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8241B1 - 원형의, 특히 관형 목적물의 말단용 연결 피스 - Google Patents

원형의, 특히 관형 목적물의 말단용 연결 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8241B1
KR101048241B1 KR1020087008209A KR20087008209A KR101048241B1 KR 101048241 B1 KR101048241 B1 KR 101048241B1 KR 1020087008209 A KR1020087008209 A KR 1020087008209A KR 20087008209 A KR20087008209 A KR 20087008209A KR 101048241 B1 KR101048241 B1 KR 101048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piece
longitudinal axis
section
tensioning member
bas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8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9812A (ko
Inventor
게르하르트 퓌러
루퍼트 쉴라크니트바이트
Original Assignee
이. 하블레 아르마투렌베르케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 하블레 아르마투렌베르케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이. 하블레 아르마투렌베르케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80049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9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8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8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ring provided with teeth or fi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4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a swivel nut or collar engaging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65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the wedging action being effected by means of a 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8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8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 F16L19/083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ring not being modified during clamping
    • F16L19/08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ring not being modified during clamping with additional sealing means

Landscapes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Pens And Brushes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Gasket Seals (AREA)
  • Non-Disconnectible Joints And Screw-Threaded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형 목적물(2)의 말단을 베이스 하우징(3), 텐셔닝 부재(4), 고정 부재(5) 및 밀봉 부재(6)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피스(1)에 관한 것이다. 상기 텐셔닝 부재(4)는 목적물(2)의 삽입 방향으로 볼때 원뿔형으로 확장되는 제 1 내부 표면 섹션(16) 뒤에 연결되는 원통형에 가까운 제 2 표면 섹션(17)을 포함하고, 상기 두 표면 섹션(16, 17) 사이에 1개 이상의 포지셔닝 부재(19)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부재(5)는 상기 텐셔닝 부재(4)쪽 면에 상기 텐셔닝 부재(4)의 표면 섹션들(16, 17)에 대응되도록 정렬된, 원통형에 가까운 제 1 표면 영역(21) 및 원뿔형의 제 2 표면 영역(22)을 포함한다. 초기 상테에서는 고정 부재(5)의 원통형 표면 영역(21)이 부분적으로 텐셔닝 부재(4)의 원통형 표면 섹션(17)에 접하고, 상기 고정 부재(5)가 텐셔닝 부재(4)의 포지셔닝 부재(19)와 상호 작용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연결 피스(1)의 밀봉 부재(6)와도 관련된다.

Description

원형의, 특히 관형 목적물의 말단용 연결 피스{CONNECTOR PIECE FOR AN END OF A ROUND IN PARTICULAR TUBULAR OBJECT}
본 발명은 청구항 1 및 청구항 45의 전제부에 기술된 것과 같은, 원형, 특히 관형 목적물의 말단과의 클램핑 연결을 위한 연결 피스 및 상기 연결 피스용 밀봉 부재에 관한 것이다.
DE 87 05 276 U1은 원형 목적물의 말단과의 클램핑 연결을 위한 연결 피스를 기술하고 있다. 상기 연결 피스는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 보어가 내부에 배치된 하우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 피스는 역시 관통 보어 및 수나사를 구비한 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나사는 하우징 내에 형성된 암나사에 맞물릴 수 있다. 그 외에도 연결 피스는 길이방향 슬롯을 가진 링도 포함하며, 상기 링은 반경방향으로 안쪽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역시 관통 보어를 갖는다. 연결 피스가 장착되기 전에 상기 링이 나사부에 상기 나사부의 단부들 중 정면 플랜지의 맞은편에 놓인 나사부의 관통 보어의 단부에 맞물리는 단부에 의해 고정된다. 이를 위해 나사부는 관통 보어의 영역 내에서 정면 플랜지의 맞은편에 놓인 환형 단부면에서 시작하여 연이어 원뿔형으로 설계된 제 1 보어, 원통형으로 설계된, 직경 D1을 갖는 제 1 보어 및 원통형으로 설계된, 직경 D2를 갖는 제 2 보어를 포함하고, 이때 직경 D2가 직경 D1보다 더 크다. 원통형으로 설계된 상기 두 보어는 반경 방향 쇼울더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그에 이어서 원뿔형으로 설계된 제 2 보어 및 원통형으로 설계된, 직경 D3을 갖는 제 3 보어가 형성되며, 이때 직경 D3는 직경 D1보다 작다. 링의 외부면에는 나사부로부터 멀리 떨어진 쪽 단부면에서 시작하여 나사부 쪽 단부면에 이르기까지 연이어 직경 D5를 가진 제 1 원통혁 섹션, 원뿔 형태로 좁아지는 제 1 면, 직경 D5보다 작은 직경 D6를 가진 제 2 원통형 섹션, 원뿔 형태로 좁아지는 제 2 면 및 직경 D7을 가진 제 3 원통형 섹션이 제공된다. 이때, 직경 D7은 직경 D5보다는 작게, 직경 D6보다는 크게 설계된다. 제 3 원통형 섹션에 이어서 원뿔 형태로 좁아지는 제 3 면이 제공되고, 상기 면은 원뿔 형태로 좁아지는 제 1 면과 동일한 원뿔형을 갖는다. 예비 조립 상태에서 직경 D1 및 D2를 갖는, 상기 나사부의 두 원통형 보어는 직경 D6 및 D7을 갖는 링의 제 2 및 제 3 원통형 섹션과 상호 작용한다. 상기 링은 나사부를 기준으로 길이방향 축선의 방향으로 볼때 예비 조립 상태에서 정해진 한계 내에서 길이방향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백 테이퍼(back taper) 내에 고정된다. 이때 나사부의 반경방향 쇼울더 및 원뿔형으로 확장되는 제 2 면이 1개의 스토퍼를 형성한다.
DE 22 59 850 A1, DE 82 23 557 U1, EP 0 118 656 A1, FR 2 437 560 A1, US 4,220,359 A 및 US 5,558,375 A에는 또 다른 연결 피스들이 공지되어 있다.
WO 98/37351 A1, US 2,647,770 A 및 US 3,195,902에는 연결 피스를 위한 여러 밀봉 부재들이 공지되어 있다. 여기서 밀봉 부재들은 1개의 하우징 바디 및 둘레에 빙 둘러 형성되어 밀폐될 목적물에 접하도록 제공된 1개 이상의 밀봉 영역을 포함하는데, 이때 상기 밀봉 영역은 길이방향 축선에 수직으로 정렬된 한 평면에서 둘레에 걸쳐서 볼때 상기 평면에 대해 상이한 간격을 갖는다. 또한, 상기 밀봉 부재 자체가 둘레에 걸쳐서 물결형 패턴을 가질 수 있다.
DE 82 23 557 U1으로부터 평활한 원형 바디, 특히 관 또는 로드(rod)를 위한, 나사식 관형 몸체 및 볼트형 몸체를 가진 클램핑 연결 부재가 공지되어 있는데, 여기서는 평활한 관형 몸체와 볼트형 몸체의 원뿔형 내부면과 관형 몸체의 스토퍼 사이에 그립 링(grip ring)이 배치되고, 상기 그립 링의 반경방향 내부를 향하는 표면 섹션에 상기 평활 원형 몸체의 외부면으로의 클램핑을 위한 에지들이 제공된다. 상기 그립 링은 탄성에 의해 반경방향 외부로 프리텐셔닝되며, 이때 상기 연결의 구현을 위해서는 볼트형 몸체만 당겨져야 한다. 나사식 관형 몸체 및 평활 원형 몸체의 밀폐를 위해 그리고 씰(seal)의 수용을 위해, 나사식 관형 몸체의 내부면에 나사 연결 공간과 분리된 환형 리세스가 배치된다. 상기 씰은 또한 관의 삽입에 의해 압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사용을 위해 미리 준비된 전체 클램핑 연결 부재의 형성을 위한 개별 부품들의 조립에 있어 조립 비용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DE 83 06 170 U1으로부터, 탄성 재료로 만들어진 관들, 특히 플라스틱 관들의 분리 가능한 내압성 연결을 위한 또 다른 연결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여기서는 관을 수용하기 위한 베이스 바디가 제공되는데, 이때 관 단부는 외부 단부면에 인접하여 간격을 두고 서클립(circlip)에 의해 둘러싸이며, 상기 서클립에는 밀봉 링이 지지된다. 상기 밀봉 링의 서클립 반대편 면에 슬라이드 디스크 및 홈이 패인 텐션 링이 할당되는데, 이때 상기 텐션 링은 외부에 웨지면(wedge surface)을 가지며, 상기 웨지면은 베이스 바디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는 환형 볼트 부재의 원추형 내부면에 지지된다. 더 나은 밀폐를 위해 밀봉 링의 외측도 볼트 부재의 원추형 내부면에 접하고, 상기 볼트 부재의 내부 원뿔은 나사 조임 말단부에서부터 관 말단의 외측 단부면쪽 단부까지 확장된다. 또한, 상기 볼트 부재는 베이스 바디 내로 삽입되는 단부에 외측 원통형 가이드면을 갖는다. 상기 원통형 외부면의 영역에는 밀폐를 위해 추가 씰이 제공된다.
