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8870B1 - 액체비료 고속발효장치 - Google Patents

액체비료 고속발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8870B1
KR101048870B1 KR1020080108949A KR20080108949A KR101048870B1 KR 101048870 B1 KR101048870 B1 KR 101048870B1 KR 1020080108949 A KR1020080108949 A KR 1020080108949A KR 20080108949 A KR20080108949 A KR 20080108949A KR 101048870 B1 KR101048870 B1 KR 101048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manure
fermentation
liquid manure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8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9910A (ko
Inventor
서성환
Original Assignee
덕인환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인환경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인환경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8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8870B1/ko
Publication of KR20100049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9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8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8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05F3/06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8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added bacterial cultures, mycelia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40Treatment of liquids or slur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50Treatments combining two or more different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s, e.g. anaerobic and aerobic treatment or vermicomposting and aerob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60Heating or cooling during th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20Liquid fertilis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ertilizer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의 분뇨가 채워져 발효되는 발효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발효조와; 상기 발효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액상의 분뇨로부터 발생된 거품을 교반시켜 제거하는 제1소포부와; 상기 발효공간에 채워진 액상의 분뇨를 가열된 열전달매체와의 열교환으로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발효공간에 채워진 액상의 분뇨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부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발효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제1소포부에 의해 미제거된 거품을 액상의 분뇨를 분사시켜 제거하는 제2소포부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은 축분뇨로부터 기분리된 액상의 분뇨를 사용하므로, 액상의 분뇨를 발효조의 발효공간에 간편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발효공간에 채워진 액상의 분뇨에 산소, 호기성 발효용 미생물을 첨가하고, 액상의 분뇨를 히터에 의해 가열된 열전단매체와의 열교환으로 간접가열하여 호기성 발효용 미생물을 활성화시켜 단시간에 액상의 분뇨를 발효시켜 액체비료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액상, 분뇨, 발효, 히터, 산소, 소포, 미생물

Description

액체비료 고속발효장치{PAST SPEED FERMENTATION APPARATUS FOR LIQUID MANURE}
본 발명은 액체비료 고속발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축분뇨에서 분리된 액상 분뇨를 단시간에 발효시켜 액체비료를 제조하는 액체비료 고속발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분뇨는 자연적으로 발효시킨 후 거름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축분뇨의 자연발효가 대략 2개월 내지 3개월이 걸리므로, 축분뇨를 발효시켜 거름으로 사용하기에는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축분뇨의 발효가 용이하도록 축분뇨를 가열하거나, 용존산소량을 맞추기 위해 산소를 공급하는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고 그대로 방치하기 때문에, 발효되기 보다는 부패하여 거름으로서의 기능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축분뇨를 단시간에 발효시켜 거름을 생산하기 위해 축분뇨를 고속으로 발효할 수 있는 장치가 개발되었다.
그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423253호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72244호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발효조내에 축분뇨를 망체에 담아 수장시킨 상태에서 축분뇨가 수장된 용수를 히터등을 이용하여 미생물이 활성화될 수 있는 적절한 온도로 가온시키고, 용수에 산소를 공급하여 축분뇨의 발효가 촉진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축분뇨를 망체에 담아 발효조내에 매번 수장시켜야 하는 작업이 번거럽고 불편함과 동시에 시간이 과다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망체를 인력에 의하지 않고, 크레인등과 같은 기계에 의존하여 망체의 이동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나, 크레인등의 설비 부가로 발효장치의 설치비용증가와, 장치의 부비 또한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축분뇨로부터 액상의 분뇨를 분리하고, 분리된 액상의 분뇨를 단시간에 발효하여 액체 비료를 제조할 수 있는 액체비료 고속발효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액상의 분뇨가 채워져 발효되는 발효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발효조와; 상기 발효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액상의 분뇨로부터 발생된 거품을 교반시켜 제거하는 제1소포부와; 상기 발효공간에 채워진 액상의 분뇨를 가열된 열전달매체와의 열교환으로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발효공간에 채워진 액상의 분뇨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부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발효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제1소포부에 의해 미제거된 거품을 액상의 분뇨를 분사시켜 제거하는 제2소포부가 더 구비된다.
