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7556B1 - 차량 파워시트 조절용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파워시트 조절용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7556B1
KR101047556B1 KR1020080120703A KR20080120703A KR101047556B1 KR 101047556 B1 KR101047556 B1 KR 101047556B1 KR 1020080120703 A KR1020080120703 A KR 1020080120703A KR 20080120703 A KR20080120703 A KR 20080120703A KR 101047556 B1 KR101047556 B1 KR 101047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knob
switch unit
power seat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0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2230A (ko
Inventor
정동우
박상도
김학균
한승수
김동열
김길주
김봉구
김영욱
허준열
편종권
이명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덕일산업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덕일산업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0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556B1/ko
Priority to CN200910161699A priority patent/CN101746286A/zh
Priority to DE102009035196A priority patent/DE102009035196A1/de
Priority to US12/511,521 priority patent/US8183477B2/en
Publication of KR20100062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2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eat adjustment
    • B60N2/0228Hand-activated mechanical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eat adjustment
    • B60N2/022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eat adjustment characterised by the shape, e.g. switches having cushion or backrest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노브 조작에 의해 3가지 기능의 동시 실행이 제한되는 차량 파워시트 조절용 스위치 장치로서, 좌우방향으로 조작 가능한 제1 스위치부(41); 상하방향으로 조작 가능한 제2 스위치부(42); 및 상기 제1 스위치부(41)가 중립 위치에서 벗어난 때에는 제2 스위치부(42)의 움직임을 제한하며, 상기 제2 스위치부(42)가 중립 위치를 벗어난 때에는 제2 스위치부(42)에 간섭되어 상기 제1 스위치부(41)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가이드 브래킷(60);을 포함하는 차량 파워시트 조절용 스위치 장치가 소개된다.
파워시트, 스위치, 조절, 리클라이닝, 슬라이딩

Description

차량 파워시트 조절용 스위치 장치{SWITCH APPARATUS FOR ADJUSTING A POWER SEAT IN A VEHICLE}
본 발명은 세가지 모드의 동시 작동이 제한되는 차량 파워시트 조절용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파워시트는 시트의 전후방 이동이나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작동 등이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이루어지는 시트를 말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파워시트에는 3~4개 정도의 모터들이 설치되며, 각 모터는 파워시트의 조절을 위한 스위치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모터들의 수는 파워시트에 의해 제공 가능한 편의 기능들의 수와 일치하는데, 여러 편의 기능이 동시에 실행, 특히 3가지 기능이 동시에 실행되는 경우 문제가 발생된다. 즉, 3가지 기능이 동시에 실행된다는 것은 곧 3개의 모터가 동시에 작동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 경우 과부하(최대 45A)로 인하여 차량 실내의 휴즈(용량 30A)가 끊어질 수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의 방지를 위해서는 휴즈의 용량 또는 수를 증가시키거나 3가지 이상의 기능이 동시에 실행되는 것을 제한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리미트 스위 치를 이용하여 3가지 기능이 동시에 작동되는 것을 제한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추가적인 휴즈나 리미트 스위치의 사용없이, 기구적으로 3가지 기능이 동시 실행되는 것이 제한되도록 구성된 차량 파워시트 조절용 스위치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파워시트 