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7739B1 - 발광소자,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발광소자 패키지 및 조명시스템 - Google Patents

발광소자,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발광소자 패키지 및 조명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7739B1
KR101047739B1 KR1020100039597A KR20100039597A KR101047739B1 KR 101047739 B1 KR101047739 B1 KR 101047739B1 KR 1020100039597 A KR1020100039597 A KR 1020100039597A KR 20100039597 A KR20100039597 A KR 20100039597A KR 101047739 B1 KR101047739 B1 KR 101047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lectrode
semiconductor layer
conductive semiconductor
emit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9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9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739B1/ko
Priority to CN201110113737.0A priority patent/CN102237461B/zh
Priority to US13/096,383 priority patent/US8507942B2/en
Priority to EP11163995.1A priority patent/EP238380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36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 H01L33/38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with a particula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4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 H01L2224/4824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connecting the wire to a bond pad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36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 H01L33/40Materials therefor
    • H01L33/42Transparent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4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atings, e.g. passivation layer or anti-reflective co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d Devices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실시예는 발광소자,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발광소자 패키지 및 조명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제1 도전형 반도체층, 활성층,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의 일부를 상부로 노출하는 발광구조물;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두께의 단차가 있는 투명전극; 상기 투명전극 상에 제2 전극; 및 상기 노출된 제1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제1 전극;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발광소자,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발광소자 패키지 및 조명시스템{LIGHT EMITTING DEVICE,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LIGH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실시예는 발광소자,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발광소자 패키지 및 조명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발광소자(Light Emitting Device: LED)는 전기에너지가 빛에너지로 변환되는 특성의 p-n 접합 다이오드를 주기율표상에서 Ⅲ족과 Ⅴ족의 원소가 화합하여 생성될 수 있다. LED는 화합물 반도체의 조성비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색상구현이 가능하다.
한편, 종래기술에 의하면 전류밀집(current crowding)으로 인한 수명 및 신뢰성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정전기 방전(ESD : Electrostatic discharge)시 역방향으로 전류가 흘러 발광영역인 활성층에 손상을 입히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패키지(Package)에 제너 다이오드(Zener diode)를 실장하는 경우 광량의 흡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실시예는 전류 스프레딩(current spreading) 효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광추출 효율(light extraction efficiency)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광소자,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발광소자 패키지 및 조명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는 광량흡수의 손실이 없이 정전기 방전에 따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발광소자,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발광소자 패키지 및 조명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제1 도전형 반도체층, 활성층,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의 일부를 상부로 노출하는 발광구조물;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두께의 단차가 있는 투명전극; 상기 투명전극 상에 제2 전극; 및 상기 노출된 제1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제1 전극;을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은 기판상에 제1 도전형 반도체층, 활성층,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발광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발광구조물을 메사 식각하여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의 일부를 상부로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투명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투명전극의 두께에 단차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투명전극 상에 제2 전극을, 상기 노출된 제1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제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는 패키지 몸체; 상기 패키지 몸체 상에 배치되는 상기 발광소자; 및 상기 패키지 몸체와 상기 발광소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극;을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부는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를 구비한다.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발광소자 패키지 및 조명시스템에 의하면, 효율적인 전류흐름(current flow) 조절로 광 추출효율(light extraction efficiency)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류스프레딩(current spreading)으로 발광소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광량흡수의 손실이 없이 LED의 정전기 손상(ESD: Electrostatic discharge)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LED 칩(chip)내에 커패시터를 형성하여 정전기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패키지 비용 및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고, 광량흡수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단면도.