상기 발효조는 상기 발효공간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구획벽에 의해 상기 발효공간이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1공간에 상기 제1구획벽으로부터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구획벽에 의해 상기 제1공간이 상하부로 구획되어 상부에 위치되고 액상의 분뇨로부터 발생된 거품이 상기 제1소포부에 의해 제거되는 소포공간과, 하부에 위치되고 액상의 분뇨를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하는 가열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가열공간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가열공간을 상하부로 구획하고, 액상의 분뇨로부터 발생된 거품이 배출되는 다수의 통공홀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거품유출구로의 거품의 배출을 제한하는 거품배출 제한판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구획벽에는 상기 가열공간에 채워진 액상의 분뇨로부터 발생된 거품이 상기 소포공간으로 유출되도록 상기 가열공간과 상기 소포공간을 연통시킨 거품유출구가 형성된다.
상기 제1구획벽의 하측에는 상기 액상의 분뇨가 이송되도록 상기 제2공간과 상기 가열공간을 연통시킨 제1연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구획벽의 상측에는 상기 소포공간에서 상기 제1소포부의 거품제거에 의해 발생된 액상의 분뇨를 상기 제2공간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제2공간과 상기 소포공간을 연통시킨 제2연통구가 형성된다.
상기 제1소포부는 상기 발효조에 외부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거품유출구에 위치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어 상기 거품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거품을 교반하여 제거하는 터빈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2소포부는 상기 제2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제2공간에 저장된 액상의 분뇨를 펌핑하는 제1,2수중펌프와; 상기 제1수중펌프에 의해 펌핑된 액상의 분뇨를 상기 소포공간에 분사시켜 상기 터빈에 의해 미제거된 거품을 제거하는 제1분뇨노즐과; 상기 제2수중펌프에 의해 펌핑된 액상의 분뇨를 상기 제2공간에 분사시켜 상기 제1노즐에 의해 미제거되어 상기 제2연통구를 통해 상기 제2공간으로 이송된 거품을 제거하는 제2분뇨노즐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가열부는 상기 가열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열전달매체가 저장되는 열매체 저장탱크와; 상기 열매체 저장탱크에 인입되어 상기 열전달매체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산소공급부는 상기 발효조 외부에 설치되어 외기를 상기 발효조의 발효공간으로 이송하는 브로워와; 상기 브로워에 연결되고 상기 외기를 상기 가열공간으로 안내하여 상기 외기가 상기 열매체 저장탱크의 상부로 배출되게 하는 제1외기안내관과; 상기 브로워에 연결되고 상기 외기를 상기 가열공간으로 안내하여 상기 외기가 상기 가열공간의 하부로 배출되게 하는 제2외기안내관과; 상기 제1,2외기안내관에 설치되어 상기 브로워에 의해 이송되는 외기가 선택적으로 상기 제1,2외기안내관을 통해 이송되게 하는 외기밸브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발효조의 제2공간에 설치되고, 제2공간에 위치된 액상의 분뇨를 발효조 외부 또는 상기 가열공간에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제3수중펌프와; 축분뇨로부터 액상의 분뇨만을 분리하여 저장한 분뇨저장탱크와; 호기성 발효용 미생물이 배양되는 미생물 배양액이 저장되는 미생물저장탱크와; 상기 분뇨저장탱크에 저장된 액상의 분뇨를 펌핑하여 상기 가열공간에 공급하는 제1펌프와; 상기 미생물저장탱크에 저장된 미생물 배양액을 펌핑하여 상기 가열공간에 공급하는 제2펌프와; 상기 제2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발효공간에 채워진 액상의 분뇨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은 축분뇨로부터 기분리된 액상의 분뇨를 사용하므로, 액상의 분뇨를 발효조의 발효공간에 간편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발효공간에 채워진 액상의 분뇨에 산소, 호기성 발효용 미생물을 첨가하고, 액상의 분뇨를 히터에 의해 가열된 열전단매체와의 열교환으로 간접가열하여 호기성 발효용 미생물을 활성화시켜 단시간에 액상의 분뇨를 발효시켜 액체비료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비료 고속발효장치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도 2에 나타내 보였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는 축분뇨로부터 분리된 액상의 분뇨가 채워져 발효되는 발효공간(110)이 내부에 형성된 발효조(100)와, 발효공간(110)에 설치되어 액상의 분뇨의 발효과정에서 발생된 거품을 제거하는 제1,2소포부(200,300)와, 발효공간(110)에 채워진 액상의 분뇨를 가열된 열전달매체와의 열교환으로 가열하는 가열부(400)와, 발효공간(110)에 채워진 액상의 분뇨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부(500)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축분뇨로부터 분리된 액상의 분뇨가 저장되는 분뇨저장탱크(600)와, 액상의 분뇨에 공급될 호기성 발효용 미생물이 배양되는 미생물 배양액이 저장되는 미생물 저장탱크(700)가 마련된다.
