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8758B1 - 육아용품 - Google Patents

육아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8758B1
KR101048758B1 KR1020080089159A KR20080089159A KR101048758B1 KR 101048758 B1 KR101048758 B1 KR 101048758B1 KR 1020080089159 A KR1020080089159 A KR 1020080089159A KR 20080089159 A KR20080089159 A KR 20080089159A KR 101048758 B1 KR101048758 B1 KR 101048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infant
wearing
upper body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9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0279A (ko
Inventor
윤진주
Original Assignee
윤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진주 filed Critical 윤진주
Priority to KR1020080089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8758B1/ko
Publication of KR20100030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0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8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8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9Baby-carriers with waist-belt on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아용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유 등 육아를 보조하기 위한 육아용품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보호자 착용을 위한 착용부와; 상기 착용부와 연결되고, 유아가 착석할 수 있는 안장부와; 상기 안장부에 착석한 유아의 상체를 받칠 수 있도록 상기 안장부에 구비된 상체받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용품을 제시함으로써, 더욱 편안하고 안정적인 육아를 도와줄 수 있다.
유아, 육아, 수유, 안장, 상체받이

Description

육아용품{ARTICLE FOR CHILDCARING}
본 발명은 육아용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유 등 육아를 보조하기 위한 육아용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아시에는 수유나 유아와의 교감, 유아 달래기 등의 목적을 위해 보호자가 유아를 수시로 안게 된다.
그런데, 유아를 안고 하는 육아는 유아가 전적으로 보호자한테 기대기 때문에 유아를 안는데 따른 무게감이 상당하고, 보호자가 장시간 동일한 자세를 취함에 따라, 보호자한테 육체적으로 상당히 힘든 일이며, 이로 인해 보호자가 유아를 잘못된 방법으로 안거나 유아를 떨어뜨릴 위험성이 상당히 높다.
그리고, 보호자가 두 팔을 모두 이용하여 유아를 안고 있기 때문에, 유아를 안은 체 보호자가 수유 등 다른 육아를 병행하기 상당히 힘들다.
따라서, 편안하고, 안전적으로 유아를 안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육아용품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편안하고, 안전적으로 유아를 안을 수 있도록 육아를 도와주는 육아용품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보호자 착용을 위한 착용부와; 상기 착용부와 연결되고, 유아가 착석할 수 있는 안장부와; 상기 안장부에 착석한 유아의 상체를 받칠 수 있도록 상기 안장부에 구비된 상체받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용품을 제시한다.
상기 안장부와 상기 상체받이부는, 유아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 씌워지는 완충재질의 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재질은 실리콘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장부는 유아의 다리가 상기 안장부 밑으로 빠질 수 있도록, 그 전방의 좌우 폭이 그 후방의 좌우 폭보다 좁은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상기 상체받이부는 유아를 감쌀 수 있도록 좌,우 양단이 각각 앞쪽을 향해 절곡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유아의 좌우를 받칠 수 있도록 상기 안장부와 상기 상체받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좌우 양쪽에 구비되는 좌,우 팔걸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착용부는 보호자의 허리에 착용될 수 있도록 허리 벨트로 구성될 수 있 다.
보호자의 몸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안장부의 전방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착용부와 결합되는 안장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장 연결부는 그 단면이 상기 착용부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장 연결부는 완충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유아에게 음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착용부 또는 상기 안장부 또는 상기 상체받이부에 설치된 음향기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육아용품은 안장부 및 상체받이부가 유아를 지탱함으로써, 유아의 무게 등으로 인해 보호자가 받는 무게감이 줄어들 수 