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 하에서 고려된 것으로서, 구동 전압 특성의 변동을 억제하는 데에 바람직하고 또한 정전 용량에 대하여 큰 가변율을 실현하는 데에 바람직한 가변 캐패시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의해 제공되는 가변 캐패시터는, 제1 대향면을 갖는 캐패시터 전극과, 제1 대향면에 대향하는 제2 대향면을 갖고, 또한, 캐패시터 전극 측으로 또는 캐패시터 전극과는 반대 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하고 있는 부위를 갖는,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과, 제1 대향면 상 또는 제2 대향면 상에 형성된 유전체 패턴을 구비한다. 유전체 패턴은, 제1 또는 제2 대향면 상에서 패턴 형성된 것으로서, 예를 들면, 제1 또는 제2 대향면 상에서 서로 이격하는 복수의 유전체 아일런드로 이루어진다. 제1 또는 제2 대향면 상의 유전체 패턴의 윤곽의 전체 길이의, 그 유전체 패턴의 단위 면적당의 길이는, 제1 또는 제2 대향면 상 전체에 걸쳐 예를 들면 사각 형상의 유전체막이 임시로 형성된 경우에서의 그 유전체막의 윤곽의 전체 길이의, 그 유전체막의 단위 면적당의 길이보다도, 크다. 즉, 제1 또는 제2 대향면 상에서의 유전체 패턴의 윤곽의 전체 길이는 비교적 길다. 이와 같은 유전체 패턴은, 본 가변 캐패시터에서 캐패시터 전극과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 간이 단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단락 방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패턴 형상(예를 들면, 유전체 패턴이 형성된 제1 또는 제2 대향면을 과도하게 넓게 노출시키지 않는 패턴 형상)을 갖는다.
본 가변 캐패시터의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은 전술한 바와 같이 만곡하고 있기 때문에, 캐패시터 전극과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 간에 전압이 인가되어 있지 않고 양 전극이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제1 상태)에서는, 캐패시터 전극의 제1 대향면과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의 제2 대향면 간의 거리는, 그 대향면 사이 전체에 걸쳐 균일하지는 않다. 이와 같은 초기 상태에서, 캐패시터 전극 내지 제1 대향면과,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 내지 제2 대향면 사이의 갭은, 최대의 체적을 갖는다.
본 가변 캐패시터에서, 전극 간에 소정 이상의 전압을 인가하면, 전극 간에 발생하는 정전 인력의 작용에 의해, 캐패시터 전극의 제1 대향면과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의 제2 대향면을, 제1 또는 제2 대향면 상의 유전체 패턴을 개재하여 가장 접근한 상태(제2 상태)에 이르게 할 수 있다. 이 때, 캐패시터 전극과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이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유전체 패턴이 저지한다. 이 상태에서, 캐패시터 전극 내지 제1 대향면과,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 내지 제2 대향면 사이의 갭은, 최소의 체적을 갖는다.
본 가변 캐패시터가 전술한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에 이르기까지, 본 가변 캐패시터의 전극 간에 인가하는 전압을 점차로 증대하면, 만곡 구조를 갖는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은 캐패시터 전극에 인입되고, 캐패시터 전극과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은, 유전체 패턴을 개재하여 부분적으로 당접하고(즉, 캐패시터 전극의 일부와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의 일부는, 유전체 패턴을 개재하여 가장 접근한 상태에 이르고), 캐패시터 전극 및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에서, 그 부분적 당접 개소의 근방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전극 간 거리가 최소인 상태에 이르고, 최종적으로는, 캐패시터 전극의 제1 대향면과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의 제2 대향면 사이의 전체에 걸쳐 전극 간 거리가 최소로 된다. 이와 같이, 본 가변 캐패시터에서는, 전극 간에 인가하는 구동 전압을 조절함으로써, 전극 사이의 갭 체적이 최대인 제1 상태와 갭 체적이 최소인 제2 상태 사이에서, 그 갭 체적을 연속적으로 크게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가변 캐패시터에 의하면, 정전 용량에 대하여 큰 가변량 내지 가변율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본 가변 캐패시터에서 제1 또는 제2 대향면 상에 형성되어 있는 유전체 패턴은, 대전하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도체 표면에 형성된 유전체막을, 소정 조건 하에서 그 유전체막에 도체 부재 등을 접촉시킴으로써, 대전시킨 경우(즉, 외부로부터 유전체막에의 소위 전하 이동에 의해 그 유전체막을 대전시킨 경우), 도체 표면에서의 유전체막의 윤곽의 전체 길이의, 그 유전체막의 단위 면적당의 길이가 클수록, 그 대전의 정도가 완화되는 경향이 있는 것을, 본 발명자들은 발견하였다. 소위 전하 이동에 의해 유전체막이 대전한 경우, 전하(전자, 정공)는 유전체막의 노출면 근방에 편재하는 바, 유전체막의 윤곽의 전체 길이의, 그 유전체막의 단위 면적당의 길이가 클수록, 유전체막 노출면 근방으로부터, 그 노출면과 접하는 도체 표면으로, 전하가 빠져나가는 양이 많다고 생각된다. 이 점이, 대전 완화 경향의 이유로서 생각된다.
본 가변 캐패시터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또는 제2 대향면 상에서 소정의 패턴 형상을 갖는 유전체 패턴의 윤곽의 전체 길이는 비교적 길기(즉, 유전체 패턴의 윤곽의 전체 길이의, 그 유전체 패턴의 단위 면적당의 길이는, 비교적 크기) 때문에, 그 유전체 패턴으로부터 제1 또는 제2 대향면으로 전하는 빠져나가기 쉽다. 그 때문에, 본 가변 캐패시터에서는, 소위 전하 이동에 기인하는 유전체 패턴의 대전은 억제된다. 따라서, 본 가변 캐패시터에서는,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에 대하여 그 초기 위치로부터 동작을 개시시키기 위해 그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과 캐패시터 전극 간에 인가할 필요가 있는 최소 구동 전압이 변동하는 것은, 억제되고, 또한, 본 가변 캐패시터 내지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의 구동에서의 정전 용량과 구동 전압(소정의 정전 용량 내지 전극 간 갭 체적을 얻기 위해 전극 간에 가할 전압)의 관계가 변동하는 것도, 억제된다. 이와 같이, 본 가변 캐패시터에서는, 구동 전압 특성의 변동은 억제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는, 구동 전압 특성의 변동을 억제하는 데에 바람직하고, 또한, 정전 용량에 대하여 큰 가변율을 실현하는 데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의해 제공되는 가변 캐패시터는, 제1 대향면을 갖는 캐패시터 전극과, 제1 대향면에 대향하는 제2 대향면을 갖는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과, 캐패시터 전극에 대하여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을 부분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앵커부와, 제1 대향면 상 또는 제2 대향면 상에 형성된 유전체 패턴을 구비한다. 이 유전체 패턴은, 제1 측면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의 유전체 패턴과 마찬가지로, 캐패시터 전극과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 간이 단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락 방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패턴 형상을 갖고, 또한, 윤곽의 전체 길이가 비교적 길다.
본 가변 캐패시터에서, 캐패시터 전극과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 간에 전압이 인가되어 있지 않고 양 전극이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제1 상태)에서는, 캐패시터 전극 내지 제1 대향면과,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 내지 제2 대향면 사이의 갭은, 최대의 체적을 갖는다.
본 가변 캐패시터에서, 전극 간에 소정 이상의 전압을 인가하면, 전극 간에 발생하는 정전 인력의 작용에 의해, 캐패시터 전극의 제1 대향면의 일부의 영역(예를 들면 대부분의 영역)과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의 제2 대향면의 일부의 영역(예를 들면 대부분의 영역)을, 제1 또는 제2 대향면 상의 유전체 패턴을 개재하여 가장 접근한 상태(제2 상태)에 이르게 할 수 있다(캐패시터 전극 내지 제1 대향면 및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 내지 제2 대응면에서 앵커부에 의해 서로 고정된 부분끼리는 접근하지 않음). 이 때, 캐패시터 전극과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이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유전체 패턴이 저지한다. 이 상태에서, 캐패시터 전극 내지 제1 대향면과,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 내지 제2 대향면 사이의 갭은, 최소의 체적을 갖는다.
본 가변 캐패시터가 전술한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에 이르기까지, 본 가변 캐패시터의 전극 간에 인가하는 전압을 점차로 증대하면,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에서 앵커부에 의해 캐패시터 전극에 고정되어 있는 부분(고정 부분)을 제외하고,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은 캐패시터 전극에 인입되고(캐패시터 전극에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이 인입되는 양 내지 거리는,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의 전체에 걸쳐 균일하지는 않음), 캐패시터 전극과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은, 유전체 패턴을 개재하여 부분적으로 당접하고, 캐패시터 전극 및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에서, 그 부분적 당접 개소의 근방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전극 간 거리가 최소인 상태에 이르고, 최종적으로는, 캐패시터 전극의 제1 대향면의 일부의 영역(예를 들면 대부분의 영역)과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의 제2 대향면의 일부의 영역(예를 들면 대부분의 영역) 사이의 전체에 걸쳐 전극 간 거리가 최소로 된다. 이와 같이, 본 가변 캐패시터에서는, 전극 사이의 갭 체적이 최대인 제1 상태와 갭 체적이 최소인 제2 상태 사이에서, 그 갭 체적을 연속적으로 크게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가변 캐패시터에 의하면, 정전 용량에 대하여 큰 가변량 내지 가변율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가변 캐패시터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또는 제2 대향면 상에서 소정의 패턴 형상을 갖는 유전체 패턴의 윤곽의 전체 길이는 비교적 길기(즉, 유전체 패턴의 윤곽의 전체 길이의, 그 유전체 패턴의 단위 면적당의 길이는, 비교적 크기) 때문에, 그 유전체 패턴으로부터 제1 또는 제2 대향면으로 전하는 빠져나가기 쉽다. 따라서, 본 가변 캐패시터에서는, 제1 측면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에 관하여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이유로, 구동 전압 특성의 변동은 억제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는, 구동 전압 특성의 변동을 억제하는 데에 바람직하고, 또한, 정전 용량에 대하여 큰 가변율을 실현하는 데에 바람직하다.