물론, 분뇨저장탱크(600) 및 미생물저장탱크(700)에 저장된 액상의 분뇨 및 미생물 배양액을 발효조의 발효공간에 공급하기 위한 제1,2펌프(610,710)가 마련된다. 그리고, 발효조(100)의 발효공간(110)에 발효된 액상의 분뇨를 외부로 배출하 기 위한 제3수중펌프(800)가 마련된다.
발효조(100)의 발효공간(110)은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발효공간(110)은 발효공간(110)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구획벽(120)에 의해 제1공간(111)과 제2공간(112)으로 구획된다.
제1공간(111)은 제1구획벽(120)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구획벽(130)에 의해 상/하부로 구획된다. 즉, 제1공간(111)은 제2구획벽(130)에 의해 제1공간(111)의 상부에 위치되고 액상의 분뇨로부터 발생된 거품이 제1,2소포부(200,300)에 의해 제거되는 소포공간(111a)과, 하부에 위치되고 액상의 분뇨를 가열부(400)에 의해 가열하는 가열공간(111b)으로 구획된다.
제2구획벽(130)에는 가열공간(111b)에 채워진 액상의 분뇨로부터 발생된 거품이 소포공간(111a)으로 유출되도록 가열공간(111b)과 소포공간(111a)을 연통시킨 거품유출구(13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1구획벽(120)의 하측에는 제2공간(112)과 가열공간(111b)을 연통시킨 제1연통구(121)가 형성되어 있고, 제1구획벽(120)의 상측에는 제2공간(112)과 소포공간(111a)을 연통시킨 제2연통구(122)가 형성되어 있다.
가열공간(111b)에는 제1구획벽(120)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거품배출 제한판(140)에 의해 상/하부로 구획된다. 거품배출 제한판(140)에는 액상의 분뇨로부터 발생된 거품이 배출되는 다수의 통공홀(141)이 형성되어 있다. 가열공간(111b)에는 액상의 분뇨가 거품배출 제한판(140)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까지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액상의 분뇨로부터 발생된 거품이 다수의 통공홀(141)에 제한되어 가열공간(111b)의 상부로 이동되고 제2구획벽(130)의 거품유출구(131)를 통해 소포공간(111a)으로 유출된다.
제1소포부(200)는 발효공간(110)의 소포공간(111a)에 설치되고 거품유출구(131)를 통해 유출되는 거품을 교반시켜 제거한다.
즉, 제1소포부(200)는 발효조(100)의 외부 상측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210)와, 거품유출구(131)에 위치되고, 구동모터(2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어 거품유출구(131)를 통해 배출되는 거품을 교반하여 제거하는 터빈(220)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2소포부(300)는 터빈(220)에 의한 교반으로 미처 제거되지 못하고 소포공간(111a) 및 제2공간(112)으로 유입된 거품을 액상의 분뇨를 분사시켜 제거한다.
즉, 제2소포부(300)는 소포공간(111a)으로 유입된 거품을 1차 제거하고, 소포공간(111a)에서 미처 제거되지 못하고 제2연통구(122)를 통해 제2공간(112)으로 유입된 거품을 2차제거하게 된다.
이러한, 제2소포부(300)는 제2공간(112)에 위치되어 제2공간(112)에 저장된 액상의 분뇨를 펌핑하는 제1,2수중펌프(310,320)와, 제1,2수중펌프(310,320)에 의해 펌핑된 액상의 분뇨를 분사하기 위한 것으로 소포공간(111a)에 위치된 제1분뇨노즐(330)과, 제2공간(112)에 위치된 제2분뇨노즐(340)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소포공간(111a)에는 제1소포부(200)에 의해 제거되지 못한 거품이 저면을 따라 이동된다. 이러한 소포공간(111a)의 저면을 따라 이동하는 거품을 용이 하게 제거하기 위해서는 제1분뇨노즐(330)을 통해 분사되는 분뇨가 소포공간(111a)의 저면을 향하도록 제1분뇨노즐(330)의 전방에는 분사되는 분뇨가 부딪혀 소포공간(111a)의 저면을 향해 분사되게 하는 분사방향 전환판(113)이 구비되어 있다.
