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5369B1 -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 및 얼라인 방법 - Google Patents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 및 얼라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5369B1
KR101045369B1 KR1020090030453A KR20090030453A KR101045369B1 KR 101045369 B1 KR101045369 B1 KR 101045369B1 KR 1020090030453 A KR1020090030453 A KR 1020090030453A KR 20090030453 A KR20090030453 A KR 20090030453A KR 101045369 B1 KR101045369 B1 KR 101045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ignment
nozzle head
nozzle
ink receiving
inkjet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0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1954A (ko
Inventor
기 남궁
최우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Priority to KR1020090030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5369B1/ko
Publication of KR20100111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1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4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 B41J2/04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by pressure, e.g.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 B41J2/04501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 B41J2/04505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aiming at correcting align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001Mechanisms for bodily moving print heads or carriages parallel to the paper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4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 B41J2/04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by pressure, e.g.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 B41J2/04501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 B41J2/04581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controlling heads based on piezoelectr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21Ink jet for multi-colour printing
    • B41J2/2132Print quality control characterised by dot disposition, e.g. for reducing white stripes or banding
    • B41J2/2135Alignment of d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2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impact or pressure on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23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impact or pressure on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print wires
    • B41J2/235Print head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001Mechanisms for bodily moving print heads or carriages parallel to the paper surface
    • B41J25/003Mechanisms for bodily moving print heads or carriages parallel to the paper surface for changing the angle between a print element array axis and the printing line, e.g. for dot density cha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Ink Jet (AREA)
  • Particle Formation And Scattering Control In Inkjet Prin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 및 얼라인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는 노즐 헤드와 잉크 수용부재 간의 얼라인을 조정하는 얼라인 조정장치; 상기 얼라인 조정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노즐 헤드와 상기 잉크 수용부재 간의 얼라인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얼라인 확인장치; 및 상기 얼라인 조정장치의 얼라인 조정 동작 및 상기 얼라인 확인장치의 얼라인 확인 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 및 얼라인 방법을 사용하면, 노즐 헤드와 잉크 수용부재 간의 얼라인이 미리 조정되므로 얼라인 상태 확인 및 얼라인 조정이 용이하고, 소요 시간이 상당히 줄어들며, 얼라인용 액추에이터의 사용에 따른 비용이 현저하게 절감된다.
잉크젯 헤드, 얼라인

Description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 및 얼라인 방법{An Align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Aligning Inkjet Head}
본 발명은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 및 얼라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복수의 잉크젯 헤드를 갠트리 상에 간단하고 신속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노즐 헤드 장착부재를 잉크 저장 장치에 부착할 때 노즐 헤드와 잉크 저장 장치 간의 얼라인 상태를 미리 조정해주는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 및 얼라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회로부품,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과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FPD)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 PR)액 또는 구리(Cu), 은(Ag), 알루미늄(Al) 등과 같은 금속 페이스트(paste)를 사용하여 글래스 표면 또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상에 전극(electrodes) 또는 도트(dots) 등과 같은 일정한 패턴(patterns)을 형성하여야 한다.
상술한 일정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2개의 롤을 이용하여 오프셋 인쇄방식으로 일정한 패턴을 직접 패턴닝하는 방식 또는 잉크 액적 을 분출하는 잉크젯 헤더를 구비한 잉크젯 프린팅 장치를 사용하여 일정한 패턴을 직접 패턴닝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잉크젯 프린팅 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잉크젯 프린팅 장치(100)는 예를 들어, 프린팅 대상물(110) 상에 복수의 패턴(114)을 형성하도록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잉크젯 헤드(120); 상기 복수의 잉크젯 헤드(120)가 장착되며, 상기 프린팅 대상물(110) 상에서 이동 가능한 갠트리(130); 및 상기 복수의 잉크젯 헤드(120)에 각각 연결되며, 잉크를 제공하기 위한 잉크 저장 장치(140)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잉크젯 프린팅 장치(100)의 동작을 상세히 기술한다.
다시 도 1a를 참조하면, 잉크젯 프린팅 장치(100)에서는 복수의 잉크젯 헤드(120)에 잉크 저장 장치(150)로부터 잉크 공급 메인 도관(main conduit: 152) 및 복수의 분기 도관(branch conduits: 152a,152b,152c,152d,...,152e)을 통해 미리 잉크가 공급된다. 잉크 공급의 시작 및 종료는 복수의 제어 밸브(156a,156b,156c,156d,...,156e)에 의해 제어된다. 잉크 저장 장치(150)의 가압력은 잉크 가압용 도관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압 유체(예를 들어, 공기)에 의해 제공된다. 가압 유체의 공급은 가압 유체 제어 밸브(154)에 의해 제어된다. 그 후, 복수의 잉크젯 헤드(120)가 장착된 갠트리(130)가 프린팅 대상물(110) 상에서 이동하면서, 프린팅 대상물(110) 상에 잉크를 공급하여 원하는 복수의 패턴(114)을 형성한다. 프린팅 대상물(110)은 프린팅 대상물(110)을 고정하기 위한 스테이지(112) 상에 위치되고, 스테이지(112)는 인쇄 장치 프레임(frame)(160) 상에 위치된다.
상술한 잉크젯 프린팅 장치(100)에 사용되는 복수의 잉크젯 헤드(120)는 정밀한 잉크를 공급하기 위해 갠트리(130)에 얼라인된 상태로 부착되어야 한다. 복수의 잉크젯 헤드(120)가 갠트리(130)에 부착될 때, 복수의 잉크젯 헤드(120)의 얼라인 상태는 종래 기술에서는 통상적으로 얼라인 카메라(예를 들어, CCD 카메라)를 사용하여 확인된다.