있어,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육아를 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육아용품은 유아의 상체를 지탱함으로써, 보호자 및 유아가 편안하고 안정적인 자세로 육아를 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수유시 유아가 앉은 자세로 수유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보호자 및 유아가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고, 모유의 흘러내림 및 유아의 소화불량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육아용품은 안장 연결부가 넓게 형성됨으로써, 유아의 무게 등으로 인해 보호자에 전달되는 압력이 분산될 수 있어, 보호자가 받는 무게감이 더욱 줄어들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관하여 상 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육아용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육아용품의 적용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육아용품(2)은, 보호자(M) 착용을 위한 착용부(10)와, 상기 착용부(10)와 연결되고 유아(C)가 착석할 수 있는 안장부(20)와, 상기 안장부(20)에 착석한 유아(C)의 상체를 받칠 수 있도록 상기 안장부(20)에 구비된 상체받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착용부(10)는 보호자(M) 착용에 편리하다면 어떠한 방식이든 무방하며, 육아용품 중 하나인 아기띠 등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벨트 방식이 익숙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벨트 방식의 착용부(10)는 보호자(M)의 허리에 착용하기 위한 허리벨트, 보호자(M)의 어깨에 착용하기 위한 어깨벨트, 이들의 혼합형 등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면, 다만, 허리벨트로 구현되는 것이 보호자(M)의 무게감을 최대한 줄여줄 수 있고 착용이 편리하고 보호자(M)의 상체 움직임이 자유롭다는 점 등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허리벨트방식의 착용부(10)는 보호자(M)의 허리에 둘려질 수 있는 벨트부(12)와, 본 발명에 의한 육아용품이 보호자(M)의 허리에 착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벨트부(12)를 잠그는 버클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벨트부(12)는 단순한 띠 구조로 구현될 수 있지만, 이보다는 볼륨 쿠션과 같이 완충력을 갖도록 구현되는 것이 보호자(M)와의 마찰을 최대한 줄일 수 있 고 보호자(M)에 작용하는 압력을 완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버클부(14)는 보호자(M)의 체형 및 성향 등에 따라 상기 착용부(10)의 길이 조절이 가능토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안장부(20)는 유아(C)의 착석이 가능하다면 어떠한 방식을 취하든 무방하다.
다만, 상기 안장부(20)는 유아(C)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프레임(22)과, 상기 프레임(22)의 외측에 씌워지는 완충재질의 바디(24)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유아(C)가 착석할지라도 상기 프레임(22)에 의해 상기 안장부(20)의 전반적인 형태를 유지하면서 유아(C)를 견실하게 지지할 수 있고, 상기 완충재질의 바디(24)에 의해 유아(C)가 안락하게 착석할 수 있게 하며, 상기 프레임(22)과 상기 바디(24)의 혼합에 의해 상기 안장부(20)의 자중을 최대한 작게 함으로써 보호자(M)가 무게감을 덜 느끼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22)은 유아(C)의 무게를 견딜 수 있되, 상기 안장부(20)의 자중이 작도록, 철강심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바디(24)를 이루는 완충재질은 완충성을 갖는다면, 솜, 스펀지, 고무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나, 완충성을 비롯하여 위생성, 내구성, 사용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실리콘이 최적이다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장부(20)는 상기 안장부(20)에 착석한 유아(C)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고 유아(C)가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안장부(20)에 착석할 수 있도록, 유아(C)가 착석하기 가장 적합한 위치에 안착홈(20A)이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 다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장부(20)는 유아(C)가 착석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을 취하든 무방하나, 다만 상기 안장부(20)에 착석한 유아(C)의 다리가 보호자(M)와의 사이에 끼여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유아(C)의 다리가 상기 안장부(20) 밑으로 편안하게 빠질 수 있도록, 도 1의 'B'로 지시된 바와 같이 그 전방의 좌우 폭이 그 후방의 좌우 폭보다 좁은 형상을 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상체받이부(30) 또한 상기 안장부(20)와 같이, 프레임(22)과 바디(24)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체받이부(30)는 상기 안장부(20)와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안장부(20)와 일체로 결합될 수도 있지만, 미관성 및 제조 용이성, 내구성 등을 