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8031B1 - 휴대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휴대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8031B1
KR101048031B1 KR1020100038636A KR20100038636A KR101048031B1 KR 101048031 B1 KR101048031 B1 KR 101048031B1 KR 1020100038636 A KR1020100038636 A KR 1020100038636A KR 20100038636 A KR20100038636 A KR 20100038636A KR 101048031 B1 KR101048031 B1 KR 101048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oor
portable electronic
electronic device
abando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8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균
신효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8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8031B1/ko
Priority to EP10014800.6A priority patent/EP2381653B1/en
Priority to TW099140839A priority patent/TWI437412B/zh
Priority to US12/961,991 priority patent/US844671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8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8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3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the transmission of signal or power between the different housings, e.g. details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passage of cab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56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 H05K5/026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having standardized interfaces
    • H05K5/0278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having standardized interfaces of USB typ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05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without supporting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면에 개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를 통하여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연결포트들, 상기 연결포트들을 덮는 제1 상태와 상기 연결포트들을 개방하는 제2 상태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상기 개구에 배치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가 상기 제2 상태로 회전하면 상기 연결포트들이 상기 개구에서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도어의 눌러짐과 연동하여 상기 연결포트들을 슬라이딩시키도록 형성되는 이동 매커니즘, 및 상기 개구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포트들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도어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연결포트들을 잠금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잠금 매커니즘을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 전자기기{MOBILE DEVICE}
본 발명은 외부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한 연결포트와 상기 연결포트를 덮는 도어를 구비하는 휴대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자기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전자기기이다.
휴대 전자기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휴대 전자기기의 휴대성을 고려하다 보면 휴대 전자기기의 연결포트가 전자기기의 내측으로 많이 들어가야 하며, 이에 따라 연결포트의 사용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휴대 전자기기의 휴대성과 연결포트의 사용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매커니즘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와 다른 형태로 형성되어, 연결포트가 보다 편리하게 개폐되는 휴대 전자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포트의 사용성을 유지하면서 슬림한 휴대 전자기기의 외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전자기기는, 일면에 개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를 통하여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연결포트들, 상기 연결포트들을 덮는 제1 상태와 상기 연결포트들을 개방하는 제2 상태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상기 개구에 배치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가 상기 제2 상태로 회전하면 상기 연결포트들이 상기 개구에서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도어의 눌러짐과 연동하여 상기 연결포트들을 슬라이딩시키도록 형성되는 이동 매커니즘, 및 상기 개구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포트들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도어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연결포트들을 잠금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잠금 매커니즘을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이동 매커니즘은,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가이드레일을 구비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연결포트들이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레일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도어에 가해지는 힘을 전달받도록 이루어지는 하우징, 및 가압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길이가 확대 및 축소되도록 이루어지며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가압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상기 도어는 커버 및 회전날개들을 포함한다. 커버는 상기 개구에 대응하도록 이루어지며, 회전날개들은 상기 커버의 양단에서 각각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회전날개들은 상기 도어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1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도어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가이드부재에 걸리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날개들은 상기 연결포트들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2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개구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부재에 걸리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베이스부 및 절곡부를 포함한다. 베이스부는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개구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절곡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양단에서 절곡되며, 절곡부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이 형성된다. 상기 가압모듈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하우징의 서로 마주보는 면들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가압모듈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하우징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양면 중 어느 하나는 개방되고 다른 하나는 막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안착부의 개방된 부분을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상기 절곡부는 기설정된 길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날개는 상기 하우징의 슬라이딩에 연동하여 상기 절곡부를 일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상기 절곡부의 일면을 벗어나면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회전날개의 일단은 상기 커버와 연결되며, 타단은 자유단을 이룬다. 상기 회전날개는 양단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자유단은 상기 절곡부의 일면을 벗어나 회전함에 의하여 상기 절곡부의 단부에 걸림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상기 하우징은 지지부, 돌출부 및 가이드 날개부를 포함한다. 지지부는 상기 본체의 내면을 덮도록 형성되며, 지지부에는 상기 연결포트들이 장착되는 회로기판이 배치된다. 