도 2 내지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의 공정 단면도.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단면도.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정전기 방전시의 전기장 형성 개념도.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회로 예시도.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정전기 방전시의 파형도.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 단면도.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조명 유닛의 사시도.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분해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over)"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on/over)"와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층의 위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단면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100)는 기판(105)과, 상기 기판(105) 상에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2), 활성층(114),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6)을 포함하여 형성되되,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2)의 일부를 상부로 노출하는 발광구조물(110)과,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6) 상에 두께의 단차가 있도록 형성된 투명전극(120)과 상기 투명전극(120) 상에 형성된 제2 전극(146) 및 상기 노출된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2) 상에 형성된 제1 전극(142)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는 메사 식각 영역 상의 투명전극(120)의 두께(t)가 작아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메사 식각 영역 쪽으로 투명전극(120)의 두께(t)가 작아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전극(146)과 상기 제1 전극(142) 사이에 상기 투명전극(120)의 두께의 단차가 있고, 상기 투명전극(120)의 두께는 상기 제2 전극(146)에서 상기 제1 전극(142) 쪽으로 얇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는 LED의 전류확산(current spreading)을 향상시켜서 광량향상을 유도하기 위한 구조로써, 투명전극(120)에 서로 다른 두께(t)를 갖도록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전극(120)의 두께가 얇은 영역에서는 저항의 증가로 전류의 크기가 줄어드는 반면, 두꺼운 부분에서는 전류의 크기가 증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메사에지(mesa edge)영역에서 투명전극(120)의 두께를 줄임으로써 저항을 높혀서 집중적으로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줄이면서 칩 전체 영역으로 균일한(uniform) 전류가 흐르도록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에 의하면, 효율적인 전류흐름(current flow) 조절로 광 추출효율(light extraction efficiency)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류스프레딩(current spreading)으로 발광소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실시예에서의 발광소자는 GaN, GaAs, GaAsP, GaP 등의 Ⅲ-Ⅴ족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 설명되는 공정의 순서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그 순서를 달리할 수 있다.
먼저, 도 2과 같이 기판(105)을 준비한다. 상기 기판(105)은 사파이어(Al2O3) 기판, SiC 기판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기판(105)에 대해 습식세척을 실시하여 표면의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기판(105) 상에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2), 활성층(114),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6)을 포함하는 발광구조물(110)을 형성한다.
실시예는 상기 기판(105) 상에 언도프트(undoped) 반도체층(미도시)을 형성하고, 상기 언도프트 반도체층 상에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2)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05) 상에 undoped GaN층을 형성하고, n형 GaN층을 형성하여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2)은 GaN, InN, AlN, InGaN, AlGaN, InAlGaN, AlInN,AlGaAs, InGaAs, AlInGaAs, GaP, AlGaP, InGaP, AlInGaP, InP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2)은 화학증착방법(CVD) 혹은 분자선 에피택시 (MBE) 혹은 스퍼터링 혹은 수산화물 증기상 에피택시(HVPE)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N형 GaN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0)은 챔버에 트리메틸 갈륨 가스(TMGa), 암모니아 가스(NH3), 질소 가스(N2), 및 실리콘(Si)와 같은 n 형 불순물을 포함하는 실란 가스(SiH4)가 주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2) 상에 활성층(114)을 형성한다. 상기 활성층(114)은 에너지 밴드가 서로 다른 질화물 반도체 박막층을 교대로 한 번 혹은 여러 번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양자우물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활성층(114)은 트리메틸 갈륨 가스(TMGa), 암모니아 가스(NH3), 질소 가스(N2), 및 트리메틸 인듐 가스(TMIn)가 주입되어 InGaN/GaN, InGaN/InGaN 구조를 갖는 다중 양자우물구조가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후, 상기 활성층(114) 상에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6)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6)은 트리메틸 갈륨 가스(TMGa), 암모니아 가스(NH3), 질소 가스(N2), 및 트리메틸 인듐 가스(TMIn)가 주입되어 다중 양자우물구조가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활성층(114)은 InGaN/GaN, InGaN/InGaN, AlGaN/GaN, InAlGaN/GaN , GaAs,/AlGaAs(InGaAs), GaP/AlGaP(InGaP)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6)은 챔버에 트리메틸 갈륨 가스(TMGa), 암모니아 가스(NH3), 질소 가스(N2), 및 마그네슘(Mg)과 같은 p 형 불순물을 포함하는 비세틸 사이클로 펜타디에닐 마그네슘(EtCp2Mg){Mg(C2H5C5H4)2}가 주입되어 p형 GaN층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상기 발광구조물(110)을 메사 식각하여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2)의 일부를 상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식각패턴(미도시)을 마스크로 하여 제1 전극(142)이 형성될 영역에 대해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6)에서부터 식각하여 활성층(114)을 거쳐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2)의 상면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과 같이 상기 발광구조물(110) 상에 투명전극(120)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투명전극(120)은 단일 금속 혹은 금속합금, 금속산화물 등을 다중으로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오믹층은 ITO, IZO(In-ZnO), GZO(Ga-ZnO), AZO(Al-ZnO), AGZO(Al-Ga ZnO), IGZO(In-Ga ZnO), IrOx, RuOx, RuOx/ITO, Ni/IrOx/Au, 및 Ni/IrOx/Au/ITO, Ni, Pt, Cr, Ti, Ag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재료에 한정되는 않는다.
