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6224B1 - 고효능 액비 발효장치 - Google Patents

고효능 액비 발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6224B1
KR101056224B1 KR20100138208A KR20100138208A KR101056224B1 KR 101056224 B1 KR101056224 B1 KR 101056224B1 KR 20100138208 A KR20100138208 A KR 20100138208A KR 20100138208 A KR20100138208 A KR 20100138208A KR 101056224 B1 KR101056224 B1 KR 101056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ure
fermentation tank
liquid fermentation
liqui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138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몽
Original Assignee
이기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몽 filed Critical 이기몽
Priority to KR20100138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62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3/00Treating manure; Manuring
    • A01C3/02Storage places for manure, e.g. cisterns for liquid manure; Installations for fermenting man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characterised by the gas being introduced
    • B01F23/23761Aerating, i.e. introducing oxygen containing gas in liq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05F3/06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80Arrangements for signal proces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ertilizer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효능 액비 발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축분뇨의 액체비료 생성시 소요되는 수개월간의 기간을 1차 물리학적인 방법을 통해 폐수내 유해 유기물을 파괴시키며 2차 생물학적인 방법으로 파괴되어진 유기물을 안정화 시켜 고효능 유기액비를 단시간(24시간∼48시간)에 발효시키는 고효능 액비 발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고효능 액비 발효장치는,
가축 분뇨의 액비 발효장치에 있어서,
액비발효조(100)와;
상기 액비발효조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상측에 덮개(210)를 형성하고 있는 본체프레임(200)과;
어느 일측에 분뇨유입밸브(310)가 형성되며, 분뇨유입밸브가 오픈될 경우에 가축 분뇨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액비발효조 상측으로 인입되는 분뇨유입관(300)과;
대기중의 기체를 압축하여 공기유입관에 공급하는 송풍기(410)와;
상기 송풍기와 연결되되, 액비발효조의 바닥까지 설치 구성되어 송풍기에 의해 공급되는 기체를 미세한 기포로 액비발효조 내에 살포시키도록 미세한 구멍이 다수 천공된 산기관(420)이 형성되어 있는 공기유입관(400)과;
상기 액비발효조의 측벽에 설치 구성되어 가축분뇨의 수위한계선을 설정하고 수위를 초과할 경우에 분뇨유입밸브에 오프 신호를 전송하는 수위감지센서(500)와;
액비발효조의 측벽 하단으로 인입되며 어느 일측에 액비방출밸브(610)가 형성되되, 액비방출밸브가 오픈될 경우에 액비를 외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액비방출관(600)과;
액비발효조의 측벽 하단으로 인입되며 어느 일측에 분뇨2차처리밸브(710)가 형성되되, 분뇨2차처리밸브가 오픈될 경우에 가축 분뇨를 분뇨2차처리수단에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분뇨2차처리관(700)과;
상기 분뇨2차처리관을 통해 유입되는 가축 분뇨를 극성분리관(810)에 제공하여 가축 분뇨의 극성을 분리하여 비산 효과를 증대시켜 일측에 2차공기공급관(820)이 형성된 캐비테이션관(830)에 제공하면 2차송풍기(840)에 의해 2차공기공급관에 공급되는 2차 공기가 빠르게 유입되어 신속한 발효가 가능토록 하며, 상기 캐비테이션관의 후단부 버퍼에 충돌판(850)이 형성되어 충돌판에 의해 2차 공기를 미세화시켜 2차공급관에 제공하는 분뇨2차처리수단(800)과;
상기 어느 일측이 분뇨2차처리수단과 결합되며 타측이 분사노즐과 결합되어 있는 2차공급관(860)과;