부가적으로, 본 가변 캐패시터에서는, 캐패시터 전극과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 간이 앵커부에 의해 부분적으로 연결 내지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비구동 시에서도 구동 시에서도, 온도 변화에 기인하는 각 전극(특히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의 의도적이 아닌 형상 변화 내지 만곡이 억제되므로, 온도 변화에 기인하는 전극 사이의 갭 체적의 변동이 억제된다. 따라서, 본 가변 캐패시터는, 온도 변화에 기인하는 정전 용량 변동을 억제하는 데에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기술적 이점에 대해서는, 하기의 제4, 제6, 및 제8 측면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측면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에서는, 유전체 패턴의 형상 및/또는 조밀한 조정에 의해, C(정전 용량)-V(구동 전압)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유전체 패턴은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복수의 유전체 아일런드로 이루어지는 바, 그와 같은 유전체 패턴에서, 밀한 부분으로부터 조한 부분으로 변화되는 부위를 형성함으로써 예를 들면, C-V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측면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는, 바람직하게는, 유전체 패턴 상에 도체층을 구비한다. 혹은, 제1 및 제2 측면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는, 유전체 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제1 대향면 또는 제2 대향면 상에 유전체 패턴을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유전체 패턴은, 복수의 유전체 아일런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체와 도체 간, 및, 유전체와 유전체 간에서는, 도체와 유전체 간보다도, 소위 전하 이동은 생기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의해 제공되는 가변 캐패시터는, 제1 대향면을 갖는 캐패시터 전극과, 제1 대향면에 대향하는 제2 대향면을 갖고, 또한, 캐패시터 전극 측으로 또는 캐패시터 전극과는 반대 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하고 있는 부위를 갖는,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과, 제1 대향면 상 또는 제2 대향면 상에 형성된 유전체막과, 유전체막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제1 대향면 또는 제2 대향면 상에 형성된 도체 패턴을 구비한다. 유전체막은, 본 가변 캐패시터에서 캐패시터 전극과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 간이 단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체 패턴은, 제1 또는 제2 대향면 상에서 패턴 형성된 것으로서, 예를 들면, 제1 또는 제2 대향면 상에서 서로 이격하는 복수의 도체 아일런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도체 패턴에서의 유전체막측 표면의 면적은, 제1 또는 제2 대향면의 면적보다 작다.
본 가변 캐패시터는, 제1 측면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에 관하여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양태로 구동할 수 있고, 따라서, 제1 측면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와 마찬가지로, 정전 용량에 대하여 큰 가변량 내지 가변율을 실현할 수 있다.
본 가변 캐패시터에서는, 캐패시터 전극의 제1 대향면과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의 제2 대향면 사이의 전체에 걸쳐 전극 간 거리가 최소로 되는 상태(제2 상태)에서, 제1 또는 제2 대향면 상의 도체 패턴이, 제2 또는 제1 대향면 상의 유전체막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접촉한다. 도체 패턴에서의 유전체막측 표면의 면적이 제1 또는 제2 대향면의 면적보다 작다고 하는 전술한 구성은, 예를 들면 그와 같은 제2 상태에서, 유전체막에 대하여 도체 부재가 접촉하는 것에 기인하여 생길 수 있는 전하 이동을 억제하는 데에 이바지한다. 따라서, 본 가변 캐패시터에서는, 소위 전하 이동에 기인하는 유전체막의 대전은 억제되어, 구동 전압 특성의 변동은 억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는, 구동 전압 특성의 변동을 억제하는 데에 바람직하고, 또한, 정전 용량에 대하여 큰 가변율을 실현하는 데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의해 제공되는 가변 캐패시터는, 제1 대향면을 갖는 캐패시터 전극과, 제1 대향면에 대향하는 제2 대향면을 갖는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과, 제1 대향면 상 또는 제2 대향면 상에 형성된 유전체막과, 캐패시터 전극에 대하여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을 부분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앵커부와, 유전체막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제1 대향면 또는 제2 대향면 상에 형성된 도체 패턴을 구비한다. 유전체막은, 본 가변 캐패시터에서 캐패시터 전극과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 간이 단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체 패턴은, 제1 또는 제2 대향면 상에서 패턴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도체 패턴에서의 유전체막측 표면의 면적은, 제1 또는 제2 대향면의 면적보다 작다.
본 가변 캐패시터는, 제2 측면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에 관하여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양태로 구동할 수 있고, 따라서, 제2 측면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와 마찬가지로, 정전 용량에 대하여 큰 가변량 내지 가변율을 실현할 수 있다.
본 가변 캐패시터에서는, 캐패시터 전극의 제1 대향면의 일부의 영역(예를 들면 대부분의 영역)과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의 제2 대향면의 일부의 영역(예를 들면 대부분의 영역)이 제1 또는 제2 대향면 상의 유전체막 및 도체 패턴을 개재하여 가장 접근한 상태(제2 상태)에서, 제1 또는 제2 대향면 상의 도체 패턴이, 제2 또는 제1 대향면 상의 유전체막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접촉한다. 따라서, 본 가변 캐패시터에서는, 제3 측면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에 관하여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이유로, 구동 전압 특성의 변동은 억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는, 구동 전압 특성의 변동을 억제하는 데에 바람직하고, 또한, 정전 용량에 대하여 큰 가변율을 실현하는 데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5 측면에 의해 제공되는 가변 캐패시터는, 제1 대향면을 갖는 캐패시터 전극과, 제1 대향면에 대향하는 제2 대향면을 갖고, 또한, 캐패시터 전극 측으로 또는 캐패시터 전극과는 반대 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하고 있는 부위를 갖는,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과, 제1 대향면 상 또는 제2 대향면 상에 형성된 유전체막과, 유전체막 상에 형성된 도체 패턴을 구비한다. 유전체막은, 본 가변 캐패시터에서 캐패시터 전극과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 간이 단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체 패턴은, 유전체막 상에서 패턴 형성된 것으로서, 예를 들면, 유전체막 상에서 서로 이격하는 복수의 도체 아일런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도체 패턴이 유전체막 상에서 차지하는 면적은, 유전체막 자체의 면적보다 작다.
본 가변 캐패시터는, 제1 측면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에 관하여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양태로 구동할 수 있고, 따라서, 제1 측면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와 마찬가지로, 정전 용량에 대하여 큰 가변량 내지 가변율을 실현할 수 있다.
본 가변 캐패시터에서는, 캐패시터 전극의 제1 대향면과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의 제2 대향면 사이의 전체에 걸쳐 전극 간 거리가 최소로 되는 상태(제2 상태)에서, 유전체막 상의 도체 패턴이, 캐패시터 전극(제1 대향면) 또는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제2 대향면)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접촉한다. 도체끼리가 접촉하는 경우, 소위 전하 이동은 생기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부가적으로, 도체 패턴의 면적이 유전체막의 면적보다 작다고 하는 전술한 구성은, 예를 들면 그와 같은 제2 상태에서, 캐패시터 전극 또는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과 도체 패턴이 접촉하는 것에 기인하여 생길 수 있는 전하 이동을 억제하는 데에 이바지한다. 그 때문에, 본 가변 캐패시터에서는, 도체 패턴으로부터 유전체막에의 전하 이동량이 억제된다. 따라서, 본 가변 캐패시터에서는, 유전체막의 대전은 억제되어, 구동 전압 특성의 변동은 억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측면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는, 구동 전압 특성의 변동을 억제하는 데에 바람직하고, 또한, 정전 용량에 대하여 큰 가변율을 실현하는 데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6 측면에 의해 제공되는 가변 캐패시터는, 제1 대향면을 갖는 캐패시터 전극과, 제1 대향면에 대향하는 제2 대향면을 갖는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과, 캐패시터 전극에 대하여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을 부분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앵커부와, 제1 대향면 상 또는 제2 대향면 상에 형성된 유전체막과, 유전체막 상에 형성된 도체 패턴을 구비한다. 유전체막은, 본 가변 캐패시터에서 캐패시터 전극과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 간이 단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체 패턴은, 유전체막 상에서 패턴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도체 패턴이 유전체막 상에서 차지하는 면적은, 유전체막 자체의 면적보다 작다.
본 가변 캐패시터는, 제2 측면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에 관하여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양태로 구동할 수 있고, 따라서, 제2 측면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와 마찬가지로, 정전 용량에 대하여 큰 가변량 내지 가변율을 실현할 수 있다.
본 가변 캐패시터에서는, 캐패시터 전극의 제1 대향면의 일부의 영역(예를 들면 대부분의 영역)과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의 제2 대향면의 일부의 영역(예를 들면 대부분의 영역)이 제1 또는 제2 대향면 상의 유전체막 및 도체 패턴을 개재하여 가장 접근한 상태(제2 상태)에서, 유전체막 상에서 소면적의 도체 패턴이, 캐패시터 전극(제1 대향면) 또는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제2 대향면)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접촉한다. 따라서, 본 가변 캐패시터에서는, 제5 측면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에 관하여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이유로, 구동 전압 특성의 변동은 억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6 측면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는, 구동 전압 특성의 변동을 억제하는 데에 바람직하고, 또한, 정전 용량에 대하여 큰 가변율을 실현하는 데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7 측면에 의해 제공되는 가변 캐패시터는, 제1 대향면을 갖는 캐패시터 전극과, 제1 대향면에 대향하는 제2 대향면을 갖고, 또한, 캐패시터 전극 측으로 또는 캐패시터 전극과는 반대 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하고 있는 부위를 갖는,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과, 제1 대향면 상 또는 제2 대향면 상에 형성된 유전체막과,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 측으로 노출하면서 유전체막에 매립하여 형성된 도체 패턴을 구비한다. 유전체막은, 본 가변 캐패시터에서 캐패시터 전극과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 간이 단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체 패턴은, 소정의 패턴 형상을 갖고, 예를 들면, 대향 전극측에 유전체막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개구부를 갖는다.
본 가변 캐패시터는, 제1 측면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에 관하여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양태로 구동할 수 있고, 따라서, 제1 측면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와 마찬가지로, 정전 용량에 대하여 큰 가변량 내지 가변율을 실현할 수 있다. 본 가변 캐패시터에서는, 소위 전하 이동에 기인하여 유전체막의 노출면에 전하가 편재하여도, 유전체막에 매립하여 형성되어 있는 도체 패턴으로 그 전하는 빠져나가기 쉽다. 따라서, 본 가변 캐패시터에서는, 유전체막의 대전은 억제되어, 구동 전압 특성의 변동은 억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7 측면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는, 구동 전압 특성의 변동을 억제하는 데에 바람직하고, 또한, 정전 용량에 대하여 큰 가변율을 실현하는 데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8 측면에 의해 제공되는 가변 캐패시터는, 제1 대향면을 갖는 캐패시터 전극과, 제1 대향면에 대향하는 제2 대향면을 갖는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과, 캐패시터 전극에 대하여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을 부분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앵커부와, 제1 대향면 상 또는 제2 대향면 상에 형성된 유전체막과,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 측으로 노출하면서 유전체막에 매립하여 형성된 도체 패턴을 구비한다. 유전체막은, 본 가변 캐패시터에서 캐패시터 전극과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 간이 단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체 패턴은, 유전체막 상에서 패턴 형성된 것으로서, 예를 들면, 대향 전극측에 유전체막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개구부를 갖는다.
