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4312B1 - 전선조인트 보호용 열수축 캡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선조인트 보호용 열수축 캡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4312B1
KR101044312B1 KR1020090063294A KR20090063294A KR101044312B1 KR 101044312 B1 KR101044312 B1 KR 101044312B1 KR 1020090063294 A KR1020090063294 A KR 1020090063294A KR 20090063294 A KR20090063294 A KR 20090063294A KR 101044312 B1 KR101044312 B1 KR 101044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heat shrink
tube support
heat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3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5924A (ko
Inventor
최경복
Original Assignee
한미케이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미케이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미케이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3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4312B1/ko
Publication of KR20110005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4Cable-end sealings
    • H02G15/043Cable-end sealings with end caps, e.g. sleeve closed at one e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2End caps, i.e. of insulating or conductive material for covering or maintaining connections between wires entering the cap from the same end

Landscapes

  • Packages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화된 공정으로 빠른 작업시간내에 열수축 캡을 제조할 수 있으며, 그 품질 기준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며, 폐쇄단부의 확실한 기밀성을 보장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전선조인트 보호용 열수축 캡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에 하부를 향하여 기밀봉 장착홈이 형성되며 수직하게 배치되는 튜브 지지 기둥 ; 상기 튜브 지지 기둥에 장착되는 열수축 튜브의 상단부를 가열하기 위하여 하부가 개방되되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콘 형태를 가지는 튜브 가열부가 마련되며, 상기 튜브 지지 기둥의 상부에 위치되는 가열용 다이 ; 상기 튜브 지지 기둥 및 상기 가열용 다이 중 어느 하나를 다른 하나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수단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선조인트 보호용 열수축 캡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MANUFACTURING DEVICE FOR HEAT-SHRINKABLE CAP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HEAT-SHRINKABLE CAP}
본 발명은 전선조인트 보호용 열수축 캡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선조인트 보호용 열수축 캡은 여러 가닥의 전선이 접점되어, 내선(구리선 등)이 노출되는 접점 부분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되어 본 출원인에 의하여 제안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90353호 "전선 조인트 보호용 수축 캡"이 제안된 바 있으며, 상기 종래 기술은 본 명세서에 일체화된 것으로 본다.
상기 종래 기술은 공간부가 형성된 캡 한쪽으로 열가소성 접착제와 열융착으로 결합되는 기밀봉 볼에 의하여 폐쇄단부를 형성한 전선 조인트 보호용 수축 캡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전선 조인트 보호용 수축 캡을 제조하기 위하여는, 캡의 한 쪽 에 열기를 가하여 캡의 안지름을 수축한 상태에서, 캡의 원지름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볼을 수축된 안지름에 내입하고, 다시금 열을 가하여 캡과 볼을 결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기밀봉 볼을 이용하여 열수축 캡을 제조하는 경우 열수축 캡의 제조를 자동화시키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즉, 캡의 일측부를 1차로 열수축시키고, 이후 기밀용 볼을 내입시키고, 다시 2차 열수축시키면서 캡과 볼을 결합시키는 공정 자체가 매우 복잡하여 제조 공정의 자동화를 도모하기 어렵다.