상기 단차가 있는 투명전극(120)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투명전극(120)의 잔존하는 두께를 달리하는 복수의 식각 공정이 진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도 4와 같이 상기 노출된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2) 상에 제1 전극(142)을 형성하고, 상기 투명전극(120) 상에 제2 전극(146)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142), 제2 전극(146)은 티탄(Ti), 크롬(Cr), 니켈(Ni), 알루미늄(Al), 백금(Pt), 금(Au), 텅스텐(W)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는 메사 식각 영역 상의 투명전극(120)의 두께(t)가 작아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전극(120)의 두께가 얇은 영역에서는 저항의 증가로 전류의 크기가 줄어드는 반면, 두꺼운 부분에서는 전류의 크기가 증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메사에지(mesa edge)영역에서 투명전극(120)의 두께를 줄임으로써 저항을 높혀서 집중적으로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줄이면서 칩 전체 영역으로 균일한(uniform) 전류가 흐르도록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에 의하면, 효율적인 전류흐름(current flow) 조절로 광 추출효율(light extraction efficiency)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류스프레딩(current spreading)으로 발광소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수 있다.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단면도이다.
제2 실시예는 상기 제1 실시예의 기술적인 특징을 채용할 수 있다.
제2 실시예는 상기 단차진 투명전극(120) 상에 유전체층(1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142)은 상기 유전체층(150)의 일측과 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실시예는 상기 노출된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2)과 상기 투명전극(120) 상에 유전체층(15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전체층(150)은 발광영역 상에도 형성됨으로 투명 유전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전체층(150)은 TiO2, Al2O3, SiO2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상기 유전체층(150)은 메사 에지영역에 형성됨으로써 메사 에지영역에서의 전류집중 현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전정기 방전 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유전체층(150)과 접하면서 상기 노출된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2) 상에 제1 전극(142)을 형성하고, 상기 투명전극(120) 상에 제2 전극(146)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극(142), 유전체층(150) 및 제2 전극(146)은 MIM(Metal/Insulator/Metal) 커패시터 기능을 할 수 있다.
실시예는 LED의 정전기 손상(ESD: Electrostatic discharge)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1 전극(142)과 제2 전극(146) 사이에 유전체층(150)을 형성시킴으로써 제1 전극(142)과 제2 전극(146)이 전기적으로 오픈(open)되는 구조를 형성한다.