본 가변 캐패시터는, 제2 측면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에 관하여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양태로 구동할 수 있고, 따라서, 제2 측면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와 마찬가지로, 정전 용량에 대하여 큰 가변량 내지 가변율을 실현할 수 있다. 본 가변 캐패시터에서는, 소위 전하 이동에 기인하여 유전체막의 노출면에 전하가 편재하여도, 유전체막에 매립하여 형성되어 있는 도체 패턴으로 그 전하는 빠져나가기 쉽다. 따라서, 본 가변 캐패시터에서는, 유전체막의 대전은 억제되어, 구동 전압 특성의 변동은 억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8 측면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는, 구동 전압 특성의 변동을 억제하는 데에 바람직하고, 또한, 정전 용량에 대하여 큰 가변율을 실현하는 데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7 및 제8 측면에서, 바람직하게는, 도체 패턴은, 복수의 개구부를 갖는 도체막이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유전체막에서의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 측의 면과, 도체 패턴에서의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 측의 면과는, 면일이다. 혹은, 도체 패턴에서의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 측의 면은, 유전체막에서의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 측의 면보다도, 캐패시터 전극 측으로 퇴피하고 있어도 된다. 혹은, 유전체막에서의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 측의 면은, 도체 패턴에서의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 측의 면보다도, 캐패시터 전극 측으로 퇴피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제3, 제5, 제7 측면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는, 바람직하게는, 캐패시터 전극 및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 간을 부분적으로 연결하는 앵커부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온도 변화에 기인하는 정전 용량 변동을 억제하는 데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8 측면에서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캐패시터 전극은 고정 전극이다. 이 경우, 고정 전극이 갖는 제1 대향면은,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 측으로 또는 캐패시터 전극과는 반대 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하고 있는 영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8 측면에서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캐패시터 전극은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이다. 이 경우, 상기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은, 바람직하게는, 다른 쪽의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 측으로 또는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과는 반대 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하고 있는 부위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9 측면에 의해 제공되는 가변 캐패시터는, 제1 대향면을 갖는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과, 제1 대향면에 대향하고 또한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 측으로 또는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과는 반대 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하고 있는 영역을 갖는 제2 대향면을 갖는 고정 캐패시터 전극과, 제1 대향면 상 또는 제2 대향면 상에 형성된 유전체 패턴을 구비한다. 이 유전체 패턴은, 제1 측면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의 유전체 패턴과 마찬가지로, 전극 간이 단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락 방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패턴 형상을 갖고, 또한, 윤곽의 전체 길이가 비교적 길다.
본 가변 캐패시터는, 제1 측면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에 관하여 전술한 바와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의 양태로 구동할 수 있고, 따라서, 제1 측면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와 마찬가지로, 정전 용량에 대하여 큰 가변량 내지 가변율을 실현할 수 있다.
본 가변 캐패시터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또는 제2 대향면 상에서 소정의 패턴 형상을 갖는 유전체 패턴의 윤곽의 전체 길이는 비교적 길기(즉, 유전체 패턴의 윤곽의 전체 길이의, 그 유전체 패턴의 단위 면적당의 길이는, 비교적 크기) 때문에, 그 유전체 패턴으로부터 제1 또는 제2 대향면으로 전하는 빠져나가기 쉬워, 소위 전하 이동에 기인하는 유전체 패턴의 대전은 억제된다. 따라서, 본 가변 캐패시터에서는, 제1 측면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에 관하여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이유로, 구동 전압 특성의 변동은 억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9 측면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는, 구동 전압 특성의 변동을 억제하는 데에 바람직하고, 또한, 정전 용량에 대하여 큰 가변율을 실현하는 데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0 측면에 의해 제공되는 가변 캐패시터는, 제1 대향면을 갖는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과, 제1 대향면에 대향하고 또한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 측으로 또는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과는 반대 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하고 있는 영역을 갖는 제2 대향면을 갖는 고정 캐패시터 전극과, 제1 대향면 상 또는 제2 대향면 상에 형성된 유전체막과, 유전체막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제1 대향면 또는 제2 대향면 상에 형성된 도체 패턴을 구비한다. 유전체막은, 본 가변 캐패시터에서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과 고정 캐패시터 전극 간이 단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체 패턴은, 제1 또는 제2 대향면 상에서 패턴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도체 패턴에서의 유전체막측 표면의 면적은, 제1 또는 제2 대향면의 면적보다 작다.
본 가변 캐패시터는, 제1 측면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에 관하여 전술한 바와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의 양태로 구동할 수 있고, 따라서, 제1 측면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와 마찬가지로, 정전 용량에 대하여 큰 가변량 내지 가변율을 실현할 수 있다.
본 가변 캐패시터에서는,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의 제1 대향면과 고정 캐패시터 전극의 제2 대향면 사이의 전체에 걸쳐 전극 간 거리가 최소로 되는 상태(제2 상태)에서, 제1 또는 제2 대향면 상의 도체 패턴이, 제2 또는 제1 대향면 상의 유전체막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접촉한다. 도체 패턴에서의 유전체막측 표면의 면적이 제1 또는 제2 대향면의 면적보다 작다고 하는 전술한 구성은, 예를 들면 그와 같은 제2 상태에서, 유전체막에 대하여 도체 부재가 접촉하는 것에 기인하여 생길 수 있는 전하 이동을 억제하는 데에 이바지한다. 따라서, 본 가변 캐패시터에서는, 제3 측면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에 관하여 전술한 바와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의 이유로, 소위 전하 이동에 기인하는 유전체막의 대전은 억제되어, 구동 전압 특성의 변동은 억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0 측면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는, 구동 전압 특성의 변동을 억제하는 데에 바람직하고, 또한, 정전 용량에 대하여 큰 가변율을 실현하는 데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1 측면에 의해 제공되는 가변 캐패시터는, 제1 대향면을 갖는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과, 제1 대향면에 대향하고 또한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 측으로 또는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과는 반대 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하고 있는 영역을 갖는 제2 대향면을 갖는 고정 캐패시터 전극과, 제1 대향면 상 또는 제2 대향면 상에 형성된 유전체막과, 유전체막 상에 형성된 도체 패턴을 구비한다. 유전체막은, 본 가변 캐패시터에서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과 고정 캐패시터 전극 간이 단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체 패턴은, 유전체막 상에서 패턴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도체 패턴이 유전체막 상에서 차지하는 면적은, 유전체막 자체의 면적보다 작다.
본 가변 캐패시터는, 제1 측면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에 관하여 전술한 바와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의 양태로 구동할 수 있고, 따라서, 제1 측면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와 마찬가지로, 정전 용량에 대하여 큰 가변량 내지 가변율을 실현할 수 있다.
본 가변 캐패시터에서는,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의 제1 대향면과 고정 캐패시터 전극의 제2 대향면 사이의 전체에 걸쳐 전극 간 거리가 최소로 되는 상태(제2 상태)에서, 유전체막 상에서 소면적의 도체 패턴이,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제1 대향면) 또는 고정 캐패시터 전극(제2 대향면)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접촉한다. 따라서, 본 가변 캐패시터에서는, 제5 측면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에 관하여 전술한 바와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의 이유로, 구동 전압 특성의 변동은 억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1 측면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는, 구동 전압 특성의 변동을 억제하는 데에 바람직하고, 또한, 정전 용량에 대하여 큰 가변율을 실현하는 데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2 측면에 의해 제공되는 가변 캐패시터는, 제1 대향면을 갖는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과, 제1 대향면에 대향하고 또한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 측으로 또는 캐패시터 전극과는 반대 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하고 있는 영역을 갖는 제2 대향면을 갖는 고정 캐패시터 전극과, 제1 대향면 상 또는 제2 대향면 상에 형성된 유전체막과,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 측으로 노출하면서 유전체막에 매립하여 형성된 도체 패턴을 구비한다. 유전체막은, 본 가변 캐패시터에서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과 고정 캐패시터 전극 간이 단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체 패턴은, 유전체막 상에서 패턴 형성된 것으로서, 예를 들면, 대향 전극측에 유전체막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개구부를 갖는다.
본 가변 캐패시터는, 제1 측면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에 관하여 전술한 바와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의 양태로 구동할 수 있고, 따라서, 제1 측면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와 마찬가지로, 정전 용량에 대하여 큰 가변량 내지 가변율을 실현할 수 있다. 본 가변 캐패시터에서는, 소위 전하 이동에 기인하여 유전체막의 노출면에 전하가 편재하여도, 유전체막에 매립하여 형성되어 있는 도체 패턴으로 그 전하는 빠져나가기 쉽다. 따라서, 본 가변 캐패시터에서는, 제7 측면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에 관하여 전술한 바와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의 이유로, 유전체막의 대전은 억제되어, 구동 전압 특성의 변동은 억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2 측면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는, 구동 전압 특성의 변동을 억제하는 데에 바람직하고, 또한, 정전 용량에 대하여 큰 가변율을 실현하는 데에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 X1을 나타낸다. 도 1은, 가변 캐패시터 X1의 평면도이다. 도 2는, 가변 캐패시터 X1의 일부 생략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선 III-III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선 IV-IV를 따라 취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가변 캐패시터 X1은, 기판(11)과, 고정 전극(12)과, 가동 전극(13)(도 2에서는 생략)과, 유전체 패턴(14)을 구비한다.
기판(11)은 예를 들면 실리콘 재료로 이루어진다. 기판(11) 상에는, 고정 전극(12) 또는 가동 전극(13)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소정의 배선 패턴(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전극(12)은, 기판(11) 상에 패턴 형성된 것으로서, 가변 캐패시터 X1에서의 한쌍의 캐패시터 전극의 한쪽을 이룬다. 가동 전극(13)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11) 상에 세워 형성된 것으로서, 가변 캐패시터 X1에서의 한쌍의 캐패시터 전극의 다른 쪽을 이룬다. 고정 전극(12) 및 가동 전극(13)은, 도 1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교차하여 부분적으로 대향하고, 고정 전극(12)은, 가동 전극(13)에 대향하는 대향면(12a)을 갖고, 가동 전극(13)은, 고정 전극(12)에 대향하는 대향면(13a)을 갖는다. 고정 전극(12) 내지 대향면(12a)과 가동 전극(13) 내지 대향면(13a)과의 대향 면적은, 예를 들면 10000∼40000㎛2이다. 또한, 가동 전극(13)에서 고정 전극(12)에 대향하는 부위는 적어도,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전극(12) 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하고 있다. 고정 전극(12) 및 가동 전극(13) 간의 도 4에 도시하는 거리 L은, 예를 들면 0.5∼2㎛이다. 가동 전극(13)의 두께는, 예를 들면 1∼2㎛이다. 바람직하게는, 고정 전극(12) 및 가동 전극(13)의 한쪽은 그라운드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고정 전극(12) 및 가동 전극(13)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Al)이나 구리(Cu) 등의 도전 재료로 이루어진다.