아울러 1차 열수축된 캡에 기밀용 볼을 내입시키고자 할 경우 기밀용 볼을 정확한 위치에 위치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며, 따라서 작업자에 따라 제품의 품질이 달라지게 된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캡의 일측으로 기밀용 볼의 일부가 노출되며, 기밀용 볼의 측부만이 캡에 접합될 뿐이므로 접합 성능이 낮아지게 되어 기밀성능이 낮아지게 되며, 아울러 기밀용 볼의 돌출로 인하여 그 미관이 조악한 느낌을 주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화된 공정으로 빠른 작업시간내에 열수축 캡을 제조할 수 있으며, 그 품질 기준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며, 폐쇄단부의 확실한 기밀성을 보장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전선조인트 보호용 열수축 캡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면에 하부를 향하여 기밀봉 장착홈이 형성되며 수직하게 배치되는 튜브 지지 기둥 ; 상기 튜브 지지 기둥에 장착되는 열수축 튜브의 상단부를 가열하기 위하여 하부가 개방되되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콘 형태를 가지는 튜브 가열부가 마련되며, 상기 튜브 지지 기둥의 상부에 위치되는 가열용 다이 ; 상기 튜브 지지 기둥 및 상기 가열용 다이 중 어느 하나를 다른 하나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수단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튜브 지지 기둥의 하단이 고정결합되는 수평상의 기둥 지지판 ; 상기 튜브 지지 기둥이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되되 상기 기둥 지지판 상부에 수평상으로 마련되는 튜브 지지판 ; 상기 기둥 지지판에 마련되어 상기 튜브 지지판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튜브 지지판 이동 수단 ;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 지며,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가열용 다이를 이동시키기 위한 가열용 다이 이동수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기둥 지지판에 상기 튜브 지지 기둥이 복수로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가열용 다이에 상기 튜브 가열부가 복수로 나란히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사상으로, 수직하게 배치된 튜브 지지 기둥의 상면에 형성된 기밀봉 장착홈에 봉 형태의 기밀봉의 하단부를 장착하며, 내주면에 열가소성 접착제가 도포된 열수축 튜브의 중공에 상기 튜브 지지 기둥이 삽입되도록 상기 열수축 튜브를 상기 튜브 지지 기둥에 위치시키되, 상기 열수축 튜브의 상단이 상기 튜브 지지 기둥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상기 열수축 튜브를 장착하는 구성물 장착 단계 ;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콘 형태를 가진 튜브 가열부를 이용하여 상기 열수축 튜브의 상단부를 가열하여 상기 열수축 튜브의 상단부가 열수축되며 아울러 상기 열가소성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기밀봉과 상기 열수축 튜브의 상단부가 접착되어 폐쇄단부를 형성하는 폐쇄단부 형성 단계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구성물 장착 단계에서 상기 열수축 튜브의 상단은 상기 기밀봉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폐쇄단부가 형성된 열수축 튜브를 상부로 이동시켜 상기 튜브 지지 기둥으로부터 이탈시키며 아울러 이에 의하여 상기 기밀봉이 상기 기 밀봉 장착홈으로부터 이탈되는 캡 이탈단계 ;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화 또는 반자동화된 공정으로 빠른 작업시간내에 열수축 캡을 제조할 수 있으며, 그 품질 기준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며, 폐쇄단부의 확실한 기밀성을 보장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전선조인트 보호용 열수축 캡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의거하여 그 구체적 구성과 작용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열수축 캡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의 개념도이며, 도 2 내지 도 10은 도 1의 장치의 작동 순서를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들이며, 도 11은 도 1에 의하여 제조된 전선조인트 보호용 열수축 캡의 사시도, 정면도,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실물 사진이다.
본 열수축 캡 제조 장치는 본체(미도시)에 이동 지지용 다이(10), 기둥 지지판 이동 수단(미도시), 가열용 다이(60) 등이 마련되며, 이동 지지용 다이(10)에 기둥 지지판(20), 튜브 지지판(30), 튜브 지지판 이동 수단(40), 튜브 지지 기둥(50) 등이 마련된다.
이동 지지용 다이(10)는 수평상으로 배치되며, 그 상면에 수평상의 기둥 지지판(20)이 이동 지지용 다이(10)를 따라 선상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이와같 이 선상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구성은 다양한 수단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기둥 지지판(20)을 이동 지지용 다이(10)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기둥 지지판 이동 수단(미도시)이 마련되며, 기둥 지지판 이동 수단으로서는 유압 내지 공압 실린더, 혹은 모터와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장치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둥 지지판(20)은 이동 지지용 다이(10)를 따라 선상으로 이동 가능하다.
기둥 지지판(20)의 상부에 튜브 지지 기둥(50)의 하단이 고정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기둥 지지판(20)에 다수의 튜브 지지 기둥(50)이 나란히 배치되도록 하였다. 이는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각각의 튜브 지지 기둥(50)은 수직하게 배치되며, 그 하단이 기둥 지지판(20)에 고정 결합되며, 아울러 그 상면에 하부를 향하여 기둥 형태의 기밀봉 장착홈(51)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기둥 지지판(20)의 상부에 수평상으로 튜브 지지판(30)이 마련된다.
튜브 지지판(30)은 튜브 지지 기둥(50)이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구(31)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다수의 관통구(31)의 배치 형태는 튜브 지지 기둥(50)의 배치 형태와 동일하다.
아울러 기둥 지지판(20)에는 튜브 지지판 이동 수단으로서 공압 실린더(40)가 마련되며, 공압 실린더(40)의 피스톤에 튜브 지지판(30)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공압 실린더(40)의 구동에 따라 피스톤이 상하로 이동하면 이에 의하 여 튜브 지지판(30)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이동 지지용 다이(10)의 상부, 구체적으로는 튜브 지지 기둥(50)의 상부측에 가열용 다이(60)가 마련된다.
