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4828B1 - 광택용 패드 세척기 - Google Patents

광택용 패드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4828B1
KR101044828B1 KR1020100090254A KR20100090254A KR101044828B1 KR 101044828 B1 KR101044828 B1 KR 101044828B1 KR 1020100090254 A KR1020100090254 A KR 1020100090254A KR 20100090254 A KR20100090254 A KR 20100090254A KR 101044828 B1 KR101044828 B1 KR 101044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washing
pressing piece
piece
gl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0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헌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알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알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알테크
Priority to KR1020100090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48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7/00Methods preventing fouling
    • B08B17/02Preventing deposition of fouling or of d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6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with rotary bodies contacting the vehicle
    • B60S3/063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with rotary bodies contacting the vehicle the axis of rotation being approximately vertical

Landscapes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택용 패드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동력없이 휴대나 이동이 용이한 것은 물론, 광택용 패드에 부착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광택용 패드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내부에 세척수가 수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다수개의 걸림편으로 이루어지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며 내측으로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는 세척판의 중공부를 중심으로 일측 상부면에는 표면압착편이 방사형으로 설치되고, 타측 상부면에는 분사롤설치구가 형성된 내측으로 상기 몸체 내부에 수용되는 세척수를 패드에 공급하기 위한 분사롤이 설치되며, 상기 중공부의 외측 상부면에는 중앙압착편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세척부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가 개구된 상부 내주면을 따라 세척수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막이 형성되는 덮개로 구성된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광택기를 세척부의 상부면에 안착시킨 후, 자동차광택기를 구동시켜 패드를 회전시키게 되면 패드가 회전되면서 분사롤에 의해 세척수가 패드에 공급되게 되고, 세척부에 설치된 표면압착편 및 중앙압착편에 의해 패드가 고르게 압착되면서 패드에 부착된 오염된 이물질 등이 간편하게 제거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몸체 내부에 세척수가 수용되기 때문에 세척수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은 물론, 세척수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막 및 차단막에 의해 광택용 패드의 세척작업시 오염된 세척수가 작업자에게 비산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외부로부터 세척수 및 전원을 공급받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급, 배수관 및 구동장치가 설치될 필요가 없어 제작이 쉽고, 구조가 간단하여 사용이 간편하며, 무게가 가벼워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한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광택용 패드 세척기{A pad cleaning apparatus for Polish }
본 발명은 광택용 패드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동력없이 휴대나 이동이 용이한 것은 물론, 광택용 패드에 부착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광택용 패드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광택은 신차를 출고한 후부터 외부로부터 발생되는 대기의 오염물질, 예컨데, 황사, 수액, 조류의 배설물 등을 제거하기 위해 자동차의 표면을 세차하거나 털어내는 과정에서 무뎌지거나 훼손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와 같이 훼손된 자동차의 광택을 본래의 색상 및 광택 상태로 유지, 보수 하기 위해서는 광택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러한 광택작업은 컴파운드 등의 약품을 자동차의 표면에 바른 다음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자동차광택기에 양모나 스펀지 등으로 형성되는 패드를 장착한 후, 패드를 자동차의 외장에 밀착한 상태로 반복 회전시킴으로써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자동차광택기는 단순히 패드를 구동 사용케 한 것이므로 자동차의 외장에 반복하여 광택작업을 수행한 패드는 오염되어 세척해서 사용하거나 또는 별도의 새패드로 