도 1b는 2개의 잉크젯 헤드가 얼라인되기 전의 상태 및 그 일부를 확대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c는 도 1b에 도시된 얼라인 전의 2개의 잉크젯 헤드에 의한 잉크 도포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d는 2개의 잉크젯 헤드가 얼라인된 후의 상태 및 그 일부를 확대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e는 도 1d에 도시된 얼라인 후의 2개의 잉크젯 헤드에 의한 잉크 도포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 및 도 1c를 참조하면, 제 1 잉크젯 헤드(120a) 및 제 2 잉크젯 헤드(120b)가 얼라인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복수의 제 1 노즐 홀(122a)과 복수의 제 2 노즐 홀(122b)이 비평행 상태에 놓이게 된다. 그 결과,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 2 잉크젯 헤드(120b)로부터 토출된 잉크(123)는 프린팅 대상물(110) 상의 기준선을 따라 도포되지만, 제 1 잉크젯 헤드(120a)로부터 토출된 잉크(123)가 프린팅 대상물(110) 상의 기준선으로부터 벗어난 상태로 도포된다. 따라서, 프린팅 대상물(110)에 불량이 발생한다.
도 1d 및 도 1e를 참조하면, 제 1 잉크젯 헤드(120a) 및 제 2 잉크젯 헤 드(120b)가 얼라인된 상태에서는 복수의 제 1 노즐 홀(122a)과 복수의 제 2 노즐 홀(122b)이 평행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그 결과,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잉크젯 헤드(120a) 및 제 2 잉크젯 헤드(120b)로부터 토출된 잉크(123)가 프린팅 대상물(110) 상의 기준선을 따라 도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잉크 도포가 정확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복수의 잉크젯 헤드(120)가 갠트리(130)에 얼라인된 상태로 부착되어야 한다.
도 1f는 도 1a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잉크젯 프린팅 장치에 사용되는 잉크젯 헤드의 사시도이고, 도 1g는 도 1f에 도시된 잉크젯 헤드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a, 도 1f 및 도 1g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잉크젯 헤드(120)는 잉크 저장 장치(150)로부터 공급된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 수용부재(121a), 잉크를 토출하는 노즐 헤드(121c), 및 노즐 헤드(121c)가 장착되는 노즐 헤드 장착부재(121b)로 구성된다. 이러한 잉크젯 헤드(120)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노즐 헤드(121c)가 장착되는 노즐 헤드 장착부재(121b) 내에 형성된 수용 공간(121d) 내로 삽입된다. 그 후, 노즐 헤드(121c)가 수용된 노즐 헤드 장착부재(121b)가 잉크 수용부재(121a)에 가조립(pre-assemble)된다. 이러한 가조립은 노즐 헤드 장착부재(121b)를 4개의 체결홈(121e) 및 체결 부재(121f)(예를 들어 볼트)를 이용하여 잉크 수용부재(121a)와 약간 헐겁게 결합된 상태를 지칭한다. 가조립 상태에서 노즐 헤드 장착부재(121b)와 잉크 수용부재(121a) 간의 얼라인 상태를 확인한다. 얼라인 상태가 확인되면, 체결 부재(121f)를 완전히 조립한다. 그 후, 잉크 수용부 재(121a)의 상부에 부착된 지지부재(121g)를 이용하여 잉크젯 헤드(120)를 도 1a에 도시된 갠트리(130)에 부착시킨다. 이 경우, 노즐 헤드(121c)로부터 잉크가 얼라인된 상태로 토출되도록 하기 위해 복수의 잉크젯 헤드(120)가 각각 갠트리(130)에 얼라인된 상태로 부착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잉크젯 헤드(120) 각각과 갠트리(130) 간의 얼라인이 필요한 이유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노즐 헤드 장착부재(121b)를 잉크 수용부재(121a)에 결합할 때 현재 사용되고 있는 얼라인 방법은 통상적으로 얼라인용 카메라(미도시)를 사용하여 수동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즉, 얼라인용 카메라(미도시)를 사용하여 노즐 헤드 장착부재(121b)와 잉크 수용부재(121a) 간의 얼라인 상태를 눈으로 확인한 다음 필요한 경우 얼라인 상태를 손으로 조정한다. 이러한 수동 방식의 얼라인 상태 확인 및 조정은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노즐 헤드 장착부재(121b)와 잉크 수용부재(121a) 간의 얼라인이 정밀하게 이루어지기 어렵다.