가열용 다이(60)는 본체(미도시)에 마련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가열용 다이(60)에는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콘 형태를 가지는 다수의 튜브 가열부(61)가 마련되어 있다. 물론 튜브 가열부(61)의 하부는 개방되어 있다.
다수의 튜브 가열부(61)의 배치 형태는 다수의 튜브 지지 기둥(50)의 배치 형태와 동일하다.
아울러 가열용 다이(60)는 가열용 다이 이동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튜브 가열부(61)는 후술하는 열수축 튜브(110)의 상단부를 가열하기 위한 것이다.
튜브 가열부(61)가 콘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후술하는 열수축 튜브(110)가 열수축되는 과정에도 튜브 가열부(61)의 하강에 의하여 튜브 가열부(61)와 열수축된 열수축 튜브(110) 부위 및 튜브 가열부(61)와 열수축되지 않은 열수축 튜브(110) 부위간의 거리가 일정 범위 이내에서 유지되어 열수축 튜브(110)가 전체적으로 균등하게 열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열수축 캡 제조 장치에 의하여 열수축 캡이 제조되는 과정을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 지지판(20)은 가열용 다이(60)의 직하부에 위치되지 않도록 이동 지지용 다이(10)상에서 일측으로 이동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기둥 지지판(20)이 가열용 다이(60)의 직하부로부터 벗어나 위치될 수 있으므로 열수축 튜브(110)와 기밀봉(120)의 장착시 가열용 다이(60)와 간섭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작아지며, 아울러 튜브 가열부(61)가 튜브 지지 기둥(50)과 인접한 높이에 위치될 수 있으므로 가열용 다이(60)를 이동시켜야 하는 거리가 짧아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3 및 도 4와 같이 열수축 튜브(110)와 기밀봉(120)을 각각 튜브 지지 기둥(50)에 장착한다.
기밀봉(120)은 봉 형태, 구체적으로는 단면이 원형인 봉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서, 그 하단부가 튜브 지지 기둥(50)의 상면에 형성된 기밀봉 장착홈(51)에 삽입되어 장착되며(도 3 참조), 아울러 그 상단부는 튜브 지지 기둥(50)의 상부로 돌출되게 위치된다.
아울러 열수축 튜브(110)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되며, 내주면에 열가소성 접착제(111)가 도포된 것으로서, 열수축 튜브(110)의 중공에 튜브 지지 기둥(50)이 삽입되도록 열수축 튜브(110)를 튜브 지지 기둥(50)에 장착한다(도 4 참조).
열수축 튜브(110)는 절연이 가능한 재질이며, 아울러 외부의 열을 받으면 수축이 된다.
튜브 지지 기둥(50)에 장착되는 열수축 튜브(110)는 상단부 및 하단부 모두 개방단부를 이루고 있는 상태이다.
열수축 튜브(110)에 도포된 열가소성 접착제(111)는 상온에서 도포 상태를 유지하다가 열을 받으면 액상으로 변하면서 접착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열수축 튜브(110)를 튜브 지지 기둥(50)에 장착시키면 열수축 튜브(110)의 하단은 튜브 지지판(30)과 접하게 된다.
아울러 열수축 튜브(110)의 상단은 튜브 지지 기둥(50)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기밀봉 장착홈(51)에 장착된 기밀봉(120)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도 4에 의하여 구성물의 장착이 완료된다.
물론 도 4 이후에 도 3을 시행할 수 있지만, 도 3 이후에 도 4를 시행하는 것이 간편하다.
이 상태에서 기둥 지지판 이동 수단(미도시)에 의하여 기둥 지지판(20)을 가열용 다이(60)의 직하부로 이동시킨다. 기둥 지지판(20)은 이동 지지용 다이(10)를 따라 선상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이며, 아울러 기둥 지지판 이동 수단(미도시)에 의하여 기둥 지지판(20)을 특정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은 이미 설명하였다.
이와 같은 이동에 의하여 가열용 다이(60)의 튜브 가열부(61) 하부에 각각의 튜브 지지 기둥(50)이 배치된다(도 5 참조).
도 5의 상태에서 가열용 다이(60)가 가열용 다이 이동 수단(미도시)에 의하여 도 6과 같이 하부로 이동하며, 이에 의하여 각각의 튜브 가열부(61)가 각각의 튜브 지지 기둥(50)의 상부를 포위하면서 하부로 내려오게 된다.