교체 조립한 후 광택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는, 광택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자동차의 표면에 고착된 오염물질은 제거케 되지만, 이와는 달리 패드에는 각종 기름때와 잔여 컴파운드에 오염된 이물질 등이 묻어 있게 되면서 자동차의 표면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하여, 광택용패드 세척기가 점진적으로 개발되고는 있으나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야 하거나 별도의 전원 도선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등 설치장소가 제한적일 뿐만 아니라 고가로 제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오염된 이물질이 작업자에게 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비산방지턱 등이 미설치되면서 광택용 패드 세척시 오염된 이물질이 작업자의 얼굴 등에 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동력없이 휴대나 이동이 용이한 것은 물론, 광택용 패드에 부착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광택용 패드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척수가 외부로부터 연결된 급수관에 의해 공급됨이 없이 몸체 내부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세척수의 낭비 및 사용상의 편리성이 증진되는 것은 물론, 광택용 패드의 세척작업시 오염된 세척수가 작업자에게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광택용 패드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택용 패드 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광택용 패드 세척기는 내부에 세척수가 수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다수개의 걸림편으로 이루어지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며 내측으로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는 세척판의 중공부를 중심으로 일측 상부면에는 표면압착편이 방사형으로 설치되고, 타측 상부면에는 분사롤설치구가 형성된 내측으로 상기 몸체 내부에 수용되는 세척수를 패드에 공급하기 위한 분사롤이 설치되며, 정 중앙에는 상기 중공부의 외측으로 중앙압착편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세척부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가 개구된 상부 내주면을 따라 세척수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막이 형성되는 덮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택용 패드 세척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세척판은 하부면에 상기 세척부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차단편이 상기 다수개의 걸림편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척판은 상기 분사롤설치구의 일단 상부에 세척수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막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표면압착편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반원기둥, 타원기둥을 포함하는 다면기둥으로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표면압착편은 상부면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패드와의 마찰면적이 적어지도록 형성되되, 마모시 상기 세척판으로부터 분리, 교체 가능하도록 상기 세척판의 표면에 접착되거나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거치부는 상기 몸체 내부로부터 상기 세척부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복수의 층으로 설치되며, 상기 세척판은 외측으로 다수개의 관통홈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표면압착편은 외측압착편과 내측압착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세척판은 상기 외측압착편과 상기 내측압착편의 사이 공간면 전방 또는 후방으로 공간압착편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광택기를 세척부의 상부면에 안착시킨 후, 자동차광택기를 구동시켜 패드를 회전시키게 되면 패드가 회전되면서 분사롤에 의해 세척수가 패드에 공급되게 되고, 세척부에 설치된 표면압착편 및 중앙압착편에 의해 패드가 압착되면서 패드에 부착된 오염된 이물질 등이 간편하게 제거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몸체 내부에 세척수가 수용되기 때문에 세척수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은 물론, 세척수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막 및 차단막에 의해 광택용 패드의 세척작업시 오염된 세척수가 작업자에게 비산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외부로부터 세척수 및 전원을 공급받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급, 배수관 및 구동장치가 설치될 필요가 없어 제작이 쉽고, 구조가 간단하여 사용이 간편하며, 무게가 가벼워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한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a, 1b는 본 발명에 따른 광택용 패드 세척기에 대한 분해사시도 및 사시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광택용 패드 세척기에 대한 중앙 횡단면도이다.
도 2a, 2b는 본 발명에 따른 광택용 패드 세척기에서 세척부를 도시한 사시도, 저면사시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광택용 패드 세척기에서 세척부를 도시한 중앙 횡단면도이다.