조절용 스위치 장치는, 서로 독립적인 조작이 가능한 복수개의 스위치부; 상기 스위치부들이 조작 가능하게 설치된 바디; 및 상기 바디 상에 설치되어 스위치부들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가이드 브래킷;을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부들은 적어도, 좌우방향으로 조작 가능한 제1 스위치부와, 상기 제1 스위치부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상하방향 조작 가능한 제2 스위치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브래킷은, 상기 제1 스위치부의 움직임에 종속되도록 일단부가 제1 스위치부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제2 스위치부의 둘레에 배치되고, 제1 스위치부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2 스위치부의 움직임을 허용하되 제1 스위치부가 중립 위치를 벗어난 때에는 제2 스위치부의 움직임을 제한하며, 상기 제2 스위치부가 중립 위치를 벗어난 때에는 제2 스위치부에 간섭되어 상기 제1 스위치부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 브래킷의 타단부는, 상기 제2 스위치부를 헐겁게 감싸는 프레임 구조를 가지며, 제1 스위치부의 움직임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위치 이동되었을 때 제2 스위치부의 상하방향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도록, 그 둘레를 따라, 제2 스위치부를 향해 돌출된 복수개의 스토퍼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브래킷은, 상기 제2 스위치부가 중립 위치를 벗어났을 때 상기 스토퍼들이 제2 스위치부에 간섭되어 가로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제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스위치부에 인접하며 좌우방향 조작 가능한 제3 스위치부 및 이 제3 스위치부에 인접하며 상하방향 조작 가능한 제4 스위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치부는 제1 노브에 의해 조작되며, 제2 내지 제4 스위치부는 이들을 동시 조작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2 노브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상기 제1 노브는 일정한 회동점을 중심으로 좌우방향 회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2 노브는, 좌우방향 조작시 상기 제2 및 제4 스위치부와의 간섭되지 않으며, 상하방향 조작시 상기 제3 스위치부의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 상에는 제3 스위치부의 양 옆에 배치되는 돌출된 지지부재가 마련되며, 이 지지부재가 배치되는 상기 제2 노브의 배면 부위에는 제2 노브가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동시에 조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와 간섭 가능한 격벽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차량 파워시트 조절용 스위치 장치에 따르면, 노브 조작에 의해 3가지 기능의 동시 실행이 제한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파워시트 조절용 스위치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라 시트(1)에 설치된 파워시트 조절용 스위치 장치를 살펴보면, 이 스위치 장치는 쿠션(2) 아래 베이스(3)의 측면에 설치되며 서로 이격 배치된 2개의 노브(10,20)를 구비한다. 제1 노브(10)는 시트백의 리클라이닝을 위한 것이고, 제2 노브(20)는 시트(1)의 전후방 슬라이딩 및 쿠션의 경사/높이 조절을 위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노브(10)는 하단에 마련된 회동점(미도시)을 중심으로 상단이 좌우방향(⑦,⑧)으로 기울여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2 노브(20)는 상(①,⑤)/하(②,⑥)/좌(③)/우(④)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로서, 제2 노브(20)를 좌측으로 움직이면 시트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며, 제2 노브(20)를 ① 방향으로 움직이면 쿠션의 전단부가 상승하며, ⑥ 방향으로 움직이면 쿠션의 후단부가 하강한다. 또 다른 예로서, 중앙부를 중심으로 제2 노브(20)를 시계(②,⑤)으로 강하게 돌리면 쿠션 전단부는 하강하고 후단부는 상승하며, 제2 노브(20)를 위로 강하게 밀면 쿠션 전단부와 후단부가 동시에 상승한다.