돌출부는 상기 지지부의 적어도 일단에서 돌출되며, 가이드 날개부는 상기 돌출부들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응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도어는 상기 돌출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이동 매커니즘은 상기 연결포트들이 장착되고,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상기 이동 매커니즘은 상기 제1 및 제2 상태 사이에서 상기 연결포트가 상기 개구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도록, 상기 도어의 눌러짐과 연동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하우징을 가압하거나 가압해제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가이드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도어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하우징 및 가이드 부재의 사이에는 가압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길이가 확대 및 축소되도록 이루어지는 가압모듈이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상기 가압모듈은, 서로 상대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및 제2 바디와, 상기 제1 및 제2 바디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배치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 바디와 관련되도록 설치되며 가압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이루어지는 캠부를 포함한다. 상기 캠부는 캠핀 및 캠을 포함한다. 캠핀은 제1 바디에 장착되며, 캠은 상기 제2 바디에 형성된다. 캠은 상기 캠핀의 이동을 폐루프를 따라 가이드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폐루프의 중간위치에서 걸어멈추며 가압에 의하여 상기 걸어멈춤이 해제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전자기기는 이동 매커니즘을 통하여, 연결포트에 대한 사용자의 개폐조작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또한, 슬라이딩 및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도어와, 가압에 의하여 구동하는 가압모듈을 통하여 종래와 다른 새로운 형태의 연결포트 개폐 구조를 구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포트가 도어의 누름조작에 연동하여 슬라이딩함에 따라 연결포트가 사용시에만 휴대 전자기기의 외부로 돌출되는 매커니즘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어의 회전을 통하여 연결포트의 회전이 제한됨에 따라, 도어의 록킹이 보다 간단하게 구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전자기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휴대 전자기기의 일 부분을 분해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연결포트, 도어 및 이동 매커니즘을 분해한 분해도.
도 5는 도 4의 가압모듈의 개념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6A 내지 도 6C는 도 5의 가압모듈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3의 이동 매커니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한 휴대 전자기기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 전자기기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사시도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전자기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휴대 전자기기에는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렛 PC,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전자기기(100)의 사시도이다. 도 1은 휴대 전자기기의 일예로서 태블렛 PC를 나타내고 있다.
개시된 휴대 전자기기(100)는 하나의 바디(110, 또는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휴대 전자기기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휴대 전자기기(1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전자기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디스플레이부(113), 음향출력 모듈(114), 카메라(115), 사용자 입력부(116)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프론트 케이스(11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13)는 시각 정보 또는 영상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터치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으로서 동작한다.
디스플레이부(113)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소프트키'라 불릴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16)는 휴대 전자기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16a, 116b)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16a, 116b)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16a, 116b)은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조작 유닛들(116a, 116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16a)은 시작, 종료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16b)은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또는 음향 출력 모듈(114)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도록 형성된다.
디스플레이부(113)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 출력 모듈(114)와 카메라(115)가 배치된다. 상기 음향 출력 모듈(114)은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115)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전자기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바디의 내부에는 디스플레이부(113) 및 사용자 입력부(116)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가 배치된다. 제어 장치는 인쇄회로기판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100)의 후면 사시도이다.
휴대 전자기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 모듈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은 프론트 케이스의 음향 출력 모듈(114, 도 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휴대 전자기기 바디의 측면에는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휴대 전자기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휴대 전자기기 바디에는 마이크(117), 전원공급부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에서 음향 출력 모듈(114)이 배치되는 일단부와 다른 단부로부터 인접한 영역에는 마이크(117)가 배치된다. 전원공급부는 전자기기 바디에는 휴대 전자기기(10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내장형 배터리로서 바디의 내부에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11) 및 리어 케이스(112)의 측면들에는 인터페이스부(118)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18)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전자기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전자기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도 3은 도 1의 휴대 전자기기의 일 부분을 분해한 사시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프론트 케이스(111)의 전면에는 윈도우(113a)가 장착되고, 윈도우(113a)에 대응하도록 디스플레이(113b), 메인 회로기판(113c)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인터페이스부(118, 도 1 및 도 2 참조)는 상기 메인 회로기판(113c)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부(118)는 복수의 연결포트들(118a)을 포함한다. 복수의 연결포트들(118a)은 예를 들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연결포트들(118a)은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도시에 의하면, 리어 케이스(112)에는 연결포트들(118a)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구(119)가 형성되고, 연결포트들(118a)은 상기 개구(119)에 대응하도록 리어 케이스(112)에 배치된다. 이하, 연결포트들(118a) 및 연결포트들(118a)과 관련된 부품들이 리어 케이스(112)에 배치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연결포트들(118a)은 프론트 케이스(111)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결포트들(118a)은 상기 개구(119)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며, 개구(119)는 리어 케이스(112)의 측면에 배치된다. 연결포트들(118a)가 미사용시에 외부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개구(119)는 도어(120)에 의하여 개폐된다. 도어(120)는 상기 개구(119)에 배치되며, 연결포트들(118a)을 덮는 제1 상태(도 8A 참조)와 상기 연결포트들(118a)을 개방하는 제2 상태(도 8C 참조)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연결포트들(118a)과 도어(120)는 이동 매커니즘(200)에 의하여 서로 연동하게 된다. 이동 매커니즘(200)은 상기 도어(120)가 상기 제2 상태로 회전하면 상기 연결포트들(118a)이 상기 개구(119)에서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도어(120)의 눌러짐과 연동하여 상기 연결포트들(118a)을 슬라이딩시킨다.
