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3889A - 지속적인 처리수 순환이 가능한 액비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지속적인 처리수 순환이 가능한 액비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3889A
KR20160073889A KR1020150017506A KR20150017506A KR20160073889A KR 20160073889 A KR20160073889 A KR 20160073889A KR 1020150017506 A KR1020150017506 A KR 1020150017506A KR 20150017506 A KR20150017506 A KR 20150017506A KR 20160073889 A KR20160073889 A KR 20160073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ater
reaction tank
treated water
treatmen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7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1694B1 (ko
Inventor
백용기
Original Assignee
백용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용기 filed Critical 백용기
Publication of KR20160073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3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05F3/06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C05F17/964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 C05F17/971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for feeding or discharging materials to be treated; for feeding or discharging other material
    • C05F17/979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for feeding or discharging materials to be treated; for feeding or discharging other material the other material being gaseou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C05F17/964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 C05F17/971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for feeding or discharging materials to be treated; for feeding or discharging other material
    • C05F17/986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for feeding or discharging materials to be treated; for feeding or discharging other material the other material being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20Liquid fertilis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Fertilizer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분뇨에서 분리된 처리수를 발효시켜 액비를 생산하는 액비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상기 처리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선택적으로 밀폐 가능하도록 구성된 반응조, 상기 반응조의 상부에서 복수 개의 연통구를 가지며 상기 반응조에 수용된 상기 처리수를 균일한 압력으로 흡입하는 흡입챔버 및 일측이 상기 흡입챔버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반응조의 하부와 연통되며, 상기 반응조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처리수를 흡입하여 상기 반응조의 하부로 순환시키는 처리수 순환배관을 포함하는 처리수 순환유닛 및 일부가 상기 처리수 순환배관에 연결되며 순환하는 상기 처리수에 산소 또는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처리수의 발효가 촉진되도록 하는 에어공급유닛을 포함하는 액비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지속적인 처리수 순환이 가능한 액비 제조장치{Liquefied Fertilizer Manufacturing Apparatus for Continuous Circulating of Treated Water}
본 발명은 지속적인 처리수 순환이 가능한 액비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산소를 공급하며 수용된 처리수를 지속적으로 순환시켜 축산분뇨를 액비로 빠르게 발효시킬 수 있으며, 발효 시 발생되는 기포를 소포하여 파손을 방지하고 발효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지속적인 처리수 순환이 가능한 액비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산폐수, 분뇨 및 음식물폐수 등과 같은 유기폐수는 이송차량에 의해 집수조로 저장된 후, 스크린 분리 또는 고액원심분리기에 의해 비교적 큰 오물이나 이물질이 걸러내진 다음, 저장조로 이송되어 미세한 고체 부유물을 함유하는 슬러지가 분리된 후, 침전조로 이송되어 침전처리된 다음(이하 "사전처리"라 한다), 침전물은 탈수화단계를 거쳐 고체부유물을 함유하는 슬러지와 혼합되어 퇴비화되고 사전 처리된 침전조의 상등수는 유량조정조를 거쳐 액비생산용 반응기(반응조)에서 발효 처리되어 액상의 비료(액비)로 제조된다.
그러나 종래의 액비생산용 반응기는 단순히 외부공기를 반응기 내로 급기시키는 급기수단이나 내부로 유입된 침전조의 상등수를 가열하는 히팅수단이 부설되는 정도의 구성만 가짐에 따라 단시간 내에는 양질의 액비를 생산시키는 데 한계가 있었다.
특히, 거품의 발생은 원수 상층부에 거품층이 형성하기 시작하며 이러한 거품은 대부분 산기관을 통과한 공기가 용존되어 지지 못하고 표면의 유분기와 만나서 거품층을 형성한다. 대략 10cm정도는 원수 표면에서 가스 교환을 방해한다.
또한, 생물학적 거품은 미세 거품 발생의 원인이 되어 급격한 거품층의 성장을 주도하며 급격한 거품층의 팽창을 초래하여 정상 발효를 막는다.