유전체 패턴(14)은, 고정 전극(12)의 대향면(12a) 상에 형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대향면(12a) 상에서 서로 이격하는 복수의 유전체 아일런드(14a)로 이루어진다. 유전체 패턴(14)의 윤곽의 전체 길이의, 유전체 패턴(14)의 단위 면적당의 길이는, 대향면(12a) 상 전체에 걸쳐 예를 들면 사각 형상의 유전체막이 임시로 형성된 경우에서의 그 유전체막의 윤곽의 전체 길이의, 그 유전체막의 단위 면적당의 길이보다도, 크다. 즉, 대향면(12a) 상에서의 유전체 패턴(14)의 윤곽의 전체 길이는 비교적 길다. 이와 같은 유전체 패턴(14)은, 가변 캐패시터 X1에서 고정 전극(12)과 가동 전극(13) 간이 단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락 방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패턴 형상(예를 들면, 대향면(12a)을 과도하게 넓게 노출시키지 않는 패턴 형상)을 갖는다. 유전체 패턴(14)의 두께는, 예를 들면 0.1∼0.5㎛이다. 유전체 패턴(14)의 구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나(Al2O3), 산화 실리콘(SiO2), 및 질화 실리콘(SiNx)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가변 캐패시터 X1에서는, 고정 전극(12) 및 가동 전극(13) 간에 전압(구동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고정 전극(12) 및 가동 전극(13) 간에 정전 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그 정전 인력을 이용하여, 가동 전극(13)을 고정 전극(12)을 향하여 인입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전극(12) 내지 대향면(12a)과 가동 전극(13) 내지 대향면(13a) 사이의 갭 G1의 체적을 변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가변 캐패시터 X1의 가동 전극(13)은 전술한 바와 같이 만곡하고 있기 때문에, 고정 전극(12)과 가동 전극(13) 간에 전압이 인가되어 있지 않고 양 전극이 초기 위치에 있는 도 5의 (a)에 도시하는 상태(제1 상태)에서는, 고정 전극(12)의 대향면(12a)과 가동 전극(13)의 대향면(13a) 간의 거리는, 대향면(12a, 13a) 사이 전체에 걸쳐 균일하지는 않다. 이와 같은 초기 상태에서, 갭 G1은 최대의 체적을 갖는다.
가변 캐패시터 X1에서, 고정 전극(12)과 가동 전극(13) 간에 소정 이상의 전압을 인가하면, 전극 간에 발생하는 정전 인력의 작용에 의해, 고정 전극(12)(대향면(12a))과 가동 전극(13)(대향면(13a))을, 유전체 패턴(14)을 개재하여 가장 접근한 도 5의 (d)에 도시하는 상태(제2 상태)에 이르게 할 수 있다. 이 때, 고정 전극(12)과 가동 전극(13)이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유전체 패턴(14)이 저지한다. 이 상태에서, 갭 G1은 최소의 체적을 갖는다.
가변 캐패시터 X1이 전술한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에 이르기까지, 가변 캐패시터 X1의 전극 간에 인가하는 구동 전압을 점차로 증대하면, 만곡 구조를 갖는 가동 전극(13)은 고정 전극(12)에 인입되어, 예를 들면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전극(12)과 가동 전극(13)은, 우선, 유전체 패턴(14) 내지 유전체 아일런드(14a)를 개재하여 부분적으로 당접하는 것으로 된다(즉, 고정 전극(12)의 일부와 가동 전극(13)의 일부는, 유전체 패턴(14)을 개재하여 가장 접근한 상태에 이른다). 계속해서, 예를 들면 도 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전극(12) 및 가동 전극(13)에서, 부분적 당접 개소의 근방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전극 간 거리가 최소인 상태에 이른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도 5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전극(12)(대향면(12a))과 가동 전극(13)(대향면(13a)) 사이의 전체에 걸쳐 전극 간 거리가 최소로 된다.
이와 같이, 가변 캐패시터 X1에서는, 고정 전극(12) 및 가동 전극(13) 간에 인가하는 구동 전압(예를 들면 0∼20V)을 조절함으로써, 전극 사이의 갭 G1의 체적이 최대인 제1 상태와 갭 G1의 체적이 최소인 제2 상태 사이에서, 그 갭 체적을 연속적으로 크게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변 캐패시터 X1에 의하면, 정전 용량에 대하여 큰 가변량 내지 가변율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본 가변 캐패시터 X1에서 대향면(12a) 상에 형성되어 있는 유전체 패턴(14)은, 대전하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도체 표면에 형성된 유전체막을, 소정 조건 하에서 그 유전체막에 도체 부재 등을 접촉시킴으로써, 대전시킨 경우(즉, 외부로부터 유전체막에의 소위 전하 이동에 의해 그 유전체막을 대전시킨 경우), 도체 표면에서의 유전체막의 윤곽의 전체 길이의, 그 유전체막의 단위 면적당의 길이가 클수록, 그 대전의 정도가 완화되는 경향이 있는 것을, 본 발명자들은 발견하였다. 소위 전하 이동에 의해 유전체막이 대전한 경우, 전하(전자, 정공)은 유전체막의 노출면 근방에 편재하는 바, 유전체막의 윤곽의 전체 길이의, 그 유전체막의 단위 면적당의 길이가 클수록, 유전체막 노출면 근방으로부터, 그 노출면과 접하는 도체 표면으로, 전하가 빠져나가는 양이 많다고 생각된다. 이 점이, 대전 완화 경향의 이유로서 생각된다.
가변 캐패시터 X1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대향면(12a) 상에서 소정의 패턴 형상을 갖는 유전체 패턴(14)의 윤곽의 전체 길이는 비교적 길다(즉, 유전체 패턴(14)의 윤곽의 전체 길이의, 그 유전체 패턴(14)의 단위 면적당의 길이는, 비교적 크다). 그 때문에, 유전체 패턴(14)으로부터 대향면(12a)으로 전하는 빠져나가기 쉬워, 소위 전하 이동에 기인하는 유전체 패턴(14)의 대전은 억제된다. 따라서, 가변 캐패시터 X1에서는, 가동 전극(13)에 대하여 그 초기 위치로부터 동작을 개시시키기 위해 고정 전극(12)과 가동 전극(13) 간에 인가할 필요가 있는 최소 구동 전압이 변동하는 것은, 억제되고, 또한, 가변 캐패시터 X1 내지 가동 전극(13)의 구동에서의 정전 용량과 구동 전압(소정의 정전 용량 내지 갭 체적을 얻기 위해 전극 간에 가할 전압)의 관계가 변동하는 것도, 억제된다. 이와 같이, 가변 캐패시터 X1에서는, 구동 전압 특성의 변동은 억제된다.
도 6 및 도 7은, 가변 캐패시터 X1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도 4에 상당하는 단면의 변화로서 나타낸다. 본 방법은, 소위 MEMS 기술을 이용하여 가변 캐패시터 X1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가변 캐패시터 X1의 제조에서는, 우선,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전극(12)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스퍼터링법에 의해 기판(11) 상에 Al을 성막한 후, 소정의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서 이용하여 Al막에 대하여 에칭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기판(11) 상에 고정 전극(12)을 패턴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전체 패턴(14)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고정 전극(12) 상 및 기판(11) 상에 걸쳐서 스퍼터링법에 의해 Al2O3을 성막한 후, 소정의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서 이용하여 그 Al2O3막에 대하여 에칭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고정 전극(12) 상에 유전체 패턴(14)을 패턴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희생막(15)을 형성한다. 희생막(15)은, 기판(11)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도면 외의 개구부를 갖는다. 이 개구부는, 기판(11)에서 가동 전극(13)이 접합하는 영역을 노출시키기 위한 것인다. 희생막(15)은, 예를 들면 포토레지스트로 이루어진다. 희생막(15)의 형성에서는, 예를 들면, 고정 전극(12) 및 유전체 패턴(14)을 덮도록 하여 기판(11) 상에 스퍼터링법에 의해 희생막 재료를 성막한 후, 그 막에 대하여, 소정의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서 이용하여 에칭 처리를 실시한다.
다음으로,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전극(13)을 형성한다. 가동 전극(13)의 형성에서는, 예를 들면, 희생막(15) 상 및 전술한 개구부 내에 걸쳐 스퍼터링법에 의해 Al을 성막한 후, 그 Al막에 대하여, 소정의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서 이용하여 에칭 처리를 실시한다.
다음으로,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전극(13) 상에 재료막(16)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고온 조건 하에서, 가동 전극(13) 상 및 희생막(15) 상에 걸쳐서 스퍼터링법에 의해 소정 재료를 성막하고, 소정의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서 이용하여 그 재료막에 대하여 에칭 처리를 실시한다. 재료막(16)은, 가동 전극(13)에서의 전술한 만곡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동 전극(13)의 구성 재료보다도 열 팽창율이 큰 재료로 이루어진다. 재료막(16)의 구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아연이나, 주석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공정을 거친 후에 강온하면, 재료막(16) 내에는, 가동 전극(13) 내에서 보다도 큰 수축력이 생긴다.
다음으로,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희생막(15)을 제거한다.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레지스트 박리액을 사용하여 행하는 웨트 에칭법에 의해, 희생막(15)을 제거한다. 희생막(15)을 제거하면, 재료막(16)은, 가동 전극(13)보다도 크게 수축하여 가동 전극(13)을 부분적으로 만곡시킨다. 예를 들면 이상과 같이 하여, 가변 캐패시터 X1을 제조할 수 있다. 가동 전극(13)을 만곡시키기 위한 수단의 일례인 재료막(16)에 대해서는, 도 1 등에 도시하지 않는다.