이하, 상기 이동 매커니즘(200)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연결포트들(118a), 도어(120) 및 이동 매커니즘(200)을 분해한 분해도이다.
이동 매커니즘(200)은 연결포트들(118a)이 장착되는 하우징(210)을 포함하며, 하우징(210)은 리어 케이스(112, 도 3 참조)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하우징(210)과 관련한 이동 매커니즘(200)의 기능에 의하면, 상기 이동 매커니즘(200)은 제1 및 제2 상태 사이에서 연결포트들(118a)이 개구(119, 도 3 참조)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도록, 도어(120)의 눌러짐과 연동하여 순차적으로 하우징(210)을 가압하거나 가압해제하도록 형성된다.
하우징(210)은 지지부(211), 돌출부(212) 및 가이드 날개부(213)를 포함한다.
지지부(211)는 리어 케이스(112)의 내면을 덮도록 형성되며, 지지부(211)의 일면에는 회로기판(118b)이 배치된다. 회로기판(118b)에는 연결포트들(118a)이 장착되며, 상기 회로기판(118b)은 메인 회로기판(113c, 도 3 참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돌출부(212)는 지지부(211)의 적어도 일단에서 돌출된다. 도시에 의하면, 돌출부(212)는 지지부(211)의 양단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돌출부(212)에 가이드 날개부(213)가 형성된다.
가이드 날개부(213)는 가이드레일(223)에 대응하도록 이루어지며, 이를 통하여 하우징(210)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이드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210)에는 연결포트들(118a)이 장착되며, 하우징(210) 및 가이드레일(223)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시에 의하면, 가이드레일(223)은 가이드부재(220)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재(220)는 베이스부(221) 및 절곡부(222)를 포함한다.
베이스부(221)는 리어 케이스(112)에 장착되며, 리어 케이스(112) 측면의 개구(119)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221)는 바 형태로 이루어지며, 개구(119)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베이스부(221)의 길이는 하우징(210)의 길이에 대응하며, 하우징(210)이 리어 케이스(112)의 내부로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도록 베이스부(221)와 하우징(210)은 제1 상태에서 접촉될 수 있다.
절곡부(222)는 상기 베이스부(221)의 양단에서 절곡된다. 예를 들어, 절곡부(222)는 하우징(210)의 가이드 날개부(213)와 평행하도록 베이스부(221)의 양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절곡부(222)에 가이드레일(223)이 형성된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도어(120)는 하우징(210)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커버(121) 및 회전날개들(122)을 포함한다.