이를 통해 정 전압에서는 활성영역으로 전류가 흘러 빛을 발생시키지만, 정전기 방전(Discharging)시 생기는 펄스(pulse) 형태의 ESD 충격에는 고주파 성분의 에너지가 유전체층을 거쳐 지나가므로 활성층을 보호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 상기 유전체층(150)은 메사 에지영역에 형성됨으로써 메사 에지영역에서의 전류집중 현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전정기 방전 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142)은 상기 노출된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2) 상에 형성되되, 상기 유전체층(150)과 접하면서 상기 유전체층(150)의 상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전극(142)과 유전체층(150)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커패시티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제1 전극(142)에 의해 유전체층(150)이 발광구조물과 견고하게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전체층(150)은 상기 제2 전극(146)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전극(146)은 상기 유전체층(150)과 접하면서 상기 유전체층(150)의 상면에도 형성되어 커패시티를 증대시키고 유전체층(150)을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전체층(150)은 상기 제2 전극(146)과 접하되, 상기 제2 전극(146)의 상면에도 형성되어 커패시티를 증대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유전체층(150)은 발광영역 상에도 형성되므로 투명 유전체층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유전체층(150)은 상기 투명전극(120)과는 접하되, 상기 제2 전극(146)과는 접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경우, 상기 유전체층(150)이 광추출 영역인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6)을 가리는 부분이 적으므로 정전기 방전 방지 효과와 아울러 광추출에 효과적일 수 있다.
실시예는 LED의 정전기 손상(ESD: Electrostatic discharge)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1 전극(142)과 제2 전극(146) 사이에 유전체층(150)을 형성시킴으로써 정 전압에서는 활성영역으로 전류가 흘러 빛을 발생시키지만, 정전기 방전(Discharging)시 생기는 펄스(pulse) 형태의 ESD 충격에는 고주파 성분의 에너지가 유전체층을 거쳐 지나가므로 활성층을 보호할 수 있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정전기 방전시의 전기장 형성 개념도이다.
정전기 방전으로 인한 LED 파괴는 반도체 역전압시 일어난다. 역전압시 대전된 전하에 의해 LED 활성영역 내에 강한 전기장이 유도된다.
그리고, 정전기 방전시 캐리어(전자, 홀)들이 가속되어 원자들과 충돌하여 또 다른 캐리어들을 만들어 내고, 또 생성된 캐리어들이 수많은 캐리어들을 만들어낸다. 이와 같은 현상을 전자사태항복(avalanche breakdown)이라 한다. 만약 대전된 전하에 의해 강한 정기장이 유도되어 반도체가 견딜 수 있는 그 이상의 정전기가 가해진다면 전자사태항복으로 인해 결국 LED 반도체 파괴가 일어난다.
그러므로, 실시예는 도 6과 같이 MIM 형태의 커패시터 구조를 삽입하여 LED 활성층 내부에 걸리는 전기장을 일부 MIM 커패시터로 유도하여 활성영역의 전기장을 완화함으로써 정전기방전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종래기술에 의하면 대전된 전하로 인한 강한 전기장(Q0)이 모두 LED 활성영역으로 유도되어 전자사태항복에 의해 LED 파괴가 일어난다. 반면에, 실시예에 의하면 대전된 전하로 인한 전기장(Q0) 중 일부(Q2)가 유전체층(150) 영역으로 유도되어 LED 활성영역에서의 전기장 세기(Q1)를 줄일 수 있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회로 예시도이다.
실시예에서 제1 전극(142), 유전체층(150), 제2 전극(146)이 커패시터(CD)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7과 같이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회로도가 가능하며, 정전압에 따라 전압이 Forward인 경우 전류(current flow)는 LED를 통해 흘러 빛을 발광하며, 정전기 방전에 따라 전압이 Reverse인 경우 전류는 MIM 커패시터(CD)를 통해 흐르게 된다.
이때, 정전기 방전에 따라 전압이 Reverse인 경우 Total capacitance(CTot)가 클수록 ESD stress로 인한 활성층으로 흐르는 전류는 작아져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를 수식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QDis=CESDVESD (QDis는 discharging 시의 전하량, CESD는 discharging 시의 커패시턴스)
C'Tot=CDiode+CD(with MIM Capacitor)
CTot=CDiode(without MIM Capacitor)
I=dQ/dt=△Q/τ=QDis/(RCTot) ∴ CTot ↑-> I ↓
∴ I'= QDis/(RC'Tot) 〈 I= QDis/(RCTot)
즉, 정전기 방전에 따라 전압이 Reverse인 경우 Total capacitance(CTot)가 클수록 ESD stress로 인한 활성층으로 흐르는 전류(I')는 작아져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정전기 방전시의 파형도이다.
