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3907B1 - 탄성을 갖는 욕조의 제조방법 및 탄성을 갖는 욕조 - Google Patents

탄성을 갖는 욕조의 제조방법 및 탄성을 갖는 욕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3907B1
KR101043907B1 KR1020080118815A KR20080118815A KR101043907B1 KR 101043907 B1 KR101043907 B1 KR 101043907B1 KR 1020080118815 A KR1020080118815 A KR 1020080118815A KR 20080118815 A KR20080118815 A KR 20080118815A KR 101043907 B1 KR101043907 B1 KR 101043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ub
edge
foam
b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8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0280A (ko
Inventor
김정근
이종관
Original Assignee
이종관
김정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관, 김정근 filed Critical 이종관
Priority to KR1020080118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3907B1/ko
Publication of KR20100060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0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04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onsisting of at least two parts of chemically or physically different materials, e.g. having different densities
    • B29C44/06Making multi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69Sanitary equipment
    • B29L2031/7692Bath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을 갖는 욕조의 제조방법 및 탄성을 갖는 욕조에 관한 것으로 욕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내부 욕조면 형상에 대응하는 욕조 성형면과 상기 욕조 성형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내부 욕조면에 대하여 밖으로 볼록하게 감겨지는 테두리 성형부와 상기 테두리 성형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외부로 연장하는 플랜지 부를 가지는 내부 금형의 외면에 이형제 층을 형성하고, 상기 이형제 층의 상면에 탄성 표면 코팅층을 형성하고, 상기 탄성 표면 코팅층의 상면에 탄성 보호도막층을 형성하여 욕조 상부 형상 및 욕조 상부 형상의 가장자리로부터 외부로 연장하는 연장부를 가지는 내부 탄성체층을 형성하는 제1단계; 상기 테두리 성형부와 플랜지 부 사이의 경계면을 따라 결합하고, 상기 테두리 성형부측에 접하는 부분의 하면이 상기 플랜지부 상면의 내부 탄성체층보다 낮은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제어 금형을 끼워 조립체를 형성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조립체에 욕조 외곽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외부 구조체층 또는 욕조 외곽 형상에 대응하는 외곽 금형을 결합하고, 이격 부분에 발포 폼재를 충진하여 발포 폼층을 형성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을 갖는 욕조의 제조방법 및 이러한 탄성을 갖는 욕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통하여 욕조 내면층이 접촉감이 좋고, 탄성이 있어 안락감을 느낄 수 있으며, 탄성재질로 충격에 의한 안전성을 확보 할 수 있으며, 보온성이 뛰어나 목욕시 물을 보충해줄 필요가 없고, 특히 유아용 욕조에 적용하는 경우는 목욕 후에 침대나 요람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쿠션 기능을 가지는 욕조를 제공하고, 이러한 다층 구조의 탄성을 갖는 욕조의 가장자리에서 층간 분리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마감처리가 용이하며, 욕조의 가장자리 외관을 미려하게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탄성, 욕조

Description

탄성을 갖는 욕조의 제조방법 및 탄성을 갖는 욕조 {Method of preparing bath tub with cushion and bath tub with cushion}
본 발명은 탄성을 갖는 욕조의 제조방법 및 탄성을 갖는 욕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욕조 내면층이 접촉감이 좋고, 탄성이 있어 안락감을 느낄 수 있으며, 탄성재질로 충격에 의한 안전성을 확보 할 수 있으며, 보온성이 뛰어나 목욕시 물을 보충해줄 필요가 없고, 특히 유아용 욕조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목욕 후에 이를 침대나 요람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쿠션 기능을 가지는 욕조를 제공하고, 이러한 다층 구조의 탄성을 갖는 욕조의 가장자리에서 층간 분리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마감처리가 용이하며, 욕조의 가장자리 외관을 미려하게 제작할 수 있는 탄성을 갖는 욕조의 제조방법 및 탄성을 갖는 욕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욕조는 이동식과 고정식 등의 욕조가 있고, 이동식 욕조는 통상, 유아용으로 많이 사용되어져 왔는데, 이와 같은 종래의 유아용 욕조를 포함하는 이동식 욕조의 제조방법은 주로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ABS수지를 사용하는 딱딱한 플라스틱 욕조 제조방법이 대부분이다. 즉, 종래의 딱딱한 경질 플라스틱 욕조제조방법은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ABS수지에 경화제를 참가한 수지를 금형으로 성형하여 탈형하는 방법과 사출하는 방법 등이 주로 이용되어져 왔다. 