이에 따라 반응기 내부에 수용된 원수의 수면이 하강하여 처리수의 순환을 방해하는 문제가 발생하며 이와 함께 발효가 억제되어 액비 생산속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처리수를 발효시키기 위한 반응조 내부에 수용된 처리수 산소 또는 내부공기를 선택적으로 혼합하여 순환시킴으로써 단시간에 액비를 생산함과 동시에 상기 처리수에서 발생되는 기포를 제거할 수 있는 지속적인 처리수 순환이 가능한 액비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가축분뇨에서 분리된 처리수를 발효시켜 액비를 생산하는 액비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상기 처리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선택적으로 밀폐 가능하도록 구성된 반응조, 상기 반응조의 상부에서 복수 개의 연통구를 가지며 상기 반응조에 수용된 상기 처리수를 균일한 압력으로 흡입하는 흡입챔버 및 일측이 상기 흡입챔버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반응조의 하부와 연통되며, 상기 반응조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처리수를 흡입하여 상기 반응조의 하부로 순환시키는 처리수 순환배관을 포함하는 처리수 순환유닛 및 일부가 상기 처리수 순환배관에 연결되며 순환하는 상기 처리수에 산소 또는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처리수의 발효가 촉진되도록 하는 에어공급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흡입챔버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하부방향에 상기 연통구가 상대적으로 많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챔버는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기포가 발생하여 상기 처리수의 수면이 하강하는 경우 복수 개의 상기 연통구 중 하부에 위치한 연통구를 통해 상기 처리수를 지속적으로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수 순환배관은 일측이 분기되어 복수 개로 구성되고, 상기 흡입챔버는 복수 개의 상기 처리수 순환배관의 일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챔버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연통구의 크기가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수 순환유닛은 상기 처리수 순환배관의 순환경로상에서 직경이 감소 및 증가하도록 구성되고 순환하는 상기 처리수를 압축 및 팽창시키는 벤츄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공급유닛은 일측이 외부와 연통되며 외기를 흡입하여 타측으로 공급하는 공기공급부 및 상기 공기순환부와 연통되어 공급되는 상기 공기를 수용하고, 상기 벤츄리와 연통되어 상기 처리수 순환배관을 따라 순환하는 상기 처리수에 상기 상기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공급유닛은 별도의 산소공급원과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에어챔버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공급유닛은 일측이 상기 반응조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반응조 내부에서 발생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에어챔버로 내부공기를 전달하는 공기순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조에 수용된 상기 처리수를 흡입하여 상부에서 하부로 분사하며 상기 처리수에서 발생된 기포를 제거하는 소포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액비 제조장치에서 액비 제조장치는 처리수 순환유닛과, 에어공급유닛을 구비하여 반응조에 수용된 처리수를 강제로 순환시킴과 동시에 산소 또는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처리수의 발효 속도를 강제로 증가시켜 단시간에 액비를 생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반응조에 수용된 처리수를 흡입하는 흡입챔버는 상부영역에 비해 하부영역이 상대적으로 많은 처리수를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처리수에 거품층이 형성되어 처리수의 수면 높이가 낮아지더라도 흡입챔버는 정압을 유지하며 지속적으로 처리수를 흡입하여 순환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비 제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액비 제조장치에서 처리수 순환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액비 제조장치에서 에어챔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액비 제조장치에서 흡입챔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의 흡입챔버에서 처리수의 수면 높이가 흡입챔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상태에서 처리수를 흡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6은 도 5의 흡입챔버에서 처리수의 수면 높이가 흡입챔버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상태에서 처리수를 흡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비 제조장치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비 제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액비 제조장치에서 처리수 순환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액비 제조장치에서 에어챔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의 액비 제조장치에서 흡입챔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흡입챔버에서 처리수의 수면 높이가 흡입챔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상태에서 처리수를 흡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5의 흡입챔버에서 처리수의 수면 높이가 흡입챔버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상태에서 처리수를 흡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가축분뇨는 수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후 별도의 집수로에 수용된다. 그리고 집수로에 수용된 가축분뇨는 원심분리기를 통해 액체상태의 처리수와 고형으로 분리된다.
이와 같이 분리된 상기 처리수는 본 출원발명에 따른 액비 제조장치에 의해 발효되어 액체 비료로 제조된다.
여기서 상기 고체 비료는 별도의 퇴비처리 설비로 이송되어 비료로 사용될 수 있도록 처리공정을 거치게 된다. 그리고 액체상태의 처리수(30)는 액비 제조장치로 공급된다.
그리고 이와 이와 같은 액비 제조장치는 고액분리기에 연결되어 액형으로 분리된 상기 처리수(30)를 수용하고, 이를 발효시켜 액비로 변환하여 생산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액비 제조장치은 크게 반응조(100), 처리수 순환유닛(200), 에어공급유닛(300)을 포함하며 상기 반응조(100)에 상기 처리수(30)를 수용하여 상기 액비로 변환시킨다.
여기서, 상기 반응조(100)에 수용된 상기 처리수(30)는 공기 또는 산소를 공급받으며 내부에서 순환하고, 상기 처리수(30)에서 발생되는 기포(기포)을 제거하여 용존산소량을 증가시켜 강제적으로 발효시킴으로써 상기 액비를 단시간에 생산할 수 있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액비 제조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상술한 바와 같이 크게 상기 처리수(30)가 수용되는 상기 반응조(100), 상기 반응조(100)에 수용된 상기 처리수(30)를 순환시키는 상기 처리수 순환유닛(200), 상기 처리수 순환유닛(200)에 의해 순환하는 상기 처리수(30)에 산소 또는 공기를 공급하여 혼합시키는 상기 에어공급유닛(300) 및 상기 처리수(30)에서 발생되는 기포를 제거하는 상기 소포유닛(400)을 포함한다.
상기 반응조(100)는 상기 고액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상기 처리수(30)를 수용하는 구성으로써 내부에 상기 처리수(3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10)이 형성되며, 상기 처리수(30)가 유입되는 유입구(102) 및 생산된 상기 액비가 배출되는 배출구(104)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응조(100)는 상기 유입구(102)와 상기 배출구(104)가 상기 수용공간(110)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처리수(30)가 내부에 수용되어 발효시킬 수 있도록 밀폐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반응조(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110)의 하부에 별도의 슬러지 토출구(106)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상기 반응조(100)의 하면이 경사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응조(100)는 경사를 가지도록 구성된 하면의 최하단부에 상기 슬러지 토출구(106)가 구비되어 하면에 침전되는 상기 슬러지를 가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반응조(100)는 상기 액비가 생성되어 비워지는 경우 별도의 세척수에 의해 침전된 상기 슬러지가 세척되고, 이와 같이 상기 세척수에 의해 상기 슬러지가 상기 슬러지 토출구(106)를 통해 배출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액비 제조장치에서 상기 반응조(100)에 별도의 온도센서(미도시)를 구비하여 발효온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하단에 시료 채취구를 구비하여 상기 처리수(30)의 발효상태를 시간대별로 확인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반응조(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개구부(108)가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가 팽창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처리수(30)는 상기 분뇨에서 액상으로 분리된 액체를 나타내며, 상기 액비는 상기 처리수(30)가 발효되어 비료로 변환된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상기 처리수 순환유닛(200)은, 상기 반응조(10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반응조(100) 내부에 수용된 상기 처리수(30)를 순환시킨다.