DE 44 22 564 C1 및 DE 103 40 477 B3로부터 또 다른 단단한 파이프 연결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단단한 파이프 연결은, 내부 지름에 마찰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면서, 둘레의 한 지점에 홈이 나 있는 확장 텐션 링(expanding tension ring)으로서 형성된 고정 링을 통해 금속 슬리브에 연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파이프 라인을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고정 링은 한 내부 둘레 홈에 삽입되어, 자신의 내부 둘레면을 통해 적어도 간접적으로 관의 재킷에 작용한다. 또한, 고정 링과 슬리브 홈 사이의 원추형 둘레 접촉면들은 슬리브 입구쪽으로 갈수록 좁아진다. 따라서 상기 고정 링은 그의 치수들(외부 둘레 및 내부 둘레, 홈 폭)과 관련하여, 관에 대한 상기 고정 링의 탄성 프리텐션 및 관 연결부에서의 축방향 인장력의 고정력이 규정되도록 슬리브 및 연결될 관에 매칭된다. 또한, DE 44 22 564 C1에 따른 고정 링은 상기 고정 링이 슬리브 내로 삽입된 경우 슬리브의 입구측으로부터 접근될 수 있는 확장 공구(expanding tool)용 작업면들을 가진다. 바깥쪽을 향하는 상기 고정 링의 가장자리에는 조립 보조 바디용 작업면들이 제공되며, 상기 조립 보조 바디는 연결될 관이 확장된 고정 링에 의해 접촉되지 않고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링을 슬리브 내에 고정한다. DE 103 40 477 B3에서는 확장 공구용 작업면들 및 조립 보조 바디용 작업면들이 불필요하며, 여기서는 마찰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수단이 환형 리브(rib)들의 형태로 고정 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브들 중 적어도 1개는 둘레 방향으로 짧은 리브형 돌기들을 가지며, 상기 돌기들은 길이방향 축선 방향으로 반지름이 리브에 비해 길다.
본 발명의 과제는, 목적물에의 조립 및 장착 과정이 간편하고 안전하게 실행될 수 있는, 도입부에 언급한 유형의 연결 피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텐셔닝 부재가 목적물의 삽입 방향으로 볼때 원뿔형으로 확장되는 제 1 내부 표면 섹션 뒤에 연결되는 원통형에 가까운 제 2 표면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두 표면 섹션 사이에 1개 이상의 포지셔닝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그리고 고정 부재가 상기 텐셔닝 부재 쪽 면에 상기 텐셔닝 부재의 원뿔형으로 확장되는 제 1 표면 섹션 및 원통형에 가까운 제 2 표면 섹션에 대응되도록 정렬된, 원통형에 가까운 제 1 표면 영역 및 원뿔형의 제 2 표면 영역을 포함하고, 초기 상테에서는 고정 부재의 원통형에 가까운 표면 영역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텐셔닝 부재의 원통형에 가까운 표면 섹션에 접하며, 상기 고정 부재가 텐셔닝 부재의 포지셔닝 부재와 상호 작용함으로써 해결된다. 청구항 1의 특징들에 의해 획득되는 뛰어난 장점은, 텐셔닝 부재의 원통형 표면 섹션과 고정 부재의 원통형 표면 영역의 상호 작용에 의해 텐셔닝 부재로 고정 부재의 프리포지셔닝 및 고정이 달성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미리 결합된 상기 부품들이 공동으로 베이스 하우징 내로, 추가의 정렬 및 포지셔닝 작업 없이 추가의 보조 수단 또는 특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삽입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텐셔닝 부재에 대한 고정 부재의 대응 프리포지셔닝을 수행하기 위한 특수 공구도 필요치 않다. 그 결과, 사용자를 위해 목적물 위에 간단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는 유닛이 제공되거나, 상기 목적물이 연결 피스 내로 삽입될 수 있다. 고정 부재와 텐셔닝 부재의 상호 협력 작용을 통해 예비 조립이 간편화될 뿐만 아니라, 사용시에도 목적물과의 간단한 연결이 가능해진다. 원통형으로 형성된 표면에 의해, 고정 부재가 텐셔닝 부재의 포지셔닝 부재에 도달하거나 부딪칠 때까지 텐셔닝 부재와 고정 부재 사이의 간단한 상대적 변위가 가능해진다. 상기 위치에서는 예비 조립된 두 부품이, 나사 어셈블리에 의해 가능한 경우처럼, 베이스 하우징 내로 삽입된다.
청구항 2 내지 4에 따른 추가 구현형들도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베이스 하우징 내로 삽입되는 부품들의 상호 작용 하에 상호 매칭된 추가 스토퍼들을 포함하는 여러 수용 공간이 구현될 수 있어서이다. 그럼으로써 부품들 사이의 상대적 변위 경로가 간단하게 결정될 수 있고, 그 결과 연결 피스의 완벽한 기능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5에 따른 형상 또한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목적물의 외부 표면의 영역에서 확실한 밀폐가 제공될 수 있기 때문이다.
청구항 6에 따른 실시예를 통해 관 내부 또는 베이스 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압력을 상기 베이스 하우징 내로 삽입될 부품들로부터 격리시킬 수 있다.
청구항 7 내지 10에 따른 다른 변형예에서는, 오링을 밀봉 부재로서 사용할 경우 삽입 운동 초기에는 목적물 위에 밀봉 부재의 둘레가 단지 부분적으로만 겹쳐지고, 추가로 더 삽입되어야만 목적물의 외부 표면이 완전히 봉입되기 때문에, 삽입 운동에 필요한 힘을 줄일 수 있다. 내부 표면의 영역 내에 홈형 리세스가 추가로 배치됨으로써, 밀봉 부재, 특히 오링의 더 나은 위치 고정이 달성될 수 있다.
청구항 11에 따른 밀봉 부재의 형성 또한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길이방향 축선에 수직으로 정렬된 평면과 관련하여 밀봉 영역의 상이한 간격들에 의해 연결 피스 내로의 목적물의 삽입 운동의 초기에는 밀봉 부재의 전체 둘레가 외부 표면에 접하지 않음으로써, 삽입 운동을 위해 더 적은 삽입력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이처럼, 수용될 목적물과 결합되는 밀봉 영역의, 축방향으로 상호 변위된 간격들에 의해 밀봉 부재의 연속적인 변형이 이루어지고, 그에 반해 상기 평면 내에 놓인 밀봉면 또는 밀봉 영역에서는 목적물을 위해 훨씬 더 큰 삽입력이 요구된다.
청구항 12에 따른 형상에 의해, 길이방향 축선에 수직으로 정렬된 평면에 비해 축방향으로 변위된 밀봉 영역들의 대칭 분포가 구현될 수 있다.
청구항 13 및 14에 따른 한 바람직한 개선예에서는, 밀봉 특성 및 밀봉면과 관련하여 다양한 삽입 조건들이 간단하게 고려될 수 있다.
청구항 15에 따른 구현은 목적물의 둘레에 걸쳐 밀봉 영역의 정확한 규정을 가능케 한다.
청구항 16에 기술된 것과 같은 형상도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밀봉 부재의 외부 표면 영역에서 일종의 래버린스 씰(labyrinth seal)이 제공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영역에서 밀봉 부재와 베이스 하우징 사이의 더 높은 밀봉 효과가 획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청구항 17 또는 18에 따른 개선예들도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상기 개선예들을 통해 베이스 하우징 내에 삽입될 목적물의 수용이 가능해지고, 그럼에도 상기 목적물이 미리 정해진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베이스 하우징 내로 삽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으로써 베이스 하우징 내에 배치된 밀봉 부재가 목적물의 외부 표면을 완전히 둘러싸는 것이 보장된다.
청구항 19 내지 22에 따른 실시예를 통해, 텐셔닝 부재의 내부 표면의 영역 내에 고정 부재와의 상호 작용을 위한 여러 섹션이 제공됨으로써 초기 상태에서부터 시작하여 고정 부재의 변형과 함께 고정될 목적물과의 맞물림이 구현될 수 있는 장점이 얻어진다. 그 결과, 상호 작용시 연결 피스의 완벽한 기능을 보장하는 부품들 사이의 제어 곡선들이 제공된다.
청구항 23에 따른 개선예를 통해, 고정 부재와의 상호 작용시 연결 피스 내에 삽입된 목적물의 미세한 조정 및 클램핑이 실시된다.
청구항 24 또는 25에 따른 형상에 의해, 고정 부재의 쇼울더와 단부 영역 사이의 극복될 간격에 걸쳐서 베이스 하우징 내로 텐셔닝 부재가 삽입될 경로가 결정될 수 있고, 그 결과 텐셔닝 부재가 베이스 하우징 내로 완전히 삽입된 후 텐셔닝 부재와 고정 부재 사이의 상호 작용 면들이 확실한 결합 상태를 야기한다.
청구항 26에 따른 형상도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상기 실시예를 통해 저항력이 충분히 높을 때 연결 피스의 공간 절약적 형상이 달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청구항 27 또는 28에 기술된 것과 같은 한 형상에 따르면, 상호 작용을 위해 제공된 표면 영역들의 면 팽창이 감소되고, 그 결과 결합 과정 및 그와 연관된 베이스 하우징 내로의 텐셔닝 부재의 삽입 운동이 훨씬 더 간소화된다.
청구항 29항 또는 30항에 따른 형상이 바람직한 것으로 밝혀졌는데, 그 이유는 텐셔닝 부재와 고정 부재 사이에 제 1 결합 상태와 제 2 결합 상태 사이에서 고려되는 축방향으로 가능한 소정의 추가 변위가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청구항 31 내지 33에 따른 바람직한 개선예들에서는, 텐셔닝 부재의 포지셔닝 부재와 고정 부재의 상호 작용에 추가로 예비 조립 부품들, 즉 텐셔닝 부재와 고정 부재의 베이스 하우징 내로의 삽입 운동을 위한 정지부가 제공된다. 그와 동시에 텐셔닝 부재와의 상호 작용시 길이방향 축선 방향으로 더 나은 압력 분포도 달성될 수 있다.
청구항 34 또는 35에 따른 형상도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고정 부재의 부분 영역에서도 상호 작용 표면의 축소가 제공됨으로써 제 1 결합 상태에 도달할때까지 돌출부와 텐셔닝 부재 사이의 상호 결합이 대부분 방지되기 때문이다.
청구항 30에 따르면, 고정 부재와 텐셔닝 부재의 예비 조립 중에 상기 두 부품 사이의 더 확실한 고정이 달성됨으로써, 베이스 하우징 내로의 상기 두 예비 조립 부품의 삽입 운동을 위한 순조로운 프로세스가 달성된다.