그리고 고정식 욕조의 경우 통상의 욕조 제조방법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하는 주형방법의 인조대리석 욕조와 아크릴판을 진공 성형하는 방법의 아크릴 욕조가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욕조 제조방법은 가격이 저렴하고 가볍지만, 딱딱해서 목욕 시에 접촉감이 떨어지고, 피부에 안 좋으며, 보온성이 좋지 않아 목욕 중에 더운 물을 보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특히나 유아나 신생아를 목욕시키는 경우에 더 문제가 되며 따라서 유아용 욕조의 경우에 더 큰 문제를 일으킨다. 이외에도, 딱딱한 욕조는 특히 목욕 중에 충돌이 발생하거나 욕실에서 욕조로 넘어지는 경우에 충격이 커서 안전사고의 문제점도 있으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탄성 또는 쿠션 기능을 가지는 욕조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탄성을 가지는 욕조의 경우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의 각 표면에 경질외곽 및 연질외곽의 층 구조를 형성하고, 이들을 사이에 두고 발포재를 발포하여 발포층을 형성하여 욕조를 완성하고 탈형을 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끝단 가장자리가 남으므로, 이를 도시한 바와 같은 절단면을 따라 절단하여 욕조를 최종적으로 완성하는데, 이때 절단되고 남은 끝단은 연질부와 경질부가 좁은 접촉면을 따라 만나므로, 결합력이 약하고, 연질부가 일부 노출되어 이를 통하여 물기가 발포층까지 침입하는 경우에는 욕조의 내층이 훼손되고 함습에 따라 욕조가 무거워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다층구조의 층 분리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내구성이 떨어지고, 외관이 매끄럽지 않아 긁힘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종래의 탄성 기능을 가지는 욕조의 장점을 모두 구현할 수 있는 욕조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욕조 내면층이 접촉감이 좋고, 탄성이 있어 안락감을 느낄 수 있으며, 탄성재질로 충격에 의한 안전성을 확보 할 수 있으며, 보온성이 뛰어나 목욕시 물을 보충해줄 필요가 없고, 특히, 유아용 욕조의 경우에는 목욕 후에 침대나 요람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쿠션 기능을 가지는 욕조를 제공하고, 이러한 다층 구조의 탄성을 갖는 욕조의 가장자리에서 물기가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고, 층간 분리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마감처리가 용이하며, 욕조의 가장자리 외관을 미려하게 제작할 수 있는 탄성을 갖는 욕조의 제조방법 및 탄성을 갖는 욕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욕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내부 욕조면 형상에 대응하는 욕조 성형면과 상기 욕조 성형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내부 욕조면에 대하여 밖으로 볼록하게 감겨지는 테두리 성형부와 상기 테두리 성형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외부로 연장하는 플랜지 부를 가지는 내부 금형의 외면에 이형제 층을 형성하고, 상기 이형제 층의 상면에 탄성 표면 코팅층을 형성하고, 상기 탄성 표면 코팅층의 상면에 탄성 보호도막층을 형성하여 욕조 상부 형상 및 욕조 상부 형상의 가장자리로부터 외부로 연장하는 연장부를 가지는 내부 탄성 체층을 형성하는 제1단계;
상기 테두리 성형부와 플랜지 부 사이의 경계면을 따라 결합하고, 상기 테두리 성형부측에 접하는 부분의 하면이 상기 플랜지부 상면의 내부 탄성체층보다 낮은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제어 금형을 끼워 조립체를 형성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조립체에 욕조 외곽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외부 구조체층 또는 욕조 외곽 형상에 대응하는 외곽 금형을 결합하고, 이격 부분에 발포 폼재를 충진하여 발포 폼층을 형성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을 갖는 욕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술한 탄성을 갖는 욕조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어,
탄성 보호도막층 및 이의 외부에 적층되는 탄성 표면 코팅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구조를 가지고 욕조 상부 형상 및 욕조 상부 형상의 가장자리로부터 외부로 연장하는 연장부를 가지는 내부 탄성체층; 상기 내부 탄성체층과 이격하여 결합하는 욕조 외곽 형상만으로 이루어지는 외부 구조체층; 및, 상기 외부 구조체층과 내부 탄성체층 사이의 이격 부분에 충진되어 상기 외부 구조체층과 내부 탄성체층을 결합하는 발포 폼층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탄성체층의 연장부는 상기 외부 구조체층의 가장자리 표면으로 접혀 상기 외부 구조체층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을 갖는 욕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탄성을 갖는 욕조의 제조방법 및 욕조에 따르면, 종래의 욕조에 비하여 욕조 내면층이 접촉감이 좋고, 탄성이 있어 안락감을 느낄 수 있으며, 탄성재질로 충격에 의한 안전성을 확보 할 수 있으며, 보온성이 뛰어나 목욕시 물을 보충해줄 필요가 없고, 특히 유아용 욕조의 경우에는 목욕 후에 침대나 요람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쿠션 기능을 가지는 욕조를 제공하고, 이러한 다층 구조의 탄성을 갖는 욕조의 가장자리에서 물기가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고, 층간 분리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마감처리가 용이하며, 욕조의 가장자리 외관을 미려하게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육체적 힘이 열악한 여성들도 쉽게 다룰 수 있도록 가벼운 장점이 있다.