커버(121)는 리어 케이스(112)의 개구(119)에 대응하도록 이루어진다. 커버(281)는, 예를 들어 리어 케이스(112)의 측면을 따라 길이 방향을 형성하며, 길이 방향이 폭 방향보다 길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커버(121)는 길이 방향에 대하여 양단을 형성하는 바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도면은 커버(121)가 연결포트들(118a)을 열리도록 배치된 상태를 설명한다. 커버(121)는 닫힌 상태에서, 커버(121)의 전면(즉, 연결포트들(118a)을 덮는 면의 반대측 면)이 리어 케이스(112)의 측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어(120)는 연결포트들(118a)을 개방하도록 상기 커버(121)의 양단을 리어 케이스(112)의 측면에서 리어 케이스(112)의 주면(즉, 바디의 후면)을 향하여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어(120)는 상기 커버(121)의 양단을 리어 케이스(112)의 측면에서 프론트 케이스(111)의 주면(즉, 바디의 전면)을 향하여 이동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121)의 회전을 위하여, 회전날개들(122)은 커버(121)의 양단에서 각각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2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예를 들어, 회전날개(122)는 하우징(210)의 돌출부(212)에 힌지결합 등을 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도어(120)는 제1 상태에서 회전이 제한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날개들(122)은 제1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도어(120)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가이드부재(220)에 걸리도록 이루어진다. 회전날개들(122)은 하우징(210)과 연결된 부분에서 가이드부재(220)의 절곡부(222)의 하측에서 베이스부(221)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이루어진다(도 7A 참조). 이 경우, 커버(121)에 리어 케이스(112)의 주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력이 가해져도, 회전날개들(122)이 절곡부(222)의 하면에 걸리므로 도어(120)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연결구조에 의하여, 하우징(210)은 도어(120)에 가해지는 힘을 전달받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날개(122)가 돌출부(212)에 결합됨에 따라, 커버(121)에 가해진 힘은 회전날개들(122) 및 돌출부(212)를 통하여 하우징(210)에 전달된다. 이동 매커니즘(200)은 하우징(210)에 전달된 힘이 가압모듈(230)에 가해지도록 이루어진다.
가압모듈(230)은 가압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길이가 확대 및 축소되도록 이루어지며, 하우징(210) 및 가이드 부재(220)의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가압모듈(230)은 길이 방향의 일단이 리어 케이스(112)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210)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모듈(230)은 가이드부재(220)의 베이스부(221)와 하우징(210)의 서로 마주보는 면들 사이에 끼워진다.
도시에 의하면, 하우징(210)에는 가압모듈(230)이 안착되는 안착부(224)가 형성된다.
안착부(224)는 하우징(21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양면 중 어느 하나는 개방되고 다른 하나는 막히도록 이루어지며, 가이드부재(220)의 베이스부(221)는 상기 안착부(224)의 개방된 부분을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안착부(224)의 가압모듈(230)은 일단이 안착부(224)의 개방된 부분을 관통하여 베이스부(221)와 접촉하고, 타단이 안착부(224)의 막힌 부분과 접촉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커버(121)에 가해지는 힘은 하우징(210)을 통하여 가압모듈(230)에 전달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커버(121)를 눌러주면 가압모듈(230)에 힘이 가해지며, 가압모듈(230)의 길이가 늘어남에 따라 하우징(210)이 개구(119)를 향하여 슬라이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압에 따라 길이가 순차적으로 가변되는 가압모듈(230)의 일 예로, 가압모듈(230)은 푸시푸시 기구가 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가압모듈(230)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4의 가압모듈(230)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6A 내지 도 6C는 도 5의 가압모듈(230)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압모듈(230)은 제1 바디(231), 제2 바디(232), 탄성부재(233) 및 캠부(234)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바디(231, 232)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수용되며, 서로 상대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상대 이동에 의하여 가압모듈(230)의 길이가 가변된다.
제1 및 제2 바디(231, 232)의 내부에는 탄성부재(233) 및 캠부(234)가 배치된다.
탄성부재(233)는 제1 및 제2 바디(231, 232)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바디(231, 232)의 이동방향으로 길게 가이드봉(233a)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봉(233a)에는 스프링이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은 코일스프링으로 제1 및 제2 바디(231, 232)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캠부(234)는 제1 및 제2 바디(231, 232)와 관련되도록 설치되며, 가압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바디(231, 232)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이루어진다. 캠부(234)는 캠핀(234a) 및 캠(234b)을 포함한다.
캠핀(234a)은 제1 바디(231)에 장착되며, 제2 바디(232)를 향하여 연장된다. 캠핀(234a)의 단부는 캠(234b)에 걸리도록 이루어진다.
캠(234b)은 상기 제2 바디(232)에 형성되며, 상기 캠핀(234a)의 이동을 폐루프(235)를 따라 가이드하도록 이루어진다. 캠(234b)은 캠핀(234a)을 상기 폐루프(235)의 중간위치에서 걸어멈추며 가압에 의하여 상기 걸어멈춤이 해제되도록 형성된다.