청구항 37 내지 41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하우징 내에서 밀봉 부재의 더 우수한 위치 고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그 결과 가압시 밀봉 부재가 삽입 방향으로 더 앞에 놓인, 횡단면이 확장된 섹션의 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럼으로써 어떠한 경우라도 목적물과 베이스 하우징 사이에 항상 우수한 밀봉 효과가 달성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 피스의 조립 도중에도 텐셔닝 부재로부터 멀리 떨어진 쪽 면에서 고정 부재의 더 나은 센터링이 달성된다. 그 결과, 길이방향 축선으로부터 고정 부재가 휘어지거나 기울어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청구항 42 내지 45에 따른 실시예를 통해서도, 베이스 하우징의 외부 표면과 고정 부재 사이의 고정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로킹 부재들이 국부적으로 엇갈려 배치됨에 따라 목적물에서의 횡단면 치수들, 조건들 등에서 나타나는 편차도 보상될 수 있다.
청구항 46에 따른 형상은 제 1 결합 상태에서 고정 부재 내에서의 반경 방향 힘 전달 및 그와 연관된 목적물의 더 나은 고정이 구현될 수 있게 한다.
청구항 47 내지 49에 따른 형상들도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고정 부재와 텐셔닝 부재 사이의 사전 정의된 추가 변위 경로가 제공되기 때문이며, 이때 더 나은 위치 고정을 위해 목적물에 대한 고정 부재의 상대적 횡단면 변동이 추가로 실시된다.
마지막으로 청구항 50에 기술된 것과 같은 형상도 가능하며, 상기 형상에 의해 텐셔닝 부재에 대해 고정 부재가 상대적으로 축방향으로 추가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럼으로써 목적물의 너무 큰 횡단면 변형도 방지된다.
하기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초기 상태에 있는 연결 피스의 개략적 종단면도가다.
도 2는 제 1 결합 상태에 있는, 도 1에 따른 연결 피스의 모습이다.
도 3은 제 2 결합 상태에 있는, 도 1 및 도 2에 따른 연결 피스의 모습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텐셔닝 부재의 한 부분 영역의 개략적 종단면도가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고정 부재의 한 부분 영역의 개략적 종단면도가다.
도 6은 연결 피스의 제 2 구현형의 개략적 종단면도가다.
도 7은 연결 피스의 제 3 구현형의 개략적 종단면도가다.
도 8은 연결 피스용 밀봉 부재의 개략적 종단면도가다.
도 9는 고정 부재의 제 2 구현형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따른 고정 부재의 종단면도가다.
도 11은 텐셔닝 부재의 제 2 구현형의 개략적 종단면도가다.
상이하게 기술된 구현예들에서 동일한 부품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 및 동일한 부품 명칭이 부여되며, 전체 명세서에 포함된 공개 내용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 및 동일한 부품 명칭을 가진 동일한 부품들에 상응하게 전용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선택된 위치 지시들(예: 상부, 하부, 측면 등) 역시 직접적으로 기술되거나 도시된 도면에 관련되며, 위치 변경시 새로운 위치에 상응하게 전용된다. 또한, 독자적인, 진보적인 또는 독창적인 해결책들에 대해 도시 및 기술된 상이한 실시예들로부터 각각의 특징들 또는 특징 조합들도 제시될 수 있다.
도 1 내지 5에는 원형의, 특히 관 형태의 목적물(2)과의 클램핑 연결을 위한 연결 피스(1)의 가능한, 경우에 따라서는 독자적인 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목적물(2)은 대부분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 보통의 파이프 라인이며, 상기 목적물에 조립용 연결 피스(1)가 간단하게 슬라이딩되어 축방향으로 단단하게 고정된다. 또는, 목적물(2)의 형성을 위해 금속 재료들 및/또는 상기 금속 재료들의 합금 또는 혼합물도 사용될 수 있다. 상이한 재료들의 상호 조합도 가능하다.
연결 피스(1)는 다수의 부품으로 형성되고, 부시 형태로 형성된 베이스 하우징(2), 텐셔닝 부재(4), 1개 이상의 고정 부재(5) 및 바람직하게 베이스 하우징(3) 내부에 배치되는 밀봉 부재(6)를 포함한다. 베이스 하우징(3)은, 본 도면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 1 단부 영역(8)과 제 2 단부 영역(9) 사이에 연장되는 길이방향 축선(7)을 갖는다. 또한, 베이스 하우징(3)은 텐셔닝 부재(4)의 일부 및 고정 부재(5)와 밀봉 부재(6)가 삽입되어 있는 1개 이상의 수용 챔버(10)와 경계를 이룬다.
이와 관련하여 텐셔닝 부재(4)는 상호 형상 결합 작용시 베이스 하우징(3)에 대해 길이방향 축선(7)의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고, 이는 예컨대 공지된 방식으로 나사 어셈블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고정 부재(5)는 그의 둘레 영역에 홈 또는 갭 형태로 형성된 1개 이상의 단속 지점을 갖는다. 이러한 단속 지점이 제공될 수는 있으나, 반드시 제공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고정 부재(5)의 재료 선택에 따라 좌우된다. 고정 부재(5)와의 상호 작용을 위한 고유의 텐셔닝 부재(4)가 제공됨으로써, 상기 고정 부재(5)가 경우에 따라 텐셔닝 부재(4)와 함께 미리 조립된 상태에서 간단하게 베이스 하우징(3) 내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하여 도 1에는 텐셔닝 부재(4)가 고정 부재(5)와 함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는 소위 초기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상태에서는 목적물(2)이 간단하게 삽입될 수 있다.
초기 상태에 도달하기 위한 연결 피스(1)의 예비 조립은, 베이스 하우징(3) 내로 먼저 밀봉 부재(6)가 설치 또는 삽입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그럼 다음 고정 부재(5)가 텐셔닝 부재(4)와 함께 하나의 유닛으로 조립되고, 상기 두 부품이 공동으로 베이스 하우징(3) 내로 삽입된다. 고정 부재(5)가 길이방향 축선(7)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쪽을 향하여 확장되는 반경방향 힘을 갖도록 형성되면, 조립 프로세스를 위해 텐셔닝 부재(4)에서 충분한 고정이 실시되거나 충분한 고정력이 발생한다.
목적물(2)을 연결 피스(1) 내로, 특히 고정 부재(5) 내로 더 손쉽게 삽입하기 위해서, 고정 부재(5)의 내부 횡단면(11)이 삽입될 목적물(2)의 외부 횡단면(12)과 적어도 같거나, 바람직하게는 더 큰 것이 유리하다. 여기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고정 부재(5)가 부시 형태로 설계되어 있으며, 텐셔닝 부재를 향하는 반경방향 프리텐션에 의해 상기 텐셔닝 부재 내에 고정되어 있다.
목적물(2)의 외부 표면에 대한 고정 부재(5)의 더 나은 상호 결합을 위해, 고정 부재(5)에서 길이방향 축선(7)을 향하는 한 내부 표면(13)에 상기 표면 위로 돌출하는 1개 이상의 로킹(locking) 부재(14)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킹 부재(14)는 정지 마찰력 증대 수단, 예컨대 코런덤(corundum)으로 만들어진 라이닝, 톱니형 돌출부 또는 층간 삽입물들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둘레에 걸쳐 다수의 로킹 부재(14)가 배치되는데, 이때 상기 로킹 부재들은 예컨대 둘레를 통과하며 길이방향 축선(7)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로킹 링들로 형성될 수도 있다. 종단면도에서 볼때 로킹 부재(들)(14)의 횡단면 형태는 공지되 방식으로 상기 로킹 부재가 목적물(2)의 외부 표면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그리고 그뿐만 아니라 고정 부재(5)로부터 목적물(2)이 배출되지 않도록 선택된다. 또한, 길이방향 축선(7)의 방향으로 볼때 상기 로킹 부재들(14) 중 다수가 연속적으로 서로 거리를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연결 피스(1)를 형성하는 개별 부품들의 초기 상태는 목적물(2)이 삽입되기 전 또는 목적물(2) 위로 슬라이딩되기 전에 공급(출하) 상태로 간주될 수도 있으며, 상기 상태에서 연결 피스(1)는 예비 조립 유닛으로서 존재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그렇게 예비 조립된 유닛을 간단하게, 추가의 처리 과정 없이, 목적물(2) 위로 사전 정의된 위치까지 슬라이딩시킨 다음 텐셔닝 부재(4)를 베이스 하우징(3)에 대해 상대적으로 길이방향 축선(7)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그 결과 도 2에 도시된, 목적물(2)에서의 연결 피스(1)의 제 1 결합 상태에 도달한다.
추가로 도 1에는 삽입 방향(15)이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는데, 상기 삽입 방향은 목적물(2)이 연결 피스(1) 내로 밀어 넣어지는 방향을 나타낸다.
도 4 및 도 5에는 목적물(2)의 클램핑을 야기하는 두 부품, 즉 텐셔닝 부재(4)와 고정 부재(5)가 서로 떨어져 있는 사태로 도시되어 있다.
텐셔닝 부재(4)는 목적물(2)의 삽입 방향(15)으로 볼때 연속으로 배치된 다수의 표면 섹션(16 내지 18)을 갖는다. 삽입 방향(15)으로 볼때 첫 번째 표면 섹션(16)은 길이방향 축선(7)을 기준으로 상기 길이방향 축선에 가장 가까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표면 섹션(16)은 삽입 방향(15)으로 볼때 원뿔 형태로 확장되도록 설계되는데, 이때 상기 제 1 표면 섹션 다음에 형성되는 제 2 표면 섹션(17)은 거의 원통형으로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정렬된다. 따라서 제 1 표면 섹션(16)은 베이스 하우징(3)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원뿔 형태로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도 4에서는 두 표면 섹션(16, 17) 사이에 적어도 1개의 포지셔닝 부재(19)가 형성된 것을 볼 수 있다. 여기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 텐셔닝 부재(4)에 배치된 포지셔닝 부재(19)는 길이방향 축선(7) 방향으로 거의 원통형으로 형성된 제 2 표면 섹션(17) 위로 돌출되는 1개 이상의 쇼울더로 형성된다.