도 3에는 상기 스위치 장치의 바디와 상기 노브들(10,20)이 서로 분리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 보듯이, 바디 상에는 제1 노브(10)에 의해 조작되는 제1 스위치부(41)와, 제2 노브(20)에 의해 조작되는 제2 내지 제4 스위치(42,43,44)가 마련된다. 이들 스위치(41,42,43,44)는 서로 독립적인 조작이 가능한데, 제1 스위치부(41)는 시트백의 리클라이닝을 위한 것으로 좌우방향 움직일 수 있으며, 제2 스위치부(42)는 쿠션 후단부의 승강을 위한 것으로 상하방향 움직일 수 있으며, 제3 스위치부(43)는 시트의 전후방 슬라이딩을 위한 것으로 좌우방향 움직일 수 있으며, 제4 스위치부(44)는 쿠션 전단부의 승강을 위한 것으로 상하방향 움직일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바디의 상부 커버(30) 상에는 3개의 지지대(31,32,33)가 마련되며, 이들 중 제1 스위치부(41) 옆에 마련된 제1 지지대(31)는 제1 노브(10)의 조작을 위한 회동축 기능을 한다. 제1 노브(10)의 배면에는 제1 지지대(31)를 중심으로 제1 노브(10)가 좌우방향으로 회동될 때 그 회동력이 제1 스위치부(41)에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세로 격벽(11)이 마련된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제2 노브(20)의 배면에는, 제2 노브(20)가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때 그 힘이 제2 및 제4 스위치부(42,44)에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제1 격벽(21) 및 제5 격벽(25)과, 그리고, 제2 노브(20)가 좌우방향으로 움직여질 때 그 힘이 제3 스위치부(43)에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제3 격벽(23)이 마련된다. 제1 및 제5 격벽(21,25)은 제2 노브(20)를 좌우방향으로 조작시 제2 및 제4 스위치부(42,44)가 간섭되지 않으며, 제3 격벽(23)은 제2 노브(20)를 상하방향으로 조작시 제3 스위치부(43)와 간섭되지 않는다. 한편, 제3 스위치부(43)의 양 옆에 마련된 제2, 제3 지지대(32,33)와, 제2 노브(20)의 배면에 마련된 제2 및 제4 격벽(22,24)은, 제2 노브(20)가 좌우방향과 더불어 상하방향으로 동시에 조작되는 것을 금지한다. 예로서, 제2 노브(20)가 좌측으로 이동된 경우, 제2, 제3 지지대(32,33)와 제2 및 제4 격벽(22,24) 간의 간섭에 의해 제2 노브(20)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이 금지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스위치부들(41,42,43,44)이 각각의 조작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플랫폼(50) 상에는 상기 스위치부들 중 임의의 3개의 스위치부들이 동시에 조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브래킷(60)이 설치된다. 이 가이드 브래킷(60)은 제1 스위치부(41)의 꼭 맞게 끼워지는 제1 프레임부(61), 제2 스위치부(42)에 헐겁게 끼워져 그 둘레에 배치되는 제3 프레임부(63), 제1 프레임부(61)와 제3 프레임부(63)를 연결하는 제2 프레임부(62)를 구비한다. 제1 스위치부(41)를 좌우방향으로 움직이면, 그에 따라 가이드 브래킷(60)이 좌우방향으로 움직이며 제2 스위치부(42)에 대한 제3 프레임부(63)의 위치가 변동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3 프레임부(63)의 상부(63A)와 하부(63B)에는 각각 제2 스위치부(42)를 향하여 돌출된 2개씩의 스토퍼(64A,64B 및 65A,65B)가 마련된다. 제2 스위치부(42)는 제1 스위치부(41)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하방향 움직일 수 있으나, 제1 스위치부(41)가 중립 위치를 벗어난 때, 즉, 제1 스위치부(41)가 좌우방향으로 움직여 이에 따라 가이드 브래킷(60)이 좌우방향으로 움직이고 그 결과로 제2 스위치부(42)가 상기 스토퍼들 사이(예로서, 64A와 65A의 사이, 또는 64B와 65B의 사이)에 배치된 때에는, 이들 스토퍼들에 의해 제2 스위치부(42)의 상하방향 움직임이 제한된다. 한편, 가이드 브래킷(60)은, 제2 스위치부(42)가 중립 위치(66)에 있을 때에는 좌우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나, 제2 스위치부(42)가 중립 위치(66)를 벗어나 스토퍼들 사이의 영역, 예로서, 64A와 64B의 사이, 또는 65A와 65B의 사이에 배치된 때에는 스토퍼들에 간섭되어 좌우방향으로 움직여지지 않는다. 결국, 제1 스위치부(41)가 조작되는 동안에는 제2 스위치 부(42)의 조작이 제한되며, 반대로, 제2 스위치부(42)가 조작되는 동안에는 제1 스위치부(41)의 조작이 제한된다.
도 8을 참조하여 상술된 스위치 장치의 각 구성요소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스위치부들(41,42,43,44)은 플랫폼(50)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스위치부(41)와 제2 스위치부(42) 사이에 가이드 브래킷(60)이 설치된다. 플랫폼(50) 위에는 지지대들(31,32,33)이 마련된 상부 커버(30)가 덮혀지며, 플랫폼(50)의 하부에는 스위치 및 릴레이(70)가 탑재된 인쇄회로기판(80)이 배치된다. 한편, 플랫폼(50)의 하부는 상부 커버(30)와 결합되는 하부 커버(90)에 의해 폐쇄되며, 이 하부 커버(90)를 관통하여 커넥터(100)가 인쇄회로기판(80)에 연결된다.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가이드 브래킷(60)에 의해 3개의 스위치부들이 동시 조작되는 것이 방지되는 예를 살펴본다.