가열부(400)는 발효공간(110)의 가열공간(111b)에 위치된다.
가열부(400)는 가열공간(111b)에 채워진 액상의 분뇨에 수장되고 열전달매체가 저장되는 열매체 저장탱크(410)와, 열매체 저장탱크(410)에 인입되어 열전달매체를 가열하는 히터(420)와, 열매체 저장탱크(410)에 저장된 열전달매체의 부족분을 채워주도록 열전달매체가 일정량 저장되고 열매체 저장탱크(410)와 연결된 서지탱크(430)로 이루어져 있다.
열매체 저장탱크(410)는 브라켓(440)에 고정되어 가열공간(111b)의 중앙부에 위치된다.
산소공급부(500)는 발효공간(110)에 채워진 액상의 분뇨에 산소를 공급하여 호기성 발효용 미생물을 활성화시키게 된다.
즉, 산소공급부(500)는 발효조(100) 외부에 위치되는 브로워(510)와, 브로워(510)에 연결되고 브로워(510)에 의해 이송된 외기를 액상의 분뇨에 안내하는 제1,2외기안내관(520,530)과, 제1,2외기안내관(520,530)에 설치되어 외기가 선택적으로 제1,2외기안내관(520,530)을 통해 액상의 분뇨에 공급되게 하는 외기밸브(540)로 이루어져 있다.
제1외기안내관(520)은 외기가 가열공간(111b)의 열매체 저장탱크(410)의 상부로 배출되게 설치되고, 제2외기안내관(530)은 외기가 가열공간(111b)의 하부로 배출되게 설치된다.
제1외기안내관(520)의 선단에는 외기가 가열공간(111b)의 액상의 분뇨에 고루 공급되도록 선단에 방사상으로 연장된 다수의 분기관(521)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제3수중펌프(800)는 제2공간(112)의 액상의 분뇨를 펌핑하여 선택적으로 발효조(100) 외부로 배출하거나, 제1연통구(121)를 통해 가열공간(111b)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제3수중펌프(800)에는 펌핑된 액상의 분뇨가 가열공간(111b)으로 배출되도록 제1연통구(121)를 통하여 가열공간(111b)으로 인입된 공급관(810)이 마련되어 있다.
공급관(810)에는 제2외기안내관(530)의 선단이 연결되어 있다. 이에, 브로워(510)에 의해 이송된 외기가 공급관(810)을 통해 가열공간(111b) 하부로 배출된다.
제2공간(112)에는 발효공간(110)에 채워진 액상의 분뇨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900)가 구비된다. 수위측정센서(900)는 저수위, 중수위, 고수위를 측정하도록 3개의 수위측정센서(900)가 구비된다. 즉, 3개의 수위측정센서(900)는 저장되는 분뇨의 유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수위측정센서에 의해 저수위가 감지되면 콘트롤부(미도시)의 제어로 제1펌프(610)가 구동되어 가열공간(111b)에 액상의 분뇨가 공급된다. 그리고, 액상의 분뇨의 적정수위, 즉 가열공간(111b)의 거품배출 제한판(140)에 근접되는 위치인 중수위가 수위측정센서에 의해 감지되면, 콘트롤부의 제어로 제1펌프(610)의 구동이 정지되어 가열공간(111b)에 액상의 분뇨의 공급이 중지된다.
또한, 중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고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를 사용하여 가열공간(111b)에 보다 많은 량의 액상의 분뇨가 저장되게 할 수 있다.
즉, 거품배출 제한판(140)이 액상의 분뇨에 수장되게 가열공간(111b)에 액상의 분뇨를 강제적으로 공급하게 될 때, 액상의 분뇨의 수위가 상승됨으로써 고수위가 수위측정센서(900)에 의해 감지되면, 콘트롤부의 제어로 제1펌프(610)의 구동이 정지되어 가열공간(111b)에 액상의 분뇨의 공급이 중지된다.
미설명된 부호 10,11은 발효조(100) 및 열매체 저장탱크(410)의 내부 청소를 위한 드레인관(10) 및 드레인 밸브(11)이고, 150은 환기공(150)이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제1,2펌프(610,710)에 의해 가열공간(111b)에 일정량의 액상의 분뇨 및 호기성 발효용 미생물을 공급한다. 가열공간(111b)에 공급된 액상의 분뇨는 제1연통구(121)에 의해 제2공간(112)에도 공급되어 채워진다.