도 3a는 세척부가 상단 거치부에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b는 세척부가 하단 거치부에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a, 4b는 본 발명에 따른 광택용 패드 세척기에 대한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5a, 5b는 본 발명에 따른 광택용 패드 세척기에서 세척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저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1b는 본 발명에 따른 광택용 패드 세척기에 대한 분해사시도 및 사시도이고,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광택용 패드 세척기에 대한 중앙 횡단면도이며, 도 2a, 2b 및 2c는 본 발명에 따른 광택용 패드 세척기에서 세척부를 도시한 사시도, 저면사시도 및 중앙 횡단면도이고, 도 3a는 세척부가 상단 거치부에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b는 세척부가 하단 거치부에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a, 4b는 본 발명에 따른 광택용 패드 세척기에 대한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보면, 광택용 패드 세척기(1)는 내부에 세척수가 수용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다수개의 걸림편(21)으로 이루어지는 거치부(20)와, 상기 거치부(20)에 거치되는 세척판(31)의 중공부(32)를 중심으로 일측 상부면에는 표면압착편(34)이 방사형으로 설치되고, 타측 상부면에는 분사롤설치구(37) 내측으로 상기 몸체(10)에 수용되는 세척수를 패드에 공급하기 위한 분사롤(38)이 설치되며, 정 중앙에는 상기 중공부(32)의 외측으로 중앙압착편(33)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세척부(3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광택용 패드 세척기(1)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10) 내부에 수용되는 세척수는 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거치부(20)는 상기 다수개의 걸림편(21)이 상기 몸체(10)의 원형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4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세척판(31)의 하부면에는 상기 세척부(3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차단편(39)이 상기 다수개의 걸림편(21)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광택용 패드 세척기(1)는 상기 몸체(10)가 상부가 개구된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10) 내부에 인입되어 상기 거치부(20)에 거치되는 상기 세척판(31) 또한 원형으로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상기 광택용 패드 세척기(1)는 상기 세척부(30)가 상기 다수개의 걸림편(21)에 의해 전,후,좌,우측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은 물론, 상기 세척부(30)에 거치되는 패드가 회전되더라도 상기 회전차단편(39)이 상기 다수개의 걸림편(21)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여 회전이 차단되게 되면서 상기 세척부(30)는 패드와 함께 회전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거치부(20)는 상기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 내부로부터 상기 세척부(3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복수의 층으로 설치되며, 상기 세척판(31)은 외측으로 다수개의 관통홈(5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거치부(20)는 상단과 하단의 2개의 층으로 이루어지되, 상단과 하단의 거치부(20)는 서로 어긋어게 설치되고, 상기 다수개의 관통홈(50)은 상기 세척판(31)의 원형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4개 설치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즉, 상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거치부(20)에 거치된 상기 세척부(30)를 하단 거치부(20)에 거치되도록 위치 변경하는 경우, 상단 거치부(20)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걸림편(21)과 상기 다수개의 관통홈(50)이 동일 위치가 되도록 상기 세척부(30)를 조정하게 되면 상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부(30)는 상단 거치부(20)에 거치되지 않고 하강하여 하단 거치부(20)에 거치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세척부(30)가 하단 거치부(20)에 거치되게 되면 상기 다수개의 관통홈(50) 내측으로 상단 거치부(20)를 이루는 다수개의 걸림편(21)이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하여, 상기 세척부(30)가 하단 거치부(20)에 거치된 상태에서 자동차광택기가 상기 세척부(30)에 안착되어 구동되게 되더라도 상기 세척부(30)는 패드와 함께 회전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세척부(30)의 높이를 조절하는 이유는, 상기 몸체(10)의 상단과 상기 세척부(30)와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도 4a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부(30)에 안착되는 자동차광택기의 패드가 수평이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패드가 상기 세척부(30)에 수평으로 안착되지 않고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패드의 세척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면 패드가 상기 표면압착편(34) 및 중앙압착편(33)에 인접하지 않게 되면서 표면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세척되지 않게 되는 것은 물론, 상기 분사롤(38)의 하부가 세척수에 잠기지 않게 되면서 패드에 세척수가 제대로 공급되지 않게 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광택용 패드의 세척작업시 소모되는 세척수로 인해 상기 몸체(10) 내부에 수용된 세척수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분사롤(38)의 하부가 세척수에 잠기지 않게 되면서 패드에 세척수가 제대로 공급되지 않게 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분사롤(38)은 상기 도 4a,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부(30)에 안착되는 패드의 수평회전에 의해 수직회전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분사롤(38)은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중앙에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분사롤설치구(37)의 하부 외측에는 한 쌍의 고정편(51)의 내측으로 각각 체결공이 형성되어 체결핀, 회전축을 포함하는 체결부재(52)에 의해 고정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10) 내부에 수용되는 세척수는 상기 분사롤(38)의 하부가 잠길 수 있도록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중앙압착편(33)과, 표면압착편(34) 및 상기 분사롤(38)의 상부면은 상기 세척판(31)의 상부면으로부터 동일 높이로 형성되어 수평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하여, 상기 세척부(30)에 안착되는 자동차광택기의 패드 표면이 고르게 압착되어 세척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광택기를 상기 세척부(30)에 거치시킨 후,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자동차광택기를 구동시키게 되면 자동차광택기의 하부에 설치된 패드가 수평회전되게 되면서 패드에 인접한 상기 분사롤(38)을 밀어 수직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상기 분사롤(38)은 패드의 수평회전에 의해 수직회전되게 되면서 상기 몸체(10) 내부에 수용되는 세척수를 패드 표면에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패드가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중앙압착편(33)과, 상기 표면압착편(34) 및 상기 분사롤(38)에 의해 패드 표면이 반복 압착되면서 오염된 이물질이 제거되고, 동시에 세척수가 탈수되며 패드가 세척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분사롤설치구(37)의 일단 상부에는 세척수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막(37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몸체(10)의 상부에는 내부가 개구된 상부 내주면을 따라 세척수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막(61)이 형성된 덮개(6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는, 광택용 패드의 세척작업 중 자동차광택기를 들게 되면 회전되고 있는 상기 분사롤(38)에 의해 세척수가 계속하여 공급되게 되면서 작업자의 얼굴 등으로 비산되기 때문이다.