위해서는 상기 안장부(2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상체받이부(30)는 육아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면, 필요에 따라 유아(C)의 상체 전부를 받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유아(C)의 상체 일부분만 받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착용부(10)와 상기 안장부(20)를 연결하는 안장 연결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장 연결부(40)는 본 발명에 의한 육아용품이 보호자(M)의 몸으로부터 들뜨게 되면, 보호자(M)와 유아(C) 사이의 거리가 너무 멀어지고 안정감이 저하되는 등의 단점이 생길 수 있는바, 보호자(M)의 몸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안장부(20)의 전방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착용부(10)와 결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 다.
특히 상기 안장 연결부(40)는, 유아(C)의 무게 및 본 발명에 의한 육아용품의 자중으로 인해 보호자(M)에 작용하는 무게감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그 단면이 상기 착용부(10), 즉 벨트부(12)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되어 압력을 분산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장 연결부(40)는 상기 안장부(20)에 착석한 유아를 견실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안장부(20)처럼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안장 연결부(40)는 보호자(M)의 몸에 밀착되는 부분인바, 표면이 상술한 완충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 내구성 및 제조 용이성, 미관성 등을 고려하여 상기 안장부(2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이러한 안장 연결부(40)는 착용감, 압력분산 등을 고려하여, 본 실시 예와 같이 보호자(M)을 향해 굴곡되는 형상 등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육아용품은, 육아시 동요나 자장가, 클래식 등 유아(C)의 감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음향을 제공함으로써, 정서적인 효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유아(C)에게 음향을 제공할 수 있는 음향기기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기기부(50)는 어디에 설치되든 무방하나, 유아(C)의 손에 닿지 않 되, 보호자(M)에 의한 조작이 용이하도록, 상기 착용부(10) 또는 상기 안장부(20) 또는 상기 상체받이부(30)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육아용품을 이용한 육아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자(M)가 상기 착용부(10)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육아용품을 착용하고, 유아(C)를 상기 안장부(20)에 착석시킨 후, 보호자(M)가 두 팔로 상기 안장부(20)에 착석한 유아(C)를 감싸면 된다. 이때, 보호자(M)와 유아(C)의 교감 증대 및 수유 등을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육아용품을 보호자(M)와 유아(C)가 서로 마주보도록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육아용품을 이용하여 육아를 하게 되면, 상기 안장부(20) 및 상기 상체받이부(30)에 의해 상기 유아(C)의 무게가 지탱됨으로써, 보호자(M)가 받는 무게감이 덜어질 수 있다.
또한, 유아(C)의 상체가 상기 상체받이부(30)에 의해 지탱됨으로써, 보호자(M)가 유아(C)의 중심이 흔들리지 않도록 유아(C)를 잡아주기만 하면 되므로, 보호자(M) 및 유아(C)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보호자(M)가 앉거나 일어서는 등 자세를 바꾸기 쉽기 때문에 보호자(M)가 편안하고 안정적인 자세로 육아를 할 수 있고, 유아(C)한테도 마찬가지로 안락하고 안정적이다.
또한, 유아(C)의 상체가 상기 상체받이부(30)에 의해 지탱됨으로써, 특히 유아(C)가 앉은 자세로 수유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수유시 보호자(M) 및 유아(C)가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모유의 흘러내림 및 유아(C)의 소화불량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유아(C)의 좌우를 지탱함으로써 보호자(M)의 두 팔이 좀 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체받이부(30)는 유아(C)를 감쌀 수 있도록 좌,우 양단(32)이 각각 앞쪽을 향해 절곡된 형상을 취하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C)의 좌우를 받칠 수 있도록 상기 안장부(20)와 상기 상체받이부(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좌우 양쪽에 구비되는 좌,우 팔걸이부(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육아용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육아용품의 적용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의한 육아용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의한 육아용품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착용부 12; 벨트부
14; 버클부 20; 안장부
22; 프레임 24; 바디
30; 상체받이부 40; 안장 연결부
50; 음향기기부 60; 팔걸이부