상기 2차공급관에 의해 공급되는 가축 분뇨를 액비발효조내로 분무하여 액비발효조 내의 거품을 제거하는 분사노즐(87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가축분뇨의 액체비료 생성시 소요되는 수개월간의 기간을 1차 물리학적인 방법을 통해 폐수내 유해 유기물을 파괴시키며 2차 생물학적인 방법으로 파괴되어진 유기물을 안정화시켜 고효능 유기 액비를 단시간(24시간∼48시간)에 발효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효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고효능 액비 발효장치{manufacture device of liquid-fertilizer.}
본 발명은 고효능 액비 발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축분뇨의 액체비료 생성시 소요되는 수개월간의 기간을 1차 물리학적인 방법을 통해 폐수내 유해 유기물을 파괴시키며 2차 생물학적인 방법으로 파괴되어진 유기물을 안정화 시켜 고효능 유기액비를 단시간(24시간∼48시간)에 발효시키는 고효능 액비 발효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축산업계에서는 광우병과 조류독감 등의 발생에 따라 식품의 안전성에 대한 요구가 더욱 높아지고 2012년부터 런던협약에 의해 해양투기가 전면 금지됨에 따라 축산업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가축분뇨처리와 같은 환경문제도 큰 사회 문제로 부각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축산 분뇨는 지하수를 오염시키고, 사람과 동물에게 치명적인 보건, 위생, 환경 저해요소를 유발시키며, 악취와 병해충을 전파하고, 동물의 성장을 저해시키며 가축의 폐사율을 높이고, 처리가 난해할 뿐더러 처리비용이 점점 많이 들고 있으며, 자원의 재활용이 어렵고, 특히 수자원을 오염시켜 사용가능한 물의 양을 점점 줄어들게 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가축분뇨의 발생을 저하시키기 위하여 많은 노력들이 시행되고 있으나, 아주 작은 범위 내에서만 가능한 것으로 대량의 가축분뇨를 처리할 수 없는 실정이고, 이러한 가축분뇨를 대량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비용과 시설이 필요하게 되며 이러한 대형시설이 갖추어 졌다고 하더라도 그 관리비용이 비효율적으로 높아지게 되어 대형시설이 무용지물이 되거나 가동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며, 일반 영세 농민들은 이러한 시설을 설치할 능력이 없으며 분뇨처리에 대한 지식이 없으므로 주먹구구식으로 가축분뇨를 처리하고 있어 점점 양돈장이나 우사의 주변의 환경이 황폐화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시설을 설치한다 하더라도 가축분뇨를 정수하거나 액체 비료화 작업을 수행한다 하더라도 가축 분뇨가 액체 비료가 되는 기간이 최소 5개월 내지 6개월 정도 소요되므로 생산성 측면에서 효율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질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축분뇨의 액체비료 생성시 소요되는 수개월간의 기간을 1차 물리학적인 방법을 통해 폐수내 유해 유기물을 파괴시키며 2차 생물학적인 방법으로 파괴되어진 유기물을 안정화 시켜 고효능 유기액비를 단시간(24시간∼48시간)에 발효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효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뇨2차처리수단을 통해 처리된 가축 분뇨를 분사노즐에 의해 다시 액비발효조 내부에 분무하여 액비발효조 내의 거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동제어수단을 통해 수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수신받아 설정된 수위를 초과할 경우에 분뇨유입밸브에 오프 신호를 전송하고, 송풍기(blower)에 동작 명령을 전송하여 1차 공기를 액비발효조에 공급하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분뇨2차처리밸브에 오픈 신호를 전송하며, 구동모터에 동작 명령을 전송하여 액비발효조 내의 가축 분뇨를 분뇨2차처리관에 공급하며, 2차송풍기(blower)에 동작 명령을 전송하여 액비발효조 내의 가축 분뇨에 2차 공기를 혼합한 후 다시 액비발효조 내로 자동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효능 액비 발효장치는,
가축 분뇨의 액비 발효장치에 있어서,
액비발효조(100)와;
상기 액비발효조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상측에 덮개(210)를 형성하고 있는 본체프레임(200)과;
어느 일측에 분뇨유입밸브(310)가 형성되며, 분뇨유입밸브가 오픈될 경우에 가축 분뇨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액비발효조 상측으로 인입되는 분뇨유입관(300)과;
대기중의 기체를 압축하여 공기유입관에 공급하는 송풍기(410)와;
상기 송풍기(blower)와 연결되되, 액비발효조의 바닥까지 설치 구성되어 송풍기(blower)에 의해 공급되는 기체를 미세한 기포로 액비발효조 내에 살포시키도록 미세한 구멍이 다수 천공된 산기관(420)이 형성되어 있는 공기유입관(400)과;