도시에 의하면, 캠(234b)의 테두리를 따라 캠가이드(234c)가 돌출되며, 캠(234b)과 캠가이드(234c)의 사이에는 캠경로, 즉 상기 폐루프(235)가 형성된다. 캠핀(234a)의 단부는 상기 폐루프(235)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폐루프(235)는 하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캠핀(234a)이 일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반대 방향으로 회전을 제한하는 구조, 예를 들어 단차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도 6A에 의하면, 제1 및 제2 바디(231, 232) 중 어느 하나가 가압되면, 캠핀(234a)은 폐루프(235)를 따라 하트 형상의 우측 상단 끝까지 이동하게 된다. 도 6B를 참조하면, 가압의 해제에 따라 캠핀(234a)은 하트 형상의 오목한 지점에 수용되며, 이 때가 가압모듈(230)의 길이가 축소되고, 캠핀(234a)이 중간위치에서 걸어멈춘 경우가 된다.
도 6C를 참조하면, 다시 제1 및 제2 바디(231, 232) 중 어느 하나가 가압됨에 따라, 캠핀(234a)는 하트 형상의 오목한 지점을 빠져나오며, 폐루프(235)를 따라 최초 위치로 복원하게 된다. 이 경우는 가압모듈(230)의 길이가 신장된 경우이다.
가압모듈(230)은 상기 구조에 의하여, 연속되는 누름에 의하여 길이의 확대 및 축소가 반복되며, 하우징(210) 및 가이드부재(220)와 함께 본 발명의 이동 매커니즘(200)을 구성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4의 이동 매커니즘(200)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들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가이드부재(220)의 절곡부(222)는 기설정된 길이로 이루어지고, 도어(120)의 회전날개(122)는 하우징(210)의 슬라이딩에 연동하여 상기 절곡부(222)를 일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상기 절곡부(222)의 일면을 벗어나면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도 7A에 도시된 제1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도어(120)의 커버(121)가 눌러지면 가압모듈(230, 도 4 참조)에 힘이 전달되어 가압모듈(230)의 길이가 신장된다. 가압모듈(230)의 신장에 의하여 도 7B와 같이 가이드 날개부(213)는 가이드 레일(223, 도 4 참조)을 따라 슬라이딩하고, 회전날개(122)는 절곡부(222)의 일면에 의하여 가이드된다.
회전날개(122)는 일단이 커버(121)와 연결되며, 타단이 자유단을 이루고, 양단 사이에서 하우징(21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7C를 참조하면, 회전날개(122)의 자유단은 절곡부(222)의 일면을 벗어나면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함에 의하여 상기 절곡부(222)의 단부에 걸림된다. 이를 통하여 제2 상태에서 연결포트들(118a, 도 4 참조)의 이동이 제한되며, 상기 구성은 연결포트들(118a)의 잠금 매커니즘을 형성한다.
즉, 잠금 매커니즘은 도어(120)의 회전과 연동하여 제2 상태에서 상기 연결포트들(118a)을 잠금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잠금 매커니즘은 회전날개(122)의 일면이 상기 회전날개(122)의 회전에 의하여 개구(119)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가이드부재(220)의 일단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2 상태에서 연결포트들(118a)의 이동이 제한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연결포트들(118a)에 연결 케이블을 끼울 때 연결포트들(118a)의 고정이 유지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한 휴대 전자기기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연결포트들(318)은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핑된다. 예를 들어 연결포트들(318)은 제1 및 제2 그룹(318a, 318b)으로 그룹핑되며, 이에 대응하도록 하우징(410) 및 도어(320)도 각각 제1 및 제2 하우징(410a, 410b)과 제1 및 제2 도어(320a, 320b)를 포함한다. 가압모듈(430a, 430b)은 복수로 구비되고, 제1 및 제2 하우징(410a, 410b)에 각각 안착된다.
제1 및 제2 하우징(410a, 410b) 중 어느 하나에는 다른 하나와 마주보는 측면에 가이드레일이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제1 및 제2 하우징(410a, 410b) 중 어느 하나는 양측이 각각 가이드부재(420)와 다른 하나의 하우징에 의하여 가이드된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제1 도어(320a)가 눌러지면 제1 그룹(318a)이 외부로 돌출되면서 노출되고, 제2 도어(320b)가 눌러지면 제2 그룹(318b)이 외부로 돌출되면서 노출된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복수의 그룹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 전자기기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9A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휴대 전자기기로 노트북 컴퓨터(500)를 예시한다. 노트북 컴퓨터(500)는 키패드가 배치되는 제1 본체(501)와 디스플레이가 배치되는 제2 본체(502)로 이루어진다.