또한 욕조 가장자리의 말려진 끝단이 욕조의 최외곽보다 욕조의 중심 측으로 더 말려진 형상을 가지더라도 금형의 탈형에 문제가 없고, 제작이 가능하여 보다 다양한 형상의 욕조 제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탄성을 갖는 욕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욕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내부 욕조면 형상에 대응하는 욕조 성형면(51)과 상기 욕조 성형면(51)의 가장자리를 따라 내부 욕조면에 대하여 밖으로 볼록하게 감겨지는 테두리 성형부(52)와 상기 테두리 성형부(52)의 가장자리로부터 외부로 연장하는 플랜지 부(53)를 가지는 내부 금형(5)의 외면에 이형제 층을 형성하고, 상기 이형제 층(미도시)의 상면에 탄성 표면 코팅층(1)을 형성하고, 상기 탄성 표면 코팅층(1)의 상 면에 탄성 보호도막층(2)을 형성하여 욕조 상부 형상 및 욕조 상부 형상의 가장자리로부터 외부로 연장하는 연장부를 가지는 내부 탄성체층(1+2)을 형성하는 제1단계; 상기 테두리 성형부(52)와 플랜지 부(53) 사이의 경계면을 따라 결합하고, 상기 테두리 성형부(52)측에 접하는 부분의 하면이 상기 플랜지 부(53) 상면의 내부 탄성체층보다 낮은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제어 금형(13)을 끼워 조립체를 형성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조립체에 욕조 외곽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외부 구조체층(4) 또는 욕조 외곽 형상에 대응하는 외곽 금형(7)을 결합하고, 이격 부분에 발포 폼재를 충진하여 발포 폼층(3)을 형성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단계와 무관하게, 외부 구조체층(4)을 필요로 하는 공정 이전에 욕조 외곽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외부 구조체층(4)을 형성하는 단계를 별도로 수행할 수 있고, 상기 각 단계를 설명하기 전에 이에 대한 설명을 먼저 하면 다음과 같다.
즉, 욕조 외곽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외부 구조체층(4)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외곽 구조체층(4)은 욕조의 외곽면을 이루어 욕조에 구조체 역할을 수행하므로 통상의 딱딱한 욕조를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경질의 수지재로 이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이동식인 유아용 욕조의 경우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ABS수지에 경화제를 참가한 수지를 금형으로 성형하여 탈형하는 방법과 사출하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로는 욕조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경질성의 물질을 사용하여야 하며, 사용시 낙하충격이나 기타 외부충격에도 어느 정도 견딜 수 있는 일정 정도의 연성을 지니는 물질이 바람직하며 PS, PE, PP, ACRYL, ABS, PVC, PET 등의 범용 플라스틱이 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구조체층은 두께 2 ~ 5 mm 정도 되는 시트형태의 플라스틱을 통상의 진공 성형기를 이용하여 상기 기술한 형태의 모양이 되도록 진공 성형하여 제조한다. 또한 고정식인 경우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유리섬유를 적층한 FRP를 두께 4-5 mm로 제조하거나 4-5 mm두께의 아크릴판을 진공 성형하여 제조하기도 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 구조체층은 욕조 외곽 형상으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이로부터 바깥으로 불필요하게 연장되는 부분은 후처리 공정을 통하여 제거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제1단계는 도 2에 그 구체적인 예를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욕조면 형상에 대응하는 욕조 성형면(51)과 상기 욕조 성형면(51)의 가장자리를 따라 내부 욕조면에 대하여 밖으로 볼록하게 감겨지는 테두리 성형부(52)와 상기 테두리 성형부(52)의 가장자리로부터 외부로 연장하는 플랜지 부(53)를 가지는 내부 금형(5)을 준비하고, 이의 외면에 이형제 층을 형성하고, 상기 이형제 층(미도시)의 상면에 탄성 표면 코팅층(1)을 형성하고, 상기 탄성 표면 코팅층(1)의 상면에 탄성 보호도막층(2)을 형성하여 욕조 상부 형상 및 욕조 상부 형상의 가장자리로부터 외부로 연장하는 연장부를 가지는 내부 