상기 액비발효조의 측벽에 설치 구성되어 가축분뇨의 수위한계선을 설정하고 수위를 초과할 경우에 분뇨유입밸브에 오프 신호를 전송하는 수위감지센서(500)와;
액비발효조의 측벽 하단으로 인입되며 어느 일측에 액비방출밸브(610)가 형성되되, 액비방출밸브가 오픈될 경우에 액비를 외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액비방출관(600)과;
액비발효조의 측벽 하단으로 인입되며 어느 일측에 분뇨2차처리밸브(710)가 형성되되, 분뇨2차처리밸브가 오픈될 경우에 가축 분뇨를 분뇨2차처리수단에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분뇨2차처리관(700)과;
상기 분뇨2차처리관을 통해 유입되는 가축 분뇨를 극성분리관(810)에 제공하여 가축 분뇨의 극성을 분리하여 비산 효과를 증대시켜 일측에 2차공기공급관(820)이 형성된 캐비테이션관(830)에 제공하면 2차송풍기(840)에 의해 2차공기공급관에 공급되는 2차 공기가 빠르게 유입되어 신속한 발효가 가능토록 하며, 상기 캐비테이션관의 후단부 버퍼에 충돌판(850)이 형성되어 충돌판에 의해 2차 공기를 미세화시켜 2차공급관에 제공하는 분뇨2차처리수단(800)과;
상기 어느 일측이 분뇨2차처리수단과 결합되며 타측이 분사노즐과 결합되어 있는 2차공급관(860)과;
상기 2차공급관에 의해 공급되는 가축 분뇨를 액비발효조내로 분무하여 액비발효조 내의 거품을 제거하는 분사노즐(87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고효능 액비 발효장치는 가축분뇨의 액체비료 생성시 소요되는 수개월간의 기간을 1차 물리학적인 방법을 통해 폐수내 유해 유기물을 파괴시키며 2차 생물학적인 방법으로 파괴되어진 유기물을 안정화 시켜 고효능 유기액비를 단시간(24시간∼48시간)에 발효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효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분뇨2차처리수단을 통해 처리된 가축 분뇨를 분사노즐에 의해 다시 액비발효조 내부에 분무하여 액비발효조 내의 거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자동제어수단을 통해 수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수신받아 설정된 수위를 초과할 경우에 분뇨유입밸브에 오프 신호를 전송하고, 송풍기(blower)에 동작 명령을 전송하여 1차 공기를 액비발효조에 공급하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분뇨2차처리밸브에 오픈 신호를 전송하며, 구동모터에 동작 명령을 전송하여 액비발효조 내의 가축 분뇨를 분뇨2차처리관에 공급하며, 2차송풍기(blower)에 동작 명령을 전송하여 액비발효조 내의 가축 분뇨에 2차 공기를 혼합한 후 다시 액비발효조 내로 자동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축 분뇨의 유입 및 액비 방출을 자동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효능 액비 발효장치의 전체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효능 액비 발효장치의 분뇨2차처리수단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효능 액비 발효장치의 분뇨2차처리수단 의 극성분리관의 A-A' 단면도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고효능 액비 발효장치는,
가축 분뇨의 액비 발효장치에 있어서,
액비발효조(100)와;
상기 액비발효조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상측에 덮개(210)를 형성하고 있는 본체프레임(200)과;
어느 일측에 분뇨유입밸브(310)가 형성되며, 분뇨유입밸브가 오픈될 경우에 가축 분뇨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액비발효조 상측으로 인입되는 분뇨유입관(300)과;
대기중의 기체를 압축하여 공기유입관에 공급하는 송풍기(410)와;
상기 송풍기(blower)와 연결되되, 액비발효조의 바닥까지 설치 구성되어 송풍기(blower)에 의해 공급되는 기체를 미세한 기포로 액비발효조 내에 살포시키도록 미세한 구멍이 다수 천공된 산기관(420)이 형성되어 있는 공기유입관(400)과;
상기 액비발효조의 측벽에 설치 구성되어 가축분뇨의 수위한계선을 설정하고 수위를 초과할 경우에 분뇨유입밸브에 오프 신호를 전송하는 수위감지센서(500)와;
액비발효조의 측벽 하단으로 인입되며 어느 일측에 액비방출밸브(610)가 형성되되, 액비방출밸브가 오픈될 경우에 액비를 외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액비방출관(600)과;
액비발효조의 측벽 하단으로 인입되며 어느 일측에 분뇨2차처리밸브(710)가 형성되되, 분뇨2차처리밸브가 오픈될 경우에 가축 분뇨를 분뇨2차처리수단에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분뇨2차처리관(700)과;
상기 분뇨2차처리관을 통해 유입되는 가축 분뇨를 극성분리관(810)에 제공하여 가축 분뇨의 극성을 분리하여 비산 효과를 증대시켜 일측에 2차공기공급관(820)이 형성된 캐비테이션관(830)에 제공하면 2차송풍기(840)에 의해 2차공기공급관에 공급되는 2차 공기가 빠르게 유입되어 신속한 발효가 가능토록 하며, 상기 캐비테이션관의 후단부 버퍼에 충돌판(850)이 형성되어 충돌판에 의해 2차 공기를 미세화시켜 2차공급관에 제공하는 분뇨2차처리수단(800)과;