연결포트들(미도시)은 제1 본체(501)의 측면에 배치되며, 도어(520)의 커버(521)는 제1 본체(510)의 측면과 동일평면을 이룬다. 본 발명의 이동 매커니즘은 커버(521)가 눌러지면 연결포트들을 개방시킴과 동시에 외부를 향하여 이동시킨다.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전자기기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mobile termianl)가 포함되며, 이하, 휴대 전자기기가 이동 단말기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600)는 이하에서 도시된 바 타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연결포트(618a) 및 개구(619)가 각각 단말기(600)의 측면에 배치되고, 단말기(600) 바디에는 상기 연결포트(618a)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지는 도어(620)가 장착된다. 본 발명의 이동 매커니즘은 도어(620)가 눌러짐에 따라 연결포트(618a)를 슬라이딩시키도록 이루어지며, 상세한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대응하는 구조가 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연결포트(618a)는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가 될 수 있다. 도어가 개방된 제2 상태에서 연결포트(618a)는 단말기(600)의 측면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이 경우, 접속단자의 직경이 크더라도 도어(620)에 의하여 가려짐에 따라 단말기의 일체적 외관이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접속단자가 단말기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이 도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 전자기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7)

  1. 일면에 개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를 통하여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연결포트들
    상기 연결포트들을 덮는 제1 상태와 상기 연결포트들을 개방하는 제2 상태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상기 개구에 배치되는 도어;
    상기 도어가 상기 제2 상태로 회전하면 상기 연결포트들이 상기 개구에서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도어의 눌러짐과 연동하여 상기 연결포트들을 슬라이딩시키도록 형성되는 이동 매커니즘; 및
    상기 개구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포트들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도어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연결포트들을 잠금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잠금 매커니즘을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매커니즘은,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가이드레일을 구비하는 가이드부재;
    상기 연결포트들이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레일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도어에 가해지는 힘을 전달받도록 이루어지는 하우징; 및
    가압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길이가 확대 및 축소되도록 이루어지며,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가압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잠금 매커니즘은 상기 도어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적어도 일부에 걸리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개구에 대응하도록 이루어지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양단에서 각각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날개들을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들은 상기 도어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1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도어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가이드부재에 걸리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매커니즘은,
    상기 회전날개들의 일면이 상기 회전날개들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개구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단에 걸리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개구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양단에서 절곡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모듈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하우징의 서로 마주보는 면들 사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가압모듈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하우징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양면 중 어느 하나는 개방되고 다른 하나는 막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안착부의 개방된 부분을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개구에 대응하도록 이루어지는 커버; 및
    상기 커버에서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는 기설정된 길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날개는 상기 하우징의 슬라이딩에 연동하여 상기 절곡부를 일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상기 절곡부의 일면을 벗어나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는,
    일단이 상기 커버와 연결되며, 타단이 자유단을 이루고, 양단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자유단은 상기 절곡부의 일면을 벗어나 회전함에 의하여 상기 절곡부의 단부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본체의 내면을 덮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결포트들이 장착되는 회로기판이 배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적어도 일단에서 돌출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들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응하도록 이루어지는 가이드 날개부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돌출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매커니즘은,
    상기 연결포트들이 장착되고,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상태 사이에서 상기 연결포트가 상기 개구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도록, 상기 도어의 눌러짐과 연동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하우징을 가압하거나 가압해제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가이드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도어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 및 가이드 부재의 사이에는 가압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길이가 확대 및 축소되도록 이루어지는 가압모듈이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모듈은,
    서로 상대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및 제2 바디;
    상기 제1 및 제2 바디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배치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 바디와 관련되도록 설치되며, 가압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이루어지는 캠부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는,
    상기 제1 바디에 장착되는 캠핀;