도 8은, 고정 전극(12)의 대향면(12a) 상에 형성되는 유전체 패턴(14)의 배리에이션을 나타낸다. 가변 캐패시터 X1에서 고정 전극(12) 및 가동 전극(13) 사이에 배치되는 유전체 패턴(14)의 패턴 형상이나, 조밀, 구성 재료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가변 캐패시터 X1의 C(정전 용량)-V(구동 전압)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전체 패턴(14)의 패턴 형상이나, 조밀, 구성 재료를 조정함으로써, 가변 캐패시터 X1의 최대 정전 용량 Fmax나, C-V 특성 곡선으로 나타내는 정전 용량 변화율 ΔF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유전체 패턴(14)의 조밀한 정도가 높을수록, 정전 용량 변화율 ΔF는 커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균등하게 배치된 유전체 아일런드(14a)로 이루어지는 유전체 패턴(14)을 갖는 전술한 가변 캐패시터 X1에서, 구동 전압을 점차로 증대시킴으로써, 도 5의 (b)를 참조하여 전술한 상태로부터 도 5의 (d)를 참조하여 전술한 상태(제2 상태)로 변화시키면, 그 구동 전압 증대에 수반하여 정전 용량이 이차 함수적으로 증대하는 경우가 있는데, 유전체 패턴(14)에서 가동 전극(13)에 접촉하는 타이밍이 느린 외측부일수록 조밀한 정도를 예를 들면 도 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게 하면, 그 구동 전압 증대에 수반하는 정전 용량 증대는 비교적 완만하게 되어, 1차 함수적인 증대에 근사하게 된다. 구동 전압의 증대에 수반하는 정전 용량의 증대가 1차 함수적인 쪽이, 이차 함수적인 것보다도, 정전 용량을 가변 제어하기 쉽다.
도 9는, 가변 캐패시터 X1의 제1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가변 캐패시터 X1에서는, 고정 전극(12)의 대향면(12a) 상에 유전체 패턴(14)을 형성하는 대신에, 가동 전극(13)의 대향면(13a) 상에 유전체 패턴(14)을 형성하여도 된다.
도 10은, 가변 캐패시터 X1의 제2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가변 캐패시터 X1에서는, 고정 전극(12)의 대향면(12a) 상에 유전체 패턴(14)을 형성하는 것 외에, 가동 전극(13)의 대향면(13a) 상에 유전체 패턴(14')을 형성하여도 된다. 유전체 패턴(14, 14')은, 동일한 패턴 형상을 갖고, 복수의 도체 아일런드(14'a)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가동 전극(13)은, 유전체 패턴(14)과 직접적으로는 접촉하지 않는다.
도 11은, 가변 캐패시터 X1의 제3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가변 캐패시터 X1에서는, 유전체 패턴(14) 상에 도체층(17)을 형성하여도 된다. 도체층(17)은, 예를 들면 니켈이나 티탄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가동 전극(13)은, 유전체 패턴(14)과 직접적으로는 접촉하지 않는다. 또한, 도체층(17)을 갖는 유전체 패턴(14)을, 고정 전극(12)의 대향면(12a) 상에 형성하는 대신에, 가동 전극(13)의 대향면(13a) 상에 형성하여도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 X2의 부분 단면도이다. 가변 캐패시터 X2는, 기판(11)과, 고정 전극(12)과, 만곡 형상을 갖는 가동 전극(13)과, 유전체막(21)과, 도체 패턴(22)을 구비한다. 가변 캐패시터 X2는, 유전체 패턴(14) 대신에 유전체막(21) 및 도체 패턴(22)을 구비하는 점에서, 가변 캐패시터 X1과 서로 다르다.
유전체막(21)은, 가변 캐패시터 X2에서 고정 전극(12)과 가동 전극(13) 간이 단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유전체막(21)은, 예를 들면 실리콘 산화막으로 이루어진다. 도체 패턴(22)은, 가동 전극(13)의 대향면(13a) 상에 패턴 형성된 것으로서,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이격하는 복수의 도체 아일런드(22a)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도체 패턴(22)에서의 유전체막(21)측 표면의 면적은, 대향면(13a)의 면적보다 작다. 도체 패턴(22)은, 예를 들면 니켈이나 티탄으로 이루어진다.
가변 캐패시터 X2는, 가변 캐패시터 X1에 관하여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양태로 구동할 수 있어, 전극 사이의 갭 G2의 체적이 최대인 도 12의 (a)에 도시하는 제1 상태(초기 상태)와 갭 G2의 체적이 최소인 도 12의 (b)에 도시하는 제2 상태 사이에서, 그 갭 체적을 연속적으로 크게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변 캐패시터 X2에 의하면, 가변 캐패시터 X1과 마찬가지로, 정전 용량에 대하여 큰 가변량 내지 가변율을 실현할 수 있다.
가변 캐패시터 X2에서는, 예를 들면 도 12의 (b)에 도시하는 제2 상태에서, 가동 전극(13)의 대향면(13a) 상의 도체 패턴(22)이, 고정 전극(12)의 대향면(12a) 상의 유전체막(21)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접촉한다. 도체 패턴(22)에서의 유전체막(21)측 표면의 면적이 대향면(13a)의 면적보다 작다고 하는 전술한 구성은, 유전체막(21)에 대하여 도체 부재가 접촉하는 것에 기인하여 생길 수 있는 전하 이동을 억제하는 데에 이바지한다. 따라서, 가변 캐패시터 X2에서는, 소위 전하 이동에 기인하는 유전체막(21)의 대전은 억제되어, 구동 전압 특성의 변동은 억제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 X3의 부분 단면도이다. 가변 캐패시터 X3은, 기판(11)과, 고정 전극(12)과, 만곡 형상을 갖는 가동 전극(13)과, 유전체막(21)과, 도체 패턴(23)을 구비한다. 가변 캐패시터 X3은, 유전체 패턴(14) 대신에 유전체막(21) 및 도체 패턴(23)을 구비하는 점에서, 가변 캐패시터 X1과 서로 다르다.
유전체막(21)은, 가변 캐패시터 X3에서 고정 전극(12)과 가동 전극(13) 간이 단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체 패턴(23)은, 유전체막(21) 상에서 패턴 형성된 것으로서,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이격하는 복수의 도체 아일런드(23a)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도체 패턴(23)이 유전체막(21) 상에서 차지하는 면적은, 유전체막(21) 자체의 면적보다 작다. 도체 패턴(23)은, 예를 들면 니켈이나 티탄으로 이루어진다.
가변 캐패시터 X3은, 가변 캐패시터 X1에 관하여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양태로 구동할 수 있어, 전극 사이의 갭 G3의 체적이 최대인 도 14의 (a)에 도시하는 제1 상태(초기 상태)와 갭 G3의 체적이 최소인 도 14의 (b)에 도시하는 제2 상태 사이에서, 그 갭 체적을 연속적으로 크게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변 캐패시터 X3에 의하면, 가변 캐패시터 X1과 마찬가지로, 정전 용량에 대하여 큰 가변량 내지 가변율을 실현할 수 있다.
가변 캐패시터 X3에서는, 예를 들면 도 14의 (b)에 도시하는 제2 상태에서, 유전체막(21) 상의 도체 패턴(23)이, 가동 전극(13)(대향면(13a))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접촉한다. 도체끼리가 접촉하는 경우, 소위 전하 이동은 생기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부가적으로, 도체 패턴(23)의 면적이 유전체막(21)의 면적보다 작다고 하는 전술한 구성은, 가동 전극(13)과 도체 패턴(23)이 접촉하는 것에 기인하여 생길 수 있는 전하 이동을 억제하는 데에 이바지한다. 그 때문에, 가변 캐패시터 X3에서는, 도체 패턴(23)으로부터 유전체막(21)에의 전하 이동량이 억제된다. 따라서, 가변 캐패시터 X3에서는, 유전체막(21)의 대전은 억제되어, 구동 전압 특성의 변동은 억제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 X4의 부분 단면도이다. 가변 캐패시터 X4는, 기판(11)과, 고정 전극(12)과, 만곡 형상을 갖는 가동 전극(13)과, 유전체막(24)과, 도체 패턴(25)을 구비한다. 가변 캐패시터 X4는, 유전체 패턴(14) 대신에 유전체막(24) 및 도체 패턴(25)을 구비하는 점에서, 가변 캐패시터 X1과 서로 다르다. 유전체막(24)은, 가변 캐패시터 X4에서 고정 전극(12)과 가동 전극(13) 간이 단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체 패턴(25)은, 소정의 패턴 형상을 갖고, 예를 들면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전체막(24)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개구부를 갖는다. 유전체막(24)의 면(24a)과 도체 패턴(25)의 면(25a)은, 면일이다. 유전체막(24)은, 예를 들면 알루미나로 이루어진다. 도체 패턴(25)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다.
가변 캐패시터 X4는, 가변 캐패시터 X1에 관하여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양태로 구동할 수 있어, 전극 사이의 갭 G4의 체적이 최대인 도 16의 (a)에 도시하는 제1 상태(초기 상태)와 갭 G4의 체적이 최소인 도 16의 (b)에 도시하는 제2 상태 사이에서, 그 갭 체적을 연속적으로 크게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변 캐패시터 X4에 의하면, 가변 캐패시터 X1과 마찬가지로, 정전 용량에 대하여 큰 가변량 내지 가변율을 실현할 수 있다.
가변 캐패시터 X4에서는, 소위 전하 이동에 기인하여 유전체막(24)의 노출면에 전하가 편재하여도, 유전체막(24)에 매립하여 형성되어 있는 도체 패턴(25)으로 그 전하는 빠져나가기 쉽다. 따라서, 가변 캐패시터 X4에서는, 유전체막(24)의 대전은 억제되어, 구동 전압 특성의 변동은 억제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 X5의 부분 단면도이다. 가변 캐패시터 X5는, 기판(11)과, 고정 전극(12)과, 만곡 형상을 갖는 가동 전극(13)과, 유전체막(24)과, 도체 패턴(25, 26)을 구비한다. 가변 캐패시터 X5는, 유전체 패턴(14) 대신에 유전체막(24) 및 도체 패턴(25, 26)을 구비하는 점에서, 가변 캐패시터 X1과 서로 다르다. 유전체막(24)은, 가변 캐패시터 X5에서 고정 전극(12)과 가동 전극(13) 간이 단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체 패턴(25)은, 소정의 패턴 형상을 갖고, 유전체막(24)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개구부를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체 패턴(25)의 면(25a)은, 유전체막(24)의 면(24a)보다도, 고정 전극(12) 측으로 퇴피하고 있다. 또한, 도체 패턴(26)은, 도체 패턴(25)과 동일한 패턴 형상을 갖고, 예를 들면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개구부를 갖는다. 도체 패턴(26)은, 예를 들면 니켈이나 티탄으로 이루어진다.