상기 어느 일측이 분뇨2차처리수단과 결합되며 타측이 분사노즐과 결합되어 있는 2차공급관(860)과;
상기 2차공급관에 의해 공급되는 가축 분뇨를 액비발효조내로 분무하여 액비발효조 내의 거품을 제거하는 분사노즐(87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고효능 액비 발효장치는,
가축 분뇨의 액비 발효장치에 있어서,
액비발효조(100)와;
상기 액비발효조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상측에 덮개(210)를 형성하고 있는 본체프레임(200)과;
어느 일측에 분뇨유입밸브(310)가 형성되며, 분뇨유입밸브가 오픈될 경우에 가축 분뇨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액비발효조 상측으로 인입되는 분뇨유입관(300)과;
대기중의 기체를 압축하여 공기유입관에 공급하는 송풍기(410)와;
상기 송풍기(blower)와 연결되되, 액비발효조의 바닥까지 설치 구성되어 송풍기(blower)에 의해 공급되는 기체를 미세한 기포로 액비발효조 내에 살포시키도록 미세한 구멍이 다수 천공된 산기관(420)이 형성되어 있는 공기유입관(400)과;
상기 액비발효조의 측벽에 설치 구성되어 가축분뇨의 수위한계선을 설정하고 수위를 초과할 경우에 분뇨유입밸브에 오프 신호를 전송하는 수위감지센서(500)와;
액비발효조의 측벽 하단으로 인입되며 어느 일측에 액비방출밸브(610)가 형성되되, 액비방출밸브가 오픈될 경우에 액비를 외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액비방출관(600)과;
액비발효조의 측벽 하단으로 인입되며 어느 일측에 분뇨2차처리밸브(710)가 형성되되, 분뇨2차처리밸브가 오픈될 경우에 가축 분뇨를 분뇨2차처리수단에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분뇨2차처리관(700)과;
상기 분뇨2차처리관을 통해 유입되는 가축 분뇨를 극성분리관(810)에 제공하여 가축 분뇨의 극성을 분리하여 비산 효과를 증대시켜 일측에 2차공기공급관(820)이 형성된 캐비테이션관(830)에 제공하면 2차송풍기(840)에 의해 2차공기공급관에 공급되는 2차 공기가 빠르게 유입되어 신속한 발효가 가능토록 하며, 상기 캐비테이션관의 후단부 버퍼에 충돌판(850)이 형성되어 충돌판에 의해 2차 공기를 미세화시켜 2차공급관에 제공하는 분뇨2차처리수단(800)과;
상기 어느 일측이 분뇨2차처리수단과 결합되며 타측이 분사노즐과 결합되어 있는 2차공급관(860)과;
상기 2차공급관에 의해 공급되는 가축 분뇨를 액비발효조내로 분무하여 액비발효조 내의 거품을 제거하는 분사노즐(870)과;
수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수신받아 설정된 수위를 초과할 경우에 분뇨유입밸브에 오프 신호를 전송하고, 송풍기(blower)에 동작 명령을 전송하여 1차 공기를 액비발효조에 공급하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분뇨2차처리밸브에 오픈 신호를 전송하며, 구동모터에 동작 명령을 전송하여 액비발효조 내의 가축 분뇨를 분뇨2차처리관에 공급하며, 2차송풍기(blower)에 동작 명령을 전송하여 액비발효조 내의 가축 분뇨에 2차 공기를 혼합한 후 다시 액비발효조 내로 유입시키는 자동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자동제어수단은,
가축 분뇨에 2차 공기를 혼합한 후 다시 액비발효조 내로 유입시킨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될 경우에 액비방출밸브에 오픈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분뇨2차처리수단은,
분뇨2차처리관을 통해 유입되는 가축 분뇨의 극성을 분리하여 비산 효과를 증대시키는 극성분리관과,
상기 극성분리관과 결합되어 있으며, 일측에 2차공기공급관이 형성되어 2차송풍기(blower)에 의해 2차공기공급관에 공급되는 2차 공기가 빠르게 유입되어 신속한 발효가 가능토록 하는 캐비테이션관과,
상기 캐비테이션관에 유입구가 결합되며, 2차공급관에 유출구가 결합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2차 공기를 미세화시키기 위한 충돌판이 형성되어 있는 버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극성분리관은,
분뇨2차처리관을 통해 유입되는 가축 분뇨를 통과시키는 극성분리구와,
상기 극성분리구의 중앙에 형성되는 중심자석과,
상기 극성분리구의 외관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주변자석과,
분뇨2차처리관을 통해 유입되는 가축 분뇨의 유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스크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버퍼는,
캐비테이션관보다 둘레가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고효능 액비 발효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효능 액비 발효장치의 전체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고효능 액비 발효장치는,