이때 튜브 가열부(61)는 튜브 지지 기둥(50)을 향하여 내려오면서 튜브 지지 기둥(50)에 장착된 열수축 튜브(110)의 상단부를 가열시키며, 이에 의하여 열수축 튜브(110)가 그 상단부터 튜브 가열부(61)에 의하여 먼저 열수축되며, 아울러 열수축 튜브(110)의 내주면에 도포된 열가소성 접착제(111)가 가열에 의하여 액상 상태로 되며, 그 결과 도 6에 의하여 도시된 열수축 캡(100)의 형태로 변화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열수축 캡(100)은 그 상단부의 열수축 튜브(110)가 열수축된 상태에서 열가소성 접착제(111)를 매개로 기밀봉(120)과 접합되어 폐쇄단부를 이루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튜브 가열부(61)가 콘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열수축 튜브(110)가 열수축되는 과정에도 튜브 가열부(61)의 하강에 의하여 튜브 가열부(61)와 열수축된 열수축 튜브(110) 부위 및 튜브 가열부(61)와 열수축되지 않은 열수축 튜브(110) 부위간의 거리가 일정 범위 이내에서 유지되어 열수축 튜브(110)가 전체적으로 균등하게 열을 공급받을 수 있다.
아울러 열수축 튜브(110)의 직경이 변화되는 경우에도 튜브 가열부(61)는 콘 형태이므로 다양한 직경의 열수축 튜브(110)에 본 튜브 가열부(61)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물론 튜브 가열부(61)의 최하단은 적용 가능한 열수축 튜브(110)의 최대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져야 한다.
한편, 열수축 캡(100)의 하단부는 그 중공이 그대로 유지되어 개방단부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폐쇄단부의 형성 과정이 완료되면 도 7과 같이 가열용 다이(60)는 상부로 이동하고, 이후 도 8과 같이 기둥 지지판(20)은 도 2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도 7 내지 도 8의 과정에서 열가소성 접착제(110)가 냉각되어 고상으로 변화된다.
도 8의 상태 이후 도 9와 같이 공압 실린더(40)가 작동하여 튜브 지지판(30)이 상부로 이동하면 튜브 지지판(30)의 상부에 배치된 열수축 캡(100)이 튜브 지지판(30)에 의하여 튜브 지지 기둥(50)으로부터 이탈된다.
이때 열수축 캡(100)에 접합된 기밀봉(120)은 기밀봉 장착홈(51)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도 9 이후에 도 10과 같이 본 열수축 캡 제조 장치로부터 이탈된 다수의 열수축 캡(100)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조 과정에 의하여 얻어진 열수축 캡(100)의 구조를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열수축 캡(100)은 열가소성 접착제(111)가 도포된 열수축 튜브(110)와 기밀봉(120)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열수축 캡(100)의 일측 단부는 기밀봉(120)과 열가소성 접착제(111)에 의하여 폐쇄단부를 이루게 되며, 열수축 캡(100)의 타측 단부(도 11의 하부)는 개방단부를 이루게 된다.
기밀봉(120)은 봉 형태로서, 열수축 튜브(110)의 일측 단부에 열수축 튜브(110)와 동축으로 열수축 튜브(110)의 중공에 마련된다.
또한 기밀봉(120)의 길이방향 외측 단부는 열수축 튜브(110)의 일측 단부가 열수축되는 과정에서 열가소성 접착제(111)를 매개로 열수축 튜브(110)와 접합된다.
그러나 기밀봉(120)의 길이방향 내측 단부(도 11의 하부 방향)는 열수축 튜브(110)의 열수축 과정에서도 기밀봉 장착홈(51)에 장착되었던 부위이므로 열수축 튜브(110)의 내주면과 이격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10의 과정에서 제조되는 열수축 캡(100)은, 기밀봉(120)의 길이방향 외측 단부의 주면은 열가소성 접착제(111)와 접합될 수 밖에 없는 상태이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열수축 캡(100)은, 기밀봉(120)의 길이방향 외측 단부의 외측방향 또한 열가소성 접착제(111a)에 의하여 감싸인 구조를 가지게 된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수축 튜브(110)의 일측 단부가 기밀봉(120)의 길이방향 외측 단부보다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하면 기밀봉(120)의 길이방향 외측단부의 길이방향 외측이 열가소성 접착제(111a)에 의하여 감싸이는 구조가 된다.