고정 부재(5)는 텐셔닝 부재(4)쪽 면에 자신의 외부 표면(20)의 영역에 텐셔닝 부재(4)의 원뿔 형태로 확장되는 제 1 표면 섹션(17) 및 원통형에 가까운 제 2 표면 섹션(17)에 대응되도록 정렬된, 원통형에 가까운 제 1 표면 영역(21) 및 원뿔 형태의 제 2 표면 영역(22)을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초기 상태에서는 고정부재(5)의 원통형에 가까운 표면 영역(21)이 역시 원통형에 가깝게 형성된 텐셔닝 부재(4)의 표면 섹션(17)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하며, 이때 고정 부재(5)는 상기 상태에서 텐셔닝 부재(4)의 포지셔닝 부재(19)와도 상호작용한다. 앞서 설명한, 텐셔닝 부재(4)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고정 부재(5)의 반경방향 프리텐션에 의해 원통형 표면 섹션(16)과 역시 원통형인 표면 영역(21)의 상호작용시 추가로 상기 두 부품 상호간의 프리포지셔닝 고정이 달성된다. 고정 부재(5)가 포지셔닝 부재(19)에 접촉 또는 지지됨으로써 초기 상태를 위한 텐셔닝 부재(4)와 고정 부재(5) 사이의 상대적 위치가 미리 결정된다.
또한, 앞서 설명한 고정 부재(5)의 반경방향 프리텐션에 의해 목적물(2)이 연결 피스(1) 내로, 특히 고정 부재(5) 내로 훨씬 간편하게 삽입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 과정 동안 고정 부재(5)에, 특히 상기 고정 부재의 로킹 부재(들)(14)에 목적물(2)이 이곳저곳에 연속적으로 접촉되는 현상이 방지되기 때문이다.
베이스 하우징(3)에 의해 한정된 수용 챔버(10)는 목적물(2)의 삽입 방향(16)으로, 그리고 종단면도 상에서 볼 때, 제 1 단부 영역(8)에서 시작하여 제 2 단부 영역(9)의 방향으로 계단 형태로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계단형 축소에 의해 본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연속 배치된 다수의 섹션(23 내지 25)이 형성되고, 상기 섹션들은 바람직하게 거의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계단형 섹션들(23과 24 및 24와 25) 사이의 전이 영역에는 길이방향 축선(7)에 수직으로 정렬된 전이면들(26, 27)이 형성된다.
텐셔닝 부재(4)는 본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1 섹션(23)의 영역에 배치된다. 고정 부재(5)는 대부분의 영역이 역시 상기 섹션(23) 내에 배치되고, 경우에 따라, 삽입 방향(15)으로 볼때, 그 다음에 놓인 다른 섹션(24) 내에 적어도 일부가 놓일 수 있다. 본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밀봉 부재(6)는, 베이스 하우징(3)과 텐셔닝 부재(4) 사이의 상호 형상 결합을 위한 제 1 섹션(23) 다음에 놓인 계단형 섹션(24)의 영역 내에 배치된다.
또한, 도 1을 통해 베이스 하우징(3) 내 밀봉 부재(6)에서 텐셔닝 부재(4)로부터 멀리 떨어진 쪽 면에 지지면(28)이 할당되고, 상기 지지면은 길이방향 축선(7)에 수직으로 정렬된 평면(29)과 관련하여 둘레에 걸쳐서 볼때 상기 평면(29)에 수직 방향으로 상이한 간격을 가짐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점선으로 간략하게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면(28)은 둘레에 걸쳐서 볼때 길이방향 축선(7)에 수직으로 정렬된 평면(29)을 기준으로 물결형 패턴을 가질 수 있다. 그럼으로써 도시된 밀봉 부재(6)와는 달리, 상기 밀봉 부재가 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오링(O-ring)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오링은 지지면(28)에 접하게 된다. 이로써, 연결 피스(2) 내로 목적물(2)의 삽입시 삽입되는 목적물(2)의 단부가 추후 밀봉을 위한 밀봉 부재(6)의 일부 영역에만 접하게 되고, 추가로 더 삽입되어야만 상기 목적물(2)이 밀봉 부재(6)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게 되는 장점이 제공된다. 그 결과, 목적물(2)이 밀봉 부재(6)를 통과하여 슬라이딩되는 동안 발생하는 장착력이 감소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둘레에 걸쳐서 볼때 단지 밀봉 부재(6)의 일부 영역만 목적물(2)의 외부 표면에 접촉되고, 그럼으로써 삽입 과정 및 봉입이 삽입 경로(insertion path)에 따라 실시되기 때문이다.
또는 베이스 하우징(3) 내에서 섹션들(24, 25) 중 적어도 하나, 특히 베이스 하우징(3)과 텐셔닝 부재(4) 사이의 상호 형상 결합을 위한 섹션(23) 다음에 놓인 섹션에 오링의 수용을 위한, 도 2에는 간략하게 점선으로만 도시된, 작은 구멍 형태의 홈형 리세스가 제공되거나, 상기 섹션들(24, 25) 중 하나가 그러한 리세스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리세스는 길이방향 축선(7)에 수직으로 정렬된 평면(29)에 대해 둘레에 걸쳐서 상이한 간격을 가지며, 상기 간격은 둘레를 따라 물결형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평면(29)에 대한 상이한 간격은, 홈형 리세스에 대한 선택된 평면(20)의 상대적 자리 또는 상대적 위치에 따라 상기 홈의 이격이 평면(29)의 한쪽 면에 대한 간격만을 토대로 실시되거나, 평면(29)에 수직 방향으로 양면의 이격이 실시됨을 의미한다. 그 결과, 삽입 과정 초기에 삽입될 목적물(2)의 외부 표면이 둘레에 걸쳐 밀봉 부재(6)에 단속적으로 또는 비연속적으로 접하게 되고, 거기서 추가로 더 삽입되어야만 완전한 봉입이 이루어지며, 그러한 완전한 봉입에 의해 상기 목적물(2)의 외부 표면 영역이 완전히 밀폐된다.
이와 같이 밀봉 부재(6), 특히 오링을 위한 홈형 리세스의 둘레가 평면(29)으로부터 벗어나도록 배치되는 구조는, 본 도면에 예로써 도시된 베이스 하우징(3)뿐만 아니라, 고정 부재(5)와 상호 작용하는 텐셔닝 부재(4)와 같은 클램핑 장치의 존재 여부와 상관없이, 슬라이딩 가능한 다른 모든 슬리브 바디들에도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슬리브 바디는 단일 부품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슬라이드식 관 연결 부품들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주조, 사출성형, 압출, 압출성형 등과 같은 상이한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매우 상이한 재료(금속, 플라스틱) 및 상이한 치수로 된 하수관(sewer pipe) 또는 배수관도 사용될 수 있다. 오링 대신 예컨대 하나 이상의 밀봉 립(sealing lip), 래버린스 씰 등을 구비한 밀봉 바디와 같은 다른 형상의 밀봉 부재(6)도 사용될 수 있다.
베이스 하우징(3)에는 밀봉 부재(6)에 이어서 세 번째 계단형 섹션(25)이 배치되며, 상기 섹션은 수용될 목적물(2)의 외부 횡단면에 비해 적어도 같거나 큰 내부 횡단면을 갖는다. 또한, 베이스 하우징(3) 내부로의 목적물(2)의 삽입 운동의 저지를 위해,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제 3 계단형 섹션(25) 영역에서 이전 섹션들(23, 24)로부터 먼 쪽에 놓인 면에 길이방향 축선(7)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1개 이상의 스토퍼(3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연결 피스(1)와 삽입될 목적물(2) 사이에 명확한 포지셔닝이 구현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텐셔닝 부재(4)에서는, 원통형으로 설계된 제 2 표면 섹션(17)의, 포지셔닝 부재(19)로부터 먼 쪽의 면에 삽입 방향(15)으로 원추형으로 확장되는 제 3 표면 섹션(18)이 배치됨을 알 수 있다. 이때, 텐셔닝 부재(4)의 제 1 및 제 3 원뿔형 표면 섹션(16 및 18)은 상기 섹션들을 둘러싸는 원뿔형 재킷면의 부분면들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조에서 원통형 표면 섹션(17)은 연속하는 원뿔형 재킷면 영역 내에서 단(段)으로서 존재한다.
또한, 도 1 및 도 4의 개략도로부터, 텐셔닝 부재(4)가 길이방향 축선(7)으로부터 먼 쪽에 놓인 면에 1개 이상의, 특히 플랜지 형태로 형성된, 쇼울더(31)를 갖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상기 쇼울더는 도 1의 초기 상태에서 길이방향 축선(7)의 방향으로 사전 설정 가능한 간격(32)을 두고 이격된다. 상기 간격(32)은 베이스 하우징(3)과 텐셔닝 부재(4) 사이의 결합 경로에 상응한다. 베이스 하우징(3)과 텐셔닝 부재(4) 사이의 상호 변위가 일어나면, 제 1 결합 상태(도 2 참조)에서 텐셔닝 부재(4)의 쇼울더(31)가 베이스 하우징(3)에 지지될 때까지 또는 제 1 단부 영역(8)에 있는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단부면에 접촉될 때까지 상기 간격(32)이 줄어든다. 그 결과, 텐셔닝 부재(4)와 베이스 하우징(3) 사이의 상호 형상 결합이 제 1 계단형 섹션(23)의 영역에 배치된 나사 어셈블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나사 조임 운동의 정지부가 형성된다.