액비발효조(100)와;
상기 액비발효조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상측에 덮개(210)를 형성하고 있는 본체프레임(200)과;
어느 일측에 분뇨유입밸브(310)가 형성되며, 분뇨유입밸브가 오픈될 경우에 가축 분뇨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액비발효조 상측으로 인입되는 분뇨유입관(300)과;
대기중의 기체를 압축하여 공기유입관에 공급하는 송풍기(410)와;
상기 송풍기(blower)와 연결되되, 액비발효조의 바닥까지 설치 구성되어 송풍기(blower)에 의해 공급되는 기체를 미세한 기포로 액비발효조 내에 살포시키도록 미세한 구멍이 다수 천공된 산기관(420)이 형성되어 있는 공기유입관(400)과;
상기 액비발효조의 측벽에 설치 구성되어 가축분뇨의 수위한계선을 설정하고 수위를 초과할 경우에 분뇨유입밸브에 오프 신호를 전송하는 수위감지센서(500)와;
액비발효조의 측벽 하단으로 인입되며 어느 일측에 액비방출밸브(610)가 형성되되, 액비방출밸브가 오픈될 경우에 액비를 외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액비방출관(600)과;
액비발효조의 측벽 하단으로 인입되며 어느 일측에 분뇨2차처리밸브(710)가 형성되되, 분뇨2차처리밸브가 오픈될 경우에 가축 분뇨를 분뇨2차처리수단에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분뇨2차처리관(700)과;
상기 분뇨2차처리관을 통해 유입되는 가축 분뇨를 극성분리관(810)에 제공하여 가축 분뇨의 극성을 분리하여 비산 효과를 증대시켜 일측에 2차공기공급관(820)이 형성된 캐비테이션관(830)에 제공하면 2차송풍기(840)에 의해 2차공기공급관에 공급되는 2차 공기가 빠르게 유입되어 신속한 발효가 가능토록 하며, 상기 캐비테이션관의 후단부 버퍼(856)에 충돌판(850)이 형성되어 충돌판에 의해 2차 공기를 미세화시켜 2차공급관에 제공하는 분뇨2차처리수단(800)과;
상기 어느 일측이 분뇨2차처리수단과 결합되며 타측이 분사노즐과 결합되어 있는 2차공급관(860)과;
상기 2차공급관에 의해 공급되는 가축 분뇨를 액비발효조내로 분무하여 액비발효조 내의 거품을 제거하는 분사노즐(8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프레임(200)은 액비발효조(100)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측에 덮개(210)를 형성하고 있게 된다.
상기 분뇨유입관(300)은 액비발효조내로 가축분뇨를 투입하는 투입관으로 액비발효조의 상측으로 인입되며, 어느 일측에 분뇨유입밸브(310)가 형성되며, 분뇨유입밸브가 오픈될 경우에 가축 분뇨를 공급하게 된다.
또한, 균주 활성화를 수행할 수 있는 조건을 형성하도록 규산염으로 제조되는 생약 제재를 분뇨유입관에 투입할 수도 있다.
즉, 액비발효조 내부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외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물질이 액비발효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또는 가축 분뇨의 공급을 수위감지센서에서 오프 신호가 전송되기 전까지 수행하며 오프 신호 수신시 공급을 차단하는 것이다.
상기 공기유입관(130)은 송풍기(blower)에 의해 제공된 1차 공기를 액비발효조 내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액비발효조의 바닥까지 설치 구성되어 송풍기(blower)에 의해 공급되는 기체를 미세한 기포로 액비발효조 내에 살포시키도록 미세한 구멍이 다수 천공된 산기관을 하측에 형성하여 이를 통해 1차 공기를 미세한 기포형태로 액비발효조 내에 살포하여 가축분뇨에 대한 산소의 용존률을 높이게 된다.
한편, 액비방출관(600)은 액비발효조의 측벽 하단으로 인입되도록 형성하며 어느 일측에 액비방출밸브(610)를 형성시켜 액비방출밸브가 오픈될 경우에 액비를 외부로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액비방출관은 액비발효조내의 액비를 수득하기 위해 모터펌프(미도시)에 의해 액비발효조내의 액비를 외부로 방출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효능 액비 발효장치의 분뇨2차처리수단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뇨2차처리수단은,
분뇨2차처리관을 통해 유입되는 가축 분뇨를 극성분리관(810)에 제공하여 가축 분뇨의 극성을 분리하여 비산 효과를 증대시켜 일측에 2차공기공급관(820)이 형성된 캐비테이션관(830)에 제공하면 2차송풍기(840)에 의해 2차공기공급관에 공급되는 2차 공기가 빠르게 유입되어 신속한 발효가 가능토록 하며, 상기 캐비테이션관의 후단부 버퍼(856)에 충돌판(850)이 형성되어 충돌판에 의해 2차 공기를 미세화시켜 2차공급관에 제공하게 된다.
또한, 분뇨2차처리관(700)이 액비발효조의 측벽 하단으로 인입되며 일측에 분뇨2차처리밸브(710)가 형성되되, 분뇨2차처리밸브가 오픈될 경우에 가축 분뇨를 분뇨2차처리수단에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 구성된다.
또한, 2차공급관(860)이 상기 분뇨2차처리수단의 어느 일측과 결합되며 타측이 분사노즐과 결합되게 된다.