가열공간(111b)에 액상의 분뇨 및 미생물이 일정량 채워지면, 액상의 분뇨 및 미생물의 공급을 중단하고, 미생물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액상의 분뇨를 가열하고, 액상의 분뇨에 산소를 공급하게 된다.
액상의 분뇨는 항상 36℃가 유지되도록 가열된다.
액상의 분뇨의 가열은 히터(420)를 가동시켜 열전달매체를 가열하면 된다. 가열된 열전달매체는 액상의 분뇨와 열교환되고, 액상의 분뇨의 온도가 상승된다.
특히, 액상의 분뇨가 가열된 열전달매체와 열교환에 의해 간접가열되고, 열매체 저장탱크(410)가 액상의 분뇨에 수장되어 가열공간(111b)의 중앙부에 위치되어 있어 가열공간(111b)에 채워진 액상의 분뇨의 지역별 온도차가 심하지 않고, 점진적으로 온도가 상승되어 온도제어가 용이하게 된다. 액상의 분뇨의 가열온도는 대략 42∼48℃가 바람직하다.
산소의 공급은 브로워(510)를 구동시키면 된다. 브로워(510)의 구동으로 외기가 제1,2외기안내관(520,530)을 통해 가열공간(111b)으로 공급되면서, 외기에 포함된 산소가 액상의 분뇨에 공급된다.
특히, 제1외기안내관(520)을 통해 이송된 외기는 가열공간(111b)의 중앙부에서 제1외기안내관(520)의 선단 분기관(521)을 통해 액상의 분뇨에 공급되고, 제2외기안내관(530)을 통해 이송된 외기는 가열공간(111b)의 하부에서 액상의 분뇨에 공급된다. 이에, 외기는 액상의 분뇨에 고루 공급된다.
그리고, 제3수중펌프(800)의 구동으로 제2공간(112)에 채워진 액상의 분뇨를 가열공간(111b)에 펌핑하여 이송시키게 된다. 가열공간(111b)으로 과다이송된 액상의 분뇨는 제2공간(112)과 가열공간(111b)의 액상의 분뇨의 수위차에 의해 제1연통구(121)를 통해 역이송된다. 이와 같이, 액상의 분뇨가 제1연통구(121)를 통해 제2공간(112)과 가열공간(111b)을 반복적으로 왕래하면서 교반되어진다. 이에, 공급된 산소가 액상의 분뇨에 고루 공급되고, 열전달매체와의 고른 접촉으로 액상의 분뇨가 집중가열되지 않게 되므로 미생물의 활성화를 촉진시키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과정에서, 액상의 분뇨는 거품이 발생된다. 발생된 거품은 거품배출 제한판(140)에 의해 거품의 생성이 제한되나, 거품배출 제한판(140)의 통공홀(141)을 통해 거품이 배출된다.
배출된 거품은 제2구획벽(130)의 거품유출구(131)로 이동된다. 이때, 구동모터(210)의 구동으로 터빈(220)이 회전되고, 거품유출구(131)로 이동된 거품은 교반되어 제거된다. 거품의 제거로 발생된 액상의 분뇨는 가열공간(111b)으로 재유입된다.
한편, 터빈(220)의 회전에 의해 미처 제거되지 못한 미세거품은 거품유출구(131)를 통해 소포공간(111a)으로 이동된다. 소포공간(111a)으로 이동된 미세거품은 제1수중펌프(310)에 의해 펌핑되고 제1분뇨노즐(330)에 의해 분사되는 액상의 분뇨에 의해 제거된다. 이때, 발생된 액상의 분뇨는 제2연통구(122)를 통해 제2공간(112)으로 유입된다.
소포공간(111a)에서도 제거되지 못한 미세거품은 제2연통구(122)를 통해 제2공간(112)으로 유입된다. 제2공간(112)으로 유입된 미세거품은 제2수중펌프(320)에 의해 펌핑되고 제2분뇨노즐(340)에 의해 분사되는 액상의 분뇨에 의해 제거된다. 이때, 발생된 액상의 분뇨는 제2공간(112)에 채워진다.
상기에서 언급한, 가열공간(111b)에 채워진 액상의 분뇨를 교반 및 가열, 액상의 분뇨에 산소공급, 거품제거과정을 대략 4시간 정도 진행하게 된다. 그러면, 액상의 분뇨가 발효되어 액체비료가 제조된다.