도 9는 제1 및 제2 스위치부(41,42)가 모두 중립 위치에 있는 상태가 도시된 것으로, 이 상태에서 제1 스위치부(41)는 좌우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제2 스위치부(42)는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 10은 제1 스위치부(41)가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가 도시된 것으로, 제1 스위치부(41)를 따라 가이드 브래킷(60)이 우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2 스위치부(42)의 상하방향 이동이 스토퍼들(64A, 65A)에 의해 제한된다. 도 11은 제1 스위치부(41)가 좌측으로 조작됨에 따라 제2 스위치부(42)가 상하방향 조작이 제한되는 것이 도시된 것이다. 도 12는 제2 스위치부(42)가 하방향 이동된 상태가 도시된 것으로, 이 상태에서 제1 스위치부(41)의 좌우방향 이동이 제한된다. 도 13은 제2 스위치부(42)가 상방향 조작됨에 따라 제1 스위치부(41)의 좌우방향 조작이 제한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에는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예들 이외의 모든 경우에 있어, 3개의 스위치부들의 동시 조작이 방지됨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도 14에 도시된 작동표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제1 노브(10)가 ① 또는 ② 방향으로 조작될 때 ⑤ 또는 ⑥ 방향으로의 조작은 가능하나, 이 경우 제2 스위치부(42)가 스토퍼들(64A,64B,65A,65B)에 의해 간섭되어 제1 노브(10)의 조작이 제한된다. 또한, 제1 노브(10)가 ③ 또는 ④ 방향으로 조작될 때, 제2 및 제3 지지대(32,33)들로 인해 제1 노브(10)의 상하방향으로의 조작은 제한된다. 또한, 제2 노브(20)가 ⑦ 또는 ⑧ 방향으로 조작될 때, 스토퍼들로 인해 제1 노브(10)의 상하방향 조작은 제한되며 좌우방향(③ 또는 ④)으로의 조작만 허용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이 이해될 필요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파워시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위치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노브의 배면도,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도 3에 도시된 제2 노브의 배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스위치 장치에서 상부 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가이드 브래킷이 도시된 도면,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스위치 장치의 분해도,
도 9은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3가지 편의 기능이 동시 작동되는 것이 방지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작동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1 노브 20: 제2 노브
30: 상부 커버 40: 스위치부
50: 플랫폼 60: 가이드 브래킷
80: 인쇄회로기판 90: 하부 커버
100: 커넥터

Claims (8)

  1. 차량에 설치되는 파워시트 조절용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서로 독립적인 조작이 가능한 복수개의 스위치부;
    상기 스위치부들이 조작 가능하게 설치된 바디; 및
    상기 바디 상에 설치되어 스위치부들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가이드 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부들은 적어도, 좌우방향으로 조작 가능한 제1 스위치부와, 상기 제1 스위치부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상하방향 조작 가능한 제2 스위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브래킷은, 상기 제1 스위치부의 움직임에 종속되도록 일단부가 제1 스위치부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제2 스위치부의 둘레에 배치되고, 제1 스위치부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2 스위치부의 움직임을 허용하되 제1 스위치부가 중립 위치를 벗어난 때에는 제2 스위치부의 움직임을 제한하며, 상기 제2 스위치부가 중립 위치를 벗어난 때에는 제2 스위치부에 간섭되어 상기 제1 스위치부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파워시트 조절용 스위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브래킷의 타단부는,
    상기 제2 스위치부를 헐겁게 감싸는 프레임 구조를 가지며, 제1 스위치부의 움직임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위치 이동되었을 때 제2 스위치부의 상하방향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도록, 그 둘레를 따라, 제2 스위치부를 향해 돌출된 복수개의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파워시트 조절용 스위치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브래킷은,
    상기 제2 스위치부가 중립 위치를 벗어났을 때 상기 스토퍼들이 제2 스위치부에 간섭되어 가이드 브래킷의 가로방향 움직임이 제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파워시트 조절용 스위치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부에 인접하며 좌우방향 조작 가능한 제3 스위치부 및 이 제3 스위치부에 인접하며 상하방향 조작 가능한 제4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파워시트 조절용 스위치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부는 제1 노브에 의해 조작되며, 제2 내지 제4 스위치부는 이들을 동시 조작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2 노브에 의해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파워시트 조절용 스위치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브는 일정한 회동점을 중심으로 좌우방향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파워시트 조절용 스위치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노브는,
    좌우방향 조작시 상기 제2 및 제4 스위치부와의 간섭되지 않으며, 상하방향 조작시 상기 제3 스위치부의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파워시트 조절용 스위치 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바디 상에는 제3 스위치부의 양 옆에 배치되는 돌출된 지지부재가 마련되며, 이 지지부재가 배치되는 상기 제2 노브의 배면 부위에는 제2 노브가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동시에 조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와 간섭 가능한 격벽 구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파워시트 조절용 스위치 장치.