도 8과 같이 Pulse 파형은 푸리에 변환을 하게 되면 고주파 성분을 갖게 된다. 그리고, rising time (tr)이 가파를수록 고주파 성분의 크기는 증가한다.
다음의 식과 같이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capacitance로 인한 Impedance(저항)는 작아진다. 이에 따라 정전기 방전에 따라 전압이 Reverse인 경우 MIM 커패시터의 Impedance가 작아 짐에 따라 고주파 전류는 MIM 커패시터로 흐를 수 있다.
Impedance: Z=ZR +jZIm (ZR 은 Real Impedance, j는 허수부 인자, ZIm은 커패시터로 인한 Impedance),
Capacitor: ZIm ,C=1/(jωC),(단, ω=2πf)
즉, 정전기 방전에 따라 전압이 Reverse인 경우 MIM 커패시터의 Impedance가 작아 짐에 따라 고주파 전류는 MIM 커패시터로 흐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발광소자 패키지 및 조명시스템에 의하면, 광량흡수의 손실이 없이 LED의 정전기 손상(ESD: Electrostatic discharge)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LED 칩(chip)내에 커패시터를 형성하여 정전기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패키지 비용 및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고, 광량흡수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효율적인 전류흐름(current flow) 조절로 광 추출효율(light extraction efficiency)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류스프레딩(current spreading)으로 발광소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수 있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는 몸체부(205)와, 상기 몸체부(205)에 설치된 제4 전극층(210) 및 제5 전극층(220)과, 상기 몸체부(205)에 설치되어 상기 제4 전극층(210) 및 제5 전극층(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소자(100)와, 상기 발광소자(100)를 포위하는 몰딩부재(240)가 포함된다.
상기 몸체부(205)는 실리콘 재질, 합성수지 재질, 또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발광소자(100)의 주위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 전극층(210) 및 제5 전극층(220)은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며, 상기 발광소자(100)에 전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4 전극층(210) 및 제5 전극층(220)은 상기 발광소자(100)에서 발생된 빛을 반사시켜 광 효율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상기 발광소자(100)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기 발광소자(100)는 도 1 또는 도 5에 예시된 수평형 타입의 발광소자가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발광소자(100)는 상기 몸체부(205)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100)는 와이어(230)를 통해 상기 제4 전극층(210) 및/또는 제5 전극층(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서는 수평형 타입의 발광소자(100)가 예시되어 있기 때문에, 두개의 와이어(230)가 사용된 것이 예시되어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발광소자(100)가 플립칩 방식의 발광소자의 경우 와이어(230)가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몰딩부재(240)는 상기 발광소자(100)를 포위하여 상기 발광소자(100)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몰딩부재(240)에는 형광체가 포함되어 상기 발광소자(100)에서 방출된 광의 파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는 조명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조명시스템은 도 10에 도시된 조명유닛, 도 11에 도시된 백라이드 유닛을 포함하고, 신호등, 차량 전조등, 간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조명 유닛의 사시도(1100)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조명 유닛(1100)은 케이스몸체(1110)와, 상기 케이스몸체(1110)에 설치된 발광모듈부(1130)과, 상기 케이스몸체(1110)에 설치되며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제공받는 연결 단자(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몸체(1110)는 방열 특성이 양호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금속 재질 또는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모듈부(1130)은 기판(1132)과, 상기 기판(1132)에 탑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 패키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1132)은 절연체에 회로 패턴이 인쇄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일반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메탈 코아(Metal Core) PCB, 연성(Flexible) PCB, 세라믹 PC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1132)은 빛을 효율적으로 반사하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표면이 빛이 효율적으로 반사되는 컬러, 예를 들어 백색, 은색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1132) 상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 패키지(200)가 탑재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200)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100)는 적색, 녹색, 청색 또는 백색의 유색 빛을 각각 발광하는 유색 발광 다이오드 및 