또한, 도 1 및 도 5의 개략도로부터, 고정 부재(5)가 삽입 방향(15)으로 볼 때 길이방향 축선(7)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쪽의 면에, 즉 제 1 원통형 표면 영역(21)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쪽 면에, 원뿔형 표면 영역(22)에 이어서 상기 표면 영역(22) 위로 튀어나온, 특히 플랜지 형태로 형성된 돌출부(33)를 갖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초기 상태에서는, 앞에서 이미 설명한 것처럼, 텐셔닝 부재(4)가 고정 부재(5)와 함께 공동으로 베이스 하우징(3) 내로 삽입되며, 이때 상기 삽입은 상기 초기 상태에서 돌출부(33)가 베이스 하우징(3)의 수용 챔버(10)의 제 1 계단형 섹션(23)과 제 2 계단형 섹션(24) 사이의 전이 영역에 형성된 전이면(26)에 축방향으로 지지될 때까지 실시된다.
상기 돌출부(33)의 둘레는 단지 일부 영역만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둘레 전체가 연속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33)는 길이방향 축선(7)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쪽 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텐셔닝 부재(4)를 향해 좁아지도록 설계된 원뿔형 지지면(34)을 갖는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면(34)의 원뿔각이 길이방향 축선(7)을 기준으로 고정 부재(5)의 제 1 원뿔형 표면 영역(22)과 동일하게 설계된다.
도 2에 도시된 제 1 결합 상태를 살펴보면, 텐셔닝 부재(4)의 쇼울더(31)가 베이스 하우징(3)의 단부면에 접하는 동시에 고정 부재(5)의 돌출부(33)가 2개의 계단형 섹션(23, 24) 사이의 전이면(26)에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제 1 결합 상태에서 전술한 돌출부(33)의 지지면(34)은 텐셔닝 부재(4)에 형성된 또 다른 지지면(35)과 상호 작용하며, 상기 지지면(35)은 바람직하게 지지면(34)의 기울기에 대응되도록 정렬된다.
도 1에 도시된 초기 상태에서 출발하여 도 2에 도시된 제 1 결합 위치를 향해 텐셔닝 부재(4)가 삽입됨으로써, 고정 부재(5)의 둘레가 텐셔닝 부재(4)의 원추형 또는 원뿔형 표면 섹션들(16 및 18) 및 고정 부재(5)의 표면 영역(22)의 상호 작용 하에 길이방향 축선(7)의 방향으로 변형되고, 이러한 변형은 제 1 결합 상태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것이며, 이미 공지되어 있는 사실이다. 이때, 앞서 기술한 단속 지점은 제 1 및 제 2 결합 상태에 도달시 추가의 광범위한 정지부로서 작용하는 갭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 부재(5)의 횡단면이 축소되는 동안, 내부 표면(13)에 배치된 로킹 부재들(14)이 목적물(2)의 외부 표면 내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압되고, 그로 인해 고정 부재(5)와 목적물(2) 사이에 형상 결합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연결 피스(1)가 상기 연결 피스 내부에 삽입된 목적물(2)에 대해 상대적으로 제자리에 고정되고, 삽입 방향(15)에 반하여 목적물(2)의 인장 하중이 길이방향 축선(7)의 방향으로 가해지면, 삽입 방향(15)에 반하여 연결 피스(1)에 대해 상기 목적물(2)의 상대적 변위가 일어난다. 이러한 변위는 도 3에 도시된 제 2 결합 상태에서 볼 수 있으며, 상기 변위는 또한 고정 영역에서의 매체 압력의 작용에 의해 및/또는 목적물(2) 또는 관의 후퇴에 의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원추형으로 형성된 표면 섹션들(16 또는 18)과 표면 영역(22) 그리고 역시 원추형으로 형성된 2개의 지지면(34, 35)이 서로 슬라이딩됨으로써, 고정 부재(5)의 횡단면이 추가로 축소된다. 이때, 로킹 부재(들)(14)이 목적물(2)의 외부 표면 내로 더 침투된다.
돌출부(33)는 텐셔닝 부재(4)쪽 면에 바람직하게 길이방향 축선(7)에 수직으로 정렬된 단부면(36)을 가지며, 상기 단부면은 제 2 결합 상태(도 3 참조)에서 상기 단부면에 대응되도록 텐셔닝 부재(4)에 형성된 또 다른 단부면(37)에 접한다. 그로 인해 연결 피스(1)에 대한 목적물(2)의 상대적 변위가 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운동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서로 상대 운동을 하는 부품들 사이에 적절한 수용 공간(38, 39)이 제공된다. 즉, 목적물(2)의 삽입 방향으로 볼때, 원뿔형으로 형성된, 텐셔닝 부재(4)의 제 1 표면 섹션(16)의 전방에 제 1 수용 공간(38)이 배치된다. 상기 수용 공간(38)의 영역에도, 부품들이 적절하게 상보적으로 형성된 경우, 연결 피스(1)에 대한 목적물(2), 특히 고정 부재(5)의 상대 변위 경로의 정지부가 제공될 수 있다. 2개의 정지부 중 하나만 제공되거나, 상기 두 정지부가 서로 조합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수용 공간(39)은 도 2에 서로 이격 배치된 단부면들(36, 37)에 의해 형성된다. 본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고정 부재(5)의 원뿔형 표면 영역(22)이 길이방향 축선(7)의 방향으로 텐셔닝 부재(4)의 제 1 및 제 2 표면 섹션의 합, 경우에 따라 제 3 표면 섹션(16 내지 18)까지 합친 것보다 더 크다.
도 2에 도시된 제 1 결합 상태에서는, 고정 부재(5)의 원통형으로 형성된 제 1 표면 영역(21)과 원뿔형으로 형성된 제 2 표면 영역(22) 사이의 전이 영역이 텐셔닝 부재(4)에 형성된, 제 1 원뿔형 표면 섹션(16)과 수용 공간(38) 사이의 전이 영역 내에 놓인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연결 피스들(1)의 경우, 밀봉 부재(6)는 베이스 하우징(3) 내로 삽입된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목적물(2)의 외부 표면과 베이스 하우징(3) 사이의 밀폐를 위해 밀봉 부재(6)의 내폭이 베이스 하우징(3) 내로 삽입되는 목적물의 외측 치수보다 더 작다. 베이스 하우징(3)에 대한 밀봉 부재(6)의 상대적 변위를 저지하기 위해, 고정 부재(5)는 텐셔닝 부재(4)로부터 멀리 떨어진 쪽 면에 밀봉 부재(6)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1개 이상의 쇼울더 부재(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쇼울더 부재(40)는 초기 상태에서 반경 방향으로 베이스 하우징(3)에, 특히 제 2 섹션(24)에 지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여기에 도시되고 기술된 연결 피스(1)는 단지 가능한 여러 설계에 대한 예시로서 기술된 것이다. 특히 이는 베이스 하우징(3)의 공간 형성에도 적용된다. 따라서 연결 피스(1)는 예컨대 관 커넥터, 엘보우(elbow) 또는 수나사를 가진 연결 부품 등을 형성할 수 있고, 도시된 구현형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6에는 연결 피스(1)의 또 다른 가능한 예로서, 그 자체로 완비된 연결 피스(1)의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5의 상세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전술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부품들에는 동일한 부품 명칭 및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되었다.
연결 피스(1)는 재차 베이스 하우징(3), 텐셔닝 부재(4), 고정 부재(5) 및 밀봉 부재(6)를 포함한다. 베이스 하우징(3) 내에는 역시 고정을 위해 목적물(2)이 상기 베이스 하우징 내에 삽입된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본 도면은 도 2의 도면에 따른 제 1 결합 상태에 상응한다.
전술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고정 부재(5)의 구현형과는 달리, 여기서는 베이스 하우징(3)에 대한 밀봉 부재(6)의 포지셔닝을 위해 고정 부재(5)가, 종단면도 상에서 볼 때, L자형으로 설계된 쇼울더 부재(40)를 갖는다. 상기 L자형 쇼울더 부재(40)의 제 1 아암(41)은 길이방향 축선(7)에 평행하게 정렬되고, 또 다른 아암(42)은 길이방향 축선(7)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쪽 면 위로 돌출하도록 정렬된다.
쇼울더 부재(40)가 존재하지 않거나 단지 부분적으로만 존재하는 경우, 도 2에 간략하게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것처럼, 고정 부재(5)와 밀봉 부재(6) 사이에 1개 이상의 추가 스페이서 부재(43)가 배치될 수 있다.
도 7에는 경우에 따라 추가될 수 있는, 그 자체로 완비된 연결 피스(1)의 형상이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도 역시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6의 상세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전술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부품들에는 동일한 부품 명칭 및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되었다.
연결 피스(1)는 베이스 하우징(3), 텐셔닝 부재(4), 고정 부재(5) 및 상기 베이스 하우징 내에 삽입된 밀봉 부재(6)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 부재는 목적물(2)이 베이스 하우징(3)에 대해 밀폐되도록 한다.
본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도 고정 부재(5)에 역시 밀봉 부재(6)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1개 이상의 쇼울더 부재(40)가 제공된다. 추가로, 밀봉 부재(6)의 적어도 1개의 단부 영역에, 바람직하게는 길이방향 축선(7)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양쪽 단부 영역 모두에 각각 1개의 지지 부재(44)가 배치된다. 상기 지지 부재(들)(44)는 예컨대 환형 디스크로 형성될 수 있고, 아주 간단하게 밀봉 부재(6)와 결합될 수 있다.
도 8에는 밀봉 부재의 한 가능한 독자적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밀봉 부재(6)는 베이스 바디(45)를 포함하고, 연결 피스(1)를 원형의, 특히 관 형태의 목적물(2)의 단부와 밀폐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베이스 바디(45)에는 둘레에 빙 둘러 목적물(2)에 접하도록 형성된 1개 이상의 밀봉 영역(46)이 제공된다. 상기 밀봉 영역(46)은 길이방향 축선(7)에 수직으로 정렬된 한 평면(47) 내에서 상기 밀봉 영역의 둘레가 상기 평면(47)에 대해 상이한 간격을 갖도록 배치된다. 즉, 밀봉 영역(46)은 그 둘레가 길이방향 축선(7)에 수직으로 정렬된 평면(47)을 기준으로 물결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평면(47)을 기준으로 한 엇배치의 분포가 둘레에 걸쳐서 대칭이 되도록 선택된다.