탄성체층(1+2)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여기서 상기 내부 금형(5)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욕조 성형면(51)과 상기 욕조 성형면(51)의 가장자리를 따라 내부 욕조면에 대하여 밖으로 볼록하게 감겨지는 테두리 성형부(52)와 상기 테두리 성형부(52)의 가장자리로부터 외부로 연장하는 플랜지 부(53)를 가지는 금형으로 통상의 욕조산업에서 사용하는 FRP 재질로 만들어진 숫 욕조몰드(5)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도 1과 도 2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내부 금형은 이에 접합하는 상대 금형과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두리 성형부의 외곽 끝단이 가장 넓은 영역인 최외곽면이 되도록 하는데, 반하여 본 발명과 같이 제어 금형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두리 성형부의 외곽 끝단이 안쪽으로 말려 들어와서 테두리 성형부의 끝단이 최외곽면이 되지 않고, 이전의 말려진 부분이 더 바깥으로 튀어나오는 형상으로 금형을 형성하여도 상대 금형과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어서 다양한 형상의 욕조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준비된 내부 금형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의 배면을 위로 오게 배치하고 표면에 왁스 등의 이형제를 발라 이형처리를 하여 이형층(내부 금형(5)과 탄성표면 코팅층(1) 사이의 층, 미도시)을 형성시킨다.
상기 이형층의 상면에는 푹신한 탄성부의 표면을 이루는 광택도가 좋고 탄성이 있으며 내스크래치성도 우수한 탄성 표면 코팅층(1)을 형성한다. 즉, 상기 과정에서 형성된 이형층 위에 탄성 표면 코팅층(1)을 형성하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로, 상기 이형층 표면에 용제타입의 아크릴폴리우레탄 코팅제나 수성 또는 유성타입의 폴리우레탄계 코팅제를 에어스프레이 방식으로 도포시킨 후 건조한다. 상기 탄성 표면 코팅층을 이루는 탄성 재질은 바람직하게는 파단시 신장율이 50%이상 되는 연질성의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여기서 상기 탄성 표면 코팅층은 내부 탄성체층의 연장부 형성을 위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 부까지 도포할 수도 있고, 이보다 짧게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3의 탄성 보호도막층이 형성된 부분까지인, 상기 플랜지 부 시작부분의 전단까지 형성하여 곡면부가 연장부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은 탄성 보호도막층(2)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상기 형성된 탄성 표면 코팅층(1)위에 적층되는 도막층을 형성한다. 즉, 상기 탄성 표면 코팅층(1)은 박막이기에, 표면 코팅층 단독으로 형성된 탄성욕조를 사용하는 경우, 쉽게 표면층이 파손되므로 이를 보호하고, 나중에 기술한 발포 폼층(3)의 방수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탄성 보호도막층(2)을 도입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로는 탄성을 갖는 도막이 형성될 수 있는 속경화형의 폴리우레탄-우레아 또는 폴리우레아 액상 원료를 스프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도포시켜 제조되며, 바람직하게는 파단 신장율이 적어도 100%이상의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탄성욕조의 연질 보호층으로서 적합하다. 여기서도 상기 탄성 보호도막층은 내부 탄성체층의 연장부 형성을 위하여 상기 플랜지 부까지 도포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보다 짧게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 부 시작부분의 전단까지 형성하여 곡면부가 연장부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보호도막층과 탄성 표면 코팅층의 도포면은 도 3에 그 구체적인 예를 도시한 바와 같이, 반드시 동일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제2단계는 상기 테두리 성형부(52)와 플랜지 부(53) 사이의 경계면을 따라 결합하고, 상기 테두리 성형부(52)측에 접하는 부분의 하면이 상기 플랜지 부(53) 상면의 내부 탄성체층보다 낮은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제어 금형(13)을 끼워 조립체를 형성하는 공정이다.