상기 분사노즐(870)은 2차공급관에 의해 공급되는 가축 분뇨를 액비발효조내로 분무하여 액비발효조 내의 거품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인 분뇨2차처리수단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분뇨2차처리수단은,
분뇨2차처리관을 통해 유입되는 가축 분뇨의 극성을 분리하여 비산 효과를 증대시키는 극성분리관(810)과,
상기 극성분리관과 결합되어 있으며, 일측에 2차공기공급관이 형성되어 2차송풍기(840)에 의해 2차공기공급관에 공급되는 2차 공기가 빠르게 유입되어 신속한 발효가 가능토록 하는 캐비테이션관(830)과,
상기 캐비테이션관에 유입구(831)가 결합되며, 2차공급관에 유출구(832)가 결합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2차 공기를 미세화시키기 위한 충돌판(850)이 형성되어 있는 버퍼(85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극성분리관(810)은
분뇨2차처리관을 통해 유입되는 가축 분뇨를 통과시키는 극성분리구(810a)와,
상기 극성분리구의 중앙에 형성되는 중심자석(811)과,
상기 극성분리구의 외관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주변자석(8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극성분리구의 내부에 통과되는 가축 분뇨(이때, 통과되는 가축 분뇨는 1차적으로 캐비테이션관에 의해 산화된 가축 분뇨를 의미한다.)에 비산 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중심자석과 주변자석으로 형성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극성을 띄게 되므로 가축 분뇨의 극성을 분리하여 비산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극성분리관의 하측에 분뇨2차처리관을 통해 유입되는 가축 분뇨의 유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스크류(813)를 형성하게 된다.
즉, 유입되는 가축 분뇨가 스크류에 의해 원활하게 유입되게 된다.
이를 통해 유속이 빨라져 신속하게 가축 분뇨가 유입되는 것이며, 분뇨2차처리관에 연결된 구동모터(720)에 의해 가축 분뇨를 빨아들이게 된다.
상기 캐비테이션관(830)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극성분리관과 결합되어 있으며, 일측에 2차공기공급관(820)이 형성되어 2차송풍기(840)에 의해 2차공기공급관에 공급되는 2차 공기가 빠르게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극성분리관을 통과한 가축 분뇨가 통과 구간이 줄어들도록 형성되어 있는 캐비테이션관에 진입할 경우에 유속이 빨라질 수밖에 없으며, 2차공기공급관에 공급되는 2차 공기가 빠르게 유입되어 효소가 대폭 발생하여 종래의 수개월에 걸친 발효를 24시간∼48시간 내로 신속하게 발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버퍼(856)의 유입구(831)에 캐비테이션관을 결합시켜 구성하게 되는데, 타측에 형성된 유출구(832)가 2차공급관에 결합되도록 구성하게 된다.
상기 버퍼의 내부에는 충돌판(850)을 형성하여 2차 공기를 미세화시키게 된다.
상기 충돌판을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브라켓(855)을 충돌판과 결합시킨 후 상기 고정브라켓을 버퍼의 어느 일측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충돌판에 충돌되어 미세화된 2차 공기는 유출구를 통해 2차공급관에 공급하게 된다.
상기 버퍼는 캐비테이션관보다 둘레를 더욱 넓게 하여 고압의 캐비테이션관을 통과하는 가축 분뇨가 버퍼를 통과하는 순간 유속이 빨라지는 원리를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액비 생산장치는,
수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수신받아 설정된 수위를 초과할 경우에 분뇨유입밸브에 오프 신호를 전송하고, 송풍기(blower)에 동작 명령을 전송하여 1차 공기를 액비발효조에 공급하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분뇨2차처리밸브에 오픈 신호를 전송하며, 구동모터에 동작 명령을 전송하여 액비발효조 내의 가축 분뇨를 분뇨2차처리관에 공급하며, 2차송풍기에 동작 명령을 전송하여 액비발효조 내의 가축 분뇨에 2차 공기를 혼합한 후 다시 액비발효조 내로 유입시키는 자동제어수단(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수동으로 처리할 수 있지만 상기와 같이 자동제어수단을 구성함으로써 가축 분뇨의 유입 및 액비 방출을 자동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설정된 시간 정보는 메모리부(미도시)에 저장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자동제어수단은 수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수신받아 설정된 수위를 초과할 경우에 분뇨유입밸브에 오프 신호를 전송하고, 분뇨유입밸브를 차단하게 된다.
또한, 차단과 동시에 송풍기(blower)에 동작 명령을 전송하여 1차 공기를 액비발효조에 공급하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이를 위하여 타이머부(미도시)를 구성하게 된다.) 분뇨2차처리밸브에 오픈 신호를 전송하여 분뇨2차처리밸브가 열리게 되며 동시에 구동모터에 동작 명령을 전송하여 액비발효조 내의 가축 분뇨를 분뇨2차처리관에 공급하도록 한다.