그리하여 예컨대 밀봉 영역(46)은, 종단면도 상에서 볼 때, 길이방향 축선(7)의 방향으로 불룩 튀어나온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밀봉 영역(46)을 1개 이상의 밀봉 립(sealing lip)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베이스 바디(45)에서 길이방향 축선(7)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쪽에 놓인 면이, 종단면도 상에서 볼 때, 물결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밀봉 부재(6)의 외부 둘레와 베이스 하우징(3) 사이에 일종의 래버린스 씰이 구현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는 고정 부재(5)의 또 다른 가능한 독자적 형상이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도 역시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8의 상세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전술한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부품들에는 동일한 부품 명칭 및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되었다.
고정 부재(5)는 그의 둘레에 걸쳐서 이미 앞에서 기술한, 갭 또는 홈 형태의 단속 지점을 가지며, 그 결과 초기 상태에서 시작하여 제 1 및 제 2 결합 상태에 이르기까지 횡단면의 변동이 일어날 수 있다. 제 2 결합 상태에서는 바람직하게 서로를 향하는 갭 면들이 추가의 정지부로서 서로 접한다. 고정 부재(5)의 외부 표면(20)의 영역에서 텐셔닝 부재(4)로부터 멀리 떨어진 쪽 단부에는 원통형으로 설계된 제 1 표면 영역(21)이 놓인다. 또한, 고정 부재(5)는 상기 외부 표면(20) 위로 튀어나온 돌출부(33)도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본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둘레에 걸쳐서 세그먼트 방식으로 분포되도록 제공된다. 또한, 원뿔형으로 설계된 제 2 표면 영역(22)이 제공되고, 상기 제 2 표면 영역은 후속하는 도 11에 따라 대응 설계된 텐셔닝 부재(4)의 제 1 표면 섹션(16)과 상호 작용한다. 본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원통형 표면 영역(21)과 제 2 원뿔형 표면 영역(22) 사이에, 종단면도 상에서 볼 때 세 번째 표면 영역(48)이 형성되며, 상기 표면 영역(48)은 원뿔형 표면 영역(22)에 비해 길이방향 축선(7)의 방향으로 더 큰 경사를 갖는다. 이 경우, 상기 제 3 표면 영역(48)은 종단면도 상에서 볼 때 볼록한 만곡부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고정 부재(5)와 텐셔닝 부재(4) 사이의 상호 접촉면들을 어느 정도 떨어지게 하여 접촉을 최소화하고, 그럼으로써 텐셔닝 부재(4)의 조임을 위해 극복되어야 할 마찰력을 최소화하는데 이용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33)에서 길이방향 축선(7)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텐셔닝(4) 쪽 면에는 종단면도 상에서 볼 때 전이면(49)이 제공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전이면은 원뿔 형태로 좁아지도록 설계된 지지면(34)에 비해 길이방향 축선(7)의 방향으로 더 큰 경사를 갖는다. 상기 전이면(49) 역시 종단면도 상에서 볼 때 볼록한 만곡부를 가질 수 있다. 그럼으로써 상기 영역에서도 상호 작용하는 지지면들(34, 35)이 최소화된다.
도 9에 더욱 잘 나타나 있듯이, 고정 부재(5)의 외부 둘레 또는 외부 표면(20)에 걸쳐서 바람직하게 대칭으로 균일하게 분포되면서 길이방향 축선(7)의 방향으로 뻗은 다수의 리세스(50)가 제공되며, 상기 리세스들은 부분적으로 외부 표면(20) 안쪽으로 패이며, 원통형 표면 영역(21)에서부터 시작하여 돌출부(33)까지 그리고 상기 돌출부 내로도 침투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세스들(50)이 쇼울더 부재(들)(40)의 외부 표면의 영역으로 평평하게 이어진다.
고정 부재(5)는 상호 결합을 위해 자신의 내부 표면(13)에 둘레에 걸쳐 분포되는 다수의 로킹 부재(14)를 가지며, 상기 로킹 부재들은 길이방향 축선(7)의 방향으로 연달아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때, 상기 로킹 부재들(14)은 둘레에 걸쳐서 지속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부분적으로 배치되며, 이 경우 길이방향 축선(7)의 방향으로 바로 연이어 배치된 로킹 부재들(14)은 둘레 방향으로 추가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로킹 부재들(14)이 배치된 고정 부재(5)의 내부 표면(13)은 길이방향 축선(7)과 관련하여 상기 길이방향 축선의 방향으로 상이한 길이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내부 표면(13)은 거의 원통형으로 및/또는 원뿔형으로 및/또는 볼록하게 만곡된 형태로 및/또는 오목하게 만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 표면(13)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삽입 조건들에 적합하게 목적물(2)의 클램핑 특성 및 경우에 따라서는 삽입 특성이 매칭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텐셔닝 부재(4)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고정 부재(5)와의 상호 작용을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그 자체로 또 다른 가능한 (경우에 따라서는 그 자체로 독자적인) 구현형을 나타내며, 여기서도 역시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10의 상세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전술한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부품들에는 동일한 부품 명칭 및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되었다.
텐셔닝 부재(4)는 고정 부재(5)와의 상호 작용을 위해 길이방향 축선(7)에 가장 근접한 영역에 원뿔형 표면 섹션(16)을 갖는다. 그에 이어서 포지셔닝 부재(19)가 형성되고, 상기 포지셔닝 부재는 상기 포지셔닝 부재 바로 다음에 연결되는 제 2 원통형 표면 섹션(17) 위로 길이방향 축선(7)의 방향으로 돌출하여 고정 부재(5)와의 상호 작용을 위해 사용된다.
앞에서 기술한 개별 부품들, 즉 베이스 하우징(3), 텐셔닝 부재(4) 및 고정 부재(5)는 상이한 재료들로부터, 상이한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재료로는 다양한 플라스틱, 금속 재료 및 그 합금들 또는 임의의 복합 재료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품들은 선반(lathe) 가공품 및/또는 몰딩 부품(molded part) 및/또는 캐스팅 부품(cast part)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은 연결 피스의 가능한 변형예들 및 상기 연결 피스를 형성하는 개별 부품들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이 특별히 도시된 변형예들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각각의 변형예들의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가능성은 발명 대상의 기술적 취급 이론을 토대로 그러한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의 능력에 달려 있다. 또한, 도시 및 기술된 실시예들의 개개의 세부 사항들의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는 모든 고려 가능한 실시예들도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된다.
연결 피스 구조의 이해를 돕기 위해, 상기 연결 피스(들)의 부품들을 부분적으로 축척에 맞지 않게 및/또는 더 확대 및/또는 축소시켜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독자적인 해결책들에 근거한 과제는 상세한 설명에 제시되어 있다.
특히 도 1 내지 3; 4; 5; 6; 7; 8; 9; 10; 11에 도시된 각 실시예들이 본 발명에 따른 독자적 해결책들의 대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본 발명에 따른 과제들 및 해결책들은 상기 도면들의 상세 설명에 제시되어 있다.