상기 처리수 순환유닛(200)은 상기 반응조(100) 내부에 구비되어 수용된 상기 처리수(30) 중에서 상부에 위치한 상기 처리수(30)를 하부로 이송시키는 구성으로써, 크게 흡입챔버(210), 처리수 순환배관(220) 및 벤츄리(2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흡입챔버(210)로부터 흡입된 상기 처리수(30)는 상기 처리수 순환배관(220)을 통해 상기 벤츄리(230)를 거치며 순환하여 상기 반응조(100)의 하부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벤츄리(230)는 후술하는 에어챔버(320)와 연통되어 산소 또는 공기를 공급받아 순환하는 상기 처리수(30)에 용존되도록 한다.
상기 흡입챔버(210)는 상기 반응조(100)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복수 개의 연통구를 가지며, 상기 반응조(100)에 수용된 상기 처리수(30)를 흡입한다.
여기서, 상기 흡입챔버(210)는 장착수단(미도시)에 의해 상기 반응조(100) 내부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선택적으로 상하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입챔버(210)는 상기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연통구(212)가 상대적으로 많이 배치된다. 즉, 상기 흡입챔버(210)의 하부가 상부보다 상대적으로 연통구(212)의 밀도가 더 크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흡입챔버(210)에 형성된 상기 연통구(212)는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상기 흡입챔버(210)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연통구(212)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챔버(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기둥형태로 형성되며 상부가 개구되어 형성되며 측면에 상기 연통구(2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챔버(210)의 하부에는 상기 처리수 순환배관(220)의 일측이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 수용된 상기 처리수(30)가 흡입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챔버(210)는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 수용된 상기 처리수(30)의 상층수를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반응조(100)의 하면에서 일정 높이 이상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여 상기 처리수(30)의 상층수를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처리수 순환배관(220)은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흡입챔버(210)와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반응조(100)의 하부와 연통되어 상기 흡입챔버(210)를 통해 흡입된 상기 처리수(30)를 상기 반응조(100)의 하부로 공급하여 순환시키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처리수 순환배관(220)은 길게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유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양단부가 각각 상기 반응조(100) 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처리수(30)가 순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처리수 순환배관(220)은 길이방향에 따른 일부가 상기 반응조(100) 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반응조(100)는 내부가 완전히 밀폐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처리수 순환배관(220)은 길이방향에 따른 일부가 상기 반응조(100)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반응조(100) 외부에 구비된 별도의 제1펌프(328)가 연결되어 상기 처리수(30)가 순환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처리수 순환배관(220)은 일측이 복수 개로 분기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상기 흡입챔버(210)와 연결되며, 상기 흡입챔버(210)로부터 흡입된 상기 처리수(30)를 순환시켜 다시 상기 반응조(100)의 하부로 공급한다.
여기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처리수 순환배관(220)의 타측은 상기 흡입챔버(210)를 통해 유입된 상기 처리수(30)를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서 바닥을 향해 토출시키도록 분사구(222)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처리수 순환배관(220)의 타측은 분기되어 상기 처리수(30)가 상기 수용공간(110)의 바닥을 향해 토출되도록 상기 분사구(222)가 구성됨으로써 상기 처리수(30)의 토출압력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110)의 바닥으로 순환하는 상기 처리수(30)가 확산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반응조(100) 내부에 수용된 처리수(30)와 상기 처리수 순환유닛(200)에 의해 순환하는 처리수(30)가 혼합되며 교반을 이루어 고르게 혼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처리수 순환배관(2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분기되어 복수 개로 구성되고, 상기 흡입챔버(210)는 복수 개의 상기 처리수 순환배관(220)의 일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상기 처리수(30)를 고르게 흡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벤츄리(230)는 상기 처리수 순환배관(220)상의 순환경로상에서 직경이 감소 및 증가하도록 구성되어 순환하는 상기 처리수(30)를 압축 및 팽창시키도록 하는 구성으로써 상기 처리수(30)가 상기 반응조(100)의 하부로 공급되기 전에 압축 및 팽창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기 벤츄리(230)는 후술하는 상기 에어챔버(320)와 연통되어 산소 또는 공기를 공급받아 순환하는 상기 처리수(30)에 용존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벤츄리(230)는 상기 벤츄리(230)관(Venturitube)을 이용한Cavitation(공동)현상과 함께 상기 벤츄리(230)노즐에 미세 산소흡입관(340)을 설치하여, 급속팽창에 의한 유체(원수)의 물리적 변화와 산소공급량 증가에 따른 호기성 조건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벤츄리(230)는 상기 에어챔버(320)와 미세한 산소흡입관(340)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처리수(30)의 팽창 시 상기 에어챔버(320)에 수용된 상기 산소 또는 상기 공기가 고르게 많은 양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벤츄리(230)를 경유하는 상기 처리수(30)는 압축 및 팽창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거치게 되며, 상기 처리수(30)의 팽창과 동시에 상기 산소 또는 상기 공기가 공급되어 상기 처리수(30) 내에 용존되도록 한다.
