25)이 형성되고 타측으로 밀착부(26)와 손잡이(27)가 형성된 볼트손잡이(20);
    내측으로 상기 볼트손잡이(20)의 결합축(25)이 결합되는 삽입홈(31)과 나사홈(32)이 형성되며, 외측으로 쐐기(33)와 회전방지부(34)가 형성된 앵커고정부(30);
    상기 커플링(10)에 결합되되 내측으로 제1돌기(12)와 대응되는 암나사형태의 제2홈(41)이 형성되고 외측으로 손잡이턱(42)을 형성한 보조고정장치(4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후시공이 가능한 인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10)의 걸림턱(11)에는 고정홈(14)이 형성된 고정돌기(15)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후시공이 가능한 인서트.
KR1020100108820A 2010-11-03 2010-11-03 후시공이 가능한 인서트 KR101049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820A KR101049191B1 (ko) 2010-11-03 2010-11-03 후시공이 가능한 인서트
PCT/KR2011/005044 WO2012060536A1 (ko) 2010-11-03 2011-07-11 후시공이 가능한 인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820A KR101049191B1 (ko) 2010-11-03 2010-11-03 후시공이 가능한 인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9191B1 true KR101049191B1 (ko) 2011-07-14

Family

ID=44923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8820A KR101049191B1 (ko) 2010-11-03 2010-11-03 후시공이 가능한 인서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49191B1 (ko)
WO (1) WO201206053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062B1 (ko) * 2013-01-08 2013-08-28 이세동 인서트 어셈블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508A (ja) * 1992-07-20 1994-02-10 Yokogawa Electric Corp ファジー制御装置
JPH0827823A (ja) * 1994-07-18 1996-01-30 Oike:Kk コンクリート製品およびその吊り方法
JP2001353708A (ja) 2000-06-14 2001-12-25 Kana Flex Corporation Kk インサート保持具及びインサート部材並びに成形体の製造方法
JP2006026916A (ja) 2004-07-12 2006-02-02 Jfe Metal Products & Engineering Inc 吊りボルト螺着用インサートおよびインサート取付け操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8052Y2 (ja) * 1992-10-13 1994-12-07 株式会社ヨシノ 足場用インサー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508A (ja) * 1992-07-20 1994-02-10 Yokogawa Electric Corp ファジー制御装置
JPH0827823A (ja) * 1994-07-18 1996-01-30 Oike:Kk コンクリート製品およびその吊り方法
JP2001353708A (ja) 2000-06-14 2001-12-25 Kana Flex Corporation Kk インサート保持具及びインサート部材並びに成形体の製造方法
JP2006026916A (ja) 2004-07-12 2006-02-02 Jfe Metal Products & Engineering Inc 吊りボルト螺着用インサートおよびインサート取付け操作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062B1 (ko) * 2013-01-08 2013-08-28 이세동 인서트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60536A1 (ko) 201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46122A1 (en) Cap for anchor of post-tension anchorage system
JP6655163B2 (ja) 水栓の設置構造
KR100992051B1 (ko) 급수배관용 엘보우 결합용 수압/고정플러그와마감보호부재의 구조 및 시공방법
US20150267420A1 (en) Leveling device for laying tiles or the like
RU2016109977A (ru) Механ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содержащая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между изнашиваемой деталью и ее держателем, и ковш строительной машины
KR101049191B1 (ko) 후시공이 가능한 인서트
KR100994846B1 (ko) 철근을 이용한 세트 앙카
JP2020535350A (ja) 振動による旋回防止可能なシール型ホース継ぎ手
KR20160038104A (ko) 반도체 가스배관용 피팅 고정장치
KR101590892B1 (ko) 철근 이음 장치
KR100979817B1 (ko) 건축용 서포터
JP6998815B2 (ja) インサートの取付用治具およびスリーブ、インサートの取付方法
KR101000512B1 (ko) 후시공이 가능한 인서트
JP6419436B2 (ja) 管継手構造
KR20140147275A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인서트
KR200483439Y1 (ko) 배관용 벽체 마감캡
CN205090139U (zh) 一种防泥丝堵
KR20180048145A (ko) 나사철근의 이음장치 및 그의 이음방법
KR200348065Y1 (ko) 벽체 수도관 지지구조
KR19980025063U (ko) 거푸집 매설용 슬리브.
JP3158435U (ja) 型枠用セパレータ
JP2012219433A (ja) セパレータ用プラグ装置
JP2004285646A (ja) 型枠とセパレータとの連結具
JP6213070B2 (ja) 給水方法
KR20160116081A (ko)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