열가소성 접착제(111a)는, 열수축 튜브(110)의 내주면에 도포된 열가소성 접착제(111)가 액상 상태로 변화되면서 기밀봉(120)과 만나게 되어 길이방향 외측으로 흘러나가면서 형성된 부위이다.
특히 열수축 튜브(110)의 일측 단부가 기밀봉(120)보다 돌출된 길이(L, 도 11 참조)가 0.5 mm 이상 2 mm 이하이면 기밀봉(120)의 길이방향 외측단부의 길이방향 외측에 형성되는 열가소성 접착제(111a)는 그 외측이 반구형을 이루는 미려한 모양이 가능하게 된다.
돌출 길이가 0.5mm 이하인 경우 열가소성 접착제(111a)가 기밀봉(120)의 외측단부 전체를 감싸지 못하게 될 수 있으며, 돌출 길이가 2mm 이상인 경우 열가소성 접착제(111a)가 열수축 튜브(110)의 외주면으로 흘러넘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열가소성 접착제(111)가 기밀봉(120)의 주면을 감쌀 뿐만 아니라, 열가소성 접착제(111a)가 기밀봉(120)의 길이방향 외측방향도 감싸도록 하면 열수축 캡(100)의 폐쇄단부의 기밀 성능이 더욱 향상될 뿐만 아니라 디자인적으로 우수한 열수축 캡(100)이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작된 열수축 캡(100)은 종래 기술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개방단부 측으로 보호대상인 전선조인트 등을 삽입한 후 그 개방단부를 열수축시킴으로서 전선 조인트를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실시예에서 열수축 튜브(110)와 기밀봉(120)의 장착 등의 일부 과정은 작업자에 의하여 이루어진다는 전제하에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장치 내지 방법은 완전 자동화된 시스템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가 매우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내지 조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 내지 조정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용한다면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선조인트를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열수축 캡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의 개념도,
도 2 내지 도 10은 도 1의 장치의 작동 순서를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들,
도 11은 도 1에 의하여 제조된 전선조인트 보호용 열수축 캡의 사시도, 정면도,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실물 사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이동 지지용 다이 20 : 기둥 지지판
30 : 튜브 지지판 31 : 관통구
40 : 공압 실린더
50 : 튜브 지지 기둥 51 : 기밀봉 장착홈
60 : 가열용 다이 61 : 튜브 가열부
100 : 열수축 캡 110 : 열수축 튜브
120 : 기밀봉

Claims (6)

  1. 상면에 하부를 향하여 기둥 형태의 기밀봉 장착홈이 형성되며 수직하게 배치되는 튜브 지지 기둥 ;
    상기 튜브 지지 기둥에 장착되는 열수축 튜브의 상단부를 가열하기 위하여 하부가 개방되되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콘 형태를 가지는 튜브 가열부가 마련되며, 상기 튜브 지지 기둥의 상부에 위치되는 가열용 다이 ;
    상기 튜브 지지 기둥 및 상기 가열용 다이 중 어느 하나를 다른 하나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수단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조인트 보호용 열수축 캡 제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지지 기둥의 하단이 고정결합되는 수평상의 기둥 지지판 ;
    상기 튜브 지지 기둥이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되되 상기 기둥 지지판 상부에 수평상으로 마련되는 튜브 지지판 ;
    상기 기둥 지지판에 마련되어 상기 튜브 지지판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튜브 지지판 이동 수단 ;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가열용 다이를 이동시키기 위한 가열용 다이 이동수 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조인트 보호용 열수축 캡 제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지지판에 상기 튜브 지지 기둥이 복수로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가열용 다이에 상기 튜브 가열부가 복수로 나란히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조인트 보호용 열수축 캡 제조 장치.