상기 벤츄리(230)는 상기 처리수 순환배관(220)의 순환경로상에서 직경이 감소 및 증가하도록 구성되고 순환하는 상기 처리수(30)를 압축 및 팽창시키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벤츄리(230)는 상기 에어챔버(320)와 연통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처리수 순환배관(220)을 따라 순환하는 상기 처리수(30)의 용량에 따라 상기 산소 또는 공기가 안정적으로 용존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처리수 순환유닛(200)은 상기 흡입챔버(210)를 통해 상기 반응조(100) 상부에 수용된 상기 처리수(30)를 안정적으로 흡입하고, 흡입된 상기 처리수(30)는 상기 처리수 순환유닛(200)을 통해 순환하며, 상기 벤츄리(230)에서 산소 또는 공기 중 어느 하나와 혼합되어 다시 상기 반응조(100)의 하부로 공급된다.
이때, 후술하는 에어공급유닛(300)으로부터 공급되는 산소 또는 공기가 상기 벤츄리(230)를 따라 순환하는 상기 처리수(30)의 압력의 변화에 의해 상기 벤츄리(230) 내부로 빨려 들어가 상기 처리수(30)와 혼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처리수(30)는 상기 산소 또는 상기 공기가 용존되어 상기 반응조(100) 내부에서 순환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벤츄리(230)는 하나로 구성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에어챔버(320)와 미세 산소흡입관(340)을 통해 연통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벤츄리(230)는 상기 처리수 순환배관(220)상에서 복수 개가 병렬로 배치되어 상기 에어챔버(320)와 연통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처리수 순환배관(220)에는 별도의 투입구(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반응조(100)로 순환되는 상기 처리수(30)에 악취저감 및 발효촉진을 위한 별도의 첨가제(미도시)를 추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처리수 순환배관(220)에 상기 투입구가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반응조(100)에서 발효되는 상기 처리수(30)의 상태를 확인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첨가제의 투입여부를 조절함으로써 보다 원활하게 상기 액비를 생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처리수 순환유닛(2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흡입챔버(210), 처리수 순환배관(220) 및 벤츄리(230)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챔버(210)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110) 상부에 위치한 상기 처리수(30)를 하부방향으로 순환시키며, 상기 반응조(100) 내에 수용된 상기 처리수(30)가 고르게 혼합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에어공급유닛(300)은 상기 처리수 순환유닛(200)에 의해 순환하는 상기 처리수(30)에 공기 또는 산소를 공급하는 구성으로써 크게 공기순환부(310), 공기공급부(350), 산소공급부(330) 및 상기 에어챔버(320)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순환부(310)는 상기 반응조(100) 내부에서 발상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순환시키는 구성으로써,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응조(100)와 연통되어 후술하는 상기 에어챔버(320)로 상기 반응조(100) 상부에서 발생된 공기를 전달한다.
그리고 공기공급부(350)는 상기 상기 공기순환부(310)는 일부가 분기되어 외부와 연통되며 대기를 상기 에어챔버(320)로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공급부(350)는 상기 일측이 외부와 연통되며 외기를 흡입하여 타측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공급부(350)는 상기 공기순환부(310)의 순환 경로상에서 분기되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공기공급부(350)는 상기 공기순환부(310)에서 순환하는 공기에 의해 별도의 장치 없이 외기가 빨려 들어감으로써 후술하는 에어챔버(320)로 외기가 공급된다.
한편 상기 에어챔버(32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선택적으로 밀폐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공기순환부(310)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공기순환부(310)를 통해 상기 반응조(100) 내부에서 발생된 공기를 수용한다.
여기서 상기 공기는 상기 반응조(100) 내부에 수용된 상기 처리수(30)에서 용존되지 않은 공기가 상부로 이동하여 발생된 것으로 산소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체가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에어챔버(320)는 상기 공기순환부(310)를 통해 상기 공기를 공급받아 수용하며, 상기 벤츄리(230)를 통해 순환하는 상기 처리수(30)와 수용된 상기 공기를 혼합하여 상기 반응조(100) 내부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에어챔버(3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벤츄리(230)와 상기 미세 산소흡입관(340)을 통해 연통되어 상기 벤츄리(230)로 상기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반응조(100) 내부에서 발생된 상기 공기는 상기 공기순환부(310) 및 상기 에어챔버(320)를 통해 순환하며 다시 상기 처리수(30)와 혼합되어 상기 반응조(100) 내부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산소공급부(330)는 별도의 산소공급원(미도시)과 연결되어 산소를 상기 에어챔버(320)로 이송시키는 구성으로써, 상술한 상기 공기순환부(310)를 통해 공급되어 상기 처리수(30)와 혼합되는 공기에 산소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추가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산소공급부(330)는 상기 에어챔버(320)와 연결되며, 상기 산소를 상기 에어챔버(320) 내부로 공급한다.