또한, 2차송풍기(blower)에 동작 명령을 전송하여 액비발효조 내의 가축 분뇨가 캐비테이션관을 통과하는 동안에 2차 공기를 혼합한 후 다시 액비발효조 내로 유입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통해 액비발효조에 다시 유입된 가축 분뇨를 설정된 시간이 경과될 경우에 액비방출밸브에 오픈 신호를 전송하여 액비방출밸브를 열게 되면 해당 액비가 액비방출관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최초 유입되는 가축 분뇨는 초록빛 혹은 검푸른 빛을 띄고 있으나,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할 경우에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갈색 혹은 커피색을 띄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동작을 통해 가축분뇨의 액체비료 생성시 소요되는 수개월간의 기간을 1차 물리학적인 방법을 통해 폐수내 유해 유기물을 파괴시키며 2차 생물학적인 방법으로 파괴되어진 유기물을 안정화 시켜 고효능 유기액비를 단시간(24시간∼48시간)에 발효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효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액비발효조
200 : 본체프레임
210 : 덮개
300 : 분뇨유입관
310 : 분뇨유입밸브
400 : 공기유입관
410 : 송풍기
420 : 산기관
500 : 수위감지센서
600 : 액비방출관
610 : 액비방출밸브
700 : 분뇨2차처리관
710 : 분뇨2차처리밸브
800 : 분뇨2차처리수단
810 : 극성분리관
820 : 2차공기공급관
830 : 캐비테이션관
840 : 2차송풍기
850 : 충돌판
860 : 2차공급관
870 : 분사노즐

Claims (6)

  1. 삭제
  2. 가축 분뇨의 액비 발효장치에 있어서,
    액비발효조(100)와;
    상기 액비발효조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상측에 덮개(210)를 형성하고 있는 본체프레임(200)과;
    어느 일측에 분뇨유입밸브(310)가 형성되며, 분뇨유입밸브가 오픈될 경우에 가축 분뇨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액비발효조 상측으로 인입되는 분뇨유입관(300)과;
    대기중의 기체를 압축하여 공기유입관에 공급하는 송풍기(410)와;
    상기 송풍기와 연결되되, 액비발효조의 바닥까지 설치 구성되어 송풍기에 의해 공급되는 기체를 미세한 기포로 액비발효조 내에 살포시키도록 미세한 구멍이 다수 천공된 산기관(420)이 형성되어 있는 공기유입관(400)과;
    상기 액비발효조의 측벽에 설치 구성되어 가축분뇨의 수위한계선을 설정하고 수위를 초과할 경우에 분뇨유입밸브에 오프 신호를 전송하는 수위감지센서(500)와;
    액비발효조의 측벽 하단으로 인입되며 어느 일측에 액비방출밸브(610)가 형성되되, 액비방출밸브가 오픈될 경우에 액비를 외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액비방출관(600)과;
    액비발효조의 측벽 하단으로 인입되며 어느 일측에 분뇨2차처리밸브(710)가 형성되되, 분뇨2차처리밸브가 오픈될 경우에 가축 분뇨를 분뇨2차처리수단에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분뇨2차처리관(700)과;
    상기 분뇨2차처리관을 통해 유입되는 가축 분뇨를 극성분리관(810)에 제공하여 가축 분뇨의 극성을 분리하여 비산 효과를 증대시켜 일측에 2차공기공급관(820)이 형성된 캐비테이션관(830)에 제공하면 2차송풍기(840)에 의해 2차공기공급관에 공급되는 2차 공기가 빠르게 유입되어 신속한 발효가 가능토록 하며, 상기 캐비테이션관의 후단부 버퍼에 충돌판(850)이 형성되어 충돌판에 의해 2차 공기를 미세화시켜 2차공급관에 제공하는 분뇨2차처리수단(800)과;
    상기 어느 일측이 분뇨2차처리수단과 결합되며 타측이 분사노즐과 결합되어 있는 2차공급관(860)과;
    상기 2차공급관에 의해 공급되는 가축 분뇨를 액비발효조내로 분무하여 액비발효조 내의 거품을 제거하는 분사노즐(870)과;
    수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수신받아 설정된 수위를 초과할 경우에 분뇨유입밸브에 오프 신호를 전송하고, 송풍기에 동작 명령을 전송하여 1차 공기를 액비발효조에 공급하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분뇨2차처리밸브에 오픈 신호를 전송하며, 구동모터에 동작 명령을 전송하여 액비발효조 내의 가축 분뇨를 분뇨2차처리관에 공급하며, 2차송풍기에 동작 명령을 전송하여 액비발효조 내의 가축 분뇨에 2차 공기를 혼합한 후 다시 액비발효조 내로 유입시키는 자동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자동제어수단은,
    가축 분뇨에 2차 공기를 혼합한 후 다시 액비발효조 내로 유입시킨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될 경우에 액비방출밸브에 오픈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분뇨2차처리수단은,
    분뇨2차처리관을 통해 유입되는 가축 분뇨를 통과시키는 극성분리구와,
    상기 극성분리구의 중앙에 형성되는 중심자석과,
    상기 극성분리구의 외관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주변자석과,
    분뇨2차처리관을 통해 유입되는 가축 분뇨의 유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스크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극성분리관과,