한편, 노즐 헤드 장착부재(121b)가 잉크 수용부재(121a)에 얼라인된 상태로 부착되더라도, 노즐 헤드(121c)가 잉크 수용부재(121a)와 얼라인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노즐 헤드(121c)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노즐 헤드 장착부재(121b)에 수용 공간(121d)을 형성하여야 한다. 그러나, 수용 공간(121d)을 정밀하게 가공하더라도, 도 1h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상태(도 1h에서는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음)로 형성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경우, 경사 상태의 수용 공간(121d)에 삽입된 노즐 헤드(121c)는 노즐 헤드 장착부재(121b) 가 잉크 수용부재(121a)에 얼라인된 상태로 부착되더라도, 노즐 헤드(121c)는 잉크 수용부재(121a)와 미스얼라인(오정렬) 상태를 유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노즐 헤드 장착부재(121b)와 잉크 수용부재(121a)가 정밀한 얼라인 상태를 갖지 못한 잉크젯 헤드(120) 또는 미스얼라인된 노즐 헤드(121c)를 구비한 잉크젯 헤드(120)를 갠트리(130)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잉크젯 헤드(120)와 갠트리(130) 간의 얼라인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잉크젯 헤드(120)가 10개인 경우, 제 1 잉크젯 헤드(120)가 갠트리(130)에 얼라인된 상태로 부착되고, 제 2 잉크젯 헤드(120)는 제 1 잉크젯 헤드(120)를 기준으로 갠트리(130)에 얼라인된 상태로 부착되어야 한다. 그 후, 제 3 잉크젯 헤드(120)는 제 2 잉크젯 헤드(120)를 기준으로 갠트리(130)에 얼라인된 상태로 부착되어야 하며, 제 4 내지 제 10 잉크젯 헤드(120)도 동일한 방식으로 갠트리(130)에 얼라인된 상태로 부착되어야 한다. 이 경우. 하나의 잉크젯 헤드(120)를 얼라인하기 위해서는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또는 회전축(θ) 방향)의 제어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하나의 잉크젯 헤드(120)를 갠트리(130)에 얼라인시키기 위해서는 3개의 액추에이터(미도시)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그 결과,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잉크젯 헤드(120)가 10개인 경우, 복수의 잉크젯 헤드(120)를 갠트리(130)에 얼라인 상태로 부착하기 위해서는 30개의 액추에이터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잉크젯 프린팅 장치(100)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노즐 헤드 장착부재(121b)와 잉크 수용부재(121a) 간의 얼라인이 수동 방 식으로 이루어지므로 얼라인 상태 확인 및 조정은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2. 노즐 헤드 장착부재(121b)와 잉크 수용부재(121a) 간의 얼라인이 정밀하게 이루어지기 어렵다.
3. 복수의 잉크젯 헤드(120)를 갠트리(130)에 부착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얼라인용 액추에이터가 요구된다. 따라서, 복수의 잉크젯 헤드(120)를 갠트리(130)에 부착할 때 복수의 잉크젯 헤드(120)를 얼라인하기 위한 얼라인 장치의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얼라인을 위한 제어도 어렵다.
4. 다수개의 얼라인용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비용이 증가한다.
5. 복수의 잉크젯 헤드(120)와 갠트리(130) 간의 조립 시 장시간의 얼라인 공정이 요구되므로, 전체 조립 공정 시간이 증가한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잉크젯 헤드를 갠트리 상에 간단하고 신속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노즐 헤드 장착부재를 잉크 저장 장치에 부착할 때 노즐 헤드와 잉크 저장 장치 간의 얼라인 상태를 미리 조정해주는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 및 얼라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르면,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에 있어서, 노즐 헤드와 잉크 수용부재 간의 얼라인을 조정하는 얼라인 조정장치; 상기 얼라인 조정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노즐 헤드와 상기 잉크 수용부재 간의 얼라인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얼라인 확인장치; 및 상기 얼라인 조정장치의 얼라인 조정 동작 및 상기 얼라인 확인장치의 얼라인 확인 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따르면,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에 있어서, 복수개의 노즐 헤드와 복수개의 잉크 수용부재 간의 얼라인을 조정하는 복수개의 얼라인 조정장치; 상기 복수개의 얼라인 조정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복수개의 노즐 헤드와 상기 복수개의 잉크 수용부재 간의 각각의 얼라인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얼라인 확인장치; 및 상기 복수개의 얼라인 조정장치 및 상기 얼라인 확인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특징에 따르면, 잉크젯 헤드 얼라인 방법에 있어서, a) 노즐 헤드가 장착된 노즐 헤드 장착부재를 잉크 수용부재와 가조립하는 단계; b) 얼라인 확인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노즐 헤드와 상기 잉크 수용부재 간의 얼라인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노즐 헤드와 상기 잉크 수용부재 간의 얼라인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한 쌍의 제 2 및 제 3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노즐 헤드 장착부재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노즐 헤드의 얼라인 상태를 조정하는 단계; d) 상기 b) 단계 또는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노즐 헤드와 상기 잉크 수용부재 간의 얼라인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노즐 헤드 장착부재를 상기 잉크 수용부재에 완전히 조립하는 단계; 및 e) 상기 얼라인 확인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노즐 헤드 장착부재와 상기 잉크 수용부재 간의 얼라인 상태를 재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 및 얼라인 방법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달성된다.
1. 노즐 헤드와 잉크 수용부재 간의 얼라인이 미리 조정되므로 얼라인 상태 확인 및 얼라인 조정이 용이하고, 소요 시간이 상당히 줄어든다.
2. 복수개의 노즐 헤드와 복수개의 잉크 수용부재 간의 얼라인을 행하는 경우, 하나의 노즐 헤드와 하나의 잉크 수용부재 간의 얼라인을 행하면서 동시에 후속 노즐 헤드와 후속 잉크 수용부재 간의 얼라인 동작에 필요한 사전 동작을 미리 행하는 것이 가능하여 복수개의 노즐 헤드와 복수개의 잉크 수용부재 간의 얼라인에 필요한 시간이 추가적으로 상당히 줄어든다.
3. 노즐 헤드와 잉크 수용부재 간의 얼라인이 미리 정밀하게 이루어지므로, 복수의 잉크젯 헤드를 갠트리에 부착할 때 노즐 헤드를 다시 얼라인할 필요가 없다.
4. 복수의 잉크젯 헤드를 갠트리에 부착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얼라인용 액추에이터의 사용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얼라인용 액추에이터의 사용에 따른 비용이 현저하게 절감된다.