자외선(UV, UltraViolet)을 발광하는 UV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모듈부(1130)는 색감 및 휘도를 얻기 위해 다양한 발광소자 패키지(200)의 조합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 연색성(CRI)을 확보하기 위해 백색 발광 다이오드, 적색 발광 다이오드 및 녹색 발광 다이오드를 조합하여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단자(1120)는 상기 발광모듈부(1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것에 따르면, 상기 연결 단자(1120)는 소켓 방식으로 외부 전원에 돌려 끼워져 결합되지만,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 단자(1120)는 핀(pin) 형태로 형성되어 외부 전원에 삽입되거나, 배선에 의해 외부 전원에 연결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분해 사시도(1200)이다.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1200)은 도광판(1210)과, 상기 도광판(1210)에 빛을 제공하는 발광모듈부(1240)와, 상기 도광판(1210) 아래에 반사 부재(1220)와, 상기 도광판(1210), 발광모듈부(1240) 및 반사 부재(1220)를 수납하는 바텀 커버(123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도광판(1210)은 빛을 확산시켜 면광원화 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도광판(1210)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PMMA(polymethyl metaacrylate)와 같은 아크릴 수지 계열, PET(polyethylene terephthlate), PC(poly carbonate), COC(cycloolefin copolymer) 및 PEN(polyethylene naphthalate) 수지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모듈부(1240)은 상기 도광판(1210)의 적어도 일 측면에 빛을 제공하며, 궁극적으로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이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원으로써 작용하게 된다.
상기 발광모듈부(1240)은 상기 도광판(1210)과 접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구체적으로는, 상기 발광모듈부(1240)은 기판(1242)과, 상기 기판(1242)에 탑재된 다수의 발광소자 패키지(200)를 포함하는데, 상기 기판(1242)이 상기 도광판(1210)과 접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기판(1242)은 회로패턴(미도시)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다만, 상기 기판(1242)은 일반 PCB 뿐 아니라, 메탈 코어 PCB(MCPCB, Metal Core PCB), 연성 PCB(FPCB, Flexible PCB) 등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 패키지(200)는 상기 기판(1242) 상에 빛이 방출되는 발광면이 상기 도광판(1210)과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탑재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1210) 아래에는 상기 반사 부재(12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1220)는 상기 도광판(1210)의 하면으로 입사된 빛을 반사시켜 위로 향하게 함으로써,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1220)는 예를 들어, PET, PC, PVC 레진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바텀 커버(1230)는 상기 도광판(1210), 발광모듈부(1240) 및 반사 부재(1220) 등을 수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바텀 커버(1230)는 상면이 개구된 박스(box)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바텀 커버(1230)는 금속 재질 또는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프레스 성형 또는 압출 성형 등의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제1 도전형 반도체층, 활성층,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의 일부를 상부로 노출하는 발광구조물;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두께의 단차가 있는 투명전극;
    상기 투명전극 상에 제2 전극; 및
    상기 노출된 제1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제1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투명전극은 메사 식각 영역 쪽으로 투명전극의 두께가 작아지는 발광소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제1 전극 사이에 상기 투명전극의 두께의 단차가 있고, 상기 투명전극의 두께는 상기 제2 전극에서 상기 제1 전극 쪽으로 얇아지는 발광소자.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진 투명전극 상에 유전체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유전체층의 일측과 접하여 형성되는 발광소자.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유전체층의 타측과 접하여 형성되는 발광소자.
  5.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제1 도전형 반도체층, 활성층,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의 일부를 상부로 노출하는 발광구조물;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두께의 단차가 있는 투명전극;
    상기 투명전극 상에 제2 전극;
    상기 노출된 제1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제1 전극; 및
    상기 단차진 투명전극 상에 유전체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노출된 제1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형성되되, 상기 유전체층의 일측과 접하며 상기 유전체층의 상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발광소자.