*도면 부호 목록*
1: 연결 피스
2: 목적물
3: 베이스 하우징
4: 텐셔닝 부재
5: 고정 부재
6: 밀봉 부재
7: 길이방향 축선
8, 9: 단부 영역
10: 수용 챔버
11, 12: 횡단면
13: 표면
14: 로킹 부재
15: 삽입 방향
16, 17, 18: 표면 섹션
19: 포지셔닝 부재
20: 표면
21, 22: 표면 영역
23, 24, 25: 섹션
26, 27: 전이면
28: 지지면
29: 평면
30: 스토퍼
31: 쇼울더
32: 갭
33: 돌출부
34, 35: 지지면
36, 37: 단부면
38, 39: 수용 공간
40: 쇼울더 부재
41, 42: 아암
43: 지지 부재
45: 베이스 바디
46: 밀봉 영역
47: 평면
48: 표면 영역
49: 전이면
50: 리세스

Claims (50)

  1. 원형 목적물(2)의 말단과의 클램핑 연결을 위한 연결 피스(1)로서,
    1개 이상의 수용 챔버(10)를 둘러싸며 길이방향 축선(7)을 가지는 슬리브형 베이스 하우징(3)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3)에 대해 길이방향 축선(7)의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텐셔닝 부재(4)와,
    둘레 영역 내에 단속 지점을 갖는 1개 이상의 고정 부재(5), 및
    베이스 하우징(3)의 내부에 배치된 1개 이상의 밀봉 부재(6)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 부재(6), 텐셔닝 부재(4) 및 고정 부재(5)가 베이스 하우징(3) 내로 삽입되는 초기 상태에서는 고정 부재(5)의 내측 횡단면이 삽입될 목적물(2)의 외부 횡단면에 비해 같거나 크며,
    상기 길이방향 축선(7)을 향하는 1개 이상의 내부 표면 섹션(16 내지 18)은 베이스 하우징(3)으로부터 먼 쪽에 놓인 면을 향하여 원뿔 형태로 좁아지도록 설계되며,
    상기 텐셔닝 부재(4)의 내부 표면 섹션(16 내지 18)과의 상호 작용을 위해 상기 길이방향 축선(7)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1개 이상의 외부 표면 영역(21, 22)이 제공되는, 연결 피스에 있어서,
    상기 텐셔닝 부재(4)는 목적물(2)의 삽입 방향으로 볼때 원뿔형으로 확장되는 제 1 내부 표면 섹션(16)의 다음에 원통형에 가까운 제 2 표면 섹션(17)을 포함하며, 상기 두 표면 섹션(16, 17) 사이에 1개 이상의 포지셔닝 부재(19)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 부재(5)는 외부 표면(20)의 영역에서 상기 텐셔닝 부재(4)쪽 면에 상기 텐셔닝 부재(4)의 원뿔형으로 확장되는 제 1 내부 표면 섹션(16) 및 원통형에 가까운 제 2 표면 섹션(17)에 대응되도록 정렬된, 원통형에 가까운 제 1 표면 영역(21) 및 원뿔형의 제 2 표면 영역(22)을 포함하고, 상기 초기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 부재(5)의 원통형에 가까운 표면 영역(21)이 부분적으로 텐셔닝 부재(4)의 원통형에 가까운 표면 섹션(17)에 접촉하고, 상기 고정 부재(5)는 텐셔닝 부재(4)의 포지셔닝 부재(19)와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피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하우징(3)의 수용 챔버(10)는 상기 목적물(2)의 삽입 방향(16) 및 종단면도 상에서 볼 때 제 1 단부 영역(8)에서 시작하여 제 2 단부 영역(9)의 방향으로 계단형 섹션(23,24,25) 형태로 좁아지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피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형 섹션(23,24,25)들은 원통형으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피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형 섹션(23,24) 및 상기 계단형 섹션(24,25)들 사이의 전이 영역에 길이방향 축선(7)에 수직으로 정렬된 전이면(26, 27)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피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6)가 베이스 하우징(3) 내로 삽입된 위치에서 상기 밀봉 부재의 내폭이 베이스 하우징(3) 내로 삽입될 목적물(2)의 외부 치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피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6)는 베이스 하우징(3)과 텐셔닝 부재(4) 사이의 상호 형상 결합을 위해 계단형 섹션(23) 다음에 놓인 계단형 섹션(24)의 영역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피스.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셔닝 부재(4)로부터 멀리 떨어진 쪽에 있는 상기 베이스 하우징(3) 내부의 밀봉 부재(6)와 결합되는 지지면(28)이 제공되며, 상기 지지면은 원주변 위에서 볼 때 길이방향 축선(7)에 수직으로 지향된 평면(29)으로부터, 상기 평면(29)에 수직 방향으로 상이한 간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피스.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하우징(3)과 텐셔닝 부재(4) 사이의 상호 형상 결합을 위해 상기 베이스 하우징(3)에 있는 섹션(23) 다음에 놓인 섹션들(24,25) 중 하나 이상의 섹센에 상기 밀봉 부재(6)를 위한 1개 이상의 홈형 리세스가 제공되고, 상기 리세스는 둘레에 걸쳐서 길이방향 축선(7)에 수직으로 정렬된 평면(29)에 대해 상이한 간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피스.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홈형 리세스와 지지면(28) 중 하나 이상이 원주변 위에서 볼 때, 길이방향 축선(7)에 수직으로 지향된 평면(29)에 대해 물결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피스.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6)가 오링(O-ring)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피스.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6)가 베이스 바디(45), 및 원주변에 빙 둘러 형성되고 상기 목적물(2)과 접촉하도록 제공된 1개 이상의 밀봉 영역(46)을 포함하고, 상기 밀봉 영역(46)은 원주변 위에서 볼 때, 길이방향 축선(7)에 수직으로 지향된 한 평면(47)으로부터 상이한 간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피스.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영역(46)은 원주변 위에서 볼 때 길이방향 축선(7)에 수직으로 지향된 평면(47)을 기준으로 물결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피스.
  13.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영역(46)이 종단면도 상에서 볼 때 불룩 튀어나온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피스.
  14.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영역(46)이 1개 이상의 밀봉 립(sealing lip)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피스.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영역(46)이 길이방향 축선(7)의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피스.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축선(7)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쪽에 있는 상기 베이스 바디(45)의 한 면은 종단면도 상에서 볼 때 물결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피스.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하우징(3) 내에 있는 계단형 제 3 섹션(25)이 목적물(2)의 외부 횡단면에 비해 같거나 큰 내부 횡단면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피스.
  18.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하우징(3)의 상기 섹션들(23,24)로부터 먼 쪽에 놓인 상기 제 3 계단형 섹션(25)에는 목적물(2)을 위해 길이방향 축선(7)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1개 이상의 스토퍼(30)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피스.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셔닝 부재(4)에 배치된 포지셔닝 부재(19)가 길이방향 축선(7)의 방향으로 돌출하고 그리고 원통형 제 2 표면 섹션(17) 위로 돌출하는 1개 이상의 쇼울더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피스.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제 2 표면 섹션(17)에 인접한 상기 텐셔닝 부재(4)는 원뿔형으로 확장되는 제 3 표면 섹션(18)을 상기 포지셔닝 부재(17)로부터 멀리 떨어진 쪽의 한 면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피스.
  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셔닝 부재(4)의 제 1 및 제 3 표면 섹션(16, 18)은 상기 텐셔닝 부재들을 둘러싸는 원뿔형 표면들의 부분 면들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피스.
  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물(2)의 삽입 방향(15)으로 볼때, 원뿔형으로 형성된, 텐셔닝 부재(4)의 제 1 표면 섹션(16)의 전방에 수용 공간(38)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피스.
  2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셔닝 부재(4)와 베이스 하우징(3) 사이의 상호 형상 결합은 상기 제 1 계단형 섹션(23)의 영역에 배치된 나사 어셈블리에 의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피스.
  2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셔닝 부재(4)의 길이방향 축선(7)으로부터 먼 쪽에 놓인 한 면에 1개 이상의 플랜지 형태로 형성된 쇼울더(31)를 가지며, 상기 쇼울더는 초기 상태에서, 길이 방향 축선(7)의 방향으로 보아 베이스 하우징(3)과 텐셔닝 부재(4) 사이의 결합 경로에 상응하는 사전 설정 가능한 간격(32)을 두고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피스.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텐셔닝 부재(4)와 목적물(2) 간의 제 1 결합 상태에서, 상기 텐셔닝 부재(4)의 쇼울더(31)는 베이스 하우징(3)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피스.
  2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5)가 부시 형태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피스.
  27. 제 1항에 있어서,
    종단면도 상에서 볼 때 상기 고정 부재(5)의 원통형 제 1 표면 영역(21)과 원뿔형 제 2 표면 영역(22) 사이에 제 3 표면 영역(48)이 형성되며, 상기 표면 영역(48)은 원뿔형 제 2 표면 영역(22)에 비해 길이방향 축선(7)의 방향으로 더 큰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피스.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표면 영역(48)은 종단면도 상에서 볼 때 볼록하게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피스.
  29. 제 1항에 있어서,
    길이방향 축선(7)의 방향으로 상기 고정 부재(5)의 원뿔형 표면 영역(22)은 길이방향 축선의 방향으로 텐셔닝 부재(4)의 제 1 내지 제 3 표면 섹션(16 내지 18)을 합친 것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피스.
  30. 제 1항에 있어서,
    길이방향 축선(7)의 방향으로 고정 부재(5)의 원뿔형 표면 영역(22) 및 제 3 표면 영역(48)은 길이방향 축선의 방향으로 텐셔닝 부재(4)의 원뿔형 제 1 표면 섹션(16)의 길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피스.
  3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5)가 길이방향 축선(7)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쪽의 한 면에, 원뿔형 표면 영역(22)에 인접해 있고 상기 표면 영역(22) 위로 튀어나온 플랜지 형태인 1개 이상의 돌출부(3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피스.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상태에서 돌출부(33)는 베이스 하우징(3)의 수용 챔버(10)의 제 1 계단형 섹션(23)과 제 2 계단형 섹션(24) 사이의 전이 영역에 형성된 전이면(26)에 축방향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피스.
  33. 제 32항에 있어서,
    길이방향 축선(7)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쪽의 한 면에 있는 상기 돌출부(33)는 텐셔닝 부재(4)의 방향으로 원뿔 형태로 좁아지도록 설계된 지지면(34)을 가지며, 상기 지지면의 원뿔 각도는 원뿔형 제 1 표면 영역(22)의 각도와 동일하게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피스.
  34. 제 31항 내지 제 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종단면도 상에서 볼 때 길이방향 축선(7)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고 상기 텐셔닝 부재(4)를 지향하고 있는 상기 돌출부(33)에 전이면(49)이 배치되고, 상기 전이면은 원뿔 형태로 좁아지도록 설계된 지지면(34)에 비해 길이방향 축선(7) 방향으로 더 큰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피스.
  35.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면(49)은 종단면도 상에서 볼 때 볼록하게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피스.
  3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5)는 텐셔닝 부재(4)를 향하는 반경방향 프리텐션에 의해 상기 텐셔닝 부재 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피스.
  3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5)의 텐셔닝 부재(4)로부터 멀리 떨어진 쪽의 한 면에, 밀봉 부재(6)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1개 이상의 쇼울더 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피스.
  3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쇼울더 부재(40)가 종단면도 상에서 볼 때 L자형으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피스.
  39. 제 38항에 있어서,
    상기 L자형 쇼울더 부재(40)의 제 1 아암(41)은 길이방향 축선(7)에 평행하게 정렬되고, 또 다른 아암(42)은 길이방향 축선(7)에 수직으로 돌출하도록 정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피스.
  40. 제 37항 내지 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쇼울더 부재(40)는 초기 상태에서 반경 방향으로 베이스 하우징(3)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피스.
  4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5)와 밀봉 부재(6) 사이에 1개 이상의 추가 스페이서 부재(43)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피스.
  4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5)의 길이방향 축선(7) 쪽 내부 표면(13)에 상기 길이방향 축선(7)의 방향으로 상기 내부 표면 위로 돌출하는 1개 이상의 로킹 부재(14)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피스.
  43. 제 42항에 있어서,
    원주변에 다수의 로킹 부재(14)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피스.