이때, 상기 산소공급부(330)는 별도의 산소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산소를 기화시키고, 기화된 산소를 레귤레이터(미도시)에서 적정 기압으로 조정하여 상기 에어챔버(320)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챔버(320)는 상부에 두 개의 홀이 형성되어 하나는 상기 공기순환부(310)와 연통되고, 나머지 하나는 산소공급부(330)와 연통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공기순환부(310) 또는 산소공급부(330)로부터 공급받은 공기 또는 산소는 상기 벤츄리(230)를 경유하며 순환하는 상기 처리수(30)의 압력변화에 의해 상기 미세 산소흡입관(340)을 따라 상기 처리수(30)와 혼합되어 공급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에어챔버(320)는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 또는 산소공급부(33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와 산소를 일시적으로 수용하며 상기 벤츄리(230)에 의한 압력변화에 의해 상기 처리수(30)와 상기 공기 또는 산소가 혼합되어 상기 처리수(30)로 재공급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에어챔버(320)는 상기 산소공급부(330)와 상기 공기순환부(310)에 각각 연결되어 있어 상기 산소 또는 상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지만, 별도의 솔레노이드가 구비되어 상기 산소 또는 상기 공기 중 어느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기순환부(310)를 통해 상기 반응조(100) 내부에서 발생된 공기를 상기 처리수(30)와 혼합시키는 경우 상기 에어챔버(320)는 상기 산소공급부(330)와의 연통을 차단하여 상기 공기만을 내부에 수용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챔버(320) 내부에 수용된 공기는 상기 벤츄리(230)를 통해 상기 처리수(30)와 혼합되어 상기 반응조(100) 내부로 공급된다.
이와 달리 상기 반응조(100) 내부에 수용된 상기 처리수(30)에 충분한 산소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 상기 에어챔버(320)는 상기 산소공급부(330)를 통해 산소를 공급받으며, 상기 공기순환부(310)와의 연통을 차단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챔버(320)에 수용된 상기 산소를 상기 처리수(30)와 혼합하여 상기 반응조(100) 내부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에어챔버(320)는 상기 솔레노이드를 통해 상기 반응조(100) 내부의 산소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산소 또는 상기 공기 중 어느 하나를 공급받아 상기 처리수(30)와 혼합될 수 있도록 하며, 별도의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이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에어챔버(320)는 상기 벤츄리(230)를 통해 압축 및 팽창되어 순환하는 상기 처리수(30)에 상기 공기 또는 상기 산소를 공급하여 용존률을 에어레이션효과에 의해 극대화 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벤츄리(230)를 경유하여 순환하는 상기 처리수(30)의 압력변화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110) 상층에 구비된 내부공기가 상기 공기순환부(310)에 의해 상기 에어챔버(320)로 빨려 들어가며, 이와 함께 상기 공기순환부(310)의 일부가 분기되어 외부와 연통된 상기 공기공급부(350)를 통해 외기가 상기 에어챔버(320)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공기공급부(350)에서는 상기 상기 벤츄리(230)에 의한 상기 에어챔버(320) 내부의 압력변화에 의해 외기가 유입되기만 할 뿐 역류하지 않는다.
물론 상기 공기순환부(310) 중에서 외부와 연통된 부분은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에어공급유닛(300)은, 상기 공기순환부(310)와 상기 공기공급부(350)에서 공급되는 상기 공기 또는 상기 산소공급부(330)에서 공급되는 산소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에어챔버(320)에 선택적으로 수용하여 상기 벤츄리(230)를 통해 순환하는 상기 처리수(30)에 용존되도록 혼합하여 공급함으로써, 상기 반응조(100) 내부에서 상기 처리수(30)의 발효속도가 증가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에어공급유닛(300)에 의해 순환하는 상기 처리수에는 상기 공기공급부(350) 또는 상기 공기순환부(310)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며, 상기 산소공급부(330)에 의한 산소는 간혈적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에어공급유닛(300)은 상기 반응조(100) 내부에서 순환하는 상기 처리수(30)를 통해 지속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며 상기 처리수(30)의 용존률을 증가시켜 호기성 발효를 촉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비 제조장치는 상기 반응조(100), 상기 처리수 순환유닛(200) 및 상기 에어공급유닛(300)을 포함하며, 상기 반응조(100) 내부에 수용된 상기 처리수(30)를 상층수와 하층수가 고르게 혼합되도록 순환시킴과 동시에 지속적으로 순환하는 상기 처리수(30)에 산소 또는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처리수(30)의 발효속도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안정적으로 발효가 진행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액비 제조장치는 상술한 상기 반응조(100), 상기 처리수 순환유닛(200) 및 상기 에어공급유닛(300)과 함께 추가적으로 별도의 소포유닛(4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소포유닛(400)은 상기 반응조(100)에 수용된 상기 처리수(30)의 상부에 발생된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크게 흡입배관(410), 분사수단(420)을 포함한다.
상기 흡입배관(410)은 상기 반응조(100) 내부에 구비되며 일측이 상기 반응조(100)에 수용된 상기 처리수(30) 내부에 위치하고 타측이 상기 처리수(30)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입배관(410)은 상기 반응조(100) 내부에서 일측을 통해 수용된 상기 처리수(30)를 흡입하고, 타측이 상기 분사수단(420)과 연결되어 흡입된 상기 처리수(30)가 상기 반응조(100)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분사되도록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흡입배관(410)은 길이방향에 따른 양단부가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 위치하고 일부가 상기 반응조(100)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응조(100) 외부에 상기 펌프(412)가 구비되어 상기 흡입배관(410)과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흡입배관(410)은 길게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유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이 상기 반응조(100) 내부에서 상기 처리수(30)를 흡입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타측이 상기 분사수단(420)과 연결되어 흡입된 상기 처리수(30)를 상기 분사수단(420)으로 전달한다.