상기 제어 금형(13)의 형상에 대한 구체적인 예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포 폼(foam)층(3)의 형성 높이를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테두리 성형부(52)측에 접하는 부분의 하면이 상기 플랜지 부(53) 상면의 내부 탄성체층보다 낮은 형태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마감이 전체 마감면에 대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좋으며, 결합력을 견고히 하는 것이 좋으므로 상기 내부 금형(5)에 끼워지기 위하여 중공의 띠 형상을 가지며, 그 단면은 상기 테두리 성형부(52)와 플랜지 부(53) 사이의 경계면을 따라 결합하기 위하여 외곽면은 단을 형성하고, 내면의 상면은 접합하는 상태 금형의 결합 및 탈형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테두리 성형부(52)측에 접하는 부분의 하면은 상기 플랜지 부(53) 상면의 내부 탄성체층보다 낮은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어 금형은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하고 유연하게 하기 위하여 탄력이 있는 재질, 예를 들면 고무 재질 등으로 이를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제3단계로, 상기 조립체에 욕조 외곽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외부 구조체층(4) 또는 욕조 외곽 형상에 대응하는 외곽 금형(7)을 결합하고, 이격 부분에 발포 폼재를 충진하여 발포 폼층(3)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즉, 최종 제품인 욕조에서 상기 외부 구조체층(4)과 내부 탄성체층(1과 2의 적층구조) 사이의 이격 부분에 충진되어 상기 외부 구조체층과 내부 탄성체층을 결합하는 발포 폼(foam)층(3)을 형성하는 공정으로서, 상기 발포 폼층(3)의 형성은 통상의 상/하 몰드를 결합하고 이들이 이루는 공간에 발포재를 주입하여 발포시키는 방법이 이에 적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외부 구조체층(4)이 내부에 결합한 외곽금형(7)과 내부 탄성체층(1과 2의 적층구조)이 내부에 결합한 내부 금 형(5)을 결합하고 이들이 이루는 공간에 발포재를 주입하여 발포시킬 수도 있고, 외곽금형(7)으로부터 분리된 단체(單體) 상태의 상기 외부 구조체층(4)과 내부 탄성체층(1과 2의 적층구조)이 내부에 결합한 내부 금형(5) 조립체를 결합하고 이들이 이루는 공간에 발포재를 주입하여 발포시키는 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고, 여기에 사용되는 발포재 재질로는 폴리우레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탄성체층의 상면에, 내부에 이형처리가 된 외곽금형(7)을 끼우고 발포 폼재를 충진해서 발포하여 발포 폼층을 형성한 후, 상기 외곽 금형을 분리하여 도 6과 같은 형태를 얻을 수 있고, 이와 같이 발포된 발포 폼층 상면에 상기 외부 구조체층(4)을 결합하여 도 7의 좌측에 도시한 바와 같은 예비욕조를 제작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발포가 부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부분이 발생하는 경우에 외부 구조체 층의 결합 전에 보충적인 발포작업을 더 하여 발포 폼층이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발포 폼층의 형성시, 제품의 표면에 발포재 주입구멍이나 발포과정 중의 Vent를 위한 구멍을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품이 깨끗하게 제조되며, 이후 이러한 구멍들을 처리하기 위한 후 공정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상기 발포 폼층(3)의 형성방법과 무관하게 이와 같은 방법으로 형성된 예비 욕조는 도 7의 좌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욕조의 가장자리에 탄성 표면 코팅층과 탄성 보호도막층의 적층체인 내부 탄성체층으로 이루어진 연장부(여기서 연장부는, 도 5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발포 폼층의 끝단 두께가 제어 금형에 의하여 발포재의 침투가 제한된 테두리 성형부의 발포 폼층이 형성되지 않은 내부 탄성체층의 길이 보다 적은 경우에는 상기 테두리 성형부의 발포 폼층이 형성되지 않은 내부 탄성체층인 곡면부 끝단의 일부가 이에 해당될 수도 있고, 더 큰 경우에는 상기 내부 탄성체층의 형성을 도면과 달리 플랜지 부(53)에도 연장되게 형성하여 상기 테두리 성형부의 발포 폼층이 형성되지 않은 내부 탄성체층과 플랜지 부에 형성된 내부 탄성체층이 모두 이에 해당되도록 할 수도 있다.)를 돌출시키는 구조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금형(13)의 하단이 도 5에 그 구체적인 예를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 부(53)의 상면으로부터 발포 폼층(3)의 끝단 두께만큼 아래에 위치하는 형태로 이를 구성하는 경우에, 상기 연장부가 상기 테두리 성형부의 발포 폼층이 형성되지 않은 내부 탄성체층인 곡면부 끝단의 일부가 되므로 마감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으므로 좋다.(즉, 상기 연장부의 꺾여져 감기는 것을 원활히 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이 형성된 연장부는 이에 부가하여 별도의 마감재를 더 끼워 조립하거나 기타 다양한 방법으로 욕조 가장자리 마감에 활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단계 이후의 후공정으로 상기 내부 탄성체층의 연장부를 상기 외부 구조체층(4)의 가장자리 표면으로 접어 상기 외부 구조체층(4)에 접착하여 마감하는 공정을 진행하는 것이 공정의 용이성 측면에서 좋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다. 