또한, 패드에 묻어 있는 세척수 및 이물질 등이 상기 몸체(10) 내부를 벗어나 외부로 비산되게 되면서 작업자는 물론 주위를 오염시키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광택용 패드 세척기(1)는 작업자가 광택용 패드의 세척작업 중 자동차광택기를 상기 광택용 패드 세척기(1)로부터 분리시키게 되더라도 상기 방지막(37a)에 의해 오염된 세척수가 비산되어 작업자의 얼굴 등에 묻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방지막(37a)에 의해 세척수가 패드에 고르게 분산되어 공급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것이다.
더불어, 상기 차단막(61)에 의해 광택용 패드 세척작업중 패드가 회전되더라도 오염된 이물질 등이 상기 몸체(10)를 벗어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광택용 패드 세척기(1)는 상기 도 4a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 내부에 세척수가 수용된 상태에서 자동차광택기를 상기 세척부(30)의 상부면에 안착시킨 후, 자동차광택기를 구동시켜 패드를 회전시키게 되면 패드가 회전되면서 상기 분사롤(38)에 의해 세척수가 패드에 공급되게 되고, 상기 세척부(30)에 형성된 표면압착편(34) 및 중앙압착편(33)에 의해 패드가 압착되면서 패드에 부착된 이물질이 제거됨과 동시에 세척수가 탈수되어 상기 중공부(32) 및 상기 다수개의 관통홈(50)을 통해 상기 몸체(10)에 수용된 세척수로 유입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세척판(31)은 표면에 다수개의 구멍(4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하여, 패드 세척작업시 오염된 이물질 및 세척수 등이 상기 세척판(31)에 고이지 않고 상기 다수개의 구멍(40)을 통해 상기 몸체(10) 내부에 수용된 세척수로 빠르게 낙하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표면압착편(34)은 상기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치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세척판(31)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된 반원기둥, 또는 타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짓는 것은 아니며 반원기둥, 타원기둥을 포함하는 다면기둥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표면압착편(34)은 상부면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패드와의 마찰면적이 적어지도록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이유는, 자동차광택기의 구동시 패드의 외측은 회전속도가 크기 때문에 상기 세척부와 인접하는 마찰면적을 넓게하여 저항을 크게 하고, 패드의 내측은 외측보다 상대적으로 회전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상기 세척부와 인접하는 마찰면적을 좁게하여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로 인하여, 상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광택기의 패드는 상기 표면압착편(34)에 의해 반복적으로 압착되게 되면서 오염된 이물질 등이 제거됨과 동시에 세척수가 탈수되어 세척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표면압착편(34)은 상기 도 5a 및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모시 상기 세척판(31)으로부터 분리, 교체 가능하도록 상기 세척판(31)의 표면에 접착되거나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구(70)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인위적인 힘에 의해 상기 표면압착편(34)이 상기 세착판(31)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접착제에 의해 상기 세척판(31)에 고정되거나 또는 상기 체결구(70)가 상기 세척판(31)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표면압착편(34)을 상기 세척판(31)에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상기 광택용 패드 세척기(1)는 마모된 표면압착편(34)으로 인해 상기 세척부(30) 전체를 교체할 필요 없이 마모된 표면압착편(34)만을 간편하게 분리 교체할 수 있음으로써 유지, 보수에 필요한 비용절감은 물론, 세척부(30)만을 별도 제작할 필요가 없게 되면서 재제작에 필요한 인력, 시간 및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a, 5b는 본 발명에 따른 광택용 패드 세척기에서 세척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저면사시도이다.