한편, 상기 분사수단(420)은 상기 흡입배관(410)의 타측과 연통되며, 상기 반응조(10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반응조(100)에 수용된 상기 처리수(30)를 향해서 상기 흡입배관(410)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처리수(30)를 비 가압식으로 분사하여 발생된 기포를 제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사수단(420)은 상기 반응조(100)의 상부에서 복수 개의 분사홀(미도시)이 횡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분사홀이 상기 흡입배관(410)과 연통되어 상기 흡입배관(410)을 통해 흡입된 상기 처리수(30)를 하부방향으로 분사한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분사홀은 상기 처리수(30)가 분사되는 분사반경이 상호 중첩되도록 배치되며, 복수 개의 상기 분사홀이 균일한 압력으로 상기 처리수(30)를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분사챔버(422)로 공급된 상기 처리수(30)가 자중에 의해 균일한 압력으로 상기 분사홀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상기 처리수(30)의 상부표면으로 분사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상기 반응조(100)에 수용된 상기 처리수(30)의 상부 표면의 기포들이 제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포유닛(400)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상기 처리수(30)의 수면에서 발생된 기포를 소포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분사수단(420)은 별도의 가압장치 없이 중력에 의해 상기 처리수(30)를 하부로 분사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상기 처리수(30)의 수면에 발생된 기포는 상기 분사수단(420)을 통한 처리수(30)의 분사에 의해 추가적인 기포의 발생을 억제하며 발생된 기포를 제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액체비료를 제조하기 위한 처리수(30)에서는 PH농도 상승 / 과다한 MLSS / 과폭기에 의한 불용존가스 등에 의해 기포(기포)가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처리수(30)의 정상적인 발효를 방해할 뿐만 아니라 반응조(100)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여 파손이 일어날 수도 있다.
특히 처리수(30)에서 발생되는 기포는 상층부 수면상에서 형성되며 이와 같은 기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소포유닛(400)에 의해 상기 처리수(30)를 상부에서 분사하는 것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포유닛(400)에서 하부로 분사하는 상기 처리수(30)의 수압이 높은 경우 상기 처리수(30)의 상층부 수면에서 오히려 기포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출원발명과 같이 비 가압식으로 고르게 상기 처리수(30)를 하부방향으로 분사해야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소포유닛(400)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 수용된 상기 처리수(30)에서 발생되는 기포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처리수(30)의 발효를 촉진시키며 상기 반응조(1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액비 제조장치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상기 반응조(100) 내부에 수용된 상기 처리수(30)는 상기 처리수 순환유닛(200)과 상기 에어 공급유닛에 의해 순환하며 강제 발효가 진행되고, 상기 혼류유닛에 의해 상기 처리수(30)에서 발생되는 기포를 세분화 하며, 상기 소포유닛(400)을 통해 상기 처리수(30)의 상부 표면에서 발생된 기포를 제거하여 빠르게 상기 처리수(30)를 발효시킴으로써 상기 액비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액비 제조장치에서 상기 흡입챔버(210)는 상기 반응조(100) 내부에서 상기 처리수(30)에 기포층이 발생하여 수면이 낮아지는 여부와 크게 상관없이 상기 처리수(30)를 지속적으로 흡입하여 순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흡입챔버(210)는 상하방향에 따른 하부에 상기 연통구(212)가 밀집되어 형성되며, 상기 처리수(30)의 흡입 시 대부분의 양이 상기 흡입챔버(210)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연통구(212)를 통해서 흡입된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응조(100)의 수용된 상기 처리수(30)의 수면에 기포가 발생되어 있지만, 상기 처리수(30)의 수면이 상기 흡입챔버(210)가 충분히 잠길 정도로 높은 상태이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흡입챔버(210)는 상부에 위치한 연통구(212)와 하부에 위치한 연통구(212) 각각으로 상기 처리수(30)를 흡입한다.
여기서, 상기 흡입챔버(210)에서 상하방향에 따라 상기 연통구(212)의 밀집도가 높은 하부영역인 P2와 상기 연통구(212)의 밀집도가 낮은 상부영역인 P1에서 각각 흡입되는 상기 처리수(30)를 흡입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처리수(30)의 수면이 상기 흡입챔버(210) 전체가 잠길 정도로 높은 경우 상기 흡입챔버(210)는 P1과 P2에서 상기 처리수(30)를 모두 흡입하여 상기 처리수 순환배관(220)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흡입챔버(210)의 상부보다 하부에 형성된 상기 연통구(212)의 개수가 많기 때문에 P1인 상부영역과 P2인 하부영역의 유입량은 차이가 발생하며, P2에서 흡입되는 유입량이 월등히 많게 된다.