5. 노즐 헤드와 잉크 수용부재 간의 얼라인이 미리 이루어지므로, 복수의 잉크젯 헤드와 갠트리 간의 조립 시 전체 조립 공정 시간(tact time)이 현저하게 줄어든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장점은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가 동일한 구성요소를 표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 중 탄성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c는 도 2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의 주요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270)는 노즐 헤드(221c)와 잉크 수용부재(221a) 간의 얼라인을 조정하는 얼라 인 조정장치; 상기 얼라인 조정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노즐 헤드(221c)와 상기 잉크 수용부재(221a) 간의 얼라인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얼라인 확인장치; 및 상기 얼라인 조정장치 및 상기 얼라인 확인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270)의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세히 기술한다.
다시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270)는 얼라인 조정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얼라인 조정장치는 잉크 수용부재(221a)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80); 노즐 헤드(221c)가 장착된 노즐 헤드 장착부재(221b)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 1 및 제 2 탄성부재(276a,276b); 상기 제 1 및 제 2 탄성부재(276a,276b)가 장착되는 홀더(272); 상기 홀더(272)와 연결되며, 상기 홀더(272)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 1 액추에이터(274); 및 상기 노즐 헤드 장착부재(221b)의 상부에 제공되며, 상기 노즐 헤드 장착부재(221b)를 상하로 미세하게 이동시켜 상기 노즐 헤드(221c)와 상기 잉크 수용부재(221a) 간의 얼라인을 조정하는 한 쌍의 제 2 및 제 3 액추에이터(278a,278b)를 포함한다. 여기서, 홀더(272)는 상부 플레이트(272a)를 구비한 T자형 홀더로 예시적으로 도시 및 기술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탄성부재(276a,276b)는 홀더(272)의 상부 플레이트(272a) 상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도 2b에 도시된 양방향 화살표 참조). 그러나, 당업자라면 홀더(272)가 예를 들어 직방체(直方體) 또는 정방체(正方體) 플레이트 형상의 홀더와 같이 제 1 및 제 2 탄성부재(276a,276b)가 장착될 수 있는 임의 형상의 홀더로 구현될 수 있 다는 것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 1 및 제 2 탄성부재(276a,276b)는 각각 강체 바(solid body bar)(76a1,276b1)와 강체 바(276a1,276b1)의 둘레에 감겨 있는 용수철 등과 같은 탄성체(276a2,276b2)로 구현될 수 있다(도 2b 참조). 그러나 당업자라면, 제 1 및 제 2 탄성부재(276a,276b)가 각각 홀더(272)의 상부 플레이트(272a) 상에서 고정 장착되며, 자체 탄성 구비한 탄성체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즉, 강체 바(76a1,276b1) 자체가 탄성을 구비한 경우). 또한, 제 1 액추에이터(274)는 고정 플레이트(273) 상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제 1 액추에이터(274)는 예를 들어 에어 실린더(air cylind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제 2 및 제 3 액추에이터(278a,278b)는 각각 예를 들어 미크론 단위의 제어가 가능한 압전 세라믹(PZT) 액추에이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270)는 얼라인 확인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얼라인 확인장치는 상기 노즐 헤드(221c)와 상기 잉크 수용부재(221a) 간의 얼라인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얼라인 확인부재(282)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얼라인 확인장치는 얼라인 확인부재(282)가 장착되는 제 2 장착부재(284); 상기 얼라인 확인부재(282) 및 상기 제 2 장착부재(284)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공되는 이동 레일(286); 및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얼라인 확인장치는 제 2 장착부재(284)와 연결되며, 상기 제 2 장착부재(284)를 상기 이동 레일(286) 상에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288)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얼라인 확인부재(282)는 예를 들어 CCD 카메라 또는 비전 카메라(vision camera)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레일(286)은 예를 들어 리니어모션 가이 드(LM guide)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동부재(288)는 예를 들어 컨베이어(conveyer)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270)는 상기 얼라인 조정장치의 얼라인 조정동작 및 상기 얼라인 확인장치의 얼라인 확인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퍼스널 컴퓨터(P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퍼스널 컴퓨터(PC) 등으로 구현되는 제어장치에 연결되며, 얼라인 확인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노즐 헤드(221c)와 잉크 수용부재(221a) 간의 얼라인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예를 들어, 모니터)(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270)의 동작을 상세히 기술한다.