제조된 액체비료는 제3수중펌프(800)에 의해 발효조(200)로부터 배출되고 사용된다. 제조된 액체비료의 배출을 위해 제3수중펌프(800)에 연결되어 발효조(200)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 배출관(820)이 구비되고, 배출관(820)에는 제조된 액체비료의 배출을 제어하는 차폐밸브(830)가 구비된다. 제조된 액체비료는 3시간마다 3ton씩 배출된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비료 고속발효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액체비료 고속발효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발효조 200 : 제1소포부
300 : 제2소포부 400 : 가열부
500 : 산소공급부 600 : 분뇨저장탱크
700 : 미생물 저장탱크 800 : 제3수중펌프
900 : 수위측정센서

Claims (7)

  1. 액상의 분뇨가 채워져 발효되는 발효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발효조와;
    상기 발효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액상의 분뇨로부터 발생된 거품을 교반시켜 제거하는 제1소포부와;
    상기 발효공간에 채워진 액상의 분뇨를 가열된 열전달매체와의 열교환으로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발효공간에 채워진 액상의 분뇨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효조는
    상기 발효공간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구획벽에 의해 상기 발효공간이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1공간에 상기 제1구획벽으로부터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구획벽에 의해 상기 제1공간이 상하부로 구획되어 상부에 위치되고 액상의 분뇨로부터 발생된 거품이 상기 제1소포부에 의해 제거되는 소포공간과, 하부에 위치되고 액상의 분뇨를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하는 가열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2구획벽에는 상기 가열공간에 채워진 액상의 분뇨로부터 발생된 거품이 상기 소포공간으로 유출되도록 상기 가열공간과 상기 소포공간을 연통시킨 거품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구획벽의 하측에는 상기 액상의 분뇨가 이송되도록 상기 제2공간과 상기 가열공간을 연통시킨 제1연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구획벽의 상측에는 상기 소포공간에서 상기 제1소포부의 거품제거에 의해 발생된 액상의 분뇨를 상기 제2공간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제2공간과 상기 소포공간을 연통시킨 제2연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비료 고속발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제1소포부에 의해 미제거된 거품을 액상의 분뇨를 분사시켜 제거하는 제2소포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비료 고속발효장치.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소포부는
    상기 발효조에 외부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거품유출구에 위치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어 상기 거품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거품을 교반하여 제거하는 터빈을 포함하고,
    상기 제2소포부는
    상기 제2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제2공간에 저장된 액상의 분뇨를 펌핑하는 제1,2수중펌프와;
    상기 제1수중펌프에 의해 펌핑된 액상의 분뇨를 상기 소포공간에 분사시켜 상기 터빈에 의해 미제거된 거품을 제거하는 제1분뇨노즐과;
    상기 제2수중펌프에 의해 펌핑된 액상의 분뇨를 상기 제2공간에 분사시켜 상기 제1노즐에 의해 미제거되어 상기 제2연통구를 통해 상기 제2공간으로 이송된 거품을 제거하는 제2분뇨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가열공간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가열공간을 상하부로 구획하고, 액상의 분뇨로부터 발생된 거품이 배출되는 다수의 통공홀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거품유출구로의 거품의 배출을 제한하는 거품배출 제한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비료 고속발효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가열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열전달매체가 저장되는 열매체 저장탱크와;
    상기 열매체 저장탱크에 인입되어 상기 열전달매체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비료 고속발효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공급부는
    상기 발효조 외부에 설치되어 외기를 상기 발효조의 발효공간으로 이송하는 브로워와;
    상기 브로워에 연결되고 상기 외기를 상기 가열공간으로 안내하여 상기 외기가 상기 열매체 저장탱크의 상부로 배출되게 하는 제1외기안내관과;
    상기 브로워에 연결되고 상기 외기를 상기 가열공간으로 안내하여 상기 외기가 상기 가열공간의 하부로 배출되게 하는 제2외기안내관과;
    상기 제1,2외기안내관에 설치되어 상기 브로워에 의해 이송되는 외기가 선택적으로 상기 제1,2외기안내관을 통해 이송되게 하는 외기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비료 고속발효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조의 제2공간에 설치되고, 제2공간에 위치된 액상의 분뇨를 발효조 외부 또는 상기 가열공간에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제3수중펌프와;
    축분뇨로부터 액상의 분뇨만을 분리하여 저장한 분뇨저장탱크와;
    호기성 발효용 미생물이 배양되는 미생물 배양액이 저장되는 미생물저장탱크 와;
    상기 분뇨저장탱크에 저장된 액상의 분뇨를 펌핑하여 상기 가열공간에 공급하는 제1펌프와;
    상기 미생물저장탱크에 저장된 미생물 배양액을 펌핑하여 상기 가열공간에 공급하는 제2펌프와;
    상기 제2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발효공간에 채워진 액상의 분뇨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비료 고속발효장치.