    상기 극성분리관과 결합되어 있으며, 일측에 2차공기공급관이 형성되어 2차송풍기에 의해 2차공기공급관에 공급되는 2차 공기가 빠르게 유입되어 신속한 발효가 가능토록 하는 캐비테이션관과,
    상기 캐비테이션관에 유입구가 결합되며, 2차공급관에 유출구가 결합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2차 공기를 미세화시키기 위한 충돌판이 형성되어 있되, 캐비테이션관보다 둘레가 넓게 형성되는 버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능 액비 발효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100138208A 2010-12-29 2010-12-29 고효능 액비 발효장치 KR101056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38208A KR101056224B1 (ko) 2010-12-29 2010-12-29 고효능 액비 발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38208A KR101056224B1 (ko) 2010-12-29 2010-12-29 고효능 액비 발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6224B1 true KR101056224B1 (ko) 2011-08-11

Family

ID=44933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138208A KR101056224B1 (ko) 2010-12-29 2010-12-29 고효능 액비 발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622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905B1 (ko) * 2011-11-17 2013-09-10 주식회사 인송지이 가축분뇨를 이용한 양액 제조장치
KR101458532B1 (ko) * 2014-07-29 2014-11-07 코오롱워터앤에너지 주식회사 슬러지 감량장치
JP2018093826A (ja) * 2016-12-16 2018-06-21 有限会社タイヨー種苗 発酵有機物の製造方法
CN109987974A (zh) * 2019-04-30 2019-07-09 内蒙古自治区农牧业科学院 一种牛羊粪制肥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9428A (ko) * 2001-07-16 2001-08-22 박행정 액상물 고속발효장치
KR20090115420A (ko) * 2008-05-02 2009-11-05 주식회사 로보터스 고효율 오존용해장치 및 미세기포 오존을 이용한 슬러지 감량화 장치
KR20100049910A (ko) * 2008-11-04 2010-05-13 덕인환경주식회사 액체비료 고속발효장치
KR20110007551A (ko) * 2009-07-16 2011-01-24 최근환 고효율 액비 생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9428A (ko) * 2001-07-16 2001-08-22 박행정 액상물 고속발효장치
KR20090115420A (ko) * 2008-05-02 2009-11-05 주식회사 로보터스 고효율 오존용해장치 및 미세기포 오존을 이용한 슬러지 감량화 장치
KR20100049910A (ko) * 2008-11-04 2010-05-13 덕인환경주식회사 액체비료 고속발효장치
KR20110007551A (ko) * 2009-07-16 2011-01-24 최근환 고효율 액비 생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905B1 (ko) * 2011-11-17 2013-09-10 주식회사 인송지이 가축분뇨를 이용한 양액 제조장치
KR101458532B1 (ko) * 2014-07-29 2014-11-07 코오롱워터앤에너지 주식회사 슬러지 감량장치
JP2018093826A (ja) * 2016-12-16 2018-06-21 有限会社タイヨー種苗 発酵有機物の製造方法
CN109987974A (zh) * 2019-04-30 2019-07-09 内蒙古自治区农牧业科学院 一种牛羊粪制肥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60629C (en) Automated biogenerator
KR101056224B1 (ko) 고효능 액비 발효장치
KR101108359B1 (ko) 고효율 액비 생산장치
KR101582908B1 (ko) 막힘 해소 구조를 갖는 공기공급 노즐을 구비한 퇴비발효기
CN106614238A (zh) 一种循环水养殖装置
CN210726401U (zh) 一种水产养殖智能监控系统
CN208104189U (zh) 养殖场污染物处理系统
CN101946742A (zh) 一种水产精养池塘养殖用水处理和循环利用方法
KR101174252B1 (ko) 액상발효소멸식 음식물 처리장치
KR102102437B1 (ko) 고농도 폐수처리를 위한 고속산화장치
KR20180078622A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용 소멸기
CN101492313A (zh) 粪尿资源化生物处理装置
CN206238017U (zh) 便于通风排粪的猪舍
KR100786141B1 (ko) 미생물용 배지생산 및 미생물배양을 위한 장치
CN205874129U (zh) 一种农业养殖污水处理装置
JP2000072579A (ja) 畜産動物の排泄物処理装置
CN206371282U (zh) 一种畜牧饲养消毒清洁设备
JPH10165795A (ja) 水質改善装置
CN207159051U (zh) 一种用于畜禽粪污资源化的装置
KR20130071054A (ko) 액비 발효장치
CN207294543U (zh) 一种带微生物发酵预处理的一体化养殖污水处理装置
EP0943677B1 (en) Automated biogenerator
CN217732906U (zh) 一种畜牧饲养污水导流装置
CN210085226U (zh) 人畜粪便处理设备
JPH0811239B2 (ja) 畜産動物の排泄物処理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