가변 캐패시터 X5는, 가변 캐패시터 X1에 관하여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양태로 구동할 수 있어, 전극 사이의 갭 G5의 체적이 최대인 도 18의 (a)에 도시하는 제1 상태(초기 상태)와 갭 G5의 체적이 최소인 도 18의 (b)에 도시하는 제2 상태 사이에서, 그 갭 체적을 연속적으로 크게 변화시킬 수 있다(제2 상태에서는, 유전체막(24)과 가동 전극(13)이 접촉하고 또한 도체 패턴(25, 26)이 접촉한다). 따라서, 가변 캐패시터 X5에 의하면, 가변 캐패시터 X1과 마찬가지로, 정전 용량에 대하여 큰 가변량 내지 가변율을 실현할 수 있다.
가변 캐패시터 X5에서는, 소위 전하 이동에 기인하여 유전체막(24)의 노출면에 전하가 편재하여도, 유전체막(24)에 매립하여 형성되어 있는 도체 패턴(25)으로 그 전하는 빠져나가기 쉽다. 따라서, 가변 캐패시터 X5에서는, 유전체막(24)의 대전은 억제되어, 구동 전압 특성의 변동은 억제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 X6의 부분 단면도이다. 가변 캐패시터 X6은, 기판(11)과, 고정 전극(12)과, 만곡 형상을 갖는 가동 전극(13)과, 유전체막(24)과, 도체 패턴(25, 27)을 구비한다. 가변 캐패시터 X5는, 유전체 패턴(14) 대신에 유전체막(24) 및 도체 패턴(25, 27)을 구비하는 점에서, 가변 캐패시터 X1과 서로 다르다. 유전체막(24)은, 가변 캐패시터 X6에서 고정 전극(12)과 가동 전극(13) 간이 단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체 패턴(25)은, 소정의 패턴 형상을 갖고, 유전체막(24)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개구부를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전체막(24)의 면(24a)은, 도체 패턴(25)의 면(25a)보다도, 고정 전극(12) 측으로 퇴피하고 있다. 또한, 도체 패턴(27)은, 도체 패턴(25)의 개구부에 대응하는 패턴 형상을 갖고, 예를 들면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도체 아일런드(27a)로 이루어진다. 도체 패턴(27)은, 예를 들면 니켈이나 티탄으로 이루어진다.
가변 캐패시터 X6은, 가변 캐패시터 X1에 관하여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양태로 구동할 수 있어, 전극 사이의 갭 G6의 체적이 최대인 도 20의 (a)에 도시하는 제1 상태(초기 상태)와 갭 G6의 체적이 최소인 도 20의 (b)에 도시하는 제2 상태 사이에서, 그 갭 체적을 연속적으로 크게 변화시킬 수 있다(제2 상태에서는, 유전체막(24)과 도체 패턴(27)이 접촉하고 또한 가동 전극(13)과 도체 패턴(25)이 접촉한다). 따라서, 가변 캐패시터 X6에 의하면, 가변 캐패시터 X1과 마찬가지로, 정전 용량에 대하여 큰 가변량 내지 가변율을 실현할 수 있다.
가변 캐패시터 X6에서는, 소위 전하 이동에 기인하여 유전체막(24)의 노출면에 전하가 편재하여도, 유전체막(24)에 매립하여 형성되어 있는 도체 패턴(25)으로 그 전하는 빠져나가기 쉽다. 따라서, 가변 캐패시터 X6에서는, 유전체막(24)의 대전은 억제되어, 구동 전압 특성의 변동은 억제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 X7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2는, 가변 캐패시터 X1에서의 도 4에 대응한다. 가변 캐패시터 X7은, 기판(11)과, 만곡 형상을 갖는 고정 전극(12)과, 만곡 형상을 갖지 않는 가동 전극(13)과, 유전체 패턴(14)과, 구릉부(28)를 구비한다. 가변 캐패시터 X7은, 구릉부(28)를 갖고, 고정 전극(12)이 만곡 형상을 갖고, 또한, 가동 전극(13)이 만곡 형상을 갖지 않는 점에서, 가변 캐패시터 X1과 서로 다르다.
도 23 및 도 24는, 가변 캐패시터 X7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가변 캐패시터 X7의 제조에서는, 우선, 도 2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11) 상의 소정의 개소에 레지스트 패턴(28')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가열 처리를 거침으로써, 레지스트 패턴(28')을 도 2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형시켜서 구릉부(28)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2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전극(12) 및 유전체 패턴(14)을 형성한다. 이들의 구체적 형성 방법은, 도 6의 (a) 및 도 6의 (b)를 참조하여 전술한 방법과 마찬가지이다. 다음으로, 도 2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희생막(15)을 형성하고, 계속해서, 도 2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전극(13)을 형성한다. 이들의 구체적 형성 방법은, 도 6의 (c) 및 도 7의 (a)를 참조하여 전술한 방법과 마찬가지이다. 다음으로, 도 2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웨트 에칭법에 의해, 희생막(15)을 제거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만곡 형상을 갖는 고정 전극(12)을 구비하는 가변 캐패시터 X7을 제조할 수 있다.
가변 캐패시터 X7은, 가변 캐패시터 X1에 관하여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양태로 구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전극(12)과 가동 전극(13) 사이의 갭 G7의 체적이 최대인 도 25의 (a)에 도시하는 제1 상태(초기 상태)와 갭 G7의 체적이 최소인 도 25의 (d)에 도시하는 제2 상태 사이에서, 그 갭 체적을 연속적으로 크게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변 캐패시터 X7에 의하면, 가변 캐패시터 X1과 마찬가지로, 정전 용량에 대하여 큰 가변량 내지 가변율을 실현할 수 있다.
가변 캐패시터 X7에서는, 가변 캐패시터 X1에서의 것과 마찬가지로, 고정 전극(12)의 대향면(12a) 상에서 소정의 패턴 형상을 갖는 유전체 패턴(14)의 윤곽의 전체 길이는 비교적 길다(즉, 유전체 패턴(14)의 윤곽의 전체 길이의, 유전체 패턴(14)의 단위 면적당의 길이는, 비교적 크다). 그 때문에, 유전체 패턴(14)으로부터 대향면(12a)으로 전하는 빠져나가기 쉬워, 소위 전하 이동에 기인하는 유전체 패턴(14)의 대전은 억제된다. 따라서, 가변 캐패시터 X7에서는, 가변 캐패시터 X1에 관하여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이유로, 구동 전압 특성의 변동은 억제된다.
가변 캐패시터 X7에서는, 가변 캐패시터 X1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고정 전극(12)의 대향면(12a) 상에 유전체 패턴(14)을 형성하는 대신에, 도 9에 도시하는 유전체 패턴(14)을 가동 전극(13)의 대향면(13a) 상에 형성하여도 된다. 가변 캐패시터 X7에서는, 가변 캐패시터 X1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고정 전극(12)의 대향면(12a) 상에 유전체 패턴(14)을 형성하는 것 외에, 도 10에 도시하는 유전체 패턴(14')을 가동 전극(13)의 대향면(13a) 상에 형성하여도 된다. 가변 캐패시터 X7에서는, 가변 캐패시터 X1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도 11에 도시하는 도체층(17)을 유전체 패턴(14) 상에 형성하여도 된다.
가변 캐패시터 X7에서는, 유전체 패턴(14)을 형성하지 않고, 도 12에 도시하는 가변 캐패시터 X2에 관하여 전술한 유전체막(21)을, 고정 전극(12)의 대향면(12a) 상 또는 가동 전극(13)의 대향면(13a) 상에 형성하고, 또한, 가변 캐패시터 X2에 관하여 전술한 도체 패턴(22)을, 유전체막(21)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대향면(12a) 또는 대향면(13a) 상에 형성하여도 된다. 가변 캐패시터 X7에서는, 유전체 패턴(14)을 형성하지 않고, 도 14에 도시하는 가변 캐패시터 X3에 관하여 전술한 유전체막(21) 및 그 위의 도체 패턴(23)을, 대향면(12a) 상 또는 대향면(13a) 상에 형성하여도 된다. 가변 캐패시터 X7에서는, 유전체 패턴(14)을 형성하지 않고, 도 16에 도시하는 가변 캐패시터 X4에 관하여 전술한 유전체막(24) 및 도체 패턴(25)을, 대향면(12a) 상 또는 대향면(13a) 상에 형성하여도 된다. 가변 캐패시터 X7에서는, 유전체 패턴(14)을 형성하지 않고, 도 18에 도시하는 가변 캐패시터 X5에 관하여 전술한 유전체막(24) 및 도체 패턴(25)을 대향면(12a) 상 또는 대향면(13a) 상에 형성하고, 또한, 가변 캐패시터 X5에 관하여 전술한 도체 패턴(26)을, 유전체막(24) 및 도체 패턴(25)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대향면(12a) 또는 대향면(13a) 상에 형성하여도 된다. 가변 캐패시터 X7에서는, 유전체 패턴(14)을 형성하지 않고, 도 20에 도시하는 가변 캐패시터 X6에 관하여 전술한 유전체막(24) 및 도체 패턴(25)을 대향면(12a) 상 또는 대향면(13a) 상에 형성하고, 또한, 가변 캐패시터 X6에 관하여 전술한 도체 패턴(27)을, 유전체막(24) 및 도체 패턴(25)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대향면(12a) 또는 대향면(13a) 상에 형성하여도 된다.
도 26 내지 도 29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 X8을 나타낸다. 도 26은, 가변 캐패시터 X8의 평면도이다. 도 27은, 가변 캐패시터 X8의 일부 생략 평면도이다. 도 28은, 도 26의 선 XXVIII-XXVIII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9는, 도 26의 선 XXIX-XXIX를 따라 취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가변 캐패시터 X8은, 기판(31)과, 가동 전극(32)과, 가동 전극(13)(도 27에서는 생략)과, 유전체 패턴(14)을 구비한다. 가변 캐패시터 X8은, 기판(11) 및 고정 전극(12) 대신에 기판(31) 및 가동 전극(32)을 구비하는 점에서, 가변 캐패시터 X1과 서로 다르다.