KR1020080108949A 2008-11-04 2008-11-04 액체비료 고속발효장치 KR101048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949A KR101048870B1 (ko) 2008-11-04 2008-11-04 액체비료 고속발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949A KR101048870B1 (ko) 2008-11-04 2008-11-04 액체비료 고속발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9910A KR20100049910A (ko) 2010-05-13
KR101048870B1 true KR101048870B1 (ko) 2011-07-13

Family

ID=42276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8949A KR101048870B1 (ko) 2008-11-04 2008-11-04 액체비료 고속발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88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905B1 (ko) * 2011-11-17 2013-09-10 주식회사 인송지이 가축분뇨를 이용한 양액 제조장치
KR20160073889A (ko) * 2014-12-17 2016-06-27 백용기 지속적인 처리수 순환이 가능한 액비 제조장치
KR20180049914A (ko) 2016-11-04 2018-05-14 김영삼 발효 비료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224B1 (ko) * 2010-12-29 2011-08-11 이기몽 고효능 액비 발효장치
KR102660446B1 (ko) * 2023-06-12 2024-04-24 김갑두 고형물 자원화수단을 갖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는 고형물 자원화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246B1 (ko) * 2001-11-19 2004-10-26 주식회사 타오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장치
KR100750353B1 (ko) * 2006-09-28 2007-08-17 주식회사 엔텍 순환형 가축분뇨 고속발효 처리장치
KR100823604B1 (ko) * 2007-08-30 2008-04-2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자연지기 토착미생물을 이용한 가축분뇨의 액비생산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246B1 (ko) * 2001-11-19 2004-10-26 주식회사 타오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장치
KR100750353B1 (ko) * 2006-09-28 2007-08-17 주식회사 엔텍 순환형 가축분뇨 고속발효 처리장치
KR100823604B1 (ko) * 2007-08-30 2008-04-2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자연지기 토착미생물을 이용한 가축분뇨의 액비생산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905B1 (ko) * 2011-11-17 2013-09-10 주식회사 인송지이 가축분뇨를 이용한 양액 제조장치
KR20160073889A (ko) * 2014-12-17 2016-06-27 백용기 지속적인 처리수 순환이 가능한 액비 제조장치
KR101931694B1 (ko) * 2014-12-17 2019-03-13 백용기 지속적인 처리수 순환이 가능한 액비 제조장치
KR20180049914A (ko) 2016-11-04 2018-05-14 김영삼 발효 비료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9910A (ko) 201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8870B1 (ko) 액체비료 고속발효장치
CN1326783C (zh) 充气装置以及利用该装置的废水处理方法
EP0803190A2 (en) Hydroponic culture apparatus
CN203208926U (zh) 用于混合罐内容物的装置
CN203096077U (zh) 自动控制的好氧性微生物发酵罐
CN110656043A (zh) 液体饲料添加剂生产用微生物发酵罐
CN202823183U (zh) 灌溉水增氧设备
JP4561192B2 (ja) 細胞培養装置及び細胞培養方法
CN101508486B (zh) 厌氧反应器立体液流搅拌装置
CN110656044A (zh) 新型智能微生物发酵装置
JP2000084587A (ja) 自動培養式汚水浄化装置
CN206502818U (zh) 一种微生物培养装置
KR100985089B1 (ko) 미생물 배양장치
CN102337212B (zh) 气动振荡式细胞培养系统
CN113699031A (zh) 一种高密度培养破布子乳杆菌的生物反应器及其使用方法
KR101444437B1 (ko) 액체비료 발효장치
CN204529843U (zh) 发酵罐
CN204509251U (zh) 一种节能剂生产流水线
CN107475093A (zh) 一种微生物水浴加热培养装置
JP4727220B2 (ja) 低動力撹拌による発酵方法および装置
CN216550479U (zh) 一种灌注式培养装置
CN202529956U (zh) 洗车废水循环处理装置
CN202343403U (zh) 喷涂液供料罐
CN215593081U (zh) 一种生物反应器及培养箱
CN204848414U (zh) 一种psp射流曝气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