도 5a, 5b를 참조하여 보면, 광택용 패드 세척기(1)는 세척부(30)의 표면압착편(34)이 외측압착편(34a)과 내측압착편(34b)으로 이루어지며, 세척판(31)은 상기 외측압착편(34a)과 상기 내측압착편(34b)의 사이 공간면(35) 전방 또는 후방으로 공간압착편(36)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외측압착편(34a) 및 상기 내측압착편(34b)은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된 동일한 형상의 다면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짓는 것은 아니며 상기 외측압착편(34a)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반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압착편(34b)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삼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공간압착편(36)은 머리부를 갖는 "T"자 형태의 지지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측압착편(34a)과 상기 내측압착편(34b)의 사이 빈공간을 회전하게 되는 패드의 표면을 압착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하여, 상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부(30)에 안착되는 자동차광택기의 패드는 상기 외측압착편(34a)과 상기 내측압착편(34b) 및 상기 공간압착편(36)에 의해 표면이 고르게 압착되면서 세척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공간압착편(36)은 지지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짓는 것은 아니며 한 쌍의 너트와 볼트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즉, 상기 세척판(31)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너트가 설치되고, 그 내부로 볼트가 인입되어 고정 설치되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상기 공간압착편(36)의 고정 설치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광택용 패드 세척기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택용 패드 세척기 10 : 몸체
20 : 거치부 21 : 걸림편
30 : 세척부 31 : 세척판
32 : 중공부 33 : 중앙압착편
34 : 표면압착편 34a : 외측압착편
34b : 내측압착편 35 : 공간면
36 : 공간압착편 37 : 분사롤설치구
37a : 방지막 38 : 분사롤
39 : 회전차단편 40 : 구멍
50 : 관통홈 51 : 고정편
52 : 체결부재 60 : 덮개
61 : 차단막 70 : 체결구

Claims (7)

  1. 광택용 패드 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광택용 패드 세척기(1)는 내부에 세척수가 수용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다수개의 걸림편(21)으로 이루어지는 거치부(20)와;
    상기 거치부(20)에 거치되며 내측으로 다수개의 구멍(40)이 형성되는 세척판(31)의 중공부(32)를 중심으로 일측 상부면에는 표면압착편(34)이 방사형으로 설치되고, 타측 상부면에는 분사롤설치구(37)가 형성된 내측으로 상기 몸체(10) 내부에 수용되는 세척수를 패드에 공급하기 위한 분사롤(38)이 설치되며, 정 중앙에는 상기 중공부(32)의 외측으로 중앙압착편(33)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세척부(30)와;
    상기 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가 개구된 상부 내주면을 따라 세척수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막(61)이 형성되는 덮개(60)로 구성되되,
    상기 표면압착편(34)은 외측압착편(34a)과 내측압착편(34b)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세척판(31)에는 상기 외측압착편(34a)과 상기 내측압착편(34b)의 사이 공간면(35) 전방 또는 후방으로 공간압착편(3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택용 패드 세척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판(31)은 상기 분사롤설치구(37)의 일단 상부에 세척수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막(37a)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택용 패드 세척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판(31)은 하부면에 상기 세척부(3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차단편(39)이 상기 다수개의 걸림편(21)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택용 패드 세척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20)는 상기 몸체(10) 내부로부터 상기 세척부(3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복수의 층으로 설치되며, 상기 세척판(31)은 외측으로 다수개의 관통홈(50)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택용 패드 세척기.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압착편(34)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반원기둥, 타원기둥을 포함하는 다면기둥으로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택용 패드 세척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압착편(34)은 상부면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패드와의 마찰면적이 적어지도록 형성되되, 마모시 상기 세척판(31)으로부터 분리, 교체 가능하도록 상기 세척판(31)의 표면에 접착되거나 체결구(70)에 의해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택용 패드 세척기.