이를 통하여 발포 폼층(3)의 방수층 역할을 하는 탄성 보호도막층(2)이 경질의 외부 구조체층(4)과 넓은 면적으로 접촉하여 방수가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고, 방수효과를 높이며, 외곽으로 결합면이 나타나는 것을 막아 미려함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을 통하여 제작되는 탄성을 갖는 욕조를 제공하는 바, 이는 상기 기술한 탄성을 갖는 욕조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어, 탄성 보호도막층(2) 및 이의 외부에 적층되는 탄성 표면 코팅층(1)으로 이루어지는 적층구조를 가지고 욕조 상부 형상 및 욕조 상부 형상의 가장자리로부터 외부로 연장하는 연장부를 가지는 내부 탄성체층(1+2의 적층구조); 상기 내부 탄성체층과 이격하여 결합하는 욕조 외곽 형상만으로 이루어지는 외부 구조체층(4); 및, 상기 외부 구조체층(1)과 내부 탄성체층(1+2) 사이의 이격 부분에 충진되어 상기 외부 구조체층과 내부 탄성체층을 결합하는 발포 폼층(3)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탄성체층의 연장부는 상기 외부 구조체층(4)의 가장자리 표면으로 접혀 상기 외부 구조체층에 결합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는 도 7의 우측에 도시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은 구조의 욕조는 상기 기술한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작될 수도 있으며, 상기 욕조는 통상의 욕조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에는 고정식, 이동식 등의 욕조가 모두 이에 해당하고, 특히 마감부분이 중요한, 분리를 통하여 이동이 가능한 독립형 욕조에 적용이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유아용 욕조가 욕조의 용도 및 효과를 증대할 수 있으므로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킨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탄성을 갖는 욕조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탄성을 갖는 욕조의 제조방법에 적용되는 내부 금형의 일 실시예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내부 금형에 내부 탄성체층을 형성한 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탄성을 갖는 욕조의 제조방법에 적용되는 제어 금형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 및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내부 탄성체층을 형성한 내부 금형에 이형처리된 외곽 금형을 결합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이형처리된 외곽 금형을 결합하여 발포 폼층을 형성한 후, 외곽 금형을 분리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탄성을 갖는 욕조의 제조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의 마무리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면이다.

Claims (5)

  1. 욕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내부 욕조면 형상에 대응하는 욕조 성형면과 상기 욕조 성형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내부 욕조면에 대하여 밖으로 볼록하게 감겨지는 테두리 성형부와 상기 테두리 성형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외부로 연장하는 플랜지 부를 가지는 내부 금형의 외면에 이형제 층을 형성하고, 상기 이형제 층의 상면에 탄성 표면 코팅층을 형성하고, 상기 탄성 표면 코팅층의 상면에 탄성 보호도막층을 형성하여 욕조 상부 형상 및 욕조 상부 형상의 가장자리로부터 외부로 연장하는 연장부를 가지는 내부 탄성체층을 형성하는 제1단계;
    상기 테두리 성형부와 플랜지 부 사이의 경계면을 따라 결합하고, 상기 테두리 성형부측에 접하는 부분의 하면이 상기 플랜지부 상면의 내부 탄성체층보다 낮은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제어 금형을 끼워 조립체를 형성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조립체에 욕조 외곽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외부 구조체층 또는 욕조 외곽 형상에 대응하는 외곽 금형을 결합하고, 이격 부분에 발포 폼재를 충진하여 발포 폼층을 형성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을 갖는 욕조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내부 탄성체층의 상면에, 내부에 이형처리가 된 외곽금 형을 끼우고 발포 폼재를 충진해서 발포하여 발포 폼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3단계 이후에, 상기 외곽 금형을 분리하고, 발포된 발포 폼층 상면에 욕조 외곽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외부 구조체층을 결합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을 갖는 욕조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금형의 하단은 상기 플랜지 부의 상면으로부터 발포 폼층의 끝단 두께만큼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을 갖는 욕조의 제조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탄성체층의 연장부를 상기 외부 구조체층의 가장자리 표면으로 접어 상기 외부 구조체층에 접착하여 마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을 갖는 욕조의 제조방법.