기판(31)은, 오목부(31a)를 갖고, 예를 들면 실리콘 재료로 이루어진다. 기판(31) 상에는, 가동 전극(32) 또는 가동 전극(13)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소정의 배선 패턴(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가동 전극(32)은, 양 끝이 기판(31)에 접합하고 또한 오목부(31a)의 상방을 연장하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가변 캐패시터 X8에서의 한쌍의 캐패시터 전극의 한쪽을 이룬다. 가동 전극(13)은,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31) 상에 세워 형성된 것으로서, 가변 캐패시터 X8에서의 한쌍의 캐패시터 전극의 다른 쪽을 이룬다. 가동 전극(32) 및 가동 전극(13)은, 도 26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교차하여 부분적으로 대향하고, 가동 전극(32)은, 가동 전극(13)에 대향하는 대향면(32a)을 갖고, 가동 전극(13)은, 가동 전극(32)에 대향하는 대향면(13a)을 갖는다. 가동 전극(32) 내지 대향면(32a)과 가동 전극(13) 내지 대향면(13a)과의 대향 면적은, 예를 들면 10000∼40000㎛2이다. 또한, 가동 전극(13)에서 가동 전극(32)에 대향하는 부위는 적어도,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전극(32) 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하고 있다. 가동 전극(32) 및 가동 전극(13) 간의 도 29에 도시하는 거리 L은, 예를 들면 0.5∼2㎛이다. 가동 전극(32)의 두께는, 예를 들면 1∼2㎛이다. 바람직하게는, 가동 전극(32) 및 가동 전극(13)의 한쪽은 그라운드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가동 전극(32) 및 가동 전극(13)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Al)이나 구리(Cu) 등의 도전 재료로 이루어진다.
도 30 및 도 31은, 가변 캐패시터 X8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도 29에 상당하는 단면의 변화로서 나타낸다. 가변 캐패시터 X8의 제조에서는, 우선, 도 3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31a)를 갖는 기판(31)을 준비한다. 예를 들면, 소정의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서 이용하여, 소정의 실리콘 기판에 대하여 이방성 드라이 에칭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오목부(31a)를 갖는 기판(31)을 제작할 수 있다. 이방성 드라이 에칭으로서는, 예를 들면 반응성 이온 에칭(RIE)을 채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31)의 오목부(31a)에 희생 재료(33)을 충전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스퍼터링법에 의해, 오목부(31a) 내 및 기판(31) 상에 걸쳐서 충분량 이상의 희생 재료(33)을 퇴적시킨 후, 기판(31) 상에 퇴적한 과잉분의 희생 재료(33)을 연마 제거한다. 희생 재료(33)로서는, 예를 들면 포토레지스트를 채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0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전극(32) 및 유전체 패턴(14)을 형성한다. 가동 전극(32) 및 유전체 패턴(14)의 형성 방법은, 도 6의 (a) 및 도 6의 (b)를 참조하여 전술한 고정 전극(12) 및 유전체 패턴(14)의 형성 방법과 마찬가지이다.
다음으로, 도 3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희생막(15) 및 가동 전극(13)을 형성한다. 이들의 구체적 형성 방법은, 도 6의 (c) 및 도 7의 (a)를 참조하여 전술한 방법과 마찬가지이다.
다음으로, 도 3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전극(13) 상에 재료막(16)을 형성한다. 재료막(16)은, 가동 전극(13)에서의 전술한 만곡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며, 가동 전극(13)의 구성 재료보다도 열 팽창율이 큰 재료로 이루어진다. 재료막(16)의 구체적 형성 방법은, 도 7의 (b)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다. 본 공정을 거친 후에 강온하면, 재료막(16) 내에는, 가동 전극(13) 내에서 보다도 큰 수축력이 생긴다.
다음으로, 도 3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웨트 에칭법에 의해, 희생막(15) 및 희생 재료(33)을 제거한다. 희생막(15) 및 희생 재료(33)를 제거하면, 재료막(16)은, 가동 전극(13)보다도 크게 수축하여 가동 전극(13)을 부분적으로 만곡시킨다. 예를 들면 이상과 같이 하여, 가변 캐패시터 X8을 제조할 수 있다. 가동 전극(13)을 만곡시키기 위한 수단의 일례인 재료막(16)에 대해서는, 도 26 등에 도시하지 않는다.
가변 캐패시터 X8은, 가변 캐패시터 X1에 관하여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양태로 구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전극(32)과 가동 전극(13) 사이의 갭 G8의 체적이 최대인 도 32의 (a)에 도시하는 제1 상태(초기 상태)와 갭 G8의 체적이 최소인 도 32의 (d)에 도시하는 제2 상태 사이에서, 그 갭 체적을 연속적으로 크게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변 캐패시터 X8에 의하면, 가변 캐패시터 X1과 마찬가지로, 정전 용량에 대하여 큰 가변량 내지 가변율을 실현할 수 있다.
가변 캐패시터 X8에서는, 가동 전극(32)의 대향면(32a) 상에서 소정의 패턴 형상을 갖는 유전체 패턴(14)의 윤곽의 전체 길이는 비교적 길다(즉, 유전체 패턴(14)의 윤곽의 전체 길이의, 유전체 패턴(14)의 단위 면적당의 길이는, 비교적 크다). 그 때문에, 유전체 패턴(14)으로부터 대향면(32a)으로 전하는 빠져나가기 쉬워, 소위 전하 이동에 기인하는 유전체 패턴(14)의 대전은 억제된다. 따라서, 가변 캐패시터 X8에서는, 가변 캐패시터 X1에 관하여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이유로, 구동 전압 특성의 변동은 억제된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 X9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3은, 가변 캐패시터 X8에 있어서의 도 29에 대응한다. 가변 캐패시터 X9는, 기판(31)과, 만곡 형상을 갖는 가동 전극(32)과, 만곡 형상을 갖는 가동 전극(13)과, 유전체 패턴(14)을 구비한다. 가변 캐패시터 X9는, 가동 전극(32)이 만곡 형상을 갖는 점에서, 가변 캐패시터 X8과 서로 다르다. 만곡 형상을 갖는 가동 전극(32)에 대해서는, 전술한 가변 캐패시터 X7의 제조 과정에서, 만곡 형상을 갖는 고정 전극(12)을 형성한 것과 마찬가지의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가변 캐패시터 X9는, 가변 캐패시터 X1에 관하여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양태로 구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전극(32)과 가동 전극(13) 사이의 갭 G9의 체적이 최대인 도 34의 (a)에 도시하는 제1 상태(초기 상태)와 갭 G9 체적이 최소인 도 34의 (d)에 도시하는 제2 상태 사이에서, 그 갭 체적을 연속적으로 크게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변 캐패시터 X9에 의하면, 가변 캐패시터 X1과 마찬가지로, 정전 용량에 대하여 큰 가변량 내지 가변율을 실현할 수 있다.
가변 캐패시터 X9에서는, 가동 전극(32)의 대향면(32a) 상에서 소정의 패턴 형상을 갖는 유전체 패턴(14)의 윤곽의 전체 길이는 비교적 길다(즉, 유전체 패턴(14)의 윤곽의 전체 길이의, 유전체 패턴(14)의 단위 면적당의 길이는, 비교적 크다). 그 때문에, 유전체 패턴(14)으로부터 대향면(32a)으로 전하는 빠져나가기 쉬워, 소위 전하 이동에 기인하는 유전체 패턴(14)의 대전은 억제된다. 따라서, 가변 캐패시터 X8에서는, 가변 캐패시터 X1에 관하여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이유로, 구동 전압 특성의 변동은 억제된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 따른 가변 캐패시터 X10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5는, 가변 캐패시터 X8에 있어서의 도 29에 대응한다. 가변 캐패시터 X10은, 기판(31)과, 만곡 구조를 갖지 않는 가동 전극(32)과, 만곡 구조를 갖지 않는 가동 전극(13)과, 유전체 패턴(14)과, 앵커부(34)를 구비한다. 가변 캐패시터 X10은, 가동 전극(13)이 만곡 구조를 갖지 않고 또한 앵커부(34)를 구비하는 점에서, 가변 캐패시터 X8과 서로 다르다. 가변 캐패시터 X10에 대해서는, 희생막(15) 내에 앵커부(34)를 매립하여 형성하는 점 및 가동 전극(13) 상에 재료막(16)을 형성하지 않는 점 이외에는,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여 전술한 가변 캐패시터 X8의 제조 방법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가변 캐패시터 X10은, 가변 캐패시터 X1에 관하여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양태로 구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전극(32)과 가동 전극(13) 사이의 갭 G10의 체적이 최대인 도 36의 (a)에 도시하는 제1 상태(초기 상태)와 갭 G8의 체적이 최소인 도 36의 (d)에 도시하는 제2 상태 사이에서, 그 갭 체적을 연속적으로 크게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변 캐패시터 X10에 의하면, 가변 캐패시터 X1과 마찬가지로, 정전 용량에 대하여 큰 가변량 내지 가변율을 실현할 수 있다.
가변 캐패시터 X10에서는, 가동 전극(32)의 대향면(32a) 상에서 소정의 패턴 형상을 갖는 유전체 패턴(14)의 윤곽의 전체 길이는 비교적 길다(즉, 유전체 패턴(14)의 윤곽의 전체 길이의, 유전체 패턴(14)의 단위 면적당의 길이는, 비교적 크다). 그 때문에, 유전체 패턴(14)으로부터 대향면(32a)으로 전하는 빠져나가기 쉬워, 소위 전하 이동에 기인하는 유전체 패턴(14)의 대전은 억제된다. 따라서, 가변 캐패시터 X10에서는, 가변 캐패시터 X1에 관하여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이유로, 구동 전압 특성의 변동은 억제된다.
전술한 가변 캐패시터 X1, X2에서도, 가변 캐패시터 X10의 앵커부(34)와 같은, 양 전극을 연결하기 위한 앵커부를 형성하여도 된다.
가변 캐패시터 X8∼X10에서는, 가동 전극(32)의 대향면(32a) 상에 유전체 패턴(14)을 형성하는 것 대신에, 가변 캐패시터 X1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도 9에 도시하는 유전체 패턴(14)을 가동 전극(13)의 대향면(13a) 상에 형성하여도 된다. 가변 캐패시터 X8∼X10에서는, 가동 전극(32)의 대향면(32a) 상에 유전체 패턴(14)을 형성하는 것 외에, 가변 캐패시터 X1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도 10에 도시하는 유전체 패턴(14')을 가동 전극(13)의 대향면(13a) 상에 형성하여도 된다. 가변 캐패시터 X8∼X10에서는, 가변 캐패시터 X1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도 11에 도시하는 도체층(17)을 유전체 패턴(14) 상에 형성하여도 된다.