  7. 삭제
KR1020100090254A 2010-09-15 2010-09-15 광택용 패드 세척기 KR101044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254A KR101044828B1 (ko) 2010-09-15 2010-09-15 광택용 패드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254A KR101044828B1 (ko) 2010-09-15 2010-09-15 광택용 패드 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4828B1 true KR101044828B1 (ko) 2011-06-30

Family

ID=44406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0254A KR101044828B1 (ko) 2010-09-15 2010-09-15 광택용 패드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48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523B1 (ko) 2017-11-06 2018-02-28 양영제 브러시 세척장치
KR101902100B1 (ko) 2017-02-17 2018-09-2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메이크업 브러쉬 세척 및 건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16749A1 (en) * 1994-11-28 1996-06-06 Kaiser Richard A Improved buffing pad cleaning apparatus
JP2000237946A (ja) 1999-02-18 2000-09-05 Ac Netto:Kk バフ用洗浄装置
KR100434868B1 (ko) 2004-02-02 2004-06-09 안동철 자동차 광택용 패드의 세정장치
US20050097690A1 (en) * 2003-11-07 2005-05-12 Kaiser Richard A. Cleaning apparatus for rotary and orbitally mounted buffing pad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16749A1 (en) * 1994-11-28 1996-06-06 Kaiser Richard A Improved buffing pad cleaning apparatus
JP2000237946A (ja) 1999-02-18 2000-09-05 Ac Netto:Kk バフ用洗浄装置
US20050097690A1 (en) * 2003-11-07 2005-05-12 Kaiser Richard A. Cleaning apparatus for rotary and orbitally mounted buffing pads
KR100434868B1 (ko) 2004-02-02 2004-06-09 안동철 자동차 광택용 패드의 세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100B1 (ko) 2017-02-17 2018-09-2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메이크업 브러쉬 세척 및 건조 장치
KR101833523B1 (ko) 2017-11-06 2018-02-28 양영제 브러시 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9144A (en) Boot cleaning apparatus
CN106984563B (zh) 修整盘清洗用刷、清洗装置以及清洗方法
KR20100033709A (ko) 벨트 컨베이어 청소장치
KR101640198B1 (ko) 탑승식 바닥세척기
KR101044828B1 (ko) 광택용 패드 세척기
CN106312780A (zh) 抛光设备
US10582825B2 (en) Modular surface maintainer
JP6722054B2 (ja) 床面洗浄機
KR101387112B1 (ko) 이동식 세차장치
KR200481558Y1 (ko) 데브리스 필터용 스트레이너 세척장치
KR20160022952A (ko) 세륜기
KR200382719Y1 (ko) 광택용 패드 및 세척용 패드의 세척장치
KR100685919B1 (ko) 세정 장치
CN111482901B (zh) 一种化学机械抛光设备的清洗装置
KR100949284B1 (ko) 차량용 광택 패드 세척장치
KR100242493B1 (ko) 당구공 세척장치
KR100647868B1 (ko) 차량 정비용 패드의 세척장치
US20040226576A1 (en) In-situ landing light cleaning apparatus
CN208066821U (zh) 一种带有自清洗功能的公安指挥部大屏显示装置
JP3153555U (ja) パルセータ取外し用工具セット、及び取外し用工具
KR20080004917U (ko) 휴대용 자동차 외부 판넬 청소기
CN201533824U (zh) 自动擦鞋机
CN220716950U (zh) 一种喷酒精清洗擦拭机
KR20190013284A (ko) 화장용품 세척기
KR100730638B1 (ko) 브러시가 구비된 자동세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