  5. 삭제
KR1020080118815A 2008-11-27 2008-11-27 탄성을 갖는 욕조의 제조방법 및 탄성을 갖는 욕조 KR101043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815A KR101043907B1 (ko) 2008-11-27 2008-11-27 탄성을 갖는 욕조의 제조방법 및 탄성을 갖는 욕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815A KR101043907B1 (ko) 2008-11-27 2008-11-27 탄성을 갖는 욕조의 제조방법 및 탄성을 갖는 욕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280A KR20100060280A (ko) 2010-06-07
KR101043907B1 true KR101043907B1 (ko) 2011-06-29

Family

ID=42361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8815A KR101043907B1 (ko) 2008-11-27 2008-11-27 탄성을 갖는 욕조의 제조방법 및 탄성을 갖는 욕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39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947B1 (ko) * 2011-03-22 2013-10-17 이종관 경량 단열 욕조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0958A (ja) 1996-09-07 1998-03-31 Inax Corp 軟質浴槽とその製造方法
JP2001245805A (ja) 2000-03-08 2001-09-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浴槽とその製造法
KR100832051B1 (ko) * 2007-04-30 2008-05-27 김윤섭 쿠션 욕조 또는 세면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제조되는 쿠션 욕조 또는 세면기
KR20080061616A (ko) * 2006-12-28 2008-07-03 김정근 탄성을 갖는 발포욕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0958A (ja) 1996-09-07 1998-03-31 Inax Corp 軟質浴槽とその製造方法
JP2001245805A (ja) 2000-03-08 2001-09-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浴槽とその製造法
KR20080061616A (ko) * 2006-12-28 2008-07-03 김정근 탄성을 갖는 발포욕조
KR100832051B1 (ko) * 2007-04-30 2008-05-27 김윤섭 쿠션 욕조 또는 세면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제조되는 쿠션 욕조 또는 세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280A (ko) 2010-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3908B1 (ko) 탄성을 갖는 욕조의 제조방법 및 탄성을 갖는 욕조
TWI597233B (zh) Bicycle seat body manufacturing methods
CN106275148B (zh) 自行车座垫本体制造方法
US10035569B1 (en) Recreational watercraft and method of assembly
TW201036858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bicycle saddle
CN104070629B (zh) 交通工具用座椅的制造方法
KR101043907B1 (ko) 탄성을 갖는 욕조의 제조방법 및 탄성을 갖는 욕조
KR20100059114A (ko) 탄성을 갖는 욕조의 제조방법 및 탄성을 갖는 욕조
KR101163614B1 (ko) 탄성욕조 및 이의 제조방법
JPH1080958A (ja) 軟質浴槽とその製造方法
KR102174441B1 (ko) 페브릭을 중간심재로 활용한 육아용 매트제조방법
TWM513825U (zh) 具有輔助功能片的自行車座墊本體
JP6650360B2 (ja) 表皮一体発泡成形品
JP5720036B2 (ja) 畳の製造方法及び畳
KR101843886B1 (ko) 자동차 내장재 성형장치 및 방법
CN203000714U (zh) 一种婴儿浴盆
JP6008368B2 (ja) 表皮一体発泡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094543A (ja) 表皮材及び一体発泡成形品
KR101560597B1 (ko) 서로 다른 경도를 갖는 일체발포형 헤드레스트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헤드레스트
KR101468839B1 (ko) 개스킷을 갖는 파스너 및 그 제조방법
JP3143021U (ja) 浴槽用枕
KR20150009836A (ko) 차량의 크래쉬 패드 및 그 성형방법
CN104127146B (zh) 一种婴儿浴盆的制作方法
JP5541875B2 (ja) 椅子用クッションの成形方法及び椅子
JPS594297B2 (ja) サドル及びそ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9