  6.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제1 도전형 반도체층, 활성층,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의 일부를 상부로 노출하는 발광구조물;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두께의 단차가 있는 투명전극;
    상기 투명전극 상에 제2 전극;
    상기 노출된 제1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제1 전극; 및
    상기 단차진 투명전극 상에 유전체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유전체층의 일측과 접하여 형성되며,
    상기 유전체층은 투명 유전체층인 발광소자.
  7.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제1 도전형 반도체층, 활성층,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의 일부를 상부로 노출하는 발광구조물;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두께의 단차가 있는 투명전극;
    상기 투명전극 상에 제2 전극;
    상기 노출된 제1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제1 전극; 및
    상기 단차진 투명전극 상에 유전체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유전체층의 일측과 접하여 형성되며,
    상기 유전체층은 메사 에지영역에 형성되는 발광소자.
  8. 기판상에 제1 도전형 반도체층, 활성층,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발광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발광구조물을 메사 식각하여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의 일부를 상부로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투명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투명전극의 두께에 단차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투명전극 상에 제2 전극을, 상기 노출된 제1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제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전극의 두께에 단차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메사 식각 영역 쪽으로 투명전극의 두께가 작아지는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제1 전극 사이에 상기 투명전극의 두께의 단차가 있고, 상기 투명전극의 두께는 상기 제2 전극에서 상기 제1 전극 쪽으로 얇아지는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진 투명전극 상에 유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유전체층의 일측과 접하여 형성되는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유전체층의 타측과 접하여 형성되는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12. 기판상에 제1 도전형 반도체층, 활성층,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발광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발광구조물을 메사 식각하여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의 일부를 상부로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투명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투명전극의 두께에 단차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투명전극 상에 제2 전극을, 상기 노출된 제1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제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차진 투명전극 상에 유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노출된 제1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형성되되, 상기 유전체층의 일측과 접하여 형성되며, 상기 유전체층의 상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13. 기판상에 제1 도전형 반도체층, 활성층,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발광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발광구조물을 메사 식각하여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의 일부를 상부로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투명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투명전극의 두께에 단차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투명전극 상에 제2 전극을, 상기 노출된 제1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제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차진 투명전극 상에 유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유전체층의 일측과 접하여 형성되며,
    상기 유전체층은 투명 유전체층인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14. 패키지 몸체;
    상기 패키지 몸체 상에 배치되는 제1 항 및 제3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의 발광소자; 및
    상기 패키지 몸체와 상기 발광소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극;을 포함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15. 제14 항의 발광소자 패키지를 구비하는 발광모듈부를 포함하는 조명시스템.
KR1020100039597A 2010-04-28 2010-04-28 발광소자,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발광소자 패키지 및 조명시스템 KR101047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597A KR101047739B1 (ko) 2010-04-28 2010-04-28 발광소자,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발광소자 패키지 및 조명시스템
CN201110113737.0A CN102237461B (zh) 2010-04-28 2011-04-28 发光器件、发光器件封装以及照明系统
US13/096,383 US8507942B2 (en) 2010-04-28 2011-04-28 Light emitting devic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lighting system
EP11163995.1A EP2383803B1 (en) 2010-04-28 2011-04-28 Light emitting device with a stepped transparent electr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597A KR101047739B1 (ko) 2010-04-28 2010-04-28 발광소자,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발광소자 패키지 및 조명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7739B1 true KR101047739B1 (ko) 2011-07-07