  44. 제 42항 또는 제 43항에 있어서,
    다수의 로킹 부재(14)가 대상물(2)의 길이방향 축선(7)의 방향으로 연달아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피스.
  45. 제 44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부재(14)는 원주 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피스.
  46. 제 33항에 있어서,
    제 1 결합 상태에서 상기 고정 부재(5) 위로 튀어나온 돌출부(33)의, 원뿔형으로 좁아지도록 F설계된 지지면(34)이 상기 지지면(34)에 대응되도록 텐셔닝 부재(4)에 형성된 또 다른 지지면(35)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피스.
  47. 제 4항에 있어서,
    제 1 결합 상태에서 상기 고정 부재(5)의 원통형에 가까운 제 1 표면 영역(21)과 원뿔형으로 형성된 제 2 표면 영역(22) 사이의 전이 영역이 텐셔닝 부재(4)에 형성된, 제 1 원뿔형 표면 섹션(16)과 수용 공간(38) 사이의 전이 영역 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피스.
  48. 제 47항에 있어서,
    제 1 결합 상태에서 상기 고정 부재(5)와 텐셔닝 부재(4) 사이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1개 이상의 추가 수용 공간(3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피스.
  49. 제 48항에 있어서,
    제 1 결합 상태에서 상기 텐셔닝 부재(4)를 향한 상기 고정 부재(5)의 단부와 상기 텐셔닝 부재(4) 사이에 상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용 공간(3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피스.
  50. 제 1항에 있어서,
    제 2 결합 상태에서 상기 고정 부재(5)는 제 1 결합 상태에 비해 축방향으로 텐셔닝 부재(4)를 향하여 변위되고, 상기 고정 부재(5)의 돌출부(33)는 축방향으로 텐셔닝 부재(4)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피스.
KR1020087008209A 2005-09-15 2006-08-28 원형의, 특히 관형 목적물의 말단용 연결 피스 KR1010482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0152405A AT501475B8 (de) 2005-09-15 2005-09-15 Anschlussstück für ein ende eines runden, insbesondere rohrförmigen gegenstandes
ATA1524/2005 2005-09-15
PCT/AT2006/000354 WO2007033390A1 (de) 2005-09-15 2006-08-28 Anschlussstück für ein ende eines runden, insbesondere rohrförmigen gegenstand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9812A KR20080049812A (ko) 2008-06-04
KR101048241B1 true KR101048241B1 (ko) 2011-07-08

Family

ID=36651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8209A KR101048241B1 (ko) 2005-09-15 2006-08-28 원형의, 특히 관형 목적물의 말단용 연결 피스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1924799B1 (ko)
JP (1) JP5231226B2 (ko)
KR (1) KR101048241B1 (ko)
AT (2) AT501475B8 (ko)
CZ (1) CZ17063U1 (ko)
DE (2) DE202006006399U1 (ko)
DK (1) DK1924799T3 (ko)
ES (1) ES2339154T3 (ko)
PL (1) PL1924799T3 (ko)
RU (1) RU2382267C2 (ko)
WO (1) WO200703339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72349A (zh) * 2016-07-21 2016-09-28 海盐县秦山液压机械厂 一种连接紧固的密封管接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26443A1 (en) * 2007-03-01 2009-12-02 Georg Fischer TPA S.r.l. Joint for connecting pipes
EP2370723B1 (en) * 2008-12-10 2017-02-15 Swagelok Company Ferrule assembly for conduit fitting
AT509497B1 (de) 2010-03-02 2018-09-15 Astra Vermoegens Und Beteiligungsverwaltungsgesellschaft Mbh Wasserkraftmaschine
DE102010012523A1 (de) * 2010-03-17 2011-09-22 Eisele Pneumatics Gmbh & Co. Kg Vorrichtung zum Verbinden mit einer Rohr- oder Schlauchleitung, insbesondere Klemmringverschraubung
ITMI20110603A1 (it) * 2011-04-11 2012-10-12 Effebi Spa Raccordo per tubi e relativo metodo di collegamento
FR2984989B1 (fr) * 2011-12-21 2014-09-12 Vortex Cie Raccordement pour tube et tuyau polyethylene utilise dans l'adduction de l'eau
WO2014042606A1 (en) * 2012-09-12 2014-03-20 Erhas Boru Ve Maki̇na Eki̇pmanlari Endüstri̇si̇ A.Ş. Plastic pipe coupling
WO2015143345A1 (en) 2014-03-20 2015-09-24 Griffin Pipe Products Co., Llc Flexible pipe joint
FR3097933B1 (fr) * 2019-06-25 2021-07-30 Raccordsmax Raccord entre un appareil et un tube , à résistance augmentée
GB202004202D0 (en) * 2020-03-23 2020-05-06 Poulton Tech Limited Connector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47770A (en) 1950-10-04 1953-08-04 Atomic Energy Commission Sealed telescopic pipe joint
US3195902A (en) 1960-08-02 1965-07-20 Minnesota Rubber Co Rotary seal with serpentine configurations
US4220359A (en) 1978-05-30 1980-09-02 Gould Inc. Push-to-connect air brake fitting
US5558375A (en) 1995-07-10 1996-09-24 Deere & Company Quick attach, reusable hose fitting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94222U (ko) * 1972-12-04 1974-08-14
GB1473389A (en) * 1973-05-09 1977-05-11 Dexploitation Des Brevets Ocla Pipe couplings
CH581801A5 (ko) * 1975-08-27 1976-11-15 Fischer Ag Georg
FR2437560A1 (fr) * 1978-09-26 1980-04-25 Legris France Sa Perfectionnement aux raccords pour tuyauteries notamment pour tuyauteries de fluides a haute pression
DE8223557U1 (de) * 1981-08-25 1982-12-16 Georg Fischer AG, 8201 Schaffhausen Klemmverbindung für glatte Rundkörper, insbesondere Rohre und Stangen
DE8306170U1 (de) * 1983-03-04 1983-06-09 Viegener II, Franz, 5952 Attendorn Kupplungsvorrichtung fuer das druckdichte und loesbare verbinden von rohren aus nachgiebigem werkstoff
JPS6262090U (ko) * 1985-10-08 1987-04-17
FR2597569B1 (fr) * 1986-04-16 1988-10-21 Pont A Mousson Raccord pour tuyaux
JP2523405Y2 (ja) * 1990-05-28 1997-01-22 大阪瓦斯株式会社 管継手
DE4422564C1 (de) * 1994-06-28 1995-11-09 Ritz Reinert Gmbh Zugfeste Rohrverbindung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NL1005334C2 (nl) * 1997-02-20 1998-09-08 Wavin Bv Afdichting voor een buisverbinding en mof voor het verbinden van twee buisdelen.
DE10026464A1 (de) * 2000-05-27 2001-12-06 Martin Biermann Vorrichtung zum Verbinden mit einem Ende einer röhrenartigen Leitung, insbesondere Schlauch-Schnellverbinder
DE10340477B3 (de) * 2003-09-03 2005-07-21 Reinert-Ritz Gmbh Zugfeste Rohrverbindu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47770A (en) 1950-10-04 1953-08-04 Atomic Energy Commission Sealed telescopic pipe joint
US3195902A (en) 1960-08-02 1965-07-20 Minnesota Rubber Co Rotary seal with serpentine configurations
US4220359A (en) 1978-05-30 1980-09-02 Gould Inc. Push-to-connect air brake fitting
US5558375A (en) 1995-07-10 1996-09-24 Deere & Company Quick attach, reusable hose fitting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72349A (zh) * 2016-07-21 2016-09-28 海盐县秦山液压机械厂 一种连接紧固的密封管接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1924799T3 (pl) 2010-07-30
AT501475B8 (de) 2007-02-15
JP5231226B2 (ja) 2013-07-10
RU2382267C2 (ru) 2010-02-20
JP2009508067A (ja) 2009-02-26
ES2339154T3 (es) 2010-05-17
ATE456761T1 (de) 2010-02-15
DE202006006399U1 (de) 2006-06-22
DK1924799T3 (da) 2010-05-17
DE502006006052D1 (de) 2010-03-18
EP1924799B1 (de) 2010-01-27
CZ17063U1 (cs) 2006-12-12
AT501475A4 (de) 2006-09-15
AT501475B1 (de) 2006-09-15
RU2008114504A (ru) 2009-10-20
KR20080049812A (ko) 2008-06-04
WO2007033390A1 (de) 2007-03-29
EP1924799A1 (de) 2008-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8241B1 (ko) 원형의, 특히 관형 목적물의 말단용 연결 피스
EP1828660B1 (en) Combination seal and restraing system for plastic pipe
US6270125B1 (en) Molded tubing assemblies
EP2589848A2 (en) One touch-type pipe connection apparatus
GB2278173A (en) A connector for plastic tubes
AU2005298555B2 (en) Segmented locking ring, and corresponding assembly and mounting method
EP2827038B1 (en) Tube joint
JP2004347074A (ja) 管継手
US20130056976A1 (en) One-touch pipe connection device
US6832791B2 (en) Connection means for interconnecting two duct elements
EP1074778B1 (en) Tube joint
JPH04228991A (ja) 管継手
EP1714067B1 (en) Externally cylindrical member for fastening in an aperture
US6371530B1 (en) Tube joint
EP1366318B1 (en) Coupling for connection of a tube or hose by pushing-in
US6837525B2 (en) Tube connecting structure
CN110462274B (zh) 压套
CN101036018A (zh) 软管连接装置
US6533330B1 (en) Connetion together of tubular members
JP4315330B2 (ja) 流体管の離脱防止装置
BG61172B1 (bg) Свързващо устройство за тръбопроводи за работни флуиди
JP4871142B2 (ja) 管継手部の離脱防止構造と挿口管部の係止部大径改造方法及び挿口管部用係止部大径改造具
EP3364089A1 (en) Quick connector coupling
JP3386406B2 (ja) 管継手
JP5268100B2 (ja) 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