Claims (10)

  1. 보호자 착용을 위한 착용부와; 상기 착용부와 연결되고, 유아가 착석할 수 있는 안장부와; 상기 안장부에 착석한 유아의 상체를 받칠 수 있도록 상기 안장부에 구비된 상체받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장부와 상기 상체받이부는, 유아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 씌워지는 실리콘인 완충재질의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안장부는 유아의 다리가 상기 안장부 밑으로 빠질 수 있도록, 그 전방의 좌우 폭이 그 후방의 좌우 폭보다 좁은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체받이부는 유아를 감쌀 수 있도록 좌,우 양단이 각각 앞쪽을 향해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유아의 좌우를 받칠 수 있도록 상기 안장부와 상기 상체받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좌우 양쪽에 구비되는 좌,우 팔걸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착용부는 보호자의 허리에 착용될 수 있도록 허리 벨트로 구성되며,
    보호자의 몸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안장부의 전방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착용부와 결합되는 안장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장 연결부는 그 단면이 상기 착용부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안장 연결부는 완충재질에 의하여 형성되며,
    유아에게 음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착용부 또는 상기 안장부 또는 상기 상체받이부에 설치된 음향기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장부와 상기 안장 연결부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안장 연결부는 상기 착용부의 폭방향으로 더 확장되도록 상기 착용부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며,
    상기 안장부의 전방 단부는 상기 착용부에 대응되어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용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80089159A 2008-09-10 2008-09-10 육아용품 KR101048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9159A KR101048758B1 (ko) 2008-09-10 2008-09-10 육아용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9159A KR101048758B1 (ko) 2008-09-10 2008-09-10 육아용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0279A KR20100030279A (ko) 2010-03-18
KR101048758B1 true KR101048758B1 (ko) 2011-07-14

Family

ID=42180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9159A KR101048758B1 (ko) 2008-09-10 2008-09-10 육아용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875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212Y1 (ko) * 1992-09-02 1996-03-18 송치광 유아용 멜빵
JP3130476B2 (ja) * 1995-09-11 2001-01-31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幼児保持具
KR200346812Y1 (ko) * 2003-12-31 2004-04-06 박희태 유아용 포대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212Y1 (ko) * 1992-09-02 1996-03-18 송치광 유아용 멜빵
JP3130476B2 (ja) * 1995-09-11 2001-01-31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幼児保持具
KR200346812Y1 (ko) * 2003-12-31 2004-04-06 박희태 유아용 포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0279A (ko) 2010-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90822B2 (ja) 授乳クッション
US6116691A (en) Head support pillow
KR101989880B1 (ko) 유아용 캐리어
CN111728405A (zh) 椅子
KR20160150567A (ko) 유아용 팔걸이식 캐리어 구조체
US7669743B2 (en) Adjustable infant carrier
JP2004181268A (ja) 子守帯および使用者装着部材
KR101048758B1 (ko) 육아용품
KR20110000781U (ko) 사용하기 쉽고 휴대가 쉬운 나비형 아기띠
JP3158588U (ja) 授乳用椅子
JP4399644B1 (ja) 被介護者支持具
JP6699998B2 (ja) 座位保持用クッション
KR20120055799A (ko) 신생아와 유아의 다기능 쿠션기능 및 침대
KR200476692Y1 (ko) 유아용 아기띠
KR101502580B1 (ko) 유아용 힙시트
KR102115805B1 (ko) 팔걸이식 유아용 아기띠
KR101706338B1 (ko) 유아용 힙시트의 보형물 구조체
JP2023082266A (ja) 子守帯
KR102617396B1 (ko) 아기띠
JP3215819U (ja) ベビーキャリア
KR20100005002U (ko) 아기띠
KR200398162Y1 (ko) 다용도 쿠션
CN215533164U (zh) 腰凳
JP2001112588A (ja) 子守帯
KR200440146Y1 (ko) 유아운반용 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