Family

ID=44484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9597A KR101047739B1 (ko) 2010-04-28 2010-04-28 발광소자,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발광소자 패키지 및 조명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507942B2 (ko)
EP (1) EP2383803B1 (ko)
KR (1) KR101047739B1 (ko)
CN (1) CN1022374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25892A (zh) * 2013-05-22 2013-09-25 上海蓝光科技有限公司 发光二极管芯片的制造方法
TWI583019B (zh) * 2015-02-17 2017-05-11 新世紀光電股份有限公司 Light emitting diod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6486572B (zh) 2015-09-02 2020-04-28 新世纪光电股份有限公司 发光二极管芯片
KR20210091895A (ko) 2020-01-15 2021-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발광 소자
EP3923351A4 (en) * 2020-03-03 2023-01-04 HCP Technology Co., Ltd. Light emitting diode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for
JP7015339B2 (ja) * 2020-03-24 2022-02-02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紫外線発光素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8275A (ko) * 2003-06-17 2004-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레이저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KR20060074387A (ko) * 2004-12-27 2006-07-03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6252866A (ja) 2005-03-09 2006-09-21 Toyota Industries Corp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2007019488A (ja) * 2005-06-09 2007-01-25 Rohm Co Ltd 半導体発光素子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32013A1 (ja) * 2005-06-09 2006-12-14 Rohm Co., Ltd 半導体発光素子
JP2007123517A (ja) * 2005-10-27 2007-05-17 Toshiba Corp 半導体発光素子及び半導体発光装置
JP4954549B2 (ja) * 2005-12-29 2012-06-20 ローム株式会社 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その製法
JP2007214276A (ja) * 2006-02-08 2007-08-23 Mitsubishi Chemicals Corp 発光素子
KR100764403B1 (ko) * 2006-05-11 2007-10-05 삼성전기주식회사 아조벤젠기 폴리머를 이용한 미세 패터닝 방법을 이용한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KR20080041817A (ko) 2006-11-08 2008-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광 소자
JP2008227109A (ja) * 2007-03-12 2008-09-25 Mitsubishi Chemicals Corp GaN系LED素子および発光装置
KR100893188B1 (ko) 2007-03-13 2009-04-16 삼성전기주식회사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87251A (ko) * 2007-03-26 2008-10-01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커패시터를 구비하는 발광 다이오드
CN101355118A (zh) * 2007-07-25 2009-01-28 中国科学院半导体研究所 光学复合膜作电极的GaN功率型LED的制备方法
TWI492416B (zh) * 2010-03-24 2015-07-11 Hon Hai Prec Ind Co Ltd 發光二極體晶片及其製作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8275A (ko) * 2003-06-17 2004-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레이저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KR20060074387A (ko) * 2004-12-27 2006-07-03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6252866A (ja) 2005-03-09 2006-09-21 Toyota Industries Corp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2007019488A (ja) * 2005-06-09 2007-01-25 Rohm Co Ltd 半導体発光素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83803B1 (en) 2017-08-02
CN102237461A (zh) 2011-11-09
US20110266519A1 (en) 2011-11-03
EP2383803A2 (en) 2011-11-02
EP2383803A3 (en) 2015-04-15
US8507942B2 (en) 2013-08-13
CN102237461B (zh) 2014-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9937B1 (ko) 발광소자,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발광소자 패키지 및 조명시스템
EP2320483B1 (en) Light emitting devic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lighting system
KR101039939B1 (ko) 발광소자,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시스템
EP2315273B1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TWI449216B (zh) 發光裝置及發光裝置封裝
US8148737B2 (en) Light emitting devic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lighting system
KR101047739B1 (ko) 발광소자,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발광소자 패키지 및 조명시스템
KR101028206B1 (ko) 발광소자,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및 발광소자 패키지
TWI450415B (zh) 發光裝置、發光裝置封裝件及照明系統
KR101081061B1 (ko) 발광소자,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및 발광소자 패키지
KR101704022B1 (ko) 발광소자,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및 발광소자 패키지
KR20130007314A (ko) 발광소자
TWI453954B (zh) 發光裝置、發光裝置封裝件及照明系統
KR20110120080A (ko) 발광소자,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발광소자 패키지 및 조명시스템
KR20110101816A (ko) 발광소자,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및 발광소자 패키지
KR20130019274A (ko) 발광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