이에 반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상기 처리수(30)의 수면상에 기포층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처리수(30)의 수면이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처리수(30)의 수면이 하강하게 되어 상기 흡입챔버(210)의 상부가 수면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상기 흡입챔버(210)에 형성된 상기 연통구(212) 중에서 상기 처리수(30)의 수면 위로 노출된 부분은 상기 처리수(30)를 흡입하지 못하거나, 일부만 흡입하기 때문에 상기 흡입챔버(210)의 하부에 형성된 연통구(212)를 통해 대부분의 상기 처리수(30)가 흡입된다.
즉, 도 6과 같이 상기 처리수(30)의 수면이 기포가 많이 발생하여 기포층의 하향성장(기포발생으로 수위가 낮아지는 현상)으로 인해 상기 처리수(30)의 수면이 낮아지는 경우, 상기 흡입챔버(210)는 P2인 하부영역에서 주로 상기 처리수(30)를 흡입하고 P1인 상부영역에서는 극히 일부의 상기 처리수 또는 기포를 흡입하여 상기 처리수 순환배관(220)으로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흡입챔버(210)는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상기 연통구(212) 대부분이 하부영역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영역인 P1에서 처리수(30)가 흡입되는 유입량에 비해 하부영역인 P2에서 처리수(30)가 흡입되는 유입량이 월등히 많아진다.
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처리수(30)의 수면 높이가 상기 흡입챔버(210)보다 높은 경우, 상기 흡입챔버(210)에서 흡입되는 처리수(30)는 P1과 P2의 영역에서 유입되는 유입량의 합이 되고, 상기 처리수(30)의 수면이 낮아져 상기 흡입챔버(21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상기 흡입챔버(210)에서 흡입되는 처리수(30)는 P2영역에서 유입되는 유입량과 P1에서 유입되는 일부의 합이 된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P2영역의 유입량이 P1영역의 유입량에 비해 월등히 많기 때문에 실제 상기 흡입챔버(210)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처리수(30)의 흡입량은 크게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다.
즉, 상기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상기 처리수(30)의 수면 높이가 변화하더라도 상기 흡입챔버(210)는 지속적으로 상기 처리수(30)를 흡입할 수 있으며, 흡입량의 변화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처리수(30)를 지속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으며, 상기 처리수 순환배관(220)에 구비되어 상기 처리수(30)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의 파손을 방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처리수(30)의 수면이 낮아짐에 따라 상기 흡입챔버(210)가 충분히 상기 처리수(30)를 흡입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흡입챔버(210)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110)의 내부공기를 흡입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순환펌프가 파손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상기 흡입챔버(210)가 두 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하부에서 대부분의 상기 처리수(30)를 흡입함으로써, 상기 처리수(30)의 수면 높이가 변화하더라도 상기 흡입챔버(210)에서 상기 처리수(30)를 흡입하는 압력이 크게 변동하지 않으며 지속적으로 흡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흡입챔버(210)는 별도의 장치에 의해 상기 처리수(30)에 강제 소포를 시행하나 생물학적 미세 기포의 발생으로 기포층의 하향성장하여 처리수(30)의 수면이 낮아지더라도, 본 발명과 같이 상기 흡입챔버(210)가 형성됨으로써 기포의 하향 성장 시에도 순환펌프의 흡입수량이 변동이 없도록 상하부 일정한 정압유지가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반응조
110: 수용공간
200: 처리수 순환유닛
210: 흡입챔버
220: 처리수 순환배관
230: 벤츄리
300: 에어공급유닛
310: 공기순환부
320: 에어챔버
330: 산소공급부
340: 산소흡입관
350: 공기공급부
400: 소포유닛
410: 흡입배관
420: 분사수단
30: 처리수

Claims (10)

  1. 가축분뇨에서 분리된 처리수를 발효시켜 액비를 생산하는 액비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상기 처리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선택적으로 밀폐 가능하도록 구성된 반응조;
    상기 반응조의 상부에서 복수 개의 연통구를 가지며 상기 반응조에 수용된 상기 처리수를 균일한 압력으로 흡입하는 흡입챔버 및 일측이 상기 흡입챔버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반응조의 하부와 연통되며, 상기 반응조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처리수를 흡입하여 상기 반응조의 하부로 순환시키는 처리수 순환배관을 포함하는 처리수 순환유닛; 및
    일부가 상기 처리수 순환배관에 연결되며 순환하는 상기 처리수에 산소 또는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처리수의 발효가 촉진되도록 하는 에어공급유닛;
    을 포함하는 액비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챔버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하부방향에 상기 연통구가 상대적으로 많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비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챔버는,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기포가 발생하여 상기 처리수의 수면이 하강하는 경우 복수 개의 상기 연통구 중 하부에 위치한 연통구를 통해 상기 처리수를 지속적으로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비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 순환배관은 일측이 분기되어 복수 개로 구성되고,
    상기 흡입챔버는 복수 개의 상기 처리수 순환배관의 일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비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챔버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연통구의 크기가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액비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 순환유닛은
    상기 처리수 순환배관의 순환경로상에서 직경이 감소 및 증가하도록 구성되고 순환하는 상기 처리수를 압축 및 팽창시키는 벤츄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비 제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유닛은,
    일측이 외부와 연통되며 외기를 흡입하여 타측으로 공급하는 공기공급부;
    상기 공기순환부와 연통되어 공급되는 상기 공기를 수용하고, 상기 벤츄리와 연통되어 상기 처리수 순환배관을 따라 순환하는 상기 처리수에 상기 상기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챔버;
    를 포함하는 액비 제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유닛은,
    별도의 산소공급원과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에어챔버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비 제조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유닛은,
    일측이 상기 반응조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반응조 내부에서 발생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에어챔버로 내부공기를 전달하는 공기순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비 제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조에 수용된 상기 처리수를 흡입하여 상부에서 하부로 분사하며 상기 처리수에서 발생된 기포를 제거하는 소포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비 제조장치.