먼저, 잉크 수용부재(221a)가 지지부재(280) 상에 지지된다. 그 후, 노즐 헤드(221c)가 장착된 노즐 헤드 장착부재(221b)가 이송장치(미도시)(예를 들어, 로봇 암)에 의해 잉크 수용부재(221a)와 조립하기 위한 위치로 이송된다. 그 후, 제 1 및 제 2 탄성부재(276a,276b)가 노즐 헤드 장착부재(221b)의 하부를 수평 상태로 지지하도록 제 1 액추에이터(274)가 홀더(272)를 상승시킨다. 노즐 헤드 장착부재(221b)가 수평 상태로 지지된 상태에서, 노즐 헤드 장착부재(221b)를 잉크 수용부재(221a)와 가조립한다. 이러한 가조립은 노즐 헤드 장착부재(221b)를 4개의 체결홈(도 1g 및 도 1h에 도시된 참조부호 121e에 대응됨) 및 체결 부재(도 1g 및 도 1h에 도시된 참조부호 121f에 대응됨)를 이용하여 잉크 수용부재(221a)와 약간 헐겁게 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가조립 상태에서, 얼라인 확인부재(282)가 노즐 헤드(221c)와 잉크 수용부재(221a) 간의 얼라인 여부를 확인한다. 이러한 얼라인 확인을 위해 노즐 헤드(221c)에 미리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얼라인 마크(미도시) 또는 노즐 헤드(221c)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노즐 홀(222) 중 2개의 노즐 홀이 사용될 수 있다. 2개의 노즐 홀로 예를 들어 복수의 노즐 홀(222) 중 최좌측 노즐홀(222a) 및 최우측 노즐홀(222b)이 사용될 수 있다. 얼라인 확인부재(282)는 이동부재(288)에 의해 이동 레일(286)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좌에서 우로 또는 우에서 좌로 이동)하면서, 상술한 한 쌍의 얼라인 마크 또는 2개의 노즐 홀(222a,222b)의 얼라인 상태를 확인한다. 만일 노즐 헤드(221c)가 기준 얼라인 값에서 허용 가능한 오차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즉, 미스얼라인(misalign) 상태인 경우), 얼라인 확인부재(282)에 의해 해당 오차값이 제어장치(미도시)로 제공된다. 여기서, 기준 얼라인 값, 및 허용 가능한 오차범위는 각각 제어장치(미도시) 내에 미리 프로그램되어 저장되어 있다. 이 경우, 허용 가능한 오차범위는 잉크젯 헤드(220)의 노즐 헤드(221c)로부터 토출이 요구되는 잉크의 사이즈 및/또는 도 1a에 도시된 프린팅 대상물(110) 상에 형성되는 패턴(114)의 사이즈(예를 들어, 선폭의 사이즈) 등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어장치(미도시)는 한 쌍의 제 2 및 제 3 액추에이터(278a,278b)가 상술한 해당 오차값만큼 노즐 헤드(221c)가 부착된 노즐 헤드 장착부재(221b)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한 쌍의 제 2 및 제 3 액추에이터(278a,278b)에 인가된 힘과 제 1 및 제 2 탄성부재(276a,276b)의 탄성력의 균형에 의해 노즐 헤드 장착부재(221b)가 상하로 이동하여, 궁극적으로 노즐 헤드(221c)의 얼라인 상태가 조정된다. 그 후, 얼라인 확인부재(282)에 의해 노즐 헤드(221c)의 얼라인 상태가 확인되면, 가조립 상태의 노즐 헤드 장착부재(221b)를 잉크 수용부재(221a)에 완전히 조립한다. 그 후, 얼라인 확인부재(282)는 완전 조립된 노즐 헤드(221c)의 얼라인 상태를 재확인한다. 만일, 재확인 결과 완전 조립된 노즐 헤드(221c)가 허용 가능한 오차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노즐 헤드 장착부재(221b)가 잉크 수용부재(221a)로부터 가조립 상태로 해제된다. 그 후, 상술한 바와 같이, 얼라인 확인부재(282)는 노즐 헤드(221c)의 얼라인 상태 확인, 완전 조립, 및 노즐 헤드(221c)의 얼라인 상태 재확인 동작을 반복한다. 최종적으로, 완전 조립된 노즐 헤드(221c)가 허용 가능한 오차범위 내의 얼라인 상태로 확인되는 경우, 완전 조립 상태의 잉크젯 헤드(220)는 이송장치(미도시)(예를 들어, 로봇 암)에 의해 지지부재(280)로부터 분리되어 도1a에 도시된 갠트리(130)로 이송된다. 그 후, 잉크 수용부재(221a)의 상부에 부착된 지지부재(221g)를 이용하여 잉크젯 헤드(220)를 갠트리(130)에 부착시킨다. 이 경우, 노즐 헤드(221c)는 잉크 수용부재(221a)와 미리 얼라인된 상태이므로, 잉크젯 헤드(220)를 갠트리(130)에 부착할 때 노즐 헤드(221c)를 다시 얼라인할 필요가 없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270)는 하나의 노즐 헤드(221c)와 하나의 잉크 수용부재(221a) 간의 얼라인을 조정하는 것으로 예시적으로 도시 및 기술되어 있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270)가 2개 이상의 노즐 헤드(221c)와 두개 이상의 잉크 수용부재(221a) 간의 얼라인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270)는 복수개의 노즐 헤드(221c)와 복수개의 잉크 수용부재(221a) 간의 얼라인을 조정하는 복수개의 얼라인 조정장치; 상기 복수개의 얼라인 조정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복수개의 노즐 헤드(221c)와 상기 복수개의 잉크 수용부재(221a) 간의 각각의 얼라인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얼라인 확인장치; 및 상기 복수개의 얼라인 조정장치 및 상기 얼라인 확인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로 구성된다. 여기서, 복수개의 잉크 수용부재(221a)는 지지부재(280) 상에 지지된다. 이 경우, 지지부재(280)는 복수개의 잉크 수용부재(221a)를 지지할 수 있도록 충분히 넓은 폭을 구비한다. 그러나, 얼라인 확인장치 및 제어장치는 각각 하나씩만 사용된다. 또한, 복수개의 얼라인 조정장치는 각각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얼라인 조정장치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하나의 얼라인 확인장치는 복수개의 노즐 헤드(221c)와 상기 복수개의 잉크 수용부재(221a) 간의 각각의 얼라인 여부를 순차적으로 확인하고, 하나의 제어장치는 복수개의 얼라인 조정장치를 제어하여 복수개의 노즐 헤드(221c)와 상기 복수개의 잉크 수용부재(221a) 간의 각각의 얼라인을 조정하도록 함으로써, 복수개의 노즐 헤드(221c)와 상기 복수개의 잉크 수용부재(221a) 간의 얼라인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노즐 헤드(221c)와 제 1 잉크 수용부재(221a) 및 제 2 노즐 헤드(221c)와 제 2 잉크 수용 부재(221a)를 얼라인하는 경우, 본 발명의 얼라인 확인장치 및 제어장치는 제 1 노즐 헤드(221c)와 제 1 잉크 수용부재(221a) 간의 얼라인 동작을 수행하면서, 제 2 노즐 헤드(221c)와 제 2 잉크 수용부재(221a) 간의 얼라인 동작에 필요한 사전 동작(즉, 제 2 잉크 수용부재(221a)를 지지부재(280) 상에 제공하는 동작, 제 2 노즐 헤드(221c)가 장착된 제 2 노즐 헤드 장착부재(221b)를 제 2 잉크 수용부재(221a)와 조립하기 위한 위치로 이송하는 동작, 및 제 1 및 제 2 탄성부재(276a,276b)가 장착된 제 2 홀더(272)를 제 2 액추에이터(274)에 의해 상승시켜 제 2 노즐 헤드 장착부재(221b)의 하부를 수평 상태로 지지하는 동작을 미리 행할 수 있다. 