    상기 제2 바디에 형성되며, 상기 캠핀의 이동을 폐루프를 따라 가이드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폐루프의 중간위치에서 걸어멈추며 가압에 의하여 상기 걸어멈춤이 해제되도록 형성되는 캠을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
KR1020100038636A 2010-04-26 2010-04-26 휴대 전자기기 KR101048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636A KR101048031B1 (ko) 2010-04-26 2010-04-26 휴대 전자기기
EP10014800.6A EP2381653B1 (en) 2010-04-26 2010-11-19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connection port
TW099140839A TWI437412B (zh) 2010-04-26 2010-11-25 可攜式電子裝置
US12/961,991 US8446712B2 (en) 2010-04-26 2010-12-07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636A KR101048031B1 (ko) 2010-04-26 2010-04-26 휴대 전자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8031B1 true KR101048031B1 (ko) 2011-07-08

Family

ID=44278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8636A KR101048031B1 (ko) 2010-04-26 2010-04-26 휴대 전자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446712B2 (ko)
EP (1) EP2381653B1 (ko)
KR (1) KR101048031B1 (ko)
TW (1) TWI4374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24625B (fi) * 2010-10-15 2014-11-14 Perlos Oyj Elektroniikkalaite, kuori ja menetelmä
BR112013032782A2 (pt) * 2011-06-28 2017-01-31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Lp porta de um sistema de computação e método
TWI505067B (zh) * 2012-05-07 2015-10-21 Compal Electronics Inc 電子裝置
US9137918B2 (en) * 2012-09-28 2015-09-15 Htc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9332329B2 (en) 2012-09-28 2016-05-03 Htc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US9282668B2 (en) 2012-09-28 2016-03-08 Htc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9176537B2 (en) 2013-03-15 2015-11-03 Intel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for an electronic device
CN105307440B (zh) * 2015-12-03 2018-10-19 北京京东方多媒体科技有限公司 一种通信插口的门体结构及显示装置
TWI710927B (zh) * 2019-08-20 2020-11-21 宏碁股份有限公司 可攜式電子裝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1742A (ja) 1999-05-20 2000-11-30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機器
US20040077207A1 (en) 2002-10-16 2004-04-22 Ice Donald A. Transceiver latch mechanism
US20050049016A1 (en) 2003-08-25 2005-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 cover unit for electronic equipment
KR100834636B1 (ko) 2006-12-08 2008-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단자 커버 개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87041B (en) * 2002-03-28 2005-03-09 Matsushita Comm Ind Uk Ltd Electrical device with cover for electrical contacts
US7483262B2 (en) * 2004-01-15 2009-01-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puter system with multiple-connector apparatus
JP4906312B2 (ja) * 2005-10-24 2012-03-28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カード用コネクタ
US7931505B2 (en) * 2007-11-15 2011-04-26 Bose Corporation Portable device interfacing
CN101615821B (zh) * 2008-06-23 2011-12-07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连接器盖体结构及具该盖体结构的电子装置
WO2010077243A1 (en) * 2008-12-30 2010-07-0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n access door for a mobile computing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1742A (ja) 1999-05-20 2000-11-30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機器
US20040077207A1 (en) 2002-10-16 2004-04-22 Ice Donald A. Transceiver latch mechanism
US20050049016A1 (en) 2003-08-25 2005-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 cover unit for electronic equipment
KR100834636B1 (ko) 2006-12-08 2008-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단자 커버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140293A (en) 2011-11-16
EP2381653A3 (en) 2014-05-14
US8446712B2 (en) 2013-05-21
EP2381653A2 (en) 2011-10-26
TWI437412B (zh) 2014-05-11
US20110261514A1 (en) 2011-10-27
EP2381653B1 (en) 201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8031B1 (ko) 휴대 전자기기
KR100694258B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 단말기
US8180417B2 (en) Portable terminal
US8300389B2 (en) Module for expanding function of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having the same
US7599487B2 (en) Sliding type hinge devic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using the same
EP2014063B1 (en) Two-way sliding mobile terminal
EP2194693B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EP2319231B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dual sliding flip hinge assembly
KR20110106199A (ko) 휴대 전자기기
US20070121303A1 (en) Multi-Configu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Guiding Module Thereof
KR101810463B1 (ko) 이동 단말기
US20100016038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n open channel hinge assembly
EP1906631A2 (en)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120070361A (ko) 이동 단말기
KR20090102242A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CN101990752B (zh) 具有组合滑动件和翻转铰链组件的便携式通信设备
KR20120075062A (ko) 휴대용 통신 장치 및 그의 슬라이딩/회전 힌지 장치
KR101918989B1 (ko) 이동 단말기
KR100650832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122583A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80109494A (ko) 휴대 단말기
KR100881579B1 (ko) 멀티 모드 구조
KR20070011816A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92715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20120065852A (ko) 휴대 전자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