KR1020080120703A 2008-12-01 2008-12-01 차량 파워시트 조절용 스위치 장치 KR101047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703A KR101047556B1 (ko) 2008-12-01 2008-12-01 차량 파워시트 조절용 스위치 장치
CN200910161699A CN101746286A (zh) 2008-12-01 2009-07-28 用于调节车辆中的动力座椅的开关装置
DE102009035196A DE102009035196A1 (de) 2008-12-01 2009-07-29 Schaltvorrichtung zum Einstellen eines elektrisch verstellbaren Sitzes in einem Fahrzeug
US12/511,521 US8183477B2 (en) 2008-12-01 2009-07-29 Switch apparatus for adjusting power seat in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703A KR101047556B1 (ko) 2008-12-01 2008-12-01 차량 파워시트 조절용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2230A KR20100062230A (ko) 2010-06-10
KR101047556B1 true KR101047556B1 (ko) 2011-07-07

Family

ID=42145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0703A KR101047556B1 (ko) 2008-12-01 2008-12-01 차량 파워시트 조절용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183477B2 (ko)
KR (1) KR101047556B1 (ko)
CN (1) CN101746286A (ko)
DE (1) DE1020090351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306B1 (ko) * 2010-11-22 2012-06-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로터리 스위치의 선택 메뉴별 햅틱 필링 차별화 방법
CN102343874B (zh) * 2011-07-11 2013-08-14 上海延锋江森座椅有限公司 一种机动车座椅的电动调节开关控制模块
US20140246297A1 (en) * 2013-03-01 2014-09-04 Changshu Sunrex Technology Co., Ltd. Press key device
CN103507662A (zh) * 2013-09-30 2014-01-15 太仓康茂电子有限公司 电动座椅调节旋钮
KR101409313B1 (ko) * 2013-10-07 2014-06-20 조경헌 자동차 파워시트의 내구 및 성능 시험에 사용되는 6축 로봇을 이용한 자동차 파워시트의 스위치 구동장치
USD762180S1 (en) * 2013-12-20 2016-07-26 Ford Motor Company Vehicle switch
KR101878053B1 (ko) 2016-08-24 2018-07-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율주행 차량의 파워시트용 전자식 시트스위치 및 전자식 시트스위치를 이용한 파워시트 구동방법
DE102018204140A1 (de) 2018-03-19 2019-09-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edienungseinheit zur Steuerung einer elektrisch verstellbaren Lendenwirbelstütze eines Kraftfahrzeugsitz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8529U (ja) 1982-12-23 1984-07-04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プツシユロツクスイツチ
JP2002144937A (ja) * 2000-11-09 2002-05-22 Tokai Rika Co Ltd 自動車用パワーシートスイッチ装置
KR200400110Y1 (ko) * 2005-06-23 2005-11-02 덕일산업 주식회사 시트조절용 컨트롤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0815Y2 (ja) * 1989-02-14 1996-06-1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ツチ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8529U (ja) 1982-12-23 1984-07-04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プツシユロツクスイツチ
JP2002144937A (ja) * 2000-11-09 2002-05-22 Tokai Rika Co Ltd 自動車用パワーシートスイッチ装置
KR200400110Y1 (ko) * 2005-06-23 2005-11-02 덕일산업 주식회사 시트조절용 컨트롤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83477B2 (en) 2012-05-22
KR20100062230A (ko) 2010-06-10
DE102009035196A1 (de) 2010-06-10
US20100133082A1 (en) 2010-06-03
CN101746286A (zh) 201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7556B1 (ko) 차량 파워시트 조절용 스위치 장치
EP2216201B1 (en) Power seat control unit
EP1717094B1 (en) Power seat operation switch
EP2772385B1 (en) Seat drive device
US4695682A (en) Seat switch
EP2159105A1 (en) Console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
EP1245438B1 (en) Controller positioning structure for vehicle
JP3971098B2 (ja) 自動車用パワーシートスイッチ装置
CN102318022A (zh) 防止同时致动的电动座椅开关
US8143820B2 (en) Motor control device
EP1849651B1 (en) Seat for earth-moving machines or the like
US20080012413A1 (en) Seat Adjustment Mechanism Comprising a Rotative Actuating Element
JP2009083731A (ja) 車両用統合スイッチ
US11623546B2 (en) Seat switch device
EP1340647B1 (en) Manual control for the regulation of the position of a seat
JPH08268125A (ja) 車両用シートの制御装置
JP2006306189A (ja) シフトレバー構造
JP2010244961A (ja) 車両用パワーシートスイッチ装置
JP2004278208A (ja) 建設機械の操縦装置
KR101077442B1 (ko) 미러 스위치 유니트
JP5386188B2 (ja) パワーシートの調整装置
JPS6343780Y2 (ko)
JPH0436015Y2 (ko)
KR100559293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종레버를 갖는 중장비용 콘솔박스
JP6708977B2 (ja) 車両用シフ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