따라서, 후속 노즐 헤드와 후속 잉크 수용부재 간의 얼라인 동작에 필요한 사전 동작이 미리 행해지므로 전체 얼라인 동작에 필요한 시간을 추가적으로 상당히 절약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270)를 사용하면, 노즐 헤드(221c)가 잉크 수용부재(221a)와 미리 얼라인된 복수의 잉크젯 헤드(220)를 각각 갠트리(130)에 부착하면 복수의 노즐 헤드(221c)로부터 각각 토출되는 잉크가 정렬된 상태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노즐 헤드(221c)는 잉크 수용부재(221a)와 미리 얼라인된 상태이므로, 복수의 잉크젯 헤드(220)를 갠트리(130)에 부착할 때 각각의 잉크젯 헤드(220)에 대해 3축방향의 제어가 불필요하므로 3축 액추에이터의 사용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복수의 잉크젯 헤드(220)가 10개인 경우, 복수의 잉크젯 헤드(220)를 갠트리(130)에 얼라인 상태로 부착하기 위해서는 종래 기술에서 요구되는 30개의 액추 에이터가 불필요하므로 복수의 잉크젯 헤드(220)와 갠트리(130) 간의 얼라인에 필요한 장비(3축 액추이에터)의 비용이 현저하게 감소될 뿐만 아니라, 얼라인에 요구되는 동작 및 시간이 현저하게 감소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얼라인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을 도 2a 내지 도 2c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얼라인 방법(300)은 a) 노즐 헤드(221c)가 장착된 노즐 헤드 장착부재(221b)를 잉크 수용부재(221a)와 가조립하는 단계(310); b) 얼라인 확인부재(282)를 사용하여 상기 노즐 헤드(221c)와 상기 잉크 수용부재(221a) 간의 얼라인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320); c)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노즐 헤드(221c)와 상기 잉크 수용부재(221a) 간의 얼라인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한 쌍의 제 2 및 제 3 액추에이터(278a,278b)를 이용하여 상기 노즐 헤드 장착부재(221b)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노즐 헤드(221c)의 얼라인 상태를 조정하는 단계(330); d) 상기 b) 단계 또는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노즐 헤드(221c)와 상기 잉크 수용부재(221a) 간의 얼라인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노즐 헤드 장착부재(221b)를 상기 잉크 수용부재(221a)에 완전히 조립하는 단계(340); 및 e) 상기 얼라인 확인부재(282)를 사용하여 상기 노즐 헤드 장착부재(221b)와 상기 잉크 수용부재(221a) 간의 얼라인 상태를 재확인하는 단계(350)를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얼라인 방법(300)의 상기 a) 단계(310)는 a1) 상기 잉크 수용부재(221a)를 지지부재(280) 상에 제공하는 단계; a2) 상기 노즐 헤드 장착부재(221b)를 상기 잉크 수용부재(221a)와 조립하기 위한 위치로 이송하는 단계; a3) 제 1 액추에이터(274)가 홀더(272)를 상승시켜 제 1 및 제 2 탄성부재(276a,276b)가 상기 노즐 헤드 장착부재(221b)의 하부를 수평 상태로 지지하는 단계; 및 a4) 상기 노즐 헤드 장착부재(221b)를 상기 잉크 수용부재(221a)와 가조립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얼라인 방법(300)의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얼라인 확인은 상기 노즐 헤드(221c)에 미리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얼라인 마크 또는 상기 노즐 헤드(221c)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노즐 홀(222) 중 2개의 노즐 홀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얼라인 방법(300)은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노즐 헤드(221c)와 상기 잉크 수용부재(221a) 간의 얼라인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f) 상기 노즐 헤드 장착부재(221b)를 상기 잉크 수용부재(221a)로부터 가조립 상태로 해제하는 단계(360); 및 g) 상기 b) 단계 내지 상기 e)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 및 얼라인 방법은 예를 들어, 노즐 헤드와 잉크 수용부재 간의 얼라인이 미리 이루어지므로, 복수의 잉크젯 헤드와 갠트리 간의 조립 시 전체 조립 공정 시간(tact time)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장점을 달성할 수 있다.
다양한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예 시된 구성 및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거나 첨부 도면에 도시된 모든 사항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의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따라서만 정해져야 한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잉크젯 프린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2개의 잉크젯 헤드가 얼라인되기 전의 상태 및 그 일부를 확대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c는 도 1b에 도시된 얼라인 전의 2개의 잉크젯 헤드에 의한 잉크 도포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d는 2개의 잉크젯 헤드가 얼라인된 후의 상태 및 그 일부를 확대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e는 도 1d에 도시된 얼라인 후의 2개의 잉크젯 헤드에 의한 잉크 도포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f는 도 1a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잉크젯 프린팅 장치에 사용되는 잉크젯 헤드의 사시도이다.