가변 캐패시터 X8∼X10에서는, 유전체 패턴(14)을 형성하지 않고, 도 12에 도시하는 가변 캐패시터 X2에 관하여 전술한 유전체막(21)을, 가동 전극(32)의 대향면(32a) 상 또는 가동 전극(13)의 대향면(13a) 상에 형성하고, 또한, 가변 캐패시터 X2에 관하여 전술한 도체 패턴(22)을, 유전체막(21)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대향면(32a) 또는 대향면(13a) 상에 형성하여도 된다. 가변 캐패시터 X8∼X10에서는, 유전체 패턴(14)을 형성하지 않고, 도 14에 도시하는 가변 캐패시터 X3에 관하여 전술한 유전체막(21) 및 그 위의 도체 패턴(23)을, 대향면(32a) 상 또는 대향면(13a) 상에 형성하여도 된다. 가변 캐패시터 X8∼X10에서는, 유전체 패턴(14)을 형성하지 않고, 도 16에 도시하는 가변 캐패시터 X4에 관하여 전술한 유전체막(24) 및 도체 패턴(25)을, 대향면(32a) 상 또는 대향면(13a) 상에 형성하여도 된다. 가변 캐패시터 X8∼X10에서는, 유전체 패턴(14)을 형성하지 않고, 도 18에 도시하는 가변 캐패시터 X5에 관하여 전술한 유전체막(24) 및 도체 패턴(25)을 대향면(32a) 상 또는 대향면(13a) 상에 형성하고, 또한, 가변 캐패시터 X5에 관하여 전술한 도체 패턴(26)을, 유전체막(24) 및 도체 패턴(25)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대향면(32a) 또는 대향면(13a) 상에 형성하여도 된다. 가변 캐패시터 X8∼X10에서는, 유전체 패턴(14)을 형성하지 않고, 도 20에 도시하는 가변 캐패시터 X6에 관하여 전술한 유전체막(24) 및 도체 패턴(25)을 대향면(32a) 상 또는 대향면(13a) 상에 형성하고, 또한, 가변 캐패시터 X6에 관하여 전술한 도체 패턴(27)을, 유전체막(24) 및 도체 패턴(25)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대향면(32a) 또는 대향면(13a) 상에 형성하여도 된다.
전술한 고정 전극(12), 가동 전극(13), 및 가동 전극(32)은, 각각에 대하여 도시한 것과 서로 다른 만곡 형상을 가져도 된다. 예를 들면, 가변 캐패시터 X1∼X7의 고정 전극(12)은, 가동 전극(13)과 대향하는 영역 내에, 가동 전극(13) 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하는 복수의 부위를 가져도 되고, 가동 전극(13)과는 반대 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하는 부위를 적어도 하나 가져도 된다. 가변 캐패시터 X1∼X7의 가동 전극(13)은, 고정 전극(12)과 대향하는 영역 내에, 고정 전극(12) 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하는 복수의 부위를 가져도 되고, 고정 전극(12)과는 반대 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하는 부위를 적어도 하나 가져도 된다. 가변 캐패시터 X8∼X10의 가동 전극(13)은, 가동 전극(32)과 대향하는 영역 내에, 가동 전극(32) 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하는 복수의 부위를 가져도 되고, 가동 전극(32)과는 반대 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하는 부위를 적어도 하나 가져도 된다. 가변 캐패시터 X8∼X10의 가동 전극(32)은, 가동 전극(13)과 대향하는 영역 내에, 가동 전극(13) 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하는 복수의 부위를 가져도 되고, 가동 전극(13)과는 반대 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하는 부위를 적어도 하나 가져도 된다.
이상의 통합으로서, 본 발명의 구성 및 그 배리에이션을 이하에 부기로서 열거한다.
(부기 1)
제1 대향면을 갖는 캐패시터 전극과,
상기 제1 대향면에 대향하는 제2 대향면을 갖고, 또한, 상기 캐패시터 전극 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하고 있는 부위를 갖는,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과,
상기 제1 대향면 상 또는 상기 제2 대향면 상에 형성된 유전체 패턴을 구비하는 가변 캐패시터.
(부기 2)
제1 대향면을 갖는 캐패시터 전극과,
상기 제1 대향면에 대향하는 제2 대향면을 갖는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과,
상기 캐패시터 전극에 대하여 상기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을 부분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앵커부와,
상기 제1 대향면 상 또는 상기 제2 대향면 상에 형성된 유전체 패턴을 구비하는 가변 캐패시터.
(부기 3)
상기 유전체 패턴 상에 도체층을 구비하는, 부기 1 또는 2에 기재된 가변 캐패시터.
(부기 4)
상기 유전체 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기 제1 대향면 또는 상기 제2 대향면 상에 유전체 패턴을 구비하는, 부기 1 또는 2에 기재된 가변 캐패시터.
(부기 5)
상기 유전체 패턴의 형상 및/또는 조밀한 조정에 의해, C-V 특성이 조정되어 있는, 부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가변 캐패시터.
(부기 6)
상기 유전체 패턴은, 밀한 부분으로부터 조한 부분으로 변화되는 부위를 갖는, 부기 5에 기재된 가변 캐패시터.
(부기 7)
상기 유전체 패턴은, 복수의 유전체 아일런드로 이루어지는, 부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가변 캐패시터.
(부기 8)
제1 대향면을 갖는 캐패시터 전극과,
상기 제1 대향면에 대향하는 제2 대향면을 갖고, 또한, 상기 캐패시터 전극 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하고 있는 부위를 갖는,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과,
상기 제1 대향면 상 또는 상기 제2 대향면 상에 형성된 유전체막과,
상기 유전체막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기 제1 대향면 또는 상기 제2 대향면 상에 형성된 도체 패턴을 구비하는 가변 캐패시터.
(부기 9)
제1 대향면을 갖는 캐패시터 전극과,
상기 제1 대향면에 대향하는 제2 대향면을 갖는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과,
상기 제1 대향면 상 또는 상기 제2 대향면 상에 형성된 유전체막과,
상기 캐패시터 전극에 대하여 상기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을 부분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앵커부와,
상기 유전체막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기 제1 대향면 또는 상기 제2 대향면 상에 형성된 도체 패턴을 구비하는 가변 캐패시터.
(부기 10)
제1 대향면을 갖는 캐패시터 전극과,
상기 제1 대향면에 대향하는 제2 대향면을 갖고, 또한, 상기 캐패시터 전극 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하고 있는 부위를 갖는,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과,
상기 제1 대향면 상 또는 상기 제2 대향면 상에 형성된 유전체막과,
상기 유전체막 상에 형성된 도체 패턴을 구비하는 가변 캐패시터.
(부기 11)
제1 대향면을 갖는 캐패시터 전극과,
상기 제1 대향면에 대향하는 제2 대향면을 갖는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과,
상기 캐패시터 전극에 대하여 상기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을 부분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앵커부와,
상기 제1 대향면 상 또는 상기 제2 대향면 상에 형성된 유전체막과,
상기 유전체막 상에 형성된 도체 패턴을 구비하는 가변 캐패시터.
(부기 12)
제1 대향면을 갖는 캐패시터 전극과,
상기 제1 대향면에 대향하는 제2 대향면을 갖고, 또한, 상기 캐패시터 전극 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하고 있는 부위를 갖는,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과,
상기 제1 대향면 상 또는 상기 제2 대향면 상에 형성된 유전체막과,
상기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 측으로 노출하면서 상기 유전체막에 매립하여 형성된 도체 패턴을 구비하는 가변 캐패시터.
(부기 13)
제1 대향면을 갖는 캐패시터 전극과,
상기 제1 대향면에 대향하는 제2 대향면을 갖는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과,
상기 캐패시터 전극에 대하여 상기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을 부분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앵커부와,
상기 제1 대향면 상 또는 상기 제2 대향면 상에 형성된 유전체막과,
상기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 측으로 노출하면서 상기 유전체막에 매립하여 형성된 도체 패턴을 구비하는 가변 캐패시터.
(부기 14)
상기 도체 패턴은, 복수의 개구부를 갖는 도체막인, 부기 12 또는 13에 기재된 가변 캐패시터.
(부기 15)
상기 유전체막에서의 상기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 측의 면과, 상기 도체 패턴에서의 상기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 측의 면은, 면일인, 부기 12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가변 캐패시터.
(부기 16)
상기 도체 패턴에서의 상기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 측의 면은, 상기 유전체막에서의 상기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 측의 면보다도, 상기 캐패시터 전극 측으로 퇴피하고 있는, 부기 12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가변 캐패시터.
(부기 17)
상기 유전체막에서의 상기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 측의 면은, 상기 도체 패턴에서의 상기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 측의 면보다도, 상기 캐패시터 전극 측으로 퇴피하고 있는, 부기 12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가변 캐패시터.
(부기 18)
상기 캐패시터 전극 및 상기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 간을 부분적으로 연결하는 앵커부를 구비하는, 부기 1, 8, 10, 12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가변 캐패시터.
(부기 19)
상기 캐패시터 전극은 고정 전극인, 부기 1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가변 캐패시터.
(부기 20)
상기 고정 전극의 상기 제1 대향면은, 상기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 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하고 있는 영역을 갖는, 부기 19에 기재된 가변 캐패시터.
(부기 21)
상기 캐패시터 전극은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인, 부기 1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가변 캐패시터.
(부기 22)
상기 캐패시터 전극은, 상기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 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하고 있는 부위를 갖는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인, 부기 1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가변 캐패시터.
(부기 23)
제1 대향면을 갖는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과,
상기 제1 대향면에 대향하고 또한 상기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 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하고 있는 영역을 갖는 제2 대향면을 갖는 고정 캐패시터 전극과,
상기 제1 대향면 상 또는 상기 제2 대향면 상에 형성된 유전체 패턴을 구비하는 가변 캐패시터.
(부기 24)
제1 대향면을 갖는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과,
상기 제1 대향면에 대향하고 또한 상기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 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하고 있는 영역을 갖는 제2 대향면을 갖는 고정 캐패시터 전극과,
상기 제1 대향면 상 또는 상기 제2 대향면 상에 형성된 유전체막과,
상기 유전체막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기 제1 대향면 또는 상기 제2 대향면 상에 형성된 도체 패턴을 구비하는 가변 캐패시터.
(부기 25)
제1 대향면을 갖는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과,
상기 제1 대향면에 대향하고 또한 상기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 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하고 있는 영역을 갖는 제2 대향면을 갖는 고정 캐패시터 전극과,
상기 제1 대향면 상 또는 상기 제2 대향면 상에 형성된 유전체막과,
상기 유전체막 상에 형성된 도체 패턴을 구비하는 가변 캐패시터.
(부기 26)
제1 대향면을 갖는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과,
상기 제1 대향면에 대향하고 또한 상기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 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하고 있는 영역을 갖는 제2 대향면을 갖는 고정 캐패시터 전극과,
상기 제1 대향면 상 또는 상기 제2 대향면 상에 형성된 유전체막과,
상기 가동 캐패시터 전극막 측으로 노출하면서 상기 유전체막에 매립하여 형성된 도체 패턴을 구비하는 가변 캐패시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