  4. 수직하게 배치된 튜브 지지 기둥의 상면에 형성된 기둥 형태의 기밀봉 장착홈에 봉 형태의 기밀봉의 하단부를 장착하며, 내주면에 열가소성 접착제가 도포된 열수축 튜브의 중공에 상기 튜브 지지 기둥이 삽입되도록 상기 열수축 튜브를 상기 튜브 지지 기둥에 위치시키되, 상기 열수축 튜브의 상단이 상기 튜브 지지 기둥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상기 열수축 튜브를 장착하는 구성물 장착 단계 ;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콘 형태를 가진 튜브 가열부를 이용하여 상기 열수축 튜브의 상단부를 가열하여 상기 열수축 튜브의 상단부가 열수축되며 아울러 상기 열가소성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기밀봉과 상기 열수축 튜브의 상단부가 접착되어 폐쇄단부를 형성하는 폐쇄단부 형성 단계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조인트 보호용 열수축 캡 제조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물 장착 단계에서 상기 열수축 튜브의 상단은 상기 기밀봉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조인트 보호용 열수축 캡 제조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단부가 형성된 열수축 튜브를 상부로 이동시켜 상기 튜브 지지 기둥으로부터 이탈시키며 아울러 이에 의하여 상기 기밀봉이 상기 기밀봉 장착홈으로부터 이탈되는 캡 이탈단계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조인트 보호용 열수축 캡 제조 방법.
KR1020090063294A 2009-07-13 2009-07-13 전선조인트 보호용 열수축 캡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1044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294A KR101044312B1 (ko) 2009-07-13 2009-07-13 전선조인트 보호용 열수축 캡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294A KR101044312B1 (ko) 2009-07-13 2009-07-13 전선조인트 보호용 열수축 캡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924A KR20110005924A (ko) 2011-01-20
KR101044312B1 true KR101044312B1 (ko) 2011-06-29

Family

ID=43612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3294A KR101044312B1 (ko) 2009-07-13 2009-07-13 전선조인트 보호용 열수축 캡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431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3844A (ja) 1996-09-10 1998-03-31 Sumitomo Wiring Syst Ltd 電線束端末スプライス部の保護方法及び保護構造
JP2004080932A (ja) 2002-08-20 2004-03-11 Yazaki Corp チューブ加熱装置及び電線接続部の密封方法
JP2006213336A (ja) * 2005-02-01 2006-08-17 Nikka Whisky Distilling Co Ltd キャップ装着装置
JP2008118749A (ja) 2006-11-01 2008-05-22 Hitachi Cable Ltd 熱収縮ケーブルの加熱装置および加熱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3844A (ja) 1996-09-10 1998-03-31 Sumitomo Wiring Syst Ltd 電線束端末スプライス部の保護方法及び保護構造
JP2004080932A (ja) 2002-08-20 2004-03-11 Yazaki Corp チューブ加熱装置及び電線接続部の密封方法
JP2006213336A (ja) * 2005-02-01 2006-08-17 Nikka Whisky Distilling Co Ltd キャップ装着装置
JP2008118749A (ja) 2006-11-01 2008-05-22 Hitachi Cable Ltd 熱収縮ケーブルの加熱装置および加熱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924A (ko) 201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50416B (zh) 缸体制造方法、代用套以及代用套的铸造方法
KR100970433B1 (ko)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
KR101282212B1 (ko) 케이블 고정식 수축튜브 가열장치
KR101044312B1 (ko) 전선조인트 보호용 열수축 캡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2015247B1 (ko) 벤딩형 이중보온관 제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벤딩형 이중보온관 제조방법
CN107689617B (zh) 一种用于电缆或光缆端头的密封帽及其制作方法
JP6625555B2 (ja) 繊維束の熱成形
JP6489914B2 (ja) ピストンの製造装置、及び該製造装置を用いたピストンの製造方法
CN101567275B (zh) 断路器元件相柱的一次外包真空灭弧室的制造方法
KR101723044B1 (ko) 안착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열수축 가열장치
AU2015254719A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rmally activating packaging sheaths
CN111816377A (zh) 一种线束绝缘处理工艺
CN107816918A (zh) 长度测量设备和用于其装配的方法
WO2018147026A1 (ja) 熱収縮キャップおよび熱収縮キャップ付電線
CN202656476U (zh) 热熔治具
CN102717514A (zh) 热熔治具
KR101839586B1 (ko) 가열기 및 압착기 일체형 전력주름관 연결 융착장치
CN210743702U (zh) 电气运行设备和制造装置
JP2002350689A (ja) 半導体レーザモジュールのパッケージネック部の封止構造及び封止方法
CN213547319U (zh) 联动式铁芯热套装置
CN109617345A (zh) 一种定子组件环氧浇注工装及操作方法
JP2711467B2 (ja) 筒状容器の高周波溶着装置
CN211307394U (zh) 3pe钢塑转换管件热缩包覆设备
CN210966449U (zh) 一种薄壁筒节纵焊缝局部校形工装
CN104441612B (zh) 防水包的生产工艺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