도 1g는 도 1f에 도시된 잉크젯 헤드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h는 노즐 헤드를 수용하는 노즐 헤드 장착부재의 수용 공간이 경사진 상태로 형성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 중 탄성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c는 도 2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 의 주요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얼라인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Claims (19)

  1.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에 있어서,
    노즐 헤드와 잉크 수용부재 간의 얼라인을 조정하는 얼라인 조정장치;
    상기 얼라인 조정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노즐 헤드와 상기 잉크 수용부재 간의 얼라인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얼라인 확인장치; 및
    상기 얼라인 조정장치의 얼라인 조정 동작 및 상기 얼라인 확인장치의 얼라인 확인 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장치
    를 포함하는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조정장치는
    상기 잉크 수용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노즐 헤드가 장착된 노즐 헤드 장착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 1 및 제 2 탄성부재;
    상기 제 1 및 제 2 탄성부재가 장착되는 홀더;
    상기 홀더와 연결되며, 상기 홀더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 1 액추에이터; 및
    상기 노즐 헤드 장착부재의 상부에 제공되며, 상기 노즐 헤드 장착부재를 상하로 미세하게 이동시켜 상기 노즐 헤드와 상기 잉크 수용부재 간의 얼라인을 조정하는 한 쌍의 제 2 및 제 3 액추에이터
    를 포함하고,
    상기 얼라인 확인장치는 상기 노즐 헤드와 상기 잉크 수용부재 간의 얼라인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얼라인 확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퍼스널 컴퓨터(PC)로 구현되는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탄성부재는 각각 강체 바(solid body bar)와 상기 강체 바의 둘레에 감겨 있는 탄성체로 구현되거나 또는 자체 탄성을 구비한 탄성체로 구현되고,
    상기 제 1 액추에이터는 에어 실린더(air cylinder)로 구현되며,
    상기 제 2 및 제 3 액추에이터는 각각 압전 세라믹(PZT) 액추에이터로 구현되는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확인장치는
    상기 얼라인 확인부재가 장착되는 제 2 장착부재;
    상기 제 2 장착부재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이동 레일; 및
    상기 제 2 장착부재를 상기 이동 레일 상에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
    를 추가로 포함하는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확인장치는
    상기 얼라인 확인부재가 장착되는 제 2 장착부재;
    상기 제 2 장착부재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이동 레일; 및
    상기 제 2 장착부재를 상기 이동 레일 상에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
    를 추가로 포함하는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확인부재는 CCD 카메라 또는 비전 카메라(vision camera)로 구현되고,
    상기 이동 레일은 리니어모션 가이드(LM guide)로 구현되며,
    상기 이동부재는 컨베이어(conveyer)로 구현되는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는 상기 제어장치에 연결되며, 상기 얼라인 확 인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노즐 헤드와 상기 잉크 수용부재 간의 얼라인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는 상기 제어장치에 연결되며, 상기 얼라인 확인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노즐 헤드와 상기 잉크 수용부재 간의 얼라인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
  9.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에 있어서,
    복수개의 노즐 헤드와 복수개의 잉크 수용부재 간의 얼라인을 조정하는 복수개의 얼라인 조정장치;
    상기 복수개의 얼라인 조정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복수개의 노즐 헤드와 상기 복수개의 잉크 수용부재 간의 각각의 얼라인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얼라인 확인장치; 및
    상기 복수개의 얼라인 조정장치 및 상기 얼라인 확인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를 포함하는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얼라인 조정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잉크 수용부재를 지지하는 하나의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얼라인 조정장치는 각각
    상기 복수개의 노즐 헤드가 각각 장착된 상기 복수개의 노즐 헤드 장착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복수개의 제 1 및 제 2 탄성부재;
    상기 복수개의 제 1 및 제 2 탄성부재가 각각 장착되는 복수개의 홀더;
    상기 복수개의 홀더와 연결되며, 상기 복수개의 홀더를 각각 상하로 이동시키는 복수개의 제 1 액추에이터; 및
    상기 복수개의 노즐 헤드 장착부재의 상부에 각각 제공되며, 상기 복수개의 노즐 헤드 장착부재를 각각 상하로 미세하게 이동시켜 상기 복수개의 노즐 헤드와 상기 복수개의 잉크 수용부재 간의 각각의 얼라인을 조정하는 복수개의 한 쌍의 제 2 및 제 3 액추에이터
    를 포함하고,
    상기 얼라인 확인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노즐 헤드와 상기 복수개의 잉크 수용부재 간의 각각의 얼라인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얼라인 확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퍼스널 컴퓨터(PC)로 구현되는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 1 및 제 2 탄성부재는 각각 강체 바(solid body bar)와 상기 강체 바의 둘레에 감겨 있는 탄성체로 구현되거나 또는 자체 탄성을 구비한 탄성체로 구현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 1 액추에이터는 각각 에어 실린더(air cylinder)로 구현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 2 및 제 3 액추에이터는 각각 압전 세라믹(PZT) 액추에이터로 구현되는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확인장치는
    상기 얼라인 확인부재가 장착되는 제 2 장착부재;
    상기 제 2 장착부재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이동 레일; 및
    상기 제 2 장착부재를 상기 이동 레일 상에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
    를 추가로 포함하는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확인부재는 CCD 카메라 또는 비전 카메라(vision camera)로 구현되고,
    상기 이동 레일은 리니어모션 가이드(LM guide)로 구현되며,
    상기 이동부재는 컨베이어(conveyer)로 구현되는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
  14. 제 9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는 상기 제어장치에 연결되며, 상기 얼라인 확인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복수의 노즐 헤드와 상기 복수의 잉크 수용부재 간의 각각의 얼라인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