KR1020150017506A 2014-12-17 2015-02-04 지속적인 처리수 순환이 가능한 액비 제조장치 KR1019316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82522 2014-12-17
KR1020140182522 2014-1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889A true KR20160073889A (ko) 2016-06-27
KR101931694B1 KR101931694B1 (ko) 2019-03-13

Family

ID=56344503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7495A KR101700841B1 (ko) 2014-12-17 2015-02-04 혼류유닛이 구비된 액비 제조장치
KR1020150017497A KR101700845B1 (ko) 2014-12-17 2015-02-04 세척유닛이 구비된 액비 저장장치
KR1020150017506A KR101931694B1 (ko) 2014-12-17 2015-02-04 지속적인 처리수 순환이 가능한 액비 제조장치
KR1020150017509A KR20160073890A (ko) 2014-12-17 2015-02-04 소포유닛이 구비된 액비 제조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7495A KR101700841B1 (ko) 2014-12-17 2015-02-04 혼류유닛이 구비된 액비 제조장치
KR1020150017497A KR101700845B1 (ko) 2014-12-17 2015-02-04 세척유닛이 구비된 액비 저장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7509A KR20160073890A (ko) 2014-12-17 2015-02-04 소포유닛이 구비된 액비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17008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5126B1 (ko) * 2021-04-12 2022-01-03 하이안이엔지 주식회사 슬러지 처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870B1 (ko) * 2008-11-04 2011-07-13 덕인환경주식회사 액체비료 고속발효장치
KR20110105170A (ko) * 2010-03-18 2011-09-26 고학윤 초고속 액비생성용 반응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1270A (ko) * 2004-07-29 2006-02-03 강원구 양돈분뇨를 가공한 액상물의 스크레파 돈사 내 수세 이용및 증발처리 시스템
KR101143897B1 (ko) * 2009-12-31 2012-05-14 성경일 해수를 이용한 습윤성 바이오매스의 소화발효조
KR101081031B1 (ko) * 2011-06-08 2011-11-09 주식회사 현진기업 슬러지와 하수 총인 감소 및 축산분뇨 액비화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처리방법
KR101369351B1 (ko) * 2014-01-02 2014-03-04 (주)티에스케이워터 다단형 pH조절조를 구비한 하·폐수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폐수의 질소 및 인 저감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870B1 (ko) * 2008-11-04 2011-07-13 덕인환경주식회사 액체비료 고속발효장치
KR20110105170A (ko) * 2010-03-18 2011-09-26 고학윤 초고속 액비생성용 반응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0841B1 (ko) 2017-01-31
KR20160073887A (ko) 2016-06-27
KR20160073890A (ko) 2016-06-27
KR101931694B1 (ko) 2019-03-13
KR101700845B1 (ko) 2017-01-31
KR20160073888A (ko) 2016-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8924B1 (ko) 액비 제조장치
KR100939103B1 (ko) 자체발열 중, 고온 호기성 소화조와 이를 이용한 고농도 유기성 폐수 처리방법
US20140224729A1 (en) Method for the Sequenced 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Implementing Biomass Granules
CN107531527A (zh) 水处理系统及水处理方法
US20100193433A1 (en) Vertical Land-Based Bioreactor
CN109912029A (zh) 一种自流内循环好氧颗粒污泥连续流反应器
RU2349554C2 (ru) Оборудование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ой воды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ированным илом и способ его эксплуатации
CN207072847U (zh) 一种塔式一体化污水处理装置
KR100913728B1 (ko) 순산소에 의하여 용존산소농도를 조절하는 폐수처리 방법 및 이에 적합한 폐수처리 장치
KR101931694B1 (ko) 지속적인 처리수 순환이 가능한 액비 제조장치
KR101872902B1 (ko) 순환유닛을 구비한 액비 수용장치
WO2018123647A1 (ja) 膜分離活性汚泥処理装置、膜分離活性汚泥処理方法、原水供給装置及び原水供給方法
JP6941439B2 (ja) 膜分離活性汚泥処理装置、膜分離活性汚泥処理方法及び原水供給装置
JP2010207699A (ja) メタン発酵処理装置およびメタン発酵処理方法
KR101195936B1 (ko) 초고속 액비생성용 반응기
JP4727220B2 (ja) 低動力撹拌による発酵方法および装置
KR20180067930A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
KR20120015061A (ko)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메탄화가 용이한 혐기성 처리장치 및 방법
JP7121823B2 (ja) 膜分離活性汚泥処理装置、膜分離活性汚泥処理方法及び原水供給装置
KR20180103514A (ko) 액비 제조장치
JP2007196105A (ja) 染色排水などの排水処理装置
KR101306905B1 (ko) 가축분뇨를 이용한 양액 제조장치
JP6941440B2 (ja) 原水供給装置及び原水供給方法
JPH0352158Y2 (ko)
JP6522959B2 (ja) 排水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160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403

Effective date: 201810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