  15. 잉크젯 헤드 얼라인 방법에 있어서,
    a) 노즐 헤드가 장착된 노즐 헤드 장착부재를 잉크 수용부재와 가조립하는 단계;
    b) 얼라인 확인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노즐 헤드와 상기 잉크 수용부재 간의 얼라인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노즐 헤드와 상기 잉크 수용부재 간의 얼라인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한 쌍의 제 2 및 제 3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노즐 헤드 장착부재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노즐 헤드의 얼라인 상태를 조정하는 단계;
    d) 상기 b) 단계 또는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노즐 헤드와 상기 잉크 수용부재 간의 얼라인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노즐 헤드 장착부재를 상기 잉크 수용부재 에 완전히 조립하는 단계; 및
    e) 상기 얼라인 확인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노즐 헤드 장착부재와 상기 잉크 수용부재 간의 얼라인 상태를 재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잉크젯 헤드 얼라인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잉크 수용부재를 지지부재 상에 제공하는 단계;
    a2) 상기 노즐 헤드 장착부재를 상기 잉크 수용부재와 조립하기 위한 위치로 이송하는 단계;
    a3) 제 1 액추에이터가 홀더를 상승시켜 제 1 및 제 2 탄성부재가 상기 노즐 헤드 장착부재의 하부를 수평 상태로 지지하는 단계; 및
    a4) 상기 노즐 헤드 장착부재를 상기 잉크 수용부재와 가조립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잉크젯 헤드 얼라인 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얼라인 확인은 상기 노즐 헤드에 미리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얼라인 마크 또는 상기 노즐 헤드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노즐 홀 중 2개의 노즐 홀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잉크젯 헤드 얼라인 방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얼라인 확인은 상기 노즐 헤드에 미리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얼라인 마크 또는 상기 노즐 헤드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노즐 홀 중 2개의 노즐 홀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잉크젯 헤드 얼라인 방법.
  19. 제 15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노즐 헤드와 상기 잉크 수용부재 간의 얼라인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상기 잉크젯 헤드 얼라인 방법은
    f) 상기 노즐 헤드 장착부재를 상기 잉크 수용부재로부터 가조립 상태로 해제하는 단계; 및
    g) 상기 b) 단계 내지 상기 e)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잉크젯 헤드 얼라인 방법.
KR1020090030453A 2009-04-08 2009-04-08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 및 얼라인 방법 KR101045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453A KR101045369B1 (ko) 2009-04-08 2009-04-08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 및 얼라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453A KR101045369B1 (ko) 2009-04-08 2009-04-08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 및 얼라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954A KR20100111954A (ko) 2010-10-18
KR101045369B1 true KR101045369B1 (ko) 2011-06-30

Family

ID=43132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0453A KR101045369B1 (ko) 2009-04-08 2009-04-08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 및 얼라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536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4466A (ja) 1996-08-05 1998-02-17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KR20020032980A (ko) * 2000-10-28 2002-05-04 윤종용 프린트 어레이 헤드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15651A (ko) * 2006-08-16 2008-02-2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잉크젯 프린팅 장비의 헤드 정렬 장치
KR20080105669A (ko) * 2007-05-31 2008-12-04 주식회사 케이씨텍 잉크젯 헤드의 정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4466A (ja) 1996-08-05 1998-02-17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KR20020032980A (ko) * 2000-10-28 2002-05-04 윤종용 프린트 어레이 헤드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15651A (ko) * 2006-08-16 2008-02-2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잉크젯 프린팅 장비의 헤드 정렬 장치
KR20080105669A (ko) * 2007-05-31 2008-12-04 주식회사 케이씨텍 잉크젯 헤드의 정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954A (ko) 2010-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6685B2 (en) Screen printing apparatus
US10589514B2 (en) Screen printing device having conveyance section for discharging and introducing both the screen mask and board support member
JP4109905B2 (ja) 部品実装基板生産装置
JP2008108884A (ja) 電子部品実装装置およびペースト転写装置
JP6603475B2 (ja) 基板搬送装置及び電子部品実装装置
JP5263837B2 (ja)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の位置合わせ方法
CN108633246B (zh) 部件安装体制造系统以及部件安装体制造方法
KR101045369B1 (ko) 잉크젯 헤드 얼라인 장치 및 얼라인 방법
JP2008114521A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装置における下受交換作業方法
KR101309271B1 (ko) 국소 패턴의 인쇄 장치, 시스템, 및 방법
JP2001293677A (ja) ノズル交換装置
JP2008270322A (ja) 電子部品実装用装置
JP4730250B2 (ja) 位置決め装置、及び位置決め方法、並びにヘッドユニット組立装置、及びヘッドユニット組立方法
US11135831B2 (en) Cleaning unit and printing device
WO2012039170A1 (ja) 対回路基板作業機および対回路基板作業システム
JP2008114522A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装置における基板搬送方法
JP3636063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
JP2008177202A (ja) 基板下受装置
JP2009066566A (ja) ヘッドユニットの組立方法
JP2007318000A (ja) 表面実装機
JP2008073607A (ja) ノズル位置調整機構を備えた液滴塗布装置
JP2008105294A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
KR101190867B1 (ko) 자동노즐교환장치를 구비한 부품실장기
JP4361832B2 (ja) 表面実装機
JP2010093041A (ja) 電子部品実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